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pdf..

- 2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1정책백서목차(1~18)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Çʸ§-¾÷¹«Æí¶÷.hwp.hwp

Chapter Chapter

감사회보 5월

CR hwp

³»Áö_10-6

만세! 해냈다! 평창 그리고 대한민국의 승리 평창은 세 번째 도전에서 동계스포츠의 본고장으로 불리는 뮌헨, 안시와 경쟁을 펼친 끝에 극적인 승리를 따냈다. 아시아에서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지평(New Horizons) 을 열겠다고 선언한 평창은 명분과 당위성 에서 다른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º»ÀÛ¾÷-1

제4장

Microsoft PowerPoint - 4_평창동계올림픽.ppt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2ÀåÀÛ¾÷

60

전력기술인 7월 내지일

¾Æµ¿ÇÐ´ë º»¹®.hwp

hwp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ROK-WhitePaper(2000).hwp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연합뉴스) 마이더스



ÃѼŁ1-ÃÖÁ¾Ãâ·Â¿ë2

2006¹é¼Ł¹ß°£»ç1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소식지수정본-1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1111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hwp

2.pdf

È޴ϵåA4±â¼Û

01¸é¼öÁ¤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歯이

차례


0904-6부 tta부록


경영학회 내지 최종

유아-주요업무내지(1-3)

나하나로 5호

에너지절약_수정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2013 학년도기성회회계세출예산집행지침 창원대학교 [ 사무국재정과 ]

- 2 - 음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있음. 그러나 국내에서는 바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낮아짐에 따라 지속 적으로 바둑인구가 감소되고 있는바, 세계적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 는 바둑의 지속적인 발전과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강화를 위하여 국 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육계자조금29호편집

권고안 : 을 권고한다. 의안 분석 : 회사는 2011년부터 작년까지 4년 연속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을 예정이다. 재무제표 작성과 이익잉여금의 처분에 특별한 문제점이 보이지 아니하므로 의안에 대해 을 권고한다

#편집인협회보379호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µ¿ºÎ°æ¿µÀÚ-6¿ùÈ£ 8È£š

?

_1.hwp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CONTENTS

ePapyrus PDF Document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О밥촳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 다 ) 제 2014 년도제 3 차정기이사회 : 2014 년 3 월 10 일 07:30 안건통지일 : 2014 년 3 월 7 일 2. 참석여 참석참석참석참석참석참석참석참석참석 ( 자기주식처분 ( 안 )) ( 라 ) 제 2014 년도제 4 차정기이사회 : 2014 년




2019 년도본예산일반회계해남읍 ~ 화원면 세출예산사업명세서 부서 : 해남읍정책 : 해남읍사업경비단위 : 주민자치행정실현 ( 단위 : 천원 ) 부서ㆍ정책ㆍ단위 ( 회계 ) ㆍ세부사업ㆍ편성목 예산액 전년도예산액 비교증감 해남읍 386, ,798 해남읍사업경

2013 <D55C><ACBD><C5F0><BC31><C11C>(<CD5C><C885>).pdf

박 성 배 국가기록원 공업연구사 첨단서고 건립의 필요성 중앙행정기관을 비롯한 각급 공공기관의 의사결정 과 정과 정책시행에 관련된 국가의 주요 기록을 온전히 후세에 전승하기 위한 기록물 보존공간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1999년 제정되어 2000년 발효


hwp

A plan for managing exhibition & education programs in presidential archives 143

Transcription: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발 간 사 2011년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의 IOC총회에서 평창이 제23회 동계올림픽 및 제12회 장애인동계올림픽의 개최지로 결정됨에 따라 드디어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성공개최를 향한 대장정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88서울 올림픽에 이어 한 세대 만에 동계올림픽을 개최함으로써 대한민국 올림픽의 완성을 이루고, 선진국에 진입하면서 상징적으로 개최하는 동계올림픽을 통해 국가브랜드와 이미지, 국격, 국력을 대내외에 과시하게 되었습니다. 개최지 강원도 또한 세계적인 지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전의 일대 전기를 맞이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다시한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한단계 도약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기회는 저절로 주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많은 일들을 준비하고 또 빈틈없이 실행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어쩌면 유치라는 산보다 더 험난한 산을 넘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2 발간사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우선 직접적으로는 대회 개최와 관련한 경기장과 선수촌, 미디어촌 등 대회관련시설과 교통망 등 인프라 건설이 차질 없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리의 문화와 전통을 토대로 한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 참관객에게 최고의 편의와 감동을 주는 숙박 및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 대회운영에 필요한 경기요원, 심판, 자원봉사자를 확보하는 일, 올림픽 개최도시에 걸맞도록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는 일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합니다. 정부, 국회, 강원도, 개최도시,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등 대회준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관과 단체는 물론 언론, 방송, 시민 사회단체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필요합니다. 이 모두가 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를 위해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일들입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에는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성공개최를 향한 대장정의 첫 걸음부터 1년여 간의 준비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대장정에 참여하고 있거나 앞으로 참여할 사람들에게 상당히 유용한 정보자료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본 기록집은 우리의 후세들에게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가 어떻게 시작되어 준비되었고,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는 지를 사실 그대로 전해주는 소중한 역사적 기록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아무쪼록 본 기록집이 동계올림픽대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성공적인 대회를 견인하는 길잡이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13년 9월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 원 장 발간사 3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CONTENTS 발 간 사 2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13 세 번의 도전과 대회유치 성공, 조직위원회 출범...14 1. 2010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14 2. 2014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17 3. 세 번째 도전 그리고 마침내 이루어 낸 평창의 꿈... 19 4.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출범... 23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5 제1장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요 26 제1절 대회 개요...26 제2절 대회 비전 및 목표...29 제3절 대회예산...30 제2장 조직위원회 일반현황 32 제1절 조직구성...32 제2절 사무소 확보 운영...46 제3절 재정현황...50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51 제1장 기획협력 52 제1절 대회준비 지원...52 1. 비전 및 전략수립... 52 2. 주요 업무실행계획 및 로드맵 작성... 56 3. 리스크관리 및 대응... 60 4. 정부 및 자치단체 등 대외협력... 62 5. 위원총회 및 각종 위원회 운영 관리... 73 6. 특별법 및 시행령 제정... 79 7. 올림픽유산으로서 기록정보관리... 83 4 CONTENT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제2절 대회계획 수립...90 1. 대회개최 기본계획(GFP) 수립... 90 2. 올림픽영향연구(OGI) 보고서 작성... 94 3. 지식관리 운영방안... 97 4. 동계스포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 99 제3절 절약, 실질, 효율의 사무처 운영... 103 1. 사무처 인력운영...103 2. 예 결산 및 조세감면 추진...110 제2장 마케팅 113 제1절 마케팅 활동기반 구축... 113 1. 마케팅플랜협약(Marketing Plan Agreement) 체결...113 2. 마케팅플랜(Marketing Plan) 수립...115 3. 올림픽 브랜드보호 추진...118 4. 입장권 프로그램 추진...120 제2절 기념사업 및 연계수익사업 등 추진... 124 1. 라이선싱 프로그램 추진...124 2. 기념사업(주화 및 우표) 추진...127 3. 복권 및 옥외광고 수익금 확보 추진...129 제3장 국제 132 제1절 IOC 협력 추진... 132 1. IOC 및 IPC와의 협력관계 추진...132 2. 런던 2012 올림픽대회 참관 및 디브리핑...142 제2절 국제협력강화... 149 1. 국제기구 초청 행사 참가...149 2. 올림픽 참가자 등록 및 의전서비스 제공준비...153 제4장 문화홍보 156 제1절 문화행사... 156 1. 문화행사전문위원회 구성 운영...156 2. 문화행사 실무협의회 구성 운영...158 3. 대회상징물 개발 : 엠블럼...159 제2절 홍보활동 추진... 161 1. 전략적 홍보활동 추진...161 2. 올림픽 미디어 운영...166 CONTENTS 5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5장 경기 170 제1절 최상의 경기기반 구축... 170 1. 경기운영 종합계획 수립...170 2. 의무서비스 및 반도핑 준비...178 3. 패럴림픽 준비...180 제2절 대회운영 IT 기반 구축... 186 1. IT 시스템 구축 운영...186 2. 올림픽 통신인프라 구축 운영...191 제6장 대회시설 197 제1절 경기장 및 인프라 구축... 197 1. 동계올림픽 경기장 건설추진(시설전문가 포함)...197 2. 경기장 건설기술위원회 운영...204 3. 접근교통망 건설...205 4. 동계올림픽대회 관련 시설 확충...212 5. 경기장 입지 및 주요계획 조정...214 6. 올림픽타운 개발추진...219 7. 친환경올림픽 실현추진...221 8. 친환경적 중봉 활강경기장 건설추진...227 제2절 수송, 숙박 대책... 242 1. 신속, 안전, 편안한 수송종합대책...242 2. 대회패밀리 숙소확보 추진...247 제3편 부록 255 제1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원 및 고문... 256 제2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대회지원위원회... 260 제3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자문위원... 262 제4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전문위원회... 263 제5절 활동 연표... 271 제6절 조직위원장 주요 메세지... 278 제7절 사진으로 보는 조직위원회 활동... 293 6 CONTENT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표목차 <표 1> 동계올림픽 경기종목... 27 <표 2> 동계 장애인올림픽 경기종목... 28 <표 3> 비전 목표 및 실천전략... 29 <표 4> 재정운영계획( 10년 Bid File 기준)... 31 <표 5> 단계별 조직구성 및 주요기능... 33 <표 6> 조직위원회 준비기획단 기구... 34 <표 7> 부서별 업무분장... 34 <표 8> 사무처 직원 정원표 - 출범초기(2011.11.10)... 36 <표 9> 사무처 직제 및 정원 승인 내역(2012.2.8)... 36 <표 10> 부서명칭 변경내역... 37 <표 11> 사무처 정원 변경내역... 38 <표 12> 2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42 <표 13> 3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44 <표 14> 4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45 <표 15> 서울사무소 임차현황... 46 <표 16> 서울사무소 사무공간 이용현황... 47 <표 17> 평창 주사무소 건물임차현황... 48 <표 18> 평창 주사무소 내부 사무공간 조성... 48 <표 19> 단계별 사무소 운영계획... 49 <표 20> 드림팀 선정 비전(안) - 2건... 52 <표 21> 대회기본계획(GFP)에 반영된 비전 및 전략... 53 <표 22> 주요업무 실행과제 현황... 57 <표 23>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체계 구축... 62 <표 24>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 활동기간과 명단... 63 <표 25>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66 <표 26> 기관별 업무협조 내용... 72 <표 27> 조직위원회 위원회별 기능... 74 <표 28> 위원회 운영실적... 76 <표 29> 각종위원회 구성 및 운영근거... 77 <표 30> 전문위원회 구성 현황... 78 <표 31> 동계올림픽 특별법 제정 입법 발의 : 3개 법안... 79 <표 32> 특별법 주요내용 - 8장 92조, 부칙 8조... 80 <표 33> 시행령 주요내용 - 7장 49조, 부칙 2조... 81 CONTENTS 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표 34> 시행령 제정절차... 82 <표 35> 2012년도 기록유형별 생산현황... 85 <표 36> 2010부터 2018 유치위원회 보존기록 현황... 87 <표 37> GFP 작성 분야 및 전문가 현황... 92 <표 38> 지식관리의 목표... 97 <표 39> 지식관리의 4대 추진전략... 98 <표 40> 그간 주요 추진사항... 101 <표 41> 향후 연도별 추진계획... 102 <표 42> 단계별 인력구성계획... 103 <표 43> 인력현황(직제 : 1단장, 1협력관, 2처, 3부, 7팀, 30명)... 104 <표 44> 인력배치현황(2012.1.1)... 105 <표 45> 인력배치현황(2012.12월 말)... 107 <표 46> 미충원 인력현황(2012.12월말)... 108 <표 47> 인력구성현황(중앙정부 18%, 강원 34%, 체육계 등 민간 48%)... 108 <표 48> 2단계 인력배치계획... 109 <표 49> 3단계 인력배치계획... 109 <표 50> 4단계 인력배치계획... 110 <표 51> 2011년도 세입 세출 결산... 111 <표 52> MPA 주요내용... 113 <표 53> 국내 스폰서십 유치 시기... 115 <표 54> 조직위 마케팅 수입목표... 116 <표 55> 향후 주요계획... 122 <표 56> 증량발행 요청 현황... 130 <표 57> 증량발행 추가요청 계획... 130 <표 58> 주요 참석자 현황... 132 <표 59> 주요 참석자 현황... 134 <표 60> 주요 참석자 현황... 135 <표 61> 주요 참석자 현황... 136 <표 62> 주요 참석자 현황... 138 <표 63> 주요 참석자 현황... 140 <표 64> 런던 올림픽 옵저버 프로그램 참가자... 142 <표 65> 런던 패럴림픽 옵저버 프로그램 참가자... 143 <표 66> Agitos재단 주관 기금모금 행사 참석자... 144 <표 67> 2012런던올림픽 디브리핑 참가자... 144 <표 68> 대륙별 NOC 연합총회... 149 8 CONTENT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표 69> IF 주관행사... 150 <표 70> 기타 단체 주관 행사... 150 <표 71> 웹사이트... 168 <표 72> 국내 장애인경기단체 현황... 182 <표 73> 2018평창동계패럴림픽 종목(예정)... 184 <표 74> 2018평창패럴림픽 대회경기운영 예상 소요인력 현황(2012.12.31현재)... 185 <표 75> 경기장 주변 유선망 현황... 194 <표 76> 경기장 주변 무선망 현황... 195 <표 77> 경기장 건설계획... 199 <표 78> 대상사업 현황... 202 <표 79> 원주~강릉 간 철도사업 현황... 206 <표 80> 국도 6, 59호선 현황... 207 <표 81> 정선군 북평면 나전리 ~ 평창군 진부면 진부리(국도 59호선)... 208 <표 82> 경기장 내부도로명 현황... 209 <표 83> 2013년 경기장 접근 교통망 건설계획... 211 <표 84> 거버넌스 구조 및 역할(책임)... 222 <표 85> 환경올림픽 구현, 환경관리 중 장기 로드맵 흐름도... 223 <표 86> 환경영향평가 협의 로드맵 흐름도... 224 <표 87> 특별법 제34조(산림보호법에 관한 특례)... 228 <표 88> 자문위원 현황... 232 <표 89> 대안지역의 활강경기장 부적합 사유... 237 <표 90> 대회수송 종합기본계획 및 운영계획 주요 내용... 245 <표 91> Bid File 대비 숙박시설 조정안(IOC 제출 : 2012. 12. 10)... 252 그림목차 <그림 1> 경기장 및 대회 관련 시설 배치도... 26 <그림 2> 국제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1차 회의 개최... 63 <그림 3> 기록물관리 흐름도... 84 <그림 4> 영상기록물 제작사업 흐름도... 88 <그림 5> 2012런던올림픽 IOC총회... 136 <그림 6> 문화행사전문위원회 회의사진... 157 CONTENTS 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그림 7> 조직위 홈페이지 화면... 162 <그림 8> 홍보동영상화면... 162 <그림 9> 제1차 홍보전문위원회 개최... 162 <그림 10> 2018평창동계올림픽 범국민 다짐대회... 163 <그림 11> 2012년 드림프로그램... 163 <그림 12> 제1차 IOC조정위원회... 163 <그림 13> 원주~강릉 철도 기공식... 163 <그림 14> 조직위원회 강원도 공동 기자회견... 164 <그림 15> 인천공항 고속도로야립광고... 164 <그림 16> 정부종합청사 전광판 광고... 164 <그림 17> 세종솔로이스츠 홍보대사 위촉... 164 <그림 18> 이외수작가 홍보대사 위촉... 164 <그림 19> 제48회 FIS총회 평창홍보부스운영... 165 <그림 20> 2012런던올림픽 평창홍보관 개관식... 165 <그림 21> 런던올림픽 평창홍보관 운영... 165 <그림 22> 런던도심 Harrods백화점 3D영상 광고... 165 <그림 23> 대회준비 기자회견... 167 <그림 24> 경기장 재배치 관련 기자회견... 167 <그림 25> SNS : Facebook, Twitter... 168 <그림 26> 경기 및 의무위원회 개최... 172 <그림 27> IPC 오리엔테이션 세미나... 173 <그림 28> IOC 스포츠 워크숍... 175 <그림 29> 2012년 런던올림픽 공식 옵저버프로그램... 176 <그림 30> 2012 런던패럴림픽 옵저버 프로그램 참가... 183 <그림 31> 하이웍스 시스템... 187 <그림 32> 온나라 시스템... 188 <그림 33>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용역사업 추진과제... 189 <그림 34> 용역에서 제시된 조직위원회 업무시스템 목표 구성도... 189 <그림 35> 올림픽 전화망 구성도... 192 <그림 36> 업무망 구성도... 193 <그림 37> 올림픽 통신망 개념도... 196 <그림 38> 원주~강릉 철도노선도... 207 <그림 39> 노선도... 207 <그림 40> 노선도... 208 <그림 41> 노선도... 209 10 CONTENT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그림 42> 올림픽타운 예정안... 219 <그림 43> 스마트 기상서비스 시스템 구성요건... 225 <그림 44> 표고차가 같더라도 지형에 따라 적합 여부가 달라지는 슬로프 기본조건... 231 <그림 45> 대회수송협력 체계망... 243 <그림 46> 수송(교통)망 네트워크플랜 검토(안)... 244 <그림 47> 연구용역 보고회... 245 <그림 48> 선수 미디어촌 건립예정지 방문... 251 <그림 49> 강릉원주대 기숙사 방문... 251 CONTENTS 11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세 번의 도전과 대회유치 성공, 조직위원회 출범 1. 2010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가. 동계올림픽 유치 꿈의 태동 강원도는 1996년 동계아시아경기대회 유치전에 나선 1993년부터 2002년 또는 2006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강원도에서는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를 비롯한 올림픽 개최지와 예정도시를 방문하는 등 실무검토를 통해 평창의 자연적 조건과 투자여건 등이 올림픽 개최를 위해 손색없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본격적인 유치전은 1998년 3월 6일 강원 남부폐광지역 번영협의회에서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활동 전개방침을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1999년 2월 동계아시안게임 폐막식에서 동계올림픽 유치를 대외에 표명함으로써 2010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하였다. 이때부터 강원도스포츠지원단을 중심으로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에 필요한 실무검토에 본격 착수하였다. 나. 국내 후보도시 신청 2000년 8월 실시한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계획 타당성 조사결과 국가적 측면과 강원도 측면에서 볼 때 동계올림픽 유치가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히 크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강원도는 2000년 10월 24일 정부 및 KOC(대한체육회)에 대회유치를 신청했다. 국가적 측면의 개최 효과 88 서울올림픽에 이은 대한민국 올림픽의 완성 국가적 위상제고와 국민적 단합 자긍심 고취 한민족 대화합의 장 마련을 통한 평화통일 촉진 생산유발 및 관광수입 등 경제적 파급효과 증대 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강원도 측면의 개최효과 각종 교통망 조기확충 등 획기적인 지역발전 도모 관광 활성화를 통한 생산 및 고용창출 증대 효과 남북한 평화와 화합의 장 마련 등 다. 국내 후보도시 결정 2010년 동계올림픽 국내 유치전에는 강원도와 전라북도가 신청서를 제출함에 따라 KOC에서는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선정기준에 따라 현지실사를 거쳐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로 국내후보도시를 선정한다는 입장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양도에 현지실사에 앞서 유치제안서 제출을 요청하고, 전라북도(2001.9.11~9.13)와 강원도(2001.9.14~9.17)에 대한 현지실사를 진행하였다. KOC는 현지실사 후 2001년 11월 16일 태릉선수촌 국제빙상경기장에서 KOC위원 74명 중 70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시위원총회를 개최하여 2010 동계올림픽 후보지로 강원도와 전라북도가 공동개최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공동개최는 전례가 없고 국제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 등이 부각되고 강원도의 강력한 반발과 국내동계종목단체 등의 경기장 집중화 건의가 이어지면서 KOC는 2010년 국내 개최지는 강원도로 하고 2014년은 국제기준을 충족한다는 전제하에 전라북도에 우선권을 준다 는 유치신청 조정결의안을 마련하여 양측이 동의서에 합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강원도가 2010 동계올림픽 국내 단독 후보도시로 결정되었다. 라. IOC 일정에 따른 유치활동과 첫 번째 실패 2010 동계올림픽대회 유치계획이 2002년 1월 29일 개최한 정부의 국제행사심사위원회에서 정식 승인됨에 따라 올림픽헌장 제37조의 규정에 따라 KOC는 2002년 1월 31일 2010 동계올림픽대회 유치 신청서를 IOC에 공식 제출했다. IOC에 대회를 신청한 곳은 평창을 비롯해 사라예보, 하카, 잘츠부르크, 밴쿠버, 하얼빈, 베른, 안도라 등 8개 도시로 치열한 유치전이 전개되었다. 잘츠부르크, 밴쿠버와 함께 후보도시에 선정된 평창은 IOC의 현지실사를 거쳐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제11차 IOC 총회에서 결선투표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을 펼쳤으나, 1차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15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투표에서 51대 40으로 앞섰던 밴쿠버에 결선 2차 투표에서 53대 56으로 3표차의 패배를 당하며 탈락의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평창의 첫 번째 눈물이었다. 2010 유치 일지 1993 96 동계아시아경기대회 유치전에 나서며 2002 및 2006 동계올림픽 유치 검토 1994.1 2006 유치의사 피력 IMF 사태로 무산 1996.3 일본 나가노시 방문, 99아시안게임 준비와 동계올림픽 유치 검토 1998.3 강원 남부폐광지역협의회에서 2010 유치 방침 결정 1999.2.5 동계아시안게임 폐막식에서 2010 유치 대내외 표명 2000.10.24 정부 및 KOC에 2010 대회 유치신청서 제출(무주 2000.8.3 신청) 2000.11 동계올림픽 준비기획단 설치(12명) 2000.12.12 2010 강원도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창립(위원장 도지사, 위원 913명) 2001.3.10~3.13 도민 여론조사 실시(98% 찬성) 2001.8.30 KOC에 제21회 동계올림픽대회 유치제안서 제출 2001.9 KOC에서 강원, 전북 현지실사(전북 9.11~13, 강원 9.14~16) 2001.11.16 임시총회(위원 투표없이 강원 전북 공동개최 결정) 2002.1.29 대회유치 정부승인(국무총리실 국제행사심사위원회) 2002.1.31 평창을 Host City로 KOC에서 IOC에 대회 유치신청 2002.5.21~5.24 강원 전북 동의서 징구(강원도지사, 전북 정무부지사) - 2010은 강원도가 단독 제출하는 것으로 전북이 양보 - 2014년은 IOC 공식시설 기준 충족을 전제로 전북에 우선권 부여 2002.5.29 KOC 임시총회에서 강원도 단독개최 후보지 최종 결정 2002.5.31 IOC에 22개 항의 질의응답서 제출 2002.8.28 IOC에서 공식후보도시 결정(4개도시) - 잘츠부르크, 밴쿠버, 평창, 베른 (이후 주민 반대로 포기 9.7) 2002.11.12 정부 2010년 동계올림픽유치지원위원회 구성(위원장 : 국무총리) 2003.1.10 IOC에 올림픽 신청파일 제출(18개 분야 199개 항목) 2003.2.14~2.17 IOC 조사평가위원회 현지실사(위원장 하이버그) 2003.5.2 조사평가위원회 실사결과 보고서 발표 2003.7.2 체코 프라하 IOC 총회에서 개최도시 결정(밴쿠버 선정) 16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 2014 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가. 국내 후보도시 선정 평창은 2010년 유치활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적으로 재도전 여론이 우호적으로 조성됨에 따라 2014년 도전의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2010 동계올림픽 유치전 당시 KOC의 조정 중재안으로 작성되었던 동의서 문제가 불거지면서 강원도와 전라북도가 또다시 국내 후보도시 선정문제로 맞붙는 사태를 맞게 되었다. 강원도는 동의서의 전제조건인 전라북도의 시설이 IOC의 공식 시설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전라북도에서는 2014년은 무조건 강원도에서 유치를 포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함에 따라 그대로 갈 경우 2010년과 같은 국내 소모전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각계로부터 KOC가 적극적으로 나서 조정을 통해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고, KOC는 국제스키연맹(FIS)을 통해 전라북도의 스키시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전라북도의 시설로는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없다는 결과를 받음에 따라 공식 절차를 거쳐 강원도를 2014 동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하였다. 나. 정부 승인 및 대회 유치 신청 정부는 강원도가 제출한 2014년 제22회 동계올림픽대회 유치계획 승인 신청건에 대하여 국제행사의 유치 개최 등에 관한 규정(국무총리훈령 제459호) 제11조 및 국제행사관리지침에 의거 문화관광부 및 기획예산처의 타당성 검토를 완료하고, 동 규정 제12조, 제15조 및 국제행사관리지침에 의거 2005년 5월 23일 국무조정실 산하 국제행사심사위원회를 개최해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계획을 정식 승인했다. 그리고 2014년 동계올림픽대회 유치계획이 정부 국제행사심사위원회에서 정식 승인됨에 따라 올림픽헌장 규정에 따라 KOC에서는 2005년 7월 21일 IOC에 대회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1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다. IOC 일정에 따른 유치활동과 두 번째 실패 평창은 2010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0조사평가결과, IOC의 권고사항, 역대도시 및 경쟁도시사례, 국내외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최상의 유치전략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 IOC의 현지실사에 대비하였다. 이에 따라 평창은 본선유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6년 9월 발표된 경기장 집중화 계획 에 따라 모든 경기장 시설은 평창을 중심으로 30분 이내에 배치하는 등 신청도시단계와 차별화된 전략으로 계획을 수정하였다. 이에 따라 원주시와 횡성군이 개최도시에서 제외되었으나 양 지역의 주민들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이해와 양보를 해줌에 따라 보다 경쟁력 있는 유치전략으로 IOC의 실사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2월 14일부터 2월 16일까지 실시된 IOC의 현지실사 결과 전체적으로 2010보다 발전된 계획과 시스템을 보여주었다는 평가와 함께 PT 등에 대한 만족감을 보여 개최지 결정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그러나 2007년 7월 4일 과테말라에서 열린 제119차 IOC 총회에서 평창은 1차 투표에서 소치에 36대 34로 앞섰으나 이어 실시된 2차 결선 투표에서 47대 51로 4표 차로 패배 함으로써 다시 한 번 탈락의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평창의 두 번째 눈물이었다. 2014 유치일지 2004.12.28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제안서 제출(강원도 KOC) 2004.12.30 강원도 평창 국내 후보도시 최종 선정 2005.3.31 2014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창립총회 개최(위원장 : 한승수, 집 행위원장 : 김진선) 2005.5.23 대회유치 정부 공식승인(국제행사 심사위원회) 2005.7.21 IOC에 대회유치 신청서 제출 2005.10.26 2014 동계올림픽 신청도시 공식순서 및 평가기준 결정(IOC 집행위) 2006.1.26 IOC에 질의응답서(8개 분야 25개 항목) 제출 2006.3.2 국회 2014 평창동계올림픽유치지원 특별위원회 구성(위원장 : 유재건) 2006.6.22 2014 동계올림픽 후보도시 선정(IOC집행위원회) - 평창, 잘츠부르크, 소치 2006.7.21 강원도의회 2014 평창동계올림픽유치지원특별위원회 구성(위원장 : 이인섭) 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006.9.11 경기장 컨셉 조정계획 발표(2개 클러스터에 집중배치) 2007.1.9 IOC에 후보도시 파일 제출(17개 주제 234개 항목) 2007.2.14~2.16 IOC 조사평가위원회 현지실사 2007.6.4 IOC 조사평가위원회 공식 평가보고서 발표 2007.7.5 과테말라 제119차 IOC 총회에서 개최도시 결정(소치 선정) 3. 세 번째 도전 그리고 마침내 이루어 낸 평창의 꿈 가. 세 번째 도전 선언 20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실패 이후 재도전 문제가 강원도는 물론 전국적인 이슈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당시 김진선 강원도지사는 2007년 9월 3일 재도전을 공식 선언하고, 2008년 6월 26일 강원도의회가 유치동의안을 의결하면서 KOC에 국내 후보지 신청을 위한 조건을 갖추게 되었다. 평창의 세 번째 도전을 선언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국제적 역학 관계상 평창의 차기 개최지 선정 전망이 밝다는 점 그동안 인프라 확충, 드림프로그램 운영 등 IOC와 약속했던 사항의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국제적인 신뢰가 높아졌다는 점 두 차례 도전에서 얻은 성과가 2018년 유치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소중한 자산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 3차 도전의 결과가 불확실하다거나 새로운 강한 경쟁상대를 우려해 포기하거나 멈춘다면 그동안 쌓아온 엄청난 자산을 사장시키고, 앞으로 동계올림픽 개최 기회를 영원히 얻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 올림픽을 유치하고자 했던 분명한 당위와 목표가 살아있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에서 망설이거나 포기할 이유가 없다는 점 등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1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나. 국내 후보도시 선정 평창의 동계올림픽 도전 역사를 보면 국제 경쟁보다 국내경쟁이 더 치열하게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OC는 2009년 4월 중 상임위원회와 총회를 열어 단독 신청한 평창을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할 계획이었으나, 부산이라는 예기치 않은 변수가 등장하면서 또다시 국내 경쟁의 소모전을 펼치게 된다.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계획하고 있던 부산시가 동계올림픽과 하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와 유치 가능성 비교 필요성, 강원도만 12년간 국제대회 유치권을 독점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점 등을 들어 동계올림픽 국내후보지 선정을 7월 31일까지 연기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동계올림픽 유치 일정이 촉박한 상황에서 부산시의 주장을 수용할 경우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강하게 반발했으나 KOC는 부산에도 프레젠테이션 기회를 주기로 하여 2009년 4월 23일 상임위원 및 올림픽 종목위원 43명이 참가한 KOC 위원총회에서 무기명 비밀투표를 실시, 찬성 30, 반대 13으로 2018 동계올림픽 국내후보도시로 평창을 최종 선정했다. 다. 정부 승인 및 대회 유치신청 2009년 4월 30일 KOC는 평창동계올림픽 국내후보도시 선정과 동시에 문화체육관광부에 2018 대회유치 정부승인을 공식 신청했고 정부는 평창, 강릉, 정선 등 대회 개최예정지에 대한 현장실사 등의 절차를 마치고 6월 19일 국제행사심사위원회를 열어 최종적으로 정부승인을 의결했다. 그리고 2009년 9월 24일 IOC에 대회유치신청서를 공식제출함에 따라 본격적인 2018 동계올림픽 유치전에 뛰어들게 되었다. 라. IOC 일정에 따른 유치활동과 마침내 이룬 꿈 평창은 부산의 2020년 하계올림픽 도전 변수 등으로 국내후보지 선정이 늦어지면서 경쟁도시들에 비해 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당시 강력한 후보로 거론된 독일 뮌헨은 IOC 부위원장이면서 차기 IOC 위원장으로 20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거론되는 토마스 바흐를 위원장으로 내세우고 전설적인 피겨스타 카타리나 비트, 정부와 글로벌 기업 등의 지원을 등에 업고 유치전에 제일 먼저 나섰다. 프랑스 안시는 IOC 국제위원장을 지낸 거물급 IOC 위원인 드뤼와 막강한 외교력을 바탕으로 한 사르코지 대통령의 지원, 글로벌 기업과 스타급 선수들의 지원 하에 유치활동에 나섰다. 평창은 이들 두 도시에 비해 IOC 내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거물급 인사가 없다는 것이 최대 약점으로 지적되면서, 2009년 12월 29일 이건희 IOC 위원의 사면을 통해 국제 유치활동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0년 2월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선수단의 선전이 이어지면서 평창의 유치 분위기가 좋아지기 시작했다. 평창은 2010년과 2014년보다 더욱 컴팩트해진 경기장 컨셉을 바탕으로 동계올림픽의 새로운 비전을 연다는 의미로 New Horizons 를 유치위원회 슬로건으로 정하고 IOC 위원별 맞춤형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 등 공격적인 유치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평창 현지실사와 로잔테크니컬 브리핑 등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평창은 2011년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제123차 IOC 총회에서 1차 투표결과 평창 63표, 뮌헨 25표, 안시 7표라는 압도적인 표차로 드디어 3번의 도전 끝에 2018 동계올림픽 유치라는 대업을 이루게 되었다. 마. 평창의 유치성공 요인 평창이 세 번의 도전 끝에 승리의 결실을 볼 수 있었던 것은 어떤 특정인의 노력이나 총회 당시 프레젠테이션의 성공 때문만이 아니라 그동안 쌓아온 신뢰와 노력, 온 국민의 하나 된 성원과 지지가 이끌어 낸 종합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평창 승리의 중요한 몇 가지 성공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창은 두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을 비롯한 올림픽 관련 시설에 대한 꾸준한 투자, 교통인프라 확충, 드림프로그램 추진 등 IOC와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해 온 점을 IOC 위원들에게 체계적으로 설득하고 이것을 세계가 인정하고 평창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 올림픽은 개최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세계 어느 대륙, 어느 나라든지 고루 기회를 주는 것이 맞다는 평창의 강한 논리와 주장이 IOC에 통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1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셋째, 대통령을 중심으로 정부, 국회, 유치위원회, 강원도, 개최지 시군,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재계 등 각계각층의 전방위적인 유치활동이 승리의 큰 힘이 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넷째, 지난 10여 년간 92%에 달하는 국민들의 한결같은 유치 열망과 지지가 경쟁도시를 압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섯째, 동계스포츠 저변 확산을 위한 노력과 함께 2010 밴쿠버 올림픽에서의 한국 선수단의 쾌거, 2018평창의 슬로건인 New Horizons 를 아시아 대륙의 동계스포츠 확산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이해시킨 것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알펜시아는 관광 휴양패턴의 변화에 따른 명품리조트 건설필요성과 동계올림픽 경쟁력 제고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조성한 시설로 2004년 3월부터 시작되어 2010년 7월에 완공되었으며,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바. 동계올림픽 성공개최의 의미 우선,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함으로써 한국은 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월드컵축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라는 세계 스포츠 이벤트의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다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는 점과 함께 88 서울올림픽에 이은 대한민국 올림픽의 완성이라는 의미가 있다. 두 번째로 2018년도가 되면 우리나라가 소득 3만불 시대를 넘어서면서 명실공히 선진국으로 접어들게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런 면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은 국가이미지, 위상, 국격, 국력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선진국가로서의 상징적인 이벤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 번째로 K-POP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상품브랜드 가치와 수출경쟁력이 높아졌듯이 브랜드 파워라는 측면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이 갖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보고 있다. 네 번째로 우리 대한민국이 발전하려면 국민통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동계올림픽이 국민들의 에너지를 결집하여 생산적으로 분출되도록 하는데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8 유치일지 2007.9.3 강원도지사 재도전 공식 선언 2008.6.26 강원도의회 유치동의안 의결 2009.4.23 국내 후보도시 최종 선정(KOC 총회) 22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009.6.19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 정부 승인 2010.3.10 신청도시파일 IOC 제출 서명식 및 기자회견 개최 2011.1.6 후보도시파일 제출(17개 주제 212개 세부항목) 2011.2.14~2.17 IOC 조사평가위원회 현지실사(위원장 : 린드버그) 2011.5.10 IOC 조사평가위원회 조사결과 공개 2011.5.15~5.19 IOC 로잔 테크니컬 브리핑 참가(스위스 로잔) 2011.7.6 남아프리카 더반 제123차 IOC 총회에서 개최도시 결정(평창 선정) 4.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출범 평창은 세 번째 도전에 나서며 개최도시로 선정되면 IOC 요구기준인 5개월보다 훨씬 빠른 3개월 이내에 대회조직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Bid-File(유치신청서)에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평창은 유치와 동시에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유치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대회조직위원회 구성을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하였다. 대회조직위원회 출범 준비는 조직위원 및 임원 인선, 대회준비 및 운영의 근간이 될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이하 특별법 )제정 준비, 조직위원회 운영근거가 될 정관을 비롯한 각종 제 규정 마련, 대회조직위원회 창립총회 준비 등 분야별로 나누어 추진하였으며 3개월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마침내 2011년 10월 19일 서울시 중구 소공동에 있는 웨스턴 조선호텔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대회조직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창립총회에서는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정관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선임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임원 선임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011년도 사업계획안,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011년도 세입 세출예산안 을 안건으로 상정하여 유치위원회 김진선 특임대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정관계, 체육계, 언론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23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문화예술계, 종교계, 교육계 및 관련 단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당연직 위원 84명과 선출직 위원 32명 등 116명을 조직위원으로 선임하였으며, 위원장과 함께 부위원장 6명, 집행위원 13명, 감사 2명으로 구성된 22명의 임원과 고문 9명도 함께 선출하였다. 조직위원회는 올림픽 헌장 제36조와 민법 제32조에 의거 설립절차를 밟았으며, 2011년 11월 16일 법인설립 등기를 마침으로써 정식 법인으로 성립되었다. 이와 함께 조직위원회 사무처 구성 절차도 추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행정안전부의 협의와 승인을 거쳐 1총장 2차장 6국 13부 1관 28팀 100명 규모의 직제를 마련하고, 사무소는 평창과 서울에 두되 사무소 주 소재지는 평창에 두기로 하였으며 평창 사무소에는 운영차장을 중심으로 3국 6부 14개 팀, 서울사무소에는 기획차장을 중심으로 3국 7부 14개 팀을 두었으며 사무총장과 감사관 사무실도 서울에 두기로 하였다. 조직위원회 설립일지 2011. 8 조직위 준비기획단 발족 2011.8.5 IOC 2018 조정위원회 발족 2011.8.29~9.1 개최도시 오리엔테이션 세미나 개최 2011.9 조직위원 인선안 협의(정부+강원도+KOC) 조직위원 위촉 및 임원 선임 조직위원회 설립 정원승인 협의(문체부+행안부) 2011.10.19 조직위원회 창립총회 2011.11.16 조직위원회 법인 설립등기 기획부 정 일 섭 팀장 2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1장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요 제1절 대회 개요 제23회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제12회 평창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의 대회기간은 개 폐막식을 포함해 2018년 2월 9일부터 2월 25일까지 17일간의 일정으로, 장애인동계올림픽은 동계올림픽대회 폐막 이후 1달 동안의 준비기간을 거쳐 3월 9일부터 18일까지 10일간의 일정으로 펼쳐진다. 모든 경기는 올림픽스타디움을 중심으로 30분 이내의 동계스포츠 벨트에서 개최되며 구체적인 장소는 다음과 같다. 설상경기(평창) - 알펜시아(스키점프, 루지 봅슬레이 스켈레톤, 크로스컨트리, 바이애슬론), 용평(알파인), 보광(프리스타일, 스노보드) (정선) - 가리왕산 중봉(활강) 빙상경기(강릉) - 스피드, 피겨&쇼트트랙, 아이스하키 남 여, 컬링 참가규모는 100여 개국내외에서 선수 임원과 IOC패밀리, 보도진 등 2만 6천여 명이 참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동계올림픽대회의 경기종목은 7경기 15종 98세부 종목으로 98개의 금메달, 장애인동계올림픽은 5경기 5종목 72세부 종목으로 72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그림 1> 경기장 및 대회 관련 시설 배치도 26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구분 경 기 명 (Sports) 종 목 명 (Disciplines) <표 1> 동계올림픽 경기종목 세 부 종 목 (Events) 계 7경기 15종목 98개 세부종목 실 외 경 기 69 종 목 스키 (FIS) 49종목 바이애슬론 (IBU) 11종목 알파인 (Alpine) 크로스컨트리 (Cross Country) 스키점프 (Ski Jumping) 노르딕 복합 (Nordic Combined) 프리스타일 (Freestyle) 스노보드 (Snowboard) 바이애슬론 (Biathlon) 남,여 : 활강(Downhill), 슈퍼대회전(Super G), 슈퍼복합 (Super Combined), 대회전(Giant Slalom), 회전(Slalom) 남 : Skiathlon(15kmC+15kmF), 15km C, 50km Mass Start F, 개인Sprint F, Sprint R (C), 4 10km R 여 : Skiathlon(7.5kmC+7.5kmF), 10km C, 30km Mass Start F, 개인Sprint F, Sprint R (C), 4 5km R 남 : NH(Normal Hill), LH(Large Hill), Team LH 여 : NH(Normal Hill) 남 : NH+10km C, LH+10km C, Team NH+4 5km Relay C 3 남,여 : 모글, 에어리얼, 스키크로스, 스키하프파이프, 스키슬로프스타일 10 남,여 : 평행대회전, 평행회전, 스노보드하프파이프, 스노보드크로스, 스노보드 슬로프스 타일 남,여 : Individual, Sprint, Pursuit, Mass Start, Relay 혼성릴레이(여자2+Double) 11 10 12 4 10 봅슬레이 (FIBT) 5종목 봅슬레이 (Bobsleigh) 스켈레톤 (Skeleton) 남 : 2인승, 4인승 여 : 2인승 남,여 : 1인승 2 3 루지 (FIL) 4종목 루지 (Luge) 남,여 : 1인승 Doubles, Team R( 여자1인승+남자1인승+Doubles) 4 실 내 경 기 29 종 목 빙상(ISU) 25종목 아이스하키 (IIHF) 2종목 스피드 (Speed) 남 :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Team Pursuit 여 : 500m, 1,000m, 1,500m, 3,000m, 5,000m, Team Pursuit 피겨 (Figure) 남자개인, 여자개인, 페어, 아이스댄스, Team Event 5 쇼트트랙 (Short Track) 아이스하키 (Ice Hockey) 남 : 500m, 1,000m, 1,500m, 5,000m R 여 : 500m, 1,000m, 1,500m, 3,000m R 남,여 2 컬링(WCF) 2종목 컬링 (Curling) 남,여 2 12 8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표 2> 동계 장애인올림픽 경기종목 구분 경기명 (Sports) 종 목 명 (Disciplines) 세 부 종 목 (Events) 계 5경기 5종목 72개 세부종목 실 외 경 기 70 종 목 스키 크로스 컨트리 스키 (알파인; 용평, 중봉, 스노보드; 보광) 크로스컨트리 (알펜시아1) 남,여 : 활강(Downhill), 슈퍼대회전(Super G), 슈퍼복합(Super Combined), 입식, 좌식, 30 대회전(Giant Slalom), 회전(Slalom) 시각장애 남,여 : 스노보드 입식 2 입식, 남 : 1Km Sprint, 10Km개인, 20Km개인, 15Km개인 좌식, 여 : 1Km Sprint, 5Km, 15Km, 12Km 시각장애 18 바이 애슬론 바이애슬론 (알펜시아3) 남 : 7.5Km, 12.5Km, 15Km 여 : 6Km, 10Km, 12.5Km (Mixed) 릴레이 4 x 2.5Km Open Relay 릴레이 4 x 2.5Km Mixed Relay 입식, 좌식, 시각장애 - 20 실 내 경 기 2 종 목 아이스 슬레이지 하키 휠체어 컬링 아이스슬레이지하키 (강릉체육시설단지) 휠체어컬링 (강릉빙상장) 남자 토너먼트(8개 팀) 1 혼합 토너먼트(10개 팀) 1 기획부 전 철 수 28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제2절 대회 비전 및 목표 제23회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제12회 평창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개최의 궁극적인 비전은 88 서울올림픽과 함께 한국 올림픽의 완성 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이룩하고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성장 잠재력이 무한한 아시아 동계스포츠 발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평창 지역을 동아시아 관광허브로 조성하여, 강원도와 대한민국에 지속가능한 유산을 남기는 것이다. 조직위원회는 이러한 대회의 비전을 보다 확실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문화올림픽 환경올림픽 평화올림픽 경제올림픽 이라는 4개의 전략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또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10개의 세부 전략을 수립하였고, 상호 유기적이고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각각의 세부 전략 추진에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였다. <표 3> 비전 목표 및 실천전략 비 전 아시아라는 잠재력이 큰 새로운 무대에서 세계의 젊은 세대들이 함께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강원도와 대한민국에 지속가능한 유산을 남기는 것 목 표 문화올림픽 환경올림픽 평화올림픽 경제올림픽 실 천 전 략 1 선수중심 경기중심의 시설과 시스템 구축 최상의 조건 + 최고의 기록 달성 2 최소비용, 최대편익 거양 균형재정 달성 3 완벽한 안전대회 담보 4 편리한 접근 교통망 구축 수도권에서 1시간대, 30분이내 모든 경기장 이동 실현 5 참관객 편의성 극대화 충분하고 안락한 숙박시설,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거리 6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추진 충분한 스폰서십 + 국가이미지 국격 제고 + 상품 마케팅 성공 7 지속 가능한 유산을 만들고 남기기 시설 사후활용도 제고, 동계스포츠 허브로 발전 8 질 높고 특색있는 문화 관광상품 개발 9 전 국민적 참여분위기 확산 국민화합과 신명의 장 마련 10 분단의 상징지역에서 남북화해 협력의 장 마련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3절 대회예산 제23회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제12회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운영에 소요되는 총예산은 2010년 Bid File 기준으로 약 1조 7,606억원이다. 세입예산은 IOC로부터 지원받는 방송권 판매수익 배분금 4,057억원, TOP스폰서십 1,845억원, 프리미어 파트너, 서포터, 공식 공급업체 등을 통한 국내 스폰서십 6,095억원, 입장권 판매수입 2,439억원, 기념우표 주화 등 라이선싱 사업수입 402.5억원과 체육투표진흥권 증량발행에 따른 수익 배분금 172.5억원, 국내외 개인 단체로부터의 기부금 253억원, 대회 종료 후 사무집기 등 자산매각대금 80억원, 정부와 강원도, 개최지 시군의 파견공무원 인건비 및 장애인동계올림픽 운영비 등 보조금 1,495억원, 이자수익, 참가선수 숙식비 수입 767억원 등이다. 세출예산은 경기장(연습경기장 포함) 임대 및 오버레이 설치, 운영비 등으로 1,319억원, 올림픽 선수촌 및 미디어촌, 중봉 보광 대체숙소 임대 및 오버레이 설치, 운영비 등으로 1,146.5억원, IBC/MPC의 오버레이 및 운영 등에 984억원, 알펜시아 및 코스탈 호스피텔러티 센터 임시시설 공사 및 가구 비품설치, 운영 등에 179억원, 대회운영요원 및 자원봉사자 등 인력운영에 2,177억원, 종합경기운영시스템 및 경기전달시스템 등 정보시스템 설치, 통신 IT 인프라 구축 등에 4,372억원, 개 폐막식 등 문화행사에 1,058억원, 식음료 서비스, 수송, 보안에 1,804억원, 장애인동계올림픽 운영에 698억원, 홍보 및 프로모션, 테스트 이벤트 개최에 1,999억원, KOC에 지급해야 할 JMPA 비용 762억원, 국내스폰서십, 라이선싱 등에 따라 IOC에 지급해야 할 비용 565억원, 예비비, 차입금 이자 542억원 등이다. 조직위원회는 Bid File에서 제시된 대회재정 운영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재정운영계획을 수립하였다. 30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세입예산 <표 4> 재정운영계획( 10년 Bid File 기준) 구 분 10년 기준 18년 기준 비 고 소계 1,760,650 2,195,923 IOC 지원금 405,720 506,024 방송권 수입(IOC 재량) TOP 스폰서십 184,460 230,063 IOC에서 배분(16.67%) 지역 스폰서십 414,000 516,351 공식 공급업체 195,500 243,832 입장권 판매 243,915 304,217 라이선스(상품, 기념우표 주화) 40,250 50,200 (단위 : 백만원) 현금 7.5%, 현물 5% IOC에 지급 단, 기념주화(액면가)3%, 기념우표(판매수익)1% 복 권 17,250 21,514 스포츠토토 기 부 금 25,300 31,554 자 산 처 분 8,050 10,040 가구, 컴퓨터 등 보 조 금(중앙 도 시군) 149,500 186,460 파견공무원 인건비 등 기 타 76,705 95,668 이자, 참가선수 숙박 식비 등 세출예산 구 분 10년 기준 18년 기준 비 고 소 계 1,760,650 2,195,923 (단위 : 백만원) 스포츠 베뉴(임대, 공사, 운영) 131,905 164,515 오버레이 설치비 올림픽 선수촌, 숙박시설 114,655 143,000 임시시설, 가구 비품 등 기자 및 방송센터(MPC & IBC) 98,440 122,776 " 스폰서 홍보관, 물류창고 등 17,940 22,375 " 인 력 217,695 271,515 직원, 자원봉사자 등 정보시스템, 통신 IT인프라 구축 437,230 545,325 종합경기운영시스템, 경기전달시스템 등 의식행사(개 폐회식) 및 문화 105,800 131,956 메달프라자 운영 등 의료, 식음, 수송, 안전 180,435 225,043 장애인동계올림픽 69,805 87,062 행정, 홍보 및 광고, 프레올림픽 199,870 249,281 기타 소 계 186,875 233,075 JMP비용 지급(TOP, 지역 공식공급, 라이선스, 복권) 76,222 95,066 KOC에 9.28%지급 지역 공식공급업체 수입 라이선스, 주화, 우표, 티켓 31,984 24,500 39,891 30,557 IOC에 지급 (현금 7.5%, 현물 5%) IOC에 지급 (현금 7.5%, 현물 5%) 예비비, 차입이자 54,169 67,561 매년 인플레 2.8%, 환율 1,150원/$기준 총무재정부 이 관 우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31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2장 조직위원회 일반현황 제1절 조직구성 1. 조 직 구 성 가. 목표 및 방침 조직위원회는 절약, 실질, 효율을 기조로 단계별 업무량에 따라 조직과 인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며, 조직의 집중력과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중점을 두고 사무처를 운영해 왔으며, 구체적인 조직진단과 업무량 분석을 통해 상응하는 조직과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조직위원회 단계별 조직구성 방향 조직위원회 사무처는 출범단계부터 대회개최 단계까지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조직운영을 위해 단계별로 조직구성 방향과 중점기능 영역을 설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직이 편제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 강원도 등 괸계기관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32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표 5> 단계별 조직구성 및 주요기능 단계별 조 직 구 성 중점 기능/사유 준비단계 (2011.10~2012초) 50여 명 기존 유치위원회 잔류인력 및 계약직 등 50여 명 규모로 업무개시 - 기획(총무), 홍보, 마케팅, 국제, 대회준비, 시설 등 위주 사무처 법인등록 및 운영계획 수립 IOC와의 연락체계유지 1단계 (2012) 발족단계 118명 대회개최준비에 공통으로 필요한 조직- 6국 체제 - 기획, 경기, 시설, 마케팅, 문화홍보, 국제국 등 단계별, 분야별 대회준비 기본계획 및 종합마스 타플랜, MPA체결, 대회시설 확보계획 수립 등 2단계 (2013~2014) 기반조성단계 150~250명 부단위 세분화로 조직력 집행력 강화 - 문화행사(개 폐회식, 성화 봉송, 시상식) - 대회운영지원(기술, 환경, 안전, 숙박, 수송, 인 력, 물자) - 국제관계(IOC NOC 협력, 의전) 등 FA별 프로그램 수립, 대회기 인수, 경기장 인프라 건설, 문화행사 등 사업별 기능별 세부운영계획 수립 3단계 (2015~2016) 본격추진단계 300~600명 부 및 팀 세분화 운영 - 수익사업 및 입장권 사업, 방송, 안전, 인력, 물자, 홍보, 의전 등 분야별 대회준비 가속화, 대회홍보 강화, 인력 물자확보배치, 경기시설 구축 마무리 프레대회 개최준비, 제반 개최여건 조성 등 현장 운영 중심 조직으로 편제 4단계 (2017~2018) 개최단계 600~1000명 국 확대(안전, 입장권 사업 등) 종목별 경기운영인력 포함 실행조직 최종확보 대회 시설 및 부대시설 확보완료 프레대회 개최 등 최종 점검 보완 후 대회운영 - 경기운영, 문화행사, 안전 수송 등 선수와 관람 객 편의 제공 대회 이후 청산단계로 전환 (대회결과, 기록, 결산 등) 다. 단계별 조직개편 현황 1) 준비단계 (출범 초기 2011.10.19 ~ 2011.12.31) 2011년 10월 19일 조직위원회 공식 출범 이후 기존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에 소속되었던 정부 및 강원도 인력을 중심으로 조직위원회의 조속한 출범준비를 위하여 1단장, 1협력관, 2처, 3부, 7팀, 30명으로 준비기획단을 편성 운영하였다. 사무소는 기존 서울사무소(중구 태평로1가 25번지 한국프레스센터 7층)와 춘천사무소(춘천시 봉의동 15번지 강원개발공사 1층)를 두고 시설부 2팀은 평창 주사무소 개소전까지는 춘천사무소에 근무토록 하였고, 2012년 1월 1일 평창에 임시사무소 개소 이후에는 모두 이전 근무토록 하였다.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33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표 6> 조직위원회 준비기획단 기구 준비기획단장 국제협력관 정부지원처장 준비기획처 청산인 겸직 준비기획 부장 운영부장 청산부장 겸직 시설부장 준비총괄 팀장 준비지원 팀장 IOC협력 팀장 총무재정 팀장 청산팀 장겸직 운영지원 팀장 기록관리 팀장 겸직 시설1 팀장 시설2 팀장 <표 7> 부서별 업무분장 부서별 분 장 사 무 준비기획부 조직위원회 분장사무 조정 및 인력배치 총괄 종합준비 로드맵 및 주요 사업계획 작성 조직위원회 관련 제반업무 추진 문화부, 강원도, KOC, 개최지 시군과의 협의 조정 위원장 지시사항 및 조치계획 총괄 정부지원, 국회, 도의회, 광역자치단체 관련업무 총괄 자문위원회, 전문위원회 구성 추진 조직위원회 관련자료 작성 제작(IOC규정, 자체규정, 참고자료 등) 올림픽특별법 및 특구 등 정부지원사항 파악 및 대응 범국민적 후원회 등의 구성업무 추진 IOC일정에 따른 관련계획 수립 실행 주요 국제대회 행사 참가준비 IOC조정위원회와의 연락 조정업무 추진 IOC관련 KOC와의 협의 공조 34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부서별 운영부 분 장 사 무 조직위원회 법인등록 등 제반절차 추진 재정계획 수립 및 IOC회계결산보고 법인해산 및 청산절차 추진 의전 서무 급여 직원복리후생 등 업무추진 사무소 개소 및 소요 물품 장비 등 확보 유치 유공 포상업무 추진 2018백서 작성 총괄 기록보존 총괄(문서, 영상, 홍보물 등) 지정 기부금단체 신규 지정 추진 미디어 관련업무 홈페이지 개편 및 홍보물 제작 준비 시설부 선수촌, 미디어촌, IBC/MPC 등 올림픽시설 확충 추진 빙상경기장 건설 등에 대한 협의 조정 IOC기술매뉴얼 설계시 반영사항 체크리스트 작성 올림픽 경기시설 사후운영 및 활용방안 자료수립 설상경기장 보완 및 예산확보 등 협의 조정 올림픽사이트, 클러스터, 대회장별 운영계획 수립 경기장 및 수송운영 관리계획 수립 Green Dream : 02 Plus Winter Games 환경계획 수립 개최지 시군, 민간, 경기연맹 등과의 협의체 운영 관리 2) 1단계 사무처 직제 및 정원 승인 (2012.12 月 末 까지) 조직위원회에서는 본격적인 대회준비를 앞두고 분야별 대회기본계획 수립과 마스터 스케줄 작성, MPA체결, 경기장 건설계획수립 등 기반조성단계에 필요한 필수 조직과 인력확보를 위해 2012년 1월 27일 문화체육관광부에 사무처 직제 및 정원승인신청 을 하였으며, 2012년 2월 8일 1총장, 2차장, 6국, 13부, 1감사관, 1대변인, 29팀 총 정원 118명의 사무처 직제 및 정원이 승인됨에 따라 1단계 사무처 조직을 구성 운영하게 되었다. 사무처 설치는 대회개최지인 평창과 서울에 이원화하여 설치 운영토록 하였으며, 평창주사무소에는 운영차장 산하에 3국(문화홍보국, 경기국, 대회지원국)을 두고, 서울사무소에는 기획차장 산하에 3국(기획협력국, 마케팅국, 국제국)을 설치하였다. 사무처 인력구성은 2012년말까지 승인사항으로 당시 정부 방침상 100명 이내의 최소인력으로 구성토록 결정됨에 따라 2011년 11월 10일 승인을 받아 조직위원회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35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출범은 100명의 인력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추후 관련 분야별 전문인력(8명)과 비서 기사 등 필수인력(14명)의 확보가 불가피하여, 주무부처와의 추가협의를 통해 총 118명의 정원을 2012년 2월 8일 승인받아 확보하였다. <표 8> 사무처 직원 정원표 - 출범초기(2011.11.10) 구분 총계 일반직 전문 기능직 소계 사무총장 차장 1급(국장) 2급(부장) 3급(팀장) 4급이하 소계 전문위원 기능직 당초 100 100 1 2 6 15 28 48 변경 118 96 1 2 6 15 29 43 22 8 14 <표 9> 사무처 직제 및 정원 승인 내역(2012.2.8) 직 제 : 1사무총장 2차장 6국 13부 1감사관 1대변인 29팀 고문단 조직위원장 자문위원회 분과위원회 집행위원회 사무총장 감사관 대변인 기획차장 운영차장 기획 협력국 마케팅국 국제국 문화 홍보국 경기국 대회 지원국 기 획 부 종합 계획 준비부 총 무 재정부 마 케 팅 부 관광 수익 사업부 국제 협력부 국제 지원부 문화 행사부 홍 보 부 경 기 준비부 지 식 관리부 대회 시설부 수송 숙박부 기 획 팀 대 외 협 력 팀 준 비 총 괄 1 팀 준 비 총 괄 2 팀 총 무 팀 재 정 팀 마 케 팅 기 획 팀 계 약 법 무 팀 수 익 사 업 팀 관 람 서 비 스 팀 I O C 협 력 팀 I F S 협 력 팀 국 제 행 사 팀 국 제 지 원 팀 문 화 행 사 준 비 팀 콘 텐 츠 개 발 팀 홍 보 기 획 팀 미 디 어 팀 경 기 기 획 팀 경 기 운 영 팀 장 애 인 경 기 팀 지 식 관 리 팀 정 보 전 산 화 팀 시 설 1 팀 시 설 2 팀 친 환 경 대 회 팀 산 림 보 호 활 용 팀 수 송 준 비 팀 숙 박 준 비 팀 36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정 원 : 118명( 12. 12월까지) 일반직 전문ㆍ기능직 구분 (공무원직급) 총계 소계 사무총장 차장 국장 부장 팀장 팀원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 가급 나급 (4급) (5급) (6급) (7급) /지방 1ㆍ2급) /지방2ㆍ3, 3급) 소계 전문 위원 기능직2) 계 118 96 1 2 6 15 29 29 12 22 8 14 중앙부처 21 21 1(문화1) 2(문화1,외교1) 7 3) 11 4) 강 원 도 43 43 1 2 5 10 16 9 소계 54 32 1 2 3 8 13 3 민간 KOC 6 6 1 2 2 1 KPC 2 2 1 1 계약직 46 24 1 1 3 5 14 22 8 14 3) 사무처 직제개편 및 정원 변경분 반영(1차)기능직1)72)113) 4) 조직위원회 사무처 조직체계에 대한 IOC 의견 등을 반영하고 조직과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대외 식별성 및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사무처의 부서 명칭과 분장 사무를 일부 변경하고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정원(당초100명 118명 조정승인)을 직제규정에 반영하였다. 먼저, 부서명칭 변경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부서 명칭을 조직 기능과 부합하도록 간단 명료하고 대외 식별성을 높이고자 1국 6부의 부서 명칭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표 10> 부서명칭 변경내역 구 분 현 행 변 경 국 명칭 변경 대회지원국 대회시설국 부 명칭 변경 종합계획준비부 국제협력부 관광수익사업부 지식관리부 경기준비부 대회시설부 대회계획관리부 IOC부 수익사업부 정보기술부 경기기획부 시설부 1) 운전8, 비서6 2) 문화부2, 행안부2, 기재부1, 총리실1, 감사원1 3) 문화부1, 행안부1, 기재부1, 환경부1, 산림청1, 비별도6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3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아울러, 분장사무의 변경 조정이 필요함에 따라 사무처 조직체계에 대한 IOC 의견을 수용하고 부서 명칭 변경에 따른 조직과 기능의 불부합 사항에 대한 보완과 함께 신규 업무에 대한 분장사무를 추가하는 등 부서별 사무분장 전반에 대한 재정비를 통해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부서별 사무범위를 명확히 하여 대회 준비 업무를 차질 없이 수행토록 하였다. 또한, 조직위원회 출범 당시 제정된 직제규정상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조정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어 2012년 2월 8일자로 문화부 장관이 승인한 정원(118명)을 직제규정에 반영하였고, 차장, 국장, 부장 등에 대한 사무처 직급별 보직기준도 일부 변경하였다. 4) 사무처 인력충원 정원 변경승인(2012.5.8) 조직위원회 사무처 운영 과정에서 중앙부처 비별도 정원(팀장 5급/6명)에 대한 파견인력 충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계속 업무 공백이 야기됨에 따라, 중앙부처(문화부 등) 팀장 정원 11명 중 준비총괄2팀장, 마케팅기획팀장, 미디어팀장, 수송준비팀장 등 4명과 민간계약직 팀장(콘텐츠개발팀장/1명)의 정원을 강원도 정원으로 이관하여 변경 조정하였다. <표 11> 사무처 정원 변경내역 변경전 : 정원(118명) 일반직 전문ㆍ기능직 구분 (공무원직급) 총계 소계 사무총장 차장 국장 부장 팀장 팀원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 가급 나급 (4급) (5급) (6급) (7급) /지방 1ㆍ2급) /지방2 3급) 소계 전문위원 기능직 계 118 96 1 2 6 15 29 43 22 8 14 중앙부처 21 21 1(문화1) 2(문화1,외교1) 7 11 강 원 도 43 43 1 2 5 10 16 9 소계 53 31 1 1 3 8 18 민간 KOC 6 6 1 2 2 1 KPC 2 2 1 1 계약직 45 23 1-3 5 14 22 8 14 민간또는공무원 1 1 38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44)15) 변경후 : 정원(118명) 일반직 전문ㆍ기능직 구분 (공무원직급) 총계 소계 사무총장 차장 국장 부장 팀장 팀원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 가급 나급 (4급) (5급) (6급) (7급) /지방 1ㆍ2급) /지방2 3급) 소계 전문위원 기능직 계 118 96 1 2 6 15 29 43 22 8 14 중앙부처 17 17 1(문화1) 2(문화1,외교1) 7 7 강 원 도 47 47 1 2 5 14 5) 16 9 소계 52 30 1 1 3 8 18 민간 KOC 6 6 1 2 2 1 KPC 2 2 1 1 계약직 44 22 1-3 4 14 22 8 14 민간또는공무원 2 2 1 1 6) 라. 향후계획 1) 2단계 조직개편 (2013~2014까지) : 대회준비단계 가) 2단계 조직위원회 사무처 구성방향 조직위원회는 IOC Project Review(2012. 10.29~10.31), Construction Review(2012. 10.25~10.31) 등에서 요구한 권고사항과 IOC Master Schedule에서 제시한 조직과 인력을 반영하고 2013년부터 본격 추진하는 경기시설 및 운영, 기반시설 건설에 필요한 현장중심 조직의 신설 및 확대 등에 중점을 두고 조직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 2단계 조직구성의 주요내용 먼저 23개 각 FA(Function Area)별 관련 세부추진계획의 수립 실행과 분야별 사업별 추진계획에 따른 기능을 보강하고 스폰서십 수입창출과 경기장 및 부대시설 건설, 선수중심 경기중심의 시설과 시스템 구축 등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현안업무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담당사무를 기능별로 구분하고 부와 팀 단위를 세분화 4) 증4명(준비총괄2팀장, 마케팅기획팀장, 미디어팀장, 수송준비팀장 중 수송준비팀장은 시설(건축 5급) 5) 콘텐츠개발팀장에 한함(강원도 5급, 경력직 포함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3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환경 기술 문화 등 IOC 권고사항을 반영하여 Master Schedule의 준수사항(M1) 이행을 위한 직제를 신설하고, 인력은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는 대회종료 시까지 근무할 민간(체육단체 포함) 비율을 확대하고 기관파견은 실무행정 업무 등을 전담할 인력 위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대회종합계획 및 조정 평가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조정관(3급) 신설과 올림픽패밀리 선수 미디어 관중 등의 숙박시설 건설 확보와 운영, 교통 수송체계 등의 구축을 위해 숙박교통국을 신설하고, 향후 중봉 활강경기장 건설과 친환경 올림픽 실현, ICT 분야의 스마트올림픽 및 유비쿼터스 환경조성 등 첨단 IT 인프라 조기 구축과 운영을 위해 환경기술국을 신설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며, 유치 당시의 비드파일을 토대로 GFP, MS, IOC 권고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여타 국제대회(소치2014, 88 서울올림픽 등) 유사조직을 참고로 2단계 사무처 조직을 탄력적으로 구성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다) 조직구성 체제 1총장, 2차장, 8실국, 1조정관, 21부, 1감사관, 1대변인, 56팀, 7종목 담당관, 178팀원 체제로 1단계 대비 158명이 증원되는 조직으로 구성하되, 인력구성은 정부 49명, 강원도 93명, 민간(체육단체 포함) 134명으로 하며, 평창주사무소에는 1차장 산하에 4국(시설국, 숙박교통국, 경기국, 환경기술국) 체제 및 9부를 두고, 서울사무소에는 1차장 산하에 3국(마케팅국, 국제국, 문화홍보국) 및 8부를, 총장 직속으로 1실(기획조정실) 및 산하에 대회계획조정관과 4부를 두도록 하는 등 본격적인 대회준비단계에 맞추어 담당 분야별 업무를 누수 없이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조직으로 개편 구성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기획조정실은 대회종합계획 및 조정기능 실행을 위해 대회계획조정관을 신설하여 산하에 대회계획관리부, 패럴림픽부(신설)를 두고, 사무처운영의 중심 지원부서인 기획부 총무재정부를 설치한다. 마케팅국은 성공적인 마케팅전략 수립과 스폰서십 구축, 수익사업 창출을 위한 연계상품 개발 등으로 경제올림픽을 실현하기 위해 마케팅부 입장권관리부(신설) 수익사업부를 설치한다. 국제국은 IOC와의 연락 및 협조체제유지, 의전업무 계획수립, 관련 기관 교류 및 국제행사 지원을 위해 국제협력부 국제지원부를 설치할 계획이다. 문화홍보국은 대회 관련 행사준비와 국내외홍보 및 OBS, IOC와의 방송협약 등 40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방송서비스와 미디어 업무, 문화행사종합계획 수립, 경축행사, 개 폐회식, 성화봉송 등 업무 추진을 위해 문화행사부 홍보부 미디어부(신설)를 설치한다. 시설국은 경기장 및 대회 관련 시설 건설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오버레이 시설 건설 등을 위해 시설기획부(신설)와 시설부를 설치한다. 숙박교통국(신설)은 숙박 선수촌 미디어촌 확보 운영 종합계획 수립과 관련 시스템 구축과 교통 수송 종합계획 추진을 위해 숙박부 교통부(신설)를 설치하며, 경기국은 경기운영 기획 및 경기연맹과의 협력 및 대회 의료서비스, 도핑, 대회 준비상황 기록, 경기 종목 전문분야 지원 등을 위해 경기기획부 경기운영부(신설)를 설치하고, 환경기술국(신설)은 환경관리종합 마스터플랜 수립, 기후변화 대응, 중봉 활강경기장 건설에 따른 환경 산림 관련 업무 추진 등 친환경 올림픽 실현을 위해 환경산림부(신설)를 설치하고 대회 IT 전략 추진, 스마트올림픽구현, 유비쿼터스 환경구축을 위해 IT부 통신기술부(신설)를 설치할 계획이다.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41

<표 12> 2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대 회 계 획 관 리 부 패 럴 림 픽 부 기 획 부 총 무 재 정 부 마 케 팅 부 입 장 권 관 리 부 수 익 사 업 부 국 제 협 력 부 국 제 지 원 부 미 디 어 부 홍 보 부 문 화 행 사 부 시 설 기 획 부 시 설 부 숙 박 부 교 통 부 경 기 기 획 부 경 기 운 영 부 환 경 산 림 부 I T 부 통 신 기 술 부 대회계획 조정관 기획조정실 마케팅국 국제국 문화홍보국 시설국 숙박교통국 경기국 환경기술국 1차장 2차장 위 원 장 사무총장 감사관 대변인 42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라) 2단계 조직개편안의 확정 시행을 위한 추진일정은 다음과 같다. 2단계 조직구성 기본계획 수립 : 2012년 10월말까지 2단계 조직개편안 주관부처 강원도 등 사전협의 : 11월 초 2단계 조직안 집행위원회 심의 의결 등 관련절차 이행 : 11월 중 2단계 조직안 승인신청(주무부처) : 11월 중 2단계 조직안 및 별도정원 협의(행안부, 강원도 등) : 12월 중 2단계 조직안 확정 및 시행 : 2013년 1월부터 2) 3단계 조직개편 (2015~2016까지) : 본격추진단계 본격 추진단계의 직제는 1총장 4실차장 15실국 54부 15종목 담당관 113팀 400팀원, 총 600명으로 2단계 대비 350명 정도 증원된 조직으로 개편 운영할 계획이며, 주요 업무내용은 Test Event 기본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 시행과 FA 각 분야별 실행계획 보완 및 점검, 3, 4차 대회예산 확정, 3차 지식보고서 제출, 개 폐회식 및 의식행사, 입장권 등 세부프로그램을 수립 시행하고, 분야별 대회 자원봉사자 모집 등 대회인력 및 물자 확보, 경기장 및 SOC 등 인프라 시설 지속 추진 등으로 대회개최 전 단계에서의 각종 준비업무를 차질 없이 수행 할 수 있는 조직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43

대회 계획국 기획국 경영지원국 마케팅국 국제국 문화행사국 홍보 미디어국 시설국 숙박국 수송국 친환경국 기술국 경기국 설 상 경 기 국 빙 상 경 기 국 대 회 계 획 관 리 부 지 식 관 리 부 대 회 유 산 부 기 획 법 무 부 재 정 부 리 스 크 관 리 부 총 무 부 회 계 부 인 력 부 물 자 부 마 케 팅 기 획 부 파 트 너 서 비 스 부 입 장 권 관 리 부 수 익 사 업 부 브 랜 드 보 호 부 국 제 협 력 부 의 전 부 등 록 부 언 어 서 비 스 부 문 화 행 사 부 의 식 행 사 부 성 화 봉 송 부 개 폐 회 식 부 홍 보 기 획 부 브 랜 드 관 리 부 방 송 부 프 레 스 부 시 설 기 획 부 오 버 레 이 1 부 오 버 레 이 2 부 시 설 부 숙 박 기 획 부 숙 박 운 영 부 선 수 촌 부 미 디 어 촌 부 수 송 총 괄 부 물 류 관 리 부 입 출 국 관 리 부 친 환 경 관 리 부 기 후 변 화 부 산 림 자 원 부 IT 인 프 라 부 정 보 전 산 부 통 신 기 술 부 방 송 기 술 부 경 기 총 괄 부 경 기 운 영 부 N O C / N P C 지 원 부 의 무 부 식 음 료 부 종 목 담 당 관 10 종 목 담 당 관 5 기획조정실장 1 차 장 2 차 장 3 차 장 비 서 실 감 사 관 대 변 인 보안담당관 위 원 장 사무총장 <표 13> 3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44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3) 4단계 조직개편 (2017~2018까지) : 대회개최단계 대회개최단계의 직제는 2총장 6실차장 24국 85실부 15종목 담당관(98세부) 194팀 674팀원, 총정원 1,000명(3단계 대비 400명 증원)의 조직으로 개편 운영할 계획이며, 주요 업무내용은 Test Event 개최, FA 각 분야별 실행계획 보완 및 점검, 분야별 대회운영 시뮬레이션 추진 보완, 대회운영 최종계획 확정, 4차 지식보고서 제출, 자원봉사 발대식, 경기장 및 SOC 등 인프라 건설 마무리 등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조직으로 개편 운영할 계획이다. <표 14> 4단계 조직개편 조직도 위 원 장 사무총장 비 서 실 의전관실 감사관실 대변인실 경기운영 부위원장 기획조정실 1 차 장 2 차장 3 차장 4 차장 5 차장 대회계획국 인 력 국 국 제 국 문화행사국 시설운영국 숙 박 국 경기총괄국 빙상경기국 대회계획관리부 지식관리부 대회유산부 인력기획부 인력운영부 후생복지부 자원봉사자부 국제협력부 국제지원부 언어서비스1부 언어서비스2부 문화행사부 라이브사이트행사부 도시문화행사부 시설총괄부 경기장시설운영1부 경기장시설운영2부 대회지원시설부 숙박총괄부 IOC호텔부 패밀리호텔부 경기총괄부 NOC NPC부 의무1부 의무2부 식음료부 빙상경기운영부 (담당관 5)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쇼트트랙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컬링 기 획 국 물 자 국 의전 등록국 의식행사국 친환경국 선수촌국 설상경기국 기획부 법률지원부 재정부 인력1부 인력2부 유니폼부 의전1부 의전2부 등록1부 등록2부 의식행사부 개막식부 폐막식부 성화봉송부 친환경관리부 지속가능성부 기후변화부 산림자원부 총괄부 관리운영부 편익부 경영지원국 마케팅국 홍 보 국 정보기술국 미디어촌국 총무부 마케팅기획부 홍보기획부 기술기획부 총괄부 교육지원부 파트너서비스1부 국내홍보부 IT인프라부 관리운영부 회계부 파트너서비스2부 국외홍보부 정보전산부 기록관리부 통신기술부 방송기술부 베뉴기술부 설상경기운영부 (담당관 10)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점프 노르딕복합 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대회안전국 수익사업국 미디어국 수 송 국 보안기획부 정보분석부 리스크관리부 사업기획부 기념사업부 입장권 1부 입장권 2부 방송지원부 방송운영부 프레스지원부 프레스운영부 수송총괄부 물류관리부 입출국관리부 총무재정부 허 완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45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2절 사무소 확보 운영 가. 목표 및 방침 조직위원회는 설립 시부터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최 시까지 단계별 연차별 인력운영계획에 따라 적정 규모의 사무공간과 부대시설이 완비된 사무소 확보를 통해 쾌적한 근무환경에서 대회준비를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동계올림픽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업무의 특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평창주사무소와 서울사무소로 이원화하여 운영하되, 2015년부터는 단계별로 평창주사무소로 이전하여 현장 중심의 근무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며, 인력충원 계획에 따라 대회준비 단계별로 조직위원회 사무소 건물을 평창에 신축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나. 추진경과 1) 조직위원회 출범초기 사무소 개소 조직위원회 출범이후 서울사무소는 기존 유치위원회 청산 이양준비단에서 사용하던 한국프레스센터 빌딩 7층에 우선 조직위원회 사무소를 개설 운영하였다. <표 15> 서울사무소 임차현황 주 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프레스센터 7층 소 유 주 : 서울신문사 임차기간 : 2012. 3. 6 ~ 2013. 3. 5(1년간) 면 적 : 1523.3m2(461.6평) 전용면적 : 1,020.4m2(309.2평) 보 증 금 : 442,366,320원(290,400원/m2) 월임차료 : 44,236,620원( 29,040원/m2) 월관리비 : 22,392,510원( 14,700원/m2) 사무소는 사무소 직원 수 등을 고려하여 3개 사무실을 임차하였으며, 조직위원회 임직원의 46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근무여건과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사무집기 및 행정장비, 통신망 구축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하여 효율적인 업무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표 16> 서울사무소 사무공간 이용현황 구 분 면 적 임차기간 세부 이용현황 1. 임원실(위원장 총장) 81.65m2 (24.7평) 2. 접 견 실 29.12m2 (8.8평) 3. 대 회 의 실 57.72m2 (17.5평) 4. 기획차장실 39.64m2 (11.9평) 5. 운영차장실 31.96m2 (9.7평) 6. 기획협력국장실 24.75m2 (7.5평) 7. 사무실(기획협력국) 387.58m2 (117.4평) 서울사무소 (한국프레스센터 7층) 1,523.3m2 (461.6평) 2012. 3. 6 ~ 2013. 3. 5 (1년간) 8. 마케팅국장실 20.27m2 (6.1평) 9. 사무실(마케팅국) 343.73m2 (104.1평) 10. 국제국장실 20.24m2 (6.1평) 11. 사무실(국제국) 196.90m2 (59.6평) 12. 문화홍보국장실 24.05m2 (7.3평) 13. 사무실(문화홍보국) 182.99m2 (55.4평) 14. 감사관 18.69m2 (5.7평) 15. 홍보전문위원 18.69m2 (5.7평) 16. 서 고 24.50m2 (7.4평) 17. 창 고 20.82m2 (6.3평) 2) 평창 주사무소 개소 평창 주사무소에 근무할 인력(1차장, 3국장, 6부장, 14팀 / 50명 내외)에 대한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우선 2012년 1~5월까지 단기적으로 알펜시아 스타디움(베이직하우스) 3층의 430여m2를 개최도시인 강원도(시설관리주체 : 강원도개발공사)와 협의하여 임시사무소로 개설하였다. 그러나 임시 주사무소로 운영해오던 알펜시아 스타디움이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 시 주장소로 사용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주사무소 이전을 검토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알펜시아리조트 홀리데이인호텔 별관 1층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4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표 17> 평창 주사무소 건물임차현황 주 소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솔봉로 325 소 유 주 : 강 원도 개발 공사 임차기간 : 2012. 5월 ~ 2018. 3. 31(6년간) 면 적 : 788.65m2(238.9평) 조직위원회 인력충원에 따라 임대면적 조정 보 증 금 : 300,000,000원(380,390원/m2) 월임차료 : 23,850,000원( 30,240원/m2) 월관리비 : 매월 실비정산 <표 18> 평창 주사무소 내부 사무공간 조성 구 분 면 적 임차기간 세부 이용현황 1. 임원실(위원장 총장) 43.16m2 (13.1평) 2. 접 견 실 34.42m2 (10.5평) 3. 대 회 의 실 59.86m2 (18.1평) 평창 주사무소 (알펜시아리조트 내) 788.65m2 (238.5평) 2012. 5월 ~ 2018. 3. 31 (6년간) 4. 운영차장실 37.05m2 (11.2평) 5. 문화홍보국장실 19.67m2 (5.9평) 6. 경기국장실 19.67m2 (5.9평) 7. 사무실(문화홍보 경기국) 428.32m2 (129.5평) 8. 대회시설국장실 19.67m2 (5.9평) 9. 사무실(대회시설국) 126.83m2 (38.4평) 3) 서울사무소 이전 준비 2012년 서울사무소를 운영하면서 향후 2단계 조직개편에 따른 인력충원에 대비하여 충분한 사무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IOC와 패럴림픽 관계자 등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애인 편의시설 등 모든 여건이 완비된 시설로 이전을 검토하였다. 특히, 한국프레스센터 사무실은 구조상 4개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사무공간 조성이 어렵고, 실국단위 부서 간 분산배치로 상호 통합적 업무교류가 불가능하여 업무추진상 비능률적인 측면이 있고 향후 인력충원(250~300명)에 대비,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사무공간 확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강남 강북지역 등 주요 사무전용 48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건물 위주로 현지조사를 하여 입지여건, 건물규모, 제반시설과 환경적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미래에셋센터원(청계천~을지로 소재) 건물을 선정하게 되었으며, 이후 조직위원회 정관 제20조 규정에 의거 서울사무소 이전 운영 기본계획을 2012년 11월 30일 개최된 집행위원회에서 심의 의결 함에 따라 서울사무소 이전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다. 향후 추진방안 2013년 3월까지 서울사무소 이전을 목표로 2013년 1월 중 내부시설, 통신망 구축 등 모든 공사를 완료하고 2월 22일경 사무실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조직위원회 인력충원 계획에 따라 3단계인(2015~2016) 대회준비 본격가동단계부터는 적정 규모의 사무실과 부대공간이 완비된 사무소를 평창 현지에 신축하여, 쾌적한 근무환경 속에서 현장중심의 대회준비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표 19> 단계별 사무소 운영계획 대회준비 단계 인력충원 사무소 운영체제 추진일정 1 2단계 (기초준비/기반조성) 118~250명 평창주사무소 + 서울사무소 운영(이원화) 2014년까지 3단계 (본격가동단계) 300~500명 사무소 신축(평창, 500~700명 규모, 3층) + 서울사무소 운영(일부) 2016년까지 4단계 (대회개최단계) 600~1,000명 사무소 2차 증축(평창, 별동 500명 규모) 평창주사무소 일원화 운영 2018년까지 총무재정부 이 민 수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4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3절 재정현황 조직위원회는 개최도시계약서 제50조의 규정6)에 의거 일체의 상업적 행위로 인한 수입이 제한됨에 따라, 우선 금융기관 차입금으로 조직위원회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2011년 12월 22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100억원 차입승인을 받았다. 차입승인에 따라 2011년 12월 13일 20억원을 차입하였다. 2012년에는 총 80억원을 차입(2월 28일, 5월 24일, 7월 24일 각 20억원, 9월 27일 5억원, 10월 31일 15억원)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늘어나는 재정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120억원(2012년 47억원, 2013년 73억원)의 추가승인을 받아, 12월 10일 추가로 10억원을 차입하여 2012년에는 총 90억원을 차입하였다. 그 외에 2011년도 결산 잉여금 17.2억원,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청산종결 잔여재산 0.5억원, 기본재산 0.5억원, 장애인올림픽 운영비 국비보조금 10억원 등 모두 118.3억원의 수입이 있었다. 조직위원회는 재정집행에 대한 기본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 재정지출의 효율성 형평성을 도모하며, 집행의 자율성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국가재정법, 공무원여비규정, 세출예산 집행 지침 (기획재정부), 조직위원회 회계규정 등에 근거, 재정집행 실무요령 을 2012. 2. 27일 제정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조달사무의 투명성, 공정성 등의 확보를 위하여 조달청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 수요기관으로 등록, 각종 용역 및 물품구매 등의 계약 사무를 처리하였으며, 각종 용역사업 시행 전 필요성 및 타당성, 시의성, 활용방안 등 대한 종합적 검토, 심의를 통하여 사업의 적정성 확보 및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높히고자 조직위원회 용역사업심의회 운영규칙(제10호, 2012.10.31) 을 제정 시행하였다. 예산의 집행방법 또는 제도개선 등으로 예산을 절약하거나 수입을 증대시킨 경우 절약된 예산 또는 증대된 수입의 일부를 기여한 사람에게 성과금으로 지급, 효율적 예산 운영을 도모하기 위하여 예산성과금 제도(2012.11.26)도 시행하였다. 2012년은 조직위원회 설립 초기임을 감안, 내부 재정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정과 제도 등을 정비하고 시스템 마련을 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재정관리 및 운영을 위한 기반을 공고히 다지는 한 해였다. 총무재정부 이 관 우 6) IOC와의 마케팅 플랜협약(MPA 체결 전에는 모든 상업적 활동이 제한) 50 제1편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조직위원회 개관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1장 기획협력 제1절 대회준비 지원 1. 비전 및 전략수립 가. 추진개요 대회기본계획(GFP)에 수록될 조직위원회의 비전 및 전략은 내부 아이디어를 공모해 외부전문가 참여 및 외부 자문 등을 받아 자체 보완 후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비전을 확정코자 하였으나, 홈페이지 IOC 승인 및 론칭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국민의견 수렴 절차는 생략하고 내부에서 비전 을 정립하기로 방침을 정하였다. 이에 따라 조직위원회는 유치 당시 Bid File에서 제시되었던 New Horizons 를 확장하는 개념으로 비전을 재정립하고 올림픽 정신 및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목표의 실현, 국가브랜드 향상, 강원도의 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로의 발전, 올림픽 유산 보전 등을 포괄하는 한글 50자 내외의 문장으로 비전을 작성한다는 지침을 정하고, 각 부서로부터 20건의 비전(안)을 제출받고, 드림팀 전문가(18명)의 자문을 받아 2건의 내부공모작을 선정하였다. <표 20> 드림팀 선정 비전(안) - 2건 선정된 비전(안) 세계 동계스포츠 발전의 획기적인 지평을 열고 평창과 강원도가 아시아 동계스포츠 및 관광의 허브가 되는 올림픽 유산창조 제시사유 2018 Bid File과정에서 비전으로 제시한 New Horizons 의 이행을 기본적 모토로 하면서 대회개최에 따른 실질적 목표와 효과를 통해 개최도시와 강원도의 발전을 획기적으로 도모해 야 한다는 차원에서 평창을 아시아 동계스포츠 및 관광의 허 브 로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을 비전으로 제시 52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선정된 비전(안) 세계의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꿈의 지평을 열 수 있도록 누구나 참여하고 즐기는 새로운 스포츠 문화 창출과 아시아 동계스포츠의 도약을 알리는 역사적인 올림픽 개최 제시사유 눈과 얼음이 없는 열대지역 국가와 저개발 국가 청소년을 초청 해 겨울 스포츠를 체험하고 우호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드림 프로그램의 성과를 강조하여 동계스포츠 저변 확산을 위한 대한 민국의 아름다운 도전과 꾸준한 노력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New Horizons 에 걸맞는 유럽지역의 동계스포츠와 차별화 되는 아시아만의 새로운 스포츠 문화의 창출로 아시아의 잠재 력을 더욱 성장시키고 동계스포츠의 세계적인 확산에 기여하는 올림픽 개최 선정된 내부공모 비전(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 자구수정 등을 통해 자체 비전(안)을 확정하여 확대간부회의에서 비전(안)을 최종 보고하였으며, 지휘부에서 추가로 제시된 의견을 최종 반영하여 대회기본계획(GFP)에 수록될 비전 및 전략을 다음과 같이 확정하였다. <표 21> 대회기본계획(GFP)에 반영된 비전 및 전략 평창의 비전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패럴림픽대회의 비전은 아시아라는 잠재력이 큰 새로운 무대에서 세계의 젊은 세대들이 함께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평창과 대한민국에 지속가능한 유산을 남기는 것이다.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패럴림픽대회의 유치는 그동안 동계스포츠를 사랑해 온 대한민국의 국민적 열정으로 이루어낸 산물이며, 우리는 이러한 열정을 바탕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준비하여 개최할 것이다. 아시아에서는 20년 만에 3번째로 개최되는 동계올림픽대회를 통해 아시아의 새로운 세대에게 특별한 경험과 자신감을 심어 주고, 올림픽 정신을 전 세계인과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또한, 조직위원회는 컴팩트한 경기장 컨셉을 바탕으로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선수 이외의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서도 특별한 감동과 새로운 경험이 되는 대회가 개최되도록 창의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조직위원회는 이러한 대회의 비전을 보다 확실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문화올림픽 환경올림픽 평화올림픽 경제올림픽 이라는 4개의 핵심 목표를 설정하였고, 평창의 비전은 이러한 핵심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침이 된다. 조직위원회는 평창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10개의 세부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이는 상호 유기적이고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각각의 세부 전략 추진에 시너지 효과를 줄 것이다.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53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비전 실현을 위한 전략 1 선수중심 경기중심의 대회시설 배치와 운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최상의 경기조건과 최고의 기록을 달성할 수 있도록 대회기반을 조성한다. 2 최소 비용의 투자와 최대 편익 효과의 거양을 통해 균형재정을 이룬다. 3 철저한 대회준비를 통해 완벽하고 안전한 대회를 개최한다. 4 편리한 접근 교통망 구축을 통해 수도권에서 1시간대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 30분이내 모든 경기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교통편의를 제공한다. 5 충분하고 안락한 숙박시설과 특색있는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거리의 제공을 통해 참관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6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추진을 통해 충분한 스폰서십 확보와 국가 이미지 및 국격을 제고하고 상품 마케팅의 성공을 이끈다. 7 시설의 사후 활용도 제고, 동계스포츠 허브로의 발전기반 마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유산을 만들고 남긴다. 8 질 높고 특색있는 문화 관광상품의 개발을 통해 특색있는 지역문화 창출 및 세계화를 선도한다. 9 전 국민적 참여분위기 확산을 통해 국민통합과 신명의 장을 마련한다. 10 분단의 상징지역에서 다양한 남북화해 협력의 장을 마련하여 평화증진의 올림픽 정신을 구현한다. 조직위원회는 평창의 비전 실현을 위해 4개의 핵심 목표, 10개의 세부 전략에 부합되도록 각 분야별로 추진과제(FA)를 세분화하여, 로드맵을 포함한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아울러, 각 분야별 운영계획은 이를 담당하는 실무부서와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부서로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주기적으로 각 세부과제에 대하여 추진상황을 점검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등 비전의 실현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조직위원회는 향후 각 운영계획들에 대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표화 및 계량화를 하여 나갈 것이며, 이를 관리 점검 환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또한, 운영계획은 마스터스케줄에 따라 대회 준비과정에서 추가 세부과제를 발굴하여 관리하여 나갈 것이며, 완벽한 운영계획의 수립과 이행은 평창의 비전 실현에 원동력이 될 것이다. 평창의 비전은 조직위원회를 포함하여, 중앙정부, 국회, 강원도, 개최도시,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등 각각의 대회 관련 주체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함께 추진해 나간다. 54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나. 추진경과 조직위원회에서는 대회기본계획(GFP)에 수록되는 비전과는 별개로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전 분야에 걸쳐 국가이미지 및 국격을 한 단계 높이는 기회를 만들고, 특히 강원도를 동아시아 관광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비전실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정부, 강원도, 개최도시, 유관기관 등 각 주체들이 비전과 전략적 실천목표 달성을 위해 유기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별도로 추진키로 방침을 정하고 국내 최고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와 연구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KDI 사정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조직위원회는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을 지원 육성 관리하는 총리실 산하의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간 업무협약체결(MOU)을 제안하여, 2013년 1월 조직위원회와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간 업무협약 을 체결할 계획이며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기획부 전 철 수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55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2. 주요 업무실행계획 및 로드맵 작성 조직위원회는 IOC에서 제시한 마스터스케줄 및 각종 테크니컬 메뉴얼, 자체 추진업무 및 대외협력 업무 등을 바탕으로 각 분야별 주요 사업에 대하여 업무 추진상황이 예측 가능하도록 단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진상황을 정례적으로 점검하여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보완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는 등 대회개최 준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주요 업무실행계획 및 로드맵 작성을 추진하였다. 주요업무 실행계획 작성은 연도별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우선 당해연도에 추진해야 할 단기로드맵과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장기로드맵으로 구분하여 작성토록 하였다. 실행계획 작성은 각 국장 주관으로 초안을 작성하고 기획부에서 종합적으로 과제를 검토하여 로드맵을 확정하였으며, 계획에 대한 실행력과 책임감을 부여하기 위해 각 세부 업무별로 담당자를 지정하여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2012년 3월 초에 주요업무 실행계획 작성지침을 시달하고 부서별 초안작성 및 기획부 종합 검토, 지휘부 보고 등을 통해 5월 초 16개 세부분야 82개 실행과제를 2012년도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계획 및 로드맵으로 확정 시행하였다.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계획 확정 시행 이후 IOC가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단계에서 평창이 Bid File에 제시한 282개 약속사항을 분류하여 대회기본계획(GFP) 및 마스터스케줄에 반영하여 추진해 줄 것을 요청해 옴에 따라 Bid File 약속내용을 분석하여 신설, 보완, 기 반영된 사항 등으로 분류하고 각 부서로부터 이를 보완케 하여 18개 세부분야 97개 실행과제를 2012년도 제2차 주요업무 실행계획 및 로드맵으로 확정 시행하였다.(2012년 8월) 세부실행과제에 대해서는 보다 가시적으로 손에 잡힐 수 있고 성과가 조기에 나타날 수 있도록 각 부서를 독려하는 등 업무추진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다. 56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표 22> 주요업무 실행과제 현황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6개 분야 82개 과제) 제2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8개 분야 97개 과제) 대회준비 지원 및 기록관리 등 추진 주요업무 실행계획 및 로드맵 작성 비전 및 전략 수립 리스크 관리 및 대응 정부 및 자치단체 등 대외협력 위원총회 등 각종 위원회 운영 관리 특별법 시행령 제정 관련 주요 현안사항 관리 기록관리 추진 주요업무 실행계획 및 로드맵 작성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비전 수립 정부 및 자치단체 등 대외협력 위원총회 등 각종 위원회 운영 관리 기록정보 관리 준비업무 기록집 발간 영상기록물 제작사업 분야별 대회준비 운영계획 수립 대회개최 종합계획(GFP) 수립 올림픽대회 영향(OGI) 연구보고서 작성 지식보고서(KR) 작성 동계스포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 분야(Function Area)별 세부운영계획 수립 대회클라이언트 대상 서비스 제공 운영계획 수립 대회유산 조성계획 수립 올림픽 영향(OGI) 연구보고서 작성 지식보고서(KR) 작성 동계스포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 대회 안전대책 추진 절약+실질+효율 기조의 사무처 운영 조직 및 정원관리 사무처 인력충원 대회재정계획 수립 조직위 예산결산 추진 조세감면 추진 사무공간 확보 및 청사관리 차량 운영 관리 직원 교육 훈련 각종 제 규정 정비 조직 및 정원관리 사무처 인력충원 대회재정계획 수립 조직위 예산결산 추진 조세감면 추진 사무공간 확보 및 청사관리 공용차량 운영 관리 직원 교육 훈련 각종 제규정 정비 마케팅 활동 기반 구축 마케팅 플랜 수립 및 MPA 체결 마케팅 파트너 서비스 프로그램 추진 매복마케팅 방지대책 추진 Full Stadia 달성 추진 국내 스폰서십 판매활동 전개 올림픽파트너 서비스 프로그램 추진 매복마케팅 방지대책 추진 입장권 프로그램 추진 기념사업 및 연계수익사업 등 추진 라이선스 사업 추진 기념사업(주화 및 우표) 및 복권사업 추진 기부금 확보기반 구축 및 연계 수익사업 추진 Best of Korea 추진 라이선싱 프로그램 추진 기념사업(주화 및 우표) 추진 복권 증량발행 및 옥외광고 수익금 확보 추진 기부금 확보기반 구축 연계 수익사업 추진 Best of Korea 추진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57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6개 분야 82개 과제) 제2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8개 분야 97개 과제) IOC IPC 협력 추진 IOC 조정위원회 회의 프로젝트 리뷰 추진 IOC 조정위원회 회의 IOC 프로젝트 리뷰 추진 IPC 프로젝트 리뷰 추진 IOC IPC 정기 컨퍼런스콜 추진 IOC IPC 주관 국제행사 참가 국제협력 강화 및 올림픽 참가자 지원 IOC 및 국제기구 초청 국제행사 참가 올림픽 참가자 입출국 지원 국제기구 초청 국제행사 참가 의전서비스 제공 올림픽 참가자 입출국 지원 소치 프로젝트 추진 문화행사 추진 의식행사 문화행사 성화봉송 대회상징물 개발 의식행사 문화행사 성화봉송 대회상징물 개발 홍보활동 기반구축 SNS 온라인 활용 홍보 전문가 및 유력인사 등 활용 홍보 대회 홍보물 제작 활용 웹사이트 서비스 강화 SNS 온라인 활용 홍보 디지털미디어 전문가그룹 구성 운영 전문가 및 유력인사 등 활용 홍보 대회 홍보물 제작 활용 국내 홍보활동 전개 옥외 광고물 설치 운영 평창 홍보관 운영 국내 미디어 단계적 홍보 옥외 광고물 설치 운영 평창 홍보관 운영 국내 미디어 단계적 홍보 국제 홍보활동 전개 해외 홍보컨설턴트 운영 올림픽 행사 계기 홍보관 운영 항공사 공항 연계 홍보 재외공관 기업체 활용 홍보 해외 홍보사절단 파견 해외 미디어 단계적 홍보 해외 홍보컨설턴트 운영 올림픽 행사 계기 홍보관 운영 항공사 공항 연계 홍보 재외공관 기업체 활용 홍보 해외 홍보사절단 파견 해외 미디어 단계적 홍보 계기성 종합 홍보이벤트 추진 계기성 종합 홍보이벤트 계기성 종합 홍보이벤트 미디어센터 운영 58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6개 분야 82개 과제) IBC(국제방송센터) 운영 MPC(메인프레스센터) 운영 JSA(공동서비스구역) 운영 제2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8개 분야 97개 과제) IBC(국제방송센터) 운영 MPC(메인프레스센터) 운영 JSA(공동서비스구역) 운영 최상의 경기운영 기반구축 전문가 참여기반 구축 운영 경기단체(NF, IF, IPSF)와의 협력 경기기술규정집 및 경기간행물 제작 배부 경기운영요원 양성 의무서비스 및 반도핑 테스트 이벤트 추진 패럴림픽 준비 전문가 참여기반 구축 운영 국내외 경기단체 협력 강화 경기기술규정집 및 경기간행물 제작 배부 경기운영요원 양성 의무서비스 및 반도핑 테스트 이벤트 추진 패럴림픽 준비 대회운영 IT 기반 구축 조직위 + 경기 IT시스템 구축 운영 대회관리시스템(GMS) 구축 운영 올림픽 통신인프라 구축 운영 IT 기반시설 구축 운영 등록분야 추진 자원봉사자 D/B 구축 운영 조직위 IT시스템 구축 운영 경기 IT시스템 구축 운영 대회관리시스템(GMS) 구축 운영 올림픽 통신인프라 구축 운영 IT 기반시설 구축 운영 첨단스마트 IT서비스 구축 등록분야 추진 자원봉사자 D/B 구축 운영 경기장 및 인프라 구축 경기장 기술위원회 구성 운영 시설 관련 해외 컨설턴트 용역 추진 국제경기연맹(IFs) 전문가 초청 경기장 자문 베뉴 오버레이시설 설계용역 추진 동계올림픽 경기장 건설 경기장 접근도로망 구축 동계올림픽대회 관련 시설 확충 장애인 접근성 보장을 통한 사회적 유산 개발 경기장 기술위원회 구성 운영 시설 관련 해외 컨설턴트 용역 추진 국제경기연맹(IFs) 전문가 초청 경기장 자문 베뉴 오버레이시설 설계용역 추진 동계올림픽 경기장 건설 경기장 접근도로망 구축 동계올림픽대회 관련 시설 확충 장애인 접근성 보장을 통한 사회적 유산 개발 개 폐회식장(스타디움) 건설 추진 친환경올림픽 실현 추진 친환경동계올림픽 계획수립 운영 동계올림픽 시설 환경성 평가 추진 공공 및 민간부문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운영 IT 기반 기상지원 시스템 구축 운영 친환경적 중봉 활강경기장 건설 추진 환경올림픽을 위한 산림의 가치증진사업 추진 친환경동계올림픽 계획수립 운영 동계올림픽 시설 환경성평가 추진 공공 및 민간부문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운영 IT기반 기상지원 시스템 구축 운영 친환경적 중봉 활강경기장 건설 추진 환경올림픽을 위한 산림의 가치증진사업 추진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 59

2018평창동계올림픽 2012년도 대회준비업무기록집 제1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6개 분야 82개 과제) 제2차 주요업무 실행과제(18개 분야 97개 과제) 수송대책 추진 신속, 안전, 편안한 수송대책 추진 올림픽 선수촌 운영 숙박시설 종합대책 마련 및 운영 안전, 편리, 정확한 수송대책 추진 올림픽 선수촌 운영 숙박시설 종합대책 마련 및 운영 기획부 전 철 수 3. 리스크관리 및 대응 가. 추진개요 프로젝트 및 리스크 관리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패럴림픽 대회의 준비, 개최 및 청산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모든 리스크를 분석하여 도출하고, 철저한 사전 분석과 대비를 통해 리스크 발생을 예방하고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요소이다. 또한 프로젝트 및 리스크 관리는 대회개최 준비에 있어서 주요 프로젝트가 차질없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효과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가능케 하는 한편, 개별 FA(Function Area) 세부계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 분석 평가하는 모니터링을 통해 부정적인 영향과 손실을 끼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예방 경감조치를 마련하는 종합서비스로써 성공적 대회운영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IOC Technical Manual(Finance, Games Management)에는 보험과 리스크관리의 원칙 및 중요성에 대해 정리가 되어 있으며, IOC Generic Master Schedule에도 보험과 리스크관리에 대한 데드라인이 규정되어 있어, 조직위원회는 리스크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 또한 2018동계올림픽 개최도시계약 제60조에도 모든 위험성을 보장하는 보험에 가입하고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어 이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60 제2편 분야별 추진상황 및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