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영축사지유적 2 차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및현장설명회자료집 2013 년 12 월 울산광역시울산박물관
Ⅰ. 조사개요 울산영축사지 ( 시기념물제24호 ) 는 三國遺事 券第 3, 塔像第 4 靈鷲寺條 1) 에따라신라신문왕 (683년) 때창건된사찰로알려져있으며, 울산광역시울주군청량면율리 822번지일원에위치한다. 울산박물관은영축사지의학술적가치규명및보존ㆍ정비를위한학술발굴조사계획을수립하여 2012년부터연차적으로발굴조사를실시하고있다. 1차발굴조사 ( 허가제2012-0806 호 ) 에서는금당지를중심으로양쪽에동ㆍ서탑이위치한전형적인통일신라시대가람배치임을확인하였고, 그외중문지, 석등, 귀부등의유구도확인하였다. 유물은통일신라 고려시대에해당하는각종기와를비롯하여비석편, 금동불상등이출토되었다. [ 표 1] 울산영축사지학술발굴조사경과및계획 구분조사면적조사기간조사목적조사내용및계획출토유물 1 차 (2012) 12.10.15 ~ 6,717 m2 2) 13.01.08 ( 실조사일수 60일 ) 금당지, 중문지존재확인 동ㆍ서탑확인 금당지, 동ㆍ서탑지확인 쌍탑일금당식가람배치확인 중요시설확인 : 중문지, 석등, 귀부등 금동불상 2 비석편3 진단구 2 ~ 고려시대각종기와등 2 차 (2013) 8,252 m2 13.10.14 ~ 14.01.10 ( 실조사일수 60 일 ) 중문지, 회랑 ( 동서남북 ) 규모확인 사역범위, 규모확인 사찰대지조성 ( 성토 ) 및축대시설확인 부속건물지 ( 강당지등 ) 존재확인 회랑외곽사찰관련건물지확인 사찰대지조성방법 영축사창건이전문화층 ( 삼국시대 ) 확인 석불좌상 1 통일신라 ~ 고려시대각종기와등 향후계획 8,252 m2 2014~2016 년 영축사의창건 - 중창 - 폐사시기규명 동ㆍ서탑의축조공법조사 영축사의창건 - 중창 - 폐사에이르는전과정을발굴하여보존ㆍ정비기초자료수집 동ㆍ서탑의복원정비문제 2 차에해당하는이번학술발굴조사 ( 허가제 2013-0884 호 ) 에서는 1 차발굴조사에서확인된 금당지와중문지자료를바탕으로영축사의사역범위를분명히하기위해 2013 년 10 월 14 일부터조사를진행하고있다. 조사결과, 남ㆍ북회랑지, 동ㆍ서회랑지등의건물지를비롯 하여, 축대시설, 배수시설, 건물지기단시설등의유구가확인되었다. 이외영축사창건이 전의삼국시대문화층과금당지, 동탑지주변에대지조성을위해성토한흔적이확인된것 도이번조사성과에서빠질수없는부분이다. 또한사실적이고자연스러운옷주름이표현 된통일신라시대석불좌상의출토도이번발굴조사의중요한성과이다. 유물은쌍조문수막 새, 연화문수막새, 암막새, 문자와, 귀면와등통일신라 ~ 고려시대에해당하는각종기와가 출토되었다. 1) 寺中古記云新羅真骨苐二十一主神文王代永淳二年癸未本文云元年誤宰相忠元公萇山國即東萊縣亦名萊山國温井沐浴還城次到屈井驛桐旨野駐歇忽見一人放鷹而逐雉雉飛過金岳杳無蹤迹聞鈴尋之到屈井縣官北井过鷹㘴樹上雉在井中水渾血色雉開两抱二雛焉鷹亦如相惻隠而不敢攫也公見之惻然有感卜問此地云可立寺歸亰啓於王移其縣於他所創寺於其地名霊鷲寺焉 2) 영축사지전체면적 8,252 m2중토지매입진행중이었던 1,535 m2제외한면적임 - 1 -
2 차발굴조사의개요와조사단구성은아래와같다. 허가번호 : 제2013-0884호 조사명 : 울산영축사지유적 2차학술발굴조사 조사지역 : 울산광역시울주군청량면율리 822번지일원 조사면적 : 8,252m2 조사기간 : 2013년 10월 14일 ~ 2013년 12월현재 시행사 / 조사기관 : 울산광역시울산박물관 조사단구성 단장 : 김우림 ( 울산박물관관장 ) 책임조사원 : 김우림 ( 울산박물관관장, 단장겸임 ) 조사원 : 서영남 ( 울산박물관학예연구관 ) 준조사원 : 이현정 ( 울산박물관학예연구사 ) 보조원 : 이승희 ( 울산박물관학예연구사 ) 보존과학연구원 : 황정순 ( 울산박물관보존처리담당 ) Ⅱ. 조사대상지의위치와환경 1. 유적의위치와지리적환경 영축사지는울산광역시울주군청량면율리 822번지일원에분포하며경위도상으로는북위 35 31 47, 동경 129 13 57 에해당한다. 청량면은울산광역시의남동쪽에위치하며, 북쪽으로남구와울주군범서읍, 동쪽으로남구와울산만, 남쪽으로울주군온산읍, 온양읍, 서쪽으로울주군웅촌면, 삼동면과각각접한다. 유적이위치한율리는청량면의북서쪽경계에위치하며, 남구와범서읍굴화리, 천상리, 삼동면둔기리와접한다. 동쪽을제외한삼면이문수산 (600m), 영축산 (350m), 남암산 (543m) 등의비교적높은산지로둘러싸인분지지형이다 ( 도 1). 영축사지일원은지질학적으로흑운모화강암이넓게분포한지역 3) 이고, 지형적으로는영축산에서남쪽으로뻗은구릉성산지의능선과사면부에해당된다. 2. 고고 ᆞ 역사적환경 영축산과남암산을포함한문수산일원에는영축사지를비롯한불교유적과문수산성, 율리고 분군, 청송사지기와가마유적등다양한유적이분포한다 ( 도 2). 문수산일원에는 三國遺事 에등장하는절터 7 곳을비롯하여현재그흔적이확인되는곳만 11 곳에이르며 ( 표 2), 청송사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지질주제도서비스 - 울주군청량면율리일원 (http://gmap.kigam.re.kr/jijil5.aspx#) - 2 -
[ 표 2] 문수산 ( 영축산, 남암산포함 ) 일원의불교유적 번호 유적명 출처 관련유적및유물 시기 1 -발굴조사대상지영축사지 三國遺事 券 3, 塔像第 4 -삼층석탑 2기, 귀부, 율리고분군 ( 기념물제24호 ) - 永丑封山 통일신라시대 2 망해사지 三國遺事, 券 2, 紀異第 2 -망해사지부도 ( 보물제173호 ) 통일신라시대 新增東國輿地勝覽 佛宇 -석불좌상, 명문석고려, 조선시대 鶴城誌 (1749년) 三國遺事, 券 5, 避隱第 8 -석불좌상 3 문수사지 鶴城誌 (1749년) -석조아미타여래좌상 ( 유형문화재제15호 ) 통일신라시대 梵宇攷 (1799년) -석가모니후불탱화, 지장탱화, 칠성탱화조선시대 輿地圖書 -문수산성 新增東國輿地勝覽 佛宇 -청송사지삼층석탑 ( 보물제382호 ) 4 청송사지 鶴城誌 (1749년) -청송사지부도 ( 유형문화재제3호 ) 통일신라시대 輿地圖書 -청송사지출토금동여래입상조선시대 蔚山邑誌 (1832년) -청송사지기와가마유적 5 김신암지 輿地圖書 통일신라시대 蔚山邑誌 (1786년) 김신대조선시대 蔚山邑誌 (1832년) 6 대양사지 輿地圖書 절터골돌부처, 대양암지 통일신라시대 7 축선사지 三國遺事 券 1, 紀異第 1 위치미상 통일신라시대 8 혁목암지 三國遺事, 券 5, 避隱第 8 위치미상 통일신라시대 9 혁목사지 三國遺事 券 5, 避隱第 8 위치미상 통일신라시대 10 대마도암지 울주군청량면면세일반 위치미상 통일신라시대 11 보현암지 三國遺事 券 5, 避隱第 8 위치미상 통일신라시대 지삼층석탑, 망해사지부도등의지정문화재도다수분포한다. 문수산일원의불교유적은경주남산의불교유적에는미치지못하지만, 경주외곽지역이라는점을고려한다면그위상이상당했음을알수있다. 더불어영축사지주변에분포한불교유적은삼국 통일신라시대울산지역의역사적, 지리적환경이반영된결과라는점에서의미가있다. 영축사지와직접적인관련성은밝혀지지않았지만관련유적으로문수산성지와율리고분군이있다. 문수산성지 ( 시기념물제34호 ) 는문수산 (600m) 의 8부능선에정상을따라테를두르듯이쌓은테뫼식산성으로통일신라시대석성 ( 石城 ) 이다. 율리고분군은삼국시대고분군으로영축사지에서남서쪽으로 200m 정도이격된곳에위치하여영축사지발굴조사에서확인된영축사창건이전의삼국시대문화층과관련이있을것으로보인다. Ⅲ. 조사방법과층위 1. 조사범위와방법 조사의공간적범위는영해마을진입로의남쪽에있는경작지일원으로, 동쪽과서쪽으로 - 3 -
하천이경계를이룬다. 조사면적은 1차발굴조사범위 (6,717m2) 와당시토지미보상으로인해확보하지못한지역 (1,535m2) 을포함해총 8,252m2이다. 시간적범위는생토층상부에서확인되는삼국시대부터현재까지이나이번조사에서중점적으로조사한범위는영축사지의창건, 폐사와관련된통일신라 ~ 고려시대이다. 조사는 1차발굴조사에서금당지와탑지를기준으로설정한그리드 4) 를기준으로조사구역을구획한다음트렌치 ( 선 ) 조사와그리드 ( 면 ) 조사를병행하였다. 이번조사는영축사의사역범위와규모를밝히는것이목적이었기때문에되도록전면적인제토는지양하였다. 이에따라트렌치조사에서도일부구간을제외하고는대부분통일신라시대층에그깊이를맞췄다. 그리드는트렌치에서확인된유구의분포양상과금당지를중심으로펼쳐지는통일신라시대가람배치자료를근거로동-서-남-북으로이어지는회랑추정지역에설치하였다. 트렌치조사와마찬가지로제토는통일신라시대층에맞췄으며개별유구에대한단면조사는 3차발굴조사에서시행하고자될수있는한피하고자하였다. 2. 조사층위 조사지역은침식작용으로인해퇴적층이형성되기어려운구릉의능선부임에도불구하고, 금당지주변이낮고사역의가장자리가높은지형조건과영축사지축조시생성된것으로보이는상당한두께의퇴적층이확인된다. 유적의기본적인토층은생토층-삼국시대층-통일신라시대층-고려시대층-현대층으로구분되며금당지북쪽의경우삼국시대부터현대층까지의두께는 1m 정도이다 ( 사진 4). 금당지동남쪽으로형성되어있는약 3m 정도의통일신라시대층은영축사의대지조성과관련있는성토층으로판단된다. 금당지를기준으로서쪽에는삼국시대층이확인되지않았으며생토층상부에통일신라시대층이확인된다. Ⅳ. 조사내용 1차발굴조사는금당지를비롯한탑지, 중문지등가람배치의중심구조에대한조사 ( 표 3) 였고, 이번조사는대지조성방법과회랑지, 익랑지, 강당지등금당지주변시설조사를통해사역범위를밝히기위한목적으로실시하였다. 먼저트렌치및그리드조사를통해확인된양상을정리한다음, 사찰건립을위한대지조성방법, 회랑지등의사찰관련유구, 출토유물을기술하고자한다. 4) 1 차발굴조사의그리드는비교적잔존상태가양호한동탑을중심기준으로잡아석탑기단부 ( 基壇部 ) 갑석의방향축을토대로전체조사범위를 5 5m 단위로설정하였다. - 4 -
[ 표 3] 영축사지 1 차발굴조사결과 유구, 유물시기조사내용 금당지탑지 ( 동, 서탑 ) 석등귀부 통일신라 ~ 고려통일신라통일신라통일신라 ㆍ규모 : 16.4 16.4m 정방형ㆍ평면 : 정면 5 칸, 측면 5 칸 ( 주칸거리 2.4m) ㆍ주초석 : 원형과방형을혼용 ( 본존불지대석을경계로외진, 내진초석으로구분 ) ㆍ기단부 : 할석을이용초석을놓고그위에장방형면석을놓음ㆍ금당지남측, 동측에계단지확인 ㆍ통일신라 8 세기대삼층석탑 ( 서탑지기단부확인으로쌍탑가람임을확인 ) ㆍ동, 서탑간 43m 떨어짐ㆍ평면 : 5.5 5.5m, 판석형지대석설치, 동탑 1 층탑신부사리공확인ㆍ탑상륜부편 ( 보륜, 복발 ) 수습 ㆍ금당지중심축에서남측으로 16m, 동탑에서서쪽으로 22m 떨어져위치ㆍ 1 1m 크기의방형지대석위에복판연화문 8 엽이조식된연화대좌석 ㆍ금당지중심축에서남측으로 28m, 중문지적심군사이에위치ㆍ전체적으로훼손이심하고귀부하단부만잔존 ( 네발, 꼬리, 등문양, 대좌부 ) ㆍ크기 : 가로 183 cm, 세로 210 cm, 높이 60 cm / 비좌 ( 碑座 ) : 가로 93 cm, 세로 32 cmㆍ머리는동쪽을향함. 발가락은앞발 5 개, 뒷발 4 개가표현. 사중육각형및이중육각형이도식화된등문양 ( 경주성덕왕릉 (754 년 ) 귀부와양식적으로가장유사 ) 금동불상 통일신라 ㆍ금당지 (1 점 ) : 대좌와불신을일주식으로주조 ( 높이 7.3 cm ) ㆍ동탑지 (1 점 ) : 대좌와불신을따로주조. 광배와대좌, 손, 발등결실 ( 높이 5.9 cm ) 출토 유물 비석편 통일신라 ㆍ 8 세기대전형적인서체인구양순체 ( 歐陽詢體 ) 로제작ㆍ 1 河東郡遇 / 上黙念潛祈 /, 2 物 / 而般若 / 宗河 /, 3 扉籃? ㆍ 河東郡 은경덕왕 16 년 (757 년 ) 때개칭된지명 기와통일신라 ~ 고려 ㆍ통일신라 ~ 고려시대기와다수출토 (8 세기대, 9 세기대 ~ 고려초, 12 세기대 ) ㆍ문자와 : 靈鷲, 大官, 王, 三寶, 三巴?, 十九四平八天王 등 1. 트렌치및그리드조사현황 ( 도 3) 트렌치는가람배치와지형조건을고려하여 25개를설치하였다. 트렌치의간격은 20m, 깊이는유구가확인되는통일신라시대층을기준으로하였으나트렌치위치에따라생토층까지굴착한경우도있다. 조사결과, 회랑지적심, 수혈유구, 건물지등의유구가확인되었다. 그리드는트렌치에서확인된유구의정확한성격을규명하기위해 16곳에설치하였다. 조사결과, 동-서회랑지와남-북회랑지, 배수시설이확인되었으며 14, 15그리드에서는축대시설이확인되었다. 또한영축사지의건립을위해대지를조성한흔적이 2, 3, 21, 22트렌치, 15그리드에서확인되었다. 트렌치및그리드조사에서는영축사지와직접적으로관련된건물지외에도구하천 ( 舊河川 ), 삼국시대문화층등이확인되었다. 구하천의경우일부구간에습지가형성되어있고여기에통일신라시대유물이다량으로포함되어있다. 생토층상부와통일신라시대성토층사이에형성되어있는삼국시대문화층은금당지를비롯하여동남쪽사면까지분포한다. 트렌치에서명확하게확인된유구는없지만 2트렌치토층에서삼국시대주거지의흔적으로추정되는양상이확인되었다. 유구의내부토로추정되는이층은모래성분이다량포함된다른시기의층과는달리점성이강하며목탄, 소토, 토기편등이포함되어있다. 이일대가사찰건립이전에는생활공간으로이용되었음을보여주는자료이며, 인접해있는율리고분군의조성주체와관련된흔적으로판단된다. - 5 -
2. 대지조성 영축사지는구릉말단부에위치하기때문에사찰건립이전평탄한대지조성이이루어졌을것으로추정된다. 대지조성을보여주는금당지, 중문지, 동탑주변의 21, 22, 23, 25트렌치, 14, 15그리드의양상을보면, 금당지에서동남쪽으로경사진원지형을평탄하게조성하기위해 2m 이상을마사토로성토한흔적이확인된다 ( 사진 5). 대지조성시기는성토층이삼국시대층위에위치하고, 성토층내부에서확인되는통일신라시대기와편등을통해영축사지의창건시기와동일한통일신라시대로판단된다. 대지조성방법은회랑적심과축대등의유구가훼손되지않는범위에서확인된양상이기때문에전체적인양상은알수없으나, 지형과공간에따라수평축토 ( 水平築土 ) 와높은쪽에서낮은쪽으로흙을채워가는경사축토 ( 傾斜築土 ) 공법을사용한것으로판단된다. 경사축토공법은동탑지에서남쪽으로일부확인된다. 대지조성이후붕괴를막기위한축대시설도일부확인된다. 금당지가위치한주변은토층상최하층에서흑회색의뻘층이확인되는것으로보아원지형이다른곳보다낮아습지가형성된곳을매립하여금당지를축조한것으로보인다. 3. 사찰관련유구 1) 중문지 ( 中門址 ) 중문지는금당지중심에서남쪽으로 30m, 동탑중심에서서쪽으로 22m, 남쪽으로 13m 떨어진지점에위치한다. 중문지는 1차발굴조사에정면 3칸, 측면 1칸구조로판단하였으나, 남측에절리된생토층상면에중문지적심이일부확인되어정면 3칸, 측면 2칸구조임을확인하였다 ( 사진 6). 규모는전체길이 8.6m, 폭 5.1m이며, 주칸거리는정면어칸이약 3.5m, 협칸이 2.7m, 측면간격은 2.7m이다. 초석은확인되지않고적심석만잔존하는데, 대부분양호한상태이나동남쪽적심 1기는유실되었다. 적심직경은 1.4m 내외이며, 일부단면조사를통해기단토층을약 60cm정도굴착한후 20cm내외의할석, 천석을적갈색사질점토와번갈아가며약 5단정도쌓았다. 중문지의동, 서방향으로는남회랑이이어진다. 남회랑적심은중문지측면적심사이에위치하며중문지의남북폭은남회랑적심보다각각 1.3m 정도씩넓게축조되었다. 2) 회랑지 ( 回廊址 ) 회랑은금당지, 동ㆍ서탑을중심으로동-서-남-북모두확인된다. 동ㆍ서회랑지는금당지중심에서동쪽으로 32m, 서쪽으로 32m 지점에위치하고, 남ㆍ북회랑지는금당지중심에서남쪽으로 29.5m, 북쪽으로 24m 지점에위치한다. 모두측면 1칸의단랑 ( 單廊 ) 구조로, 초석이남아있는적심석 ( 동ㆍ서회랑지 ) 과적심석만있는회랑지 ( 남ㆍ북회랑지 ) 가중복된상태이다. 초석은원형과방형이혼용되어있다. 회랑지의적심석은직경 1.4m 내외로 20cm내외 - 6 -
의할석과천석을혼용하여축조하였다. 남회랑지 ( 사진 7,8) 는중문지와나란히동-서방향으로이어지며, 중문지의측면적심사이에남회랑적심이위치한다. 중문지서편으로정면 9칸, 측면 1칸, 동편으로정면 9칸 ( 추정 ), 측면 1칸이며, 주칸거리는정면 2.7m, 측면 2.7m, 동서길이 ( 중문지포함 ) 약 69.5m이다. 남회랑지의동ㆍ서편에는회랑지를남북방향으로가로지르는배수시설이각각 1기씩확인된다. 배수시설은북에서남으로경사진바닥에판석을깐후양옆으로방형의할석을 75cm정도폭을두고놓았다. 북회랑지 ( 사진 9) 는서편이도로로인해파괴되어전모를알수없지만, 남회랑지의양상을참고하면정면 22칸 ( 추정 ), 측면 1칸으로복원된다. 주칸거리는정면 2.7m, 측면 2.7m, 동서길이약 69.5m이다. 북회랑지에는회랑지적심열에근접하여서로다른적심열이확인되는데시기가다른회랑구조이거나건물지일가능성이있다. 서회랑지 ( 사진 10) 는 8그리드에서일부확인된다. 주칸거리는정면 3.2m, 측면 2.7m로, 남ㆍ북회랑지정면칸너비보다넓은편이다. 적심석의정면칸사이에는초석이남아있는적심석이위치하여중복양상이확인된다. 서회랑지의서편에는배수로로추정되는석열이남북방향으로이어진다. 동회랑지 ( 사진 11) 는 1그리드에서일부확인된다. 주칸거리는정면 3.0m, 측면 3.0m이나동측적심이일부유실되거나무너진것을고려하면측면너비는다른회랑과마찬가지로 2.7m 정도추정된다. 동회랑지에서도초석이남아있는적심석과중복된양상이확인되는데, 동회랑지에서서쪽으로 1.5m 정도들어가서열이이어진다. 회랑지조성시기는동회랑지적심일부단면조사결과, 적심석하단에통일신라시대기와포함층이위치하는것으로보아창건때부터회랑지가조성된것은아니고이후들어선것으로추정된다 ( 사진 12). 회랑으로둘러싸인중심사역부의전체규모는동서길이약 69.5m, 남북길이약 56.5m 이다. 영축사와창건시기가유사한경주감은사 (682년) 가동서길이 74m, 남북길이 76m 이고, 경주사천왕사 (679년) 는동서길이약 82m인것과비교하면, 감은사와동서길이는큰차이가없으며, 영축사가신라지방사찰임을고려했을때당시감은사에버금가는상당한규모의사찰이었다고볼수있다 ( 사진 13). 이외사찰의부속시설인강당지 ( 講堂址 ) 와익랑지 ( 翼廊址 ) 의존재유무를확인하기위해금당지북쪽방향과동서방향으로그리드를설치하였다. 조사결과, 북회랑지의적심과중복된적심이강당지로추정되기는하나양상이뚜렷하지않고, 익랑지역시관련되는유구는확인되지않았다. 현재로서는강당지와익랑지가없는가람이라판단되나, 금당지북측과양측으로각각강당지와익랑의적심일가능성이있는적심들이확인되고있어추후확장조사가필요하다. - 7 -
4. 출토유물 1) 석불좌상 ( 石佛坐像 ) 북동쪽후대조성된축대부분에서석불좌상 1점이수습되었다 ( 사진 14). 폭 83cm, 두께 54cm, 잔존높이 35cm이다. 상반신과오른쪽손, 오른쪽무릎일부는결실, 파손되었고, 왼쪽손도 1/2 이상결실되었다. 불상의자세는좌상 ( 坐像 ) 으로, 오른쪽발을왼쪽넓적다리위에얹고왼쪽발은오른쪽넓적다리밑으로넣은반가부좌 ( 半跏趺坐 ) 상태이다. 왼쪽손은손바닥을위로향하게하여오른쪽발위에얹어져있다. 왼쪽어깨에서옷주름이내려오는것으로보아우견편단 ( 右肩偏袒 ) 일가능성이있다. 전체적으로옷주름이자연스럽고사실적으로표현되어있으며몸체의양감이뛰어나당시통일신라공인의뛰어난조각기술을보여준다. 2) 기와 이번조사에서출토된기와류는 1차발굴조사출토기와류와동일한양상으로확인되어새롭게확인되는부분을중심으로설명하고자한다. 막새기와는연화문수막새와당초문암막새가주류이며이외에복판연화문수막새와중판연화문수막새등경주지역과울산지역에서유례가확인되는수막새도출토되었다. 또한서운 ( 瑞雲 ) 과화문 ( 花文 ) 이혼성된좌우대칭구도의쌍조문 ( 雙鳥文 ) 수막새가새롭게출토되었다. 문자와 ( 文字瓦 ) 는 1차발굴조사때 靈鷲, 大官, 王, 三寶, 三巴?, 十九四平八天王 이란총 6종류의문자가확인되었고, 이번조사에서는새롭게 明寺九 라새겨진것과인물이그려진문자와가확인되었다. 특수기와는귀면와 ( 鬼面瓦 ), 치미 ( 鴟尾 ), 연화문마루수막새 ( 곱새기와, 望瓦 ) 등이새롭게확인되었다. Ⅴ. 조사성과 1. 1 차발굴조사에서금당지, 탑지등을통해쌍탑가람임을확인하였고, 이번발굴조사에 서강당지, 익랑지등의건물지는확인되지않았지만, 중문지, 회랑지를확인함으로써영 축사의중심사역범위가분명해졌다. 2. 영축사지의대지조성과관련된흔적이확인되었다. 금당지에서동남쪽으로경사진원지형을평탄하게조성하기위해 2m 이상을마사토로성토하였다. 지형과공간에따라수평축토 ( 水平築土 ) 높은쪽에서낮은쪽으로흙을채워가는경사축토 ( 傾斜築土 ) 공법을사용한것으로판단된다. - 8 -
3. 중문지는금당지중심에서남쪽으로 30m, 동탑중심에서서쪽으로 22m, 남쪽으로 13m 떨어진지점에위치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구조로, 규모는전체길이 8.6m, 폭 5.1m이다. 주칸거리는정면어칸이약 3.5m, 협칸이 2.7m, 측면간격은 2.7m이다. 중문지의동, 서방향으로는남회랑이이어진다. 남회랑적심은중문지측면적심사이에위치하며중문지의남북폭은남회랑적심보다각각 1.3m 정도씩넓게축조되었다. 4. 회랑지는동-서-남-북모두확인되며일부중복양상이보인다. 회랑으로둘러싸인영축사중심사역부의전체규모는동서길이약 69.5m, 남북길이약 56.5m이다. 영축사와창건시기가유사한경주감은사 (682년) 가동서길이 74m, 남북길이 76m, 경주사천왕사 (679년) 가동서길이약 82m인것과비교했을때, 남북길이는차이가나지만, 동서길이는큰차이가없다. 따라서영축사가신라지방사찰임을고려했을때당시감은사에버금가는상당한규모의사찰이었다고볼수있다. 5. 유물은통일신라시대석불좌상 1점, 통일신라 ~ 고려시대기와등이다수출토되었다. 석불좌상은반가부좌를틀고있는좌상으로, 상반신이결실되었으나전체적으로옷주름이자연스럽고사실적으로표현되어있으며몸체의양감이뛰어나당시통일신라공인의뛰어난조각기술을보여준다. 기와류는대체로 1차발굴조사출토기와류와동일한양상이며, 2차발굴조사에서는좌우대칭구도의쌍조문 ( 雙鳥文 ) 수막새, 明寺九 라새겨진것과인물이그려진문자와, 특수기와인귀면와 ( 鬼面瓦 ), 치미 ( 鴟尾 ), 연화문마루수막새 ( 곱새기와, 望瓦 ) 등이새롭게출토되었다. - 9 -
[도 1] 조사대상지 위치 및 지형도 (S=1/25,000) : 조사지역 - 10 -
[ 도 2] 조사대상지주변유적분포도 (S=1/5,000) : 조사지역 - 11 -
[ 도 3] 조사대상지조사현황도 (S=1/1,000) - 12 -
[ 사진 1-1] 조사대상지원경 ( 동 - 서 ) [ 사진 1-2] 조사대상지원경 ( 남 - 북 ) - 13 -
[ 사진 2] 조사대상지조사후전경 - 14 -
[ 사진 3] 조사대상지조사후근경 [ 사진 4] 조사대상지층위양상 (2 트렌치 ) - 15 -
[ 사진 5] 대지조성흔적 ( 좌 :25 트렌치, 우 :15 그리드 ) [ 사진 6] 영축사지중문지전경 - 16 -
[ 사진 7] 영축사지남회랑지 ( 동편 ) 전경 [ 사진 8] 영축사지남회랑지 ( 서편 ) 전경 - 17 -
[ 사진 9] 영축사지북회랑지전경 ( 동 - 서 ) [ 사진 10] 영축사지서회랑지전경 ( 동 - 서 ) - 18 -
[ 사진 11] 영축사지동회랑지전경 ( 서 - 동 ) [ 사진 12] 영축사지동회랑지적심하층양상 - 19 -
[ 사진 13] 영축사지가람배치및사역범위 - 20 -
[ 사진 14] 영축사지출토석불좌상 -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