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말 김수근의 도시건축에 나타난 인공대지에 관한 연구 텔리아가 신 제안한 도시 라 치타 바 (La Citta Nuova, 1914)는 대한 기 계와 같은 다 의 입 도 시 가운 인공의 대지를 표출하고 있으며, 자 모 테 트 의 아트 공 (1916~23)에 계된 상 의 자동 트 은 기성의 은 적 제 그림 1. 안토니오 산텔리아, 관념을 라 치타 누오바, 1914 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모 아이디어를 대 성해 가 력 있는 디자인으로 내 은 이는 시 제다. 그가 1922년에 전시한 현대도시( ille Contemporaine) 계획안은 여 있는 지 위에 60 의 누오 데 마 장 스처 코르뷔 장 영향 유 루코 뒤집 든 놓 녹 층 거 체 코 피 설 옥 랙 혁신 집 역 르 V 층 그림 2. 르 코르뷔제, 현대도시 중심부의 인터체인지(좌) 및 브와장 계획(우), 1925 거대한 마천루가 줄지어 선 것이 특징인데, 도시 중심에 는 보행로와 분리된 자동, 철도, 공항의 교통체계가 인 공대지에 기반해 여러 층으로 교한다. 그리고 주거블록 의 각 유닛에는 공중정원이 계획됐고, 지붕에는 육상트랙 이 설치돼 자연을 극복한 새로운 지면의 가능성을 선보 였다.8) 이 같은 현대도시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적용된 예 가 파리의 구도심 재개발을 위해 제안한 브와장 계획 (Plan Voisin, 1925)이다. 이는 구도심의 완전한 철거에 근거한 실현될 수 없는 프로젝트였으나, 여기서 코르뷔제 는 동일한 밀도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여유 있는 녹지와 현대적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9) 코르뷔제의 도시 계획 아이디어는 1930년대 알지에의 오뷔스 계획(Plan Obus)이나 빛나는 도시(Ville Radieuse) 로 이어지며 선 형도시 유형이 도입되는 등 몇몇 이를 보이지만 인공 대지에 대한 기본적 입장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일부 개념이 1950년대의 위니테 다비타시옹으로 도 이어짐은 주지의 사실이다. 모더니즘이나 코르뷔제를 적극 수용했든 이에 반기를 들었든, 이후 세대 건축가들에게도 인공대지는 계속해서 발전시켜야할 테마였다. 그 사례는 매우 다양하지만10) 특 브 장 두 영역 음 오 앞 책 레 너 넘 후 메 스 럭처 종합 데 특별 8) 현대도시 와 와 계획 모 1925년의 Urbanisme 에 출판됐다. 본으로는 다 을 보시. Le Corbusier, The City of To-Morrow and Its Planning, Dover, 1987. 9) 의, p.p.278-281. 10) 이 배 은 1960년대를 전 로 한 세계 건축계의 다양한 가 트 를 한 바 있는, 그가 히 강조하지는 않았 거론 스 슨 베 린 층 레벨 써 행 분 드 V 콘스탄 뉴 빌론 등 터 격 메 스 럭처 변 유 반영 편 영향 되 메 즘 룹역 밀접 련되 데 특 게 겐 쿄플랜 주 잘 알 졌듯 후 폐허 쿄 량 쿄 선 거 설 따 유 확장 록 처럼 주 게 유효 금까 약술 례 케 접 역 었 기할 만한 것을 한다면, 미 부부 의 를 계획(1957) 은 다 의 도시 로 보 로와 자동 로를 리한 것이 인상적이며, 요나 프 리 만의 공간적 도 시( ille Spatiale, 트 그림 3. 단게 겐조, 도쿄플랜, 1960 1958~62) 나 의 바 (New Babylon, 1959~74) 프로젝트 은 자연대지로부 이 된 가 트 의 가 적 요소를 통해 현대도시의 동 성을 한다. 한, 김수근으로의 관계가 제기 는 일본의 타볼리 그 시 인공대지 개념과 히 관 는, 히 단 조의 도 (1960)은 목할 만하다. 려 이 계획안은 이 대전 가 된 도 의 도시문제를 해결할 요 으로 도 만 위 형의 도시축에 대한 인공 구조물을 치한 것으로서, 축을 라 도시의 자 로운 이 가능하도 고안됐다.11) 이 인공대지의 요소는 20세기의 도적 건축가들 에 한 도구가 됐고, 지 지 한 대표적 사 들은 1960년대 김수근의 인공대지 개념을 형성 한 직 간 적인 사적 배경이 다. 2.2 김수근의 인공대지 개념 도입 요인 김수근이 미래의 도시상 을 출판한 1962년 1월은 박정 에 의해 제1 경제개 5개년 계획 (1962~67)이 시작된 시점으로서, 부에 의한 것이 했지만 경제 개 을 통해 새로운 사 를 건 자 한 의가 나라 전 에 지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건축이 국가의 재 건 에 용한 도구라는 적 면에 해, 세계 건축계 12) 의 을 던 건축가 김수근의 심이 시 미래 의 도시 를 구상 한 인자 을 것이다. 지 은 글이지만 여기서 김수근은 미래도시에 대한 자 의 입 을 히 보여 다. 그는 미래의 도시상을 정 히 하기 우 어려운 일이라는 말로 글을 시 작하면서도, 현대의 도시와 건축에 있어서 전통의 보수성 에 한 의 필연성을 력한다. 그리고는 글의 중심 단 에 계획적인 서 (정 히는 을지로 )의 문제를 해 희 막 발 반 퍼 유 흐름 좇았 발 군 긴 회 설코 열 실질 측 더 야 당 케 였 길 않 신 장 명확 준 확 파악 란 매 반 변화 락 무 피 울 확 많 메 스 럭처 R 게겐 쿄플랜 음 오 丹下健三 藤森照信 丹下健三 新 社 흐름 열망 노 든 흐름 민 게 읽 못 르 코르뷔 초 거 둔 뒤늦 몬 엑스포 야 최신 향 체 런추 측 뒷받침 으나 은 경우에 있어서 인공대지는 가 트 의 중요 요소 다. eyner Banham, Megastructure: urban futures of the recent past, Thames and Hudson, 1976. 11) 단 조의 도 에 대해서는 다 을 보시.,,, 建築, 2002. 12) 김수근이 세계 건축계의 을 인지하려던 이나 력 에 비해 모 을 감하 지는 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글에서 그가 제의 기 아이디어에 근 를 점은 시 기적으로 다소 은 감이 있다. 1967년 트리올 를 통 해서 테크놀로지의 국제적 경 을 감한 점도 이 을 한다. 였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호(통권315호) 2015년 1월 97
1960년대 말 김수근의 도시건축에 나타난 인공대지에 관한 연구 무지구의 바깥쪽으로는 간선도로가, 섬을 둘러싼 윤중제 를 따라서는 저속의 자동도로가 계획됐다. 옥상공간의 주 외 인공대지를 보여 며, 건물 내 부의 간도 강조하고 있다. 녹지공 그림 10. 여의도 계획안(1969) 세로축 단면 그림 8. 여의도 계획안(1969) 마스터플랜 (방위표 필자 삽입) 련 장눈 띄 채 행 유롭게 오갈 술 듯 회 청 루 행 루 체 분 민광장 역 행 루 매 주 거 등 확장되 데 선 효율 화 분 뿐 터분 터 준 편 초 밀 역 거 특 무 군집 층 립 聳立 군 층탑 쇄 키 데 돼 뿐 밀 향 주변 녹 확 케 른 < 림 > 롯 별 브 인공대지와 관 해 여의도계획에서 가 에 는 것 은 자동 가 배제된 보 자만이 자 수 있 는 보 자 공간이다. 전 했 국 와 시 을 연결하는 가로축과 프형 인공대지가 보 로를 이 고, 세로축과 입 적으로 교 하는 부 은 시 의 할을 수 한 다. 여의도계획은 이를 새로운 지면 이라는 용어로 표현 했다.35) 이 새로운 지면은 프형 인공대지를 개로 지구나 공관지구 으로 는, 이는 동 의 와 보 리를 목적으로 할 만 아니라, 도시공간에 자연의 대지로부 리된 인공의 전을 제공해 다.36) 한 이 기안의 도계획 시 인공대지 아이디어에 근 한다고 볼 수 있다. 히 상업 업 지구에 된 고 건물은 김수근이 언급했던 용 ( )하는 인공대지 의 고 연 상형 을 연상시 는 가운 서로가 인공대지 로 연결 있을 만 아니라, 도 상을 통해 의 지 보를 가능 하고 있다. 여의도의 세 로축을 자 단면도 그 10 는 새로 운 지면을 비 해 개 건물 사이를 그림 9. 여의도 계획안(1969) 모형 연결하는 리지나 행 발 따르 步行者專 駐車場 + 데 널 접 준 때 행 터 장 손쉬 장 분 되 야 두 토 행 키 汝矣島 爲 前提 假設 35) 여의도 및 한강연안개 계획 (1969)에 면, 의 새로운 地 (new land for pedestrian) 은 위 7m 상에 상업지 모 를 관통하는 가운, 가로축 양단과 중간에 된 대 교통의 미 3개소를 직 이어 다(p.63). 36) 자동 는 필요할 보 자로부 가 운 소에 있 어 하면서 그 의 경우에는 리 어 있어 하며, 이 가 지 모 를 만 시 는 것이 인공으로 만들어진 지를 보 자 전용으로 자동 와 대중교통 위에 위치시 는 것이다. MASTE PLAN을 한 와, p.17. 用 마련 야 面 역 두 터 외 두 족 키 開發 R 량 여의도계획에서의 이러한 인공대지 개념도 2.2절에서 분석한 김수근의 아이디어와 비교할 수 있다. 첫째, 그가 추구하던 자동로부터 자유로운 보행자에 대한 생각은, 새로운 지면 및 교통계획 개념으로 구체화된 보분리에 서 명확히 나타난다. 둘째, 고층건물의 배치를 통한 밀도 향상 및 녹지확보의 특성 또한 이미 확인한 바다. 셋째, 개별주거의 융통성에 대한 적용은 그다지 자세히 드러나 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터플랜의 주거지구계획에서 주거환경지구 를 설정하고 그 안에서 각 주호의 크기를 다양화한 점은37) 그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 바라고 하겠다. 넷째, 김수근의 미래주의적 입장 은 여의도계획이 가지는 도시계획의 특성에서 감지할 수 있다. 서울이라는 도시의 확장을 위해 선형축을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건물을 배치한 바는 전술했던 단게의 도 쿄플랜(1960)과 흡사하다. 단게가 여기서 선보인 미래도 시가 가지는 속도와 기능에 따른 도로의 위계와 이를 도 시조직 내로 끌어들이는 개념 이38) 여의도계획에도 유사 하게 적용된 것이다. 또한 기능에 따른 여의도의 조닝은 코르뷔제의 빛나는 도시 를 연상시키고, 고층건물과 결합 된 다층의 입체적 도시구조는 코르뷔제뿐만 아니라 산텔 리아의 미래주의 신도시와도 직접적으로 교감한다. 결국 이러한 여의도의 인공대지 개념과 그 속에 담긴 도시의 이미지는 김수근이 품었던 메가스트럭처의 미래주의 입 체도시를 엿보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3 세운상가에서 여의도로 변화하는 인공대지 지금까지 고찰한 각각의 프로젝트를 비교해보면, 세운 상가에서 메가스트럭처의 보행데크로서, 혹은 주거영역을 위해 조성된 일종의 기단으로서 시작된 인공대지 개념이 여의도에서는 교통계획에 포함된 하나의 도시계획적 범 주로 크게 확대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39) 이는 윤승중 (1994)이 세운상가에서 시작된 도시건축 개념이 발전해 여의도의 마스터플랜에 적용됐다고 진술한 바와 일치한 앞 37) 의 글, p.20. 38) 정인하, 1996a. 39) MASTE PLAN을 한 와 (1969) 은 여의도의 인공대지 개념이 세운상가계획과 대문지구재개 계획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현대 도시에서 가 한 요소라 고 력한다. 시의 대문계획(1969)에 대해서는 한국 기 개 공사 30년사 (p.p.501-511)를 보시. 汝矣島開發 R 먼저 피 당 남 술 발 爲 前提 假設 남 발 불 피 종합 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호(통권315호) 2015년 1월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