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 79~105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 김 효 정 ** KIM, Hyo Joung A Study of the Animal Metamorphosis Motif in Turkic Folklores The metamorphosis motif is one of the very common motifs in folktales of Eurasia Turkic tribes, as it is in many other tribes in the world. Especially, among Turkic folk tales, this kind of motifs are very popular, not only in legendary types with regard to origins of animals, lakes, mountains, trees, stones, as well as of sun, moon and stars. Motifs metamorphoses in Turkic folktales have 11 types which change into such as stones, animals, mountains, sees, etc. The most popular one among these is stone metamorphosis, being the second one is animal metamorphosis. Commonly in Turkic motifs, metamorphosis into animal occurs from mainly disobediences and bad behaviors, some from encountering fear, shame, and difficult situation. As these metamorphoses in general occur as results of punishment of Allah or other supernatural being, folktales with these kinds of * 본 논문은 2009년 4월 24일 지중해지역원 제 23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ㆍ보완한 것임.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어과 교수, 튀르크어 전공, 터키 하제테페대학교 튀르크어학 박사, 010-6657-8523, joung@pufs.ac.kr
80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motifs seem to have an educational purpose or lesson for next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sometimes there occur metamorphoses of supernatural beings into animal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various typologies of metamorphoses in typical Turkic folktales which contain animal metamorphoses,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Key Words: Turkic Folklore, Turkic Mythology, Animal Metamorphosis Motif, Wolf Motif, Deer Motif] 1. 머리말 변신 모티프는 다른 민족과 나라의 설화에서와 같이 유라시아에 분포되어 있는 여러 튀르크족의 설화에서도 가장 많이 보이는 모티프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바위, 돌, 나무, 산, 호수, 동물의 기원을 묘사한 전설류나 우주와 천체의 기원과 관련된 해, 달, 별의 기원 등에 변신 모티프가 등장한다. 톰슨 (Thompson)의 설화의 모티프 분류 에서 변신 모티프는 금기(tabu)와 마술 (magic)과 관련하여 분류되어 있다. 그의 분류에 따르면 금기를 깨면서 발생하 게 된 C0에서 C980까지 73개 변신 유형과 마술에 의해 이루어진 D0에서 D2199 까지 127개 변신 유형이 있다(St. Thompson 1955-1958). 한편 튀르크 설화에서 나타난 변신 모티프는 돌로 변신, 동식물로 변신, 산, 바다와 같은 자연 상태로의 변신 등 11개 유형이 존재하며 이 가운데 가장 많 이 보이는 것이 돌로 변신하는 유형이고 다음이 동물변신이다(M. Ergun 1997: 174). 동물로 변신한 설화들 가운데 그 기본적 원인은 불복종이나 나쁜 성품 등 에 의한 형벌의 형태이며 그 다음에는 수치나 두려움 혹은 난관 극복의 형태로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81 나타난다. 이러한 동물변신은 알라나 신성한 존재들이 기적을 베풀어 변하는 것으로써 후세에 교훈을 주고자 하는 지극히 교육적인 것이지만 샤머니즘이나 불교의 영향으로 보이는 주술경합이나 초능력을 소유한 존재들의 동물변신도 있다. 유라시아에는 40여 개 이상의 튀르크족이 존재하며 종족마다 그들만의 고유 한 설화들이 존재하며 여러 튀르크 종족의 설화들을 다 섭렵하기는 불가능하 다. 본고에서 사용된 동물변신 모티프 자료는 기록되어 있는 튀르크족의 종족 기원신화들과 에르군(M. Ergun, 1997)의 튀르크족의 설화에서 변신 모티프 라 는 저서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 책에는 국가의 존재여부와 상관없이 유라시아 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25개 튀르크 종족의 설화 가운데 특별히 변신 모티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두 권의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튀르크 설화에 나타난 여러 변신 모티프 가운데 특별히 동물변 신 모티프를 수용한 대표적인 작품들을 대상으로 동물변신 모티프의 유형별 양 상을 제시하고 설화 속에 나타난 동물변신 모티프의 특징과 그 기능을 고찰하 고자 한다. 2.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의 유형별 양상 튀르크족의 종족기원신화와 튀르크 설화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동 물변신 모티프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료에 나타난 동물변신 모티프 유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1 변신 주체자 2 변신 동기 3 변신의 자의성 4 변신 능력의 유무 5 변신의 항구성
82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변신 주체자가 누구인가에 따른 분류에서 나타난 유형은 인간에서 동물로, 생물에서 동물로, 무생물에서 동물로 변신하는 형태이다. 이 분류에서 가장 많 이 나타난 유형은 인간에서 동물로 변한 형태이다. 변신 동기에 따른 분류에서 나타나는 유형은 자신을 스스로 저주한 변신과 부끄럽고 창피해서 혹은 두려워 서 현재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변신 형태이다. 변신의 자의성에 따른 분류에 서 나타난 유형은 알라나 선지자 혹은 다른 신성한 존재에 의한 타의적인 것인 지 스스로 변신을 원한 자의적인 것인지를 기준으로 한 형태이다. 변신 능력의 유무에 따른 분류에서는 스스로 변신 능력을 소유한 초인간적인 인물들과 관련 된 유형이다. 변신의 항구성에 따른 분류에서는 단번에 영구적으로 이루어지는 완전변신의 형태와 자유자재로 한 형태로 혹은 여러 형태로 변신하는 일시적 변신이 있다. 2.1. 변신 주체자에 따른 분류 자료을 분석한 결과 변신 주체자에 따른 유형은 다섯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르군(M. Ergun)의 자료에는 전설류가 많아서 사람이 새로 변한 유형을 따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여섯 유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람이 새로 변신 2) 사람이 동물로 변신 3) 동물이 사람으로 변신 4) 동물이 무생물로 변신 5) 동물 이 다른 동물로 변신 6) 무생물이 동물로 변신 2.1.1. 새가 된 사람 자료로 활용된 튀르크족의 설화에서 사람이 변신하는 동물 가운데 가장 많 이 등장하는 동물은 조류( 鳥 )이다. 이것은 종종 새의 기원과 관련된 전설적인 양상을 보인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83 1 두견새의 기원(Ergun 1997: 748 하카스편) 옛날에 나이 많은 부부가 있었다. 그들에게는 아들과 딸이 있었는데 아들은 그만 죽고 말았다. 동정심 많고 여린 딸은 2년 동안 쉬지 않고 울기만 했다. 마 침내 지겨워진 부모는 신께 기도하면서 불평을 하며 딸을 데려갈 것을 부탁했 다. 신은 혼자, 이렇게 계속해서 울기만 하며 부모님을 괴롭히는 딸은 분명히 버릇없고 못된 아이일 거야 라고 생각하며 이 딸을 두견새로 만들었다. 소녀는 두견새가 되어서도 계속 울기만 하였다. 모이도 먹지 않고 일 년 내내 굶고 모 이를 먹지 않아 말랐다며 몸이 좋지 않다고 불평을 한다. 2 백조가 된 여인(Ergun 1997: 445) 1) 한 여인에게 네 자녀가 있었다. 어느 날 여인이 병이 들어 속이 타며 열이 오 르기 시작했다. 물이 마시고 싶었지만 일어날 기력이 없어 물을 마실 수 없었다. 큰아이를 불러 물을 달라고 하자 어머니에게 물은 주지 않고 놀러 나가버렸다. 갈증이 난 어머니가 다른 아이들을 불러 물을 달라고 하자 버릇없고 성품이 못 된 아이들은 어머니에게 물을 주지 않는다. 이에 화가 난 여인은 이런 나쁜 아이 들의 얼굴을 더 이상 보기 싫으니 자신을 새로 변하게 하여 시원한 물을 마시고 자유로운 하늘에서 날갯짓을 하게 해달라고 하늘에 기도한다. 여인은 그 소원이 이루어져 백조가 되어 날기 시작한다. 아이들은 어머니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울며 뒤쫓아 가지만 이미 백조로 변한 여인은 멀리 날아가 버린다. 2.1.2. 동물이 된 사람 1 사슴으로 변하는 바다여신(태평광기 480) 돌궐족의 조상은 사마사리( 射 摩 舍 利 )와 바다 여신( 海 神 )이다. 바다 여신은 아사득밀( 阿 史 得 密 )의 서쪽에 산다. 사마는 신이한 능력을 갖고 있었다. 바다 여신은 저녁마다 해가 지면 흰 사슴으로 변하여 사마를 만나 함께 바다 속으로 1) 아제르바이잔 편에서는 백조가, 우즈베키스탄 편에서는 새가, 투바 편에서는 두견새가 되었다.
84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들어가 아침이면 사마를 배웅한다. 2 사슴으로 변한 노인(Yalgin 1993: 418) 아나돌루 반도의 누르학 지방에 유수프 라는 한 사냥꾼이 사슴사냥을 떠났 다. 사냥에서 동굴 끝에 있는 한 사슴 떼와 마주쳤는데 사슴 떼 옆에는 흰 수염 의 노인이 있었다. 노인이 사냥꾼에게 말하기를, 나를 누구에게도 말하지 말 게, 네게 새끼사슴 한 마리를 주지. 그러나 유수프는 말을 듣지 않고 사슴 떼 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노인이 이것을 보자 곧 큰 숫사슴으로 변해서 유수프를 향하여 불쌍한 것! 이라 말하였다. 유수프는 바위를 건너 뛰어 가려 했는데 한 장막의 말뚝에 박혀 그만 죽어 버렸다. 2.1.3. 사람이 된 동물 1 처녀가 된 학(최원오 2000: 11) 2) 潔 白 의 天 鵝 가 날아와 淸 水 가 가득 묻은 버드나무 가지를 물고 와서 목동의 입에 넣었다. 天 鵝 의 도움으로 청년을 기력을 회복하고, 天 鵝 의 인도하에 한 호 숫가로 갔다. 호숫가에는 나무와 풀이 우거져 있었고, 흩어진 양 떼가 거기에서 풀을 뜯고 있었다. 목동이 매우 기뻐했다. 이때 天 鵝 가 羽 衣 를 벗고 아름다운 처녀로 변하였다. 이로부터 청년과 처녀는 호숫가에서 행복하게 살았다. 그들 은 양 떼를 방목하면서 아들딸을 낳았다. 그들의 후예를 카자흐라고 한다. 카자 흐(Kazak)는 kaz-ak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鵝 와 白 의 뜻이다. 합치면 白 鵝 또는 天 鵝 의 뜻이 된다. 2 처녀가 된 사슴(Radloff 2000: 89-94) 7년이 지난 후 제스테이 묑쾨는 사슴의 발자국을 따라 가기 시작하였다. 사슴의 발자국은 마치 오늘 지나간 발자국처럼 선명하였다. 제스테이 묑쾨가 2) 재인용. 耿 金 聲 著. 1995. 西 北 民 族 文 學 史. 北 京 : 天 津 古 籍 出 版 社. pp. 46-47.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85 사슴의 발자국을 한 발 한 발 따라 가다 보니 어느 돌집에 이르렀다. 그 집에 들어가니 그곳에 한 처녀가 살고 있었다. 그가 집에 들어가 보니 자신의 혁대, 털모자, 옷 등이 걸려 있었다. 제스테이 묑쾨가 그 처녀에게 이것들이 자신의 것과 비슷하다고 이야기하자 처녀는 자신이 7년 전 엄마사슴과 함께 제스테이 묑쾨를 찾아가 그가 짜 준 암소의 젖을 먹고 다리가 나은 절뚝발이 사슴이라고 말하며, 그때 자기가 제스테이 묑쾨의 옷가지 등을 가져 왔고 그 당시 엄마사슴 이 자신의 신랑감으로 제스테이 묑쾨를 맘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하 였다. 2.1.4. 동물이 무생물로 변신 1 별이 된 동물(Ergun 1997: 869, 873) 옛날에 어느 마을에 고아인 소년이 있었다. 이 소년은 커서 능숙한 사냥꾼이 되었다. 그의 눈에 띄면 살아남는 동물이 없을 정도로 수많은 동물을 잡아 죽 였다. 어느 날 사람들이 사냥꾼에게 너는 신의 명령에 따라 그렇게 동물들을 죽이는 거냐, 아니면 네 생각에 의해 죽이는 거냐? 라고 묻자 내가 죽이고 싶 은 것을 죽이고 사냥하고 싶은 것을 사냥하지, 신이 누구요 라고 대답한다. 그 후 어느 날 사냥꾼이 사냥하러 가는데 길에서 사슴 세 마리를 보고 쫓기 시작 하자 사슴들은 도망가다 하늘로 올라갔다. 사냥꾼도 사슴들을 쫓아 하늘로 올 라갔다. 사냥꾼과 같이 말과 사냥개도 하늘로 올라가 모두 하늘의 별이 되었다. 오늘날까지 그들은 하늘에서 반짝이고 있고 피 묻은 사냥꾼의 활도 같이 있다. 2.1.5. 동물이 다른 동물로 변신 1 사슴으로 변한 말(Radloff 2000: 124) 말이 황금빛 뿔을 가진 암사슴으로 변했다. 이 땅을 내가 없애지 않으면 나를 아이카라스(Aykarasi)의 새끼라고 부르지 마라.
86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이 세상은 내게 저주의 땅이다. (라고 말하는) 이 암사슴의 울부짖음을 듣고 하늘의 차얀 神 과 땅의 아이나 神 도 울고 말았다. 2 토끼로 변한 당나귀(Ergun 1997: 318, no. 725.2) 사람들로부터 모진 학대를 견디지 못한 당나귀가 알라에게 기도해서 토끼로 변한다. 2.1.6. 무생물이 동물로 변신 1 뱀이 된 끈(Ergun 1997: 320, no. 731) 신(텡그리)이 세상을 창조하자 한 귀신이 와서 땅을 달라고 원한다. 귀신의 성화에 못 이긴 신은 귀신에게 한 끈 길이의 땅을 준다. 귀신은 끈을 조각 내어 땅에 던진다. 조각 난 끈은 뱀이 된다. 이것을 본 신이 화가 나서 귀신을 내쫓 는다. 귀신은 악귀가 되어 하늘로 오른다. 악귀는 곰을 창조한다. 2 뱀이 된 금(Ergun 1997: 313, no. 672) 한 새색시가 발견한 금들을 남편에게 숨기고 거짓말을 하자 금들은 모두 뱀 으로 변한다. 3 거북이로 변한 빵(Ergun 1997: 312, no. 660) 빵집 주인이 화덕에서 빵을 굽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한 여인이 빵을 원하자 빵을 주지 않는다. 이에 빵이 모두 거북이로 변한다. 4 용이 된 염주(Ergun 1997: 316, no. 696) 이슬람 스승에게 장군이 화를 내자 스승은 자기 손에 있는 염주를 그를 향하 여 던진다. 그러자 염주가 용이 된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87 2.2. 동물변신의 동기에 따른 분류 자료로 활용된 튀르크 설화 속에서 동물로 변신하게 된 동기는 크게 다음 세 유형으로 나타난다: 1) 부끄러움에 의한 변신 2) 저주에 의한 변신 3) 두려움에 의한 변신 2.2.1. 부끄러움에 의한 변신 1 거북이가 된 새색시(Ergun 1977: 476) 어느 날 새색시가 목욕하러 물가로 갔다. 목욕을 하고 물에서 나올 때 누군 가가 숨어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새색시는 창피해서 갖고 있던 대야로 자신을 감추며 알라에게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을 구해 줄 것 을 기도한다. 새색시의 소원이 이루어지며 거북이로 변한다. 그때부터 거북이 는 인간을 보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머리를 자기 껍데기 속에 집어 넣어 숨는다. 2 곰이 된 남자(Ergun 1977: 713) 옛날에 아주 힘세고 겸손한 한 남자가 살았는데 이 사람이 얼마나 밥을 많이 먹는지 식구들이 놀리고 조롱하였다. 남자는 매우 슬퍼하며 어느 날 끈을 가지 고 나무하러 산에 갔는데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가 곰으로 변하 였고 끈도 아이비(hedera helix)가 되었다고 한다. 2.2.2. 저주에 의한 변신 1 물고기가 된 마을사람들(Ergun 1977: 372) 이즈미르에서 40km 떨어진 곳에 있는 카라괼(Karagol 黑 湖 ) 설화이다. 옛날 야만라르(Yamanlar) 산의 꼭대기에 한 마을이 있었다고 한다. 이 마을에 어느 날 흐즈르(Hizir)가 거지꼴로 와서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러나 어느
88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다. 마침내 어느 여인의 집에 들어가서 그 여인에게 나 에게 빵 좀 주겠소? 라고 말하자 여인은 지금 뵈렉을 굽고 있는데 다 되면 드 릴게요 라고 했다. 뵈렉이 다 되어 여인이 흐즈르에게 뵈렉을 주니 흐즈르는 빨리 이곳을 벗어납시다 고 말하고 뒤돌아보지 말 것을 당부하며 이곳이 없어 질 것이라고 얘기했다. 조금 후에 보니 마을이 정말 없어지고 모든 곳이 물로 덮여 버리고 마을 사람들도 물고기가 되었다. 이 물은 일 년에 한 번씩 울부짖 는다고 한다. 2 곰이 된 카라트 칸(Ergun 1977: 713 알타이 편, 873 텔렌기트 편) 알타이 지방에서 곰은 원래 카라트 칸이라는 이름의 사람이었다. 어느 날 카 라트 칸이 왹쉬수 울을 불러 에르릴의 여우 가죽으로 만든 모자를 가져오게 보 냈다. 왹쉬스 울은 에르릭의 성전에 도착하여 에를릭이 밖으로 나오게 하기 위 해 밖에서 시끄럽게 했더니 에를릭이, 무슨 일이야 라고 말하며 머리를 문 밖 으로 내밀자 왹쉬스 울은 때를 맞춰 그의 머리에 있는 여우털로 만든 모자를 낚아 채 도망갔다. 에를릭이 뒤에서 내 모자를 왜 가져가는 거야? 라고 소리 지르자 카라트 칸이 가져 오라고 했다 고 말했다. 이 말에 에르릭은 카라트 칸을 저주하며 카라트 칸은 곰이, 그의 아내는 돼지가 되어 그 모양 그대로 살 아라 고 말했다. 이후로 카라트 칸과 그의 아내는 곰과 돼지가 되어 숲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3 돼지가 된 남자(Ergun 1977: 494 튀르크메니스탄 편) 옛날에 한 어부가 있었다. 그는 매일 물고기를 잡았는데 그가 잡은 물고기가 날이 갈수록 수가 줄어들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어부가 살펴보니 생선을 좋아 하는 어떤 사람이 훔쳐 먹는 것이었다. 어부는 도둑질하는 현장에서 그 남자를 잡아, 돼지가 되어라 고 저주하였다. 이에 그 남자는 돼지가 되었고 이러한 이 유로 돼지는 생선을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89 2.2.3. 두려움에 의한 변신 1 기름을 쏟아 새가 된 소녀(Ergun 1977: 363) 아이든(Aydin)에 한 소녀가 있었다. 어느 날 부모님이 들에 나간 동안 집에 남아 음식을 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는 기름을 큰 항아리에 담았는데 소녀가 항아리에서 기름을 따를 때 항아리가 넘어지며 기름이 땅에 쏟아졌다. 소녀는 부모님이 오시면 어떻게 기름이 쏟아졌는지 얘기하나, 어떻게 설명하나 하며 알라시여, 나를 새로 변하게 해 주세요 라고 기도하자 알라는 곧 소녀를 새로 변하게 하였다. 소녀는 부모님이 오시자 엄마, 두려웠어요, 내가 기름을 쏟았 어요, 두려웠어요, 기름을 쏟았어요. 라며 새가 되어 어머니에게 설명했다. 2 자고새의 기원(Ergun 1977: 479 아제르바이잔 편) 옛날에 한 하녀가 있었는데 주인의 빗을 쓰고 주머니나 옷 사이에, 혹은 구 멍이 나 있는 벽에 집어넣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주인이 머리를 감고 빗을 가 져 오라고 했는데 하녀는 빗을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 버렸다. 아무리 생각해도 어디에 두었는지 생각이 나지 않는다고 주인에게 말하자 주인은 빗을 훔쳤다고 꾸짖는다. 이에 하녀는 부끄럽고 창피해 식은땀을 흘리며 자신은 도둑이 아니 며 단지 어디에 두었는지 생각이 나지 않는 거라고 설명하지만 주인은, 그렇 다면 이웃이나 네 친척에게 준 거로군. 이라고 말하며 하녀를 의심한다. 하녀 는 도둑으로 몰리는 자신이 더 이상 이 집에 살 수 없고 쫓겨날 것을 생각하며 신께 간구한다. 신이시여, 부끄럽고 창피해서 살 수 없어요, 나를 돌이나 새로 변하게 해 주세요 소녀는 즉시 자고새(rancolinus)로 변하는데 그때 빗을 어디 에 두었는지 생각이 난다. 자고새가 된 소녀는 주인에게 주머니에 있어요, 주 머니에 있어요 라며 빗을 찾았다고 집의 정원을 돌아다니며 울부짖고 있다. 2.3. 동물변신의 자의성에 따른 분류 자료로 활용된 설화 속에서 동물로 변신될 때 자의성에 따라 타의적 변신인
90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지 자의적 변신인지 분류할 수 있다. 2.3.1. 타의적 변신 1 올빼미(부엉이)의 기원(Ergun 1977: 491. 튀르크메니스탄 편) 옛날에 한 성에 구두쇠 영감이 있었는데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물게 했 다. 과중한 세금에 시달리던 백성들이 어느 날 무함마드 선지자에게 찾아가 자 신들의 어려운 형편을 설명하며 이 부자가 고리대금업을 하며 자기의 이익을 챙기면서 백성들로부터 폭리를 취하며 자신의 재물을 모아 이슬람의 법을 어기 고 있다고 참소했다. 이에 선지자가 알라께 기도하고 다음날 백성들에게 말하 기를, 알라의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들은 이 부자를 떠나 이주하여, 그 가 혼자 내버려져 외로움의 고통을 겪게 하십시오. 백성들은 선지자의 명령에 따라 하룻밤 사이에 그 성으로부터 빠져나와 이주해 버렸다. 그 다음 날 부자 가 일어나 성 안에 아무도 없자 자신이 한 일들을 뉘우치기 시작했다. 백성들 의 저주로 인해 그 부자는 그 성에서 부엉이가 되었다. 2 젖소가 된 소년(Ergun 1977: 292, no. 509) 남매가 양을 몰다가 오빠가 갈증이 나서 젖소의 오줌을 먹자 오빠가 젖소로 변한다. 이것을 본 여동생이 새가 되기를 희망하자 새로 변한다. 3 고양이가 된 여인(Ergun 1977: 313, no. 676) 고양이는 옛날에 사기꾼 여자였는데 신(tanri)이 고양이로 만들었다. 2.3.2. 자의적 변신 1 제비로 변한 목동 파디샤의 딸 바하르는 아버지의 양을 치는 목동을 사랑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파디샤는 목동을 낭떠러지에서 떨어뜨린다. 목동은 공중에서 제비로 변한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91 2 쥐가 된 사냥꾼(Ergun 1977: 869) 옛날에 쥐는 능숙한 사냥꾼이었다고 한다. 어느 날 사냥꾼이 사냥을 하러 나 갔는데 길에서 한 마리 새를 보았다. 즉시 화살을 꺼내 쏘았다. 화살은 새의 꼬 리에 맞았으나 새가 죽지 않자 사냥꾼은 새가 죽지 않은 것에 화를 내며 자기 의 엄지손가락을 부러뜨리고 땅속으로 들어가면서 자기 자신에게, 이제부터 나는 1년에 넉 달만 지상에 나오겠어. 라고 말하곤 쥐가 되어 버렸다. 2.4. 변신 능력의 유무에 따른 분류 다음은 스스로 동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신이한 존재들이 등장 한 설화이다. 1 사슴으로 변한 부처(Ruben 2004: 33-36) 단티팔라(Dantipala)왕이 신하들과 사냥에서 많은 사슴들을 포획하였는데 또 다른 산에서 500여 마리의 사슴을 만났다. 그 사슴 떼 가운데 매우 아름다운 금 빛 사슴 한 마리가 있는데 바로 사슴의 왕이다. 그러나 이는 사슴으로 현현한 부처였다. 2 사슴으로 변한 말(Radloff, 2000: 124) 말이 황금빛 뿔을 가진 암사슴으로 변했다. 이 땅을 내가 없애지 않으면 나를 아이카라스(Aykarasi) 3) 의 새끼라고 부르지 마라. 이 세상은 내게 저주의 땅이다. (라고 말하는) 이 암사슴의 울부짖음을 듣고 하늘의 차얀 신( 神 ) 4) 과 땅의 아이나 신( 神 )도 울고 말았다. 3) 말( 馬 )의 이름이다. 4) 생명을 주관하는 神 의 이름이다.
92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2.5. 변신의 항구성에 따른 분류 자료에 나타난 설화에서 변신의 항구성에 따라 완전변신과 일시적 변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미 살펴본 자료 가운데 완전변신은 새의 기원이나 동물로 변신한 전설류의 설화가 이에 속한다. 한편 사슴으로 변한 바다여신, 사슴으로 변한 노인, 처녀가 된 사슴, 사슴으로 변한 부처, 사슴으로 변한 말 등에서는 일 시적 변신을 볼 수 있다. 일시적 변신은 스스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신이한 존재로 나타나며 사슴 모티프에서 두드러진다. 5) 2.5.1. 완전 변신 1 기러기가 된 이리의 후손(주서 돌궐전; 김효정 2003: 89) 돌궐은 흉노족의 후예로 흉노 북방의 색국( 索 國 )에서 나왔다. 왕 아방보( 阿 謗 步 )에게는 17의 형제가 있었는데, 이 중의 한 사람 이질이사도( 伊 質 泥 師 都 )는 이리의 후손이었다. 이사도는 바람과 비도 다스렸다. 이 사람에게는 두 명의 아 내가 있는데, 하나는 여름 神 의 딸이고 다른 하나는 겨울 神 의 딸이다. 한 아내에 게서 네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 한 명은 흰 기러기가 되었고, 또 하나는 검수 ( 劒 水 ) 사이에 있는 아보수( 阿 輔 水 )에 나라를 세우고 나라의 이름을 계골( 契 骨 ) 이라 하였다. 2.5.2. 일시적 변신 1 토끼로 변하는 흐즈르(Hizir) 상략 싸툭 부우란 한(Satuk Bugra Han) 6) 이 12살이 되어 40명의 친구들 5) 튀르크족의 설화에 나타난 사슴 모티프에 대한 자세한 것은 다음을 참조하시오. 김효정(2006), 튀르크 설화 속에 나타난 사슴 모티프 연구. 6) 싸툭 부우라 한은 922년에 태어나 카라한 조를 920~958년 사이에 통치한 지도자로 932년 이슬람 종교를 수용하여 무슬림이 되었다. 튀르크족의 조상인 돌궐족은 유목민족의 고유한 신인 텡그리를 믿는 샤머니스트들이었는데 싸툭 부우라 한의 개종은 카라한 조를 역사상 최초로 무슬림 튀르크족 국가가 되게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튀르크족 역사상 특별한 존재로 그의 출생부터 시작된 이슬람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93 과 함께 사냥을 갔다. 토끼 한 마리를 쫓기 시작했는데 토끼 쫓는 데 정신이 팔 려 친구들과 헤어지게 되었다. 토끼를 쫓던 부우라 한은 갑자기 토끼가 노인으 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이 노인은 흐즈르(Hizir)였고 이슬람 종교적 교훈과 교 리에 대해 부우라 한에게 설파하였다. 하략 2 송골매로 변한 제스테이 묑쾨(Radloff 2000: 89-94) 7) 상략 제스테이 묑쾨가 처제를 구하고 도망가자 술에서 깨어난 제르 카 라가 그들의 뒤를 쫓는다. 이때 먼저 제르 카라 알프는 매로 둔갑하여 그들을 따라 가기 시작하였다. 한편 제스테이 묑쾨의 처제가 이 사실을 알고 제스테이 에게 제르 카라 알프가 매가 되어 자신들을 따라오고 있다고 하자 제스테이 묑 쾨는 곧 송골매로 둔갑한 후, 제르 카라 알프가 매가 되어 우리를 따라 오고 있기 때문에 나도 송골매로 둔갑하였다. 하략 3.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의 특징 3.1. 설화 속에 수용된 동물변신 모티프의 특징 3.1.1. 새 변신 모티프의 특징 튀르크 설화에서 동물변신 모티프 가운데 가장 보편적으로 수용된 동물이 조류 동물이다. 유라시아 튀르크족으로부터 수집된 새 변신 설화들 가운데 수 과의 관련이 묘사되어 있으며 그가 어떻게 이슬람을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배경으로 하는 싸툭 부 우라 한 설화 가 형성되었다(http://tr.wikipedia.org/wiki/Satuk_Bugra_Han_Destani 2010.06.10). 7) 제스테이 묑쾨 민담의 내용은 주인공 제스테이 묑쾨 라는 인물의 영웅담이지만 이 민담을 자 세히 분석해 볼 때 민담 속에는 여러 신화적 모티프와 함께 샤머니즘과 유목 민족적 사유의 세계를 반영하는 등 바라바 튀르크족 고유의 원초적 사유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슬람을 수용한 이후 19세기 중엽에 바라바 튀르크족들로부터 수집된 민담인데도 불구하고 이슬람 종교적 요소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그 형성시기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효정 2004: 217-234).
94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용된 새 모티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자신의 바람이나 소원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튀르크족이 좋아하는 새 유 형이며 이러한 새들은 튀르크족 가운데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2 형벌이나 저주에 의한 변신일 경우는 튀르크족이 혐오하는 새 유형이며 이러한 새들은 식용으로도 금지되어 있다. 3 형벌에 의한 새의 변신 모티프의 수용은 설화 속에서 교육과 훈육의 목적 으로 활용된다. 4 새 변신 모티프에서 무슬림 튀르크족들의 경우에는 알라에게 기도를 통해 서 현실화되며 비무슬림 튀르크족의 경우에는 그들의 기도 대상이 에를릭 (Erlik) 혹은 신들(tanrilar)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곰이 된 카라트 칸, 고양이 가 된 여인). 5 절대자 혹은 신적인 존재에게 돌이나 새, 동물 등으로 변하게 해달라고 간구하는데 대부분 언급된 순서대로 변신한다. 6 새의 기원과 관련된 설화들이 튀르크족 가운데 유사한 사건과 내용으로 전해 내려온다. 예를 들면, 가축들을 방목하다가 가축을 잃어버린 아이들 이 새가 되기 희망하여 새가 되는 모티프는 터키의 아나돌루 지역과 아제 르바이잔 및 튀르크메니스탄 등에서 동일한 사건과 내용이 전해온다(새 로 변한 동생, 두루미로 변한 오빠). 또한 가난한 청년에게 사랑에 빠진 공주가 결혼을 반대하는 자기의 아버지인 왕께 대들어 새로 변하는 모티 프도 터키의 디야르바크르와 아제르바이잔에서 동일하게 존재한다(Ergun 1997: 178). 7 유사한 사건과 내용에 의한 어떤 새의 기원이 다른 튀르크족에서는 그 새 가 아닌 다른 새의 기원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면, 어머니가 병이 들어 열 이 많이 나서 갈증이 나자 아이들이 물을 달라고 요청을 한다. 아이들은 자 신들이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 어머니에게 물을 주지 않는다. 화가 난 어머 니가 새가 되기를 기도하여 변신하는데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백조로, 투바 에서는 두견새로,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새로 묘사되었다(백조가 된 여인).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95 3.1.2. 새 이외 동물변신 모티프의 특징 에르군(1997)의 저서에서 기록된 변신된 동물 모티프의 목록을 no. 651-730까 지 살펴보면 동물변신 가운데 새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 모티프는 돼지와 거북이다(Ergun, 1997: 308-320, no. 651-730). 유라시아 튀르크족으로부 터 수집된 동물변신 설화들 가운데 수용된 동물변신 모티프는 다음과 같은 특 징이 있다: 1 돼지는 일반적으로 무슬림 튀르크족 가운데 사랑받지 못하는 동물로서 설화 속에도 종종 형벌과 저주로 인해 돼지로 변한다(돼지가 된 남자). 2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하는 동물이 거북이인데 수치와 부끄러움의 결과 로 변한다(거북이가 된 새색시). 3 위기 상황으로부터의 모면이나 저주로 인한 변신에는 곰 모티프가 많이 수용되었다(곰이 된 카라트 칸). 또한 남편의 학대에 못 견딘 부인이 알라 에게 자신이나 남편을 곰으로 변하게 해달라고 기도하는데 자신이 곰으 로 변한다. 여기서도 새 변신 모티프와 같이 먼저 언급된 자의 변신이 이 루어진다. 4 위기의 상황으로부터의 탈피에서 물고기 변신 또한 튀르크 설화에서 흔 한 모티프이다. 예를 들면, 외부인에게 보인 새색시가 남편에 의해 불 속 에 던져지자 물고기로 변하고, 불 속에 던져진 아브라함이 물고기로 변하 고, 산적들로부터 도망친 부부가 물고기로 변한다. 또한 알라의 이름을 부른 가난한 남자에게 보인 부인이 남편에 의해서 화덕에 던져지자 화덕 은 호수로 여인은 물고기로 변한다. 한편 사랑하는 여인을 잃어버린 청년 이 물고기로 변하기도 하고 흐즈르에 의해 마을 사람들이 저주를 받아 물 고기가 되기도 한다(물고기가 된 카라괼 마을 사람). 5 사랑을 이루지 못한 연인들이 변하는 동물 모티프에는 오리와 제비 모티 프가 수용되었다. 부모가 결혼에 반대하자 호수에 몸을 던진 젊은이들이 오리로 변하고 군주의 딸을 사랑한 목동을 군주가 낭떠러지에서 떨어뜨
96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리는데 목동은 공중에서 제비로 변한다(제비로 변한 목동). 6 무생물이 되는 동물 모티프에는 뱀, 거북이, 용이 수용된다(뱀이 된 끈, 뱀 이 된 금, 거북이로 변한 빵, 용이 된 염주) 3.2. 변신 모티프와 동물변신 모티프의 기능 본고에서 사용된 변신이란 현상적으로 존재하는 외형적 모습의 변형을 의미 한다. 변신 모티프는 결코 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고대 사회의 구성원들 에게 있어서는 있을 법한 것이며 황당무계하고 허무맹랑한 사고의 영역은 아니 었다. 과학이 발달하지 않은 원시 및 고대사회에서 삼라만상의 변화와 자연재 해는 인간으로 하여금 만물에 신성함을 부여하는 정령숭배 사상이나 토템 사상 적 사고를 낳게 했다. 변신 모티프는 이러한 고대 원시종교적 심성에서 등장하 게 된 것이다. 한 종족과 동물이나 식물 사이의 친족관계가 그들 사이의 연대 성을 강화하고 변신을 가능하게 하는 신화를 낳으며 신화는 변신사상을 가다듬 는다. 초월적 신성성을 지니는 신화에서부터 수용된 변신 모티프는 민담과 전 설 및 고소설에까지 이어져 내려온 원초적 의식의 반영인 것이다. 설화 속의 변신 모티프는 고대 심성의 주술적 사고방식이 가시화된 것으로 옛 사람들의 주술 심성이 그대로 이야기 속에서 융화되어 있는 것이다. 어떻게 되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의 원함이 그대로 실현되고 현실화된 듯한 허구의 이야기가 가장 소망스러운 현실인 것이다. 이상일(1994:51)에 의하면 설화 속의 변신 모티프는 히에로파니(성( 聖 )의 드러남), 에피파니(성( 聖 )의 시현( 示 顯 ))에서 시작되어 신 성의 짐승모습 닮기 혹은 신성의 사람모습 닮기로 이어진다. 8) 고대인들에게 강 한 동물이 지니고 있는 두려운 힘은 히에로파니, 즉 성의 드러남이었고 동물신 은 신성하고 강한 존재로서 에피파니, 즉 성의 시현( 示 顯 )으로 파악될 수 있었 8) 히에로파니(hierophany)와 에피파니(epiphany)는 엘리아데(1996:53-65, 82)가 그의 저서인 종교 형태론에서 사용한 그의 종교용어이다. 그에 의하면 히에로파니는 만물을 통해서 성( 聖 )이 드 러나는 양태이며 에피파니는 특정 대상에 대한 성의 시현을 표현한 것이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97 다. 아니엘라 야페(1995:292)는 모든 동물 모티프는 인간의 원시적이고 본능적 인 본성을 상징하며 거의 모든 인종의 종교와 종교적 예술에서 동물속성들은 최고의 신들에게 귀속되거나 신들이 동물로서 나타난다고 하였다. 튀르크 설화 에서 수용된 동물변신 모티프들도 동일하게 튀르크족의 원초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동물 모티프에 관하여 튀르크학 학자들 사이에도 서 로 다른 주장들이 있다. 지야 괵알프(Ziya Gokalp)는 이 동물들을 동물모신( 動 物 母 神 Ana-Hayvan)이며 동물모신이란 곧 토템이라고 하였다. 한편 튀르크 민 속학자 이난(A. Inan 1987:461)은 이러한 동물 모티프가 토템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보류하면서 야쿠트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동물모신(ijäkīl)과 관 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다음에서 튀르크족의 종족기원신화에서 수용된 동물 모티프들을 통해서 튀 르크족의 원초적 사유에 접근하고자 한다. 3.3. 동물 모티프와 튀르크족의 원초적 사유 튀르크족의 설화나 표현 예술에서 묘사되는 신화적 동물 가운데는 맹금류나 맹수들이 주로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그들의 삶의 터전이 유라시아 이고 유목민족인 것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최초로 등장한 유목민족인 스키타이 족의 전통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튀르크족의 신화적 동물로는 독수리, 매 등과 같은 맹금류 및 이리, 사자, 호랑이, 곰 등과 같은 맹수와 말, 사슴, 황소, 낙타, 닭 등이 있다. 3.3.1. 새 튀르크족에게 있어 새는 신의 전령사이다. 튀르크족의 종족신화와 신화성이 짙은 작품에서 새는 하늘과 연결된, 신성성을 나타내는 존재로 등장한다. 처녀 가 된 천학 은 카자흐족의 기원신화로 천학( 天 鶴 )이 날아와 아름다운 처녀로 변
98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하여 목동과 결혼 후 낳은 자손이 카자흐족의 조상이다. 카자흐족은 하늘로부 터 온 천학의 후손인 것이다. 기러기가 된 이리의 후손 은 돌궐족의 기원신화 인데 이리의 후손인 이질이사도의 네 아들 가운데 하나는 기러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기러기, 백조, 거위, 두루미, 독수리, 매, 비둘기 등과 같은 조류는 튀르 크 설화 속의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주요 모티프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라들로 프가 수집한 알타이-아바칸 천지창조신화에서는 하늘과 땅도 없고 해와 달도 없는 모든 것이 물뿐인 그때에 모든 존재의 시작이며 인류의 조상인 탄르 카라 한이 거위처럼 물 위를 날아다니고 있었다고 묘사한다(Ogel 1995: 553). 송골매 로 변한 제스테이 묑쾨 에서 제스테이 묑쾨와 제르 카라가 매와 송골매로 변신 하여 싸우는데 매와 송골매는 오우즈 튀르크족의 온곤(ongon)들이다. 9) 매와 송 골매의 결투 장면은 마치 샤먼들이 영역다툼을 하며 그의 동물모신끼리 싸우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에서 최초의 샤먼은 독수리와 여성의 교합에서 비롯되 었다고 한다. 샤먼은 샤머니즘의 종교적 의식과 구성원의 모든 행사를 진행할 뿐만 아니라 우주의 모든 영들과 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영매자이다. 10) 샤먼의 무복은 그 자체로 종교성을 나타낸다. 무복은 신성하고 거룩한 것으로 성( 聖 )의 임재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우주적 상징과 형이상학적 도정을 계시하기도 한 다. 샤먼들의 무복은 완벽한 상징체계를 구성하며 갖가지 영력과 영신들로 가 득 차 있다. 무복은 일반적으로 동물 모양의 주술적인 모습을 하는데 가장 전 형적인 모양 가운데 하나가 새 모양이다. 새 모양 가운데 샤먼들이 가장 모방 하기 좋아하는 새는 독수리이다. 무복에 새의 깃털이나 천을 달아 마치 새처럼 날개를 저어 다른 세계로 날아가는 것이다(엘리아데 1992: 148, 157). 9) 튀르크 신화(Turk Mitolojisi) 의 저자인 외겔(B. Ogel)은 이 온곤 새에 대하여 많은 지면을 할애 하여 자세히 다루면서 이것은 토템이 아닌 부족의 상징 혹은 문장( 紋 章 )이라고 주장하였다(B. Ogel 1989: 355-372) 10) 튀르크 민속학자 이난(A. Inan)은 고대 튀르크족의 샤머니즘과 현재 유라시아 야쿠트족과 알 타이족에게서 보이는 샤머니즘과는 현저히 구별된다고 주장한다. 유라시아에 거대한 제국을 형성했던 고대 튀르크족과 현재 수렵 및 원시적 농업에 종사하는 야쿠트족과 알타이족의 세계 관과 사고 및 종교적 견해는 달랐을 것이라는 주장이다(Inan 1954:1-2).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99 3.3.2. 이 리 이리를 신성시 여기는 것은 튀르크족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리 는 유라시아 여러 유목민족들의 신화적 동물로서 돌궐족이 발흥하기 이전 오손 이나 고차족 기원신화 및 징기스칸의 계보에도 신성한 동물로 등장한다. 이리 는 튀르크족의 문학작품에서의 주요 소재로 등장할 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곳곳 에서 발견되는 여러 튀르크족의 문화유산에서도 주요 모티프로 묘사되었다. 돌 궐족은 그들의 기원에 대한 어떤 기록도 남겨 놓지 않았으나 그들이 돌궐문자 로 남긴 비석들 가운데는 기원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이 부조되어 있어서 중국 의 연대기 속에 기록되어 있는 돌궐족의 기원이 사실임을 증명한다. 581년 제1 돌궐제국 시대에 세워진 부굿비문에는 이리의 젖을 빨고 있는 어린이가 부조되 어 있어서 튀르크족이 이리로부터 기원되었다는 중국기록의 신화가 사실임을 나타낸다(Turk Dunyasi Kultur Atlasi 1997: 186, 211). 부굿 비문의 이수에 묘사된 이리의 젖을 먹고 있는 아이, 이리 머리가 달린 홀이 그려져 있는 위구르 시대 의 프레스코 벽화, 이리가 새겨져 있는 암각화, 샤먼의 의상과 무구에 그려져 있는 이리 등 이들 모두는 종족과 시대는 달라도 연연히 이어 온 튀르크족의 이리를 신성시 여겨온 민족적 정서를 표출한 증거들인 것이다. 돌궐족의 종족기원 신화에서 조상인 이질사도는 이리의 후예이다. 또 다른 돌궐족의 신화에서는 암이리와 합하여 낳은 후예들이 돌궐족의 조상이라고 묘 사한다. 이리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튀르크족의 문학작품의 주요 소재 로 등장한다. 돌궐족의 기원신화에 등장한 이리는 특히 튀르크족의 신화적 동 물로서 대표되어 튀르크족을 상징한다. 유라시아에 구전되어 오는 서사시를 연 구한 포타닌(Potanin)은 이리 신화가 튀르크족으로부터 기원된 신화라고 주장 하며 터키의 튀르크학 학자 이난(A. Inan) 또한 튀르크족의 신화 가운데 가장 중요한 모티프로서 이리를 꼽는다. 튀르크 데스탄 가운데 키르기즈족의 백과사 전으로 여겨지는 마나스 데스탄에서도 이리는 신화적 동물로 묘사된다. 기록되 지 않은 튀르크족의 샤먼의 기도에서도 이리는 튀르크족의 신성한 대상으로 묘
100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사된다. 한편 오우즈 튀르크족의 데스탄인 코르쿠트 할아버지 이야기 모음집 (Dede Korkut Kitabi) 11) 에서도 이리 얼굴은 신성하다!(Kurdun yuzu Mubarek!) 라 고 표현되어 있다. 이리는 돌궐족의 신화 속에서 튀르크족의 조상으로서 묘사되더니 시대와 사 회의 변천에 따라 이리의 상징적 이미지는 오우즈 카간 설화에서 보는 것처럼 그들의 영토를 확장시켜 나가는 자신들을 지키는 수호자 및 안내자로 연결된 다. 이러한 이리 모티프는 현대 문학에서도 튀르크족의 기원과 정서를 나타내 는 신화적 소재로서 종종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대와 사회의 변천에도 불구하고 이리는 연연히 튀르크족 가운데 신화적 상징으로서 존재하여 온 것이 다. 오스만 제국의 군대가 연합군에게 계속 패배하고 있을 때 국민들과 함께 독립전쟁을 이끈 오스만 제국의 장군 케말파샤(아타튀르크)를 군대 앞에서 인 도하고 지휘하는 역사 속의 보즈쿠르트(잿빛이리)로 재현시키고 상징화한 것은 튀르크족의 원초적 사유와 정서 속에 존재하는 이리의 상징성을 나타낸 좋은 한 예이기도 하다(김효정 2003: 85-102). 3.3.3. 사 슴 사슴은 전 세계 구비문학과 표현예술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상징들 가운데 하나로 그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다. 사슴을 소재로 한 문양은 인도의 구석기시대 동굴벽화나 기원전 7000년경 소아시아의 초기 신석기 시대 주거유 적지인 차탈 회윅(Catal Hoyuk)에서도 발견된다. 동물 문양으로 유명한 스키타 이인들의 철과 금으로 만들어진 도끼에도, 유라시아의 초기 철기시대로 대표되 11) 코르쿠트 할아버지 이야기 모음집 은 오우즈족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데스탄이다. 수세기 동 안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던 구전문학을 16세기에 기록된 오우즈족의 대표적인 구비문 학 작품이다. 코르쿠트 할아버지는 데스탄즈(destanci) 라 하는 데스탄을 이야기하는 사람을 일 컬으며 민족전통시인이라 할 수 있다. 이야기에서 코르쿠트 할아버지는 미래를 예견하는 등 샤먼의 역할을 하여 오우즈족들은 그의 신통력을 믿어 중요한 일들을 그에게 와서 자문을 구한 다. 큽착 튀르크족과 기독교인들과의 전쟁에서 이 데스탄이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모 든 이야기 결말에는 항상 알라께 하는 기도로 끝을 맺는다.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101 는 기원전 5~4세기의 파지리크 문화에도 다양한 형태의 사슴 표현 예술들을 흔 하게 볼 수 있다. 20년 동안 고대인들의 상징적 기호를 연구한 우크라이나 출신 유대인 학자 아리엘 골란(2004: 156)은 사슴이 신화적 동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구석기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신화 자체는 중석기 시대에 형성되었다 고 주장한다. 12) 구석기 시대 때부터 존재해 온 것으로 보이는 사슴과 관련된 여러 증거들은 사슴이 인류의 정신세계에서 매우 오래전부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던 것을 말해준다. 사슴은 튀르크족이 불교나 이슬람교를 수용한 이후에도 사슴에 대한 신성성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설화와 암각화 및 샤머니즘 등에서 나타난 사 슴과 관련된 다양한 묘사는 일찍이 튀르크족 가운데 사슴은 거룩하고 구별된 동물로서 사슴에 대한 그들의 정서와 원초적 사유가 투영된 것이다. 돌궐문자 로 기록된 쿠툭 울라(Kutuk-Ula) 비문에는 사슴이 그려져 있으며 제2돌궐제국을 건설한 쿠틀룩 일테리쉬 카간(Kutlug Ilteris Kagan) 기념비에도 새 부리를 한 사 슴이 부조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예니세이 강 주변의 여러 비석에는 암사슴과 다양한 형태의 사슴들이 묘사되어 있다(Tekce 1993: 121). 이는 중국의 설화집 인 태평광기에 기록된 돌궐족의 기원신화가 이미 그들 가운데 회자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사슴은 이리와 더불어 튀르크족의 조상으로 신성시되어 온 튀르크족의 신화적 동물 가운데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돌궐비문에는 돌궐 제국 카간의 도장(damga)으로 사슴(야생염소) 문양이 그려져 있는데 이에 대하 여 튀르크 미술사학자인 에신(E. Esin 2004: 39)은 사슴(야생염소)이 돌궐족의 온곤(ongon)이라고 주장하였다. 사슴이 튀르크족의 신화적 동물로서 나타낸 다양한 신성성(에피파니)은 다 음과 같다(김효정 2006: 123-146): 1 사슴은 튀르크족의 조상으로 바다여신이다. 12) 사슴과 관련된 신화들을 최초로 수집하고 연구한 학자는 헝가리 학자 Gy. Moravcsik로 A Csodas-zarvas Mondaja a Bizanci Iroknal(비잔틴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신이한 사슴 신화 1914) 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102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2 사슴은 신( 神 )이 사랑하는 신성한 동물이다. 3 사람(부처)이 사슴으로, 사슴이 사람(부처)으로 변신한다. 4 길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5 사슴은 신령한 능력을 갖고 있는 동물이다. 6 사슴은 성인 혹은 샤먼의 탈것( 乘 用 )으로 사용된다. 7 사슴은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었다. 8 사슴 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신이한 존재로 인식된다. 3.3.4. 곰 곰은 튀르크족의 기원신화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본 연구과정에서 변신 모티 프로 가장 많이 등장한 동물이 곰이다. 유라시아 고대인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동물숭배 대상은 곰이다. 그들은 곰에 어떤 신성한 존재가 있다고 믿었 으며 곰을 죽임으로써 곰 안에 내재하는 신성한 존재를 자유롭게 한다고 생각 했다. 고대인들은 곰이 인간처럼 직립 보행을 하고 인간과 닮은 조상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믿음이 곰 숭배의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Ornek 1988: 96). 유 라시아의 샤머니즘에서도 곰은 숲을 주관하는 신으로 상징되며 곰이라고 부르 는 것조차 금기시된다. 샤머니스트들은 곰의 명칭을 부르기도 두려워하여 큽착 인들은 곰을 아바(aba 아버지) 라 부른다. 오늘날에 카라오울란(Karaoglan 黑 童 ) 이라고 불리는 것도 예전의 금기시하던 전통의 잔재라고 생각된다(Hassan 1986: 110). 유라시아 샤먼들의 곰 형상 무복은 북 시베리아 및 북서 시베리아에서 많 이 보이며 무복에 달려 있는 수많은 다양한 곰의 뼈들은 샤먼 자신이 곰의 형 상을 입음으로써 곰의 신령함과 능력을 소유하고자 하는, 곧 곰 자체로 나타나 고자 하는 바램인 것이다(Ogel 1971: 37-38).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103 4. 맺음말 튀르크족의 종족기원신화를 비롯한 여러 튀르크 설화 가운데 나타난 동물변 신 모티프들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고는 이를 변신 주체자, 변 신 동기, 변신의 자의성, 변신 능력의 유무, 변신의 항구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 하면서 그 유형들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튀르크 설화 가운데 가장 많이 등 장하는 동물변신 모티프는 새 모티프여서 새와 그 외의 동물 모티프로 구분지 어 유형별로 27개의 자료들을 소개하고 새변신 모티프와 동물변신 모티프에 나 타나는 각각의 특징과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각 유형에 따른 양상과 각 모티 프의 특징 및 기능을 고찰하면서 이들 동물변신 모티프들은 튀르크족의 원초적 사유와 관련이 있으며 자신들이 갖고 있는 동물에 대한 상징과 정서를 드러내 는 표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튀르크족의 종족기원신화는 동물 모티프들 을 등장시키면서 동물에 대한 튀르크족 고유의 원시적 사고와 유목민족 정서 및 세계관과 어우러져 나타난 증거인 것이다. [주제어: 튀르크 설화, 변신 모티프, 동물변신 모티프, 이리 모티프, 사슴 모티프]
104 지중해지역연구 제12권 제4호 [2010. 11] 참고문헌 김효정. 2003. 튀르크 문학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으로서의 이리 모티브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3-2호. 한국중동학회. pp. 85-102.. 2004. 튀르크족의 민담에 나타난 영웅의 특징.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6-2호. 한국중동학회. pp. 217-234.. 2006. 튀르크 설화 속에 나타난 사슴 모티브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6-2호. 한국중동학회. pp. 123-146. 아니엘라 야페 저. 1995. 이경덕 옮김. 시각예술의 상징, 인간과 상징. 까치. 이상일. 1994. 변신 이야기. 밀알. 최원오. 2000. 동아시아 알타이어계 민족의 민족기원신화에 나타난 특징 연 구. 구비문학연구, 제11집. Cagatay, Saadet. 1956. Turk Halk Edebiyatında Geyige Dair Bazı Motifler. Belleten. Ankara. pp. 127-158. Duzgun, Dilaver. 2007. Anadolu-Turk Folklorunda Geyik, http://www.millifolklor.com/tr/ kis. pp. 102-112. Ergun, Metin. 1997. Turk Dunyasi Efsanelerinde Degisme Motifi. Ankara. Esin, Emel 2004. Orta Asya dan Osmanlıya Turk Sanantında İkonografik Motifler. Istanbul. Hassan, Umit. 1986. Eski Turk Toplum Uzerine Incelemeler. Istanbul. Inan, Abdulkadir. 1954. Tarihte ve Bugun Samanizm. Ankara.. 1987. Ongon ve Tos Kelimeleri Hakkında. Makale ve Incelemeler. Ankara. Ogel, Bahaeddin. 1989. Turk Mitolojisi I. Ankara.. 1995. Turk Mitolojisi II. Ankara.
김 효 정 튀르크 설화 속의 동물변신 모티프 연구 105 Ornek, Sedat Veyis. 1988. 100 Soruda Ilkelerde Din, Buyu, Sanat Efsane. Istanbul. Radloff, Wilhelm. 2000. Turklerin Kokleri, Dilleri ve Halk Edebiyatı IV. Ankara. Ruben, Walter. 2004. Eski Metinlere Gore Budizm, Istanbul. Tekce, E, Fuat. 1993. Pazirik. Ankara: Kultur Bakanligi. Thompson, St. 1955-1958. Motif Index of Folk Literature. Bloomington. Yalgin, Ali Riza. 1993. Cenupta Turkmen Oymaklari II. Ankara. http://w3.gazi.edu.tr/web/giyaytas/turkkulturgeyik.htm (검색일자: 2010년 6월 20일). http://tr.wikipedia.org/wiki/satuk_bugra_han_destani (검색일자: 2010년 6월 10일). 논문접수일 : 2010년 10월 1일 심사완료일 : 2010년 10월 21일 게재확정일 : 2010년 10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