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35F5BB1E6BCBCB1E25F322E3238C3D6C1BE4F4B5DBFECBCF6C3BCC0B0BFEBB1B8BBFDBBEABEF7C3BC2E687770>

Similar documents
이보고서는보건복지부에서주관하는국민건강증진기금에의해수행 된것이며, 이보고서에수록된내용은연구자개인적인의견이며보 건복지부의공식견해가아님을밝혀둡니다.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hwp

<4D F736F F F696E74202D C0FCB1E2BFEBC7B020B9D720BBFDC8B0BFEBC7B020BEC8C0FCB0FCB8AEC1A6B5B520BCB3B8EDC8B82DB0F8B0B3BFEB5FBCF6C1A4>


1362È£ 1¸é

- 2 -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First Quarter 2013 Office Market Report COMPANY OVERVIEW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200706ºÎµ¿»êÆ®·£µåc02ªš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목 차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Contents iii

OD..Network....( ).hwp

I (34 ) 1. (10 ) 1-1. (2 ) 1-2. (1 ) 1-3. (2 ) 1-4. (2 ) 1-5. (1 ) 1-6. (2 ) 2. (8 ) 2-1. (3 ) 2-2. (5 ) 3. (3 ) 3-1. (1 ) 3-2. (2 ) 4. (6 ) 4-1. (2 )

2015_학술 프로그램_2_4.21.indd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hwp

01 02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경영학회 내지 최종

Layout 1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ICT À¶ÇÕÃÖÁ¾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3LGÈ�ÇÐÁ¦2±â/2001±â³»Áö-8-30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유림0925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2 03 M E GA P R OF I T M E GA P OLIS! 기업도시,! 충주메가폴리스 첨단산업단지 , 1,811 ( 1,232) 2,372 ( ) () 3() IT BT

2002report hwp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CONTENTS.HWP

INDUS-8.HWP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 , , ,690 4, , , , , ,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2003report250-9.hwp

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목차 Ⅰ Ⅱ (2013)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1 양수리 전완편 변동없음 5.0 사유지김진필외 1 인 양수리 천지구밖 감 국유지국 ( 건설교통부 ) 0 3 양수리 대지구밖 감 사유지이종한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KC CODE KCS 국가건설기준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 2017 상수도공사 공기기계설비 2017 년 8 월일제정 국가건설기준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목 차 1. 사업배경및목적 1 2. 시험대상, 방법및기간 3 1) 시험대상 3 2) 시험방법및항목 5 3) 시험기간 5 3. 시험결과 6 1) 종합시험결과 6 2) 온라인쇼핑몰판매제품시험결과 7 3) 성인용품점판매제품시험결과 8 4) 약품판매정품제품시험결과 11 5)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 B3E2B1E2C1D85FC1D6B9CEB5EEB7CFC0CEB1B8C5EBB0E8BAB8B0EDBCAD2E687770>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중남미화장품시장현황 / 3 Ⅱ. 주요국별시장정보 / 9 ( 트렌드 유통망 인증 ) 1. 브라질 / 9 2. 멕시코 / 콜롬비아 / 칠레 / 64 Ⅲ. 우리기업진출전략 / 79 # 첨부. 화장품관

140109_다본다 레전드 매뉴얼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나하나로 5호

- 2 -


순서 배경 그간추진경과 주요개정내용 향후계획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01정책백서목차(1~18)

MRIO (25..,..).hwp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유럽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3 1. 유럽개관 Ⅱ. 동유럽국가별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폴란드 2. 헝가리 3. 체코 4. 오스트리아 5. 크로아티아 6.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쉽게풀어쓴태국의료기기 화장품등록및인증절차 방콕무역관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국가건설기준 설계기준 Korean Design Standard KDS : 2016 쌓기 깎기설계기준 2016 년 6 월 30 일제정

세계 비지니스 정보

ad hwp

목차 Ⅰ 시험개요 1 Ⅱ 건전지품질비교시험결과요약 4 Ⅲ 건전지종합평가표 8 Ⅳ 시험결과조치계획 9 [ ]

Transcription:

연구보고서 2010-23 www.sports.re.kr 21세기 세계 스포츠과학의 선두주자 체육과학연구원은 국내 유일의 체육과학 종합연구기관으로서 한국체육발전 뿐 아니라 세계 스포츠과학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발돋움할 것입니다. 우수체육용구 생산업체 지정제도 지 정품목 현황조사 연구 보고서 10-23 우수체육용구 생산업체 지정제도 지정품목 현황조사 책임연구자 길 세 기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2010. 12. 책임연구자 : 길세기 ( 스포츠산업연구실연구원 ) 공동연구자 : 황종학 ( 스포츠산업연구실책임연구원 ) 이상철 ( 스포츠산업연구실선임연구원 ) 정지명 ( 스포츠산업연구실연구원 ) 성문정 ( 정책개발연구실선임연구원 ) 자문위원 : 박수강 ( 한국기계전자전기시험연구원 ) 황인호 ( 재활공학연구소 )

발간사 2010 년은우리체육계에참으로의미있는한해였습니다. 연초벤쿠버로부터들려온동계올림픽에서의승전보는온국민을감동과희망으로들뜨게하기에충분했습니다. 11월중순, 광저우로부터전해진아시안게임에서의우리나라선수들의선전은국민들에게스포츠강국으로서자부심을다시한번드높이는계기가되었습니다. 특히, 우리연구원이 2년가까운기간동안집중지원한육상종목의도약으로그감회가남다른한해이기도했습니다. 스포츠과학의필요성과가능성을다시한번확인할수있는한해였습니다. 묵묵히역할을다해준우리연구원의연구원들과그감동과기쁨을함께하고자합니다. 우리연구원은올한해도 34건의자체과제와 38건의수탁과제를수행하였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체육관련단체의주요현안을중심으로한체육정책지원, 꿈나무선수, 후보선수, 국가대표선수등을대상으로한스포츠과학현장지원, 스포츠산업체의당면문제에대해현장중심의해결방안을제공하고있는스포츠산업현장지원등다양한지원기능역시우리연구원이수행한주요업무중하나였습니다. 체육학술단체지원및체육학술진흥사업, 경기및생활체육지도자연수, 스포츠용품인증등스포츠인프라확충을위한각종연수및지원사업역시연구원에부여된주요역할이기도합니다. 특히, 2010 년은국민체력향상을위한국민체력인증제시행을준비함으로써우리연구원이모든국민과직접소통할수있는계기를만들었다는점에서매우의미있는한해이기도했습니다. 열악한환경속에서도역할을충실히수행해준연구원의모든구성원들에게감사의마음을전합니다. - i -

이제한해동안의모든노력과성과가집약된의미있는결실을한권의책으로엮어여러분과함께나누고자합니다. 체육부문의진로와방향을선도할미래지향적선도연구, 관련분야의현안과제해결을위한대책방안중심의심층연구, 시의성문제해결을위한현장중심적탐구연구등체육부문의현재와미래에대한인식과고민, 의지와희망을진지하고도겸허하게담아내고자노력하였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체육부문의기대와바램을충분히반영할수없었다면, 그것은오로지우리연구원의역량과노력의부족, 구조적제약과한계에기인한것이며, 개선을위해각계의조언과고언을마다하지않을것임을약속드립니다. 올한해동안연구과정에참여해주신외부의공동연구자와자문위원분들께감사의마음을전합니다. 자료수집과처리를도와준보조연구원들께도감사의마음을전합니다. 애정어린관심과지원을마다하지않은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한국체육학회, 스포츠산업체등체육부문의관계자분들께도감사의인사를드립니다. 특히, 국민체육진흥공단본부와각운영본부의모든임직원들과도이결실을함께하고자합니다. 공단의배려와지원이없었다면오늘의성과도없었을것입니다. 다시한번머리숙여감사드립니다. 내년에도우리연구원은우리에게주어진사명과임무를잊지않겠습니다. 끊임없이새로운영역을개척하면서체육발전의견인차역할을게을리하지않겠습니다. 좀더완성도높은연구성과물로모든분들의기대에보답할것을약속드리며, 인사에가늠하고자합니다. 2010 년 12 월 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원장서상훈 - ii -

초록 본연구에서는문화체육관광부에서시행하고있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의현황조사를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지정품목의현황을조사하고타부처사례의비교분석및전문가면접 설문조사를통해새로운요구에대응할수있는개선방안을도출하여지정제도에대한신뢰성을제고하고자하였다. 2008 년 12월현재 82개종목 464 개품목이었던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은 2009년 85개종목 546개품목으로확대되었으며, 2008년 113개업체이던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는 2009 년신규 38개업체, 갱신 15개업체가신청하여이중신규 10개업체, 갱신 12개업체가지정되어, 지정기간만료된업체포함총 108 개업체가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로지정되어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품목의변화에서는전통적인종목 품목보다는 IT융합기기및 PAPS 관련기기의추가추세가나타나고있어새로운요구에대응할수있도록제도의개선이필요한것으로판단되었다. 지정제도의현장에서의위상및개선안도출을위해타부처사례분석, 업체설문조사, 전문가의견수집을진행하였다. 유사타부처사례로는지식경제부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의의료기기허가고시, 구정보통신부의 MIC 인증제도, 보건복지부의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과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한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을조사하여비교 분석하였으며,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 미지정업체약 150 여업체와인증전문가를대상으로설문및전문가회의를실시하여지정제도의문제점을조사하고개선방안을도출하였다. - iii -

개선된도출안은품목등급의도입과규격서의제정, KISS 인증제도와의통합, 상시신청가능제도로의전환, 선정기준강화로써이와같이도출된개선방안에대한추가적인연구진행및적용을통해시장의요구를합리적으로적용함으로써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을도모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 iv -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1 2. 연구내용및방법 2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5 1. 지정제도개요 5 2. 2009 년도지정제도현황 7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25 1. 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25 2. 의료기기허가및심사제도 29 3. MIC 인증제도 ( 현 KCC) 33 4. 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 (GH 인증 ) 36 5. 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 38 6. 인증 지정제도비교분석 41 Ⅳ. 설문분석 42 1. 업체설문분석 42 - v -

2. 전문가면접조사분석 84 Ⅴ. 결론및제언 88 1. 결론 88 2. 제언 ( 개선방안도출 ) 89 참고문헌 93 부록 94 - vi -

표목차 < 표 I-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추이 1 < 표 II-1> 2009 년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현황 7 < 표 II-2> 2009 년우수체육용구지정 / 갱신업체고시현황 (2009.12.24) 12 < 표 II-3> 2009 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 (2009.12.28) 13 < 표 II-4> 최근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변화 22 < 표 III-1> 안전인증대상추가항목 26 < 표 III-2> 전기용품대상분류 27 < 표 III-3> 의료기기유형군 30 < 표 III-4> 인정규격품목 ( 전자 ) 31 < 표 III-5> 인정규격품목 ( 용품 ) 31 < 표 III-6> MIC 인증의분류 34 < 표 III-7> MIC 시험기관 34 < 표 III-8> 고령친화우수제품인증대상및기준 39 < 표 III-9> 고령친화우수제품관련기관 40 < 표 III-1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유사인정 지정제도비교분석 41 < 표 IV-1> 주요조사내용 43 - vii -

< 표 IV-2> 응답사의특성요약 44 < 표 IV-3> 연도별매출액 47 < 표 IV-4> 연도별연구개발비 48 < 표 IV-5> 취득한인정서의구체적종류 54 < 표 IV-6> 영향력이큰인증 ( 우선순위별응답 ) 57 < 표 IV-7> 영향력이큰인증의구체적종류 ( 우선순위별응답 ) 58 < 표 IV-8> 신청 ( 희망 ) 한종목 ( 중복응답 ) 61 < 표 IV-9> 신청 ( 희망 ) 한종목별품목 ( 중복응답 ) 62 < 표 IV-1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에추가되길희망하는종목과품목 63 < 표 IV-11>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74 < 표 IV-12>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1순위 ) 74 < 표 IV-13>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2순위) 75 < 표 IV-14>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3순위) 75 < 표 IV-15>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4순위) 75 < 표 IV-16> 지정업체여부별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5순위) 76 < 표 IV-17> 지정업체여부별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76 < 표 IV-18> 지정업체여부별세계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77 - viii -

< 표 IV-19> 지정업체여부별국내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77 < 표 IV-20> 지정업체여부별세계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78 < 표 IV-21> 지정업체여부별국내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78 < 표 IV-22> 지정업체여부별세계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79 < 표 IV-23>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관련해당사항 79 < 표 IV-24>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신청횟수 80 < 표 IV-25>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인지경로 80 < 표 IV-26> 지정업체여부별적정지정유효기간 81 < 표 IV-27>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평가기준별적정비중 81 < 표 IV-28> 지정업체여부별국산품의생산형태 ( 중복응답 ) 82 < 표 IV-29>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시혜택 82 < 표 IV-30> 지정업체여부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별필요도 83 < 표 IV-31> 지정업체여부별제도개선을위한중요항목 84 < 표 IV-3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개선방안 89 < 표 IV-33> 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등급화및규격화제안 90 - ix -

그림목차 < 그림 II-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절차 6 < 그림 III-1> 전기용품안전인증절차 28 < 그림 III-2> 의료기기품목허가절차 32 < 그림 III-3> 의료기기제조품목허가절차 32 < 그림 III-4> MIC 인증절차 36 < 그림 III-5> GH 인증절차 38 < 그림 IV-1>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N=144) 45 < 그림 IV-2> 종업원수별분포 : 전체종업원수 (N=179) 46 < 그림 IV-3> 종업원수별분포 : 연구개발인원 (N=119) 46 < 그림 IV-4>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N=179) 48 < 그림 IV-5> 제품의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N=179 / 1순위 ) 49 < 그림 IV-6> 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N=179) 50 < 그림 IV-7> 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N=179) 51 < 그림 IV-8> 세계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N=179) 51 < 그림 IV-9> 국내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N=179) 52 < 그림 IV-10> 세계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N=179) 53 - x -

< 그림 IV-11> 취득한인증등의유형 (N=359 / 중복응답 ) 54 < 그림 IV-12> 인증등의취득년도 (N=352 / 중복응답 ) 55 < 그림 IV-13> 인증등의수여기관 (N=251 / 중복응답 ) 55 < 그림 IV-14> 인증등의수여기관 (N=251 / 중복응답 ) 56 < 그림 IV-15> 인증유형별효과 (N=359 / 중복응답 / 10점만점기준 ) 57 < 그림 IV-1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관련해당사항 (N=179) 59 < 그림 IV-17>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신청횟수 (N=86) 60 < 그림 IV-1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인지경로 (N=110) 61 < 그림 IV-19> 적정지정유효기간 (N=179) 64 < 그림 IV-20> 적정지정유효기간 (N=179) 65 < 그림 IV-21> 국산품의생산형태 (N=266 / 중복응답 ) 65 < 그림 IV-2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시혜택 (N=179) 66 < 그림 IV-23> 제도의개선방안중 강제인증화 의필요도 (N=179) 67 < 그림 IV-24> 제도의개선방안중 인증획득시혜택강화 의필요도 (N=179) 67 < 그림 IV-25> 제도의개선방안중 평가지준점수조정 의필요도 (N=179) 68 < 그림 IV-26> 제도의개선방안중 규격서제정및평가시규격시험실시 의필요도 (N=179) 69 < 그림 IV-27> 제도의개선방안중 상시신청가능제도로전환 의필요도 (N=179) 69 - xi -

< 그림 IV-28> 제도의개선방안중 선정기준강화 의필요도 (N=179) 70 < 그림 IV-29> 제도의개선방안중 KISS 인증제도와통합 의필요도 (N=179) 71 < 그림 IV-30> 제도의개선방안중 인증시해외인증지원확대 의필요도 (N=179) 71 < 그림 IV-3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별필요도 72 < 그림 IV-3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별필요도 73 < 그림 IV-33> 제도관련주관식기타의견정리 (N=21) 73 - xii -

Ⅰ. 서론 1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가. 연구의필요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는국내체육용구생산업체중스포츠활동에기여할수있거나성장가능성이있는생산업체 ( 품목 ) 의발굴육성과국내스포츠용품 ( 용구 ) 시장확대및국제경쟁력강화기반마련을위해문화체육관광부에서시행하고있는제도로써, 국민체육진흥법제 17조및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제 17조에따라사업을수행하고있으며, 체육과학연구원에서이에대한심사를수행하고있다. 우수체육용구의지정대상이되는품목과지정업체는 2008 년현재구기종목의공, 글러브, 라켓에서부터체력단련기구, 학교체육용구부터트레드밀, 체육시설용전광판, 진동운동기구등의첨단운동기구까지 82개종목, 464 개품목, 113 개업체로그대상과범위가매년증가하고있으며, 2009 년에는 85개품목에대해 53개업체가지정및갱신을신청하고있는상황이다. < 표 I-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추이 구분 01년 이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품목수 131 162 216 279 324 402 413 464 업체수 39 47 56 53 68 81 100 113

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또한스포츠용품업의발전에따라시장으로부터요구되는우수체육용구의대상및범위가전통적인체육용구를넘어 IT, BT등타산업분야와의융 복합기기로까지확대되고있어이에대한적절한대응이요구되고있으며, 스포츠산업의발전을위해스포츠용품인증제도및학교체육과연계할수있도록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지정품목의개선이요구되고있다. 이에본과제에서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지정품목의현황을조사하고타부처사례의비교분석및전문가면접 설문조사를통해새로운요구에대응할수있는개선안을도출하여,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대한신뢰성을제고하고자하였다. 나. 연구의목적 본연구에서는현재문화체육관광부에서시행하고있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현황을조사하고타부처사례와의비교분석과설문조사 전문가면접을통해지정제도와갱신제도에대한개선안을도출하고자하였다. 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및지정품목현황조사및분류체계검토 2) 타부처사례와의비교분석 3)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개선안도출 2. 연구내용및방법 가. 연구내용 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및지정품목현황조사및분류체계검토

Ⅰ. 서론 3 2008년 12월현재지정되어있는 113개업체 464개항목이후 2009 년신청하여지정된품목들의중복및신규여부를파악한후, 최근스포츠용품업계에등장하고있는스크린사격등의 IT 융 복합실감형스포츠분야및시장에서요구하고있는차세대스포츠분야를설문조사를통해조사하여 82 개종목으로나누어져있는분류체계방식을검토하고자하였다. 2) 타부처사례와의비교분석전문가심층면접및문헌조사를통해타부처사업들을조사하여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비교분석을실시하여현지정제도의보완점을찾아내고자하였다. 타부처사례로는지식경제부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의의료기기허가고시, 구정보통신부의 MIC 인증제도, 보건복지부의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과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한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을조사하여비교 분석하였다. 3)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개선안도출 IT 융 복합등스포츠산업및스포츠용품의발전및범위확장에의대응및스포츠용품인증제도, PAPS 등학교체육과의연계를통해스포츠산업의발전에이바지하고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대한신뢰성을제고할수있도록, 현제도의검토및새로운시장의요구반영을통해지정제도및지정품목의개선안을도출하고자하였다. 나. 연구방법 1) 문헌조사및분석 기존에연구된스포츠용품, 우수용품의정의등과생산업체와지정품목

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의지정기준을재검토하고관련자료들을수집 분석하였다. 기존의스포츠용품분류체계를재검토하고관련자료와의비교를통해분석하였다. 또한체육용구생산업체에대한기금융자사업등현행장려제도에대해서도조사하였다. 2) 타부처사례분석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품목의 PAPS 기기증 추가, IT융 복합기기증 추가, 전기 의료관련용품증 추가추세에따라이와관련있는지식경제부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의의료기기허가고시, 구정보통신부의 MIC 인증제도, 보건복지부의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과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한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등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유사한면을갖는타부처사례들을조사하여차이점을비교하고개선안을도출하고자하였다. 3) 전문가면접및설문조사스포츠산업계 CEO, 종사자, 관련학계전문가, 인증기관전문가와의심층면접을통해제도의특징과현황을조사하고, 약 150 여개의체육용구업체 ( 스포츠용품업체, 지정제도지정 미지정업체모두포함 ) 에대한설문조사를통해지정제도 지정품목및장려제도에대한시장의요구등의실태를조사하였다. 설문조사항목은인적규모 자본금 매출 고용현황등의업체정보및신청품목 동종업체대비경쟁력 희망하는우수체육용구분야 제도에대한이해 정부정책지원사항에대한이해 정보습득출처 개선요구사항등의지정제도관련정보를두루포함하였으며, 상세한항목은전문가회의를통해도출하였다.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5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 지정제도개요 가. 제도개요 1) 추진근거및목적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의지정제도는 1965년 6월 14일국민체육진흥법제14조의2 신설 ( 체육용구의생산장려및면세조치 ) 의취지로시작하여 1983 년 1월 1일에는국민체육진흥법의개정, 기금융자근거신설, 1990 년 1월 26일에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및관리요령 ( 고시 ) 로제정하였다. 국내체육용구생산업체중스포츠활동에기여할수있거나성장가능성이있는생산업체 ( 품목 ) 를발굴 육성하고국내스포츠용품 ( 용구 ) 시장확대및국제경쟁력강화의기반을마련하고자는목적을띄고있다. 2) 선정기준 1 국내 외품질인증, 신기술지정등품질인정장비, 용품 2 국내 외공인경기대회에사용될정도의품질을갖춘장비, 용품 3 균일한제품을지속적으로생산할시설및기술력보유 3) 지정시지원내용 1 해당품목에문화체육관광부지정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표시 2 국민체육진흥기금융자 ( 연 4%)

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3 문화체육관광부공모사업참여시가점부여 ( 국내 외전시회, 스포 츠산업 R&D, 해외진출지원, 해외인증획득사업등 ) 4 관계기관의기술지원 나. 신규지정업무처리절차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처리절차는아래의 < 그림 II-1> 과같다. 체육용구관련단체의의견을수렴하여체육과학연구원에서생산장려품목에대한타당성을회의를거쳐서검토한후, 지식경제부에서생산장려품목의협의를거쳐공고를하게되며, 이후에업체들의신청및접수를받아서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 체육과학연구원등이의견조회를거쳐생산업체로선정및지정을하게된다. 지정업체의유효기간은 4년이며, 만료되기전에갱신신청에의한재평가후기간을연장할수있다. < 그림 II-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절차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7 나. 지정갱신업무처리절차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갱신절차는신규지정절차와대동소이하게 진행되며, 갱신되면신규지정과마찬가지로 4 년의기간동안우수체육용 구생산업체로인정받게된다. 2. 2009 년도지정제도현황 가. 2009 년도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현황 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은 2008 년 12 월현재 82 개종목 464 개품목에 서 2009 년 85 개종목 546 개품목으로확대되었다. < 표 II-1> 에 2009 년현재지정되어있는모든종목별품목을나타내었다. < 표 II-1> 2009년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현황 종목 ( 분야 ) 품목 검도 죽도, 목검, 호구, 도복, 전통도검 (5) 게이트볼 게이트용구 (1) 골볼 공 (1) 골프 골프가방, 골프공, 골프장갑, 골프채, 골프하드커버, 골프카트, 퍼팅연습기, 골프연습용구, 그린볼과티, 만능클럽, 볼하우스, 골프그립, 골프화 (13) 공수도 경기용글러브, 삿보대, 마우스피스, 도복, 보호대 ( 가슴, 팔, 정강이, 발등 ), 심판깃발, 심판화 (7) 국무도 코브라장갑, 치마, 보호대 ( 몸통, 발목, 발등, 머리, 낭심, 정강이 ), 암미트 ( 타켓 ), 막대미트 ( 타켓 ), 만능미트 ( 타켓 ), 스폰지검 (12) 궁도 화살 ( 개량화살, 전통화살 ), 활 ( 개량활, 전통활, 양궁활 ), 화살통, 각지, 핸들, 날개, 표적지, 조준기, 쿠션, 스타비라이져 (13) 그라운드골프 홀포스트, 클럽, 공 (3)

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종목 ( 분야 ) 근력단련기구 품목 기계식체력단련기구, 근력단련보조용구, 체력단련시스템, 야외용체력단련기구, 고관절운동기구 (5) 낚시 안전모, 안전화, 구명복, 낚시복, 썬글라스, 텐트, 낚시대, 릴, 낚시가방및보조가방, 쿨러, 낚시바늘 (12) 농구 농구넷트, 농구대, 농구공, 농구링, 경기용휠체어 (5) 당구 당구대 ( 포켓, 케롬등 ), 당구큐, 쿠션고무 ( 당구나사지 ), 당구큐곶이 [ 스코어보드겸 ], 스코어보드, 공, 쵸크 (8) 동력스포츠 헬멧, 원동기 ( 수쿠터 ) (2) 등산복, 등산화, 배낭, 아이스엑스, 안전벨트, 프렌드, 카라비너, 텐트, 안등산전모, 슬링 / 테이프, 빙벽용아이젠, 가스버너, 코펠, 경기등반 ( 인공패널, 인공홀드등 ), 암벽화 (17) 라켓볼라켓, 안경 ( 보호안경 ), 공, 장갑 (4) 럭비 럭비공, 헤드기어, 골대, 럭비골대보호대, 스크럽머신, 태클머신, 마우스가드, 숄더패드, 콘택머더, 태클백, 킥킹티 (11) 레슬링 레슬링경기화, 레슬링인형, 레슬링로프, 매트 (4) 미식축구 미식축구공, 의류, 보호장비 (3) 바둑 바둑판, 바둑통, 바둑알, 계시기 (4) 바운드볼 배트, 공 (2) 바이애슬론 롤로스키 ( 스케이팅 ), 폴 ( 스케이팅 ) (2) 배구넷트, 배구공 (0185LSTF), 비치발리볼 (M 185A), 배구공 (VB205), 배구칼라배구공 (VB205-34), 지주, 지주금구, 배구심판대, 배구용전광판, 배구지주보호대, 공 ( 시각장애인용 ) (11) 배드민턴배트민턴넷트, 배드민턴라켓, 셔틀콕, 지주, 스트링거 (5) 보치아볼, 작전판, 홈통, 레이져빔 (4) 복싱 복싱글러브, 컴퓨터득점기, 헤드기어, 복싱링, 샌드백, 샌드백설치대, 펀치볼 (7) 볼링 레인, 볼링공, 볼링핀, 볼회수기, 손목보호대, 컴퓨터득점기, 핀세터, 볼링공지공기, 볼링화 (9) 사격 사격표적지, 전자표적장치 (2) 사이클 생활체조 경기용사이클, 산악자전거, 레저용자전거, 헬멧, 자전거부품, 경기복, 롤러, 스텝보드자전거, 사이클화 (9) 줄넘기, 생활체조복 ( 민속체조, 에어로빅등 ), 다리펴기, 에어로빅매트, 훌라우프 (6)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9 종목 ( 분야 ) 품목 세팍타크로 포스트 (1) 소프트볼 글러브, 배트, 볼, 안전모, 포수장비, 소프트볼경기화 (6) 수영 논슬립매트, 다이빙보드, 배수그레이팅, 수구골대, 수영복, 수위조절판, 수중창, 심판대, 출발대, 코스레인, 코스로프, 핸드레일, 핀수영용구 ( 모노핀, 일반핀, 스노쿨, 버선, 공기통, 공기통연결구, 호흡기 ) (19) 빙상 스케이트 ( 숏트렉, 스피드, 크랩, 휘겨 ), 헬멧, 장갑, 방한모, 숏트랙블레이드 (8) 스쿼시 스쿼시화, 라켓, 공 (3) 고글, 스노우보드, 스키장갑, 스키플레이트, 폴, 스노우보드바인딩, 스노 스키 우보드부츠, 스노우보드장갑, 알파인모노스키, 알파인바이스키, 모노 스키용아웃리거, 절단장애인용아웃리거 (12) 스크린골프 스크린골프시스템, 스윙분석시스템 (2) 스포찬 검, 방패, 호면 (3) 스포츠 IT 운동관리 처방 운영 지도관련프로그램 (1) 스킨스쿠버 물안경, 부력조절기, 잠수복, 호흡용공기압축기, 핀 ( 오리발 ), 호흡기, 마스크, 잠수복다이빙칼, 다이빙용킨튜브 (10) 승마 바지, 부츠, 장갑, 헬멧, 장구 ( 안전조끼 ) (5) 수상스키 투스키, 점프스키, 트릭스키, 웨이크보드 (4) 수상레저스포츠구명조끼, 구명환 (2) 씨름 샅바, 팬티, 씨름경기장 (3) 아이스하키 프레임, 슬레지 ( 썰매 ), 블레이드, 퍽 (4) 야구 야구공, 야구글러브, 야구배트, 보호장구 ( 케처보호구등 ), 모자, 헬멧 (6) 역도 역도바벨원판, 경기대, 연습대, 하체대, 역도바벨 (5) 요트 딩기 (Dinghy) 요트, 크루징요트, 모터요트 ( 보트 ), 구조정 (4) 투로용구 ( 카페트, 신발, 유니폼, 도, 검, 창, 곤등 ), 산타용구 ( 산타경기장, 우슈글러브, 헤드기어, 가슴보호대, 낭심보호대, 정강이보호대, 마우스피스, 유니폼 ) (15) 유도유도복, 매트 (2) 유산소자전거에르고미터, 계단오르기운동기구, 전동식러닝머신, 엘립티컬 ( 타원궤운동기구도보행체력단련기 ), 허리돌리기, 윗몸일으키기, 상 하지연동운동기 (7) 육상 사진판정기, 스타팅블럭, 원판, 투창, 풍향풍속계, 포환, 헤머, 허들, 디지털줄자, 무인카, 높이뛰기지주, 장대높이뛰기지주, 해머원반그물망, 장대높이뛰기매트, 높이뛰기용매트, 마라톤전자계측시계 ( 차량부착용 ),

1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종목 ( 분야 ) 품목 3000SC 이동장애물, 주회표시기 ( 디지탈식및수동식 ), 스타트용확성장치, 멀리뛰기구름판 ( 세트 ), 높이뛰기고도계, 높이뛰기바, 장대높이뛰기고도계, 장대높이뛰기바, 장대높이뛰기상자, 포환이동레일, 레이싱용휠체어 (27) 인라인롤러 경기복, 인라인스케이트, 바퀴 ( 휠 ), 신발, 지지대, 무릎보호대, 장갑, 헬멧, 팔꿈치보호대, 베어링, 프레임, 고글, 콘 ( 고깔 ), 퍽등 (14) 윈드서핑 보드, 세일, 붐, 마스트, 라이프자켓, 헬멧, 하니스 (8) 재활운동기구 보행연습기, 평행봉연습기, 휠체어, 암에르고미터, 재활로잉머신, 플라이에르고미터 (6) 정구 고무공, 정구라켓, 정구네트, 정구라인테이프, 지주, 정구라인청소기 (6) 족구 족구지주네트 ( 지주, 네트, 라인 ), 점수판, 경기용족구공, 전용족구화 (6) 조정 경기정, 노, 자세지지의자 ( 장애용 ) (3) 종합무술 도복, 보호대 ( 머리, 몸통, 팔, 다리, 낭심 ), 장갑, 위 장운동기계 (8) 주행식 운동기구 스케이트보드, 퀵보드 ( 핸들브레이크, 바퀴, 핸들 ) (4) 줄다리기 로프, 매트, 경기화, 보호대 ( 앵커선수용보호조끼 ), 안전모 ( 앵커선수용안전모 ), 보호대 ( 선수용요대 ) (6) 체성분분석기, 악력측정시스템,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측정시스템, 제체력측정장비자리멀리뛰기측정시스템, 50m 달리기측정시스템, 왕복달리기측정시스템, 윗몸일으키기측정시스템, 심박측정기기 (8) 체육계측장비레이져스톱워치, RFID 계측장비 ( 수신기등 ) (2) 체육시설 체조 바닥재 ( 고무블럭등 ), 인조잔디, 전광스코어판 ( 휴대용포함 ), 매트 ( 공수도, 단학기공, 배드민턴, 체조등 ), 의자 ( 운동장및체육관등 ), 컬팅 ( 경기장 ) (9) 뜀틀, 철봉, 체조복, 평행봉, 트램플린 ( 체조경기일종 ), 안마,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링, 체조착지매트, 에어매트, 구름판, 프로텍터 (14) 축구공, 축구화, 보호장구 ( 발목보호대등 ), 축구골네트, 골대, 임원선수벤 축구 취, 경기복, 골키퍼장갑, 동계축구니트장갑, 공 ( 시각장애인용 ), 보호대 ( 시 각장애인용 ) (11) 츄크볼 네트 (1) 카누 경기정, 패들 ( 노 ) (2) 컬링 발판, 브러쉬, 슈즈, 컬링스톤, 스틱 (5) 탁구 탁구공, 탁구넷트, 탁구대, 탁구라바, 라지볼, 라지볼용네트, 라지볼용지주, 라지볼용러버 (8)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1 종목 ( 분야 ) 태권도 품목 도복, 보호대 ( 다리, 머리, 몸통, 팔, 손등, 발등등 ), 샅보대, 전자호구, 매트 (10) 택견 택견수련복 ( 철릭, 대자, 행전, 버선 ), 택견경기복, 경기용매트, 심판복 ( 노랑 ), 태견수련화 (8) 테니스 테니스공, 테니스넷트, 테니스라켓, 지주, 스트링거, 경기용휠체어 (6) 티볼 배트, 공, 배팅티, 베이스 (4) 파크골프 클럽, 공, 신발, 홀컵, 티박스 ( 티잉그라운드 ), 볼스탠드, 추첨기 ( 출발추첨기 ) (7) 풋살 풋살볼, 풋살화, 풋살골대 (3) 기체 ( 리스폰스, 밀레니엄, 컨피던스, 콘트롤, 프라임, 프로미스 ), 보조낙하 패러글라이딩 산, 비행복, 산줄, 웨빙, 하네스 ( 선수용, 아크로, 연습자용, 코로나 ), 헬멧 (15) 펜싱 심판기, 펜싱검, 전기심판기, 메탈피스트, 릴, 릴선, 휠체어펜싱프레임 (7) 풋살 풋살볼, 풋살화, 풋살골대 (3) 프리테니스 공, 라켓, 지주, 네트 (4) 하키 필드하키네트, 골대 (2) 핸드볼 핸드볼공, 핸드볼네트, 골대, 왁스 (4) 핸들러 라켓 (1) 기타 건강시계 ( 심박측정기능포함 ), 종목별전문신발 ( 댄스스포츠화 ), 운동보조영상장치, 라인마커, 기능성신발, 운동화, 진동운동기, 어린이놀이기구 ( 조합놀이대, Fun Climber 등 ), 오십견예방운동기, 고령자용운동기구 ( 체역단련용, 재활치료용, 정신훈련겸용, 스트레칭용 ), 맞춤깔창, 낙상위험도측정시스템, 균형감각훈련시스템, 신체보호대 (18) 나. 2009 년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현황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의경우, 2009 년에는 85개품목에대해신규 38 개업체, 갱신 15개업체, 총53개업체가지정및갱신을신청하여, 신규 38개업체중 10개업체, 갱신 15개업체중 12개업체, 총 22개업체가지정을받아 2009 년 12월현재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로지정된업체

1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는총 108 개업체이다.. 2010 년에는신규 22 개업체, 갱신 19 개업체가지정및갱신을신청하 여 2010 년 12 월현재심사중에있다. < 표 II-2> 2009년우수체육용구지정 / 갱신업체고시현황 (2009.12.24) 순번 신청업체 신청품목 1 ( 주 ) 한밭 당구큐 2 PSV ( 인라인롤러 ) 인라인스케이트, ( 사이클 ) 사이클화 3 ( 주 ) 카이로스 기계식체력단련기구 4 ( 주 ) 슬로비 스케이트보드, 킥보드 5 제맥스코리아 탁구대 6 연무산업 활 ( 개량활 ), 화살 ( 개량화살 ), 화살통, 각지 7 트랑고 안전벨트, 아이스엑스, 프렌드, 카라비너, 슬링 / 테이프, 빙벽용아이젠, 안전모 8 송무궁 활 ( 개량활 ) 9 ( 주 ) 제일체육공사 ( 농구 ) 농구대, ( 축구 ) 골대, 임원선수벤취, ( 핸드볼 ) 골대, ( 육상 ) 해머원반그물망, ( 족구 ) 족구지주네트 10 ( 주 ) 코오롱 골프채 11 대우스포츠산업 ( 주 ) ( 농구 ) 농구대, ( 육상 ) 허들, 스타팅블럭, 장대높이뛰기지주 12 에스케이월 ( 주 ) 등반패널, 인공홀드 13 탑드림 댄스스포츠화 14 ( 주 ) 다이나포스 기계식체력단련기구 15 삼성포리머 ( 주 ) 우레탄바닥제 16 ( 주 ) 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전광스코어판 17 한일스포렉스 포환, 원반, 스타팅블록, 높이뛰기지주 18 ( 주 ) 디자인파크개발 야외용체력단련기구 19 ( 주 ) 평화산업 탁구공, 탁구라바 20 ( 주 ) 알티뷰텍 전광스코어판 21 ( 주 ) 한국오리온 기계식체력단련기구 22 ( 주 ) 홍진 HJC 오토바이헬멧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3 < 표 II-3> 2009 년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 (2009.12.28)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지정기간 종료일 대표자명주소연락처 축구공 2007-06-12 2011-06-11 경기도부천시오정구삼정동테크노 (032)326-2580 테니스공 2007-06-12 2011-06-11 파크 303동 902호 농구대 2007-06-12 2011-06-11 인천광역시남동구고잔동 675-18 기계식체력단력기구 2007-06-12 2011-06-11 (84블럭 19롯트 ) (032)812-0141 평행봉허들 2007-06-12 2011-06-11 포환 2007-06-12 2011-06-11 원반 2007-06-12 2011-06-11 농구대 2007-06-12 2011-06-11 서울시영등포구당산동4가 94-1 삼성아파트상가 213 (02)2677-2270 양궁활 2007-06-12 2011-06-11 경기김포시감정동 598-96 (031)982-5599 골프공 2007-06-12 2011-06-11 충북청주시흥덕구송정동 70-18 (043)271-1787 수영장용구 2006-10-08 2010-10-07 충북단양군대강면두음리 239-9 윗몸일으키기 2008-01-01 2011-12-31 대강농공단지내 (043)422-2440 허리돌리기 2008-01-01 2011-12-31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07-01-01 2010-12-31 허들 2007-06-12 2011-06-11 충남연기군소정면대곡리 13-1 (041)566-8361~2 스타팅블럭 2007-06-12 2011-06-11 뜀틀 2007-06-12 2011-06-11 체조매트 2007-06-12 2011-06-11 레슬링매트켄파스 2009-01-01 2012-12-31 높이뛰기지주 2009-01-01 2012-12-31 높이뛰기매트 2009-01-01 2012-12-31 장대높이뛰기지주 2009-01-01 2012-12-31 장대높이뛰기매트 2009-01-01 2012-12-31 양궁활 2007-06-12 2011-06-11 경기안성시양성면동향리 820-9 (031)671-0898 탁구대 2007-06-12 2011-06-11 경기안양시만안구박달2 동 681 (031)443-3931 복싱글러브 2007-06-12 2011-06-11 서울시서초구서초동 1344-9 성일 (02)3473-5622 빌딩 3층 복싱헤드기어 2008-01-01 2011-12-31 복싱컴퓨터채점기 2008-01-01 2011-12-31 복싱링 2008-01-01 2011-12-31 골프공 2007-06-12 2011-06-11 경기도성남시분당구구미동 186-1 (031)784-6335 팬텀테마파크 8층

1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농구대 2007-06-12 2011-06-11 서울동대문구장안3 동 460-1 동양 (02)982-8801 빌딩 6층 허들 2007-06-12 2011-06-11 스타팅블럭 2007-06-12 2011-06-11 역도바벨 2007-06-12 2011-06-11 철봉 2007-06-12 2011-06-11 포환 2008-01-01 2011-12-31 헤머 2008-01-01 2011-12-31 축구골대 2008-01-01 2011-12-31 축구임원선수벤치 2008-01-01 2011-12-31 장대높이뛰기지주 2009-01-01 2012-12-31 높이뛰기지주 2009-01-01 2012-12-31 해머원반그물망 2009-01-01 2012-12-31 럭비골대 2009-01-01 2012-12-31 역도바벨 2007-06-12 2011-06-11 경기도고양시덕양구향동동 216-2 (02)3159-9889 허들 2007-06-12 2011-06-11 인천남동구고잔동 708-5 남동공단 (032)812-5711 스타팅블럭 2007-06-12 2011-06-11 137블럭 6로트 포환 2009-01-01 2012-12-31 해머 2009-01-01 2012-12-31 원반 2009-01-01 2012-12-31 높이뛰기지주 2009-01-01 2012-12-31 해머그물망 2009-01-01 2012-12-31 3000SC이동장애물 2009-01-01 2012-12-31 멀리뛰기구름판 2009-01-01 2012-12-31 높이뛰기고도계 2009-01-01 2012-12-31 장대높이뛰기고도계 2009-01-01 2012-12-31 매트 ( 체조, 유도, 2007-06-12 2011-06-11 경기안산시단원구성곡동 689-8 (02)533-8300 레슬링용 ) 시화공단 5바 822호 논슬립매트 2009-01-01 2012-12-31 다이빙보드 2009-01-01 2012-12-31 수구골대 2009-01-01 2012-12-31 수위조절판 2009-01-01 2012-12-31 수중창 2009-01-01 2012-12-31 출발대 2009-01-01 2012-12-31 코스로프 2009-01-01 2012-12-31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5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농구대 2007-01-01 2010-12-31 투로용구 2007-01-01 2010-12-31 야외용체력 2007-01-01 2010-12-31 단련기구 기계식체력 2007-08-10 2011-08-09 경기파주시교하읍상지석리 122 (031)977-6870 단련기구 야구글러브 2007-08-10 2011-08-09 부산사하구하단동 894-5 (051)205-1216 농구대 2007-08-10 2011-08-09 경기남양주시진접읍장현리 420-3 (031)571-5711 탁구대 2006-10-08 2010-10-07 수영코스로프및 2007-08-10 2011-08-09 경기남양주시오남읍오남리 503-4 (031)529-2248 권치기 스타트대 2007-08-10 2011-08-09 배수그레이트 2007-08-10 2011-08-09 안전감시대 2007-08-10 2011-08-09 수위조절판 2007-08-10 2011-08-09 수영장자동청소기 2007-08-10 2011-08-09 농구대 2007-08-10 2011-08-09 인천남동구고잔동 728 남동공단 (032)819-1300 157블럭 1롯트 축구화 2007-08-10 2011-08-09 경기광주군오포면문형리 263-1 (02)2264-0255 축구공 2007-08-10 2011-08-09 자전거에르고미터 2008-01-01 2011-12-31 경기고양시일산동구장항동 580-9 (031)902-1381 엘립티컬 2008-01-01 2011-12-31 배구넷트 2008-01-01 2011-12-31 부산사상구삼락동 343-1 (051)304-2511 축구넷트 2008-01-01 2011-12-31 농구넷트 2008-01-01 2011-12-31 핸드볼넷트 2008-01-01 2011-12-31 배드민턴넷트 2008-01-01 2011-12-31 필드하키넷트 2008-01-01 2011-12-31 축구공 2008-01-01 2011-12-31 서울양천구목4동 722-9 (02)2644-2387 셔틀콕 2008-01-01 2011-12-31 포켓당구대 2008-01-01 2011-12-31 경기이천시부발읍신원리 7-9 (031)636-7765 케놈당구대 2008-01-01 2011-12-31 전동식러닝머신 2009-01-01 2012-12-31 경기안양시만안구박달2 동 158-1 (031)463-7995 러닝머신 2009-01-01 2012-12-31 경기파주시문산읍운천리 80-5 (031)953-0974 논슬립매트 2009-01-01 2012-12-31 경기고양시일산구백석동 1141-1 (031)812-7000 배수그레이팅 2009-01-01 2012-12-31 일산테크노타운 507호

1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수구골대 2009-01-01 2012-12-31 수위조절판 2009-01-01 2012-12-31 수중창 2009-01-01 2012-12-31 심판대 2009-01-01 2012-12-31 출발대 2009-01-01 2012-12-31 코스로프 2009-01-01 2012-12-31 핸드레일 2009-01-01 2012-12-31 전광스코어판 2009-12-21 2013-12-31 서울금천구가산동 481-11 대륭테 (02)3437-6100 크노타운 8차 2층 213호 바닥재 2009-12-21 2013-12-31 경기안산시단원구성곡동 684-6 031)499-8011 시화공단5가 507 탁구공 2009-12-21 2013-12-31 경남양산시소주동 297 (055)367-6291 탁구라바 2009-12-21 2013-12-31 경기등반 ( 인공패널, 2010-01-01 2013-12-31 경기파주시맥금동 616-3번지 (031)945-4064 인공홀드 ) 포환 2010-01-01 2013-12-31 경기포천시가산면가산리 382-3 (031)542-9873 원반 2010-01-01 2013-12-31 스타팅블록 2010-01-01 2013-12-31 높이뛰기지주 2010-01-01 2013-12-31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10-01-01 2013-12-31 서울시강서구공항동 11-10 ( 주 )KT 공항지점 2층 (02)2665-6006 기계식체력 2010-01-01 2013-12-31 경기성남시중원구상대원동 223-16 (031)734-6842 단련기구 농구대 2010-01-01 2013-12-31 서울금천구가산동 60-73 벽산디 (02)836-1212 지털밸리 5차 1003호 허들 2010-01-01 2013-12-31 스타팅블럭 2010-01-01 2013-12-31 장대높이뛰기지주 2010-01-01 2013-12-31 배구지주 2009-01-01 2012-12-31 배구심판대 2009-01-01 2012-12-31 배드민턴지주 2009-01-01 2012-12-31 핸드볼골대 2009-01-01 2012-12-31 축구골대 2009-01-01 2012-12-31 축구임원용벤취 2009-01-01 2012-12-31 기계식체력단련기구 2010-01-01 2013-12-31 경기김포시양촌면학운리 448-259 (031)988-1995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7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전광스코어판 2010-01-01 2013-12-31 서울구로구구로동 235 한신 IT타워 (02)2108-7878 417호 동력스포츠헬멧 2010-01-01 2013-12-31 경기용인시이동면서리 54-2 (031)333-5451 (341) 댄스스포츠화 2010-01-01 2013-12-31 서울동대문구장안동 307-3 동광 (02)2213-0066 빌딩 403호 전동식러닝머신 2006-10-08 2010-10-07 경기고양시일산구백석동 1141-1 (031)905-3300 엘립티컬 2007-01-01 2010-12-31 일산테크노타운관리동 401 스코어보드전광판 2006-10-08 2010-10-07 서울강남구논현동 50 (02)512-5171 체력진단시스템 2006-10-08 2010-10-07 서울노원구하계동 250-3 하계테 (02)977-5001 크노타운 A동810호 기계식체력 2006-10-08 2010-10-07 인천서구불로동 576-6 017-244-9513 단련기구 농구대 2006-10-08 2010-10-07 배구지주 2008-01-01 2011-12-31 배구지주금구 2008-01-01 2011-12-31 배구심판대 2008-01-01 2011-12-31 배구지주보호대 2008-01-01 2011-12-31 축구골대 2009-01-01 2012-12-31 스키장갑 2006-10-08 2010-10-07 경기성남시수정구신흥2 동 2456 (031)42-0644 골프화 2007-01-01 2010-12-31 서울영등포구양평 3가 40-2 에이 (02)2633-1133 스케이트보드화 2007-01-01 2010-12-31 스테크노타워 601호 인공패널 2007-01-01 2010-12-31 인천서구대곡동 168-4 (032)563-7476 인공홀드 2007-01-01 2010-12-31 스쿠터 2007-01-01 2010-12-31 서울영등포구양평동 1가 9-28,29 (02)2631-5755 골프그립 2007-01-01 2010-12-31 전남순천시장천동 51-10번지 (061)744-9000 체성분분석기 2007-01-01 2010-12-31 서울강남구도곡2 동 518-10 (02)2182-8907 운동관리 처방 운영 지도관련프로그램 2009-01-01 2012-12-31 배수그레이팅 2007-01-01 2010-12-31 서울서초구양지동 262-10번지금 010-2331-4996 학빌딩 3층 수위조절판 2009-01-01 2012-12-31 코스로프 2009-01-01 2012-12-31 농구대 2009-01-01 2012-12-31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07-01-01 2010-12-31 경기시흥시정왕동 1371-2 ( 시화공단마 103호 ) (031)434-1038

1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전동운동기 2007-01-01 2010-12-31 경기포천시내촌면음현리 498-2 (031)534-0984 의자 ( 운동장및 2007-01-01 2010-12-31 인천서구석남동 223-571 (032)583-8211 체육관등 ) 골프클럽 2007-01-01 2010-12-31 부산강서구대저2 동 5025번지 높이뛰기지주 2007-01-01 2010-12-31 서울영등포구신길동 68-1 (02)833-2355 장댕높이뛰기매트 2007-01-01 2010-12-31 높이뛰기용매트 2007-01-01 2010-12-31 골프채 2007-01-01 2010-12-31 서울서초구방배 3동 1021-14 팍 (02)3472-0211 스애비뉴 301호 신발 ( 태권도 ) 2007-01-01 2010-12-31 경기부천시원미구중동 1127-8 (032)321-0225 도복 ( 태권도 ) 2007-01-01 2010-12-31 보호대 ( 태권도 ) 2007-01-01 2010-12-31 자전거부품 ( 싸이클 ) 2007-01-01 2010-12-31 경남김해시한림면퇴래리 792 (055)345-1663 레저용자전거 ( 사이클 ) 2007-01-01 2010-12-31 경기뷰천시원미구약대동 192 부 (032)234-3232 천테크노파크 2단지 200동 410호 골프가방 2007-01-01 2010-12-31 서울강남구논현동 62-8 번지 402 호 (02)3442-5383 롤러스키 ( 프레임 / 휠 ) 2007-01-01 2010-12-31 부산사상구주례2동경남정보대 (051)316-6933 ( 바이애슬론 ) ICT빌딩 303호 퍼팅연습기 2007-01-01 2010-12-31 경기성남시중원구상대원동 5442-1 (031)735-7400 번지크란츠테크노 701 호 진동운동기 2008-01-01 2011-12-31 부천시원미구춘의동 156-3 아주 (032)651-5812 실업빌딩 3층 헬스용승마용운동기 2008-01-01 2011-12-31 서울시강동구성내동 558-4 (02)3426-0013 구 ( 유산소운동기구 ) 런닝머신 ( 유산소운동 2008-01-01 2011-12-31 대구시달서구호림동 3-3 (053)593-8220 기구 ) 경기복 2008-01-01 2011-12-31 경기도양주시별내면청학리 427 (031)841-1251 스포츠의류 2008-01-01 2011-12-31 바퀴 ( 인라인롤러스케이트 ) 2008-01-01 2011-12-31 부산사상구주례2 동 167 경남정보대학 KBIC 6301 (051)265-9456 야구배트 2008-01-01 2011-12-31 대전유성구전민동 461-6 한남대 (042)274-7037 대덕벨리캠퍼스산학협력단 212호 라인마커 2008-01-01 2011-12-31 부산해운대구반여 1동 1199-11 (051)522-7435 삼해대림타운상가 A동 야구공 2008-01-01 2011-12-31 부산동래구사직1동 98-13 성진빌 (051)502-7007 딩 1~2층 농구대 2008-01-01 2011-12-31 파주시탄현면금승리 467 (02)3663-3205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19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배구지주, 2008-01-01 2011-12-31 배구심판대, 2008-01-01 2011-12-31 배구지구금구 2008-01-01 2011-12-31 배구지주보호대 2008-01-01 2011-12-31 배드민턴지주 2008-01-01 2011-12-31 복싱링 2008-01-01 2011-12-31 에어로빅메트 2008-01-01 2011-12-31 허리돌리기 2008-01-01 2011-12-31 윗몸일으키기 2008-01-01 2011-12-31 허들 2008-01-01 2011-12-31 높이뛰기지주 2008-01-01 2011-12-31 장대높이뛰기지주 2008-01-01 2011-12-31 높이뛰기용매트 2008-01-01 2011-12-31 정구지주 2008-01-01 2011-12-31 족구지주 2008-01-01 2011-12-31 점수판 2008-01-01 2011-12-31 매트 2008-01-01 2011-12-31 뜀틀 2008-01-01 2011-12-31 철봉 2008-01-01 2011-12-31 평행봉 2008-01-01 2011-12-31 이단평행봉 2008-01-01 2011-12-31 평균대 2008-01-01 2011-12-31 구름판 2008-01-01 2011-12-31 프로텍터 2008-01-01 2011-12-31 축구골대 2008-01-01 2011-12-31 선수벤취 2008-01-01 2011-12-31 테니스지주 2008-01-01 2011-12-31 풋살골대 2008-01-01 2011-12-31 필드하키골대 2008-01-01 2011-12-31 필드하키골대 네트 2008-01-01 2011-12-31 ( 하키 ) 핸드볼골대 2008-01-01 2011-12-31 개량활 2008-01-01 2011-12-31 안성시원곡면성주리 165 (031)651-6608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08-01-01 2011-12-31 파주시광탄면분수리 210-3 (031)947-2091

2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농구대 2010-01-01 2013-12-31 축구골대 2010-01-01 2013-12-31 족구지주네트 2010-01-01 2013-12-31 체력측정장비 2008-01-01 2011-12-31 파주시조리읍봉리천리 62-41 019-388-1043 체력측정장비 2008-01-01 2011-12-31 서울금천구시흥동 113-15 새한벤처월드 201호 야외용체력 2008-01-01 2011-12-31 용인시처인구역북동 418-12 (02)2648-8000 단련기구 요트세일 2008-01-01 2011-12-31 부산남구문현1 동 51 011-558-8056 농구대 2008-01-01 2011-12-31 서울마포구서교동 395-166 서교 (02)323-3481 빌딩 302 양궁표적지 2008-01-01 2011-12-31 수원시장안구조원동 763-27 011-9019-9164 체성분분석기 2008-01-01 2011-12-31 경산시진량읍신상리 1208-12 (02)587-4056 3차원골프센서 2008-01-01 2011-12-31 부천시원미구약대동 193 테크노파 (032)621-3088 크 401동 603호 야구공 2008-01-01 2011-12-31 서울중구장충동 1가 54-1 (02)2266-4772 근력단련보조용구 2008-01-01 2011-12-31 고양시일산동구장항2 동 864-3 (031)907-3301 에어로빅메트 2008-01-01 2011-12-31 농구대 2009-01-01 2012-12-31 경기도파주시조리읍능안리 77 018-346-8282 근력단련기구 2009-01-01 2012-12-31 기능성골프화 2009-01-01 2012-12-31 인천부평구청천동 58-42 (032)523-8075 스포츠IT( 심폐지구 2009-01-01 2012-12-31 대구달서구호산동 1-11 첨단산업 010-8548-4738 력측정용무선심박동평가시스템 ) 지원센터 206호 음파진동운동기 2009-01-01 2012-12-31 강원도원주시문막읍동화리 1642-5 (033)743-0123 원주벤처공장 101,103 호 진동운동기 2009-01-01 2012-12-31 인천계양구효성동 570-8 (032)547-3824 RFID TAG 2009-01-01 2012-12-31 서울금천구가산동 327-24 대륭테 (02)805-0333 크노타운 1차 603호 태권도전자호구 2009-01-01 2012-12-31 서울강남구삼성동 38-30 청림빌 (02)541-9880 딩 202호 스포츠 IT(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자세평가도우미 ) 2009-01-01 2012-12-31 서울강남구신사동 536-8 우림빌 017-322-0809 딩 3층 바둑알 2009-01-01 2012-12-31 충남금산군군북면두두리 491 010-3420-8509 농구대 2009-01-01 2012-12-31 경기남양주시진접읍진벌리 184-10 017-202-3068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09-01-01 2012-12-31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21 지정기간 업체명 품목명 시작일 종료일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줄넘기 2009-01-01 2012-12-31 경기고양시일산동구문봉동 240 (031)977-8774 훌라후프 2009-01-01 2012-12-31 낚시대 2009-01-01 2012-12-31 경기부천시오정구내동 85-1 (032)679-6175 야외용체력단련기구 2009-01-01 2012-12-31 경기포천시소흘읍무봉리 434-6 (031)544-4414 테니스라켓 2009-01-01 2012-12-31 부산부산진구초읍동 291-19 010-3568-2007 파크골프클럽 2009-01-01 2012-12-31 서울송파구문정동 57-4 덕영빌딩 (02)783-9983 2층 당구큐 2010-01-01 2013-12-31 충남금산군추부면비례리 13번지 (041)753-7548 인라인스케이트 2010-01-01 2013-12-31 경남양산시상북면소토리 258-3 (055)365-9918 기계식체력단련기구 2010-01-01 2013-12-31 경기김포시대곶면거물대리 196 번지 (031)983-4659 스케이트보드 2010-01-01 2013-12-31 서울서초구방배동 421번지세양아 (02)587-5151 퀵보드 2010-01-01 2013-12-31 르비채 101동 204호 탁구대 2010-01-01 2013-12-31 경기파주시교하읍하지석리 229-1, (031)949-9948 229-5 활 ( 개량활 ) 2010-01-01 2013-12-31 경기부천시원미구춘의동 117-13 (032)684-0626 안전벨트 2010-01-01 2013-12-31 인천계양구서운동 147-17 (032)555-3945 프렌드 2010-01-01 2013-12-31 카라비너 2010-01-01 2013-12-31 슬링 / 테이프 2010-01-01 2013-12-31 빙벽용아이젠 2010-01-01 2013-12-31 아이스엑스 2010-01-01 2013-12-31 안전모 2010-01-01 2013-12-31 활 ( 개량활 ) 2010-01-01 2013-12-31 대전대덕구비래동 110-10 010-3603-9059 골프채 2010-01-01 2013-12-31 경기과천시별양동 1-23호 010-8447-0073 다. 최근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변화 아래의표 II-4 은최근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품목의변화를나타내고있다. 최근의융 복합트렌드에따라스크린골프용품등의 IT융 복합기기및심박계, 체지방계등의 PAPS 관련기기들의추가가이루어지고있는것을알수있다.

2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 표 II-4> 최근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변화 08 09 우수체육용구품목 464 품목 546 품목 고령친화 오십견예방운동기 골볼 공 고령자용운동기구 체력단련용, 재활치료용, 정신훈련용, 스트레칭용 그라운드골프근력단련기구 홀포스트, 클럽, 공고관절운동기구 궁도 조준기, 쿠션, 스타비라이져, 핸들, 날개 낚시농구 낚시바늘경기용휠체어 레슬링레슬링로프당구공, 쵸크 바둑 바둑판, 바둑통, 바둑알, 계시기 라켓볼 라켓, 안경 ( 보호안경 ), 공, 장갑 스포츠 IT 운동관리 처방 운영 지도관련프로그램 배구, 보치아 공 ( 시각장애인용 ) 볼, 작전판, 홈통, 레이져빔 추가품목 ( 종목 / 품목 ) 우슈육상 투로용구 ( 도, 검, 곤 ), 산타용구 ( 산타경기장, 글로브, 헤드기어, 가슴보호대, 낭심보호대, 정강이보호대, 마우스피스, 유니폼 ) 3000SC 이동장애물, 주회표시기 ( 디지탈식및수동식 ), 스타트용확성장치, 멀리뛰기구름판 ( 세트 ), 높이뛰기고도계, 높이뛰기바, 장대높이뛰기고도계, 장대높이뛰기바, 장대높이뛰기상자, 포환이동레일 사격사이클스쿼시스키스크린골프수상스키 전자표적장치스텝보드자전거, 사이클화라켓, 공스노우보드바인딩, 스노우보드부츠, 스노우보드장갑, 알파인모노스키, 알파인바이스키, 모노스키용아웃리거, 절단장애인용아웃리거스크린골프시스템, 스윙분석시스템투스키, 점프스키, 트릭스키, 웨이크보드

Ⅱ.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현황 23 08 09 악령측정시스템, 앉아윗몸앞으로 체력측정장비 굽히기측정시스템, 제자리멀리뛰기측정시스템, 50m 달리기측정시스템, 왕복달리기측정시스템, 윗몸일으키기측정시스템 아이스하키 유산소운동기구 프레임, 슬레지 ( 썰매 ), 블레이드, 퍽 상 하지연동운동기 체육계측장비 RFID 계측장비 ( 수신기등 ) 축구 동계축구니트장갑 태견 태견수련복육상레이싱용휠체어 ( 철릭, 대자 ), 매트 파크골프 클럽, 공, 신발 윈드서핑 보드, 세일, 붐, 마스트, 라이프자켓, 헬멧, 하니스 재활운동기구 재활로잉머신, 플라이에르고미터 조정 자세지지의자 ( 장애용 ) 줄다리기 경기화, 보호대 ( 앵커선수용보호조끼 ), 안전모 ( 앵커선수용안전모 ), 보호대 ( 선수용요대 ) 어린이용놀이기구기타체력측정장비심박측정기기 ( 조합놀이대, Fun 컬팅 Climber) 체육시설 ( 경기장 ) 공 축구 ( 시각장애인용 ), 보호대 ( 시각장애인용 ) 츄크볼 네트 태견 심판복 ( 노랑 ), 태견수련화 테니스 경기용휠체어

2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08 09 티볼 배팅티, 베이스 파크골프 홀컵, 티박스 ( 티잉그라운드 ), 볼스탠드, 추첨기 ( 출발추첨기 우수체육용구지정신청업체우수체육용구지정업체심사위원 펜싱 휠체어펜싱프레임 프리테니스 공, 라켓지주, 네트 핸들러 라켓 맞춤깔창, 기타 낙상위험도측정시스템, 균형감각훈련시스템, 신체보호대 25 개 53 개 ( 신규 :38, 갱신15) 7 명 11 명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25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본연구에서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품목의 PAPS 기기증 추가, IT융 복합기기증 추가, 전기 의료관련용품증 추가추세에따라이와관련있는지식경제부의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의의료기기허가고시, 구정보통신부의 MIC 인증제도, 보건복지부의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과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한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을조사하여비교 분석하였다. 위비교대상제도및사업들은기구부, 전기 전자부등의구성및인간의몸과움직임을대상으로한다는점에서깊은유사성을가진다는점에서비교의당위성을갖는다고판단할수있다. 1. 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 가. 정부기관및관계법령 1) 정부기관 1 MKE :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지식경제부 2 ATS :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기술표준원전기통신제품안전과 (TEL 02-509-7242~7245 / FAX 02-507-6657) 2) 관계법령 1 전기용품안전관리법

2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2 전기용품안전관리법시행령 3 전기용품안전관리법시행규칙 4 전기용품안전관리운영요령 ( 기술표준원고시 ) 나. 전기용품안전인증대상및품목 1)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대상범위 1 전기용품공급되는전원이 AC50V 이상~AC1,000V이하에서사용되는것. 2 직류전원장치또는전기충전기에연결되어사용하는전기용품으로 AC50V 이상~AC1,000V이하에서사용되는것.(2011.01.01 부터적용 ) < 표 III-1> 안전인증대상추가항목 분류명 12군직류전원장치또는전기충전기에연결되어사용하는전기용품 안전인증대상 (2011.01.01부터적용 ) 가. 주방용전동기기나. 전기담요및매트다. 전기찜질기, 발보온기라. 전격살충기 자율안전확인대상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 (2012.01.01 부터적용 ) 대상없음가. 공기청정기나. 충전용전동공구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27 2) 전기용품대상분류및품목 < 표 III-2> 전기용품대상분류 분류명 (2012.01.01 적용 )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자율안전공급자적합성대상대상확인대상확인대상 01군전선및전원코드 1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대상없음 02군전기기기용스위치 2종 1종 1종 대상없음 03군전원용캐패시터및전원필터 1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대상없음 04군전기설비용부품및연결부품 1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대상없음 05군전기용품보호용부품 2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대상없음 06군절연변압기 1종 2종 2종 대상없음 07군전기기기 36종 33종 33종 대상없음 08군전동공구 1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대상없음 09군오디오 비디오응용기기 대상없음 34종 14종 20종 10군정보 사무기기 4종 18종 9종 11종 11군조명기기 4종 5종 5종 대상없음 12군직류전원장치또는전기충전기에연결되어사용하는전기용품 4종 대상없음 대상없음 2종 53종 95종 합 계 195품목 158품목 148종 353품목 비고 : 1. 강제안전기준 340 개기준, 임의안전기준 : 470 개기준 2. 전기용품안전관리법시행규칙, 전기용품안전관리운용요령별표1, 별표2 3) 인증대상업체 ( 강제인증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의제조를업으로하거나외국에서제조하여대한민국에수출하고자하는자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과자율안전확인대상전기용품의모델별로안전인증을받아야판매

2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4) 임의인증대상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제15 조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등을제외한전기용품의안전인증 ) 1항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과자율안전확인대상전기용품외의전기용품을국내또는외국에서제조하여대한민국으로수출하고자하는자 : 모델별로안전인증을받을수있음. 5) KC 인증부여 KC 의경우전기용품을제조하는공장이인증을받아야하며, 동일한제 품을여러공장에서제조할경우에는제조공장별로각각인증을받아야함. 다. 안전인증절차및자율안전확인신고방법 1) 안전인증처리절차 < 그림 III-1> 전기용품안전인증절차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29 2) 자율안전확인신고절차전기용품자율안전확인신고서접수 제품시험 자율안전확인신고증명서작성 자율안전확인신고증명서발급 업체스스로자체검사 자율안전확인의유효기간 5년 라.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의차이점 1) 중요품목은강제인증으로진행, 나머지품목들은자율인증에맡김 2) 유효기간 5년 (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는 4년 ) 3) 인증시혜택대신법령위반시처벌강제 2. 의료기기허가및심사제도 가. 정부기관및관계법령 1) 정부기관 KFDA :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식품의약품안전청 2) 관계법령 1 의료기기법 [ 法律第 10326 號, 2010.05.27. 개정 ] 2 의료기기법시행령 [ 대통령령제22247 호, 2010.6.30 개정 ] 3 의료기기법시행규칙 [ 보건복지부령제18 호, 2010.9.1 개정 ] 4 의료기기관련고시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

3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나. 의료기기안전인증품목및인정규격대상 1) 허가대상 1 2등급, 3등급또는 4등급으로분류한품목 2 1등급중이미허가를받거나품목과구조, 원리, 성능, 사용목적및사용방법등이본질적으로동등하지않은품목 2) 유형군 제조품목이이미허가를받거나신고한품목과원자재, 제조공정및품질 관리체계가비슷한형태로서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정하는품목의집단 < 표 III-3> 의료기기유형군 순번유형군해당의료기기무전원전원 ( 일반적인상용전원, 내부전원, 제조자가지정하는특정전 1 의료기기원 ) 을사용하지않는의료기기 2 3 전원의료기기 방사선사용의료기기 전원을사용하는의료기기 방사선을발상하거나사용하는 ( 제조및시험시방사선을취급하는경우를포함한다 ) 의료기기 4 레이저등인체에중대한영향을주는광 ( 제조및시험시광광발생의노출을피하기위한안전시설및기구, 작업지침등이필의료기기요한경우에한한다 ) 을발생하는의료기기 5 의료용품 의료용품 6 치과재료 치과재료 3) 인정규격품목 1 인정규격 : 식품의약품안전청장 ( 이하 청장 이라한다 ) 이국, 내 외적으로인정되는규격을근거로별도로정하여공고하는규격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31 2 대상의료기기 : 인체에미치는잠재적위험성이경미한 2 등급 의료기기중제품의구조및성능규격이정형화된의료기기로서 청장이별도로정하여공고하는의료기기 < 표 III-4> 인정규격품목 ( 전자 ) 번호 품목 품목분류번호 1 보청기 A78010 인정규격 의료기기전기, 기계적안전에관한공동기준규격 의료기기전자파안전에관한공통기준규격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보청기 ) IDC 60118 series ANSI S 3.22 2 의료내시경 A31090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의료내시경 ) 3 복강경 A31290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의료내시경 ) 4 관절경 A31140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의료내시경 ) 5 코인두경 A31310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의료내시경 ) 의료기기전기기계적안전에관한공통기준 6 규격의료용산소포화도측정기 A17190 의료기기전자파안전에관한공통기준규격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의료용산소포화도측 정기 ) 7 물요법장치 A16130 전자의료기기기준규격 ( 물요법장치 ) 비고 < 표 III-5> 인정규격품목 ( 용품 ) 번호 품목 품목분류번호 인정규격 1 주사기 A54010 의료기기기준규격주사기 ( 인슐린주입용 ) 2 혈관접속용기구 A57250 의료기기기준규격 ( 혈관접속용기구 ) 비고

3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다. 의료기기허가절차 1) 의료기기품목허가절차 < 그림 III-2> 의료기기품목허가절차 2) 의료기기제조품목허가절차 < 그림 III-3> 의료기기제조품목허가절차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33 라.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의차이점 1) 위험 중요품목은허가 ( 강제인증 ) 로진행, 나머지품목들은신고 ( 자율인증 ) 에맡김 2) 유효기간 1년 (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는 4년 ) 3) 인증시혜택대신법령위반시처벌강제 3. MIC 인증제도 ( 현 KCC) 가. 정부기관및관계법령 1) 정부기관 KCC :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정보통신위원회 ( 구정보통 신부 ) 2) 관계법령 1 전파법 [2010.05.27. 개정 ] 2 전파법시행령 3 전자파적합등록관련고시 4 전기통신기본법 [2002.12.26 개정 ] 5 전기통신기본법시행령 나. 인증분류및인증대상 1) 인증의분류및시험기관

3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 표 III-6> MIC 인증의분류 분류 대상기기 근거조항 적용기술기준 형식승인 유선기기 전기통신기본법제25 조에의한전기통신기본법제33 조기술기준 형식검정인명안전관련 무선기기 전파법제46조 전파법제45 조에의한기술기준 형식등록 기타무선기기 전파법제46조 전파법제45 조에의한기술기준 전자파장해기기전자파전파법제56 조에의한전자파장및전자파로부터전파법제57조적합등록해방지기준및전자파보호기준영향을받는기기 < 표 III-7> MIC 시험기관 구분 인증시험 인증기관 시험기관 형식승인 형식승인시험전기안전시험 형식승인시험형식승인전기안전시험 ( 복합기기 ) EMI 및 EMS 시험 형식승인시험전파연구소, 형식승인전기안전시험전파연구소지정시험기관 ( 복합기기 ) EMI 및 EMS 시험 형식등록시험 형식검정 형식검정시험 형식등록 형식등록시험 전자파적합등록 EMI 및 EMS 시험 2) 인증의대상및면제대상 1 형식승인 : 전화기, 교환기, 채널서비스장치, 주전송장치등 2 형식검정 : 선박무선항해용레이더, 디지털선택호출장치등 3 형식등록 : 휴대폰, 간이무전기, 무선데이터통신기, WLL 등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35 4 전자파적합등록 : 컴퓨터, 컴퓨터주변기기, 유선통신단말기기등 5 면제 - 시험연구를위하여제조, 수입하는인증대상정보통신기기 - 국내에서판매하지아니하고수출전용으로제조하는인증대상정보통신기기 - 전시회, 경기대회등행사에사용하기위한인증대상정보통신기기 - 기간, 별정, 전송망사업자가해당역무에사용하는형식승인대상기기 - 기간, 별정, 전송망사업자가해당역무이용자에게제공하는형식승인대상기기 ( 단, 이용자가사업자외의자로부터구매사용기기제외 ) - 외국으로부터도입하는선박또는항공기용형식검정. 등록대상기기 - 여행자가판매를목적으로하지아니하고자신이사용하기위하여반입하는형식승인또는전자파적합등록대상기기 - 전자파적합등록을한주컴퓨터시스템유지보수용으로수입되는전자파적합등록대상기기구성품등

3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다. MIC 인증절차 < 그림 III-4> MIC 인증절차 라.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의차이점 1) 중요품목은허가 ( 강제인증 ) 로진행, 나머지품목들은면제시킴 2) 별도유효기간없이문제품목이나특별품목은별도사후관리 3) 법령위반시처벌강제 4. 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 (GH 인증 ) 가. 정부기관및관계법령 1) 정부기관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37 1 MW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2 KHIDI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나. 인증의대상, 기준및지원혜택 1) 인증의대상 소비자의신뢰를기반으로시장에서이미성숙된제품으로소비자에게 미치는파급효과가큰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등보건산업제품 2) 인증의기준 1 안전성 : 안정성확보여부 2 우수성 : 검증된제품의품질, 기능의우수성 3 신뢰성 : 품질의지속적유지, 관리등사후관리 3) 지원혜택 1 보건산업분야국내유일법적품질인증제도로서인증제품의차별화 2 품질인증서발급및제품에 GH 마크사용 3 인증제품에대한적극적홍보활동지원 ( 공동광고, 우수사례집발간, 보건산업관련전시회제품홍보관운영 ) 4 인증업체의투자유치지원및신용보증추천 우대 5 인허가획득지원사업등진흥원의각종지원사업우대혜택부여

3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다. 인증절차 < 그림 III-5> GH 인증절차 라.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의차이점 1) 강제인증이아니며, 인증시혜택부여라는점에서유사함. 2) GH 마크를부여하며, 진흥원에서인증제품에대한홍보를진행한다 는점에서차이점을가짐. 5. 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사업 가. 정부기관 1) 정부기관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39 1 MW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2 KHIDI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나. 인증의대상및기준 1) 인증의대상및기준 < 표 III-8> 고령친화우수제품인증대상및기준 품목 품질기준 제출서류 비고 수동휠체어 한국산업표준 KS P 6113 의료기기신고증공인인증기관시험성적서 욕창예방매트리스 한국산업표준 KS P 0234 의료기기허가증공인인증기관시험성적서 욕창예방방석 한국산업표준 KS P 0236 공인인증기관시험성적서 전동침대 한국산업표준 KS P 0388 의료기기허가증공인인증기관시험성적서 수동침대 한국산업표준 KS P 0387 의료기기신고증공인인증기관시험성적서 지팡이품질경영및자율안전확인보행차공산품안전관리법신고필증보행보조차에의한자율안전신고 이동변기 간이변기 안전손잡이 산업표준화법에의한목욕의자단체표준인증자체변환용구 단체표준인증서 목욕리프트이동욕조미끄럼방지용품 액, 양말, 매트 3종류 별도서류없음

4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2) 관련기관 < 표 III-9> 고령친화우수제품관련기관 발급종류 발급기관 대상품목 비고 수동휠체어, 욕창예방매트리스 시험성적서 재활공학연구소욕창예방방석, 전동침대, 수동침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동침대, 수동침대 자율안전신고필증 생활안전시험연구원지팡이, 보행차, 보행보조차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지팡이, 보행차, 보행보조차 단체표준 한국고령친화용품산업협회 이동변기, 간이변기안전손잡이, 목욕의자자세변환용구목욕리프트, 이동욕조 1 시험성적서발급기관 : 재활공학연구소안전성 : 안전성, 안정성확보여부 2 우수성 : 검증된제품의품질, 기능의우수성 3 신뢰성 : 품질의지속적유지, 관리등사후관리 다.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의차이점 1) 중요품목은허가 ( 강제인증 ) 로진행, 나머지품목들은신고 2) 별도유효기간없이사후관리를통해문제품목은지정취소조치

Ⅲ. 타부처사례조사및분석 41 6. 인증 지정제도비교분석 아래의 < 표 III-10> 에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타부처의유사인정 지정제도를비교분석하였다. 타부처인정 지정제도의경우, 전기, 의료, IT 등의기능을포함한기기들은규격서혹은시험성적서를바탕으로강제인증화한경우가대부분이었으며, 간단한품목들은신고제로운영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II장에서언급한바와같이최근우수체육용구지정품목도 IT 융 복합화및전기, 의료기능과의교집합이증가하고있는추세로이에대한대책및개선안마련이필요하다할수있다. < 표 III-1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및유사인정 지정제도비교분석 인증 지정제도주무부처강제인증여부혜택 / 벌칙 품목별규격존재여부 유효기간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문화체육관광부 인증시혜택 4년지정제도 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지식경제부 의료기기허가및심사제도 식품의약품안전청 일부강제인증일부신고 일부강제인증일부신고 위반시벌칙 5 년 위반시벌칙 사후관리 MIC 인증제도 구정보통신부 일부강제인증일부신고 위반시벌칙 사후관리 보건제품품질인증사업 보건복지부 인증시혜택 1년 고령친화우수제품선정일부강제인증보건복지부사업일부신고 위반시벌칙 사후관리

4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Ⅳ. 설문분석 1. 업체설문분석 본연구에서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가시장에서차지하고있는위치및개선에대한시장의요구를조사하기위해리서치전문기업을통해본연구원에서리스트를보유하고있는 1830 개스포츠용품제조업체 ( 기지정 108 개업체포함 ) 에설문을요청하였다. 그러나이중 30% 이상업체가폐업상태였으며 20% 이상이실제로는스포츠용품을생산하지않고있었고설문을거부한업체도상당히존재하여, 실제설문에응한업체는 179 개업체이었다. 설문은스포츠용품업체의업체및제품에대한현황과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대한업체의의견을중심으로진행되었다. 설문내용은선행연구조사및내부연구진회의를거쳐 1차도출된내용을인증전문가워크샵을통해수정하여결정하였다. 가. 조사의개요 1) 조사설계및진행 조사대상 전국의스포츠산업 ( 용품 ) 관련제조업체 조사지역 제주도를포함한전국 (16 개광역자치단체기준 ) 표본규모 179 표본 (Sample / 유효표본수기준 ) 조사방법 표본추출 조사기간 표준화된조사표 (Structured Questionnaire) 를이용한대인면접조사및팩스, 이 - 메일 (E-Mail) 의조사를병행 관련업체명부 (List) 를활용한전수조사 ( 全數調査 ) - 명부는체육과학연구원에서조사기관에제공 2010 년 12 월 2 일 ~17 일 ( 기업체가휴무인토 일요일을제외한 12 일간 )

Ⅳ. 설문분석 43 2) 주요조사내용 < 표 IV-1> 주요조사내용 분야제품관련사항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와지정품목관련사항응답업체일반현황 조사항목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국내최고제품대비품질수준 세계최고제품대비품질수준 국내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세계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국내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세계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취득한인증관련 - 취득한인증의종류 - 인증취득년도사항 - 인증기관 - 인증의효과 영향력이큰인증 ( 우선순위별응답 )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관련해당사항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신청횟수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인지경로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에신청 ( 희망 ) 한종목 / 품목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에향후추가되길희망하는종목 / 품목 적정지정유효기간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평가기준별적정비중 국산품의생산형태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시혜택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별필요도 제도개선을위한중요항목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와관련된기타의견 ( 주관식 ) 업체주소 ( 본사, 공장, 해외지사 ) 업체설립년도 업체형태 생산품 ( 종목 ) 종업원수 ( 전체, 생산인원, 연구 개발인원 ) 매출액 (2007년, 2008년, 2009년 ) 연구 개발비 (2007년, 2008년, 2009년 )

4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3) 집계및분석방법조사된조사표는비불량조사표에한해편집 (Editing) 과부호화 (Coding), 입력 (Punching) 과정을거친후, SPSS Win +14.0 / MS-Excel 등을활용하여통계분석을실시하였음. 나. 응답사및제품관련사항분석 1) 응답사의특성요약 본조사에응답한 179 개사의주요특성을요약하면아래표 IV-2 과같다. < 표 IV-2> 응답사의특성요약 지정업체여부 업체형태 소재지권역 구분 업체수 ( 개사 ) 비율 (%) 업체수 ( 개사 ) 비율 (%) 전체 179 100.0 49 인이하 156 87.2 지정업체 84 46.9 50인 ~299인 19 10.6 미지정업체 95 53.1 300인이상 4 2.2 상장법인 1 0.6 1979 년이전 18 10.1 등록법인 1 0.6 1980년대 39 21.8 외부감사법인 5 2.8 1990 년대 56 31.3 기타 172 96.1 2000년대 66 36.9 수도권 152 84.9 구분 종업원수 ( 전체 ) 회사설립연대 서울 56 31.3 소재지 인천 9 5.0 ( 광역 경기 87 48.6 자치단체 )

Ⅳ. 설문분석 45 소재지권역 구분 업체수 ( 개사 ) 비율 (%) 영남권 16 8.9 호남권 3 1.7 업체수 ( 개사 ) 비율 (%) 부산 9 5.0 대구 5 2.8 울산 1 0.6 경남 1 0.6 전북 2 1.1 전남 1 0.6 대전 1 0.6 충청권 7 3.9 충북 2 1.1 충남 4 2.2 기타 1 0.6 강원 1 0.6 구분소재지 ( 광역자치단체 ) 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여부별분포본조사에응답한 179 개사중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여부별분포를살펴보면, 미지정업체 (53.1%) 가상대적으로더많고 지정업체 (46.9%) 가그뒤를잇고있다. 53.1 46.9 지정업체 미지정업체 < 그림 IV-1>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N=144)

4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3) 종업원수별분포본조사에응답한업체의종업원수를전체종업원수를기준으로살펴보면, 49 인이하 (87.2%), 50~299인(10.6%) 의순으로나타났다.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의거의전부라고볼수있는 97.8% 가종업원수 300 인이하의중소기업임을알수있고, 그중대부분이종업원수 49인이하의소기업임을알수있다. 87.2 10.6 2.2 49 인이하 50 인 ~299 인 300 인이상 < 그림 IV-2> 종업원수별분포 : 전체종업원수 (N=179) 75.6 23.5 4 인이하 5 인 ~49 인 300 인이상 0.8 < 그림 IV-3> 종업원수별분포 : 연구개발인원 (N=119) 또한연구개발인원의경우 4 인이하의경우가 75.6 로서국내스포츠용품업 체들의신기술개발능력이나디자인능력이아직영세함을나타내고있다.

Ⅳ. 설문분석 47 4) 매출액별분포본조사에응답한업체의매출액을살펴보면, 연도와무관하게약 2/3 이상이 50억원미만인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IV-3> 참조 ). 물론매출액에대한답변을거부한업체가많아정확한판단을하기는쉽지않지만체육용구생산업체의매출액이다른업종에비해상대적으로높지않을가능성을보여주고있다. < 표 IV-3> 연도별매출액 ( 단위 : 개사, %) 구분업체수 5 억원미만 5 억원이상 ~10 억원미만 10 억원이상 ~50 억원미만 50 억원이상 ~100 억원미만 100 억원이상 ~200 억원미만 200 억원이상 합계 2007년 107 24.3 12.1 41.1 7.5 9.3 5.6 100.0 2008년 116 24.1 12.1 36.2 9.5 11.2 6.9 100.0 2009년 139 21.6 10.8 36.0 14.4 7.2 10.1 100.0 5) 연구개발비별분포본조사에응답한업체의연구개발비를살펴보면, 연도와무관하게약절반내외가 1억원미만을투자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IV-4> 참조 ). 물론연구개발비에대한답변을거부한업체가많아정확한판단을하기는쉽지않지만체육용구생산업체가연구개발에투자하는액수가그다지높지않음을보여주고있다.

4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 표 IV-4> 연도별연구개발비 ( 단위 : 개사, %) 구분업체수 5 천만원미만 5 천만원이상 ~1 억원미만 1 억원이상 ~1 억 5 천만원미만 1 억 5 천만원이상 ~ 2 억원미만 2 억원이상 ~2 억 5 천만원미만 2 억 5 천만원이상 ~ 3 억원미만 3 억원이상 2007년 65 40.0 10.8 20.0 9.2 4.6 1.5 13.8 100.0 2008년 69 34.8 15.9 15.9 10.1 2.9 2.9 17.4 100.0 2009년 79 22.8 17.7 22.8 5.1 8.9 6.3 16.5 100.0 합계 6)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에대해질문한결과, 자체브랜드생산 (59.2%)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자체브랜드및 OEM 생산 (23.5%), 해외브랜드 OEM 생산 (13.4%)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4> 참조 ). 따라서 자체브랜드생산 이응답업체의절반이상을점하고있어 자체브랜드생산 이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인것을알수있고, 자체브랜드및 OEM 생산 도적지않은비율을차지하고있음을알수있다. 자체브랜드생산 59.2 해외브랜드 OEM 생산 13.4 자체브랜드및 OEM 생산 23.5 외주생산 3.9 < 그림 IV-4> 제품의대표적생산방식 (N=179)

Ⅳ. 설문분석 49 7) 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에대해우선순위를질문한결과, 1 순위응답에서는 자체기술개발 (86.0%) 이압도적으로높게나타났고, 나머지항목에대한응답은한자리수정도의낮은비율을보이고있다 (< 그림 IV-5> 참조 ). 따라서응답업체들의경우제품의품질향상및신기술개발을위해자체적으로기술을개발하는경우가거의대부분임을알수있다. 1 순위 (N=144) 2 순위 (N=83) 3 순위 (N=39) 86.0 11.5 5.8 35.6 20.2 21.2 21.2 15.4 7.7 1.7 1.7 3.4 7.3 36.5 24.0 자체기술개발산 학 연공동연구해외기술도입인증획득우수제품벤치마킹 < 그림 IV-5> 제품의제품의품질향상, 신기술개발방식 (N=179 / 1 순위 ) 8) 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국내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한응답업체의품질수준에대해주관적으로평가를받은결과, 90% 대 (43.3%) 가가장높고, 다음으로 100%( 29.8%) 80% 대 (18.5%)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6> 참조 ). 따라서응답업체들중약 3/4 정도인 73.1% 가국내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해 90% 이상의품질수준인것으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다. 한편, 국내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한응답업체의품질수준의평균을산출해보면, 90.1% 로나타나응답업체들이자사제품의품질수준에자부심을느끼고

5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있음을알수있으며, 평가기준에대한응답에서기술성의비중강화응답 이많은이유를알수있다. 50% 대 2.2 60% 대 1.1 70% 대 5.1 80% 대 18.5 90% 대 43.3 100% 29.8 < 그림 IV-6> 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N=179) 9) 세계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세계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한품질수준에대해주관적으로평가를받은결과, 90% 대 (39.4%) 가가장높고, 다음으로 80% 대 (20.6%), 100% (15.4%), 70% 대 (14.9%)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7). 따라서응답업체들중약절반이상인 54.8% 가세계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해 90% 이상의품질수준인것으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다. 한편, 세계최고수준의제품에대비한응답업체의품질수준의평균을산출해보면, 84.0% 로나타나응답업체들이자사제품의품질수준에자부심을느끼고있음을알수있다.

Ⅳ. 설문분석 51 50% 대 3.4 60% 대 6.3 70% 대 14.9 80% 대 20.6 90% 대 39.4 100% 15.4 < 그림 IV-7> 국내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 (N=179) 10) 세계최고수준의제품대비품질수준세계동종업계기준의시장경쟁력에대해질문한결과, 세계동종업체수의평균은 596.2 개사, 세계업계에서응답업체가자지하는순위는평균 137.2 위로나타났다 (< 그림 IV-8> 참조 ). 한편동종업체수에대비해응답업체가차지하는순위를바탕으로순위지수 ( 가칭 ) 를산출해보면본조사응답업체들의경우평균적으로상위 23.0% 에해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5 9 6.2 1 3 7.2 세계동종업체수 ( 평균 ) 세계업계순위 ( 평균 ) < 그림 IV-8> 세계동종업계기준시장경쟁력 (N=179)

5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11) 국내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국내최고수준에대비한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에대해질문한결과, 90% 대 (42.6%) 가가장높고, 다음으로 80% 대 (23.3%), 100% (17.0%), 70% 대 (11.4%)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9>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중절반이상인 59.6% 가국내최고수준에대비해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이 90% 이상으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다. 한편, 국내최고수준에대비한응답업체의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의평균을산출해보면, 85.8% 로나타나응답업체들이자사의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에대해서도자부심을느끼고있음을알수있다. 20% 대 40% 대 50% 대 60% 대 0.6 1.1 2.3 1.7 70% 대 11.4 80% 대 23.3 90% 대 42.6 100% 17.0 < 그림 IV-9> 국내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N=179) 12) 세계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세계최고수준에대비한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에대해질문한결과, 90% 대 (36.9%) 가가장높고, 다음으로 80% 대 (22.3%), 70% 대 (13.4%), 100%(10.8%) 의순으로나타났다.(< 그림 IV-10>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중절반에가까운 47.7% 가세계최고수준에대비한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이 90% 이상이라고인식하고있음을알수

Ⅳ. 설문분석 53 있음한편, 세계최고수준에대비한응답업체의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의평균을산출해보면, 80.8% 라는높은수준을보이고있다. 그러나전문가들의의견은이와상이하며, 업체들또한지정평가기준에서품질관리의비중을낮추기를원하는경우가많았다. 20% 대 30% 대 0.6 0.6 40% 대 50% 대 2.5 3.2 60% 대 9.6 70% 대 13.4 80% 대 22.3 90% 대 36.9 100% 10.8 < 그림 IV-10> 세계최고수준대비품질관리및제품검사수준 (N=179) 13) 취득한인정서의종류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종류에대해중복응답으로질문한결과를몇가지기준에따라우선유형화 (Grouping) 해서살펴보면, 특허 (40.1%) 가가장많고, 다음으로 인증 (36.8%)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11>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가취득한각종인종등의종류에는 특허 와 인증 등이약 3/4 이상을차지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에대해중복응답으로질문한결과, 구체적인종류를살펴보면 특허 (19.8%) 가가장많은가운데 ISO(12.3%)', 기타인증 (10.6%), 실용신안등록 (10.3%) 의순으로많았다.(< 표 IV-5> 참조 )

5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인증 36.8 공인 8.4 특허 40.1 의장등록 6.4 시험성적서 4.5 유사인증 3.9 < 그림 IV-11> 취득한인증등의유형 (N=359 / 중복응답 ) < 표 IV-5> 취득한인정서의구체적종류 구분 유형 업체수 비율 구분 유형 업체수 비율 ISO 44 12.3 특허 71 19.8 각종마크 24 6.7 실용신안등록 37 10.3 인증 벤처및이노비즈기업 13 3.6 특허디자인 4 1.1 상표 16 4.5 기타인증 38 10.6 해외특허및기타 16 4.5 해외기관인증 15 4.2 디자인등록 8 2.2 의장등록 KISS 지정업체 3 0.8 기타의장등록 14 3.9 공인 우수상품생산업체 10 2.8 시험제품검사성적 2 0.6 기타공인 16 4.5 성적서기타시험성적 13 3.6 해외기관공인 1 0.3 경영혁신기업 1 0.3 유사인증 우수디자인 1 0.3 기타 ( 유사인증 ) 12 3.3 합계 359 100.0 14) 인증등의취득년도 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취득년도는 2000 년대 (74.4%) 가주류를 이루고있었다 (< 그림 IV-12> 참조 ).

Ⅳ. 설문분석 55 1970 년대 0.6 1980 년대 0.9 1990 년대 7.7 2000 년대 74.4 2010 년 16.5 < 그림 IV-12> 인증등의취득년도 (N=352 / 중복응답 ) 취득시기가 매년 인경우는금년 (2010 년 ) 으로기준하였고, 취득년도를모르는경우가 7 건임 15) 인증등의수여기관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수여기관에대한답변결과를몇가지기준에따라유형화 (Grouping) 해서살펴보면특허청등의 중앙부처 (52.2%), 기타공공및정부출연기관 (18.3%), 유관협회 연맹 (11.2%) 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그림 IV-13> 참조 ). 중앙부처 52.2 지방자치단체 0.4 기타공공및정부출연기관 18.3 유관협회, 연맹 11.2 민간기관 9.6 해외기관 8.4 < 그림 IV-13> 인증등의수여기관 (N=251 / 중복응답 )

5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16) 인증등의효과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효과에대해질문한결과, 큰편 (41.5%), 매우큼 (33.1%), 보통 (20.9%) 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그림 IV-14>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의경우약 3/4 정도인 74.6% 가취득한인증등의효과가긍정적인것으로평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매우큼 33.1 큰편 41.5 보통 20.9 적은편 2.2 매우적음 2.2 < 그림 IV-14> 인증등의수여기관 (N=251 / 중복응답 ) 17) 인증유형별효과인증등의효과에대한평가결과를인증유형별로살펴보기위해 10점만점의점수로환산해보면 < 그림 IV-15> 과같은데, 6개유형모두가 보통 이라고볼수있는 5점이상의점수를보이고있어응답자들이인증등의효과를모두긍정적으로평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 6개유형중 의장등록 을제외한나머지 5개유형간의평가는거의유사한수준을보이고있다.

Ⅳ. 설문분석 57 인증 7.727 공인 7.917 특허 7.344 의장등록 6.630 시험성적 7.969 유사인증 7.679 < 그림 IV-15> 인증유형별효과 (N=359 / 중복응답 / 10 점만점기준 ) 18) 영향력이큰인증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영향력에대해질문한결과, 1순위에서는 특허 (54.2%) 가가장높게나타난반면, 2순위에서는 인증 (43.0%) 이, 3순위에서도 인증 (41.8%) 이가장높게나타나는등중상순위에서인증이높게평가받고있음을알수있다 (< 표 IV-6> 참조 ). < 표 IV-6> 영향력이큰인증 ( 우선순위별응답 ) ( 단위 : 개사, %)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6순위 7순위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업체수비율 인증 26 27.1 37 43.0 23 41.8 10 47.6 3 25.0 4 57.1 1 25.0 공인 9 9.4 14 16.3 20 36.4 4 19.0 1 8.3 - - - 0.0 특허 52 54.2 26 30.2 11 20.0 6 28.6 4 33.3 1 14.3 1 25.0 의장등록 1 1.0 3 3.5 1 1.8 - - 2 16.7 2 28.6 - - 시험성적서 1 1.0 1 1.2 - - - - 1 8.3 - - 1 25.0 기타 7 7.3 5 5.8 - - 1 4.8 1 8.3 - - 1 25.0 합계 96 100.0 86 100.0 55 100.0 21 100.0 12 100.0 7 100.0 4 100.0

5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응답업체가취득한인증등의영향력의우선순위별응답결과를구체적종류별로살펴보면, 1순위에서는 특허 (40.6%) 가가장높게나타난반면, 2순위에서는 기타인증 (24.4%), 3순위에서는 기타공인 (25.5%), 4순위에서는 각종마크 (19.0%) 가가장높게나타나는등순위별로그구체적종류가다양하게나타나고있다.(< 표 IV-7> 참조 ) < 표 IV-7> 영향력이큰인증의구체적종류 ( 우선순위별응답 ) ( 단위 : 개사, %) 구분 업체수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6순위 7순위 ISO 16 1.0 8.1 3.6 9.5 8.3 28.6 25.0 각종마크 28 10.4 7.0 12.7 19.0 8.3 - - 벤처및이노비즈기업 7 3.1 1.2 1.8 4.8-14.3 - 기타인증 44 8.3 24.4 20.0 14.3 8.3 - - 해외기관인증 9 4.2 2.3 3.6 - - 14.3 -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 14 4.2 4.7 7.3 4.8 8.3 - - KISS 지정업체 3 1.0 1.2 4.8 - - - 우수상품생산업체 4 1.2 3.6 4.8 - - - 기타공인 25 3.1 8.1 25.5 4.8 - - - 해외기관공인 2 1.0 1.2 - - - - - 특허 61 40.6 16.3 7.3 4.8 16.7 14.3 - 실용신안등록 17 3.1 9.3 7.3 9.5 - - - 디자인인증 3 1.0 1.2 1.8 - - - - 상표 9 6.3 2.3 1.8 - - - - 해외특허 14 4.2 2.3 3.6 14.3 16.7-25.0 디자인등록 1-1.2 - - - - - 기타의장등록 5-1.2 - - 16.7 28.6 - 검사성적서 1-1.2 - - - - - 기타시험성적서 3 1.0 - - 8.3-25.0 경영혁신기업 1-1.2 - - - - - 우수디자인 1 - - - - - - 25.0 기타 ( 유사인증 ) 13 7.3 4.7-4.8 8.3 - - 합계 2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Ⅳ. 설문분석 59 다.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관련분석 1)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신청관련사항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관련해당사항에대해질문한결과, 기지정 (46.9%)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몰랐지만더알고싶음 (22.3%), 몰랐지만불필요 (16.2%)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16>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의절반에가까운업체가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로이미지정받았음을알수있고, 약 1/5 정도는이제도를알지못했지만상세히알기를희망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응답업체의 1/3 이상인 38.5% 가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를알지못하고있는것으로파악되어지정제도에대한홍보도강화되어야함을시사하고있었다. 기지정 46.9 신청했으나미지정 1.1 신청예정 3.9 미신청 9.5 몰랐지만더알고싶음 22.3 몰랐지만불필요 16.2 < 그림 IV-1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관련해당사항 (N=179) 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신청횟수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로지정받았거나, 신청한적이있는업체만을대 상으로신청횟수를질문한결과, 1 회 (46.3%) 가가장많고, 다음으로 2

6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회 (29.3%), 3 회 (17.1%)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17> 참조 ). 따 라서본질문에응답한업체의거의대부분으로볼수있는 92.7% 가 3 회 이하의신청경험이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46.3 29.3 17.1 2.4 1.2 3.7 1 회 2 회 3 회 4 회 5 회 7 회 < 그림 IV-17>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신청횟수 (N=86) 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인지경로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인지경로에대해질문한결과, 주변회사나지인 (43.6%)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인터넷 (26.4%), 기타 (20.0%), 신문의공고문 (10.0%)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18> 참조 ). 따라서주변회사및인터넷이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주요인지경로인것을알수있다. 한편, 20.0% 의적지않은비율을차지하고있는 기타 의구체적내용을살펴보면, 관련조합, 협회 ( 연맹 ) 등이거의대부분을이루고있다.

Ⅳ. 설문분석 61 신문의공고문 10.0 인터넷 26.4 주변회사 ( 지인 ) 43.6 기타 20.0 < 그림 IV-18>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의인지경로 (N=110) 3) 신청 ( 희망 ) 종목응답업체가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지정신청 ( 희망 ) 한종목은총 103 개로이중 농구 (10.7%) 의비율로가장높은가운데, 나머지종목의경우한자리수정도의낮은비율을보이고있다 (< 표 IV-8> 참조 ). < 표 IV-8> 신청 ( 희망 ) 한종목 ( 중복응답 ) ( 단위 : 개사, %) 종목 업체수 비율 종목 업체수 비율 종목 업체수 비율 골프 5 4.9 수상스키 1 1.0 체력측정장비 6 5.8 궁도 5 4.9 수영 5 4.9 체육시설 3 2.9 근력단련기구 7 6.8 스크린골프 1 1.0 체조 1 1.0 낚시 3 2.9 스키 3 2.9 축구 4 3.9 농구 11 10.7 스포츠 IT 1 1.0 탁구 2 1.9 당구 3 2.9 야구 5 4.9 태권도 2 1.9 동력스포츠 1 1.0 역도 1 1.0 테니스 1 1.0 등산 5 4.9 요트 1 1.0 파크골프 1 1.0 바둑 1 1.0 유산소운동기구 7 6.8 기타 9 8.7 배드민턴 1 1.0 육상 2 1.9 복싱 1 1.0 인라인롤러 1 1.0 합계 103 100.0 생활체조 2 1.9 주행식운동기구 1 1.0

6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4) 신청 ( 희망 ) 품목 응답업체가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지정신청 ( 희망 ) 한품목 은매우다양한데각종목별로살펴보면아래 < 표 IV-9> 과같다. < 표 IV-9> 신청 ( 희망 ) 한종목별품목 ( 중복응답 ) 종목품목종목품목가방 (1), 공 (1), 골프채 (2), 야구공 (1), 야구배트 (1), 야구장갑 (1), 골프야구골프화 (1) 야구헬멧 (1) 궁도화살 (2), 활 (3) 역도역도바벨 (1) 근력기계식체력단련기구 (4), 요트요트돛 (1) 단련기구야외용체력단련기구 (2) 유산소꺼꾸리 (1), 러닝머신 (3), 자전거낚시낚시대 (2). 낚시부품 (1) 운동기구에르고미터 (1), 전동식러닝머신 (1) 농구농구대 (10) 육상높이뛰기지주 (1), 허들 (1) 당구당구대 (3) 인라인롤러모름 (1) 동력스포츠헬멧 (1) 주행식운동기구 스케이트보드 (1) 등산 전품목 (1), 심폐지구력측정가스버너 (1), 경기등반 (1), 체력시스템 (1), 악력측정시스템 (1), 등산장갑 (1), 배낭 (1) 측정장비체성분분석기 (2) 바둑 바둑알 (1) 체육시설 매트 (1), 바닥재 (1), 의자 (1) 배드민턴 배드민턴지주 (1) 체조 철봉 (1) 복싱 복싱링 (1) 축구 골대 (1), 공 (2), 축구화 (1) 생활체조 훌라우프 (1) 탁구 탁구대 (2) 수상스키 점프스키 (1) 태권도 도복 (2) 논슬립매트 (2), 수영테니스공 (1) 배수그레이팅 (1), 수영복 (2) 스크린골프퍼팅연습기 (1) 파크골프티박스 (1) 스키스노우보드 (1), 스키복 (1) 스포츠 IT 운동관리 처방 운영 지도프로그램 (1) 기타 놀이기구 (1), 댄스스포츠화 (1), 라인마커 (2), 스포츠양말 (1), 어린이놀이기구 (1), 진동운동기 (3)

Ⅳ. 설문분석 63 5) 추가되길희망하는종목과품목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에추가되길희망하는품목에는총 20 개가각 1건씩제시되었고, 이품목을기준으로종목을분류해보면, 9종목이제시되었다 (< 표 IV-10> 참조 ). < 표 IV-10>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에추가되길희망하는종목과품목 종목 품목 종목별비율 (%) 근력단련기구 동적발란스트레이닝 5.0 생활체조 스프링식훌라후프 5.0 스포츠 IT 학교교육용소프트웨어 ( 과목별 ) 5.0 골반, 허리운동기구 유산소운동기구 휘트니스시스템헬스자전거 15.0 육상 무인용기구운반차량 5.0 체력측정장비 폐활량계 5.0 체조 각종목지주 5.0 축구 축구레프리카축구복지퍼 10.0 거꾸리 기타 극기체험시설댄스스포츠화랜턴모험극기체육시설물스포츠점퍼스포츠양말캠핑카 power stick 합계 45.0 100.0 6) 적정지정유효기간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적정지정유효기간에대해질문한

64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결과, 4년(58.7%)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5년(27.4%)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19>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중절반이상인 58.7% 가현행유지를희망하고있음을알수있고, 또한 4~5 년을희망하는경우가응답업체의대부분으로볼수있는 86.1% 에달하고있다. 58.7 27.4 4.5 6.1 3.4 2 년 3 년 4 년 5 년기타 < 그림 IV-19> 적정지정유효기간 (N=179) 7)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평가기준별적정비중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평가기준별적정비중에대해질문한결과, 신기술및독창성 (25.2%)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기술경쟁력 (22.2%), 시장경쟁력 (21.0%), 품질관리 (19.9%), 제품검사 (13.4%)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20> 참조 ). 따라서 신기술및독창성 에대한선호가상대적으로높게나타난가운데현재의평가기준별평가기준과그다지큰차이를보이고있지않음을알수있다.

Ⅳ. 설문분석 65 25.2 22.2 21.0 19.9 13.4 신기술및독창성기술경쟁력시장경쟁력품질관리제품검사 < 그림 IV-20> 적정지정유효기간 (N=179) 8) 국산품의생산형태국산품의생산형태에대해질문한결과, 국내설계, 국내자체공장생산 (51.1%) 이가장높고, 다음으로 국내설계, 국외의자체공장생산 (22.2%), 국내설계, 국내의타업체에위탁생산 (14.7%) 의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IV-21> 참조 ) 따라서본조사응답업체의약 50% 이상이국내에서설계및디자인해서국내의자체공장에서생산하는형태를국산품으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다. 국내설계 ( 디자인 ), 국내자체공장생산 51.1 국내설계 ( 디자인 ), 국외의자체공장생산 22.2 국내설계 ( 디자인 ), 국내의타업체에위탁생산 14.7 국내설계 ( 디자인 ), 외국회사에위탁생산 8.3 국외위탁설계, 국내위탁생산 국외위탁설계, 국외위탁생산 기타 2.3 1.1 0.4 < 그림 IV-21> 국산품의생산형태 (N=266 / 중복응답 )

66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 지정품목현황조사 9)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지정시혜택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시혜택에대해질문한결과, 지정표시를통한기업이미지제고 (45.3%) 가가장높고, 다음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융자 (20.7%), 관련사업참여시가점부여 및 별혜택없음 이각 15.6% 의동일한비율로그뒤를잇고있다 (< 그림 IV-22> 참조 ). 따라서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로지정될경우지정표시로인한기업이미지제고라는무형적이득이주요혜택으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는반면, 별혜택이없다는부정적인식도적지않음을알수있다. 국민체육진흥기금융자 20.7 지정표시를통한기업이미지제고 45.3 관련사업참여시가점부여 15.6 별혜택없음 15.6 기타 2.8 < 그림 IV-22>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시혜택 (N=179) 10) 개선방안별필요도 : 강제인증화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과관련, 우선 강제인증화 의필요도에대해서는 필요한편 (55.9%) 이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 필요없음 (34.6%) 이 2번째높게나타났다 (< 그림 IV-23> 참조 ). 따라서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지정제도의개선방안중 강제인증화 에대해서는약한긍정이절반이상을차지하고있는가운데, 부정적견해도적지않은것으로볼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