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_ 2_ 3_ 4_
01 158 159
참고 자료 160 161
162 163
02 164 165
참고 자료 166 167
168 169
활 동 지 03 170 171
172 173
활동의 결과이다. 신경 세포와 신경 세포 간에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해 주는 시냅스 활동은 우리 뇌가 새로운 경험을 할 때마다 변한다. 기분 나쁜 경험을 하면 특정한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방법 등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울증은 우울하게 만드는 특정한 경험들을 시냅스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 감소로 뇌에 저장하게 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참고자료 1. 마음의 병은 왜 생길까? 5학년 정신 건강 내 마음을 알아 볼까요? 지도 서에서 마음이 뇌에 있고 신경 세포의 전기 자극에 의해서 마음이 표현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렇다 면 마음의 병은 왜 생길까? 먼저 뇌의 신경 세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 받는지 알아야 한다. 뇌는 많은 신경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시 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감각 기관을 통하여 신체 외부에서 받아들인 정보는 신경 세포에 전기 신호로 전달된다. 신경 세포는 수상 돌기에서 신호 를 받아 신경 세포체를 거쳐 축색을 통하여 다음의 신경 세포로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 세포들은 서로 붙어 있지 않다. 신경 세포와 신경 세포 사이에 작은 틈이 있는데 이것을 시냅스(Synapse) 라고 부른 다. 그러면 어떻게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까? 축색을 지나온 전기 신호는 작은 틈을 뛰어넘어 다음의 신 경 세포에 전달될까? 그럴 수는 없다. 전기 신호가 축색 끝에 오면 화학 물질(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틈에 방출되어 전기 신호를 다음의 신경 세포에 전 달한다. 신경 세포 신경 세포는 크게 신경 세포체, 수상 돌기, 축색으로 되어 있다. 수상 돌기와 축색은 다른 세포에는 없는 신경 세포만의 특징이다. 수상 돌기를 이용해 전기 신 호를 받고 그 신호는 신경 세포체를 거쳐 축색을 따 라 다음 신경 세포에 전달된다. 174 다섯째 마당 정신 건강 서 청소년기 정신 건강은 중요하다. 따라서 [알아보 기 2]에서 제시한 청소년기 정신 건강 위험 신호들 이 나타날 때, 한때의 방황 또는 사춘기 시절의 반항 정도로 받아들이고 그냥 지나치면 안된다. 이럴 때 주위의 관심과 적절한 조치로 정신 건강 문제를 미 리 발견하여 전문적인 지원을 해주어야만 건강한 성 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청소년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잘못된 생각 시냅스 이처럼 신경 세포와 신경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 방식은 전기적 신호 화학적 신호 전기적 신 호 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뇌가 하는 모든 일은 이러한 시냅스 전달 과정에 의해 일어나고 생각, 감 정, 기억, 의지, 판단 등 마음의 작용들은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 세포 덩어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제까지 발견된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 에 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 약 50종류가 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은 마음의 병 과 관련이 있다. 감기처럼 많은 사람이 앓는다고 하여 마음의 감 기 라고 하는 우울증 을 예로 들어 보자. 우울증은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 가 떨어질 때 발생한다. 세로토닌은 마음을 평온하 고 안정되게 해 주고, 노르에피네프린은 기억을 일 깨우고 명료한 의식을 유지하며, 희로애락의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신경전달 물질이 감소하면 평온한 마음이 우울해지고, 명료한 의식이 가라앉으며, 희로애락의 감정이 한쪽으로 치 우쳐 우울증이 생긴다. 그래서 이러한 우울증의 치 료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높여 주 는 약물을 투여하게 된다. 그렇다면 우울증을 일으킨 세로토닌과 노르에피 네프린의 농도를 감소시킨 원인은 무엇일까? 흔히들 경험은 뇌에 기억 이라는 기록을 통해 흔 적을 남긴다고 한다. 그런데 그 기억은 바로 시냅스 2. 질병의 80%는 마음의 병에서 출발 ① 청소년 행동 문제는 청소년기가 지나면 나아진다. 인간에게 생기는 병의 숫자는 16만 3464개가 되 는데 그중 80%가 마음의 병에서 생기는 것이라는 통계가 있다. 신체 외부의 침입자로 인한 질병보다 마음의 병에서 비롯된 질병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이 다. 그렇다면 마음의 병은 우리 신체에 어떻게 영향 을 미치는 것일까? ② 아동기 집중력 장애는 청소년기에 대부분 좋아진다. 슬픔, 분노, 불안, 우울 등 심리적 상태는 우리 몸 의 호흡기계, 심장 혈관계, 위장계, 내분비계 등 자 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자주 분노를 느끼면 심장 박동이나 혈압을 높이게 되어 심장병, 고혈압 등 심장 혈관계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분노 에 대한 대처 노력이 우리 몸에서 일어나게 되지만 그 대처 노력이 분노를 감소시키지 못하면 몸에 병 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 력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면 모든 병에 쉽게 걸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제 몸으로 나타나는 병 은 우리 마음의 상처와 아픔의 반영인 것이다. 3. 청소년의 정신 건강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와 함께 정서적으로도 불 안정한 시기이다. 또한 학업, 교우 관계, 진학, 진로 선택 등 새로운 적응 문제에 당면하면서 정서적 긴 장, 갈등, 좌절, 우울, 불안, 분노, 수줍음, 외로움, 죄책감 등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원만하고 건강한 성장을 하 지만 약 20~30%의 청소년은 심각한 심리적 부적응 을 겪고, 15~20%의 청소년은 정신 건강 문제를 보 인다. 정신 분열병 등 주요 정신 질환은 10대 후반에 주로 발병하고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정신 건강 문제 는 대부분 성인기에도 지속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 ③ 강박관념이나 강박행동은 의지로 조절할 수 있다. ④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겉으로 쉽게 알 수 있다. ⑤ 자해나 자살 의사를 밝히는 청소년은 실행할 가능 성이 적다. ⑥ 시험 불안은 누구에게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 없다. ⑦ 청소년의 학교 거부는 아동기보다 가벼운 문제이다. ⑧ 청소년기의 비행은 친구를 잘못 사귀어서 생긴다. 4. 정신 질환의 치료 정신 질환의 치료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바로 정신 치료와 약물 치료이다. 정신 치료만 받는 경우 도 있고, 두 가지를 함께 받는 경우도 있다. 1) 정신 치료 언어를 주된 치료 매개체로 이용하면서 환자의 각 종 심리 상태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심리 치료, 상 담 치료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2) 약물 치료 당뇨병에 걸리면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투여받듯이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이 증가 또는 감소 하여 나타난 정신 질환에 걸리면 신경 전달 물질을 조절하기 위해 정신과 약을 투여한다. 1950년대까지는 정신 치료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 었으나 60년대 이후 정신 약물학의 괄목할 만한 발 전과 정신 질환의 발생 기전에 관한 연구, 그중에서 도 중추 신경계의 각종 생화학적 변화와 정신 질환 의 관계에 관한 많은 지식을 얻게 됨에 따라 정신 질 환 치료는 약물 치료가 우세하게 됐다. 03. 마음의 병도 치료가 필요해요 175
176 177
04 178 179
참고 자료 180 181
182 183
활 동 지 184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