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경제와 문화 2014년 제12권 3호, 46 92 www.jomec.com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 서부지역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4)5) 오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부교수 본 연구에서는 세계 대중문화의 주요 생산지인 미국에서 한류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 는지를 탐색적으로 점검해 보기 위해 미 서부지역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 내 한류가 수용되는 사회문화적 특성은 미국사 회가 다문화 다인종 사회라는 점, 한인커뮤니티가 발달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한류 콘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또한, 한류 콘텐츠가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미국 문화 콘텐츠와 차별화된 한류 콘텐 츠 특성 주목, 디지털 매체를 통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이용, 네트워킹을 통한 경험 의 공유와 확산, 문화적 취향의 일부로 수용이라는 특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내 한류 수용은 한국 및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형성시킴은 물론 타문화에 대 한 이해를 확대시키고 미국 내 한류 팬덤을 형성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 회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제어 미국, 한류수용,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 심층인터뷰, 한국어 동호회 * 본 연구를 위해 심층 인터뷰에 기꺼이 응해준 샌디에고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에게 감사의 마 음을 전합니다. ** miyou@swu.ac.kr 46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1.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 말 한국의 TV드라마와 아이돌 가수들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시작된 한류는 타이완, 홍콩,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 은 물론 최근에는 유럽, 미국, 아프리카 등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까지의 한류 1기가 주로 드라마와 음 악을 중심으로 중국, 대만, 베트남에서 인기를 끌었다면 2000년대 중후 반의 한류 2기는 <겨울연가>와 <대장금> 같은 드라마가 중국과 일본 그 리고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한류를 본격화시키는 견인 차 역할을 해왔다. 그리고 한류 3기인 2000년대 말에는 동방신기, 샤이 니, 소녀시대, 비 등의 K-POP이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끌면서 소위 한 류 2.0으로 지칭되는 신한류 라는 새로운 한류 붐이 생성되었으며, 그 열 기는 아시아 지역은 물론 유럽, 북미지역, 중동, 아프리카까지 이어져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이러한 신한류의 붐은 여러 곳에서 목격될 수 있는데, 우선 2011년 파리의 한국 아이돌 공연은 예매 15분만에 관람권이 매진되었고, 루브르 박물관 앞에서는 관람권을 구매하지 못한 팬들이 공연 연장을 요구하면 서 집단 플래쉬몹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유럽 최초의 K-pop 공연이었 던 이 공연에서는 유렵 14개국에서 팬들이 모여 들었으며, 이에 대해 국 내언론은 물론 르몽드(Le Monde), 르피가로(Le Figaro), BBC 등 유럽 언 론에서도 K-pop을 필두로 한류가 유럽에 진출했다고 보도하기도 하였 다(손승혜, 2011). 또한, 뉴욕 한복판에서는 국내 대형 기획사의 K-pop 공연이 성황리에 개최되었고, 미국 공중파 TV 프로그램에 한국 가수들 이 출연하는가 하면, 작년에는 가수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 이 빌보드 연속 2위, 영국차트 1위를 비롯하여 핀란드, 네덜란드, 호주, 태국, 브라 질 등 많은 나라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47
비디오는 2012년 11월 8억 뷰가 넘는 역대 최고의 유튜브 조회 수로 기네 스북에 등재되는 경이로운 성과를 보여주기도 하였다(한국보건산업진 흥원, 2012). 이 외에도 아시아 국가는 물론, 유럽, 남미, 미국에서는 한국 아이돌 그룹의 춤, 노래, 패션 등을 따라하는 소위 커버(Cover) 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삼성경제연구소, 2011), 유튜브에서는 커버댄스는 물 론 K-pop 스타의 패션, 화장법 등을 소개한 동영상 업로드 수가 계속해 서 증가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그러나 신한류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 다. 미국 언론에서 케이팝에 대해 연일 보도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 는 것과는 달리 미국 내 케이팝의 위상은 아직 인지도도 미미할 뿐 아니 라 주변부 팝음악에 불과하며, 그 주요 주체들도 10 20대 위주의 아시 아계 미국인들에 국한되어 있다는 것이다(오세정, 2012). 더불어 케이팝 은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의 정체성이 담긴 문화라기보다는 급하게 산업 화하는 과정에서 서양문화를 받아들여 응용한 것에 가깝기 때문에 일시 적으로 서양인들에게 인기를 끄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매일경제한 류본색프로젝트팀, 2012). 또한 손승혜(2011)도 국내 언론과 연예 기획 사들이 신한류의 열기를 전 세계적인 한국 대중문화 상품의 붐이라고 홍 보하지만, 프랑스의 라디오나 케이블 음악전문 방송에서 한국 아티스트 의 음악을 소개한 적이 없고, 시내 음반 전문점에서도 K-pop 음반을 전 혀 구입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신한류 현 상이 의미가 있는 것은 지금까지 서구의 대중문화가 일방적으로 비서구 권 국가들에 유입 수용되었던 이전의 국제 문화교류의 패러다임을 변 화시키고 있다는 데 있다. 즉, 이제 한류는 중국이나 일본 등 아시아 지역 은 물론 세계 대중문화의 생산자였던 서구 국가들에까지 확산됨으로써 국제적인 대중문화 유통에 있어서 수용자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생산 48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자로서의 역할에 합류하여(조한혜정, 2003) 초국적 문화 창출에 기여하 게 된 것이다. 특히, 서구 주류 문화의 핵심인 유럽과 북미 지역으로의 한 류 진출은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인 차원에서 그 실현 가능성이 회의적 이었다(손승혜, 2011)는 점에서 그 진출 자체만으로도 고무적인 성과라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금까지 세계 대중문화의 생산지였던 미국에서 한류가 어떻게 경험되고 수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한류의 실체 는 물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근거를 제 공해 줄 것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에서의 한류가 비교 적 최근의 현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미국에서의 한류현상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고, 대부분의 연구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국 가에 치우쳐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류의 확산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 해서는 각 지역에서의 수용자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서 로 다른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하 다(박성화,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 던 미국 내 한류수용에 대해 탐색적으로 점검해봄으로써 중국, 일본, 동 남아시아 및 유럽 국가들에서의 한류 수용과 어떠한 유사성 및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비교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 세계 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류현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근거를 제시해 보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 서부지역의 한국어 동호회 회원 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미국 내에서 한류가 수용되는 사회 문화적 맥락과 수용양상 그리고 사회 문화적 의미에 대해 탐색적인 차원에서 점 검해 볼 것이다.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49
2. 문헌연구 1) 한류에 대한 이해 한류( 韓 流 )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중국 언론이 매섭게 파고드는 바 람 이란 의미의 寒 流 와의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것으로, 한국의 가요, 드 라마 등 대중문화를 일컫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한국무역협회, 2004). 최근에는 한류가 동아시아를 넘어서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대중 문화뿐만 아니라 문화,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차원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이렇게 한류라는 용어가 다양한 차원에서 사용됨에 따라, 한류에 대한 정의도 협의의 차원과 광의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한국문화 산업교류재단, 2009). 먼저 협의의 차원에서의 한류는 지역적으로는 동 아시아 지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가 확산되는 현상으로 정의되며, 광의 의 차원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대중문화는 물론 순수문화예술, 음 식, 한글 등 한국문화가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으로 규정되기도 한 다. 그러나 오늘날 한류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동아시아 지역 에 한정되는 현상으로 간주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나라 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대체로 드라마, 영화, 음악 등 한국 대중문 화에 대한 열광적인 선호에서 촉발된다는 점에서 대중문화의 확산 여부 가 한류현상을 규정짓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이러한 점에서 한류는 해외 여러 나라에서 한국 음악, TV드라마, 영화 등 한국의 대중문화가 관심과 인기를 끌면서 확산되는 현상으로 정 의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0여 년 동안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으로 확대되는 과정에 서 한류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와 관련 하여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져왔으며, 그 논의들은 크게 세 가지 관점을 50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취한다(이준웅, 2003). 첫 번째는 시장 중심적 시각으로, 이 시각은 한류 를 한국 상품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는 경제적 변수 또는 국가 마케팅 으로 이해한다. 즉, 한류가 확대되면 한국 상품의 판로가 개척되고, 투자 유치 및 합작 기회가 증가하며, 한국 상품의 마케팅적 우위 확립과 같은 경제적 성과가 발생할 것이라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시각에서는 한류를 경제적 기회의 확대로 간주하고, 한국 대중문화 상품의 수출을 위해서 민간과 국가가 협력하여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 한 맥락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문화계발효과 및 원산지 효과에 근거하여 한류가 국가이미지를 비롯하여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김재휘 이희 성, 2007; 유세경 고민경, 2006; 이준웅, 2003; 이창현 김유경 이효 복, 2010) 그리고 한국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김성섭 김미주, 2009; 김재휘 이희성, 2007; 김주 연 안경모, 2012; 유정, 2005; 이운영, 2006; 이준웅, 2003; 이창현 김유 경 이효복, 2010)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기 도 하였다. 한류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은 문화지배론으로, 한류의 확산이 한국 문화가 다른 문화권에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는 관 점이다(서현철, 2002). 외래문화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던 우리의 대중문 화가 이제 우리 나름의 문화를 생산해 냄으로써 문화적 주변국에서 벗어 나게 되었다는 것이다(이준웅, 2003). 이 시각에 의하면, 한류는 일시적 인 유행이나 거품이 아닌 지속성을 지니고 탈지역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적 현상이며, 대중문화 수용의 대표적인 유형인 일본의 대중문화나 홍콩영화의 뒤를 이어 동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일종의 문 화우세종(cultural dominant) 혹은 대중적인 문화양식으로 부상하고 있 다는 것이다(김영찬 이동후 이기형, 2005). 또한, 우리나라 문화상품 이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다른 문화권의 수용자에게 영향력을 행사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51
한다는 점을 높게 평가하면서, 상품으로서의 한류를 넘어서 한류에 담기 는 한국 대중문화의 매력(soft power)을 강조한다(진행남, 2011). 그리하 여 한국 대중문화 상품의 인기를 중국, 일본 및 서구에서도 찾을 수 없는 한국만의 특징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K-pop이 인기를 끄는 이 유는 소재와 내용이 신선하고 현실적이며, 뮤직비디오 배경음악이 아름 답고 서정적이며, 멋진 의상으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김성섭 김미주, 2009). 또한 한국의 대중음악은 미국과 영국의 대중음악, 일본 대중음악인 J-pop과도 다른 새로운 음악이며, 일본 드라 마와 음악에 비해 보다 현대적이고 외국인이 이해하기 쉬운 개방성을 갖 고 있으며, 동양적이고, 아시아적, 유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손승혜, 2011). 마지막으로, 일부 진보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류 현상을 경제적인 요인이나 문화민족주의가 아닌 아시아 지역 문화교류의 입장에서 보아 야 한다는 문화 간 공동체주의 시각이 있다(양은경, 2003; 조한혜정, 2003; 하종원 양은경, 2002). 이 시각에 의하면, 문화지배론에서 주장하 는 한국 문화의 특징은 미국적 소비문화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하위 문화적 특징일 뿐이라고 비판하면서, 한류란 한국 대중문화의 우수성이 나 문화적 고유성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기보다는 급격한 산업자본주의 를 겪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욕망들과 다양한 갈등을 가 장 세속적으로 포장해 내는 능력의 산물 일 뿐이라는 것이다(김현미, 2003). 이 시각은 한류에 대한 시장중심적 그리고 문화지배론적 시각이 놓치는 점들에 주목하면서, 한류의 확대를 주변부-중심부를 극복하는 새 로운 문화적 공간의 창출이라는 지역적 연대 또는 이질성 극복의 관점에 서 바라볼 것을 제시한다(이준웅, 2003). 이 시각은 한류를 동아시아의 다양한 수용자집단이 탈지역적으로 형성하는 공간을 매개로 이루질 수 있는 혼성적 문화 간의 이해와 교류,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지역화 나 문 52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화의 횡단과 외래문화의 수용이 견인하는 긍정적 생산물로 정의하고, 지 역 간 사고와 대화, 그리고 문화를 통한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적극적 으로 제시한다(김영찬 이동후 이기형, 2005). 위에서 제시된 한류에 대한 세 시각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정부 및 업계 그리고 일부 학계에서는 주로 시장주의적 시각과 문화지배론적 시 각에 입각하여 그리고 일부 진보적인 학자들을 중심으로는 문화 간 공동 체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한류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해 왔다. 그러나 한류현상을 어느 한 시각으로만 바라볼 경우 그 실상을 놓칠 수 있다는 점에서 다각적인 차원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지금 까지 제시된 세 시각 모두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를 수용자가 아닌 공급 자로서의 입장에 치우쳐 한류 현상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류의 실 체를 제대로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진행남, 2011). 즉 위의 세 관점은 한류콘텐츠가 어떤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지, 어떻게 문화적인 우위를 점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지의 차원에서 다 룸으로써 한류현상을 주로 공급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특 정 지역에서 한류가 어떻게 수용되고 경험되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파악 이 없이는 한류가 어떻게 경제적 효과를 유발시키는지는 물론 그것이 어 떻게 공동체 간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또 한 같은 한류콘텐츠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수용되는 지역에 따라서 각기 다른 경험과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류현상은 다른 양 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서의 한류현상에 대한 제대 로 된 이해를 위해서는 우선 공급자의 입장이 아닌 한류를 수용하고 경 험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정 지역의 문화에 대 한 소비는 수용자의 이해와 해석의 과정을 거치며, 이는 수용자의 사회 적 정체성과 경험, 그리고 주관적인 수용동기와 활용의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Livingstone, 1990)는 점에서 한류가 어떠한 사회적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53
문화적 맥락에서 수용 및 경험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한류 수용에 대한 논의 한류를 비롯하여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의 문화교류는 서 구문화가 일방적으로 주류문화로 간주되는 이전의 상황과 비교해 볼 때 새로운 해외 문화 수용의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다(이창현, 2007). 즉, 미 국문화 중심의 수용이 아니라 다양한 주변국의 문화를 수용하고, 문화적 선진과 후진을 구분하는 문화적 위계와 진화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문화 적 평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창현(2007, p.23)은 한류의 등장은 아시아인들에게 서구문 화보다는 주변국의 문화에 관심을 갖게 했다는 점에서 근대적 문화 흐름 보다는 탈근대적 문화흐름의 형태를 띠며, 따라서 한류수용을 단순히 문 화적 근접성이나 문화적 유사성에 근거하여 기계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고 보았다.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 은 국가 간 대중문화 이용을 설 명하는 대표적인 개념으로서(Lee, 1998; Straubhaar, 1991), 동아시아 국 가에서 한류가 성공적으로 수용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국가 간 드라마 소비에 있어서 제작비를 더 많이 투여한 미국 드라마보 다 자국의 드라마나 인접 문화권에서 제작된 드라마를 더 선호하는 경우 를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수용자가 자국의 문화상품을 우선적으로 선 호하며, 이것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가능한 문화적으로 근접한 또는 유 사한 지역에서 만들어진 문화상품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주로 한국 대중 문화 상품에 나타난 가족중심의 유교문화가 아시아 수용자들에게 친숙 성이나 근접성이 서구 대중문화물의 폭력성이나 선정성과 대조되면서 인기를 끌게 되었다는 것이다(유세경 이경숙, 2001; 허진, 2002). 그러 나 김수정과 양은경(2006) 한류를 비롯한 최근의 동아시아 문화교류를 54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유교에 근거한 문화적 근접성이란 측면에서 설명하는 것은 문화를 단일 하고 고유한 본질을 지닌 대상으로 간주하는 탈역사적 접근이라고 보면 서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의 문화연구는 지역문화의 지구화 현상에 관 심을 가지면서(Cvetkovich & Kellner, 1997) 문화 혼성화(cultural hybridization) 개념에 주목해 왔다. 이들은 전 지구적인 요소와 지역적 요소의 혼합, 친숙한 것과 이질적인 것의 혼합, 전통과 근대의 혼합, 또는 서구와 아시아의 혼합들을 설명하는 데서 시작되었던 혼종성 의 개념을 통해 한 류 수용을 설명하였다(김수정 양은경, 2006). 즉, 한류를 한국 문화가 지역을 넘어서 문화적 파동을 전달하는 물결로 규정한다면, 이는 본질적 으로 하나의 문화와 다른 문화가 만나 그 경계를 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문화적 정체성이 서로 만나고 갈등하거나 교류함으로써 정체성의 혼합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이수 안, 2012). 양은경과 김수정(2006)은 국가 간 경계를 넘어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소비는 항상 문화 변용과 문화 번역의 과정을 수반하며, 따라 서 대중문화 상품이 자국의 생산 맥락에서 벗어나 다른 지역의 수용자들 과 새로운 정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연결될 때 생겨나는 문화적 혼 합의 양면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의 초국 적 수용을 문화 혼종화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에 일련의 연구들은 한류의 대표적인 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드라 마와 K-pop이 어떻게 문화적 혼종성을 띰으로써 현지 수용자들에게 수 용되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겨울연가>의 수용에 관한 연구(권연수, 2005; 유키에, 2005)에서도 일본의 40 50대 기혼 여 성들에게 한국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가족 간의 사랑과 효 같은 가치는 일본에서는 잃어버린 혹은 존재하지 않는 색다른 가치로서 개인주의적 인 서구문화보다 더 친밀성 있는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제시함으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55
로써 혼종성이 어떻게 일본이라는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접합되어 새롭게 해석되고 받아들여지는지를 제시하였다. K-pop에 관한 초기 연 구들에서도 서구중심의 팝음악이 어떻게 아시아에서 수용되었는지 점 검하면서 서구적 음악 스타일의 전유 나 사회문화적 기원을 고려하지 않은 음악 사운드와 음악 구조의 차용 등으로 K-pop의 혼종성을 모방의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수안(2012)은 최근의 K-pop은 아시아를 넘어서서 글로벌 차원, 즉 전 세계에서 향유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K-pop의 혼종양상과는 다른 새로운 혼종화 방식을 띤다고 하면서, 친숙 하면서도 이국적인 요소의 배합으로 인한 K-pop의 혼종문화적 측면을 K-pop 열풍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김수정(2011)은 한류가 초국가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현상 을 한국 대중문화물의 혼종적 이고 무국적 인 결과로 설명하는 것을 경 계한다. 즉, 한류가 국경을 넘어 타 문화권에 수용될 수 있었던 원인을 한 국 대중문화물 자체가 지닌 무국적 또는 혼종성 에 있다고 보는 것은 한 국 대중문화물을 마치 특정 성격을 지닌 실체로 취급하게 될 우려가 있 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류란 특정 성격을 지닌 어떤 결정체라기보다 는 각기 다른 지점에서 조금씩 다르게 구현되는 문화적 실천이자 과정 이기 때문이다(p.47). 이러한 점에서 한류에 대한 관심을 한국 대중문화 물 그 자체 보다는 수용되는 맥락과 그 맥락의 중심에 있는 수용자에게 로 돌릴 것을 제안한다. 특정 지역의 문화에 대한 소비는 이해와 해석의 과정을 거치며, 흔히 수용자의 사회적 정체성과 경험, 그리고 이는 주관 적인 수용동기와 활용의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Livingstone, 1990). 이러한 맥락에서, 일련의 한류 관련 연구들에서는 각 지역에서 나 타나는 한류 수용이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양한 양상 및 특 성을 띠는지를 보여주고 있다(이창현, 2007). 예를 들어, 동아시아 지역 56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에서 한류수용을 살펴보면, 한국 대중문화가 수용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 는 같지만 그 수용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오미영, 2006; 이 창현, 2007; 하종원 양은경, 2002). 즉,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트렌디 드라마는 한국문화의 수용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이는 한국문화 라기 보다는 서구적 근대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수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문화가 유교 등의 아시아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기보다는 서양적 인 생활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하종원 양은경, 2002). 이러한 점에서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의 한류 붐은 특히 젊은층 에게 있어서 경제적 발전에 대한 동경과 한국 드라마가 묘사하는 아시아 의 근대성 을 선호하는 경향에 의해서 초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오미 영, 2006). 반면, 일본에서의 한류는 주로 중년여성들을 중심으로 과거 언젠가 일본에도 있었던 문화 로서, 일종의 노스텔지어로서 수용된다는 특성을 갖는다(이창현, 2007)는 점에서 한류에 대한 수용은 지역별로 다 른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차원에서, 동남아 지역의 경우 한류가 인지되고 대중화될 수 있었던 데 주요 매체로서 텔레비전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텔레비 전을 통한 한류 수용은 동남아 시청자들에게 한류에 대한 취향을 다양한 계층과 세대로 폭넓게 확산시키는 것은 물론 이를 일상적 삶의 일부로 만들어 왔다(김수정, 2011). 반면, 유럽에서는 한국 대중문화물이 주로 텔레비전을 통해서는 방영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서만 유통됨으로써 한류가 다양한 계층의 많은 사람들과 공유되기보다는 타인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문화적 취향이자 정체성을 띠는 하위문화적 특성을 띠는 것으 로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손승혜, 2011). 이렇듯 한류에 대한 경험과 수 용은 각 지역에 따라 그 지역의 상황이나 수용자의 특성에 따라서 각기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류가 각기 다른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각기 다른 차원에서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57
수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지역에 걸쳐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성 중 하나는 팬덤이라는 적극적 수용자층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 히, 최근의 온라인 환경에서의 팬덤은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적 연결망의 확대로 더욱 강화되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초국가적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손승혜, 2011). 이러한 현상은 해 외에서 한국 문화의 팬덤에서도 나타나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한류는 상 당 부분 해당 수용자들의 자발적인 팬덤과 팬문화에 의존하고 있으며(노 광우, 2006), 이들은 단순히 정보를 공유하고 문화 상품을 즐기는 것을 넘어서서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형성해 가기도 한다(손승혜, 2011). 유 럽에서의 한류를 연구한 손승혜(2011)는 프랑스의 한국문화 팬들이 한 국의 대중문화를 글로벌한 문화적 다양성의 일부로 인식하면서 디지털 미디어와 SNS를 통해 형성되는 공동체로서의 팬덤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으로써 한류는 다양한 하위문화의 일부를 능동적으로 형성하며 글로벌 팬덤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최근 K-pop 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의 확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손승혜, 2011:오세정, 2012; 진행남, 2011). 위와 같은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내에서 한류의 수용 이 어떤 양상과 특성을 보이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 시하였다.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 연구문제 3 미국 내 한류 콘텐츠 수용이 이루어지는 사회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미국 내 한류 콘텐츠 수용은 어떠한 양상을 띠는가? 미국 내 한류 콘텐츠 수용은 어떤 사회 문화적 의미를 갖는가? 58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3.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를 점검하기 위해 미국 샌디에고 지역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고 있는 한 국어 동호회(San Diego Korean Language Exchange Meetup) 회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샌디에고는 미 서부의 최대도시인 로 스엔젤레스(Los Angeles)에서 남쪽으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도시로, 로 스엔젤레스 만큼이나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이 지역 에 기반하여 활동하고 있는 샌디에고 한국어 동호회는 한국어와 한국문 화에 관심 있는 샌디에고 현지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모임으로 한국어 와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미국 현지인과 이들과 교류하고자 하는 한국 인이 서로 교류하는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동호회 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모인 모임인 만큼 한 류콘텐츠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 판단되었고, 그리고 무엇 보다도 오프라인 모임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온라인에만 의존하는 개인보다는 한류콘텐츠에 대한 수용과 경험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좀 더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모임의 구성원들은 주로 한국어나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거나 배 우고자 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인이 한국인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모임의 구성원들은 매우 다양한데, 미국인의 경우 대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으 며, 한국인의 경우 재미교포를 비롯하여 한국에서 온 어학연수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령대도 1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하나 주 활동 멤버들은 20대와 30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미국인 회원들의 경우 필리핀계 미국인부터 아프리카계, 히스패닉계, 아랍계, 중국계, 유럽계에 이르기까지 그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이 모임에서는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59
일주일에 한 번의 공식적인 모임을 갖고 있는데, 여기서는 회원들끼리 서로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배우기도 하며, 함께 차를 마시거나 저녁식 사를 하면서 친목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 모임의 구성원 중에는 한국 대 중문화 콘텐츠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한국어를 배우기를 원하거나 이를 함께 공유하기 위해 참여하는 회원들도 있고, 교환학생이나 영어강사로 한국을 방문한 후 한국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거나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 모임에 참여하는 회원들도 있었다. 따라서 회원들 대부분이 한 국어나 한국문화는 물론 한국드라마, 영화, K-pop 같은 한국 대중문화에 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모든 회원들이 한류 콘텐츠에 대 한 관심이 높거나 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관심을 갖고 이용하 는 회원들도 팬클럽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서 한류 콘텐츠에 대한 팬덤의 성격을 띠지는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심층인터뷰는 본 연구자가 약 8개월간 이 모임에 참여하면서 알게 된 회원 21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으 며, 심층인터뷰 대상자들은 한류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인종, 성별,연령대, 직업군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인터뷰 응답자들을 살펴보면, 여성이 13명 남성이 8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10대가 5명, 20 대가 9명, 30대가 3명, 40대 이상이 4명이었다. 이들은 한류 콘텐츠 중에 서 주로 K-pop과 드라마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이는 성별과 연령대에 따 라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K-pop을, 여성의 경 우 드라마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K-pop을 그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드라마를 더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터뷰를 위한 질문은 응답자들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이용경험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반구조화된 형식에 근거하였으며, 한국드 라마와 K-pop에 대한 관심정도, 접하게 된 계기, 정보습득 경로, 이용현 황 및 경험, 한류의 의미와 전망과 같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60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표 1> 인터뷰 응답자 특성 ID 성별 연령 인종 직업 선호하는 한류 콘텐츠 A 여 20대 후반 백인계 베이비시터 K-pop, 드라마 B 남 30대 초반 아프리카계 영어튜터 K-pop, 드라마 C 남 20대 초반 아시아계 대학생 K-pop, 드라마 D 남 10대 후반 아시아계 대학생 K-pop, 드라마 E 여 50대 초만 백인계 주부 드라마, K-pop F 여 30대 초반 아시아계 대학교직원 드라마, K-pop G 여 20대 중반 아랍계 바리스타 K-pop, 드라마 H 여 20대 초반 아프리카계 대학생 K-pop, 드라마 I 남 20대 후반 아시아계 구직 중 K-pop. 드라마 J 여 20대 초반 백인계 대학생 드라마, K-pop K 여 30대 초반 히스패닉계 주부 드라마, K-pop L 여 10대 후반 히스패닉계 대학생 드라마, K-pop M 남 40대 초반 백인계 회사원 드라마, 영화 N 남 20대 초반 아시아계 대학생 영화, K-pop O 여 10대 후반 백인계 고등학생 K-pop, 드라마 P 여 10대 후반 아프리카계 대학생 K-pop, 드라마 Q 여 10대 중반 백인계 고등학생 K-pop, 드라마 R 남 50대 중반 백인계 회사원 영화, 드라마 S 여 20대 후반 백인계 연구원 K-pop, 드라마 T 남 20대 초반 아시아계 대학생 버라이어티쇼, 영화 U 여 40대 초반 히스패닉계 회사원 드라마, K-pop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61
심층인터뷰 내용을 다양한 한류 콘텐츠 중 드라마와 K-pop에 한정한 것 은 다른 한류 콘텐츠에 비해서 드라마와 K-pop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 았고, 따라서 미국 내에서의 한류 수용을 점검하기에 적절한 콘텐츠라 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인터뷰는 연구자에 의해서 직접 영어로 진행 되었으며, 인터뷰 시간은 응답자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짧게는 40분에서 길게는 1시간 30분 정도 진행되었다. 모든 인터뷰는 녹취되었으며, 녹 취된 내용은 분석을 위해 영어 원어민에 의해 다시 녹취록의 형태로 작 성되었다. 4. 연구결과 1) 한류 콘텐츠 수용의 사회 문화적 특성 한류란 각기 다른 지역과 상황에서 조금씩 다르게 구현되는 문화적 실천 이자 과정(김수정, 2011)이라는 점에서 미국에서 한류가 어떻게 수용되 고 있는지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류 콘텐츠가 수용되는 사회 적 문화적 특성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첫 번째 특성으 로 들 수 있는 것은 멜팅팟(melting pot)이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것처럼 미국 사회가 다인종 다문화 사회라는 점이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유 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랍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이민자들이 유입된 결과 라고 할 것이다. 1960년대부터 늘기 시작한 이민자 수는 1970년대는 가 속적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 며, 그 결과 미국에서 이민은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급속히 증가되었다. 1950년에는 주로 유럽 국가들(폴란드, 독일, 카나다, 라트비아, 영국 등)이 이민의 주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와 1990 년대에는 제 3세계 국가로부터의 이민이 급증하여, 멕시코와 아시아 국 62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가들(베트남, 필리핀, 한국, 중국 등)이 이민의 주류를 형성하였다(손영 호, 2002 재인용). 그 결과 미국사회는 2010년 현재 백인 63.7%, 흑인 12.6%, 히스패닉 16.3%, 아시아계 4.8%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각 인 종 내 다양한 민족 및 국가 출신자들이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 어 구성원들의 출신 국가 및 민족이 다양화되면서 인종 및 민족 간 혼혈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미국 사회의 다문화적 성격을 강화시 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인터뷰 응답자들의 출신배경을 살펴보더라도 독일, 체코 슬로바키아, 중국,필리핀, 캄보디아, 인도, 팔레스타인 등 다양한 국가 의 출신인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아시아계 출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인터 뷰 응답자들은 부모의 인종 또는 민족이 서로 다른 혼혈인이 대부분이었 다. 또한 가족 중에 다른 인종의 구성원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대 부분의 경우 다문화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저는 멕시칸과 백인 혼혈입니다 (R) 전 일본계 어머니와 독일계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어요 (A) 부모님은 어머니는 아랍계구요, 아버지는 폴란드계예요. 그래서 전 반은 폴란드 반은 아랍계 출신이라고 할 수 있어요. (G) 저는 코카시안이구요, 스웨덴, 덴마크, 그리고 영국계 혈통을 가진 혼혈 이예요. (P) 제 제수씨는 한국인이예요 (M) 미국사회에 인종 및 문화적 갈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처럼 다문 화적인 환경은 다른 문화에 대해 폐쇄적이거나 배척하기보다는 이를 서 로 인정하고 용인하는 개방적인 태도를 형성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63
이다. 특히 미국사회의 다문화적 환경이 이민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점 에서 이민을 통해 미국사회에 정착하게 된 사회구성원들은 미국사회에 융화되기 위해서는 다른 문화에 대해서도 수용적인 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인터뷰 응답자들도 거의 대부분이 자신이 다른 문화에 개방적이며, 다양한 문화적인 환경을 가진 것에 대 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예를 들어 한 답변자는 미국 내에 다양한 문화가 존재함으로써 각기 다른 문화를 배울 수 있고 이것들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즐겁다고 했으며, 어떤 응답자는 주변에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저는 다양성을 좋아해요. 왜냐하면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에 요. 샌디에고에는 다양한 문화가 있고 거기서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을 다 양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좋아요. 예를 들어 음식을 먹더라도 중국 음식점, 한국 음식점, 아니면 일본 음식점 등 내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으니까요. (T) 저는 개인적으로 다양한 문화를 즐기면서 살아왔어요. 다른 문화에 대 한 정보를 모으고 있구요.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걸 좋아해요. 제 가 어렸을 때 멕시코에서 살았는데요, 그때 멕시코 문화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어요. 제 제부가 프랑스인인데요, 그래서 프랑스 문화 에 대해서도 많이 배우려고 했어요. (E) 두 번째는 미국은 전 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많은 한국 교포가 살 고 있어 그 어느 나라보다도 한인 커뮤니티가 발달되어 있는 곳이라는 점이다. 2011년 현재 미국에 있는 재미교포의 수는 약 2백만 명 정도로 270만 명의 교포가 있는 중국 다음으로 큰 교포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64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1960년대 이후 이민 물결을 타고 미국으로 건너간 이민자들은 한인촌을 형성하기 시작했고, 이는 이민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면서 한민족의 정 체성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함은 물론 미국인들에게 한국 음식, 태권 도, 한국어 등 한국문화를 전파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특히 한국의 국 가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이민 2, 3세들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이 커지 고 유학생의 증가에 따른 한인 커뮤니티의 성장은 한국문화 확산에 긍정 적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본 연구의 기반이 된 지역인 샌디에고의 경우 한인 커뮤니티가 미 서부지역의 최대 도시인 로스엔젤레스 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지는 않지 만 샌디에고 내 한국 신문사와 한인회가 중심이 되어 한국어 강좌,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행사, K-pop 경연대회 등 한국문화를 전파하기 위한 다 양한 활동들을 함으로써 한국문화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한국문화 및 한국어에 관심을 갖게 된 미 국인들은 한국 신문사와 한인회가 주최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키워 가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인터뷰 응답자들 중 과반수 이상은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샌디에고 지역 한인 신문사에 자원봉사자 및 인턴으로 활동하거나, 한인 커뮤니티에서 발간하는 잡지의 기고가로 활동하는 등 한인 커뮤니티에서 주관하는 다 양한 활동과 행사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뷰 응답자들을 포함한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은 이 모임 내에서 한국에서 유학 왔거나 어학연수 온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배우고 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쳐 주기도 하며 친 목을 도모하고 있었으며, 한국 드라마와 K-pop 등 한국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서로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어 동호회 회 원들은 한국 음식점과 한국 커피숍을 가기도 하고 한국인이 운영하는 노 래방에서 K-pop을 부르며 생일파티와 각종 이벤트를 하기도 하는 등 샌 디에고 내 한인타운에 기반하여 한국문화를 즐기며 공유하고 있었다. 이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65
렇듯, 한인 커뮤니티는 미국인들이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공유 및 확 대하는 기반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한류의 수용 및 확대에 일정 정도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로는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은 다른 어느 지역의 수용자들보 다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한류 콘텐츠 이용이 용이한 환경을 가지고 있 다는 점이다. 인터넷의 보급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확대는 최근 한류 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조형근 김휘정, 2011). 기존의 한류가 TV, 라디오 같은 대중매체와 현지 공연을 중심으로 확산 이 이루어졌다면, 최근의 한류는 유튜브를 비롯하여 한류 콘텐츠를 제공 하는 다양한 사이트에서 소개된 음악 및 영상물이 현지 수용자들에 의해 선택 및 소비되고 더 나아가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가공되거나 전파됨으로써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영상물 보급 서비스의 확산은 한 류 콘텐츠에 대한 접근 기회를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한류 확산의 긍정적 기반이 되고 있다. 미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훌루(Hulu), 넷플릭스(Netflix), 애플TV(Apple TV) 같은 VOD 사이트들은 한국 대중 음악, 드라마, 영화 같은 한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드라 마피버(Dramafever), 비키(Viki) 등과 같은 온라인 사이트들도 한류 콘텐 츠를 제공하고 있다. 비키의 경우 한국 이외에 대만, 태국, 중국, 터키, 멕 시코, 인도 베트남 등 54개국 드라마 및 영화를 소개하고 있지만 한국 콘 텐츠를 주요 콘텐츠로 다루고 있다. 또한 K-pop 등 한국 연예계 뉴스를 다루는 Allkpop.com이나 Soompi.com과 같은 사이트에서는 K-pop을 비롯한 드라마, 영화, 연예계 소식을 한국과 큰 시간차 없이 빠르게 업데 이트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등을 통해서 이들 콘 텐츠를 재배포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이렇듯 한류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사이트 66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는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그들의 관심사에 따라서 언제 어디서든 한 류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영어권을 제외 한 다른 언어 사용 지역의 수용자들이 언어적 제약으로 인해 한류 콘텐 츠에 대한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비교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 한류 팬들의 경우 프랑스어로 된 한류 팬사이트가 만들어지기 전 까지 영어가 능숙한 팬들을 중심으로만 한류 콘텐츠에 대한 적극적인 이 용이 이루어질 수 있었고, 이들의 주요한 활동 중의 하나는 한국어와 영 어에 익숙하지 않은 다른 팬들을 위해 자막을 다는 것이었다(손승혜, 2011)고 한다. 이에 비해 본 연구의 인터뷰 응답자들의 경우 한류 콘텐츠 를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는 달랐지만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유튜브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이트를 넘나들면서 K-pop과 한국 드라마를 자유롭 게 이용하고 있었다는 것은 언어적 차원을 포함하여 한류 콘텐츠에 대한 접근 가능성과 다양성이 한류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 해 준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 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환경은 한류 수용자들이 한국 대중음악, 드라마, 영화 등을 자유 롭게 이용하는 것을 가능케 함으로써 미국 내 한류 확산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2) 한류 콘텐츠 수용 양상 (1) 차별화된 콘텐츠로서 한류 콘텐츠 수용 한류 콘텐츠가 수용되는 이유는 지역별로 수용자 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 로 보인다. 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한류에 대한 수용은 특히 젊은층에서 경제적 발전에 대한 동경과 한국 드라마가 묘사하는 아시아의 근대성을 선호하는 경향에 의해서(오미영, 2006), 그리고 일본에서의 한류는 주로 중년여성들을 중심으로 과거 언젠가 일본에도 있었던 문화로서, 즉 일종 의 노스텔지어로서 수용된다(이창현, 2007)고 한다. 그렇다면 미국 내 한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67
류 수용자들이 어떠한 측면에 주목하여 한류 콘텐츠를 수용하는가를 살 펴보면, 미국 문화 콘텐츠가 갖고 있지 않은 새로운 측면 또는 예전에는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가지고 있지 않은 그래서 지금의 미국 문화 콘 텐츠와는 다른 측면, 한마디로 현재의 미국 문화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특성에 주목하고 있었다. 먼저 한국 드라마의 경우, 인터뷰 응답자들은 미국 드라마와 차별 화되는 특성으로서 첫 번째 한국 드라마의 건전함 과 순수함 을 언급하 였다. 미국 드라마는 주로 범죄 관련 드라마가 많기 때문에 폭력적이고 잔인한 내용이 많은 데 반해, 한국 드라마는 남녀 간의 순수한 사랑을 로 맨틱하게 다룬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의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대중문화 콘텐츠에 혐오감을 느끼게 된 수용자들이 건전함과 절제성 그리고 더 나 아가 순수성을 담고 있는 한국 드라마를 좋게 인식한 결과라고 할 것이 다. 두 번째는 드라마와 음악 간 밀접한 관계 를 꼽았다. 즉 한국 드라마 는 미국 드라마와 달리 드라마만을 위해 특별히 음악이 만들어지기 때문 에 어떤 음악을 들으면 특정 드라마를 떠올리게 된다는 것이다. 몇 개의 음악이 드라마가 끝날 때까지 특정 장면이나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옴 으로써 드라마를 보면 음악과 감정적으로 연결이 되고, 그 음악을 들으 면 드라마의 어떤 장면이나 상황을 떠올리게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드라마는 하나의 드라마가 단기간에 끝난다는 점이다. 미국이나 영 국 드라마의 경우 하나의 드라마가 몇 번의 시즌으로 제작됨으로써 하나 의 소재가 반복되고 드라마가 방영되는 기간이 계속 연장되는 데 반해, 한국 드라마는 짧게는 2 3개월 길게는 6개월 정도면 끝나기 때문에 식 상하지 않고 불필요한 시간 연장이 없다는 것이다. 미국 드라마는 너무 폭력적이고 주로 범죄 관련 드라마가 많기 때문에 잘 보지 않아요 (K) 68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한국드라마는 로맨틱해서 좋아해요. 그리고 참 순수해서 좋아요. (E) 미국 드라마에서는 사랑이 빠르게 진행되지만 한국 드라마는 천천히 느린 페이스로 진행되서 좋아요 (L) 한국 드라마에서는 드라마가 끝날 때 까지 몇 개의 음악이 계속 반복해 서 나오지만 미국 드라마에서는 그렇지 않고 매번 음악이 바뀌어요. 그 래서 한국 드라마를 보면 음악과 감정적으로 연결이 되고 그 음악을 들 으면 이것이 무슨 드라마였지 하는 식으로 드라마가 떠올라요. (B) 미국 드라마나 영국 드라마와 달리 한국 드라마는 몇 년씩 가지 않잖아 요. 한국 드라마는 3개월 길게는 6개월이면 끝나기 때문에 그것이 끝나 면 새로운 드라마를 볼 수 있어서 좋아요. (G) 또한 인터뷰 응답자들은 미국 Pop과 차별화되는 K-pop의 특성으 로 첫째 따라하기 쉬운 멜로디 를 꼽았다. K-pop 가사의 의미도 모르고 잘 따라 부르지도 못하지만 멜로디가 따라 하기 쉽다는 것이다. 그래서 몇 번만 듣고 나면 계속해서 머리에 맴돌고 그러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혼자 흥얼거리게 된다고 하였다. 두 번째는 순수하고 로맨틱하 다 는 것이다. 응답자들은 미국 pop 음악은 대부분 섹스와 약물 그리고 살인과 같은 내용뿐인 데 반해 K-pop의 가사는 주로 여자 친구가 얼마나 사랑스럽고 그들이 얼마나 사랑하는지 주로 사랑에 관한 것이거나 누군 가를 그리워하는 등 순수하고 로맨틱한 내용이 많다는 것이다. 세 번째 는 새로움 과 독특함 이다. 인터뷰 응답자들은 미국 음악은 새로 나온 음 악들도 듣다 보면 어디서 많이 들어 본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K-pop은 전에 어디서 들어본 적이 없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기 때문에 매우 유니 크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K-pop 밴드는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가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69
지고 있으며, 각 밴드 내에 있는 멤버들도 어떤 멤버는 터프한 매력을 또 다른 멤버는 귀여운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그들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K-pop 밴드만의 특징이라고 보았 다. 더불어 미국 가수들의 경우 팬들에게 노출되는 기회가 훨씬 적은데 반해 K-pop 가수들은 버라이어티쇼나 빌보드, 광고, 포스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팬들에게 노출됨으로써 팬들은 그들이 어떤 성격을 가졌고, 어떤 사람인지를 더 잘 알 수 있게 되어 그들에 대한 친밀감이 쉽게 형성 된다고 하였다. K-pop은 기억하고 따라 부르기 쉬워서 좋아요 노래의 가사를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뭘 말하는지 굳이 이해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어떤 때는 차라리 가사의 내용을 모르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노래 가사 를 좋아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따라 부르기도 하구요. 그러다 보면 기분 이 좋아져요 (L) 미국 POP음악은 건전하지 않아요. 모두 섹스와 약물 그리고 살인에 관 한 것 뿐이에요. 그렇지만 K-pop은 여자 친구가 얼마나 사랑스럽고 얼 마나 사랑하는지에 대해서 말하잖아요 이것은 미국 pop과 완전히 달 라요. K-pop을 들으면 완전히 다른 스토리예요 (E) K-pop은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새로운 것이기 때문에 아주 유니크 하다고 생각해요. 어디서도 그런 음악을 접할 수 없어요. 모든 밴드도 그들만의 스타일을 가지고 있구요 (H) 결국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은 한류 콘텐츠를 미국 대중문화 콘텐츠 와 차별화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70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한류를 수용하는 내용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2) 디지털 매체를 통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수용 한류 콘텐츠가 TV 및 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이용되었던 시대와 달리 최근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한류 콘텐츠는 디지털 매체를 기 반으로 이용 및 소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도 이 전에 TV나 라디오를 통해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 어나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수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 은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의 한류 콘텐츠 수용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 었다. 먼저, 인터뷰 응답자들은 한류 콘텐츠를 처음 접촉하게 된 계기가 주로 유튜브나, 훌루, 넷플릭스 같은 인터넷 동영상 제공 사이트에서 음 악이나 드라마 등의 콘텐츠를 보거나 듣다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찾다가 우연하게 한국 드라마와 K-pop을 발견하게 된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또 한 한국 드라마나 K-pop을 처음 접하게 된 이후에도 다양한 온라인 사이 트를 통해 이들 한류 콘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한다고 하였다. 구 체적으로 한국 드라마를 이용하거나 이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유 튜브, 훌루(Hullu), 넷플릭스(Netflex), 드라마피버(DramaFever), 비키 (Viki), 올케이팝(Allkpop) 같은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이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K-pop을 듣기 위해서는 주로 유튜브와 판도라 같은 온라인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휴대폰 MP3 플레이어를 이용 하고 있었다. 특히 K-pop을 이용하기 위해 유튜브를 이용한다는 응답자 들이 가장 많았는데, 그것은 유튜브에서는 뮤직비디오도 볼 수 있고 쉽 게 다른 가수나 노래를 찾을 수 있고 새로운 음악도 추천해주기 때문이 라고 하였다. 이처럼 인터뷰 응답자들은 한류 콘텐츠를 처음 접하는 상 황부터 이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용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까지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71
한류 콘텐츠 수용의 모든 과정에서 인터넷 사이트와 소셜미디어를 이용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렇듯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의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은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드라마를 보기 위해서 비키, 드라마 크레이지, 드라마피버 그리고 훌루 같은 사이트를 이용하는데요, 참 넷플릭스도 있어요. 이것들이 다 한국 드라마를 볼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예요 (A) 주로 유튜브를 통해서 K-pop을 들어요 친구들이 여러 K-pop 그룹과 밴드에 대해서 말해주면, 유튜브에 가서 그것들을 찾아보고 거기에 올 라와 있는 이용자들의 코멘트를 보고 거기서 K-pop 그룹이나 가수에 대한 정보를 얻어요 (I)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은 자발적이고 능동 적인 더 나아가서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먼저 한국 드라마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 인터뷰 응답자들은 드라마를 선택할 때 드라마 관련 사이트에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나 유명한 배우를 검색하여 그들이 나왔던 드라마를 찾아 그것들을 하나하나씩 선택해서 본다고 하였다. 또 한 한국 드라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에도 한국어 동호회에 있는 친구 들이 현재 어떤 드라마를 보는지 또는 어떤 드라마를 좋아하는지를 물어 본 뒤 그것을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 다른 사람들이 올려놓은 후기나 감 상평을 읽고서 드라마 시청을 결정한다고 하였다. 더불어 드라마 시청에 있어서도 일정 시기 동안에 한 드라마만을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2 3개 의 드라마를 동시에 시청한다고 하였다. 즉, 하나의 드라마를 보다가 스 토리 전개가 느리거나 지루하면 또 다른 드라마를 선택해서 보고 그것이 끝나면 다시 이전의 드라마로 되돌아가 보기도 한다는 것이다. 특히 현 72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재 방영 중인 드라마를 보는 경우 다음 에피소드를 기다리는 동안 예전 에 방영되었던 다른 드라마를 보면서 다음 에피소드를 기다리는 식으로 한 번에 몇 개의 드라마를 동시에 시청한다고도 하였다. 그리고 한국 드 라마를 본 후에는 드라마 관련 사이트에 감상평을 남기기도 하고, 페이 스북에 특정 드라마를 소개하거나 볼 것을 권유하는 글을 올린다고도 하 였다. 드라마 선택할 때 대부분 드라마 주인공이 유명한 배우인지 아닌지를 보고 결정해요. 유명한 배우가 나오고 재미있을 것 같으면 그 드라마를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보고 그 드라마에 대한 리뷰가 좋은지 않 좋은지 를 확인해 보고 나서 드라마를 봐요. (N) 보통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를 보는데요, 다음 에피소드를 기다리는 것 을 참지 못하고 전에 방영되었던 다른 드라마를 보곤 해요. 그래서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와 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를 번갈아 가면서 보는 편 이예요. (L) K-pop 수용과 관련해서도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수용양상을 볼 수 있었다. 인터뷰 응답자들은 K-pop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친구에게 물 어보기도 하고, 이를 다시 유튜브나 K-pop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보고, 다른 이용자들이 남긴 코멘트나 후기를 참고한다고 하였다. 또한 어떤 응답자는 관련 정보나 소식을 얻기 위해 K-pop 그룹이나 가수의 페이스 북이나 트위터를 직접 팔로우 한다고도 하였다. 이들은 K-pop을 보거나 듣기 위해서 보통 유튜브나 관련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정말 좋은 노래 나 가수가 생기면 아이튠이나 멜론을 통해서 직접 구매하기도 하고, 2시 간 거리에 있는 LA에 갈 기회가 있으면 코리아 타운 음반가게에 가서 CD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73
를 구매하는 등 적극적인 소비를 한다고도 하였다. 또한 인터뷰 응답자 들 중 반 이상은 한국어 동호회에서 또는 개별적으로 친구들과 함께 한 국 교포가 운영하는 노래방에 가서 K-pop을 부르기도 하고 K-pop 콘서 트를 관람하기도 함으로써 K-pop을 적극적으로 즐기고 있었다. 특히 이 들이 작년 한해 K-pop 콘서트에 지출한 금액이 수백 달러에 달했다는 점 과 매번 K-pop 콘서트를 보기 위해 2시간 거리에 있는 LA를 서슴지 않고 간다는 점은 이들이 K-pop을 얼마나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은 페이스북에 자신들이 콘서 트장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하고 콘서트 현장의 사진을 올리기도 함 으로써 K-pop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적극적인 모습도 보여주었다. 더불어 인터뷰 응답자들 중 일부는 자신이 좋아하는 K-pop 그룹이나 가 수의 음악을 페이스북에 올리기도 하고, 페이스북에 다른 사람이 올려놓 은 음악에 좋아요 를 클릭하기도 함으로써 특정 K-pop 그룹이나 노래에 대한 선호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응답자 중 몇 명은 샌디에고 지역 K-pop 댄스 동호회인 K-pop 플레시몹 의 멤버로 활동하면서 자신들이 춘 춤을 녹화해서 유튜브에 올린다고 함으로써 주 어진 콘텐츠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이를 나름대로 재생 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K-pop에 관한 정보는 처음에는 주로 한국어 동호회 친구들에게 물어 보는데요. 친구들이 말해준 것들을 유튜브에 가서 찾아보고, 또 다른 이용자들은 어떤 평가나 의견을 갖고 있는지 코멘트를 보고서 정보를 얻어요. (L) K-pop을 보통 차에서나 집에서 듣는데요. 휴대폰에 있는 음악을 스피 커로 연결해서 들어요 그리고 저는 K-pop 밴드들의 페이스북을 팔로 74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우 하는데요. 페이스북에 무언가를 올리면 이에 대한 댓글이 많이 달려 요. 그것을 보다보면 K-pop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어요. (H) 이렇듯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은 한국 드라마와 K-pop에 대한 정 보수집, 콘텐츠 선택, 이용, 공유의 모든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적극적인 수용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3) 온 오프라인 네트워킹을 통한 경험의 공유와 확산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소셜 미디어의 확산은 지리적 경계를 넘어 서는 네트워크의 형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한류 콘텐츠 수용을 새로운 차 원으로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도 한류 콘텐츠 관 련 온라인 사이트나 페이스북 및 트위터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차원에서 한류 콘텐츠를 경험 및 공유하고 있었다. 인터뷰 응답자들은 드라마를 선택할 때 관련 사이트에 다른 사람들 이 남긴 후기나 감상평에 근거하여 드라마를 선정하고, 그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드라마에 대한 정보도 얻고 드라마도 보고 K-pop을 듣는다고 하였다. 또한 일부 인터뷰 응답자들은 이들 사이트에 드라마에 대한 감 상평이나 K-pop에 대한 소감을 올린다고도 하였다. 더불어 인터뷰 응답 자들을 포함하여 그 외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도 페이스북에 자신이 좋아 하는 드라마나 K-pop가수의 노래를 올리기도 하고 또한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나 새로 출시된 K-pop가수의 노래를 소개함으로써 한국드라마나 K-pop에 대한 관심과 경험을 페이스북상의 친구 또는 동료들과 함께 공 유코자 한다고 하였다. 이렇듯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온라인 사이트 또는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커뮤니티에 기반하여 한류 콘텐 츠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75
점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네트워킹은 미국 내 한류수용자들이 한 류 콘텐츠를 경험하고 공유하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 공동체로서 한국어 동호회는 인터뷰 응답자들을 포 함하여 한류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동호회 내 다른 회원들에게 한류 콘 텐츠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확대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었다. 한국어 동호회가 한국어 또는 한국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지 만 인터뷰 응답자들을 포함한 이 모임의 멤버들은 이 모임을 중심으로 한국어나 한국문화는 물론 한국드라마나 K-pop에 대한 관심과 경험을 공유하고 확대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인터뷰 응답자들 중 많은 사 람들이 어떤 한국 드라마를 볼지 결정할 때 이 모임에 있는 친구들의 조 언에 기반하여 선택한다고 하였으며, 이들 중 몇몇은 주말에 가끔 한번 씩 이 모임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자신의 집에서 또는 다른 친구의 집에 서 저녁을 먹으면서 한국드라마를 함께 시청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또한 한국어 동호회에서는 멤버들의 생일파티나 특별한 행사를 한국 노래방 에서 개최하기도 하였는데, 이때 각자 자기가 알고 있는 K-pop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K-pop 댄스를 추기도 하면서 K-pop을 함께 즐긴다고도 하였다. 더불어 인터뷰 응답자 중 일부는 K-pop에 대한 경험을 다양화시 키기 위해 한국어 동호회 이외에 K-pop 플레시몹 이라는 K-pop댄스 동 호회에도 나간다고 하였다. 이 모임에서는 한 달에 한두 번 만나 K-pop 댄스를 서로 가르쳐주기도 하고 연습을 하면서 K-pop댄스를 배운다고 했으며,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자신들이 배운 것들을 공연한다고 하였다. 가끔은 친구들과 함께 집에서 밤늦게까지 한국 드라마를 보기도 해요. 친구들과 함께 드라마를 볼 때 가장 재미있는 것 같아요. (C) 76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저는 현재 40명 정도로 구성되어 있는 K-pop 플레시몹 그룹에서 활동 하고 있는데요. 거기서 한 달에 한 번 모여 인기 있는 K-pop 그룹의 댄 스를 배워요. 최근에는 블락비의 댄스를 배웠어요 그리고 가끔은 샌 디에고에서 열리는 이벤트에 초청을 받아 거기서 공연을 하기도 해요 우리 모임에서는 가끔 가라오케에 가서 K-pop을 부르기도 해요. (H) 특히 한국어 동호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에서 유학 왔거나 어학 연수 온 한국 학생 또는 이 지역에서 일을 하고 있는 한국인 회원들은 한 국어 동호회 내의 미국인 회원들이 한국 드라마와 K-pop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이에 대한 경험을 공유토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정기 모임과 사교활동을 통해서 서로 친분을 쌓고, 특히 서로 인 상 깊게 봤거나 좋아하는 한국 드라마와 K-pop 그룹에 대해서 얘기를 하 면서 또는 함께 한국 영화를 보러 가거나 노래방에 가면서 한류 콘텐츠 를 함께 경험하고 공유하고 있었다. 이처럼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에게 있어서 온 오프라인 공동체는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다른 사람들 과 공유하고 확대하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4) 문화적 취향의 일부로서 수용 미국은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는 사회다. 따라서 미국 사회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문화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에 대한 소 비도 다원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인들은 특정의 문화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랍 등 다양한 나라의 문 화를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차를 두고서 소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미국인들의 한류 콘텐츠 수용 역시 이러한 다문화 소비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인터뷰 응답자들에 의하면 이들 대부분들은 한류 콘텐츠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77
를 이용하면서 또는 그 이전에 미국 드라마와 다른 나라의 문화 콘텐츠 를 이용하거나 이용한 적이 있었다. 이들은 최근에 한국 드라마나 K-pop 을 주로 많이 이용하지만 여전히 미국 드라마나 팝음악도 많이 듣고 있 으며, 이외에도 일본 영화, 드라마, 팝음악 또는 중국이나 대만 드라마를 시청하거나 청취한 경험도 있었다. 일부 인터뷰 응답자들은 최근 들어 다른 나라의 음악보다 K-pop을 가장 많이 듣는다고도 했지만, 대부분의 다른 응답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 pop 음악을 주로 많이 듣는 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응답자들 중 많은 이들이 한국 문 화를 접하기 전에 일본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거나 경험했다고 했으며, 일부는 지금도 여전히 일본 음악을 듣거나 일본 드라마를 볼 정 도로 일본 문화에 관심이 많다고 하였다. 일본 영화를 보다가 우연히 한국 영화를 접하게 되었어요. 저는 외국 영 화를 좋아하기 때문에 한국 영화도 한 번 봐보기로 했어요. 이것을 보다 가 이것이 한 편이 아니라 여러 에피소드로 되어 있다는 걸 알았고, 그 것이 영화가 아니라 드라마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S) 한때 힙합과 R&B를 들었었죠, 지금은 주로 K-pop을 듣는데요, 그렇지 만 전에 힙합이나 R&B를 들을 때만큼 심취해 있지는 않아요. (F) 한국문화를 접하기 전에 일본문화에 관심이 많았어요. 지금 사실 아직 도 일본밴드의 음악을 많이 듣구요. 아직도 좋아해요 (N) 이처럼, 한류 콘텐츠의 미국 내 수용은 타문화 수용과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 콘텐츠와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차를 두고 소비되고 경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한류 콘텐츠를 접하고 이 78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것을 받아들이면서 자국문화를 비롯한 기존의 다른 문화에 대해서도 특 별히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지는 않았다는 것은 한국 드라마나 K-pop과 같은 한류 콘텐츠는 그들이 이용하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 중의 하나로서 이용 및 경험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한류 콘텐 츠는 글로벌한 문화가 집약된 미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적 취향의 일부 로서 경험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3) 한류 콘텐츠 수용의 사회 문화적 의미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한국을 일본, 중국과 더불어 아시아에 위 치한 작은 나라로만 인지해 왔을 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종종 한국전쟁이나 북한의 전쟁위협과 관련된 이슈가 부각될 때만 관심을 가 졌을 뿐, 한국에 대해 거의 무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류 콘텐츠가 미국인들 사이에서 수용되기 시작하면서, 특히 지난여름 가수 싸이의 강남 스타일 이 미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면서 한류 콘텐 츠는 이를 수용하는 미국인들에게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미국 내 한류 콘텐츠 수용은 어떤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갖는가? 첫째,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은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와 관심을 형성 및 확대시키는 기회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응답자들은 한국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한국 사람과 한국사회, 한국문화 등을 통해서 한국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한국 사회의 모습이 어떠한지, 관습이 나 전통 및 가족관계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 다. 예를 들어 자기 또래 사람들은 무엇을 하면서 놀고, 데이트하기 위해 어디를 가는지, 어른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등이다. 또한 이들은 한류 콘텐츠를 통해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해 배우고 경험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를 자신의 생활 속에 적용시켜 경험하고 체득하는 것으로 보였 다. 즉, 드라마를 보고나면 단순히 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드라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79
마에서 보여주었던 말이나 행동 그리고 배우나 가수의 헤어스타일이나 패션을 실제 생활에서 따라해 봄으로써 한국문화를 자신의 생활에 나름 의 방식대로 적용시켜 체험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부 응답자들은 한국드 라마를 본 뒤 한국에 가고 싶어졌다고 함으로써 한류 콘텐츠를 통한 한 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한국에 대한 방문 의향으로까지 발전된다 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 드라마를 통해서 한국문화에 대해서 알게 되었어요. 한국 사람들 이 현실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드라마에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한 국문화를 경험할 수 있었어요. (B) K-pop을 접하고 난 뒤 한국문화에 관심이 생겼어요. 한국이 어떻게 탄 생했는지, 숫자 체계는 어떤지, 절이라든지 많은 곳에 가보고 싶고, 한 복도 입어보고 싶어요. (A) 저는 한국드라마를 보고서 드라마에서 나왔던 것들을 실제로 따라해 보기도 해요. 예를 들어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등장인물이 그릴 에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을 보고서, 드라마에서 나왔던 비슷한 그릴을 사 서 고기를 구워먹기도 했구요. 또 <옥탑방 왕자>에서 오믈렛을 해 먹는 장면을 보고서 오믈렛을 좋아하게 되었어요. (C) 둘째, 미국 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은 한류를 중심으로 한 새로 운 문화적 취향을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은 자신 들을 미국 사회의 주류 문화 소비자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집단으로 인 식하면서 한류 콘텐츠를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향유하고 있었다. 이들 은 한류 콘텐츠를 접하고 받아들이면서 미국 주류 문화나 다른 문화에 80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대해서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지는 않지만 자신들이 미국 주류 문화를 소 비하는 사람들과는 차별화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어 동호회 나 한인 커뮤니티 같은 오프라인 커뮤니티 그리고 소셜미디어나 한류 콘 텐츠 제공 사이트를 중심으로 형성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서로 정보를 주고받거나 공유함으로써 나름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갖는 것처 럼 보였다. 비록 그러한 정체성과 소속감이 결속력이 강한 팬덤의 모습 으로까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통의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다는 나 름의 유대감은 갖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일부 응답자들의 경우 K-pop과 같은 한류 콘텐츠가 너무 많은 인기를 얻게 되면 지금 그대로의 모습을 잃게 될 것을 걱정하면서 자신들만이 K-pop 문화를 향유하고 싶 다는 기대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한류는 마카레나나 일본 만화처럼 한때 유행하다가 사라질 수도 있을 거예요. 그렇지만 사라지더라도 초기에 한국음악이나 드라마를 좋아했 던 사람들은 여전히 한류의 팬으로 남지 않을까 싶어요. (A) 사람들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한국어 동호회에 나오는 사람들에 한해서 는 계속해서 한류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저만 하더 라도 바쁜 일정이 빨리 끝나서 모임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P) 셋째, 한류 콘텐츠는 다른 세계를 보여주는 창으로서 타문화에 대 한 이해를 넓혀주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었다. 몇몇 인터뷰 응답자들은 한류 콘텐츠를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가 아닌 다른 사회는 어떤 모 습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게 되었고, 관습이나 전통, 음식, 음악 등에 대해서 개방적이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어떤 인터뷰 응답자는 미국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삶과는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81
다른 삶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의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과 수용은 자국중심적인 문 화 관점에서 벗어나 타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개방적인 태 도를 자극시킴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켰다고 할 수 있다. K-pop을 듣는다는 것은 다른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게 의 미가 있는 것 같아요. 미국 사람들은 세계가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내 생각을 넓히고 지금 살고 있는 삶과는 다른 것에 귀 기울이고 다른 문화에 있는 사람을 만나야 해요. (B) K-pop을 듣는다는 것은 다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창과 같은 것이라 고 봐요. 음악은 기본적으로 즐거움을 주지만 이것을 넘어서면 다른 사 회의 문화에 도달할 수 있잖아요 (I) 5.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세계 대중문화의 주요 생산지인 미국에서 한류가 어떻게 경험 및 수용되고 있는지를 점검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류현상에 대한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근거를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미국 샌디에고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미국 내에서 한류가 경험되고 수용되는 사회 문화적 배경 및 특성으로서 미국사회가 다인종 다문화 사회라는 점, 이로 인해 문화 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미국 내 82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한류 수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처럼 보였다. 또한 미국의 경우 다른 어떤 나라에 비해 한인 커뮤니티가 발달되어 있다는 것과 온라인을 통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이 미국 내 한류 수 용자들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확대하는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내 한류 수용이 이루어지는 또 다른 사회문화 적 특성으로 간주되었다. 이렇듯 미국사회의 다인종 다문화적인 배경과 한인 커뮤니티의 발달 그리고 한류 콘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은 미 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한류 콘텐츠를 받아들이고 경험하는 데 있어서 용이한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고 판단되며, 이로써 미국 내 한류 경험과 수용이 다른 어떤 사회나 지역에서 보다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 내 한류의 수용과 확산이 뉴욕이나 LA같은 대도 시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뉴욕이나 LA의 경우 다른 중소규모의 도시에 비해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어 타문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특히 이들 지역은 그 어떤 지역보다도 한인 커뮤니티 가 발달되어 있어 한국문화에 대한 접촉 기회가 많다는 점에서 미국 내 수용자들의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과 수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 각된다. 특히 한인 커뮤니티는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현실화하고 공유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 서 한류의 형성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의 한류 콘텐츠 수용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첫째,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은 미국 문화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한류 콘텐츠의 특성에 기반하여 한류 콘텐츠에 대한 선호를 형성하고 있 었다. 둘째는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이용과 경험이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 로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셋째 한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83
류 수용자들은 온 오프라인 커뮤니티에 기반하여 형성된 네트워킹을 통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확대하고 있었으며, 마지막으 로 한류 콘텐츠 수용은 타문화 수용과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 라 다른 문화 콘텐츠와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차를 두고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문화적 취향의 일부로 수용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주목하는 미국 문화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한류 콘텐츠의 특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한국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와 음악간 밀접한 관계, 건전함과 순수함, 단기적이라는 점 을 그리고 K-pop에 대해서는 따라 하기 쉬운 멜로디, 순수하고 로맨 틱함, 새로움과 독특함, 팬들과의 친밀함 을 꼽았다. 이러한 특성들은 왜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한류 콘텐츠를 선호하는지를 나타내주는 주 요 특성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대부분 기존연구 에서 한류가 여러 지역에서 인기를 얻은 이유로 언급되었던 요소들과 일 치한다는 점에서 한류가 소구되는 특성이 각 지역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의 한류를 연구한 손승혜(2011)의 연구에서도 프랑스 수용자들에게 소구되는 한류 콘텐츠 특성들로 새로 움, 개방성, 절제성, 친근성 을 제시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것들 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류 현상에는 그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여러 특징들이 있다고 하면서, 소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이용 되고 있다는 점, 한류 콘텐츠 이용과 확산이 자생적이고 상향식이라는 점 그리고 한류 수용자가 능동적인 성향을 갖는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 로 한류 콘텐츠 중 K-pop이 그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조형 근 김휘정, 2011). 본 연구에서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한류 콘텐츠를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이용 및 경험하고 있었 다는 것은 최근의 신한류의 특성을 일정 부분 반영한다고 할 것이며, 이 84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는 곧 미국 내 한류 수용이 전 세계적인 한류 수용의 트렌드를 일정 부분 반영한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아시아 지역에서는 디지털 매체 이외에 TV와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한류 수용이 이루어지 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한 한류의 수용은 아시아지역과 미국에서의 한류수용을 구분하는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 내 한류 수용자들이 온 오프라인 커뮤니티에 근거한 네 트워크를 통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확대하고 있었다는 것은 온오프라인 커뮤니티가 미국 내 한류 수용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이 된다는 것을 제시해준다고 할 것이다. 최근 한류 2.0 시대에 전 세계적으 로 온라인상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이용과 경험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러 한 결과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내 한류 수용 양상에서 특 징적인 것은 온라인 네트워크 외에도 오프라인 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한국어 동호회와 같은 오프라인 네트워크는 일상생활 속에서 회원들 간의 사교 및 친목 도모를 통해 미약하나마 한 국 또는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 간의 유대감을 형성시켜 주고 한국문화 취향자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함으 로써 한류 팬덤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강화시켜준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특히 한류 수용이 타문화 수용과 배타적으로 이루어지 지 않고 문화적 취향의 하나로서 경험되고 공유되고 있었다는 것은 미국 내 한류현상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 다. 이는 곧 최근 미국 내에서 불고 있는 한류의 인기가 한류 콘텐츠가 미 국 내에서 절대적인 위상을 차지해 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기보다는 한류 콘텐츠가 미국 사회에서 하나의 문화적 취향으로 즉, 하위문화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미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85
국 내 여러 지역에서 젊은층을 제외한 중장년층의 경우 아직 K-pop을 비 롯한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도 낮고 관심도 낮다는 점은 미국 내에 서 한류 콘텐츠가 하위문화의 하나로서 수용되는 측면이 강하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국 수용자들 의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양상은 미국 수용자들이 한류 콘텐츠를 어떻 게 경험하고 수용하고 있는지를 다각적인 차원에서 제시해줌으로써 미 국 내 한류 현상을 이해하는 데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근거를 제시해 준 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용이 어떤 사회적 문 화적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본 결과, 먼저 미국 내 한류 콘텐츠 수용은 한 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국 내에 한류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적 취향으로 자 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을 형성시켜 놓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좀 더 거시 적인 차원에서 한류 콘텐츠는 다른 세계를 보여주는 창으로써 이에 대한 수용은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는 기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러한 점에서 미국 내 한류현상은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와 만나 서로 이해하고 교류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문화를 통해 어떻게 타 문화 간 소통이 가능한지를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한류현상을 주로 국가 마케팅이나 문화민족주의 의 차원에서만 접근해 왔던 관점은 한류현상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내 한류 수용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수용자의 경험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것이 갖는 사 회문화적 의미는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미국 내 한류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이고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한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아시아 지역과 일부 유럽지역에 제한되어 이루어져 왔고,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에 대한 한류 관련 연 86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한류현상을 이해하기 위 한 경험적인 근거를 제공해 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에 서의 한류가 아시아와 유럽에서의 한류와 어떻게 다른지를 제시해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 되고 있는 한류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유용한 근거를 제 공해 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샌디에고 한국어 동호회 라는 특정 집단에 대한 심층인터뷰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탐색적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미국 내 한류수용으로 일반화시키는 데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에 대한 주의 깊은 해석이 요구된다 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에서의 연구결과와의 용이 한 비교를 위해 기존 연구의 질문틀을 이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미국에 서의 한류수용의 특성 및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이끌 어낼 수는 있었으나 좀 더 구체적인 특징과 의미를 이끌어내는 데 한계 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이후 연구에서는 미국 내 한류 수용 특성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좀 더 면밀한 인터뷰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87
참고문헌 강만석 (2004). 중국 방송 산업 개혁 개방과 시장 진출 방안. 방송영상콘텐츠 해외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 세미나 발표문. 권연수 (2005). 소비되는 욘사마, 순수와 명품 사이. 김영순 박지선 외. 겨울연 가: 콘텐츠와 콘텍스트 사이. 서울: 다할 미디어. 김성섭 김미주 (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권 4호. 김수정 (2011).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권 1호, 5 54. 김수정 양은경 (2006). 동아시아 대중문화물의 수용과 혼종성의 이해. 한국언 론학보, 50권 1호, 115~136. 김재휘 이희성 (2007). TV드라마 시청이 국가에 대한 이미지 및 제품 평가에 미 치는 영향: 일본인들의 한국 TV드라마 시청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 자 광고, 8권 3호, 379 398. 김주연 안경모 (2012).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호, 516 524. 김영덕 (2006). 일본내 한류 드라마 편성 실태와 전망. KBI포커스, 06-03, 서울: KBI. 김영찬 이동후 이기형 (2005). 한류 미디어 콘텐츠의 정치적 문화적 함의 연구. 한국언론학회연구보고서. 김현미 (2003). 일본 대중문화의 소비와 팬덤 의 형성. 한국문화인류학, 36 권 1호, 149 186. 노광우 (2006). International Fandom of Korean Film: A Study on an English fan site of Korean Cinema. 커뮤니케이션 과학, 27권 1호, 93 126. 박성화 (2013). 한류의 세계적 소비현상에 관한 연구: 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88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삼성경제연구소 (2011. 10. 14).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신한류시대. 서현철 (2002). 한류 리포트, 이미지 오브 코리아. 연세미디어아트센터. 신현준 (2005). K-pop의 문화정치(학):가요 민족주의로부터 팝 아시아주의 속 으로.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주최 국제 세미나 아시아 대중문 화 연구. 서울. 손승혜 (2011).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 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학술대회. 77 98. 손영호 (2002). 미국 사회에서 이민과 통합의 문제: 캘리포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문화연구, 20권, 63~76. 양은경 (2003). 동아시아의 트렌디 드라마 유통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 연구. 방 송연구, 57, 197 220. 유세경 고민경 (2006). 한국 TV드라마의 시청 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 연구. 미디어 젠터 & 문화, 6호, 46 77. 오미영 (2006). 일본 내 한류 수용과 타자인식의 변화. 현상과 인식, 봄/여름, 34~56. 오세정 (2012). K-POP 선호요인: 미주 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 관성연구, 24호, 205 222. 유세경 (2005). 동북 아시아지역에서 한국 프로그램 교류 현황과 의미에 관한 연 구. 프로그램/텍스트, 13, 97 124. 유세경 이경숙 (2001). 동북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한국언론학보, 45권 3호, 230 267. 유정 (2005).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선희 (2013). 케이 팝의 유럽적 수용과 문화 확산의 청소년 수용전략. 한국언 론학보, 57권 3호, 135 161. 이동후 (2003). 한국 트렌디 드라마의 문화적 형성 탈국가적 문화수용 양식을 중심으로. 조한혜정 외.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125 154쪽). 연 세대학교 출판부.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89
이수안 (2012). 유럽의 한류를 통해 본 문화혼종화. 한독사회과학논총, 22권 1호, 117 146. 이운영 (2006). 중국에서의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구매의사에 미친 영 향. 국제경영리뷰, 10권 2호, 107 136. 이준웅 (2003).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 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7권 5호, 5 35. 이창현 (2007). 일본과 중국내 한류 수용자의 해외 문화 수용에 대한 인식 비교. 주관성 연구, 15호, 21 40. 이창현 김유경 이효복 (2010).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87호, 364 391. 매일경제한류본색프로젝트팀(2012). 한류본색. 매일경제신문사. 조한혜정 (2003). 글로벌 지각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열풍. 조한혜정 외 한류 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조형근 김휘정 (2011). 신한류 현상의 특징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254호. 진행남 (2011). 신한류와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 JPI정책포럼, 2011-19, 1 26. 채지영 (2005). 일본 한류 소비자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하라타 유키에 (2005).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한류, 여성, 드라마. 서울: 책 세상. 하종원 양은경 (2002). 동아시아 텔레비전의 지역화와 한류. 방송연구, 56, 67 104. 허진 (2002). 중국의 한류 현상과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 학보, 16권 1호, 496 527. 한국무역협회 (2004). 최근 한류현황과 활용 전략.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편 (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서울: 한국 문화산업교류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북미지역 한류현황 분석과 한류를 활용한 보건산 업 마케팅 전략 연구 보고서. 보고서. 90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 현황과 과제. KOCCA 포커스, 31호, 101 123. Cvetkovich, A. & Kellner, D. (1997). Articulating the global and the local: Globalization and cultural studies. Boulder, CO: Westview Press. Jenkins, H. (1992).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and Participatory Culture. London: Routledge. Ko, Y. (2005). Korean drama and its cultural consequences in Taiwan. Presented at the KSJCS Conference. Rediscovery of Aisa: Cultural/Industrial meanings of trans-border exchange of TV programs in East Aisa, Seoul, Korea. Lee, P. (1998). Toward a theory of transborder television. In A. Goonasekera & P. Lee(Eds.), TV without borders: Asia speaks out (pp.274 286). Singapore: AMIC center. Leung, L. (2005). Virtualizing the Korean Wave : Transnationalizing fandom, governance and resistance in Daejangguem, Presented at the KSJCS Conference, Rediscovery of Asia: Cultural/industrial meanings of trans-border exchanges of TV Programs in East Asia, Seoul, Korea, May 20. Livingstone, S. (1990). Making Sense of Television: The Psychology of Audience Interpretation. Oxford: Pergamon Press. Straubhaar, J. (1991). Beyond media imperialism: Asym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8, 39 59. 최초 투고일 2014년 2월 28일 심사 수정일 2014년 7월 2일 게재 확정일 2014년 7월 9일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91
Abstrac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orean Wave in the U.S.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of Korean Language Exchange Meetup Members Mi Young Oh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s and Media, Seoul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Korean wave to be being diffused worldwide by investigating how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drama and K-pop is consumed in the U.S. which has been a major producer of worldwide popular culture.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members of San Diego Korean Language Exchange Meetup. The findings showed that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society, development of Korean community and media environment easily accessible to Korean popular culture were the major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by which Korean wave could be created and diffused in the U.S. In addit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the U.S. were the attenti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culture differentiated from the U.S. one, active use through digital media, sharing and diffusion through networking, and consumption as a part of cultural taste. Finally, consumption of Korean wave in the U.S. has some socio-cultural meanings in that it creates the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culture,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hat fandom of Korean wave can be created. Key words Korean wave, the U.S., Korean popular culture, Korean Language Exchange Meetup, in-depth interview 92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