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대지01이광률.indd

Similar documents
44-3대지.02이광률c

untitled

03Ȳ»óÀÏ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안테나/한지해(001~025)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09엄정섭(143~152)ok

<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¹ßÇ¥¿äÁö

4 복습 배운내용강조 정리 ( 클로징 ) 10 정리 차시학습예고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_report.hwp

Gottsch1833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11.제1부_1.1-2.hwp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allinpdf.com


ÁöÇÐ¥±(299~309)

hwp

02À±¼ø¿Á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00706ºÎµ¿»êÆ®·£µåc02ªš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갈등관리 리더십 연구결과 보고서.hwp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1+12¿ùÈ£-ÃÖÁ¾

2016남서울_수시모집요강_단면.pdf

⑦국문지리학회지-이광률-OK


감사인사

¼øâÁö¿ª°úÇÐÀÚ¿ø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Microsoft Word - 4장_처짐각법.doc

< C7D0B3E2B5B520B4EBBCF6B4C92036BFF920B8F0C0C7C6F2B0A120C7D8BCB35FC7D1B1B9C1F6B8AE2E687770>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CR hwp

더바이어102호 01~09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 하폭은 ( 가 )~( 라 ) 중하류에위치한 ( 가 ) 가가장넓다. 3 하천퇴적물의평균입자크기는하류지점인 ( 가 ) 가상류지점인 ( 다 ) 보다작다. 4 평균유량은상류지점인 ( 라 ) 가하류지점인 ( 가 ) 보다적다. 5 지점간하상고도차이는 ( 가 ) 와 ( 나 )

1 시 원생대에형성된지층은오랜시간에걸쳐풍화와침식을받으면서봉우리가두꺼운토양으로덮인산지로나타나는경우가많은데, 대표적인예가지리산, 오대산, 덕유산등이다. 2, 3 고생대에는오래된육괴사이의저지대가해침을받아얕은바다를이루었다. 이때퇴적된물질들이고생대퇴적암을이루며, 주로평남지향사와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지구과학II 지엽 암기 정리 노트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ÁöÇÐ¥±(287~297)

- 2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학부모신문225호최종

- 1 -


약관

특집 하천사업 제안공모 도시계획과 하천사업의 창조적인 연계 융합 2 양 병 우 서귀포시 박 상 수 국토교통부 환경도시건설국장 하천계획과 주무관 동홍천(제주 서귀포시) 도시하천 정비사업 로 되어있어 지금까지 강우로부터 안전지대로 여겨 왔으나 1. 추진배경 최근 하천 상류

01 02

1. 경영대학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Microsoft PowerPoint - ch02-1.ppt

src.xls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

46-3대지.04이광률c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경영학회 내지 최종

MRIO (25..,..).hwp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ITFGc03ÖÁ¾š

04서종철fig.6(121~131)ok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I - - II -

<322DB3EDB9AE2E687770>

1362È£ 1¸é

43-6대지.02성효현ok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1 -

지도학발달06-7/8/9장

CC hwp

hwp

정치사적

(100802)_출판보고서_경춘선 용산역 연장운행.hwp

실험 5

Transcription:

대한지리학회지제51권제4호 2016(473~490)?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이민부 * 이광률 ** A Study of Regional Geomorphology 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Central Korea Min-Boo Lee* Gwang-Ryul Lee** 요약 : 본연구는한반도지형연구에서가장중요한지역의하나인추가령구조곡에대한지역지형학적분석을목적으로한다. 추가령구조곡은열곡에의한단층선대로서한반도의지체구조와산맥론에서중요한역할을하는것으로언급되나이를뒷받침하는지형학및지질학적논의는계속되고있다. 본연구에서는추가령구조곡전체를하나의지역으로보면서, 구조지형, 화산지형, 하천지형, 산지지형, 단구지형, 호소지형, 퇴적물과층서등다양한지형주제들을통합하여추가령구조곡지역의지형을파악한다. 이를위해그동안의연구결과들을종합하여, 추가령구조곡의명칭과지형및지질개관, 지형연구사등을제시하고, 구조곡의기원, 용암대지의형성과정, 개석에의한하천의구조, 용암대지이전의지형복원, 지형형성과정과연대등을분석한다. 추가령구조곡은구조선을바탕으로구조지형과화산지형을중심으로한다양한지형과지형형성과정을보여주는선형의지역으로파악된다. 주요어 : 지역지형학, 추가령구조곡, 구조곡명칭, 지형연구사, 구조지형, 화산지형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research. Though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thought important for the tectonic settings and orographic processes in Korea,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discussions still are sustaining for finding out evidences of the settings. The Chugaryeong valley region has many geomorphic themes such as tectonic structure, volcanics, river, mountain, terrace, lake and sediment layers. The research of the valle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ferences mainly including geomorphic naming, geomorphology and geology, and history of the study for estimating the origin of tectonic valley, formation of the lave plateau, change of river structure by dissection, restoration of the landform before lava eruption, and the processes and age dating of the various landforms. Conclusivel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may be recognized as the linear region of the tectonic and volcanic landforms with other various applied geomorphic settings. Key Words : regional geomorphology, Chugaryeong tectonic valley, naming of tectonic valley, history of research on geomorphology, tectonic landform, volcanic landform 이논문은한국교원대학교 2015학년도연구년교수학술지원비지원을받아수행한연구의결과임. * 한국교원대학교지리교육과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inblee@knue.ac.kr ** 경북대학교사범대학지리교육과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 pook National University), georiver@knu.ac.kr - 473 -

이민부 이광률 1. 서론 1) 추가령구조곡개관 추가령구조곡은 1945년이후한반도의지체구조와산맥론에관한논의에서반드시언급이되어왔지만그에관련된지형연구는별로많지않았다. 그것은국토분단의영향이컸다고본다. 한반도의대표적인구조곡인추가령구조곡은내부에있는고개추가령에서그이름을땄다. 추가령 ( 楸哥嶺 ) 은북한의강원도고산군 ( 구안변군 ) 삼방리와세포군 ( 구평강군 ) 세포리사이에위치한해발고도약 600m의고개이름이다 ( 그림 1). 추가령을경계로남쪽은 570~610m 고도의평탄하고넓은용암대지가북쪽은안변남대천의상류부협곡이형성되어있다. 따라서추가령고개의북사면은급경사지만고개마루와남사면은매우평탄한비대칭적단면을가지기때문에, 추가령자체는인접한적목령이나배등령과같이분수계기능을하는고개가아니라개석곡의경사급변점에해당한다 ( 이민부 전종한, 2005). 추가령에인접한분수계 는추가령남쪽의비교적평탄한용암대지상의얕은구릉지이다. 한편, 1917년에발간된지형도에서추가령과인접한지점의표고가 585.6m로표시되어있어추가령을고도를 586m로제시한문헌들이많지만, 지형도상에서실제추가령고개마루의높이는 600m 내외로볼수있다. 실제로현장답사가가능했던것으로판단되는북한의연구자료 (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편, 2005) 의결과도 600m로기록하고있다. 추가령구조곡 (Chugaryeong tectonic valley) 은서울과원산을잇는약 160km길이의, 구조운동에의해형성된직선상의골짜기이다 ( 그림 2). 추가령구조곡은역사적으로함경도로통하는길로이용되어왔으며, 구한말부터서울과원산을연결하는교통로를개설하기위하여두지역간최단거리에해당하는좁은직선형의통곡에대한지형구조에관심을가지면서, 추가령일대의지형연구의필요성에따라조사와연구가시작되었다. 그리하여일제강점기인 1914년에추가령구조곡을따라서울과원산을잇는경원선철도가개통되었다. 현재경원선철도는휴전선에의해남북간에는철로가단절되었다. 최근남쪽에서는철 그림 1. 추가령일대의 1917 년지형도 - 474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도노선의일부를변경하여 2012년휴전선에인접한백마고지역까지노선을연장하였고, 2017년에는경원선의남한쪽최북단인월정리역까지노선을연장할예정이다. 추가령구조곡은한국지리교과서나지리부도에서많이언급되는지형이자지역의명칭이다. 추가령구조곡에대한언급이가장많은김주환등 (2003) 의고등학교한국지리에서는한국의산맥지도에서추가령구조곡을표시하고마식령산맥과광주산맥사이를통과하는열곡으로표현하고있다. 또한본문에서추가령구조곡을한반도북부의랴오둥방향산맥과남부의중국방향산맥을가르는위치에있다고설명하고있다. 그리고김종욱등 (2003), 박희두등 (2003), 이순용등 (2003) 의고등학교한국지리에서도우리나라의산맥지도에추가령구조곡이표시되어있다. 이렇게한국지리교과서나지리부도에서우리나라의산지나산맥을설명할때추가령구조곡이소개되는이유는곡이연속된직선형의계곡이면서한반도의남 북간지체구조상의특성을달리하는경계로인식했기 ( 박노식, 1970) 때문이다. 추가령이라는용어는일제강점기에들어일본인학자들에의해근대지리학이유입되는과정에서처음으로언급되어사용되었는데 ( 권혁재, 2000), 그것은일본학자들이지질구조, 산맥체계등한반도의지체구조에대한연구를진행하면서특징적인선형성을잘보여주는구조곡으로추가령일대를인식했기때문이다 ( 양승영역, 1996). 1945년에발간된독일지리학자라우텐자흐의한국지리지에서도일본학자들의연구결과를참조하여추가령구조곡을표시하고있다 ( 김종규등역, 2014). 그동안지형학계에서추가령구조곡은대체로한국의산계방향구분에있어, 소백산맥, 노령산맥, 차령산맥, 마식령산맥과함께중국방향에속하는산지체계로인식하였다 ( 박노식, 1947; 김우관, 1980). 또한추가령구조곡을경계로한반도의지형구조를크게추북과추남지형구로구분하기도하였다 ( 박노식, 1970). 그리고, 지형형성과정에대해서정장호 (1984) 는추가령구조곡을단층곡이나차별침식곡으로보았고, 김상호 (2016) 는추가령구조곡을열곡으로정의하여융기에의한분 기삭박에의해저하되는곡으로해석하였다. 한편, 북한학계의최근연구결과를종합하고있는문헌 (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편, 2005) 에따르면, 추가령구조곡을 추가령지구대 로, 철원-평강용암대지는 평강철원평원 으로표현하고있다. 또한조선시대이래고개이름으로사용되고있는추가령도여전히해당지역의지명으로사용하고있다. 다만북한에서는추가령 ( 楸哥嶺 ) 을한자로는 楸家嶺 으로사용하고있다. 2) 연구목적및방법본연구는특징적인지형적조건을가진특정지역에대한총체적인지형분석에관한지역지형학적연구로서, 사례지역은추가령구조곡이다 ( 이민부등, 2004a). 이와같은연구가가능한곳으로는특정도서, 대규모평야나분지, 고원, 화산체지형, 단층대와열곡대등이사례가될수있을것이다. 본연구는일반적으로보편적으로진행되어온지형연구의접근방식인주제중심의계통지형학 (system geomorphology) 과는대별되는지역지형학 (regional geomorphology) 에입각한분석을시도하고자한다. 추가령구조곡을대상으로한지역지형학연구로서, 본연구의목적은다양한선행연구자료를토대로, 추가령구조곡의명칭, 지형연구사, 구조곡의지질과구조곡에서특징적으로나타나는구조지형과화산지형의특성을규명하는것이다. 추가령구조곡은단순히특정지형만가진것이아니라, 다양한구조지형과기후지형적인요소들이결합되어있는지역으로지역지형학연구의좋은사례지역으로사료된다. 그러나지역지형의종합적인연구를위해서는개별적인계통지형학의연구가당연히그바탕이된다. 이를위해먼저본연구에서는추가령구조곡과관련한지형, 지리, 지질, 역사분야의각종문헌과논문을분석하고정리하여지역지형학적관점에서특성을파악하고자한다. 또한추가령구조곡의지형학적특성에대한구체적이고실증적인분석과확인을위해서다양한지도와위성영상자료를분석하고지도화하여제시하였다. 지도자료는추가령구조곡 - 475 -

이민부 이광률 일대에대한일제강점기에작성된 1:50,000 지형도, 1990년대에제작된 1:50,000 지형도, 10m 해상도의 DEM 자료, Google Earth에서제공하는위성영상자료, 1:1,000,000과 1:250,000 지질도등을토대로추가령구조곡의지형적특징을살펴보고, ArcGIS 프로그램과 Photoshop 프로그램을이용하여지형을계측 분석하고지도를작성하였다. 2. 추가령구조곡의명칭과연구 1) 추가령구조곡의명칭 추가령일대에발달한선형의곡에대해서는구조곡, 열곡, 지구대, 단층곡등다양한명칭으로불리고있다. 이러한명칭은추가령일대의지형형성과정에대한지형및지질학적해석을반영하여명명되는것이라고할수있다. 즉, 추가령일대의지형은대체로연구자의관점이나연구주제에맞추어, 추가령지구대 (graben; 小藤文次郞, 1903; 木野崎, 1937; 이지호 이영택, 1972; 김규한등, 1984; 이기화 이영민, 1991; 송무영 신광수, 1998;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편, 2005), 추가령구조곡 (tectonic valley)( 이형호등, 1992; 이민부등, 2001b; 이민부등, 2001c; 이민부 김남신, 2002; 이민부 이광률, 2002; 이민부 최한성, 2003; 이민부 이광률, 2003b), 추가령단층곡 ( 또는단층대, fault valley)( 이기화 이전희, 1995; 이윤수등, 2001), 추가령열곡 (rift valley)( 김상호, 1964; 2016; 양교석, 1982; 이대성등, 1983; 원종관등, 1990; 김주환, 1997; 위수민, 1996; 이민부등, 2001a; 손일역, 2010) 등으로다양하게불려왔다 ( 이민부 이광률, 2003b). 언급된명칭을나열해보면, 지구대, 열곡, 열곡대, 통곡, 단층대, 단층선곡, 구조곡등으로매우다양하며, 단순히추가령곡으로통칭하기도한다. 추가령구조곡에서는실제로협곡, 풍화 침식곡, 넓은용암대지와내부의개석곡등다양한지형기복특성이나타난다. 라우텐자흐 ( 김종규등역, 2014) 는 추가령구조곡을영어로 Chugaryong Furrow로적고있는데, 이는일본인들이사용한표현인지구대를독일어로번역한것으로보이며, 이는또한통곡으로서의미가전달되기도한다. 열곡은지구조운동의결과로서판의발산경계에서나타나는지형이다. 세계적으로는동부아프리카 (Great Rift), 바이칼 (Baikal), 데스밸리 (Death Valley), 사해 (Dead Sea) 등이대표적인열곡으로알려져있다 (Hunt, 1975; Niemi et al., 1997; Quennell, 1982). 이대성등 (1983) 은추가령구조곡을 failed aulacogen으로구분하고열곡의형성과정이지속되지않고멈춘상태로정의하고있다. 구조적인측면에서보면, 추가령구조곡에서는연천단층, 동두천단층, 대광리단층, 포천단층등여러단층대들이평행하게혹은부분적으로서로연결되어발달하고있다. 이러한단층대는선형성을가진열곡작용에의한것으로서, 풍화 침식에대한상대적인연약대로서, 차별적인풍화 침식에의해단층대를따라선형의곡들이잘발달하고있다. 이러한곡들의차별침식유형을살펴보면, (1) 연약대를따라발생한풍화작용으로인한차별침식, (2) 하곡이형성되면서집중적인하식에의한차별침식, (3) 암석의상대적경연차에따른차별침식등으로다양하다. 그리고추가령구조곡에서는이러한차별침식유형들이혼재하거나결합하여나타난다고볼수있다. 이동영 (1999) 은위의연약대차별침식과하곡침식의결합으로서, 단층선을따라발달한침식계곡으로파악했다. 고토분지로등초기의일본인학자들은추가령일대의지형에대해지구대라는명칭을사용하였다 ( 양승영역, 1996). 그러나서울-원산간의선형곡은일부구간에서만정단층에의해함몰된선형의곡지인지구 (graben) 와유사한형태의지형구조가나타나며, 대체로많은구간에서단층곡이나차별침식곡등의성격이나타나고있다. 또한만약지구대가 graben 이아니라 rift valley를의미한다고하더라도, 판의발산경계에서나타나는 rift valley는한글로번역할때지구대라는용어보다는열곡또는열곡대라는용어가적합하기때문에, 추가령지구대라는표현은적절하지않은것으로보인다. - 476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그림 2. 추가령구조곡일대의지형기복과단층곡, 용암대지분포 - 477 -

이민부 이광률 최근의경향을보면, 지형학자들은 추가령구조곡 이라는명칭을가장선호하고있고, 지질학자들은대체로 구조곡 과 열곡 이라는명칭을연구주제에따라모두사용하고있다. 추가령구조곡에서는부분지역별및구간별로, 차별침식곡, 열곡, 지구대, 단층곡, 단층선곡, 연약대등의다양한지형형태가구조곡자체에서모두나타난다. 따라서연구주제의특성에따라명칭이달라질수가있지만, 각각의용어는모두지체구조적또는지형형성적으로의미를가진다고볼수있다. 다만, 지구대와연약대, 차별침식대등지형명칭은부분적으로는적용이가능하나추가령전체에적용하기에는무리가있어보인다. 결국, 서울-원산사이의선형곡에대한명칭으로서, 구체적인지형형성과정을언급하지않는경우에는곡이라는표현이, 지질구조와차별침식에의한지형형성과정을강조할경우에는구조곡이라는표현이, 지구조작용과화산활동을강조하고자하는경우에는열곡이라는표현을사용하는것이적절하다고판단된다. 따라서지형학적으로는구조곡이나열곡의명칭이가장적합한것으로보이는데, 구조곡은지체구조상으로보다포괄적인의미를가지며, 열곡은형성과정을상대적으로보다명확히지시하는의미라고할수있다. 2) 추가령구조곡의지형학연구사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추가령구조곡에대한우리나라지형학자들의초기연구에서김상호 (1964; 2016) 는추가령구조곡에대한명칭과지형형성과정의관계를설명하고, 철원용암대지의열하분출과구조선에의한구조지형인컨콜 (kerncol, 케른콜 ) 과컨버트 (kernbut, 케른바트 ) 의가능성을제시했다. 김도정 (1973) 은철원현무암대지하부의원지형인습지지형에대한간단한언급이있었다. 1990년대들어서, 이형호등 (1992) 은구조곡의전반적인지질과지형을개관하여설명하였고, 김두일등 (1993) 은추가령구조곡에대한군사학적연구에서지형및인문환경의설명과함께군사적인지형이용의가능성을제시하고있다. 오경섭 김남신 (1994) 은기후지형적인 연구로전곡용암대지상부에서풍성퇴적층의존재가능성을제기하고, 김주환 (1997) 은물리탐사를통해추가령구조곡남부에서단층지형구조의확인을시도하였다. 이렇듯이 2000년대이전에도추가령구조곡에대한지형학적관심과명칭사용이빈번했지만, 추가령구조곡자체의지형학적특성을실증적으로분석한연구는상대적으로적은편이었다. 아마도이것은국토의분단으로인해추가령구조곡일대에대한자료취득과야외조사가거의불가능했다는점을가장큰이유로들수있다. 2000년대들어서, 위성영상, 수치지도, DEM 자료가지형연구에상용화되고민통선지역의접근이상대적으로용이해지면서, 추가령구조곡자체에대한구조지형학적접근과연구가본격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이러한연구로, 추가령구조곡의선형성에대한연구 ( 이민부등, 2001a; 이민부 김남신, 2002), 구조곡에발달한단층지형에대한연구 (Lee et al., 2000; 이민부등, 2001c), 구조작용과관련된구조곡내부의하천지형에대한연구 ( 이민부등, 2001d; 2005a; 이민부 이광률, 2002; 2003a; 정광옥, 2005) 등이있다. 또한추가령구조곡에발달한용암대지와이와직접적으로관련된다양한지형에대해서도연구가시작되었다. 이와관련한연구로, 철원, 연천, 포천등남한의용암대지지역을대상으로용암대지가형성되기이전의지형구조 (pre-lava landform) 에대한연구 ( 이민부등, 2001d; 2005b; 2012; 이민부 이광률, 2003b), 용암대지형성에따른하계망변화에대한연구 ( 이민부등, 2004b; 김정혁, 2016), 용암댐에의한호소의형성과하곡의지형변화에대한연구 ( 이민부등, 2001d; 2006; 2007), 용암대지현무암과하부층의풍화특성에대한연구 ( 이민부 이광률, 2004; 2013) 등이있다. 특히, 이들연구는제4기지형학적측면에서현무암용암대지하부퇴적층에대한절대연대측정을통한용암대지형성시기에대한추정과함께, 퇴적층과풍화물질에대한다양한지화학적분석을실시하여현무암용암대지와의시공간적관계를해석하고있다. - 478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3) 추가령구조곡의지질 추가령구조곡일대에는선캠브리아기퇴적변성암류부터신생대제4기충적층까지오랜기간에걸친다양한지질이분포하고있다 ( 그림 3). 구조곡의북쪽부터원산에서세포까지는대체로중생대쥐라기화강암의분포가우세하고선캠브리아기퇴적변성암류가국지적으로분포하고있으며, 안변에서고산까지의지역에서는용암대지지형인신생대제4기화산암과지표면에충적층이분포하고있다. 철원-평강용암대지에해당하는세포에서철원까지구간에서도현무암으로이루어진신생대제4기화산암과현무암용암대지표면에상당한두께의충적층이분포하고있다. 철원에서연천까지의구간에서는구조곡을경계로서쪽에는편암에해당하는원생대퇴적변성암이분포하며, 동쪽에는중생대백악기에화산분출로형성된화산암이분포하고있다. 연천에서동두천까지의구간에서는원생대퇴적변성암과중생대전기의퇴적암이분포하며, 동두천에서서울까지는중생대쥐라기에관입한화강암이넓게분포하고있다. 크게보면, 추가령구조곡일대의지질분포는선캠브리아기변성암, 중생대화강암과화산암, 신생대현무암과충적층으로구분된다. 주로편마암과편암으로이루어진선캠브리아기변성암류는상대적으로복잡한지질구조를가지고있어서경기변성암복합체와연천층군으로불리는지질이다. 이들지질은추가령구조곡에서가장광역적이며기본적인기반암체계를이룬다. 특히, 풍화 침식에약한연암으로분류되는연천층군의편암은구조곡내철원과연천의경계지역에서풍화작용을강하게받아거의점토와같은물리적성질을가지는풍화층으로발달해있는데, 이러한편암의풍화물인청회색점토를이지역에서는청갈매라고부른다 ( 이민부 이광률, 2002). 청갈매층은불투수층을형성하면서벼농사를위한표층의농경수가지하로잘스며들지않아농업에종사하는지역주민들이중요시여기는토양이다. 중생대와신생대에형성된암석들은추가령구조곡과유사한형태의선형성을가지는분포가나타나기시작한다. 이러한점에서볼때, 추가령구조곡의 그림 3. 추가령구조곡일대의지질선형성은중생대쥐라기또는백악기부터만들어진지질구조에유래하여현재에이르는것으로보인다. 추가령구조곡중 남부에넓게분포하는중생대쥐라기화강암은대체로추가령구조곡의방향과일치하는북북동-남남서또는북동-남서방향의분포경향을나타내고있어, 구조곡의형성과직 간접적인관련성을예상할수있다. 특히, 추가령구조곡의남부에위치한화강암분포지역에서는차별적인풍화 침식에의해형성된넓은침식분지와하곡이발달해있다. 연천과철원의사이지역에는상대적으로높은산지가발달하는중생대백악기의화산암지역이분포하는데, 이곳은산지중앙에위치한봉우리의이름을 - 479 -

이민부 이광률 따서지장봉화산암체라고도불린다. 추가령구조곡의동쪽지괴에해당하는이지역은응회암, 각력암, 안산암등으로이루어진화산암이며, 대체로구조곡의방향인남-북또는북북동-남남서방향을따라분포하고있다. 용암대지지형을이루고있는신생대제4기현무암분포지역은추가령구조곡과거의일치하는선형성을나타내고있다. 이현무암을형성한용암은추가령구조곡의중심에해당하는검불랑에서오리산을연결하는선상에서열하분출하여철원-평강지역에용암대지를형성하였고, 북쪽으로는안변남대천을따라안변까지, 남쪽으로는한탄강과임진강을따라하곡을메우면서연천전곡을지나파주파평부근까지흘러내렸다. 이에따라한탄강과임진강의하곡에는용암분출이전에곡저에퇴적된모래와자갈로이루어진고하성층의상부에두꺼운현무암층이발달하게되었다. 현무암질용암이한탄강을따라흘러내리면서한탄강의하곡은두꺼운용암층으로메워졌다. 이로인해한탄강에유입하는지류하천인차탄천이나영평천의하구가용암층에의해막히는용암댐 (lava dam) 이형성되어, 지류하천의중 하류부하곡에유수가차면서용암댐이뚫릴때까지일시적으로고호소가존재하기도하였다 ( 이민부등, 2005b; 2007). 이러한고호소의형성초기에는홍수시에고호소를넘친유수가용암대지의표면을넓게덮으면서흘러내리거나고이면서퇴적물을쌓아또다시하성층이나호소층을형성하였을것으로본다. 한편, 현무암용암대지의최상부에는점토와실트로이루어진미립퇴적층이존재한다. 이미립물질에대해서는현무암자체가풍화된풍화층 ( 이민부 이광률 2013) 이거나용암대지표면에서거의정체된상태로발달한하천에의한퇴적층 ( 이민부등, 2007) 이라는견해와, 지난빙기에황해의건륙화시절에이동된풍성층 ( 오경섭 김남신, 1994) 이거나중국대륙내부에서황사의형태로이동한풍성층 ( 문화재관리국, 1983) 으로보는견해가있다. 이동영 (1999) 이전곡리구석기유적출토지에서표층미립물질에대한해석결과를보면, 현무암의풍화토의가능성은희박하고인접한지역의사 면붕적물혹은이러한물질들의재이동에의한하천운적토로보고있어서풍성층으로서의가능성을배제하고있다. 이러한이동성표층외에도전곡의한탄강층서에서는표층현무암의풍화에의한미립질표토도발견되었다 ( 이민부 이광률, 2013). 결론적으로추가령구조곡의지질과층서의구조는선캠브리아기의경기편마암복합체, 중생대쥐라기의대보화강암, 중생대백악기의지장봉화산암체, 그리고 4기의현무암과풍화및침식에의한표층퇴적물로이루어져있다 ( 이동영, 1999; 이민부 이광률, 2013). 3. 추가령구조곡의선형구조와구조지형 1) 추가령구조곡의선형구조 추가령구조곡은직선상으로좁고길게발달한연속된골짜기로지표에뚜렷한선형구조를나타내고있다 ( 그림 2). 이러한선형의곡은지구조운동의결과를반영한지형으로, 추가령일대는오랜기간지속적으로구조운동의영향을받고있는것으로사료된다. 구조운동에영향을미친작용으로는열곡작용, 단층작용등이있고, 그결과로추가령구조곡에서는선형구조, 차별침식곡, 단층곡, 단층선곡, 지구대와같은특징적인구조지형이다양하게나타나는것으로보인다 ( 이민부등, 2001c). 추가령구조곡일대에서나타나는화강암의관입, 중생대백악기의화산분출, 신생대현무암의분출과유동, 단층선곡의발달, 하계망의발달은이러한선형구조에의존하여나타나는결과라고볼수있다 ( 이민부등, 2001a; 2001c; 이민부 김남신, 2002; 이민부 이광률, 2003b). 구조곡을따라서나타나는암석의분포, 차별풍화 침식, 하계망의발달등은구조곡의선형성을지속시키거나강화하기도한다. 만약, 이러한선형구조의강화요인들이처음조건그대로아무런변화가없다면, 시간이갈수록풍화 침식에의해지표기복이단 - 480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순화되는과정을통해서지형의선형성이약화되는방향으로변화할것이다. 그렇지만, 단층작용, 기반암의강한저항성, 지반융기와이로인한하천의하각작용등이지속적으로발생하면서, 지구조운동의원인과요소가지속적으로유발된다면곡의선형성은오랜시간이지나도비교적잘유지될수있을것이다. 추가령구조곡은서울노원구-의정부-양주-동두천-전곡-연천-철원-평강-세포-고산-안변-원산을잇는길이약 160km에달하는직선상의곡으로대표된다 ( 그림 2). 또한추가령구조곡일대에는서울- 원산간의선형곡과나란하게포천, 갈말, 김화등을지나는여러개의선형곡이발달하고있으며, 이들또한추가령구조곡과성인을같이하는것으로추정된다. 추가령구조곡은대체로북북동-남남서방향을이루며, 북쪽의낭림산맥과남쪽의태백산맥을절단하는형태를띠고있다. 추가령구조곡과같은북동- 남서또는북북동-남남서방향의선형곡은한반도의다른지역에서쉽게확인할수있으며, 대표적으로경기 강원지역과영남동부지역에서잘나타나고있다. 추가령구조곡을중심으로북부의랴오둥방향산맥과남부의중국방향산맥으로한반도산지의방향체계를구분하는견해도있으나 ( 박노식, 1970; 손일역, 2010), 이러한산지방향성구분에서추가령구조곡의성인과영향에대해서는명확히밝혀진바가없다. 추가령구조곡을한반도산지체계의중심으로판단하는이유로, 추가령구조곡의지질구조와지체구조가서로다른지질구조를가진평남분지, 임진강충돌대, 경기지괴를관통하고있다는점과서울-원산간의구조선이좌수향이동단층대로서남쪽으로는홍성과서천으로연계되고북쪽으로는길주-명천지구대와도연계된다는주장 ( 대한지질학회, 1999) 등이다양하게제시되고있다. 선형구조의형태적인특성으로는방향성 (directivity), 직선성 (straightness), 분별성 (sharpness), 연결성 (connectivity) 등의요소를생각할수있다 (Lee et al., 2000). 추가령구조곡과같은선형지형은시간이지남에따라구조곡을가로질러나타나는풍화 침식에의한분지의형성과곡의지형분절 (geomorphic segmentation), 그리고부분적인구조곡의함몰등에의해선형성이약해진다. 그러나어떤곳에서는풍화 침식된곡저내부에곡중분수계가형성되면서하천쟁탈이하곡내부에서일어나게되어선형성이잘유지되기도한다. 대표적으로한강의지류인중랑천과임진강의지류인신천의상류가만나는양주시샘내곡저가그사례이다. 또한구조곡의북쪽에서는동해안으로흐르는안변남대천이용암대지상에서임진강수계하천과의하간지에서하천쟁탈을진행하는과정이지형적으로잘드러난다. 2) 추가령구조곡의구조지형추가령구조곡의구조운동및구조지형과관련하여, 김옥준 (1980) 은추가령구조곡이백악기말에서제3기까지의변형에의해형성된북북동-남남서와동북동-서남서방향의단층대라고했다. 이대성등 (1983) 은추가령구조곡에서단층이나단열대를따르는열극분출이중생대중엽부터활발히발생하였다고설명하였다. 김규한등 (1984) 은추가령구조곡을백악기혹은제3기초에생성된북북동-남남서구조선의우수향주향이동단층과그후에구조선이회생된단층선곡이라고했다. 이기화 이전희 (1995) 는추가령구조곡을세구역으로나누고그중철원에서서울에이르는구역은평균이동률이약 0.21mm / 년으로판경계주변의판내부활성단층에해당한다고주장하였다. 서울의동부중랑천하류에서부터철원일대까지의추가령구조곡남부에서나타나는선형적지형구조는크게 6가지로확인된다 (Lee et al., 2000). (1) 남북또는북북동-남남서방향의파쇄대와절리구조, (2) 선형적인주하곡과지류등의하계망, (3) 삼각말단면, 완사면, 단애, 선상지등하곡양측의사면형태, (4) 침식단구와구조단구, (5) 풍화및침식작용에의한유역의형태, (6) 용암대지, 용암절벽등의화산지형등이다. 파쇄대와절리구조는중생대화강암과화산암지역과신생대제4기현무암지역에서관입과차별침식의정도에따라다양한폭을보이면서방향성을띠고있다. 하계망은구조곡의방향성을잘 - 481 -

이민부 이광률 반영하는데, 특히 3차에서 6차에이르는고차수하천의하계망은남-북또는북북동-남남서의구조선방향과대체로일치하고있다 ( 이민부등, 2001a). 단층곡에서관찰되는지형인삼각말단면 (spur facet, triangular facet) 을비롯한단층선형와지인컨콜, 단층잔류구릉인컨버트, 선상지 (alluvial fan), 굴절하도 (offset stream) 등도선형의단층곡내부와측면을따라연속성을가지고분포하는경향을보여주고있다 ( 이민부등, 2001c). 하안단구의발달은대체로미약한편이나좁은하곡내에서연속적인종단면을띠면서 2~3단정도가나타난다 ( 이민부 이광률, 2003a). 신생대제4기에선형성을띠면서열하분출된현무암용암류는기존의하곡과하계망을거의메우게되었고, 이로인해추가령구조곡일대는하계망의혼란과재편성이발생하였으며, 이러한현상은현재에도계속진행되고있다 ( 이민부등, 2004b). 추가령구조곡의남부지역에서는연천또는대광리단층선, 동두천단층선, 포천단층선, 김화단층선등구간별로 4개의단층선이뚜렷하게나타나는데 ( 김규한등, 1984; 원종관등, 1987), 이중지형학적으로는대광리단층선이가장뚜렷한선형의지형구조를가지고있다 ( 이민부등, 2001c). 철원군철원읍율리리와연천군신서면도신리사이의대광리단층선일대에서는북북동-남남서방향의좁고깊은하곡을따라차탄천이흐르고있고, 하곡내부와주변산지에는단층작용에의한구조지형으로추정되는삼각말단면, 선상지, 컨버트, 컨콜, 굴절하도, 벤치 (bench) 등의지형이열을이루면서연속적으로분포하고있다 ( 그림 4). 결국, 추가령구조곡의남부에는북북동-남남서또는남북방향의선구조, 하곡의선형성, 하곡양측과사면에발달한삼각말단면, 완경사면또는평탄면, 선상지지형의연속성과선형성이상대적으로뚜렷하다고할수있다. 최근지진대책을위한활성단층대에관한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 의연구결과에서는추가령단층대를한국의대표적인활성단층대로보고있다. 추가령구조곡에서화강암관입도거의구조곡의방향성과유사하게나타난다. 대보화강암으로알려진철원의화강암은쥐라기에형성되어현재다양한 그림 4. 대광리단층곡의구조지형분포 ( 이민부등 (2001c) 수정 ) 형태의전형적인화강암풍화 침식지형을나타내고있다. 4. 추가령구조곡의화산활동과지형 1) 추가령구조곡의용암분출 우리나라에서신생대제4기에형성된대규모화산체또는화산지역으로는백두산화산체, 한라산화산체, 울릉도 독도화산체와함께철원 평강용암대지, 신계 곡산용암대지등 5곳의화산암지대가대표적이다. 이들은판경계부에서의화산활동이라기보다는판내부에서열점 (hot spot) 의형식으로화산작용 - 482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이발생한것으로해석된다. 추가령구조곡의지구조적연약대를따라열하분출한용암은철원-평강용암대지로불리는대규모화산지형을형성하였다. 철원-평강용암대지는인접한신계-곡산용암대지와함께한반도중부의특징적인신생대화산활동지역으로꼽힌다. 추가령구조곡에서신생대제4기현무암분출은대체로구조곡의주방향 ( 이민부 김남신, 2002; 이민부등, 2001a) 을따라열하분출의형태로이루어졌다 ( 양교석, 1982; 원종관, 1983). 유동성이높은현무암질용암의분출은주로평강의오리산 ( 鴨山, 453m) 과검불랑북쪽인근 680m 봉우리를잇는선을중심으로이루어졌으며, 이들봉우리들은열하분출말기에중심성이현저해지면서중심분출성분화구를가진화산이되었다 ( 이민부등, 2004b). 철원-평강용암대지의용암분출이기존의추가령구조곡의지체구조적특성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는지는좀더살펴볼여지가있지만, 오리산에서검불랑을잇는열하분출선 (fissure eruption lineament) 은추가령구조곡의선구조와일치한다고볼수있다. 따라서추가령구조선의연약대가열하분출에선형적으로기여했을가능성이높다. 화산분출에의한현무암용암대지형성은추가령구조곡이신생대제4기까지활단층지대였음을보여주는것이다. 용암대지와분화구등에대한연대측정이연구마다다양하게제시되지만, 초기의분출은최소 57만년전에서 27만년전에있었던것으로보인다 ( 이동영, 1999). 추가령구조곡의용암대지는평강, 안변일대에서 20~140m의두께로 4~10번의분출이있었으며, 회양, 창도일대에서는두께가 102~200m 에달하고최대 10매의분출을보여준다 ( 진명식, 1998). 추가령구조곡의제4기화산활동은알칼리현무암으로만구성된열하분출한용암류에의한것이다 ( 원종관등, 1990). 용암류는이지역의많은하곡과저지를메우면서일부는한탄강과임진강을따라흘러내려, 연천군전곡읍일대를지나파주시파평면율곡리부근에이르렀고, 일부는북쪽으로흘러안변남대천을따라고산을지나안변까지흘러내렸다. 철원-평강용암대지는한탄강과임진강을중심으로길 이약 95km, 면적약 125km2이며, 용암분출은한탄강상류인철원화지리에서최고 11매, 상월리에서 6매, 전곡고문리에서 4매, 파주동파리에서 1매로하류로갈수록줄어들고있다 ( 김태호, 2000). 추가령구조곡의화산활동시기에대해원종관등 (1990) 은전곡부근최상부현무암을대상으로한 K-Ar 연대측정을통해서 0.10~0.27Ma로추정하였다. 일부 K-Ar 연구에따르면, 전곡리근처현무암의연대는 0.5Ma까지올라간다 ( 신재봉등, 2004). 이선복 (2005) 은선행연구자료를종합하여약 0.15Ma 로추정했다. 최근방사성탄소동위원소 ( 14 C), 루미네선스 (luminescence), 우주기원동위원소 (cosmogenic isotope) 등절대연대측정기법이다양화및상용화되면서용암대지의형성시기를추정할수있는자료가풍부해지고있다. 철원율리리의현무암층하부의점토층의방사성탄소동위원소연대측정결과는최대약 4만년전이제시되었다 ( 이민부 최한성, 2003). 영평천하류에형성된것으로추정되는고호수는퇴적층의 OSL(optical s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결과로볼때, 용암댐은최소한 3만년전까지존속된것으로보인다 ( 이민부등, 2005b). 한편, 성영배 (2007) 는전곡리와백의리의고하성층을대상으로한우주기원동위원소분석을통해약 48만년전에전곡현무암에의해한탄강이덮였다고주장하였다. 이선복 (2010) 은전곡용암층에포획된탄화목에대한탄소연대측정결과가약 4만년전후로나타나서, 전곡용암대지는종래생각했던것보다훨씬후대에만들어졌을가능성이있다고주장하였다. 또한이민부 이광률 (2013) 의연구에서도전곡현무암층하부의점토및모래층에대한 OSL 연대가 40~59ka로서, 전곡리일대에서는약 4만년전까지한탄강에의한하성퇴적작용이진행되었고, 이후용암이흘러들어현무암층의용암대지가형성된것으로판단하였다. 따라서최근의연구결과들을종합해보면, 추가령구조곡남부에서용암대지를형성한현무암질용암의최종분출시기가대략 4만년전무렵으로측정된연구들이대부분이어서, 추가령구조곡에서마지막으로용암이분출한시기는수만년전내외로훨씬최근일가능성이높아보인다. - 483 -

이민부 이광률 2) 추가령구조곡일대의화산지형추가령구조곡의열곡을따라발생한열하분출에의해형성된현무암용암대지 (lava plateau) 는철원, 평강, 세포지역에서가장대규모로나타나며, 구조곡의북쪽으로는안변남대천의하곡을따라고산군을지나안변군비산리부근까지이르렀고, 남쪽으로는한탄강과임진강의하곡을따라갈말, 전곡, 적성을지나파주시파평면율곡리 ( 진동면동파리 ) 부근까지도달하였다 ( 그림 2). 따라서추가령구조곡의용암대지는평강지역을중심으로북쪽으로는안변에서남쪽으로는파주까지분포하고있다. 그러나하천이매우좁고깊은협곡을이루는세포와고산사이의남대천구간과연천군부곡리와포천시운산리경계부의한탄강하곡구간에서는좁은용암대지지형면이하천의침식에의해대부분사라져서, 용암대지가상류쪽과연결되지못하고단절된형태로나타난다. 이에따라추가령구조곡의용암대지는화산분출의중심부인철원-평강지역, 그리고하곡을따라흐른용암류에의해형성된북쪽의고산-안변지역과남쪽의연천-파주지역으로구분할수있다. 한편, 라우텐자흐가작성한지도와 10m 해상도의 DEM 자료를토대로할때, 추가령구조곡의동쪽에위치한회양, 창도지역에서도용암대지가형성되어있는것으로추정된다 ( 그림 2). 회양-창도지역의용암대지는추가령구조곡과분수계를접하고있는개동연천의상류인신평리일대의사면에서분출한용암이개동연천의하곡을따라동쪽으로흘러회양군전항리를지나고북한강본류하곡에유입하여창도군성도리부근까지흘러내리면서북한강상류의하 곡을메운용암대지를형성한것으로추정된다. 격자크기 10m의 DEM을토대로추가령구조곡일대에분포하는용암대지를 4개지역으로구분하여분류하고지형기복특성을분석한결과는표 1과같다. 추가령구조곡일대에발달한용암대지의총면적은약 825.84km2로서, 서울특별시면적의약 1.4배이며전국의시군중에서는경기도포천시 (827km2) 의면적과거의같다. 추가령구조곡의용암대지중에서도중심부인철원-평강지역의면적은약 546km2로, 전체의약 66% 를차지하고있다. 고산-안변지역의용암대지가약 135km2로다음으로큰면적을차지하며, 회양-창도지역은약 91km2이고, 연천-파주지역은약 54km2로서 4개지역의용암대지중가장좁은면적으로이루고있다. 반면, 연천-파주지역의용암대지는면적에비해둘레가매우큰데, 이는한탄강과임진강의좁은하곡을따라용암대지지형이형성되어있기때문이다. 추가령구조곡용암대지의최저고도는안변과파주에서약 10m로나타나며, 최고고도는구조곡내부의경우, 세포군검불랑에서북동쪽으로약 3km떨어진성산리동쪽사면부근에서 702m, 구조곡외부의회양-창도지역에서는회양군신평리서쪽사면부근에서 746m 고도까지용암대지가분포하는것으로추정된다. 용암대지전체의평균해발고도는 239m 로, 철원-평강용암대지는평균고도가 329m이며, 회양-창도지역이 454m로서가장높고, 연천-파주지역은 46m에불과하다. 고도의표준편차값인기복량은철원-평강용암대지가 128m로서가장크고, 연천-파주지역이 22m로가장낮다. 평균경사도는추가령구조곡에위치한철원-평강, 연천-파주, 고 표 1. 추가령구조곡용암대지의지형기복특성 지역 면적 ( km2 ) 둘레 ( km ) 최고고도 (m) 최저고도 (m) 평균고도 (m) 기복량 (m) 평균경사 ( ) 1 철원-평강지역 546.18 508.3 702 60 329 128 3.1 2 연천-파주지역 54.04 117.3 128 10 46 22 3.3 3 고산-안변지역 135.06 99.2 334 10 127 57 3.2 4 회양-창도지역 90.56 153.8 746 300 454 104 4.5 계 ( 평균 ) 825.84 219.6 478 95 239 77.8 3.5-484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산-안변의 3개지역은모두 3.1~3.3 의범위에서유사하게나타나고있다. 그러나회양-창도지역의평균경사도는 4.5 로서상대적으로높아서, 추가령구조곡내부의용암대지와는다른지형특성을보이고있어, 분출한용암류의지화학적성질과물리성에차이가있었을가능성을제시하고있다. 북한에서용암대지에대한정리된연구결과를보면 (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편, 2003), 현무암덕 ( 현무암용암대지 ) 의평강철원고원 ( 철원-평강용암대지 ) 은남북방향의면적 600km2, 평균높이 320m의규모를가진다고한다. 그리고용암분출이발생한분화구로, 이미알려진평강의오리산분화구 (38 23 25 N, 127 16 01 E; 453m; 그림 5) 와함께검불랑북동쪽의세포군성산리의성산분화구 (38 35 16 N, 127 21 04 E; 673m; 그림 6) 도언급하고있다. 또한북한강수계지역에서는회양의현리분화구 (38 38 55 N, 127 28 58 E; 625m; 그림 7) 등을중심분출구로하여지역적으로열하분출을이루었다고한다. 그리고하천침식에의한용암대지협곡의단애는 50~100m 에이르며검불랑에서남쪽으로갈수록용암대지의두께가줄어든다는것을밝히고있다. 주요화산지형은용암대지를비롯하여현무암 협곡의단애면에서나타나는주상절리 (columnar joint), 베개용암 (pillow lava) 등이대표적이다. 또한용암대지이전의원지형이용암대지상에고립된봉우리로남아있는스텝토 (steptoe), 원지형의지표피복물과현무암층사이의다양한부정합면과클링커 (clinker), 용암대지형성이후의현무암풍화층 ( 이민부 이광률, 2013), 용암댐에의한고호수퇴적물등이추가령용암대지지역에서관찰되는화산관련지형이라고할수있다. 화산암층과의부정합면은다양한형태로나타난다. 차탄천하류에서나타나는화산암층의하부에서는기반암층, 붕적층, 하천자갈및모래층과부정합을이루기도하며 ( 이민부 이광률, 2003b; 2013), 상부용암층의절리나파쇄층을통해유입되는수분에용해되거나부유된미립질이하부층으로이동하기도한다 ( 이민부 이광률, 2004). 또한부정합면에서는클링커나베개용암이발달하기도한다. 승일교나순담계곡에서는하부기반암층인화강암기반암과도부정합을이룬다 ( 이민부등, 2012). 화산암층상부에서는운적토나풍성토와부정합을이루기도하고 ( 오경섭 김남신, 1994; 이민부등, 2007), 용암대지형성이후에그상층에서이루어진단구지형면과도부 그림 5. 추가령구조곡의오리산분화구일대의지형 - 485 -

이민부 이광률 그림 6. 추가령구조곡의성산분화구일대의지형 그림 7. 추가령구조곡의현리분화구일대의지형 정합을이루기도한다 ( 이민부등, 2005b). 이러한부정합면은화산의분출시기, 현무암층하부의원지형의구조와연대를지시하며, 화산암층상부의부정합면은화산분출이후의지형형성과정과기후변화등을지시할수있다. 표층의풍화물은하천운반작용에의한운적층 ( 이동영, 1999; 이민부등, 2007), 풍성층 ( 박동원, 1983; 오경섭 김남신, 1994), 현무암풍화층 ( 이민부 이광률, 2013), 사면붕적층 ( 이동영, 1999; 이민부등, 2001d; 이민부등, 2007) 등기원지에대한다양한논의가있어왔다. 가장큰논의는풍성층에대한것으로풍성층존재자체의대한것과풍성물질의기원지에대한것이다. 철원-평강용암대지를형성한후남쪽으로진행한용암류는좁은한탄강하곡을완전히메우면서흘러내려, 한탄강의곡저에는 30~40m 높이의두꺼운현무암층이형성되었다. 이로인해한탄강에합류하는지류하천의하구에는수십m에달하는용암댐이형성된결과를초래하였고, 이러한용암댐에의해지류하천의중 하류부하곡에는용암댐에막혀본류로흘러내리지못한유수가정체되면서거대한호소가형성되었다. 한탄강의지류하천중대표적으로차탄천 ( 이민부 이광률, 2003b; 이민부등, 2001c) 과영평천 ( 양교석, 1982; 원종관, 1983; 이민부등, 2005b) 에서용암댐형성후에일시적으로고호소가형성되었다. 이러한고호소의형성초기에는홍수시에고호소를넘친유수가용암대지의표면을따라넓게흘러내리거나와지에정체되어고이면서용암대지표면에세립및미립질퇴적물을쌓아또다시하성층이나호소층을형성하였을것이다. 그리고용암대지의말단부에서하천에의한개석이발생하여침식곡이깊어지고상류쪽으로두부침식이진행된결과, 현재와같이용암대지의내부에협곡을이루면서한탄강과임진강의유로는과거와유사한형태로다시열리게되었던것으로추정된다. 주변산지에서발원한지류하천의유수가용암대지의표면으로유입되는과정에서대규모선상지가형성되기도하였다. 우리나라의가장대표적인선상지인안변 ( 현고산군 ) 석왕사선상지는고산-안변용암대지의상부에발달한충적지형이다. 석왕사선상지는고산군일대추가령구조곡주단층선의서측에위치한높은산지에서좁은협곡을이루며흘러내리던소하천이유로변화가자유로운넓은용암대지표면으로유입되는과정에서망류와복류로인한하도유량감소에따른하천에너지의감소로퇴적작용이진행되어형성된지형이다. - 486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용암대지를중심으로한화산지형은주로하천의작용으로개석되고있다 ( 이민부 이광률, 2003b; 정광옥, 2005; 김정혁 2016). 용암이기존의유로를따라흐르는것이가장자연스러운과정이므로용암대지가형성되기전의하천과습지지형이다시복원되기도하지만새로운유로의개석곡과개석하천이만들어지기도한다. 따라서용암대지이후에는기존의하천유역과분수계는혼란을겪고결국재편성의과정을현재까지보여주고있다. 화산분출의중심인철원-평강용암대지에서열하분출의시작점이자고도가가장높은세포군검불랑과성산리일대는새로운하천이발원하는분수계및분수점의기능을수행하면서, 이일대를중심으로복잡한하계망을구성하고있다. 특히, 임진강수계로서서쪽으로흐르는평안천유역은남쪽으로향하는한탄강유역과북쪽으로흐르는남대천유역을쐐기모양으로분리하고있다. 현재도성산리를일대를중심으로한세포에서평강사이의지역은여전히분수계가모호한주인없는유역이다수존재하며, 이러한곳에서는하천쟁탈이진행되면서유역재편성이발생하고있다 ( 이민부등, 2004b). 그리고하천이용암대지를개석및하각하여하도의위치가이동하고낮아지는과정에서용암대지의표면과측면에존재하였던하각이전의과거하도가일부남겨질수있다. 이렇게개석된용암대지의표면과협곡의내부에는현하천보다높은고도에구하천충적층이계단상으로남겨진하안단구지형이발달하기도한다. 이러한하안단구지형은포천시, 연천군, 파주시일대의한탄강하류부와임진강하류부, 그리고이들하천에유입하는지류하천의하류부에서잘나타난다. 5. 결론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적인특성은형성과정상의열곡현상, 다양한기반암특성, 선형곡의특성, 용암분출에의한하곡의변형과개석, 충적표층의특성등으로나타난다. 추가령구조곡은판구조론상 으로열곡적인지구조운동의여부가여전히논의되고있는상황이며, 한국의대표적인신생대내륙화산암지대를이루고있다. 이러한지구적인선행조건에따라서추가령구조곡은단층과열곡등의구조지형, 하천지형, 단구및선상지지형, 용암대지지형, 화강암지형, 호소지형등다양한유형의지형이집약적으로나타나는대표적인사례지역이다. 본구조곡의대규모선형곡의내부에잘발달하는다양한지형요소들은우리나라의대표적인구조및화산지형의사례라고할수있다. 이러한관점으로추후에도한국의대표적인지형의특성을보여주는대규모산지, 대지, 분지, 유역, 곡등을대상으로지역지형적인연구가이루어져서한국의지형구조가지역단위로구분되고, 그특징이다각적이며종합적으로연구되길바란다. 추가령구조곡에대한연구는이를위한작은사례가될것으로본다. 추가령지역의지형은앞으로도계속해서보다분석적이고심도있는연구가이루어져야함은당연하다. 특히, 추가령구조곡은현재휴전선에의해단절되어연구지역의접근자체가불가능한지역이절반이상에이른다. 출입이드문비무장지대자체는용암대지를비롯한추가령구조곡의지형을어느정도유지시켜주고있을것이다. 추가령구조곡지역은원지형에대한보존과더불어군사적긴장완화를통해지역출입이보다자유로워져서활발한연구가이루어질수있도록기대해본다. 앞으로한반도의분단과군사적대치상황이개선되면, 평강용암대지, 오리산과검불랑지역, 회양-창도용암대지, 안변용암대지와석왕사선상지, 세포와삼방일대의직선형협곡등에대한지형학적연구가우선적으로진행되어야할것이다. 또한추가령구조곡의다양한구조지형과철원-평강의제4기현무암대지에대한자세하고구체적인현지조사와분석을통한정밀한지형분포도가작성되어야할것으로본다. - 487 -

이민부 이광률 참고문헌권혁재, 2000, 한국의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400. 김규한 김옥준 민경덕 이윤수, 1984, 추가령지구대의지질구조, 고지자기및암석학적연구, 광산지질 17(3), 215-230. 김도정, 1973, 한국의화산지형, 지리학회보, 7, 1-9. 김두일 이형호 한욱, 1993, 서울-철원간추가령곡의군사지리적분석, 육군사관학교화랑대연구소. 김상호, 1964, 추가령열곡에대한고찰, 서울대사대학보, 6(1), 156-161. 김상호, 2016, 한반도지형의형성, 두솔. 김옥준, 1980, 한반도의지진지체구조분석에관한연구, 과학기술처. 김우관, 1980, 한국지지총론, Ⅲ 자연환경 ( 지형 ), (2) 산지지형, 1) 산과산맥, 건설부 국립지리원. 김정혁, 2016, 임진강용암대지의분포와지형발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종규 강경원 손명원역, 헤르만라우텐자흐저, 2014, 코레아 ; 일제강점기의한국지리, 푸른길. 김종욱 주경식 엄정훈 강진우 이종식 서민철 심승희 김학희 신동화, 2003, 고등학교한국지리, 교학사. 김주환, 1997, 추가령열곡내의정부-동두천간에발달한단층구조의구조지형적해석, 지리학연구, 31, 19-26. 김주환 홍현철 신현종 김진수, 2003, 고등학교한국지리, 교학사. 김태호 한국자연지리연구회편, 2000, 화산지형, 자연환경과인간, 한울.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지질, 시그마프레스. 문화재관리국, 1983, 전곡리유적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박노식, 1947, 신조선지리, 동지사. 박노식, 1970, 한국지형구, 지리학, 6, 1-23. 박동원, 1983, 한국의지형연구에있어서의문제점과전망, 지리학논총, 10, 27-40. 박희두 박철웅 황의호 도정훈 채기병 김재기 조성호, 이강준, 2003, 고등학교한국지리, 천재교육. 성영배, 2007, 복수의방사성우주기원동위원소를이용한매몰연대측정의가능성탐구 : 전곡현무암과백의리층을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4(2), 101-107. 손일역, 고토분지로저, 2010, 朝鮮기행록, 푸른길. 송무영 신광수, 1998, 철원부근추가령지구대의지질구조및지표환경해석을위한인공위성영상자료분석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6), 675-683. 신재봉 유강민, 2004, 전곡리구석기유적발굴지인 E55S20-IV 지점의미고결퇴적층에대한뢰스- 고토양층서에관한고찰, 지질학회지, 40(4), 369-381. 양교석, 1982, 추가령열곡대내한탄강하류지역에분포하는화산암류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양승영역, 다테이와이와오저, 1996, 한반도지질학의초기연구사, 경북대학교출판부. 오경섭 김남신, 1994, 전곡리용암대지피복물의형성과변화과정, 제4기학회지, 8, 43-68.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제4계화산활동에관한연구-추가령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26(1), 70-81. 원종관 김윤규 이문원, 1990, 추가령알카리현무암에대한지구화학적연구, 지질학회지, 26, 70-81. 원종관 이문기 이준기, 1987, 추가령구조대의지형발달과화산활동-민통선부근을중심으로휴전선일대의자연연구, 강원대출판부, 11-45. 위수민, 1996, 추가령열곡대에분포하는전곡현무암의지화학적특성, 자원환경지질, 29, 171-182. 이기화 이영민, 1991, 추가령지구대의중력연구 (1), 지질학회지, 27(3), 309-318. 이기화 이전희, 1995, 추가령단층대의구역화 : 경기육괴주요단층대의지구물리학적연구, 지질학회지, 31(2), 116-124. 이대성 류기주 김광호, 1983, 추가령곡의지구조해석, 지질학회지, 19(1), 19-38. 이동영, 1999, 한탄강일대의지질과구석기유적지의지층특성, 한국의제4기학연구, 452-453, 고이동영박사추모집간행위원회. 이민부 김남신, 2002, Hough 변환과음영기복을이용한추가령구조곡의선형구조분석, 지질학회지, 38(4), 457-469. 이민부 김남신 양철수, 한욱, 2001a, 추가령구조곡의하계망의방향성과프랙탈차원해석, 지질학회지, 37(4), 597-609. - 488 -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연구 이민부 김남신 한균형, 2001b, GIS Database 구축을위한지형요소의지도화, 대한지리학회지, 36(2), 81-92. 이민부 박지훈 이광률, 2006, 추가령열곡연천고호소퇴적물분석 : 화분분석을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3(2), 13-22. 이민부 이광률, 2002, 추가령구조곡의하안단구노두분석 : 철원율리리독서당천을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9(2), 83-93. 이민부 이광률, 2003a, 추가령구조곡의하안단구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이민부 이광률, 2003b, 추가령구조곡차탄천상류와독서당천의고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이민부 이광률, 2004, 추가령구조곡차탄천하류현무암층하부점토층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3), 97-111. 이민부 이광률, 2013, 추가령열곡내전곡현무암층하부고하성층노두층서분석, 한국지형학회지, 20(3), 55-63.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4a, 추가령구조곡의지역지형학, 한국지역지리학회하계학술대회발표집, 22-23.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4b, 추가령열곡의철원-평강용암대지형성에따른하계망혼란과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844.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5a, 추가령열곡내포천이동선상지의지형형태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2), 1-10.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5b, 추가령열곡영평천하류단구지형의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40(6), 716-729.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7, 추가령열곡연천고호소층의퇴적물기원지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2(1), 15-26.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한주엽, 2001c, 추가령열곡대광리단층대의구조운동과지형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황상일 최한성, 2001d, 추가령열곡대광리단층대에분포하는합류선상지의퇴적환경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이민부 전종한, 2005, 楸哥嶺 지명에관한지형학및역 사지리적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이민부 최한성, 2003, 추가령구조곡의철원율리리퇴적층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1), 19-32. 이민부 한주엽 김창환, 2012, 철원군승일교인근의화강암지형경관, 한국지형학회지, 19(4), 27-37. 이선복, 2005, 임진강유역용암대지의형성에대한신자료, 한국지형학회지, 12(3), 29-48. 이선복, 2010, 임진강유역용암대지의방사성탄소연대와구석기연구의문제, 한국구석기학보, 22, 3-20. 이순용 김훈기 강용진 서원명 최부현 최유진 이태규, 2003, 고등학교한국지리, 법문사. 이윤수 민경덕 황재하, 2001, 고지자기학적관점에서본추가령단층곡의생성과진화, 자원환경지질, 34(6), 555-571. 이지호 이영택, 1972, 국토와지도, 보진재. 이형호 한욱 김동진 김두일, 1992, 철원일대추가령구조곡의지질및지형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2), 136-144. 정장호, 1984, 한국지지지방편 II, 강원 ( 자연환경과자연재해, 지형편 ), 건설부 국립지리원. 정광옥, 2005, 용암대지개석곡형태분석-차탄천을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조선향토백과, 11권강원편, 평화문제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원편, 2012, 활성단층지도및지진위험지도제작, 소방방재청. Hunt, C.B., 1975, Death Valley: Geology, Ecology, Archa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ee, M.B, Han, U., Yang, C.S., Kin, N.S., and Han, J.Y., 2000, Geomorphic Responses to the Tectonic Activity in the Chugaryung Rift Valley,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4(special ed.), 93-96. Niemi, T.M., Ben-Avraham, Z., and Gat J.R., 1997, The Dead Sea: the Lake and Its Setting, Oxford University Press. Quennell, A.M. ed., 1982, Rift Valleys: Afro-Arabian, Huchinson Ross Company. 木野崎, 1937, 조선의제4기화산에관하여, 조선박물학회지, 22, 3-8. 小藤文次郞,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 Coll. Sci. Imp. Univ. Tokyo, 19, Art. 1. - 489 -

이민부 이광률 교신 : 이광률, 41566, 대구광역시북구대학로 80, 경북대학교사범대학지리교육과 ( 이메일 : georiver@knu.ac.kr) Correspondence: Gwang-Ryul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0 Daehakro, Buk-gu, Daegu, 41566, Korea (e-mail: georiver@knu.ac.kr) 최초투고일 2016. 7. 26 수정일 2016. 8. 18 최종접수일 2016. 8. 21-4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