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A4C3A5B8DEB8F05FC1A C8A35FC0A3B4CFBDBA20C0B6BAB9C7D52C20B0ADBFF8B5B520C0C7B7E1B0FCB1A4C0C720BBF520C1F6C6F22E687770>

Similar documents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ㅇ ㅇ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untitled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장애인건강관리사업


- 2 -


ICT À¶ÇÕÃÖÁ¾

( 1 ) ( 2 )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Ⅰ Ⅱ Ⅲ Ⅳ

☆국토2_6장( )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경영학회 내지 최종

hwp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포유6월c03逞풚

1111

여행 숙박 업종 소비자 분석 및 검색광고_201507

<C1A4C3A5B8DEB8F05FC1A C8A35F C6F2C3A2B5BFB0E8BFC3B8B2C7C8B0FA20B0ADBFF8B0FCB1A4C0C D55502E687770>

<B0F8B0B3C5E4B7D0C8B820B9DFC1A6B9AE5FB9AEC8ADC3BCC0B0B0FCB1A4BAD0BEDF2DC0CEBCE22E687770>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Contents iii

슬라이드 1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차례

hwp

목 차 Ⅰ. 정책여건 3 Ⅱ. 목표및추진방향 1. 의료해외진출및외국인환자유치지원종합계획 추진전략및과제체계 6 2. 외국인환자유치 2017년목표치조정 8 Ⅲ. 주요과제별 2017 년시행계획 9 1. 한국의료연관산업동반패키지수출 9 2. 진출단계별지원을통한민간역량강화 14

메디시티대구 실현촉진을위한 이벤트 ( 축제 ) 기획방안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src.xls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연합뉴스) 마이더스

ÃѼŁ1-ÃÖÁ¾Ãâ·Â¿ë2

04 특집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목 차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OD..Network....( ).hwp

01정책백서목차(1~18)

인프라 구축비추가 컨벤시아이동형무선 WiFi 시스템 콘텐츠 구축비추가 송도컨벤시아홍보영상 시설 구축비추가 스마트회의실 (3X3, 전자교탁 ) 실시간중계디스플레이 (86인치, 2EA) 멀티비전설치예시 스마트마이스앱 (APP) 전자사물함및스마트폰보조배터리대여시스템 전자사물

경영평가결과평가등급내역 구분가나다라마 총계 (343 개 ) 34 개 (9.9%) 103 개 (30.0%) 153 개 (44.6%) 41 개 (12.0%) 12 개 (3.5%) 행자부 (154 개 ) 18 개 (11.7%) 45 개 (29.2%) 75 개 (48.7%)

2013지발-가을내지1004-4

<C1A4C3A5B8DEB8F05FC1A C8A35F496F5420C6F2C3A2B5BFB0E8BFC3B8B2C7C820C3DFC1F8B0FA20B0ADBFF8B5B520B4EBC0C02E687770>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차 례


ad hwp

<BCF6B5B5B1C720B1B3C5EBC3BCB0E8B0B3C6ED28B4EBC7A5292DB1E8BCF6C3B628C0CEBCE2292E687770>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1362È£ 1¸é

«⁄µÂ∫œ≥ª¡ˆπ–±‚¿¸

<5B D20C0A3B4CFBDBAB0FCB1A420C5ACB7AFBDBAC5CD20BAB8B0EDBCAD5F4B FC3D6C1BE2E687770>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시안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14 의료자원 통계 핸드북

방한외래관광객관광객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¹»ê»ç¾÷Æò°¡(±âŸ)-¼öÁ¤.hwp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도록하였다. 시 도간, 시 군간연계협력형사업발굴을강조하여국가지역발전정책과의연계 성을고려하였다. 합리적인제5 차권역계획수립을유도하기위하여시 도에서는권역계획수립시 권역계획수립반 을시 도관계자, 계획수립수행기관, 전문가등으로구성 운영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체계적조정을위하

Untitled-1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제주관광시장동향분석 2011 년 10 월 마케팅팀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C1A4C3A5B8DEB8F05FC1A C8A35FB0ADBFF8B5B520BBEABEF7C0C720C1F8B4DCB0FA20B0FAC1A62E687770>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07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에너지절약_수정

강릉시 종합실행계획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_report.hwp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C1A4C3A5B8DEB8F05FC1A C8A35FB5BFC7D8B0FCB1A4B0F8B5BFC6AFB1B8BFCD20B0ADBFF8B5B52E687770>

2019 년도 주요업무계획 목 차 1 기본현황 년도업무성과 3 정책목표와이행과제 년도업무계획 ( 미래전략과 ) 5 현안사업 6 새로운시책

Transcription:

2019. 4. 12 제 746 호 웰니스융복합, 강원도의료관광의새지평 박상용 ( 연구위원 )

정책메모 201921 호 2019. 4. 12 제 746 호 웰니스융복합, 강원도의료관광의새지평 박상용 ( 연구위원 ) 의료관광은의료서비스와휴양, 레저등의요소가융합된관광의한형태이다. 국내에서는중국, 미국, 러시아등에서방문한외래환자가피부, 성형외과, 건강관리, 암진단, 건강회복등을목적으로 2017 년 190 개국에서약 32 만명이방문하였다. 최근삶의질향상, ICT 기술의발전은다양한분야에서웰니스개념을활용하는데기여하였고, 의료관광분야에서도유망한주제로평가되어새롭게조명되고있다. 치료중심의의료서비스에서예방및관리분야를중심으로하는등의료관광및건강패러다임의변화가활발히진행되고있다. 헝가리의헤비츠스파, 스위스의라프레리등은웰니스, 항노화개념을적용해의료관광산업을활성화시킨우수사례로알려져있다. 웰니스의재조명현상이국내외에서지속되면서제주등지자체에서는공젹적인웰니스의료관광활성화방안을추진하고있다. 한편강원도는동계올림픽개최에따라 SOC 인프라개선, 휴양시설의고도화, 인지도향상등전반적인관광여건이개선되었고, 무엇보다도웰니스분야의최대장점인자연환경인프라를보유하고있어, 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산업활성화를위한높은잠재성을보유하고있다. 하지만, 강원도가보유하고있는높은잠재성에도불구하고, 담당부서의잦은이동등은도내의료관광산업이안착되지못하는주요한표류원인으로지적되고있다. 강원도의료관광산업이활성화되기위해서는강력한컨트롤타워기능을위한플랫폼구축등거버넌스의정비가필요하다. 또한권역별비즈니스모델개발, 외래관광객유치를위한장기계획수립등지역특화된사업모델의개발, 웰니스지향의료관광브랜드강화등이주된전략으로사료된다. 또한강원평화지역에서의생물권보전지역의등재추진도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활성화에동력을부여할수있는기회로기대되고, 향후남북관계를주시하는것도활성화와관련된매우중요한항목일것이다. 연락처 박상용연구위원 T. 033. 250. 1307(psyrisi@rig.re.kr)

1 Ⅰ. 의료관광의정의와패러다임 조명받고있는웰니스의료관광 의료관광 1) 은의료서비스와휴양, 레저등의요소가융합된관광의한형태 관광산업이발달된선진국및동남아에서는관광산업유형의다양화와의료서비스등을활용한다양한유형의의료관광산업활성화추진중 2) 증가추세에있는한국의료를이용하는외국인관광객 3) 보건산업진흥원에따르면외래관광객 4) 비중은중국, 미국, 러시아, 몽골, 일본등순이었고, 방문인원수는 60,201 명 (139 개국, 2009 년 ) 에서 321,574 명 (190 개국, 2017 년 ), 진료비수입도동기간 547 억원에서 6,399 억원으로증가추세 침습형의료관광, 진단형의료관광, 웰니스의료관광으로분류되는의료관광유형 침습및진단형의료관광은우수한의료인프라및접근성등을활용하여수술, 치료, 건강관리등으로제공되는유형으로서울, 경기등광역시도에서육성중, 웰니스의료관광은청정자연환경인프라등을바탕으로구현될수있는의료관광의유형 침습, 진단형의료관광속에서조명받고있는웰니스의료관광 의료관광선진국에서는웰니스개념을융복합한 웰니스의료관광 을잠재성높은미래성장동력으로인식, 집중육성및경제활성화주요도구로활용 웰니스관광 의전세계시장규모는 2015 년기준약 601 조원으로, 전체관광시장의 16% 비중, 2020 년에는약 864 조원규모로성장전망 5) 강원도 18개시군은특화된다양한자연환경인프라를보유하고있어, 웰니스의료관광유형에최적의입지로사료되고, 독창적인지역문화, 올림픽레거시등을치유및의료서비스와연계한 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 을추진할필요가큼 1) 의료관광의개념 : ( 광의의개념 ) 병또는미용을목적으로수술과시술등의료서비스를제공받으면서, 휴양및레저활동도함께병행하는관광의유형, ( 협의의개념 ) 질환치료를목적으로의료행위를수행하기위해자택을떠나여행하는관광의유형 2) 윤형호 (2007), 서울시의료관광의국제마케팅육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 보건산업진흥원 (2018), 2017 외국인환자유치실적통계보고서 4) 외래관광객 : 한국의료를이용하는외국인환자및관광객 5) Wellness Economy Monitor 2017, Global Wellness Institute( 세계웰니스그룹 )

2 웰니스의료관광의개념 공동및개별적요구, 환자및동반자유형등에따라차별적인웰니스의료관광서비스를제공하고지역특화프로그램과연계하는융복합개념 < 강원도형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의개념및구성도 > 사회복지강조시대, 의료관광패러다임의변화 4차산업혁명으로인한의료 ICT 기술고도화와고령화에서초래된삶의질적개선욕구등은의료관광트렌드를이용자중심으로전환 협소한임상적범위에서예방 관리로확대, 환자중심에서다양한유형의의료관광객으로확대, 서울중심에서지역확산, 공급자중심에서소비자중심으로전환등의료관광패러다임변화 예측, 예방, 개인맞춤, 참여부문의중요성증대에따라의료기관외다양한이해관계자간의참여와협의가증가하는등건강패러다임도변화 자료 : 한국관광공사 (2017), 한국의료관광산업생태계현황분석및의료관광활성화중장기전략보고서 < 건강패러다임의변화 > 삶의질향상등에대한가치제고등사회적요구가증대되고있고, 의료관광및건강패러다임도동시에변화하면서웰니스융복합개념이조명받는추세

3 Ⅱ. 의료관광우수사례 지역특성을극대화한웰니스서비스 헝가리, 헤비츠스파 (Heviz spa) : 미네랄성분이다량함유된유럽최대의 천연온천호수로교기온천, 성안드레아병원등의료관광필수시설보유로 스파, 치료등의료서비스제공 스위스, 클리닉라프레리 (Clinicue La Prairie) : 서양의료서비스와자연 치료법기반의항노화클리닉을제공하는유럽의대표적인컨시어지메디컬웰니스전문의료시설, 의료시술, 진료시스템및노화방지상품개발등운영 태국, 치바솜헬스리조트 (Chivasom) : Top to Toe 를주요콘셉트로피트니스, 스파, 에스테틱뷰티, 메디스파등웰니스프로그램과유기농정원 에서수확한식재료를활용한개개인의신체특성에맞춘유기농음식제공 인도, 스와스와라리조트 (SwaSwara) : 전통치료법인아유르베다를이용한웰니스서비스가콘셉트, 웰니스프로그램과식단, 명상, 요가수행등 내적인치유 제공, 아유르베다전문의가제공하는맞춤형웰니스컨설팅및처방, 명상과유기농식단등다양하고체계적인프로그램의체험을통해심신의안정과자아를찾는치유의시간체험제공 자료 : 각기관홈페이지 < 헤비츠스파, 클리닉라프레리, 치바솜헬스리조트, 스와스와라리조트 >

4 타지자체의공격적육성사례 제주특별자치도는웰니스관광에대한수요가급증함에따라웰니스의료관광이가능한인프라 ( 클러스터, 리조트등 ) 지속개발중 천혜의자연환경과풍성한휴양 레저 문화관광, 31곳의외래환자유치등록의료기관및원스탑서비스운영등을통해 2009 년 223명에서 2015 년에는 20배에달하는 4,552 명의의료관광객방문성과달성 현재동북아의새로운의료관광허브를목표로 의료관광인프라구축, 건강 휴양 관광프로그램개발, 해외환자유치 등의전략추진중 경상남도는문화체육관광부사업인 웰니스관광클러스터 지정 6) 총 8억원 ( 정부 4억, 지자체 4억원 ) 예산지원하에산청, 함양, 합천, 거창등은한방항노화웰니스관광, 통영, 거제, 고성등은해양웰니스관광등으로구성 한방및해양의료관광프로그램및상품개발등경상남도를 웰니스관광 거점으로육성추진 국외의경우, 고가의최고급컨시어지서비스로제공되기때문에제한된이용자현황을보이고있고, 국내의경우는웰니스프로그램을중심으로구성, 정부지정웰니스관광 25선등국가차원의육성이추진되고있으나, 지역특화및인접시설과연계된프로그램활성화등이요구되고있음 제주와경남은병원중심의료관광의대안으로 웰니스의료관광 유형을전략화하고있고, 웰니스인프라확보및클러스터구축등을통해공격적육성을추진하고있는바, 여타지역보다우수한천혜의자원을보유한강원도는의료관광활성화를위해웰니스분야에대한집중이필요 6) 몸과마음의휴식을찾는지역웰니스관광거점육성, 문화체육관광부보도자료, 2018

5 Ⅲ. 강원도의료관광의진단 안정적운영이필요한의료관광정책 강원광역경제권선도사업에선정된의료관광산업의육성을위해 2009 년 강원도의료관광지원센터의설립과통합브랜드인 힐링허브강원 개발 2009년이후 6년간외래환자의연평균증가율은 35.1% 로높은성장세를보였으나, 2013년을기점으로지속하락세 타지자체의료관광산업대비낮은경쟁력의특화프로그램및서비스, 해당산업육성관련비전 목표 추진전략부재등다수의문제점노출 2017 년기준외국인환자유치수는 1,110 명으로 16개시 도중 15위, 전체의 0.3% 비중을보임 담당부서의잦은이동에따른관리 감독역할의부재는강원도의료관광산업표류의주된원인 경제정책과 (2010년 ) 식품의약과 (2012 년 ) 경제정책과 (2014년 ) 사회적경제과 (2015년 ) 관광마케팅과 (2016년 ) 강원도경제진흥원 ( 현재 ) 강원도는평창올림픽이후융복합관광서비스마케팅의세계화를도모하기위해 2020년강원관광청 ( 안 ) 을설립할계획, 강원도경제진흥원과강원관광협회로부터의료관광및마케팅업무이관예정 강원관광청 ( 안 ) 신설과관련하여 의료관광 업무이관등효율적운영 방안에대한검토필요 전국대비강원도외래환자의비중은 0.3%, 서울 경기지역의외래환자의비중은약 75% 를보이는바, 강원도의료관광산업의활성화를위해인접지역의수요를강원도로전환시키기위한전략모색등안정적운영 지원체계마련, 정책기반조성및의료관광과연계가능한수준높은특화프로그램개발및산업육성필요

6 개선된강원도여건 올림픽개최에따른전반적인관광여건개선 SOC 인프라확충 : 원주 강릉복선철도, 동홍천 양양고속도로, 제2영동고속도로등간선교통망 9개노선, 진부역연결도로등접근순환망 16개노선, 총 25개수송 교통, 양양공항활성화등 < 개선된강원도의 SOC> 휴양시설의고도화 : 강릉시세인트존스호텔 & 리조트, 정선군파크로쉬리조트 & 웰니스등관광객수용및웰니스체험여건조성 평창 올림픽기념재단 창립 2019년 3월, 문화체육관광부와강원도등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패럴림픽성과를계승하여동계스포츠를진흥하고 3개경기장운영지원을포괄하는지속가능한전담조직인 2019 평창기념재단 창립 IOC 협력사업및드림프로그램, 동계스포츠활성화등유산사업추진후추가재원확보에따라 3개경기장시설에대한지원추진계획중 인지도개선 문화체육관광부의보고서 7) 에따르면외래관광객의국내관광목적지구상부문에서강원도는 17.4% 로광역시도중 5위수준, 전년대비 3.2% 증가된상승세 7) 2018 한국관광브랜드마케팅커뮤니케이션효과 보고서, 문체부, 한국관광공사

7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를통한웰니스기반마련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는생태환경의국제적인증을부여받는지역의청정이미지제고를통해웰니스의료관광실현도구로활용가능 강원도평화지역일원을대상지역으로하는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BR) 8) 은 강원생태평화생물권보전지역 (GWBR; 안 ) 의명칭으로올해 7월등재예상 GWBR 등재는활성화가요구되는설악산 BR을한단계성장시킬수있는기회를제공할수있고, 도내 2개의생물권보전지역보유는국가를대표하는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의새로운모델로발전될수있고, 나아가남북관계를고려하여 글로벌생태평화중심지조성 사업등다양한생태평화사업의구상이가능 올림픽이후개선된강원도의여건과올림픽기념재단등을연계하여 강원도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의지속적인홍보전략을수립할필요가큼 GWBR 등재는지역특화된생태평화개념을반영한웰니스시설및프로 그램확보를가능하게하고, 기존강원도의료관광서비스와인지도의한 단계업그레이드추진이가능 8) 생물권보전지역 (Biosphere Reserve) : 생물다양성의현명한보전과이를활용한지역사회의발전을유도하기위해전세계우수육상및연안생태계를대상으로유네스코 (UNESCO) 가지정하는지역

8 Ⅳ. 강원도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활성화전략 강원도형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육성을위한거버넌스구축 강원도의료관광컨트롤타워 구축추진 강원관광청 ( 안 ) 9) 내의료관광계 개설혹은 강원경제진흥원 확대운영 비즈니스모델개발및지원, 도내특화자원의진단및검토 ( 우수의료기관의의료관광사업참여및 JCI 인증 10) 등 ), 정부정책방향및트렌드분석추진등전반적업무의총괄역할수행 한국관광공사, 동계올림픽재단등연계협력가능한유관기관과의지속적인실무적협력관계유지, 지속발전체계구축과홍보를위한협의회및컨퍼런스개최등지역특화의료관광활성화방안지속적모색 < 강원도형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육성을위한거버넌스구축 ( 안 )> 9) 2020년설립계획인강원관광청은크루즈조사연구, 국제행사및유치, 인재육성과 MICE 유치 개최, 강원도형특화 MICE 개발, 통합마케팅등의역할수행 10) 국제의료평가위원회인증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 전세계를대상으로엄격한국제표준의료서비스심사를거친의료기관에게발급되는인증으로학술적의료센터프로그램 (academic medical center hospital program) 등총 5개부문의프로그램으로구성되고 3년마다재인증절차필요, 국내서울시 (9개소), 대구광역시 (5개소), 부산광역시 (7개소), 수원시 (2개소), 성남시, 인천시, 광주시, 부천시 (1개소) 등이인증되어운영중

9 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협의체 구성추진 강원도, 산업체, 연구기관, 대학, 관광업체, 지역전문가 ( 주민포함 ) 등관련구성원이참여한통합적협의체운영 이슈발굴, 정책의제화를통한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의비전과방향제시등강원도형웰니스관광상품개발의기준안마련 상품품질평가 / 관리총괄역할수행, 의료기관및관련시설평가, 의료관광객의지역접근성향상을위한모니터링추진 해외의료관광객특성별상품및프로그램개발을위한각국의주요정보 ( 성향, 문화, 트렌드등 ) 수집 제공 강원도권역별원스탑발전센터 구축추진 첨단, 평화, 항노화, 해양권등권역별특화된비즈니스모델개발, 의료관광산업지원등을목표로운영 자원발굴전담기구 : 강원도고유웰니스자원의구체적이고명확한현황파악과종합적평가역할수행 상품개발기구 : 의료관광과연계가능한권역별웰니스자원및사업체를선별하고, 이를기반으로특화된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상품개발추진 다양한외래환자의이용이가능하도록 AI 다국어번역앱, 빅데이터활용외래환자모니터링체계 구축추진 해외의료관광객전용지원센터 권역별대표적웰니스의료관광콘텐츠홍보및의사소통가능전문인력운영을통한의료관광객의접근성향상 의료관광박람회참가, 아이디어공모전개최, 다국어홍보물및기념물제작 배포등권역별웰니스의료관광프로그램의홍보전략수립및실행 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전문인력양성 웰니스 의료 치유 문화등다양한분야의전문적지식을국내및외래환자와공감하면서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인력양성체계구축 도내대학및강원도거점의료기관, 관광산업체등과연계하여의료종사자및웰니스의료관광전문가발굴프로그램운영추진

정책메모 제746호 10 강원도형 웰니스 융복합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개발 권역별 비즈니스 모델 개발 권역별 특화자원과 의료서비스의 융복합화를 반영한 강원도 웰니스 융복합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첨단, 평화, 항노화, 해양 총 4개 권역으로 분류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기본개념11) 첨단권 의료관광 모델(춘천, 홍천, 횡성, 원주) : 첨단기술, 의료시설 /인력, 관광 등 기반 평화권 의료관광 모델(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12))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 천혜의 자원과 문화, 관광, 건강증진 등 기반 항노화권 의료관광 모델(평창 정선, 태백, 영월) : 천혜의 자원, 건강 증진, 올림픽유산, 어메니티, 지역문화 등 기반 해양권 의료관광 모델(고성, 속초, 강릉, 양양, 동해, 삼척) : 천혜의 해양자원, 지역관광, 올림픽유산, 시설/인력, 건강증진 등 기반 <강원도형 웰니스 융복합 의료관광 권역별 비즈니스 모델 구상(안)> 11) 세부내용은 별첨 참고 12) 고성군은 두 권역에 포함됨(평화권 의료관광 모델, 해양권 의료관광 모델)

11 해외의료관광객유치를위한장기전략수립 외래관광객국가별선호분야를맞춤형으로제공하는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시장채널의다각화와지속가능성유지를위한전략수립필요 국가별외래관광객의잠재적수요파악과요구시장의특성등수요자분석을선제적으로추진, 권역별대표비즈니스모델, 연관상품개발 운영 강원비전 2040의 WellStay 전략 적극활용, 건강관광클러스터사업 (Hcity), 동해관광공동특구등과연계활성화방안모색추진 < 권역별외래관광객특화웰니스융복합의료관광 ( 예시 )> 웰니스지향의료관광브랜드강화 강원도형웰니스의료관광브랜드활성화 자연자원, 올림픽, 레저등특화된관광요소와휴양시설, 의료서비스, 첨단기술등을융복합한 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브랜드 고도화및차별화도모 산림, 해양, 온천등강원도대표웰니스자원과시설, 지역별다양한전통문화등을연계한웰니스의료관광테마발굴및프로그램구성 강원도웰니스의료관광홍보마케팅체계마련 정보제공자와수요자간양방향소통활성화를위한 ICT 기반의온 오프의료관광홍보 마케팅플랫폼구축 운영 한국관광공사를비롯한관련기관과의협력체계구축을통해지속적인해외설명회추진등홍보방안모색및강화추진 도내연관산업분야와의협의및컨설팅, 의료기관과웰니스시설간업무협약체결등웰니스의료관광브랜드의체계화를위한제도적개선필요 이정책메모는여건변화등에따라서추후내용이일부보완 수정될수있습니다.

12 정책메모 제746호 <참고자료> 권역별 비즈니스 모델 세부구상 1. 첨단권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주요 강원도 전략산업 등을 활용한 첨단기술 융합 의료관광 비즈니스모델 내용 첨단기술, 의료시설/인력, 관광 등 기반의 융복합 춘천, 홍천, 횡성, 원주 대상지 자 원 도 관계도 특 화 기 반 구분 춘천 홍천 횡성 원주 시설/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강원대학교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상지대한방병원 기술 한림대학교 헬스케어미디어 연구소, 강원테크노파크,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원주의료기기테크노벨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ICT센터 관광 양통 산촌생태마을, 의암호 나들길 비발디파크 소노펠리체 아로마허브동산 수타사 산소길 고라데이마을, 태종대길 구재마을, 치악산금강송길 인력 첨단 2. 평화권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대상지 산림치유, 테라푸드, 안보유산 등 생태 안보 융합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주요 내용 설악산BR, GWBR(안)) 등 국제인증 자원과 문화, 관광, 건강증진 등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기반의 융복합 자 원 도 관계도 구분 천혜의 자원 특 화 기 반 기반기술 건강증진 지역 문화 관광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남대공원 낭천, 창안산 산림욕장 미산마을 원암온천지구, 해양심층수, 해맞이봉, 수성샘터, 화진포 태봉제 한탄강 여름축제 DMZ생태평화공원 한탄리버스파호텔 쪽배축제 산천어축제 시레기축제 곰취축제 DMZ펀치볼 둘레길 두타연트레킹 인제 빙어축제 황태축제 명태축제 미산마을 화진포 레길 설악아이파크콘도 쇠둘레길 북한강산소길 아침거리 계곡 트레킹 화진포 산소길 풍산마을 DMZ 평화누리길

13 정책메모 제746호 3. 해양권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대상지 주요 해양테라피, 피부미용, 만성질환관리 등 해양특화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내용 해양자원, 지역관광, 올림픽유산, 시설/인력, 건강증진 기반 융복합 고성, 속초, 강릉, 양양, 동해, 삼척 자 원 도 관계도 특 화 기 반 구분 삼척 동해 강릉 금진온천, 옥계, 월대산, 솔올, 화부산 산림욕장 국립 대관령 치유의숲 강릉 솔향수목원 강릉KIST 천연물연구소 강릉원주대 치과병원 강릉아산병원, 동인병원 천혜의 자원 맹방해변 봉황산 산림욕장 천곡 산림욕장 시설/ 인력 올림픽 유산 관광 오랍 드리길 보양온천 컨벤션호텔 해안누리길 속초 양양 오색탄산온천 모로솔 산림욕장 오색약수터 고성 원암온천지구, 해양심층수, 해맞이봉, 수성샘터, 화진포 속초 의료원 올림픽 레거시 강릉 바우길, 대관령 옛길 속초 산소길 38선 숨길 설악아이파크콘도 화진포 둘레길 화진포 산소길 척산온천지구 청대산산림욕장 동해무릉숲 4. 항노화권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대상지 평창, 정선, 태백, 영원 자 원 도 관계도 특 화 기 반 주요 생약, 천연물 등을 활용한 항노화 의료관광 비즈니스 모델 내용 천혜의 자원, 건강증진, 올림픽유산, 어메니티, 문화 등 기반 융복합 구분 영월 천혜의 자원 봉래산 산림욕장 망산 산림욕장 기반기술 건강증진 기반기술 어메니티/ 항노화 올림픽 유산 지역 문화 평창 방아다리 약수터 오대산, 석두산, 매봉, 남산 산림욕장 정선 태백 삼척 화암약수, 비봉산, 남산, 거북바위, 산림욕장 수리봉 산림욕장 맹방해변, 봉황산 산림욕장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 과학기술원 올림픽 레거시 올림픽 레거시 단종문화제 영월동강축제 대관령 눈꽃축제 평창 효석문화제 정선아리랑제 태백제 죽서문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