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³»Áö_10-6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国 內 唯 一 日 本 工 学. 産 業 技 術 情 報 図 書 館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 2 -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나하나로 5호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6년도 회비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납부하도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ROK-WhitePaper(2000).hwp

32 김 태 ' 목포시 시각 화면낭독S/W 센스리더베이직 350, ,000 35,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3 김 옥 ' 무안군 지적 의사소통보조기기 보이스탭 770, ,000 77,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4 최 섭 '8303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untitled

회원명단 대한척추신기술학회회원명단 연번 성 명 근무처 전공 이메일 회원구분 1 강 구 태 대구늘열린성모병원 정형외과 정회원 2 강 석 형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 정회원 3 권 성 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08학술프로그램

04 Çмú_±â¼ú±â»ç

04 특집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6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0001³»Áö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歯이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 D32C2F720BAB8C1F5B1DDC1F6BFF8C7FC20C0E5B1E2BEC8BDC9C1D6C5C320C0D4C1D6B4EBBBF3C0DAB8EDB4DC2E687770>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ePapyrus PDF Document

CR hwp

<91E6308FCD5F96DA8E9F2E706466>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019_2nd_guide_kr_0619.indd




2017 년공공기관개인정보보호관리수준진단설명회 (3 차 ) 일시 : ( 목 ) 14:00 ~ 18:00 장소 : 한국인터넷진흥원본원 15층대강당 * 성명 : 가, 나, 다순서 순번 이름 기관명 이메일 1 강 * 모 서울특별시청

¾Æµ¿ÇÐ´ë º»¹®.hwp

*팜플렛 A5양면2011-최종

제 호 소속 : 을지대학교 성명 : 임현성 귀하를본학회재무이사로위촉합니다.

주간의정동향 2014-제30호.hwp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Á¦190È£(0825).hwp

28 저전력복합스위칭기반의 0.16mm 2 12b 30MS/s 0.18um CMOS SAR ADC 신희욱외 Ⅰ. 서론 Ⅱ. 제안하는 SAR ADC 구조및회로설계 1. 제안하는 SAR ADC의전체구조




2.pdf

»êÇÐ-150È£

소식지수정본-1

#유한표지F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1362È£ 1¸é

광운소식65호출력

<C1A63132C8B820BFDCB1B9C0CEC5F5C0DAC0FCB9AEB0A120C6F7B7B32E687770>

2014ijµåÄ·¾È³»Àå-µ¿°è ÃÖÁ¾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CONTENTS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T hwp

03 ¸ñÂ÷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13 FIP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 ) ~ 11 1 ( ) : 310

¿µ¿øÇÑÄ£±¸µé-201È*

CC hwp

[ 표 34] 원하는차기대통상 [ 표 35] 안철수원장의출마에견해 [ 표 36] 안철수원장과야당후보와의단일화에대한견해 [ 표 37] 단일화할경우누가로단일화되어야하는지에대한견해 [ 표 38] 공천비리사건에대한박근혜후보의책임여부.

직접비에비례하여간접비가발생하지않는비목의일부를제외하거나 상한을설정하여산정한수정직접비에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 비율을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 이하의조정비율을적용하여 산정한조정간접비비율을직접비에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직접비규모별차별적인조정비율을 적용하

07변성우_ok.hwp

전기전자뉴스레터-여름호수정2

hwp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Quality of life in Mega City and Happiness of Seoul 메가시티의삶의질과행복서울

박선영무선충전-내지

00내지1번2번


RFID USN 8P PDF.ps, page Normalize

0904-6부 tta부록

DBPIA-NURIMEDIA


감사회보 5월

< FBBE7B0EDB3EBC6AE5FB5F0C6FAC6AEC6D0BDBABFF6B5E5C3EBBEE0C1A128BCF6C1A4292E687770>

Transcription:

ISSN 1016-9288 제42권 8호 2015년 8월호 제 4 2 권 제 8 호 ( ) 2 0 1 5 년 8 월 제 어 시 스 템 보 안 제어 시스템 보안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2. no.8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국내 에너지 산업 및 사이버보안 기술개발 동향 SCADA 시스템을 위한 보안기술 동향 산업제어시스템의 역할기반 접근제어 표준화 및 연구 동향 Control Area Network 보안 기술 동향 대 한 전 자 공 학 회 www.theieie.org

国 內 唯 一 日 本 工 学. 産 業 技 術 情 報 図 書 館

ICEIC 2016 http://www.iceic2016.o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CEIC) 2016 Jan 27 (Wed) Jan 30 (Sat), 2016 Hyatt Regency Resort & Spa, Danang, Vietnam Call for Papers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CEIC 2016) is a forum open to all the participants who are willing to broaden professional contacts and to discuss the state-of-the-art technical topics. Especially the participation from Asia-pacific region is encouraged. The general session of ICEIC 2016 will include more than 300 oral and poster presentations. In addition, the conference will offer special sessions, invited talk, keynote speeches, and tutorials to cover a broader spectrum of topics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EIC 2016 is soliciting papers in the following areas, but not limited: Regular sessions Communications Communication & Information Theories, Communication Networks & Systems, Microwave & Optics, Switching and Routing, Microwave, Antennas and Propagati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Wireless PAN/BAN, Future Networks Semiconductor and Devices Analog/Digital Circuits & Systems,, RF Integrated Circuits, Computer-Aided Design & Modeling, SoC Design & Applications, Semiconductors, Materials and Components, Lightwave and Quantum Electronics, PCB & Packaging, Solar Cell & Semiconductor Devices Computer and information Computer Systems & Applications, Software for Smart Systems,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Convergence Computing, and Multimedia, Graphics, Ubiquitous System, Information Security Signal processing Computer Vision, Digital Signal Processing, Digital Image/Video Processing, Audio, Speech & Acoustic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Vehicular Electronics, Instrumentation and Control, Power Electronics & Circuits Emerging Technologies Biomedical Electronics and Bioengineering, Bioelectronics, IT-Convergence, Renewable Energy, Car & Aviation IT Special sessions Special session proposals are invited to ICEIC 2016, and inquiries regarding your submission should be directed to TPC Chair (ihwang@kangwon.ac.kr). The proposal needs to be submitted to the TPC Chair by July 31, 2015. The proposal template can be found at our conference homepage. Best Paper Awards The authors of the best papers will be presented Gold, Silver, and Bronze awards. And the selected top quality papers will be recommended to be published on the Journal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JSTS) or a special issue of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Paper submission The prospective authors can submit their papers by selecting regular oral presentation or poster presentation. The regular papers are recommended to be in 2~4 pages and the poster papers in shortened 2-page format,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y the official website (http://www.iceic2016.org). Only the regular papers will be published in IEEE Xplore TM. Author s Schedule - Submission date: September 23, 2015 - Notification of acceptance date: October 28, 2015 - Final paper submission date: November 18, 2015 - General information: inter@theieie.org Organized by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IEIE) and locally co-organized by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The University of Danang, Vietnam Technically Co-Sponsored by IEEE Consumer Electronics Society

Authorized Dealer in Korea http://www.kitis.co.kr TEL. 02-3474-5290( 代 )

CONTENTS 제42권 8호 (2015년 8월) 학회소식 12 학회소식 / 편집부 14 학회일지 15 특집편집기 / 김영식 특집 : 제어 시스템 보안 16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 김영식 26 국내 에너지 산업 및 사이버보안 기술개발 동향 / 이동호 학회지 8월호 표지 (vol 42. No 8) 회지편집위원회 위원장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위 원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식 (조선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창 익 (KAIST 교수) 노 용 만 (KAIST 교수)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양 현 종 (UNIST 교수) 유 남 열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이 창 건 (서울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정 방 철 (경상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사무국 편집담당 변 은 정 과장(내선 1) TEL : (02)553-0255(대) FAX : (02)552-6093 학회 홈페이지 http://www.theieie.org 31 SCADA 시스템을 위한 보안기술 동향 / 송경영 38 산업제어시스템의 역할기반 접근제어 표준화 및 연구 동향 / 박경원, 임대운 46 Control Area Network 보안 기술 동향 / 김상효, 김영식 54 논문지 논문목차 정보교차로 56 국내외 학술행사 안내 / 편집부 66 특별회원사, 단체회원

The Magazine of the IEIE 2015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회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수석부회장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 총괄 고 문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김 경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김 흥 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신 종 균 (삼성전자 사장) 양 웅 철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 기 섭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장) 이 재 욱 (노키아티엠씨 명예회장) 이 희 국 (LG그룹기술협의회 사장) 천 경 준 (씨젠 회장) 감 사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황 승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부 회 장 박 현 욱 (KAIST 교수) - 회원, 지부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표준화, 회지편집, 교육/홍보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 영문논문지, 국제협력, 기획, 하계 안 승 권 (LG전자 사장) - 산학연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 ITC, 국문논문지, 추계, 사업 산업체부회장 김 창 용 (삼성전자 부사장) 박 성 욱 (SK하이닉스 사장) 소사이어티 회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 컴퓨터소사이어티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원장) -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 산업전자소사이어티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 통신소사이어티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 반도체소사이어티 협동부회장 곽 우 영 (현대자동차 부사장) 김 경 수 (만도 사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철 동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박 찬 구 (LS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송 문 섭 (엠세븐시스템 사장) 여 상 덕 (LG디스플레이 사장)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유 회 준 (KAIST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임 차 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성 호 (삼성전기 부사장)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이사) 최 길 천 (한능전자 회장)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허 염 (실리콘마이터스 대표이사)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상 임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 SPC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 재무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 사업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표준화 유 창 동 (KAIST 교수) - 국제협력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총무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 기획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산업체이사 고 요 환 (매그나칩반도체 전무)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진 선 (SK이노베이션 전무) 김 태 진 (더즈텍 사장) 김 현 수 (삼성전자 상무) 민 경 오 (LG전자 부사장) 박 동 일 (현대자동차 상무) 송 창 현 (네이버 이사) 오 의 열 (LG디스플레이 연구위원) 유 상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정 한 욱 (KT 상무) 조 영 민 (스카이크로스코리아 사장)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차 종 범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원장)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진 성 (SKT 전무)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홍 국 태 (LG전자 연구위원) 이 사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사업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 사업 김 문 철 (KAIST 교수) - 국제협력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표준화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 ICEIC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 총무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김 창 익 (KAIST 교수) - 회지편집 김 회 린 (KAIST 교수) - 국제협력 노 용 만 (KAIST 교수) - 회지편집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 추계/재무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 학술(추계)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 기획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 기획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 하계/총무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 표준화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 산학연 유 남 열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하계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 추계/총무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수 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교육/홍보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 사업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 산학연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 총무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 기획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 ITC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 학술(하계)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SPC 최 병 재 (대구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 기획 최 성 현 (서울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사업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현 경 숙 (세종대학교 교수) - 총무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 ITC 홍 성 철 (KAIST 교수) - 학술(추계)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 추계/기획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 SPC/기획 협 동 이 사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 사업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 사업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 기획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 SPC 김 동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 총무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 기획 김 영 식 (조선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 사업 김 종 훈 (KAIST 교수) - 표준화 김 준 모 (KAIST 교수) - 국제협력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 산학연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 총무 류 수 정 (삼성전자 상무) - 총무 박 재 영 (광운대학교 교수) - 표준화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 사업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 사업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 표준화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 산학연 우 중 재 (한서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 SPC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 추계/재무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 추계/총무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정 방 철 (경상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 SPC 조 면 균 (세명대학교 교수) - 사업 조 성 환 (KAIST 교수) - 국제협력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 표준화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최 세 호 (포스코 팀장) - 교육/홍보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최 진 호 (LG전자 수석연구원) - 사업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 SPC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 회지편집 지부장 명단 강 원 지 부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광주 전남지부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대구 경북지부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대전 충남지부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부산 경남 울산지부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전 북 지 부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제 주 지 부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충 북 지 부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호 서 지 부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일 본 지 부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미 국 지 부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The Magazine of the IEIE 자문위원회 위원회 명단 위 원 장 이 태 원 (명예회장) 부 위 원 장 박 진 옥 (명예회장) 위 원 김 덕 진 (명예회장) 김 도 현 (명예회장) 김 성 대 ( 교수) 김 수 중 (명예회장) 김 영 권 (명예회장)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나 정 웅 (명예회장)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박 규 태 (명예회장) 박 성 한 (명예회장) 박 송 배 (명예회장) 박 진 옥 (명예회장)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변 증 남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석좌교수) 서 정 욱 (명예회장)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문 기 (명예회장) 이 상 설 (명예회장)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충 웅 (명예회장) 임 제 탁 (명예회장)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교수) 홍 승 홍 (명예회장) 기획위원회 위 원 장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위 원 김 현 진 (단국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학술연구위원회 위 원 장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위 원 강 동 진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교 교수)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문 철 (KAIST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윤 선 (삼성전자 박사)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창 익 (고려대학교 교수)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 호 철 (을지대학교 교수)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박 종 선 (고려대학교 교수) 변 영 재 (UNIST 교수)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임 성 준 (중앙대학교 교수) 정 재 훈 (LG전자 박사)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논문편집위원회 위 원 장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안 성 수 (명지전문대학 교수)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최 현 용 (연세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국제협력위원회 위 원 장 유 창 동 (KAIST 교수) 위 원 김 문 철 (KAIST 교수) 김 성 웅 (퀄컴코리아 연구원) 김 준 모 (KAIST 교수) 김 회 린 (KAIST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서 진 수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이 준 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조 성 환 (KAIST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산학연협동위원회 위 원 장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위 원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정 석 재 (영진전문대학교 교수)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회원관리위원회 위 원 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윤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진 태 (건국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신 창 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조 성 재 (가천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회지편집위원회 위 원 장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위 원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식 (조선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창 익 (KAIST 교수) 노 용 만 (KAIST 교수)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양 현 종 (UNIST 교수) 유 남 열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이 창 건 (서울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정 방 철 (경상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사업위원회 위 원 장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위 원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고 중 혁 (중앙대학교 교수)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욱 (고려대학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박 강 령 (동국대학교 교수)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서 인 식 (라이트웍스 대표이사)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재 철 (삼성전자 박사)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조 면 균 (세명대학교 교수) 조 제 광 (LG전자 박사)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호 (LG전자 상무)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교육홍보위원회 위 원 장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부 위 원 장 이 수 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위 원 고 정 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덕 영 (부천대학교 교수) 김 동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정 구 (부산대학교 교수) 김 준 태 (건국대학교 교수) 류 시 복 (자동차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동 훈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이 석 필 (상명대학교 교수) 이 종 호 (서울대학교 교수) 임 기 택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최 병 재 (대구대학교 교수) 최 세 호 (포스코 부장)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표준화위원회 위 원 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위 원 강 희 훈 (여주대학교 교수)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구 정 래 (한국심사자격인증원 팀장)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병 철 (한양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옥 수 (인피니언코리아 이사)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종 훈 (KAIST 교수) 두 영 호 (현대오트론 책임연구원) 박 세 광 (경북대학교 교수) 박 장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박 재 영 (광운대학교 교수) 박 주 현 (픽셀플러스 실장) 신 성 호 (한국기술표준원 연구관)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윤 대 원 (법무법인 다래 이사) 이 경 범 (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민 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 이 상 근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상 미 (IITP 팀장)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이 서 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과장)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이 시 현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용 희 (한라대학교 교수) 이 종 묵 (SOL 대표) 장 미 혜 (연세대학교 교수) 장 현 수 ( 아이에이 부장)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좌 성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한 태 수 (국가기술표준원/표준협회 표준코디) 정보화위원회 위 원 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진 태 (건국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신 창 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정 연 모 (경희대학교 교수) 조 성 재 (가천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The Magazine of the IEIE 지부담당위원회 위 원 장 박 현 욱 (KAIST 교수) 위 원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선거관리위원회 위 원 장 박 성 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부 위 원 장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위 원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포상위원회 위 원 장 김 성 대 (KAIST 교수) 위 원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재정위원회 위 원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인사위원회 위 원 장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SPC위원회 위 원 장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위 원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이 재 훈 (고려대학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JSTS위원회 위 원 장 Hoi-Jun Yoo (KAIST) 부 위 원 장 Dim-Lee Kwong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위 원 Akira Matsuzawa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Cary Y. Yang (Santa Clara Univ.) Changsik Yoo (Hanyang Univ.) Chennupati Jagadish (Australian National Univ.) Deog-Kyoon Jeong (Seoul National Univ.) Dong S. Ha (Virginia Tech) Eun Sok Kim (USC) Gianaurelio Cuniberti (Dresden Univ. of Technology) Hi-Deok Lee (Chungnam Univ.) Hong June Park (POSTECH) Hyoungsub Kim (Sungkyunkwan Univ.) Hyungcheol Shin (Seoul National Univ.) Hyun-Kyu Yu (ETRI) Jamal Deen (McMaster Univ.) Jin-Koo Rhee (Dongguk Univ.) Jinwook Burm (Sogang Univ.) Jong-Uk Bu (Sen Plus) Meyya Meyyappan (NASA Ames Research Center) Min-kyu Song (Dongguk Univ.) Moon-Ho Jo (POSTECH) Nobby Kobayashi (UC Santa Cruz) Paul D. Franzon (North Carolina State Univ.) Rino Choi (Inha Univ.) Sang-Hun Song (Chung-Ang Univ.) Seung-Hoon Lee (Sogang Univ.) Shen-Iuan Liu (National Taiwan Univ.) Songcheol Hong (KAIST) Stephen A. Campbell (Univ. of Minnesota) Sung Woo Hwang (Korea Univ.) Tadahiro Kuroda (Keio Univ.) Tae-Song Kim (KIST) Tsu-Jae King Liu (UC Berkeley) Vojin G. Oklobdzija (Univ. of Texas at Dallas) Weileun Fang (National Tsing Hua Univ.) Woodward Yang (Harvard Univ.) Woogeun Rhee (Tsinghua Univ.) Yogesh B. Gianchandani (Univ. of Michigan, Ann Arbor) Yong-Bin Kim (Northeastern Univ.) Younghee Kim (Changwon National Univ.) Yuhua Cheng (Peking Univ.)

Society 명단 통신소사이어티 회 장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부 회 장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 사업 이 흥 노 (광주과기원 교수) - 학술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 재무/편집 감 사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김 병 남 (에이스테크놀로지 연구소장) 김 연 은 ( 브르던 대표이사) 김 영 한 (숭실대학교 교수) 김 용 석 ( 답스 대표이사) 김 인 경 (LG전자 상무) 남 상 욱 (서울대학교 교수) 류 승 문 ( 카서 대표이사) 박 용 석 ( LICT 대표이사) 방 승 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연 임 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연 철 흠 (LGT 상무) 오 정 근 ( ATNS 대표이사) 이 승 호 ( 하이게인 부사장) 이 재 훈 (유정시스템 대표이사) 이 종 창 (홍익대학교 교수) 정 윤 채 (삼성전자 전무)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정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이 사 김 광 순 (연세대학교 교수)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성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성 원 진 (서강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종 호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윤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인 규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임 종 태 (홍익대학교 교수)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허 서 원 (홍익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 통신연구회 유 제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 스위칭 및 라우팅연구회 조 춘 식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마이크로파 및 전파전파연구회 이 철 기 (아주대학교 교수) - ITS연구회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 정보보안시스템연구회 김 강 욱 (경북대학교 교수) - 군사전자연구회 류 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방송ㆍ통신융합기술연구회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무선 PAN/BAN연구회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 미래네트워크연구회 간 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김 광 순 (연세대학교 교수) 반도체소사이어티 회 장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자 문 위 원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신 윤 승 (삼성전자 고문) 신 현 철 (한양대학교 교수) 우 남 성 (삼성전자 사장) 임 형 규 (SK하이닉스 부회장) 감 사 정 진 균 (전북대학교 교수)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 수석부회장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 연구담당부회장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사업담당부회장 김 진 상 (경희대학교 교수) 학술담당부회장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총 무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박 종 선 (고려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편 집 이 사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학 술 이 사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정 연 모 (경희대학교 교수)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사 업 이 사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태 원 (넥셀 사장)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경 기 (대구대학교 교수)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동 현 (ICTK 사장)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준 석 (ADT 사장)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김 한 기 (코아로직 사장) 손 보 익 (LG전자 전무) 송 태 훈 (휴인스 사장) 신 용 석 (케이던스코리아 사장) 안 흥 식 (Xilinx Korea 지사장) 양 영 인 (멘토 사장)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이 도 영 (옵트론텍 사장) 이 윤 종 (동부하이텍 상무) 이 종 열 (FCI 부사장) 정 해 수 (Synopsys 사장) 정 희 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조 대 형 (스위스로잔연방공대 총장수석보좌관)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태 제 (삼성전자 마스터)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황 규 철 (삼성전자 상무) 재 무 이 사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 회 원 이 사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 반도체 재료 및 부품연구회 오 민 철 (부산대학교 교수) - 광파 및 양자전자공학연구회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SoC설계연구회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 RF 집적회로연구회 정 원 영 ( 다우인큐브 상무) - PCB & Package연구회 간 사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문 용 (숭실대학교 교수) 전 경 구 (인천대학교 교수) 어 영 선 (한양대학교 교수)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The Magazine of the IEIE 컴퓨터소사이어티 회 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명 예 회 장 김 형 중 (고려대학교 교수) 박 인 정 (단국대학교 교수)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신 인 철 (단국대학교 교수)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임 기 욱 (선문대학교 교수)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감 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부 회 장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영 학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본부장) 김 천 식 (세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 Agerigna 회장)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조 병 순 ( 시엔시 인스트루먼트 사장) 총 무 이 사 박 수 현 (국민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재 무 이 사 김 진 홍 (한성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 홍 보 이 사 황 인 정 (명지병원 책임연구원) 편 집 이 사 강 병 권 (순천향대학교 교수) 기 장 근 (공주대학교 교수) 변 영 재 (UNIST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이 석 환 (동명대학교 교수) 진 훈 (연세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 학 술 이 사 강 상 욱 (상명대학교 교수) 김 대 휘 ( 경봉 대표이사)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성 길 ((주)K4M 이사) 김 종 윤 (경동대학교 교수) 김 홍 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노 소 영 (월송출판 대표이사) 박 세 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박 승 창 ( 유오씨 사장)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오 승 훈 (LG C&S 과장) 우 운 택 ( 교수) 유 성 철 (LG히다찌 산학협력팀장)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성 로 (목포대학교 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허 준 (경민대학교 교수) 논문편집위원장 연구회위원장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 융합컴퓨팅 연구회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 인공지능/신경망/퍼지 연구회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멀티미디어 연구회 진 훈 (연세대학교 교수) - 유비쿼터스시스템 연구회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 M2M/IoT 연구회 신호처리소사이어티 회 장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감 사 강 상 원 (한양대학교 교수) 김 응 규 (한밭대학교 교수) 부 회 장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김 문 철 (KAIST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강 동 욱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CP) 김 진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장)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변 혜 란 (연세대학교 교수) 신 원 호 (LG전자 상무) 양 인 환 (TI Korea 이사)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이 병 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지 인 호 (홍익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이 사 강 현 수 (충북대학교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김 남 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원 하 (경희대학교 교수)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해 광 (세종대학교 교수) 박 구 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서 정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신 지 태 (성균관대학교 교수)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유 양 모 (서강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장 길 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협 동 이 사 이 창 우 (카톨릭대학교 교수) 권 구 락 (조선대학교 교수) 김 기 백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환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재 곤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호 종 (광운대학교 교수) 서 영 호 (광운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신 재 섭 ( 픽스트리 대표이사)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예 종 철 (KAIST 교수) 이 기 승 (건국대학교 교수) 이 종 설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양 현 종 (UNIST 교수) 임 재 윤 (제주대학교 교수) 장 세 진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승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홍 성 훈 (전남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김 무 영 (세종대학교 교수) - 음향및신호처리연구회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 영상신호처리연구회 김 창 익 (KAIST 교수) - 영상이해 연구회 예 종 철 (KAIST 교수) - 바이오영상신호처리연구회 총 무 간 사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회 장 오 상 록 (KIST 분원장) 자 문 위 원 김 덕 원 (연세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박 종 국 (경희대학교 교수) 서 일 홍 (한양대학교 교수)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 부 회 장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 감 사 김 영 진 (생산기술연구원 박사)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총 무 이 사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김 용 태 (한경대학교 교수) 재 무 이 사 김 준 식 (KIST 박사) 최 영 진 (한양대학교 교수) 학 술 이 사 김 용 권 (건양대학교 교수) 박 재 흥 (서울대학교 교수) 서 성 규 (고려대학교 교수) 편 집 이 사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기 획 이 사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이 덕 진 (군산대학교 교수) 최 현 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사 업 이 사 고 낙 용 (조선대학교 교수) 이 경 중 (연세대학교 교수) 이 석 재 (대구보건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산학연이사 강 대 희 (유도 박사)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홍 보 이 사 김 호 철 (을지대학교 교수) 박 재 병 (전북대학교 교수) 유 정 봉 (공주대학교 교수) 여 희 주 (대진대학교 교수) 회 원 이 사 변 영 재 (UNIST 교수) 이 학 성 (세종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한 수 희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제어계측 연구회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 회로및시스템 연구회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 의용전자 및 생체공학 연구회 김 규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전력전자 연구회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능로봇 연구회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 국방정보및제어 연구회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 자동차전자 연구회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 의료영상시스템 연구회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 스마트팩토리 연구회 산업전자소사이어티 회 장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명 예 회 장 김 장 권 (대림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김 병 화 (동원대학교 교수)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감 사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부 회 장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지 부 장 김 윤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 강원지부 송 도 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 충청지부 김 태 용 (구미대학교 교수) - 영남지부 송 정 태 (동서울대학교 교수) - 경기지부 이 종 하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 호남지부 협동부회장 강 현 웅 (핸즈온테크놀러지 대표) 곽 은 식 ( 경봉 부사장) 김 연 길 (DB정보통신 부장) 김 영 주 (훼스텍 이사) 김 응 연 ( 인터그래텍 대표) 김 정 석 ( ODA테크놀러지 대표이사) 김 종 부 (인덕대학교 교수) 김 종 인 (LG엔시스 본부장) 김 진 선 (청파이엠티 대표) 김 창 일 (아이지 대표) 김 태 형 (하이버스 대표) 남 승 우 (상학당 대표) 박 용 후 (이디 대표) 박 현 찬 (나인플러스(EDA) 대표) 서 영 석 (판도라시스템 대표) 성 재 용 (오픈링크시스템 대표) 송 광 헌 ( 복두전자 대표) 윤 광 선 ( LG전자 서비스 부장) 이 영 준 ( 비츠로시스 본부장) 임 일 권 ( 에이시스 상무) 장 철 (엘지히다찌 전무) 장 대 현 ((주)지에스비텍 상무)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 최 영 일 (조선이공대학교 교수) 이 사 강 동 진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교 교수) 강 민 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강 희 훈 (여주대학교 교수) 고 정 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곽 칠 성 (재능대학교 교수)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오 복 (국제대학교 교수) 권 오 상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경 복 (경복대학교 교수) 김 덕 수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김 덕 영 (부천대학교 교수) 김 상 범 (인천폴리텍대학 교수) 김 선 태 (직업능력개발원 박사) 김 영 로 (명지전문대학 교수) 김 영 준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박 종 우 (재능대학교 교수) 박 진 홍 (혜전대학교 교수) 방 경 호 (명지전문대학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배 효 관 (동원대학교 교수) 백 승 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변 상 준 (대덕대학교 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신 진 섭 (경민대학교 교수) 신 용 조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신 철 기 (부천대학교 교수) 심 완 보 (충청대학교 교수) 안 성 수 (명지전문대학 교수)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엄 우 용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오 태 명 (명지전문대학 교수) 용 승 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우 찬 일 (서일대학교 교수) 이 동 영 (명지전문대학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상 철 (재능대학교 교수) 이 승 우 (동원대학교 교수) 이 시 현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종 성 (부천대학교 교수) 이 태 동 (국제대학교 교수) 이 종 근 (부천대학교 교수) 장 기 동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장 성 석 (영진전문대학 교수) 정 석 재 (영진전문대학 교수) 정 환 익 (경복대학교 교수) 조 정 환 (김포대학교 교수) 주 진 화 (오산대학교 교수) 최 선 정 (국제대학교 교수) 최 의 선 (폴리텍아산캠퍼스 교수) 최 현 식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교수) 황 수 철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허 윤 석 (충청대학교 교수) 협 동 이 사 강 현 석 (로보웰 코리아 대표) 김 민 준 (씨만텍 부장) 김 세 종 (SJ정보통신 이사) 김 순 식 ( 청파이엠티 부장) 김 현 성 (DB정보통신 부장) 박 근 수 (지에스비텍 부장) 서 봉 상 (올포랜드 이사)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오 승 훈 (LGCNS 과장) 오 재 곤 (콤택시스템 이사) 유 성 철 (LG히타치 차장) 이 재 준 (한백전자 부장) 이 현 성 ( 프로랩 팀장) 조 한 일 (투데이게이트 이사) 한 상 우 ( 인터그래텍 과장)

The Magazine of the IEIE 제20대 평의원 명단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의 성 (순천대학교 교수)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강 훈 (중앙대학교 교수)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고 요 환 (SK하이닉스 고문)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곽 우 영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 구 경 헌 (인천대학교 교수)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권 순 철 ((전)KT ENS 대표이사)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권 오 현 (삼성전자 부회장)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경 수 (만도 사장)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경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덕 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문 철 (KAIST 교수)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성 대 (KAIST 교수) 김 성 진 (경남대학교 교수)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수 중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시 원 (삼성전자 부장)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권 ((전)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 총장)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김 주 신 (만도 사장) 김 준 모 (KAIST 교수) 김 진 선 (SK컨티넨탈이모션 대표이사)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창 용 (삼성전자 부사장) 김 창 익 (KAIST 교수) 김 창 현 ((전)삼성전기 부사장) 김 철 동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태 진 (더즈텍 사장) 김 태 찬 (고려대학교 박사)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김 회 린 (KAIST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나 정 웅 (KAIST 명예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남 상 욱 (서울대학교 교수) 노 용 만 (KAIST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류 수 정 (삼성전자 상무) 류 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민 경 식 (국민대학교 교수) 민 경 오 (LG전자 전무)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박 규 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박 길 흠 (경북대학교 교수) 박 래 홍 (서강대학교 교수) 박 민 식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박 병 하 (삼성전자 전무) 박 성 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박 성 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박 진 옥 (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박 찬 구 (LS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찬 용 (LG전자 수석연구원)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박 현 욱 (KAIST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백 흥 기 (전북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변 증 남 (KAIST 명예교수) 서 경 학 (한국연구재단 단장)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서 정 욱 ((전) 과학기술부 장관)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송 문 섭 (엠세븐시스템 사장)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송 창 현 (네이버 이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신 종 균 (삼성전자 사장)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안 기 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안 승 권 (LG전자 사장)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양 웅 철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여 상 덕 (LG디스플레이 사장)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원장)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원 치 선 (동국대학교 교수) 위 재 경 (숭실대학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유 제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유 창 동 (KAIST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유 회 준 (KAIST 교수)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문 기 ((전) 연세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설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석 희 (SK하이닉스 전무)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이 승 훈 (서강대학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윤 식 (전자부품연구원 수석연구원) 이 윤 우 (삼성전자 상임고문)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이 천 희 ((전) 청주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충 웅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 태 원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이 형 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위원)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희 국 (LG기술협의회 사장)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Newmmatrix(HongKong)co.,Ltd Board)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 임 익 헌 (전력연구원 처장)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임 제 탁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임 차 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임 형 규 (SK텔레콤 부회장)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경 훈 (삼성전자 부사장)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전 성 호 (삼성전기 부사장)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정 원 영 (다우인큐브 전무)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교수)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한 욱 (ITS 대표이사)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이사) 진 훈 (성균관대학교 교수) 진 훈 (연세대학교 교수) 천 경 준 (씨젠 회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성 현 (서울대학교 교수)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성 (SK텔레콤 전무)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허 염 (실리콘마이터스 사장)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홍 국 태 (LG전자 상무)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홍 성 철 (KAIST 교수) 홍 승 홍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황 승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사무국 직원 명단 송기원 국장 - 업무총괄, 기획, 자문, 산학연, 선거 이안순 부장 - 재무(본회/소사이어티/연구회), 회원, 포상, 임원관련, 컴퓨터(소) 배지영 차장 - 국내학술대회, 총무, JSTS, 시스템및제어(소) 배기동 차장 - 사업, 표준화, 용역, 반도체(소) 변은정 과장 - 국문논문, 학회지, 산업전자(소) 김천일 과장 - 정보화, 교육/홍보, 홈페이지, 통신(소) 김윤주 서기 - 국제학술대회, SPC, 국제협력, 신호처리(소)

Media Art & Technology 워크샵 영상신호처리연구회(위원장 : 심동규 교수, 광운대)에서는 7월 15일 (수) 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Media Art & Technology 워크샵 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미디어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아트의 기본 개념과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신 미디어 처리 기술이 어떻게 작품, 제품, 서비스로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함께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으며, 약 60명이 참석하였다. 산업 발전 방안을 주제로 시스템 반도체 R&BD 발전 전략, 산학 협 력방안, 발전 전략 제언이 발표되었다. 그 외 세션 III : SoC 산업 발 전 방안, 세션 IV : 시스템 반도체 산학연 발전 방안 등 패널 토의로 진행되었다. 이번 워크샵에는 약 70명이 참석하였다. 2015년도 SoC설계연구회 하계 워크샵 Media Art & Technology 워크샵 2015년도 SoC설계연구회 하계 워크샵 SoC설계연구회(위원장 : 최중호 교수, 서울시립대)에서는 7월 16일 ~ 7월 17까지 SoC설계연구회 하계 워크샵을 ES 제천 리조트 세미 나실(오크하우스)에서 개최하였다. 본 워크샵에서는 총 4개 세션으로 구분하여, 세션 I : SoC 설계 연구 회 지속 성장을 주제로 5개의 강연지 진행되었으며, 세션 II : 팹리스 2015년도 SoC설계연구회 하계 워크샵 참석자 단체사진 696 _ The Magazine of the IEIE 12

News 2015년 기능안전 보안 핵심 Core 과정 (ISO 26262, IEC 61508, IEC 62443) I반도체소사이어티(워크샵 운영위원장 : 김동규 교수, 김병철 교수(한 양대))에서는 2015년 기능안전 보안 핵심Core 과정 을 7월 21일 ~ 22일 2일간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본 핵심 Core과정 교육에서는 스마트자동차의 자율주행 및 충돌안 전, 차량용 통신 및 IoT, 웨어러블에 융합하여 필수적으로 적용하여 야 하는 기능안전 보안 기술과 효율적인 접근방법 등이 교육되고, 자동차 분야와 전자 IT분야를 연구하는 대학원생 및 연구원에게는 융합기술의 기본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궁극적 으로 국내 자동차 전자 융합기술 인력 육성에 기여하는 뜻 깊은 자 리가 되었다. 정회원 신규회원 가입현황 (2015년 7월 10일 - 2015년 8월 16일) 문창수(KMG), 홍지영(경민대학교), 전정환(경상대학교), 장익준(경희 대학교), 강태하(국방과학연구소), 이성우(국방과학연구소), 김태호 (대구대학교), 신철기(부천대학교), 김재열(삼성전자), 서영일(삼성전자), 트랑(삼성전자), 김태웅(웝스), 정현두(인제대학교), 김정평(한국교통 대학교), 우현균(한국기술교육대학교), 런예(한국전자통신연구원), 최원혁(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성배(한국항공우주산업(주)) 이상 18명 학생회원 유준상(고려대학교), 이장윤(단국대학교), 이웅건(동국대학교), 주재홍 (서울시립대학교), Nguyen Canh Thuong(성균관대학교), 최훈하(세종 대학교), 이원우(인하대학교), 이계두(중앙대학교), 박준형(한양대학교) 이상 9명 2015년 기능안전 보안 핵심 Core 과정 13 전자공학회지 2015. 8 _ 697

학회일지 www.theieie.or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5년 7월 15일 ~ 2015년 8월 14일 1. 회의 개최 회의 명칭 일시 장소 주요 안건 제3차 포상위원회의 7.23 (16:30) 학회 회의실 -학회상 및 해동상 추천 후보자 발굴에 관한 사항 외 2. 행사 개최 행사 명칭 일시 장소 주관 Media Art & Technology 워크샵 7.15 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영상신호처리연구회 2015년도 SOC설계연구회 하계 워크샵 2015년 기능안전 보안 핵심 Core 과정 (ISO 26262, IEC 61508, IEC 62443) 7.16-17 ES 제천 리조트 SoC설계연구회 7.21-22 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반도체소사이어티 698 _ The Magazine of the IEIE 14

특 집 편 집 기 제어 시스템 보안 오늘날 사물인터넷은 스마트 폰의 뒤를 이어 주력 IT 성장 동 력이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0년까지 적게는 260억 개 많 게는 500억 개 이상의 사물들이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물인 터넷 시대에는 개인용 PC나 스 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연 김영식 편집위원 결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무선 (조선대학교) 센서 네트워크나 RFID, 그리고 스마트 그리와 같은 산업용 제어 시스템과 같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전한 네트워크들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초연결사 회가 도래하면 기존에 불가능했던 새로운 효용성 및 부가가 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모 든 네트워크들이 하나로 연결됨으로써 기존에 존재했던 것 과는 다른 차원의 보안 문제들이 더 큰 규모로 새롭게 발생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존재한다. 사물인터넷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요소 기술 중 하 나도 바로 보안 기술이다. 본 특집호에서는 다양한 산업용 네트워크의 보안 문제 및 연구 동향에 대해서 다루는 5편의 기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사물 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 술 동향 (김영식)에서는 사물 인터넷의 특징 및 필수적인 보 안 요구사항들이 소개되고 있다. 수백억 개 이상의 사물들 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더 이상 보안 관리자에 의해서 개 별 장치에 대한 보안 설정 및 관리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네 트워크에 연결되는 수많은 센서와 구동기(actuator)들은 보 안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암호 알고리즘 연산을 수행하기 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은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경량화된 알고리즘들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분 산되고 자발적인 보안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사물인터 넷의 핵심적인 영역인 사이버 물리 시스템으로 불리는 산업 용 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안 이슈를 살펴보며, 관련된 보안 요구사항들을 설명한다. 두 번째 기고문은 국내 에너지 산업 및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 동향 (이동호)으로 국내 에너지 산업의 발전 방향 및 관련된 사이버 보안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 다. 전통적으로 안정성을 중시하여 변화에 둔감한 에너지 분 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사이버 보안을 고려하게 되는 배경 현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 번째 기고문은 SCADA 시스템을 위한 보안기술 동 향 (송경영)으로 산업제어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 되는 SCADA 시스템에 대한 소개 및 보안 이슈 동향에 대해서 다 룬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SCADA를 위한 프로토콜들을 소 개하며 SCADA 환경에서 고려해야하는 보안 위협 및 취약 성을 분석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요소 기술들을 설명 한다. 네 번째 기고문은 산업제어시스템의 역할기반 접근제어 표준화 동향 (박경원, 임대운)으로 산업제어 시스템에서의 접근제어 기술 동향에 대해서 다룬다. 특히 전력시스템 상 의 접근 제어를 다루는 표준인 IEC 62351-8에 대한 소개 와 함께 역할기반 접근 제어(RBAC) 방식의 연구 동향에 대 해서 소개한다. 마지막 기고문은 Control Area Network 보안 기술 동 향 에 대한 것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선박, 철도, 승강기, 병 원, 항공기, 우주항공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는 CAN 프로토 콜의 보안 문제 및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본 특집호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하여 산업 제어 시스 템 전반에 걸친 보안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소개 자료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급한 일정으로 요청한 원고 에 성실하게 응답해준 집필진 분들께 감사드리는 바이다. 15 전자공학회지 2015. 8 _ 699

특집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Ⅰ. 서 론 김영식 조선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향후 2020년이 되면 최소 260억 개 이 상의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3년 가트너 의 예상에 따르면 2020년까지 1조 9천억 달러 이상의 부가 가치가 사 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으로부터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때 에는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용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센서, 구동기(actuator)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복합 적인 정보 처리, 분석,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다양 한 산업용 네트워크도 사 물인터넷과 연결 및 연동 여러 요소 기술이 통합된 사물인터넷 될 것이다. 에서는 대규모 보안 사고가 일어날 수 실제 기존 휴대폰 수요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의 포화, 통신 및 솔루션 우려되고 있다. 시장의 성장, 스마트 그리 드 2030과 같은 그린 ICT 정책 추진 및 사회 안전망에 대한 수요 증대, 그리고 무엇보다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의 등장 및 발전과 그에 따른 모 듈의 가격 하락이 사물인터넷 시대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뒤이은 차기 주력 IT 주요 성장 동력으로 사물인터넷 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전 세계 이동통신사 및 제조업체 중심으로 M2M/ IoT 사업 모델 발굴 및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노력이 다방면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1]. 사물인터넷은 네트워크 연결성 및 상호작용 확대를 통해서 사용자 편 의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도록 만 들어주지만, 동시에 새로운 보안 문제들이 더 큰 규모로 일어날 수 있 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무엇보다 사물인터 700 _ The Magazine of the IEIE 16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넷은 기존의 여러 요소 기술이 통합되어 서비스를 구성하 는데, 각 요소 기술 자체의 보안 취약성의 결합되어 새로 운 취약성이 발생할 수 있다. 2014년 HP사의 조사에 의 하면 현재 IoT 기기의 70%가 암호화되지 않은 네트워크 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으며, 2014년 가트너에 따르면 22%의 기업이 IoT로 인해 새로운 위협에 직면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현재 사용 중인 많은 산업 네트워크들이 현재와 같이 보안문제에 대비가 부족한 상태로 사물인터 넷 기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이 되면 편의성 및 효율 증 대 못지않게, 국가적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보안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우려는 사물인터 넷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 이 논문에서는 사물 인터넷 보안을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들 및 연구 동향에 대해서 살펴 time and any where)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러다임 이 어떤 것(any thing)도 연결 가능한 새로운 방식으로 더욱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다양한 산업용, 가정용, 개인용, 스마트 센서들 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미 일부 제품들은 프로그램이 가 능한 상태로 만들어졌으며 통신 기능을 갖추어 네트워크 에 연결이 가능하다. 향후 센서들은 사물인터넷을 구성하 는 가장 기초적인 사물들이 될 것이다. 사용자들이 많은 사물들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사물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 해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이 용할 수 있게 된다.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사물의 종류와 범위가 다양하 기 때문에, 사물들은 복잡한 이기종 네트워크간의 연결 을 통해서 물리적 논리적으로 연결된 유무형의 자원을 이 용하게 된다. 사물인터넷에 대해 보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 물리 시 스템(cyber physical system)을 중 심으로 보다 세부적인 보안 특성 및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사물인터넷은 "상호 작용 가능한 정보통신 기술에 근거한 현존하는 혹은 진화된 (물리적 혹은 가상적) 사물들을 서로 연결함 으로써 보다 발전된 서비스가 ITU-U Y.2060에서는 다음과 같 이 설명하고 있다. 상호 작용 가능한 정보통신 기 술에 근거한 현존하는 혹은 진화된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정보 사회를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사물인터넷 (물리적 혹은 가상적) 사물들을 서 위한 범세계적 기반시설"로 정의된다. 기술의 기본 개요에 대해 설명하고 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서비 제3장에서는 그에 따른 보안 요구 사항들을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사이버물리시스템을 중 심으로 보안 이슈 및 연구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마지 막에 결론을 맺을 것이다. 스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정보 사회를 위한 범세계적 기반시설 [3] 이 때 사물들은 <그림 1>에서 표현된 것처럼 통신 네트 워크에 통합되어 관리되는 물리 세계의 각종 객체가 될 수도 있고, 정보 세계에서 존재하는 가상의 객체가 될 수 Ⅱ. 사물인터넷 기술 개요 도 있다. 여기서 물리적 사물(physical thing)의 경우는 실제 자연 상의 데이터를 감지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물인터넷의 세부 요소 기술들은 현재에도 지속적으 로 발전 및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절에서는 먼저 사물 인터넷의 대략적인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사물인터넷에서는 기존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 과 함께, 개인용, 가정용 및 산업용 장치들, 공공 인프라 용 장비, 헬스케어 장비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든 단 위 장치들을 통틀어서 사물로 부른다. 2008년에 이미 네 트워크에 연결된 사물들의 개수가 전 세계 인구수를 초 과하였다. 사물인터넷은 또한 기존의 언제 어디서나(any <그림 1> 사물 인터넷의 물리적/가상적 객체간의 관계 17 전자공학회지 2015. 8 _ 701

김 영 식 <그림 2>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mote)로 구성되어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해 줄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도 이미 20년 가까이 진 행이 되어 왔다. 센서들의 네트워크는 여러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RFID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사물인터넷의 전 체라 생각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 도록 만들어 주는 새로운 통신 기술의 발달을 고려해야만 한다. 특히 M2M 통신 기술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사물간 통신을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핵심 요소 기술로 활용될 것이다. 네트워크에 물리적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로서 환경 감지 시설, 산업용 로봇, 생산품, 전자 장치 등 다양한 것들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가상적 사물(virtual thing)이란 저 장되거나 처리되거나 접근 가능한 보안 측면에서는 사물인터넷 보안을 위해서 기존의 보 안 기술들을 단순 통합하는 방식들이 적용되지 못할 것 이다. 이미 RFID 기술이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서 각각의 시스템을 위한 고유의 보안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응용 소프트 웨어 같은 것들이 해당된다.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조는 <그림 기존의 기술들이 사물인터넷 안에서 보안성을 유지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요구 사항들이 오랜 기간 연구되었 고, 보안 요구 사항을 달성하기 위 한 여러 메커니즘과 프로토콜들이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물인 사물인터넷을 위한 새로운 보안 요소 제안되었다. 기술들이 사물인터넷이 시작되는 현재부터 터넷을 구성하는 기저에는 다양한 그러나 초기 사물인터넷이 기존 동시에 고려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센서가 존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 의 RFID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고 센서들은 센서용 허브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들은 기존에 활용되는 센서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센서들이 추 가로 네트워크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는 경 량이면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진 화할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인터 넷 망으로 모두 연결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처리되거나 접근 가능해지며, 빅데이터 분석 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의미 있는 정보들이 추출될 것이다. 사물인터넷 초기에는 현재 보편화된 RFID와 무선 센 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를 기반으로 성장 할 것이다. 이미 기존의 RFID 기술은 물류 체계를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스마트 RFID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관련 기술로 서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들도 이미 활 용 중에 있다. 또한 수백 또는 수천 개 이상의 원격 모트 바탕으로 성장한다고 해서, 보안 기 술 역시 RFID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해 개발된 것 을 단순히 결합한다고 간단히 해결되지 못할 것이다. 사 물인터넷이라는 이용가능한 자원이나 연결성이 극대화된 환경은 더 낮은 자원과 통신 능력을 가정한 기존의 RFID 보안이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보안 메커니즘들과 맞지 않 는다. 사물인터넷이라는 더 큰 프레임 속에서 RFID가 활 용되면 기존 시나리오에서 고려되지 못한 새로운 보안 취 약성이 등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들을 어떻게 새로운 사물인터넷 체 계에 보안을 유지하거나 강화된 형태로 통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혹은 기존 기술들과 독립 적으로 사물인터넷을 위한 새로운 보안 요소 기술들이 사 물인터넷 기술 개발시부터 동시에 고려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다음에는 사물인터넷의 특성을 고려한 보안 요구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로부터 어떻게 보안 기술이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할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702 _ The Magazine of the IEIE 18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Ⅲ.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1. 일반적인 사물인터넷 보안 요구 사항 많은 다른 보안 시스템들과 마찬가지로 사물인터넷에 서도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 (availability) 세 가지 요소는 가장 기본적인 보안 서비스 로 요구된다. 기밀성은 허가된 사용자 외에는 메시지 내용을 알거나 유추할 수 없도록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공격자에 의해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지는 것을 방지한다. 송신자는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무결성은 메시지가 수신됐을 때 수신자는 메시지가 전 송 중에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사용되는 암호학적 수단은 대칭키 암호의 메시지 인증 코드(message authentication code)를 사용하거나 비대 칭키 암호의 전자 서명(digital signature)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메시지 수신자가 수신된 메시지 송신 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메 시지 소스 인증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가용성은 사용자가 시스템 서비스를 정해진 시간에 정 해진 만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사물들이 동시에 동작하기 때문에 일정 사물들을 그룹으로 분 류하여 그룹 내의 보안을 보장해 줄 수 있다. 공유된 비밀키는 메시지 인증에는 직접 사용하지 않으며 그 대신 비대칭키 암호나 TESLA(Timed Efficient Stream Loss-tolerant Authentication)와 같은 발전된 대칭키 인증 방식을 사용한다 [5]. 데이터 송신자가 전송 후에 데이터 송신 사실을 부인하 지 못하도록 하는 부인방지 기능도 중요하다. 이는 일반 적으로 공개키 알고리즘의 개인키를 사용해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자서명을 생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트래픽 흐름에 대한 기밀성 보장도 필요할 수 있다. 공 격자가 특정 노드에서 나오거나 그 노드로 들어가는 트래 항목 시스템 신뢰성 통신 스택 서비스 계층 통신 스택 네트워크 계층 사용자 서비스 프라이버시 사물인터넷 보안에서는 인터넷에 연결 되는 다양한 사물들의 연산능력을 고려한 경량화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또한 수많은 사물들에 대한 분산된 보안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표 1>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 분야 [4] 보안 요구사항 서비스 가용성 인프라 가용성 인프라 무결성 인프라 신뢰성 부인방지 (서비스에서 사용자) 계정관리 서비스 접근 제어/권한관리 서비스 인증 서비스 평판 측정 서비스 신뢰성 네트워크 수준 익명화 기밀성 인프라 사용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서비스 사용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사용자 대상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보호 픽 패턴을 검사하여 언제 어떤 특정한 기능이 실행되는지 를 판단하는 등 관련 사실이나 정보를 유추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 데이터 내부에 서 암호화 되고 위조된 메시지를 임의적으로 주입시키거 나 두 노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임의 로 조정할 수 있다. 기본적인 사물인터넷 보안 기능을 통 해 달성 가능한 보안 기능은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이외에 사 물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장치들은 <표 2>에 제시된 보안 기능이 별도 로 필요하다. 모든 보안 요소 기술 들은 사물들 간에 완전하게 분산된 보안 관리가 지원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경량화된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며 분산되고 자발적인 보안 관리가 있어 야 한다. 이 때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응용에서는 알고리즘 의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필요한 연산량도 그 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보호하고자 하는 정보의 가치 에 따라서 보안 수준은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특히 사 물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들 중에는 가용 연산 수준이 매우 미약한 장치들이 존재한다. 이런 장치들에는 특정한 보안 19 전자공학회지 2015. 8 _ 703

김 영 식 사물인터넷 보안 기능 사물인터넷 장치를 위한 보안 부팅 지원 경량 암호 및 분산된 자발적 보안 설정 지원 사물들 간의 가상 사설망 설정 및 관리 지원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심층 패킷 정보감시 기능 지원 <표 2>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 기능 보안 기능에 대한 설명 사물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각 장치들이 안전한 보안 연산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처음 스위치가 켜 졌을 때 펌웨어에 대한 인증 값을 검증하여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보안 부팅(secure booting) 기술이 필요함. 이를 위해서는 운영체제 외적으로 별도의 장치에 의해서 전자서명과 같은 암호학적 연산이 동작될 수 있어야 함. 프라이버시 보호 및 암호화 방식은 단순하고 작은 장치에서도 적용 가능한 경량 암호화 (lightweight encryption) 솔루션이 필요함. 최소 260억 개 이상의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때문에 보안 관리자에 의해서 모든 사물들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함. 따라서 관리자가 없이도 자발적으로 인증 및 보안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 공공 네트워크를 통해서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물들 간에 가상 사설망 (virtual private network)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야 함. 또한 각 장치들에 할당된 제한된 대역폭과 임베디드 장치의 간헐적 네트워크 연결 특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보안 패치가 전달되는 메커니즘 또한 구성되어야 함. 사물인터넷 상으로 많은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빅데이터 분석이 적용되는데 이 때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사물인터넷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절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및 익명화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 심층 패킷 정보감시(deep packet inspection, DPI)가 가능한 방화벽과 침입방지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특정 장치를 목적지로 하는 트래픽에 대한 DPI 솔루션이 적용되어야 함. 메커니즘이 적용되지 못하거나 이런 장치로 인해 전체 시 스템의 보안 수준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에서는 보안 관리자에 의해서 이런 설 정들이 개별로 관리될 수 있지만 사물인터넷의 방대한 수 의 개체들 사이의 개별 보안 설정을 분산적이면서 자발적 인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해야 한다. 2. 환경적 제약 M2M 환경에서는 이종 노드간 연결이 고려되어야 한 다. 이 때 노드의 성능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자원이 매우 제약된 센서 노드에 대해서는 공개키 적용이 어렵다. 대부분의 연산 능력이 제안된 태그 형태 의 사물들이 이에 해당하게 된다. 그 외 다른 센서 노드들에 대해서는 비대칭 암호의 공 개키 연산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비대칭 암호에서 공개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나 전자서명검증 연산의 경우에는 개인키를 사용하는 연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연 산량을 사용하게 된다. 끝으로 유선으로 연결된 원격 서버 같은 장치들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자체적으로 높은 연산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 연산량, 저장 능력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모든 보안 메커니즘이 어려움 없이 구현 가능할 것이다. 3. 종단-종단 보안 대 홉 단위 보안 보안 통신이 적용되는 단위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한쪽 끝에서 전송하는 메시지에 보 안 알고리즘이 설정/적용된 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되면, 마지막 종단에서 대응되는 보안 메커니즘을 통해 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종단-종단(end-to-end) 보안이 있다. 이에 대비해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잇는 경로상의 모든 노드들 사이 회선 수준에서 홉 단위(hop-by-hop) 로 보안을 설정/적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종단간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동일해 야 하며 높은 보안 수준을 위해서는 연산 전에 공통의 암 호 비밀키를 공유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어야 하고 양쪽 종단이 동일한 복잡도의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한다. 그 러나 한쪽 종단이 센서인 경우 이렇게 설정하면 센서에서 과도한 연산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연산이 불가능하 거나 가능하더라도 많은 연산으로 인한 배터리 수명 감소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홉 단위로 보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송신자에서 목적 지로 이어지는 경로 상의 모든 중간 노드들의 모든 쌍에 대해서 보안 설정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회선 상에 서는 보안이 적용되어 전달되지만 노드 내부에서는 평문 접근도 가능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노드들을 침해하는 경 우 전송 메시지에 대한 암호 해독 없이도 정보획득이 가 능할 수 있다. 실제 시스템에서는 두 가지 방식이 복합적 704 _ The Magazine of the IEIE 20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한 설정이 없이도 상 황에 맞게 적용가능해야 한다. 4. 보안키 설정 문제 보안을 위해서 다수의 인증키 교환(authenticated key exchange, AKE)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의 경우 다양 한 인증 수단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키 설정을 위 한 하나의 후보군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키 <그림 3> 경량 암호 설계 로부터 파생된 세선키들이 배포되어 보안 메커니즘에 적 용된다. 또는 기존의 프로토콜이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위 한 또 다른 키 설정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항 가능한 공격 수준, 장치 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크기나 소프트웨어 코드 길 이, 그리고 알고리즘의 처리율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5. 프록시 재암호화 이종 네트워크 내에서의 다양한 장치들이 하나의 네트 워크로 연결이 되면 프록시 재암호 국내에서도 사물인터넷을 위한 경량화된 비밀키 알고 리즘이 개발되었다. 2013년에는 128비트 비밀키 기반 의 블록 암호인 LEA (lightweight 화(proxy re-encryption)를 지원 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록시 재암호 화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상의 한 노드 B가 B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자신에게 전달되는 메시지를 제3자 국내에서도 사물인터넷을 위한 경량화된 비밀키 암호 알고리즘 표준인 LEA가 와 암호학적 해시 함수인 LSH가 새롭게 개발되었다. encryption algorithm)이 국내 표 준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2014년에 는 암호학적 해시 알고리즘인 LSH 가 발표되었으며 국내 표준화 작업 이 진행 중에 있다 [6-7]. 인 C에게 자신의 개인키를 밝히지 않은 채로 전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B은 자신의 메시지 중 하나를 프 록시 재-암호화 하도록 지정할 수 있고 이 메시지는 C에 게 전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가 암호화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도록 새로운 키가 생성된다. 이런 방식은 관리 자 권한 양도, 이메일 재전송이나, 사법 집행 감시, 콘텐 츠 재분배 등 여러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이다. 7. 포스트 양자 암호에 대한 고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개키 암호는 RSA처 럼 매우 큰 합성수의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 사실에 근 거하거나 큰 수의 이산로그문제(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가 풀기 어렵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1994년 Shor에 의해서 양자컴퓨터상에서 고속 으로 소인수분해하는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이어서 양자 6. 경량 암호의 필요성 RFID 태그, 센서, 비접촉 방식의 스마트카드나 헬스케 어 단말 등 사물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많은 사물들은 배터리, 배터리, 메모리 등 연산능력이 매우 제한되어 있 다. 이를 위해서는 이런 환경에서 사용가능할 수 있는 경 량화된 암호 메커니즘이 활용되어야 한다. <그림 3>에서 는 경량 암호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 표시되어 있다.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보안, 저비용, 성능 으 컴퓨터상에서 이산로그문제와 타원곡선 상의 이산로그 문제(elliptic curve-discrete logarithm problem, EC- DLP)를 고속으로 해결하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RSA, DSA, 타원곡선 암호 와 같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들은 양자컴퓨터가 실용화 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사물인터넷이 보 편화된 2020년 이후에는 양자컴퓨터 기술은 더욱 발전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 21 전자공학회지 2015. 8 _ 705

김 영 식 시스템도 양자컴퓨터 상의 알고리즘에 대해서도 안전성 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이 사용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격 자 기반의 암호 중에서 경량화된 공개키 암호 방식이 국 내에서 개발되어 소개되기도 하였다 [8]. 템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사이버 물리 시스템으로 스마트 그리드가 있다.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전력 그리드에 각종 스마트 센서, 구동기, 그리고 SCADA 기반의 제어 시스 템이 덧씌워진 형태를 갖추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독일을 중심으로 산업 제어 시스템에 대 8. 보안 인지 프로세스 수백 억 개의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에는 각 장치들에 대해서 세부적인 보안 설정이 쉽지 않 게 된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보안 시스템은 분산된 세팅 과 보안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의 일환 으로 사물인터넷 장치들의 클러스터가 보안 인지 및 자가 치유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9]. 이러한 과정은 기본 적으로 관찰, 계획, 행동, 학습 등 네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관찰 단계에서는 클러스터 주변의 보안 이벤 트를 감지하거나 이전 단계의 학습 결과를 통해서 새로운 한 새로운 모델인 인더스트리 4.0 (Industry 4.0)이 거론 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산업용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센서와 구동기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 이 되고, 여기에 급격하게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과 공장 자동화 기술이 함께 융합되면서 만들어지게 된다 [10]. 사이버 물리 시스템은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또 하나 의 중요한 영역일 뿐만 아니라 보안 문제에 특히 민감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보안 현황에 대해서 두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정보를 받아들인다. 계획 단계에서는 수집된 정보를 기 반으로 보안과 관련된 특정 메커니즘을 계획하고 설정한 다. 그리고 행동 단계에서는 계획된 메커니즘을 실제로 시행하고 시행 결과에 대한 새로운 기계학습과정을 거쳐 서 새로운 인지 프로세스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단계의 존재는 단순한 적응적 보안 과정과 보안 인지과정 을 구별해 주게 된다. 1.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사건 사례 이 장에서는 실제로 사이버 물리 시스템에서 일어난 대 표적인 보안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사물인터넷 보안 문제 의 중요성을 재고해 보도록 한다. 미국의 장난감 회사인 노스폴 토이(North Pole Toys) 에서는 2011년에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 시스템의 자가 치유(self healing) 프로세스를 통해서 주변 의 변화나 새로운 보안 상황에 대해 사물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새로운 생산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생산 체계를 완전히 개편하여 새로 운 자동화된 산업 제어 시스템을 실 제 제품 생산에 도입하였다. 이를 서 보안 시스템이 문제점에 일차적 노스폴 토이 사례나, 스턱넷의 경우에서 통해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가 자 보는 것처럼 연결성 확대를 통해 새로운 으로 대응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 신이 원하는 형태로 일정 수준에서 보안 위협이 등장할 수 있다. 응 및 진화가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장남감에 대한 맞춤 제작 요청을 할 있다. 수 있게 되었다. 공장의 생산 시스 템은 고립된 망으로 직접 인터넷에 연결하지는 않았기 때 Ⅳ. 산업 제어 시스템 상에서의 사물 인터넷 보안 문에, 인터넷에서 소비자로부터 수집된 주문은 메인 서버 로 수집된 후에 공장 시스템에 USB 스틱을 통해서 전달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사이버 물리 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이 란 실제 물리 세계의 시스템을 센서와 구동기를 통해 정 보통신 기기와 연결시킨 복합 시스템으로 물류, 헬스케 어, 정보통신, 에너지 기술 등에 활용되는 산업 제어 시스 그러나 2011년 미국 추수감사절 전날에 어떤 박스에 는 여러 장남감이 동시에 포장되고, 다른 박스는 빈 박 스로 포장이 되는 오류가 발견되었다. 처음 이 문제를 발견했을 때에는, 생산용 PLC(programmable logic 706 _ The Magazine of the IEIE 22

사물인터넷 시대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controller)에 버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분석 결 과 어떤 오류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보안 전문가에 안 시스템을 위한 연구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게 공장 시스템과 메인 서버에서 kandykan3 으로 알 려진 웜이 발견되었고, 바로 이 웜에 의해서 생산 시스템 에 교란이 일어났음이 확인되었다. 이런 문제는 공장 생 산 시스템이 인터넷과 분리되어 고립된 상태로 운영됐음 에도 일어난 것이다 [11]. 노스폴 토이의 사례에서는 장난감 제조업이라는 비교 적 사회적 문제의 폭이 제한된 시스템이 웜에 감염되었다 면, 보다 심각한 산업용 제어 시스템 보안 사고의 사례로 서 이란 핵발전소에서 일어난 스턱넷(Stuxnet)이 있다. 2010년 6월에 이란 핵발전소의 한 엔지니어의 컴퓨터 에서 VirusBlokAda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이 코드에 의해서 이란 핵발전소의 원심분리기에서 주기적으로 비 정상적인 회전수 변화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생긴 원심 분리기의 과부하로 인해서 핵발전소 장비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조사 결과 이 악성코드는 핵발전소의 특정한 기능에 손상을 줄 수 있도록 정교하게 설계된 것으로, 핵발전소의 네트워크가 외부와 연결되지 않았음에도, 내부 직원의 노트북 및 USB 스틱을 통해서 악성코드가 전달되도록 만들어졌다. 이러한 장비 고장률 의 급격한 증가는 핵발전소의 전체 2.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보안 취약성 사물인터넷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 등 다양한 요소 기술 의 성공적 결합함으로써, 인더스트리 4.0 모델이 실제로 성공하게 되면 새로운 생산 모델로 효율성 및 효용성이 급격히 증가될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보 안 문제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함께 대비책이 필요하다. 특히 현재의 에너지 그리드, 상하수도, 물류, 운송 등의 네트워크들은 외부의 악의적 공격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13-14]. 따라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들이 실제로 외 부의 다양한 공격에 저항이 가능한지 엄밀한 분석이 필요 하다. 특히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인증을 회피하여 시 스템에 접근하거나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외부의 물리적 공격에 살아남아야 한다. 단순히 데이터를 백업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장치들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들을 평가하고 산정하며 시스템의 전체 기능 을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구성요 안전성을 위협하고 유사시에는 방 소가 침해되더라도 시스템 성능을 산업 제어 시스템에서는 기밀성, 사능 유출 등 국제적 재난으로까지 무결성, 가용성, 적시성 및 오류에 대한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한계를 분석하 발전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다 [12]. 두 가지 산업 시스템 보안 침해 사고 사례에서는 모두 산업 시스템 강인성이 갖춰져야 한다. 또한 많은 제어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SCADA 보안에 대한 연구도 시급한 상황이다. 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동작 오류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 출된 장비가 공격자에게 침해된 경 우에도 안전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 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격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어난 것이다.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 에서도 악성코드에 감염이 이루어지고 문제가 생길 수 있 음을 보였다. 이는 만일 사물인터넷처럼 연결성이 극대화 된 환경에서는 이런 문제는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력망이 순식간에 마비되거나 발전소 시설이 파괴되고 공장의 생산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거나 방지하고, 문제가 생겼 을 때 바로 해결될 수 있는 사물인터넷시대의 사이버 보 다. 특히 다양한 사물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공격자에 의해서 특정 장치가 하나 이상 악성 장비로 동작할 수 있 다. 이런 장치들은 외부로 내부의 주요 정보를 전송할 뿐 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격자에게 침해받은 시스템을 정상적인 장치 들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보안 시스템으로 인한 오버헤드 및 연산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사이버 물리 시스템에서는 사이버 시스템과 실제 물리 시스템이 거대 규모로 동시에 동작하고 있다. 이런 경우 23 전자공학회지 2015. 8 _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