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5)극지의자연환경.indd



Similar documents
(주)김녕요트투어 남방큰돌고래 관찰 기준에 대한 제안서-최종.hwp

....pdf..

(연합뉴스) 마이더스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e01.PDF

ÀÚ¿øºÀ»ç-2010°¡À»°Ü¿ï-3

untitled

목차 도입 2 규제 현황 4 고래고기 시장 및 소비 현황 5 고래고기의 경제학 7 향후 정책 개선 방안 9 참고 10 약어 IWC CRI KCG CITES IUCN 국제포경위원회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고래 연구소 (Cetacea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양식이 소량임에 비하여 담수산 양식에 기인할 것이다. 표 ~2000년 분야별 변 수산생산량(단위 1,000 톤) 총 어업생산량 32,881 36,018 39,067 41,224 42,790 해양 생산량 20,12

DocHdl2OnPREPRESStmpTarget

½Ç°ú¸Ó¸®¸»¸ñÂ÷ÆDZÇ(1-5)¿Ï

Exclusive 지구의 냉장고 로 불리던 북극은 현재 온난화의 중심지역이 되었다. 미 국립 해양대기청(NOAA)이 빠른 속도로 녹아 해빙( 海 氷 ) 면적이 사상 최소 수준을 기록했다. 실제로 지난해 북극권 지난해 발표한 2010년 북극 보고서 를 보면 북극 지역의

~11

4-Ç×°ø¿ìÁÖÀ̾߱â¨ç(30-39)

16<C624><D22C><ACFC><D0D0> <ACE0><B4F1><BB3C><B9AC><2160>_<BCF8><CC45>.pdf

I&IRC5 TG_01.02권

Print

[ 물리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유체내에서물체의마찰력에미치는 표면무늬에대한연구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홍순철 ( 울산대학교 ) 지도교사 : 김영미 ( 울산과학고 ) 참여학생 : 김형규 ( 울산과학고 ) 노준영 (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876 손호선ㆍ최영민ㆍ이다솜 Table 1. The list of the references that reviewed in this study Author or Translator Published year Title (Korean) Remarks Gwon 2005 W

04 Çмú_±â¼ú±â»ç

(01-09) 2 김웅서.fm

미국땅에서잠자고있는한국계귀신고래.hwp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A12 작품설명서.hwp

45권5호내지6.indd

(지도6)_(5단원 156~185)

2015_9+10

~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77

10월추천dvd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와플-4년-2호-본문-15.ps

소식지수정본-1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목 록( 目 錄 )

03-1영역형( )

02-1기록도전( )

2009_KEEI_연차보고서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기본소득문답2

이지복

Á¦190È£(0825).hwp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해외다이빙지역소개 2 94

< B3E220C1A631C8B820B0A1B1B8BCB3B0E8C1A6B5B5BBE720C7CAB1E22042C7FC28C0CEBCE2292E687770>

<C3CA36B0FAC7D020B1B3BBE7BFEB2E687770>


¼Òâ¹Ý¹®Áý¿ø°í.hwp



나하나로 5호

_¸ñÂ÷(02¿ù)


<322DB3EDB9AE2E687770>

내지 뒷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4-Ç×°ø¿ìÁÖÀ̾߱â¨è(51-74)

2015 판례.기출 증보판 테마 형법 추록본.hwp


ok.

- 2 -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Çѹ̿ìÈ£-197È£

해오름summer2009


¹é¹üȸº¸ 24È£ Ãâ·Â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광주시향 최종22

%±¹¹®AR

³»Áö_10-6

통계내지-수정.indd

ÀÛ¾÷Ãß°¡ÀÛ¾÷-±³Á¤1-

SIGIL 완벽입문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248019_ALIS0066_1.hwp

CONTENTS 2011 SPRG Vol

DocHdl3OnPREPRESStmpTarget

ITFGc03ÖÁ¾š

2.pdf


¹ßÇ¥¿äÁö

레이아웃 1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¼øâÁö¿ª°úÇÐÀÚ¿ø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eco-academy(....).hwp

Microsoft PowerPoint - chap04-연산자.pptx

Transcription:

극지의 자연환경 남 북극의 고래 글 사진 안용락 수산과학연구원 고래연구소 연구사 해양환경에 완벽하게 진화한 바다의 왕 미래를 여는 극지인 50 고래, 많은 사람들에게 신비로움을 주고 동경의 대상이 되는 이 동물은 수중생활에 완벽하게 적 응한 포유동물이다. 이들은 따뜻한 열대에서 거칠고 추운 북극과 남극의 바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고 있다. 고래는 약 6천만 년 전에 풍부한 먹이와 넓은 서식처를 찾아 바다로 진출하여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중생활에 알맞게 적응하기 위해 수중에서 유영할 때 저항으로 작용하는 털은 사라 졌고 앞다리는 지느러미 형태로 변형되었으며 뒷다리는 아예 없어졌다. 중력은 약하고 부력이 강하기 때문에 가볍고 무른 골격을 갖게 되었다. 유영하기에 알맞은 유선형의 체형을 가지게 되 었으며 유방이나 수컷의 생식기 등 외부로 돌출된 기관은 체내로 함몰되었다. 심지어 육상의 포유동물에서는 볼 수 없던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게 되었다. 열전 도율이 높은 수중환경 탓에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단위부피 당 표면적 비율을 줄이도록 체구가 커졌으며 지방층이 두꺼워졌다. 고래는 뛰어난 잠수능력을 가지게 되었는데 기도에 유화 지방과 점액질로 체내 질소를 흡수할 수 있어 스쿠버다이버가 겪을 수 있는 잠수병에 걸리지 않는다. 장시간 잠수에 필요한 산소를 공 급하기 위해 다량의 혈액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 자체도 뛰어난 산소결합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잠수하는 동안에는 산소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심장박동을 낮추고 주요 기관에만 혈액을 공급하 는 능력을 가졌으며 무산소운동에도 잘 견디는 근육이 발달하였다. 극지의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동물의 적응 중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적응으로 몸 크기가 커 지는 것을 베르그만의 법칙(Bergmann s rule)이라고 하며 귀, 입, 목, 다리, 날개, 꼬리 등의 돌 출부가 짧아지는 것을 알렌의 법칙(Allen s rule)이라고 하는데 고래는 이 두 가지 법칙의 적응을 정확히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다. 고래는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있으나 북극고래, 일각고래, 흰고래는 북극해에서만 서식하 고 있다. 반면 북방긴수염고래, 남방긴수염고래, 귀신고래, 혹등고래, 대왕고래, 남극밍크고래,

향고래 수컷은 번식장(breeding ground)과 섭이장(feeding ground)으로 구분된 장소에서 서식 하며 계절에 따라 회유를 하는데 먹이가 풍부해지는 여름철에 북극이나 남극 주변 해역에서 먹 이활동을 하게 된다. 북극이나 남극의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는 북극고래, 긴수염고래, 귀 신고래, 혹등고래, 대왕고래, 남극밍크고래, 향고래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1 남방긴수염고래가 깊은 잠수를 하기위해 꼬리지느러미를 들어 올리고 있다. 2 수면으로 올라와 숨을 내 쉬는 남방긴수염고래. 입 주변에 경결 조직이 뚜렷하게 보인다. 북극고래(bowhead whale, Balaena mysticetus ) 몸길이 16~18m 정도의 고래로 극지방과 온대나 열대를 회유하는 다른 고래 종류와 달리 유일 하게 북극해에서만 서식하는 종류다. 몸무게는 75~100톤 정도로 대왕고래 다음으로 가장 무거 운 종류이다. 전체적인 외형은 뭉툭하고 굵은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입 주변을 제외하고 온 몸 이 검은색이다.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위턱은 매우 좁고 활처럼 휘어진 아래턱은 매우 커서 영어 이름이 bowhead whale 로 붙여졌다. 유사한 종류인 긴수염고래와 마찬가지로 북극고래는 입 을 크게 벌린 채로 천천히 유영하며 요각류(copepod)와 같은 쌀알크기의 동물플랑크톤을 걸러 먹는다. 이빨대신 윗턱에 나 있는 고래수염의 길이는 3m 정도로 매우 길다. 추운 북극해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평균 50cm 정도의 매우 두꺼운 지방층을 갖고 있다. 보통 10~15세가 되면 번 식을 시작하고 3~4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13~14개월이고 갓 태어난 새끼는 4.5m 길이에 약 1톤의 무게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고래는 60~70년 정도의 수명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북극고래는 굉장히 오래 산다. 2007년 미국의 에스키모 원주민이 포획한 북극고 한 때 멸종위기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상업포경 금지 이후 서서히 개체수를 회복하여 2013 가을 + 겨울 현재 약 13,000마리가 북극해에서 서식하고 있다. 미국 알래스카 에스키모 원주민의 51 래의 목 주변 지방층에서 1890년대의 작살이 박혀있는 채로 발견되었다. 100년 이상 살았 다는 증거가 되며 북극고래의 수명이 150~200년까지 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다. 식량 확보를 위해 매년 50여 마리의 북극고래를 포획하고 있다. 긴수염고래(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E. japonica, E. 1 australis ) 몸길이 13~16m 정도의 한대와 온대 해역을 회유하는 고래 로 3종류가 있다. 대서양에 서식하는 긴수염고래를 대 서양 북방긴수염고래(Atlantic northern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라고 하며 미국과 캐나다 동부 연 안 및 유럽의 북해에 서식하고 있다. 태평양에 서식 하는 긴수염고래는 태평양 북방긴수염고래(Pacific northern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라고 하며 북태평양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끝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긴수염고래를 남방긴수염고래(Southern right whale, Eubalaena australis )라고 부르며 남극해에서도 자주 2

1 숨쉬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온 귀신고래의 머리. 2 사할린 연안에서 촬영한 귀신고래의 꼬리지느러미. 희끗한 무늬는 기생생물이 붙어 있다가 떨어지거나 해저 바닥에 긁혀 생긴 상처가 아물면서 생긴 것이다. 관찰되는 종류이다. 몸무게는 60~80톤 정도인데 수컷은 고환의 무게만 1톤에 가까우며 이는 가 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의 열 배에 해당하는 무게로 어떤 동물보다도 큰 고환을 가지고 있다. 전 체적인 외형은 뭉툭하고 굵은 체형을 가지고 있어 북극고래와 유사하지만 입 주변에 경결조직 (callosity)이 있으며 복부에 드문드문 흰 무늬가 있어 쉽게 구별이 된다. 긴수염고래 역시 2m 가 량의 긴 고래수염이 촘촘히 박혀있는 입을 크게 벌린 채로 천천히 유영하며 동물플랑크톤을 걸 러 먹는데 북방긴수염고래는 주로 요각류(copepod)를, 남방긴수염고래는 주로 크릴(krill)로 더 욱 유명한 난바다곤쟁이를 걸러 먹는다. 수명은 70세 정도이고 보통 8~9세가 되면 번식을 시작 하며 3~4년에 한 번씩 겨울철에 온대 해역에서 새끼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12개월이고 갓 태어 난 새끼는 4m 길이에 약 1톤의 무게를 가진다. 짝짓기 시기가 되면 수컷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격렬한 몸싸움을 하지 않는 대신 정액을 다량 방출하여 암컷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 때문에 긴수염고래는 가장 큰 고환을 갖게 되었다. 긴수염고래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상업적으로 이용 된 고래이다.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에 위치한 비스케이(Biscay)만에서 16세기 바스크족이 긴수 염고래를 포획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한 기록이 전해진다. 긴수염고래는 연안에 가까이 분포하고 느리게 움직이며 포획하여 죽더라도 다른 고래처럼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포획하기에 알맞은 고래라 하여 영어 이름이 right whale(옳은 고래, 좋은 고래) 로 붙여졌다. 19세기말에는 미국의 포경선들이 우리나라 동해까지 진출해서 많은 긴수염고래를 포획하였으며 고래 중 가장 멸종위기에 처한 종류라 할 수 있다. 현재 태평양긴수염고래는 약 250마리, 대서 미래를 여는 극지인 양긴수염고래는 약 500마리만 남아 있어 보호노력이 절실한 동물이다. 반면 남방 긴수염고래는 개체수를 많이 회복하여 현재 약 20,000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되고 있다. 52 귀신고래(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 몸길이 13~15m, 몸무게 30~40톤 정도의 한대와 온대 해역을 회유하는 고 2 1 래다. 북대서양에도 분포하였으나 남획으로 인해 18세기에 절멸하 고 현재 북태평양에만 서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희끗한 회색 의 체색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 주위에는 고래이(whale lice) 나 따개비가 피부에 기생하고 있어 붉은 색이나 갈색을 띠는 부분도 있다. 등지느러미는 없으나 6~12개의 융기 된 조직이 꼬리지느러미까지 이어진다. 수중의 먹잇감 을 걸러먹는 다른 고래들과는 달리 귀신고래는 모래나 진흙 속에 있는 단각류(amphipod)라고 하는 갑각류를 걸러먹기 때문에 고래수염의 개수가 작고 매우 짧다. 특 히 오른쪽으로만 먹이를 먹기 때문에 오른쪽의 고래수 염이 많이 닳아 있다. 수명은 70세 정도이고 보통 8세가 되 면 번식을 시작하며 2년에 한 번씩 겨울철에 온대 해역에서 새

끼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13개월이고 갓 태어난 새끼는 4m 길이에 약 1톤의 무게를 가진다. 귀 신고래는 북태평양 서부계군과 동부계군으로 나뉘는데 동부계군의 경우 매년 10월이면 북극의 얼음이 증가해서 서식할 수 있는 해역이 줄어들면 연안을 따라 멕시코 바하캘리포니아까지 약 11,000km 거리를 이동한다. 바하캘리포니아의 얕은 연안에서 새끼를 낳아 기르면서 겨울을 나 고 봄이 되면 다시 먹이가 풍부해지는 북극쪽으로 이동한다. 동부계군의 귀신고래는 보존이 잘 3 알래스카만에서 촬영한 혹등고래의 꼬리지느러미. 개체마다 서로 다른 무늬의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개체식별이 가능하다 4 혹등고래가 영역을 알리거나 기생생물을 떼어 내기 위해 고래뛰기(breaching)를 하고 있다. 되어 현재 약 19,000마리로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러시아 캄차카 반도 끝에 위치한 추콧카의 원주민들이 매년 120여 마리의 귀신고래를 포획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바다에서도 겨 울철에 관찰되던 서부계군의 귀신고래는 20세기 초 일본의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 가 급감하였고 현재 120여 마리만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혹등고래(humpback whale, Megaptera novaeangliae ) 몸길이 13~16m, 몸무게 30~35톤 정도의 고래로 한대와 온 대 해역을 회유한다. 전 세계 대양에 분포하고 있으며 겨 울에는 따뜻한 곳에서 새끼를 낳아 기르고 여름에는 남극 과 북극의 먹이가 풍부한 곳으로 이동한다. 온 몸이 검은 색을 띠고 있으나 복부와 가슴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 의 바닥은 흰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주둥이 주변, 목 주 2013 가을 + 겨울 름 및 복부 생식기 주변에는 많은 따개비가 기생하고 있 다. 몸체에 비해 작은 등지느러미는 기저부가 불룩하여 전 체적으로 볼 때 등이 굽은 것처럼 보이며 이 때문에 영어로 곱 사등의 의미를 지닌 humpback whale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꼬리 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몸길이의 1/3 정도로 매우 길다. 복부의 주 53 3 름은 배꼽까지 이어져 다른 종류의 고래보다 훨씬 길게 뻗어있다. 수명은 70세 정 도이고 보통 7세가 되면 번식을 시작하며 2~3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다. 임신기 간은 12개월이고 갓 태어난 새끼는 6m 길이에 약 2톤의 무게를 가진다. 혹등고래는 겨울철 아열대 해역에서 번식을 할 때는 전혀 먹이를 먹지 않기 때문에 번식기가 끝 나면 암컷은 최대 몸무게의 70% 이하로 줄어든다. 여름철 먹이가 풍부한 한대나 극지 의 바다에서 청어, 정어리, 크릴 등을 먹고 다시 살을 찌운다. 특히 혹등고래는 여러 마리 가 물 밑에서부터 나선형을 이루어 분기공(콧구멍)을 통해 작은 공기방울을 만들어 청어나 정어 리 같은 어류들을 수면으로 몰아 한꺼번에 잡아먹는 단체 사냥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 에서는 1년에 한두 차례 그물에 걸려 죽은 개체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북태평양에서는 주로 하와 이와 알래스카를 회유하는 집단이 가장 많다. 천천히 움직이고 지방과 근육이 발달하였기 때문 에 상업포경 시절 주요 포획대상이 되어 20세기 초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서서히 회복되어 전 세계 약 80,000마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귀신고래와 더불어 가장 인기 있는 고래관광 대상이 되었다. 4

대왕고래(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 몸길이 27~30m, 몸무게 150~200톤 정도의 고래로 멸종한 동물까지 통틀어 가장 큰 동 물이다. 길고 늘씬한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는 30cm 안팎으로 몸길이에 비 해 매우 작아 보인다. 심장 크기가 600kg으로 소형 승용차만하고 대동맥의 지름이 60cm로 어린 아이가 기어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이며 꼬리지느러미의 너비는 축구 골대 폭과 맞먹는 10m에 달하니 얼마나 큰지 상상할 수 있다. 전 세계 해양에 분포하고 있으나 남극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다. 온 몸이 청회색을 띠고 있으며 수중에 1 있을 때 보면 우리나라의 밝은 청자 빛과 비슷하여 영어로는 blue whale 이라고 부른다. 수명은 80세 정도이고 보통 7세가 되면 번식을 시작하 며 2~3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12개월이고 갓 태 어난 새끼는 7m 길이에 약 2.5톤의 무게를 가진다. 어린 대왕고 래는 매일 400~500리터의 젖을 먹고 2cm, 90kg 가량 성장하여 6개월 후 젖을 떼면 약 15m 정도로 자란다. 가장 큰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먹이는 주로 크릴을 잡아먹는데 하루 약 2~5톤 가량 의 크릴을 먹어야 한다. 20세기 초 선단식 포경이 발달하면서 일 본, 노르웨이, 러시아 등이 남극에 진출하여 대왕고래를 집중적으 로 포획하기 이전에는 남극해만 해도 약 240,000마리가 서식했던 것 미래를 여는 극지인 으로 알려져 있으나 남획으로 인해 멸종 직전까지 갔다가 현재 전 세계 약 2 12,000마리로 매우 더디게 증가하고 있다. 남극밍크고래(Antarctic minke whale, Balaenoptera bonaerensis ) 54 남극밍크고래는 우리바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밍크고래와는 별개의 종류로 남반구에만 서식 하는 고래다. 겨울철에는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여름철에는 남 극 주변에 서식한다. 몸길이 8~10m, 몸무게 5~10톤 정 도로 우리바다의 밍크고래보다 다소 큰 편이다. 등 은 짙은 회색이며 옆구리로 갈수록 서서히 옅어 지며 복부는 흰색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짙은 색 을 띠고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밝은 흰색을 띤 다. 수명은 50세 정도인데 보통 7세가 되면 번 식을 시작하며 2~3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 다. 임신기간은 12개월이고 갓 태어난 새끼는 2.4~2.8m 길이에 약 300kg의 무게를 가진다. 먹 이는 주로 크릴이나 소형 어류를 잡아먹는다. 20세 3 기 초 남극에서 대왕고래, 혹등고래 등 큰 고래를 남획 한 이후 크기가 작고 번식력이 왕성하며 다양한 먹이를 잡아 4

먹는 남극밍크고래가 그 빈 자리를 재빨리 채워 현재 고래류 중 가장 많은 약 500,000마리가 남 극 주변에 서식하고 있다. 일본은 과학조사를 목적으로 매년 600마리 정도를 포획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많은 환경단체와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 향고래(sperm whale, Physeter macrocephalus ) 수컷은 몸길이 16m, 몸무게 45톤 정도인 반면 암컷은 11m, 15톤으로 수컷의 크기가 훨씬 크다. 몸길이의 1/3 정도로 크고 사각형인 머리 가 특징이며 분기공은 머리의 왼쪽 끝에 위치하고 있어 다른 고래 와 쉽게 구별이 된다. 뚜렷한 등지느러미는 없으나 융기된 조직 이 있어 지느러미처럼 보인다.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짙은 회갈 색을 띠고 있으나 나이가 들수록 여러 상처로 인해 밝은 회색의 줄무늬를 많이 갖게 된다. 향고래의 아래턱은 매우 좁고 큰 머릿 속에 파묻혀 있으며 좌우에 각각 18~26개의 원뿔형 이빨이 있다. 위턱에는 아랫니와 맞물리는 홈이 있으나 이빨은 잇몸 속에 숨겨져 있어 전체적으로는 아랫니만 있는 것처럼 보인다. 향고래는 깊은 잠수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90분 정도 호흡을 참을 수 있으며 보통 500m 정도 잠 5 수를 하는데 때로는 최대 3,000m까지 잠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향고래는 심해어나 심 새끼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14~16개월이고 수유기간은 19~42개월로 번식에 오랜 시 2013 가을 + 겨울 간 공을 들인다. 갓 태어난 새끼는 4m 길이에 약 1톤의 무게를 가진다. 향고래는 모계 55 해오징어, 특히 10m 이상의 대왕오징어를 잡아먹기 위해 이처럼 깊은 잠수를 한다. 수 명은 70세 정도이고 수컷은 18세, 암컷은 9세가 되면 번식을 시작하여 4년에 한 번씩 중심의 집단생활을 하는데 성숙한 암컷과 어린 새끼들이 10마리 내외로 무리를 이루어 지 6 내며 열대에서 온대 해역에 걸쳐 분포한다. 반면 성숙한 수컷은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며 번식 기에만 암컷무리에 합류하여 짝짓기를 하고 다시 단독 생활을 한다. 성숙한 수컷의 분포 범위는 암컷무리보다 넓어 북극이나 남극까지 분포한다. 따라서 극지의 바다에서 관찰되는 향고래는 성숙한 수컷으로 보면 틀림이 없다. 석유가 발견되기 이전 기름, 뼈, 이빨 등 다양한 공업원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과거 서양 포경산업의 주요 포획 대상이 되었던 향고래는 19세기까지 약 20 만 마리가 포획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 1980년대까지 다시 70만 마리 정도가 포획되었다. 현재는 전 세계에 수십만 마리로 회복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추정치는 없다. 앞에서 소개한 고래들은 극한의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는 북극과 남극의 바다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풍부한 먹이와 넓은 서식 공간을 활용하여 바다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최근 극지방의 풍부한 천연자원 개발과 기후변화로 생긴 북극항로 개 척에 대한 얘기를 자주 접하고 있다. 다만 고래가 그러하듯이 적극적으로 극지방의 자원을 개발 하되 지속가능한 이용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1 먹이를 먹기 위해 옆으로 헤엄치는 대왕고래. 2 남극의 유빙 사이로 유영 중인 대왕고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이다. 3 수면으로 올라와 숨을 내 쉬는 남극밍크고래. 우리 바다에서는 밍크고래의 분기를 볼 수 없으나 남극의 공기는 워낙 차가워서 겨울철 입김처럼 뚜렷한 분기를 볼 수 있다. 4 개체수가 많아 돌고래처럼 무리를 이루기도 하는 남극밍크고래. 5 깊은 잠수를 위해 꼬리지느러미를 들어 올린 향고래. 소설 백경의 주인공이다. 6 왼쪽 옆으로 퍼져 나오는 분기가 특징인 향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