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E20283535C8A329BCD3C7A5C1F62C20B8F1C2F72C20BCD3C1F6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2 -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pdf

CC 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¾Æµ¿ÇÐ´ë º»¹®.hwp

4-Ç×°ø¿ìÁÖÀ̾߱â¨ç(30-39)

hwp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04 Çмú_±â¼ú±â»ç

111 Hong Eun-ki I. 서론 1 문화재해체수리공사과정에서부휴등의원인에의해서가장많이교체가되는부분은서까래 ( 椽木 ) 로잦은수리를해야하는곳이기도하다. 국보 보물로지정된건축문화재의수리범위 1 를살펴보면, 전체문화재수리범위내에서까래가포함되지않은경우는산자이상해체공사

³»Áö_10-6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¼øâÁö¿ª°úÇÐÀÚ¿ø

exp

2ÀåÀÛ¾÷

김성배 조한솔 이태규 김상섭19-29.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ÃѼŁ1-ÃÖÁ¾Ãâ·Â¿ë2

<B3EBC6AE322E687770>

ad hwp

152*220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 pb61۲õðÀÚÀ̳ʸ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Joints of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AB hwp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레이아웃 1

No Title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¹ßÇ¥¿äÁö

ePapyrus PDF Document

연구노트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01¸é¼öÁ¤

~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pdf..

Microsoft Word - SDSw doc

*Á¦9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µ¶¸³Á¤½Å45È£

CC hwp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SIGIL 완벽입문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7단원 1(252~269)교

CT083001C

°ÇÃà»ç¶û2¿ùÈ£-2»©´Ù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 E687770>

03 ¸ñÂ÷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10월추천dvd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untitled


Á¦190È£(0825).hwp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2014도서목록본문

나하나로 5호

¼Òâ¹Ý¹®Áý¿ø°í.hwp


CONTENTS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

<BBE7BEF7C1D6B9D7C0E5BED6C0CEB5EEBFA1C0B6C0DAC1F6BFF8B1D4C1A4B0EDBDC328BEC8295B325D5FC7D1B1B9C0E5C3D12E687770>

歯이

대체부품 인증제도

(012~031)223교과(교)2-1


목차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2013국제학술대회-내지-최종.cdr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001~006)개념RPM3-2(부속)


1970 년 년 1 월 23 일, 국가기록원 - 제 19 회국전철 (1), pp ,

¾ç¼ºÄÀ-2

Jkafm093.hwp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감사회보 5월

Transcription: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87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정 연 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선임연구원) 주제어 : 보, 도리, 도리받침장혀, 맞춤, 이음, 통장부맞춤, 숭어턱맞춤 1. 서론 우리나라 목조건축물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 여 지어져 왔으며, 현재도 끊임없이 지어지고 있다. 이들 목조건축물은 시대 상황에 적응하 면서 오늘에 이르러 우리나라 건축문화를 형 성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목조건축물의 구조재 중 대표적인 것은 기둥과 보, 그리고 도리와 서까래 등이다. 전통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보는 건물의 골격 을 이루는 중요한 부재로서, 이들 구조재와 기 타 부재 간 결구방법은 건축물의 존립을 위해 서 중요하다. 이들 부재 간 결구방법을 살펴보 는 것은 목조건축물의 구조를 이해하는 첫걸 음이다. 특히 전통목조건축물의 보는 상부 하 중을 기둥에 전달하는데, 상부 하중은 도리를 통하여 보에 전달된다. 도리는 일반적으로 보 목에 맞춤을 하는 동시에 직각 방향의 사선 부재 서까래 하중을 보목에 전달하고, 보와 보 를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대한 연구는 건물의 구조 안정을 위해서 중요하다. 이 논문은 하중 흐름의 절점인 보와 도리 및 기타 부재 간 결구방법을 규명하였다. 그리 고 결구방법의 특징은 부재간 맞춤과 이음 부 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 상은 주로 포작을 짜 올린 조선시대의 궁궐과 사찰 등의 주요 정전 목조건축물로 한하였으 며, 결구는 도리와 보 및 보방향 부재가, 도리 받침장혀와 보 및 보방향 부재가 만나는 부분 의 결구를 다루었다. 부재간 맞춤과 이음은 해 체 수리를 했을 때 확인이 가능하므로, 대상 건물에 대한 자료는 현재 해체 수리한 목조건 물의 해체수리 보고서 자료와 기존의 맞춤과 이음에 연구서를 참조하였다. 1) 1) 맞춤과 이음은 크고 작은 두개 이상의 단일 부재간 결합방법으로 결합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전자는 직교한 부재간, 후자는 같은 방향의 부재간 결합방법이 다. 결구는 목재가 서로 맞춤과 이음으로 짠 짜임새를 말한다. 맞춤과 이음을 확인할 수 있는 수리보고서는 전 체 수리보고서와 부분 수리보고서 등 있으며, 수리작업 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이들 자료를 검토하 여 부재간 맞춤과 이음에 대하여 사전 고찰하였다. 연구 서로서 張 起 仁, 목조 ( 普 成 文 化 社, 1991.)은 현재 장 인들이 사용하는 맞춤과 이음방법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연구논문으로 이연노, 한국전통목조건축의 보에 관한 연구-공포와 지붕틀과의 결구를 중심으로- (고려 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는 포작

88 논문 2. 본론 2-1. 도리와 결구한 보방향 부재 대한 기본 고찰 주심포계 건물 고려시대 주 심포계 건물의 평주 상부는 외 목도리와 주심 도리가 상부 하 중을 아래로 전 <그림 1> 봉정사 극락전 배면 포작 달하는데, 도리 는 보 또는 보방향 부재와 맞춤을 했다. 또한 도리 밑에는 춤이 낮은 단장혀 또는 통장혀가 보와 보방향 부재에 맞춤을 했다. 봉정사 극락전의 대량은 정면과 배면 포작 위에 걸쳐 있는데, 외목도리가 대량목과, 주심 도리가 보 위 주심도리받침재와 맞춤을 했다. 보머리 단면 폭은 수장재 단면 폭과 같고, 보 목의 단면 춤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런 점은 수덕사 대웅전도 같다. 수덕사 대웅전과 부석 사 무량수전은 보가 아닌 포부재가 외목도리 를 받으면서, 봉정사 극락전의 보목처럼 단장 혀와 외목도리가 맞춤을 했다. 이들 건물의 보 와 보방향 포재의 단면 폭은 수장재 폭과 거 의 같다. 단장혀 외에 통장혀가 보목과 맞춤을 한 주심포계 건물도 있다. 과 보와의 관계를 다루면서, 보와 도리의 결구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정연상,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은 기둥상부와 보부분의 맞춤과 이 음에 다루었다. 이들 연구서 외에 한재수ㆍ김창준, 려 말선초 목조건축중심으로 본 전통목조 접합부 구조해석 과 현대화를 위한 기둥 보(창방)접합부의 구조적 거동과 성능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1호 (통 권 205호), 2005. 11)은 맞춤부분의 응력실험을 통하여 구조성능을 분석하였다. 문화재청, 영조규범 조사보고 서 (2006.)는 비례와 결구 사례를 정리하였다. 현재까지 맞춤과 이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각도에 서 접근이 이루어지만, 좀 더 세부적 접근 분석이 필요 다. 다포계 건물 다포계 건물의 주상 포작은 대부분 외목도 리와 주심도리, 내목도리가 상부 하중을 아래 로 전달한다. 도리는 보와 짜였는데, 보 외 별 도 포부재가 도리와 맞춤을 한 예도 있다. 서울 숭례문은 각 층의 지붕 하중이 외목도 리, 내목도리, 중도리, 종도리를 통하여 대량과 종량에 전달되는데, 1층과 2층 평주 상부는 주 심도리 없이 외목도리와 내목도리가 서까래의 하중을 전달하였다. 외목도리는 보와 직접 맞 춤을 하였고, 외목도리 받침 장혀 또한 보목 에 맞춤을 하여 횡방향으로 연 결하였다. 2) <그 림 2> 봉정사 대웅 <그림 2> 서울 숭례문 상층 전의 평주 위 포작 포작은 헛보와 대량, 연결보를 사용하여 외목 도리와 주심도 리, 내목도리를 받도록 했다. <그림 3> 봉정사 대웅전 대웅전의 보는 주상포작 단면도 단면 폭과 춤이 주심포 건물보다 크거나 높다. 외목도리와 외 목도리 받침장혀(통장혀)는 헛보목에 맞춤을, 주심도리는 대량 또는 퇴량에 맞춤을, 내목도 리와 내목도리 받침장혀는 연결보에 맞춤을 했다. 보가 아닌 별도의 부재가 도리를 받는 것은 봉정사 대웅전과 불영사 응진전은 같은 데, 별도 부재의 단면 크기가 다르다. 2) 서울 特 別 市 敎 育 委 員 會, 서울 南 大 門 修 理 報 告 書 (1966.), 58쪽. 이 논문에 사용한 포작의 단면도는 기존 수리보고서의 자료를 인용한 것이다.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89 불영사 응진전 은 살미가 외목 도리와 맞춤을, 대량이 주심도리 와 직접 맞춤을 했다. 도리 밑은 도리받침장혀가 <그림 4> 불영사 응진전 포작 포부재와 대량에 맞춤을 하였다. 외목도리가 포부 재에 맞춤을 한 예는 용문사 대 장전, 창덕궁 돈 화문, 화암사 대 웅전, 통도사 대 <그림 5> 숭림사 보광전 포작 웅전, 불영사 대웅보전 등이 있다. 위의 두 예 외에 별도 포부재를 보머리에 이음을 한 후, 외목도리를 받도록 한 예도 있 다. 불영사 응진전은 보 밑의 포부재가 외목도 리와 짜 맞춤을 하지만, 개심사 대웅전과 숭림 사 응진전은 별도 포부재를 보머리에 이음을 한 후 외목도리와 짜 맞춤을 하였다. 이런 모 습은 주심포계 안성 객사문 평주 상부 결구와 도 같다. 다포계 건물로서 숭림사 보광전 같은 평주 상부 포작 구성방식은 고려 말 조선 초 다포계 건물과 비교해 조선 중기 다포계 건축 의 독특한 특징이다. 3) 다포계 건물의 도리는 보 또는 수장 폭의 포부재와 맞춤을 하고, 도리받침장혀는 단장혀 가 아닌 수장재 폭의 통장혀를 사용하였다. 도 리받침장혀는 도리를 받으며 보에 맞춤을 하 고, 횡방향으로 부재 간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 을 한다. 조선 후기 궁궐 목조건축은 주장첨차 를 사용하여 결속력을 높였다. 4) 3) 이연노, 앞의 논문(2002.), 140쪽. 이 학위논문에는 조 선 중기를 16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반까지로 정의했 다. ㆍ익공계 건물 익공계 건물은 대부분 외목도리와 주심도리 가 상부 하중을 포작에 전달하며, 이들 도리는 보와 맞춤을 하고, 도리받침장혀는 도리를 받 으면서 보와 맞춤을 한다. 이런 결구 모 습은 위에서 고찰한 다포 계의 예와 같 다. <그림 6> 피향정 가구 상세도 초익공계 피향정의 주심도리는 퇴량과 도리 받침장혀와 맞춤을 하였으며, 하중도리 또한 대량과 도리받침장혀와 짜 맞춤을 하였다. 그 리고 상중도리는 종량과 도리받침장혀와 짜 맞춤을 했다. 이들 도리의 결구는 보의 단면 크기의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으로 같다. 이익 공계 경복궁 경회루의 포작을 보면, 보목부분 에는 도리와 보, 도리받침장혀가 맞춤을 하였 다. 도리는 보에 맞춤을 하면서 도리와 도리가 이음을 하였다. 5) 중도리부분의 결구 부재도 주 심도리부분와 같으며, 더 나아가 다른 다포계 건물과도 같다. 다만 차이는 맞춤을 한 세 부 재의 단면 크기가 다르다. 이상 주심포계와 다포계, 익공계 포작의 건 물의 도리는 보방향 부재(보 또는 포부재) 및 도리받침장혀가 짜 맞춤을 하였는데, 다만 이 들 부재의 단면 크기와 형태가 다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도리와 보간 결구방법은 도리와 보 또는 보방향 부재, 도리받침장혀와 보 또는 보방향 부재간 맞춤방식을 고찰하여 규명하고, 4) 정연상, 조선시대 궁궐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에 관 한 연구 ( 건축역사연구 16권 1호(통권50호), 2007. 02), 92쪽. 주장첨차는 통장혀와 같은데, 다만 내ㆍ외면 에 첨차의 모양을 실각하여 기존 건물의 첨차와 같게 처리하였다. 5) 文 化 財 廳, 慶 會 樓 實 測 調 査 및 修 理 工 事 報 告 書 (2000.). <그림 4-137>을 참조함.

90 논문 결구방법의 차이점을 밝혔다. 또한 목조건축물 수리를 통하여 드러난 도리와 보방향 부재 및 도리받침장혀의 맞춤부분 상태, 보목의 단면 춤과 상태를 고찰하여 결구방법의 특징을 정 리하였다. 2-2. 도리와 보방향 부재 간 결구방법 전통 목조건축물의 하중 전달 방식은 분산 된 하중을 집중하중으로, 다시 집중하중을 분 산하중으로 반복하여 전달한다. 하중 전달의 절점인 도리와 보 및 기타 포부재 간 맞춤과 이음방식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도리와 보방향(보 포재)및 도리받침장혀의 맞춤과 이음(수리보고서 참조) 건물명 도리 보 또는 포재 도리+보 도리받침장혀 장혀(단)+보 외목도리(원) 수장폭 대량머리 통장부맞춤 단장혀(업) 반턱맞춤 봉정사극락전 주심도리(원)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단장혀(업) 반턱맞춤 하중도리(각) 주먹장이음 상중도리(원)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단장혀(업) 반턱맞춤 외목도리(원) 수장폭 초방 통장부맞춤 단장혀(업) 반턱맞춤 주심도리(원) 수장폭 우미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수덕사 대웅전 하중도리(원) 수장폭 우미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중도리(원) 수장폭 우미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상중도리(원)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부석사 외목도리(원) 수장폭 초방 통장부맞춤 단장혀(받) 반턱맞춤 무량수전 주심도리(원) 수장폭 계량 통장부맞춤 단장혀(받) 반턱맞춤 외목도리(원) 수장폭 대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부석사 주심도리(원) 수장폭 운공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조사당 중도리(원) 수장폭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외목도리(원) 수장폭 계량 통장부맞춤 단장혀(업) 반턱맞춤 강릉 객사문 주심도리(원) 수장폭 우미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중도리(원)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복원후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외목도리(후)(평)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정수사법당 주심도리(후)(평)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중도리(평)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퇴량(전)(평) 퇴량 주먹장맞춤 통장부맞춤 외목도리(원)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안성 객사 정청 주심도리(원)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중도리(원)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외목도리 헛보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봉정사 주심도리(평) 대량 통장부맞춤 대웅전 내목도리(평) 수장폭 계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중도리(평)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외목도리(평)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서울 주심도리(평) 남대문 내목도리(평) 동자주 통장부맞춤 중도리(평)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 통장부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포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 반턱맞춤 불영사 응진전 주심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내목도리 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외목도리 하앙 통장부맞춤 완주 화암사 주심도리 하앙 통장부맞춤 내목도리 중도리 수장폭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91 건물명 도리 보 또는 포재 도리+보 도리받침장혀 장혀(단)+보 외목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주심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전주객사 정청 하중도리 우미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중도리 중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숭림사 보광전 주심도리 받침재 통장부맞춤 내목도리 중도리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포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정혜사 대웅전 주심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업) 통장부 반턱맞춤 법주사 외목도리(하층) 하퇴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대웅보전 주심도리(하층) 상퇴량 통장부맞춤 외목도리(상층) 퇴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통장부 반턱맞춤 법주사 하중도리(상층)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대웅보전 상중도리(상층)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포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완주 송광사 주심도리 대량 맞댄맞춤 대웅전 하중도리 중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외목도리 수창폭 하퇴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통장부 턱맞춤/반턱 법주사 팔상전 주심도리 상퇴량 통장부맞춤 주먹장맞춤 (1,2,3층) 4층 외목도리 수장폭 퇴량머리 통장부맞춤 주먹장맞춤 4층 주심도리 받침재 통장부맞춤 반턱맞춤 외목도리 퇴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통장부 반턱맞춤 귀신사 주심도리 받침재 통장부맞춤 대적광전 하중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주심도리 받침재 통장부맞춤 금산사 미륵전 3층 외목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3층 주심도리 받침재 통장부맞춤 3층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턷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쌍계사 대웅전 주심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하중도리 중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외목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주심도리 대량 맞댄맞춤 능가사 대웅전 내목도리 하중도리 중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외목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 통장부 반턱맞춤 미황사 응진당 주심도리 수장폭 받침재 통장부맞춤 중도리 수장폭 받침재 통장턱맞춤 통재(업) 반턱맞춤 외목도리 수장폭 단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받턱맞춤 율곡사 대웅전 주심도리 수장폭 받침재 통장부맞춤 내목도리 수장폭 받침재 통장부맞춤 주먹장이음(업) 반턱맞춤 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주심도리 퇴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피향정 하중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92 논문 건물명 도리 보 또는 포재 도리+보 도리받침장혀 장혀(단)+보 신안사 극락전 외목도리 수장폭 포재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전남 풍남문 외목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주먹장맞춤 기림사 중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대적광전 상중도리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통장부 반턱맞춤 외목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통장부 반턱맞춤 주심도리 대량 통장부맞춤 선암사 대웅전 하중도리 중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받) 반턱맞춤 상중도리 1 종량 통장부맞춤 통장부 주먹장맞춤 상중도리 2 종량 통장부맞춤 반턱주먹장이음(업) 통장부 반턱맞춤 하층외목도리 퇴량 숭어턱맞춤 턱장부맞춤(받) 상층외목도리 하퇴량 숭어턱맞춤 턱장부맞춤(받) 근정전 주심도리 수장폭 중퇴량 숭어턱맞춤 내목도리 상퇴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중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상중도리 종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경회루 주심도리 퇴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근정전 회랑 주심도리 종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중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신선원전 적심 주심도리 퇴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주심도리 퇴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경복궁 협길당 하중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상중도리 종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외목도리 대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대한문 주심도리 포부재 통장부맞춤 주먹장맞춤 내목도리 포부재 통장부맞춤 주먹장맞춤 중도리 종량 숭어턱맞춤 통장부맞춤 2-2-1. 통장부맞춤 결구 주심포계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 석사 무량수전과 조사당, 강릉 객사문, 정수사 법당, 안성객사 정청 등의 도리와 보 또는 포 재는 통장부맞춤 결구로 짜였다. 통장부맞춤 결구는 보에 도리의 단면 형태에 따라 도리 장부 홈을 판 후, 도리를 장부 홈에 통장부맞 춤을 하고 도리와 도리가 이음을 한 방법이다. 도리와 도리는 맞댄이음과 나비장이음, 주먹장 이음 등으로 서로를 연결했다. 통장부맞춤 결구는 상부 서까래 하중을 이 용하여 도리를 보목 또는 포재에 결속한다. 이 런 결구는 서까래 하중에 따라 결속력이 변하 므로 외부 하중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그림 7> 봉정사 극락전 대량과 외목 주심도리 간 통장부맞춤 결구 <그림 8> 수덕사 대웅전(상)과 부석사 무량수전(하) 외목ㆍ주심도리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93 못한다. 그리고 건물에 따라 도리와 도리의 이 음은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나비장이음을 하 였으며, 이외에 맞댄이음 또는 주먹장이음을 하여 횡방향으로 결속력을 유지하는데 약하다. 수리 시 도리 이음부를 보면, 횡방향으로 벌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심포계 포작의 통장부맞춤 결구는 보목 또는 포재에 도리와 도리받침장혀의 장부 홈 을 파내므로 도리를 받는 보목과 포재의 단면 춤이 낮고, 보목과 포재의 단면 폭이 수장재 단면 폭과 거의 같아 보목의 유효 단면적이 작다. 따라서 보목은 무리한 하중이 실릴 경우 구조적으로 문재가 된다. 특히 외목도리를 직 접 받는 보목은 맞춤부분의 할렬(터짐)로 구조 적인 취약점을 드러냈다.<그림 7>, <그림 8> 6) 다포계 건물의 도리 또한 주심포계처럼 보 또는 포재와 맞춤을 하였다. 다포계 건물의 보 단면 크기는 주심포계와 달리 수장재 단면 폭 보다 크며, 포재는 수장재 단면 폭과 같다. 다 포계 건물의 도리는 대부분 외목도리와 주심 도리, 내목도리가 있는데, 건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리 밑에는 도리받침장혀가 보 방향 부재에 맞춤을 하였다. 도리받침장혀는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도리받침장혀와 보방향 부재는 통장부맞춤과 주먹장맞춤, 그리 고 반턱맞춤을 했다. 보의 단면적이 수장재보다 큰 숭례문과 봉 정사 대웅전은 주심포계 건물에 비하여 보목 부분의 유효 단면적이 커서 외부하중의 변화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그림 9> 보는 출목 수가 많은 경우 대량재가 필요하 게 된다. 보의 길이를 줄이고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외목도리 이전 출목 선까지 돌출하고, 보머리에 별도 부재를 이어 외목도리를 받거 <그림 9> 서울 숭례문(상)과 봉정사 대웅전(하) 보와 도리의 결구 모습 6) <그림 7>과 <그림 8>, 이하 그림은 본 연구자가 수 리보고서의 내용과 기타 자료를 바탕으로 작도한 것이 다. <그림 10> 숭림사 보광전(상)과 정혜사 대웅 전(하) 도리와 보 및 포부재의 결구 모습

94 논문 나, 보 밑 살미가 외목도리를 받는 예가 있다. 별도 부재와 살미의 단면 크기는 보 단면 크 기보다 작은 수장재 단면 크기와 같다. 따라서 외목도리를 받는 포부재 단면적이 작아 구조 적으로 문제가 되는데, 이런 모습은 주심포건 물과 근본적으로 같다. <그림 10> 옥재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숭어턱맞춤 결구는 도리의 단면 모양대로 보목 전체에 장부 홈을 파지 않고, 보목 중심 에 턱을 만들어 턱맞춤을 하였는데, 이 턱을 숭어턱이라 한다. 숭어턱 폭은 건물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수장재 단면 폭과 같거나 한두 치 크다. 현재 해체 수리 한 건물을 보면, 도 리와 보의 숭어턱맞춤 결구는 통장부맞춤 방 식의 결구로 짜인 예보다 적은 편이며, 시간적 으로 뒤늦게 사용된 방법이다. <표 1>을 보 면, 숭어턱맞춤 결구방법은 주심포계 건물보다 다포계 건물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11> 피향정 도리와 보의 통장부맞춤 결구 모습 익공계열 건물 전주객사 정청과 피향정, 법 주사 팔상전 등의 도리와 보는 통장부맞춤 결구로 짜였다. 단, 차이는 도리와 도리 간 이 음과 도리받침장혀와 보의 맞춤이 다르다. 이 런 모습은 다른 포작의 예들에서도 확인되었 다. 이상 통장부맞춤 결구방법을 살펴보았는데, 이 결구방법은 포작의 유형에 관계없이 조선 후기까지 사용되었다. 주심포계와 다포계, 익공 계 건물의 도리와 보방향 부재 간 통장부맞춤 결구방법은 보방향 부재의 단면 춤이 낮아지 는 구조적 단점을 지녔다. 특히 외목도리를 받 는 부재가 포부재인 주심포계와 다포계 포작 은 단면 폭이 수장 단면 폭과 같고, 춤이 낮아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2-2-2. 숭어턱맞춤 결구 숭어턱맞춤 결구는 다포계 능가사 대웅전에 서 가장 먼저 조사되었고, 이후 궁궐 목조건물 인 다포계 경복궁 근정전, 익공계 경복궁 경회 루와 근정전 회랑, 덕수궁 대한문, 경복궁 집 <그림 12> 능가사 대웅전 대량과 도리의 숭어턱맞춤 결구 모습 <그림 12> 7) 처럼 능가사 대웅전의 외목도리 와 하중도리는 보목과 숭어턱맞춤을 하였고, 도리와 도리는 주먹장이음을 하여 횡방향으로 결속하였다. 외목도리받침장혀는 보목에 통장 부맞춤을 하였다. 그러나 상중도리는 종량목에 통장부맞춤을 했다. 따라서 능가사 대웅전은 전체 도리와 보가 숭어턱맞춤 결구를 하지 않 은 것을 알 수 있다. 대웅전 이전 건물들의 예 를 보면, 대부분 통장부맞춤 결구로 짠 것으로 7) 능가사 대웅전은 1644년 창건 이래로 여러 차례 수 리를 하였는데, 이들 내용은 건물 전체를 일신한 것보다 는 부분적 수리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리로 인한 변형 문제는 이 부분에 한 정된 것이라 아니라 포 작까지도 바꿔야 하므로, 원래 모습을 유지하면서 부분 적으로 수리했다고 본다. 더 나아가 목재를 교체할 경우 기존 결구방법을 유지하면서 바꾸었다고 본다.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95 <그림 13> 경복궁 근정전 상층 퇴량과 외목도리, 주심도리, 내목도리 보아 대웅전을 짓던 시점은 숭어턱맞춤 결구 방법이 점진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 리고 <표 1>을 보면, 숭어턱맞춤 결구는 조선 후기 궁궐목조건축에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 며, 포작의 유형과 무관하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하층 퇴량은 외목도리와 주심도리와, 상층 상ㆍ중ㆍ하 퇴량은 외목도리 와 주심도리, 내목도리와 숭어턱맞춤 결구방법 으로 도리와 보가 결구했다. 특히 중퇴량과 주 심도리도 숭어턱맞춤 방법으로 짰는데, 중퇴량 의 단면 폭이 수장재 단면 폭과 같다. 이런 모 습은 이전 건물들의 수장재 단면 폭 보나 포 부재가 통장부맞춤 결구방법으로 짠 것과 다 른 모습이다. 판대공도 종도리와 숭어턱맞춤 결구를 하였다.<그림 13.> 8) 숭어턱맞춤 결구방법은 보목에 턱이 있기 때문에, 도리와 보목이 만나는 부분에 대한 정 교한 가공이 필요하고, 보 단면 폭이 수장재 단면 폭 이상 될 때 가공이 용이하다. 숭어턱 은 장부 속 도리가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 여 건물 변형을 막으며, 더 나아가 보목 단면 춤을 키워 보목 단면 응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다포계 건물은 보 단면 폭이 수장 재 단면 폭과 같은 주심포계 건물의 보보다 커서 턱을 만들기 용이하다. 8) <그림 13>은 상층부 해체수리 후, 자료를 정리한 보 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도한 것이다. 이 부재는 조선 후기 중창 시 결구방법을 갖고 있다. 숭어턱맞춤 결구를 한 익 공계 건물은 경복궁 경회 루, 경복궁 근 정전 주변 회 랑, 집옥재 영 역의 협길당, 피향정 등이 있으며, 주심 <그림 14> 전주 풍남문 대량과 도리의 숭어턱맞춤 결구 모습 포계는 전주 풍남문 등이 있다. 전주 풍남문은 도리의 단면 형태에 따라 파낸 장부 홈 중심 에 숭어턱을 만들어 숭어턱맞춤 결구를 하였 다. 보목부분 결구는 도리와 보 간 결구방법도 중요하지만, 도리 밑에서 보목에 맞춤을 한 도 리받침장혀 또한 중요하다. 특히 긴 통장혀는 종단면 가구 켜 간 횡방향으로 결속력을 높인 다. 횡방향으로 결속력을 높인 방법은 도리를 직접 보에 주먹장맞춤를 한 한 예가 있는데, 일반적인 예는 아니다. 이상 도리는 서까래의 하중을 이용한 압축 하중으로 부재 간 결속력을 유지하는데, 도리 와 보가 만나는 절점은 유효 단면적을 최대로 크게 하기 위하여 통장부맞춤보다 숭어턱맞춤 결구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결구 방법은 상부의 압축하중을 이용하여 부재 간 결속력을 유지하는 단순한 방법에서 외부 하 중 변화에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결구방 법으로 바뀐 것이다. 또한 숭어턱맞춤 결구방

96 논문 법은 압축하중에 대한 고려에서 횡하중에 대 한 고려에 따라, 도리받침장혀와 보방향 부재 간 맞춤방법도 차이가 있다. 2-3. 도리받침장혀와 보방향 부재 간 결구방법 2-3-1. 반턱맞춤 결구 도리받침장혀는 단장혀와 통장혀가 있는데, 단장혀는 고려시대 주심포계 건물에 쓰였다. 고려시대 주심포계 건물은 단장혀와 보방향 부재가 반턱맞춤을 했으며, 보방향 부재는 보 인 경우와 포부재인 경우로 나뉜다. 이들 부재 는 단면 폭과 춤이 수장재와 거의 같다. 도리 받침장혀가 보목에 반턱맞춤을 할 경우, 앞에 서 언급한 것처럼 보목의 단면 춤이 매우 낮 아지게 된다. 봉정사 극락전처럼 보목의 단면 춤이 52mm정도 밖에 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 에 약하다. 이런 모습은 다른 고려시대 주심포 계 건물에서도 확인되었다. 반턱맞춤을 한 단 장혀가 받을장인 건물은 부석사 무량수전이고, 엎을장인 건물은 봉정사 극락전과 수덕사 대 웅전, 그리고 강릉 객사문과 부석사 조사당이 이에 해당된다. 사 법당, 안성 객사 등이 있으며, 장혀와 장혀 는 보목 위에서 주먹장이음을 했다. 반턱맞춤 을 한 보방향 부재(대량, 퇴량, 포부재 등)의 단면 춤은 2~3치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상부의 무리한 하중이 외목도리에 전달될 경우, 구조 적으로 취약하고 부재 간 결속력이 약하다. 따 라서 위와 같은 외목도리부분의 결구방법은 건립 당시부터 상부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방 법이 아니라 시간이 경과한 후, 상부 하중을 받도록 한 방법이다. 특히 이 부분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될 때, 엎을장 보목보다 받을장 보 목은 장부 홈 아래 표면 할렬이 생겨 부재 간 결속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주심포계 건물의 보목은 하중변화에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보목 부분의 결구방법은 보 목의 단면 춤을 높일 수 있는 결구방법이 필 요하게 된다. <그림 15> 봉정사 극락전의 외목 주심도리와 단장혀의 반턱맞춤 결구 통장혀와 보 및 포부재 간 반턱맞춤 을 한 주심포 예는 부석사 <그림 16> 정수사 법당 배면 조사당, 정수 주상부 도리와 보, 단장혀 <그림 17> 법주사 대웅보전 하층 상ㆍ하 퇴량과 도리의 맞춤 다포계 건물의 통장혀와 보방향 부재 간 반 턱맞춤 결구방법은 외목도리부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다포계 건물의 통장혀는 받을장이 대 부분이다.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보방향 부 재가 엎을장인 것은 출목 선상의 첨차와 장혀 등을 하나로 묶어주는 동시에 상부 하중을 이 용하여 맞춤과 이음부에 압축력을 가하여 결 속력을 강화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고자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97 한 것이다. 다포계 건물 중 보방향 부재가 살 미나 보머리와 이음을 한 별도 부재 또한 엎 을장으로 통장혀와 반턱맞춤을 한다. 통장혀와 보가 맞춤을 한 다포계 건물의 보 밑은 장혀 춤의 1/4 정도를 판 후 반턱맞춤을 하며, 보방 향 부재가 포재인 경우는 절반을 걷어내어 반 턱맞춤을 한다. 이상 반턱맞춤 결구를 한 도리받침장혀는 상부 하중을 이용하여 맞춤과 이음부에 압축 력을 가하여 부재 간 마찰력을 증대시켜고, 장 혀와 장혀가 주먹장이음을 하여 부재 간 결속 력을 높였다. 그러나 장혀와 장혀의 주먹장이 음은 목재의 수축과 할렬로 부재 간 벌어져 초기 의도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2-3-2. 통장부맞춤 결구 도리받침장혀와 보목 간 통장부맞춤 결구는 도리받침장혀가 보목에 통장부맞춤을 하고 상 부의 도리를 받는데, 상부 도리와 보목은 대부 분 통장부맞춤 또는 숭어턱맞춤을 하고 도리 와 도리는 나비장이음이나 맞댄이음을 한다. 통장부맞춤 결구는 봉정사 대웅전과 서울 남 대문, 전주객사 정청 등이 있다.<그림 9> 도리와 중도리도 반턱맞춤 결구를 했다. 도리받침장혀와 보목의 통장부맞춤 결구는 상부 도리 하중만을 이용하여 부재 간 결속력 을 유지한다. 따라서 통장부맞춤 결구는 도리 받침장혀와 보의 수축률이 다르거나 횡방향 인장력이 강할 경우 부재 간 결속력이 반턱맞 춤 결구에 비하여 약하다. 특히 반턱맞춤 결구 는 받을장 도리받침장혀가 도리의 하중뿐만 아니라 보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결속력이 강 하다. 반턱맞춤을 한 도리받침장혀는 주먹장이 음을 하여 횡방향 인장력의 응력으로 작용하 지만, 목재의 수축, 주먹장부가 작아 이음부가 이격된다. 따라서 부재 간 이음은 시공 초 재 역할을 하지만, 이후 재 역할을 못한다. 경복궁 근정전의 도리받침장혀와 보는 횡방 향 결속력이 약한 통장부맞춤 결구를 보완하 고, 보목 단면 춤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한 방 법으로 보와 도리의 하중을 도리받침장혀에 가해 부재 간 결속력을 높인 통장부턱맞춤 결 구를 하였다. 통장부턱맞춤 결구는 먼저 도리 받침장혀가 보목에 통장부맞춤을 한 후, 다시 보 밑에 턱맞춤을 했다. 보 밑의 턱장부 홈은 관통하여 뚫지 않고 살미 좌ㆍ우면까지 파서 통장부턱맞춤을 했다.<그림 19> <그림 18> 전주객사 정청 대량과 도리의 맞춤 익공계 전주객사 정청은 외목도리와 주심도 리 받침장혀가 보목에 통장부맞춤을 했는데, 하중도리, 중중도리, 상중도리는 반턱맞춤을 하 고 주먹장이음을 했다. 봉정사 대웅전의 내목 <그림 19> 경복궁 근정전 상층 하퇴량 턱장부 홈 경복궁 근정전 상층 하퇴량 도리받침장혀의 장부 홈을 보면, 정교한 치목이 이루어질 때 조립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퇴량은 내 외 출 목 첨차와 장혀와 조립을 해야 하고, 뒤초리는 두 개의 산지를 박아 고주에 장부맞춤을 하기

98 논문 때문에 정교한 치목과 조립 시공이 필요하다. 통장부턱맞춤 결구는 반턱맞춤을 하고 주먹장 이음을 한 반턱맞춤 결구에 비하여 부재 간 결속력이 떨어져도, 통장부맞춤을 한 것보다는 결속력이 높다. 그리고 통장부턱맞춤 결구는 상대적으로 보의 단면 춤이 낮은 반턱맞춤 결 구방법의 단점을 줄인 방법이다. 경복궁 근정 전처럼 보와 도리가 숭어턱맞춤 결구방법로 짜였을 경우, 보목의 단면 춤은 한층 높아진다. 2-3-3. 주먹장부맞춤 결구 도리받침장혀와 보방향 부재가 주먹장맞춤 로 결구한 예는 불영사 응진전과 완주 송광사 대웅전과 귀신사 대적광전, 하동 쌍계사 대웅 전, 능가사 대웅전, 법주사 팔상전, 전주 풍남 문 등이 있다. <그림 20> 불영사 응진전 대량과 도리 및 장혀의 맞춤과 이음 불영사 응진전 9) 은 주심도리 받침장혀가 대 량목에, 중도리 받침장혀가 종량목에 주먹장맞 춤을 했다. 외목도리 받침장혀는 4제공 살미와 반턱맞춤을 하였다. 완주 송광사 대웅전은 상 중도리와 하중도리 받침장혀가 종량과 중량목 에 주먹장맞춤을 하였고, 귀신사 대적광전 또 한 상중도리와 하중도리 받침장혀가 종량과 중량목에 주먹장맞춤을 하였다. 하동 쌍계사 9) 불영사 응진전은 1578년 창건이후 여러 차례의 수리 과정을 겪었으며, 마지막 중창 기록은 1843년인데, 어느 정도 변형이 되었는지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 은 응진전은 창건이전과 1843이 후 건물의 결구방법이 다른 점이다. 대웅전은 하중도리 받침장혀와 중량이 주먹장 맞춤, 능가사 대웅전은 상중도리 받침장혀가 종량목에 주먹장맞춤을 하였다. 선암사 대웅전 의 종량 또한 주먹장맞춤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구방법은 반턱맞춤 결구에 비 하여 보목의 단면 춤을 키우는 효과와 횡방향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주먹장 맞춤 결구는 도리받침장혀가 보목 좌ㆍ우측면 에 통장부맞춤을 한 후, 주먹장맞춤을 한다. 대부분 보목의 폭은 수장재 폭과 같아서 좌 우 주먹장부 홈과 보목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먹장부는 길이가 짧아 강한 인 장력이 작용하거나, 목부재의 변형이 생길 경 우 결속력이 쉽게 떨어진다. 주먹장맞춤을 한 보와 도리받침장혀 위 도 리는 보와 통장부맞춤 결구로 짜였다. 즉 주먹 장부맞춤 결구방법은 보와 도리의 숭어턱 결 구방법이 나타나기 전 방법으로, 보목의 춤을 높이며 횡방향 인장력을 고려한 방법이다. 이 런 방법은 목재의 수축과 할렬로 부재간 결속 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보목의 단면 춤 을 유지하면서 시공 상 편리한 방법이다. 현재 많은 전통 장인들은 보와 도리가 만날 때 숭어턱맞춤 결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보목의 단면 춤을 높이고, 숭어턱 폭을 제외한 좌ㆍ우 보목에 주먹장맞춤을 하여 시공의 어 려운 점을 줄였다. 또는 보의 단면 춤이 클 경 우는 보 밑을 일자로 장부 홈을 내에 도리받 침장혀가 보와 반턱맞춤을 하고, 장혀와 장혀 가 주먹장이음을 하여 횡방향 부재 간 결속력 을 높인 결구방법도 사용한다. 3. 결론 이 논문은 조선시대 목조건물의 주요 절점 중 하나인 도리와 보방향 부재 보 또는 포재

조선시대 목조건축 도리와 보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99 가 만나는 부분의 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는 도리와 보방향 부재 보 또는 포재 간 맞춤과 이음방식을 통하여 결구방법을 밝히고, 그 특 징을 정리하였다. 도리와 보방향 부재는 통장 부맞춤 결구와 숭어턱맞춤 결구로 짜였고, 그 리고 도리받침장혀는 보방향 부재와 반턱맞춤 과 통장부맞춤(통장부턱맞춤), 주먹장맞춤 결구 로 짜였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리와 보방향 부재간 통장부맞춤 결 구방법은 一 자의 보목 장부 홈에 도리를 통 장부맞춤 하여, 도리 상부 압축하중을 맞춤과 이음부에 가해 결속력을 유지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보방향 부재의 단면 폭이 수장재 단면 폭과 같은 고려시대 주심포계와 다포계뿐만 아니라 수장재 단면 폭보다 큰 다포계에도 사 용되었다. 특히 보방향 부재의 단면 폭이 수장 재와 같은 경우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둘째, 숭어턱맞춤 결구방법은 보목 좌 우 면 에 도리 단면 형태로 파고, 중앙에 턱을 만들 어 통장부맞춤과 턱맞춤을 한 방법으로, 상부 압축하중을 이용하여 부재 간 결속을 유지하 면서 도리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보목의 단면 춤을 높여 전단력을 높이는 특징 이 있다. 이 결구방법은 보의 단면 폭이 수장재 폭보다 큰 조선 후기 궁궐목조건물의 특징이다. 셋째, 도리받침장혀와 보방향 부재간 반턱맞 춤 결구방법은 보방향 부재의 단면 폭이 수장 재 단면 폭과 같고, 장혀 위 도리와 보방향 부 재가 통장부맞춤을 하여, 보목의 단면 손실이 커 춤이 낮은 단점이 있다. 통장부맞춤 결구방 법은 장혀가 보에 통장부맞춤을 하고, 장혀 위 도리와 보가 통장부맞춤 결구를 하여 도리의 하중만을 이용하여 결속력을 유지한 방법이다. 주먹장맞춤 결구방법은 장혀가 보목에 주먹장 맞춤을 하여 상부 압축하중과 횡방향 인장력 을 고려한 방법이다. 넷째, 도리받침장혀와 보간 통장부반턱맞춤 결구방법은 장혀 위 도리의 하중만을 이용하 지 않고 보의 하중을 이용하여 부재간 결속력 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보목부분은 장혀 위 도리와 보가 숭어턱맞춤을 하여 맞춤과 이음 으로 인한 단면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다섯째, 도리와 보가 만나는 부분의 결구방 법은 상부 하중을 이용하여 부재 간 결속력을 유지한 방법에서 효과적으로 압축하중을 이용 하면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맞 춤부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 을 갖은 방법으로 바뀌었다. 이 논문은 전통 목조건축물의 결구방법 중 일부분에 대하여 연구를 했는데, 정확한 모습 을 확인 못한 건물에 대한 자료가 축적 될 때, 건축물을 지었던 장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 어질 때, 이 연구는 앞으로 일보전진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1. 문화재청,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2006. 2. 이연노, 한국전통목조건축의 보에 관한 연 구-공포와 지붕틀과의 결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 문, 2005. 3. 장기인, 목조, 普 成 文 化 社, 1991. 4. 정연상,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 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5. 한재수ㆍ김창준, 려말선초 목조건축중심으 로 본 전통목조 접합부 구조해석과 현대화 를 위한 기둥 보(창방)접합부의 구조적 거 동과 성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1권 제11호 (통권 205호), 2005. 11 6. 서울 特 別 市 敎 育 委 員 會, 서울 南 大 門 修 理 報 告 書, 1966. 7. 기타 해체수리 보고서.

100 논문 A Study on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at Wooden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 Jung, Yun-Sang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Sungkyunkwan Univ.)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on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at Wooden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1372~1910).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is the technique utilizing tenon joint(통장부맞춤), Sungeoteok joint(숭어턱맞춤), dovetailed tenon joint(주먹장맞춤). And the methods of tenon joint is followed by the Sungeoteok joint, which is used in the buildings after middle Joseon dynasty. The method of tenon joint(통장부맞춤)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 as ' 一 '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장혀, timber under purlin) and beam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 (통장부맞춤). The buildings in lat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dopted the method of tenon joint between purlin and beam. The method of Sungeoteok joint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s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s ' 凸 '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 and beams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통장부맞춤), the method of tenon and step joint(통장부턱맞춤), dovetailed joint between beam and Janghyeo to increase the security of shear force. Keywords : purlins, beams, timber under purlin, joint and splice, Sungeoteok joint tenon j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