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조사보고제 2017-03 집 홍성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1.
홍성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1.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박종화외 16인이의뢰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후실시된 홍성목현리산10번지일원지표조사국비지원용역 의결과물이다. 2. 수치지형도는 <1:25,000 갈산 (366073) 보령 (366111), 1:5,000 홍성 (36607083, 36607093)/ 세계측지계 /TM좌표계 /GRS80/ 중부원점 > 을수정ㆍ가공하여사용하였다. 3. 일제강점기지도는대치리 (170)) ㆍ홍성 (171) 을사용하였다. 4. 도면은방위, 유적명칭, 축척, 면적을제시하였다. 5. 도면의축척은캡션에표기하고해당도면안에축척자를표시하였다. 6. 동방문화재연구원은학술적또는공공의목적을위하여지표조사보고서를공개하는데동의한다.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과그주변환경 2 1. 자연ㆍ지리적환경 2 2. 고고ㆍ역사적배경 8 Ⅲ. 조사내용 20 1. 사전조사 20 1) 조사지역및주변의유형문화재 16 (1) 조사지역반경 300m 이내 22 (2) 조사지역반경 500m 이내 22 (3) 조사지역반경 1,000m 이내 22 (4) 조사지역반경 1,000m 이외 25 2) 조사지역및주변의무형문화재 35 (1) 민속 35 (2) 지명 36 2. 현장조사 39 Ⅳ. 종합고찰및조사기관의견 46 1. 종합고찰 46 2. 조사기관의견 48 - i -
도면목차 [ 도면 1] 홍성군의위치 2 [ 도면 2] 조사지역일대토양도 (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참조 ) 3 [ 도면 3] 조사지역일대지질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 편집 ) 3 [ 도면 4] 조사지역위치도 (S=1/50,000) 5 [ 도면 5] 조사지역위치도 (1919년제작, S=1/50,000) 6 [ 도면 6] 각종회화류고지도에표현된洪州牧 19 [ 도면 7] 조사지역및주변문화재분포도 (S=1/25,000) 21 [ 도면 8] 조사지역세부지형도 (S=1/3,000) 38 [ 도면 9] 지표조사를통해확인된유존지역및표본조사대상범위 (S=1/2,000) 45 표목차 [ 표 1] 홍성지역매장문화재발굴조사에서확인된유적의시대별현황 18 [ 표 2] 조사지역과주변의지정문화재현황표및조사기관의견 47 [ 표 3] 조사지역과주변문화재현황표및조사기관의견 47 사진목차 [ 위성사진 1] 조사지역위치 ( 출처 : NAVER) 7 [ 위성사진 2]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66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0 [ 위성사진 3]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77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0 [ 위성사진 4]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84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1 [ 위성사진 5]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96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1 [ 위성사진 6]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08년촬영, DAUM지도 ) 42 [ 위성사진 7]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1년촬영, DAUM지도 ) 42 [ 위성사진 8]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3년촬영, DAUM지도 ) 43 [ 위성사진 9]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5년촬영, DAUM지도 ) 43 [ 사진 1] 홍성옥암리구석기유적전경및출토유물 8 [ 사진 2] 홍성장척리 상정리유적-( 左 ) 신석기 청동기시대주거지중복양상, ( 右 ) 신석기시대 - ii -
주거지출토유물 9 [ 사진 3] 홍성남장리유적-( 左 ) 청동기시대 9호주거지, ( 右 ) 청동기시대 17호주거지 10 [ 사진 4] 홍성신진리유적청동기시대 1~6호주거지 10 [ 사진 5]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 B-1구역-( 左 ) 초기철기시대 11호주거지, ( 右 ) 초기철기시대주거지출토유물 11 [ 사진 6] 홍성석택리유적 A-2지구원삼국시대환호취락 12 [ 사진 7] 홍성석택리유적원삼국시대분구묘전경및출토유물 12 [ 사진 8] 홍성신경리자경동유적백제시대분구묘및출토유물 13 [ 사진 9] 석성산성건물지전경및출토명문와 14 [ 사진 10]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Ⅱ B-2구역고려시대 3호건물지전경 15 [ 사진 11]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Ⅱ 고려시대출토유물 15 [ 사진 12] 홍성오관리유적조선시대빙고전경 17 [ 사진 13]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전경 ( 문화재청 GIS 인트라넷시스템인용 ) 44 [ 사진 14]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 ( 문화재청 GIS 인트라넷시스템인용 ) 44 [ 사진 15] 조사지역일대항공사진 ( 남에서 ) 49 [ 사진 16] 조사지역일대항공사진 ( 서에서 ) 49 [ 사진 17] 조사지역전경 ( 위가동쪽 ) 50 [ 사진 18]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진전경 ( 남에서 ) 50 [ 사진 19]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항공사진 ( 남에서 ) 51 [ 사진 20]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전경 ( 남서에서 ) 51 [ 사진 21]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근경 ( 서에서 ) 52 [ 사진 22] 남사면능선부일대근경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서에서 ) 52 [ 사진 23] 남사면부일대근경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북에서 ) 53 [ 사진 24] 남사면부일대구석기시대뗀석기수습유물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 53 [ 사진 25] 남사면부일대조선시대수습유물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 54 [ 사진 26] 북서사면일대항공사진 ( 서에서 ) 54 [ 사진 27] 북서사면일대전경 ( 동에서 ) 55 [ 사진 28] 북서사면일대전경 ( 남동에서 ) 55 [ 사진 29] 북서사면발달된곡부세부 ( 북에서 ) 56 [ 사진 30] 북서사면말단부일대기반암노출세부 56 - iii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과그주변환경 1. 자연ㆍ지리적환경 1) [ 도면 1] 홍성군의위치 2) 2
[ 도면 2] 조사지역일대토양도 (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참조 ) [ 도면 3] 조사지역일대지질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 편집 ) 3
4
[ 도면 4] 조사지역위치도 (S=1/50,000) 5
[ 도면 5] 조사지역위치도 (1919 년제작, S=1/50,000) 6
[ 위성사진 1] 조사지역위치 ( 출처 : NAVER) 7
2. 고고ㆍ역사적배경 [ 사진 1] 홍성옥암리구석기유적전경및출토유물 8
[ 사진 2] 홍성장척리 상정리유적 -( 左 ) 신석기 청동기시대주거지중복양상, ( 右 ) 신석기시대주거지출토유물 9
[ 사진 3] 홍성남장리유적 -( 左 ) 청동기시대 9 호주거지, ( 右 ) 청동기시대 17 호주거지 [ 사진 4] 홍성신진리유적청동기시대 1~6 호주거지 10
[ 사진 5]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 B-1 구역 -( 左 ) 초기철기시대 11 호주거지, ( 右 ) 초기철기시대주거지출토유물 11
䢀 [ 사진 6] 홍성석택리유적 A-2 지구원삼국시대환호취락 [ 사진 7] 홍성석택리유적원삼국시대분구묘전경및출토유물 12
[ 사진 8] 홍성신경리자경동유적백제시대분구묘및출토유물 13
[ 사진 9] 석성산성건물지전경및출토명문와 14
[ 사진 10]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Ⅱ B-2구역 [ 사진 11] 홍성신경리ㆍ예산목리유적Ⅱ 고려시대 3호건물지전경고려시대출토유물 15
16
[ 사진 12] 홍성오관리유적조선시대빙고전경 17
[ 표 1] 홍성지역매장문화재발굴조사에서확인된유적의시대별현황 시대 유적명 구석기신석기청동기 초기철기 원삼국삼국통일신라 고려조선 참고문헌 1 신금성이강승외, 1996, 神衿城, 忠南大學校博物館 2 석성산성 3 장척리 상정리유적 4 옥암리구석기유적 5 오관리유적 6 송뤌리 학계리유적 7 홍주성내의병공원조성부지 1 차문화유적발굴조사 8 남장리유적 9 장하유적 10 지경리유적 11 벽계리유적 최규성외, 1998, 洪城石城山城, 詳明大學校博物館 박순발외, 2005, 洪城長尺里 湘井里遺蹟, 忠淸文化財硏究員. 박순발외, 2006, 洪城玉岩里舊石器遺蹟, 忠淸文化財硏究員. 박형순, 김진태, 2007, 홍성세광엔리치타워아파트신축부지내洪城五官里遺蹟, 忠淸文化財硏究員. 배상훈, 2007, 홍성송월리 학계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정해준외, 2009, 홍주읍성의병공원조성부지 1 차발굴조사보고서, 백제문화재연구원. 박유정, 2010, 홍성남장리유적, 忠淸文化財硏究員. 이훈외, 2010, 홍성장하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정해준외, 2010, 홍성지경리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김영국외, 2010, 홍성벽계리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12 13 홍성홍주성북문지 서문지 홍주성내의병공원조성부지 3 차문화유적발굴조사 김한상외, 2010, 洪城洪州城北門址 西門址,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김가영외, 2011, 홍주읍성의병공원조성부지 3 차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14 봉신리 대동리유적 이홍종외, 2012, 홍성봉신리 대동리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15 신경리자경동유적 오종길외, 2012, 洪城新耕里自耕洞遺蹟, 백제문화재연구원. 16 신진리유적 이훈외, 2013, 홍성신진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17 18 홍성신경리 예산목리유적 신곡리조선시대와요 이훈외, 2013, 홍성신경리 예산목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정태진외, 2013, 洪城新谷里朝鮮時代瓦窯, 嘉耕考古學硏究所. 19 동성리유적 20 석택리유적 이창호외, 2014, 홍성동성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박연서외, 2015, 홍성석택리유적,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1 홍성신경리 예산목리유적 Ⅱ 정제원외, 홍성신경리 예산목리유적 Ⅱ,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18
海東地圖 (18 세기중반 ) 地乘 (18 세기후반 ) 廣輿圖 (19 세기전반 ) 1872 年地方圖 (1872 년 ) [ 도면 6] 각종회화류고지도에표현된洪州牧 19
Ⅲ. 조사내용 1. 사전조사 61) 20
[ 도면 7] 조사지역및주변문화재분포도 (S=1/25,00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도면 8] 조사지역세부지형도 (S=1/3,000)
2. 현장조사 39
[ 위성사진 2]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66 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 위성사진 3]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77 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0
[ 위성사진 4]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84 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 위성사진 5]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1996 년촬영, 국토지리정보원제공 ) 41
[ 위성사진 6]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08 년촬영, DAUM 지도 ) [ 위성사진 7]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1 년촬영, DAUM 지도 ) 42
[ 위성사진 8]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3 년촬영, DAUM 지도 ) [ 위성사진 9] 조사지역일대의지형변화 (2015 년촬영, DAUM 지도 ) 43
[ 사진 13]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전경 ( 문화재청 GIS 인트라넷시스템인용 ) [ 사진 14]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 ( 문화재청 GIS 인트라넷시스템인용 ) 44
[ 도면 9] 지표조사를통해확인된유존지역및표본조사대상범위 (S=1/2,000) 45
Ⅳ. 종합고찰및조사기관의견 1. 종합고찰 46
[ 표 2] 조사지역과주변의지정문화재현황표및조사기관의견 연번유적이름행정구역 ( 주소 ) 유적성격지정번호조사기관의견비고 1 홍성지석묘 충청남도홍성군구항면태봉리 389 번지 고인돌 충청남도시도기념물제 28 호 영향없음 938m 이격 2 홍성신금성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금곡리 228-1 번지일원 성곽유적 충청남도시도기념물제 149 호 영향없음 1,642m 이격 3 홍성결성읍성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읍내리산 28-2 번지 성곽유적 충청남도시도기념물제 165 호 영향없음 1,809m 이격 4 결성동헌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읍내리 성곽유적 문화재자료제 306 호 영향없음 1,852m 이격 [ 표 3] 조사지역과주변문화재현황표및조사기관의견 조사기관 유적이름 행정구역 ( 주소 ) 유적성격 조사기관의견 이격거리 동방문화재연구원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 유물산포지 표본조사실시 조사지역내 300m 이내 공주대학교박물관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목현리대숫골 사지 표본조사실시 인접 공주대학교박물관 홍성목현리대숫골느티나무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목현리대숫골 노거수영향없음 214m 500m 이내 공주대학교박물관금곡리원천유물산포지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금곡리원천 유물산포지영향없음 524m 공주대학교박물관 홍성학산리내남패총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학산리내남 패총영향없음 819m 1,000m 이내 공주대학교박물관 공주대학교박물관 홍성금곡리원천고인돌1 홍성읍내리해창터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금곡리일원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해동 고인돌영향없음 886m 건물지영향없음 925m 공주대학교박물관 홍성읍내리유물산포지 충청남도홍성군결성면읍내리 유물산포지영향없음 955m 47
2. 조사기관의견 [ 표 4] 조사기관의견요약표 조사면적 사업시행면적 입회조사면적 발굴조사면적 보존면적 표본조사시굴조사정밀조사일부보존이전보존 20,438 m2 10,938 m2 9,500 m2 48
[ 사진 15] 조사지역일대항공사진 ( 남에서 ) [ 사진 16] 조사지역일대항공사진 ( 서에서 ) 49
[ 사진 17] 조사지역전경 ( 위가동쪽 ) [ 사진 18]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진전경 ( 남에서 ) 50
[ 사진 19]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항공사진 ( 남에서 ) [ 사진 20]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전경 ( 남서에서 ) 51
[ 사진 21]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근경 ( 서에서 ) [ 사진 22] 남사면능선부일대근경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서에서 ) 52
[ 사진 23] 남사면부일대근경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북에서 ) [ 사진 24] 남사면부일대구석기시대뗀석기수습유물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 53
[ 사진 25] 남사면부일대조선시대수습유물 (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내 ) [ 사진 26] 북서사면일대항공사진 ( 서에서 ) 54
[ 사진 27] 북서사면일대전경 ( 동에서 ) [ 사진 28] 북서사면일대전경 ( 남동에서 ) 55
[ 사진 29] 북서사면발달된곡부세부 ( 북에서 ) [ 사진 30] 북서사면말단부일대기반암노출세부 56
내용 지표조사 조사결과 사업명 사업지역 문화재지표조사결과서 홍성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조성 사업기간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목현리산 10, 381, 382-1 번지 2017 년 2 월 ~2018 년 5 월 면적전체사업면적 20,438m2사업목적태양광발전시설부지조성지표조사면적 20,438m2 사업시행자 조사기관 조사기간 조사비용 * 계약금액기준 주변문화재조사결과 기관명박종화외 16 인연락처 010-3862-1544 고고, 역사분야동방문화재연구원 책임조사원 이상복 조사원이하 정봉구박현경 민속분야 책임조사원 조사원이하 수중분야 ㆍ 책임조사원 조사원이하 고건축분야 책임조사원 조사원이하 자연문화재 책임조사원 조사원이하 고고ㆍ역사분야 2017. 1. 6. 2017. 1. 12. ( 사전조사 1 일, 현장조사 1 일, 정리및자료정리 2 일, 보고서작성및제출 3 일 ) 금 3,168,000 원 ( 세금포함 ) 민속분야 지정문화재홍성지석묘 ( 충청남도시도기념물제 28 호, 938m 이격 ) 비지정문화재 사업부지내문화재조사결과 지상문화재 매장문화재 건축물 민속자료 조사기관종합의견 기존신규기존신규기존신규기존신규 원 수중분야 원고건축분야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 ( 인접 ), 홍성목현리느티나무 (214m 이격 ), 금곡리원천유물산포지 (524m 이 격 ), 홍성학산리내남패총 (819m 이격 ), 홍성금곡리원천고인돌 1(886m 이격 ), 홍성읍내리해청 터 (925m 이격 ), 홍성읍내리유물산포지 (955m 이격 ) 홍성목현리대숫골사지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 현장조사결과, 조사지역의남쪽능선부와사면부일대는원지형이남아있었으며, 구석기 시대뗀석기와조선시대백자편등유물이수습되는바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 로명명하 였다. 이렇게명명된유존범위가운데조사지역내에포함되는부분 (9,500 m2 ) 에대하여는표 본조사를통해유적의존재여부를파악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한편, 북쪽의능선부와서 사면일대는큰곡부가형성되고지형의기복이심한상태였으며, 경작지조성으로인하여많 은부분형질변경이진행된상태였다. 따라서해당범위는매장문화재가존재할가능성이희박 할것으로추정되므로사업시행과관련하여공사를진행하여도무방할것으로판단된다. 지표조사의방법및절차등에관한규정별표 3 에따라문화재지표조사결과서를제출합니다. 2017 년 1 월 12 일 충청남도지사 홍성군수귀하 재단법인동방문화재연구원장 ( 인 ) 원
문화재지표조사결과표 1 연번 2 문화재명 3 소재지 4 면적 5 시대 6 종류 7 유적구분 기존 신규 8 의견구분 9 조사면적 조사의견 10 사유 11 비고 1 홍성목현리유물산포지 충청남도홍성군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 18,183 구석기 ~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표본조사 9,500 후대조경수의식재로인하여일부분삭평되었으나원지형이남아있고, 구석기시대뗀석기와조선시대백자편, 옹기편이수습되었음.
( 재 ) 동방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