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ó°ú¿¬³»ÁöÇÕº»¼öÁ¤.PDF

Similar documents
제1권 총괄(최종)2.hwp

hwp

Ⅰ Ⅱ Ⅲ. 1. (Life Cycle) 2. ( ) Ⅳ. Ⅴ

발간등록번호 : NIBR NO

특징및이점 - 새로운작용기작으로나방류에대한탁월한약효를보이며저항성해충도해결 - 다양한해충 ( 나방, 총채벌레, 응애, 굴파리 ) 동시방제효과로고품질농산물생산 - 침투효과로잎속과뒷면에숨는총채벌레, 응애에대한섭식독작용 원예용살충제 품목명아바멕틴 클로란트라닐리프롤액상수화제계통

1 밤나무 관리 월력표 및 일반사항 01 2 전년 12월~1월 주요 관리내용 01 접수채취 정지전정 수형조절 (재배지) 월 주요 관리내용 01 대목 양성을 위한 파종 식재 (재배지) 시비 (재배지) 월 주

hwp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목명목 ( 학명 ) 과 ( 학명 ) 과명학명국명특이사항도엽 벌목 Hymenoptera Formicidae 개미과 Formica (Serviformica) japonica 곰개미 대합 (358064) Motschulsky 벌목 Hymenoptera Formicidae 개

곤충산업 현황과 전망-최영철.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전기전도도 μs E1 E2 E3 E4 E5 E6 E7 E8 E9

untitled

¼Ò³ª¹«Àç¼±-³»Áö1~41

4. 사전체험활동 활동목표 산이가지고있는의미와가치느끼기 체험활동 현장체험활동교수ㆍ학습과정안 장소학교 ( 교실혹은인터넷검색가능한강의실 ) 준비물 체험활동지 본활동 활동과정 활동내용 차시 자료 활동목표 산이가지고있는의미와가치느끼기 산이주는의미는무엇일까생각해보기

농식품 R&D 해외동향 [ 제 호 ] 해외식용곤충산업현황과시사점 1. 개요 1 2. 식용으로사용되는주요곤충종과분포 2 3. 식용곤충의영양학적가치와연구개발동향 4 4. 식용곤충식품의다양한가공기술 6 5. 산업현황및전망 8 6. 시사점 9 기획예산실


< D C0CEB0A3B0FA20B0EFC3E62E666D>

< DB3ADC1F62DBEEEB7F92DC6EDC1FD2E687770>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AYIVLTBNMNZP.xls

< DC1F8BBF32DBEEEB7F92DC6EDC1FD2E687770>

or other inhabitancy plant, obtaining the developed method to control the pest or phytogenic microorganism. 병해충방제에사용하는합성농약은최근에여러환경및사회적인문제로사용량을가능한제한하도록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DBPIA-NURIMEDIA

09구자용(489~500)

5(2)-07.fm

00.앞부분2

<313228BFCFB7E129B1E8C0CEBCB12DC3D6C1BEBABB2E687770>

RLTKIHRUVRRS.xls

바이러스병 전년진딧물에의해매개되는모자이크바이러스병 이고랭지배추에서많이발생하였는데 최근평년보다 다소낮은온도와많은강수량을보이고있으나매개충방제를소홀히할경우가을배추에도발생가능성높음 배추정식후에진딧물을발견하면즉시적용약제를살포하고바이러스병발병시병든식물은즉시제거 시금치등채소류와밭작

Ⅰ. 식량작물 1 ( 밀 보리종자소독 ) 붉은곰팡이병 < 예보 > 금년도맥류출수기부터평년대비강수량이많아전국적으로붉은곰팡이병이높게발생하여등숙불량립이발생할것으로예상됨 탈망기및정선체등을이용하여정선을철저히하고 파종전적용약제를이용하여종자에약이골고루묻도록소독하여파종방제추진 Ⅱ.

433대지05박창용

80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1) Ⅰ. 서론포도는재배면적이나생산량으로볼때, 우리나라 5대과실중의하나이다. 포도생산의변화추이는 1990년대에재배면적이연평균 7% 대의증가추세를보였지만, 2000년이후 29,200ha 에서

< DBEE7B0A32DBEEEB7F92DC6EDC1FD2E687770>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식량작물 1. 애멸구,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류 [ 예보 ] q 애멸구는줄무늬잎마름병을옮기는해충으로, 조사결과월동밀도는낮으나중국에서대량으로날아올경우피해가우려되므로, 서해안인접지역의육묘상방제를소홀히하였던논을중심으로벼를자세히살펴보아애멸구가보이는논은적용약제로방제 < 적용약제

작물해충

09È«¼®¿µ 5~152s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03-서연옥.hwp

03이경미(237~248)ok

POGJCDBGFZYS.xls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슬라이드 1

101호_화분매개곤충.hwp

차례

전기전도도 μs E1 E2 E3 E4 E5 E6 E7 E8 E9 출현종수 E1 E2 E4 E5 E6 E7 E8 E9

10(3)-09.fm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DBPIA-NURIMEDIA

제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담수무척추현지조사표 일련번호 도엽명격자번호 N 좌표 도분초도분초 E 조사일자 조사시간종명개체수하천법정또는개시종료국명학명보호종풍부도계곡평지 001 청안 E /06/22 14:00 14:50 플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제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담수무척추현지조사표 일련번호 도엽명격자번호 N 좌표 도분초도분초 E 조사일자 조사시간종명개체수하천법정또는개시종료국명학명보호종풍부도계곡평지 001 쌍정 E /03/23 14:00 14:50

09-감마선(dh)

식량작물 1. 벼이삭도열병 [ 주의보 ],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 깨씨무늬병 [ 예보 ] q 출수기이후잦은강우로이삭도열병이일부 시군에서발생하고있으니잎도열병이발생하였거나거름기가많은논, 사전방제를하지못한논은서둘러서적용농약을선택하여방제 q 흰잎마름병은최

미생물유래물질을이용한식물병방제용작물보호제의산업화

과업수행자 북한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3 차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DCQDTERVBALX.xls

#편집인협회보381호_0422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식량작물 1. 벼물바구미, 벼굴파리류저온성해충 : 예보 벼물바구미는벼잎과뿌리를갉아먹고 벼잎벌레와굴파리류는벼잎이나줄기속을갉아먹어피해를주는해충임 발생우심지역에서는벼물바구미 노린재류 벼잎벌레 굴파리류등과잎도열병등을동시에방제할수있는약제를선택하여방제하고 이모작지대등이앙이늦은 <

,......

Æ÷Àå½Ã¼³94š

서론 34 2

13장문현(541~556)ok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DBPIA-NURIMEDIA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103.fm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변화근 Fish Fauna of Mt. Juheul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won University, Cheongju , Korea To clarify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c

02-1기록도전( )

목 록( 目 錄 )

03-1영역형( )

204

TRKO hwp

6À嵶¼º¿¬±¸ºÐ¾ß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 1 -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04-ƯÁý2b71Ú°æ½Äš

#편집인협회보379호

Ⅰ. 서론 1. 개요 전세계의약 2% 정도의면적이도시로이루어져있으나전세계인구의 54%, 약 39억명이도시에거주하고있다 (UN DESA, 2014). 도시의인구집중은고층 고밀건축물의증가와도로포장, 녹지감소등토지이용유형 (land use pattern) 의변화를야기하였고

Æ÷Àå82š

식량작물 1. 조생종벼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 예보 ] q 잎도열병은예년보다발생이적은상태이나장마철이후조생종벼에서는이삭도열병발생이우려되니이삭패기전까지정밀방제 q 잎집무늬마름병은거름기가많은논을중심으로병무늬가늘어나고있으니이삭패기전까지방제 q 흰잎마름병은태풍또는

식량작물 1. 모잘록병, 뜸모 q 모잘록병과뜸모는비닐터널내온도변화가클때발생이많으므로 2 엽기이후의못자리에서터널내의온도가 30 이상올라가지않도록환기관리를하고비닐을제거할때는모키의 2/3 정도물을대었다가빼주어수분이부족하지않도록관리 2. < 뜸모 > 애멸구 ( 줄무늬잎마름병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연구담당김연중선임연구위원한혜성전문연구원박영구전문연구원 연구총괄, 제 1 장, 제 4 장, 제 6 장 제 4 장 제 2 장, 제 3 장, 제 5 장

구분 사업명 사업량 ( 개소 ) 개소당사업비 ( 백만원 ) 계 ( 백만원 ) 국비도비시군비자부담대상시군 계 11 종 소계 : 8 종 벼병해충예찰포진단실운영 1

Transcription:

강원농업생명환경연구 24(1) : 38-45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Vol.24 No.1 March, 2012 양구곤달비재배하우스내의곤충상보고 박승철 1, 이민섭 1, 유재홍 2, 조세열 1* 1 강원대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응용생물학과, 2 농촌진흥청농업생물부농업미생물팀 (2012 년 01 월 10 일접수, 2012 년 03 월 16 일수리 ) The Insects Fauna of Growing in Plastic Greenhouse of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in Yanggu Park, S. C. 1, M. S. Lee 1, J. H. Yoo 2 and S. Y. Cho 1* 1 Department of Applied Bi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1) 2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Agricultural Microbiology Division, Ru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441-707, Korea Abstract Insect diversities in plastic greenhouse of Ligularia stenocephala in Yanggu were studied in 2010 and 2011. Forty-four species in 11 orders were collected in organic L. stenocephala field. Among them, it was estimated that twenty-five species are potential pests of L. stenocephala. Key words: Insect diversities, Ligularia stenocephala, Yanggu. 서론 곰취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와곤달비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and Koidz.] 는둘다쌍떡잎식물이고목과과가같기때문에형태가비슷하여종종같은종으로취급되기도하지만엄연히다른종이다. 곰취는잎중간에세로로길게갈색선이보이는반면곤달비는갈색선을관찰할수없다. 곤달비는주로깊은산의습지에서서식하며높이는 60 cm에서 100 cm까지자란다. 뿌리에달린잎은주로꽃이필때까지남아있으며길이는 24 cm, 나비는약 20 cm 정도이다. 어린잎을주로쌈채로먹으며한방에서는뿌리를부인병치료에사용하기도한다. 특히, 곰취는항산화제를다량으로함유되어있다는보고에이와유사한곤달비도다수의기능성물질을함유하고있으리라생각되어현재수요가급증하고있는추세이다 (Choi et al., 2007). 양구펀치볼광역단지는우리나라의최북단휴전선과연접하여깨끗한물과공기를간직하고있는지역으로서이러한지리적장점을이용하여곤달비를비롯하여산마 늘, 잔대, 모시대, 흰민들레, 어수리, 미역취, 쑥부쟁이, 왕고들빼기, 삽주등주로쌈채류채소들재배지역으로써각광받고있는지역이다. 이러한쌈채류채소들은모두친환경농법을이용하여재배하고있다. 우리나라의친환경농업육성법제2조에따르면 친환경농업 이란 합성농약, 화학비료및항생 항균제등화학자재를사용하지않거나최소화하고농 축 임업부산물의재활용등을통하여농업생태계와환경을유지 보전하면서안전한농축임산물을생산하는농업 을말한다 ( 진등 2010). 친환경농법을이용하여재배되고있는쌈채류채소류들에대한병해충발생양상이나방제법개발은기초단계이며쌈채류채소의수요급증에따라주요병충해에대한보고가시급한실정이다. 특히곤달비재배농가의증가에따라곤달비메카로주목받고있는양구지역의현안애로사항을해결하기위한연구보고가시급히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된다. 양구지역에서재배되고있는곤달비는 100% 친환경농법을이용하여재배함으로써환경측면에곤충의서식환경과농업생태계환경의변화를평가하는데중요한 *Corresponding Author: Cho, S. Y. (E-mail: saeyoullcho@kangwon.ac.kr) 38

양구곤달비재배하우스내의곤충상보고 39 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2010년과 2011년 2년에걸쳐채집된곤충상과곤달비에서해충으로서발생할수있는주요곤충을제시함으로써친환경종합적방제대책을수립하는데있어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재료및방법곤달비재배지역분석 조사지역의자연환경을알아보기위하여녹지자연도를녹지자연도등급조사기준에의하여분석하였고, 환경부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서녹지자연도를적용하여작성하였다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1989). Figure 1은조사된두지역 ( 양구군해안면펀치볼농업기술센터내에위치한곤달비재배하우스와양구군방 산면장평리에위치한곤달비재배하우스 ) 의식생도를나타낸것으로써펀치볼농업기술센터는제4땅굴옆에위치하며, 주변에큰하천은없으나옆으로작은실개천이흐르며하우스옆에지름 8미터정도의저수지가있다. 양구군방산면장평리는남쪽은양구읍, 북쪽은비무장지대와맞닿아있으며옆으로수입천이흐르고있다. 수입천은연장 34.8 km로휴전선안내금강에서발원하여민통선을지나방산면을거쳐파로호로유입된다. 두지역모두녹지자연도등급이 3-5 등급정도로매우우수한수준이었다. 두지역모두식생도와녹지자연도가비슷하여지역은다르지만발생할수있는곤충상은유사하리라판단되어두지역에서발생하는곤충상데이터를통합하여결과를산출하였다. 선발된두지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8월까지발생곤충을조사하였고조사기간월평균강우량과월평균온도를기록하여곤충발생의참고자료로활용하였다 (Fig. 2, Fig. 3). Fig. 1. Vegetation map of sampling sites. Fig. 2. Monthly temperature variation of sampling sites.

40 박승철 이민섭 유재홍 조세열 Fig. 3. Monthly rainfall variation of sampling site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곤충상조사 2010년 4월부터 2011년 8월까지강원도양구군해안면펀치볼농업기술센터와강원도양구군방산면장평리에서약 330 제곱미터크기의하우스 1동을대상으로발견되는곤충상을조사하고채집된곤충은표본으로만들었다. 채집방법은포충망을이용한쓸어잡기, Pit-fall trap, 독병을이용한직접채집등을이용하였다 (Richard, 2003). Pit-fall trap의경우지름 7 cm, 높이 7.5 cm 되는플라스틱컵을땅에 10 m 간격으로묻고설탕물 (20%) 을이용하여채집하였고채집지에있는곤충의경우지름 50 cm의포충망을이용해쓸어잡기혹은독병으로직접채집하였다. 조사시동정할수없는종만채집하여실내에서동정하였으며, 육안관찰로동정가능한곤충들은채집을하지않았고실험데이터에기록하였다. 채집된곤충은건조기 (60도 8시간 ) 에서건조한후표본하여보관하였다. 보관된곤충은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성충의외부형태에의한관찰을통해분류학적정리하였고곤충목에따른과, 종수준까지곤충도감등을이용하여동정하였다 ( 권과허, 1998; 김, 1998; 남, 1998; 배, 1998; 이, 1998; 한과최, 2001; 김, 2004; 김, 2008). 결과및고찰양구곤달비에서관찰되는곤충들을조사하기위하여선정된두지역 ( 해안면과방산면 ) 의 2년간온도와강수량을조사하였다. 2010년과 2011년도의월평균기온은 4월을제외하고 2010년도가약간높았으며두지역간온도차이는보이지않았다 (Fig. 2). 강수량의경우 2010년과 2011년도의월평균강수량은주로 6월, 7월, 8월에가장많게나타났으나두지역의강수량에서도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Fig. 3). Figure 1 에서와같이두지역간자연녹지도또한비슷한양상으로나타났으므로지역간환 경에따른곤충상차이변화는크지않을것이라판단되었다. 따라서두지역에서관찰되는곤충데이터를통합하여결과를산출하였다. 두지역에서채집된곤충은전부 11목 36과 44종이었다 (Table 1). 월별분포를보면, 6월에 30종으로가장많았고, 10월에 9종으로가장적은것으로조사되었다 (Table 2). 이는 7월과 8월은강수량에영향을받아곤충발생이낮았던것으로추측되며 (Anu et al., 2009), 곤충상은각곤충들의생활사를반영하는것으로생각되었다. 조사기간동안지속적으로발생관찰되는곤충을대상으로또한식해하고있거나식해흔적을중심으로곤달비에서해충으로서의발전가능성곤충을선정하였다. 해충으로써발전가능성곤충은메뚜기목 (Orthoptera), 매미목 (Homoptera), 총채벌레목 (Thysanoptera), 딱정벌레목 (Coleoptera), 나비목 (Lepidoptera) 에서 18과 25종으로추정되었다. 메뚜기목 (Orthoptera) 에서는 3과 5종, 매미목 (Homoptera) 에서는 2과 2종, 총채벌레목 (Thysanoptera) 에서는 1종딱정벌레목 (Coleoptera) 에서는 3과 5종이었으며, 나비목 (Lepidoptera) 에서는 9과 12종이었다. 그중에서, 곰취수염진딧물 (Aulacorthum ligularicola Lee),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큰각시들명나방 (Glyphoes quadrimaculalis (Bremer et Grey)), 미나리총채벌레 (Thrips nigropilosus Uzel), 차응애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와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 (Denis et Schiffermuller)) 이곰취에꾸준히피해를입히는해충으로조사되었는데, 특히곰취수염진딧물 (A. ligularicola) 과큰각시들명나방 (G. quadrimaculalis) 이곰취의수확량에영향을끼칠정도의피해를입히는해충으로조사되었다. 곰취수염진딧물 (A. ligularicola) 은 5월, 6월, 7월꾸준히발생하여주로곰취의잎뒷면에서흡즙하면서가해를하기때문에흡즙한잎이나줄기에서피해가나타나는반면에, 큰각시들명나방 (G. quadrimaculalis) 은줄기중심부를갉아먹으며줄기를말라죽게하며또한개화후꽃대를타고줄기를거쳐

양구곤달비재배하우스내의곤충상보고 41 Table 1. The list of insects collected in Ligularia stenocephala fields 잠자리목 (Odonata) 사마귀목 (Mantodea) 메뚜기목 (Orthoptera) 노린재목 (Hemiptera) 풀잠자리목 (Neuroptera) 총채벌레목 (Thysanoptera) 목 (Order) 과 (Family) 종 (Species) 딱정벌레목 (Coleoptera) 벌목 (Hymenoptera) 잠자리과 (Libellulidae) 사마귀과 (Mantidae) 모메뚜기과 (Tetrigidae) 좁쌀메뚜기과 (Tridactylidae) 메뚜기과 (Acrididae) 섬서구메뚜기과 (Pyrgomorphidae) 호리허리노린재과 (Alydidae) 진딧물과 (Aphididae) 매미충과 (Cicadellidae) 사마귀붙이과 (Mantispidae) 총채벌레과 (Thripidae) 딱정벌레과 (Carabidae) 하늘소과 (Cerambycidae) 바구미과 (Curculionidae) 방아벌레과 (Elateridae) 잎벌레과 (Chrysomelidae) 무당벌레과 (Coccinellidae) 병대벌레과 (Cantharidae) 거저리과 (Tenebrionidae) 구멍벌과 (Sphecidae) 꿀벌과 (Apidae) 밀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Uhler))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장삼모메뚜기 (Euparatettix insularis Bey-Bienko) 모메뚜기 (Tetrix japonica (Bolivar)) 좁쌀메뚜기 (Xya japonica (De Haan)) 팔공산밑들이메뚜기 (Anapodisma beybienkoi Rentz et Miller) 밑들이메뚜기 (Anapodisma miramae Dovnar-Zapolskii)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Motschulsky))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Thunberg)) 곰취수염진딧물 (Aulacorthum ligularicola Lee)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Linnaeus)) 애사마귀붙이 (Mantispa japonica MacLachlan) 미나리총채벌레 (Thrips nigropilosus Uzel) 멋쟁이딱정벌레 (Damaster jankowskii (Oberthur)) 긴알락꽃하늘소 (Leptura arcuata Panzer) 흰줄바구미 (Cleonus Japonicus Faust) 황토색방아벌레 (Agrypnus cordicollis (Candeze)) 고구마잎벌레 (Colasposoma dauricum Mannerheim) 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Fabricius)) 남생이잎벌레 (Cassida nebulosa Linnaeus) 십일점박이무당벌레 (Coccinella ainu Lewis) 서울병대벌레 (Cantharis soeulensis Pic)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Asiopodabrus fragiliformis (Kang & Kim)) 곰보거저리 (Gonocephalum recticolle Motschulsky) 홍다리조롱박벌 (Isodontia harmandi Perez) 양봉꿀벌 (Apis mellifera Linnaeus)

42 박승철 이민섭 유재홍 조세열 Table 1. The list of insects collected in Ligularia stenocephala fields(continued) 파리목 (Diptera) 나비목 (Lepidoptera) 목 (Order) 과 (Family) 종 (Species) 꽃등에과 (Syrphidae) 꽃파리과 (Anthomyiidae) 똥파리과 (Scathophagidae) 집파리과 (Muscidae) 각다귀과 (Tipulidae) 큰날개파리과 (Lauxaniidae) 흰나비과 (Pieridae)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네발나비과 (Nymphalidae) 불나방과 (Arctiidae) 명나방과 (Pyralidae) 집나방과 (Hyponomeutidae) 자나방과 (Geometridae) 잎말이나방과 (Tortricidae) 애기비단나방과 (Scythrididae) 밤나방과 (Noctuidae) 좀줄꽃등에 (Parasyrphus annulatus (Zetterstedt)) 썩이꽃파리 (Adia cinerella (Fallen)) 똥파리 (Scathophaga stercoraria (Linnaeus)) 집파리 (Musca domestica (Linnaeus)) 황나각다귀 (Nephrotoma cornicina (Linnaeus)) 검정큰날개파리 (Minettia longipennis (Fabricius))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innaeus)) 꼬리명주나비 (Sericinus montela Gray) 산네발나비 (Polygonia c-album (Linnaeus)) 배점무늬불나방 (Spilosoma lubricipeda (Linnaeus)) 큰각시들명나방 (Glyphodes quadrimaculalis (Bremer et Grey))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큰홍띠애기자나방 (Timandra dichela (Prout)) 오얏나무가지나방 (Angerona prunaria (Linnaeus)) 중국두줄가지나방 (Paraleptomiza bilinearia (Leech)) 얼룩회색잎말이나방 (Cnephasia cinereipalpana Razowski) 갈색잎말이나방 (Pandemis heparana (Denis et Schiffermuller)) 두점애기비단나방 (Scythris sinensis (Felder & Rogenhoger)) 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 (Denis et Schiffermuller)) Table 2. Monthly variation of insects collected in Ligularia stenocephala fields 해충 채집일 4월 4월 5월 5월 6월 6월 7월 7월 8월 8월 9월 9월 10 월 1-16- 1-16- 1-16- 1-16- 1-16- 1-16- 1-15 30 15 31 15 30 15 31 15 31 15 30 15 10 월 16-31 밀잠자리 사마귀 장삼모메뚜기 모메뚜기 좁쌀메뚜기

양구곤달비재배하우스내의곤충상보고 43 Table 2. Monthly variation of insects collected in Ligularia stenocephala fields(continued) 해충 채집일 4월 4월 5월 5월 6월 6월 7월 7월 8월 8월 9월 9월 10 월 1-16- 1-16- 1-16- 1-16- 1-16- 1-16- 1-15 30 15 31 15 30 15 31 15 31 15 30 15 10 월 16-31 팔공산밑들이메뚜기 밑들이메뚜기 섬서구메뚜기 곰취수염진딧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말매미충 애사마귀붙이 미나리총채벌레 멋쟁이딱정벌레 긴알락꽃하늘소 흰줄바구미황토색방아벌레고구마잎벌레 벼룩잎벌레 남생이잎벌레 이십일점박이무당벌레 서울병대벌레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곰보거저리 홍다리조롱박벌 양봉꿀벌 좀줄꽃등에 썩이꽃파리 검정큰날개파리 똥파리 집파리

44 박승철 이민섭 유재홍 조세열 Table 2. Monthly variation of insects collected in Ligularia stenocephala fields(continued) 해충 채집일 4월 4월 5월 5월 6월 6월 7월 7월 8월 8월 9월 9월 10 월 1-16- 1-16- 1-16- 1-16- 1-16- 1-16- 1-15 30 15 31 15 30 15 31 15 31 15 30 15 10 월 16-31 황나각다귀 배추흰나비 꼬리명주나비 산네발나비 배점무늬불나방 큰각시들명나방 배추좀나방 큰홍띠애기자나방 오얏나무가지나방 중국두줄가지나방 얼룩회색잎말이나방 갈색잎말이나방 두점애기비단나방 거세미나방 Fig. 4. Monthly variation of collected species number on sampling sites in 2010, 2011. 뿌리로내려가줄기뿌리를가해하므로다음해에뿌리에서부터의생장이억제시키며큰피해를주는종으로관찰되었다. 그외에배추좀나방 (P. xylostella), 미나리총채벌레 (T. nigropilosus), 차응애 (T. kanzawai), 거세미나방 (A. segetum ) 등은잠재적해충으로후에곤달비주요해충으로발전가능성이매우높은것으로판단된다. 주요채집된목의조사결과를토대로군집분석을실시한결과, 딱정벌레목 (Coleoptera) 은 6월, 매미목 (Homoptera) 은 8월, 나비목 (Lepidoptera) 은 6월에발생밀도가가장높았고, 메뚜기목 (Orthoptera) 은월에상관없이비교적고르게발생하였다. 가장피해가큰해충인곰취수염진딧물은 5월, 7월중순에발생밀도가가장높았고, 큰각시들명나방은 6월부터 8월까지높은발생밀도를보였다. 발생한종수와평균온도를비교해보면월평균기온이 20 에서 25 사이로나타났던 6월과 7월에각각 30종, 29종으로가장많은종이발생한것으로조사되었으며, 월평균기온이 10 정도로나타났던 10월에 9종으로조사되어종수가가장적게나타났다. 곤충의종수및개체수의월별변동상황은 6월에가장많았고, 종수와개체수모두 10월이가장적게나타났다 (Fig. 4). 따라서곰취수염진딧물의방제를위해서는 4월부터시작하여 7월까지꾸준한방제가필요하며큰각시들명나방

양구곤달비재배하우스내의곤충상보고 45 의경우 7월부터주의를요하는주요해충으로판단된다. 친환경농법에이용되고있는친환경해충방제재의경우고삼추출물 (matrine과 oxymatrine), 멀구슬나무추출물 (neemoil과 azadirachtin), 제충국추출물 (pyrethrin), 데리스추출물 (rotenone), 담배추출물 (nicotine), 그리고차나무추출물 (saponin) 유래물질이 80% 이상을차지한다 ( 농촌진흥청, 2009). 김 (2009) 등의보고에의하면진딧물의경우화학합성살충제의살충률에는미치지못하지만약 72% 정도의높은살충률을보이는고삼뿌리추출물 ( oxymatrine) 을주요성분으로하는친환경농자재선택이중요하다고보고하였다. 따라서곤달비의주요해충으로조사된곰취수염진딧물의경우고삼뿌리추출물 ( oxymatrine) 을주요성분으로하는친환경농자재선택이중요하다고판단된다. 나방류의경우주요식물추출불의방제가가약 50% 정도로미미하여큰각시들명나방경우주요식물추출물과생뮬농약인 Bt 약제로교대살포하여방제가를높이는방향으로방제계획이설정되어야될것으로판단된다. 감사의글 본논문은농촌진흥청의연구비 ( 과제번호 : PJ0066332011) 지원에의해수행되었습니다. 시료분석은강원대학교농업생명과학연구원의지원으로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Anu, A., Sabu, T. K., Vineesh, P. J. (2009) Seasonality of litter insects and relationship with rainfall in a wet evergreen forest in south Western Ghats. 10pp. Journal of Insect Science 9:46, available online: insectscience.org /9.46 Choi, E. M., Ding, Y., Nguyen, H. T., Park, S. H., Kim, Y. 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omchi (Ligularia fischeri) leaves. Food Sci. Biotechnol. 16:710-714. Korea Ministry of Enviroment (1989) http://203.250.99.48/moe/ Map/view.do. Richard, J. E. (2003) Fundamentals of Entomology sixth edition. Prentice Hall p.469. 권용정, 허은엽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Ⅱ.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p.25. 김삼규, 진준호, 임춘근, 허장현, 조세열 (2009) 주요해충에대한식물추출불의살충력평가. 농약과학회지. 13:165-170.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Ⅲ.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p.120. 김정환 (2004) 곤충관찰도감. 진선출판사. p.34. 김정환 (2008) 한국곤충기. 진선출판사. p.50. 남상호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Ⅴ.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p.33. 농촌진흥청 (2009) [http://www.rda.go.kr/organic.tdf?a=admin.organic.organicapp&c=2000]. 배연재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Ⅰ.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p.44. 이종욱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Ⅳ. 고려대학교부설한국곤충연구소. p.30. 진준호, 조세열 (2010) 유기재배및관행재배배추와고추밭의곤충상조사. 한국농약과학회지. 14:255-260. 한호연, 최득수 (2001) 꽃등에科. 농업과학기술원. p.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