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장성자원조사 현황 김홍수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76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77

Similar documents
¹ßÇ¥¿äÁö

untitled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소식지수정본-1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ÃѼŁ1-ÃÖÁ¾Ãâ·Â¿ë2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북방지역 고구려·발해 유적 지도집 - 지도편

8표지 앉기

120330(00)(1~4).indd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 현황(2011~2015, 길림성편).indd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Microsoft Word - 4장_처짐각법.doc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BIO ECONOMY BRIEF 2016 년중국약품시장판매분석 September Issue 24 이민주연구원 중국약품시장의매출총액은꾸준히증가 - 중국약품시장의매출총액은 2011년매출총액 8,097억위안 (137조 6,490억원 ) 에서 2016년 14,975

»ç¶ûÀÇ¿�¸Å7È£ÃÖÁ¾

ok.



2006¹é¼Ł¹ß°£»ç1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4-Ç×°ø¿ìÁÖÀ̾߱â¨è(51-74)

untitled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 2 -


%±¹¹®AR

Jkafm093.hwp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XGT InfoU_K_160411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경영학회 내지 최종

....pdf..

#7단원 1(252~269)교

열거형 교차형 전개형 상승형 외주형 회전형 도해패턴 계층형 구분형 확산형 합류형 대비형 상관형 (C) 2010, BENESO All Rights Reserved 2

[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0001³»Áö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¼øâÁö¿ª°úÇÐÀÚ¿ø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단양군지

º»ÀÛ¾÷-1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152*220



(연합뉴스) 마이더스

ad hwp

성인지통계

SIGIL 완벽입문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ÇÁ·Î±×·¥Áý

- 2 -


041~084 ¹®È�Çö»óÀбâ


표지안 0731

<4D F736F F D D33C2F75F43524DC0BB20B1B8C3E0C7CFB1E220C0A7C7D120C1D8BAF1BFEEB5BF5F546F E646F63>

11+12¿ùÈ£-ÃÖÁ¾

82-대한신경학0201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_report.hwp

육계자조금29호편집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1 -

CD 2117(121130)

대학생연수용교재 선거로본대한민국정치사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

내지-교회에관한교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02report hwp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감사회보 5월


01¸é¼öÁ¤

( )탐스런해설OK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Transcription:

중국의 장성자원조사 현황 김홍수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76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77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김홍수 ( 국립문화재연구소고고연구실 ) 목차 Ⅰ. 들어가는말 Ⅱ. 동북성의조사결과 1.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Ⅲ. 나오는말 Ⅰ. 들어가는말 1년 6월 5일중국의국가문물국은북경의居庸關장성에서 장성보호선전및장성자원조사와인정사업성과발표회 [ 長城保護宣傳曁長城資源調査和認定成果發表活動 ] 를가졌다. 이자리에서중국國家文物局부국장童明康은중국의 15개성 직할시 자치구에존재하는역대장성의총길이가 1,196.18km이고유적은모두 4,71곳이라는조사결과를발표하였다. 1) 이장성자원조사와인정사업은지난 5년 長城保護工程 (5~14년) 이라는이름으로시작되었다. 5년 11월중국국가문물국은장성보호공정의전체업무방안을발표하였다. ) 이에따르면장성보호공정의목적은, 단기간내에장성의전체적인면모를파악하고건전한관련법규제도를수립하며관리체제를정비하여, 통일된계획하에서장성의보호와보수및합리적인이용등업무를과학적으로분배하고또법에근거한관리감독을강화하여근본적으로장성의파괴를억제하는등장성보호관리의순조로운발전을위한견실한기초를다지는것이다. 그리고이러한목적달성을위한세부작업으로모두 9개항목을설정하였는데구체적으로는첫째, 장성유적을조사하여전체장성의데이터를정리한다. 둘째, < 長城保護總體規劃 > 을작성한다. 셋째, < 長城保護管理條例 > 를수립한다. 넷째, 장성보호관리체제를정비하여장성보호의책임을명확히한다. 다섯째, 장성보호를위한심도깊은홍보교육을실시한다. 여섯째, 장성보호를위한과학적연구를강화하여 장성및그보호관리연구 과제를완성한다. 일곱째, 과학적인장성보호보수계획을수립하여핵심구간에대한보수방안과핵심부위에대한긴급처치공정을완성한다. 여덟째, 법에따른관리감독을강화하고장성의파괴행위를엄중히처벌한다. 아홉째, 장성보호업무소요예산을확대한다. 즉이공정은인위적혹은자연적원인으로파괴되거나소실되어가는장성을확인하고기록으로남겨제대로된보존과보호조치를취하자는것이었다. 이러한장성보호공정이시작되면서중국국무원에서 6년 9월정식으로 < 장성보호조례 > 가통과되었고동년 1월 11일공포되어 1월 1일자로시행하게되었다. 이 < 조례 > 제조에따르면, 장성은그성벽, 城堡, 關門, 烽燧, 望樓등을포함한다. 또제9조에서는, 장성이소재한성, 자치구, 직할시의인민정부가각행정구역내의장성자원을조사하고국무원문물주관부처에 1) < 국내처음으로역대장성관련데이터를공포하다, 장성유적총 4,71 곳 [ 我國首次公布歷代長城數据, 共計 471 處 ]>, 光明日報, 1 년 6 월 6 일 (http://history.gmw.cn/1-6/6/content_48897.htm). ) 長城保護工程 (5~14) 總體工作方案, 長城資源調査工作手冊, 7 년 5 월 일중국국가문물국홈페이지참조 (http://www.sach.gov.cn/tabid/1/infoid/6911/default.aspx). 78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79-1 -

보고하여인정을받도록하며, 인정을받은날로부터 1년내에성급문물보호단위로지정공포해야한다고밝히고있다. 또한이 < 조례 > 가시행되기이전에이미장성으로인정받은유적가운데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혹은성급문물보호단위로지정되지않은유적은이 < 조례 > 가시행된날로부터 1년내에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혹은성급문물보호단위로지정공포해야한다고언급하고있다. ) 이상의조치에근거하여중국국가문물국에서는먼저河北省과陝西省을지정하여기타지역에앞서시범사업을진행하게하였고, 그후기타지역에서도조사사업을진행하게하였다. 국가문물국에서선정한주요조사대상에는망루나雉등을포함하는성벽시설과관문, 성보, 봉수등을포함하는방어시설, 또해자, 참호, 창고, 채석장, 주거지, 磚瓦窯등장성과관련된모든것이포함되어있다. 문물국에서는또조사된내용물을통일적인시스템으로정리하는전문소프트웨어 4) 를제작하여각지역에배포했고, 각지역조사원들에게해당소프트웨어의체계에맞추어개별유적의명칭, 크기, 특징, 보존상태, 현장사진까지통일된형태로작성하게했다. 그렇게조사된결과물을토대로 11년 6월국가문물국에서는 중국장성정보넷 [ 中國長城信息網, http://.41.45.17/] 이라는웹사이트를제작하여조사현황과해당유적을소개하는서비스를시작하였다. 이웹사이트에서는각지역별장성유적을검색할수있고, 해당유적의사진을공개하고있으며또한위성지도를통해그위치까지소개하고있다. 5) 그림. 중국장성정보넷의장성자료검색화면 그림 1. 장성유적조사데이터수집시스템화면 ) 長城保護條例,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令第 476 號, 長城資源調査工作手冊, 7 년 5 월 일중국국가문물국홈페이지참조 (http://www.sach.gov.cn/tabid/1/infoid/6911/default.aspx). 4) 정식명칭은 장성필드조사데이터검사와제출시스템 [ 長城田野調査數據檢査與匯交系統 ] 이다. 5) 현재이웹사이트는베타버전형태로요녕성을포함한 1 개성, 자치구, 직할시의장성유적을소개하고있으나위성지도상의위치확인은명확하게이루어지지않고있다 ( 길림성, 흑룡강성미포함 ). 이와같은소개뿐만아니라, 국가문물국에서는또각지역의조사결과물을문물출판사를통 해출판하게했는데, 그첫번째성과로시범사업을벌였던하북성과섬서성및遼寧省과靑海 省의조사결과중일부를담은보고서가 11 년에이미출판되었고, 6) 국가문물국에서는기타 지역의조사결과역시금년 (1 년 ) 내로모두출판할것을지시하였다. 또한국가문물국산하 의中國文化遺産硏究院에서는장성보호공정의총괄보고서를작성할예정이라고한다. 7) 지난 6 월 5 일국가문물국부국장동명강이발표한확장된장성의길이와유적숫자는바로이 6) 4 개성의조사결과물은각각 河北省明長城資源調査報告, 陝西省明長城資源調査報告, 遼寧省明長城資源調査報告, 靑海省明長城資源調査報告 이다. 7) <11 년장성보호공정회의에서의국가문물국부국장동명강의발언 [ 國家文物局副局長童明康在 111 年長城保護工作會議上的講話 ]>, 중국국가문물국홈페이지참조, 11 년 4 월 7 일 (http://www.sach.gov.cn/tabid/44/infoid/9471/default.aspx). - - - - 8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81

그림. 중국장성정보넷의위성지도위치서비스화면 상의과정을거쳐국가문물국에수집된결과물이다. 그러나동명강부국장의발표속에언급된 4,71 곳의유적에대한정확한정보는중국장성정보넷이완전한서비스를개시하거나, 각지역 의조사결과물에대한보고서가완간되기전까지는구체적이고명확한모습을확인할수없는 상황이다. 다만현재국가문물국의인터넷홈페이지에서는일부지자체의문물담당부서가보 고한장성유적인정신청목록에대해국가문물국이이를인정한다는내용의공문서가확인되고 있는데, 이를통해몇몇지역의장성유적목록이확인되고있을뿐이다. 8) Ⅱ. 동북 성의조사결과 1. 길림성 길림성에서는 4 개팀 7 명의조사단이구성되어모두 19 개시와현을조사하였다. 9) 현재길림성에서국가문물국에보고한조사결과에대해서는정확한공문이나자료를확인할 수없으나, 길림성문화청홈페이지에서확인되는길림성소재장성유적에대한조사결과및이 에대한언론보도에따르면모두세곳의유적을장성유적으로파악하여국가문물국에보고한 것으로확인되고있다. 1) 이에따르면길림성의장성은총길이가 414km 이고모두 1 구간에관련유적은 18 곳이며 그명칭은漢長城, 老邊崗土長城, 그리고延邊長城이라고한다. 먼저한대장성은길이가 5km 로通化市通化縣내에분포하고서쪽으로요녕성내의한대 장성과이어지는데, 서한초중기서한정권이동북지방을경략하면서쌓은장성이라고한다. 대 8) 현재 (1년 6월 ) 요녕성, 내몽고자치구, 북경시, 천진시, 섬서성, 산동성, 영하자치구, 하남성, 감숙성등의문서가확인되고있다. 9) 中國文化遺産硏究院홈페이지長城資源調査項目참조 (http://www.cach.org.cn/tabid/4/default.aspx). 1) < 길림성제차전국문물조사및장성자원조사업무종결대회가사평시에서개최되었다 [ 吉林省第三次全國文物普査曁長城資源調査工作總結大會在四平市召開 ]>, 길림성문화청홈페이지 (http://wht.jl.gov.cn/gzkx/15/t157_1194481.html); 길림성내 곳의장성유적 [ 吉林省內 處長城遺蹟 ], 長春晩報, 1년 6월 7일 ; 기사에따르면구체적인자료는길림성문화청문물보호처처장安文榮의소개를근거로하였다고한다. 표적인유적으로는통화현의赤柏松古城 11) 이있는데, 이는한대장성방어체계의핵심이자한대 장성의끝부분이라고한다. 한편이지역에서는그외에또 1 곳의城址와 1 곳의봉화대도확인 되었다고한다. 1) 노변강토장성은모두 64 구간에총길이가 48km 이다. 길림성경내의 5 개시현지역에걸쳐 분포하는데, 기점은德惠市松花江鎭松花江村 ( 제 송화강좌안 ) 이고덕혜시와農安縣, 公主嶺市, 梨樹縣, 四平市鐵西區를지나서남쪽으로뻗어요녕성경내로이어진다. 문헌자료와채집된유 물의분석을통해볼때이유적은대략당대말기에축성되기시작한것으로추정된다고한다. 이유적의분포지역은인구밀도가높아인위적인파괴가심각하여일부지역을제외하고는대부 분이보존상태가열악한데, 일부구간에대한절개작업을통해확인된단면을관찰한결과, 참호형식으로땅을파고그흙을사용하여판축기법으로축성한성벽과참호가하나로이어진 형태였다고한다. 1) 연변장성은和龍市, 龍井市, 延吉市, 圖們市, 琿春市등 5 개시의백두산후배지에분포하는데, 총길이는 114km 이고모두 57 구간에봉화대가 87 곳, 關堡가 5 곳, 鋪舍가 곳이라고한다. 성벽 은대부분흙과돌이섞여있고또자갈을섞어쌓은부분도있으며일부구간은산과강등천 연의장벽을그대로이용하기도하였다. 봉화대는보통산정상에자리잡고있는데형태는기 본적으로모두圓丘形이고역시흙과돌을섞어서만들었으며일부는주위로도랑이파여있는 것도있다고한다. 14) 길림성문화청이주장하는장성의위치는대략 < 그림 4> 와같다. 11) 적백송고성은지리적으로요녕성의환인에서길림성의통화및집안시의국내성과환도산성으로이어지는교통의요지에위치하여고구려가한나라에이어계속이용하였을개연성은상당히높다. 그러나점토를항축하여공고하게다진성벽중심에흙과돌을섞어폭과높이를더한성벽축성기술은한대의축성기법이나집안국내성의하층토성건축방식에가깝고그주변기타산성의축성기법과는차이를보이며, 출토된기와나토기역시전형적인한대의성격을보이고있어고구려시기에사용되었는지여부는명확히파악할수없다고한다 ( 中國考古學會, 中國考古學年鑑, 1, 文物出版社, 11 년, 199 쪽 ; 李樹林, 李姸 吉林省燕秦漢遼東長城槪述, 社會科學戰線, 11 년 1 기 ; 여호규, 고구려성 Ⅰ, 국방군사연구소, 1998 년, 6~1 쪽 ). 1) 앞의두자료에서는적백송고성을제외한다른한곳의성지에대해구체적인명칭을밝히고있지않으나이에대해서는 9 년 9 월 일新華網의보도 ( 길림성내진한대장성유적이처음으로발견되어, 그동단을 1.9km 나더연장시켰다 [ 吉林境內首次發現秦漢長城遺址, 最東端推進 1.9 公里 ] http://news.xinhuanet.com/tech/9-9//content_195187.htm) 와 < 吉林省第三次全國文物普査簡報 > 제 5 기 (9. 1. 8.) 를통화추정해볼수가있다. 이두자료에서는, 9 년 6 월통화현三棵楡樹鎭沿江村부터동쪽으로통화현快大茂鎭사이에서모두 11 곳의유적이발견되었는데, 그가운데 4 곳은장성유적이확실하고 7 곳은장성유적일것이라고추정하고있다. 또이자료에서는그가운데가장대표적인것이 南臺子古城址 라고하였는데, 이는해당유적에서한대중원의특징을보여주는도기가채집되었기때문이라고발표하였다. 이에근거하면, 이지역의한대장성가운데적백송고성을제외한다른한곳의성지는통화현三棵楡樹鎭남쪽 5m 의대지에위치한남대자고성지인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남대자고성지는원래고구려 요 금의유적인것으로만알려져왔었는데 (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 중국지도출판사, 199 년, 17 쪽 ; 여호규, 고구려성 Ⅰ, 국방군사연구소, 1998 년, 17~18 쪽 ), 최근에발표된李樹林과李姸의논문에서는남대자고성이고구려유적이라는기존의조사결과를소개하는동시에본인들의최근현지조사결과戰國, 秦漢시기의전형적인평지성건축의특징도갖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고주장하였다 ( 通化渾江流域燕秦漢遼東長城障塞調査, 東北史地, 1 년 기, 1 쪽 ). 길림성에서주장하는한대장성에남대자고성이포함되었는지여부및실제한대장성유적인지여부는모두좀더구체적인자료를확인해야판단할수있을것이다. 1) 이상은역시각주 1] 번의두자료에서소개하고있는내용으로길림성문화청에서는이유적을단순히 당대말기에축성된유적 으로만소개하고있으나, 기존중국의조사결과를소개하고있는다른자료들에서는이를고구려의천리장성으로보고있다. 즉공주령시의懷德鎭에위치하는 懷德鎭老邊崗遺址 는 7 년제 6 차길림성성급문물보호단위로지정된유적인데, 길림성문화청역시홈페이지 (http://wht.jl.gov.cn/whzl/wwbl/81/t81_585.html) 에서, 고구려정권이외세의침략을방어하기위해축성한방어선 이라고소개하고있고, 또 중국문물지도집 길림분책 제 8 쪽의 노변강유지 표제어에서는 일부학자들이이를고구려榮留王 14 년 (61) 에축성한천리장성으로보고있다 고기록하고있다. 이러한관점과관련해서는張福有, 孫仁傑, 遲勇등이공저한 高句麗千里長城 ( 吉林人民出版社, 1 년 ), 李健才의 東北史地考略 續集 ( 吉林文史出版社, 1995 년 ) 과 東北地區中部的邊崗和延邊長城 ( 遼海文物學刊, 1987 년제 1 기 ), 王健群의 高句麗千里長城 ( 博物館硏究, 1987 년제 기 ), 그리고魏存成의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 ( 社會科學戰線, 11 년제 1 기 ) 등을참고해볼수있다. 14) 연변장성에대한이상의소개또한각주 1] 번의두자료에서보이는내용이나, 좀더구체적인내용을담고있는자료는확인되지않고있다. 다만중국의대표적인포탈사이트인 Baidu 백과사전 (http://baike.baidu.com/view/4987.htm) 과그에기본자료를제공한것으로추정되는徐學毅의논문 ( 延邊古長城考察報告, 東疆學刊, 1986 년제 기 ) 에서는연변장성이和龍市東山村 -- 龍門鄕 -- 龍井市細鱗河鎭 -- 老頭溝鎭 -- 銅佛寺鎭 -- 延吉市八道鎭 -- 依蘭鎭 -- 長安鎭 -- 磨盤山까지이어진다고소개하고있고, 금번장성유적조사에서언급된도문시와혼춘시로연결되는부분에대해서는언급하지않고있다. 또이장성의축성시기에대해서도현재까지는고구려, 발해, 東夏國등다양한의견이제시되고있으나결론은내려지지않은상태라고한다. - 4 - - 5-8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8

그림 5. 목단강변장(강동구간) 표지석 그림 6. 목단강변장(강동구간) 일부 는데, 먼저 목단강구간은 북쪽 黑水靺鞨에 대한 방어목적으로 축성된 것으로, 목단강 서안의 牧 丹江市 愛民區 江西村 북산 주봉에서 시작되어 서북쪽으로 新豊, 蛤蟆塘, 三道關, 岱王砬子, 二 人石南嶺을 지나 西大砬子 북쪽 기슭까지 이어지고 있다. 총 길이는 약 58km이고 성벽은 대부 분 해발 5~6m의 계곡을 따라 이어지고 있는데 흙과 돌을 기본으로 축성하였고 중간 부분 은 돌로 쌓았으며 높이는 1.8~m 정도이다. 이 구간에서는 또 치 46개도 확인되었고 鸞鳳花鳥 銅鏡과 古州之印 이라는 銅印도 출토되었다고 한다. 강동구간은 寧安市 江東鄕 江東林場 남부 산지에 분포하는데 전체적으로 동남방향에서 서북방향으로 이어진다. 동쪽 끝은 영안시 江南鄕 永泉村 동남쪽 6.8km의 산 정상이고 서쪽 끝은 강남향 缸窯村 서남쪽 1.8km의 목단강 우안 강 그림 4. 길림성 소재 중국장성유적 분포지도. 흑룡강성 촌을 지난다. 경박호구간은 영안시 鏡泊鄕 江山嬌林場 북부 산지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 동남 방향에서 서북방향으로 이어지는데, 동쪽 끝은 영안시 강산교림장 동북쪽 4.6km 지점의 大靑溝 북측 산기슭이고 서쪽 끝은 강산교림장 동북쪽 4.75km 지점의 경박호 우측 호수변이다. 전체 흑룡강성에서는 4개 팀 7명의 조사단이 구성되어 모두 5개 시와 현을 조사하였다.15) 흑룡강 성 역시 국가문물국에 보고한 조사결과 관련 공문이나 자료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흑룡강 성에서는 黑龍江省長城資源調査網(http://www.hljcc.gov.cn/)이라는 웹 사이트를 운영하며 조사 경과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서 확인되는 흑룡강성 소재 장성은 모두 두 곳이 있는데 하나는 牧丹江邊墻이고 다른 하나는 금나라 장성인 金界壕유적이다.16) 금계호유적은 주로 내몽고자치구와 러시아 및 몽골국에 위치하고 일부가 흑룡강성을 지난다. 금계호유적의 구체적인 흑룡강성 구간은 齊齊哈爾市 甘南縣 燈塔村에서 출발하여 제제합이시 碾 子山區를 지나 龍江縣 東北溝村까지 이어지는데 모두 9개 鄕鎭과 5개 村, 75개 屯에 분포해 있 다고 한다.17) 목단강변장은 발해시기18) 축성된 것으로 寧安市에 위치한 발해의 上京龍泉府 방어를 주 목적 으로 축성된 장벽이다. 목단강구간과 江東구간 그리고 鏡泊湖구간 등 개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 84 변 충적대지이다. 전체 길이는 약 km이고 영천촌, 四方村, 永樂村, 斗溝子村, 江東林場, 항요 길이는 약 5km이다. 목단강구간은 상경용천부의 북쪽에 위치하고 강동구간과 경박호구간은 상 경용천부 남쪽에 위치한다. 19) 각 유적의 위치는 <그림 7>, <그림 8>과 같다.. 요녕성 요녕성에서는 모두 4개 팀 8명의 조사단이 구성되어 총 개 시와 현을 조사하였고,) 요녕 성에서는 그 결과를 국가문물국에 보고하였으며 이에 대해 국가문물국에서는 이를 비준하는 회 신공문과 <遼寧省長城認定表>를 발송하였다.1) 이 표에서는 요녕성의 장성유적 총 숫자는,4 곳이고, 그 가운데 燕나라 장성유적이 8곳, 漢나라 장성유적이 148곳, 北齊의 장성유적이 곳, 遼나라 장성유적이 4곳, 그리고 나머지,57곳은 모두 明나라 장성유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15) 中國文化遺産硏究院 홈페이지 長城資源調査項目 참조(http://www.cach.org.cn/tabid/4/Default.aspx). 16) <흑룡강성 장성자원조사업무가 국가의 검사를 통과하다[黑龍江省長城資源調査工作通過國家級驗收]>, 흑룡강성장성자원조사망 참 조(http://www.hljcc.gov.cn/wM_ReadNews.asp?NewsID=66);<흑룡강성 장성자원조사사업에 대한 성급 검수회의를 개최하다[黑 龍江召開長城資源調査工作省級驗收會]>, 흑룡강성장성자원조사망 참조 (http://www.hljcc.gov.cn/wm_readnews.asp?newsid=65). 17) 金界壕遺址, 黑龍江日報 9년 월 일(http://epaper.hljnews.cn/hljrb/html/9-//content_498487.htm). 18) 8년 목단강변장(강동구간) 유적지에 세워진 표지석에도 목단강변장이 목단강과 영안시 경내에 위치하는데 목단강, 강동, 경 박호 세 구간의 변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해국시기에 건설되기 시작하여 요금시기에도 계속 사용된 북방에 대비한 군사방어 시설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19) 劉曉東, 祖延苓, 南城子古城 牡丹江邊牆與渤海的黑水道, 北方文物, 1988년 기; 목단강시 문물관리소에서 목단강변 장의 분포지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다[牧丹江市文物管理站詳解牧丹江邊墻分布區域], 黑龍江新聞網, 11년 11월 17일 보도 (http://mudanjiang.dbw.cn/system/11/11/17/551.shtml). ) 中國文化遺産硏究院 홈페이지 長城資源調査項目 참조(http://www.cach.org.cn/tabid/4/Default.aspx). 1) <遼寧省長城認定表>는 중국 국가문물국이 요녕성으로 보낸 <요녕성 장성 인정에 관한 회신[關於遼寧省長城認定的批復]>에 첨부 되어 있다(중국국가문물국 홈페이지 참조, http://www.sach.gov.cn/tabid/44/infoid/997/default.aspx). 아래에서는 <인정표> 로 통칭한다. - 6 - - 7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85

燕長城 유적 연나라 장성유적을 지역별로 확인해 보면, 가장 서쪽인 朝陽지역에 모두 188곳, 그 동쪽의 阜 新지역에 57곳, 요녕성의 중심인 瀋陽지역에 1곳, 길림성에 가까운 撫順지역에 곳이 위치해 있다. 종류 朝陽 阜新 瀋陽 撫順 지역 建平縣 北票市 阜新縣 瀋陽市 撫順市 撫順縣 총계 표 1. 요녕성 소재 연나라 장성유적 烽火臺 15 5 9 11 18 6 城(址) 4 4 7 19 哨所 1 4 敵臺 長城) 1 15 41 188 擋馬墻 총계 6 16 188 5 57 57 1 1 6 8 <표 1>에 따르면 요녕성의 연나라 장성은 다수가 내몽고자치구와 연접한 요녕성의 서북쪽 朝 陽지역(건평현, 북표시)에 분포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장성 이 147곳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봉화대가 곳, 기타 유적이 1곳이다. <인정표>에서 언급된 북표시의 장성유적 가운 데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 (下)에 소개된 유적은 六合成城址, 陳家窩堡城址, 翟家營子城址, 北廣富營城址 등이 있는데 모두 전국시대 축성된 성지라고 소개하고 있다. 또 연나라 장성 유적 에 대해서는 燕北內長城遺址北票市段 이라는 이름으로 소개하고 있고, 그 위치는 동쪽으로 台吉 그림 7. 흑룡강성 소재 목단강변장 위치도 營鄕 六合成村에서 서쪽으로 北塔子鄕 趙家店 干溝村까지 총 km이며 시기는 역시 戰國시대 라고 하였다. 이는 <인정표>에서 언급한 내용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이상 성지와 장 성 을 제외한 봉화대와 초소에 대해서는 언급되어있지 않다.) 건평현의 장성유적 역시 지도 집 에서는 巴達營城址, 達拉甲城址, 小五家城址, 翟家地城址 등 4곳의 성지와 燕北內長城遺址 建平縣段 이라는 이름으로 소개하고 있다. 북표시와 마찬가지로 각 성지는 모두 전국시대의 성 지로 <인정표>상의 성지 4곳과 일치하고 있고, 장성 의 경우에는 서쪽으로 내몽고의 赤峰 美麗 河鄕 黑山頭에서 老哈河를 건너 건평현 老官地鎭 熱水村 河灣子屯으로 들어오고 다시 동쪽의 李 家水泉屯을 지나 내몽고의 敖漢旗縣으로 이어지는데 총 길이는 8km이고 역시 전국시대 장성 이라 소개하고 있다. 이 역시 <인정표>상의 내용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다만 여기서도 봉화대, 적대, 당마장, 초소 등은 따로 소개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근년의 장성유적 조사과정에 서 새롭게 확인하여 명명한 까닭으로 추정된다.4) 조양지역 동쪽으로 연접해 있는 阜新지역에 그 다음으로 많은 57곳의 유적이 있는데 이곳 역 시 장성 이 41곳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봉화대가 9곳, 성지가 7곳이다. 지도집 에는 <인정표>에 언급된 부신시 소재 장성유적 가운데 西營子古城址와 燕北內長城遺址阜新縣段 만 소개되고 있는데, 장성 의 경우 서쪽으로 化石戈鄕 玍叉溝屯에서 동쪽으로 一家子村 서북쪽까지 총 15km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인정표>에서는 서쪽의 왕차구둔에서부터 下新邱屯, 上新 邱屯, 紅石砬屯, 八里村, 西杖房屯, 尖山子屯, 李家窩鋪屯, 北昌西溝屯을 지나 北昌營子村까지만 86 그림 8. 흑룡강성 소재 금계호 위치도 ) 長城은 <인정표>상의 유적명칭에 근거한 분류이다. ) 國家文物局 주편,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 (下), 西安地圖出版社, 9년, 85쪽. 아래에서는 이 책을 지도집 으로 통칭 한다. 4) 지도집, 5쪽. - 8 - - 9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87

이어져 지도집 장성 라인의 약 1/1 지점에서 끝이 나고 있다. <인정표>에서는 또 두 곳의 漢長城 유적 장성 이 상술한 장성 과는 별도 구간으로 소개되었는데, 그 중 하나인 八家子鄕 八家子村 六家 요녕성 소재 한나라 장성유적은 조양지역 건평현에 모두 71곳, 錦州지역에 19곳, 심양지역에 子屯의 六家子北山長城은 지도집 에 빠져있는 부분으로 새로이 조사된 곳으로 추정된다. 다 1곳, 무순지역에 46곳, 단동지역에 곳이 위치해 있다. 른 하나는 大五家子鎭 大加生村 西營子屯의 西營子長城인데, 지도집 에서는 이 부분을 전체 장성 라인에 연결된 한 부분으로 소개하고 있다. <인정표>상의 성지 7곳 가운데 서영자고성지를 종류 제외한 나머지 6곳과 봉화대는 지도집 에 소개가 없어 모두 근년에 새롭게 조사된 곳으로 추정된다.5) 지리적으로 遼河 동쪽에 위치하는 瀋陽지역에는 총 1곳 중 11곳이 봉화대이고 곳이 성지이 다. 지도집 에는 <인정표> 상의 上伯官城址만 소개되어 있고 八家子城址는 빠져있으며, 11곳 의 봉화대 가운데 營盤頂烽火臺, 二臺子烽火臺, 新樂遺址西烽火臺를 제외한 8곳(曉仁鏡北大臺子, 曉仁鏡西大臺子, 上馬東山, 中馬北山, 下馬北山, 七間房東山, 東陵公園東山, 全勝堡)이 모두 소개 되어 있다. 또한 <인정표>에서는 팔가자성지와 영반정봉화대, 이대자봉화대를 제외한 나머지 1 개의 유적이 모두 연장성 유적인 동시에 漢長城 유적이기도 한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지도집 에서는 이 유적들이 모두 漢代의 유적인 것으로만 소개되어 있고 또 전승보봉화대의 경우에는 明代 유적으로 소개하고 있어, 근년의 새로운 조사과정에서 연나라 유적으로 시기를 올린 것으로 추정되기는 하나 그 근거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6) 또 撫順지역의 곳 유적 역시 봉화대가 곳이고 곳이 성지인데, 지도집 에서는 무순지 역의 연나라 봉화대 유적에 대해 전혀 소개가 없다.7) 그리고 <인정표>상의 두 성지는 명칭이 표. 요녕성 소재 한나라 장성유적 朝陽 錦州 瀋陽 지역 建平縣 北鎭市 黑山縣 義縣 凌海市 瀋陽市 撫順市 撫順縣 新賓縣 丹東市 丹東 鳳城市 총계 撫順 烽火臺 64 1 9 4 1 11 城(址) 墩臺 1 1 1 9 長城 5 5 총계 71 1 1 4 4 18 1 1 71 19 1 46 148 각각 大山城子城址와 果木園子北山城址인데, 지도집 에는 동일한 명칭의 성지에 대한 소개는 없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대산성자성지에 가장 인접한 松樹城址와 과목원자북산성지에 가장 인 접한 果木城堡址가 소개되어 있기는 한데 이 두 성지는 모두 명대 유적으로 설명되어 있어, 각 각 동일 유적이나 근년의 새로운 조사를 통해 그 시대가 올라간 것인지 혹은 지도집 의 두 유적과는 관련 없이 새롭게 발견된 유적인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8) 이상과 같이 요녕성에 분포하는 소위 연나라 장성유적은 요하 서쪽의 경우 성벽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성 유적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요하 동쪽의 경우 성벽 유적은 찾아볼 수 없고 봉화 대와 성지만이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고, 또 기존에는 한대의 유적이라고만 알려졌던 상당수 유 적들이 전국시대 연나라 유적으로 그 시기가 올라갔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그 외에 새롭게 발 견된 유적도 상당수를 차지한다는 사실 역시 주목할 만한 부분인데, 이상과 같은 변화의 원인이 근년의 조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자료에 근거한 것인지 여부는 중국 측의 세부자료가 공개된 후 진일보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 지도집, 58~59쪽. 6) 지도집, 1 쪽. 7) 한대와 명대의 개별 봉화대 유적은 지도집 에 다수가 소개되어 있고 또 撫順境內漢代烽燧址 라는 표제어에서는 望花區, 順城 區, 東洲區, 撫順縣, 新賓縣 등지에서 1981년과 1998년에 모두 7여 곳의 봉화대가 발견되었는데 그 인근에서 한대 토기편, 기 와편 등이 발견되어 모두 한대의 유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도집, 14쪽)는 소개도 있으나 연나라 봉화대 유적에 대해서는 전혀 소개가 없다. 8) 지도집, 1쪽; <인정표>에서는 大山城子城址가 松樹溝村 서쪽 1km의 大山城子山에 위치하고 果木園子北山城址는 果木園子 村 동북쪽.km 지점의 북산에 위치한다고 하나, 지도집 에서는 松樹城址가 송수구촌 서쪽.5km지점에 위치하고 果木城 堡址는 果木園村 북쪽 1.5km지점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1-88 그림 9. <요녕성장성인정표>에 근거한 요녕성 소재 연나라 장성유적 분포도 - 11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89

< 표 > 에따르면요녕성의한나라장성역시요하서쪽인조양지역건평현에 5% 에달하는 71 곳이분포하고있고, 역시요하서쪽인금주지역에도 19 곳의유적이있다. 요하동쪽으로는무 순지역에모두 46 곳의유적이위치해있고, 심양지역에 1 곳, 그리고압록강을경계로북한과 마주하고있는단동지역에도 곳의성지유적이위치해있다. 조양지역건평현의경우, 지도집 과 < 인정표 > 의내용이거의일치하고있다. < 인정표 > 에서 는성지의경우楡樹林子城址와張家營子城址두곳이소개되고있는데 지도집 에서도역시 동일한명칭에한대유적으로소개하고있다. 봉화대는 < 인정표 > 에서모두 64 곳이소개되고있 는데 지도집 에서는 漢長城遺址建平縣段 이라는명칭아래모두 5 곳의봉화대를소개하고 있다. 이에따르면전체길이는 55km 이고昌隆永鎭山根村에서시작하여奎德素鎭土木營子村, 那立奈村, 張家營子鎭姚家窩鋪村, 下七家村, 七官營子村, 勿心吐魯村을지나楡樹林子鎭侯家營 子村까지이어진다고하고, 이에덧붙여각봉화대에 1 호부터 5 호까지번호를붙여소개하고 있다. 이봉화대의대체적인위치는 < 인정표 > 와큰차이를보이지않으나, < 인정표 > 상에 1 곳 의봉화대유적이더늘어난것으로보아근년의조사에서새롭게추가된유적이있는것으로 추정된다. 9) 또한 < 인정표 > 상의 장성 유적은봉화대유적을따라 5 개구간이소개되어있으나 지도집 에는별도의설명이없고다만 지도집 ( 상권 ) 의유적지도에봉화대유적의라인을 따라한대장성유적이표시되어있기는하다. ) 금주지역은먼저北鎭市에세곳의봉화대가소개되고있는데그중大亮甲峰火臺는 지도 집 에도소개되어있으나기타頭臺烽火臺와王二臺子烽火臺는소개되어있지않다. 1) 그외에 黑山縣과義縣의봉화대유적 4 곳그리고凌海市의봉화대유적 1 곳역시 지도집 에서는 찾아볼수없다. ) 심양지역의한대장성유적은연장성유적과거의일치하고있는데, 앞에서도언급했던것처럼 지도집 에서는이유적들을모두한대유적및명대유적으로소개하고있다. ) 무순지역무순시東州區의경우, < 인정표 > 에는 곳의봉화대유적과 1 곳의성지가소개되어 있는데이세유적모두 지도집 에는빠져있다. 그리고 지도집 에수록된동주구소재한 나라봉화대유적 7 곳역시 < 인정표 > 에는언급되어있지않다. 4) 한편 < 인정표 > 에는무순시新 撫區에소재한유적으로勞動公園城址한곳만이소개되어있는데, 이에대해서는두자료가모 두한대의성지로기록하고있다. 5) 무순시順城區의경우, < 인정표 > 에서는河北鄕, 前甸鎭, 그 리고무순시내를중심으로 곳의봉화대유적이소개되어있고, 지도집 에서도역시하북 향, 전전진등을중심으로 16 곳의봉화대유적이소개되어있다. 유적의숫자에서나타나는차 이는역시새롭게조사된유적이추가되었기때문인것으로추정된다. 6) 무순현의경우에는 < 인 정표 > 와 지도집 에소개된봉화대유적이각각 4 곳씩이나, 동일한유적은 蒼什烽火臺 하나 뿐이고나머지셋은서로다른유적이다. 7) 新賓縣에는 곳의성지와 1 곳의봉화대가있다고 9) 지도집, 56~58 쪽 ; < 인정표 > 상의萬壽鎭老西店村新店屯과季家店屯에위치한다는新店烽火臺와季家店烽火臺는확실하게 지도집 에서확인되지않아새롭게추가된유적으로판단되나, 기타 1 곳이구체적으로어느유적인지는두자료의명칭표기및지명표기가일치하지않아확인할수없었다. ) 중국문물지도집 요녕분책 ( 상 ), 서안지도출판사, 9 년, ~1 쪽. 1) 지도집, 쪽. ) 근년의새로운조사를통해확인된유적인지여부는중국측의정식보고서가발표되어야확인이가능할것으로판단된다. ) 각주 6] 번의본문내용참조. 4) 지도집, 1 쪽. 5) 지도집 에서는 일부학자들은이성지를한대公孫度이요동을점거했을당시의玄菟郡제 치소였을것으로보고있다 고밝히고있다 ( 지도집, 1 쪽 ). 그러나이성지에서는고구려시기의붉은색繩紋 網格紋기와도다량발견되어고구려역시이성지를증축하거나그대로사용했던것으로판단하고있다 ( 여호규, 고구려성, Ⅱ, 국방군사연구소, 1999 년, 17~17 쪽 ). 6) 지도집, 16 쪽. 7) < 인정표 > 에언급된나머지 곳의유적은 蒼什嶺烽火臺, 老參場烽火臺, 破房溝烽火臺 이고, 지도집 에언급된나머지 곳은 하는데, 그중성지 ( 白旗漢城遺址, 永陵南城址 ) 는 지도집 에도동일한명칭에한대성지라고 소개되고있다. 8) 그리고봉화대의경우 지도집 에서확인되는동일한명칭의유적 곳 ( 河 西, 天橋嶺, 高臺山 ) 이있고, 명칭은상이하나위치가동일하여동일유적으로추정되는봉화대 가 곳 ( 高脚山, 羊祭臺, 東砬嘴 ) 이있다. 9) 그러나나머지 7 곳 ( 西石場, 河南, 水手西山, 馬爾墩嶺, 洪家店, 老和尙背, 腰站南山 ) 은 지도집 에기재되어있지않고, 오히려 < 인정표 > 에는없는 곳 ( 西道溝, 溫家窯 ) 의한대봉화대유적이소개되어있다. 4) 그리고 < 인정표 > 에는新賓鎭南茶棚 村黃花山에위치하는南茶棚墩臺가있는데 지도집 에는동일지역에黃花山烽燧址가있다고 소개하고있다. 41) 그러나다른 곳의돈대 ( 和睦, 東嶺 ) 는별도의조사기록을확인할수없었다. 무순지역의장성유적가운데주목해야할유적으로는 高爾山將軍峰烽火臺 가있다. < 인정표 > 에 서는이한대봉화대가무순시順城區高爾山북부將軍峰에위치한다고소개되어있는데, 주지 하다시피무순시의고이산은고구려의新城에비정되고있는高爾山城이위치한곳이다. 현재 이봉화대와관련해서는소개된자료가없는관계로고이산성과의관계를직접적으로확인할수 있는상황은아니지만, 1995 년陳大爲의논문에따르면장군봉으로도고이산성성벽의축성상 황이확인되고있어 (< 그림 1> 참조 ), 4) 그관련성에대해서는진일보한연구를진행할필요가 있을것같다. 그림 1. 고이산성평면도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 에서인용 ) 五味烽燧址, 兩家子烽燧址, 哈塘烽燧址 로그명칭및위치가모두상이하다 ( 지도집, 19 쪽 ). 8) 지도집, 1 쪽 ; 그러나영릉남성지는한대에축성되었고그후고구려에서도지속적으로증축하여사용하였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중국동북지역고고조사현황 [ 요녕성편 ], 1 년, 16~171 쪽 ; 여호규, 고구려성, Ⅱ, 국방군사연구소, 1999 년, 75~89 쪽 ). 9) 지도집 에서는명칭이상이한 4 곳의유적을각각北山, 黃花山南茶棚,, 四道溝, 得勝堡烽燧址라고기록하고있다 ( 지도집, 1~1 쪽 ). 4) 지도집, 1 쪽. 41) 지도집, 1 쪽. 4)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 北方文物, 1995 년제 기. - 1 - - 1-9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91

< 인정표 > 에수록된단동지역의한대장성유적은단동시振安區의靉河尖古城址와鳳城市의劉家堡城址가있는데, 애하첨고성지는한대에축성되어, 고구려, 요, 금이모두사용했던평지성이고, 4) 유가보성지는西漢시기의유적이라고밝히고있다. 44) 이상과같이요녕성소재한나라장성유적은연나라장성유적과달리전체의 88% 이상이봉화대유적이고, 소위 장성 유적은 5곳에불과한데이역시도조양시건평현에만위치하고있다. 이러한한나라장성유적역시연나라장성유적과마찬가지로근년의새로운조사결과를상당수반영하고있는듯하다. 또한건평현의 한대장성구간 을포함한상당수유적이기존의조사결과인 지도집 에는있으나금번 < 인정표 > 에는빠져있어, 그원인에대해서도역시중국측의공식적인조사자료가공개되어야진일보한연구가가능할것으로판단된다. 주목할만한사실은 < 도11> 에서확인되는바와같이조양, 금주, 심양과무순지역의경우봉화대가일정한선을따라이어지고그중간중간에몇곳의성지가위치해있으나, 단동지역은두성지만이한대장성유적이라고소개되고있다는점으로그원인에대해서고민해볼필요가있을듯하다. 한편北齊의장성유적은葫蘆島市綏中縣 45) 의성벽 곳 ( 墻子里長城 1 段 ) 이라하고, 요나라장성은大連市의성벽 4곳 ( 前關長城, 土城子長城 1 段과複墻 ) 46) 이라한다. 표. 요녕성명나라장성유적 종류지역 烽火臺 城 ( 址 ) 堡 ( 城 ) 關門 敵臺 長城 隔墻 擋馬墻 壕溝 路河 驛 鋪舍 品字窖 총계 朝陽 北票市 9 1 14 6 葫蘆島 19 6 56 41 1 16 6 葫蘆島 興城市 9 9 89 87 6 綏中縣 86 1 8 66 146 7 北鎭市 1 1 4 659 黑山縣 1 4 9 19 9 7 錦州 義縣 55 6 76 77 凌海市 4 6 89 449 錦州市 7 1 1 9 7 5 阜新縣 19 66 阜新 彰無縣 5 5 17 阜新市 11 1 1 6 盤山縣 1 1 1 6 明長城유적 명나라장성유적은총,57 곳으로이를표로구분하면 < 표 > 과같다. < 표 > 에따르면요서지역과요동지역의장성유적분포비율은각각 1,86 곳과 1,84 곳으로 각각 5% 씩을차지하고있다. 개별지역가운데가장많은장성유적이분포하는지역은호로도 지역, 금주지역그리고철령지역의순서인데이세지역에전체의 57% 유적이분포하고있다. 또한한반도에가장인접한단동지역에 78 곳과그북쪽의본계지역에는 47 곳의유적이분포 하고있어각각네번째와다섯번째로유적이많은데전체의 % 를차지하고있다. 유적종류의 측면에서살펴보면, 봉화대가전체의 47% 이상을차지하고있고, 성벽유형이라고볼수있는 장성과적대역시 45% 이상을점하고있다. 주목할만한사실은요서지역의경우봉화대가 69 곳이고적대와장성이 86 곳인데반해, 요동지역의경우에는봉화대가 844 곳이고적대와장성이 4 곳으로요서와요동지역의유적유형이서로상반된모습을보여주고있다는점이다. 즉요 서지역은성벽성격의유적이다수를차지하고요동지역은봉화대유적이다수를차지한다는사 실이다. 구체적으로 < 인정표 > 상의각지역별유적과 지도집 의내용을비교해보면, 일부개별유적의경우새롭게명대유적으로포함된경우가있기는하나대체적으로는기존에조사가이루어져명대의장성, 봉화대혹은성지로확인되었던유적이금번 < 인정표 > 에반영된것으로확인되고있다. 먼저 < 인정표 > 상의조양지역북표시유적은대부분常河營鄕老爺廟村에소재하고있으나, 지도집 에는전혀이에대한언급이없고다만 淸柳條邊遺址北票市段 에서상하영향노야묘촌에청대유조변유적이확인되고있다고소개하고있다. 47) 4) 지도집, 165~166 쪽 ; 애하첨고성지에서는한대도기편과기와편, 五銖錢, 고구려의紅瓦當과蓮花紋瓦當, 요금시기의도기편등이발견되었다고한다 ( 曹訊, 靉河尖古城和漢安平瓦當, 考古, 198 년 6 기 ). 44) 지도집, 175 쪽 ; 봉성시소재고구려산성인鳳凰山山城이동남쪽으로 5km 지점에위치해있다. 45) 호로도시수중현은서쪽으로山海關이위치한河北省秦黃島市에서직선거리로약 7km 정도떨어져있다. 46) 大連市甘井子區前關村에서後關村을지나土城子村을통과하여발해만의瀋大公路까지이어지는라인이라고한다. 대체적으로요동반도가장끝부분에서오목한병목모양의지역을가로막는형태이다. 47) 지도집, 94 쪽 ; 근년의새로운조사를통해이지역청대유조변유적에서명대유적의흔적을확인한것인지, 아니면유조변과별개로명대의유적이새롭게발견된것인지는알수없다. 盤錦 大洼縣 7 7 5 盤錦市 소계 ( 遼西 ) 69 1 44 4 86 45 6 11 186 岫巖縣 8 8 台安縣 4 6 17 49 鞍山 19 海城市 4 1 1 9 鞍山市 1 遼陽縣 6 4 4 4 遼陽 燈塔市 1 14 51 遼陽市 1 法庫縣 1 瀋陽 遼中縣 1 1 1 89 瀋陽市 54 9 7 1 7 西豊縣 1 4 7 4 昌圖縣 51 1 11 18 84 鐵嶺 鐵嶺縣 41 7 17 1 86 57 開原市 69 7 1 17 7 1 鐵嶺市 16 1 11 1 4 新賓縣 4 6 1 撫順 撫順縣 58 17 9 17 15 撫順市 1 1 1 1 6 本溪縣 18 4 5 1 176 本溪 47 本溪市 7 1 71 寬甸縣 15 1 1 14 1 丹東 鳳城市 71 1 1 111 78 丹東市 5 7 소계 ( 遼東 ) 844 4 47 117 6 1 5 1 184 총계 11 5 91 7 5 676 6 11 1 5 1 57-14 - - 15-9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9

있다. 그러나 금주시 凌河區, 古塔區, 太和區의 경우 <인정표> 상의 5곳 유적 가운데 錦州城址 를 제외한 나머지 유적이 모두 지도집 에 소개되어 있지 않다.5) 阜新지역의 阜新縣54)에 위치한 장성라인도 두 자료가 공히 동일한 지역을 소개하고 있고, 彰 武縣의 봉화대 5곳도 모두 명대의 봉화대로 소개되고 있다.55) 그러나 부신시 淸河門區에 위치한 장성, 적대, 봉화대 등은 모두 지도집 에 빠져있다.56) 盤錦지역 盤山縣은 <인정표> 상에 언급된 봉화대를 연결했을 때 지도집 에서 소개하는 장 성라인과 일치하고 있고,57) 大洼縣과 興隆臺區의 봉화대 역시 대부분 지도집 에 소개되어 있 다.58) 鞍山지역 岫巖縣은 봉화대만 8곳이 있는데 지도집 에 모두 명대의 개별 유적으로 소개되 어 있고,59) 台安縣의 유적도 두 자료의 내용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6) 유적이 곳뿐인 안산시 千山區는 곳의 유적이 일치하고 1곳은 지도집 에 빠져있다.61) 그러나 海城市는 <인정표>에 언급된 봉화대 4곳 가운데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海城市段 표제어의 설명과 일치하는 곳이 4곳뿐이다.6) 遼陽지역 遼陽縣도 봉화대를 중심으로 한 명대 장성 유적의 위치가 두 자료에서 대동소이하게 소개되고 있다.6) 그러나 <인정표>의 성지 유적 4곳 가운데 하나인 長定堡는 요양현 柳壕鎭 高 力城子村 내부에 위치한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지도집 에는 해당 명칭의 유적이 없고 같은 지역 즉 유호진 고력성자촌 내부에 고구려의 성지인 高力城遺址 가 있다고 소개되어 있다.64) 燈 48) 호로도지역의 장성 자원은 금주시와 연접한 連山區 台集屯鎭에서 출발하여 서남쪽으로 호로도 시내를 향해 虹螺峴鎭, 大興鄕, 塔山鄕, 沙河營鄕을 지나 寺兒堡鎭까지 이어지고 다시 興城市의 元臺子鄕으로 들어가 서남쪽으로 白塔鄕, 紅崖子鄕, 南大鄕, 高 家嶺鄕, 圍屛鄕, 大寨鄕을 지나 綏中縣으로 이어지며 수중현에서는 高臺堡鎭, 高甸子鄕, 范家鄕, 前衛鎭, 永安堡鄕을 통해 河北 省 秦皇島 지역으로 이어진다. 성지 역시 대체적으로 장성 라인 인접 지역의 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포상황 은 지도집 에서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데, 연산구는 明長城遺址連山區段 과 沙河營長城址, 虹螺峴長城址 그리고 前峪東山長 城址 표제어(575~576쪽)에서, 흥성시에서는 明長城遺址興城市段 표제어(586~588쪽)에서, 수중현에서는 明長城遺址綏中縣段 표제어(594~595쪽)에서 각기 동일 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49) <인정표>에 따르면 흑산현의 명대 장성유적은 북쪽의 阜新縣에서 黑山縣 白廠門鎭 二臺子村으로 들어와 八道壕鎭, 太和鎭, 黑山 鎭, 大虎山鎭, 四家子鎭을 거쳐 台安縣으로 넘어가고, 봉화대와 적대, 성지 역시 이 라인을 따라 이어져 있는데, 이는 지도집 15~16쪽의 明長城遺址黑山縣段 표제어와 기타 성지 및 봉화대 유적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하게 확인되고 있다. 5) 북진시의 명대 장성유적은 북쪽으로 부신시와 연접한 大市鎭 大一村 團山溝 일대와 分稅關이 위치한 富屯鄕 台子溝 邊上屯 일대 에 분포하는데, 이는 지도집, 4~6쪽에 明長城遺址北鎭市段 표제어로 동일하게 소개되고 있다. 51) <인정표>에 언급된 義縣 소재 장성유적은 高臺子鎭에서 남쪽으로 頭臺鄕, 頭道河鄕, 留龍溝鄕을 지나 大定堡鄕으로 이어지고 있 고,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義縣段 표제어에서도 이와 동일한 라인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봉화대의 경우 <인정표>에는 55곳이 있으나 지도집 에는 7곳만 소개되어 있다( 지도집, 6~7쪽). 5) <인정표>에 언급된 능해시 소재 장성 유적은 북동쪽으로 溫滴樓鄕에서 시작되어 翠岩鎭을 거쳐 板石溝鄕을 지나 서남쪽으로 호 로도시 연산구의 장성라인으로 이어진다. 이는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凌海市段 에서도 동일하게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능해 시의 봉화대 유적 가운데 장성 라인과 관련 없이 능해시 동쪽과 남쪽에 위치한 16곳은 지도집 에 언급이 없어 새롭게 조사 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지도집, 197~198쪽). 5) 지도집, 19~195쪽. 54) 부신현의 장성라인은 동북쪽으로 國華鄕에서 시작하여 서남쪽으로 新民鄕, 臥鳳溝鄕까지 이어지고 있고 지도집 역시 明長 城遺址阜新縣段 표제어에서 같은 라인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장성라인의 개별 봉화대와 적대 및 참호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고 다만 부신현의 북쪽 建設鎭에 위치한 곳의 봉화대는 개별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지도집, 7~74쪽). 55) 지도집, 9~94쪽. 56) 지도집 에 소개된 청하문구 소재 명대 유적은 營盤城址와 沙河堡城址 두 곳 뿐이나 <인정표>에는 이 두 유적이 포함되어 있 지 않다. 그리고 지도집 에는 기타 <인정표> 상의 장성 관련 유적도 전혀 소개가 없다( 지도집, 5쪽). 57)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盤山縣段 표제어에 따르면 반산현의 명대 장성은 두 구간이 있는데, 한 구간은 黑山縣에서 台安縣 蔣坨 子로 들어와 반산현과 태안현의 경계선을 따라 남쪽으로 古城子鎭 三岔關 부근까지 이어지고 다시 遼河를 건너 海城市로 들어 간다. 다른 한 구간은 大荒鄕 德勝村에서 高升鎭의 동남쪽을 통해 三臺子를 지나 태안현으로 들어간다( 지도집, 566쪽). 이 는 古城子鄕, 沙嶺鎭, 高升鎭, 大荒鄕에 위치한 <인정표> 상의 봉화대 1곳을 연결한 라인과 일치하고 있다. 또 지도집 에 는 그 외의 성지 및 봉화대도 모두 명대 유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지도집, 566~567쪽). 58) 대와현에는 봉화대만 7곳이 있는데, 그 가운데 평안향 태평방촌에 위치한 太平房烽火臺를 제외한 나머지 6곳(大狐狸臺, 哈巴臺, 台子前, 西楡樹臺, 七號地, 靑堆)은 모두 지도집 에 명대 유적으로 소개되어 있고( 지도집, 569쪽), 흥륭대구에는 곳(裴 家, 興隆臺)의 봉화대만 있는데, 역시 지도집 에 모두 명대 유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지도집, 56쪽). 59) 지도집, 11~114쪽; 지도집 에도 별도의 장성구간 표제어는 없다. 6) <인정표> 상의 태안현 소재 장성은 동남쪽의 韭菜臺鎭 시작하여 高力房子鎭, 富家鎭, 新臺鎭, 桑林鎭을 지나 서북쪽의 黑山縣 四家子鎭으로 이어진다고 하는데 이는 6곳의 적대 및 4곳의 봉화대 연결선과 일치하고 있고, 또한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台 安縣段 표제어에도 동일한 라인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 봉화대나 적대에 대해서는 별도의 소개가 없다( 지도집, 17쪽). 61) 지도집 에 따르면 鞍山驛堡는 원래 遼代의 鞍山城城址였던 곳의 동쪽 모퉁이에 세워졌다고 하고 四方臺烽火臺는 명나라 萬曆6 년에 세워졌다고 한다. 그러나 劉家臺棒火臺는 소개되어 있지 않다( 지도집, 98쪽). 6) 지도집 에 따르면 해성시의 명장성은 해성시 서북쪽의 평지에 위치한 西四鎭에서 시작되어 牛庄鎭, 望臺鎭, 騰鰲鎭을 지나 新 臺子鎭으로 이어지는 U자 형태를 띠고 모두 4여 기의 봉화대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지도집, 14쪽), <인정표>에 언급 된 해당 지역 봉화대는 官草村, 東小村, 頭 臺村, 六臺子村烽火臺뿐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해성시 동남쪽 산악지역에 치우쳐있다. 6) <인정표>의 봉화대와 장성유적은 小北河鎭에서 黃泥洼鄕, 柳壕鎭, 唐馬寨嚮을 거쳐 穆家鄕으로 이어진다고 하고, 지도집 역시 明長城遺址遼陽市段 표제어에서 소북하진, 황니와진, 유호진, 당마채진으로 이어지고 총 4여km라고 소개하고 있다( 지도 집, 9쪽). 64) <인정표> 상의 長寧堡를 지도집 에서는 唐馬寨城址로, 長安堡는 黃泥洼城址로, 甛水站堡는 甛水站城址로 소개하고 있으나, 장정보는 소개가 없다. 그러나 <<奉天通志>>권75(194년 王樹楠 등 편찬, 198년 동북문사총서편집위원회 표점본, 17쪽)에 - 16 - - 17 - 그림 11. <요녕성장성인정표>에 근거한 요녕성 소재 한나라 장성유적 분포도 葫蘆島지역의 경우 두 자료에 차이가 거의 없다.48) 錦州지역의 장성유적 역시 가장 동쪽의 黑山縣,49) 그 서쪽의 北鎭市 모두 두 자료에 큰 차이 가 없으나, 다만 <인정표> 상의 북진시 소재 봉화대 유적은 장성 라인과 다르게 분포되어 있고, 지도집 에서도 총 1곳 가운데 魏家嶺烽火臺址, 小嶺子烽火臺址, 四方臺烽火臺, 白雲關烽火臺 址, 駱駝峰烽火臺址, 曾家嶺烽火臺址를 제외한 나머지 4곳은 소개가 없다.5) 북진시 서쪽의 義 縣51) 그리고 의현 남쪽의 凌海市5) 또한 두 자료의 장성유적 분포상황이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94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95

塔市의경우 < 인정표 > 에서는모두 1곳의봉화대와 곳의성지가있다고하나, 지도집 에는 곳의성지만소개되어있고나머지봉화대는모두빠져있다. 65) 기타요양시에는西八里庄城址, 首山堡城址그리고遼陽城도장성유적으로언급되어있다. 66) 瀋陽지역은遼中縣과法庫縣의경우두자료의장성라인이거의일치하고있다. 67) 그러나심양시의경우東陵區에있다고하는봉화대 7곳이 지도집 에는모두빠져있고, 68) 그에반해 지도집 에는蘇家屯區소재 9곳의봉화대가소개되어있으나 < 인정표 > 에는한곳도언급되지않았다. 69) 于洪區는두자료가일치하고, 7) 瀋北新區는일부일치하는유적이있기는하나 지도집 의소개가불명확하여더정확한면모를확인하기가어렵다. 71) 鐵嶺지역의西豊縣, 7) 昌圖縣, 7) 鐵嶺縣, 74) 開原市 75) 등은두자료모두거의일치하고있으나, 鐵嶺市淸河區의경우는 < 인정표 > 상에楊木林子鄕구간과聶家鄕구간이언급되고있지만 지도집 에는聶家鄕구간이빠져있다. 76) 撫順지역의경우撫順市東州區는두자료가거의일치하고, 77) 順城區는봉화대유적에서약간의차이가보이며, 78) 望花區의봉화대 4곳은 지도집 에서확인되지않는다. 또撫順縣도 < 인정표 > 의장성유적이 지도집 에는전혀소개되어있지않고, 79) 新賓縣은두자료에서약간의차이를보이는데, 지도집 에서는명대장성이葦子峪鎭과下夾河鄕에걸쳐있다고하나, 8) < 인정표 > 에서는하협하향구간의장성유적만을언급하고있다. 또하나특이한점은이지역봉화대가운데太子城北山烽火臺가고구려산성유적인太子城山城내부동쪽에위치한다는사실이다. 물론이에대해 지도집 에서는태자성산성내부에두곳의봉화대가있는데모두명대까지이용되었다고소개하고있고, 81) 또 199년에발표된佟達의논문에서도역시태자성산성의두봉화대가모두명대까지사용되었던것으로판단하고있기는하다 (< 그림 1> 참조 ). 8) 本溪지역의본계현 8) 과본계시모두두자료상의장성유적이서로일치하고있다. 다만계호구에소재한다는邊牛烽火臺의경우, 歪頭山鎭邊牛村三組동남쪽 1km 거리의산정상에위치한다고언급하고있고, 이에대해또본계박물관홈페이지에게재된 봉화에대한묵상 [ 烽火幽思 ] 84) 이라는글에서는지난 7년부터시작된중국의제차전국문물조사 [ 全國文物普査 ] 를통해계호구왜두산진변우촌에서명대장성유적인前臺山烽火臺를발견했다고소개하고있다. < 인정표 > 상의변우봉화대가바로이전대산봉화대를말하는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 지도 서는역시고력성자촌이장정보의옛땅 ( 又西南逕高麗城子村, 村爲明邊堡長定堡故址, 중국정부는원래의고려성자촌을고력성자촌으로변경하였다 ) 이라기록하고있다. 그러나 < 인정표 > 와 지도집 이모두장정보와고력성지가동일하게 高力城村內 에위치한다고소개하고있고, 또 지도집 에는大川城址라는명대성지가고력성촌동남쪽 1km 지점에위치한다는소개도있다. 이상세유적이모두별개의유적인지혹은상호어떤관계를갖는유적인지현재로서는확인이안되고있다 ( 지도집, 8~9 쪽 ). 65) 接官廳城址와前古城城址는명대의성지로소개되어있으나봉화대혹은장성유적에대해서는전혀언급이없다 ( 지도집, 6~8 쪽 ). 66) 요양성은즉고구려의遼東城으로, 지도집 에서는이에대해, 전국시대연나라부터명대까지이용되었는데한대에는襄平, 고구려에서는遼東城, 요와금시기에는東京遼陽府, 원대에는遼陽路治所가되었고, 명대에는원대의옛터에遼東都司鎭城을세웠다 고소개하고있다 ( 지도집, 1 4 쪽 ). 67) 요중현의경우 < 인정표 > 상의개별봉화대유적은西長灘鄕, 茨楡坨鎭, 肖寨門鎭에분포하고있으나 지도집 에는언급되어있지않다. 하지만그연결선은대체적으로이지역장성라인 ( 四方臺長城, 茨楡垞長城 ) 과일치하고있고, 또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遼中縣段 에서도동일지역을언급하고있다 ( 지도집, 쪽 ). 그리고법고현은 < 인정표 > 의戴荒地長城이鐵嶺縣阿吉鎭에서시작되어瀋北新區石佛寺村으로이어진다고했고, 이는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法庫縣段 에서그대로언급되고있다 ( 지도집, 54 쪽 ). 68) 지도집, ~ 쪽. 69) < 인정표 > 에는 곳의堡 ( 奉集堡, 武靖營堡 ) 와 1 곳의역참 [ 虎皮驛 ] 유적만언급되어있다 ( 지도집, 18~19 쪽 ). 7)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于洪區段 표제어에따르면, 요중현에서들어와대번진, 사령가도, 마삼가진, 광휘향을지나심북신구로들어가며연도에모두 15 기의봉화대유적이있다고하는데 ( 지도집, 5 쪽 ), 이는 < 인정표 > 에언급된 萬金臺長城, 四方臺長城, 三臺子長城, 沙嶺長城, 彰驛長城 의라인과일치한다. < 인정표 > 에는또이장성라인연도에위치한봉화대유적 곳도언급되어있다. 71) < 인정표 > 에따르면장성구간은石佛寺鄕의馬門子村에서死龍灣村까지이고, 또봉화대는石佛寺鄕, 淸水臺街道, 新城子街道, 輝山街道, 財落街道, 興隆臺街道등지에분포한다고하나,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瀋北新區段 표제어에서는 서북쪽흥륭대, 석불사, 黃家鄕에위치하는데우홍구에서들어와동북쪽으로석불사로이어진다. 많은구간이이미훼손되었고몇기의봉화대만남아있다 고소개하고있다 ( 지도집, 쪽 ). 7)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西豊縣段 표제어에서는郜家店鎭과城平鄕으로이어진명대장성과 19 기의봉화대를소개하고있고 ( 지도집, 44 쪽 ), < 인정표 > 에서도동일지역에장성유적과봉화대가위치해있다고언급하고있다. 7)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昌圖縣段 표제어에서는開原市에서昌圖縣으로들어와亮中橋鎭, 老城鎭, 太平鄕을지나동쪽으로泉頭鎭으로이어져大台山북쪽에서동남쪽으로개원시蓮花鎭으로들어가며, 연도에 15 기의봉화대가있다고소개하고있고 ( 지도집, 7 쪽 ), < 인정표 > 에도동일위치의장성유적이언급되어있다. 다만봉화대의경우 < 인정표 > 에는昌圖鎭, 通江口鄕, 馬仲河鎭등지에위치한 9 곳이더언급되어있다. 74)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鐵嶺縣段 표제어에서는철령현의장성이두구간으로한구간은大甸子鎭, 李千戶, 橫道河子鄕, 三岔子로이어지는구간이고, 다른한구간은鎭西堡, 蔡牛, 凡河, 腰堡로이어지는구간이라고소개하고있고 ( 지도집, 쪽 ), < 인정표 > 에서도동일위치의장성유적이언급되고있다. 75) 지도집 의 明長城遺址開原市段 표제어에서는개원시의장성이두구간으로하나는雲堡鎭, 八寶鎭을지나는구간이고, 다른하나는蓮花鎭으로들어와서풍현과淸河區柴家嶺, 聶家鄕을지나개원시松山堡鄕, 搞山鎭, 大甸子鎭으로이어지는구간이라고소개하고있고 ( 지도집, 18~19 쪽 ), < 인정표 > 에도동일위치의장성유적이언급되어있다. 76) < 인정표 > 상의장성유적은楊木林子鄕에서聶家鄕으로이어지고, 봉화대역시두지역과張相鎭에분포하는것으로언급되고있으나, 지도집 에서는별도의장성구간에대한설명은없고, 楊木林鄕內烽火臺址 라는표제어에서해당구역내의 봉화대가장성의적대나장성인근혹은산정상에설치되어있다 고만소개하고있다 ( 지도집, 15 쪽 ). 77) 지도집 에서는阿金溝烽燧址, 小臺溝烽燧址, 그리고武家堡長城址및봉화대지, 小臺溝長城址및봉화대지등의명칭으로명대장성을소개하고있으나 ( 지도집, 1 쪽 ), < 인정표 > 에서는이를모두연결시켜 阿金溝長城 으로소개하고있다. 그림 1. 태자성산성평면도 ( 佟達, 遼寧新賓縣高句麗太子城 에서인용 ) 1. 외성. 내성. 북벽 4. 동벽 5. 동봉화대 6. 내성문 7. 내성벽 8. 남벽 9. 남문 1. 서벽 11. 서봉화대 1. 북문 1. 우물 78) < 인정표 > 에서는撫順關長城이라는이름으로순성구前甸鎭에위치한장성유적을언급하고있는데, 지도집 에서는이를 關領長城址및봉화대 라는명칭으로소개하고있다. 한편 < 인정표 > 에는또會元鄕에위치한 7 곳의봉화대도언급하고있으나 지도집 에는이자료가빠져있다. 79) < 인정표 > 에서는이지역의장성유적이馬圈子鄕, 後安鎭, 上馬鄕, 蘭山鄕, 章党鄕, 哈達鎭등에걸쳐존재하고봉화대와적대역시동일위치에서확인된것으로언급하고있으나, 지도집 에서는이에대한소개가전혀없다. 물론 지도집 에도상마향과장당진의봉화대 곳을소개하고있기는하나, 이두유적은또 < 인정표 > 에서언급되지않았다 ( 지도집, 19 쪽 ). 8) 지도집, 14 쪽. 81) 지도집, 1 쪽 ; < 인정표 > 에서는태자성산성내부의동쪽에위치한봉화대한곳만언급하고있으나, 지도집 에서는성내부동쪽과서쪽끝에두곳의봉화대가있고명대에도이용되었다고소개하고있다. 8) 佟達은태자성산성의동쪽봉화대주위에서명대의전돌이발견되었고, 서쪽봉화대의경우에는명대요동지역의봉화대에서흔히확인되는참호 ( 폭 m, 깊이.5~1m) 가발견되어, 이두봉화대가명대에도모두사용되었던것으로판단하였다 ( 遼寧新賓縣高句麗太子城, 考古, 199 년제 4 기 ). 이상의자료에따르면태자성북산봉화대는고구려의유적이면서명대에도사용되었던것으로판단되기는하나, < 인정표 > 에서쪽의봉화대가누락된이유는설명되지않고있다. 이와관련해서북산봉화대를포함하여역시더심도깊은조사가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된다. 8) 본계현의장성유적과봉화대등은南甸子鎭, 堿廠鎭, 東營坊鄕, 高官鎭, 草河口鎭등지에분포하고있다 ( 지도집, 147~15 쪽 ). 84) 본계박물관홈페이지 1 년 4 월 일자 烽火幽思 참조 (http://www.bxmuseum.com/second/kgtd/kgtdtext.jsp?kgtdid=1). - 18 - - 19-96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97

집 에서는이에대해별도의소개가없는데이는이봉화대가지도집이출판된후에발견된유 적이기때문일것이다. 다만 지도집 에는따로왜두산진변우촌동쪽 m 지점에원래 邊 牛山城 이있고이변우산성은고구려의산성이며고구려의泥質灰褐陶片이출토되었다고소개 하고있다. 이변우산성과변우봉화대사이에어떤관계가있는지여부는역시구체적인자료가 확보되어야확인이가능할듯하다. 85) 丹東지역寬甸縣의봉화대를포함한명대장성유적은靑椅山鎭, 虎山鎭, 灌水鎭, 寬甸鎭, 永 甸鎭, 長甸鎭, 毛甸子鎭, 石湖溝鄕, 紅石鎭, 大西岔鎭등지에분포하고있다고하고, 이는 지도 집 에서도동일하게소개되고있다. 86) 주목할만한사실은호산진에위치한호산장성으로, 지도집 의 虎山遺址 표제어에서는명대의석벽과적대등이남아있기는하나본래고구려 의泊汋城이었을것으로추정하고있다. 구체적으로 산아래에는고구려시기의대형우물이있 고우물에서배와노그리고雙橫耳大陶罐등이출토되었으며, 산정상에는고구려시기의석벽 5 여 m 가남아있는데보존상태가양호한곳은높이가 1.75m, 폭.5m 이며고구려의철기甲片, 鐵鏃, 鐵斧, 鐵鎌등이출토되었다 87) 고분명하게소개하고있다. 또한 舊唐書 권 69, 열전제 19 의薛萬徹조와 三國史記 권 高句麗本紀 제 1 寶藏王 7 년조에따르면, 설만철이고구려 를치기위해 만군사를이끌고萊州에서바다를건너압록강으로 1 여리를들어와박작성 에이르렀는데박작성이험준한산과압록강이라는천혜의방어조건을갖춘탓에성을공략하지 못했다고한다. 88) Google 지도에따르면압록강어귀에서소위호산장성까지의직선거리는약 5km 인데, 唐代의 1 리는약 5m 였으므로 89) 대략 1 리정도가되어, 설만철이침공했던고구 려의박작성이바로현재의소위호산장성에해당된다고판단된다. 그러나중국에서는 199 년에 통과된 虎山長城修復設計方案 9) 에따라성벽의모습을명대장성의모습으로왜곡시켰고 명대장성의동쪽기점이山海關이라는기존학설을깨고이호산장성이명대장성의동쪽끝이 라는주장을하고있다. 단동지역鳳城市의봉화대및장성유적은東湯鎭, 石城鄕, 靉陽鎭, 大堡鄕, 兄弟山鎭, 賽馬鎭, 劉家河鎭, 鷄冠山鎭, 紅旗鎭, 通遠堡鎭, 四門子鎭등지에분포하고있고이는 지도집 에서도 동일하게소개되고있다. 91) 그러나단동시振安區의경우에는총 5 곳의봉화대유적가운데前 進烽火臺址 1 곳만이 지도집 에소개되어있고나머지는모두빠져있다. 9) 이상과같이요녕성소재명대장성유적또한연대장성, 한대장성과마찬가지로대부분유 적은기존의조사결과가그대로반영되고있으나, 금번의새로운조사결과가더해지면서새롭 게등장한유적도있고또빠져버린유적도있으며, 조양지역북표시의유적처럼기존에청대 85) 변우산성외에본계시南芬區의경우下馬塘鎭, 郭家街道, 思山嶺鄕등지에봉화대유적이있고, 明山區에는臥龍街道, 東興街道, 高臺子鎭, 牛心臺街道등지에봉화대유적과한곳의성지가있으며, 溪湖區에는東風街道, 張其寨鄕, 歪頭山鎭柳峪村등지에봉화대유적이있고, 平山區에는橋頭鎭과北臺街道등지에봉화대유적이있다 ( 지도집, 14~141 쪽 ). 86) 지도집, 18~186 쪽. 87) 지도집, 18~184 쪽 ; 1 년에발표된王禹浪, 王文軼의 丹東地區的高句麗山城 ( 哈爾濱學院學報, 1 년 기, 5 쪽 ) 에서도 현재, 학술계에서는이미이를고구려의박작성으로판단하고있다 고밝히고있다. 88) 秋七月,, 太宗遣將軍薛萬徹等來伐, 渡海入鴨淥, 至泊灼城南四十里止營. 泊灼城主所夫孫, 帥步騎萬餘拒之., 泊灼城因山設險, 阻鴨淥水以爲固, 攻之不拔. ( 三國史記 권 高句麗本紀 제 1 寶藏王 7 년 ); 二十二年, 萬徹又爲靑丘道行軍大總管, 率甲士三萬自萊州泛海伐高麗, 入鴨綠水, 百餘里至泊汋城, 其城因山設險, 阻鴨綠水以爲固, 攻之未拔. ( 舊唐書 권 69, 열전제 19, 薛萬徹 ). 89) 胡戟, 唐代度量衡與畝里制度, 西北大學學報 ( 哲學社會科學版 ), 198 년 4 기참조. 9) 단동시정부는 199 년 월고고학, 건축학, 조경학등의전문가들을초청하여명대장성의동쪽기점복원설계를위한회의를개최했고, 이회의에서호산장성수복설계방안을통과시켰다. 곧이어요녕성문화청은이방안을중국국가문물국에보고하여비준을얻었고, 그에따른복원공사가이루어지게된것이다. 91) 지도집, 176~177 쪽. 9) 지도집, 166 쪽. 그림 1. 호산장성위성지도유조변유적으로알려졌던것이명대유적으로소개되는경우도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유적의변화는다른시대유적과마찬가지로중국측에서좀더구체적인자료를공개한후에야그실체를확인할수있을것이다. Ⅲ. 나오는말이상과같이중국에서발표한동북성소재장성유적들은대부분이이미중국내에서는소위장성유적이라고명명해왔던유적들이다. 그러나그가운데에는우리의역사즉고구려나발해와관련이있는유적들도포함되어있는데, 우선가장확실하게고구려혹은발해의유적이었다고꼽을수있는것으로흑룡강성의목단강변장 ( 강동변장, 경박호변장 ) 이있다. 이는발해의상경용천부를방어하려는목적으로축성된성벽으로상경용천부가위치했던영안시발해진의북쪽과남쪽에자리잡고있다. 또하나는요녕성단동시에위치한소위호산장성으로, 이는고구려가당의침략을방어하기위해압록강변에축성했던산성인박작성이었다. 그리고길림성에자리잡고있는노변강토장성의경우도마찬가지로고구려가당을방어하기위해축성했던천리장성의한부분인것으로판단되고있다. 한편확실한증거는찾을수없으나우리역사와관련이있을것으로추정되는유적으로길림성의연변장성이있는데, 이연변장성은중국내에서도발해, 고구려, 그리고동하국과관련이있을것이라는다양한의견이제시되고있으나결론은내려지지않은상태라고한다. 그외에몇대의왕조를거쳐이용되는가운데고구려도일정기간점유하고있었던유적이있다. 즉요녕성요양시의요양성 ( 즉고구려의요동성 ), 무순시의노동공원성지, 단동시의애하첨고성지, 신빈현의영릉남성지는한대에축성되기는하였으나고구려에서도이를계속사용하였고, 길림성통화현의남대자고성은최근의조사를통해한대평지성의특징을보인다고발표하 - - - 1-98 중국의장성자원조사현황 99

그림 14. <요녕성장성인정표>에 근거한 요녕성 소재 명나라 장성유적 분포도 고 있지만 과거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던 즉 고구려의 유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유적이다. 끝으로, 확인되는 자료가 부족하여 주변의 우리 유적과 관련성 문제를 명확하게 결론내릴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면 무순시의 고이산장군봉봉화대는 고구려의 고이산성 내부에 위치 하는 유적으로 이 두 유적 사이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고, 마찬가지로 요양현 의 장정보와 고구려 유적인 고력성유지 사이의 관계, 신빈현의 태자성북산봉화대와 태자성산성 사이의 관계, 본계시의 변우봉화대와 변우산성 사이의 관계 역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의 역사와는 관련이 없지만 금번 중국에서 발표한 장성유적 가운데에는 또 기존에 알려져 있던 시대와 차이를 보이는 유적도 있었다.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근거에 의해 시대에 변화가 생긴 것인지는 중국 측에서 자료를 발표해야만 확인이 가능할 것이기에 관심을 두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또 그들은 금번 장성보호공정 이 문화유산의 합리적이고 유효적절한 보호와 보존을 그 목적 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기는 하나, 기존에 이미 현재의 동북성 내에 소재하는 각 시대별 장성 자원이라고 명명해왔던 유적들을 굳이 총 길이와 유적 숫자를 언급하며 공식적인 자국의 장성유 적이라고 발표한 이유 역시 고민해야 할 것이다. - - 1 중국의 장성자원 조사 현황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