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Similar documents
- 2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003report hwp

wtu05_ÃÖÁ¾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_1.hwp


....pdf..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규정집(2015ver11).hwp

CC 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³»Áö_10-6

04 Çмú_±â¼ú±â»ç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DocHdl2OnPREPRESStmpTarget

CR hwp

º»ÀÛ¾÷-1

레이아웃 1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歯이

ÃѼŁ1-ÃÖÁ¾Ãâ·Â¿ë2

[서비스] 1. 오프닝 네트워킹 파티 (전체 공통) (1/13(월) 밤 9시) FAST TRACK ASIA와 CAMP에 대해 소개하고, 3개 코스의 전체 참가자들의 소개 및 네트워킹을 진행합니다. 2. 패스트트랙아시아 파트너 CEO들과의 네트워킹 파티 (전체 공통) (

. 1, 3,,., ICT(),,.. 2 3,.. Player (, ) IT,. 3,...,.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¾Æµ¿ÇÐ´ë º»¹®.hwp

Microsoft 을 열면 깔끔한 사용자 중심의 메뉴 및 레이아웃이 제일 먼저 눈에 띕니다. 또한 은 스마트폰, 테블릿 및 클라우드는 물론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PC 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소와 디바이스에 관계 없이 언제, 어디서나 문서를 확인하고 편집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60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2ÀåÀÛ¾÷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01¸é¼öÁ¤


연구노트

sk....pdf..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피해자식별PDF용 050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152*220

지속가능성보고서-PDF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Best of the Best Benchmark Adobe Digital Index | APAC | 2015

Art & Technology #5: 3D 프린팅 - Art World | 현대자동차




PathEye 공식 블로그 다운로드 받으세요!! 지속적으로 업그래이드 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주시면 개발에 반영하겠 습니다.

hwp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CC 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기사전기산업_41-56

개정판 서문 Prologue 21세기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후배들에게 드립니다 1부 인생의 목표로써 CEO라는 비전을 확고히 하자 2부 인생의 비전을 장기 전략으로 구체화하라 1장 미래 경영환경 이해하기 20p 4장 장기 실행 전략 수립하기 108p 1) 미래 환경분석이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방식으로 공동 작업하고 상호작용하십시오. 여러분은 얼마나 연결되어 있습니까? 이것이 바로 기업이 직원과 사업 파트너, 클라이언트 간의 일관적인 통신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가상 모바일 기업 환경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입니다. 원격 재택 근무를 하는

CC hwp

나하나로 5호

2009_KEEI_연차보고서

제 출 문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문화예술분야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안 연구결과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년 10월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보고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식적인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Jkafm093.hwp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C3D6C1BEC3E2B7C25FB3F3BCF6BBEAB0E1B0FA5F313432C2F72E687770>


Á¦190È£(0825).hwp

data_ hwp

슬라이드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Office 365, FastTrack 4 FastTrack. Tony Striefel FastTrack FastTrack

SG프랜-한남점 지노영수정.QX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ecorp-프로젝트제안서작성실무(양식3)

CSG_keynote_KO copy.key

Vision Mission T F T F T F T

11+12¿ùÈ£-ÃÖÁ¾

±èÆ÷ºÏºÎ¼Ò½ÄÁö-2È£2¼öÁ¤


09³»Áö


03 ¸ñÂ÷

¾ç¼ºÄÀ-2

마켓온_제품소개서_ key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Transcription:

조직 창의성 보고서 2014.01

목 차 Executives Summary 1 스마트워크의 개념 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2 직장인들의 근무 현황 2 Work Diet 4 Mobility Innovation 6 Space Flexibility 6 IT Infra 활용 7 Creativity & Work Weight 9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시사점 10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로의 전환을 위한 제언 11 조사 방법 13 참고문헌 14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본 문서는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가 제공하는 문서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사전 동의 및 허락 없이 문서를 온라인 사이트 및 각종 출판물에 무단 게재, 전재하거나 유포할 수 없습니다

Executives Summary 조사 목적 창의적 혁신 역량이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된 상황에서 기업들은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음. 스마트워 크 는 스마트 기술의 활용과 관습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해 업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일하는 역량과 창조 적 업무 공간을 확보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기업으로 변화하게 해주는 새로운 생산성 혁신 패러다임임. 본 보고서는 기업들이 똑똑하고 창조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의 현황과 향후 변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음. 조사 방법 본 보고서는 KPC CreWISE 스마트 조직 문화 진단 모델을 토대로 2013 년 10 월 16 일부터 11 월 14 일 까지 직장인 437 명으로부터 수집한 표본을 활용해 작성됨.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및 도입 수준 스마트워크 는 스마트 기술의 활용과 관습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해 업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일하는 역 량과 창조적 업무 공간을 확보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기업으로 변화하게 해주는 새로운 생산성 향상 혁신 패러 다임임. 직장인들은 일반적 개념 수준에서 스마트워크를 이해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함. 또한, 절반 이 하의 기업만이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였고,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부분적 도입에 머무르고 있음. 스마트워크 현황 직장인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부족하며, 문서 작성과 회의에 소요되는 노력이 과다하고 업무단절이 발생하는 빈도가 잦음. 업무 중 개인용도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시간이 많아 모바일 및 소셜 기술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함. 영업, R&D, 전략기획 부서의 사무실 외 근무 시간이 많아 업무의 모바일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함. 유연근무제 활용률이 저조하며 중소기업의 경우 활용률이 더욱 낮음. 미이용 이유로는 업무 특성과 상사에 대한 눈치가 절 반 이상을 차지함. 스마트워크의 실행을 위해 직장인들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역량 향상과, BYOD(Bring Your Own Device)를 위한 공식 적인 지원과 통제가 요구됨. 특히, 중소기업은 활용 역량과 공식적 지원 통제 수준이 모두 낮음. 조직 창의성과 WORK WEIGHT 현황 산업 및 경쟁사와 비교하여 기업의 창의적 성과가 높다는 응답은 17.9%에 불과해 조직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우위 확 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절반 이하의 성과를 보이고 있음. 반면, 창의적 문화, 창의성 발휘를 위한 자원 지원, 창의 성과 보상, 자율적 업무 권장 등 창의 환경 수준은 미흡함.

스마트워크의 개념 스마트워크의 등장 배경과 정의 1960 년대의 원가관리에서 2000 년대의 프로세스 혁신까지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쟁 환경에 대응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 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을 추진해왔습니다. 그러나 정보와 지식의 시대를 넘어 창의와 지혜의 시대로 전환 되는 오늘날의 경쟁환경에서는 제품 수명 주기가 극단적으로 짧아지고 있고 R&D 프로젝트 자체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습니 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출시 주기가 2010 년에는 10 개월이었던 반면 2013 년에는 4 개월로 절반 이하로 짧아진 상 황입니다[1]. 이로 인해, 대량 생산 프로세스의 최적화와 원가 절감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혁신활동들은 성과창출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들은 보다 현명하게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로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의 개발과 유연한 환경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 기법을 요구하고 있습 니다. 스마트워크 는 스마트 기술의 활용과 관습 및 제도의 개 선을 통해 업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일하 는 역량과 창조적 업무 공간을 확보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기업으로 변화하게 해주는 새로운 생산성 향상 혁신 패 러다임입니다. 의 제거, 현장중심 업무 수행, 업무 공간 개선, 조직 창의성 개발, 그리고 이의 실행을 위한 제도 ICT 인프라를 구축하여 창의적 성과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전사적 혁신 체계입니다. <그림 1> 스마트워크 추진 범위 스마트워크와 기존 혁신 활동의 차이 업무 자동화, 프로세스 최적화, 경영진의 지시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혁신 기법들은 기계적이고 정형적이며 직원들의 수동적 참여로 인해 혁신 피로도가 높아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스마트워크는 임직원들이 능동적이고 역동적으로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드는 인간 중 심적 혁신 기법으로서,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화 상호협업 을 통해 단순한 기업 경쟁력 확보의 수준을 넘어, 산업에서 우 리 기업만의 독특하고 복제 불가능한 창의적 경쟁 역량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스마트워크에 대한 오해 스마트워크센터의 이용이나 유연근무제의 도입은 스마트워크 의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스마트워크는 불필요한 업무와 관습 <그림 2> 스마트워크와 기존 혁신 기법 비교 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그림 5> 기업 유형별 스마트워크 도입 수준 63.6% 스마트워크에 대해 일반적 개념 이상의 이해를 하고 있는 응답 자는 60.1%로 직장인들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워크의 개념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스마트워 크의 실제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개념, 도입사례, 실행방법에 대한 이해도는 18.4%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 다. <그림 3>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수준 36.5% 22.2% 33.3% 직장인들의 근무 현황 근무 시간 기업의 스마트워크 도입 수준과 관련하여 <그림 4>와 같이 45.6%의 기업이 전사적 또는 부분적으로 스마트워크를 도입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규모에 따른 도입율은 대기업이 63.6%, 중기업이 36.5%, 소기업은 22.2%, 공기업이 33.3%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전사적 수준에서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것은 사실상 대기업들뿐 이며, 중기업은 34.1%가 부분적으로 도입하였고, 소기업의 경 우 도입을 하지 않은 경우가 61.1%에 달합니다. 따라서 대기 업은 스마트워크 추진을 전사적으로 확산시키고, 중소기업과 공공기관은 스마트워크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 다. <그림 4> 스마트워크 도입 수준 근무 시간은 선진국 판단의 주요 기준인 일-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OECD 의 2013 년 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연간 근무시간은 2,090 시간으로 OECD 평균 근무시간인 1,776 시간에 비해 314 시간을 더 근무하고 있으며, 일-삶의 균형은 전체 36 개 조 사 대상 국가 중 33 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2]. 과도한 근무시 간은 기업 입장에서 수당 및 업무 공간의 운영과 관련된 비용을 증가시키고, 임직원 개인의 건강, 안전, 스트레스와 관련된 문 제점들을 유발합니다. 또한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중인 고 용 및 출산율 증대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칩니다. 직장인들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9.1 시간으로 법정근로시간 인 1 일 8 시간보다 1.1 시간을 더 근무하고 있습니다. 하루 평 균 8 시간을 근무하여 일-삶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는 비율은 33.4%에 불과한 반면, 8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다는 비율이 66.6%이고, 12 시간 이상을 근무하는 비율도 7.5%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일-삶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관리자와 사원을 비교할 경우 관리자는 8.9 시간, 사원은 9.3 시간을 근무해 사원들의 평균 근무시간이 약간 더 높습니다. 그 러나 하루 평균 11 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은 관리자가 44.1% 로 사원(41.4%)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그림 6> 직급별 평균 근무 시간 <그림 8> 부서별 평균 근무 시간 전체 33.4% 25.2% 29.9% 4.0% 7.5% 마케팅 전략기획 41.2% 51.4% 58.8% 48.6% 사원 32.9% 27.7% 26.1% 5.2% 8.0% R&D IT 53.8% 55.4% 46.2% 44.6% 사업 57.6% 42.4% 관리자 34.1% 21.8% 35.2% 2.2% 6.7% 회계 61.1% 38.9% 0.0% 20.0% 40.0% 60.0% 80.0% 100.0% 8시간 이하 9시간 10시간 11시간 12시간 이상 생산 영업 62.5% 62.5% 37.5% 37.5% 재무 69.2% 30.8% 조직 유형별 평균 근무 시간의 경우 대기업은 9.6 시간, 중기업 은 9.3 시간, 소기업과 공공기관은 8.9 시간입니다. 대기업과 중기업의 경우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하는 비율이 각각 24.5%, 28.1%로 가장 낮아 일-삶의 불균형이 심합니다. 특히, 대기업 의 경우 10 시간 이상을 근무한다는 응답이 54.3%로 절반을 넘어 일-삶의 불균형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소기업과 공공기관은 법정근무시간 준수 비율이 각각 47.1%, 45.8%로 일-삶의 균형이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림 7> 조직 유형별 평균 근무 시간 인사 76.6% 23.4% 0.0% 20.0% 40.0% 60.0% 80.0% 100.0% 9시간 이하 근무 10시간 이상 근무 근무 시간의 감소를 위해서는 만성적 잔업 및 불필요 업무를 유 발시키는 조직관습을 제거하고 결재/보고 과정에서의 대기 시 간을 최소화 시켜줄 수 있는 업무 모빌리티의 확보가 필요합니 다. 또한 하던 일을 더 열심히 하는 것에서 벗어나 더 현명하게 일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54.3% 대기업 26.4% 21.3% 34.5% 5.7% 12.1% 36.8% 중기업 29.6% 33.6% 26.4% 4.8% 5.6% 34.3% 소기업 45.7% 20.0% 34.3% 29.9% 공공기관 46.8% 23.4% 24.5% 1.1% 4.3% 0.0% 20.0% 40.0% 60.0% 80.0% 100.0% 8시간 이하 9 10 11 12시간 이상 업무 유형별 수행 시간 업무 유형별 수행 비율의 경우 문서작성과 정보검색/수집에 투 입되는 시간이 전체 업무 시간의 52.0%로 절반 가량을 차지하 고 있으며, 검토/의사결정에도 업무시간의 19.7%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회의와 보고를 위해 사용하는 시간 도 28.9%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업무 수행 관습 전반에 대 한 진단과 개선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 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 9> 업무별 수행 비율 10 시간 이상 장시간 근무의 비율은 마케팅(58.8%) 부서가 가 장 높았고, 전략기획(48.6%), R&D(46.2%), IT 부서 (44.6%), 사업 수행/관리(42.4%) 부서의 근무시간도 높은 것 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재무(30.8%)나 인사(23.4%) 부 서는 장시간 근무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부서 유형에 따라 만성적인 잔업 제거를 위한 노력이나 방법의 수준에 차이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서작성 29.7% 정보검색/수집 22.3% 검토/의사결정 19.7% 회의 16.2% 보고 12.7%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3

Work Diet 스마트워크는 불필요한 업무와 관습을 제거하여 기업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 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내 비효율적인 업 무 관습과 저부가가치 업무를 제거하는 Work Diet 가 필수적 입니다. 비효율적인 개인 업무 시간 관리, 회의 진행, 결재/의사 결정, 갑작스런 호출/회의 등은 업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들입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러한 요인들의 현황을 파악 하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관리 역량 스마트워크가 자리잡은 기업에서는 직원 개개인이 자신의 시간 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스스로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하여 여 유 시간을 만들고, 이러한 시간을 창의적인 업무에 투자함으로 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시간관리 역량은 스마트워크를 위한 첫 발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장 인들이 스스로의 시간을 잘 관리하는지 조사한 결과, 잘 관리한 다는 응답은 30.6%에 불과해 시간 관리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업무 전문성의 강화와 함께 개인 일정 및 협업 일정 관리 능력의 배양을 통해 시간 관리 능력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0> 시간 관리 역량 60.0% 52.8% 50.0% 40.0% 30.0% 28.8% 30.6% 20.0% 13.8% 10.0% 1.8% 2.8% 0.0%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않다 직장인들의 업무 단절 수준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36.9%가 업 무 단절을 경험하고 있어 업무단절을 유발시키는 업무관습이 폭넓게 퍼져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중근무시간제 등 의 제도적 장치와 함께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 및 업무용 정보시 스템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알람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영 방 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1> 업무 단절 발생 수준 45.0% 40.0% 38.3% 35.0% 30.0% 30.0% 36.9% 25.0% 21.8% 20.0% 15.0% 10.0% 6.9% 5.0% 3.0% 0.0%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않다 문서 작성 기업에서 문서 작성은 업무 관계자들간의 의사소통 및 정보의 기록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활동이지만, 문서 작성이 지 나치게 빈번하거나 많은 양의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문서 작성 뿐만 아니라 검토와 결재 과정에서도 과도한 노력을 필요로 하 므로 지양해야 합니다. 문서 작성 빈도와 관련하여 월간 6 건 이상의 기획, 제안, 발표 문서를 만드는 비율이 23.6%(<그림 12>), 10 페이지 이상의 문서를 만드는 비율이 21.6%로(<그림 13>)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표 1>과 같이 8.3%의 응답자는 월간 10 페이지 이상의 문서를 6 건 이상 작성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문서 작성 빈도와 분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서 작성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는 1 페이지 기획서 보고서, 문서 및 서식 간소화, 중복 문서의 작성 금지 등이 있습니다. 업무단절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방해로 인해 현재 수행중인 업무에 대한 집중이 방해 받는 업무단절 (Work Interruption)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업무단절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Gloria Mark 에 의하면 직장인들이 업무단절 을 경험한 후 업무집중도가 원래 상태로 회복되기 까지 평균 25 분이 소요되며[3], 협업 관련 전문 컨설팅펌인 Basex 는 업 무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 전체 임금의 28%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4]. 50.0% 40.0% 30.0% 20.0% 10.0% 0.0% <그림 12> 월간 기획, 제안, 발표문서 작성 빈도 42.7% 33.7% 23.6% 1-2건 3-5건 6건 이상 4

<그림 13> 월간 기획, 제안, 발표문서 작성 분량 <그림 15> 회의 1 건당 소요 시간 50.0% 40.0% 30.0% 20.0% 10.0% 0.0% 46.1% 32.3% 21.6% 5페이지 미만 5-9페이지 10페이지 이상 60.0% 50.0% 40.0% 30.0% 20.0% 10.0% 0.0% 49.1% 38.3% 10.3% 2.3% 30분 미만 30분~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미만 2시간 이상 <표 1> 월간 문서 작성 분량 및 빈도 5 페이지 미만 5-9 페이지 10 페이지 이상 전체 1-2 건 25.7% 11.7% 5.3% 42.7% 3-5 건 13.3% 12.4% 8.0% 33.7% 6 건 이상 7.1% 8.3% 8.3% 23.6% 전체 46.1% 32.3% 21.6% 100.0% <표 2> 주간 회의 시간 및 빈도 30 분~ 1 시간~ 2 시간 30 분 미만 1 시간 미만 2 시간 미만 이상 전체 3 회 미만 8.3% 23.4% 11.7% 0.9% 44.3% 3~4 회 1.4% 16.5% 14.4% 0.5% 32.8% 5 회 이상 0.7% 9.2% 12.2% 0.9% 22.9% 전체 10.3% 49.1% 38.3% 2.3% 100.0% 회의 회의는 조직 내 의사소통과 협업을 위하여 꼭 필요하지만 효율 적으로 운영되지 않을 경우 참석자들의 업무 시간을 빼앗고 업 무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회의 시간과 횟 수를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장인들의 회의 참석 현황은 1 주일에 5 회 이상 회의에 참석 하는 비율이 22.9%(<그림 14> 참조), 회의 1 건당 소요시간이 30 분 이상인 비율이 89.7%로(<그림 15> 참조), 회의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습니다. 특히 <표 2>와 같이 1 주일에 5 회 이상 회의에 참석하고 평균 30 분 이상 소요된다는 응답도 22.2%로 나타나 회의 시간과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 활동이 필요합니다. 회의 관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회의 준비, 진행, 정리 단계에 대 해 운영 지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표 3>과 같이 이를 지원하 기 위한 스마트 정보기술을 제공해야 합니다. <표 3> 회의 운영 단계별 스마트 정보기술 활용 단계 스마트 정보기술 준비 공유 스케줄링 시스템: 회의 일정 수립, 준비사항 공지, 회 의실 예약, 예) 구글 캘린더 클라우드 저장소: 회의 자료 사전 공유, 예) 구글 드라이브 진행 페이퍼리스 회의 시스템: 회의 참석자들이 보유한 테블릿 상에서 동일 자료/화면 공유, 공동 노트 작성, 예) 위노트 회의 생산성 계산기: 회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계산 원격회의 시스템: 원격에서의 회의 참석 지원 정리 그룹웨어: 회의록의 저장 및 공유 <그림 14> 주간 회의 빈도 50.0% 40.0% 30.0% 44.3% 32.8% 22.9% 업무 중 개인용도 스마트기기 사용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으로 직원들이 근무 시간 중 개인적인 용도로 메신저나 SNS 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모바 일 메신저나 SNS 의 개인적 용도의 사용은 근무시간을 빼앗을 20.0%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대화를 요청하거나 글을 올릴 때마다 10.0% 알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업무 단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3]. 0.0% 3회 미만 3회~4회 5회 이상 직장인들이 근무시간 중 개인용도로 모바일 메신저와 SNS 를 사용하는 시간은 30 분~1 시간이라는 응답이 33.0%로 가장 많습니다. 또한 1 시간 이상을 사용한다는 응답도 27.7%로 업 무 중 개인 용도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시간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직장 내 모바일 메신저와 SNS 사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의 수립을 통해 사용을 적절하게 통 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5

<그림 16> 근무시간 중 개인용도 모바일 메신저 및 SNS 사용 <그림 18> 부서별 근무시간 20% 초과 사무실 외 근무자 2시간 이상 11.4% 영업 53.1% 46.9% 1-2시간 미만 30-1시간 미만 16.3% 60.7% %% 33.0% R&D 전략기획 생산 69.2% 73.0% 79.2% 30.8% 27.0% 20.8% 10-30분 미만 30.5% 인사 80.9% 19.1% 10분 미만 8.8%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IT 마케팅 사업 81.1% 82.4% 83.1% 18.9% 17.6% 16.9% 업무 비효율 요인 중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으로는 회의 효율화(50.8%)와 문서작성 간소화 표준화(49.0%)를 꼽았습 니다. 또한 보고 결재 효율화와 협업 의사소통 개선이 필요하다 는 응답도 40% 가깝게 나타났습니다. 메신저, SNS, 인터넷의 사적 활용 규제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10.8%로 낮게 나타났지 만, 응답자들이 이러한 서비스를 활용하는 직장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수치는 직장인들 스스로도 자신들의 사용 행태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러 한 결과를 종합할 때 기업들은 업무 관습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7> 개선 필요 업무 관습(상위 2 개 선택) 회의 효율화 50.8% 문서 간소화/표준화 49.0% 보고/결재 효율화 38.7% 회계 83.3% 16.7% 재무 87.5% 12.5% 0.0% 20.0% 40.0% 60.0% 80.0% 100.0% 20% 이하 20% 초과 Mobility Innovation 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어느 장소에서라도 업무를 끊임없 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영업 부서의 경우 스마 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고객 정보 및 영업 내역 확인, 영업 일정 관리, 고객 주문 처리, 재고 및 생산 일정 조회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영업 효율성을 향 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임원 및 관리자들이 외근 중에도 스 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해 경영정보를 확인하고 업무지시와 결재 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현장중심의 경영과 함께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 처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협업/의사소통 개선 인터넷 사적 활용 규제 10.8% 38.4% Space Flexibility Mobility Innovation 사무실 외 근무 비율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체 근무시간 중 20% 이상을 사무실 외 공간에서 근무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영업(46.9%), R&D(30.8%), 전략기획 (27.0%) 부서가 다른 부서들보다 사무실 외 공간에서의 근무 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영업 부서의 경우 다른 부서들에 비해 사무실외 근무 시간이 월등하게 높아 Mobility Innovation 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pace Flexibility 는 물리적인 업무 공간의 개선뿐만 아니라 정 보기술을 활용하여 직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환경에서도 의 사소통과 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사무실에 가득한 각종 서 류들을 제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유연근무제를 통해 임직원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소에서 사무실과 동일하 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삶의 질의 향상 과 함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현장출퇴근제, 출퇴근시간 조정, 재택근무와 같 이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직원 개개인의 삶의 패턴에 따라 근무 장소와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업무를 수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연근무제는 일-삶의 조화를 충족시 6

키면서도 업무 생산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로 주 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의 활용률 및 활용 의도에 대해 23.4%의 응답자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어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높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유연근무제 이용 의도와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55.7%가 유연근무제 도입 시 이용 의도가 있다고 밝 혀 유연근무제 활용에 대한 니즈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림 19> 유연근무제 활용율 및 활용 의도 는 응답이 그 뒤를 이은 반면, 중소기업과 공공기관은 업무 특 성상 적용이 어렵다는 응답이 각각 31.4%와 37.0%로 가장 많고, 상사에 대한 눈치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따라서 대기업 의 경우 유연근무제 활용 시 업무 성과 중심의 평가체계 개선과 함께 관리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변화관리가 우선 되어야 하 며, 중소기업과 공공기관은 개인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연 근무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림 21> 유연근무제 미활용 이유 이미 이용중 이용하겠음 23.4% 55.7% 대기업 8.8% 17.6% 19.1% 22.1% 32.4% 이용하지 않겠음 21.0% 0.0% 10.0% 20.0% 30.0% 40.0% 50.0% 60.0% 중소기업 9.8% 13.7% 23.5% 21.6% 31.4% 조직 유형별로는 대기업의 유연근무제 활용률이 28.4%로 가 장 높으며, 공공기관의 경우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유연근무제 공공기관 7.4% 22.2% 18.5% 14.8% 37.0% 를 권장하는 관계로 활용률이 24.6%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그러나 전반적으로 기업의 규모가 작아질수록 유연근무제의 활 용률이 낮아지고, 이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업무 특성상 적용 어려움 업무 효율성 저하 근무시간 증가 상사에 대한 눈치 평가 불이익 우려 <그림 20> 조직 유형별 유연근무제 활용률 및 활용 의도 대기업 17.3% 28.4% 54.3% IT Infra 활용 18.0%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능력 중기업 24.0% 58.1% 스마트워크를 위한 IT Infra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스 12.8% 소기업 57.4% 29.8% 24.6% 공공기관 54.5% 20.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이미 이용중 이용하겠음 이용하지 않겠음 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입니다. 따라서 본 조 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과 정책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업무에 능숙하게 활용한다는 응답은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이 53.7%로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특히, 대기업에 재직중인 직장인의 활용 수준이 63.8%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43.7%로 약 20%의 차이를 보 여 중소기업의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유연근무제 미이용 이유로는 업무 특성상 적용이 어렵다 활용 교육이 선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28.1%)와 상사에 대한 눈치(27.4%)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 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미이용 이유에 대해서는 조직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상사에 대한 눈치 (32.4%)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고 업무 특성상 적용이 어렵다 7

<그림 22> 스마트 디바이스 업무 활용 능숙도 매우 그렇다 14.2% 53.7% 그렇다 39.5% 보통이다 35.4% 그렇지 않다 8.8% 전혀 그렇지 않다 2.1% 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BYOD 를 허용하지만 특 별한 통제나 지원이 없는 비율이 각각 52.8%와 77.8%로 매 우 높은데, 이는 중소기업의 자원 역량을 고려할 때 BYOD 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한다기 보다 체계적으로 BYOD 관련 정책 과 지원을 제공할 여력이 부족하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합니 다. <그림 25> 기업 규모별 BYOD 정책 및 지원 수준 0.0% 10.0% 20.0% 30.0% 40.0% 50.0% 대기업 17.4% 30.8% 51.7% 중기업 17.3% 52.8% 29.9% <그림 23> 조직 유형별 스마트 디바이스 업무 활용 능숙도 63.8% 소기업 13.9% 77.8% 8.3% 대기업 중소기업 1.6% 5.9% 28.6% 2.0% 10.8% 43.6% 40.8% 36.7% 23.0% 43.7% 7.0% 50.0% 공공기관 29.9% 54.6% 15.5% 0.0% 20.0% 40.0% 60.0% 80.0% 100.0% 허용 안함 허용/지원 및 통제 없음 허용/지원 및 통제 존재 공공기관 3.4% 11.4% 35.2% 41.6% 8.4% 0.0% 20.0% 40.0% 60.0% 80.0% 10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BYOD 개인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는 BYOD(Bring Your Own Device)와 관련하여 BYOD 에 대해 기업의 공식적 인 지원과 통제가 이루어진다는 응답은 33.6%에 불과하며, 46.5%는 허용하지만 공식적인 지원과 통제를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19.9%의 기업은 BYOD 자체를 허용하고 있 지 않습니다. <그림 24> BYOD 정책 및 지원 수준 허용/지원 및 통제 존재 33.6% 허용/지원 및 통제 없음 46.5% 허용 안함 19.9% 0.0% 10.0% 20.0% 30.0% 40.0% 50.0% 조직 유형별로 BYOD 정책과 지원 수준은 큰 차이가 나고 있습 니다. 대기업의 경우 51.7%가 BYOD 에 대한 지원과 통제를 하고 있는 반면 중기업의 경우 29.9%, 소기업의 경우 8.3%, 공공기관은 15.5%만이 BYOD 에 대한 지원과 통제를 하는 것 BYOD 는 스마트 업무 수행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주는 반면, 보 안 유출과 같은 심각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조직 차 원에서의 BYOD 정책 수립과 지원이 시급합니다. 대기업의 경 우 상대적으로 자원이 풍부하여 빠른 기간 내에 정책 및 지원 체계의 수립이 가능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자체적인 역량으 로 BYOD 관리체계의 구축이 어려우므로 별도의 정부지원사업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공기관의 경우 2014 년 부터 내부 업무 시스템과 연동된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이 활성 화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사전에 도입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 습니다. 스마트 기기의 업무 활용 금지는 대기업(17.4%), 공공기관 (29.9%), 중기업(17.3%), 소기업(13.9%)에서 폭넓게 나타 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보안에 대한 우려로 인해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공기관의 경 우 모바일 보안에 대한 정부 규정으로 인해 그 정도가 더 심한 편입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 사용을 무조건 금지시킬 경우 스 마트워크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생산성 향상의 기회를 놓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기업들은 업종의 특성과 부서별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 기기 사용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통제 기술 및 제도 지원 하에서 직원들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영업 업무와 같이 다른 기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성과가 입 증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활용을 넓 혀 나가는 것도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8

BYOD 로 인한 업무 관련 통신비의 지원과 관련하여 업무관련 전화-데이터 사용액 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47.1%로 가장 높고, 월정액 지원도 39.3%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조직 유형에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림 26> BYOD 로 인한 통신비 지원 정책 선호도 업무관련 사용액 47.1% 월정액 지원 39.3% 조직 창의성에 대한 인식 조직 창의성과 관련된 조직 내 환경과 관련하여 창의적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는 응답이 32.7%, 창의적 업무 수행을 위한 자 원(시간, 예산 등)을 지원한다는 응답이 39.8%, 창의적 성과에 대한 보상이 충분하다는 응답이 32.4%, 자율적 업무를 권장한 다는 응답이 38.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창의성을 권장하는 문화가 충분히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창의적 활동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지원 역시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 라서 기업들은 창의적 업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 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워크와 같은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창의적 조직으로의 전환을 추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원 필요 없음 13.6% <그림 27> 창의성을 위한 조직 환경 0.0% 10.0% 20.0% 30.0% 40.0% 50.0% 창의 문화 5.9% 17.4% 43.9% 32.7% 26.1% 6.6% 39.8% 월정액 지원을 선택한 응답자들이 요구하는 지원 금액은 평균 54,500 원 정도이지만, 조직 유형별로 희망액이 최대 10,000 원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 유형별로 BYOD 이용 행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지원금액을 책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표 4> 조직 유형별 지원 희망액 대기업 중기업 소기업 공공기관 희망액 54,000 58,000 48,000 53,000 * 1,000 원 이하 반올림 Creativity & Work Weight CREATIVE ORGANIZATION 과 WORK WEIGHT 의 개념 조직 환경에서 창의성은 어떠한 분야에 대해 새롭고 유용한 아 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직들은 창의적인 아이 디어들의 성공적인 실행을 통해 혁신을 이룰 수 있습니다. 따라 서 조직 창의성은 조직의 혁신을 위한 핵심 원천이라 할 수 있 습니다[5]. Creative Organization 은 다양한 창의성 향상 도 구와 집단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 창의성을 개발하 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Work Weight 는 Work Diet, Mobility Innovation, Space Flexibility 를 통해 확보한 여유 시간과 모바일 및 공간 인프라를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조직 전체의 스마트 역량을 향 상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 스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원 지원 3.0% 13.2% 44.0% 30.5% 9.3% 보상 6.0% 17.5% 44.1% 업무 자율성 3.2% 14.1% 43.9% 32.4% 25.7% 6.7% 38.8% 30.2% 8.6% 0.0% 20.0% 40.0% 60.0% 80.0% 10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창의성에 기반한 WORK WEIGT 성과 산업 내 또는 경쟁 기업과 비교할 때 신제품 서비스나 프로세스 개선과 같은 창의적 성과물의 산출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응답 은 17.9%에 불과한 반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응답은 36.4% 로 부정적 응답의 비율이 더 높아 기업들의 창의적 성과 산출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창의적 성과 의 산출을 통한 산업 내 경쟁우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창의적 성과의 증진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림 28> 창의적 성과물의 산출 수준 50.0% 45.6% 45.0% 40.0% 35.0% 30.0% 26.8% 25.0% 20.0% 15.0% 17.2% 17.9% 9.6% 10.0% 5.0% 0.7% 0.0% 매우 적게 산출 적게 산출 보통 많이 산출 매우 많이 산출 9

조직 유형별 분석 결과 대기업은 창의적 성과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산출된다는 응답이 27.3%인 반면, 중기업은 11.9%, 소 기업은 11.1%, 공공기관은 11.2%로 대기업의 절반 이하의 수준에 머물러 조직 유형에 따른 격차가 매우 큰 상황입니다. 중소기업이 생존을 지속하고 사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대기 업 및 산업 내 경쟁기업과 차별화되는 핵심 역량의 개발이 필수 적입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창의성 개발을 위해 투입할 자원 이 부족하여 창의적 성과물 산출에 필요한 기반 역량을 확보하 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창의 역량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정 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공공기관은 창의경제 기여 를 위해 창의적 성과의 창출이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공공기관 역시 스마트워크 도입을 통해 조직의 창의적 성과를 향상시키 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은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통해 창의적 환경을 강화함으로써 창 의적 성과물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표 5>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성과물간의 상관관계 환경 상관관계 해석 창의적 문화 0.51 0.0~0.1: 거의 관계없음 자원 지원 0.47 0.1~0.2: 약한 상관관계 0.2~0.4: 보통의 상관관계 보상 0.56 0.4~0.6: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 자율적 업무 권장 0.46 0.6~0.8: 강한 상관관계 0.8~1.0: 매우 강한 상관관계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시사점 우리는 스마트하게 일하고 있습니까? 대기업 1.7% 6.3% 25.6% 25.0% 41.5% 스마트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업무와 관습을 제거 하고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업 무와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에 노력을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나 중기업 11.9% 10.3% 24.6% 53.2% 조사 결과 직장인들의 시간 관리 역량이 높지 않고, 업무 단절 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회의 빈도나 소요 시간이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반적으로 근무시간이 길어 일과 삶의 균 소기업 11.1% 13.9% 41.7% 33.3% 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동안 기업들이 지속 적인 혁신을 위한 노력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하게 업 무를 수행하는 역량은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11.2% 공공기관 44.9% 30.6% 13.3% 0.0% 10.0% 20.0% 30.0% 40.0% 50.0% 60.0% 매우 많이 산출 많이 산출 보통 적게 산출 매우 적게 산출 조직 차원의 창의적 환경 조성은 창의적 성과물의 산출과 밀접 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의 창의적 환경(창의 적 문화, 자원 지원, 보상, 자율적 업무 권장)과 창의적 성과물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상관관계 분석은 두 요 인(창의적 환경, 창의적 성과물) 중 어느 한쪽이 증가(감소)할 때 다른 한쪽도 증가(감소)하는 경향이 얼마나 강한지 하는 분 석하는 통계 기법입니다. 상관관계는 -1 ~ +1 의 수치를 가지 는데, 일반적으로 상관관계의 수치가 0.4~0.6 인 경우 두 요인 간에는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합니다[6]. 참고로 기존 연구들에서 ERP 와 Six Sigma 와 같은 혁신 기법과 기업 성과와의 상관관계는 0.15~0.50 정도의 수치를 보이고 있습 니다[7, 8]. 분석결과는 창의적 환경이 창의적 성과물과 최대 0.56 의 비교 적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들 기업들이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역량이 높지 않은 이유 는 그 동안 전사적으로 수행했던 BPR, PI 와 같은 혁신 기법들 이 프로세스의 정형화와 표준화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직원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하더라도 표준 화된 업무 절차를 정보시스템에 반영하면 직원들이 변경된 프 로세스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손 쉽게 실행이 가능하였습니다. 그러나 창의적인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능력이 기업의 핵심 경 쟁력으로 부각된 현재의 경쟁상황에서 기업들은 프로세스 개선 의 수준을 넘어, 직원 개개인이 능동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새로운 제품 서비스의 개발이나 가치 네트워크 의 혁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과 정에서 고객 및 협력사들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과 협업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기업들이 창의성 중심의 경쟁 환경에서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프로세스 개선 관점에서 탈피하여, 임직원 개개인이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간 중 심적이고 능동적이며 역동적인 변화를 지원하는 스마트워크 체 계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10

우리는 창의적으로 일하고 있습니까? 기업들이 변화된 환경에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사업을 확 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조직 창의성의 개발이 필요한 시대가 되 었습니다. 또한, 창조경제를 강조하는 국정 패러다임과 관련하 여 기업들은 새로운 사업의 개발을 통해 국민 가치의 증대와 고 용 창출에 기여할 것을 요구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 보고서 의 분석 결과는 기업들의 창의적 업무 환경과 성과 수준이 이러 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 니다. 기업들이 창의적 조직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몇 가지 편견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직 창의성의 세계적 인 대가인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Teresa M. Amabile 교수는 우리가 조직 환경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오 해를 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5]. 창의성은 특이한 성격이나 괴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조직에서 특정한 행동/제품/아이디어로의 형태로 발현될 수 있음. 창의성은 예술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사업관리부터 과 학적 발견까지 조직 구성원들이 활동하는 모든 영역에서 새 롭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함. 창의성은 단순히 IQ 와 같은 지능으로 대표될 수 없으며, 전 문성, 창의적 스킬, 업무 모티베이션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 합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발현됨. 창의적 결과물은 가치중립적이며,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여 혁신 성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활용 방향을 설정 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활동이 필요함. 즉, 조직 창의성은 모호하고 우연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관리활동을 통해 개발되고 강화 되며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들 이 추진 중인 다양한 혁신 기법들은 조직 창의성의 증대보다 업 무의 단순 효율화와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많으 므로, 조직 창의성 개발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워크를 기업 경쟁 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전사적 혁신 운동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 습니다. 스마트워크가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까? 모든 기업에서 새로운 혁신 기법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 창출이 가능한지의 여부일 것입니다. 스마트워크는 기업의 내부 임직원들과 외부 이해관 계자의 관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 도록 지원하는 혁신 패러다임입니다. 스마트워크는 내부 이해관계자들인 직원들에게 열심히 일하면 서도 삶이 행복할 수 있는 직장을 실현시켜주기 위한 인간중심 적 혁신 도구로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스코, 유한 킴벌리 등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조직들의 사례는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기업과 개인의 업무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과 함께 직원 들의 직장 및 삶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9, 10]. 즉, 기존의 혁신 기법들이 쥐어짜기식 혁신으 로 높은 혁신 피로도를 유발하여 단기적인 성과 창출에 머물렀 던 것에 비하여, 스마트워크는 직원들이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 행하면서도 일과 삶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지 속적인 혁신 성과 창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스마트워크는 고객, 협력사, 공공과 같은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 자들에 대해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로도 유용하 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워크는 기업 모빌리티 확보 및 소셜 미디어 등의 통합적 활용을 통해 기업 외부와의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과 고객 협력 사간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보다 빠르게 고객들의 니 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주고, 양질의 제품 서비스 제공을 위 해 필요한 협력사와의 협력 체계를 강화시켜 줍니다. 또한, 스 마트워크를 통한 신사업 창출은 기업의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유연근무제는 일-삶의 균형에 기여하여 공공에 대한 기업 인식 역시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로의 전환을 위한 제언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단순한 정보기술 도입이나 제도 개선 관 점에서 접근할 경우 소기에 목표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 습니다. 성공적으로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그림 29>와 같이 관습 개혁을 통해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하는 Work Diet,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Mobility Innovation, 지리적 제약에 상관없이 의사소통과 협 업을 가능하게 하고 창의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업무 공간을 구 축하는 Space Flexibility, 기업 전체의 창의적 역량을 증진시키 고 아이디어 창출을 활성화하는 Creative Organization, 단순 한 업무 효율화를 넘어 가치가 높은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새로 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Work Weight, 이러한 모든 것 들의 실행을 뒷받침하는 IT Infra 측면에서 통합적인 전환 프로 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즉, 스마트워크는 전사적인 패러다임 전환 측면에서 접근할 필 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림 30>과 같이 스마트워크 핵 심 성공 요인 및 직원들의 업무 수행 행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 과 더불어, 업무 수행 방식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 11

는 교육 및 집단 워크샵 등의 변화 프로그램이 함께 수행되어야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스마트 혁신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 하기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인 CreWISE(Creative Work Innovation for Smart Enterprise)를 통해 기업들이 똑똑하고 창의적인 기업으로의 전환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 원하고 있습니다. <그림 29>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한 KPC CreWISE 프로그램 <그림 30> CreWISE 추진 체계 12

조사 방법 표본 수집 방법 및 표본의 특성 본 조사는 국내 기업에 재직중인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설문은 2013 년 10 월 16 일부터 11 월 14 일까지 수행되었으며, 설문 웹사이트와 인쇄된 설문지를 병행 활용하여 표본을 수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수집한 유효 표본은 총 437 개이며 표본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6> 표본의 특성 특성 항목 비율 특성 항목 비율 성별 남성 66.1% 직급 관리자 41.9% 여성 33.9% 사원 58.1% 조직유형 대기업 40.3% 부서 전략기획 8.5% 중기업 15.8% 인사 10.8% 소기업 29.1% IT 28.1% 공공기관 22.4% 사업 수행/관리 14.2% 산업 제도 23.4% 재무/회계 7.8% 도매 및 소매 6.4% 영업 7.3% 금융 11.5% 마케팅 3.9% 건설 4.6% R&D 8.9% ICT 19.5% 생산 5.5% 물류 및 운수 2.8% 기타 5.0% 교육 6.0% 근무지 수도권 89.1% 의료 7.8% 수도권 외 10.9% 과학기술 3.7% 문화/방송통신/관광 6.9% 공공 기반 사업 1.4% 기타 6.0% 통계 수치 해석에 대한 유의 사항 본 조사는 표본추출 방식으로 수행되어 보고서에서 제시된 통계 수치는 전체 공공기관의 실제 수치와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통계 수치를 활용할 때에는 표본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계적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표본오차(Sampling Error)는 신뢰수준 95%에서 ±4.7%입니다. 13

참고문헌 1. 매일경제, 스마트폰 출시 속도전, 2013.10.15. 2. OECD. OECD Better Life Index. 2012 [cited 2013 7 November]; Available from: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 3. New York Times, Meet the Life Hackers, 2005. 4. Basex, The Cost of Not Paying Attention: How Interruptions Impact Knowledge Worker Productivity, 2005. 5. Amabile, T.M.,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1996, Harvard Business School. 6. Rea, L.M. and R.A. Parker,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200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 Jenatabadi, H.S., et al., Impact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2013. 8(19): p. 107-121. 8. Chen, Z. and K.H. Tan, The impact of organization ownership structure on JIT implementation and production operation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2013. 33(9): p. 1202-1229. 9. 안전행정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워크 우수사례집, 2013. 10.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워크 우수사례집, 2012. 14

저자 소개 손 정 민 (Son, Jungmin)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IS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에 재직 중이며,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딜로이트컨설팅 등에서 근무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스마트워크, 창조경영 혁신, 애자일, SCRUM, ISP, BPR 등이다. Company Information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 110-751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5 가길 32 생산성빌딩 7 층 Tel 02-724-1208 E-mail jmson@kpc.or.kr Fax 02-724-1225 http://www.kp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