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050 청점운용을통한사운드연출 Sound Direction through Listening Point Application 김은동우송대학교방송미디어학부 Eun-Dong Kim(smpte106@hanmail.net) 요약영화에서사운드는화면상의표현에사실감을부여하거나과장된효과를이용해서이미지를부각하는기본적인역할을수행하며, 관객으로하여금영화속대부분의소리가일상적인것으로받아들이게한다. 그러나영화속사운드는실제현실에서접하는 소리 가아니라영화적재현을위해허구적으로연출된장치이다. 이러한기능들로인해관객은스크린을통해서허구인영화의세계가마치현실처럼느껴지는독특한 현실감 을체험하게되는것이다. 따라서사운드연출은청각적요소의운용을통한독창적인이미지전달로이러한현실재현에기여해야하며나아가다양한영화적표현들이효과적으로관객에게전달되기위해서는, 주관적청점을기반으로한사운드연출이우선적으로고려되어야한다. 중심어 : 사운드디자인 주관적청점 사운드연출 Abstract A basic role of sound is to give realism to the expressions on the screen or to highlight the images using exaggerated effect as a supporting role. In that way, sound effect makes it possible for audiences to naturally understand realistic images. However, the sound effect in movies is not real 'sound' in fact. Rather, sound effect is a separate cinematic tool that needs a separate direction to manipulate sounds in order to create appropriate effects for particular intention in the movie. While watching the movie, the audiences go through unique experience where they comprehend the manipulated world as the real world. Therefore, direction for sound effect must help deliver realism to the images by auditory factors. Thus, effective sound direction shall have precise and independent design for identification, reason and eurythmical match with the screen and occurred sounds shall be designed based on the subjective listening point to see who is actually listening. keyword : Sound Design Subjective Listening Point Sound Direction I. 서론 영화는그시작과함께사운드가존재했었다. 루이스자네티 (Louis Giannetti) 의 영화의초창기는무성의 시대라기보다무언의시대에가까왔다 [1] 라는견해는기술적으로필름의일정부분에별도의사운드트랙을할당하여상영시 대사 가재생되도록하는음향장치는없었지만, 연극에서의음향효과와유사한형태의악기 접수일자 : 2014 년 07 월 16 일수정일자 : 2014 년 10 월 10 일 심사완료일 : 2014 년 10 월 10 일교신저자 : 김은동, e-mail : smpte106@hanmail.net
청점운용을통한사운드연출 51 연주나변사의해설또는효과음이사용되어일련의 소리 가존재했었음을의미한다. 에디슨의키네토스코프에도청진기를개조한이어폰이사용되었으며뤼미에르형제가최초의영화를상영할때도피아노연주가실시되었었다 [2]. 즉사운드는영상을통한현실의재현에있어 ' 소리 ' 가담당해야할고유역할의필요성과 ' 소리 ' 자체가가지는가치로인해활용되어왔다. 극장내의웅성거림이나영사기에서발생하는소음을차단하는일차적인목적도있었겠지만, 일반적으로영상에서 ' 소리 ' 로인해발생되는가치란그영상을볼때, 혹은보고나서간직한기억에소리의정보나표현이자연스럽게추가되어, 영상자체에이미내포되었던것처럼인식되는것 [3] 을의미한다. 따라서시청각의조화를목적으로하는영화에서의사운드는영상을통해제공된이미지에질량감, 재질감등을추가하여사실적인표현에기여하거나, 다소과장된효과음을이용해서특정이미지를부각하고강조하는보조적인역할을수행해야한다. 영상에등장하는이미지화된물질의특성들은음향효과에의해그내용성이확보된다. 이러한음향효과들은관객들이현실에서익숙하게들어왔던 ' 소리 ' 임으로, 영상을통해전개된상황을거부감없이자연스럽게받아들이는효율적인기능으로작용하여동일화를통한현실감조성이가능하게한다. 실제현실에서의청각은특별히의도하지않아도인식되는유일한감각기관으로, 장소나상황에따라신체의움직임없이자연스럽게청취할수있도록조직되어있다. 그러나심리적인상태에따라대상에대한인식이달라지기때문에타감각기관에비해판단이정확하지못하다는문제가있다. 따라서관객이일반적이라고생각하고받아들이는영화속대부분의사운드는실제현실에서접하는 소리 가아니며의도된목적을위해, 현실의허구적조작으로운용되는독립된영화적장치로작용가능한것이다. 영화의관객들은스크린을통해서, 영화의허구세계가마치현실처럼느껴지는독특한현실감 [4] 을체험하게된다. 이러한현실감은촬영방법과편집형식, 또는후반작업의기술발전을통해현실감을넘어서, 현실에 서는불가능한영역까지표현할수있게되었다 [5]. 영화에서의사운드또한모든장면에개입하여상영내내지각되며사실감부여를통해영화적현실감으로관객의몰입을이끈다. 영화는보이거나들리는무언가를통해인물의내면이나감정의주도적인상황들을표현해야한다. 관객은영화속에서발생하는사운드를통해영화의내러티브와의미를해석하는데필요한자료를공급받으며, 필름메이커는사운드를통해인물이나스토리, 상황을쉽게표현하고강조할수있다. 따라서주제의표출이나심리적인전개를위해서사운드를통한표현방법을연구하는것은화면구성못지않게중요하다고볼수있다. 분명사운드는영화를구성하는기본적인요소이며그활용에따라여러가지기능을가지기때문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영화적사례를통해다양한사운드연출의표현법들을분석해보고특히청점 1) 운용에있어그역할과활용방안에대해연구해보고자한다. Ⅱ. 본론 1. 정보전달도구로의사운드운용 영화는관객에게내러티브를이어나가기위한정보를제공한다. 이러한정보는다음에벌어질상황에대한추론을형성하고관객이더욱영화에몰입하도록만든다 [6]. 서스펜스에서시작된정보제공의수위조절같은연출방법들은이제장르에상관없이일반화되어널리사용되고있으며, 상업영화에서관객의몰입이중요한흥행의요소로부각되면서다양한영화적장치들이개발되고발전하고있다. 그러나사운드를활용한추론형성은의미가달라질수있다. 영화에서는소리가영상보다더은밀한정서적조작수단이될수있으며, 소리는우리에게호흡등의음향을통해생리적으로영향을끼치거나, 추가가치를통해영상의의미를해석해내고, 소리가없었으면보지못했거나달리보았을것을볼수있게하기때문이다 [7]. 1) 청점 (point d' ecoute). 시점에상응하는의미로서물리적으로어느곳에서들리는소리인가? 와누가듣는소리인가? 에대한정의
5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 Vol. 14 No. 11 1.1 비화면 영역 이와 같은 시청각의 동기와 분리, 두 가지 조합은 사 관객은 일반적으로 시각과 청각의 복합적인 이미지 운드 운용의 근간이 되는 비화면 영역 개념을 성립한 를 통해 일상을 경험해 왔다. 일상에서 이러한 이미지 다. 화면내재 음이 친숙함과 사실감을 통해 동일화를 형성은 개인별 시력과 청력, 사고의 범위 안에서 지극 지원한다면, 비화면 영역의 음들은 음원에 대한 의문들 히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 로 인해 영화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주의력과 호기심을 화에서 시청각을 통한 이미지형성은 그것들과 달리 목 창출하고 관객의 예견 심리를 지속시킨다. 즉, 발생한 적에 따른 인위적 조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분은 소리의 원인과 위치가 모호하다면, 그로인해 불확실성 영화적 이미지 형성에서 영상과 소리의 발생시점으로 에서 오는 서스펜스 효과 또한 점점 고조되는 것이다[8]. 시청각을 분리해 보면 분명하게 드러난다. 먼저 시각화 화면내재 음이 객관적인 3인칭 청점에 따른 자연스러 되고 그 다음에 사운드로 표현되거나, 먼저 사운드로 움을 추구한다면, 비화면 영역의 음은 사운드를 통한 시작되고 이후 시각화 되는 경우를 통해 전혀 다른 양 구체적인 목적으로 운용된다. 비화면 영역의 사운드를 상으로 극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는 처음 연출함에 있어 관객에게 제공되는 소리는 누가 듣고 있 부터 소리가 동기화된 영상과 연결되고 나중에 아쿠스 는 소리인가? 라는 주관적 청점의 기준을 확보하면 몰 마티크2) 사운드로 재생되는 경우로, 관객은 어느 정도 입의 대상은 더욱 명확해 진다. 소리를 듣는 주체에 따 명확한 이미지로 지나간 상황을 되살리며 소리 만으로 라 스크린의 인물이나 제 삼자, 때론 전지적 청점이 부 도 추론 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여 될 수 있다. 1.2 감정이입과 불 이입 영화에서 관객의 몰입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정보의 결핍 즉, 심리적 공포와 불안이 극 중 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이유는 서사전략에 가장 정 확한 형식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9]. 그 대표적 형식 인 반주관적 쇼트는 시각적으로 혹은 청각적으로 정보 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음으로 구체화된다. 그림 1. 사운드의 선행 두 번째의 경우는 오랫동안 소리의 원인과 그 모습을 비밀에 부쳐 두었다가 나중에 이를 밝히는 것이다. [그 림 1] <늑대소년, 2012>에서 한밤중에 늑대 울음소리 를 듣게 된 순이는 소리가 발생한 곳으로 짐작되는 창 고를 향해 다가간다. 조심스러운 발걸음과 두려움에 가 득 찬 눈빛은 관객으로 하여금 그 곳에 있을 무언가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고 이후 벌어질 여러 가지 상황들 을 추측케 하며 영화에 몰입하게 한다. 이는 미리 소리 로 예고하고 화면상의 노출은 계속 지연시켜, 불안과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한 사운드연출이다. 2) 아쿠스마티크. 음원은 보이지 않고 단지 들리기만 하는 소리들-음성 존재 그림 2. 전화신 [그림 2] <감시자들, 2013>에서 황 반장의 전화 장면 에서는 통화상대방의 이미지나 전화 소리를 완전히 차 단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임스 의 통화는 이와 반대로 대화전체를 노출하고 있다. 영 화의 도입부에서 설정된 황반장과 제임스 그리고 하윤 주의 관계는 전화를 이용한 몇 가지의 정보조절로 혼란
청점운용을 통한 사운드연출 53 을 야기하고, 이러한 형식 들은 반주관적 쇼트 안에서 주관적 청점을 기준으로 한 감정이입과 동기부여의 대 미스터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사건을 상선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전반적인 현실 풀어나가는 등장인물의 행보에 장애를 제공함으로써 유사성과 강조를 위한 효과가 추가되어야만 소리를 어 극의 긴장감을 높이고 관객의 심리적 경험을 풍부하게 떤 사건 혹은 현상에 맞물려 인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들어 준다. 2. 상징적인 사운드 연출 1.1 영상과의 공감각 교차편집에서의 사운드는 서로 다른 공간 배경음 차 이를 통해 그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그림 4] <아저 씨, 2010>에서 차태식의 브리핑과 격투장면은 동일시 간의 공간적 확장을 통해 두 장소의 다른 상황이 하나 그림 3. 쌍방통화 의 내러티브를 보완하며 이미지를 완성한다. [그림 3]의 <끝까지 간다, 2014> 도입부에 사용된 전화장면은 <감시자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극을 전 개하고 있다. 관객은 극중 고건수와 직장하사, 그리고 그의 부인이 주고받는 통화내용을 통해 등장인물의 신 분, 성격, 현재상황 등을 제공받고, 앞으로 전개될 내러 티브를 고건수의 입장에서 받아들이게 된다. 그림 4. 교차편집 위의 형식을 분석해 보면, 전화 신을 사용할 때 발생 하는 사운드 운용의 몇 가지 패턴을 발견 할 수 있다. 우선 통화 당사자만이 들을 수 있는 상대편의 통화음 성 도 들리는 경우, 관객은 상황을 공유하게 되고 통화 상대편의 음성은 동일시를 강화하는 주요한 역할이 된 다[10]. 이와 달리 상대편 통화자의 목소리를 듣지 못하 게 되면, 관객은 등장인물의 입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제삼자의 입장에 놓인다. 이 경우, 전화 대화에 그림 5. 교차편집 사운드 서 제외됨으로 인한 정보결핍은 상상력으로 이어져 다 과거 특수부대 출신의 킬러라는 내용의 브리핑사운 양한 추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통화음성을 이용한 드와 그가 범죄조직을 제압하는 격투영상의 조합은, 정보제공의 수위조절은 청점의 주체와 관객을 동일선 [그림 5]와 같이 초반브리핑이 오버랩 되는 세 개의 컷 상에 놓으면 쉽게 정의 될 수 있다. 즉, 통화상대자 음 과 마지막 사무실 컷의 사운드대비로 구성되어 있다. 성까지 듣게 되는 1급 정보, 통화자음성만 듣게 되는 2 브리핑의 음성이 격투신의 당위성을 입증하듯이 전개 급 정보, 아무런 소리도 듣지 못하는 3급 정보와 같은 되는 이 장면에서, 연속된 하나의 파일이 아닌 것처럼 등급을 정하는 것이다. 보이는 사운드의 이질감은 교차편집을 통한 긴장감을 음향은 같은 소리일지라도 극적, 시각적 맥락에 따라 증폭시키고 있다.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의미로 변형되기 때문에 내러티브 [그림 6]과 [그림 7], 히치콕의 <열차의 이방인, 적 혹은 구상적 가치가 매우 모호하다[11]. 따라서 관객 1951>에 나타난 교차편집과 해당 사운드 분석을 보면 에게는 청각적 사실재현보다는, 내러티브 진행에 따라
5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 Vol. 14 No. 11 대비는 더욱 두드러진다. 가이가 테니스 경기를 하는 성을 나타낸다. 이는 영상이 없다면 한 곡의 음악으로 모습과 브루노가 유원지로 가고 있는 모습이 교차되는 보기에는 불가능한 조합이다. 장면들은 시간의 확장과 압축을 이용한 서스펜스를 보 최근 영화에서는 배경음악의 변주까지 동원해 교차 여준다[12]. 느슨하게 편집되어 라켓이 공을 때리는 소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위의 작품 리만 강조한 경기장면과 브루노가 라이터를 집으려는 에서는 사운드를 활용한 연출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 유원지 장면의 긴박함은 사운드 과장을 통해 연출된 두 주고 있다. 공간의 대비이다. 그림 6. 경기장과 유원지 그림 8. 경기장 음악과 유원지 음악 그림 7. 교차편집 사운드 1.2 관습적인 사운드 공포나 불안의 대상이 되는 캐릭터의 음성이나, 특정 지속적으로 관객에게 차별적 정보를 제공하고, 시간 장소의 주변 음, 또는 특정 음향효과를 관습적으로 사 의 지연을 통한 충분한 추론의 기회를 제공하는 도구로 용 할 경우, 관객은 반복적으로 노출된 사운드의 이미 사운드를 사용한 것이다. 즉, 각각의 장소에 따라 전혀 지를 각인하게 된다. 이렇게 습득된 학습효과는 관객으 이어지지 않는 배경음을 청점의 주체 변경으로 조합하 로 하여금 상황 에 대한 인식을 쉽게 유도해 내는 도구 여 인과관계를 형성했다. 로 활용된다. 특히 <열차의 이방인>에서 배경음과 함께 사용된 차 별화된 음악은 사운드를 활용한 두 공간의 괴리에 절대 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림 8]의 음악을 분석한 웨이브 폼과 포먼트3)를 보면 경기장 웨이브 폼의 1/100 초당 파형은 7-8회 이지만, 유원지의 경우 3-4회의 사 이클에 그쳐 두 배가 넘는 속도의 음악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또 경기장 음악의 포먼트는 브라스 위주의 그림 9. 환청 고음으로 구성되어 2-2.5khz의 특성을 가지는데 비해, 유원지의 경우 스트링이 중심인 700-800hz의 저음 특 [그림 9] <숨바꼭질, 2013>의 성수는 어린 시절의 실 수로 인해 악몽과 환영에 시달린다. 실제와 환영이 뒤 3) 소리를 주파수로 분석하면(어떤 주파수에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있 는지를 그래프 등으로 명확하게 나타낸 것) 음색의 차이에 따라 특 정의 주파수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포먼트는 제각기 발 생하는 원인에 따라 특징이 나타난다. 섞이며 발생하는 사건들은 공포와 긴장을 배가시키며 서스펜스를 이어가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특이한 점 은 환영으로 인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성수는 누군가
청점운용을통한사운드연출 55 의속삭임과알수없는비현실적인소리들을반복적으로듣게된다는것이다. 관객들은이후그소리가들려오면새로운사건이발생하리라는것을예측하게되고다음상황을준비하게된다. 이는분명한형상을통해구체적의미로작용하는시각적요소와는달리, 실체는모호하지만관객의감성에뉘앙스전달도구로활용되는청각적요소의특성으로인해연출가능한현상이다. 몇몇공포영화에서사용된효과음들을실생활에서들었을때영화의일부장면이연상되는것도이미관습화된사운드에대한학습효과이다. 3. 현실을확장하는사운드와일상성의사운드 1.1 사운드의단절특정공간이가지는비화면영역의배경음들은시공간의통일성과연결성을강화하거나변화하는상황의부연설명등다양한보조적역할을하고있다. 마을에퍼지는개짖는소리나도시의경적같은구체적인음향에서부터조용한도서관, 아무도없는실내공간의미세한잔향에이르기까지모든공간에는나름의소리가존재한다. 실제세상의모든장소는자체적으로독특한정적을갖고있으며, 경우에따라대사사이의이음새에삽입되어일련의감정을창출하는 [13] 용도로도사용되고있다. 그림 10. 선상그림 11. 선실내부 그림 12. 선상과선실내부의배경음연결 [ 그림 12] 의웨이브폼은 < 해무, 2014> 중선실에숨겨둔밀입국자들의죽음을발견하는장면인 [ 그림 10] 과선장의살인을목격한후숨죽이고숨어있는장면 [ 그림 11] 의배경음을연결한것이다. 이두장면의사운드는파형에서알수있듯이실제관객에게는아무런소리도들리지않는 정적 으로인식된다. 그러나 [ 그림 10] 의선상과 [ 그림 11] 의선실은실제다른성격의정적을가지고있으며, 영화에서도무음으로들리던부분을확대해보면 [ 그림 13] 과같이파형의높이와주파수의불규칙성이달라지는것을확인할수있다. 그림 13. 장면연결사운드의확대배경음의단절은음향효과적측면에서단순한소리의제거가아니다. 소란스러운시퀀스뒤에정적의느낌으로배경음이사용될때, 정적은중립적인공백이아니라시공간적대조의결과물이다. [ 그림 10] 의장면에서는파도소리와엔진소음그리고시시껄렁한농담들의사운드가시끄럽게뒤섞여있다가갑자기조용해지며선상의배경음만이남게되고, 그순간관객들은자연히긴장하게된다. 일반적으로돌발적인강력하고날카로운소리는실제주변음과의상이함으로인해불안감을조성한다. 그러나정적또한발생중인다른복잡한음향의부재를강조하여더욱큰긴장과두려움을유도할수있기때문이다. 관객들은이정적과함께예상하지못했던밀입국자들의떼죽음을마주하게된다. < 아저씨, 2010> 에서는주관적청점을이용한사운드단절을통해효과적으로심리적충격을연출하고있다.
5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 Vol. 14 No. 11 법은 시점편집이다. 민지의 가족을 위협하는 정체불명 의 살인자가 집 주변에 숨어있다는 정보를 알고 있는 관객은, 민지가 아이들만 남겨둔 채 외출을 하자 조마 조마 해진다. 그 심정은 집안에서 불안해 떨고 있는 아 이들의 내적긴장을 통해 표출된다. [그림 16]과 같이 아 그림 14. 사운드의 단절 [그림 14]의 태식은 범죄조직의 보스를 추격하던 중 이들의 표정 변화와, 시선의 움직임에 따른 시점 숏으 로 구성된 이 장면은, 후반부로 갈수록 클로즈업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열려진 트렁크 안에서 소미 엄마의 시신을 보게 된다. 그 순간, 계속 들려오던 빗소리는 갑자기 사라지고 영 화의 배경음은 완전한 무음, 정적의 상태가 된다. 이것 이 또 다른 관점에서의 청점을 활용한 서스펜스의 예 다. 태식은 아무소리도 들리지 않을 만큼의 충격을 받 았고, 태식의 주관적 청점에 노출된 관객은 순간적으로 장기적출이라는 사건의 핵심에 몰입하게 된다. 그림 16. 시점편집 이 시퀀스가 가지는 음향의 대표적인 특징은 음악을 포함한 사운드의 음량구조에서 발견할 수가 있다. 집으 로 돌아온 민지와 침입자의 몸싸움으로 시작되는 음악 그림 15. 배경음의 소멸 은 스트링 트레몰로로 구성되어있으며 특이한 점은 후 반부로 갈수록 사운드음량은 줄어들고, 특히 저음역이 [그림 15]의 웨이브 폼을 보면 사운드가 상대적으로 순차적으로 사라지는 구조를 가진 점이다. 작아지거나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소멸되는 것 같은 상 황을 확인 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들리던 소리가 어느 순간 갑자기 사라질 때, 관객은 자신도 모르게 변화를 느끼지만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없음으로, 상황을 이해 하고자 몰입하게 된다. 넓은 골프장에 비가내리고 한 무리의 경찰이 소리치며 달려오지만 그 어떤 소리 하나 듣지 못함으로, 알 수 없는 공포를 스스로 연출 하게 되 는 것이다. 일상적인 사운드의 단절과 정적은 지극히 자연스러 운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타인의 청점을 기준으로 한 인위적사용은 강력한 파열음보다 더욱 효과적인 몰입 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1.2 시점과 청점의 운용 <숨바꼭질, 2013>에서 긴박감을 고조시키는 주요기 그림 17. 웨이브 폼과 포먼트 [그림 17]의 웨이브 폼을 보면 시간의 진행에 따라 주 파수의 폭이 좁아지며 사운드의 음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 포먼트분석을 보면 도입부의 주파 수 분포는 150hz, 250hz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이후 375hz, 1.5khz로 높아져 마지막 부분에는 저음부분이 사라진 1khz의 포먼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음량고조를
청점운용을통한사운드연출 57 이용한일반적인긴장상승유도와전혀다른패턴으로서, 고음을강조하여긴장을유발하는독특한사운드의구성이다. < 나는비밀을알고있다, 1957> 의앨버트홀장면에서긴박감을고조시키는주요기법또한시점편집이다. 이장면은후반부로갈수록숏의지속시간이줄어드는점증고조편집구조를이루고있으며음악또한쇼트 117 이전과이후로나뉘어음악의빠르기와음량이두배이상차이가나는특징을보인다. 그림 18. 앨버트홀의사운드 [ 그림 18] 에나타난앨버트홀전체사운드파형을보면전반부의패턴반복주기에비해후반부의주기가짧은것을알수있으며, 파형의크기에있어서도후반부의폭이높아, 계속적으로볼륨과빠르기가증가하는것을알수있다. 청점의기준에서이두장면의사운드구성차이를분석해보면다음과같다. 앨버트홀의경우조와관객은음악이끝날때심벌소리와함께암살이시도된다는것을알고있다. 음악이종지부를향해갈수록더욱더긴장하게되고어떤결정을내려야할지혼란스러워진다. 이때들려오는연주회의음악은날카롭고시끄럽고더욱복잡하게느껴질수밖에없으며, 영화의사운드또한점차고조된다. 그러나민지의경우는아직사건의내막을파악하지못한입장에서, 가족의위험을해결하는과정이므로점증고조가아닌단순긴장조성으로사운드가연출되었다고볼수있다. 카메라앵글이나편집을통한영상구성에있어시점을토대로한심리적인표현은일반화되어있다. 음악과사운드에대한운용또한심리상태에따른청점분석을활용한다면더욱다양한몰입장치로활용이가능할것이다. 1.3 청점운용의한계영화에서일반적으로발생하는사운드는객관적인 3 인칭시점에해당하는것이며이는그장소그상황에서자연스럽게들을수있는소리들을의미한다. 따라서사건의발생이나변화는내러티브의전개와함께관객이충분히동감할수있게진행된다. 그러나일상생활과동일한객관적인사운드로는통화나귓속말하는모습의대화내용을알수는없기때문에, 등장인물의내면적상태까지파악하는것은불가능하다. 지금까지의분석을통해 시점 과동일하게 청점 도심리적으로연관될수있는여러가지의미를가지며, 영화를통해제공된소리들은상당부분누군가의주관적청점으로운용된다는것을알수있었다. 주로음성을대상으로한 주관적청점 은영상과동기, 컷의길이에따른편집점, 효과음과대사의간섭, 그리고인물, 배경, 시간의경과에따른청점주체의조절로심리적표현이가능하다. 그러나소리의발생위치나방향을의미하는공간적청점의경우독립적인의미부여도구로작용한다고보기에는무리가있다. 이는들리는소리의방향으로음원이있는위치를추론하기에한계가있으며, 인간의청각이가지는일반지향적특성과소리가가지는반사, 회절등의다양한물리적현상들때문이다. 그림 19. 공간적청점 [ 그림 19] < 감시자들 > 중거리에쓰러진동료를향한하윤주의흐느낌은안타까움과생환의희망을담고있다. 그러나이흐느끼는소리는특정위치에대한아무런정보도주지못한다. 도로소음과함께건물등다양한구조물에반사되어사방으로흩어지는음성은실제거리의청중들이듣더라도자신이위치한자리에상관
5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 Vol. 14 No. 11 없이, 반향음의미세한차이외에는대체로같은소리로들리기때문이다. 관객의입장도동일하게스크린지향적일수밖에없으며어디까지들리고어느방향에서들리는지에대한조절은불가능하다. 그림 20. 시점의변화그러나 [ 그림 20] 에서처럼어떤각도에서바라보느냐에따라윤주의시각적비전은즉각그위치를달리한다. 그러므로청점을시점처럼공간내의정확한위치라는의미로얘기할수없으며, 한인물을대상으로한소리는, 시각적재현과조합되어야만실체가결정된다. 즉, 청점은시점과같은효과를위해사용하지만, 시점과는다른방식으로운용되어야하며사운드를활용한연출에있어서공간적인위치의개념은반드시시점과일치해야한다. 사운드를사용한독립적인연출은주관적청점의설정에서시작되며, 주관적청점만이가능하다고제한할수도있다. Ⅲ. 결론소리가어디에서무엇때문에발생했다고판단하게되는근거는잡다한여러가지동기들로인해이루어진다. 특히미디어를통한반복적인노출에익숙해진현대인들은특정소리가일정한원인으로인해들리는것으로인식하거나인식한것처럼믿는데, 그것은이미각인된일정한형태와면모를갖춘소리들이기때문이 다. 따라서사운드가연출의도구로서그정당성을입증받으려면목적에따른의도적인청각적요소의운용을통해독창적인이미지전달에기여해야한다는결론에이르렀다. 본연구에서는 청점운용 이라는방법론에제한을두고몇가지사운드연출의방식을유추해보았다. 우선, 일상에서경험할수없는청각적이미지를활용하여, 작품전체의동일화구축에병행할수있어야한다. 객관적이며일반적인사운드가아닌의도된청점의소리로시공간의통일성과연결성그리고내러티브의전개에따른사실성을확보해야한다. 둘째작품에등장하는특정사운드가반복적으로사용되어추론을이끌어내는도구로서활용되어야한다. 장르영화의관습과흡사한역할을사운드가담당하여, 특정소리가상황에대한인식을조성할수있도록운용되어야한다. 셋째교차편집, 시점숏, 클로즈업등화면의변화에따른독립적인사운드의구성이설계되어야한다. 화면변화가관객의특정반응을목적으로사용되듯이사운드또한영상의변화에대응하는기준을확보하여교차음향, 청점사운드, 음향강화등의독립적인운용이이루어져야한다. 물론, 소리와영상의결합을통해발생되는추가가치는자연스러운객관적사운드의운용을통해서의도치않게발생할수도있으며, 과도하게의도된사운드는영상과의불일치로인해최악의결과를낳을수도있다. 그러나단순히영상에부합되는보조적인역할의사운드디자인을사운드연출로보기에는부적절하며, 목적에따른구체적인의도가반영된사운드디자인으로새로운이미지를제시하려는연구가우선되어야만사운드를활용한영화적연출이라할수있을것이다. 앞으로청점운용뿐아니라다양한요소를통한사운드연출의방법론제시가이어져서제기된기준에대한문제점개선이이루어지길기대한다.
청점운용을통한사운드연출 59 참고문헌 [1] 정헌, 영화기술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 로저맨벨, 존헌틀리공저, 최장권역, 영화음악의기법, 영화진흥공사, 1987 [3] 미셀시옹저, 윤경진역, 오디오- 비전 : 영화의소리와영상, 한나래, 2003. [4] 황은희, 공간디자인에나타나는영화적특성에관한연구 : 영화의환영주의적이미지를표현하는특성을중심으로, 건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42, 2003. [5] 최병근, " 영화제작에서의공간연출에관한연구 ", 영상기술연구, 제15호, p.149, 2011. [6] 김의준, 히치콕의작품 (The Man Who Knew Too Much) 의써스펜스구축과정에대한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7, 1993. [7] 미셀시옹, 오디오- 비전 : 영화의소리와영상, 한나래, 2003. [8] 정민아, " 이미지없는목소리아쿠스메트르에대하여 ", 영화연구, 제35호, p.203, 2008. [9] 이병양, 알프레드히치콕영화의서스펜스영화기법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2, 1993. [10] 미셀시옹저, 박선주역, 영화의목소리, 동문선, 2005 [11] 미셀시옹, 지명혁역, 영화와소리, ( 주 ) 민음사, 2000. [12] 신강호, 명장면으로영화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3] 미셀시옹, 오디오 -비전: 영화의소리와영상, 한나래, 2003. 저자소개김은동 (Eun-Dong Kim) 정회원 2000년 8월 : 명지대학교연극영화교육학 ( 석사 ) 2014년 8월 : 동국대학교영상대학원 ( 박사수료 ) 2002년 5월 ~ 현재 : ( 사 ) 한국영화기술단체협의회사무국장 2012년 9월 ~ 현재 : 우송대학교방송미디어학부겸임교수 < 관심분야 > : 사운드디자인, 음향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