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문 1 요 약 문 1. 과 제 명 :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2. 연구기간 : 2007년 5월 7일 ~ 2007년 10월 19일 3. 연 구 자 : 연구책임자 노 영 만 교수 4. 연구목적 이번 연구는 최근 지하철 역사 내 석면 발견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철거 등 관리방법의 벤치마킹을 통해 지하철 석면의 적정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근로자 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 데 있다. 5. 연구내용 -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 - 선진외국(독일, 영국, 캐나다, 일본)의 지하철 역사 석면 관리사례 및 관 련제도 현장 조사 - 각 세부연구 결과의 연계분석을 통한 국내 지하철 역사 내 환경에 적합한 석면 관리방안 도출 6. 활용계획 지하철 석면 철거 등 작업환경 개선에 관한 법령 개정 및 제정 시 기초자료
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로서 활용함과 아울러 쾌적한 지하철 역사 환경 관리 및 유지에 있어 적정 관 리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7. 연구개요 본 연구는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하고 선진외국(독일, 영국, 캐나다, 일본)의 지하철 역사 석면 관리사례 및 관련제도를 현장 조사하 여 각 세부연구 결과의 연계분석을 통한 국내 지하철 역사 내 환경에 적합한 석면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지하철 석면관리 매뉴얼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8. 중심어 지하철, 석면, 해체 및 제거 공법, O&M프로그램, 석면관리매뉴얼, asbestos
차 례 3 차 례 Ⅰ. 서 론 9 가. 연구목적 및 필요성 9 (1) 연구 필요성 9 (2) 연구 목적 10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2 가. 연구내용 12 나. 연구방법 13 (1) 국내 외 지하철 내 석면관련 조사 연구 결과 자료 수집 13 (2) 선진외국(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의 지하철 역사 석면관리사례 및 관련 제도 등 방문조사 14 Ⅲ. 연구결과 17 가.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 17 (1) 서울 지하철 역사 측정 석면농도 조사ㆍ분석 17 (2) 서울 지하철 건설 삼십년사 (서울특별시, 2003.1) 23 나. 지하철 주요 역사 내 분포하고 있는 시설별 석면함유자재 파악 28 다. 지하철 관련 건축 용어 30 라. 선진국 방문조사 결과 39 (1) 영 국 39 (2) 독 일 101 (3) 일 본 125 (4) 캐나다 167
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Ⅳ. 지하철 석면 관리 매뉴얼 202 가. 서 론 202 나. 지하철 석면관리위원회 구성 204 다. 공지 요구사항 208 라. 석면 관련 교육 211 마. 작업자 보호 214 바. 석면함유물질 비산 통제방법 결정 216 사. 석면검토시스템 구축 및 운영 219 아. 지하철 역사 및 설비의 석면 조사 221 자. 기록 보관 224 차. 석면 폐기물 취급 및 처리 228 Ⅴ. 결 론 231 가. 지하철 석면 관리(O&M) 231 나. 지하철 석면 제거시 사용된 공법 232 다. 석면 제거시 대중과의 의사소통 235 라. 지하역사 근무자 석면 교육 236 마. 석면해체 제거 관련 예산 237 바. 석면건강관리 수첩 238 Ⅵ. 참고문헌 239 부 록 245
차 례 5 표 차 례 <표 1> 2001년 지하철 석면 분포 조사 내용 18 <표 2> 2001년 석면분포 조사에 따른 석면 분석 결과 18 <표 3> 1기 지하철 공사현황 19 <표 4> 2기 지하철 공사현황 19 <표 5> 고형시료 분석결과 20 <표 6> 역사별 석면농도 및 석면 종류 21 <표 7> 지하철 호선별 조사 대상역사 및 근로자 현황 21 <표 8> 고형시료 분석결과 22 <표 9> 역사별 공기중 석면농도 및 종류 (PCM분석) 23 <표 10> 특수구간 및 채택공법 25 <표 11> 서울지하철 건설 기본계획 27 <표 12>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함유물질에 대한 분석결과(서울메트로, 2007) 28 <표 13> 영국 설문조사 요약 39 <표 14> 지하철 내에 존재하는 석면이 함유된 자재별 위치 48 <표 15> 석면위험성 평가 자료 (Asbestos Risk Assessment Record MR-F-10126) 59 <표 16> 석면 유해성 평가표(MR-F-10126) 60 <표 17> 독일 조사 요약 101 <표 18> 일본 설문조사 요약 125 <표 19> 건강관리수첩 중 석면관련 부분 166 <표 20> 캐나다 설문조사 요약 167
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 목적 및 세부 연구 목표 11 [그림 2] 연구 수행 체계도 13 [그림 3] 터널 내 석면 제거작업 모습 107 [그림 4] 석면 폐기물 처리 모습 109 [그림 5] 대인 락(Personnel lock) (관련된 원리를 나타내는 도해) 113 [그림 6] 대물 락(Material lock) (관련된 원리를 나타내는 도해) 113 [그림 7] 동경 지하철 노선도 131 [그림 8] 블록별 석면제거 차량 135 [그림 9] 철거작업차 편성도 136 [그림 10] 상부작업차대 137 [그림 11] 철거작업모형 137 [그림 12] 바닥 양생의 일예 148 [그림 13] 벽면 양생의 일예 149 [그림 14] 그 외 양생의 일예 149 [그림 15] 시큐어리티 존의 대표적인 구성 150 [그림 16] 분사석면처리 공사개요도(Ⅰ) 164 [그림 17] 분사석면처리 공사개요도(Ⅱ) 164 [그림 18] 캐나다 토론토 지하철 노선도 169 [그림 19] TTC 지하철(Yonge-Bloor station) 승강장 천정부분의 석면 뿜칠처리 및 관리(I) 172
차 례 7 [그림 20] TTC 지하철(Yonge-Bloor station) 승강장 천정부분의 석면 뿜칠처리 및 관리(II) 172 [그림 21] Finch station 천정의 석면 관리 상태 173 [그림 22] Queen's park station 벽에 뿜칠된 석면의 관리상태 173 [그림 23] 일반적인 정화시설 모형 184 [그림 24] 작업장 내의 음압기의 위치와 공기의 흐름도 188 [그림 25] 비고형 석면 제거 193 [그림 26] 토론토 지하철에서 석면제거에 사용되고 있는 차량 194 [그림 27] 호흡보호구 종류에 따른 보호계수 194 [그림 28] 석면함유물질 비산 여부 검토 절차 221
Ⅰ. 서 론 9 Ⅰ. 서 론 가.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필요성 국내 지하공간은 주로 지하철,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등의 형태로 널리 이 용되고 있다. 특히 지하공간개발의 모체인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제1호 선 9개역을 시작으로 제2, 3, 4호선이 1985년 10월에 완전 개통되었으며, 현재는 8개 노선, 총 316 역사가 개통운행 중이며 40% 이상의 높은 수송 분담율을 기록하고 있다(건설교통부, 2002). 이러한 지하철 노선의 확충으로 인한 지하철 공기질의 악화는 인간의 건 강에 위해한 영향을 직ㆍ간접적으로 줄 수 있으며(Perry et al. 1994), 지 하공간의 오염이라는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국내 실내환경 분야를 통합하기 위하여 2004년 관련법 을 개정하여 기존의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 을 중심으로 하여 각 기 관에서 별도로 관리되고 있던 대상을 포함하여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관리법 을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아직도 대중교통수단, 특히 지하철 내 실내공기질 조사 및 이용객의 건강위해성평가 등의 연구 수행 은 부족한 실정에 있다. 특히 80년대에 지어진 지하철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폐암, 석면폐, 중 피종 등)을 일으키는 석면을 사용하였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
1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나 이에 대한 관련자료가 남아있지 않고 공사기간 중에 이러한 물질의 발 생이 의심되나 제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배경으로 2001년 4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환경운 동연합, 지하철공사노동조합이 공동으로 참여한 가운데 냉방화 공사시 건 축자재 중 석면함유 여부와 공기 중 석면 및 미세분진의 발생 농도를 평 가한 바 있다. 그 결과 건축자재 중 일부에서 석면이 함유되어 있고, 작 업 중 발생되는 석면섬유 농도가 전체 시료 중 13.8%에서, 그리고 미세분 진은 30.0%의 측정 시료에서 지하생활공간의 노출기준을 초과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지하철 석면 현황을 파악하고 지하철 역사의 석면 함유 자재 철거 및 제거에 있어 적절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최근 지하철 역사 내 석면 발견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철거 등 관리방법의 벤치마킹을 통해 지하철 석면의 적정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 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연구의 목적은 최근 지하철 역사내 석면 발견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철거 등 관리방법의 벤치마킹을 통해 지하철 석면의 적정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세부연구 목표를 설정하고 이의 달성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 이 달성되도록 연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
Ⅰ. 서 론 11 선진외국(독일, 영국, 캐나다, 일본)의 지하철 역사 석면 관리사례 및 관 련제도 현장 조사 각 세부연구 결과의 연계분석을 통한 국내 지하철 역사 내 환경에 적합 한 석면 관리방안 도출 [그림 1] 연구 목적 및 세부 연구 목표
1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Ⅱ.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본 연구의 주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 - 그간 서울 지하철 역사에서 측정된 석면농도의 조사ㆍ분석 - 지하철 주요 역사 내 분포하고 있는 시설별 석면함유자재 파악 선진외국의 지하철 역사 석면 관리사례 및 관련제도 조사 - 지하철 각 노선별 석면관련 마무리 공법 파악 - 선진외국 지하철 종사근로자들의 석면 노출실태 파악 - 지하철 석면으로 인해 발생된 안전/사상 사고의 규모 파악 - 독일,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외국의 지하철 석면문제 및 건강문제 관리 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및 실제 관리방안의 운영실태 파악 -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 철거 방법에 관한 추진 내용 조사 - 국내 관리 실태와 비교평가 - 이를 통한 법적/제도적 장치의 국내 도입가능성 검토 및 정책 제안 국내 지하철 역사 내 석면 관리방안 제시 - 해체 평가 제거 등 관리방안 조사 등 관리매뉴얼 개발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3 본 연구에 대한 전체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2] 연구 수행 체계도 나. 연구방법 (1) 국내 외 지하철 내 석면관련 조사 연구 결과 자료 수집 1) 국내외 지하철 내 석면관련 조사 연구 결과 보고서의 수집 국내 - 전자저널 등을 이용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1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 국내 석면관련 협회 및 학회 등에서 발표된 연구조사 보고서 및 논문 의 수집 및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환경부, 보건복지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각 도시의 보건환경연구원, 국립 환경과학원 등 환경관련 정부기관에서 수행된 연구조사 보고서의 수집 및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타 민간연구기관 및 공공연구기관에서 수행된 연구조사 보고서의 수집 및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외 - 선진 외국(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의 지하철 내 석면 해체에 관한 관련법령 및 관리현황, 규제기준 및 정책동향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한 관 련 자료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International Journal 등에서 출간되어진 논문들을 category(연구목적 및 결과 등)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전문가의 자문을 통한 국외 연구사례 등의 자료 수집 및 데이터베이 스 구축 (2) 선진외국(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의 지하철 역사 석면관리사례 및 관련 제도 등 방문조사 1) 외국의 안전보건환경관련 정부기관, 지하철 운영주체, 노동조합 등 관 련단체를 방문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자료 수집 2) 방문대상 기관 - 정부 행정기관(노동안전보건관련 등) - 운영주체(교통국, 지하철 공사 등) - 노동조합/학술단체/시민사회단체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5 가) 영 국 - 런던지하철공사(LUL :London Underground Limited) 1863년도에 시작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는 지하철로써 1만 6,000 여명의 직원이 하루 평균 약 300만 명의 승객을 운송하며 총 12개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 전체적 철도길이의 1/40을 차지하는 총 865km에 이르는 라인 중에 275개의 역이 분포되어 있다. 나) 독 일 - BG BAHNEN(Berutsgendssenschaft Bahnen) 독일 철도/지하철/전차 산재보험조합. 사업주들이 내는 산재보험료로 운 영. 한국의 근로복지공단과 산업안전공단의 역할과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곳임. 다) 일 본 일본은 동경메트로, 일본 건축센터, JR(Japan Railway)을 방문하여 지하 철 역사 석면 관리사례 및 관련 제도 등 추진내용조사를 진행 라) 캐나다 토론토 시청 산하 Toronto Transit Commission 지부를 방문하여 석면 지하철 현황 및 철거 제거 관련 조사를 진행
1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3) 외국 방문시 설문 내용 1 2 3 4 5 설문 내용 지하철 최초 건설 시기 각 노선별 건설 시기 각 노선별 석면관련 마무리 공법 세부 내용 최초 건설 시기 및 규모 / 지하철에 대한 주체별 관리 현황 각 노선별 일반 현황 및 운영 현황 / 지하철 운영 체계 지하철 내 건축자재 현황 및 마무리 공법 표준화 작업 / 바닥, 천장, 터널 내 건축공법 각 노선별 석면분포 실태 지하철 지하환경 노동자들의 유해인자 노출실태 / 시설별 석면 함유자재 내역 조사 지하철 석면으로 인해 발생 된 문제 또는 사건 안전사고, 사상사고 실태 / 질환 질병 규모 및 현 황 / 노동환경의 문제 건강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법 기준 정책 프로그램 6 7 8 지하철 석면 관리 실태(손 상시 대응방안) 각 노선별 석면 제거 실태 및 제거 일지 지하역사 및 노선의 석면 제거시 사용된 공법 지하철의 보건, 안전 및 환경 관리 / 정비공장의 안전보건 차량, 객실, 역사 내 급ㆍ배기 설비 / 객차, 역사 내 환기시스템 / 승강장 냉ㆍ난방 방식 석면 제거시 공법 및 점검, 관리현황 / 퍼티(Putty) : 객차 연결 부위 전선으로 석면제품 (2년마다 교체 : 적용 공법) 9 10 11 12 13 지하역사 및 노선의 석면 제거시 대중과의 의사소통 방법 지하역사 근무자에 대한 석 면 관련 교육실태 지하역사에서 공기 중 석면 의 농도 지하철 석면 해체 및 제거 관련 년도별 예산 및 집행 의 주체 객차 내 석면사용 부위 및 관리 근로자 및 일반 대중의 안전 건강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 / 재난 방지 시스템 여부 / 노동조합 인 터뷰 보건 및 안전 포럼 실시 사항 / 응급상황 감시 체 계 / 터널내의 안전장치 / 보호구 착용 교육 실태 각 나라별 공기환경 기준 / 작업환경측정 결과(지 하공기질 분석결과) 석면 해체 및 제거 관련 법령 및 예산 / 집행의 주체 객차 내 석면사용 유 무 확인 / 있을 경우 사용 부위 및 관리 대책 확인 14 철거 및 제거 동영상 입수 동영상 입수시 링크 15 철거업체 선정 방식 철거업체 선정 주체 및 방법 16 석면조사 및 공사시 공지 공지 대상 및 내용, 방식 17 석면건강관리수첩 제공 대상 석면건강관리수첩 교부 시기 및 내용, 제공 대상 자 확인
Ⅲ. 연구결과 17 Ⅲ. 연구결과 가.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의 노출실태 조사 (1) 서울 지하철 역사 측정 석면농도 조사ㆍ분석 1) 2001년 지하철역 석면 합동조사 공식적인 석면조사 기록은 2001년 지하철역 석면합동조사 실태조사위원 회가 실시한 서울시 지하철 석면조사가 있었고, 동년 동월 한국산업안전 공단 서울지역본부에서 실시한 석면조사 기록이 있었다. 지하철역 석면 합동조사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 지하철역 석면 합동 실태조사 위원회 기간: 2001년 5월~8월 대책위는 학계, 민간연구소, 환경단체, 지하철공사 및 노동조합 등이 참여
1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표 1> 2001년 지하철 석면 분포 조사 내용 역 사 명 고형시료 조사 (석면함유여부분석) 대기중 농도조사 비 고 냉방공사 중 냉방공사 예정 일반역사 Y역(2호선) 9 4 공사 마무리 시점 A역(3호선) 7 4 으로 통상적인 조 건과 별다른 차이 M역(4호선) 4 4 가 없음 D역(2호선) 50 4 S역(3호선) 15 4 D역(4호선) 6 4 C역(1호선) 8 4 J역(1호선) 13 4 S역(1,2호선) 6 - G역(5호선) 8 4 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통상적인 조 건에서 측정 통상적인 서 측정 조건에 차량기지 G차량사업소 25 - 차량 부품 등대상 합 계 151 36 <표 2> 2001년 석면분포 조사에 따른 석면 분석 결과 시 료 구 분 분 석 결 과 1) 천장 석고보드 및 간이 칸막이 적게는 1~3% 많게는 2~5%의 백석면 검출, 8건 2) 각종 덕트 및 파이프 연결 부위 의 가스켓 적게는 10~15%, 많게는 30~40%의 백석면 검출, 9건 3) 천장 및 벽면 도포 물질 1~2%의 백석면(영등포구청역)과 5~10%의 트레모라이트(신설동역)가 검출됨, 3건 4) 전동차용 부품 적게는 10~20%, 많게는 90% 이상의 백석면 검출, 3건, 기타 4건 5) 각종 퇴적분진 불검출 6) 각종 배관 및 파이프 보온재 모두 유리섬유 혹은 암면으로 분석됨 7) 바닥 타일 및 장판 불검출
Ⅲ. 연구결과 19 2) 서울시 지하철역사 석면 등 유해물질 취급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지역본부, 2001. 8) 연구대상 : 서울특별시 산하 1기 지하철(1 2 3 4호선, 서울메트로)와 2 기 지하철(5 6 7 8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역사의 환기설비 개 보수 공사는 현재 1기 지하철의 2, 3, 4호선에서 진행되고 있으며(1호 선은 공사 완료됨), 2기 지하철은 부분적인 확장 및 신설 공사가 진행 중 이었다. <표 3> 1기 지하철 공사현황 노선 역사명 공사기간 시공업체 비 고 C 00.12.12~ 01.7.20 S종합건설(주) 2호선 E 00.12.12~ 01.7.19 H종합건설(주) Y 00.12.29~ 01.8.05 R종합건설(주) 3호선 Y A 00.04.01~ 01.8.31 00.12.29~ 01.8.05 S건설(주) R종합건설(주) 지하철건설본부 발주 C 00.12.16~ 01.7.24 P종합건설(주) 3호선 병행 4호선 S 00.12.13~ 01.7.20 D종합건설(주) M 00.12.13~ 01.7.20 (주)D엔지니어링 <표 4> 2기 지하철 공사현황 역사명 공사내용 공사기간 시공업체 비 고 S 6호선과 2호선 환 승통로 설치 및 확장ㆍ냉방공사 00.12.15~ 01.12.31 J건설(주) 지하철건설본부 발주 토목 : N건설 ( 99년 말부터 현재까지) W 부출입구 신설 01. 5. 1~ 01.12.31 S물산(주) - Y역 및 S역은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 본부에서 공사ㆍ발주하고 시공 감독은 지하철공사에 서 수행하는 것으로 구분되어 있음.
2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ⅰ) 측정결과 <표 5> 고형시료 분석결과 역사명 시료채취 위치 분석 결과 E Y C 화장실 배기덕트 내부 분진 화장실 배기덕트 이음부분 가스켓 직원식당 배기덕트 내부 분진 운전취급실 급기덕트 내부 분진 분소층 화장실앞 배기덕트 이음부분 가스켓 분소층 변전실앞 급기덕트 취출구내 분진 분소층 출입구 방송스피커 외부분진 분소층 통신창고 천정배기구내 분진 분소2층 외기 급기덕트 플랜지 가스켓 용접작업용 용접포 지하1층 감독실 천정부 도포물질 지하2층 가 매표소 앞쪽 천정부 도포물질 - 석면 미함유 - chrysotile 함유 a - chrysotile 45.2x10 6 개/g b - chrysotile 96.1x10 6 개/g - chrysotile 함유 - 석면 미함유 - 석면 미함유 - 석면 미함유 - chrysotile 함유 - chrysotile 함유 - tremolite 함유 - tremolite 함유 C 지하3, 4층 연결통로 벽체 도포물질 - 석면 미함유 S 기능실 천정재료(텍스) - chrysotile 함유 A 역무실 천정재료(텍스) 침실 천정재료(석고보드) - chrysotile 함유 - 석면 미함유 W 건축분소 천정재료(흡음텍스) - 석면 미함유 S 2-6호선 연결통로 덕트 이음부분 가스켓 - chrysotile 함유 함유 a : 편광현미경으로 계수한 시야 중에서 fiber상 물질의 90%이상이 chrysotile 임. 45.2x10 6 개/g b : 계수한 fiber는 길이가 5μm 이상이고, 길이 대 너비의 비(aspect ratio)가 3 : 1 이상인 석면(chrysotile)섬유가 45.2x10 6 개/g 임.
Ⅲ. 연구결과 21 <표 6> 역사별 석면농도 및 석면 종류 연번 노 선 역사명 주ㆍ야 구분 석면 농도 석면 종류* 1 2호선 E 야 간 0.0030 chrysotile 2 2호선 C 주 간 0.0160 tremolite 3 2호선 C 야 간 0.0031 actinolite 4 2호선 C 야 간 0.0038 tremolite 5 4호선 C 주 간 0.0030 chrysotile 6 4호선 S 주 간 0.0203 chrysotile 7 4호선 S 야 간 0.0031 chrysotile 8 4호선 S 야 간 0.0063 chrysotile 9 3호선 A 주 간 0.0120 chrysotile *: 전자현미경법 3)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설비 공사에 따른 석면의 실내공기질 관리실태 (유찬영 등, 2003) 조사대상 <표 7> 지하철 호선별 조사 대상역사 및 근로자 현황 호 선 건립기간 조사 대상역사(근로자 수) 1차 조사 2차 조사 계 가 1978 ~ 1984 2 (161) 2 (155) 4 (316) 나 1980 ~ 1985 2 (84) - 2 (84) 다 1980 ~ 1985 2 (123) 2 (203) 4 (326) 계 - 6 (368) 4 (358) 10 (726)
2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고형시료 분석결과 <표 8> 고형시료 분석결과 조사역사 시료명 고형시료 분석결과 시료수 검출시료수 백분율(%) 석면종류 가-1 가스켓 1 1.0 백석면 퇴적분진 3 2 66.6 백석면 가-2 천장 도포물질 2 2 투각섬석 나-1 가스켓 2 2.0 백석면 퇴적분진 3 - * 불티 방지포 1 1 백석면 나-2 천장재 2 1 백석면 다-1 벽체 도포물질 1 - 다-2 천장재 1 1 백석면 가-3 가스켓 2 2.0 백석면 퇴적분진 6 3 백석면 천장재 1 - 가-4 가스켓 2 2.0 백석면 퇴적분진 4 2.0 백석면 보호구 필터 1 1 백석면 부직포 1 - 다-3 가스켓 4 4.0 백석면 퇴적분진 2 1 백석면 다-4 가스켓 2 2.0 백석면 퇴적분진 2 2 백석면 보온재 1 - 계 44 29 65.9 * : 불검출
Ⅲ. 연구결과 23 공기중 시료 분석결과 <표 9> 역사별 공기중 석면농도 및 종류 (PCM분석) 조사역사 시료수 공기 중 석면농도 (f/cc) GM GSD 범 위 석면종류 가-1 7 0.0029 1.0392 0~0.0031 백석면 가-2 16 0.0032 1.5466 0~0.0160 투감섬석양기석 나-1 7 - * 나-2 16 0.0031 1.4388 0~0.0120 백석면 다-1 15 0.0028 1.0179 0~0.0030 백석면 다-2 12 0.0036 1.8131 0~0.0203 백석면 가-3 10 - 가-4 12 0.0066 2.7611 0~0.0440 백석면 다-3 12 0.0052 2.3877 0~0.0300 백석면 다-4 8 0.0128 3.7071 0~0.0520 백석면 계 115 0.0038 2.0882 0~0.0520 * : 불검출 (2) 서울 지하철 건설 삼십년사 (서울특별시, 2003.1) 지하철 1호선 건설 서울시의 지하철 건설 기본계획 노선 중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 종로 구간의 도심 지하노선으로 이 노선은 서울역과 청량리역 구간으로 같은 기간 내에 실시할 수도권 기존철도 전철화 노선과 연결하여 상호 직통 운 행함으로써 수도권 반경 45km 이내의 교통시간을 1시간 이내로 단축하고 도심 동서교통과 한수 남북 교통의 주축이 된다.
2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수도권역 기존철도의 전철화 : 98.5km - 경인선 : 서울역~인천 38.9km - 경부선 : 서울역~수원 41.5km - 경원선 : 용산~청량리~성북 18.2km 종로선 : 지하철 10.31km - 본 선 : 서울역~태평로~종로~동대문~신설동~청량리 9.5km - 검차고선 : 신설동~군자동 중 일부 0.77km 지하철 1호선의 선형결정에 영향을 준 요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었다. - 청량리와 서울역에서 기존철도인 수도권의 전철과의 접속 - 남대문과 동대문에서 문화재 보존을 위한 이격거리 확보 - 광화문에서 동아일보 사옥을 피하기 위한 급곡선 삽입 - 정릉천 교량을 중심으로 하는 도로의 노면교통 장애 축소
Ⅲ. 연구결과 25 <표 10> 특수구간 및 채택공법 공구별 특 수 구 간 채 택 공 법 1-B 서 울 역 지 하 도 분할성 굴착 및 강재지보 서 울 역 고 가 도 로 확대 기초보강 및 강재일체화 남 대 문 ( 문 화 재 ) 방진공법 2 남 대 문 지 하 도 임시육교 설치 후 파손복구 태 평 로 지 하 도 시청역 대체기능으로 철수 양 동 지 하 도 강재받침 지지보강 체 신 부 앞 지 하 도 강재받침 지지보강 청 운 천 암거 내 임시하수관 시설 매달기 3 중 학 천 강관으로 하수유도 후 매달기 광화문지하도 강재받침 지지보강 동 아 일 보 건 물 건물기초보강(강관 말뚝 철근콘크리트) 7 종 로 5가 보 도 육 교 강재 지지 후 보강 남 대 문 지 하 도 동대문역 시설 대체로 철수 8 동 대 문 ( 문 화 재 ) 방진공법 대 학 천 그라우팅 보강, 가설하수관 유도 9 숭 인 동 보 도 육 교 신 설 동 보 도 육 교 강재 지보공 강재지지 후 보강 10 신 설 동 고 가 도 로 확대기초 보강 및 H-말뚝 근입 제 기 동 보 도 육 교 강재 지보공 11 정 릉 천 물돌리기 공법 안 암 천 물돌리기 및 강재지보 12 제 기 천 가설하수관 수도 및 방수 15 신 설 동 고 가 도 로 확대기초 보강 및 H-말뚝방수
2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지하철 2호선 건설 지하철 2호선의 건설 추진은 지하철 1호선이 착공된 1971년 12월에 1호선 과 상호간에 관련되는 평면, 종단선 형상 구조물 위치 및 승환을 위하여 연결동선과 설비계획에 필요한 설계도면 작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서울 시는 도심을 중심으로 하여 10개 방사선을 이루고 있는 5개 지하철 노선 망(안)은 도심의 기존 단핵도심 기능을 다핵도심기능으로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여 도시계획 기본계획 변경 안을 수립하여 1975년 3 월 발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도심은 중추관리기능으로 존속하고 영등포지구는 그 위치가 전통적으로 경인, 경수의 길목이고 본래 서울의 공업지대로 성장한 위치 면에서 장점을 살리고 원래의 공업지와 최근 개 발된 구로공단을 배경으로 하고 또한 최근에 발전된 화곡~신정지역, 개 봉~오류지역이 커다란 주거 인구를 안고 있어 산업과 교통, 상업을 중 심으로 하는 부도심으로 발전시키고 영동 잠실지구는 이미 기본시설이 완성되어가고 있는 주거단지인 영동 과 새로운 주택 및 체육시설을 갖추게 될 잠실지역을 포괄하여 주거를 중심으로 300만평의 대지에 인구 100만 명을 포용하는 부도심으로 개발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원래 서울시 지하철 건설본부가 발족된 후에 구상했던 지하철 노선은 제1 호선에서 제5호선까지의 5개 노선 133.04km였고 이것은 일본에서 파견된 교통조사단의 조사에서도 타당한 것으로 검토된 노선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호선 : 서울역~종로~청량리(9.54km) 2호선 : 강남 삼성동~성수동 경마장~왕십리~을지로~마포~여의도~ 김포(35.5km)
Ⅲ. 연구결과 27 3호선 : 성북구 미아동~혜화동~퇴계로~영천~갈현동(21.5km) 4호선 : 강남 경부고속도로 입구~율곡동~대림동~사당동(34.5km) 5호선 : 천호동~신설동~종로~신촌(32km) 지하철 2호선 최종건설기본계획 수립 당시 지하철 2호선 건설계획 및 지하 철 노선망은 다음 표와 같다. 노 선 명 구 간 연 장(km) 건설비(억원) 시행기간 계 142.34 9,681 71~ 95 1호선 서울역~종로~동대문~청량리 9.54 330 71~ 74 2호선 <표 11> 서울지하철 건설 기본계획 기지(군자)~잠실~영동~구로 기지~을지로~서교동~구로 30.0 18.8 1,672 1,700 78~ 82 82~ 85 3호선 벽제~서대문~용산~과천 30.0 2,165 4호선 창동~장충~금호~양재동 27.0 1,929 85~ 95 5호선 문래~김포, 잠실~천호, 성남 27.0 1,865 도로시설의 병행정비 지하철 건설과 병행하여 연계도로시설 개량 사업 투자 시행으로 효율적인 교통 처리를 도모토록 하였다. 강변역과 성내역간의 한강횡단 교량의 양측에 일차선 씩 도로교 병행건설 연계도로 폭원의 확장 - 성수천 지역 : 폭 25m에서 폭 30m로 확장(연장 2,700m) - 동교동 로터리~제2한강교 : 폭 30m에서 폭 40m로 확장 - 당산동 로터리~문래동 : 폭 20m에서 폭 30m로 확장 동교동 로터리에 지하차도 병행시공 서소문에서 서울운동장역까지 지하보도 및 지하상가 설치(연장 3,317km)
2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나. 지하철 주요 역사 내 분포하고 있는 시설별 석면함유자재 파악 <표 12> 지하철 주요 역사 내 석면함유물질에 대한 분석결과(서울메트로, 2007) 위 치 자재명 (시료명) 비산 가능성 석면함유내용 분석기관 사 진 백석면 2%, 트레몰라 이트-엑티놀라이트 G 10%, 앤소필라이트 5% 천장부 회반죽 트레몰라이트 또는 엑 티놀랄이트 3% A 백석면 극미량~1%, 트 레몰라이트 7~10% S (QC) 트레몰라이트12% E (QC) 백석면 60% A 덕트관 가스켓 X 백석면 50% S (QC) 백석면 15% E (QC) 승강장 백석면 2%, 트레몰라 이트-엑티놀라이트 G 10%, 앤소필라이트 5% 벽체부 회반죽 트레몰라이트 또는 엑 티놀랄이트 3% 백석면 1%, 트레몰라 이트 12% A S (QC) 트레몰라이트 10~20% E (QC) 불검출 또는 트레몰라 이트 3% G 덕트 상단 퇴적분진 불검출 또는 트레몰라이 트 or 엑티놀라이트 3% A 불검출 또는 트레몰라 이트 1~3% S (QC)
Ⅲ. 연구결과 29 위 치 자재명 (시료명) 비산 가능성 석면함유내용 분석기관 사 진 트레몰라이트-엑티놀 라이트 2%, G 민원실 바닥타일 (하늘색) X 트레몰라이트 극미량 S (QC) 불검출 E (QC) 대합실 승차권창고 접착제 X 백석면 2% G 천장부 밤 라이트 (내/외부계단 및 상가) X 백석면 3~5% G 터널내 강 제환기실 덕트 가스켓 백석면 10~80% G S (QC) E (QC) 환기실 좌측환기실 덕트 가스켓 X 백석면 10~90% G 우측환기실 덕트 코크(부 착된 분진) 백석면 3% A 백석면 1% S (QC)
3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다. 지하철 관련 건축 용어 연구결과의 용어 통일을 위해 다음과 같이 지하철 공법 및 건축용어의 정리 를 하였다. 1. 가새 (Brace) 벽이나 바닥에 적용하는 경사진 골조 부재로 구조물에 강성을 부여한다. 흔히 골조가 완성되기 전까지 벽에 임시로 사용한다. 2. 가로보조목(Furring, strapping) 샛기둥 또는 장선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목재띠로서 벽 또는 천정 마감 재료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가설발판(Scaffold) 임시 작업대 및 그 지지구조 4. 칸막이벽(Patition) 건물의 특정 층에서 공간을 세분하는 벽 5. 거푸집(Formwork) 부어넣기 콘크리트에서 원하는 형태를 주기 위한 일시적인 형틀 6. 건식벽(Drywall) 큰 시트나 패널에 설치하는 실내 커버재료. 이 용어는 석고보드와 동의 어이다.
Ⅲ. 연구결과 31 7. 결로(Condensation) 건물의 옥외커버의 안쪽에 축척되는 물방울이나 물막 또는 추운날씨에 는 서리로써, 고온다습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낮아 더 이상 수분을 증기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곳에서 발생한다. 8. 그라우트(Grout) 벽돌공사의 줄눈과 코어 속에 흘러들어가 견고하게 채우는 몰타르 9. ㄷ형 띠장(Furring) 벽면에 적용하는 목재나 금속띠장으로 면을 고르게 하고 마감재료를 붙 일 베이스의 기능을 가진다. 10. 다락환기시설(Attic ventilator) 다락공간을 환기하기 위하여 설치한 환기시설. 흡입환기구는 처마반자 내에 위치하며 배출환기구는 박공벽이나 용마루를 따라 위치한다. 다락 환기에는 동력환풍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11. 단열재(Insulation thermal) 구조물의 벽이나 천정, 바닥에 설치하여 열 유동 속도를 줄이는 열전달 저항성의 큰 재료 12. 덕트(Ducts) 따뜻한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둥근 형태나 사각의 금속파이프로 강제 순환 온기나 공기 조습시스템에 사용된다. 13. 덧판(Scab) 두 개의 판재마구리를 서로 맞댄 접합부에 못질한 짧은 길의 판재로 두판재 사이에서 인장옹력을 전달한다.
3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14. 새들(Saddle) 수평마룻대에서 만나는 두 개의 경사면으로 굴뚝 뒷면이나 수직표면과 경사지붕의 사이에서 사용된다. 새들은 일명 크리켓이라 함 15. 샛기둥(Stud) 일련의 얇은 목재나 금속의 수직 구조부재로 간막이벽 내에서 지지하는 요소로 설치된다(Plural=샛기둥). 벽체의 주된 수직 골조부재로서 마감 재료나 덮개가 부착된다. 벽의 주된 틀을 형성하는 수직부재(보통 2x4) 16. 샛기둥벽(Studwall) 간격을 가진 수직 17. 스퀘어(Square) 지붕재료에 흔히 적용되는 측정단위로서 9m2(100ft 2 )의 표면을 까는데 충분한 양을 말한다. 18. 슬래브(Slab) 지면위에 부어넣은 콘크리트 바닥 19. 신축이음(Expansion joint) 블록이나 단위 콘크리트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아스팔트섬유 띠장으 로 온도변화의 결과로 팽창하여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한다. 콘크리트 슬래브에도 사용한다. 20. 아스팔트(Asphalt) 대부분의 천연 아스팔트는 증류된 원유의 잔사이다. 물에 불용성이지만 휘발유에 가용성이며, 가열하면 녹는다. 여러 형태의 방수지붕커버와 외주벽 커버, 바닥타일 등을 시공할 때 방수제로 널리 사용된다.
Ⅲ. 연구결과 33 21. 아스팔트루핑(Built-up roof) 코올타르나 피치, 아스팔트로 적충된 3, 5층의 아스팔트펠트로 구성된 루핑. 상층을 부순 슬랙이나 자갈로 덮는다. 통상 평지붕 또는 저물매 지붕에 사용된다. 22. 캔티레버(Cantilever) 지점에서 내민 수평구조 부재로 1층 벽에서 내민 2층 바닥이 한 예이다. 23. 캠버(Camber) 수평구조부재에 인위적으로 준 약간의 아치형 굽음 24. 캡(Cap) 기둥이나 기둥붙임, 문 코오니스, 몰딩의 상부부재 25. 코오니스 리턴(Cornice return) 벽이 박공벽 지붕선과 만나는 지붕 구석에서 코오니스의 아랫쪽. 코오니 스 리턴은 구조요소가 아니라 문선의 역할을 하며, 수평 추녀선으로부터 박공의 물매지붕선까지의 매개 역할을 한다. 26.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특별한 배향없이 페놀수지로 접착된 몇 개의 층으로 배열된 작은 목재 파티클로 구성된 패널. 파티클보드는 구조용 규격도 있다 27. 패널(Panel) (1) 얇고 평평한 목재나 합판 등의 재료로서 선대와 막이를 사용하여 문을 짜 거나, 장식벽 처리용 두꺼운 재료에 몰딩한 모서리를 가진 홈을 가진다. (2) 합판이나 섬유판, 플레이크보드 등의 시트재료
3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28. 석면함유건재 석면함유 뿜칠재, 보온재 등(보온재, 내화피복재, 단열재) 및 형성판을 말한다. 또한 건설설비 등에 사용되고 있는 석면함유 실(seal)재 (패킹, 개스킷, 석면방직품 등)는 여기서 말하는 석면함유건재에는 해당되지 않 으나 이러한 재료를 취급할 경우에는 석면장해예방규칙의 취급 작업규 정에 해당되므로 호흡용보호구의 착용, 습윤화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 뿜 칠 : 1 미장재료 또는 도장재료를 압축공기로 뿜어 대어 바르거나 칠하는 것 * 보온재 : 1 보온 보냉의 목적에 사용되는 재료 2 재질에 따라 유기질 보온재와 무기질 보온재로 나눔. 유기 질에는 콜크, 톱밥, 폼, 폴리스틸랜, 연질섬유판, 펠트 등이 있고 무기질에는 석면, 암면, 글라스울, 규조토,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등이 있다. *개스킷 : 1 기계기구, 압력용기, 관플랜지 등의 고정결합면에 끼워 볼트 기타의 방법으로 조여서 내부유체의 누출을 막는 작용을 하 는 것 2 비금속제, 금속제로 대별함 29. 석면함유뿜칠제 석면을 1중량% 넘게 함유시켜 뿜칠 된 석면 등을 말한다. 표1에 일반 명, 석면의 종류, 석면함유율을 나타낸다. 30. 석면함유보온재 석면을 1중량% 넘게 함유한 보온재, 내화피복재, 단열재를 말한다. 표2 에 일반 명칭, 석면의 종류, 석면함유율을 나타낸다.
Ⅲ. 연구결과 35 31. 석면함유 성형판 석면을 1중량% 넘게 함유 된 성형판 등을 말한다. 표3에 대표적인 섬 면함유 성형판의 석면의 종류를 나타낸다. 32. 제거 건축물 등으로부터 파괴 행위에 의해 석면함유건재를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33. 보호의 분진, 분진비산억제제, 분진비산방지제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며 또한 2차 오염을 막기 위해 후드가 달린 오버올을 말한다. 34. 호흡용보호구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에 사용하는 마스크로 환기마스크, 전동 이 달린 호흡용보호구, 방진마스크 등이 있다. 작업레벨에 따라 호흡용보호구의 종류 중 기중의 석면섬유농도(평균농도)를 참고로 선택한다. 35. HEPA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초고성능 에어 필터라 하며, 공기 또는 배기 중에 포함되어있는 미립자 를 고성능으로 흡수하는 필터이다. 36. 분진비산억제제 석면함유뿜칠재의 내부에 침투하여 석면섬유를 결합시켜 분진비산을 억제한다. 물에 섞어 물의 표면장력을 줄여 석면함유뿜칠재내의 물의 흡인능력을 증대시킨다. 비산억제제로는 침투습윤제, 습윤제거제, 밀봉 처리제 및 제거처리제 등이 있다.
3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37. 분진비산방지제 석면함유뿜칠제를 제거한 후의 표면에 잔존하는 석면함유뿜칠제의 표 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분진비산을 방지한다. 비산방지제로는 잔존석면 의 고정화 밀봉제, 고화밀봉제, 잔존섬유고화제가 있다. 38. 고성능진공청소기 HEPA필터 부착(0.3µm입자를 99.999%제거) 또는 이 수치 동등이상의 성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말한다. 39. 건설부산물 건설공사에 따른 부차적으로 얻어지는 물품을 말한다. 해체공임 에 서는 해체공사에 따라 얻어지는 것을 모두 대상으로 하고 있다. 40. 건설폐기물 건설부산물 중 폐기물처리법상의 폐기물에 해당되는 모든 것을 대상으 로 한다. 일반폐기물과 산업폐기물이 있으며 해체공임 에서는 적용 범위의 지적대로 산업폐기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건설자재폐기물 이란 건설리사이클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자재의 개 념에 설비기기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해체공임 에서는 설 비기기 등이 포함되어있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건설폐기물 이란 용 어로 통일해서 사용한다. 41. 분별해체 건축물 등에 이용된 건설자재에 따른 건설자재폐기물을 그 종류별로 분별하여 해당공사를 계획적으로 시공하는 행위 로 규정하고 있다. 더 욱이 적정처리추진요강 에는 분별해체 란 해체공사에 있어서 건설자재폐기물을 분별할 수 있도록 시공기준에 따라 해체공사를 행하 는 일과 건설자재폐기물을 현장에서 분별하는 일 로 하고 있다.
Ⅲ. 연구결과 37 42. 분쇄해체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의 각 부분의 콘크리트의 분쇄 를 반복하여 콘크리트덩어리로 만드는 공법을 말한다. 43. 전도해체 벽 기둥 및 굴뚝 등의 모서리부분을 V형상으로 홈을 파서 철근을 절단 하고 윗부분을 앞으로 끌어 모서리부분을 파괴시켜 소정의 방향으로 전도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44. 부분해체 구체를 기둥, 보 등의 부재별로 절단하여 해체하는 공법을 말한다. 45. 감독직원 계약서에 규정하는 감독직원, 감독원 또는 감독관을 말한다. 46. 청부자 해당공사 청부계약의 청부자 또는 계약서의 규정에 의해 정해진 현장 대리인을 말한다. 47. 감독직원의 승인 청부자 등이 감독직원에 대하여 서면으로 신청한 사항에 대하여 감독 직원이 서면으로 승낙한 것을 말한다. 48. 감독직원의 지시 감독직원이 청부자 등에 대하여 공사 시공상 필요한 사항을 서면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3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49. 감독직원과 협의 협의사항에 있어서 감독직원과 청부자 등이 결론을 얻기 위해 합의하 여 그 결과를 서면으로 남기는 일을 말한다. 50. 감독직원의 검사 시공의 각 단계에 청부자 등이 확인한 시공사항등에 관해, 청부자 등에 의해 제출 된 자료에 근거하여, 감독직원이 설계도면과의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행위를 말한다. 51. 특기 질문회답서, 현장설명서, 특기시방서, 도면에 지정되어있는 사항을 말한다. 52. 서면 발행년월일이 기재되며 서명 또는 봉인된 문서를 말한다. 53. 공사관계도서 실시공정표, 시공계획서, 공사안전위생계획서, 공사사진,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시공, 시험 등의 보고 및 기록에 관한 도서를 말한다. 54. 공사검사 계획서에 규정하는 공사의 완성 확인을 하기위해 발주자 또는 검사직 원이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55. 기술검사 공사의 시공체제, 시공 상황에 관하여 발주자가 정한 자가 행하는 기술 적 검사를 말한다.
Ⅲ. 연구결과 39 라. 선진국 방문조사 결과 (1) 영 국 <표 13> 영국 설문조사 요약 설문 내용 세부 내용 1 지하철 최초 건설 시기 메트로폴리탄 철도 (Metropolitan Railway): 1863년 1월 10일 2 각 노선별 건설 시기 3 각 노선별 석면관련 마무 리 공법 Bakerloo 1906, Central 1900, Circle 1884, District 1868, East London 1869, Hammersmith & City 1863, Jubilee 1879, Metropolitan 1863, Northern 1890, Piccadilly 1906, Victoria 1968, Waterloo & City 1898 부분적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공식화된 자료는 입수하지 못했다. 4 각 노선별 석면분포 실태 지하철에 사용된 석면 자재는 총 33종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역사, 차고, 차량, 선로, 역내, 변전소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포 실태를 표시하고 있다. 5 6 7 8 9 10 지하철 석면으로 인해 발 생된 문제 또는 사건 지하철 석면 관리 실태(손 상시 대응방안) 각 노선별 석면 제거 실태 및 제거 일지 지하역사 및 노선의 석면 제거시 사용된 공법 지하역사 및 노선의 석면 제거시 대중과의 의사소통 방법 지하역사 근무자에 대한 석면관련 교육실태 해당 자료 없음 MR-F-10126 폼을 이용하여 석면 위험성 평가를 한 뒤에, 석면의 관리 및 제 거 등의 방법을 취한다. 파악된 석면 자재에 대해 위험성을 평가하고 제거가 결정되면, 석면제거 자 격증을 가진 계약업체가 물질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거할 방법을 선택한다. 석면단열 패널의 제거, LTB히터의 제거작업, 석면직조케이블의 제거, Cellactite Sheet의 제거, 석면 시멘트 패널의 제거방법에 대해 작성하였다. 런던에서 가장 큰 빅토리아 역의 석면제거를 예로 들었다. 런던지하철에서는 석면제거와 관련한 내용을 런던 지하철의 홈페이지에 기재하여 누구나 열람 할 수 있도록 해두고, 해당 역사에 브로셔를 비치하여 이용객에게 석면제거 에 대한 내용을 알리고 있다. 지하철 내의 석면제거 과정에서 작업의 고용주체는 석면제거 작업자들에게 석면의 일반적인 정보, 석면제거 과정에 대한 교육, 안전 교육 등을 수행하여 야 하며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작업자, 혹은 작업자를 감독하는 관리 자들은 위의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한다. 11 12 지하역사에서 공기 중 석 면의 농도 지하철 석면 해체 및 제거 관련 년도별 예산 및 집행 의 주체 13 객차내 석면사용 부위 및 해당 자료 없음 관리 14 철거 및 제거 동영상 입수 없 음 15 철거 업체 선정 방식 해당 자료 없음 16 석면조사 및 공사시 공지 해당 자료 없음 17 석면건강관리수첩 제공 대상 해당 자료 없음 런던 지하철의 작업구역에서 석면제거를 수행한 뒤 대기 중의 석면제한 농도 는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제거지표 로서 0.01f/ml로 규정되어 있다. 런던 지하철이 지하철을 관리하는 2개의 회사를 두고 있으며, 석면 조사나 석면제거에 필요한 예산은 런던지하철에서 국민의 세금으로 집행하고 있다.
4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연구동향 2006년 3월 27일 부활절에 석면 제거를 위해 Brixton역을 폐쇄하였다. Brixton Tube역의 안전한 석면 제거를 위해 런던 지하철(London Underground)은 4월 8일 ~ 17일 까지 10일 동안 Stockwell과 Brixton역 사이의 Victoria line을 폐쇄하였다. 이 기간 동안 LU는 공사구간을 버스 로 무료 운행하였다. 영국은 철도와 선박 등의 교통수단은 공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해 비교 적 중요하지 않은 배출원이며, 또한 기여도가 낮아, 일반적으로 London 시 대기질에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철도와 선박은 각각의 노선에 제한되고, 배출량이 집중되는 지역이 한정되기 때 문에 오염의 주요한 원천이 될 수 있다. 이에 런던 시장과 런던 교통국 (Transport for London : TfL)은 이러한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공기오염 물질을 저감하기 우한 정책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철도청(Strategic Rail Authority(SRA)) 및 기타 관련 단체들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공동 대 책을 수립하고 있다. 런던 지하철 관리회사(London Underground Limited : LUL)는 현재 공기 질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 터널 청소 열차의 사용에 있어 밤에 운행하며 터널과 지표 아래 부분을 큰 진공청소기 같이 작동하여 청소하고, 터널에서 먼지를 제거한다. 역사 적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은 평균 2년에 1번 청소된다. - 레인 마모 동안에 만들어지는 먼지에 대한 제거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터널의 연결공간을 작업시간 동안에 일시 차단하는 팽창식 터널마개 (inflatable tunnel plug)를 시범적으로 사용한다. - 브레이크 받침나무에 사용되는 재료를 변화시킨 결과, 먼지 농도는 과거 15년에 걸쳐 감소되었다.
Ⅲ. 연구결과 41 - 새로운 차량에 설치한 저항 제동기(rheostatic braking)(전기 모터들이 열 차 속력을 늦추기 위해 전환되었다)가 먼지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먼지 제어 방법들이 기준들과 환경적 약정 규정을 통해 명기되었으며, 모 든 직원과 도급자들이 준수해야 한다. 준수사항이 현장 검사와 감사를 통 해 모니터된다. 향후 런던 지하철 관리회사(LUL)에서 제시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먼지 제어 설비들의 진행 적합성의 모니터링 - 향후 수행되는 직원 개개인의 노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 고, 시간과 시스템에 걸쳐 데이터의 일관성과 비교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현재 새로운 기준 모색 런던 지하철의 분진, 터널 분진 노출에 의한 건강 영향의 리뷰(Dust in the London Underground, A review of the health implications df exposure to tunnel dust, 2001)에 의하면 먼지 중 석면은 1970년대 후반 에 측정되었다. 그 당시 보건안전청(HSE) 기준보다 훨씬 저농도를 나타 내었다. 최근의 석면 측정은 없었으며, 1970년 후반 보다 더 적은 농도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작업 중 석면 제어에 관한 규칙(CAWR, The Control of Asbestos at Work Regulation 2002)"에서 비주택 건물의 석면 관리 의무를 제시하였 다. 2005년 동안 철도감독관은 지하철을 포함한 철도에서 의무를 수행하 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감독 활동이 지하철 포함한 철도 네트워크에서 계획되어 있으며 석면에 대한 조사가 2006~2007년 동안 수행되고 있다.
4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영국지하철 노선도, 1863년 건설된 세계 최초의 지하철 1) 지하철 최초 건설시기 런던 지하철 (London Underground)은 영국 런던에서 운행되는 도시 철도 로, 런던 광역권과 그 주변 일부 지역까지 운행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지하철 이며, 노선 총 연장으로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1863년 1월 10일에 메트로폴리탄 철도 (Metropolitan Railway)의 운행이 개시되었으며, 당 시의 노선 대부분은 현재 해머스미스 앤드 시티 선의 일부로 속해 있다. 지하 철 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노선의 55%는 지상구간이다. 보통 the Underground (지하철), 또는 지하 터널의 모양을 본뜬 이름인 the Tube (튜브) 라고 부르기도 한다. 런던 지하철은 오늘날 274개의 역과 총 연장 408Km에 이르는 노선으로 이루 어져 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아 폐쇄된 역과 구간도 있으며, 전체 승객 수는 9억 7천 6백만 명, 일일 승객 수는 2백만 6천 7백여 명에 이른다.
Ⅲ. 연구결과 43 * 노선 체계 런던 지하철은 유지 보수를 노선의 운행이 끝난 밤 시간에 해야 하기 때문 에, 하루 종일 운행되지 않는다. 첫차는 새벽 5시 직후에 있으며, 막차는 새벽 0시 30분경에 운행된다. 뉴욕시 지하철 등과는 달리, 런던 지하철에는 일부 구 간에만 유지 보수 공사 구간을 우회할 수 있는 급행 선로가 존재한다. 최근에, 계획된 기술 작업 등을 위해서 해당 구간의 운행을 주말 동안 잠시 중단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보통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의 범례를 따라 실제 지형에 맞게 그린 Zone 1(센트럴 지역)의 노선도
4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2) 각 노선별 건축시기 런던 지하철의 시초인 메트로폴리탄 철도는 지금의 패딩턴인 '패딩턴 (비숍 스 브리지)'역에서부터 현재의 패링던 북서쪽에 위치하던 임시역인 '패링던 스 트리트' 구간을 운행하던 세계 최초의 여객용 지하 철도였다. 재정 등의 문제 로 인해 개통이 연기되어, 1854년에 인가된 철도는 1863년 1월 10일에 공공 운 행을 개시하였다. 개통 당일에는 10분 간격의 운행으로 총 40,000 명의 승객을 수송하였으며, 규모가 커진 '메트'(Met)는 1880년에 이르러 연간 4천만 명의 승 객을 수송하게 되었다. 해머스미스&시티 라인은 런던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 지르는 라인으로 1863년에 건설되었다. 1884년에는 '이너 서클'(현재의 서클 선)이 완공되는 등, 다른 노선들이 속속 추가되었다. 초기 노선에서는 증기 기관차가 운행되었는데, 따라서 바깥과의 효율적인 환기를 필요로 했다. 그 뒤, 전기 철도의 발전은 기 존의 절개식 공법을 사용했을 때보다 더 고심도 터널의 사용을 가능케 했으며, 고심도 터널의 설계도 터널링 실드와 같은 장비 및 기술의 사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45 노 선 명 색 깔 운행개시 년도 명명 년도 운행 깊이 총 연장 (Km) 역 수 연 수송인원 (천 명) Bakerloo (SVG) 갈색 1906 1906 고심도 23.2 25 95,947 Central (SVG) 빨강 1900 1900 고심도 74 49 183,582 Circle (SVG) 노랑 1884 1949 저심도 22.5 27 68,485 District (SVG) 초록 1868 1868~1905 저심도 64 60 172,879 East London (SVG) Hammersmith & City (SVG) 주황 1869 1980 저심도 7.4 8 10,429 분홍 1863 1988 저심도 26.5 28 45,845 Jubilee(SVG) 은색 1879 1979 고심도 36.2 27 127,584 Metropolitan(SVG) 자주색 1863 1863 저심도 66.7 34 53,697 Northern (SVG) 검정 1890 1937 고심도 58 50 206,734 Piccadilly (SVG) 진파랑 1906 1906 고심도 71 52 176,177 Victoria (SVG) 연파랑 1968 1968 고심도 21 16 161,319 Waterloo & City (SVG) 청록색 1898 1898 고심도 2.5 2 9,616 *색깔 : 런던 지하철 노선도의 기준, *운행개시 년도: 최초로 운행된 시기, *운행 깊이: 노선의 지하 깊이
4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3) 지하철 내의 석면 분포 런던 지하철의 석면현황 실태는 모두 파악이 된 상태라고 한다. 하지만 이 자료는 런던 지하철의 측에서 공개 자료로 분류하고 있지 않아 일반대중이 볼 수 있는 자료는 아니라고 한다. 석면현황 실태 파악은 런던 지하철의 관리를 맡고 있는 메트로넷과 튜브라인에서 진행을 하고 이에 대한 예산은 모두 런던 지하철에서 마련을 한다고 한다. 런던 지하철 내의 석면현황을 파악하는 데는 약 3년이 소요가 되었으며 매년 전체 석면함유자재 물량 중에서 10% 안팎으로 제거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모든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석면 함유하는 자재 중에 구조물의 중요한 일부분을 이루고 있 어 관리를 지속적으로 하고 제거를 하지 못하는 자재도 있다고 한다. 가) 석면의 분포 1 광고 게시판 - 석면보드 및 석면 시멘트 2 우수구 - 석면 시멘트 3 보일러와 파이프 단열재 4 브레이크 라이닝 5 멜라민으로 가공한 석면 천장 타일 6 페인트로 도포한 천장 타일 7 역청 지붕 패널 8 시멘트 케이블 슬리브관 - 석면 시멘트 9 주름 지붕 시트 10 전철기실의 문틀 패킹 11 배수 축 개폐기 12 듀라스틸 패널 13 방화용 모포 / 장갑 14 바닥 타일
Ⅲ. 연구결과 47 15 연통 파이프 / 밑단 부위 16 가스켓 17 측구 (처마 홈) 18 난방기와 화덕 위의 난방 패널 19 전기 스위치 주위의 단열보드 20 방음 패널 등이 존재 나) 지하철 내에 존재하는 석면이 함유된 자재별 위치 지하철 내를 크게 역사, 차고, 차량, 선로, 역내, 변전소로 나눌 수 있다. 각 위치에 분포되어 있는 석면함유물질은 다음과 같다.
4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표 14> 지하철 내에 존재하는 석면이 함유된 자재별 위치 석면자재의 종류 역 사 차 고 차 량 선 로 역 내 변전소 광고게시판-석면보드, 석면 시멘트 X X 우수구-석면시멘트 X X 보일러와 파이프 단열재 X X X 브레이크 라이닝 X X X 멜라민으로 가공한 석면천정타일 X X X X 페인트로 도포한 천정타일 X X X X 역청지붕패널 X X X X 시멘트 케이블 슬리브관-석면시멘트 X X X X X 주름지붕시트 X X X X 전철기실의 문틀패킹 X X X X 배수측 개폐기 X X X X X 듀라스틸 패널 X X X X X X 방화용 모포/장갑 X X X X 바닥타일 X X X 연통파이프/말단 부위 X X X X X 가스켓 X X X X X X 측구(처마홈) X X X X X 난방기와 화덕뒤의 난방패널 X X X X X 전기스위치 주위의 단열보드 X X X X X X 방음패널 X 파티션보드 X X X X 파이프 X X X X X 피트블록 X 지붕펠트 X X X X 로프 X X X X X X 철빔살포단열재 X X 스위치보드 X X X X X 터널 X 터널-살포된 부분 X X 터널라이닝, 역청 주름패널 X X 환기구 철망과 덕트 X X X X 벽파티션 X X X X 물탱크단열재 X X X X * 자료출처: METRONET 제공
Ⅲ. 연구결과 49 사례 1. 유스턴 역사의 석면 제거를 위한 석면 실태 조사 유스턴 역사 내의 제거될 석면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석면조사 내용에 는 석면의 종류, 면적, 석면을 포함한 자재의 현 상태 및 작업 환경에 대해 전 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석면의 실태 조사를 마친 뒤 석면 제거를 수행하였다. 석면재 외장 케이블 자재의 경우 백석면이 포함되었으며, 자재의 상태는 보 통이였으며, 석면자재가 밀폐되어 있지 않았다. 작업은 마스크를 착용한 밀 폐지역에서만이 가능하며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의 대기 중 석 면 농도는 0.01f/cm3이다.
5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터널 내 코킹재(Tunnel ring caulking)의 경우 갈석면이 포함되어 있었고, 석 면함유자재의 상태는 좋은 편이지만, 밀폐되어 있지 않아서 노후 시에는 비 산의 우려가 있는 상태이다. 석면 제거는 밀폐된 상태의 마스크 착용지역에 서만 가능하며 석면 입자의 제거를 위해서 H-type의 진공흡입기를 사용한 다. 석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경우 대기 중 석면의 농도는 0.01f/cm3이다.
Ⅲ. 연구결과 51 천장 마감재의 경우에는 백석면이 포함되어 있고, 상태는 좋은 편이나, 일부 지역은 손상이 된 상태이다. 석면 제거는 밀폐된 상태의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만 가능하며 석면 입자의 제거를 위해서 H-type의 진공흡입기를 사용한다. 석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경우 대기 중 석면의 농도는 0.01f/cm3이다.
5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석면 시멘트의 경우에는 백석면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이 손상 악화 되어 비산의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압의 스프레이로 습윤제를 살 포하며 작업해야하고, 밀폐된 상태의 마스크 착용지역에서만 제거가 가능하 며 석면 입자의 제거를 위해서 H-type의 진공흡입기를 사용한다. 석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경우 대기 중 석면의 농도는 0.01f/cm3이다.
Ⅲ. 연구결과 53 다) 지하역사 내에 존재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사진 석면 케이블 (Asbestos Cables ) 케이블 덮개와 석면 와셔 (Cable sheathing & Asbestos Washers) 석면재질의 파이프 감싸개 (Asbestos Wrapping) Cable Troughing 케이블 슬리브관/덕트 (Cable Sleeves/Ducts) 주름시트 (Corrugated Sheets )
5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단열재 (Insulation) Cellactite 단열재 (Insulating Materials) 천장 타일 (Ceilling Tiles )
Ⅲ. 연구결과 55 내열 플라스틱 / 비닐 타일 (Thermoplastic / Vinyl tiles) 피트 블록 (Pitblocks) 터널 내 코킹재(Tunnel Ring Caulking) 듀라 스틸 (Durasteel) * 듀랴 스틸 - 구멍을 낸 강철시트 양면에 강화섬유 시멘트 재질을 기계적으로 붙인 불연소재의 혼합패널임.
5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로프 가스켓 (Rope Gaskets) 철도 선로 장치 (Trackside Equipment) 철도 선로 스위치 (Current Rail Section Switch) 4) 지하철 석면 관리 실태 런던 지하철은 석면자재의 다양한 형태, 조건, 유형하에 따라 각기 다른 고 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다. 석면이 함유된 자재와 그 위 치에 따라 각기 다른 효율적인 석면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인지하 고 있는 것이다. 이런 효율적인 석면관리 대책에 따라 모든 지하철 근로자와 업체 근로자, 일반 대중들에게 석면의 유해성을 알리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
Ⅲ. 연구결과 57 고 있다. 석면함유물질의 존재는 본질적으로 위험한 것이 아니라 손상되어 비 산 가능성이 제기될 때 위험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있다. 석면 물질이 존재하는 작업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조절함으로써 지하철 근로자, 업체 근 로자, 컨설턴트, 일반 대중에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노력을 하 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석면에 노출되기 쉬운 근로자와 작업자들에게 석면의 유해성에 대해 교육시키고, 석면과 관련된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예방책을 강 구하고 있다. 가) 석면 조사 석면조사는 아래의 세 가지 유형으로 조사 된다. 1 위치/접근 조사(기초제시 조사): 조사 목적은 빌딩 내부에 의심되는 석면 함유물질의 존재와 범위를 알아보고 그들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 다. 이 정보는 석면함유물질 목록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2 기준 샘플링, 동일한 접근조사(샘플 조사): 조사의 목적은 석면함유물질의 존재, 범위, 상태를 알아내기 위한 것이며, 조사자가 대표 샘플을 수집하 고 석면의 존재를 알아내고자 분석한다. 3 석면조사(파괴 전/전체 리모델링/개조): 조사 유형은 리모델링이나 철거 작업 전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며, 조사의 목적은 작업이 수행되는 빌딩이 나 지역 내의 모든 석면함유물질(예전에는 확인되지 않은 물질)을 알아내 고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사는 모든 구역을 조사할 수 있도록 고안 되어 내부계단의 빈 공간, 층 뒤편과 덕트 등을 보기 위해 구조물을 개방 하는 것과 같이 정밀 조사를 수반할 수 있다. 조사 방법은 계획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빌딩의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고안된다.
5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나) 석면 위험성 평가 지하철 역사에 대한 석면 위험성 평가는 MR-Pr-10026 폼을 사용하고 있으 며, 이는 2002년에 제정된 법규에 따라 석면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가 이드라인이다. 작업 감독자는 이러한 위험성이 적절하게 평가되고, 관리되며 기 록되는지 확인할 책임이 있고, 작업자 및 감독자의 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모 든 위험성을 안전하고 적합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가 충분한지, 아니면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석면이 대기로 방출되 면 해를 끼칠 수 있는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석면은 위험요소이다. 위험성이란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결국 누군가에게 피해를 입 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몇 몇 석면함유물질들은 형태와 유형 에 따라 다른 것들 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형태는 석면이 노출될 때 비산의 잠재성을 토대로 석면함유물질의 리스크를 분류한다. 환경조건이 악화되거나 악화가 의심되는 곳이 확인되면 한 단계 더 높은 범주의 것으로 간주하고 그에 맞는 비산의 심각정도 점수를 높여야 한다.
Ⅲ. 연구결과 59 <표 15> 석면위험성 평가 자료 (Asbestos Risk Assessment Record MR-F-10126) 비산의 심각한 정도의 점수 5 4 3 2 1 석면함유물질 (예시) 뿜칠된 석면 보온재 (예. 방화 보온재) 파이프와 보일러 피복재 손상된 시멘트 석면 조각 밀폐되지 않은 석면 보온재 보드 (AIB) 코킹 제품과 물질 패킹재 피트 블록의 석면 와셔 페인트나 반응 억제제로 마감된 석면 보온재 보드 (AIB) 석면제 외장 케이블 멜라민으로 가공한 석면 천장타일 석면 로프, 마감된 가스켓 석면이 포함된 좋은 컨디션의 듀라스틸 석면 시멘트 조각 석면 시멘트 역청 석면코팅 자재 (Cellactite) 열가소성 수지로 만든 제품과 합성수지를 포함한 Marley' 타일
6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표 16> 석면 유해성 평가표(MR-F-10126) 석면유해성 평가표 MR-F-10126 비산의 심각성(5) 뿜칠재 파이프/보일러 약한 석면 부스러기(시멘트제외) 비산의 심각성(4) 석면 단열보드 코킹재 (터널내) 단열재 비산의 심각성(3) 석면단열보드 멜라민수지로 코팅된 천장재 타일 비산의 심각성(2) 듀라 스틸 시멘트조각 부스러기 처리된 가스켓 비산의 심각성(1) 석면 시멘트 열가소성물질 역청 석면코팅재 철거작업이나 직접적인 ACM 작업 (금지된) 아주 가능(5) 높음 25 Use specialist Contractor 높음 20 Use specialist Contractor 높음 15 Use specialist Contractor 중간 10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5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대규모공사 - 버팀 구조물을 건드리는 공사 가능(4) 높음 20 Use specialist Contractor 높음 16 Use specialist Contractor 중간 12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8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낮음 4 버팀 구조물 공사 약간의 가능(3) 높음 15 Use specialist Contractor 중간 12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9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6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낮음 3 ACM에는 영향을 주진 않지만 통상적으로 구조물을 제외한 그 외 보수작업 가능(2) 중간 10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8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중간 6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낮음 4 낮음 2 시료를 채취하지 않는 육안조사 가능성이 없음 (1) 중간 5 Identify controls mitigation 낮음 4 낮음 3 낮음 2 낮음 1 출처: 메트로넷 위의 석면유해성평가 양식에서 사용된 석면함유물질의 상태가 비산성이 높 을수록 점수도 높아지게 된다.
Ⅲ. 연구결과 61 석면에 관련한 계획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최선의 방법을 이행하면 다소 안 전을 해칠 수 있는 석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석면은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현장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계획된 공정 중에 위험성을 나타내는 석면함유의심물질이 확인되면 작업의 안전대책이 준비 될 때까지 작업을 진행 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노출된 지역에서 대피를 해야 한다. 대피를 한 후에는 석면의심 물질이 역내로 들어오는 것을 응급하게 막고, 지하철 관리회사의 유 해물질 관리팀에 비상연락을 하여 비상 석면조사와 응급조치를 취해 적절하게 비산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도록 한다. 5) 석면의 제거 절차 석면함유물질의 제거의 공법 및 제거에 관련한 내용을 결정하기 전에 석면 제거가 꼭 필요한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석면물질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 고 제거가 결정되면, 석면제거 자격증을 가진 계약업체가 물질의 상태를 파악 하고 제거할 방법을 선택한다. 전동 공구는 가능하면 건식 작업인 경우에는 사 용하지 않도록 한다. 예외적인 경우로 석면보드를 제거할 시에 나사를 풀기 위 해 전기드라이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외의 작업에서는 전동기구를 사용하 지 아니한다. 석면물질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 공기질이 실내공기질 법적기준을 만족해야만 일반인들의 출입이 가능하다. 또한 제거 작업시에는 작업공간 내의 비산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해 반드시 습윤제를 사용해야 하고 음압기를 이용하 여 작업공간 내 석면입자를 적절하게 필터링해야 한다. 런던 지하철 내에서 시행되는 석면제거는 영국 법규에서 규정하는 기본적인 제거요건을 따라야 한다. 단지 지하철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하여 지하철 운행의 특성 및 지하철 관리조직의 절차를 따라야 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일반 석면제거와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의 내용은 석면제거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사전 절차와 제거 진행 절차 등을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
6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가) 작업 시작 전 절차 1 석면제거 작업자가 지하철내의 작업 현장에 도착하면, 지하철 역사의 관 리자에게 사전에 확인을 받아야 할 서류를 작성하고 이에 확인한 담당자 가 서명한다. 2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을 하고 난 이후에는, 우선적으로 지하철 역사의 안전 관리자와 연락을 취하여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와 작업 일정을 재확인한다. 3 석면제거 감독자는 현장에 있는 모든 제거 작업자들에게 현장내의 작업 범위와 작업 내용 및 현장 내에서 다른 작업보다 우선적으로 진행되어 야 하는 위험성이 높은 작업위치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작업을 시작한다. 4 안전 관리자 및 석면제거 감독자는 역사 내의 마지막 차량의 화물 하차 작업이 전체 라인에 걸쳐 안전한지 확인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또한 작 업환경이 작업자에 대한 보호 조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을 진행시켜선 안 된다. 5 이러한 사전 준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은 석면제거 감독자가 전체 공정 을 감독해야 한다. 6 운반되어 온 모든 장비와 설비의 파손여부를 확인하고, 사전 준비작업을 마친 후 작업을 실시하며, 이 과정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작성한다. 7 제거에 관련한 어떠한 설비 및 장비도 마지막 기차가 출발한 이후에까지 작업 현장에 반입할 수 없으며, 모든 승객이 역을 나간 뒤, 지하철 역사 가 문을 닫으면, 지하철역의 감독관 승인 후에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8 소화기와 같은 방화용품, 응급치료 용품은 석면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설에 반드시 비치를 하고 안전관리자로부터 이를 확인 받아야 석면제 거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63 사례. 유스턴 역 (Euston Station)의 석면제거 절차 및 방법 가) 석면제거 작업의 방법과 범위 ⅰ) 0.2m2에 해당하는 상부에 설치된 천장마감재의 제거 ⅱ) 2m2인 케이블 주위에 설치된 시멘트 보드의 제거 ⅲ) 내열판이 장착된 4개의 LTB히터의 제거 ⅳ) 직경이 30mm이며, 길이가 각각 40m인 4개의 석면재 외장케이블 제거 ⅴ) 배수시스템의 상부에 걸려있는 6m2인 석면코팅이 된 역청 시트 (Cellactite Sheet)의 제거 ⅵ) 터널 내 코킹재(Tunnel Ring Caulking)의 인캡슐레이션 작업 나) 석면제거 일정 지하철 내의 석면제거 일정은 총 5가지의 제품에 대해 작성되었으며, 총 5일에 걸친 작업이 계획되었다. AIB 패널의 제거는 한 개의 팀이 6월 18일에 작업할 예정이고, LTB 히터는 한 개의 팀이 6월 19일에 제거 작업을 하고, 6월 20일에는 석면시멘트 보드가 제거될 계획이다. Cellactite Sheet의 제거는 6월 21일부터 22일까지 2일에 걸쳐 제거가 진행되며, 케이블의 제거는 6월 18일 부터 22일까지 두 팀으로 5일간 제거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6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Ⅲ. 연구결과 65 다) 석면제거 작업 ⅰ) 석면단열 패널의 제거 1 필요한 작업: 작업의 시작 전에 석면단열 패널에 고정된 전선관 내부 에 사용될 케이블을 절단하여, 케이블을 여유 있게 준비해둬야 한다. 2 사전작업 ᄀ 석면제거 업체는 마스크 착용구역을 표시하는 띠, 경고표지판 등을 작 업구역에 설치하여 허가되지 않은 행동이나 작업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 도중에 불꽃이 발생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구역의 외부 에 불꽃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내화성 폴리에틸렌 Fly Sheeting 을 설치하고, 석면제거 작업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잔재나 오염된 분진 등은 포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들은 작업구역 내에 비치한다. ᄅ 작업의 시작 전에 석면제거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시트를 작성해야 한다. 3 제거작업 ᄀ 석면 제거 업체는 작업이 실시되기 전에 전선관 내부에 포함된 케이블 을 여유 있게 준비 한다. 자재에 대한 것은 석면제거 업체에서 작업 개시 이전에 확인한다. ᄂ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제거작업을 실시하며, 작업구역 및 마스크 착용구역에 진입하여 석면단연 패널에 반응 억제 제(습윤제)를 살포한다. 비산 억제를 위하여 제곱미터 당 0.2l의 비율 로 살포한다. ᄃ 패널에 고정된 터미널 박스는 스크류 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 크류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풀어낸다. 이 작업은 H- Type 진공흡입기, 혹은 음압기로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입자도 포집하여, 작업을 보호한다.
6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ᄅ 터미널 박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케이블은 보양된 케이블 절단기를 사용해 절단한다. 고정된 전선관은 전기톱을 사용하여 절단한다. 터미 널 박스를 천장 내부의 전선관으로부터 나사를 풀러내고 패널로부터 떼어낸다. 제거 후에 발생한 터미널 박스 및 전선은 석면폐기물로 처 리해야 한다. ᄆ 패널에 사용되는 나사는 고정 및 분해 시에 H-Type 진공흡입기(음압 기)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입자를 포집하여 작업자를 보호 해야 한다. 석면단열 패널은 석면 폐기용 백에 포장 후 바로 폐기되어 야 한다. ᄇ 천장 내부의 작업이나 프레임관련 작업은 실시된 직후에 H-Type 진 공흡입기 및 박음질이 없는 옷을 착용하고 청소해야 한다. 4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5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박음질이 없는 옷을 사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 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6 작업의 완료 ᄀ 천장 내부의 빈 공간은 철망을 사용하여 임시로 덮어두며, 사용 시에 는 기존에 설치된 프레임에 철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ᄂ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Ⅲ. 연구결과 67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박음질이 없는 옷을 사용하여 남아 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ᄃ 모든 폴리에틸렌 시트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한다. 석면 단열 패널(Asbestos insulation boarding) Panel ⅱ) LTB 히터의 제거작업 1 사전 준비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 지역을 구분하는 띠와 경고표지판을 작업구역 주변에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구역의 표면은 내연성 폴리에틸렌 sheet를 이용하여 작업시에 발 생할 수 있는 석면입자나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는 작업구역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ᄅ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석면제거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시트를 작성 해야 한다.
6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2 제거작업 ᄀ 튜브라인으로부터 허가된 전기 작업 관련 협력업체에서 LTB히터와 연결된 보드로부터 히터를 분리해야 한다. 케이블은 돌출되어 있는 출 구에서 분리하고 운반하여 제거하며, 이 작업은 석면제거 작업자가 실 시한다. 이러한 모든 작업은 석면제거 감독의 지시와 전기협력업체의 작업수칙에 따라 실시되어야한다. ᄂ 전기협력업체는 제거작업이 시작되기 이전에 분리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문서로 작성하여 석면제거 감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ᄃ 히터는 벽에 설치되어 있다. ᄅ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작업구역 및 마스크 착용지역으로 진입하여 히터로 들어가는 케이블을 절단하여 히터 외 부로 꺼낸다. ᄆ 케이블이 분리된 히터를 들어 올리고, 히터에 포함되어 있는 석면은 1000-gauge 폴리에틸렌으로 포장하고, 석면폐기물이라는 라벨을 부착 하여 폐기물을 처리한다. 3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4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이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 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 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Ⅲ. 연구결과 69 5 작업의 완료 ᄀ 고정된 Bracket은 남아있는 스크류를 풀어내어 제거하며, 스크류 구멍 은 전용 미세표면 충진제(Proprietary Fine filter)로 메운다. 남아있는 벽의 표면은 완전하게 마감되어야 하며, 제거 후의 공사는 발주처에서 마무리 한다. ᄂ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남 아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ᄃ 모든 폴리에틸렌 Sheet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한다. 6 보수 및 재 설치과정 ᄀ 남아있는 Bracket 고정용 스크류는 스크류 건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하 여 풀어낸다. 남아있는 구멍은 전용 미세표면 충진제(Proprietary Fine Filler)를 사용하여 메우며, 이 때 샌딩작업(Sanding)은 필요하지 않다. ᄂ 기존 히터가 있었던 자리에 신규히터를 장착한다. 히터관련 사양은 발 주처에 의해 제공될 것이며, 새로운 히터는 벽체에 설치하는 형태이다. ᄃ 히터업체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Bracket은 벽에 고정할 때에 기존 구멍 의 위치를 가능한 한 그대로 이용하여 설치한다. ᄅ 벽에 고정된 히터는 기존에 사용한 돌출된 출구를 통해 전기협력업체 의 전문가를 통해 연결하고 점검 및 시운전을 실시한다.
7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ⅲ) 석면직조케이블의 제거(Removal of asbestos braided cables) 1 사전 준비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지역을 구분하는 띠와 경고표지판을 작 업구역 주변에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구역의 표면은 내연성 폴리에틸렌 sheet를 이용하여 작업 시에 발 생할 수 있는 유독성 먼지나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는 작업구역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ᄅ 작업의 개시 이전에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2 제거작업 ᄀ 발주처로부터 허가된 전기 작업관련 협력업체에서는 케이블을 역사내의 경로에 따라 찾아내고 시험하며, 모든 케이블이 확실하게 고립 및 절단 후에 석면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작업은 석 면제거 감독자와 전기협력업체의 작업수칙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 ᄂ 전기협력업체는 제거작업이 시작되기 이전에 분리작업이 완료되었음 을 문서로 작성하여 석면제거 감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ᄃ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작업구역 및 마스크 착용지역으로 진입하여 Incorez encapsulant를 사용하여 케이블 표면 의 틈새를 밀봉한다. ᄅ 케이블은 작업이 가능한 부분부터 절단하되, ratchet 케이블 절단기 또 는 110V 유압식 케이블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케이블의 크기에 따라 절단한다. 또한 미세 분사기를 이용하여 반응 억제제(습윤제)를 작업시 에 계속 살포한다. ᄆ 절단된 케이블은 규정에 따라 석면폐기물용 백에 담에 폐기한다. ᄇ 제거된 케이블 주변의 표면은 H-Type 진공흡입기와 Lint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청소해야 한다.
Ⅲ. 연구결과 71 3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4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이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 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 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5 작업의 완료 ᄀ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남 아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ᄂ 모든 폴리에틸렌 Sheet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한다.
7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ⅳ) Cellactite Sheet의 제거 1 사전 준비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지역을 구분하는 띠와 경고표지판을 작 업구역 주변에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구역의 표면은 내연성 폴리에틸렌 sheet를 이용하여 작업 시에 발 생할 수 있는 유독성 먼지나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는 작업구역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ᄅ 작업의 개시 이전에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2 비석면 재질의 천장마감재 제거 ᄀ 2차 천장 마감재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발주처에서 제거하며, 이는 Cellactite 제거를 하기 위한 선행 작업이다. ᄂ 2차 천장에 고정되어 남아있는 배관이 석면 함유물질 Cellactite 제거 작업에 방해 되어서는 안 된다. 3 Cellactite Drainage System의 제거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한 뒤, 마스크 착용지역으로 진입하여 Cellactite를 제거한다. ᄂ 작업시간동안 Incorez의 미세 수증기 분사기를 가동하여 터널 내의 비 산을 조절 및 방지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실시한다. ᄃ Cellactite sheet는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를 잘라내어 풀어낼 수 있다. 각각의 Sheet는 조심스럽게 바닥으로 내려놓은 뒤 1000Gauge 폴리에 틸렌으로 포장 후, 석면폐기물이라는 라벨을 붙인다. Sheet는 5개를 넘지 않도록 묶음을 만들고 역 외부로 반출시 에스컬레이터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ᄅ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본래의 위치에 고정된 배관망을 이용하여 근접 구역의 안정성이 확보하여 제거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Ⅲ. 연구결과 73 ᄆ 비어있는 벽이나 근접한 방으로의 통로에 사용되는 Cellactite Sheet는 reciprocating 톱을 이용하여 같은 높이로 자른다. 또한 미세 분사기를 이용하여 반응 억제제(습윤제)를 작업시에 계속 살포한다. ᄇ 경우에 따라 Cellactite Sheet가 설치된 구역에 장애물이 있어서 작업 을 건너뛰어야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작업방법은 위에 설명한 내 용과 동일하다. ᄉ 절단 작업시에는 극도로 주의하여 근접해있는 어떠한 케이블 및 화재 경보장비에도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서 작업한다. 이는 위급상황 발생시에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잠재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함이다. ᄋ 위의 작업은 모든 Cellactite sheet가 완전하게 제거될 때까지 실시되어 야 한다. ᄌ Cellactite sheet 뒤쪽에서 볼 수 있는 석면 터널 내 코킹재와 관련해서 는 나중에 다루기로 한다. 4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5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이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 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 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7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6 작업의 완료 ᄀ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남 아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ᄂ 모든 폴리에틸렌 Sheet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 한다 ⅴ) 석면 시멘트 패널의 제거 1 사전 준비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지역을 구분하는 띠와 경고표지판을 작 업구역 주변에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구역의 표면은 내연성 폴리에틸렌 sheet를 이용하여 작업 시에 발 생할 수 있는 유독성 먼지나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는 작업구역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ᄅ 작업의 개시 이전에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2 제거 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를 착용한 뒤, 작업구역 및 마스크 착용 구역으로 진입하여 시멘트 패널에 대해 작업 시작 전에 반응 억
Ⅲ. 연구결과 75 제제(습윤제)를 살포한다. 시멘트 패널의 경우 전체적으로 가능한 한 모두를 제거한다. ᄂ 남아있는 볼트는 풀어내거나 잘라내어 패널을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저압 분무장치를 사용하여 석면입자의 비산을 최소화 한다. H-Type 진공흡입기의 경우 각각의 스크류 옆에 위치시켜 처리하지 못하거나 비산될 수 있는 석면 입자를 포집한다. ᄃ 분리한 패널은 조심스럽게 바닥으로 내려놓은 뒤 1000 Gauge 폴리에 틸렌으로 포장하여 석면폐기물로 처리한다. 3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4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이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 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 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5 작업의 완료 ᄀ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남 아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ᄂ 모든 폴리에틸렌 Sheet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 한다
7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ⅵ) 터널 내 코킹재의 Encapsulation 1 사전 준비작업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지역을 구분하는 띠와 경고표지판을 작 업구역 주변에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ᄂ 작업구역의 표면은 내연성 폴리에틸렌 sheet를 이용하여 작업 시에 발 생할 수 있는 유독성 먼지나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해야 한다. ᄃ 모든 수공구는 작업구역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ᄅ 작업의 개시 이전에 감독자는 품질관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2 Encapsulation works ᄀ 석면제거 작업자는 개인 보호 장구 착용 후, 터널 내 연결 부위의 표 면을 Lint free tack cloth 및 H-type 진공흡입기를 사용하여 분진이 없는 상태의 표면으로 만든 뒤 Encapsulant Paint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ᄂ 파손 또는 돌출된 코킹(Caulking) 부위가 보일경우 Encapsulant 작업
Ⅲ. 연구결과 77 이전에 다시 다듬어주어야 한다. ᄃ 청소된 터널 내 연결 부위의 표면에 난연성 액상 플라스틱 페인트로 완벽하게 코팅하여 마무리 한다. 3 석면폐기물의 제거: 제거작업을 통해 발생된 모든 석면폐기물은 2중으 로 비닐 포장을 해서 반출하고, 작업과정 중간에 발생한 각각의 백은 접착테이프를 목 부분에 감아 밀봉한다. 한 작업구역의 석면제거작업이 끝나고 이동할 때에는 폐기물을 마스크 착용지역으로부터 반출하여 가 장 가까운 역 출구에 배치된 폐기물 수송차량에 실어야 한다. 4 미세물질 청소작업: 제거작업이 끝난 뒤에는 모든 표면은 H-Type 진 공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이용하여, 흡입 및 닦아내는 작업 을 거쳐 오염된 먼지 및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코너, 패 인 곳, 선반 및 계단 등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 남아있는 석면 입자나 부스러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5 작업의 완료 ᄀ 마스크 착용지역에서 사용된 모든 장비 및 공구는 회사 차량으로 옮기 기 전에 H-Type 진공 흡입기 및 Line free tack cloth를 사용하여 남 아있을지 모르는 잔재물을 청소, 제거한다. ᄂ 천장 내부의 빈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Chicken wire를 사용하여, 간극 을 메워준다. Chicken wire는 천장에 위치한 배관에 Tying wire를 이 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며, Chicken wire는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9 feet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ᄃ 모든 폴리에틸렌 Sheet는 석면폐기물로 간주하여 폐기 한다
7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ⅶ) 완료 작업 1 각 구역의 작업이 끝나면, 석면제거 감독자는 작업지역에 대한 육안검 사를 실시하여 일반 작업 및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독립적인 분석 자를 통해 육안검사 및 최종 대기검사를 실시한다. 테스트를 통과하면 분석자는 그 지역이 안전하며, 사용이 가능함을 공표하여 마스크 착용 지역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승인해야 한다. 2 석면제거 감독자는 품질관리 완료 체크 리스트를 작성한다. 3 작업이 완료된 지역은 청정지역으로 남게 된다. 라) 제거 작업에 요구되는 작업자, 개인 보호 장구 및 설비 장비 ⅰ) 작업자(노동력) 1 석면제거 업체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인력 2 1인의 석면제거 감독자 3 6인 이상의 석면제거 작업자 4 석면제거 작업자는 2개의 팀으로 나뉘며, 1팀은 1인의 팀장과 1인의 석면제거 작업자, 2팀은 1인의 팀장과 3명의 석면제거 작업자를 둔다.
Ⅲ. 연구결과 79 석면제거 감독자는 이 두 개의 팀을 항상 살펴보아야 한다. 5 협력업체 인원: 발주처의 허가받은 자격 있는 전기 작업자 6 발주처로부터 제공되는 인력: 안전 관리자, 분석 작업자 ⅱ) 오염제거관련 준비(간이시설) 특별한 조건 없이 석면을 제거하는 모든 과정에 걸쳐 석면입자 농도는 0.01f/cm3 이하여야 한다. 지역적인 오염 제거 시에는 마스크 착용지역을 나오기 전에 예방적인 차 원에서 모니터링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을 통해 전체적으로 석면에 대한 진공청소작업을 진행하고, 석면 폐기물을 처리하거나, 석면 제거 시 사용되었던 마스크, 필터 등을 석면폐기물로 처리하는 등의 과정으로 연 결된다. 추가적으로, 한 양동이 분량의 미지근한 비눗물이 마스크 착용지 역에서의 세척에 사용된다. ⅲ) 표지판 및 공고 마스크 착용지역의 표시를 포함한 모든 경고표지는 작업구역 주변에 설 치해야 한다. 표지는 작업구역이 위치한 곳에 출입이 제한된 사람들이 경고나 주의 없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러한 표지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하지만, 필수 사항은 아니다. 1 허가받지 않은 자의 출입을 금함 2 호흡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함 3 안전장비를 모두 착용해야 함 또한, 표지판고 공고 등은 모든 작업구역 및 역 주변에 부착되어야 한다. ⅳ) 마스크 사양 및 타입 마스크 착용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개선작업 기간 동안 사용되는 장비: ORI - Nasal(to EN 140) 석면제거를 위해 맞추어진 P3필터 적용모델
80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폐기물의 제거 작업 시에 사용되는 장비: ORI - Nasal(to EN 140) 석 면제거를 위해 맞추어진 P3필터 적용 모델(선택사항) ⅴ) 개인 보호 장비(PPE) 1 고시인성 조끼 또는 전신덮개(Hi Visibility vest or coveralls)en 471 Class 1 2 전신덮개(Coveralls) 3 마스크(Respirator) 4 장갑(Glove) EN340 EN140 TM3 EN388 5 보호 고글(Eye Protection) EN166 6 안전모(Hard Hat) EN397 7 안전화(Safety Boots) EN345-1 8 귀마개(Ear Protection) EN352 ⅵ) 보호의(Protective Clothing) 폐기가 용이한 폴리에틸렌 또는 Protech SP3 Type 재질의 탄성이 있 는 덮개를 소매 끝, 발목, 머리등에 입는다. 이 때 색상은 다음과 같다. 1 사전 준비작업: 파란색 2 석면의 밀봉 및 제거작업 : 빨간색 폐기가 용이한 Protect SP3 Type인 덮개를 신발 및 장갑에 착용한다. ⅶ) 수공구/이동형 공구 1 빗자루와 쓰레받기 2 소형 분무기(손으로 사용) 3 스크류 드라이버 4 볼트 절단기
Ⅲ. 연구결과 81 5 무선 드릴 6 Allen screw용 스패너 7 일반 스패너 8 수동 케이블 절단기 작업자는 완전하게 공구의 사용에 대해 교육받고, 자격이 있는 사람이 어야 하며, 모든 공구류는 소음이 많은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지 사 전에 검사가 이루어 져야한다. 모든 공구 및 장비류는 작업구역에서 사 용되며, 사용 후에는 H-Type진공흡입기 및 Lint free tack cloth를 사 용하여 마스크착용지역에서 묻어올 수 있는 오염물을 제거해야 한다. ⅷ) 고소작업(Working at height) 고소작업은 기단석에 이동식 비계를 설치하고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계단 및 비계는 메이커의 규정에 따라 교육을 마친 유자격자가 똑 바로 선 상태로 설치해야 한다. 비계는 핸드레일, 발판, 이탈방지용 고리 등이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비계 및 계단은 사용 시에 작업 위치에서 안전한지를 검사하고, 작업도 중에는 이동시킬 수 없다. ⅸ) 접근장비(Access Equipment) 1 이동식 비계탑 2 기단석 ⅹ) 자재(materials) 1 Incorez 2 반응 억제제(습윤제, Suppressant) 3 폴리에틸렌 Sheet 4 보호 테이프(barier tape)
82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5 접착식 은박테이프(foil adhesive tape) 6 개인 보호 장구(PPE) 7 폐기물 자루(마대) 8 Tack rag 9 Chicken wire / wire mesh 10 Tying wire 11 내연성 액상플라스틱 Encapsulant 페인트 이 계약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류는 공인된 기관의 등록 및 제품평가 데이터 가 첨부 되어야 하며, 이는 현장데이터 팩에 보관되어 있어야 한다. 환경 및 건 강, 안전에 따른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작업의 시작 이전에 작업자들에게 숙지 해야 한다.
Ⅲ. 연구결과 83 6) 지하 역사 및 노선의 석면제거 시 대중과의 의사소통 방법 대중과의 의사소통방법: 현재 2007년 크리스마스 휴일 16일 동안, 런던에서 가장 큰 빅토리아 역의 석면제거를 실시할 예정이다. 석면제거는 역사 리모델 링 공사의 일환으로 진행이 되며 이에 관한 간략한 내용은 런던지하철의 홈페 이지와 런던 지하철에서 배포를 목적으로 제작한 브로셔에 포함이 되어 있다. 런던 지하철에서 역사를 폐쇄한 다는 것은 많은 지하철 운행의 문제를 감수하 고 단행하는 어려운 조치로서 이에 따른 재정 손해도 막대하다고 한다. 평균적 으로 지하철 운행을 하지 못함으로써 역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시간당 한화 1 억의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고 한다. 석면제거와 같이 유해 작업을 하는 경우에, 역사의 폐쇄를 결정하는 문제는 안전문제의 요소를 가장 우선시 고려하여 결정 한다. 런던 교통국은 런던 지하철 역사의 폐쇄에 반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 고 있기는 하지만 대개의 경우 석면 전문가들이 안전의 이유로 역사를 폐쇄해 야 한다는 제언을 할 경우 반대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다음의 내용은 런던 지 하철에서 작성한 브로셔에 포함된, 빅토리아역의 리모델링 공사의 일환으로 실 시되는 석면제거 관련 문구를 인용한 것이다. 석면제거 프로그램 안전제일 본 석면제거 작업은 엄격히 통제가 되고 위험요소가 없는 안전한 상황에서, 지하 철의 근로자나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도록 철저한 감독 하에 수행될 것입니 다. 안전한 석면제거의 확인을 위해 빅토리아 역에서는 주기적으로 석면제거가 진 행되는 전체 기간 동안 매일 대기 중 석면입자 모니터링이 실시가 될 것이며 엄격 한 관리감독을 통해 해당 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대부분의 석면제거작업은 역을 폐쇄한 야간에 이루질 것으로 보이나 일부 작업의 경우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장기간의 폐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되는바, 이에 런던 지하철은 몇 가지 대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역의 폐쇄작업 또한 빅토리아 역사의 개선 작업과 맞물려 이미 계획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역사 폐쇄 일 정은 일반 대중들에게 사전에 별도로 공표가 될 것입니다.
84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Ⅲ. 연구결과 85
86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Ⅲ. 연구결과 87 7) 지하역사 근무자에 대한 석면 관련 교육실태 지하철 내의 석면제거 과정에서 작업의 고용주체는 석면제거 작업자들에게 석면의 일반적인 정보, 석면제거과정에 대한 교육, 안전교육 등을 수행 하여야 하며,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석면제거 작업자, 혹은 작업자를 감독하는 관리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1 석면의 특성과 흡연과의 상호작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2 석면을 함유하는 가능성이 높은 물품이나 자재의 유형 3 석면노출을 야기 시키는 작업과 비산최소화를 위한 예방 조치의 중요성 4 안전작업관리, 통제조치, 보호구 5 호흡보호구의 목적, 선택, 한계, 적절한 사용과 유지관리 6 응급 절차 7 위생장비 8 오염제거 절차 9 폐기물 처리 절차 건강검진 대기 중 석면입자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한계점 위에서 언급된 석면 제거과정의 교육은 지하철 내의 석면제거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진행되는 석면제거 작업의 유형에 따라 작업내용이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선택해야 한다. 또 한 지하철 내에 존재하는 석면함유자재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석면입자노출의 가능성과 특징을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88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사례. 지하철 내의 석면제거 작업자에 대한 교육내용 (튜브라인 제공) 가) 교육의 목적 지하철 내에서 석면이 함유된 물질 특히, 일반적으로 마주칠 수 있는 물질들 에 대해 근로자들에게 주지시키고 이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인식교육을 실시한다. 나) 석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석면은 자연 광물질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영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석면은 백석면, 갈석면, 청석면의 세 가지 석면이다. 다) 석면에 대한 역사 및 배경지식 영국에서의 석면은 1950~1980년도 사이 건축자재로 넓게 사용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국민의 건강문제 인식이 증가되어 1969년에 청석면의 사용을 자제하였고, 1985년에 사용 금지되었다. 갈석면이 포함된 자재는 1980년대 초 수입이 멈추었고, 1985년에 청석면과 함께 사용 금지되었으며, 백석면은 시멘 트, 텍스타일, 마찰재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1999년이 되어서야 사용 금지가 되었다. 지하철은 석면의 사용이 금지되기 전에 건축되어 여러 곳에 석면이 함 유된 자재가 사용되었다. 라) 석면의 사용 지하 역사 내, 차량, 차고, 변전실 등에 불연재, 방음재, 절연재, 난연재, 강화 물질로 사용되었다. 마) 석면으로 인한 인체의 위험 지하철 내 석면 입자가 공기 중에 비산되어 있다면, 우리가 숨 쉬는 동안에 석면에 노출되었을 수 있으나, 석면 함유물질의 현재 상태가 손상이 없는 양호 한 상태라면 석면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은 낮다. 석면을 흡입함으로써 걸릴 수
Ⅲ. 연구결과 89 있는 호흡기 관련 질병은 석면폐증, 폐암, 악성 종피종이다. 이 세 가지의 질병 으로 사망하는 세계적으로 연간 3500명 정도가 되며, 석면으로 된 자재가 노후 되면서 석면에 대한 노출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흡연자들은 석면에 관 련된 질병에 대한 위험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 석면에 대한 자세 런던지하철의 관리를 맡고 있는 회사들은 급변하는 법률제정에 따라 2001년 6월에 석면관리 규정 절차서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역사, 차 고, 그 외의 지역에 대해 석면조사를 실시하여, 석면관리를 위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사) 석면함유물질에 의해 피해를 입거나 석면에 노출 되었을 때 취하는 행동 석면제거 작업자는 즉시 작업을 멈추고, 가능한 한 빨리 작업구역에서 벗어 나 담당 책임자에게 알려야 하며, 런던 지하철의 관리를 맡고 있는 관할 관리회 사 컨트롤센터에 긴급연락을 취하여 방재절차가 발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8) 지하 역사에서 공기 중 석면의 농도 석면은 공기 중으로 비산되었을 때 인체에 노출되어 위험해 질 수 있다. 이 러한 이유로 다양한 법률상의 제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석면의 농도는 미리 리터당 입자개수로 측정되고 있다. 대기 중 석면입자 모니터링은 펌프를 가동 하여 석면입자를 포집하고, 포집된 입자를 슬라이드 글라스위에 놓고 솔벤트 (용제)를 이용하여 투명하게 준비하여, 위상차 현미경으로 분석을 하여 석면농 도가 산출된다. 이 방법에서 슬라이드는 분석조건에 따라 개개의 입자가 세어 지게 된다. 모든 입자는 다른 소스로부터 석면입자가 비산되어왔다고 해도 입 자의 개수로 세어진다. 가장 낮은 규정 농도는 0.01f/ml로 알려진 제거 지표 이다. 제거 지표는 합법적인 제거 전에 밀폐된 석면제거 작업 공간 내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