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업자관점의 5G 네트워크기술 김주희, 김택희, 이종식, 백은경 KT 융합기술원인프라연구소 Abstract 5G는자동차, 미디어, 보안, 라이프케어, 에너지등우리사회의다양한영역과융합하여편리함그이상의편안함을제공하는또하나의새로운모바일혁명을가져다줄것으로예상된다. 이러한기대와함께최근 5G 표준화및상용화논의가국내외에서본격적으로진행되고있다. 본고에서는통신사업자관점에서의 5G 네트워크구조를제시하고, 이를위한핵심네트워크기술들을살펴본다. 그리고국내에서전국망으로구축된 4G 상용네트워크를향후 5G 네트워크로진화시키기위한단계적추진방안에대해고찰한다. I. 서론 4세대이동통신서비스는스마트폰혁명과함께사람들에게편리함을제공하고, 삶의모습까지변화시켰다. 모바일기기를이용해언제어디서든은행업무를보고, 원하는정보를찾고, 자신의경험을다른사람들과실시간으로공유하는것이이제는일상이되었다. 그리고앞으로머지않은미래에다음세대이동통신서비스, 즉, 5G가전세계인들에게지금과는또다른세상을선보일것이다. 초다시점영상, 홀로그램등과같은새로운형태
의멀티미디어컨텐츠, 가상현실 / 증강현실을이용한초실감형게임, 그리고자율주행자동차가 5G를통해가능해질것이다. 또한, 드론,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 (HMD: Head Mounted Display) 등차세대단말들이확산되고, 에너지, 의료, 농업등다양한산업영역에서 IT화가가속화되어셀수없이많은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이 5G를통해보편화될것으로기대한다. 이를위해국내외에서 5G에대한논의가본격적으로진행되고있다.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는 2015년 10월 5G의공식명칭을 IMT-2020 으로승인하고, 5G의서비스시나리오및핵심성능요구사항을확정하였다 [1]. 그리고 2020년 5G 국제표준승인을위해 2017년부터 5G 후보기술을제안받을예정이다. 3GPP는 2015년 12월, RAN 총회에서 5G 표준화에대한전반적인일정과개념을합의하고, 현재 5G 를위한무선인터페이스와네트워크연동에대한표준화를진행중에있다 [2]. 또한, 3GPP SA2 그룹에서는차세대코어네트워크아키텍처수립을위해주요이슈사항을정리하고각이슈별제안된솔루션들을검토하고있다 [3]. 통신사업자로서 KT는 ITU, 3GPP를포함한글로벌기구의 5G 관련논의에적극참여하고있다. 특히, KT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5G 시범서비스를목표로글로벌제조사들과함께평창 5G 규격을정의하고 [4], 무선전송부터액세스네트워크와코어네트워크까지 5G 서비스를위한최적단대단 (End-to- End) 네트워크기술개발을위해노력하고있다. 본고에서는통신사업자로서 KT가생각하는 5G 네트워크구조및핵심기술을소개한다. 본고는다음과같이구성되어있다. 2장에서는차세대융합서비스를지원하기위한 5G 네트워크구조를제시하고, 3장에서는 5G 도입을위한핵심네트워크기술들을무선액세스와코어로구분하여살펴본다. 4장에서는 5G 네트워크로의단계적진화방안을고찰하고이를기반
으로한 KT 의단계적 5G 네트워크구축계획에대해서소개한다. 5 장에서 본고를끝맺는다. II. 5G 네트워크구조 5G는타산업과의융합을통해새로운가치를만들어미래사회에편안함을제공해주는혁신적인차세대네트워크플랫폼이될것이다. 즉, 대용량트래픽을수용하면서도수많은모바일기기들을연결시켜주는 5G 인프라와다양한미래서비스를신속하고도효과적으로수용할수있는클라우드플랫폼을기반으로가정, 사회, 산업의각영역에서혁신적인융합서비스가제공될수있을것으로기대한다. 5G 인프라는미래형융합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 Big Pipe, Massive Connectivity, Near-Zero Latency 의속성을갖는새로운인프라이다. 4K/8K UHD 와 3D 홀로그램과같은차세대미디어를이용하여실제앞에있는것 그림 1. 5G Network 구조
처럼느낄수있는초실감형고객체감서비스를지원하기위해서는대용량무선파이프라인 (Big Pipe) 이필요하다. 또한, 사람뿐아니라기계, 자동차, 로봇, 센서등모든것이네트워크에연결된즉, 초연결성에기반한다양한융합서비스를지원하기위해대규모의연결성 (massive connectivity) 역시 5G 인프라의핵심요소이다. 아울러, 초실감형서비스와미션크리티컬 (mission-critical) 응용서비스를원활하게수용할수있도록초저지연성 (Near-zero Latency) 이확보되어야할것이다. 이를위해 Massive MIMO, 초광대역전송기술등과같은초고속무선접속기술과인프라의효율성을향상시킬수있는혁신적인 5G 네트워크기술이필수적이다. 차세대미디어, IoT 뿐아니라새롭게출현하는다양한 5G 서비스를신속하고도효과적으로수용하기위해소프트웨어기반의유연한플랫폼이필요하다. 효율성과유연성을확보한혁신적인클라우드플랫폼은 5G 서비스및네트워크의구축, 관리를용이하게할것이다. 또한, 이클라우드플랫폼위에서네트워크정보, IoT 센서정보, 인터넷정보등엄청난양의지식들이수집, 가공, 제공되어지능형 IoT 기반의새로운융합서비스가활성화될것으로기대한다. 3.1 액세스기술 III. 핵심 5G 네트워크기술 5G 무선전송기술 : ITU에서정한 5G 성능요구사항을만족시키기위한핵심 5G 무선전송기술로서 1) 초광대역전송기술, 2) massive MIMO 및 3D 빔포밍기술, 3) near-zero latency지원을위한 new frame 구조를고려할수있다. 먼저, 20Gbps 이상의최대전송률을제공하기위해서는지금의셀룰러대역보다훨씬더넓은수백 MHz 또는수 GHz의연속적인초광대
역주파수가필요하다. 이에따라, 초광대역확보가용이한 6 GHz 이상의높은주파수대역, 즉, 밀리미터대역 (mmwave: millimeter wave) 이 5G를위한후보대역으로중점고려되고있다. 밀리미터대역은채널특성으로인해기존셀룰러대역에비해전파거리가매우짧아서 [5], 이를고려한초광대역전송기술이요구된다. Massive MIMO 기술은수십에서수백개의송수신안테나를사용하여전체시스템용량을향상시킬수있는기술로서, 3D 빔포밍기술을통하여보다효율적인모바일서비스를가능하게한다 [6]. 한편, 3D 빔포밍은기지국과단말간에세밀한빔을형성하여단말관점에서 SNR(Signal-to-Noise Ratio) 을극대화할수있는기술로서밀리미터대역의짧은전파거리를극복하기위한핵심기술이다. 마지막으로, 실시간게임, 실감형통신, 원격의료, 원격제어등과같은미션크리티컬서비스를원활하게지원하기위해 near-zero latency 지원기술이필요하다. ITU 는 5G 성능요구사항으로서 1msec 이하의무선전송구간 latency를정의하고있다. 이를위해스케줄링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를줄이는것도필요하지만무선전송절차전체에서 1msec 전송보장이가능하도록최적화된프레임구조에대한설계가필요하다. 이러한점에서상 / 하향데이터전송을트래픽상황에따라서브프레임단위로동적으로구성하고, 하나의서브프레임내에하향제어채널, 데이터와상향제어채널을동시에포함하는 self-contained 프레임구조역시 5G 무선전송을위한핵심기술이다 [7]. Advanced C-RAN(Cloud-Radio Access Network) & Open Fronthaul: KT를포함한국내이동통신사의 LTE RAN은저비용구조에서네트워크용량증대를위해중앙집중형구조로구축되어있다. C-RAN에서기저대역처리는 BBU(Base Band Unit) pool의중앙국사에집중되고, 무선송수신부 (RRH: Remote Radio Head) 만셀사이트에위치한다. 가상화된자원을무선셀간
그림 2. Cloud RAN과 RAN 기능분리공유함으로써시변하는비균질트래픽에대한네트워크운용유연성을향상시키고, CAPEX 및 OPEX를절감할수있다. 기구축된 LTE BBU와 RRH는기능상물리계층-RF로분리되어있고, 상호인터페이스 (fronthaul) 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기반으로연결되어있다 ( 그림 2의 Option 5)[8]. 그런데 5G 구축을위해서기존 C-RAN 구조를적용하면기존대비 100배이상 1 의 fronthaul 전송용량이필요함에따라막대한광구축비용이요구된다. 따라서 5G RAN를위해서요구전송용량을줄이면서도 Cloud RAN의장점을유지할수있는저비용 fronthaul 구조및최적기능분리설계가필요하다. 현재 3GPP에서는 Central Unit() 과 Distributed Unit(DU) 으로구성된새로운 5G RAN 구조를정의하고, fronthaul 전송용량, 가상화이득, 네트워크성능등을고려하여 -DU간기능을최적으로분리하고자논의를진행하고있다 [9]. 구체적으로, RAN3 WG에서는총 8 개의기능분리옵션들에대해서장단점을분석중에있으며, 그중다수의멤버들의선호옵션은그림 2의 Option 1~4이다. 즉, 저용량 fronthaul 전송에적합한상위계층분리구조 Option 1, 2와고용량 fronthaul 전송에적 1 2T2R, 20MHz LTE 지원을위해서는 CPRI 전송을위해서 2.5Gbps 의전송용량이필요한 반면, 5G 의경우, 8T8R 800MHz 5G 지원을가정하면 400Gbps 의전송용량이요구된다.
합한하위계층분리구조 Option 3, 4 이집중논의되고있다. 향후 3GPP 에 서 -DU 간인터페이스표준화가완료되면 -DU 간멀티벤더의상호운 용성이가능해지고 5G 생태계도더욱활성화될것으로기대한다. 유무선통합액세스 : 현재무선, 유선, 기업의액세스네트워크는각각별도의광케이블을통해서구축되어서비스가제공되고있다. 즉, 유선액세스네트워크은 E-PON이고, 무선액세스네트워크는 CPRI fronthaul로구축되어있다. 앞서언급한바와같이저용량의 5G용 fronthaul이도입된다고하더라도 5G 네트워크구축을위해서는많은수의기지국증설이필요하기때문에신규광케이블의대규모투자는불가피하다. 또한, 5G에서는사용자에게최고품질의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상황에따라여러개의액세스에동시에접속하거나하나의최적접속을정해주는사용자중심네트워크 (user-centric network) 가제공되어야할것이다. 이에따라, 유무선경계구분이없이서비스를제공할수있도록유무선통합액세스네트워크로의진화는필수적이다. 그림 3과같이통합액세스장치 (UAU: Unified Access Unit) 를이용하면하나의광케이블을공유하여무선, 유선, 기업의액세스망통합하고 1차분기점인맨홀이나 2차분기점인광단자함등필요한곳어디서나자유롭게분기가가능하다. 기존구축된광케이블을공유하여필요할때마다액세스통합장치를설치하면별도케이블증설없 그림 3. 유무선통합액세스
이서비스제공이바로가능하기때문에망구축비용및시간을획기적으 로줄일수있을것이다. 5G SON(Self-Optimization Network): 5G 도입과함께네트워크의과밀화에의해운용복잡도및 OPEX가크게증가될것으로예상됨에따라, 이를해결하기위해고도화된 SON 기능도입이요구된다. 현재의 SON 개념이단순한액세스네트워크의자동구성및최적화지원수준이었다면, 5G SON은수집된데이터의실시간분석을통한선제적인조치와단대단관점에서의서비스품질을보장하는방향으로진화되어야할것이다. 특히, 5G SON은간섭관리와부하분산을고려한자동최적화분야에서더욱고도화되어네트워크상황을실시간자동감지하여분석하고, 이를서비스지장없이보완하는방식으로진화할것으로예상된다. 이러한확장된 SON 기능제공을위해서는가입자레벨의품질정보, 액세스망무선품질정보, 코어망품질정보 ( 장애, 인증, 성능, 보안등 ), CDR(Call Detail Record) 정보같은 그림 4. 5G SON
종단간네트워크정보뿐만아니라, 고객관계정보와스마트폰센서데이터, 소셜미디어정보등다양한방면의정보가활용될수있다. 나아가, 5G 네트워크로부터수집된빅데이터를네트워크운용및품질개선에그치지않고새로운비즈니스모델을발굴하는데도사용될수있는데, 다양한디바이스및네트워크장비로부터추출된빅데이터의분석을통하여고객행동기반예측을통한마케팅전략수립, 물류최적화, 도시설계등다양한분야에활용될수있을것으로예상된다 [10]. 3.2 코어네트워크기술 분산클라우드기반코어네트워크구조 : 4G 코어네트워크구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가중앙에위치한중앙집중형구조이다. 중앙집중형구조는 IoT 단말로부터발생하는대량의트래픽과지연에민감한 mission-critical application 서비스를지원하기에한계가있다. 5G 코어네트워크를분산된수평적클라우드형태로구축하면이러한한계를극복할수있다. 수평적분산클라우드기반구조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과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술을적용하여코어네트워크기능을제어기능과데이터전달기능을분리하여클라우드인프라 (Cloud Infra) 기반으로가상화한다. 각네트워크기능은용도별로제어부분은 Central Cloud 에, 데이터전달관련부분은 Edge Cloud 에적절히분산배치함으로써폭발적으로증가하는트래픽에효율적으로대응할수있을것이다. 그림 5에서처럼 Edge Cloud에는 Cloud Unit 들과 5G 코어의데이터전달기능등이분산배치되고, Central Cloud에는 5G 서비스도메인별컨트롤을위한 Domain Controller와 Edge Cloud 관리및종단간 5G 서비스를관리하기위한 Orchestrator가배치됨을볼수있다. Central Cloud 및 Edge
4G 중앙집중형구조 5G 분산클라우드기반구조 Applications MME S/P-GW Central Cloud Orchestrator Provisioning Control Domain Controller 5G Core(UP) Cloud Unit UP UP UP UP UP UP UP UP Edge Cloud 그림 5. Cloud 기반분산코어네트워크 Cloud의구체적인역할은다음과같다. 기지국사이트에근접하여전진배치된 Edge Cloud는데이터트래픽분류또는처리를주로담당하며, 중앙으로의트래픽부하를줄이고재난 / 안전분야와같이미션크리티컬하고지연에민감한서비스들을지원한다. 중앙국사에위치한 Central Cloud는분산된 Edge Cloud 장비들을관리하는역할을하며, 호연결을위한신호처리및인증, 서비스정책적용, 과금, SDN 제어기능을수행한다. 또한, 지연에민감하지않은서비스를위한트래픽처리도담당한다. 한편, 5G 코어망네트워크구조와관련하여 3GPP의 SA(Service Architecture) WG에서는 2016년 11월회의에서 5G 코어망규격을표준화하기위한차세대시스템 (Next Generation System) 에대한제안이승인되어 2017년부터본격적으로표준화작업을시작할예정이다 [11]. 그리고 ETSI-NFV NOC WG에서는통신사업자입장에서의 5G를위한 NFV 우선순위와 NFV 특성을정의하는작업이진행되고있다 [12]. SDI(Software Defined Infrastructure) 구조 : SDI 는 SDN, NFV 및클라우드
기술을이용하여 IT(Information Technology) 인프라를언제든지필요에따라유연하게변경할수있고, IT 자원과 CT(Communication Technology) 자원모두를통합제어할수있도록만든인프라구조이다. 5G 네트워크에도 SDI를적용함으로써신속하고유연한네트워크구축및운용이가능해질것이다. 기존의하드웨어기반의네트워크에서는신규서비스를도입하거나변경해야할때, 이에맞춰네트워크를변경하기위해각각의네트워크장비의설정을직접변경해야하므로많은시간과인력이필요했다. 그러나 SDI 구조에서는 SFC(Service Function Chaining) 기술을이용하여수초내로네트워크경로를변경하거나서비스기능을추가또는제거할수있다. 그림 5는 SDI기반의 5G 코어네트워크구조를보여준다. 중앙에위치한 orchestrator가전체 5G 네트워크를관장하고, 가상네트워크장비를만들거나특정서비스에특화된맞춤형가상네트워크를구성및연결한다 [13]. 네트워크슬라이싱 (Network Slicing): 네트워크슬라이싱은 SDN/NFV 기술 Orchestrator IoT Network Virtual Network Car Network Emergency Network Physical Network MEC 5G Core(UP) Edge Cloud Applications 5G Core(UP) 5G Core (CP) Central Cloud 그림 6. 네트워크슬라이싱개념
을활용하여네트워크를다수의가상네트워크로분리하고가입자별또는서비스별로논리적네트워크를구성및관리함으로써네트워크유연성을향상시키는기술이다. 그림 6은네트워크슬라이싱의개념을보여준다. IoT, 자율주행자동차, 재난망서비스는각각요구되는서비스특성및네트워크성능이다르다. 이들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공통의물리적네트워크장비를사용하지만, 각서비스별특성및요구사항에맞게네트워크자원을논리적으로할당하여가상의전용서비스네트워크를제공하게된다. 네트워크슬라이싱을이용하면가상화된네트워크자원을효율적으로사용할수있을뿐만아니라, 신규서비스도입시에도서비스요구사항에맞춘논리적인네트워크슬라이스를바로생성하여신속하게서비스를제공할수있다 [14]. IV. 5G 네트워크로의진화방안 현재전국망으로구축된 3G/4G 네트워크를 5G 네트워크로진화시키기위해서는단계적추진전략이필요하다. 우선은, 향후 5G로의진화를고려하여기구축된 LTE 네트워크를고도화시키는것이필요하다. 다음으로 5G 액세스네트워크를도입하여 4G Evolution 네트워크와병행연동시키는구조로진화시킬수있을것이다. 그이후최종적으로 5G 코어네트워크가구축되고 LTE/WiFi/5G/ 유선접속이완전통합되어 5G unified single network로진화가가능할것이다. KT는 2015년 9월, 이러한 5G 네트워크로의단계적진화전략을기반으로다음의 5G 마스터플랜을수립하였다 [13]. 1 단계 (4G Evolution): KT 는 LTE-Advanced Pro 기술을적용하여상용 LTE 액세스장비를고도화하고, 네트워크가상화기술 (SDN/NFV) 을이용하여코 어네트워크진화도병행할계획이다. 또한, WiFi-LTE 병합전송과같이
Multi-RAT 연동기술을구축하여고객이 5G급무선서비스를선경험할수있도록차별화된서비스를제공할계획이다. GiGA LTE TM 서비스는 5G로의 1단계진화의일환으로볼수있다. 향후에는액티브안테나시스템 (AAS: active antenna system) 기반스몰셀을도입하고, 8x8 MIMO, 4대역이상주파수병합 (CA: carrier aggregation), 256QAM 기술들을적용하여약 4 Gbps 이상의데이터속도를제공할계획이다. 더불어 KT는가상화기술을이용하여제어시그널링, 데이터전달, 이동성제어등다양한코어네트워크기능들을일반상용서버에소프트웨어의형태로구현하여코어네트워크고도화를추진할것이다. 2단계 (4G-5G Coexistence): 이단계에서는 5G 네트워크를일부지역에구축하여 4G Evolution 네트워크와공존운용할계획이다. KT는 2018년평창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를제공하고, 2019년에는 5G 상용서비스를선보일예정이다. mmwave, Massive MIMO 등 new RAT 기술들이적용된새로운 5G 무선기지국은초기에는도심일부트래픽밀집지역또는 그림 7 5G Network 진화계획
서비스특화지역부터구축할것이다. 또한, 기가인터넷 서비스를제공하는풍부한유선광인프라가 5G 서비스백홀로활용될것이다. 유무선액세스를통합한구조로진화함으로써 5G 신규네트워크도입시비용과구축시간을많이단축할수있을것으로기대한다. 한편, 경기장, 행사장또는유동인구가많은강남, 명동등사람들이밀집해있는지역에는 5G 소형셀기지국을촘촘하게설치하는초밀집네트워크 (UDN: ultra-dense network) 을통해원활한 5G 서비스를제공이가능할것이다. 다양한버티컬 (vertical) 서비스들은단대단 (End-to-End) 서비스오케스트레이션에의해가상화하여제공되므로인프라의효율성이획기적으로증대될것이다. 3단계 (5G Unified Single Network): 궁극의 5G 네트워크구조는 4G/5G/WiFi 등이종무선접속규격을통합수용하고, 분산된수평적코어네트워크체계가기본이될것이다. 또한, 이시기에는사업환경에따라유연하고빠르게구축할수있는범용성을가지는소프트웨어기반인프라로의진화가완료될것이다. 소용량의분산형코어네트워크가액세스에전진배치되어초저지연서비스을원활하게지원하고, 보안성과안정성이확보된새로운네트워크서비스를제공할수있을것이다. 한편, 단일한기지국운용체계 (unified SON) 를도입하여전체네트워크를통합, 운용, 관리할수있도록진화시킬예정이다. V. 결론 본고에서는통신사업자관점에서바라보는 5G 네트워크구조를제시하고, 이를위한핵심 5G 네트워크기술들을살펴보았다. 5G 네트워크는기존 3G, LTE 네트워크와같이모바일정보의단순전송수단이아닌, LTE, WiFi, 5G, 그리고유선접속까지완전통합되고지능화되어미래형융합서
비스를제공하는 Intelligent Network 플랫폼이될것이다. 이에따라 5G 네트워크를성공적으로구축하기위해서는대용량전송, 대규모의연결성, 초저지연성을지원하는새로운무선접속기술뿐만아니라, 네트워크유연성및지능화를지원하는혁신적인네트워크기술이병행개발되어야할것이다. 국내외통신사업자, 장비제조사, 대학, 연구소의 5G 관련연구및기술개발이더욱활성화되어 5G 생태계가조기에구축되기를기대한다. 참고문헌 [1] ITU-R,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Rec. ITU-R M.2083, Sept. 2015. [2] 3GPP, Work Item Description: Study on new radio (NR) access technology, RP-161596, Sept. 2016. [3] 3GPP, 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 Technical Report 23.799 v2.0.0, Nov. 2016. [4] KT 5G-SIG Specifications, <http://kt.com/biz/kt5g_02.jsp>. [5] T. S. Rappaport et al., Millimeter wave mobile communications for 5G cellular: It will work! IEEE Access, vol. 1, no. 1, pp. 335 349, Aug. 2013. [6] E. G. Larsson et al., Massive MIMO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IEEE Commun. Mag., vol. 52, no. 2, Feb. 2014. [7] J. Smee, 5G vision and design, presented at the IEEE 5G Summit, Santa Clara, USA, Nov. 2015. [8] Ericsson, Huawei, NEC, and Nokia,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interface specification v6.0, Aug 2013, <http://www.cpri.info/spec.html>.
[9] 3GPP,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Radio Access Architecture and Interface, Technical Report 38.801 v0.6.1, Nov. 2016. [10] A. Imran et al., Challenges in 5G: How to empower SON with big data for enabling 5G, IEEE Network, vol.28, no. 6, pp. 27~33, Dec. 2014. [11] 3GPP, Work Item Description: Next Generation System Phase1, S2-166789, Nov. 2016. [12] ETSI-NFV, NOC White Paper on NFV Priorities for 5G, NFVNOC(16)000048, Dec. 2016. [13] KT, 5G master plan, Sept. 2015. [14] NGMN, 5G white paper, Feb. 2015 Biographies 김주희 김택희 - KT 융합기술원인프라연구소 5G TF - 1998년, 2000년 : 고려대학교전자공학과학사, 석사 - 2014년 : 서울대학교전기 컴퓨터공학부, 박사 - 2000년 ~2015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 2015년 ~ 현재 : KT - 주요관심분야 : 5G 네트워크, 무선액세스네트워크, 간섭관리및무선자원관리 - e-mail : juhee1.kim@kt.com - KT 융합기술원인프라연구소 SDNFV TF - 2013년, 2015년 : 서강대학교컴퓨터학과학사, 석사 - 2015년 ~ 현재 : KT - 주요관심분야 : SDN/NFV, Cloud computing, 5G network slicing - e-mail : taekhee.kim@kt.com
이종식 - KT 융합기술원인프라연구소 5G TF - 1996년, 1998년 : 서울대학교전기공학과학사, 석사 - 1998년 ~ 현재 : KT - 주요수행과제 : 3G, Mobile WiMAX, LTE, 5G R&D 과제 - e-mail : jong-sik.lee@kt.com 백은경 - KT 융합기술원인프라연구소 SDNFV TF - 현재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이사 - 현재 TTA 미래인터넷 PG 부의장 - 주요관심분야 : SDN/NFV, 모바일네트워크 - e-mail : eun.paik@k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