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D6C1BE322DB1E8BFF9B0E82E687770>

Similar documents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05_(09.30) 이윤진, 김용문 (63~78p).hwp

2104.hwp

김월계 / 전통어린이복식을응용한원피스디자인연구 Ⅰ. 서론 경제수준의향상은의식주전반에거쳐전통문화에대한관심으로이어졌으며최근한 ( 韓 ) 브랜드사업과다양한문화관련행사들은구체적으로전통문화를접할수있는계기를제공하고있다. 특히전통복식에관하여가장자료가많은조선시대로부터고대까지점차범위를

04(13-07)p fm


미술00부속(001~007)2ee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服飾

지도학발달06-7/8/9장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005) ,,.,..,,..,.,,,,,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

12Á¶±ÔÈŁ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쌍백합23호3

12¾ÈÇö°æ 1-155T304®¶ó

* pb61۲õðÀÚÀ̳ʸ

<28C3D6C1BE29312DC0CCBDC2BEC62E687770>

1

<C3D6C1BE2D312DC1A4BDC2C0BA2E687770>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30322DC0CCB9CCB6F52E687770>

<35C1D62DC1B6BCB1BDC3B4EB312E687770>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03±èÀçÈÖ¾ÈÁ¤ÅÂ

2 min 응용 말하기 01 I set my alarm for It goes off. 03 It doesn t go off. 04 I sleep in. 05 I make my bed. 06 I brush my teeth. 07 I take a shower.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untitled

11¹ÚÇý·É

<313320C0AFC8BFBCF82DBCD2BAF1C0DAB0A120C7D1BAB9B1B8B8C520B9D720B4EBBFA9BDC320C1DFC1A12E687770>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178È£pd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07ÃÖ°æÈñ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DBPIA-NURIMEDIA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¼øâÁö¿ª°úÇÐÀÚ¿ø

Layout 1

11¹Ú´ö±Ô

<372EB1E8C0B1C8F128C3D6C1BE292E687770>

속지-7.21

CC hwp

NEWSIS

01정책백서목차(1~18)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 BFEB2E687770>


피해자식별PDF용 0502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DBPIA-NURIMEDIA

untitled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allinpdf.com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현대영화연구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Ȳ¿ë¼®

< B3E220C1A631C8B820B0A1B1B8BCB3B0E8C1A6B5B5BBE720C7CAB1E22042C7FC28C0CEBCE2292E687770>

DBPIA-NURIMEDIA

- 2 -

2002report hwp

C# Programming Guide - Types

장양수

<382EC3D6BFECB8AE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본문01

¹é¹üȸº¸ 24È£ Ãâ·Â

06_(完) 이상인,유지헌(085~098p)--저자완,그림,아미완(6.30).hwp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7단원 1(252~269)교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새로운 지점에서 단이 시작하는 경우 기둥코로 시작하라고 표시합니다. 기둥코(standing stitch)로 시작하는 방법은 YouTube 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수 용어 팝콘뜨기: 1 코에 한길긴뜨기 5 코, 바늘을 빼고 첫번째 한길긴뜨기코의 앞에서 바늘을 넣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한눈에-아세안 내지-1


untitled

COVER.HWP

이슈분석 2000 Vol.1

가볍게읽는-내지-1-2

kbs_thesis.hwp


Transcription: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9 권 4 호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 9 No. 4 (2009) pp.19-30 답호를응용한여성용코트디자인연구 A Study on Women's Coat Design using Dapho 김월계 + Kim, Weol Kye + 성신여자대학교생활과학대학의류학과전임강사 + Full-time Lecturer, Division of Human Ecology,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 Abstract Short-sleeve clothes or sleeveless clothes which is usually worn after wearing basic costume is common in many countries, worldwide. Dapho is an outer garment which wear after putting on po(coat) like chupri or acjurum. And it is similar to junbok. Dapho is used with junbok and houi is a kind of junbok and it is also called as deugeure. According to the old record, queja was also used with the same meaning of junbok or dapho, which means dapho, junbok, houi and queja meant same costume. Costumes which adapted dapho is used in hanbok companies and not much of work done to make it as modern designed clothes. This study made 4 coats, one of modern women's costume which adapted feminine silhouette on shape of dapho's side slit and back slit's length difference and open shape and various git(collar), and sleeves' length goes wider when it is going down and flaring. Design points are quilted straight git from Munsu temple dapho, knife-shaped git from 15C, knot-button and long side slit from 19c. They transformed one side git or attachable git for various modern coordination. Because dapho is a design which has no or short sleeve, it doesn't matter clothes wore inside, so coat was chosen. And this costume would be an easy way to wear in modern society which hanbok is used as ceremonial costume. By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nformation of beautiful traditional costume is spreaded and developed as a usual wear by making it modern designed and popularization of hanbok. Key Words : sleeveless costume, short-sleeved costume, dapho, junbok, queja, houi 접수일 : 2009 년 10 월 14 일, 수정논문접수일 : 2009 년 11 월 16 일, 게재확정일 : 2009 년 11 월 19 일교신저자 : 김월계, weolkyekim@yahoo.com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9 권 4 호 (2009.11) I. 서론 1. 연구의목적 세계여러나라의복식은형태가각각다르며고유의문화를반영하고있다. 그러나각문화마다직접적인교류가없었음에도불구하고비슷한복식이나타나기도한다. 반소매 ( 半袖衣 ) 또는민소매 ( 無袖衣 ) 복식이이에해당된다. 기본복식위에주로착용하는반소매나민소매복식은세계여러나라에서착용되는공통복식이라볼수있다. 우리나라반소매복식은통일신라로거슬러올라가반비에서그명칭의유래를찾을수있다. 반비는고려시대답호가되고조선시대에는답호, 전복, 호의, 쾌자, 배자등으로이어졌다. 반소매또는민소매복식은방한과같이실용적목적과함께착용자의품위를높이거나장식적인목적으로착용되었다. 본연구에서는반소매또는민소매복식의대표적인예인답호를중심으로포와같은길이의복식이며상호연관성이있는전복, 호의, 쾌자를함께조사하였다. 답호와관련된선행연구로는이봉숙 (1983) 1) 의답호에관한연구와, 반비의원류와변천을연구하면서답호를조사한박두이 (1998) 2) 의연구, 단수의의하나로답호를포함한조우현 (1981) 3) 의연구, 조선시대무수의의하나로분류한이주열 (1993) 4) 의연구와더그레라는명칭으로답호를포함한변지연 (2006) 5) 의연구등이있다. 이중변지연의연구를제외하고는 1980-1990년대에이루어진연구였으며답호를응용하여디자인을시도한연구는없었다. 답호는다양한형태의깃이달려있거나깃없이구성하기도하였고트임, 여러가지소매길이와시대별로구별되는형태적특징을가지고있다. 특히후기유물은아래로갈수록넓어지면서플레어지는밑단에서여성스러운실루엣을느낄수있다. 이에본연구는답호를응용하여현대여성복중코트로디자인함으로써현대인들이생활속에서전통복식을접할수있는기회를제공하고자하였다. 한복이예복으로착용되는오늘날에는전통복식형태그대로를평상복으로착용하기는어려우나전통요소를응용한현대복식은큰무리없이입혀질수있으리라사료된다. 또한현대적인디자인으로재창조되었다하더라도본래의복식에대한관심을이끌어낼수있으므로전통복식에대한홍보와복식문화에대한교육효과를기대할수있다. 작품디자인을위하여형태는고려에서조선까지시대별로특징적인답호를선정한후실용적이고현대적인소재를이용하여깃과트임, 여밈등의디테일로포인트를주어일상생활에편하게착용할수있도록제작하고자한다. 답호는소매가짧거나없는의복이므로이를응용한겉옷인코트는속에입은옷에구애받지않고편하게걸쳐입을수있어실용적으로착용할수있을것이라생각되어선택하였으며겉옷으로착용하도록디자인한의복이므로소매길이에상관없이코트라고명명하였다. 우리민족은오랜역사속에서수준높은복식문화를영위해왔으며다양한조형적요소를지닌전통복식을가지고있다. 그러나디자인모티브로응용되는복식은매우한정적이라할수있어다양한전통복식에대한정보제공이필요하다. 본연구는잘알려지지않은전통복식의대중화와정보제공및현대적인디자인개발에의의가있으며앞으로더욱많은학자들과디자이너들이이러한작업에동참하기를기대한다. - 20 -

답호를응용한여성용코트디자인연구 2. 연구의방법및범위 본연구는가장오래된유물인고려시대문수사답호를포함하여조선시대답호와전복, 쾌자, 호의등을문헌과유물자료를통하여고찰한다. 고찰한내용을바탕으로현대한복에서답호를응용한사례를조사한다. 각시대별로구분되는특징을잘나타내는답호를선정하여현대서양복에접목시킬수있는요소를추출한다. 추출된답호의형태적인특징을현대적으로표현할수있는소재와색채를선정하여현대 40대여성이실생활에서착용할수있는추동복코트 4점을디자인한다. 대상연령을 40대로선정한이유는한복이나한국적이미지의디자인이나이들어보일수있다는점을고려하여청장년층과노년층을제외하고중년전기에해당되는 40대로한정하였다. 소매없는복식에는배자도해당되나배자는현대한복이나한국적이미지의디자인에서많이응용되고있으므로본연구에서는제외하였다. II. 이론적배경 1. 답호의개념및특징 답호는첩리나액주름포등의포위에착용하는소매가없거나소매가짧은형태의겉옷이라고정의할수있다. 답호는후에전복과용어가혼용되어사용되었고호의는전복의일종으로군사들이착용하였다. 쾌자역시전복이나답호의동의어로쓰였다는기록이있어답호와전복, 호의, 쾌자가같은계통의복식을의미하며다만착용계층이달랐고시대별로형태에변화가있었음을알수있다. 통일신라시대부터착용되었던반비는고려시대에도그대로이어졌으며고려후기에와서는답호라는명칭으로바뀌어사용된것으로추정된다. 6) 답호라는명칭은고려말에들어온한어학습서인 老乞大 에서찾아볼수있다. 7) 최남선의 朝鮮常識 에는 반비곧답호가많이군속 ( 軍屬 ) 의입는바임에인하듯언제부터인지 전복 ( 戰服 ) 이라는변칭이생겨... 8) 라는구절이있어답호는고려말에서조선전반에거쳐답호라불리다가조선후기에이르러착용범위가군복으로넓어지면서전복이라는명칭으로혼용되어사용된것으로이해할수있다. 유희경ㆍ김문자 (2000) 는 답호를첩리나액주름포위에덧입는복식으로조선시대에는왕이상복으로착용하였고후대에는하급군속이나조례의제복으로착용되어전복또는전포라불리게되었다 9) 고기록하였다. 김영숙 (1999) 은 조선시대왕과문무관리들이철릭위에입던겉옷으로소매가없고길이가길며무나섶이없이뒷솔기를허리에서아래까지튼형태이다. 10) 라고정의하였다. 이상에서볼때답호는통일신라시대부터착용되었던반비에서유래하여고려시대부터조선시대후기까지답호라고불리웠던복식으로조선시대에는왕의상복으로착용되거나문무관리들의겉옷으로철릭이나액주름포위에덧입던소매가없고길이가긴복식이라정의할수있다. 그리고조선시대후기이후하급군속이나조례의제복으로착용되면서명칭이전복과혼용되었다. 답호의변천과형태적인특징을살펴보기위하여시대별로구분되는특징이있는유물을선정하여조사하였다. < 그림 1> 은고려시대유물로문수사에서발견된가장오래된답호이다. 이답호는짧은소매가달려있으며우임에깃중앙에선이들어간직령식의이중깃이달려있다. 양옆에무가있으며포와같이길며아래로갈수 - 21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9 권 4 호 (2009.11) < 그림 1> 문수사답호 ( 출처 : 한국복식문화사, 2002, p.154) < 그림 2> 정응두답호 ( 출처 : 더그레에관한연구, 2006, p.13) < 그림 3> 탐릉군답호 ( 출처 : 한국복식 2 천년, 1997, p.116) < 그림 4> 의원군답호 ( 출처 : 조선의옷매무새, 2002, p.27) < 그림 5> 밀창군답호 ( 출처 : 더그레에관한연구, 2006, p.17) < 그림 6> 정원용답호 ( 출처 : 한국복식 2 천년, 1997, pp.68-69) < 그림 7> 주의와답호 ( 출처 : 한국복식문화사, 2002, p.347) 록플레어지는형태였다. < 그림 2> 는정응두 (1508-1572) 의답호로이중칼깃에반소매이며무를평행하게단후앞뒤의무가서로마주보도록접어넣어아래쪽을향하도록박고그아래는튼형태이다. 탐릉군 (1636-1731) 의답호는소매없이어깨가좁고칼깃이달려있으며여밈은여전히깊이여며졌으며고름한쌍이달려있었다 < 그림 3>. < 그림 4> 는의원군 (1661-1722) 의답호 11) 로전복 12) 으로보기도하는데소매가없고사각의맞깃에좌우가여며지지않는형태이며매듭단추로여미게되어있다. 겉감의앞중심선, 도련, 옆선위에선장식을덧단것이특징적이다. < 그림 5> 는밀창군 (1677-1746) 의답호로맞깃에짧은소매가달려있고옆이트인형태였다. < 그림 6> 은정원용 (1783-1873) 의답호로목둘레에서부터밑단과옆트임부분까지검정색의선을둘러장식하였고고름으로여미도록되어있다. < 그림 7> 은갑오경장이후관복간소화에따라주의위에답호를착용한모습이다. 13) 이상에서살펴본바를종합하면답호는반소매에직령이나칼깃이며깊게여미던형식에서점차소매없이어깨가좁아지는형태, 그리고맞깃의여며지지않고무와섶이없는형태로변화하게되었다. 말기의것은깃이없이어깨가좁고아래로갈수록넓어져전복과비슷한형태였다. 2. 답호및관련복식의변천과정 후에호칭이달라지는답호와전복은조선시대말기에와서형태에차이가있었다. 유희경ㆍ김문자 (2000) 는 답호의경우어깨와진동선이넓었고전복은좁은것이다르며무와섶이없고뒤중심선에서허리아래부분이트여있다는점은같았다 14) 고하여군복으로착용할때와편복포위에착용할때형태상차이가있었음을언급하고있다. 김영숙 (1999) 은전복을 조선시대무관들이군복으로속에동달이를입고착용하는것으로소매 - 22 -

답호를 응용한 여성용 코트 디자인 연구 <그림 8> 최원립 누비 전복 (출처: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2006, p.38) <그림 9> 철종어진, 왕의 전복 착용 모습 (출처: 한국복식문화사, 2002, p.20) <그림 10> 정원용 전복 (출처: 한국복식2천년, 1997, p.69) <그림 11> 구군복 (출처: 한국복식2천년, 1997, p.67) 와 섶이 없이 양 옆선의 일부와 등솔기가 허리에서 아래까지 트인 형태 15)라고 정의하였다. 유물을 중심으로 전 복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그림 8>은 최원립(1618-1690)의 누비 전복으로 깃이 없으며 매듭단추 3개로 여미는 형태에 양옆과 뒤에 트임이 있었다. <그림 9>는 철종(1831-1863)의 구군복으로 동달이 위에 양어깨와 가슴, 등에 용보가 달린 전복을 착용하고 수를 놓은 광대 위에 남색의 전대를 맨16)모습이다. <그림 10>은 정원용의 전복으 로 목둘레가 V자형으로 파였으며 등 아래가 트이고 앞여밈은 매듭단추 2개로 여미도록 되어 있다. <그림 11>는 정원용의 구군복으로 동달이 위에 전복을 입은 것처럼 주황색과 홍색을 이어 붙인 소매 위에 흑색 전복을 붙인 형태이다.17) 최원립과 철종, 정원용의 전복을 비교해 보면 후대로 갈수록 어깨가 좁아지고 목둘레 선이 V자 형 으로 깊게 파였으며 무가 넓어지면서 도련이 넓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말기에는 동다리와 전복의 일체형 복식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영숙(1999)은 호의(號衣)를 조선시대 전복의 하나로 보며 각 영문(營門)을 지키는 군사, 나장(羅將)은 짧은 소매의 것을 착용하였고 마상재군(馬上才軍)은 소매가 없는 것을 착용한 복식 18)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호의 는 조선시대 일반군졸들이 착용했던 의복으로 각 방위에 따라 오방색으로 군대의 소속을 표시하며 국말까지 입 혀졌다는 기록이 있어19) 호의는 상류계층이 아닌 군사들이 착용하는 짧은 소매의 복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형태는 둥근 깃에 옆이 트인 세 자락 옷 <그림 12>으로 길이는 포와 같거나 약간 짧았다. 소매는 <그림 12>과 같이 없거나 <그림 13>와 같이 짧은 소매가 있었다. <그림 12> 호의 (출처: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1991, p.1320)) <그림 13> 호의 (출처: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1991, p.1) <그림 14> 쾌자 (출처: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1991, p.48) - 23 - <그림 15> 쾌자 (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2, 2005, p.34821)) <그림 16> 쾌자 (출처: 조선시대 풍속화, 2002, p.162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9 권 4 호 (2009.11) 쾌자는전복과유사한형태로왕실에서부터하급계층까지착용한의복이다. 조선말순종가례시 쾌자와군복일작 ' 이라하여군복에함께착용하는경우에는전복을지칭함을알수있고 ' 쾌자와주의일작 ' 이라하여두루마기같은편복포와함께착용할경우에는답호와동의어로사용되었다고볼수있다. 23) 즉쾌자는군복과함께착용할경우전복이라불렀고편복포와함께착용할때는답호와동의어였음을알수있다. 형태는 < 그림 14> 의뒷모습에서볼수있듯이양옆과뒤중심에트임이있는네자락옷이며 < 그림 15> 에서보는바와같이여밈이서로마주보는형태의의복임을짐작할수있다. 즉쾌자는전복의동의어로보거나 24) 답호와유사어로보거나호의의속칭으로보는견해가있다. 25) < 그림 16> 은무녀들이쾌자를착용하고검무를추는모습으로남자뿐아니라여령ㆍ무녀들도착용한복식임을알수있다. 이러한견해를종합해볼때쾌자는소매가없는맞깃형의네자락겉옷으로볼수있으며착용계층은남자는왕에서부터하급계층까지, 여자는일부계층에서착용하였던복식임을알수있다. 3. 답호를응용한현대복식디자인분석 이장에서는현대에응용된답호관련사례를분석함으로써현대인에게적합한디자인을유추해내고자하였다. 현대에응용된답호디자인은한 ( 韓 ) 스타일추진과같이정부차원의육성사업이시작되고이와맞물려우리문화에대한관심이대중화되기시작한최근 2005년이후디자인으로한정하여잡지와인터넷에서조사하였다. 디자인선정기준과방법으로는대표적인검색엔진인네이버와다음, 엠파스, 야후코리아를통하여한복디자이너및한복연구모임, 공모전작품을중심으로조사하였다. 현대답호관련디자인은서양복에응용한경우는찾아보기어려웠고한복에응용된경우가많았다. 특히일반패션관련잡지에서는답호응용자료를찾기어려워월간 한복의미 를중심으로조사하였다. 한복에응용된답호관련반수의또는무수의복식은소매가짧게달려있는경우엔쾌자로보고소매가없는경우엔답호나전복의응용으로설명되어있었다. 작가의설명이없을경우엔어떤복식을응용한것인지추측하기어려웠다. < 그림 17> 은답호를응용한것으로보여지며칼깃에짧은소매가있고고름으로여미는형태이다. < 그림 18> 는전복의형태를응용한것으로보이며깃과여밈부분없이서로마주보는형태로매듭단추여민후허리에넓은대를전대와같이둘러고정하였다. < 그림 19> 은쾌자의응용으로보이며비치는소재를이용하여소매와깃을두장으로구성하였다. 앞단은서로여미어지지않으며가슴앞에서매듭단추로여민후아래로갈수록자연스럽게벌어지도록되어있고옆선은트였다. 쾌자위에는꽃문양을그려넣어여성스럽게표현하였다. < 그림 20> 은조선말기전복과같이앞길이마주보는형태이며맞깃에여밈은자수장식의매듭단추로여몄다. 아래로갈수록자연스럽게넓어지는형태로옆선은완전히트여있다. < 그림 21> 는전복또는답호를응용한것으로보이며맞깃에앞이서로마주보는형태이다. 허리에색을달리하여대를하고여밈부분에자수보를달아장식하였다. < 그림 22> 의남자는반소매의쾌자응용복식으로둥근깃에색을달리한고름을달아여몄다. 속에입은두루마기와같은길이였으며옆선은트였다. 답호를응용한현대복식은기본복식인치마저고리나바지저고리또는두루마기까지입은후착용한경우로전통복식을유지하면서소재나디자인, 색채와장식을현대화한경우가대부분이었다. 소매가약간있는형태를쾌자라지칭하고소매가없는복식은전복이나답호의응용으로설명하고있어정확한이론적연구없이단편적인특징을응용한것으로보였다. 답호응용복식은남녀한복에서모두볼수있었으며전통답호의특징인칼깃과맞깃이사용되었다. 또한둥근깃도있었는데이는현대한복에서가장많이사용하는형태를사용한것으로보인다. 여밈은전통형태에쓰인고름과매듭단추를사용하였고앞이포개어지는경우엔고름으로, 좌우 - 24 -

답호를응용한여성용코트디자인연구 < 그림 17> 답호응용복식 ( 출처 : 한복의미, Vol.56, p.66) < 그림 18> 전복응용복식 ( 출처 : 한복의미, Vol.47, p.81) < 그림 19> 쾌자응용복식 ( 출처 : 한복의미, Vol.35, p.47) < 그림 20> 전복응용복식 ( 출처 : 한복의미, Vol.53, p.61) < 그림 21> 전복답호의응용 ( 출처 : 한복, Vol.54. p.74) < 그림 22> 쾌자응용복식 ( 출처 : http:// blog.naver.com/minhan bok1) 길이마주보는경우엔매듭으로여몄다. 길이는포와같은길이이거나무릎길이로짧았다. 트임은옆트임이있었으며뒷모습을볼수없어뒤트임여부는알수없었다. 소매는없거나반소매였으며자수장식이나그림을그려넣어장식한것은원형과달랐다. 현대에나타난답호관련디자인들을분석한결과응용사례들은모두한복디자인으로그대상이답호, 전복, 쾌자, 호의중어느복식을응용한것인지식별하기가어려웠다. 형태는대개조선말기복식을차용하였고소재와장식, 색채등은현대적으로구성하였다. 이에본연구에서는조선말기복식을포함하여시대별로대표적인유물을선정한후한복이아닌현대복식에답호의특징을접목시켜실생활에서착용할수있도록디자인하고자하였다. III. 답호를응용한여성용코트디자인 앞서살펴본답호의특징을살려현대생활에맞는 40대여성의추동용코트 4점을디자인하였다. 형태는전체적으로전통형태를그대로사용하거나부분변형하였고소재는겨울용울소재를사용하여코트로서의기능성을살리면서누빔소재를부분적으로섞어변화를주었다. 현대적인분위기의울소재와전통느낌의누빔소재가조화를이룰수있도록두소재의색채는같거나톤을맞추어사용하였다. 편하게걸쳐입을수있는외투이므로속에입은옷의색채와쉽게조화를이룰수있는무채색중회색을메인컬러로선정하여사용하였다. 시대별로특징을보여줄수있는답호로가장오래된유물인고려시대문수사답호와무가특징적인조선전기정응두 (1508-1572) 의답호그리고앞길이포개지지않는형태로변한이후의유물로옆선이일직선을이루는밀창군 (1677-1746) 의답호, 좁은어깨와넓은도련이특징인조선말기의정원용 (1783-1873) 의답호를응용하여코트를디자인하였다. 구체적인디자인요소로깃 -직령, 칼깃, 맞깃-, 무, 트임, 여밈방법, 소매길이등을사용하였다. 1. 작품 1 고려시대문수사에서발견된가장오래된답호를응용한코트디자인이다. 형태는원형의반소매와무, 실루엣은그대로활용하고자하였다. 부분적으로소매는 7부길이로원형보다길게구성하였고직령식의이중깃을 - 25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9권 4호 (2009.11) 작품 1-40대 여성의 추동용 코트 컨셉 문수사 답호 응용 포인트 소재 색채 누비천의 직령 이중깃 울, 폴리에스테르 혼방 누비 도식화 인체착장모습 작품 완성 사진(앞/뒤/부분) 코디네이션 회색 직령은 유지하면서 누비 소재로 세로선을 살려 이중깃의 느낌을 주었다. 여밈은 안쪽에 안고름을 달아 묶고 겉 에서는 똑딱단추로 고정하였다. 주 소재는 겨울용 울소재를 사용하였으며 깃에 사용한 누비소재를 소매 끝과 무 에 함께 사용하므로 현대적인 소재와 전통적인 소재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색채는 무채색 중 회색을 사용 하여 다른 색의 의복과 쉽게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2. 작품 2 조선 전기 출토 정응두의 답호를 응용한 디자인으로 원형에 사용된 칼깃을 그대로 사용하되 겉 길에만 달아 변화를 주었고 소매는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하였다. 조선 전기 복식의 특징적인 무의 형태를 응용하여 무를 접어 고정시킴으로 옆선에 포인트를 주었다. 여밈은 똑딱단추로 하였고 위에 작은 고름 고 모양의 장식을 덧달았다. 몸판과 깃은 누비소재로 하고 앞섶과 소매, 무는 누비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혼방소재를 사용하였다. 색채는 녹색 빛이 도는 회색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였다. 3. 작품 3 조선 후기 밀창군의 답호와 말기 정원용의 답호를 응용하여 도련이 자연스럽게 퍼지는 말기 답호의 실루엣에 밀창군 답호에서 볼 수 있는 짧은 소매를 달고 두 답호의 공통된 특징인 마주보는 앞길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여밈은 매듭단추로 하였고 앞 뒤판의 중간 부분은 누비로 구성하고 깃과 소매, 양 옆선은 누비지 않은 울소재를 사용하였다. 색채는 회색톤을 하였고 매듭단추는 검정색으로 달아 포인트를 주었다. - 26 -

답호를 응용한 여성용 코트 디자인 연구 작품 2-40대 여성의 추동용 코트 컨셉 포인트 소재 색채 조선전기 출토 정응두의 답호 응용 칼깃을 겉길에만 부착 폴리에스테르 혼방, 폴리에스테르 혼방 누비 녹회색 도식화 인체착장모습 작품 완성 사진(앞/뒤/부분) 코디네이션 작품 3-40대 여성의 추동용 코트 컨셉 포인트 소재 색채 밀창군의 답호와 조선 말기 정원용의 답호 응용 짧은 소매, 매듭단추, 긴 옆트임 울, 폴리에스테르 혼방 누비 회색 도식화 인체착장모습 작품 완성 사진(앞/뒤/부분) 코디네이션 - 27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9권 4호 (2009.11) 4. 작품 4 조선 시대 말기 정원용의 전복을 응용한 디자인으로 소매가 없으며 도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특징을 살려 디자인하였다. 원형과 같이 V 네크라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칼라를 덧달아 다양한 연출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여밈은 끈으로 하여 고름처럼 또는 리본형태로 묶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앞 뒤판의 가운데 부 분은 울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양옆선은 누비소재를 사용하여 실루엣을 살렸다. 색채는 작품 1과 동일한 회색을 사용하였다. 작품 4-40대 여성의 추동용 코트 컨셉 포인트 소재 색채 조선 말기 정원용의 전복을 응용 깃 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칼라를 덧달아 다양한 연출 가능 울, 폴리에스테르 혼방 누비 회색 도식화 인체착장모습 작품 완성 사진(앞/뒤/부분) 코디네이션 완성된 작품은 바디와 인체에 착장하여 앞뒤 모습과 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하였다. 그리고 실생활에서 누구나 가지고 있을 만한 흰색과 검정색의 폴로넥 셔츠, 검정색 바지와 스커트, 검정 스타킹을 신은 상태의 이너웨어를 활용하여 각각 연출하였다. 회색톤을 주조로 소매의 길이를 달리하여 디자인한 4점의 작품들은 착용한 이너웨어 - 28 -

답호를응용한여성용코트디자인연구 의색상, 치마나바지에관계없이잘어울릴수있었으며앞을여미거나여미지않고편하게걸쳐입을수있어현대생활에서실용적으로또한대중적으로착용될수있는디자인이라생각된다. IV. 결론 답호는무수의또는반수의복식의대표적인명칭으로그원류는통일신라시대반비에서찾을수있으며고려시대답호와조선시대답호, 전복, 쾌자, 호의등의복식으로이어졌다. 이와같은복식은시대별로깃과, 소매의길이, 트임, 무등에특징적인요소를가지고있으며특히조선후기의유물들은아래로갈수록플레어져여성스러운실루엣을이루고있어여성복디자인에활용하기에적합하다고사료되었다. 이에본연구는답호를중심으로전복, 쾌자, 호의에대하여조사하고특징을찾아내어현대여성복코트로디자인함으로써전통복식을실생활에서착용할수있는기회와전통복식에대한정보도함께제공하고자하였다. 답호는반소매에직령이나칼깃이며깊게여미던형식에서점차소매없이어깨가좁아지는형태, 그리고맞깃의여며지지않고무와섶이없는형태로변화하게되었다. 말기의것은깃이없이어깨가좁고아래로갈수록넓어져전복과비슷한형태였다. 답호는첩리나액주름포등의포위에착용하였고후에전복과용어가혼용되어사용되었다. 호의는전복의일종으로군사들이착용하였다. 쾌자역시전복이나답호의동의어로쓰였다는기록이있어답호와전복, 호의, 쾌자가같은계통의복식을의미하며다만착용계층이달랐고시대별로형태에변화가있었음을알수있었다. 현대복식에응용된답호디자인을 2005년이후작품으로잡지와인터넷을통하여조사하였는데현대서양복에응용한경우는찾아보기어려웠고한복에응용된경우가많았다. 답호를응용한 40대여성의추동용코트로 4점을제작하였는데코트는누구나쉽게걸쳐입을수있는아이템이라생각되어선정하였고시대별로구별되는형태특징이있는답호를선택하여원형을유지하면서부분적인디테일에변화를주었다. 소재는울소재와누비소재를혼합하여사용하였고색채는무채색중회색을주조색으로톤의변화를주어사용하므로현대실생활에서착용하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현대에는서양복이평상복으로착용되므로전통복식형태그대로를평상복으로착용하기는쉽지않다. 그러나아름다운우리전통복식의요소를응용한디자인의복식은평상복으로무리없이입혀질수있으리라생각하였다. 또한현대적인디자인으로재창조되었다하더라도착용자들에게본래의복식에대하여알수있는기회가됨으로써전통복식에대한홍보와복식문화에대한교육효과를기대할수있다. 본연구는일부답호유물과잡지, 웹사이트자료만을대상으로연구하였다는점에서한계가있다. 앞으로더욱다양한전통복식의아름다움을찾아내어현대적인디자인으로개발하는연구가많아져우리복식의특징을살린복식을실생활에서착용할수있는기회가많아지기를기대한다. 참고문헌 1) 이봉숙 (1983). 답호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86. 2) 박두이 (1998). 반비의원류와변천에관한연구 -한국과중국의반비를중심으로 -,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박 - 29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9 권 4 호 (2009.11) 사학위논문, pp.1-129. 3) 조우현 (1981). 우리나라단수의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69. 4) 이주열 (1993). 조선시대무수의에관한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75. 5) 변지연 (2006). 더그레에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89. 6)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 교문사, p.153. 7) 변지연 (2006). 앞의논문, p.8. 8) 위의논문, p.26. 9) 유희경, 김문자 (2000). 앞의책, p.235. 10) 김영숙 (1999).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 미술문화, p.122. 11) 변지연 (2006). 앞의논문, p.16. 12) 경기도박물관 (2002). 조선의옷매무새, 서울 : 민속원, p.28. 13) 유희경, 김문자 (2000). 앞의책, p.348. 14) 위의책, p.236. 15) 김영숙 (1999). 앞의책, p.329. 16) 권오창 (1999). 조선시대우리옷, 서울 : 현암사, p.52. 17) 국립민속박물관 (1997). 한국복식2 천년, 서울 : 국립민속박물관, p.67. 18) 김영숙 (1999). 앞의책, p.407. 19) 변지연 (2006). 앞의논문, p.44. 20) 유송옥 (1991).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서울 : 수학사, p.13.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권2, 서울 : 민속원, p.348. 22) 국립중앙박물관편저 (2002). 조선시대풍속화, 서울 : 한국박물관회, p.162. 23) 위의책, p.6. 24) 김영숙 (1999). 앞의책, p.374. 25) 김은정 (2006). 어휘집을중심으로본조선시대복식명칭분석, 가톨릭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p.8.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