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0CEB5B5C3B6C7D0C0CCBEDFB1E22839BFF C0CF292E687770>

Similar documents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국어1권표지

1수준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표1

우루과이 내지-1

세계 비지니스 정보

세계 비지니스 정보

- 4 -

[96_RE11]LMOs(......).HWP

슬라이드 1

* pb61۲õðÀÚÀ̳ʸ

<C0CEB5B520BBE7BBF3C0C720BBE7BBF62E687770>




CONTENTS.HWP

INDUS-8.HWP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Y Z X Y Z X () () 1. 3


00-1표지

웰빙요가 [2011-1] 제3주 요가의종류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토론, 과제, 퀴즈등)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1. 하타요가 (Haṭha-yoga, 강력한힘의길) 요가의수행법은인도의모든종교나철학에서거론되며각학파마다각기다른수행법을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이름은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내지-교회에관한교리

<B1B9BEEE41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israel-내지-1-4

Microsoft PowerPoint - kandroid_for_HI-CNU.ppt

120~151역사지도서3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7단원 1(252~269)교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DocHdl2OnPREPRESStmpTarget

*통신1604_01-도비라및목차1~12

152*220

70 diklasifikan berdasarkan perubahan letak dan perubahan cara pelafalan kemudian dianalisis penyebabnya. Berikut adalah variasi cara ucap konsonan ya

À̶õ°³È²³»Áö.PD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중등용1)1~27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국듣-해설(001~69p)


ok.

?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02-출판과-완성

통신1310_01-도비라및목차1~9

, /...24, / FERPA...40 FERPA (, )

i

<28C6EDC1FD29B0A1C0BBC8A35FBBF5B1B9BEEEBBFDC8B FB9D9C5C1C3DFB0A15FC7A5BCF6C1A45F F335FC3D6C1BE2E687770>

02.박효엽_ip32.hwp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쌍백합23호3


Getting Started

178È£pdf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2002report hwp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æÁ¦Àü¸Á-µ¼º¸.PDF

방송통신표준 KCS.KO 제정일 : 2011 년 6 월 27 일 전화기한글문자자판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10월추천dvd


02...~29.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도에서는 고려 말에 주자학을 받아들인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인 정책을 통해 민간에까지 보급되면서 주자 성리학의 심 화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1) 조선시대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TutorialOnHowToUseTheKoreanRomanizationAndWordDivision(BasicGuide)_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나하나로 5호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5 291

A 목차

Transcription:

들어가는말 인간은사회적동물이다. 사회생활을통하여밀려오는수많은일들이우리앞에펼쳐지곤한다. 이와같이인도철학이우리에게주는메시지는올바른삶의바탕위에서우리인간의정신적자유라는열반을지향하는것을권고하고있다. 이러한내용은베다사상, 우빠니샤드사상, 인도종교문학이라고할수있는신화와서사시들속에서지속적으로우리인간이참다운삶과인생을어떻게살아야하는가를시사하고있다. 바로이것이인도인들이살아가는방식중의하나라고생각한다. 이와같이인도철학은철학과종교를아우르는생활철학이고, 쑤뜨라경전을주석하여보통사람들에게알기쉽게해설한주석철학이라일컫는다. 세상에가득한고통과괴로움을이상적이고고아한세계를향한유토피아를얻기위하여무지와무명을극복하고자피나는고행과올바른행위를꾸준히실천하는성자들이지금도인도곳곳에있다. 인도는아대륙으로그면적은한반도의 16배에해당한다. 인도의기후는다양하다. 인도북부지역은히말라야산맥이가까워 9월중순무렵부터춥고눈이내린다. 인도중부의데칸고원의고지대에위치한지역은 1년내내춥지도덥지도않다. 그밖의지역은뜨거운여름, 몬순기후, 무더운여름, 신선한여름, 영상의겨울과봄이있다. 이것은제가체험한것을토대로한제나름의인도기후이다. 아쌈지역과인도남부일부지역을제외하고, 몬순철에만억수와같은소나기가매일같이쏟아진다. 그래서물이부족하여식수를지하수로해결한다. 이런자연환경하의고대생활은능히짐작이가능할것이다. 악조건의환경속에서배태한철학, 바로인도만의고유한사상이수많은성자를통하여산출된것이다. 인도는신비의나라, 신들의나라, 더운나라, 요가의나라, 종교의 들어가는말 / i

나라등의닉네임이많다. 우주에대한힌두관념은본질적으로순환주기라고말한다. 우주의시작이나종말은믿고있지는않으나창조, 유지와파괴가반복되는끝없는과정을순환한다고주장한다. 이세계는브라흐마조물주에의해창조되었고, 어느기간이지난후에파괴될것이고, 똑같은운명을겪게될또다른세계로대체된다는것이다. 세계주기를 4주기로구분하는데, 이들은싸땨시대, 뜨레따시대, 드와빠라시대와깔리시대이다. 싸땨시대는힌두교도들의황금시대로, 그들은이시대의모든인간이평등하고, 선량하다는것을믿고있다. 뜨레따시대에는악이처음으로등장한다. 드와빠라시대에는선악이똑같이강하고, 최고를위해분투한다. 마지막깔리시대에는악이선을압도하는세계여서현세에사는이들이충돌하고, 초조해하고, 고통이가득한암담한시대에살게된다. 이것은힌두신화에불과한것이기는하나우리들에게경종을주어올바르고바르게살아야함을전해주는메시지라는느낌이든다. 음역한어휘하나하나가다르다고생각하시는독자에게이해를구하기위하여힌디어의고전어인싼스끄리뜨의음운에대한간단한소개와인도인들이발음한음에가깝게하려는것임을알린다. 싼스끄리뜨어는소리문자이고, 한글처럼모음과자음으로구성되어있다. 싼스끄리뜨문자를로마자로표음하여표기한것을한글로어떻게음역했는가를모음과자음의음역도표를다음과같이제시한다. 1. 모음의음역 a 아 ā 아- i 이 ī 이- u 우 ū 우- ri 리 e 에 ai 애 o 오 au 아우 모음의경우에 아 -, 이 - 와우 - 는각각아, 이와우로음역하였다. ii / 인도철학이야기

2. 자음의음역 k ㄲ kh ㅋ g ㄱ gh ㄱ ṅ ㅇ c ㅉ ch ㅊ j ㅈ jh ㅈ ñ 냐 ṭ ㄸ. th ㅌ. ḍ ㄷ. ḍh ㄷ. ṇ ㄴ. t ㄸ th ㅌ d ㄷ dh ㄷ n ㄴ p ㅃ ph ㅍ b ㅂ bh ㅂ m ㅁ y 여 r ㄹ l ㄹ v 와 /q ś ㅅ ṣ ㅅ s ㅆ h ㅎ 자음의경우는입모양에따라여린입천장, 센입천장, 이, 입술의순서로되어있고, 그다음으로중성모음과마찰음으로나열되어있다. 한글에없는자음은권설음과유성유기음이다. 권설음은일반적으로치음과동일하게한글로음역하였고, 유성유기음은 gh, jh, ḍh, dh, bh 음이다. 이들음은각각 ㄱㅎ, ㅈㅎ, ㄷ. ㅎ, ㄷㅎ, ㅂㅎ 을동시에발음해야하는데, 유성음이면서기음을단자음으로발음해야한다. 그런데한국인은 ㄱ, ㅈ, ㄷ, ㅂ 음을초성으로발음하는경우에보통유성유기음으로발음한다. 따라서 ㄱㅎ, ㅈㅎ, ㄷ. ㅎ, ㄷㅎ, ㅂㅎ 음을 ㄱ, ㅈ, ㄷ, ㅂ 음으로음역하여도괜찮을것으로생각하였다. 흥미로운것은한글이연구개음 ㄱ 에서시작하여성문음 ㅎ 음으로끝나는한국어의알파벳이싼스끄리뜨와힌디에서도연구개에서시작하여성문음으로끝난다는점이다. 예를들면, dharma 를드하르마가아니라 다르마 로, Upanishad 를우파니샤드가아닌 우빠니샤드 로음역하였다. Karma 를 카르마 가아니라 까르마 로음역해야한다. 이는인도인들발음에가깝게음역하는것이낫다고여기고, 이를고집하여음역하였음을양지하여줄것으로믿는다. 지금은인도가신비의국가로서의허물을서서히벗어던지고있다. 인도에대한방송다큐가스크린을통해흘러나오는것을보노라면, 여행하던기억이나기도하지만인도만의고유한풍치와사유가낱낱이벗겨지면서친숙한인도의면면을볼수있게된다. 한국인은이미불교사상을매개로인도사상에젖어있었다. 인도를방문하게 들어가는말 / iii

되면, 처음에는어색하지만, 시간이지나면서인도라는풍토에익숙해진다. 이것은인도사상에대하여우리자신도모르게젖어있는까닭이다. 이책을시작할때, 누구나쉽게접근할수있도록해야한다고생각했다. 그런데글재주가없어오히려읽는이에게폐를끼쳐드리는것이아닌가하는걱정이앞선다. 이책을통하여인도인들의사고방식과생활철학을이해하는데조금이나마보탬이됐으면한다. 그리고이책의산고에도움을주신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에감사의말씀을드린다. 2010년 9월분당의아름마을에서서행정 iv / 인도철학이야기

목차 들어가는말 /i I. 인도철학에대하여 /1 1. 인도철학의발전과정 4 2. 인도사상의 2대분파 7 II. 베다철학 /11 1. 리그베다 14 2. 무유아가 ( 리그베다 10장129절 ) 16 3. 베다의생활양식 21 1) 삶의과정 22 2) 삶의목표 23 3) 캐스트 24 III. 서사시의사상 /29 1. 뚤씨다쓰의람짜리따마나쓰 30 1) 까르마 ( 행위및업 ) 33 2) 지식 ( 갸나 ) 34 3) 신애 36 4) 뚤씨다스의철학사상 42 2. 바가와드기따 47 1) 기따의가르침 48 2) 기따의인식론 57 3) 기따의신관 66 목차 /v

IV. 우빠니샤드의철학 /71 1. 14가지우빠니샤드 73 2. 신비지식의전수 75 3. 우빠니샤드의윤리 78 4. 우빠니샤드의심리 81 V. 인도철학의중요한개념 /84 1. 브라흐만 84 1) 절대적브라흐만 86 2) 속성브라흐만 88 3) 유 ( 有 ), 지 ( 知 ), 희 ( 喜 ) 로서의브라흐만 89 2. 아뜨만 (Ātman) 91 1) 자아 91 2) 자아의양상 94 3. 마야 (Māyā) 96 4. 목샤 (Mokṣa) 98 5. 다르마 (dharma) 99 6. 삼덕 (triguṇa) 102 7. 까르마 (Karma) 104 8. 거룩한음성오움 (Aum) 106 VI. 고전 6파철학 / 109 1. 쌍캬철학 109 1) 쌍캬철학의개요 110 2) 쌍캬의이원론 113 3) 쌍캬의진화론 122 4) 쌍캬의해탈 129 5) 쌍캬철학의문제 131 vi / 인도철학이야기

2. 요가철학 135 1) 요가의기원 137 2) 라자요가 (Rāja-yoga) 150 3) 요가의심리와윤리 152 4) 신에대한요가 158 3. 니야야 (Nyāya) 철학 160 1) 니야야인식론 161 2) 니야야의형이상학 168 4. 바이셰시까 (Vaiśeṣika) 철학 173 1) 바이셰시까의범주 (Padārtha) 174 2) 바이셰시까의원자론 185 3) 불가견력 ( 不可見力 ) 과열반 188 4) 바이셰시까의비판 191 5. 미맘싸 (Mīmāṁsā) 철학 194 1) 미맘싸철학의인식론 195 2) 미맘싸의형이상학적사유 207 6. 베단따철학 214 1) 베단따철학의배경 215 2) 베단따철학의발전 217 3) 베단따경전의형이상학 223 4) 베단따학파의사상 232 7. 샹까라의불이일원론 237 1) 샹까라의인식론 238 2) 아드바이따의형이상학 242 3) 샹까라의해탈론 263 8. 라마누자의한정불이론 267 1) 샹까라와라마누자의신 268 2) 한정불이론의형이상학 278 3) 라마누자의윤리 285 4) 비판적시각 288 목차 /vii

VII. 인도종교 /291 1. 힌두교 291 1) 브라흐마 (Brahmā) 297 2) 비쉬누 301 2. 자이나교 316 1) 자이나교의인식론 317 2) 자이나교의형이상학 325 3) 자이나교의윤리 334 3. 불교 337 1) 부처의생애와가르침 339 2) 석가모니의교설 340 3) 불교의윤리 343 4) 불교의쇠퇴와밀교 345 4. 인도의이슬람에대하여 347 5. 씨크교 357 6. 짜르와까학파즉, 순세파 360 참고문헌 /365 viii / 인도철학이야기

Ⅰ 인도철학에대하여 인도인들은흔히인도철학을다르샨이라고부른다. 이말은견 ( 見 ) 의의미를갖고있는데철학적으로지견즉, 지고한지식을향한인도적성향인것이다. 그것은그어떤것이보여진다는뜻에서내면적이고외면적시각의형이상학적의미로확대할수있다. 이와같이인도철학은인간을형이상학적으로추구하는지적이고정신적인결실을가져다주게하는역할을하고, 그역할로서보편성과포용성이있고, 민주적이고관용적시각을갖고있다. 인도철학의특징적시각은철학과생활이깊은관계가있다는믿음이다. 생활에철학을실천적으로응용하려는자세가인도사상의모든학파에서발견된다. 과학의발전과함께물질적풍요가뒤따르면서철학적사색을가능하게했다고한다면, 인도철학은단순하게지적인사용도구로사용되지는않았다. 이론과실제, 교리와생활이상호간에밀접한관계가언제나인도철학사상에서뚜렷하게드러나있었다. 인도철학은학문적 지식을위한지식 으로서가아니라인간을자유롭게하는진리를가르치기위하여진리를탐구하는체계이다. 소위이것은현대적의미의실용주의적방법은아니다. 그것은진리가실제적인것의말로측정된다는견해가아니라오히려진리가실제에대한완전한안내이고, 진리만이해탈을지양하는인간의안내자로서의효력을지닌다고바라보고있다. 그것은세계와인생에관한체계로서종교와밀접하고, 지적인탐구도어리석음으로부터벗어나서정신적자유를목적으로한다. 베다에나타난대우주와소우주의관계를인격적의미로설명하고있다. 여기에서고대인도인들은두가지의문을제시한것으로보인다. 그하나는 유일한실체의본질은무엇인가? 에대하여세계형성의이면에최상의힘에대한사색할대상이있다는답변이나오게된 Ⅰ. 인도철학에대하여 / 1

다. 더나아가서내면적인간에대한관심에서 나는누구인가? 나는무엇인가? 나는어디에서왔는가? 나의운명은무엇인가? 라는의문에서자아분석, 자기반성적정신이외적인힘에대한사색의가치를추구하게된다. 이러한의문들에대한해결을구하려고고행이나사색을한것이다. 범아의개념에대한난해한형이상학적의미가우빠니샤드에서중요한주제로다루어진다. 그것은점진적으로인간성을설명하면서인간실재의공통적운명에대한지식뿐만아니라우주에서자기위치를인식하게해준다. 우주의절대적힘은감각을통해서알수없는힘이고, 그것이바로초월자요유일자라는것을인도인들은터득한것이다. 그들은이초월자를 네띠네띠 ( 아니다아니다 ) 라는부정어로표현한것이다. 인도사상의학파들은그창시자에의한것이아니라비인격적인베다의경전에서유래한것이다. 신들에대하여논하면서도궁극적으로그것은인간의철학이고인간을위한철학을다루고있다. 인간의실질적삶의문제로부터시작되고인간존재의삶의문제를해결하기위한진리를탐구한것이다. 그것은자각즉, 궁극적목적으로서브라흐만과같은자아를깨닫도록가르쳐준다. 인간을해방시키는것은신에의존하기보다는오히려직접적으로자기자신의노력에달려있다는것이다. 까르마의법이영원히지속되기때문에, 실존적존재의현상으로재생할결과자체도인간스스로어떻게행동하느냐에따른것이다. 이를위한해탈에이르는방법들을우리들인간에게인도철학은제시해주고있다. 그것은재생의냉혹한순환으로부터벗어나는것이고, 그것을바라는암시가여기에숨겨져있다. 자각에이르는방도로서제식, 신앙과지혜라는길을제시한다. 인도철학은인도안에서발생하고발전하여토착적종교철학으로자리잡고, 확립된사유이다. 그것은형이상학적논리의전개로끝나지않고인생의근원적욕구를종교적실천방법을통하여해결해가는아주일상적이면서생활화된철학이다. 앞에서간략하게살펴보았듯이다른철학체계와달리인간의모든문제를있는그대로인정하 2 / 인도철학이야기

고어렵고힘든현존의상태를더나은존재로나아가게하는것을찾아꾸준히연구하고발전시켜온것이다. 일반적으로베다사상에서우빠니샤드사상의원류와 6파철학이있다. 여기에바탕을둔종교가곧힌두교이다. 반대로혁신적종교를일으켜서인간의불평등에대한반발로나타난종교가불교와자이나교가대표적인주자들이다. 9세기무렵부터이슬람의지속적인침입과약탈이시작되다가 15 세기에무갈제국의탄생을낳은것이다. 이들이슬람은인도에들어와약탈로끝내지않고, 사원들의파괴를그들나름대로의신앙으로간주했던것이다. 한때는아쇼카대왕이불교부흥에박차를가하여다르마사상의보급을위하여아쇼카탑을전국에세워서백성들에게불교의법문을전달하고가르쳤던것이다. 하지만그것은힌두교의전폭적인호응을받지못하였다. 불교에대한힌두교도의무관심으로이슬람이인도에입성한후불교의모든유물과유적들이철저하게파괴된것이다. 인도북부지역의불교유적지에가보면온전한유물들을찾아보기힘들다. 불교는인도내에서의발전을더이상하지못하고밖으로나가오히려세계적인종교로부상한것이다. 불교와자이나교는힌두교의개혁종교로출발했으나인도내에서큰호응을얻지는못했다. 하지만자이나교는살아남았고, 제인이라는성의상인계급의신자들이많다. 힌두교는불교와자이나교및이슬람의도전에자극을받아서인도사상의발전에적극적으로대처한것이다. 이것이오늘의인도철학으로발전한것이다. 원의범교수는인도철학의성격을 5가지로분류하여잘설명하고있다. 첫째로인도사상에서는종교이론이철학이고, 철학의실천이종교이다. 철학적이론이없는종교는결국공리공론에불과하다. 이와같이인도철학과종교는일치한다. 둘째로인도사상은일상적인생활과밀접한연관성이많다. 이것은인도논리학이일상적이고직감적이며실증적이라는사실에서그특징을찾을수가있다. 셋째로인도철학은종교와관련이있어서철학만하기위한철학이아니라종교적해탈을구하는방법의하나로서의철학이다. 통상적인철학의성격과달리의심할여지없이존재하는 고 를있는그대로받아들이 Ⅰ. 인도철학에대하여 / 3

고그것을더나은존재인이상적존재로개조할수있다는믿음을갖고있다. 이상적인존재에필요한것이법 ( 다르마 ) 의실천이다. 성자나깨달은이들이말한것을문자화한성전에다르마가기록되어있다. 이함축된말을알기쉽게풀어서설명한주석이인도철학이라할수있다. 넷째로어느학파나종교단체를막론하고그들이주장하는학설이나교리의실천이있는데그것이곧명상적방법을공통적으로내세우고있다. 진리를탐구하고실천하는방법으로명상을요구한다. 즉인도철학은명상하는것이라할수가있다. 다섯째로인도철학에서는종교적절대자의성격이타종교에비하여합법적내지는합리적인성격이짙다. 인도교나불교의절대자는법을만들어놓고절대자자신도그법의지배를받는성격이있다. 이와같이이상적으로는인도철학은해탈과법을신앙하고, 현실적으로는실질생활에서실리와기쁨을추구하고있다. 윤회로부터벗어나영원한참자아를자각하고실현하고자한것이다. 이것은간략하면서도함축적으로인도철학의의미를잘설명해준것이다. 1. 인도철학의발전과정 다음은인도철학의발전과정을두분의책자에서뽑아서소개한것이니이를참조하여인도사상사적의미를음미하고, 인도사상의변천과정을한눈에볼수있는좋은기회라고간주하고, 인도특유의사유가어떻게현재까지내려왔는가를살펴보기로한다. 1) 원의범교수의시대구분을여기에소개한다. 이는인도철학의시대적특성에알맞은시대를 10단계로구분하고있다. (1) 리그베다의종교와철학사상 : 그이전부터 BC 1000년까지성립된것으로보고있다. 리그베다의종교는다신교적범신론적이면서단일신교, 교체신교와유일신교적성격이있다. (2) 브라흐만교 (Brahmanism) 의성립 : BC 1000~800년브라흐마나 4 / 인도철학이야기

(Brāhmaṇa) 와우빠니샤드 (Upanishad) 의종교와철학이성립된시기이다. 전자는베다의해설집이고, 후자는 AD 200년까지완성된것으로사료되고있다. 그것은인도철학을체계적으로확립했던원전들로구성되어있다. (3) 육사외도와원시불교 : BC 600~500년사이에발생한비전통적철학파와불교사상이이시기에속한다. 육사외도는극단적유물론의쾌락주의 ( 순세파 ), 기계론적유물론, 극단의윤리적회의론, 극단적필연론, 불가지론와윤리적엄숙주의 ( 자이나교 ) 등이다. 사성제와팔정도등을기본교리로하고있는불교가있다. (4) 힌두교의시작 : BC 300~AD 200년아쇼까대왕 ( 약 BC 268~232 년 ) 시대에부파불교인소승의부흥에대항하기위하여브라흐만교가토속신앙들을수용하여인도적특성을갖춘힌두교가시작된것이다. 힌두교는불교까지도포함시키고있다. 이시기에마우리야왕조의제상까우띨야의실리론, 마힌다왕자의쓰리랑까파견, 마하바라따와라마야나의대서사시등이산출된것이다. (5) 꾸샤나제국시대의사상 : AD100~200년까니시까왕 (AD 129~152년경 ) 을전후한사상들을말한다. 힌두교의팽창에자극을받은부파불교가대승불교로싹튼시기이다. 마누법전도이시기에나온다. (6) 중세의여러학파들의확립 : AD 3세기에서 5세기사이가인도철학사상이절정에이른시기이다. 육파철학과대승불교가확립된것이다. (7) 이슬람이인도에침입하기전에일어난여러학파들의분립 : AD 6세기에서 10세기까지육파철학의바이셰시까, 미맘싸, 니야야등의주석서들이나왔고, 그주석하는방식에따라학파들이분립한시기이다. 우빠니샤드의주석들도배출되었고, 불교의유식사상의영향을받은샹가라 (700~750) 의세계의가현설과불이일원론, 힌두교의쉬바교과비쉬누교, 밀교등이이시기에산출된것이다. Ⅰ. 인도철학에대하여 / 5

(8) 11세기에이슬람의인도북부통일 (1206~1290) 과무갈제국시대 (1526~1858) 에나타난사상들의변천 ; 인도종교철학의학파들은외세에대한반항적정신에공동체적운명을같이했다. 불교가쇠퇴한시기이기도하며, 베단따의라마누자 (1016~1091) 의한정불이론과마드바의이원론, 이슬람의쑤피사상, 라마난다의신애운동, 까비르 (1440~1518) 의종교적생활화와합리성, 나나끄 (1469~1538) 의씨크교도이시기에속한다. (9) 영국세력하의근대사상운동 ; 인도독립운동정신의일환으로서인도국민의회 (1885) 가시작되었고, 람모한로이 (1772~1833) 등의근대사상가들의사회개혁운동등이많이출현한것이다. 마하뜨마간디 (1869~1948: 진리파지와불살생 ), 타골 (1861~1950: 자연주의적계몽주의 ) 등의인도사상가들은개혁운동과인도독립운동이일어났다. (10) 인도독립이후의현대인도의철학사상은 1945년이후부터현재까지로서네루와라다끄뤼쉬난등이있다. 2) 길희성님의기준으로 4단계로분류하여보면, 다음과같다. (1) 인도철학의형성기는 BC 1500에서 200년까지이다. 이시기에베다가형성되었고, 인도고대문화의총집합체라할수있는대서사시인마하바라따와라마야나가 BC 5 내지는 2세기에형성된것이다. 한편베다경전과브라흐만계급의권위를위협하는불교와자이나교가나타났다. 특히마우리야왕조의아쇼까대왕 (BC 269~232) 이불교에귀의하여불교를전파하는데커다란기여를했다. (2) 인도철학체계의발전기는 BC 200년에서 AD 1000년까지이다. 불멸후에나타난불타교리의이해갈등은철학적으로심화되고다양화된 20여개의부파불교가대립하게되었다. 대표적인부파불교는상좌부와설일체유부가있었다. 불교의적극적활동에자극을크게받았던브라흐만교가다양한사상을배출하면서각각독립된철학체계로발전한시기이다. 정통적인 6 / 인도철학이야기

육파철학경전들에대한주석서들이나왔고, 이들에대한주석서를다시알기쉽게해석한주석서들이많았다. 인도철학이이시기에크게발전한것이다. (3) 11세기에서 18세기초까지인도가이방종교인무슬림의잦은침공을받았고, 결국에는무슬림의정치적지배를오랫동안받았다. 무슬림의침입으로불교의입지가약화되었으나아시아여러국가에전래되어세계적인종교로발전했다. 브라흐만교는인도의여러종족의종교와관습을수용하고조화시켜서현재의힌두교가된것이다. 이것은포괄적이고관용적성격이짙은인도특유의전통적이고대중적종교가된것이다. 육파철학의각학파들이입문서내지는개론서등의책자들이계속나오기는했으나인도철학이더이상발전하지못한것이다. (4) 18세기부터영국의식민통치로부터현재에이르는기간을제4 기로잡고있다. 영국이식민통치에필요한언어소통을위하여영어교육을장려한것이인도지식인들에게서구문명과문화를접할수있는기회를준것이다. 인도인들이그들자신의문화전통을새롭게발견한다. 그들은인도전통사상을연구하여세계에소개하는운동도게을리하지않았다. 간디와타골등의수많은사상가를낳았고, 세계적인인물을배출한인도는힌두교의악습등을개혁하는혁신운동도이시기에많이일어났다. 2. 인도사상의 2 대분파 인도철학체계형성에크게기여한근원은역시베다경전이다. 베다경전의전통은두가지측면에서들여다볼수가있는데, 하나는형이상학적지식을지향하는방법이있고, 다른하나는제사를중시하는방도로서의행위의방법이있다. 브라흐마나경전은행위방법을 Ⅰ. 인도철학에대하여 / 7

참고문헌 A. Berridale Keitj, Religion and Philosophy of The Veda A. D. Vallooran, In Search of Hinduism, Vendrame Institute Shilong, delhi, 1988 A. K. Warder, Outline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asidas. Delhi. A. Kumar Mazumdar, Early Hindu India, Cosmo, New delhi Acharya V. P. Limaye, Eighteen Principle Upaniṣds, Vaidika Saṁśodhana Maṇḍala, Poona Adhyātma Rāmāyaṇa, Gītāpress, Gorakhpur, India Amal Dhari Singh, Kālidāsa A Critical Study, Bharatiyar Vidya Prakashan, Delhi Archibald Edward Gough(Tr.), The Vaiśeshika Aphorisms of Kanada, Oriental Books(Reprint), New Delhi Arthur Berriedale Keith, Indian Logic and Atomism, Oxford University Press, New Delhi B. G. Gokhale, Indian Thought Through The Ages Banerjee, Rāma in Indian Literature Art & Thought, Sundeepn Prakashan, Delhi Bangali Baba, Yogasūtra of Patañjal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Delhi Benjamin Khan, The Concept Of Dharma in Vālmīki Rāmāyaṇa Benjamin Walker, Hindu World, Vol. 1~2, Munshiram Manoharlal, New Delhi Biswanarayan Shastri, Mimāṁsa Philosophy and Kumārila Bhatta Brahma-Sūtras, With Text, English Rendering, Comments According to Śrī Bhāṣya of Śrī Rāmānuja, Advaita Sshrama 참고문헌 / 365

Chandradhar Sharma,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asidass, Delhi Chandradhar Sharma,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Delhi D. Chattopadhyaya, Studies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D. P. Sheridan, The Advaitic Theism of The Bhāgavata Purāṇa, Motilal Banarasdass, Delhi Dasgupta,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asidass, New Delhi Edited by K. R. Srinivasa Iyengar, Asian Variation in Ramayana. Sahitya Akademi Editor Asit K. Banergee, The Ramayana in Eastern India, Asoke Ray, Prajñā, Calcutta) F. Max Muller, The Six Systems of Indian Philosophy, Associated Publishing House, New Delhi F. Whaling, The Rise of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Rāma, Motilal Banarasidass, Delhi Father Kāmil Bulke, Rāma Kathā, Hindi Prakāshan, Prayāga University Frank Whaling, The Rise of Religious Significance of Rāma, Motilal banarasidass, Delhi G. W. Kaveeshwar, The Ethics of the Gītā, Motilal Banarsidass Greg Bailey, The Mythology of Brahmā, Oxford University Press, Bombay H. V. Divatia, The Art of Life Bhagavad-Gita, Bhavan's Book University J. Gonda, Vishinuism and Shaivism, Munshiram Manoharlal, New Delhi J. N. Farquhar, The Crown of Hinduism, Oriental Books Reprint corporation, New Delhi K. Satchidananda Murty. Philosophy in India. Motilal banarasidass. New Delhi. Kautilya, Arthaśāstra, Chowkhamba Vidyabhavan, Varanasi 366 / 인도철학이야기

인도철학이야기 초판인쇄 2010년 9월 20일초판발행 2010년 9월 30일저자 서행정펴낸이 박철펴낸곳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30-791 서울특별시동대문구이문동 270 전화 02)2173-2495, 2496 팩스 02)2173-3363 홈페이지 http://press.hufs.ac.kr 전자우편 press@hufs.ac.kr 출판등록 제6-6호 (1969. 4. 30) 편집 디자인 ( 주 ) 이환디앤비 02)2254-4301 인쇄 제본 ( 주 ) 동국문화 02)718-5011 ISBN 978-89-7464-622-6 93150 정가 16,000 원 * 잘못된책은교환하여드립니다. 불법복사는지적재산을훔치는범죄행위입니다. 저작권법제 136 조 ( 권리의침해죄 ) 에따라위반자는 5 년이하의징역또는 5 천만원이하의벌금에처하거나이를병과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