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Naled 급성독성 - 경구 (.) 급성독성 - 경피 (.) 피부부식성 / 자극성 (.) (.) 수생환경유해성 - 급성 (.) H0 H H5 H9 Nitrobenzene 급성독성 - 경구 (.) 급성독성 - 경피 (.) 급


26(1)-11(김기준).fm

사고시나리오선정에관한 기술지침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IUPAC. ( ( IUPAC.) : (common name), IUPAC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2 -

ROK-WhitePaper(2000).hwp

방폭구조.PDF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untitled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BN H-00Kor_001,160

untitled

x4- Manualb61¹³»¿ëš

스마트주택용분전반_160331

쓰리 핸드(삼침) 요일 및 2405 요일 시간, 및 요일 설정 1. 용두를 2의 위치로 당기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를 설정합니다. 2. 용두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요일을 설정합니다. 3. 용두를 3의 위치로 당기고 오늘 와 요일이 표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온습도 판넬미터(JTH-05) 사양서V1.0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 2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D 2117(121130)

- 2 -

<B4D9BDC3BEB4C0AFB1E2C8ADC7D02D34C6C72D35BCE2C3D6C1BE28B1B3BBE7292E687770>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

- 1 -

월호 - 내지전체4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36 Chap 20 : Conjugated Systems 20.1 Stability of Conjugated Dienes Diene : 2 개의 C=C 이중결합을가진화합물 C 1,4-Pentadiene 1,3-Pentadiene 1,2-Pentadiene (unconj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³»Áö_10-6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Hanna Instruments S.R.L. HI ph 7.01 Buffer Solution 개정번호 출력날짜 페이지 Safety Data Sheet U.S.A. Federal Hazcom 2012 Canad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전기 회로 과목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 ** *** ****

NIER-SP

성인지통계

\\fscl03\authoring\msdgen_docs\archives\msds_ko\korean\ pdf

등록신청및등록완료 ( 등록통지서발급 ) 물질현황최초등록신청및등록통지기준. 211 종등록신청, 40 종등록통지 [ :00] 번호고시번호물질명 CAS.No 등록통지일비고 1 9 1H-1,2,4-Triazol-3-amine ; 3-Amino-1H-1,2,

슬라이드 1

<B9E6C6F8B1D4C1A428C7D1B1DB292D312E687770>


Hein and Arena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hwp

¾Æµ¿ÇÐ´ë º»¹®.hwp

»¶¥ı_0124

hwp

KBO_보일러 사용기술 규격_에너지관리공단

기구명 ph meter volumetric flask Erlenmeyer flask mass cylinder 뷰렛비이커 pipet 저울스탠드 & 클램프 isotonicity 측정기 필요량 500ml짜리 1개, 50ml짜리 5개, 100ml짜리 1개, 250ml짜리 6개

Microsoft PowerPoint - 부교재_자동차생활_34.파워 윈도우,도어록,와이퍼 사용법 [호환 모드]

Normal.dot

04 Çмú_±â¼ú±â»ç

FGUYPYUYJJHU.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Agarose NA, 100 g 성분명 이명 CAS번호 % Agarose Agarose gel beads; Sepharose 공급자의 현재 지식범위 내에서, 또한 적용가능한 농도내에서 건강이나 환경에 대한 유해물로 분류되어 이 항에 보고되어야 하는

첨단기술과세계표준기술의 Agilent 인증시린지필터 GC, LC, MS 를사용하는실험실에필수아이템애질런트프리미엄필터 (Certified) 많은시료를분석하는 QC/QA 실험실에적합한애질런트이코노필터 ICP-MS, ICP-OES, AA 무기물분석전필터를위한애질런트시린지필터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16<C624><D22C><ACFC><D0D0> <ACE0><B4F1><BB3C><B9AC><2160>_<BCF8><CC45>.pdf

<BDC7C7E820C6F3BCF620C0FAC0E5BFEBB1E220C6F8B9DF20BEC6C2F7BBE7B0ED B3E220BFACB1B8BDC720BEC6C2F7BBE7B0EDBBE7B7CA20B0F8B8F0C0FC20C3D6BFECBCF6C0DB292E687770>


*12월영상 내지<265턁

슬라이드 1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R hwp

CC hwp


기술인 10월호b63뼉?일

와플-4년-2호-본문-15.ps

CONTENTS

소화설비규정

Contents 01. 안전을 위한 주의 사항 터치형 멀티 조절기 각부 명칭 터치형 각방 조절기 각부 명칭 조절기 난방/정지 하기 조절기 외출 /해제하기 조절기 반복난방 하기 조절기 예약난방 /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나하나로 5호

SMT Kor.indd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1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바. 발암성 * 산업안전보건법 : 미규정 *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 아니오 * 미국 국립독성프로그램(NTP) : 아니오 * 국제 발암성연구소(IARC) : 아니오 * 미국 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 : 자료없음 4. 응급조치 요령 가. 눈에 들어갔을 때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Transcription:

< > Ⅰ. 1 1. 1 2. 2 2.1 2 2.2 3 2.2.1 3 2.2.2 4 2.2.3 5 2.2.4 5 2.2.5 6 Ⅱ. 8 1. 8 1.2 10 1.2.1, 10 1.2.2 28 1.2.3 33 1.3 34 1.3.1 / 34 1.4 36 1.4.1 36 1.4.2 / 38 1.4.3 43 1.4.3 52 1.5 74 1.5.1 74 1.5.2 76 2. 81 2.1 81 2.1.1. 81 2.1.2. 84 2.1.3 99 2.1.4 EPA 110 2.2 122 2.2.1 122 2.2.2 123 2.2.3 127 2.3 134 2.3.1 134 2.3.2 134 2.3.3 WMD 145 2.3.4 GDK 145 2.4 148 2.4.1 148 2.4.2 148 2.5, 158 2.5.1 158 2.5.2 160 2.6 161 2.7 163 2.7.1 163 2.7.2 163 2.8 170 3 174 3.1 / 174 3.1.1 181 3.2 185 3.2.1 / 185 3.2.2 189 3.2.3. 190 3.3 194 3.3.1 194 3.3.2 195 3.3.3 200 3.3.4 206 3.3.3. 210 4.1 239 4.1.1 239 4.1.2 / 242 4.2 243 4.2.1 243 4.2.2 245

4.2.3 245 4.2.4 247 4.3 247 4.3.1 247 4.3.2 252 4.3.3 257 4.3.4 258 4.4 259 4.4.1 259 4.4.2 (Risk Management) 263 4.4.3 268 4.5 276 4.5.1 276 4.5.2 281 4.6 284 4.6.1 (Emergency Operation Plan: EOP) 284 4.6.2 () 289 4.6.3 292 4.6.4. 293 4.6.5 298 4.6.6 300 4.7 302 4.7.1 302 4.7.2 303 5. 311 5.1 311 5.1.1 311 5.1.2. 311 5.2 313 5.2.1 313 5.2.2 314 5.3 () 316 5.3.1 316 5.3.2 316 Ⅱ. 318 5.4 318 5.4.1 318 5.4.2 318 5.5 320 5.5.1 320 5.5.1.1 320 5.5.1.2 320 5.5.1.2 320 5.5.1.3 320 5.5.2 321 5.6 324 5.6.1 KM8 324 5.6.2 KM9 324 5.6.3 Water test kit 325 5.6.4 Smart strip kit 327 5.6.5 Classifier strip kit 328 5.7 330 5.7.1 CDS 330 5.7.2 330 5.8 331 5.8.1 Chempro 100 331 5.8.2 (APD-2000) 335 5.8.3 (CAM2) 337 5.8.4 HAPSITE 340 5.9 344 5.10 353 5.11 355 5.11.1 355 5.11.2 356 5.11.3 356 5.12 358 362 371 1-1. 372 1-2. 379 1-3. PIC ( Ⅲ) 381 1-4. ITF-25 383 1-5. EPCRA Section 302 (EHS) 385 1-6. CAA Section 112 392

1-7. 38 396 1-8. 56 397 1-9. 399 1-10. (AEGL) 427 1-11. (ERPGs 2006) 441 2-1. Homeland Security Presidential Directive/HSPD-5 444 2-2. Homeland Security Presidential Directive/Hspd-7 449 3-1 (2004) 455 3-2 119 457 4-1 459 3 EOP 471 5 482 4-2 497. ( ) 503. ( ) 503 4-3, 513 4-4 520 4-5 548 4-6 564 1. (56) 577 2. (19) 605 3. 624 4. GC/MS 625 < > 1-1. CWC 12 1-2. 13 1-3. 14 1-4. (63) 15 1-5. 16 1-6. SCPOP 18 1-7. : 22 1-8 PIC ( Ⅲ, 38) 23 1-9. ITF-25 25 1-10. ITF-25 (98) 27 1-11. CAA Section 112 (195) 32 1-12. 38 33 1-13. 56 34 1-14. 35 1-15. 37. 1-16. 39 1-19. 40 1-18. 41 1-19. 41 1-20. 42 1-21. 43 1-22. 50 1-23. 51 1-24. 51 1-25. (ʼ88~ʼ04) 52 1-26. 61 1-27 70 1-38. (10) 73 1-29. 74 1-30. 77 1-31. 78 2-1. 83 2-2. 84 2-3. 85 2-4. PDD 85

2-5. NSPD HSPD 86 2-6. EO 87 2-7. NRP 88 2-8. NRP 90 2-9. NRP 91 2-10. NRP 15 97 2-11. 101 2-12. FEMA 103 2-13. NRP NCP 112 2-14. NRS 113 2-15. NRS 114 2-16. Office of Emergency Management 115 2-17. 118 2-18. 123 2-19. 124 2-20. (47) 2 126 2-21. 127 2-22. 131 2-23. 138 2-24. 144 2-25. 17 154 2-26. 159 2-27. 159 2-28. 167 2-29. 170 2-30. 172 3-1. () 179 3-2. 184 3-3. 188 3-4. 188 3-5. 190 3-6. (GB) (1) 191 3-7. (GB) (2) 191 3-8. (TGD)/VX 192 3-9. HD 192 3-10. 192 3-11. / 193 3-12. 195 3-13. 197 3-14. 199 3-15. 200 3-16. 205 4-1. 244 4-2. 253 4-3. 5 267 4-4. 270 4-5. 271 4-6 (2005 1 1 ) 276 4-7 (4 ) 277 4-8 278 4-9 (2004) 278 4-10 (2004) 279 4-11 309 4-11 () 310

< > 1-2. ITF-25 25 1-3. 29 1-4. EHS 31 1-5. CAA Section 112(r) 31 1-6. 53 1-7. 60 1-8. 60 1-9. 74 2-1. NIMS 93 2-2. 15 ESF 98 2-3. 99 2-4. NRP 100 2-5. FEMA 104 2-6. 107 2-7. 2007 ( $42,718,822,000) 107 2-8. WMD (DOD) 109 2-9. NIMS NRP 110 2-10. 112 2-11. Office of Emergency Management 115 2-12. 125 2-13. 125 2-14. 128 2-15. MAMAD MAMAK 136 2-16. 136 2-17. 137 2-18. 137 2-19. 139 2-20. ( ) 142 2-21. 144 2-22. 3 150 2-23. Multi-agency coordination group 155 2-24. 156 2-25. PROTECT 162 2-26.. 162 2-27.,,, 164 2-28. 168 2-29. 169 2-30. 169 2-31. 173 3-2 197 3-3 198 3-5. 202 3-6. 203 3-6. 210 3-7. 213 4-1. (1) 255 4-2. (2) 256 4-3. (3)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STEP 1 STEP 2 초기대상물질 1,164 종 156 종 98 종 총점수 625 점중 81 점이상 High; 36 80 점 medium; < 36 점 Low LCt 50 <100,000mg.min/m 3 상온에서의물질상태및평가가능한증기압보유여부 * ( 기체상태물질 ) 한시설에서의생산량 30 톤 / 년이상 Hazard Index = f {(toxicity) (state) (distribution) (producers)} = 5 4 여기서, Toxicity (IDLH**), Physical state (Vapour Pressure), Distribution ( 사용국가수 ), Producers ( 생산자수 ) * 상온에서고체인것이나, 증기압측정불가능한것은제외, 흡입위험고려 **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of humans - 24 - - 25 -

- 26 - - 27 -

환경보호청 (EPA) 산업안전보건청 (OSHA) 관련법령 - 28 - - 29 -

Primary Listing Criteria RTECS (Registry of Toxic Effects of Chemical Substances ) 자료에기초 (79,000 여종 ) Inhalation LC 50 0.5 mg /L (exposure time 8 시간이하 ), 또는 Dermal LD 50 50 mg / kg, 또는 Oral LD 50 25 mg / kg For mammals 1 차선별 Criteria 1 [ 독성, EHS 와동일 ] Inhalation LC 50 0.5 mg /L (exposure time 8 시간이하 ), 또는 Dermal LD 50 50 mg / kg, 또는 Oral LD 50 25 mg / kg Secondary Listing Criteria * - Large volume production (13,600 톤이상 ) - Inhalation LC 50 2 mg /L (exposure time 8 시간이하 ), 또는 - Dermal LD 50 400 mg / kg, 또는 - Oral LD 50 200 mg / kg For mammals 전체 356 종 2 차선별추가 그림 1-4. EHS 도출을위한기법 초기화학물질 *Primary criteria 에해당하는물질수가적음. Criteria 3 [Flammability Criteria] - NFPA flammability rating 4 기준적용 ( 인화점 22.8 이하, 끓는점 37.8 이하 ) Criteria 2 [ 물리적상태 ] 증기압 0.5mmHg 이상인물질 사고기록성물질 77 종 63 종 전체 139 종 그림 1-5. CAA Section 112(r) 에서의대상물질선정기법 - 30 - - 31 -

물질명 Hydrochloric acid (anhydrous), Methyl chloride[methane, chloro-], Toluene 2,4-diisocyanate [Benzene, 2,4-diisocyanato-1-methyl-]1 Toluene 2,6-diisocyanate [Benzene, 1,3-diisocyanato-2-methyl-]1 Toluene diisocyanate, Ammonia (anhydrous) Ammonia (conc 20% or greater) Bromine, Chlorine, Ethylene oxide [Oxirane], Hydrocyanic acid, Hydrogen fluoride/hydrofluoric acid, Hydrogen sulfide Methyl isocyanate, Phosgene[Carbonic dichloride], Sulfur dioxide (anhydrous), Sulfur trioxide, Vinyl chloride, Acrolein [2-Propenal], crylonitrile [2-Propenenitrile] 1,1-Dimethylhydrazine [Hydrazine, 1,1-dimethyl-], Acrylyl chloride, Allyl alcohol [2-Propen-1-ol], Allylamine [2-Propen-1-amine], Arsenous trichloride, Arsine, Boron trichloride, Boron trifluoride, Boron trifluoride compound with methyl ether (1:1) [Boron, trifluoro[oxybis[metane]]-, T-4- Carbon disulfide, Chloroform [Methane, trichloro-], Chloromethyl ether [Methane, oxybis[chloro-], Chloromethyl methyl ether [Methane, chloromethoxy-], Crotonaldehyde [2-Butenal], Crotonaldehyde, (E)- [2-Butenal, (E)-], Cyclohexylamine, [Cyclohexanamine], Diborane, Dimethyldichlorosilane [Silane, dichlorodimethyl-], Epichlorohydrin, [Oxirane, (chloromethyl)-], Ethylenediamine [1,2-Ethanediamine], Ethyleneimine [Aziridine], Fluorine, Formaldehyde(solution) Furan, Hydrazine, Hydrogen selenide Iron, pentacarbonyl-, Isobutyronitrile [Propanenitrile, 2-methyl-] Isopropyl chloroformate, Ethyl chloride, Ethyl nitrite, Ethylamine, Ethylene, Hydrogen, Isobutane, Methane, Methyl ether, Methylamine, Propadiene [1,2-Propadiene], Propane, Propylene, Propyne, Silane, Tetrafluoroethylene, Trifluorochloroethylene, Trimethylamine, Vinyl acetylene, Vinyl fluoride, Vinyl methyl ether, Vinylidene, fluoride, 1-Chloropropylene, 1-Pentene, 2-Chloropropylene, 2-Methyl-1-butene, 2-Pentene, Acetaldehyde, Ethyl ether, Ethyl mercaptan, Isopentane, Isoprene, Isopropyl chloride, Isopropylamine, Methyl formate, Pentane, Tetramethylsilane, Trichlorosilane, Vinyl ethyl ether, Vinylidene chloride, 1H-Tetrazole, 5-Nitrobenzotriazol, Ammonium nitrate, Ammonium perchlorate, Ammonium picrate, Barium azide, Cyclotetramethylenetetranitramine, Cyclotrimethylenetrinitramine, 물질명 Diazodinitrophenol, Diethyleneglycol dinitrate Methacrylonitrile [2-Propenenitrile, 2-methyl-], Methyl chloroformate, [Carbonochloridic acid, methylester], Methyl hydrazine [Hydrazine, methyl-], Methyl mercaptan [Methanethiol], Methyl thiocyanate [Thiocyanic acid, methyl ester], Methyltrichlorosilane [Silane, trichloromethyl-], Nickel carbonyl Nitric acid (conc 80% or greater), Nitric oxide, Peracetic acid [Ethaneperoxoic acid], Perchloromethylmercaptan, Phosphine, Phosphorus oxychloride, Phosphorus trichloride, Piperidine, Propionitrile, [Propanenitrile], Propyl chloroformate [Carbonochloridic acid, propylester], Propylene oxide [Oxirane, methyl-], Propyleneimine [Aziridine, 2-methyl-], Sulfur tetrafluoride, Tetramethyllead, [Plumbane, tetramethyl-], Tetranitromethane [Methane, tetranitro-], Titanium tetrachloride, Trimethylchlorosilane [Silane, chlorotrimethyl-], Vinyl acetate monomer [Acetic acid ethenyl ester], Chlorine dioxide, Cyanogen chloride, Hydrochloric acid, Oleum, 1,3-Butadiene, 1,3-Pentadiene, 1-Butene, 2,2-Dimethylpropane, 2-Butene, 2-Butene-cis, 2-Butene-trans, 2-Methylpropene, 3-Methyl-1-butene, Acetylene, Bromotrifluorethylene, Butane, Butene, Carbon oxysulfide, Chlorine monoxide, Cyanogen [Ethanedinitrile], Cyclopropane, Dichlorosilane, Difluoroethane, Dimethylamine, Ethane, Ethyl acetylene, Hexanitrostilbene, Hexolite, Lead azide, Lead styphnate, Mannitol hexanitrate, Mercury fulminate, Nitro urea, Nitrocellulose Nitroglycerin, Nitroguanidine or Picrite, Nitrostarch, Nitrotriazolone, Pentaerythrite tetranitrate, Tetranitroaniline, Trinitroaniline or Picramide, Trinitroanisole, Trinitrobenzene,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rinitrobenzoic acid, Trinitrochlorobenzene or Picryl chloride, Trinitro-meta-cresol, Trinitronaphthalene, Trinitrophenetole, Trinitrophenol or Picric acid, Trinitrophenylmethyl nitramine or Tetryl, Trinitroresorcinol or Styphnic acid, Trinitrotoluene, Tritonal, Urea nitrate, Black powder, Bombs, photo-flash, Bombs, with bursting charge, Detonator assemblies, Dinitroglycoluril or Dingu, Dinitroresorcinol, Dipicryl sulfide, Flares, Fuze, Guanyl nitrosaminoguanylidene hydrazine, Hexotonal, Octolite or Octol, Octonal, Pentolite, Torpedoes, Trinitrofluorenone, Dinitrophenol Guanyl nitrosaminoguanylte trazene, Dipicrylamine or Hexyl, 물질명 2-Chloroethanol, 2-Chloroethydiethyl ammonium chloride Acrolein Amiton Ammonia Ammonium bifluoride Arsenic trichloride Bromine Chlorine Chloropicrin Cyanogens chloride Ethylene oxide Hydrogen chloride Hydrogen cyanide Hydrogen fluoride Hydrogen selenide Mechlorethamide Methyl bromide Methyl chloride 물질명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cyanate Mustard Paraquat Phosgene Phosphine Phosphorus oxychloride Phosphorus pentachloride Phosphorus pentasulfide Phosphorus trichloride Potassium cyanide Potassium fluoride Sarine Sodium cyanide Sodium fluoride sulfur monochloride sulfuric acid Thionyl cholride Toluene - 32 - - 33 -

물질명 Formaldehyde Mehtyl hydrazine Formic acid Methanol Benzene Methyl Chloride Methyl amine Hydrogen cyanide Vinyl chloride Carbon disulfide Ethylene oxide Phosgene Trimethylamine Propylene oxide Methyl ethyl ketone Methyl vinyl ketone Acrylic acid Methyl acrylate Nitrobenzene 1-Methyl-4-nitrotoluene Benzyl chloride Acrolein Allyl chloride Acrylonitrile Ethylene diamine Allyl alcohol m-cresol Toluene Ethyl acetate 물질명 Sodium cyanide Ethylenimine Toluene-2,4-diisocyanate(TDI) Carbon monoxide, gas Acryloyl chloride Zinc phosphide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Isophorone diisocyanate Sodium Hydrochloric acid (Hydrogen Chloride) Hydrogen fluoride, gas Ammonia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us trichloride Fluorine Chlorine Hydrogen sulfide Arsine Chlorosulfonic acid Phosphine Phosphorus oxychloride Chlorine dioxide Diborane Phenol. liquid Butylamine Triethylamine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ʼʼ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65 -

- 66 - - 67 -

- 68 - - 69 -

SMALL SPILLS (From a small package or leak from a large package) SMALL SPILLS (From a small package or leak from a large package) 번 호 CAS No NAME OF MATERIAL First ISOLATE in all Directions Then PROTECT persons Downwind during- First ISOLATE in all Directions Then PROTECT persons Downwind during- 우선 순위 Meters DAY NIGHT DAY NIGHT (feet) Meters (feet) Kilometers (Miles) Kilometers (Miles) Kilometers (Miles) Kilometers (Miles) 1 50-00-0 Formaldehyde High 2 67-66-3 Chloroform High 3 74-87-3 Methyl Chloride High 4 1975-01-04 Vinyl chloride High 5 75-15-0 Carbon disulfide High 6 75-21-8 Ethylene oxide 30m 100ft 0.1km 0.1mi 0.2km 0.1mi 90m 300ft 0.8km 0.5mi 2.4km 1.5mi High 7 75-56-9 Propylene oxide High 8 77-47-4 Hexachlorocyclopentadiene 30m 100ft 0.1km 0.1mi 0.1km 0.1mi 60m 200ft 0.4km 0.3mi 0.5km 0.3mi High 9 77-78-1 Dimethyl sulfate 30m 100ft 0.1km 0.1mi 0.1km 0.1mi 60m 200ft 0.5km 0.3mi 0.8km 0.5mi High 10 98-95-3 Nitrobenzene High 11 106-89-8 Epichlorohydrin High 12 107-13-1 Acrylonitrile High 13 107-18-6 Allyl alcohol 30m 100ft 0.1km 0.1mi 0.1km 0.1mi 60m 200ft 0.4km 0.2mi 0.6km 0.4mi High 14 108-91-8 Cyclohexylamine High 15 108-95-2 Phenol. liquid High 16 4098-71-9 Isophorone diisocyanate High - 70-17 7647-01-0 Hydrochloric acid(hydrogen Chloride) High 18 7664-39-3 Hydrogen fluoride, gas 30m 100ft 0.1km 0.1mi 0.5km 0.3mi 210m 700ft 1.9km 1.2mi 4.3km 2.7mi High 19 7664-41-7 Ammonia 30m 100ft 0.1km 0.1mi 0.1km 0.1mi 60m 200ft 0.6km 0.4mi 2.2km 1.4mi High 20 7664-93-9 Sulfuric acid 60m 200ft 0.4km 0.2mi 1.0km 0.6mi 330m 1000ft 2.5km 1.5mi 6.5km 4.0mi High 21 7681-49-4 Sodium fluoride High 22 7697-37-2 Nitric acid 30m 100ft 0.1km 0.1mi 0.2km 0.2mi 60m 200ft 0.6km 0.4mi 1.2km 0.8mi High 23 7719-09-07 Thionyl chloride 30m 100ft 0.3km 0.2mi 0.8km 0.5mi 90m 300ft 1.0km 0.6mi 2.2km 1.4mi High 24 7719-12-02 Phosphorus trichloride 30m 100ft 0.2km 0.1mi 0.4km 0.3mi 150m 500ft 1.5km 1.0mi 3.5km 2.2mi High 25 7782-50-5 Chlorine(CL) 30m 100ft 0.2km 0.2mi 1.2km 0.8mi 240m 800ft 2.4km 1.5mi 7.4km 4.6mi High 26 7790-94-5 Chlorosulfonic acid 30m 100ft 0.1km 0.1mi 0.1km 0.1mi 30m 100ft 0.3km 0.2mi 0.4km 0.3mi High 27 10025-87-3 Phosphorus oxychloride 30m 100ft 0.2km 0.2mi 0.4km 0.3mi 120m 400ft 1.0km 0.7mi 2.2km 1.4mi High 28 10035-10-6 hydrogen bromide 30m 100ft 0.1km 0.1mi 0.5km 0.3mi 180m 600ft 1.8km 1.1mi 5.7km 3.6mi High 29 26447-40-5 diphenylmethane-4'-diisocyanate High 30 107-07-3 2-Chloroethanol 30m 100ft 0.2km 0.1mi 0.3km 0.2mi 90m 300ft 0.8km 0.5mi 1.6km 1.0mi Medium 31 124-63-0 methanesulfonyl chloride 60m 200ft 0.4km 0.2mi 0.5km 0.4mi 150m 500ft 1.6km 1.0mi 2.6km 1.6mi Medium 32 302-01-2 Hydrazine Medium 33 1314-80-3 Phosphorus pentasulfide 30m 100ft 0.1km 0.1mi 0.6km 0.4mi 150m 500ft 1.0km 0.6mi 3.9km 2.4mi Medium 34 1314-84-7 Zinc phosphide Medium 35 1563-66-2 Carbofuran Medium 36 6923-22-4 Monocrotophos Medium 37 7726-95-6 Bromine 60m 200ft 0.5km 0.3mi 1.8km 1.1mi 330m 1100ft 3.3km 2.1mi 7.3km 4.6mi Medium 38 7789-23-3 Potassium fluoride Medium 39 7803-51-2 Phosphine 60m 200ft 0.7km 0.4mi 3.1km 1.9mi 450m 1400ft 4.3km 2.7mi 9.6km 6.0mi Medium 40 10026-13-8 Phosphorus pentachloride 30m 100ft 0.1km 0.1mi 0.5km 0.3mi 90m 300ft 0.8km 0.5mi 3.1km 1.9mi Medium 41 13171-21-6 Phosphamidon Medium 42 51-75-2 Bis(2-chloroethyl)methylamine(HN2) 30m 100ft 0.2km 0.1mi 0.2km 0.1mi 60m 200ft 0.5km 0.3mi 1.2km 0.7mi Low 43 78-00-2 Tetraethyl lead Low - 71 -

- 72 - 번 AEGL ERPG 호 CAS No 물질명 Level UNIT 10min 30min 1hr 4hr 8hr ERPG-1 ERPG-2 ERPG-3 AEGL 1 ppm 2.5 2.5 2.0 1.3 1.0 1 74-90-8 Hydrogen cyanide(ac) AEGL 2 ppm 17 10 7.1 3.5 2.5 NA 10 ppm 25 ppm AEGL 3 ppm 27 21 15 8.6 6.6 AEGL 1 ppm NR NR NR NR NR 2 75-21-8 Ethylene oxide AEGL 2 ppm 80 80 45 14 7.9 NA 50 ppm 500 ppm AEGL 3 ppm 360 360 200 63 35 AEGL 1 ppm NR NR NR NR NR 3 75-44-5 Carbonyl dichloride(phosgene, CG) AEGL 2 ppm 0.60 0.60 0.30 0.080 0.040 N/A 0.2 ppm 1 ppm AEGL 3 ppm 3.6 1.5 0.75 0.20 0.090 AEGL 1 mg/m 3 0.0012 0.00068 0.00048 0.00024 0.00017 4 107-44-8 O-Isopropyl methylphosphonofiuoridate(gb) AEGL 2 mg/m 3 0.015 0.0085 0.0060 0.0029 0.0022 AEGL 3 mg/m 3 0.064 0.032 0.022 0.012 0.0087 AEGL 1 ppm 1.8 1.8 1.8 1.8 1.8 5 7647-01-0 Hydrochloric acid(hydrogen Chloride) AEGL 2 ppm 100 43 22 11 11 3 ppm 20 ppm 150 ppm AEGL 3 ppm 620 210 100 26 26 AEGL 1 ppm 1.0 1.0 1.0 1.0 1.0 6 7664-39-3 Hydrogen fluoride, gas AEGL 2 ppm 95 34 24 12 12 2 ppm 20 ppm 50 ppm AEGL 3 ppm 170 62 44 22 22 AEGL 1 ppm 30 30 30 30 30 7 7664-41-7 Ammonia AEGL 2 ppm 220 220 160 110 110 25 ppm 150 ppm 750 ppm AEGL 3 ppm 2,700 1,600 1,100 550 390 AEGL 1 mg/m 3 0.20 0.20 0.20 0.20 0.20 8 7664-93-9 Sulfuric acid AEGL 2 mg/m 3 8.7 8.7 8.7 8.7 8.7 2 mg/m 3 10 mg/m 3 30 mg/m 3 AEGL 3 mg/m 3 270 200 160 110 93 AEGL 1 ppm 0.50 0.50 0.50 0.50 0.50 9 7782-50-5 Chlorine(CL) AEGL 2 ppm 2.8 2.8 2.0 1.0 0.70 1 ppm 3 ppm 20 ppm AEGL 3 ppm 50 28 20 10 7.1 AEGL 1 ppm NR NR NR NR NR 10 10025-87-3 Phosphorus oxychloride AEGL 2 ppm NR NR NR NR NR AEGL 3 ppm 1.1 1.1 0.85 0.54 0.27-73 -

- 74 - - 75 -

- 76 - - 77 -

- 78 - - 79 -

- 80 - - 81 -

- 82 - - 83 -

- 84 - - 85 -

Executive Orders - 86 - - 87 -

- 88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 100 - - 101 -

- 102 - - 103 -

- 104 - - 105 -

수석재정관 수석정보관 수석인적자본관 수석조달관 행정서비스실 사적부문장관특보 국가자본지역조정실 주 지역정부조정실 법사실 공보실 국제업무실 마약업무실 시민권 이민국장 시민권 이민국옴부즈맨 해안경비대사령부 감사관 법률고문 시민권익담당관 사생활실장 보안국장 정보분석및관리차관과학 기술차관국경 교통안보차관비상대비 대응차관기간시설보호차관 기획 프로그램 예산차관보 국토안보고등연구설계국 연구 개발국 시스템공학 획득실 정보분석차관보 기반시설보호차관보 장관 부장관 세관 국경방어감독관 이민 세관집행차관보 국경 수송보안정책차관보 수송보안행정실 - 106 - - 107 -

화생무기사고발생 지방정부능력초과? 아니오 국방부대응필요없음 스태포드법 근접국방부조직이즉각대응 민간지원팀출동 ( 국내의경우 ) 예 예 지속적인생명과재산위협? 예 주정부능력 예 주정부능력초과? 아니오 아니오 국방부대응필요없음 국방부대응필요없음 예 LFA 가지원요청서제출 지원요청서승인? 아니오 국방부대응필요없음 예 예 주정부가국방부지원요청? 국내 해외 아니오 JTF-CS 최초대응개시 JFC 대응개시 국방부대응필요없음 - 108 - - 109 -

- 110 - - 111 -

- 112 - - 113 -

- 114 - - 115 -

- 116 - - 117 -

- 118 - - 119 -

- 120 - - 121 -

- 122 - - 123 -

대신관방 내각내각 (( 총리총리 )) 각성 (( 省 )) 10 10개성내각관방장관 大臣大臣정무관정무관 (3 (3명 )) 副大臣副大臣 (3 (3명 )) 내각관방부장관 (3 (3명 )) 국민생활국 사무차관 내각부심의관 (2 (2명 )) 장책총괄관 (( 경제경제재정 )) 내각관방위기관리조직 정책총괄관중앙방재회의 (( 방재담당 ) ) 내각위기관리감 (( 특별직특별직 )) 내각관방부장관보 (( 안전보장,, 위기관리담당 )) 위기관리심의관 내각부외청 궁내성, 금융청방위청, 소방청국가공안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 심의관심의관 참사관참사관 (5 (5명 )) 기획관기획관 (4 (4명 )) 방재통신관 내각부방재담당조직 내각참사관 (4 (4명 )) 내각사무관 - 124 - - 125 -

- 126 - - 127 -

중앙 ( 내각부 ) 도도부현 시구정촌 재난현장 2 단계 1 단계 재난종류와피해규모에따라도도부현지사가판단하여설치 재난종류와피해규모에따라시장이판단하여설치 소속실 국장 농지산림 : 농림수산과 주택관련 : 건축지도과 하천관련 : 토목과시청각담당실 과 긴급재해대책본부 ( 본부장 : 내각부총리대신 ) 비상재해대책본부 ( 본부장 : 방재담당大臣 ) 소규모재난 방재무선망 원자력재해대책본부 지진재해경계본부 재해대책본부 또는 위기관리대책본부 방재무선망 원자력재해대책본부 지진재해경계본부 재해대책본부 또는 위기관리대책본부 지사 부지사 정보공유 육상재난발생 방재무선망 방재무선망 방재무선망 시청위기관리실 과 ( 야간은방재당직실 ) 소방본부 / 소방서 위기관리실장 119 번 방재무선망 방재회선무선망 도도부현경찰본부 생명과재산을위협하는재난 해상보안청 소방청 도도부현해상보안관서 경찰전용망 경찰서 해상보안용전용망 110 번 선박해난사고 해상재난발생 118 번 - 128 - - 129 -

- 130 - - 131 -

- 132 - - 133 -

- 134 - - 135 -

북,, 중,, 남부사령부 (( 국경수비 )) 국방성 총참모부 내각 (( 수상 )) 경찰 Home Front Command 병력 :: 70,000 명 (( 현역 :: 3,000 명 )) 북부 댄 (Dan) 지역 하이파 (Haifa) 지역 예루살렘지역 중부 남부 MELACH (( 전시경제통제 )) 국가국가탐색탐색및구조대구조대 (NSRU) (National Search Search and and Rescue Unit) Unit) 탐색탐색및구조구조학교 - 136 - - 137 -

사람에게 확신감을 줄 수 있는 심리적인 장점도 있다. 표 2-23. 이스라엘 대피시설 내 비품 비치 목록 장비 구급킽 대피소 구급킽 음료수 탱크 쓰레기봉투 소화장비 램프 화학물질폐기장 4개 격실 16개 격실 32개 격실 또는 8 이하의 또는 32 이하의 또는 64 이하의 대피소면적을 가진 대피소면적을 가진 대피소면적을 가진 빌딩 빌딩 빌딩 1 리터 40 비고 1) 1 160 리터 1 320 리터 20 80 160 1 2 3 1 2 1 2) PVC 소화기, 소화갈고리 7시간 지속 화학물질폐기를위해 플라스틱으로제작 군인 및 비상사태 대응팀용 어른용 유아용 어린이용(3-7세) 중간사이즈 밴드 1개, 화상밴드 1개, 가위 1조, 안면마스크 1개, 라텍스장갑 23개, 구급가이드 1권, 개인용 밴드, 고정 옷걸이 3개, 거즈 3롤, 백팩 1개 2) 개인용 밴드 8개, 화상밴드 2개, 고정 옷걸이 10개, 거즈패드 20개, 부목 1개, 지혈기 1개, 접착테이 프 1롤, 거즈롤 3개, 가위 1조, 안면마스크 1개, 라텍스장갑 5개, 구급가이드 1권, 백팩 1개 1) 추가적으로 음식물 : 주석, 유리로 밀봉된 음식물 비상 램프 : 예비 배터리 준비 통신장비 : 라디오, TV(권장), 전화(권장) 선풍기(권장) 쓰레기 통 신문, 잡지, 도서, 어린이 장난감과 게임기 개인용 가방 : 개인 서류(신분증, 의료증서, 보험증), 개인처방전, 갈아입을 옷 또한, 이스라엘에서는 유아, 어린이, 어른, 군인용으로 4가지 형태의 방독면을 생 산하고, 노인, 신체 허약자, 심지어 수염 기르기를 고집하는 사람을 위해서도 다양 하고도 특수한 방독면을 개발하여 방독면을 전 국민에게 지급하고 있다. 뿐만 아니 라, 국민 개개인의 신체적 변화를 수시로 컴퓨터에 입력하고, 신체적 변화에 따라 지역담당 직원이 개개인을 방문하여 새로운 방독면을 지급함으로써 항시 안면 접착 율 100%를 유지한다. 특별히 양압식(positive pressure blower system) 방독면을 개 발하여 지급하고 있는데, 이 방독면은 착용시 안면에 접착이 정확하지 않아도 생물 학작용제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침투하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하는 - 138 - 그림 2-19. 이스라엘에서 사용 중인 연령별 방독면 조직과 책임 항공기 납치, 인질극 같이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되는 테러의 경우 정치-전략 적 결심은 내각 수준에서 이루어져 왔다. 1976년 우간다 엔테베 El Al 항공기 납치 사건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테러에 대한 실무부서는 참모총장과 부총장, 군정 보부장, 국방부 부장, 특전 예비역 장군 등을 포함하는 팀을 가진 국방부이다. 이 팀은 수시로 만나며, 첩보 이슈, 대중 정보, 민간 방어, 미국과의 협력, 이스라엘이 공격 받는 경우에 대한 군사 대응 계획 및 제안들을 다룬다. 수 시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발생하는 테러의 경우는 정치적 수준의 중재 없이 또는 최소한의 중재로 대응하게 된다. 결심은 주로 참모총장이나 지역사령관 같은 현장의 최고 군기관에 의해 만들어진다. 주요 폭탄테러의 경우는 경찰이 처리한다. 현장에서의 결심은 지역 사령관에 의한다. 2.3.2.2-139 -

- 140 - - 141 -

- 142 - - 143 -

- 144 - - 145 -

- 146 - - 147 -

- 148 - - 149 -

- 150 - - 151 -

- 152 - - 153 -

- 154 - - 155 -

- 156 - - 157 -

- 158 - - 159 -

- 160 - - 161 -

- 162 - - 163 -

예방억제, 방지 대비 계획작성교육, 훈련 대응 피해최소화 복구 기능회복재발방지 - 164 - - 165 -

- 166 - - 167 -

중앙응급의료센터 (( 국립의료원 )) 응급의료정보센터 1339 권역응급의료센터 심장 외상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독성 화상 시 군 구 119 접수지역소방본부 시 도 지역유관기관 지역유관기관 전문가 관련기업 지역응급의료기관 NGO 자원봉사자 소방 경찰 군군 112 접수 지방경찰청 국정원지부 국정원 환경관리청 환경부 총리실 청와대 관할지방환경관리청 사고접수 ( 관계기관, 경찰, 소방 ) 국가안전보장회의 중요사항심의 전파 화학테러대책본부 지휘 보고 관할지방환경관리청 정보 국가정보원 정보지원 정보 보고 ( 소집요구 ) 대테러대책실무위원회지휘 보고 지시 보고 대통령 합동조사반소집 ( 국가정보원 ) 화학테러의심 설치 현장지휘본부 지역사고대책본부 지역대테러실무협의회 - 168 - - 169 -

- 170 - - 171 -

구분미국일본영국이스라엘한국 - 172 - - 173 -

- 174 - - 175 -

- 176 - - 177 -

- 178 - - 179 -

- 180 - - 181 -

- 182 - - 183 -

- 184 - - 185 -

- 186 - - 187 -

- 188 - - 189 -

- 190 - - 191 -

- 192 - - 193 -

- 194 - - 195 -

- 196 - - 197 -

- 198 - - 199 -

3.3.3 화학테러 대응기관의 역할 환경부 화학테러 발생시 환경부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화학테러대책본부를 운용하며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에서 관련 기술을 지원한다. 화학물질 안전관리센터는 지방환 경청 및 초동 대응기관에 실시간 기상정보, 위험도 평가, 관련정보 제공, 인원파견 및 기술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3.3.1 중앙 화학테러대책본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화학테러대책반 지방 유역환경청(3) 지방환경청(4) 지역출장소(9) 그림 3-4. 환경부 화학테러 대응조직 표 3-15. 환경부 임무 및 역할 구분 주요역할 - 최초 상황, 접수 및 보고 전파 중가, 최종보고 자체 대책회의 소집 (상임위원회) 소집요청 및 사건대응전략수립 환경부 -- 테러대책외의 화학테러사건대책본부 설치 / 및가동사건 처리상황 종합, 보고 종합상황실 : 각반별 업무지휘 - 상황분석반 : 사건 처리활동 파악 및 상황 종합정리 - 정보관리반 : 테러원인 물질 확인 및 대응/방제기술제공 - 홍보지원반 : 사건관련 언론보도 및 대국민 홍보 비상상황실 24시간 운영 본부 화학테러사건대책본부 지원평가 국립환경과학원 사건 현장 정보분석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화학테러 피해영향평가및 위험성 결과 전송 유지 현장 파견 기술지원팀 즉각 출동태세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기준부 테러원인 분석장비 물질 상시 확인 가동 및 분석 현장지휘본부 설치 / 가동 - 상황팀, 현장조치팀, 지원팀 활동 총괄, 지휘 환경청 - 초동조치팀 및 홥동조사반과 협력 - 현장 사건 처리활동 현장 사후종합 영향, 보고 전파 평가 - 200 -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안전정책관실은 재난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과 국가기반체계의 마비로 인한 사회적 재난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안전정책관실 안전기획팀은 안전관리위원회 운영지원, 정부합동중앙수습지원단 구성 및 운영, 재난사태 선포와 특별재난지역 선포의 건의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국가기반 보호팀은 사회적 재난을 담당한다. 안전관리위원회는 안전관리에 관한 중요정책의 심의 및 총괄ㆍ조정, 안전관리를 위한 관계 부처 간의 협의ㆍ조정 등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시행하기 위하여 국 무총리 소속하에 중앙위원회를 둔다. 또한 재난의 대비ㆍ대응ㆍ복구를 위한 관계부 처간의 경미한 사항에 대한 협의ㆍ조정 등을 위하여 행정자치부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조정위원회를 둔다. 대규모 재난에 대한 예방ㆍ대비ㆍ대응ㆍ복구 등에 관한사항을 총괄ㆍ조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행정자치부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 부를 행정자치부에 두고 필요시 회의를 소집한다. 시ㆍ도지사는 시ㆍ도 재난안전대 책본부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시ㆍ군ㆍ구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두는데 이때, 지역 대책본부의 본부장은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다. 화학테러 대비 및 대응을 위한 민방위 방독면 보유현황을 부록 3-1에 타나내었 다. 3.3.3.2 소방방재청 년 3월 정부조직법개정안 및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이 통과됨으로써 재난 관련 업무체제의 일원화를 통한정책심의 및 총괄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재난예방에 대한 인식제고 및 예방투자를 강화하며, 구조, 구급 및 현장 수습 등 현장대응체제 를 강화하고, 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능 및 민관 협조체제를 강화하며, 안전의식 제 고를 위한 대국민 홍보 등 예방체제를 확립할 목적으로 소방방재청이 창설되었다. 화생방 상황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시행과 화생방 방호에 관한 조사 및 연구를 담당 하는 부서는 예방기획국이다. 자연재난 및 인위재난은 소방방재청이 재난관련 업무 를 수행하나 사회재난, 특히 국가기반체계 마비에 대한 업무는 행정자치부에서 담 당한다. 특히, 행정자치부는 소방방재청의 상급 중앙부서로서 재난관리에 대한 전반 적인 책임을 진다. 소방방재청의 119 구조대 현황을 부록 3-2에 나타내었다. 3.3.3.3 2004-201 -

총무과 혁신인사기획관 정책홍보관리관 정책홍보담당관 재정기획관 소방방재청소속기관 정보통신담당관 기획총괄과 예방기획국 민방위계획과 중앙소방학교 소방정책과 특수재난관리과 청장 차장 민간안전협력과 대응기획과 국립방재연구소 대응관리국 방호과 구조구급과 시설장비과 중앙 119 119 구조대 재난종합상황실 수습대책과 복구지원국 복구과 기술지원과 민방위교육관 심사평가과 관련기관요청 상급부대 건의 지역군부대 지시 화방사지원 지역책임화학부대 지시 특임대대지원 인계 오염시고처리반 화방사분석지원 - 202 - - 203 -

화생방 / 유독가스탐지, 식별및오염범위판단 임무 편성 오염지역 / 시설정밀제독및피해평가를위한조언 필요시능력범위내인명구조 지휘조 긴급출동팀 정찰조 제독조 오염사고처리반 지휘조 후속출동팀 정찰조 제독조 임무 대화생방테러및재난사고처리지원 화생방물질탐지ㆍ식별및정밀분석지원 편성 지휘조 화학반 특수임무소대 생물반 방사능반 - 204 - - 205 -

- 206 - - 207 -

낮 12:00 대기중 분산 및 환경적 분해로 인해 에어라졸의 효력은 많은 부분 제거됨. - 오후 2:00 사린은 모든 효력을 잃음. - 3.3.4.2 피해유형 연구소, 2 : 도심지역내 인구밀집 건물 내부로 시안화수소 살포 (R AND 2003) 가. 테러 개요 - 테러공격 장소 : 대규모의 사람들이 근무하는 고층 사무실 건물 - 테러 공격 방법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는 화학물질 두가지 시안화인(KCN)과 황산(H SO )을 섞어서 맹독성 가스인 시안화수소(HCN)을 생성하여 공격대상 건물 옥상에 서 건물 흡입구로 주입시킴. (건물 공기흡입구가 지면 근처에 있으면 그곳에 서 주입시킬 수 도 있음) - 테러 공격 상황 살포된 시안화수소는 5분 이내에 건물 내 사방으로 확산 될 수 있다. 시안화수소는 약한 아몬드 냄새를 풍기나 20 50% 인구는 어느 농도의 시 안화수소도 감지 할 수 없다. 시안화수소의 LC 은 2,500 5,000 mg-min/m 일 것으로 추정된다. 시안화수소에 노출되었으나 생존한 사람들은 아무런 장기적 피해를 보지 않 을 것이다. - 피해규모 판단 변수 변 수 값 변 수 값 건물 높이 10 층(30 m) 실외 공기유입률 20 5 3 건물 인구 1,000 명 LC50 5,000 mg-min/m 건물 면적 22,300 m32 KCN 양 82 kg 건물 부피 68,000m H SO 양 34 ℓ 2 4 통풍장치 유속 5,650 m3/min 생성된 HCN 양 34 kg 분후 건물 내 500 mg/m3 실외 공기유입속도 1,130 m3/min 10 HCN 농도 2 3 50-208 - 4 나. 상황전개 - 오전 10:00 정비원으로 가장한 테러분자들이 시안화인과 황산을 섞어 시안화수소 가스 생성하여 건물 옥상에서 건물 공기 흡입구로 시안화수소 주입 - 오전 10:01 몇몇 사람들이 탄 아몬드 냄새를 맡게 됨. - 오전 10:02 호흡 촉박,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 경련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 작함. 사람들이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건물 대피 시작. 호흡곤란을 겪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이 쓰러지는 것을 보고 화재경보 기를 울림. 119 신고가 몇 차례 접수됨. - 오전 10:05 건물의 거의 모든 곳으로 가스가 퍼짐. 시안화수소를 처음으로 흡입한 피해자들 사망. 시안화수소 농도가 계단 및 엘리베이터 통로에 더 높아서 신속하게 대피하 는데 어려움 발생. - 오전 10:07 초기 대응요원들이 도착하나 건물내부로 진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비상계단은 탈출하려는 사람들로 붐빔. 계단에서 몇 사람 사망. 탈출하는 사람들은 이들을 내버려 둘지 밖으로 이 송할지에 대해 말다툼을 함. - 오전 10:10 화학반응에 의한 시안화수소 발생이 멈춤. 건물 내에 시안화수소는 계속해서 잔재하지만 그 농도는 점차 감소하기 시 작함. - 오전 11:00 거의 모든 가스가 흩어져 없어짐. 통풍이 잘 되지 않은 부분에 있던 사람들은 건물 안에 있었지만 살아남음. - 209 -

- 210 - - 211 -

- 212 - - 213 -

- 214 - - 215 -

- 216 - - 217 -

- 218 - - 219 -

- 220 - - 221 -

- 222 - - 223 -

- 224 - - 225 -

- 226 - - 227 -

- 228 - - 229 -

- 230 - - 231 -

- 232 - - 233 -

- 234 - - 235 -

- 236 - - 237 -

- 238 - - 239 -

- 240 - - 241 -

- 242 - - 243 -

무기금지협약(Chemical Weapons Convention, CWC)에서는 평화적 또는 방호연구 등 허용된 목적 이외의 독성 화학물질, 그리고 이에 대한 전구물질(precursor)과 화 학탄 및 살포장치 등 기타 관련 장비 일체 로 화학무기를 포괄적으로 정의하였으 며, 화학물질 자체를 관련 장비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화학작용제(Chemical Warfare Agent)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살상효과 뿐만 아니라 인체기능의 영 구적 손상 또는 일시적 무능화를 유발시키는 물질까지도 화학작용제로 정의하고 있 다.[16]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독성화합물은 기존의 잘 알려진 화학작용제는 물론이 고, 인위적인 테러 또는 단순한 사고에 의해서 누출될 경우 화학작용제와 유사한 독성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산업용 화학물질까지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테러의 경우 이러한 포괄적 개념이 보다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표 4-1. 비국가조직에 의한 화생방테러 발생 현황 테러 발생 건수(거짓 위협) 사용물질 종류 2000년 2001년 생물물질 26(22) 607(600) 화학물질 25(0) 13(1) 핵물질 2(0) 4(2) 방사성 물질 17(3) 2(0) 혼합 0(0) 3(0) 종류 미상 4(0) 0(0) 계 74(25) 629(603) 2002 년 70(70) 20(1) 0(0) 3(0) 0(0) 1(0) 94(71) 현재 높은 독성, 저장 용이성, 외부 환경 및 열적 안전성 등 군사용 화학작용제로 서의 요건을 갖춘 독성 화학물질 70여 종이 전쟁에 사용되거나, 또는 이러한 목적 으로 연구 개발 및 저장된 바 있으며, 중독 증상과 화학적 구조에 따라 신경, 혈액, 수포, 질식, 최루, 구토 및 무능화작용제로 구분된다. 이러한 작용제로 구분되지는 않지만 테러 또는 천재지변에 의한 사고로 인한 누출 시 인명이 살상될 수 있는 염 소와 암모니아 등을 포함한 산업용 독성화합물들도 테러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독성화합물의 독성 효과는 흡입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을 통해서 인체에 흡수된 양에 비례하며,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이한 단위를 사용한다. 기체 독성화합물의 경 우, 호흡기를 통한 흡입에 의해서 중독되기 때문에, 농도와 이에 노출된 시간을 곱 한 양을 노출량(Concentration time(ct), mg min/ )으로 표시한다. 액체 독성화합 - 244 - 물의 경우, 피부와 액체사이의 직접적 접촉에 의한 흡수에 의해서 중독되기 때문에 체중 1 당 흡수량( / )을 노출량으로 정의한다. 특정한 독성화합물의 독성효과는 개인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오염된 인원들 중 50%에게 효과가 나타 나는 양을 기준으로 독성 정도를 나타낸다. 액체의 경우, 중간 치사량(Median Lethal Dosage, LD )과 중간 무능화량(Median Incapacitating Dosage, ID )은 보호 되지 않은 인원의 50%를 각각 사망 또는 무능화시킬 수 있는 양을 말한다. 기체의 경우에는 중간 치사량(Median Lethal Concentration Time, LCt )과 중간 무능화량 (Median Incapacitating Concentration Time, ICt ) 등이 사용된다. 독성화합물의 휘발도가 높고 증발열도 작은 경우, 대기 환경에서 대부분 기체 상 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LCt 과 ICt 이 독성비교의 기준이 되며, 휘발도가 낮거나 증 발열이 높은 경우에는 LD 과 ID 이 적용된다. 이러한 독성화합물의 여러 특성들, 특히 독성, 휘발도 및 증발열 등은 특정 화학물질의 테러 사용 가능성과 직 간접 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50 50 50 50 4.2.2 50 50 50 50 독성화합물의 국제적 확산 현황 군사용 화학작용제의 기본 기술이나 원리는 제1 2차 세계대전 중 개발되었으며, 관련기술과 정보 통신 매체의 발달로 장비/정보/인적 자원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 이다. 비록 1993년에 화학무기금지협약(CWC)이 체결됨으로써, 화학작용제의 확산 금지 및 폐기를 위하여 국제적 사찰, 검증 및 폐기 등 다양한 제재 또는 지원 정책 들이 적용되고 있고, 기존의 화학작용제 및 관련 생산시설을 1차적으로 2007년까 지 전면 폐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북한 등 일부 비조인국들에 대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사회 기본질서의 혼란을 목적으로 특정 개인이나 단체가 화학작용제를 테러 에 사용하는 경우, 소량의 저순도 화학작용제로도 또는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독성 화합물을 이용해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화학무기금지협약기 구(OPCW)의 역할과 기능은 많은 한계점을 노출시킬 수 있다. 4.2.3 독성화합물 개발 및 제조 기술 군사용 화학작용제 제조에 관한 기술적 장벽은 원료 획득, 연구/기술인력 확보, 제조공정 설계/기술, 장비, 생산시설 건설/운영, 총 소요경비, 무기설계/제작 및 무 기제작 장비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17] 군사용 화학작용제는 실제적으로 1950 1960년대에 개발이 이미 완료되었으며, 각종 군사용 화학작용제 합성에 대한 반응 조건, 속도, 메커니즘 및 촉매 등 세부적인 자료를 인터넷 또는 화학 전문 서 - 245 -

- 246 - - 247 -

- 248 - - 249 -

- 250 - - 251 -

가능성도 검증되었다. 실제 1980년대의 걸프전쟁 말기에 테헤란에 대한 화학 및 생 물학 작용제 미사일 투발 사용위협은 실제 사용된 고폭탄 미사일의 경우보다 더 큰 혼란을 야기 시킨 바 있다. 4.3.2 독성화합물 사용 우선순위 판단 독성화합물 종류별 테러 사용 가능성 분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체의 특성(화학, 물리, 환경 및 생물 독성학적 특성), 제조에 관한 기술적 장벽(원료 획득, 연구/기술 인력 확보, 제조공정 설계/기술, 장비, 생산시설 건설/운영, 총 소요경비, 무기설계/ 제작 및 무기제작 장비 등), 효과 결정 요소(대상 목표의 성격(사람 또는 동식물), 목표 지역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 및 확산 방법)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테러 집단의 규모, 성격과 목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제시되는 분석 결과는 위의 여러 요소들을 근거로 예상되는 우선순위를 결정한 것으로 이러한 순서가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약 화학테러가 발생한다면, 공포와 공황의 조성이나 사회 기 본질서 및 신뢰관계의 훼손이 그 주요 목적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 테러가 발생된 다면, 대규모 테러단체가 특정 국가의 지원을 받아서 테러행위를 자행하는 경우(한 국의 경우에는 발생 확률이 매우 희박함)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소량(수십 kg 이내) 의 그리고 상대적으로 순도가 낮은 신경작용제 등의 잘 알려진 군사용 화학작용제 또는 산업용 독성화합물(이 경우 비교적 소량을 사용하거나 또는 대용량의 저장시 설과 운송수단에 직접 공격을 할 수 있다.)을 사용할 것이 예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독성화합물의 효과는 기후조건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특히 개활지의 경우, 소량의 독성화합물을 사용한 테러는 큰 피해를 발생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철 등 공중 교통수단, 경기장과 공공건물 내부 등 인원이 밀집되어 있 고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에 대하여 빠른 독성 효과를 보이는 비지속성 독성화합 물을 기체 또는 에어로졸 형태로 확산시킬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결론은 옴진리교 가 화학작용제 중 가장 독성이 강하지만 지속성인(낮은 휘발성) VX 합성에 성공하 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량살상용 보다는 특정 반대자 제거용으로만 사용한 사 실에서도 뒷받침된다. 그러므로 테러에 사용될 수 있는 독성화합물 우선순위 판단 에서는 휘발성(확산기술 및 확산효율), 독성, 전구물질 획득 및 합성 용이성 그리고 신속한 증상 발현시간, 응급 약품의 존재 유무 및 인체 감각에 의한 독성화합물 존 재 판단 가능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 각 요소별 우선순위 판단은 아래 표 4-2와 같 다. 표 4-2. 독성 화합물 관련 요소별 우선순위 판단 관련 요소 전구물질 획득 용이성 우선순위 판단 혈액(AC, CK), 질식(CG, DP) > 수포(HD, L) > 신경 개략적 순서임 합성 용이성 혈액(AC, CK), CG > DP, 수포(HD, L) > 신경 염소(25, 7 2.0 10 ) > 6 개략적 순서임 6 암모니아(25, 5.6 10 ) 6 >CG(7.6, 6 4.3 10 ) > CK(12.9, 2.6 10 ) > AC(25, 1.1 10 ) >> 휘발성 4 4 DP(7.6, 4.5 10 ) > 사린(25, 2.2 10 ) > L(20, 4,480) 휘발도(mg/m3) 소만(25, 3,900) > CX(20, 1,800) > HD(20, 610) 타분 (25, 610) >> VX(25, 10.5) VX(10) > 소만(50) > 사린(100) > 타분(400) >> L(1200 1500) 독성 LCt50(흡입, HD(1,500) > CG, DP, CX(3,200) AC(2,500 5000) > 3 mg min/m ) CK(11,000) VX(9.2) > L(7.1) > DP(6.8) > 소만(6.3) > 타분(5.6) > HD(5.4) 증기밀도 > 사린(4.86) > CX(3.9) > CG(3.4) > 염소(2.5) > CK(2.1) > 공기 AC(0.99) > 암모니아(0.6) 증발잠열 DP(574) > AC(233) > CK(103) CX(101) > 사린(80) 타분 cal/g (79.6) VX(78.2) > 소만(72.4) > CG(59) L(58) 신속한 증상 수 초 : 혈액(AC, CK), 신경, 수 분 : 암모니아 발현시간 응급 약품 인체 감각에 의한 독성화합물 존재 판단 가능성 수 시간 : 질식(CG, DP), 수포(HD, L), 염소 있음 : 신경, 혈액, 없음 : 수포, 질식 극히 곤란(무취) : 사린, VX, AC(복숭아씨 냄새, 매우 약함), CG와 DP(건초 냄새, 매우 약함) 냄새 또는 곤란(약간의 냄새) : 타분, 소만, HD 용이(강한 자극성 냄새) : CK, L(순수한 경우 무취하나 피부 자극), 즉각적인 자극 CX(강한 자극), 염소, 암모니아 이러한 요소들과 독성화합물 선택과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독성화합물의 전구물질 획득과 합성/제조기술 용이성은 독성화합물 선택에 있 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테러 목적으로 비교적 소량을 합 성하는 경우는 사전 통제가 거의 불가능하다. 독성화합물의 독성은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기체 상태 의 독성화합물 독성은 농도와 시간의 곱인 중간 치사량(LCt : mg min/m ) 으로 표현된다.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예를 들어 지하철 1량 또는 사무실 1개 소)의 경우,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형태로 살포한다면 종류에 따라 특정 시간 동안은 매우 높은 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공간이 상 대적으로 넓거나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성화합물이 증발하게 되면, 주어 진 온도에서의 최대농도는 휘발도(Volatility, mg/m )가 된다. 따라서 독성화합 물의 독성 정도는 단순하게 LCt 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LCt 을 휘발도로 3 50 3 50-252 - 기준 - 253-50

독성 (min) 10 소요량 (mg/m3) 소요예산 5 0 효과발생시간 전구물질획득 GB VX HD AC CK 염소생물 합성 / 제조 - 254 - - 255 -

소요량 (mg/m3) 감각식별 소요예산 소요량 (mg/m3) 감각식별 소요예산 합성 / 제조 독성 (min) 10 5 0 전구물질획득 합성 / 제조 독성 (min) 10 5 0 효과발생시간 효과발생시간 전구물질획득 증발열 확산속도비 증발열 확산속도비 GA GB GD VX HD L CX AC CK CG DP NH3 염소 - 256 - - 257 -

- 258 - - 259 -

- 260 - - 261 -

- 262 - - 263 -

- 264 - - 265 -

표 4-3. 대민공보작성 5 단계 - 266 - - 267 -

- 268 - - 269 -

- 270 - - 271 -

- 272 - - 273 -

- 274 - - 275 -

4.5 4.5.1 우리의 화학테러 대응능력 및 체계 분석 화학테러 대응능력 및 분석 우리나라에서 화학테러에 대응하는 1차 조직은 소방방재청 및 경찰 등이며, 군에 서는 화생방 대테러 부대가 전담하고 있다. 4.5.1.1 소방방재청 화학테러에 대비하여 소방방재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조직은 소방, 119구조대, 민방 위이다. 먼저 소방분야에서 제독에 투입될 수 있는 장비를 알아보면 2004년 소방백 서를 기준으로 펌프차는 2,256대, 물탱크차는 506대, 화학소방차는 244대, 고가 및 굴절차는 16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편성되어 있는 소방공무원은 총 26,553명이다. 또한 119구조대를 보면 전담 화학구조대로 화학공단이 밀집되어 있는 울산과 여수 에 1개 대씩 총 2개 대가 편성되어 있으며, 전담은 아니지만 화생방 사태에 대비하 기 위하여 울산과 여수를 포함하여 지방 구조대에 총 27개 화학구조대가 편성되어 운용되고 있다. 세부적인 구조대 현황은 표 4-6과 같으며 서울지역의 종로, 동대문, 영등포 및 강남 등 4개 소방서 화생방구조대 보유 장비 현황은 표 4-7과 같다. 표 4-6 소방방재청 구조대 현황(2005년 1월 1일 현재) 표 4-7 서울 소방서 화생방구조대 보유 장비 현황(4개 소방서) 번호 장 비 명 규격 1 화학보호복 침투성 2 화학보호복 불침투성 3 화학보호복 1회용 4 특수화학보호복 공기호흡기 내장 5 방사선보호복 공기호흡기 내장 6 공기호흡기 SCA-410 7 공기호흡기 SCA-680 8 방독면 K-1 9 누출방지백 LD50/30S,50/30W 10 누출방지창 11 누출방지테잎 2,3,4,6인치 30m 12 누출방지슬리브 MF RS YTPE 13 누출방지본드 PASTE 14 아트로핀 MARK-1 15 피부제독제 KD-1 16 흡착포 17 개인제독제 KM258A1 18 휴대용제독기 19 휴대용인체제독소 20 제독액 DS-2 21 화학작용제탐지기 COMPRO-100 22 유독가스검지기 AIM500, DMO421, MX-M 23 선량계 FDM1000 24 포켓도시메타 ZP141 단 위 보유수량 착 5 착 10 착 125 착 31 착 2 세트 14 세트 30 개 8 세트 1 세트 1 세트 3 세트 2 박스 8 개 44 개 11 박스 2 개 20 대 2 개 2 개 12 대 1 대 3 대 12 개 2 일반 특 수 구 조 대 직 속 시 도 (대수/계인원수) 구조대 소계 수난 산악 화학 구조대 계 179/2,140 165/1,867 11/130 7/82 2/16 2/32 3/143 중앙 1/89 1/89 서 울 24/501 21/426 2/36 2/36 1/39 부 산 11/135 10/120 1/15 대구 6/86 6/86 인천 7/93 7/93 광주 5/49 5/49 대전 4/44 4/44 울산 5/63 4/52 1/11 1/11 경 기 30/308 28/285 2/23 2/23 강 원 11/102 10/95 1/7 1/7 충 북 13/117 12/108 1/9 1/9 충 남 11/99 11/99 전 북 11/117 10/110 1/7 1/7 전 남 11/111 9/81 2/30 1/9 1/21 경 북 14/98 13/91 1/7 1/7 경 남 12/98 12/98 제주 3/30 3/30 민방위는 소방방재청에서 편성, 교육하고 있으며, 특히 주요 부서 및 지역에 화생 방을 담당하는 전담 공무원을 편성하여 효과적인 초기 대응에 대비하고 있다. 현재 편성된 화생방 전담공무원은 총 78개소 116명으로 세부적으로는 행자부 1개소 2명, 지방자차단체(시 도) 본청 16개소 27명, 접적지역 14개소 14명, 수도권 33개소 53 명, 공단지역 1개소 2명, 기타 11개소 15명이다. 민방위에는 화생방분대를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화생방 기술지원대는 시 군 단위로 1개 분대 이상을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고, 지역 민방위대에는 읍 면 동단위 로 20개통 리(대)당 1개 분대를 화생방분대로 편성하고 있다. 직장 민방위대는 대원 - 276 - - 277 -

표 4-10 민방위대종류별방독면보유현황 (2004 년 ) - 278 - - 279 -

- 280 - - 281 -

- 282 - - 283 -

- 284 - - 285 -

- 286 - - 287 -

- 288 - - 289 -

- 290 - - 291 -

- 292 - - 293 -

- 294 - - 295 -

- 296 - - 297 -

- 298 - - 299 -

- 300 - - 301 -

- 302 - - 303 -

- 304 - - 305 -

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시민들로 하여금 평상시 화학테러 발생 에 대한 대처요령을 알 수 있도록 교육하고 실제 테러발생시 사전 준비된 공보를 통해 공황발생을 억제하여야 한다. 나. 화학테러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에 관한 총괄계획 수립/관리 화학테러 대응 주관부서로서 환경부는 효과적인 대테러계획을 수립하고 관리할 책무를 가진다. 현재 환경부에서 활용하고 있는 가종 지침, 계획 및 실무매뉴얼은 기구편성 및 임무부여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업무구분/협조, 훈련/교육, 상황판 단 고려사항 및 대응요령은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 다양한 대응유관기관들 을 환경부에서 효과적으로 지휘통제하여 화학테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호 협조 되고 승인된 세부적 총괄계획을 수립하고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개선해나가야 한 다. 특히 독성화합물의 독성효과가 신속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내용들 이 선결되어야 한다. ① 상황별 의사결정 매트릭스 작성/주기적 개선 환경부 차관과 유역(지방) 환경청장은 화학테러 대응에 관한 본부장으로서 화학테 러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결정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의사결정을 쉽게 내릴 수 있을 만큼 환경부차관이나 환경청장이 화학테러 전문가이 기는 곤란하며, 화학테러 특성상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거나 또는 대응본부 구성 및 세부적인 상황 파악 이전에 중요한 의사결정(예를 들면 추가투입 장비/인력 규모 결정 등)을 내려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화학테러 대응이 실 시되는 긴박한 시기에 여러 가지 전문적인 업무수행 및 의사결정 등을 시기적절하 게 수행하기 곤란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황별 의사결정 매트릭스를 작성하고 여러 유관부서와의 협의하에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인 훈련을 통해 상황 발생시 부서간 효율적이고 유기적인 업무협조를 보장하고 미 비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③ SOP 및 점검표 현재 현장대응은 지방(유역)환경청장의 지휘하에 소방, 경찰 및 군 등 유관부서에 서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현장대응부서에서는 일반적인 경우에 담당하는 고 유업무에 관련된 SOP만 보유하고 있으며, 화학테러의 특수성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행동요령들이 정립되어있지 못한 형편이다. 따라서 효 과적인 현장대응 및 환경청장의 시기적절한 지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부 주 도하에 화학테러 대응에 관한 관련부서 통합 SOP 표준안을 제정하여, 통일되고 상 호 협조된 방법에 따라 현장대응 및 지휘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여야한다. 또한 화학테러의 특성상 여러 가지 예기치 못한 추가사항들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유관기관 현장대응 요원들은 물론이고 환경청장이 실제 상황에 따 라 유연하고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화학테러의 특성상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기 때문에 SOP와 더불어 집결에서부터 임무종료시 까지 여러 고려요소들을 전부 검토 및 반영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점검 표를 직책 및 임무별로 작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검표에 의해 관련 요원 각자가 신속하게 요구되는 행동을 사전 예견 및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현장대응이 가능하며, 상황의 특성 상 고유업무가 아닌 업무를 실행하여야 할 경우에도 효과적 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명확한 업무 구분/세부적 실행 계획 수립 및 주기적 훈련 현재의 각종 대응지침 및 매뉴얼 상에는 업무가 중복 부여되거나 명확하게 구분 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업무가 부여된 경우에도 부여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세부적 행동요령 등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세부실행계획들이 사전에 수립되고 명확하게 임무가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학테러가 발생하는 경우 효과 적인 대응이 곤란하기 때문에 과다한 사상자가 발생한다거나 또는 대응요원들의 안 전이 위협받을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부 주도로 주기적인 유관기관 협의를 통해 사전에 명확한 업무구분과 세부적 실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주기적 환경부 인력 확충 및 전문성 제고 화학테러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사전에 테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설을 지정하고 필요한 점검을 실시하는 등의 사전대비, 출동계획 등 세부적인 사항들이 고려된 현 장대응계획 수립 및 지속적인 훈련과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주기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업무는 금년에 신설된 지방(유역)환경청의 화학물질관리과 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있다. 화학물질관리과에서는 화학테러와 사고에 대한 대비, 대응 및 사후 영향평가업무 와 더불어 관할지역내 수입약품에 대한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수입약품에 대 한 관리업무는 환경청별 담당 구역이 광범위하고 관련 시설이 많으며 평상시의 기 본 업무이기 때문에 발생한 경우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화학테러와 관련된 업무의 우선순위는 약품관리 업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취급되고 있다. 따라서 - 306 - - 307-4.7.2.2

표 4-11 화학테러대응능력개선을위한로드맵 - 308 - - 309 -

- 310 - - 311 -

표 5-1 화학작용제의 종류 및 특성 류 구 분 지 속종성 비지속성 증 상 특 성 동공축소 신경작용제 VX GA, GB, GD 근육경련 무색, 무취 호흡곤란 H, HD, 수포형성 마늘냄새 수포작용제 HN, L, CX 피부발적 눈물 / 호흡기건조 갓 벤 풀냄새 질식작용제 - CG, DP 기침 / 질식 (CG, DP) 두통 / 가슴압박감 코와 목구멍이 부음 복숭아씨 냄새 혈액작용제 - AC, CK 피부가 붉어짐 (AC) 경련, 혼수상태 보호장비 방독면 보호의 방독면 보호의 방독면 응급처치 MARK-1 인공호흡 (흉부압박상지거상법 ) 피부:KM258A1 피복/ 장비 : KM13 보온안정 50 50 인공호흡 방 독 면 (등부압박상지거상법 ) Tabun(GA) 신경작용제 Sarin(GB) Soman(GD) VX 수포작용제 혈액작용제 질식작용제 sulfur 겨자(HD) 독성 액체(LD (피부)) 증기(LCt mg 1.0g/70kg 400 1.7g/70kg 100 50 몸무게 몸무게 350mg/70kg 몸무게 10mg/70kg 몸무게 50, 50 min/m ) 3 50 1,500 Lewisite 40~50mg/kg 1,200~1,500 CX - 3,200 HCN(AC) 100mg/kg 2,500~5,000 CNCl(CK) - 11,000 CG - 3,200 DP - 3,200 50 5.2 5.2.1 10 100mg/kg 50 50 이러한 작용제로 구분되지는 않지만 테러 또는 천재지변에 의한 사고로 인한 누 출 시 인명이 살상될 수 있는 염소와 암모니아를 포함한 산업용 독성화학물질들 의 중요한 독성은 표 1과 같다. 표 5-2 화학작용제의 독성 작용제 종류 표시한다. 액체 작용제의 경우 피부와 액체 작용제 사이의 직접적 접촉에 의한 흡수에 의해서 중독되기 때문에 체중 1kg당 작용제 흡수량(mg/kg)을 노출량으로 정의한다. 특정한 화학 작용제의 독성 효과는 개인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오염된 인원들 중 50%에게 효과가 나타나는 양을 기준으로 화학작용제 의 독성 정도를 나타낸다. 액체 작용제의 경우 중간 치사량(Median Lethal Dosage, LD )과 중간 무능화량(Median Incapacitating Dosage, ID )은 보호되지 않은 인원의 50%를 각각 사망 또는 무능화시킬 수 있는 양을 말한다. 기체 작용 제의 경우에는 중간 치사량(Median Lethal Concentration Time, LCt )과 중간 무 능화량(Median Incapacitating Concentration Time, ICt )등이 사용된다. 화학작용제의 휘발도가 높고 증발열도 작은 경우(예: 신경작용제 Sarin(GB) 및 혈액작용제), 대기 환경에서 대부분 기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LCt 과 ICt 이 독성 비교의 기준이 되며, 휘발도가 낮거나 증발열이 높은 경우(예: 신경작용제 VX)에는 LD 과 ID 이 적용된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휘발도가 높은 경우를 비지속성 작용제라 하고 주로 인명 살상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휘발도가 낮은 지속성 작용제는 지역 사용 거부 등의 목적에 적합하다. 이러한 화학작용제의 여 러 특성들, 특히 독성, 휘발도, 및 증발열 등은 특정 화학작용제의 테러 사용 가 능성과 직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50 사고대비물질 정의 사고대비물질 이라 함은 급성독성 폭발성 등이 강하여 사고발생의 가능성이 높거 나 사고가 발생한 때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사고대비ㆍ 대응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제38조의 규정에 의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사고대비물질은 현대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급증하고 있는 화학물질 중에서 단시간내 대중에게 전파되어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공포감을 유발하여 사회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물질로 국내에서 취득 및 취급이 비교적 용이한 물질들로 화학테러에 이용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물질들이다. 화학작용제의 독성 효과는 흡입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을 통해서 인체에 흡수 된 작용제의 양에 비례하며,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이한 단위를 사용한다. 기체 작용제의 경우 호흡기를 통한 흡입에 의해서 중독되기 때문에 작용제 농도와 이 에 노출된 시간을 곱한 양을 노출량(Concentration time(ct), mg min/m )으로 3-312 - 50-313 -

- 314 - - 315 -

- 316 - - 317 -

Ⅱ 보호장비 및 채취방법. 5.4 보호장비 화학테러ㆍ사고시 화학물질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장비를 착용한 후 시료 채취 및 식별을 한다. 개인보호장비는 공기호흡기, 방독면, 화학보호복, 보호 장갑, 보호장화 등을 사용한다. 가연성 독성가스가 누출된 경우에는 방열복을 함 께 사용한다. 5.4.1 선택시 고려사항 시료채취자의 행동에 제약을 주지 말아야 한다. 화학테러ㆍ사고 물질에 대한 화학적 적응성 여부를 고려한다. (3) 시야의 제한성 여부를 판단한다. (4) 의사소통의 저해여부를 판단한다. (5) 착용이 쉽고 오염의 세정이 용이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1) (2) 5.4.2 ④ 겉이 내화학성 재질인 부츠 ⑤ 송수신겸용 무선 통신기 (3) 다 등급(Level C) : 최소한의 호흡기 보호와 피부보호가 필요할 때 선택한다. 공기 중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가 알려져 있고 공기정화식 호흡보호구로 보 호가 가능한 수준이다. ① 공기정화식 호흡보호구 ② 내화학성 보호복 ③ 겉이 내화학성 재질인 장갑 ④ 내화학성 재질의 부츠 (4) 라 등급(Level D) : 호흡기 보호구가 불필요한 일반적인 작업복 수준으로 호흡 기 및 피부노출 위험이 없는 곳에서 착용한다. 안전모, 보호안경, 보호복, 안전 화 등을 착용한다. 가 등급 나 등급 다 등급 라 등급 보호등급 수준 화학물질의 유해정도, 화학물질의 농도 및 독성 등을 고려하여 개인을 보호하는 수준을 다음과 같이 4등급으로 분류한다. (1) 가 등급(Level A) : 최고수준의 호흡기, 피부, 눈, 점막 보호가 필요할 때 선택한 다. 공기 중 가스, 액체 및 입자상 물질이 가장 높은 농도인 경우이다. ① 양압식 공기호흡기 ② 내화학성 밀폐형 보호복 ③ 안과 겉이 내화학성 재질인 장갑 ④ 내화학성 재질의 부츠 ⑤ 송수신겸용 무선 통신기 (2) 나 등급(Level B) : 호흡기 보호는 최고수준을 유지해야 하지만 화학물질의 유 해성과 농도에서 피부보호는 약간 떨어지는 수준이다. 위험도가 확인되기 전 초기진입에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수준이다. ① 양압식 공기호흡기 ② 내화학성 보호복 ③ 안과 겉이 내화학성 재질인 장갑 - 318 - 그림 5-1 보호장비 등급 수준 - 319 -

5.5 채취방법 5.5.1 5.5.1.1 5.5.2 시료채취 준비 시료채취 장비 시료채취 위치를 선정한 후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시료채취 장비를 선정한다. 토양시료 채취용 도구(작은삽, 수푼형 주걱 등) (2) 수용액시료 채취용 도구(주사기, 필터 등) (3) 대기시료 채취용 도구(펌프, 테드라백(1L), 흡착관 등) (4) 채취 및 세척에 필요한 시약 (5) 시료채취물질이 누출되지 않고 물질의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용기 (6) 용기를 밀봉시킬 테이프 (7) 지퍼가 달린 비닐백 (8) 활성탄이나 실리카겔 등의 흡착제가 든 운반상자(운반에 용이하며 외부 충격으 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재질) 시료용기의 표시 시료용기의 표시는 채취 전 철저한 계획을 갖고 진행하며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접착식 라벨은 미리 부착한다. (1) 시료의 번호, 명칭, 매질, 양 (2) 채취장소, 시간, 일기 (3) 채취책임자 이름 (4) 채취방법 5.5.1.2 시료채취시 유의사항 시료는 오염물질의 독성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에서 채취한다. 유류 또는 부유 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시료의 균질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한다. 시료는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을 짧게 하여 채취하고, 분석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 항을 기재하여 분석자가 분석시 참고 할 수 있도록 한다. 5.5.1.3 시료 채취자는 시료채취 준비 후 가 등급 보호장비를 착용한다. (2) 시료채취 전 유독물질을 탐지하는 식별장비를 사용하여 위험성을 확인한다. (3) 토양 시료 ① 시료 채취 장소에서 1 m 가량 떨어진 곳에서 채취 준비를 한다. ② 작은삽를 이용하여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③ 수저를 이용하여 일정량 약 100 ml(10 cm x 10 cm x 1 cm) 시료를채취한 다. ④ 들고 있는 시료 채취병에 약수저를 이용하여 담는다(100 ml). ⑤ 시료 채취병을 수평으로하고 테프론 테잎으로 밀봉을 한다. ⑥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수만큼 시료를 더 채취한다. ⑦ 사용했던 물자들은 오염지역내에서 버리고 신속하게 오염지역을 이탈한다. ⑧ 채취자 및 채취장비는 추가 오염을 막기 위하여 준오염지역내 제독소에서 개인제독을 실시한다. (4) 수용액 시료 ① ph paper 및 탐지지를 이용하여 오염된 수용액을 찾는다. ② 시료 채취 장소에서 1 m 가량 떨어진 곳에서 채취 준비를 한다. ③ 50cc 주사기를 이용하여 오염시료를 일정량(100 ml) 채취한다. (지하로 함몰되어 있는 지역은 tube와 추를 이용) ④ 시료 채취병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테프론 테잎으로 밀봉한다. ⑤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수만큼 시료를 더 채취한다. ⑥ 사용했던 물자들은 오염지역내에서 버리고 신속하게 오염지역을 이탈한다. ⑦ 채취자 및 채취장비는 추가 오염을 막기 위하여 준오염지역내 제독소에서 개인제독을 실시한다. (5) 대기 시료 ① 화학테러ㆍ사고지점의 원점부근에서 펌프(공기샘플러)를 가동하여 테드라백 (1L) 및 흡착관에 대기시료를 채취한다. ② 사용했던 물자들은 오염지역내에서 버리고 신속하게 오염지역을 이탈한다. ③ 채취자 및 채취장비는 추가 오염을 막기 위하여 준오염지역내 제독소에서 개인제독을 실시한다. (1) (1) 5.5.1.2 시료채취를 위한 요령 운반 및 보관방법 채취한 시료는 반드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분석기관에 인계하며 인계시 시료채취 보 고서(부록 3)와 를 작성하여 인계한다. 시료운반상자는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고, 필요시 추가밀폐를 실시한다. 시료는 직사광선, 습기, 열 등에 노출을 피하며 운반 후 최대한 빨리 실험한다. 즉시 실험할 수 없을 때에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4 에서 냉장보관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가능한 빠른 시간 이내에 실험을 끝내야 한다. - 320 - - 321 -

- 322 - - 323 -

Ⅲ 탐지 식별 장비. 5.6 / 탐지지 및 탐지키트 탐지지는 특정 물질과 반응시 색이 변하는 것을 측정하여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 으로 대기, 수질, 토양 등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탐지지 5.6.1 KM8 개요 탐지지(KM8)는 고농도 액체 화학작용제(G, V, H계열)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접착성이 추가된 M8탐지지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2) 제원 및 특성 표 5-5 KM8탐지지 제원 및 특성 구 분 내 용 크 기 길이 및 폭: 10 6.5 (1권 : 25매) 탐지요령 오염예상지역 약 20m 간격으로 Z"자 형태로 탐지지 설치 식별물질 황색 : G계열, 적색 : H계열, 암녹색 : V계열 (1) 표 5-6 KM9탐지지 제원 및 특성 구 분 크 기 길이 : 910 (롤) 내 용 피복, 장비 및 물자 등에 부착(관찰이 용이한 곳에 부착) 피복에 부착시 오른쪽 팔, 왼쪽 손목, 발목 등에 한바퀴 감아 부착 탐지요령 기름 표면위에 부착 금지 표면 부착시 사용전에 탐지지의 접착면을 일부 부착(제거 용이) 탐지지를 오염에 예상되는 지역 주위 땅표면 또는 초목 위에 놓는다. 식별물질 분홍색, 적색, 적갈색, 적자색, 흑적색등 변색유무로 화학작용제 존재판단 분리 종이를 민다(엄지이용) 분리 종이를 동시에 당김 사용절차 탐지지와 절단판을 이용하여 탐지지를 반족 찢음(약 2.5 정도 남김) 필요한 곳 및 물자 등에 부착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 유류탱크주위 운용금지(변색 가능) 제한사항 태양광선 노출을 금지한다. 마찰 및 유기용매 접촉을 금지한다. 사진 탐지지 절단선 따라 탐지지 절단 예상지역에 탐지지 설치 사용절차 오염 - 탐지지가 바람에 날려 가지 않도록 고정 탐지지의 색변화 관찰 작용제만 탐지 제한사항 액체 DS-2에 변색(제독 확인 제한) 5.6.3 Water test (1) 개요 Water test kit 는 고농도 독성물질을 식별하는데 사용한다. 사용방법 수포작용제(Lewisite) ① 청색튜브를개봉한후본체에장착후나머지부분을 Prongs up을이용하여막는다. ② 탐지하고자 하는 물을 채집병에 표시선까지 채워넣는다. ③ 물을 채운 후 TEST 2를 실시한다. ④ 오렌지색 Zinc Mix를 개봉하여 채집병에 넣고 마개를 이용하여 병을 막는다. ⑤ 청색튜브의 색도 변화를 확인한다. (만약 물이 10도 이하이고 Beads가 황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면 Lewsite가 존재한다. Zinc Mix가 흰색으로 남아있다면 반응용기 밑을 성냥을 사용하여 가열한 뒤 5분 기 다린다) ⑥ 청색튜브의 색도변화를 관찰한다 (2) 사진 k it 1. TEST 1 - 탐지지 5.6.2 KM9 개요 피복, 차량, 장비 등에 부착해서 액체 화학 작용제제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데 사 용한다. (2) 제원 및 특성 (1) - 324 - - 325 -

- 326 - - 327 -

- 328 - - 329 -

⑨ 5번 탐지지 - 유리된 아질산(아질산 이온이 아님)이 오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5.7 가스 검지기 검지관을 펌프에 고정한 다음 시료를 흡인하여 검지관의 색이 변하는 것을 측정 하는 방법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5.7.1 CD S (1) 개요 키트 CDS(Contained Detection system) 키트는 시료 흡입시 검지관의 시약과 시료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2) 제원 및 특성 표 5-9 CDS 키트 제원 및 특성 구 분 내 용 검지관의 양끝을 잘라낸 다음 펌프에 장착한다. 사용절차 펌프를 손으로 압축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검지관의 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농도를 확인한다. 식별물질 화학작용제 및 사고대비물질 식별 가능 상태의 사고대비물질만 측정할 수 있다. 제한사항 가스 한번 사용에 한 가지 물질만 측정이 가능하다. 사진 5.7.2 표 5-10 가스 검지기 제원 및 특성 구 분 내 용 양끝을 자르지 않은 검지관을 가스채취기에 장착하고 손잡이를 탐지전 잠근다. 점검 1분간 방치 후 잠금장치를 풀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지를 사항 확인한다. 검지관의 양끝을 잘라낸 다음 가스채취기에 장착한다. 사용절차 손잡이를 끝까지 당겨 가스를 채취한 후 90 돌린다. 물질의 농도를 확인한다. 식별물질 화학작용제 및 사고대비물질 식별 가능 가스 상태의 사고대비물질만 측정할 수 있다. 제한사항 여러 종류의 물질 존재 시 동시 탐지가 제한되며, 한번 탐지 시 한가지 물질만 가능하다. 사진 5.8 휴대용 측정장비 5.8.1 Chempro 100 가스 검지기 개요 흡입된 시료를 센서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대기 중 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2) 제원 및 특성 표 5-11 Chempro 100 제원 및 특성 구 분 내 용 크기 : 24 cm x 8 cm x 4 cm 무게 : 600 g without battery 제 원 표준리튬이온배터리: 무게 170 g 표준연속작동시간 8-9시간 충전시간은 내장통합충전기 사용 시 4 시간 소요 (1) 개요 가스검지기 및 검지관으로 구성 되었으며, 실리카겔이나 알루미나 등에 발색시 약을 코팅시킨 것으로 발색시약은 측정 가스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한다. 암 모니아, 염소 등 인체에 유해한 기체상의 독성 물질 측정이 가능하다. (2) 제원 및 특성 (1) - 330 - - 331 -

- 332 - - 333 -

③ 그림 9는 전형적인 샘플링 모드를 표시함 - 탐지기 표시창의 다양한 기능으로 현재 사용중인 라이브러리에서 물질이 탐지시 다양한 문자메시지와 아이콘이 입력된 대로 화면에 나타냄 - 경보음과 함께 LEDs가 적색으로 반짝거림 그림 5-9 Chempro 100 전형적인 샘플링 모드화면 끄는 방법 ① 오른쪽 키를 약 3 초 동안 누르다 ② 꺼짐을 확인(두번째 화면에서) ③ 탐지기가 꺼지면 인넷캡을 닫힘(closed)위치로 돌린다 Chempro 100은 키가 잠겼을 때 ('locked') 를 제외하고 어느 메인 화면에서도 끌 수 있음 (7) 그림 5-10 Chempro 100 끄는 과정 - 334-5.8.2 화학작용제 휴대용 탐지기 (APD -2000) 개요 방사능 동위원소 분자들을 이온화시켜 물질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탐지시간은 수초에서 수분 정도 소요되며 일반 탐지/식별장비와 달리 대기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진공장치가 필요 없다. (2) 제원 및 특성 표 5-12 APD-2000 제원 및 특성 구 분 내 용 전 원 : 9V(BA-4E 6개), 18V(옵션장착시 외부전원사용) 게 : 6파운드(3 ) 제 원 무 운용 온도 : -30 52 배터리 수명 : -4 이하(30분 이하), 42 이상(1시간 이하) 구성품 APD-2000, 감도점검기, 필터 노즐2줄, 휴대가방, 사용 설명서 : GA, GB, GD, VX, H, HD, L, 최루, 무능화작용제 식별물질 화학작용제 (IRRT), 방사능(방사능 측정기 부착시 가능) (1) 사진 (3) 조작전 점검 ① 배터리 결합 - 배터리 보호캡을 개방후 건전지 6개를 삽입시킨다. ② 작동 검사 - POWER 버튼 누름, 최초 모니터상 소프트 웨어 버전 표시 - HONE TEST : 경보음 이상 유무 확인, 2회 울림 - SELF TEST : 기계내 전기, 전자 장치 이상 유무 확인 - READY CW : 탐지 및 측정 준비 ③ 장비 성능 검사 - 장비 모니터 READY TEST에 위치 : READ CW에서 MODE버튼 4회 누름 - 순서 : READ CW READ CWVX READ IRRT READ TEST - APD-2000 노즐 부분에 필터 노즐을 결합 - 감도 점검기 H를 노즐 부분에 1초간 눌러 준다. - 335 -

- 모니터에 ALARM TEST 표시와 동시 경보음 울림 5.8.3 ALARM TEST SIM 화학작용제 탐지장비 (CAM 2) 개요 공기 중에 존재하는 화학작용제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장비로 휴대가 간편하고 단시간에 탐지가 가능하다. 인원, 장비, 선박의 구조물, 비행기, 지상차량, 건물이 나 지형의 오염을 탐지하는데 사용되며, 제독 후 잔류독성물질 유 무를 탐지하 는데 사용된다. (2) 제 원 표 5-13 CAM2 제원 구 분 탐지장비 충전기 크 기(cm) 40.5 8.3 15 20 28.2 10.9 무 게(kg) 2.1 2.5 8.5 ~ 260V AC 범위 6-32V DC 24 ~ ±6V DC BA-6802K 전원 불가식 전지 8.2V DC출력 운용 재충전 2개 동시충전 가능 BB-7801K 재충전식 전지 이상 (신경, 수포), 저농도시 20초이내 식별물질 0.1mg/ 10mg/ 이상 (혈액, 질식), 저농도시 20초이내 (1) H 경보와 동시 백 후레쉬 기능 작동 - 백 후레쉬 기능후 감도 점검기 G 부분을 4에서 5회 실시 - 위 표시와 동일하게 표시(SIM G로 표시) (4) 조작 절차 ① 모니터에 READY CW에 위치시킨다. ② VX 작용제 탐지시 READY VX, 무능화 및 자극성 작용제 탐지시 READY IRRT에 놓는다. - 어깨끈을 각개로 맨 상태로 오염지역에서 탐지한다. - 작용제 탐지시 작용제 종류 및 농도가 표시된다. - ALARM CW + NERV 55 GA 신경 작용제 GA 탐지(BLIS 표시 : 수포 작용제) - 55 : 작용제 농도 표시 - 탐지 종료후 작용제 백 후레쉬 실시한다. (CLEAR 버튼을 누르면 내부 백 후레쉬 작동, 오염된 내부를 깨끗이 세척) - 작동 정지시 POWER 버튼을 오래 누르면 장비가 꺼진다. (5) 주의 사항 ①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 ② 오염장소에서 베터리 교체하지 말아야 한다. ③ 사용 시 항상 노즐 보호캡을 개방하야야 한다. ④ 사용하지 않을 시 노즐 보호캡을 닫아 두어야 한다. - NERV GA : 사진 및 구성품 (3) - 336 - 사용방법 ① 인원ㆍ장비ㆍ지역을 신속,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아랫바람 방향으로 탐지한다. ② 탐지장비는 탐지 작용제 흡입능력을 고려하여 탐지대상으로부터 흡입노즐 조립체을 2-3cm 떨어진 상태에서 탐지해야 한다. ③ 탐지장비 운용중 오염이 의심스러운 경우 먼지필터를 제거하고 정화팩을 흡 - 337 -

- 338 - - 339 -

Toluene Bromomethane - 340 - - 341 -

본체 키패드의 [Activation Remote Mode]가 나오면, 본체를 OFF 시킨 후 시료 프로브를 분리시킨다. - 서비스 모듈에서 본체를 분리하고 노란 마개로 본체 하단을 막는다. - 서비스 모듈 위에 마개를 올려놓은 후 [Service Module]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Pump down Service Module]을 실행한다. - 노란 마개로 서비스 모듈 윗면을 막는다. ⑦ 제 독 : 분석이 끝난 다음 분석자 및 분석장소, 분석기기를 제독한다. (5) 주의사항 ① 휴대용 GC/MS는 시료채취전에 미리 가동하여 안정화를 시켜놓는다. ② 시료 분석전에 바탕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다. ③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료의 누출을 고려하여, 격리된 장소에 설 치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④ 분석자는 방독면과 보호장갑 착용한다. ⑤ 분석과정에서 기기로부터 배출(vent)되는 시료는 반드시 포집하여 추가 오 염을 차단한다. ⑥ 분석이 끝난 후 테드라 백에 채취한 시료와 기기에서 포집한 시료는 채 취 용기 내부에 제독제를 넣어 제독시킨 후 폐기 처리한다. - 5.8.5 휴대용 IR 하면 분자나 결정의 형태 빛 대칭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시료의 결정화 정 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물질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르제 나타나 므로 라만 분광법은 분자의 구조 및 특성을 알 수 있는 분광장비로서 응용이 된 다. 현재 이러한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현장물질 식별 장비는 First Defender XL, Inspector RamanTM & RockHoundTM, InPhotonics 등이 있으며, 적용되는 물질 로는 백색가루형태의 화학물질, 유리나 플라스틱병에 들어있는 위험물질, 글로우 박스 안의 미지물질, 마약, 폭약 등 다양하게 운용이 되고 있다. 그림 5-12 휴대용 IR 분석기 분석기와 라만 분석기 많은 화학물질은 충격에 민감하거나, 발열하거나, 유독가스을 발생시키거나, 폭 발의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어 취급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 전처리 없이 곧바로 탐지하는 또 다른 방법은 IR분광법과 라만분광법이 있으며, 이러한 분광 법을 이용한 휴대용 분광기는 위험성과 폭발성 화합물의 많은 종류의 분석을 위 해 사용 될 수 있는 신속하고, 비파괴적이며 정확한 기술이다. 다양한 용기내에 존재하는 혼합액체 뿐만 아니라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병에 들어있는 적은 양의 물질까지도 비파괴적으로 탐지 가능하다. IR 분광법 탐지원리는 미러(mirror)에 의하고 입사한 적외광은 ZnSe의 렌즈에 의하고 집광되고 다이아몬드의 결광과 시료면의 사이에서 반사하고 한번 더 렌즈를 통과하고 FT-IR 검출부에 갑니다. 적외선이 내부반사에서 일부의 에너지가 시료로 적외흡수를 일으키고 흡수된 에 너지의 스펙트럼를 분석하여 물질의 성분을 알아낸다. 라만 분광법 탐지원리시료 에 단색 광원(laser)을 조사하면 빛이 산란되게 되고 산란된 빛의 대부분은 레이 저의 파장에 상응하는 신호이지만 일부는 레이저의 파장에서 시료의 진동모드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위치 이동이 되어 나오는 신호가 있게 되는데 이 신호를 분석 - 342 - 그림 5-13 휴대용 라만 분석기 (좌 : First Defender XL, 우 : InPhotonics, 중앙 : Inspector RamanTM & RockHoundTM) - 343 -

5.9 현장에서의 즉각 조치요령 화학테러ㆍ사고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에서의 즉각 조치 요령을 다룬 다. 이 장에서 설명되는 즉각 조치 조령은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사고 발생 지역 의 인구 밀도 등 사회적 특성, 지형적 특성, 사고 발생 당시의 기상 조건 및 각종 탐지/식별, 제독 장비 보유 현황 등을 감안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변경해서 적용 해야 한다. 1. 현장 통제요원들의 주요 임무 사고 발생 지역 통제 및 현장 구역 경계 설정 (오염지역, 제독지역, 안전지역) (2) 독성물질 식별 및 확산 방지 (3) 환자 구조, 제독, 분류, 치료(응급) 및 후송 (4) 인원 및 차량 통제 (5) 사고 현장 수습 (6) 2차적 사고 발생 방지 (7) 2차적 오염 확산 방지 (8) 사고 발생 지역 목격자 및 증거 보존 (1) 2. 독성물질 식별을 위한 초기 대응요령 침착하게 개인 보호장비와 탐지/식별 장비를 갖춘다. ① 보호장비는 제2장 1. 보호장비를 참조한다. ② 탐지/식별장비는 Chempro100 등 제3장 식별장비 참조한다. (2) 오염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개인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①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최소한 90m 거리 내에서부터는 보호 장비를 반드 시 착용해야 한다. ② 이 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가 등급(Level A)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가 등급(Level A) 보호장비의 구성은 제2장 1.2 보호등급 수준을 참조한다.) (3) 오염 지역 내의 사고 발생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 때, 안전을 고려하여 다음 사 항을 준수해야 한다. ① 항상 바람을 등지고 사고 발생 지점으로 이동한다. ② 가능한 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③ 만약 안개나 낮은 구름이 형성되어 있다면 이를 우회한다. (4) 탐지/식별장비를 이용하여 가능한 한 신속하게 독성물질의 종류를 식별한다. (1) - 344 - (제3장 탐지/식별 장비를 참조한다.) ① 대기시료 : 가스검지기, Chempro100, 휴대용 GC/MS(HAPSITE) 등을 사용 하여 식별한다. ② 수용액시료 : 탐지지, Water test kit, Smart strip kit, Classifier strip kit 등 을 사용하여 식별한다. ③ 토양시료 : 토양을 물이나 메탄올 등과 혼합후 용매 부분을 분리하여 수용 액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별한다. 주의 : 사용한 용매가 탐지지나 키트류에 영향이 없는 것 (5) 특별히, 백색가루인 경우 휴대용 IR 분석기, 휴대용 라만 분석기 등의 식별 장 비를 이용할 수도 있고, 없을 시에는 간이 식별방법인 용해도(물, 아세톤) 실험 을 통해 물에 녹는 무기물인 경우는 Strip kit(조각 키트) 실험으로 확인하며, 아세톤에 녹는 유기물인 경우는 실험실로 운반 후 GC/MS 등과 같은 식별장 비로 정밀분석을 실시한다. ① 용해도 실험 (표 15. 백색가루(독성물질) 간이 식별결과를 참조한다.) 1) 먼저 한 개는 물, 다른 한 개는 아세톤이라고 쓰여진 2개의 50ml 용기를 준비한다. 2) 각각 용기에 백색가루를 0.5g 정도 ( 작은스푼 ) 씩 넣고, 물이라고 쓴 용기에는 물을 30ml까지 채우고, 아세톤이라고 쓴 용기에는 아 세톤을 30ml까지 채운다.(1.5% 용해실험 ) 이때 물과 아세톤은 서서히 흔들면서 넣는다. 3) 뚜껑을 막고 손으로 3초정도 흔들어서 녹인다. 뚜껑을 살짝 열었다가 잠근다. 4) 2번 반복 실시하고, 5초 정도 기다려 녹지 않은 가루가 바닥에 가라앉거 나 뿌옇게 흐려지는 것을 확인한다. 5) 결과해석 : 일반적으로 아세톤에 녹으면 유기물이 많고, 물에 녹으면 무기물이 많다. 유기물의 경우 주로 농약류나 의약품 원료 또는 중간물질이 많다. ② Strip kit : Smart strip kit, Classifier strip kit (표 15. 백색가루(독성물질) 간이 식별결과를 참조한다.) 1) 용해도 실험에서 물에 녹은 물질은 물 용기의 뚜껑을 열고 스포 이드로 1방울 씩 각 조각에 떨어뜨려 확인한다. 2) 각 조각(strip)의 변색되는 것을 kit 식별차트와 비교한다. 일반물질의 백색가루에 대한 간이 식별결과는 표 16을 참조한다.) - 345 -

- 346 - - 347 -

- 348 - - 349 -

표 5-16 백색가루(일반물질) 간이 식별결과 미지시료 식별 과정 표 16. 백색가루(일반물질) 간이 식별결과(계속) 양성반응 결과 미지시료 식별 과정 양성반응 결과 가성소다 미지시료를 비이커에 물을 가함넣고 미지시료를 물에 녹인후 리트머스 시험지를 담금 열(수증기 발생 관찰) 카바이드 미지시료가 플라스크에 든 물을 풍선을가한후 연결 녹말가루 밀가루 시료에 요오드팅크를 떨어뜨림 청자색으로 변색 분유/커피프림 화장품/베이비파우더 미지시료를 비이커에 넣고 찬물을 가함 찬물에 안 녹음 베이킹파우더 미지시료를 비이커에 넣고 찬물을 가함 찬물에 안 녹음 백 반 용각산 석회석 소석회 미지시료가 든 플라스크에 진한 염산을 가함 미지시료를 비이커에 넣고 5% 염산용액을 가함 미지시료를 물에 녹인후 리트머스 시험지를 담금 생석회 미지시료를 비이커에 넣고 물을 가함 미지시료가 든 플라스크에 진한 염산을 가함 탄산소다 미지시료를 물에 녹인후 리트머스 시험지를 담금 소 금 이산화탄소 발생(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짐) 열 발생 (수증기 관찰) 설 탕 붉은색 시험지 푸르게 변색 조미료 열 발생 (수증기 관찰) 표백분 이산화탄소 발생(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짐) 붉은색 시험지 푸르게 변색 3. 4. 5. - 350 - 적용시 주의사항 미지시료를 물에 녹인후 시험지를리트머스 담금 플라스크에 암모니아수와시료를 넣고 이산화탄소 풍선 연결 비이커에 미지시료를 물에 녹임 넣고 미지시료에 진한 염산을 가함 비이커에 미지시료를 물에 녹임 넣고 미지시료가 든5% 플라스크에 염산용액을 가함 비이커에 미지시료를 넣고 물에 녹인 후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함 붉은색 시험지 푸르게 변색 풍선속의 기체폭발 (아세틸렌)를 불꽃에 대면 1. 2. 푸른색시험지분홍색변색 물에잘녹음 용액이뿌옇게흐려짐 물에 잘 녹음 탄소덩어리 생성 물에 잘 녹음 염소가스 발생 (황록색) 열 발생 (수증기 관찰) 상기 방법은 현장 간이 확인용이며, 미지물질 속에 작용제 포함시 탐지/식별 제한 유독가스 발생 실험 및 강산 취급 실험시 노출 및 접촉 주의 - 3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