目 次 Ⅰ. 지난 會 議 結 果 報 告 3 Ⅱ. 審 議 事 項 - 13건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6건 15 박유붕가옥(유형문화재) 일취정(기념물) 영덕 수동재사(유형문화재) 영덕 상의당(유형문화재) 성주 오암서원(유형문화재) 무흘정사(기념물) 2.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目 次 Ⅰ. 지난 會 議 結 果 報 告 3 Ⅱ. 審 議 事 項 - 13건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6건 15 박유붕가옥(유형문화재) 일취정(기념물) 영덕 수동재사(유형문화재) 영덕 상의당(유형문화재) 성주 오암서원(유형문화재) 무흘정사(기념물) 2."

Transcription

1 道 文 化 財 委 員 會 1 分 科 第 2 次 會 議 (금)14:00 제1회의실 會 議 書 類

2 目 次 Ⅰ. 지난 會 議 結 果 報 告 3 Ⅱ. 審 議 事 項 - 13건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6건 15 박유붕가옥(유형문화재) 일취정(기념물) 영덕 수동재사(유형문화재) 영덕 상의당(유형문화재) 성주 오암서원(유형문화재) 무흘정사(기념물) 2. 道 指 定 文 化 財 現 狀 變 更 許 可 審 議 4건 71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안동 천전리 추파고택 아래채 건립 성주 수성리중매댁 주변 공장신축 영주 무섬마을 조경공사 3. 文 化 財 補 修 事 業 設 計 承 認 2건 105 영덕 난고정 보수 구미 선산객사 보수 年 道 費 補 助 文 化 財 補 修 事 業 指 針 1건 129 안동 호계서원 사당건립

3 Ⅰ.지난 會 議 結 果 報 告 - 3 -

4 Ⅰ. 2009년 1분과 제1차회의 결과보고 회의개요 일 시 : (수) 14:00 장 소 : 도청 제1회의실(3층) 참 석 자 : 14명(문화재위원) 참 석 자 : 14명(위원 12, 전문위원 2) 이병휴, 이상필, 김용수, 최영식, 이문기, 장석하, 백영흠, 희곤, 조영화, 정명섭, 장동익, 이수환, 한기문, 조재모 김 회의결과 13건-가결9(선정3,허가2,승인1,기준3),부결3(선정),보류1 1. 문화재 지정대상 선정 - 6건(가결3, 부결3) 울진 장보균가옥(문자) - 부결 영주 상절사(유형) - 부결 영덕 만송당(문자) - 선정 성주 옥천서원(기념) - 선정 성주 영모재(유형) - 부결 영주 천운정(문자) - 선정 2. 도지정문화재 현상변경 허가 - 2건(가결) 포항 오어사 대웅전 주변 현수교 건립 안동 애일당 보호구역내 화장실 건립 3. 문화재보수사업 설계승인 - 1건(가결) 포항 여주이씨고택 보수 년 도비보조 문화재보수사업 지침 - 1건(보류) 안동 호계서원 사당건립 사당 배향 등 전반적인 계획에 대하여 현지조사 후 결정 5. 도지정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안) - 3건(적정) 구미 지주중류비(유형 167) 청송 찬경루(유형 183) 청송 평산신씨판사공파종택(민자 89) - 5 -

5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일련 번호 신 청 종 별 문 화 재 명 수량 소유자 소 재 지 비고 1 문화재 자 료 장보균가옥 ( 張 甫 均 家 屋 ) 1동 장보균 울진군 울진읍 호월리 227 부 결 2 유 형 문화재 상절사 ( 象 節 祠 ) 1동 달성서씨 돈암공문중 영주시 단산면 사천1리 418 부 결 3 유 형 문화재 영덕 만송당 ( 盈 德 晩 松 堂 ) 1동 권기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579 가 결 (문화재자료) 4 기념물 성주 옥천서원 ( 星 州 玉 川 書 院 ) 1곽 성산이씨 의사공파 종중 성주군 용암면 대붕리 776외 가 결 (명칭 수정) 5 유 형 문화재 영모재 ( 永 慕 齋 ) 1동 최영모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876 부 결 6 민속자료 영주 천운정 ( 榮 州 天 雲 亭 ) 1동 김종환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가 결 (문화재자료) 選 定 審 議 內 容 장보균 가옥( 張 甫 均 家 屋 ) 이 건물은 울진읍 호월리 울진장씨 직장공파의 종택으로 송재 장만년 ( )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 가옥은 경사진 대지위에 남서향한 팔작지붕 건물로 창건당시에는 正 寢 인 안채와 사당채 인 月 湖 堂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침은 1940년대 내부를 개조하여 건립 당시의 모습을 찿아 보기 어렵다. 건물의 평면 변형이 심하고 툇마루는 모두 알루미늄 창으로 개조하여 원래의 모습을 추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 건물과 관련된 역사적인 사 건이나 특기할 만한 인물도 없어 도 지 정 문 화 재 로 지 정 하 기 에 는 부 적 합 하 다 고 판 단 되 어 부 결 하기로 한다

6 영주 상절사( 榮 州 象 節 祠 ) 서한정을 제향한 상절사는 숙종 34년(1708) 건립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근거는 없다. 기록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정조대 다수의 인물들이 단종의 절신( 節 臣 )으로 인정되는 추세에 비추어 당시 서한정도 그 범주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동학사( 東 鶴 寺 ) 숙모전( 肅 慕 殿 )의 동무에 그의 위패가 봉안된 사실이 그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상절사는 정조 13년(1789)에 건립된 것이 분명 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의 상절사는 1922년 재건된 것이기는 하나 당시의 그에 대한 사림의 추모의식이 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도 상절사에는 후손들 을 주축으로 한 향촌유림들이 매년 봄과 가을 初 丁 日 두 차례에 걸쳐 향사를 행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배경이 작용한 것이라 하겠다. 근래에 복원된 구고서원( 九 皐 書 院 )과의 연계관계 속에서 부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문화재로 지정하기에는 역사적인 사실과 건축적 측면에서 가치가 미흡하므로 부결하기로 한다. 영덕 만송당( 盈 德 晩 松 堂 ) 이 건물은 마을 입향조 권책( 權 策 )의 6세손인 대은( 臺 隱 ) 권경( )의 유덕을 기리면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827년 권상두가 건립하고, 1889년 중수 한 것이다. 만송당은 가학을 전수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1800년대에 많은 인 물을 길러내어 위정척사운동과 의병 참가자나 나올 수 있는 터전이 되고, 항일 투쟁기에는 야학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특히 건립과 중건 등 역사를 함께 했던 대은종택이 이미 경상북도 문화재자 료 제278호로 지정되어 있는데다가 만송당은 종택과 붙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국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았던 건물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만송당도 종택과 함 께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문화재자료로 선정하기로 한다. 성주 옥천서원( 星 州 玉 川 書 院 ) 건물이 위치한 용암면 대봉리는 전통사회에서 성산이씨들의 집거지 였고, 그 중 윗봉산마을 안쪽의 산록에 충렬사와 충의재가 함께 위치하고 있다. 이들 건 물은 17세기의 인물인 이사용을 제향하는 시설로서 경사지를 4단으로 조성하여 안마당을 중심으로 동남향하여 충의재와 동ㆍ서재, 솟을삼문의 튼 口 자형 일곽, - 7 -

7 그 후방으로 지대를 한 단 높인 忠 烈 祠, 그리고 우측편에 家 廟 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6개 동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인공인 이사룡의 역할은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숭명사상의 중요한 하나의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학적으로 매우 주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 지금까지의 문화재지정은 최상급의 양반들에 관한 것들이 많이 지정되어 왔 음을 감안해 볼 때 서민은 아니더라도 서민과 비슷한 위치에 있었던 양반층의 언행( 言 行 )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자료로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종 별을 기념물로 하고 문화재명칭은 성주 옥천서원 으로 선정하기로 한다. 성주 영모재( 永 慕 齋 ) 영모재는 죽헌 최환경이후 그 후예들이 세거( 世 居 )하여 오고 있는 수륜면 남은리 법산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영천최씨 문중의 종당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 물로서 그 창건 시기는 1750년(영조 26)경으로 추정되나 근년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의 위치와 양식은 옛 모습을 어느 정도 간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관리 및 생활의 용의 등을 위해 여러 부분에서 임의적인 보수공사가 실시된 흔 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다. 문간채는 본래 남측 편에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동측 편으로 옮겨진 상태이며, 건물측면에 남아있는 붉은 벽돌의 굴뚝은 일제강 점기시대의 양식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것과 거의 흡사한 것이었다. 그리고 거의 모든 부재가 보수되고 겉 표면은 도장재료로 도포되어 있는 상태이며, 기단 위 주춧돌 부분은 콘크리트로 마감되어 있는 상태였다. 제기고 내부에는 제사시의 편리를 위해 싱크대 및 생활가전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영모재의 현재는 관리와 생활의 이유 등으로 옛 모습이 임의적인 보수공사로 인하여 많이 사라지고 훼손되어 있는 상태로서 문화재로 지정하기는 다소 미 흡하므로 부결하기로 한다. 영주 천운정( 榮 州 天 雲 亭 ) 천운정은 1588년에 이조판서를 지낸 백암 김륵이 만년을 보내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건립 후 퇴락하여 무너진 것을 알 수 없는 시기에 이건하였으나 또 다시 붕괴되어 1762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중건하고 그 앞에 연못을 조성했 다. 김륵이 영천(현재 영주시)의 서에는 귀학정 서벽정, 동에는 천운정의 세 정 자를 지었는데, 서벽정은 폐하였고 천운정은 대대로 구업을 전하였고 정자 앞에 - 8 -

8 연못이 있어 정자 이름을 얻은 것이라 하였다고 한다. 한편 귀학정은 1988년 봉 화읍 문단리로 이건했다. 천운정은 1762년에 중건한 학문과 휴양을 위한 정자건축으로써 그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입지조건을 잘 갖추고 있으며, 구조양식은 뛰어나지 않으나 평면형식은 후대 이건 및 중건 시에도 큰 변화 없이 창건 당시의 모습을 지금껏 잘 지켜 온 것으로 판단되어 보존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 문화재자료로 선정 하기로 한다. (3) 道 指 定 文 化 財 ( 周 邊 ) 現 狀 變 更 許 可 審 議 연번 신청인 문화재명 사 업 명 심 의 결 과 가결(적정) 1 포항시 남구청장 오어사 대웅전 (문자 88) 오어사 대웅전 주변 현수교 설치 신청 계획(안)대로 하되 다음사항을 반영하여 추진 (실시설계시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시행) 2 안동 시장 애일당 외 (농암사당) (유형 34) 화장실 건립 가결(적정) 화장실 위치는 좋으나 건물 의 방향을 강각과 동일한 축으로 배치하여 시행 (4) 文 化 財 補 修 事 業 設 計 承 認 연번 문화재명 사 업 내 용 심 의 결 과 1 여주이씨 고택 (문자481) 고방채 보수 중문채,대문채,사주문 건립 주변정비(담장 및 배수로 정비) 가결(적정) - 설계도서대로 시행 단. 중문채 건립 등 공사 착수 전에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사업추진 - 9 -

9 (5) 09 年 道 費 補 助 文 化 財 補 修 事 業 指 針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업비(천원) 사 업 내 용 심의결과 1 안동 호계서원 (유형 35) 100,000 사당건립 보류 - 사당 배향 등 전반 적인 계획에 대하여 현지조사 후 결정 (6) 道 指 定 文 化 財 現 狀 變 更 許 容 基 準 ( 案 ) 연번 시군 문화재명(종별) 소 재 지 심의결과 1 구미 지주중류비 (유형167) 구미시 오태동 산2 가결(적정) - 지주중류비 주변 자연 녹지지역에 대하여는 300m로 구역설정 2 청송 찬경루 (유형183)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가결(적정) - 현상변경허용기준(안) 대로 시행 3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종택 (민자 89)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 376 일원 가결(적정) - 현상변경허용기준(안) 대로 시행

10 Ⅱ. 審 議 事 項

11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일련 번호 신 청 종 별 문 화 재 명 수량 소유자 소 재 지 조사자 비고 1 유 형 문화재 박유붕 가옥 ( 朴 有 鵬 家 屋 ) 7동 박이수 청도군 화양읍 원정리 802 권대웅 김동영 2 기념물 일취정 ( 一 翠 亭 ) 1동 김형수 외1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72 3 유 형 문화재 영덕 수동재사 ( 盈 德 水 洞 齋 舍 ) 2동 대흥백씨 문중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479 설석규 최영식 4 유 형 문화재 영덕 상의당 ( 盈 德 尙 義 堂 ) 2동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유 형 문화재 성주 오암서원 ( 星 州 鰲 岩 書 院 ) 1곽 영천최씨 법산파 죽헌공파종중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374 주웅영 변숙현 6 기념물 무흘정사 ( 武 屹 精 舍 ) 1동 청주정씨 문목공파종중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70 권대웅 최영식 2. 道 指 定 文 化 財 ( 周 邊 ) 現 狀 變 更 許 可 審 議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 업 명 검토자 (조사자) 비고 1 안동 안동 천전리 추파고택 (문자 432) 아래채(행랑채) 건립(1동) 면적 : 19.44m2 용도 : 화장실 및 주방 (샤워실 포함) 형태 : 우진각 지붕 장석하 2 성주 수성리중매댁 (민자 86) 공장신축(농산물가공공장) 대지면적 : m2 건축(연)면적 : m2 구조 : 일반철골구조 높이 : 7.701m, 지상1층 최영식 조영화 박재관

12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 업 명 검토자 (조사자) 비고 3 의성 청송 영덕 의성옥련사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유형 355) 영귀정(문자234) 평산신씨판사공파 종택(민자89) 사남고택(문자340) 돈수재(문자316)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건설 공사 연 장 : 107.7km 차로수 : 4차로(100km/hr) 사업비 : 32,017억원 기 간 : ~ 백영흠 정명섭 4 영주 해우당 고택 외 8 (민자92) 영주 무섬마을 조경공사 김용수 장석하 3. 文 化 財 補 修 事 業 設 計 承 認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 업 명 비고 1 영덕 영덕 난고정 (문자 500) 난고정 및 주사 보수 주변정비 - 사주문 건립(추가) - 마사토 다짐 등 2 구미 유형 221 선산객사 보수 年 道 費 輔 助 文 化 財 補 修 事 業 指 針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업비(천원) 사 업 내 용 지침조사자 비고 1 안동 호계서원 (유형 35) 100,000 사당건립 이병휴 이문기 백영흠 김희곤

13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6 件

14 1. 文 化 財 指 定 對 象 選 定 審 議 일련 번호 신 청 종 별 문 화 재 명 수량 소유자 소 재 지 조사자 비고 1 유 형 문화재 박유붕 가옥 ( 朴 有 鵬 家 屋 ) 7동 박이수 청도군 화양읍 원정리 802 권대웅 김동영 2 기념물 일취정 ( 一 翠 亭 ) 1동 김형수 외1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72 3 유 형 문화재 영덕 수동재사 ( 盈 德 水 洞 齋 舍 ) 2동 대흥백씨 문중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479 설석규 최영식 4 유 형 문화재 영덕 상의당 ( 盈 德 尙 義 堂 ) 2동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유 형 문화재 성주 오암서원 ( 星 州 鰲 岩 書 院 ) 1곽 영천최씨 성주군 수륜면 법산파 남은리 374 죽헌공파종중 주웅영 변숙현 6 기념물 무흘정사 ( 武 屹 精 舍 ) 1동 청주정씨 김천시 증산면 문목공파종중 평촌리 670 권대웅 최영식

15 (1)문화재명 : 박유붕 가옥 ( 朴 有 鵬 家 屋 ) 조 사 자 : 권대웅 전문위원 김동영 전문위원

16 문화재명 : 박유붕 가옥( 朴 有 鵬 家 屋 ) 조사자 : 권대웅 전문위원 1. 所 在 地 : 청도군 화양읍 원정리 所 有 者 : 박이수 3. 申 請 種 別 : 유형문화재 4. 歷 史 的 背 景 청도군 화양읍 원정리에 조선왕조 말기 全 羅 右 道 水 軍 節 度 使 를 지낸 박유붕의 증손 박영재가 1920년대에 건립한 가옥이다. 朴 有 鵬 (1806, 순조 6~1866, 고종 3)의 자는 南 擧, 초명은 廷 鵬, 본관은 竹 山 이다. 1806년 태어나 1845년 을사년에 武 科 에 급제하여 彦 陽 縣 監 이 되었고, 경상도 중군 을 거쳐 1866년(고종 3) 4월 全 羅 右 道 水 軍 節 度 使 가 되었는데, 동년 6월 사망하였다. 박유붕의 처가는 임진왜란 시 귀화한 중국의 杜 思 忠 의 후예 萬 頃 杜 氏 였다. 그는 처 가에 내려오던 두사충의 풍수지리와 관상에 관한 서책를 공부하여 관상을 잘 보았 는데, 애꾸가 되면 귀하게 된다하여 자신의 한쪽 눈을 찔렀다고 한다. 그는 일찍이 대원군의 책사로 인정을 받아 고종의 왕위 계승을 예견하였다고 하며, 그로 인하여 전라우도수군절도사까지 올랐다고 한다. 박유붕은 궁인 이씨 소생 완화군의 원자책 봉문제 때문에 독살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 이 가옥을 건립한 朴 英 在 (1889~1966)는 자가 圭 睦, 호가 松 崗 인데, 일본 早 稻 田 大 學 法 學 部 를 졸업하였다. 이 가옥은 곳간 대들보의 龍 中 元 甲 己 巳 五 月 初 八 日 五 時 入 柱 上 樑 虎 라는 상량기문으로 볼 때, 1929년 이전 건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현재 소유자 박이수의 증언에 의하면, 안채는 19세기 후반 박유붕이 살았던 무등리 에서 이건하여 왔다고 하는데, 당시의 기와가 집 뒤편에 남아있다. 이 가옥은 이곳 에 집을 지으면 만석꾼이 난다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서울에서 온 최대목이 지었다 고 전한다. 5. 調 査 者 意 見 박유붕 가옥은 1920년대 건립되었지만, 조선조 말기 풍운의 전환기를 살았던 역사 적 인물 박유붕과 그에 얽힌 전설, 그리고 풍수지리설에 따른 가옥의 건립 유래 등 을 풍부하게 간직하고 있다. 더욱이 소장유물로는 박유붕의 초상화와 湖 南 右 水 軍 司 令 의 기가 보관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를 더해주고 있다. 건립 당초 9채에 99칸 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는 가옥은 현재 7채의 건물이 남아있다. 현재 가옥의 중심부 마당에는 주춧돌의 흔적이 남아있어 건물의 전체 규모를 알 수 있으므로 완벽한

17 복원도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 高 宗 純 宗 實 錄 ( 上 ) 高 宗 實 錄 ( 一 ), 探 究 堂. 2) 黃 玹, 梅 泉 野 錄 3) 竹 山 朴 氏 大 司 憲 公 派 譜

18 문화재명 : 박유붕 가옥( 朴 有 鵬 家 屋 ) 조사자 : 김동영 전문위원 1. 所 在 地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802번지 2. 所 宥 者 : 박이수 3. 種 別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 建 築 年 代 : 1914년 5. 規 模 : 정면 5칸, 측면 1칸의 대문채, 정면 5칸, 측면 1칸의 바깥사랑채, 정면 6 칸, 측면 2칸의 중사랑채, 정면 6칸, 측면 2칸의 대사랑채, 정면 8칸 측면 2칸의 안 채, 정면 5칸, 측면 1칸의 부엌채, 정면 3칸, 측면 1칸의 창고 이렇게 총 7채의 건물 이 있다. 6. 建 築 來 歷 : 한말 수군절도사를 지낸 박유붕의 4대손 박영재가 1920년대에 건립한 살림집으로 이곳에 집을 지으면 만석꾼이 난다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집을 지었다고 한다. 당초에는 9채의 건물에 99칸의 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대문채, 사 랑채 3동, 안채, 부엌채, 창고 등 7채의 건물이 남아있다. 현 주인인 박이수씨의 증언 에 따르면 안채는 19세기 후반에 박유붕 선생이 살던 인근 무등리에서 이건( 移 建 )해 왔다고 하며 이건 당시의 기와가 집 뒤편에 남아있다. 현 가옥은 최대목 이라 불리 던 서울에 있던 목수가 내려와서 5-6년에 걸쳐 이곳에 머물면서 지었다고 한다. 7. 建 築 現 況 1) 입지 및 배치 집의 구조는 밭 田 자 모양을 하여 田 字 形 주택이라 불리는데 집의 구조가 밭 田 자 이니 동서남북으로 돌아가면서 거주 할 수 있고 發 福 또한 사방에서 받는다고 생각 한다. 전해오는 말로는 풍수지리상 집 주변의 산세가 코끼리, 쥐, 고양이가 서로 노려보는 형국이라 한다. 한말 유명한 관상가였던 박유붕의 후손이 지은 고택이라 풍수지리에 관한 전설 등이 전해져 내려와 풍수학에 관심을 둔 일반인들의 방문이 많다고 한다. 2) 건 물 박유붕가옥은 원정리 광대정 마을 동편 끝에 위치한 큰 규모의 근대한옥이다. 배치

19 구성은 원정천이 바라다 보이는 평지에 북서쪽에 놓인 솟을대문을 보인다. 솟을대문 은 어칸에 누각을 설치한 독특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먼저 ㄱ 자 형 바깥사랑채가 위치하고 안채 옆으로는 현대식으로 주방과 방으로 개조한 ㄱ 자형 부엌채와 곳간이 있다. 곳간의 대들보에는 龍 中 元 甲 巳 (?) 巳 五 月 初 八 日 五 時 入 柱 上 樑 虎 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벽체는 목조 비늘판벽으로 되어 있다. 안채는 좌측으로부터 정지, 큰방, 대청마루, 건너방 순으로 배열된 8칸 평면규모이며 건물의 양쪽 끝칸에는 벽체에 마름모꼴 창호를 설치하고 이 두 칸을 제외한 전면으 로는 툇마루를 놓고 유리밀창을 달아 마루를 거실화 하고 있다. 큰 사랑채는 온돌방 3칸, 대청 2칸, 온돌방 1칸에 전면으로 툇마루를 놓은 6칸 규모이며 가구는 5량가 겹 처마에 팔작집으로 꾸몄다. 중사랑채는 안마당을 등진 배치에 좌측으로부터 사랑방 2통칸, 온돌방 1칸 마루 1칸 순으로 배열된 맞배집이다. 안채 앞쪽으로 문간채를 비롯한 몇 채의 건물이 소실되 긴 했지만 건립당시의 배치나 규모 가구수법 등은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박유붕 가옥의 특징은 붉은 벽돌을 이용하여 기단 쌓았으며, 툇마루를 많이 놓아 방 으로의 진입방식에 변화를 주고, 다양한 수장공간들을 설치하고 있는 점, 그리고 재 료에 있어서 유리창의 사용, 장식적인 의장 등 새로운 건축양식이 재래 한옥양식에 가미된 점을 들 수 있다. 8. 調 査 者 意 見 먼저, 일반주거로서 공간적으로 각 건물의 규모가 큰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부 농의 주거모습이 완연하게 나타난다고 하겠다. 현재 대문간 채의 위치가 공간구성상 예로부터 그곳인지 확인할 수 없으나, 대문에서 사랑채, 안채공간 등으로의 진입 동 선과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 연결에 있어서, 조선시대 반가 주거에서 찾아볼 수 있 는 건물과 외부공간 사이의 시각적 개방과 폐쇄의 연속적인 전개의 특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리고 각 채의 마당 또한 일반적인 전통 반가의 마당보다는 그 규모에서 꽤 큰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생성배경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공간구성상의 특 이점은 밝혀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은 일본 근대건축양식이 접목된 우리의 전통주거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간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장 특 이하게 보이는 공간으로 솟을대문 어칸에 누각과 유사하게 구획된 부분이 존재한다. 현재 그 기능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는 없으나, 인근의 용강서원 대문간 채에서도 유사한 공간을 찾아볼 수 있다. 그 공간에서는 전방에 넓은 경작지를 바라보며 관리 할 수 있는 조망권을 갖고 있는데, 이는 반가마을 초입의 주거 루마루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지금의 자료만으로 그러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 기는 어렵다고 사료된다. 안채 영역에서는 생활을 위해 공간이 위치와 기본 형태만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뿐, 거의 현대식으로 개보수 되어있다. 그리고, 중사랑채

20 동측에 또 한 채의 건물이 존재하였다고 하며 주춧돌이 남아있으며, 사랑채 남측 현 재 장방형 창고가 있는 곳에 그 기능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육각형 형태 의 공간이 존재하였다고 한다. 한편, 형태적인 면에서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는 등 근대적인 일본건축 양식이 가미 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상, 공간구성과 형태적으로 몇몇 특이점이 발견되나, 지정을 득하기에는 다소 아쉬 운 면이 있다고 사료된다

21 - 25 -

22 - 26 -

23 - 27 -

24 - 28 -

25 - 29 -

26 - 30 -

27 (2)문화재명 : 일취정( 一 翠 亭 ) 조 사 자 : 권대웅 김동영 전문위원 전문위원

28 문화재명 : 일취정( 一 翠 亭 ) 조사자 : 권대웅 전문위원 1. 所 在 地 :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所 有 者 : 김형수외 1 3. 申 請 種 別 : 기념물 4. 歷 史 的 背 景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栢 谷 마을에 栢 軒 金 炳 斗 ( )를 위해 그 아들 容 禧 와 容 復 이 지은 정자이다. 백헌 김병두는 본관이 金 海, 자는 暉 老, 호는 栢 軒 인데, 濯 纓 金 馹 孫 ( )의 13 세 손이다. 백헌은 유성룡을 嫡 傳 으로 하는 퇴계학통의 계승자 溪 堂 柳 疇 睦 의 문인 으로 벼슬은 繕 工 監 假 監 役 을 지냈고, 문집으로 栢 軒 遺 稿 가 있다. 백헌유고는 평 소 그가 지은 詩 文 과 스승인 柳 疇 睦 과 부 柳 厚 祚 등에게 올린 서간을 묶었는데, 학 행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백헌의 장남 金 容 禧 는 벼슬이 參 奉 으로 한말일제하 청도지역을 대표하는 대지주로 1947년 청도 모계중고등학교를 건립하였다. 차남 金 容 復 은 학문이 높고 시문에 능하 였는데, 벼슬은 郡 守 를 지냈으며 통정대부에 이르렀다. 一 翠 亭 刱 建 記 에 의하면, 일찍이 백헌 김병두가 이곳의 경치를 아껴 집을 짓고자 하였으나 완성치 못하였는데, 그의 두 아들이 1914년 새로이 지어 刱 建 하고 一 翠 亭 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조선 초기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 탁영 김일손의 후손 김해김씨 三 賢 派 집성촌인 栢 谷 마을의 동편 구릉 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일취정은 앞으로 토평리 마을과 들판을 바라보며 서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5. 調 査 者 意 見 一 翠 亭 刱 建 記 에 의하면 1914년 건립되었으나, 암막새와 망와기와의 문양(태극문 과 무궁화)으로 미루어 볼 때, 1970년대 이후 기와 보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취정이 위치하고 있는 백곡마을은 濯 纓 金 馹 孫 宗 宅 과 불천위를 모신 不 祧 廟 (경상 북도 기념물 제161호)가 있다. 따라서 이와 연계하여 백곡마을을 전통문화마을로 가 꾸는데 그 내용물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이 일취정이라 할 수 있다. 전통문 화마을인 배곡마을의 여러 문화유산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볼 때, 건축학적인 측면 에서도 신중하게 검토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29 <참고문헌> 1) 栢 軒 遺 稿 (필사본) 2) 一 翠 亭 刱 建 記 (고문서) 3) 金 容 完, 淸 道 文 獻 考 (1940) 4) 淸 道 郡, 淸 道 郡 誌 (1991)

30 문화재명 : 일취정( 一 翠 亭 ) 조사자 : 김동영 전문위원 1. 所 在 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백곡마을 안 2. 所 宥 者 : 김해김씨 삼현파 3. 種 別 : 경상북도 기념물 4. 建 築 年 代 : 1914년 5. 規 模 : 정면 5칸, 좌측면 1칸반, 우측면 2칸반의 ㄱ 자형 정자이다. 6. 建 築 來 歷 : 일취정( 一 翠 亭 )은 백헌 김병두선생이 이 곳의 경치를 아껴 집을 짓고 자 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시고, 그 잔재마저 허물어져 없어지자 그 터가 황무지가 된 것을 탄식하여 선생의 아들( 容 禧, 容 復 등)들이 갑인년 봄(1914년)에 새 로이 지어 완성하였다. 김병두( 金 炳 斗 )( )선생은 탁영 김일손선생의 13세손으로 자는 휘노( 暉 老 ) 호 는 백헌( 栢 軒 )이다. 溪 堂 柳 疇 睦 선생의문인으로 학행이 높았으며 선공가감역을 지냈 다. 유고로 < 栢 軒 遺 稿 >가 남아 선생의 詩 와 書 의 세계를 엿볼 수 있으며, 건물에 관한 기록으로는 一 翠 亭 創 建 記 가 남겨져 있다. 7. 建 築 現 況 1) 입지 및 배치 일취정( 一 翠 亭 )은 김해김씨 삼현파 집성촌인 백곡마을 뒤편의 낮은 구릉 위에 산을 배산하고 토평리를(속칭 꼬치미들)을 바라보며 서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2) 건 물 일취정( 一 翠 亭 )은 정면 5칸, 측면 2칸 반에 소로수장 5량가의 팔작집으로 꾸몄다. 평 면은 5칸 전체에 장마루를 깐 마루방에 남쪽으로 누마루를 달아낸 ㄱ 자형을 취하 고 있다. 원래 중앙 대청 2칸에 죄측에 온돌방 2칸, 우측에 온돌방 1칸을 둔 중당협실형이었 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외진주는 원주를, 내진주는 방주를 사용하고 누각에 전 면에 활주를 설치하였다. 또한 계자난간을 둘러 화려하게 장식한 외양이 돋보인다. 건립연대는 1910년초이나, 암막새와 망와기와의 문양(태극문과 무궁화)으로 미루어 70년대 이후에 기와 보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1 8. 調 査 者 意 見 공간의 구성에서는 예전 모습을 짐작할 수 있으나, 현재 벽체와 내부 바닥 등 창호 와 마루널이 모두 분실되고 기둥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기단부분과 뒤쪽 외 벽체의 내부 바닥은 모두 콘크리트로 보수되어 있는 상태이다. 아쉽게도 많은 공간의 구성부재가 상실되고 임의적인 보수공사 등으로 인한 변형이 많으며, 공간구성이나 형태상에서 지정을 요하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사 료된다

32 - 36 -

33 - 37 -

34 - 38 -

35 (3)문화재명 : 영덕 수동재사 ( 盈 德 水 洞 齋 舍 ) 조 사 자 : 설석규 전문위원 최영식 위 원

36 문화재명 : 영덕 수동재사( 盈 德 水 洞 齋 舍 ) 조사자 : 설석규 전문위원 1. 소재지 :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479번지 2. 소유자 : 대흥백씨 문중 3. 종 별 : 유형문화재 4. 재 료 : 목조건축물 5. 건립년대 : 1836년(헌종 2) 6. 역사적 유래 이 건물은 임진왜란 당시 국난극복에 기여했던 尙 義 堂 白 忠 彦 (1538~1609) 부부 및 그의 아들 白 夢 龍 白 夢 彪 夫 妻 의 묘를 비롯해 大 興 白 氏 상의당 가문의 선영을 수호 하기 위한 목적에서 건립된 것이다. 숙종대 白 暄 白 暾 형제가 처음 건립했다고 전해 지고 있으며, 1813년(순조 13) 편찬된 寧 海 府 邑 誌 인 丹 陽 府 誌 에도 소개되어 있다. 현재의 건물은 대들보에 道 光 16년(1836) 2월 上 樑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 때 중건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대흥백씨의 원래 관향은 水 原 으로 신라 선덕여왕대 左 僕 射 를 지낸 白 宇 慶 을 시조로 하고, 경명왕대 中 郞 將 을 지낸 白 昌 稷 을 중시조로 하고 있다. 白 氏 大 同 譜 에 의하면 백창직의 묘가 醴 泉 에 있었다고 한 점으로 미루어 대흥백씨는 일찍부터 영남 에 터전을 마련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 뒤 그의 9세손으로 昇 平 府 使 를 역임한 白 堅 이 侍 中 平 章 事 朴 瑊 의 딸 寧 海 朴 氏 를 부인으로 맞이한 것을 계기로 영해에 재지적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여기다 그의 아들 淡 庵 白 文 寶 가 世 子 師 傅 에 오르고 稷 山 府 院 君 에 봉해지며 현달한 것을 계기로 영해의 대흥백씨는 벌족으로서의 위상을 확 보하며 淡 庵 派 를 형성하게 되었다. 백충언은 백문보의 9세손으로 字 는 彦 之 이며 號 는 尙 義 堂 이다. 그는 1538년(중종 33) 仁 良 里 본가에서 아버지 白 眉 俊 과 어머니 冶 城 鄭 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임진 왜란 당시 御 駕 를 호위하는 등의 공로로 龍 驤 衛 左 部 將 에 올랐으며, 宣 武 原 從 2 等 功 臣 에 錄 勳 되었다. 1874년(고종 11) 그는 후손들의 청원에 의해 아들 白 夢 彪 와 함께 左 承 旨 로 追 贈 되었다. 7. 조사자 의견 대흥백씨 담암파 상의당 가문의 역사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자료는 거의 남 아있지 않다. 단지 백충언의 임진왜란 당시 행적을 전해주는 尙 義 堂 實 錄 이

37 존재하기는 하지만, 과장된 측면이 강한 것으로 정밀한 고증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 라서 현재로서는 이 건물의 역사성을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하겠다. 그렇기 때문에 이 건물이 백충언을 비롯한 대흥백씨의 선영을 수호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점을 감 안해 건축학적 판단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8 문화재명 : 영덕 수동재사( 盈 德 水 洞 齋 舍 ) 조사자 : 최영식 위 원 1. 所 在 地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479번지 2. 所 有 者 : 大 興 白 氏 門 中 3. 申 請 種 別 : 유형문화재 4. 材 料 : 목조건축물 5. 建 立 年 代 : 1836 年 6. 數 量 : 2 棟 7. 規 模 : (1) 齋 舍 : 正 面 5 間, 側 面 2 間, ㄱ자집, 홑처마 팔작와가 (2) 대문채 : 正 面 7 間, 側 面 1 間, 홑처마 박공와가 8. 現 狀 大 興 白 氏 尙 義 堂 派 齋 舍 인 水 洞 齋 舍 는 人 家 와 떨어진 야산 구릉지에 터를 잡고 재사 앞에 대문채를 二 자로 남향 배치하였다. 마루 상부 상량문의 道 光 16 年 2 月 이라는 墨 書 로 미루어 1813 年 에 건축한 것으로 보인다. 齋 舍 의 평면은 3통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이다. 전후 경 사지에 맞추어 전면은 루 형식으로 하부 기둥을 받혀 높였고 마루와 온돌방 전면에 헌 함을 두고 난간을 설치하였다. 대청마루 배면 3칸은 판벽과 양개 판문을 하부에 머름 을 꾸미고 그 위에 각각 설치하였으며 마루 전면은 개방하였다. 어칸엔 난간 없이 마 루위로 오르는 계단을 설치해 놓았고, 온돌방 전면에는 각각 함실아궁이를 설치했다. 대청에서 온돌방 측 출입문은 좌우 각각 그 크기가 다르다. 현재 문은 모두 도난당하 고 없으며 상하 인방과 문선만으로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架 構 는 전면과 대청 배면의 기둥은 원주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방주를 사용한 5량 가 2익공 홑처마 팔작와가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중앙 대문칸 지붕은 솟을 대문으로 하였고 대문칸을 중심으로 좌우로 온돌 방과 부엌을 설치하였는데 관리 소홀로 퇴락이 아주 심하다. 9. 調 査 者 意 見 水 洞 齋 舍 는 人 家 와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고, 소유자의 관리 소홀로 건물의 퇴락이 아주 심하다. 또한 특별히 주목할 만한 건축수법도 보이지 않아 문화재로 지정하기에 는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39 盈 德 水 洞 齋 舍 재 사 대문채

40 영덕 수동재사(1) 1. 전 경 2. 근 경 3. 재사 정면 및 우측면 4. 재사 좌측면 5. 재사 배면 6. 재사 우측면 7. 재사 좌측면 8. 재사마루 상부가구 9. 마루 우측온돌방 측 10. 마루 좌측온돌방 측 11. 마루 배면 12. 상량문

41 영덕 수동재사(2) 13. 기둥상부 결구(1) 14. 기둥 상부 결구(2) 15. 온돌방 상부 고민반자 16. 대문채(안측) 17. 대문채(바깥측) 18. 대문채 온돌(1) 19. 대문채 온돌(2) 20. 대문채 아궁이

42 (4)문화재명 : 영덕 상의당 ( 盈 德 尙 義 堂 ) 조 사 자 : 설석규 전문위원 최영식 위 원

43 문화재명 : 영덕 상의당( 盈 德 尙 義 堂 ) 조사자 : 설석규 전문위원 1. 소재지 ;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218-2번지 2. 소유자 ; 대흥백씨 문중 3. 종별 ; 유형문화재 4. 재료 ; 목조건축물 5. 건립년대 ; 1869년(고종 6) 6. 역사적 유래 이 건물은 임진왜란 당시 국난극복에 기여했던 尙 義 堂 白 忠 彦 (1538~1609)의 업적을 추모해 후손 白 暄 白 暾 형제가 주도하여 처음 건립한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 뒤 헌종 때 族 人 涵 養 齋 白 基 東 의 私 邸 別 堂 으로 사용되다 후손 白 重 健 白 重 圭 등이 다 시 매입하여 1869년(고종 6) 중수했다고 한다. 백충언의 本 貫 은 大 興 이고 字 는 彦 之 이며 號 는 尙 義 堂 이다. 그는 고려 충열왕 때 문 신인 淡 庵 白 文 寶 의 후손으로, 1538년(중종 33) 仁 良 里 본가에서 아버지 白 眉 俊 과 어 머니 冶 城 鄭 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백충언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尙 義 堂 實 錄 에 전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그는 어려 서부터 호방하면서도 뛰어난 재주로 주위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고 한다. 특히 그 는 이미 8세 때 資 治 通 鑑 을 읽으면서 後 漢 光 武 帝 당시 장수였던 馬 援 이 변방에서 싸우다 죽을 뿐 편안한 삶을 도모하지 않겠다고 한 故 事 ( 馬 革 裹 尸 還 葬 )에 대해 대장 부의 당연한 立 志 라며 武 人 으로서의 기개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에 따라 그는 經 書 와 史 書 를 폭넓게 읽으면서도 틈틈이 弓 馬 를 익히며 文 武 를 겸 비한 자질을 갖추는 한편, 忠 孝 를 바탕으로 한 확고한 국가의식을 확립해 나갔다. 그 결과 그는 金 誠 一 黃 應 淸 李 元 翼 柳 成 龍 鄭 澈 등 당시의 名 士 들로부터 忠 義 正 直 之 士 로서 많은 호감을 얻었다. 1588년(선조 21) 한강이 사흘 동안 핏빛으로 붉게 물드는 변괴가 일어나자 왕에게 學 校 를 흥하게 할 것 등 8조목을 건의한 바가 있는 백충언은, 1591년(선조 24) 왜적이 침략할 조짐을 보이자 평지의 성을 수축하기보다 험준한 지역을 활용할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의 병간호를 위해 집에 머물고 있던 그는 모든 재산을 털어 장졸 50명을 거느리고 東 萊 로 향했다. 그렇지만 동래성이 함락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慶 州 에서 발길을 돌렸 다. 집으로 돌아온 백충언은 곧장 서울로 향해 적이 도착하기 전에 궁궐에 도달해 임금 을 만나 죽음으로 적을 막을 것임을 다짐했다. 그리고는 賓 廳 에서 體 察 使 柳 成 龍, 吏

44 曹 判 書 李 元 翼 등과 함께 적을 제압할 방도를 논의했다. 또한 그는 적이 楊 州 에 이 르자 副 元 帥 申 恪 과 더불어 격전을 벌여 적의 머리 60여 급을 베기도 했다. 그럼에도 적들이 서울을 압박해오자 그는 御 駕 를 호위하여 피난길에 올랐다. 이 과 정에서도 그는 明 의 원군과 긴밀하게 공조하는 한편, 慶 州 星 州 등지의 전투에서 적 을 섬멸하는 등 전란을 극복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이 공으로 그는 적이 물러난 뒤 龍 驤 衛 左 部 將 에 올랐으며, 宣 武 原 從 2 等 功 臣 에 錄 勳 되었다. 7. 조사자 의견 백충언의 행적은 朝 鮮 王 朝 實 錄 에서는 찾을 수 없다. 당대의 기록으로는 3 子 白 夢 麟 이 선조 35년(1602) 武 科 에 합격할 당시 榜 目 에 그의 이름과 함께 西 班 종6품의 部 將 직함이 나타날 뿐이다. 그러나 그의 武 科 합격에 관한 기록은 없다. 그 뒤 그에 관한 기록은 후손들의 청원에 의해 1874년(고종 11) 아들 白 夢 彪 와 더불 어 左 承 旨 로 追 贈 된 사실에 관한 내용( 承 政 院 日 記 고종 11년, 11월 8일)만 보일 뿐 이다. 나아가 여타 文 集 에서도 그의 행적뿐만 아니라 교유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현재로서는 찾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행적에 관한 복원은 전적으로 尙 義 堂 實 錄 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尙 義 堂 實 錄 에는 李 晩 燾 (1842~1910)가 지은 行 狀 과 玄 孫 白 暄 이 쓴 遺 事 가 수 록되어 있으며, 12세손 白 淳 悳 이 기록한 遺 事 後 識 와 許 傳 (1797~1886)이 지은 書 實 記 後 도 포함되어 있다.(이와 함께 尙 義 堂 事 實 도 있으나 행장과 유사를 精 書 한 것 으로, 내용은 尙 義 堂 實 錄 과 대동소이하다.) 실제 許 傳 은 백순덕이 實 記 를 작성하여 와서 자신에게 表 章 을 부탁함에 따라 跋 文 을 쓰게 되었다( 性 齋 集 續 編 권4, 跋 書 尙 義 堂 實 記 後 )고 한다. 따라서 실록은 백충언의 추증을 청원하기 위한 증빙자료로서 1874년경 작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 기에 行 狀 이 처음부터 포함되어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행장을 이만도가 지었다면 32 세의 젊은 나이에 쓴 셈이 될 뿐만 아니라 그와 백순덕과의 관계도 알 수 있는 자료 가 없다. 더구나 響 山 全 書 에도 이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尙 義 堂 實 錄 에 기록된 백충언의 임진왜란 당시 행적은 대부분 과장된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자료의 확보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로서 이 건물에 대한 역사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단 유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5 문화재명 : 영덕 상의당( 盈 德 尙 義 堂 ) 조사자 : 최영식 위 원 1. 所 在 地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所 有 者 : 大 興 白 氏 門 中 3. 申 請 種 別 : 유형문화재 4. 材 料 : 목조건축물 5. 建 立 年 代 : 1869 年 6. 數 量 : 2 棟 7. 規 模 : 正 面 3 間, 側 面 2 間 반, ㄱ자집, 홑처마 팔작와가 8. 現 狀 尙 義 堂 은 원구마을 가운데 평지에 남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조선 숙종 때 신축하 여 高 宗 6년(1869)에 重 修 하였다고 하나, 마루 상부 상량문의... 丙 寅 3 月... 라는 墨 書 로 미루어 1866 年 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평면구성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에 1칸 온돌방을 두고 마루와 온돌방 사이에 2 분합 들장지로 칸막이를 하였다. 온돌방과 마루 전면에 툇마루를 두었고 그 전면 원 기둥 밖으로 헌함을 꾸몄다. 헌함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이 있었던 흔적이 귀틀에 나 있는 계자각 홈으로 알 수 있다. 대청 우측으로 2통칸 온돌방을 꾸미면서 온돌방 배 면측에 도장을 두었다. 온돌방은 전면으로 내밀어 전체 평면이 ㄱ 자형을 이루게 하 였다. 2통칸 온돌방 전면에도 툇마루와 헌함을 꾸미고 대청마루 전면 툇마루와 연결 되도록 꾸몄다. 낮은 기단위에 주초를 놓고 기둥은 모두 민흘림 원주를 사용한 5량가 무익공 소로수 장 홑처마 팔작와가로 구성되어 있다. 尙 義 堂 전면 입구에 4주문은 초석위에 각주를 세운 3량가 박공 기와지붕으로 좌측에 토석담장이 조금 남아 있고 우측은 담장 없이 개방되어 있다. 9. 調 査 者 意 見 현재 尙 義 堂 에는 관리인이 거처하면서 실 주생활에 맞게 방의 내부를 개조해서 사용 하고 있고, 보존 상태는 원형이 상당부분 훼손되어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특별히 주 목할 만한 건축수법 또한 없어 문화재로 지정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46 盈 德 尙 義 堂

47 영덕 상의당 1. 정 면 2. 우측면 3. 배 면 4. 좌측면 5. 마루상부가구 6. 마루배면 7. 마루좌측 온돌방 들장지 8. 상량문 9. 정면 4주문

48 (5)문화재명 : 성주 오암서원 ( 星 州 鰲 岩 書 院 ) 조 사 자 : 주웅영 전문위원 변숙현 전문위원

49 문화재명 : 오암서원 ( 鰲 岩 書 院 ) 조사자 : 주웅영 전문위원 (1) 소재지 :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374 (2) 소유자 : 영천최씨법산죽헌공파종중 (3) 종 별 : 유형문화재 (4) 재 료 : (5) 건립연대 : (6) 규 모 : (7) 역사적 유래 1) 건축적 측면 2) 역사적 측면 : (8) 현 상 : (9) 조사자 의견 1) 건축적 측면 2) 역사적 측면 : 鰲 岩 書 院 은 竹 軒 崔 恒 慶 을 主 享 으로 하고, 그의 두 아들인 鸛 峯 車 㥯 과 梅 窩 轔 을 從 享 하는 곳이다. 主 享 인 崔 恒 慶 은 字 가 德 久 이고, 號 는 竹 軒 이며, 本 貫 은 永 川 이다. 父 는 成 均 館 進 士 인 淨 이고, 母 는 宗 室 延 昌 君 鶴 壽 의 딸이다. 부친이 先 祖 墓 를 살피기 위해 내려 왔다가 星 州 의 田 舍 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후 그는 상경하지 않고 성주 의 전사에 머물면서 鰲 岩 書 院 주변 지역은 그 후예들의 世 居 地 가 되었다. 부친의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姻 戚 이었던 寒 岡 鄭 逑 의 도움을 받았고, 그의 권유로 문 하에서 학업을 지속하였다. 그 결과 竹 軒 崔 恒 慶 은 寒 岡 의 가장 뛰어난 제자였으며, 純 正 한 학문과 寬 厚 한 德 行 으로 隱 君 子 라는 평을 들을 정도였다. 그러므로 寒 岡 을 모시는 檜 淵 書 院 의 초대 원장이 되었다. 두 아들도 寒 岡 의 문인으로 父 인 竹 軒 崔 恒 慶 과 함께 禮 書 편찬에 참여하였다. 竹 軒 崔 恒 慶 은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기의 인물로서, 寒 岡 鄭 逑 의 가장 훌륭한 문인임 에는 틀림이 없다. 그리고 鰲 岩 書 院 은 영조 5년(1729) 雲 岩 祠 로 건립되었으나 고종 5년 (1868년) 철폐되었다. 이후 書 院 ㆍ 書 堂 등으로 칭해지다가 1985년 鰲 岩 書 堂 의 移 建 을 계 기로 최근에 서원으로 복원된 곳이다. 그러므로 鰲 岩 書 院 의 문화재로서의 지정여부는 고건축전문가의 견해를 따르고자 한다

50 문화재명 : 오암서원 ( 鰲 岩 書 院 ) 조사자 : 변숙현 전문위원 1. 개 요 1) 명 칭 : 鰲 岩 書 院 2) 신청종별 : 유형문화재 3) 소 유 자 : 영천최씨 법산죽헌공파 종중 4) 소 재 지 : 경북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374번지 5) 수 량 : 일곽 6) 형 식 : 전통목조 와가 7) 조성연대 : 20세기 8) 규 모 - 강 당( 鰲 岩 書 院 ) : 정면 5칸, 측면 2.5칸, 홑처마, 팔작지붕 - 솟을대문( 光 影 樓 ) : 정면 3칸, 측면 1칸, 홑처마, 솟을지붕 - 사 당( 孝 德 祠 ) : 정면 3칸, 측면 1칸, 홑처마, 맞배지붕 - 내삼문 : 정면 3칸, 맞배지붕 - 관리사 : 정면 4칸, 측면 1.5칸, 홑처마, 팔작지붕 2. 연 혁 오암서원은 寒 岡 鄭 逑 의 제자인 竹 軒 崔 恒 慶 (1560~1638)을 추모하여 영조 6년 庚 戌 (1730)에 유림공의로 그의 故 居 인 柞 川 精 舍 터에 雲 岩 祠 를 세워 제향하다가 영조17 년 辛 酉 (1741)에 서원정리령으로 훼철되었다. 그 후 정조 6년 壬 寅 (1782)에 鰲 巖 盤 石 竹 軒 精 舍 자리에 다시 지어 그 지명을 따 오암서당이라 하고 이때 鸛 峯, 梅 窩 두 아들을 함께 배향하였다. 고종 8년(1871) 대원군 서원철폐령 때 崇 德 齋 舍 ( 舊 오암서당)만 남기고 모두 훼철되 었으나 丁 巳 年 (1977)에 경북 의성군 소재 의성우체국 건물을 옮겨와 현재의 강당을 짓고 운암서원이라 편액 하는 한편, 舊 서당건물인 숭덕재사는 현재의 관리사로 이 건하였다. 1985년 한차례 보수와 1994년 외삼문인 光 影 樓 신축, 1999년 강당 번와공사, 2000년 에 사당인 孝 德 祠 를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3. 현 황 고령-성주간 접경지인 大 伽 川 동편에 三 隱 의 이름을 딴 南 隱 이라는 마을이 터를 잡 고, 강 건너 서편 33번 국도변 江 亭 산록에 南 東 向 ( 乾 坐 巽 向 )으로 기대어 오암서원

51 이 자리하였다. 배치구성은 경사진 대지를 삼단으로 조성하여 하단에 관리사 영역을, 중단에 강당 과 그 상단에 사당을 둔 서원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관리사 영역은 별곽으로 토석담장을 둘러 안채와 아래채를 ㄱ자형으로 놓았고, 그 왼쪽으로 비껴 난 진입축을 따라 서원영역의 초입인 솟을 대문의 광영루가 서있다. 서원영역은 방정한 토석담으로 구획하여 강당을 앉히고 그 서편에 석축을 쌓아 위 계를 조성한 뒤 내삼문과 사당을 두고 사방을 토석담으로 단장하였다. 강당 동편에 죽헌선생유허비로 통하는 사주문을 내었는데 원래 이 유허비는 서편 언덕에 있던 것을 강당을 중건할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4. 내용 및 특징 1) 강 당( 鰲 岩 書 院 ) 1977년에 의성우체국 건물을 옮겨와 건립하였다고 한다. 정면 5칸, 측면 2칸에 전퇴를 둔 중당협실의 평면에 소로수장의 무익공 5량가 팔작 집이다. 중앙 대청 3칸을 중심으로 좌우 양 협칸에 1칸씩 온돌방을 드리고 전면에 는 툇마루를, 대청 뒤로는 쪽마루를 배설하고 대청칸의 간살을 8자 3치로 잡은데 반해 협칸의 온돌방 간살을 각각 9자, 9자 9치로 넓게 잡아 방의 쓰임새를 고려하 였다. 창호는 청방간에 외여닫이 굽널띠살문을, 방 전면에 쌍여닫이 굽널 띠살문을 드려 출입을 편리하게 하였고 대청 배면에는 높은 하인방 위에 쌍여닫이 골판문을 달고 전퇴 좌우측면에도 외여닫이 골판문으로 마감하였다. 특히 횡으로 폭이 좁은 장귀틀을 놓고 그 사이에 장마루를 깐 대청의 모습이 이례적이다. 자연석 기단위에 다듬은돌 원형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다. 자연스럽게 만곡 된 대들보를 사용하고 제형 판대공으로 처리한 대청 상부가구는 간결하면서도 튼실 한 멋을 자아내게 한다. 2) 솟을대문( 光 影 樓 ) 1994년에 건립한 광영루는 3칸 중 중앙칸에 대문을 달고 좌우 1칸씩 온돌방을 두었 다. 대문 상부 솟을지붕 하단에 마루를 깔아 수장공간으로 사용하는것이 눈에 띄며 3량가 소로수장 맞배집이다. 3) 사 당( 孝 德 祠 ) 북동향( 未 坐 丑 向 )으로 배산하여 앉았다. 죽헌 三 父 子 를 奉 享 한 효덕사는 종도리 밑 장혀 상량묵서에 서기 2000년 庚 辰 8월 18일 未 時 에 상량한 것으로 적혀 있다. 높은 자연석 기단위에 화강암 판석을 깔고 다듬은돌 원형 주초위에 두리기둥을 세 웠다. 정면 3칸 측면 1칸에 전퇴를 둔 이익공 양식의 5량가 겹처마 맞배집이며, 모 로단청으로 장식하였다

52 4) 내삼문 신방석 위 방주에 익공형식으로 짠 내삼문 역시 사당과 같은 시기에 조성하였으며 어칸의 간살을 크게 잡아 쌍여닫이 문을 달고 태극문양을 베풀었다. 좌협칸을 쌍여 닫이로 우협칸은 외여닫이문이다. 5) 관리사 1997년 강당 건립 시 舊 서당건물인 숭덕재사를 이건해 관리사로 쓰고 있다. 정면 4칸, 측면 1칸에 전퇴를 둔 장혀 수장의 3량가 홑처마 팔작집이다. 평면의 구성은 우로부터 정지, 안방, 대청, 건넌방 순으로 배열되었다. 정지 앞에도 이례적으로 툇 기둥이 배치되어 舊 서당의 원형을 더듬는데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시멘트 기단위에 막돌덤벙주초를 놓고 외진주인 툇기둥은 두리기둥으로, 내진주는 방주를 사용하였다. 5. 문화재 지정 가치 오늘날 오암서원의 건축 형성시기는 이건된 舊 서당(숭덕재사) 건물인 관리사를 제 외하고 모두 현대에 조성된 건물이다. 경사지에 삼단으로 구성된 대지의 구성적 미학은 자연경관과 잘 조화된 아름다운 배치를 띠고 있다. 강당에 설치한 청방간 및 전면 출입 창호의 규모 및 개폐방법은 실용성이라는 시대 적 추이가 현대 한옥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간결한 가구수법 또한 보 편적인 시대적 조형원리로 귀결된다. 6. 조사자 의견 오암서원은 영조6년(1730)에 운암사로 창건된 후 서당, 서원 등으로 여러차례 성격의 변화와 置 廢 를 겪은 끝에 1977년~ 2000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중건, 정비 되었다. 따라서 건축적으로 판단할 때 문화재로 지정할 가치는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7. 문헌자료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회의록. 경상북도. 1992~1994년 法 山 要 覽. 法 山 鰲 巖 學 契. 2007년 성주군지. 성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성주군. 2000년 죽헌 崔 恒 慶 선생의 생애와 사상, 경북대 金 時 晃 대담, 최석진옹(당72세), 죽헌공파 14대손( )

53 N 효덕사 내삼문 오암서원 솟을대문 (광영루) 유허비 정지 관리사 오암서원 m

54 - 59 -

55 - 60 -

56 - 61 -

57 (6) 文 化 財 名 : 무흘정사( 武 屹 精 舍 ) 조 사 자 : 권대웅 전문위원 최영식 위 원

58 문화재명 : 무흘정사 ( 武 屹 精 舍 ) 조사자 : 권대웅 전문위원 1. 所 在 地 :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所 有 者 : 청주정씨 문목공파 종중 3. 申 請 種 別 : 기념물 4. 歷 史 的 背 景 武 屹 精 舍 는 武 屹 九 曲 의 중심지 제7곡 滿 月 潭 과 제8곡 臥 龍 巖 구역에 있는 조선 중기 의 학자 寒 岡 鄭 逑 (1543~1620)의 강학과 장수처이다. 한강 정구는 1543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유촌에서 판서 思 中 과 星 州 李 氏 사이에서 태어나 성주에 정착하였으며, 金 宏 弼 의 외증손이다. 한강은 7세에 大 學 과 논 어, 12세에 曺 植 의 제자 吳 健 에게 周 易 을 배우고, 22세인 1563년 李 滉 과 曺 植 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32세 1573년 金 宇 顒 의 천거로 禮 賓 寺 參 奉 등의 관직을 제수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또 1580년 昌 寧 縣 監, 1581년 司 憲 府 持 平, 1582년 軍 資 監 判 官 에 제수되었으나 신병을 이유로 사양하였으나 1584년 동복현 감, 1585년 교정청 교정랑으로 經 書 訓 解 를 교정하였다. 그 후 1591년 통천군수를 거쳐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각군에 격문을 발해 의병을 일으키도록 선도하였 다. 1594년 우승지 강원도관찰사 선천부가 충주부사 공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대사헌이 되었으나 임해군 옥사가 일어나자 관련자를 석방하 라는 상소를 올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613년 계축옥사 시에는 영창대군을 구하 려 상소하였으며, 향리에 百 梅 園 을 세워 문도를 교육하였다. 1620년 향년 78세를 일 기로 일생을 마쳤으며, 1623년 인조반정 후 이조판서, 1657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 고, 시호는 文 穆 이다. 한강 정구는 1603년 낙향한 뒤 한강 북쪽에 夙 夜 齋 를 짓고 학문에 힘썼다. 1604년 수도산 자락 무흘산 아래에 건물을 지어 棲 雲 庵 이라 하고 강학과 저술을 하였고, 1605년에는 회연초당을 복원(후일 회연서원 건립)하였다. 1612년 정인홍과의 반목으 로 팔거현의 노곡으로 이거하기까지 棲 雲 庵 에 거주하였다. 이때 한강 정구는 서운암 을 중심으로 武 屹 九 曲 詩 (주자의 무이구곡시에 운자를 따서 지은 시)를 지어 주자를 흠모한 도학자의 삶을 살았다. 1782년 嶺 齋 金 相 眞 이 그린 武 屹 九 曲 圖 에 나타나 있는 武 屹 九 曲 은 제1곡 鳳 飛 巖, 제 2곡 寒 岡 臺, 제3곡 舞 鶴 亭, 제4곡 立 巖, 제5곡 捨 印 巖, 제6곡 玉 流 洞, 제7곡 滿 月 潭, 제8곡 臥 龍 巖, 제9곡 龍 湫 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7곡 滿 月 潭 과 제8곡 臥 龍 巖 구역에 棲 雲 庵 이 있었다. 1620년 한강 정구가 죽은 후 서운암이 퇴락하여 보관하고 있는 한

59 강의 저술과 서적들은 1640년 경 회연서원으로 옮겼다. 1650년 경 한강의 문인 許 穆 이 현판을 썼는데 < 武 屹 精 舍 >라 하였고, 약 140년 전 수 재로 유실되었다고 한다. 현재 건물의 상량문에 의하면 1862년 현재 위치로 이건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上 元 甲 戌 歲 含 壬 戌 (1862)--- 上 樑 ), 현판은 < 武 屹 山 房 >과 < 見 道 齋 >이 다. 그 중 < 見 道 齋 >는 凝 窩 李 源 祚 (1795~1871)의 친필이다. 5. 調 査 者 意 見 무흘정사는 조선 중기의 학자 한강 정구가 퇴관 후 강학과 저술에 전념하던 건축물 로 무흘구곡의 중심지로 현재 김천시 증산면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성주의 회연서원 에서 김천시 증산면 수도암에 이르는 약 22Km는 계곡으로 수도산 독용산 가야산 에 걸쳐 있는 기암괴석의 수려한 자연경관이다. 또 무흘구곡과 연계되어 있는 성주 의 독용산성과 김천의 청암사 수도암은 우수한 문화유적이다. 이와 같이 무흘정사는 성주지역을 대표하는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한강 정구와 관련 된 건축물이며, 성주 김천지역의 대표적인 자연경관 이른바 무흘구곡 의 중심지역 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강 정구라는 인물과 무흘구곡이라는 경승에 걸 맞는 유형문화재나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수와 보존함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며, 전통문화 와 자연경관을 겸비한 관광자원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1) 寒 岡 全 書, 宣 祖 實 錄, 光 海 君 日 記, 韓 國 의 哲 學 13(경북대 퇴계연구소, 1985), 2006 전통명승 洞 天 九 曲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7) 남인 예학의 선구 정구 (윤천근, 한국국학진흥원, 2006) 2) 김학수, 鄭 逑 ( ) 문학의 창작현장과 유적에 대한 연구 ( 大 東 漢 文 學 會 2008년 秋 季 學 術 大 會 발표요지집, 2008년 11월, 대동한문학회)

60 문화재명 : 무흘정사 ( 武 屹 精 舍 ) 조사자 : 최영식 위원 1. 所 在 地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70번지 2. 所 有 者 : 청주정씨 문목공파 종중 3. 申 請 種 別 : 기념물 4. 材 料 : 목조건축물 5. 建 立 年 代 : 1862 年 년 추정 6. 數 量 : 2 棟 7. 規 模 : (1) 본 채 : 正 面 4 間, 側 面 1.5 間, 팔작와가 (2) 아래채 : 正 面 3 間, 側 面 1.5 間, 팔작와가 8. 現 狀 무흘정사로 신청한 이 건물은 수도암으로 가는 도중에 물을 건너 산 아래 야트막한 평지에 본채와 아래채 2 棟 이 각각 동향과 남향을 하고 위치해 있다. 건물은 퇴락이 아주 심해 2 棟 모두 지붕에 천막을 덮고 본채의 전면은 천막과 발 등으로 막아놓고 배면은 여러 개의 버팀목으로 지지해 놓았다. (1) 본채 마루상부 상량문에 의하면 1862 年 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것으로 보인다( 上 元 甲 戌 歲 含 壬 戌 (1862)--- 上 樑 ). 平 面 은 정면 4칸, 측면 1칸반으로 2통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 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이다. 대청마루 배면 2칸은 토벽과 양개 미서기 판문을 하부에 머름을 놓고 그 위에 각각 설치하였으며 마루와 대청 전면에 툇마루를 놓고 그 전면은 개방하였다. 온돌방 전면 툇마루 하부에 함실아궁이를 각각 두고 온돌방 배면에 낮은 굴뚝을 각각 설치하였다. 대청에서 온돌방 측 출입문은 좌우 각각 외짝 미닫이 띠살문을 마루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하였다. 架 構 는 낮은 기단위에 덤벙주초를 놓았고 그 위에 전면과 대청 배면의 기둥 8 柱 는 원주를 사용하고 나머지 6 柱 는 방주를 사용한 5량가 무익공 홑처마 소로수장 팔작와 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퇴락이 아주 심하다. 대청 상부는 연등천장으로 꾸미고 온돌방 상부는 고미반자로 처리하였으며 마루는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우물청판으로 꾸몄다

61 (2) 아래채 정면 3칸, 측면 1칸반으로 우측으로부터 부엌, 온돌방, 온돌방의 순으로 배치하고 방 앞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상부가구는 낮은 기단위에 주초 놓고 방주세운 5량가로 홑처마 민도리 팔작와가로 건물은 옛 건물이 아니며 거의 반파정도로 퇴락이 아주 심하다. 9. 調 査 者 意 見 무흘정사는 한강 정구선생(1543~1620)이 말년에 낙향하여 후학양성과 저술활동에 진 력하던 서재라 전한다. 그러나 소유자가 신청한 현 건물은 조선 중기의 학자 한강 정구 선생이 퇴관 후 강학과 저술에 전념하던 무흘정사가 아님은 물론이고, 현 건물 에서 한강 정구선생과 관련지을만한 자료나 현 건물의 위치 또한 무흘정사의 위치로 확인할 만한 근거도 조사 중 찾아볼 수 없었다. 무흘정사라는 현판이 허목선생(1595~1682)의 친필인 것을 감안하면 허목 선생이 한 강 정구선생 문하생으로 말년에 이곳에 와 현판을 쓴 것으로 추정하여, 원래의 무흘 정사가 1650년 전후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이것은 현재 의 건물과는 거리가 멀다. 마루 배면 우측 상부에 見 道 齋 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것은 이원조(1795~ 1871) 의 친필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이것 또한 사실을 확인할 바 없으며, 이 현판 하 나로 이 건물을 한강 정구선생과 관련시켜 옛 무흘정사와 관계 짓는 것은 무리한 추 정이 아닌가 싶다. 또한 한강연보 에 따르면 선생이 62세시인 1604 年 성주의 서쪽 수도산 속 천석이 정갈하고 人 家 에서 멀리 떨어진 무흘산 속에 초가삼간을 마련하여 서책을 보관하고 사람을 피해서 편히 쉬는 장소로 삼았다 고 되어 있어 위치적인 내용은 무흘계곡 어 딘가로 추정할 수도 있겠지만 연보에도 분명 초가삼간 이라 하였다. 이러한 정황판단으로 미루어 볼 때 이 건물을 한강 정구 선생과 관련짓는다는 것은 좀 더 신중해야 할 것 같다. 따라서, 신청한 이 건물을 한강 정구선생의 기념물로 지정하기엔 여러모로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62 - 68 -

63 무흘정사(1) 1. 전 경 2. 정 면 3. 우측면 4. 배 면 5. 배면-2 6. 정면 처마 및 소로수장 7. 마루상부가구 8. 마루 배면 9. 마루에서 본 좌측 온돌방 10. 마루에서 본 우측 온돌방 11. 상량문 12. 기둥상부 결구

64 무흘정사(2)

65 2. 道 指 定 文 化 財 現 狀 變 更 許 可 審 議 4건

66 2. 道 指 定 文 化 財 現 狀 變 更 許 可 審 議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 업 명 검토자 (조사자) 비고 1 의성 청송 영덕 의성옥련사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유형 355) 영귀정(문자234) 평산신씨판사공파 종택(민자89) 사남고택(문자340) 돈수재(문자316)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건설 공사 연 장 : 107.7km 차로수 : 4차로(100km/hr) 사업비 : 32,017억원 기 간 : ~ 백영흠 정명섭 2 안동 안동 천전리 추파고택 (문자 432) 아래채(행랑채) 건립(1동) 면적 : 19.44m2 용도 : 화장실 및 주방 (샤워실 포함) 위치 : 행랑채 철거 장소 형태 : 우진각 지붕 장석하 3 성주 수성리중매댁 (민자 86) 공장신축(농산물가공공장) 대지면적 : m2 건축(연)면적 : m2 구조 : 일반철골구조 높이 : 7.701m, 지상1층 최영식 조영화 박재관 4 영주 해우당 고택 외 8 (민자92) 영주 무섬마을 조경공사 김용수 장석하

67 (1)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q 사업개요 문화재명 : 의성 옥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유형 355) 영귀정(문자 234), 평산신씨 판사공파종택(민자 89) 사남고택(문자 340), 돈수재(문자 316) 사 업 비 : 32,017억원 사업기간 : 월 ~ 월 신 청 인 : 한국도로공사 사업내용 연 장 : 107.7km 차 로 수 : 4차로(100km/hr) 시 설 물 : 분기점 2개소, 나들목 6개소, 휴게소 2개소 q 지자체(군) 의견 의성군 의견 전통사찰 존엄 및 수행환경을 존중하고 전통사찰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이 필요 옥련사 주변 산인 봉두산의 자연훼손 및 옥련사 극락전, 요사채 및 문화재(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 목조건축물에 대한 안전대책 필요 청송군 의견 공사시 먼지 소음 등 대상문화재의 보존대책을 철저히 이루어진다 면 영향이 미비할 것으로 생각됨 국가시책사업으로서 사업이 조속 이루어져 낙후된 청송군이 다른 지역과의 교류 활성화를 도모하고 관광자원 및 산업자원 개발을 촉 진할 수 있도록 검토 후 허가조치

68 영덕군 의견 돈수재와 계획도로 간의 이격거리가 220m정도 떨어져 있고 공사구 간이 터널로 계획되어 있어 문화재 및 주변경관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q 현지조사결과 조사일자 : (금) 조 사 자 : 백영흠, 정명섭 문화재위원 조사자 의견 돈수재 : 문화재보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다만 발파에 의한 진동영향이 다소간 우려됨. 시공시 현장 수시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평산신씨 판사공파종택 : 문화재 보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사료됨. 다만 마을 전방 높은 곳을 관통하므로 경관과 소음으 로부터 영향이 없도록 조치 영귀정 : 문화재 보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다만 자연수림대가 없는 곳은 식재하여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도록 함. 옥련사 : 문화재 보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터널이 인접한 곳을 통과하고 그 입구가 근접하여 소음에 의한 수행공간, 발파 진동에 의한 지하수 고갈 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사찰과 협의하여 시행함

69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건설 과업의 목적 전국 간선도로망 계획(7 9)의 동서6축으로 청원~상주, 중부내륙, 중앙 고속도로와 경북 동해안의 7번 국도 연계 낙후된 경북 서북부와 동북지역의 접근성 강화 및 관광자원 개발 촉진 과 업 개 요 구 간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연 장 : Km / 설계속도 : 100Km/hr 차 로 수 : 4차로 (폭 23.4m) 주요시설 : 나들목 6개소 (낙동, 안계, 단촌, 길안, 청송, 영덕) 분기점 2개소 (구잠, 일직)/ 휴게소 2개소 (의성, 청송) 사 업 비 : 32,017억원 사업기간 : 2009년 ~ 2015년 추 진 경 위 , : 예비타당당조사(상주~안동, 안동~영덕) ~ : 타당성 조사(상주~영덕) ~ : 환경 및 교통영향평가( 예정) ~ : 기본설계(상주~영덕) ~ : 실시설계(1,9,17공구 완료예정)

70 - 77 -

71 (2) 안동 천전리 추파고택 아래채 건립 q 현 황 문화재명 : 안동 천전리 추파고택 (문자 432) 소 재 지 :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80-4번지 사 업 비 : 100,000천원(전통한옥관광자원화사업) 신 청 인 : 안동시장 신청내용 : 아래채 건립 규모 및 용도 : 19.44m2 / 화장실(샤워실 포함) 및 주방 건립위치 : 행랑채 철거 후 동일한 형태(우진각)의 아래채 건립 q 검토의견 장석하 문화재위원 전통한옥 관광자원화의 취지로 볼 때 취지에는 부합하나 복원건물 의 규모가 원형(행랑채)보다 커서 기존 문화재 경관과 다소 이질적 으로 보여 문화재위원회에서 검토해 보는 것이 좋겠음. 또한 수세식 화장실 설치 시 기존 오수관로를 확인토록 하는 것이 좋겠음

72 - 79 -

73 - 80 -

74 - 81 -

75 - 82 -

76 - 83 -

77 (3) 성주 수성리 중매댁 주변 공장건립 q 현 황 문화재명 : 성주 수성리중매댁 (민자 제86호) 소 재 지 : 성주군 수륜면 송계리 633 외7필 사 업 비 : 350,000천원 사업기간 : 월 ~ 월 신 청 인 : 신 상 용 신청내용 : 공장 신축 대지면적 : 2,905.0m2 건축(연)면적 : 1,120.76m2(1,120.76m2) 건폐(용적)율 : 38.58% 용 도 : 농산물가공공장 층수 및 구조 : 지상1층 / 일반철골구조 q 검토의견 최영식 문화재위원 위원회에서 심의 후 결정함이 좋을 것으로 사료됨. 조영화 문화재위원 문화재에서 직접 조망이 되지 않는 곳이며, 차폐를 위한 식수를 하였기 때문에 문화재의 경관에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됨. 박재관 학예연구사(성주군)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78 위 치 도 수성리 중매댁 사업부지

79 - 86 -

80 - 87 -

81 - 88 -

82 - 89 -

83 - 90 -

84 - 91 -

85 - 92 -

86 (4) 영주 무섬마을 조경공사 q 현 황 문화재명 : 영주 무섬마을 내 9개소(민속자료 4, 문화재자료 5) 해우당고택(민자92), 만죽재 고택(민자93), 김덕진가옥(민자117), 김뢰진가옥(민자118), 김위진가옥(문자360), 김규진가옥(문자361), 김정규가옥(문자362), 박덕우가옥(문자363), 박천립가옥(문자364) 소 재 지 :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244 사 업 비 : 250,000천원(시비) 신 청 인 : 영주시장 신청내용 : 무섬마을 조경공사 상록교목 42주, 낙엽교목 52주, 관목 1700주, 경관석 놓기 5개 잔디식재 622m2, 자연석 쌓기 1~2단 389m 등 q 검토의견 김용수 위원 무섬마을 경관에 조화되게 전통수종으로 하되 수형이 아름다운 것으로 마을경관과 어울리게 배식 한다. 시공시 수목생장을 위해 지효성인 부엽토 등을 시비하여 식재 후 생육이 양호하게 한다. 장석하 위원 경계석을 두고 마운딩 식재를 하는 부분은 기존 담장하부가 지하에 묻히게 되어 담장 붕괴우려가 있어 지양하는 것이 좋겠음 인위적 조경과 경관석 등은 자연 민속마을 경관을 해칠 수 있으 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겠음 자연 민속마을에 경계석을 둔 화계나 조경은 전통마을 경관에 영 향이 미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좋겠음

87 - 94 -

88 - 95 -

89 - 96 -

90 - 97 -

91 - 98 -

92 - 99 -

93

94

95

96

97 3. 文 化 財 補 修 事 業 設 計 承 認 2건

98 3. 文 化 財 補 修 事 業 設 計 承 認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 업 명 비고 1 영덕 영덕 난고정 (문자 500) 난고정 및 주사 보수 주변정비 : 사주문 건립(추가) 마사토 다짐 등 08년도 2 구미 유형 221 선산객사 보수

99 (1) 영덕 난고정 보수 q 현 황 문화재명 : 영덕 난고정(문화재자료 제500호) 소 재 지 :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194-2번지 신 청 인 : 영덕군수 사 업 비 : 500,000천원(교부세300,000 기금80,000 도20,000 군100,000) 사업내용 : 난고정보수, 관리사보수, 주변정비 난고정, 관리사 보수 주변정비(담장설치, 사주문 신축, 마사토 다짐 등) 지침내용 당 초 변 경 비고 난고정 : 연목이상 해체하여 기둥드잡이 등 주사 : 도리이상 해체하여 기둥드잡이 등 주변정비 난고정, 주사 : 건물 해체 후 부식재 교체하여 보수 주변정비 : 사주문 건립(추가) 마사토 다짐 등 q 검토의견 검토위원 : 백영흠 문화재위원 배면 도로와의 관계 때문에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항이므로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됨

100 사 업 개 요 사 업 명 영덕 난고정 보수사업 지 정 별 소 재 지 문화재자료 제500호 경북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194-2번지 난고정 건 물 개 요 건 물 명 면 적(평) 난 고 정 M2 (14.00평) 관 리 사 M2 (10.21평) 비 고 정면 4칸,측면 3칸, 팔작 정면 3칸,측면 2칸, 팔작 국 도 관리사 난고선생 불면위지묘 사주문 별묘 난고 종가 안 채 일각문 대 청 창 고 텃 밭 대문채 도 로 국 도 도 로 ( 현 황 ) 난고정 및 난고종택 배치도

101 한식판축담장 설치 사 업 개 요 사 업 명 지 정 별 소 재 지 영 덕 난고 정 보수사 업 문 화재 자료 제 500호 경 북 영덕 군 영해 면 원구 리 194-2번지 건 물 개 요 건 물 명 면 적 (평) 비 고 난고정 난 고 정 46.28M2 ( 14.00평 ) 정면 4 칸,측면 3 칸, 팔 작 한식판축담장 설치 관리사 한식판축담장 설치 국 도 관 리 사 33.75M2 ( 10.21평 ) 사 주 문 2.83M2 (0.85평) 공 사 개 요 난 고 정 정면 3 칸,측면 2 칸, 팔 작 정면 1 칸,측면 1 칸, 맞 배 한식판축담장 설치 난고선생 불면위지묘 사주문 난고 종가 별묘 사주문 안 채 일각문 한식판축담장 설치 대 청 창 고 텃 밭 대문채 도 로 국 도 관 리 사 도 로 ( 계 획 ) 난고정 및 난고종택 배치도 사주 문 및 담장

102 한식판축담장 설치 한식판축담장 설치 난고정 한식판축담장 설치 관리사 국 도 난고선생 불면위지묘 한식판축담장 설치 사주문 별묘 사주문 일각문 한식판축담장 설치 ( 계 획 ) 난 고 정 배 치 도

103 국 도 난고선생 불면위지묘 한식토석담장 설치 사주문 별묘 안 채 난고 종가 대 청 일각문 관리 사 난고정 한식토석담장 설치 창 고 일각문 사 주문 대문채 도 로 국 도 한식토석담장 설치 도 로 ( 계 획 ) 난고정 및 난고종택 배치도

104 (2) 선산객사 보수 q 현 황 문화재명 : 선산객사(유형문화재 제221호) 소 재 지 : 구미시 선산읍 완전리 59-3번지 신 청 인 : 구미시장 사 업 비 : 500,000천원(교부세 250,000 도비27,000 시비223,000) 사업내용 : 선산객사 보수 완전해체하여 부식재 교체 후 번와보수 객사내부에 대청 및 온돌방을 설치하되 공사중에 원형고증을 거쳐 공사를 진행 q 검토의견 장석하 위원 문화재위원회에서 복원시점 및 내용에 대해서 검토함이 좋겠음 정명섭 위원 보수 계획도는 향토사료관 용도로 변경하면서 옛 평면형식은 거의 잃은 상태이므로 옛 기록과 동시대의 객사유형을 바탕으로 추정 복 원한 도면으로 그에 따른 근거자료를 첨부하고 해체 후 현장 기술 지도를 받아 도면을 수정 보완하도록 함이 좋겠음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4. 09 年 道 費 補 助 文 化 財 補 修 事 業 指 針 1 件

121 4. 09 年 道 費 補 助 文 化 財 補 修 事 業 指 針 연번 시군 문화재명 사업비(천원) 사 업 내 용 지침조사자 비고 1 안동 호계서원 (유형 35) 100,000 사당건립 김영휴 이문기 백영흠 김희곤

122 (1) 안동 호계서원 사당건립 q 현 황 문화재명 : 호계서원 (유형 35) 소 재 지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84-3번지 사 업 비 : 100,000천원(교부세50,000 도비13,360 시비36,640) 사업내용 : 사당건립 q 추진상황 지침조사(1차) 조사기간 : 조 사 자 : 백영흠 문화재위원, 사업내용 : 사당 건립(복원) 지방시설주사 권동만 지침조사 결과회의 일 자 : (목) 14:00 참 석 자 : 8명(위원 5명, 전문위원 3명) - 문화재과 회의결과 : 사당 건립 규모 및 위치 등을 위원회에서 심의 결정 문화재위원회 심의(1분과 제1차) 회의일시 : (수) 14:00 회의결과 : 사당 배향 등 전반적인 계획에 대해 현지조사 후 결정 지침조사(2차) 조사일자 : (금) 조 사 자 : 문화재위원 4명(이병휴, 이문기, 백영흠, 김희곤) 조사의견 : 사당 건립은 위원회에서 논의하는 것이 타당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2002 年 2 月 昌 原 大 學 校 大 學 院 音 樂 科 安 明 基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Sonata for B-flat

More information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

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년예산개요 Ⅱ 경상북도예산규모 1. 예산총계규모 2. 세입예산규모 3. 세출예산규모 2019 예산개요 7 8 2019 년도예산개요 근거 : 지방자치법제 133 조 ( 예산편성후행정안전부보고 ) 예산편성심의의결후행정안전부보고, 예산에대한이해의도모와 단체간비교가용이토록정리 예산규모 총계규모 : 24조 478억원 ( 일반 20조 9,774억원, 특별 3조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제 정 1973. 2. 28 개 정 2010. 3. 19 定 款 삼성전기주식회사 http://www.sem.samsung.com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More information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12.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직 책 성 명 소 속 직 위 조 사 단 장 성 태 현 경 남 발 전 연 구 원 원 장 책임연구원 이 범 홍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센 터 장 조 사 원 연구보조원 이 영 주

More information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 2012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2012. 5. 12( ) 2012 1. 1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2012. 7. 4( ) ~ 7. 6( ) 3 등록시간 : 09:00 ~ 18:00. : 2 ( 1 ). 1 3 (A4 1매, 워드작성 붙임서식

More information

道 文 化 財 委 員 會 1 分 科 第 7 次 會 議 2007. 10. 12( 金 )14:00 第 2 會 議 室 會 議 書 類

道 文 化 財 委 員 會 1 分 科 第 7 次 會 議 2007. 10. 12( 金 )14:00 第 2 會 議 室 會 議 書 類 문서번호 관 광 문 화 재 과 - 관광문화재 과 장 문화체육 관광국장 행 정 부 지 사 도 지 사 보존기간 10년 보고일자 2007. 10. 심사일자 2007. 10 협 조 문화재시설담당 유교문화권개발담당 文 化 財 委 員 會 會 議 書 類 -2007 年 度 1 分 科 第 7 次 會 議 - 文 化 體 育 觀 光 局 觀 光 文 化 財 課 道 文 化 財 委 員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2018 년예산개요 Ⅵ 주요재정분석지표 1. 재정자립도 2. 재정자주도 3. 재정력지수 4. 주민1인당자체수입액 5. 주민1인당지방세부담액 6. 주민1인당세외수입액 7. 주민1인당세출예산액 8. 사회복지비비중 9. 인건비비중 10. 공무원관련경비비중 11. 의회비비중 2018 예산개요 233 234 Pride Gyeongbuk 1 재정자립도 재정자립도 일반회계의세입중자체수입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¹ßÇ¥¿äÁö229-286

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 국회의원 명단 당적표시는 당선당시(총선결과, 재 보궐당선, 의석승계) 소속정당을 나타냄. 제9 10대 국회의원의 당적중 국민회의 표시부분은 통일주체국민회의 에서 선출한 국회의원임. 제헌국회 (당적은 당선당시의 당적임)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姜 己 文 산 청 無 所 屬 金 若 水 동 래 朝 鮮 共 和 黨

More information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전반, 타격, 투수, 수비 진기록 전반 시즌 최고 승률 0.706 85 삼성 (110 경기 77승 32패 1 무) 기별 최고 승률 0.741 85 삼성 ( 전기 55경기 40승 14패 1 무) 시즌 최저 승률 0.188 82 삼미 (80 경기 15승 65 패) 기별 최저 승률 0.125 82 삼미 ( 후기 40경기 5승 35 패) 시즌 최다 승리 91 00

More information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시군별 성별 총인구 및 성비 (2012-2013) (단위 : 명, %) 구분 2012 2013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전국 50,948,272 25,444,212 25,504,060 100.2 51,141,463 25,553,127 25,588,336 100.1 경상북도 2,698,353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第 85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1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6年 6月 3 日 ( 月 ) 午 前 10時 場 所 議 事 日 程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의件 審 査 된案 件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More information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棄 権 DNS: 欠 場 )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More information

..............16..

..............16.. 제 2 차 발 간 등 록 번 호 11-1490100-000057-14 고 령 자 고 용 촉 진 기 본 계 획 2 0 1 2 제2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2012-2016) M i n i s t r y o f E m p l o y m e n t a n d L a b o r 2012-2016 제2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 Basic Plan for Promoting

More informatio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碘 岛 监 结 30km 20km 10km 碘 达 碘 测 时 提 高 后 的 上 限 [250,000 微 西 弗 / 年 ] [10,000 微 西 弗 / 年 ] 巴 西 瓜 拉 帕 里 的 辐 射 (1 年 来 自 地 面 等 ) > 辐 射 量 ( 微 西 弗 ) 250,000 100,000 50,000 10,000 注 : 本 资 料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역사 속 행정이야기 :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역사 속 행정이야기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와 명칭에는 조선의 건국 주체세력들의 국왕 정치 및 행정 체계에 대한 이상향이 담겨 있는 것이었다. 들어가는 말 서울은 한국의

More information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39-44, 2008년 6월 Yonsei J Med Hist 11(1): 39-44, 2008 일반논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 신창희( 申 昌 熙 )의 생애와 활동 박 형 우(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 홍 정 완(연세대 의사학과)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More information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抗 日 蜂 起 와 殲 滅 作 戰 의 史 實 探 究 - 韓 國 中 央 山 岳 地 帶 를 中 心 으로- 이노우에 가츠오( 井 上 勝 生 ) 1) 머리말 지난 해(2015년) 10월과 11월, 日 本 軍 東 學 黨 討 伐 隊 의 進 軍 路 를 한국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後 備 第 19 大 隊 (당시 東 學 黨 討 伐 隊 라고 불리었다) 第 1

More information

¾Æµ¿ÇÐ´ë º»¹®.hwp

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5B323031345DB4EBC7D0BFE4B6F7283037332D30383229B1E2B1B82E687770>

<5B323031345DB4EBC7D0BFE4B6F7283037332D30383229B1E2B1B82E687770> 2. 주요 보직자 명단 (2014년 4월 1일 현재) (1) 교무위원 총장 부총장(인사캠) 부총장(자과캠) 부총장(의무) 일반대학원장 학부대학장 유학대학장 문과대학장 법과대학장 사회과학대학장 경제대학장 경영대학장 자연과학대학장 정보통신대학장 공과대학장 약학대학장 사범대학장 생명공학대학장 스포츠과학대학장 의과대학장 예술대학장 기획조정처장 교무처장 학생처장 산학협력단장

More information

名門家 명문가 기록관리의 변천 2011년 부천 족보전문 도서관 變遷 序 文 나이 스물을 조금 넘겨 군대 생활을 할 때 우연찮게 족보를 보기 시작하게 되었다. 그 즈음에는 문맹률도 높았고 그래서, 당히 각 가정에서 책을 구경하기란 아마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얘기 같지만 국민학교 교과서 정도가 전부이지 동화나 소설이나 잡지는 구경할 수도 없었다. 혹여 나름대로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공 고 대한변호사협회공고... 공증합동 법무법인 구성원 등 변경사항----------------------------------------------- 변협공고 2006-1 공증합동 법무법인의 구성원변동, 소속변호사변동 등을 협회 공증합동법률사무소설립등에관한규 칙 제7조 및 법무법인의설립등에관한규칙 제7조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공고한다. 2006. 1. 1.

More information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주 830516 입주자격소득초과 2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연 711202 입주자격소득초과 3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이 * 훈 740309 입주자격소득초과 4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이 * 희 780604 입주자격소득초과 5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안 * 현

More information

노상추 일기

노상추 일기 1768년 11월 13일: 丁 酉 비가 떨어지다가 맑음. 아침에 가묘( 家 廟 )의 제사( 祭 祀 )에 참여 ( 參 與 )함. 늦게야 별묘( 別 廟 :가묘에서 받들 수 없이 된 신주( 神 主 )를 모시는 사당( 祠 堂 ))의 제사( 祭 祀 )에 參 與 함, 점심때가 될 때 월파( 月 波 )와 형곡( 衡 谷 )의 삼종 대부( 三 從 大 夫 ) 및 백송족숙( 白

More information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第 81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4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5年 10月 27 日 ( 金 ) 午 前 10時 場 所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議 事 日 程 1.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請 願 2. 地 下 鐵 勞 使 問 題 解 決 促 求 請 願 3. 地 下 鐵

More information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28303431323037292E687770>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28303431323037292E687770> The Study of Rearing Traditional Accomodations: The Study of Rearing Traditional Accomodations: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관련 정책 및 현황의 검토 제3장 국내외 사례 조사 분석 제4장 전통고택 및 사찰 템플스테이 활성화 방안 제5장 사업 추진방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Story Story 2012. 9. 13. Story 1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2 STORY STORY 12 호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2 Korean Wave Story 2012 (2012년 1/4분기) 12 호 12 호 2012. 4. 9. 2 3 4 5 轩 辕 剑 之 天 之 痕 我 的

More information

- 2 -

- 2 - - 2 - - 3 - - 4 - 자원봉사매거진 THE-BOM 발간 - 5 - - 6 - 2014 UN Glodal Compact Communication On Progress 2014 경상북도 자원봉사대회 예년까지 진행해 왔 던 대단위 행사성의 대회에서 벗어나 우수자원봉사 자와 자원봉사 유공자를 중심으로 격려의 장을 마 2014 경상북도 자원봉사대회는 련하는

More information

<B1B9BFAAC3D1BCAD2DC6EDC1FD2839292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B1B9BFAAC3D1BCAD2DC6EDC1FD2839292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인 명 497 색 인 인 명 (ㄱ) 강경중 姜 敬 重 182, 193 강덕상 姜 德 相 137 강만철 姜 萬 哲 149, 159 강만희 姜 萬 熙 135 강무형 姜 懋 馨 134 강문선 姜 門 善 88 강병학 姜 丙 學 390 강봉상 姜 奉 相 137 강봉진 姜 奉 辰 150 강석희 姜 奭 熙 133, 139, 158, 225 강선보 姜 善 甫 128, 129,

More information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 財 ) 東 亞 文 化 硏 究 院 地 表 調 査 報 告 第 14 輯 진영읍 신용리 아름다운아파트 신축공사 구간내 文 化 遺 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 0 0 4. 10 目 次 Ⅰ 7. 조사개요 Ⅱ. 역사 ㆍ 고고분야의 조사 8 1. 김해시의 자연환경 1. 8 2. 김해의 역사적 환경 2. 10 3. 조사대상지역 개관 3. 28 Ⅲ 29. 현지조사 및

More information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689 216,000 100.0 100.0 100.0-5,679,338 5,462,689 216,649 100.0 100.0 100.0 - 증 )649 5,222,334 5,006,334 216,000 92.0 91.6 100.0 100.0 5,222,983 5,006,334 216,649 92.0 91.6 100.0 100.0

More information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24 2004. 12 2004. 11 25 26 2004. 12 % 50 40 30 20 10 0 華 東 華 北 中 南 西 南 東 北 西 北 전 체 중 대 형 차 중 형 차 소 형 차 경 차 2004. 11 27 帕 28 2004. 12 2004. 11 29 30 2004. 12 2004. 11 31 32 2004. 12 2004. 11 33 34 2004.

More information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O 매입처 : 유한회사유니스한국자산관리대부 / 연락처 : 02-6010-0084 일련번호생년월일성별고객명대출과목주소1 주소2 1 790208 남 강 * 태 일반자금대출 경기 시흥시 2 900321 여 강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서대문구 3 780830 여 강 * 경 일반자금대출 경기 양주시 4 670509 여 강 * 란 일반자금대출 경기 수원시 5 760411

More information

영남학17합본.hwp

영남학17합본.hwp 鄭 逑 (1543-1620)의 학자 관료적 삶과 安 東 府 使 재임 김 학 수 * 30) Ⅰ. 머리말 Ⅱ. 부임에 얽힌 사연 1. 임명에서 부임까지의 역정 2. 풍기 예안을 거쳐 부임한 뜻 Ⅲ. 다스림의 방식과 그 자취 1. 관료적 권위와 학자적 포용성 1) 원칙과 권위의 리더십 2) 鄕 論 끌어안기 - 尊 賢 및 同 門 意 識 의 표명- 2. 士 論 장악과

More information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

그 리 고 꼭 같은 내 용 의 녹 권 이 변 사 펠 사한 깃과 꽉활자로 인 출 한 갓이 있 디. 편 사 - 한 갓도 fj-. i

More information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低 所 得 偏 父 母 家 族 의 生 活 實 態 와 政 策 課 題 金 美 淑 朴 敏 妌 李 尙 憲 洪 碩 杓 趙 炳 恩 元 永 憙 韓 國 保 健 社 會 硏 究 院 머 리 말 배우자의 사별, 별거, 이혼 등으로 초래되는 偏 父 母 家 族 은 産 業 化 의 진전에 따른 개인주의 팽배로 이혼이 증가하였고 經 濟 危 機 로 인한 가 족해체가 확산되어 최근 증가 추세에

More information

7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3) 의 수준에 이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비 롯한 국학연구 기관들과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 는 조선시대 역서들의 숫자들을 모두 합하더라도 불과 수백 책의 수준을 넘

7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3) 의 수준에 이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비 롯한 국학연구 기관들과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 는 조선시대 역서들의 숫자들을 모두 합하더라도 불과 수백 책의 수준을 넘 조선의 역서( 曆 書 ) 간행과 로컬사이언스* 박권수 (충북대학교) 1. 조선의 역서( 曆 書 )와 역법( 曆 法 ) 서운관지( 書 雲 觀 志 ) 와 내각일력( 內 閣 日 曆 ), 일성록( 日 省 錄 ) 등에 의거하건대, 조선시대 역서( 曆 書 )의 간행부수는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급격 하게 늘어나기 시작해서 정조( 正 祖 ) 22년( 戊 午 年, 1798)에는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짧활 康 t합샤훌 示 範 띔 健 所 運 營 응 위한 技 術 支 援 웹 JE - 示 範 保 健 所 模 型 開 發 을 中 心 으로l' 鍾 和 李 順 英 鄭 基 뽑 編 著 韓 國 띔 健 社 會 댐 究 院 머 리 말 美 國 이나 日 本 등 先 進 國 의 경우 이미 1970년대 부터 人 口 의 高 敵 化 와 生 活 樣 式 의 變 化 에 기인한 成 人 病 증가와 이에

More information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1930년대 초 천도교신파의 정세인식과 조직강화* Social Awareness and the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 by the New faction of Chundogyo in the Early 1930s 1)정 용 서(Jeong, Yong Seo)** Ⅰ. 머리말 Ⅱ. 신간회 해소에 대한 인식 Ⅲ. 반종교운동에 대한 대응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조선시대 형사판례를 통해 본 재판의 제원칙 조선시대 형사판례를 통해 본 재판의 제원칙 - 심리록에 수록된 사례를 중심으로 - 김 용 희 * 차 례 Ⅰ. 서 설 Ⅱ. 심리록에 나타난 지방관리들의 사법행정능력 1. 검험의 기준 2. 검험조서 Ⅲ. 심리록에 나타난 재판의 기본원칙 1. 관용의 원칙 2.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in dubio pro reo)

More information

#39-0 머리말외.indd

#39-0 머리말외.indd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39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이승일 김대호 정병욱 문영주 정태헌 허영란 김민영 지음 발간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동북아 세 나라는 오랜 옛날부터 독자의 문화를 꽃피움과 동시에 여러 면에서 문화를 공유해왔습니다. 한자라는

More information

2.pdf

2.pdf 1 1 1441 1457 5 1441 7 23 1448 1 145 1451 1452 2 1455 3 1457 3 1 4 1681 7 5 1698 6 [] 7 2 1457 3 6 1452 ~ 1455 196 1581 1 12 31448 4 3 ; 2 145 7 2 ; 1 1 21796 3684 2 1 1452 5 18 3 1 11455 6 11 4 1 5 12

More information

20001031jc0inb001a.HWP

20001031jc0inb001a.HWP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1 2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3 4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5 6 (2000

More information

5권심층-양화1리-1~172

5권심층-양화1리-1~172 526 527 528 529 530 531 532 332 333 332 사갑 제례 음식준비 334 335 333 진설 334 사갑제례 335 음복 8시부터 8시 30분 사이에 제사에 참여했던 가족들이 각자 집으로 돌아갔다. 고인의 부인은 제사에 참여한 이 들에게 제사 음식과 반찬거리(깻잎 등)를 골고루 싸 주었고 마을에 거주하는, 제사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식민지의 목소리 - 朝 鮮 思 想 通 信 社 刊, 朝 鮮 及 朝 鮮 民 族 (1927)을 중심으로 鄭 鍾 賢 ( 成 均 館 大 ) 1. 伊 藤 韓 堂 과 朝 鮮 思 想 通 信 伊 藤 韓 堂 이 발간한 朝 鮮 思 想 通 信 은 1925 년에 발행을 시작하여 1943 년 그가 죽은 직후에 폐간될 때까지 대략 18 년 동안 간행된 조선문을 번역한 일본어 신문이다.

More information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84~299)206지도서2-3 2012.9.17 21:21 페이지284 mac01 T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1 단원의 개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물자와 사람들의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자연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교 통과 통신이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

연구노트

연구노트 #2. 종이 질 - 일단은 OK. 하지만 만년필은 조금 비침. 종이질은 일단 합격점. 앞으로 종이질은 선택옵션으로 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종이가 너무 두꺼우면, 뒤에 비치지 는 않지만,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두꺼우면 고의적 망실의 위험도 적고 적당한 심리적 부담도 줄 것이 다. 이점은 호불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은 괜찮아 보인다. 필자의

More information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003. 11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Ⅰ. 調 査 槪 要 1. 調 査 目 的 고성군에서 추진중인 율대 농공단지 확장예정지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제74-2와 동법 시행령 제43-2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2009. 3. 12. (제09-8호) Ⅰ.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거시팀 李 萌 연구원) Ⅱ. 중국 영화산업의 성장 (전략팀 鐘 星 수석연구원) Ⅲ. 主 要 經 濟 統 計 - 1 -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More information

南 北 體 育 會 談 第 5 次 實 務 代 表 接 觸 會 議 錄 $은 幣 K7를구 淸 를9 를3 는r구# 國 土 統 - Q ( 漆 北 對 話 事 務 局 ) < 目 次 l - 般 事 項 l l l l l l l 3 l l l l l l l l l 3 2 會 議 錄 7 附 錄 : 代 表 團 記 者 會 見 9 7-7 - 린 一 般 事 項 가 日 時 :1990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대 법 원 제 1 부 판 결 사 건 2012두6605 사업시행계획무효확인등 원고, 상고인 원고 1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이인재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외 1인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외 3인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12. 2. 2. 선고 2011누16133 판결 판 결 선 고 2015. 4.

More information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상현고등학교 2 1 28 유 훈 2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6 24 정 찬 3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8 3 김 헌 4 [1]2018개방실험-학생2기[

More information

정동주선생

정동주선생 張 桂 香 의 실명 고증과 생애 검토 1) 배 영 동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1. 머리말 2. 貞 夫 人 실명 張 桂 香 의 발견 고증과 의의 3. 현명한 여성의 전형이던 장계향의 삶과 의식 4. 맺음말 1. 머리말 옛말에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고 하였 다. 여기서 이름은 그 사람을 지칭하던 존재의 명명 에 한정되지

More information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중국기본고적고 사용설명서 1 로그인( 進 入 ) 1.1시작을 클릭하신후 왼쪽 프로그램에서 AncientBook 을 찾으신후, AncientBookClient 를 클릭하세 요. 1.2 服 務 器 (ip), 用 戶 名 (id), 密 碼 (pw)를 입력 후 진입( 進 入 ) 클릭하세요. 1-3. 아이콘 설명 : 메인페이지 : 최소화 : 화면 닫기 2. 검색( 檢

More information

빈면

빈면 j 발ζ틸록번호 1 1 4 0 % 0 2 0 - m O O 4 4 - 이 연 구 보 고 2 0 0 2-0 1 I R 애싱 -대도시 징탄성매때지역 증싱으로 g 김승뀐 조애저 김유곁 손승영 한혀 결 김성아 ~잉 z -ι7 / v / ι ζ a Tι r 鉉 ; ιo t n ι a 톨 상r X a 흥 낀 ~ ~ r - * 서 7 A * r - 엉 뇨려 - r M W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2009-12-17-탁양현-조선 사대부와 ‘정치’라는 숙명.hwp

2009-12-17-탁양현-조선 사대부와 ‘정치’라는 숙명.hwp 1 조선 사대부와 정치 라는 숙명 탁양현(20091217) 1. 여는 말 역사( 歷 史 )라는 말에는 흔히 Geschichte와 Historie라는 의미가 동시에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임수길은 니체의 반시대적 고찰 의 제2편 각주에서 삶에 대한 역사의 공과 의 의 원어는 Geschichte가 아니라 Historie이다. Geschichte는

More information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금속공사제15장 미장공사제16장 창호공사제17장 유리공사제18장 칠공사제19장 수장공사제20장

More information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15-27호 2015.08.05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 국민의 절반 동참시 1조 3,100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 기대 Executive Summary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개 요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침체된 국민의 사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오는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에 최근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CONTENTS. 002 004 006007 008 009 010011 012 020

CONTENTS. 002 004 006007 008 009 010011 012 020 2014.11 031) 379-6902, 6912 1600-1004 http://buy.lh.or.kr CONTENTS. 002 004 006007 008 009 010011 012 020 교통망도 토지이용계획도 동탄2 신도시 토지공급안내 일반상업용지 근린상업용지 근린생활시설용지 업무시설용지 주차장용지 유통업무설비용지 토지이용계획 동탄2신도시, 교통에 날개를

More information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20세기 전반 彦 陽 의 小 農 社 會 이 영 훈 Working Paper 2015-03 Arp, 2015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31gil 5, Bongcheon-ro, Kwanak-ku, Seoul,

More information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2009. 12. 25. (제09-46호) Ⅰ. 중국 고급 냉장고 시장의 성장 (산업팀 許 李 彦 연구원) Ⅱ. 중국의 반독점법 과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M&A (전략팀 張 沈 偉 연구원) Ⅲ. 主 要 經 濟 統 計 - 1 -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More information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1883.01.24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1883.06.22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1883.01.24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1883.06.22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근현대 한일간 조약 일람* 22) 1. 조선 대한제국이 일본국과 맺은 조약 주) 1. 아래 목록은 國 會 圖 書 館 立 法 調 査 局, 1964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上 ; 1965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中 ; 外 務 省 條 約 局, 1934 舊 條 約 彙 纂 第 三 巻 ( 朝 鮮 及 琉 球 之 部

More information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최정희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 활동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니가타현립대학교 야마다요시코 1 머리말 1931 년 삼천리사에 입사한 최정희는 기자로서 활동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37 년에 흉가 로 등단했다. 그 동안 습작기에 일본어 소설 1 편을 포함해 소설 15 편을 발표했다. 일본어 소설 그늘 은 역시 습작기에 쓴 가버린 美

More informatio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2019. 6.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1225-1755 eissn 2288-9566 https://doi.org/10.9715/kila.2019.47.3.039 A Study on the Designer s Post-Evaluation of Gyeongui

More information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現 存 거문고 끓의 年 代 考 現 存 거문고 諸 의 年 代 考 李 惠 求... .... 1. 現 存 거운고 語 40 篇 ll. 第 1 群 의 거운고 語 ill. 第 2 群 의 거문고 諸 IV. 第 3 群 의 거운고 諸 V nu nl ^τ::--i'!. 1. 現 存 거문고짧 40 篇 - 現 存 거운고 樂 諸 는 國 立 國 樂 院 發 行

More information

目 次 第 1 篇 1995 年 度 水 産 業 動 向 1 第 1 章 世 界 水 産 業 動 向 3 第 1 節 水 産 物 生 産 3 第 2 節 水 産 物 交 易 5 第 2 章 우리나라 水 産 業 動 向 7 第 1 節 漁 業 構 造 7 第 2 節 漁 家 經 濟 22 第 3 節 水 産 物 生 産 30 第 4 節 水 産 物 輸 出 入 40 第 5 節 水 産 物 需 給

More information

741034.hwp

741034.hwp iv v vi vii viii ix x xi 61 62 63 64 에 피 소 드 2 시도 임금은 곧 신하들을 불러모아 나라 일을 맡기고 이집트로 갔습니다. 하 산을 만난 임금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말했어요. 원하시는 대로 일곱 번째 다이아몬드 아가씨를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 72 -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 72 -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17세기 理 氣 心 性 論 발달의 역사적 의미 - 嶺 南 學 派 의 政 治 哲 學 形 成 과 관련하여- 薛 錫 圭 * 1. 머 리 말 4) 理 氣 分 合 論 2. 理 氣 心 性 論 의 대두와 삶의 4. 理 氣 心 性 論 발달의 정치적 의미 철학 형성 1) 士 林 의 정국주도와 朋 黨 論 의 대두 1) 退 溪 南 冥 의 理 氣 心 性 論 과 2) 理 氣 妙 合

More information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 산업중분류, 조직형태 및 동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단위 : 개, 명 금정구 서1동 서2동 서3동 Geumjeong-gu Seo 1(il)-dong Seo 2(i)-dong Seo 3(sam)-dong TT전 산 업 17 763 74 873 537 1 493 859 2 482 495 1 506 15 519 35 740 520 978 815 1 666 462

More information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지표조사보고 15-99 [국비지원 지표조사]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 목 차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 및 그 주변의 환경 2 1. 청주시의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