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장다형종과종이하분류범주
9 장다형종과종이하분류범주 Ⅰ. 다형종 Ⅱ.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Ⅲ. 개체군내의변이 Ⅳ. 집단유전학 Ⅴ. 신분류학
I. 다형종 (polytypic species) 다형종 (polytypic species) 넓은분포구역을가지며 2 개이상의아종 (subspecies) 을가지는종단형종 (monotypic species) 이러한아종을갖고있지않은종 단형종으로기재되었던많은종들이다형종의아종이라밝혀짐 ex) 조류 1910 년까지 19,000 종이기록 1946 년마이어가다형종의개념을적용, 8,600 종으로정리 다형종의빈도는분류군마다다르다. 척추동물, 나비, 조류등에서는 40-80% 가다형종 숙주특이성 (host specificity) 을갖는곤충 (insect): 다형종형성이어려움 동포종 (sibling species): 다형종이드물거나없다.
I. 다형종 (polytypic species)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아종관계 Turdus naumanni naumanni 노랑지빠귀 출처 : Encyber 한국의새
I. 다형종 (polytypic species) 다형종의형성은원래단형종으로기재되었던여러종들이모여서이루어지게되며이들은린네종 (Linnaean species) 과는다름 다형종은가장낮은분류단계가아니며집합적분류계급 (collective category) 이다. 하나의단형종으로기록되었던것이여러개의아종을포함하는다형종으로되는경우도있다. 다형종의명명에있어서는원래의단형종이다형종으로정리된경우에원저자명을그대로사용한다.
I. 다형종 (polytypic species) 다형종인캥거루쥐 (Dipodomys ordii W.) 의 35 개아종분포도 (Mayr, 1969)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1. 변종 (Variety) 린네가제시한유일한종이하구분 (subdivision) 으로어떤종의모식 (type) 과의차이정도에의해표시. 초기의분류학자들은변종 (variety) 을개체변이의이질적집합이나여러종류의품종 (race) 에혼동하여사용하였고, 현재동물분류학자들은사용하지않고있다.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2. 아종 (subspecies) 한종에속하는표현형적으로비슷한집단들의모임으로집합적분류계급 (collective category) 임그종의다른집단들과는분류학적으로차이가있는것을말함지역개체군 (local population) 의아종에는삼명법을사용종과의혼동을피하고분류학적으로차이가날때, 즉진단적인형태형질에의해차이가날때에만적용될수있다.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삼명법의예이명법 1 속명과종명의 2가지를순서대로쓰며, 뒤에명명자를기록한다. 2 속명과종명은이탤릭체, 명명자는고딕체로쓴다. ex) 사람의학명 Homo sapiens Linne ( 속명 ) ( 종명 ) ( 명명자 ) 삼명법 1 종을아종, 품종, 변종등으로더세분할때사용한다. 2 속명 + 종명 + 아종명 + 명명자 ex) Felis tigris L. ( 호랑이 - 이명법 ), Felis tigris coreensis L. ( 한국호랑이 - 삼명법 )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지리적아종관계의예미국동남부산뱀의일종인 Elaphe obsoleta 의예 (Conant, 1958)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3. 시간적아종 ( 화석종, temporal subspecies) -고생물학에서는시간에따라분리되는약간다른개체군을종종아종단계로다룬다. -고생물학에서는지리적아종과시간적아종을구별하기가어렵고, 대개고생물학자들이아종을적용시킬때의난점은비유전적인서식형과다른지층내에서각각달리나타나는나이, 성의차이에따른화석의경우임 -여기에관해서는좀더깊이연구하거나유전적경향을이해하는태도필요함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4. 품종 (race) 1) 지리적품종 (geographic race): 분류단계로생각되지않는다. 2) 생태적품종 (ecological race): 각아종은이론적으로는생태적품종 (ecological race). 3) 숙주품종 (host race): 기생체 (parasite) 나특이성있는초식성동물의경 우숙주품종 (host race) 과기생동물의지리적품종 (geographic race) 은일 치할수있는데, 이럴때숙주품종은아종 (subspecies) 으로인정. 4) 인위적품종 (artificial race): 식물에서주로나타나며인위적인교배에 의해서생겨난개체.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5) 형질구배 (cline): 어떤형질이점차로변화해나가는인접개체군계열에의해형성된다. 즉, 한아종에서다른아종으로, 또한품종에서다른품종으로차차성질이변해가는개체군을말한다. ex) 노랑나비 (Colias hyale), 남방노랑나비 (Eurema hecabe) 의색 6) 등태선 (isophene) : 형질구배에대한수직분포는동일한표현형을나타내는개체군을서로연결해주는선. 형질구배는매우다양하고분류학적으로명명을하지않는다. 그러나대개한종의지리적변이가구배를나타낼때보통아종으로인정. 7) 뎀 (deme) : 지역적개체군과일치하는진화적단위로분류단계의 이름은아니다.
II. 종이하분류계급과용어 배추흰나비 (Pieris napi) 암컷의형질구배현상 (Mayr, 1969)
III. 개체군내의변이 분류군 : 개체군 (population) 을말하고개체군은분류의재료가된다. 표현군 (phenon) : 개체군내에서일어난변이체들로구성됨. 명명상또는분류학적지위는없으며이런변이체들은 "morphs 라부름 중립용어 ( 무효명, neutral terms) : 불완전하게분석된표현군 (phenon) 에비공식적으로분류학적처리를해주면분류학적작업을하기가아주편리하여자주이용됨예 ) 형, 군, section, series, division
III. 개체군내의변이 1. 형 (form) 어떤표현군 (phenon) 이완전한종인지아종인지혹은개체변이인지잘알지못할때함. 두개의계급이서로다른분류단위를언급할때도사용할수있는데, 예를들어어떤형질이한종과다른종의아종사이에서공통이될때이종과아종을 " 이두형 " 이라칭함 2. 군 (groups) 또는복합군 (complex) 아주밀접한분류군 (taxa) 의집합체를표현하기위하여사용함 (Drosophila complex: species group 등 ). 속이상의분류군의집합체에서는드물게사용함 3. section, series, division 주로상위분류군의집합에해당되지만규정화되어있지는않고과 (family), 목 (order), 강 (class) 의사이에사용함.
IV. 집단유전학 집단분류학 : 종분류군을지리적으로다양한개체군집단으로다루는학문 표본을채집지별로정리하며종이분포하고있는여러지역의많은표본을수집 개체군분석과통계처리에의하여표본을평가 이학문은다형종의도입으로분류학을단순화시켰으며진화학의새로운접근을하게하였으며생물학에개념적인공헌 종의개체군구조에대한연구는고전분류학의개념을대체하지는못했지만고전적방법에정밀성을더함 사실상이러한연구는고전적인분류가진행되고대상재료가충분해서어느정도연구가상세히되어있는분류군에서만가능하다.
IV. 집단유전학 개체군연속 - 중간지역은인접한개체군들로구성된다. - 서식지가부적합한경우분포상공백이생길수있다. - 개체군연속에서의변이는형질구배를이룬다. 지리적격리 - 종의다른개체군과유전자교환이제한되어있거나없다. - 격리에의해아종단계로취급할만큼차이를보인다. 이차적중간형지역 - 지리적격리가된잡단이효과적인격리기작이갖추어지지않은상태에서종의다른집단과접촉하면집단간교배가다시이루어질수있다. - 유전적, 형태적차이에따라중간지역대가형성될수있다.
V. 신분류학 (New systematics) 신분류학의특징 ⑴ 생물체의흔적이나이름이아니라생물체자체를분류 ⑵ 생물학적특징 ( 행위, 생리, 생화학, 생태등의비형태적요소 ) 을중시 ⑶ 모든생물체는자연에서개체군의일원으로존재하므로표본들은자연개체군의표본 (sample) 으로다루어지지않으면분류되거나이해될수없음 ⑷ 통계적으로적당한표본을모음 ( 수리생물학이나측정치나통계처리에의해지리적개체변이연구 )
V. 신분류학 (New systematics) 신분류학의현재유형 1 곤충, 개구리, 새등의소리와같이눈에보이지않는형질을분석. 2 구애행동이나그외의다른행동분석. 3 단백질분석등의생화학적형질사용. 4 형질평가에서의주관성감소를위해컴퓨터사용또한분류학상에나타나는개념을명확히한다. 예를들면 a 분류계급에서정확한분류군 (taxon) 분리. b 아종 ( 亞種 ) 을진화적단위가아닌분류계급으로인정. c 분류군 (taxa) 간의유사성과차이점에대한원인의명확한이해.
V. 신분류학 (New systematics) 1 곤충, 개구리, 새등의소리와같이눈에보이지않는형질을분석의예 Hyla suweonensis Hyla japon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