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231315FBEF0B7D0C1A4BAB8C7D02036352E687770>



Similar documents
_¸ñÂ÷(02¿ù)

hwp

CC hwp

Untitled-1

(MB) 제4차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보고서_ _fin_2) 조사결과 3)전체 결과.hwp

2002report 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 89 -

01정책백서목차(1~18)

CC hwp

2003report hwp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감사회보 5월

..1,2,3,

hwp

ÃѼŁ1-ÃÖÁ¾Ãâ·Â¿ë2

- 2 -

hwp

<B9CCB5F0BEEEB0E6C1A6BFCDB9AEC8AD5F31322D33C8A35FC3D6C1BE20B5F0C0DAC0CE2E687770>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글로벌한류격주보고서 42호_.indd

3. 연구의 모형 및 분석방법 (1)모형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서 케이블 TV 채널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를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케이블 TV의 광고효과 요인을 설정하였다. 광고효과의 하위 요인으로 는 광고에 대한 상기도, 선호도, 이해도, 구매의향 등 4개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ad hwp

ad hwp

_1.hw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pdf

일본을 방문하던 중국 등 외국인이 여행목적지로 일본 대신 한국을 선택했기 때문이 다. 그러나 일본 원전사고가 아니더라도 중국인들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이웃나라인 한 국에 대한 여행수요 증가는 쉽게 예경된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일인당 국민소득 5천 달 러에서 1만 달러 사

성인지통계

178È£pdf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나하나로 5호

CC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슬라이드 1

DBPIA-NURIMEDIA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160425_연구소_이슈_태양의_후예_수출파급효과.hwp

슬라이드 1

□ 개요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DBPIA-NURIMEDIA

<C1F6C1A430392DB3BBC1F62DC3E2B7C2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수의대소식지5호(10)

* pb61۲õðÀÚÀ̳ʸ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kafm093.hwp

¾ç¼ºÄÀ-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한류동향보고서 18호.indd

한국어교재_2급 1~12과_선-인쇄용.indd


....pdf..



1

VOD시청률 조사 판매 설명회를 실시하였다. TNMS에서 제공한 VOD 시청률 자료 3) 를 통해 국내 방송에서는 시청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플랫폼별 인기 프로그램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방영된 TV 프로그램 중 일별

2ÀåÀÛ¾÷

b77ùµåÆ÷Ä¿½º³»Áö/L265µš

슬라이드 1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연구노트

152*220

È޴ϵåA4±â¼Û

03 ¸ñÂ÷

한국정책학회학회보

10월추천dvd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4D F736F F D205FBAD9C0D3325F B3E2B5B520BCB3B9AEC1B6BBE720B0E1B0FA20BAB8B0EDBCAD5F322E646F63>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3±èÀçÈÖ¾ÈÁ¤ÅÂ

도비라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CONTENTS 숭실사이버대학교 소개 총장 인사말 교육이념 및 비전 콘텐츠의 특징 숭실사이버대학교 역사 숭실사이버대학교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숭실사이버대학교 학과 소개 1 1 학과 소개 30 연계전공 & 신 편입생 모집안내 숭실사이버대학교 C

용자들_MKT_Proposal_201504_V6.pptx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B9ABC1A62D31>

LG Business Insight 1289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디지털 인문학 입문

!¾Ú³×¼öÁ¤26ÀÏ

1 한류 목차1

내지(교사용) 1-3부

Transcription:

신한류 효과: 중국인들의 K-POP 이용이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10) 유경진 ** 11) 박연진 *** 12) 황하성 **** 13)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국의 K-POP과 드라마의 수용현황을 분석하고 K-POP과 드라마의 이용 및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한국드라마 시청시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 청취기간, K-POP 평가가 나타났으며, 한류에 대한 호감도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속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고 한국드라마의 시청기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의 평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드라마와 K-POP의 내용상의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이는 향후 한류 콘텐츠 제작에 있어 한류 스타에 의존하기 보다는 내실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드라마에 대한 평가를 통제했을 때에도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K-POP은 한국 드라마와 같이 한류를 대표하며 한국과 한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의 강력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한류의 중심이 K-POP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신한류, 한류 콘텐츠, K-POP, 한국 드라마 1. 연구의 목적 중국에서 한류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자국민의 사회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자국의 문화 콘텐츠의 부족을 한국의 드라마를 위주로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광범위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은 1997년 중국대륙과 대만 홍콩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 <별은 내 가슴에>가 방영되면서 부터이다. 또한, 중국 CCTV1을 통해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외화 시장에서 2위의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중국 시청자들의 본격적인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MTV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이 대만 홍콩을 시작으로 중화권에 급속히 전파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 언론이 한류 라는 용어를 확대 사용함으로써 더욱 증폭되었다(손승혜, 2009). 이처럼 초창기 한류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으며, 이후 다소 침체기 * 이 연구는 유경진의 석사 학위 논문의 데이터를 재활용하여 구성한 것임. ** 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bluekat0321@naver.com) *** 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dus27@nate.com) **** 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hhwang@dongguk.edu), 교신저자

52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를 거쳐 2000년대 중후반부터 아이돌 그룹 등 한국의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한류가 생성되 기 시작했다. 이후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한 K-POP의 인기는 아시아와 북미, 남미, 유럽권으 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를 각종 보고서와 미디어는 한류의 재점화 라는 의미를 두면서, 새로운 한류라는 의미로 신한류라고 지칭하였다(신현준, 2005). 신한류는 이전에 특정 지역에 머물러있던 한류에서 벗어나 전 세계적으로 동시 다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문화가 되어 웹에 의해 소비하는 세대인 10-20대 주류를 넘어 전 연령층을 아우를 수 있는 한류라는 의미로 새롭게 지칭되고 있다(최주열, 2006). 한류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논의는 2000년대에 들어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초기에는 한류 실태 파악, 한류의 이해, 한류의 원인 파악 등 한류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이해와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한류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와 외국인이 한국 상품(문 화 상품, 정보 통신 제품, 패션, 관광, 음식 등)에 대한 구매 의도, 태도나 인식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들(김미주 김성섭 박제온 김도윤, 2010;이연정, 2006;이문영, 2006;이익수, 2011;이재화 양희, 2011;한은경, 2005;황인석 김봉 안성아, 2008)과 한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양은경, 2003;유세경, 2005;윤재식, 2004;이문행, 2005) 등 한류의 경제적 효과와 활용측면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한 한류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도 있는데, 특히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수용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한국 드라마의 이용이 한국 대중문화, 한류, 한국에 대한 평가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효과연구들이 주를 이룬다(유세경 고민경, 2006; 이준웅, 2003;허진, 2002). 이처럼 한류 관련 연구들은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K-POP으로 시작된 신한류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류 중심 콘텐츠인 드라마와 신한류의 중심콘텐츠인 K-POP을 중심으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은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라 는 용어가 처음 생겨난 한류의 발원지이자 한류 열풍이 가장 뜨겁게 불었던 곳이며, 그에 대한 역풍으로 반한류 또는 항한류가 처음 생겨났고 가장 강하게 분출된 곳이기도 하다(윤경우, 2009). 그러나 최근 K-POP이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 百 度 )의 한일 음악 순위 10위 내에 7곡을 차지하는 등 높은 인기를 구가하며 다시금 한류바람이 불고 있다(변미영, 2011). 즉, 한류에 대한 강한 반발로 주춤했던 한류열풍이 K-POP의 주도로 다시 일어나고 있는 것이 다. 따라서 그동안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 연구를 벗어나 이제 대중음악 K-POP를 대상으로 한 신한류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또 다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현 시점에 서 중국인의 한국 대중음악과 드라마의 수용현황을 분석하고 중국인의 한국 대중음악과 드라 마의 이용이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신한류 효과 53 2. 문헌 고찰 1) 한류에서 신한류로: 신한류의 배경 및 정의 한류란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베트남 등지에서 젊은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대중문화 와 인기 연예인들을 동경하고 추종하며 배우려고 하는 문화현상(한국관광공사, 2003), 혹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 및 사회 문화변화에 따른 다양한 문화콘텐츠에 대한 욕구 증대와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질적 향상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호현상의 확산이라고 정의된 다(정정숙 신광철 심광현 이원범 채지영, 2007). 한류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3단계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고정민, 2009). 한류열풍은 중화권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1997년에 <사랑이 뭐길래>가 한국드라마로는 사상 처음으로 중국 전국 채널인 CCTV1에서 방영되었다. 당시 방영되던 외화 중 2위를 차지하며 4.3%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고, 채널6에서 황금시간대인 9시에 앙코르 방송까지 이어지면 서 중국 전역에 한국 드라마 신드롬을 일으켰다. 이후 <별은 내 가슴에>, <사랑을 그대 품안에>, <의가형제>,<애인> 등의 한국드라마가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베트남으로 옮겨가 면서 히트를 하게 되고, 클론 H.O.T를 중심으로 한 한국 댄스음악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처럼 2000년대 초반까지 중화권을 중심으로 한국 드라마와 한국 댄스음악이 해외 소비자들 에게 강한 인상을 주며 인기를 얻었던 것이 한류 1기라 할 수 있다(고정민, 2009). 이후 2002년에서 2003년까지는 일방적인 한류의 인기 때문에 현지의 자국 문화를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들과, 한류 일류 화류의 경쟁심화, 콘텐츠 개발부족으로 인한 한류드라마들의 비슷비슷한 형식과 내용으로 인해 한류침체기가 오게 되었다. 그러나 2004년에 소개된 배용준 주연의 <겨울연가>는 이를 해소시켰고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욘사마 열풍 을 만들 어냈다. 또한 이영애 주연의 <대장금>은 나아가 중국, 홍콩, 동남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까지 한국 드라마를 알리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드라마 <겨울연가>와 <대장금>의 인기로 한류 드라마가 크게 부각되는 시기를 한류 2기라 할 수 있다(고정민, 2009). 2000년대 중반 이후 한류 콘텐츠의 수출단가가 크게 상승하여 외국의 수입업자들이 이에 반발하는가하면, 각국 정부에서는 지나친 한류 붐을 견제하고 자국 문화의 보호를 위해 반한류 정책을 내놓게 되었다. 또한. 현지의 소비자들도 반한류 정서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한류의 주요국인 중국, 일본에서의 한류 붐이 주춤하였으나 중앙아시아 등에서는 한류가 새롭게 시작 되었다. 이에 한류의 지속화에 대한 노력과 새로운 콘텐츠, 새로운 시장 진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08년에 K-POP이 본격적으로 일본 진출을 시작하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되고 한류의 중심이 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이 대중화 되면서 페이스 북이나 유튜브 등의 SNS를 통해 K-POP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많은 곡들이 수천만 건의 조회 수를 기록하였 고 유튜브는 동영상 장르에 K-POP카테고리 를 추가하기에 이르렀다(김진이, 2012). 이 시기를

54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한류 3기라 할 수 있는데(고정민, 2009). 2000년대 중반까지 드라마 중심의 한류에서 이후 아이돌 그룹 등 K-POP 중심의 한류가 생성되기 시작한 이 시기를 신한류로 명명하고 있다(변미 영, 2011). 신한류는 한류가 K-POP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미국 등지로 확장되는 단계로서 디지털에 익숙한 10대와 20대 사이에서 능동적으로 SNS나 인터넷 커뮤니티와 같은 창구를 통하여 확산, 소비되고 있다. 201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 규모는 약 41.6달러로 신 한류의 영향으 로 전년대비 29% 큰 폭 성장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음악분야는 149.8% 성장했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2010년 4조 9,824억 원으로 전년대비 26%나 증가되었다. 특히 K-POP이 이러한 성장에 동력을 제공했는데, 한류지역으로 관광객도 증가하면서 2011년 방한 관광객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1). 이러한 신한류와 한류의 차이점은 지역과 콘텐츠, 관심대상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지역적 인 범위에서 보면, 한류의 경우 중국, 대만, 일본과 동남아시아의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류 의 열풍이 일었다면 신한류는 아시아를 포함한 아프리카와 미국 유럽등지까지 전세계적으로 그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둘째, 관심 콘텐츠의 차이를 들 수 있는데 한류의 경우 드라마와 특정 인기스타를 중심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관심을 받았다면, 신한류의 경우 K-POP과 아이돌 스타를 중심으로 한 한국 대중문화의 관심과 함께 한국전통문화를 포함한 한국문화 전반의 관심이 일고 있다. 셋째, 콘텐츠 소비 연령대를 들 수 있는데, 한류의 경우 아시아의 2-30대 여성을 중심으로 그 열풍이 불었다면, 신한류의 경우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의 확산으로 다양한 연령과 남녀모두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신한류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대두되고 있다. 신한류의 주요 콘텐츠로서 K-POP의 성공요인과 수용에 관한 연구(김진이 2012;왕단, 2013;윤정인, 2013;정태수, 2010;채지영, 2011), 신한류의 현황 파악과 활성화 방안 연구(변미영, 2011;주호일, 2012)를 비롯해 일부 연구들은 신한류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신한류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김주연, 안경모, 2012a; 서철현, 양진연, 2012), 한국문화경험에 미치는 영향(김주연 안경모, 2012b), 한국방문 에 미치는 영향(김진옥, 김남조, 정철; 2013; 정희진, 이계희, 2010), 한국제품구매(김준형, 2013) 에 미치는 영향 등과 같이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K-POP이 신한류 의 리더로서, 한류를 대표하는 콘텐츠로서 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K-POP 의 선풍적인 인기는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에 우호적인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K-POP 이용이 한류와 한국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자 한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한류 연구들은 드라마의 시청과 드라마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K-POP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기존 한류 연구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신한류 효과 55 2)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과 한국 및 한류에 대한 태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의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현상이 지속되면서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한류와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한류 드라마를 본 한류 팬들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해 호감을 가지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먼저 중국인의 한국 TV 드라마 시청 효과를 다룬 시보청(2003)의 연구에서는 한국 드라마의 시청이 한국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드라마의 시청량이 증가할수 록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 록 한국 드라마를 평가적 차원에서 감동적이고 재미있으며, 가치있고 수준 높은 드라마라 평가하 고 있으며, 활동성차원에서 이해하기 쉽고 전개가 빠르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드라마에 대한 평가는 한국에 대해 개방적이고 깨끗하며 강하다라는 근대성 인식과 문화적이며 친근하다는 친근감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슷하게 일부 연구들은 중국에서의 한국 드라마 시청이 한국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한국 상품이용 및 한국 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이준웅(2003)은 중국 인의 경우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구매의도가 강해지며, 한국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유재웅(2007)은 한국 드라마 시청량이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연상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 드라마 시청량이 직접적으로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호의적 연상, 호의적 태도, 호의적 행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인이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국에 대해 현대적이고, 신뢰성이 높고, 고급스럽고, 매력적이고, 강인하고, 정직하다는 연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국, 한국인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고 한국제품의 구매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에 따라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가 좋아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중국인들이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국에 대한 방문의향이 강해지고, 한국어에 관심 이 생기고, 한국인과 접촉의향이 강해지고, 한국 대중문화 상품과 일반 상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연구는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황인석과 조은성(2007)은 한국드라마의 만족도가 한국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연구결과 한국드라마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한국드라마가 재미있다고 느끼며, 만족감을 느낄수록 한국을 더 좋아하게 되고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이 되며, 한국에 대한 흥미가 많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세경과 고민경(2006)은 한국 드라마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는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태도 및 한류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56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 드라마를 평가하는데 있어 중국인들은 한국 배우들의 외모, 연기력 을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는 한국이나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중국 시청자들이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한류스타가 매우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한국 드라마의 시청이 한국이나 한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들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그리고 한국 드라마 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한국이나 한류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드라마에 대한 평가는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드라마에 대한 평가는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K-POP 관련 선행연구 검토 최근 K-POP(Korean Popular Music)이라 명명되는 한국대중음악은 한류 주요 소비지였던 동남아시아를 넘어 문화 선진국으로 글로벌 대중문화를 이끈 유럽, 미국에서 역량을 확인하며 전 지구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관심과 함께 K-POP에 관한 학술적 연구들도 속속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K-POP의 성공요인을 파악하거나 K-POP의 선호요인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연구대상 또한 유럽과 미주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K-POP의 선호요인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손승혜(2012)는 유럽의 한류와 K-POP 팬덤 형성과정을 프랑스 현지에 있는 한류 동호회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유럽의 케이팝 팬들은 한국문화상품의 새로움의 측면, 개방성, 친근성의 세 가지 요인이 수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세정(2012)은 미주지역 K-POP 소비자들의 선호요인 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노래와 랩과의 퓨전 장르 혼합성,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만족, K-POP 가수들의 외모와 패션 등의 시각적 인상, K-POP의 외우기 쉬운 멜로디 등이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한편, K-POP의 선호요인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선호요인이 한국의 이미지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며 한국방문의도 혹은 한국 제품구매등과 연계한 K-POP의 경제적 효과에 관심 을 둔 연구들도 있었다. 가령 임학순(2012)은 필리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K-POP의 소비요 인 및 영향인식을 조사하였는데, K-POP 한류의 소비요인으로는 K-POP 콘텐츠의 특성, 관계성, 한국문화 관심도, 미디어 환경, 문화적 친밀성(문화적 혼종성)등이 나타났으며, K-POP 소비로

신한류 효과 57 인해 필리핀 청소년들은 한국어, 한국관광, 한국음식, 한국패션 등에 관심이 확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김성섭과 김미주(2009)는 한국대중가요의 인기요인을 크게 시각적 음향효과 요인 과 소재와 내용의 참신성,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등으로 제시하였다. 즉 가수들의 외모와 퍼포먼스, 그리고 음악의 비트와 가사 내용의 참신성, 이질적 문화인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등이 K-POP의 인기요인임을 밝혔다. 이러한 K-POP의 청취는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주연과 안경모(2012b)는 K-POP의 선호요인에 따른 한국방문의도 변화를 살펴보았는 데, 그 결과 K-POP의 선호요인은 로맨틱한 분위기와 소재의 다양성, 그리고 신선한 멜로디와 감정적 공감대의 형성과 같은 음악성, 가수의 외모와 춤과 의상, 그리고 뮤직비디오의 영상미 와 같은 시각성, 마지막으로 한국문화체험 및 낯선 이국에 대한 호기심과 같은 문화적 호기 심 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K-POP 선호요인이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K-POP의 음악성 요인과 시각성 요인이 국가호감도 및 한국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K-POP 관련 연구들은 K-POP의 인기 요인으로 한국 가수의 외모와 춤 실력, 그리고 가요의 멜로디나 가사에 대한 참신성 등을 들고 있다. 이는 한국가수와 가요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K-POP 선호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서 기존 한류 연구에서 밝혀졌듯 이 드라마는 한류의 대표적 콘텐츠로서 드라마의 시청과 이에 대한 평가는 한국 이미지나 한류에 대한 이미지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현재 신한류를 주도하는 K-POP의 청취와 이에 대한 평가 역시 한국이나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역할을 할 것인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의 청취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인을 대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K-POP이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유는 중국은 한류가 시작된 곳임과 동시에 항한류 현상이 일어나고 이후 다시 K-POP을 중심으로 신한류가 형성되는 등 한류의 진화과정을 모두 겪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에서 K-POP은 2004년 동방신기와 슈퍼주니어가 중국 시장을 위주로 활동하면서 다시한번 중국에서 한국 대중음악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하면서 중국정부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제재 조치로 중단되었던 한국 가수의 중국진출은 2008년에 북경올림픽 유치 행사를 시작으로 점차적으로 다시 재개되었다 (장규수, 2009). 또한, 중국에서 K-POP을 앞세운 신한류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10대와 20대를 주축으로 팬 층이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의 한일 음악 순위 10내에 K-POP이 7곡이나 차지하고 있다(변미영, 2011). 또한 한국의 가수들이 중국 시장에서 각광받는 가장 큰이유가 질 높은 음악과 우수한 노래 실력, 화려한 퍼포먼스 때문 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중국내에 한국의 아이돌그룹을 모방한 그룹들이 비슷한 이름, 컨셉, 안무를 가지고 속속 등장하 고 있는 상황이다(변미영, 2011). 따라서 K-POP열풍으로 시작된 신한류의 효과를 중국 수용자

58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를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3: 중국인들의 K-POP 청취 및 K-POP에 대한 평가는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중국인들의 K-POP 청취 및 K-POP에 대한 평가는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연구방법 1) 조사절차 및 표본의 특성 본 연구를 위하여 중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기간은 2012년 5월 18일에서 5월 24일까지 7일간 이루어졌으며, 온라인에서 동일한 사람 의 이중 설문 방지를 위해 설문자의 IP 주소가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여 중복 응답을 통제 하였다. 설문 응답자 중 답변을 누락하였거나 답변이 불성실한 경우 등 부적합한 27부의 설문지 를 제외하고 유효설문지 32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 가 135명(41.7%), 여자가 189명(58.3%)이며, 연령별로는 10대가 73명(22.5%), 20대가 93명 (28.7%), 30대가 59명(18.2%), 40대가 50명(18.2%), 50대가 49명(15.1%)이었다. 2) 주요변인의 측정 (1) K-POP의 이용 실태 중국인의 K-POP의 이용은 K-POP의 청취 기간, 일일 평균 청취 시간, 그리고 청취 수단 등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청취 기간은 1 1-3년, 2 4-6년, 3 7-9년, 4 10년 및 10년 이상과 같은 4개의 항목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일 평균 청취 시간은 1 30분미만, 2 30분-1시간, 3 1시간-2시간, 4 2시간 이상과 같은 4개의 항목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취 수단은 1 TV, 2 라디오, 3 인터넷 온라인 재생, 4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 5 인터넷 유료 다운로드, 6 음반 구매와 같은 6개의 항목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1) 본 연구는 원젠싱( 问 卷 星,http://www.sojump.com/)이라는 중국 무료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에 설문지를 올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 사이트는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 성별, 나이 등을 고려한 체계적 표본 추출이 아닌 편의적 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기에 연구대상의 대표성을 담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신한류 효과 59 (2) K-POP에 대한 평가 본 연구에서는 K-POP에 대한 평가를 한국 가수와 가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로 정의하고 선행연구(김성섭 김미주, 2009; 이인구 김종배 오재한, 2006; 이준웅, 2003)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총 10개의 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5점: 매우 동의한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 한국 노래의 멜로디가 좋다, 2 한국 가수가 잘 생겼다, 3 한국 가수가 춤을 잘 춘다, 4 한국 가수의 몸매가 좋다, 5 한국 노래는 멋진 의상으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6 한국 노래의 가사내용이 좋다, 7 한국 노래의 소재와 내용이 신선하다, 8 한국 노래는 리듬감이 강하다, 9 한국 노래는 사회와 인생에 초점을 맞춘다, 10 한국 노래의 소재와 내용이 현실적이다.등이다. (3) 한국 드라마의 이용 실태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의 이용 실태는 한국 드라마 시청 기간, 일일 평균 시청 시간과 시청 수단 등 3개의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시청 기간은 1 1-3년, 2 4-6년, 3 7-9년, 4 10년 및 10년 이상과 같은 4개의 단위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일일 시청 시간은 기존연구(유세경 고민경, 2006)에서 사용된 1 30분미만, 2 30분-1시간, 3 1시간-2시 간, 4 2시간-4시간, 5 4시간 이상과 같은 5개의 단위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시청 수단은 1 TV, 2 DVD 대여, 3 DVD 구입, 4 인터넷 온라인 재생, 5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 6 인터넷 유료 다운로드와 같은 6개 명목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선택해 답변하 도록 하였다. (4)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의 평가를 한국 배우와 드라마의 내용 그리고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긍정적 평가 라고 정의하고 선행 연구(김선남, 2007; 유세경 고민경, 2006; 이준웅, 2003) 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다. 총 11개의 문항을 이용하여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5점: 매우 동의한다)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 한국 드라마는 일상생활을 잘 표현해낸다, 2 한국 드라마는 가족 간의 유대감을 중시한다, 3 한국 드라마의 스토리가 좋다, 4 한국 드라마의 연기자는 외모가 준수하다, 5 한국 드라마의 연기자들은 연기를 잘한다, 6 한국 드라마는 사랑이나 성공에 초점을 두고 있다, 7 한국 드라마는 내용의 전개가 빠르다, 8 한국 드라마는 수준 높게 만들어졌다, 9 한국 드라마는 화면구성이 세련되다, 10 한국 드라마는 감동적이다, 11 한국 드라마는 영상이 좋다 등이다. (5) 한국에 대한 호감도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한국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 이라고 정의를 내리고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측정한 선행연구들(유세경 고민경, 2006; 유재웅, 2007; 이준웅,

60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을 토대로 측정 문항을 구성하였다. 한국 제품, 한국 대중문화, 한국 생활양식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등 총 8개의 문항을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5점: 매우 동의한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 한국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2한국의 유행을 따라 하게 되었다, 3한국 문화와 사회분위기를 동경하게 되었다, 4한국이라는 나라를 좋아하게 되었다, 5한국을 방문하거나 한국에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6한국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커졌다, 7한국어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8한국의 생활방식을 이해하 게 되었다 등이다.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α=.963으로 나타났다. (6) 한류에 대한 호감도 한류에 대한 호감도는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로 정의를 내리고 한류에 대한 태도를 묻는 기존 문헌들(유세경 고민경, 2007; 이창현, 2007)의 측정문항을 선택해 사용하였다. 총 5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5점: 매우 동의한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 한류현상은 앞으로 계속 지속될 것이다, 2 한류가 일본이나 미국의 문화보다 좋다, 3 한류는 중국인에게 즐거움을 제공해준 다, 4 한류현상의 발생 원인은 한국 대중문화의 경쟁력 때문이다, 5 한류는 중국의 대중문화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등이다.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α=.876으로 나타났다. 4. 연구결과 1) 주요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1) K-POP 이용 실태 및 평가 응답자들의 K-POP 청취 기간은 K-POP을 청취한지 1-3년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78명 (54.9%)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4-6년이 82명(25.3%), 10년 이상이 33명(10.2%), 7-9년이 31명(9.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의 일일 평균 K-POP 이용량은 30분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245명, 75.6%), 다음으로 30분-1시간이 46명(14.2%), 1-2시간이 20명(6.2%), 2시간 이상이 13명(4.0%)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K-POP을 청취하는 수단을 살펴보았을 때, TV(104명, 51.5%),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91명, 28.1%), 인터넷 온라인 재생(87명, 26.9%), 라디 오(14명, 4.3%), 음반(8명, 2.5%), 인터넷 유료 다운로드(1명, 0.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응답자들은 K-POP을 최소 1-3년 이상을 듣고 있었으며, TV 방송,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 인터넷 온라인 재생 등 무료 수단을 통하여 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인이 K-POP을 청취하면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K-POP의 소재와 내용, 제작, 가수 등에 대한 평가를 측정한 10개의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신한류 효과 61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표 1> 참조). 첫 번째 공통요인의 아이겐 값은 11.463이고, 두 번 째 아이겐 값은 1.065로 나타났으며, 개별변인의 공통인자들의 공통성 값( )도 높게 나타나 10개 요인을 두 개의 공통인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요인은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항목들로 구성되어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요인은 한국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들로 구성되어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로 명명하였다. <표 1> K-POP에 대한 평가 요인분석 결과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문항 평균 표준 편차 요인 적재량 가수의 춤 실력 3.69 1.15.856.804 가수의 몸매 3.64 1.14.838.793 가수의 외모 3.59 1.15.794.770 노래의 리듬감 3.44 1.10.747.683 의상과 볼거리 3.44 1.10.737.731 노래의 멜로디 3.37 1.11.724.710 사회성 2.97 1.05.881.840 현실적 2.95 1.12.849.786 가사내용 3.00.97.717.737 소재와 내용이 신선함 3.08 1.03.716.740 총분산 73.691 아이겐값 분산 11.463 38.445 1.065 35.246 (2) 한국 드라마의 이용 실태 및 평가 응답자들의 한국 드라마의 시청 기간은 한국 드라마를 본지 1-3년이라고 응답한 수용자가 149명(46%), 4-6년이 80명(24.7%), 7-9년이 54명(16.7%), 10년 및 10년 이상이 41명(12.7%)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드라마를 1년-3년 동안 보고 있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기는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 부흥했던 2000년대 후반기였다. 그리고 응답자의 29.4%가 한국 드라마를 7년 이상 시청해 왔다고 응답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가 오래 전부터 유행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응답자들의 한국 드라마 일일 평균 시청 시간은 30분미만(51.5%), 30분-1시간이 63명(19.4%), 1시간-2시간이 52명(16.0%)이고, 2-4시간 이 22명(6.8%), 4시간 이상이 20명(6.2%)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수단을 살펴보았을 때, TV(130명, 40.1%), 인터넷 온라 인재생(121명, 37.3%),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37명, 11.4%), DVD 구매(14명, 4.3%), DVD 대여(6 명, 1.9%), 인터넷 유료 다운로드(4명, 1.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응답자들은 한국 드라마를 주로 무료 수단을 이용해 시청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2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중국인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 드라마의 내용, 제작 요인, 배우 등에 대한 평가를 측정한 11개의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표 2> 참조). 첫 번째 공통요인의 아이겐 값은 6.679이고, 두 번째 아이겐 값은 1.177로 나타났으며, 개별변인의 공통인자들의 공통성 값( )도 높게 나타나 11개 요인을 두 개의 공통인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요인은 한국 배우와 한국 드라마의 내용에 대한 평가 항목들로 구성되어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요인은 한국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들로 구성되어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로 명명하였다. <표 2>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 요인분석 결과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문항 평균 표준 편차 요인 적재량 가족 간의 유대감을 중시함 3.64 1.04.849.732 일상생활을 잘 표현함 3.21 1.10.736.595 배우의 외모 3.59 1.11.841.770 사랑이나 성공에 초점을 두고 있음 3.49 1.12.797.716 배우의 연기 3.24 1.06.753.756 스토리 3.25 1.06.672.650 감동성 3.46 1.09.786.718 영상 2.80 1.05.759.690 제작 수준 2.99 1.02.764.793 화면구성 3.21 1.05.649.734 내용 전개 속도 2.65 1.05.835.700 총분산 71.415 아이겐값 분산 6.679 44.357 1.177 27.058 2) 연구문제 분석 결과 (1) 한국드라마의 시청과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 제 1에 대한 결과) <연구문제 1>은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의 시청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성별, 연령)과 한국 드라마 시청량(시청기간, 일일 시청시간), 그리 고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한국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3>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표준화된 회귀계수(β)와 각 단계별로 증가된 설명변량(Δ )을 보여주며, 전체 회귀모 델의 설명량과 회귀식의 모델 적합도를 보여준다.

신한류 효과 63 먼저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첫 번째 단계로 투입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10.9%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별(β=.094, p<.05)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호감 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한국드라마의 시청기간 과 일일 평균 시청시간 변인이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 로 14.4%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 일일 평균 시청시간(β=.172, p<.001)만이 유의미한 정적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시청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가지의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변인이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34.9%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드라마에 대한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관한 평가 (β=211, p<001),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β=487,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배우와 드라마내용과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회귀모델식은 60.3%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0.001수준에서 유의미한 통계치를 보였다. <표 3> 한국 호감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한국에 대한 호감도 독립변인 β 블록1 :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094* 연령.052 블록2 : 드라마 시청량 시청기간.021 일일 시청시간.172*** 블록 3 : 드라마 평가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211***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487***.603*** Adjusted.596*** 회귀모델 적합도(F) 80.384*** *p<.05, ***p<.001 Δ.109***.144***.351***

64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 한국 드라마의 시청과 평가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 <연구문제 2>는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의 시청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성별, 연령)과 한국 드라마 시청량(시청기간, 일일 평균 시청시간), 그리고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한국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4>는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표준화된 회귀계수(β)와 각 단계별로 증가된 설명변량(Δ )을 보여주며, 전체 회귀모델의 설명량과 회귀식의 모델 적합도를 보여준다. 먼저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첫 번째 단계로 투입하였다. 그 결과 종속변인에 대한 5.7%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별과 연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지 않았다. 두 번째로 한국드라마 시청량인 시청기간 과 일일 평균 시청시간 변인이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11.8%의 설명력을 높였다. 그러나 두 변인의 유의미한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가지의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변인이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43.6%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 (β=393, p<001), 드라 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β=405,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표 4> 한류 호감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 독립변인 β 블록1 :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059 연령.058 블록2 : 드라마 시청량 시청기간.044 일일시청시간.077 블록3: 드라마 평가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393***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405***.612*** Adjusted.604*** 회귀모델 적합도(F) 83.263*** ***p<.001 Δ.057***.118***.436***

신한류 효과 65 이를 통해 배우와 드라마내용과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회귀모델식은 61.2%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0.001수준에서 유의미한 통계치를 보였다. (3) K-POP 청취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제 3에 대한 결과) <연구문제 3>은 중국인들의 K-POP의 청취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성별, 연령), 한국 드라마 시청량(시청기간, 일일 평균 시청시간)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한국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그리고 K-POP의 청취량(청취기간, 일일 평균 청취시간)과 K-POP에 대한 평가(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가요 내용과 소재에 대한 평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K-POP 요인을 가장 늦게 투입한 이유는 앞서 인구통계학적 변인, 드라마 시청행위 요인들이 통제되었을 때도 K-POP 청취 행위와 평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는 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만약 드라마의 시청 행위 요인들이 통제되었을 때 응답자들의 K-POP 청취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현재 한국 대중음악의 열풍으로 시작된 신한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표 5>는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표준화된 회귀계수(β)와 각 단계별로 증가된 설명변량(Δ )을 보여주며, 전체 회귀모델의 설명량과 회귀식의 모델 적합도를 보여준다. 먼저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첫 번째 단계로 투입하였다. 종속 변인에 대한 10.9%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별(β=.108, p<.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한국드라마 시청량인 시청기간 과 일일 평균 시청시간 과 한국드라마 평가 변인인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가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49.5%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 시청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나지 않았고, 일일 평균 시청시간(β=.139, p<.01)의 경우 유의미한 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드라마의 시청시간이 길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라마의 평가에 있어서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관한 평가 (β=.337,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K-POP의 청취량인 청취기간 과 일일 평균 청취시간 변인과 K-POP 평가 인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가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 로 6.7%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K-POP의 청취량 중 청취기간 (β=.152, p<.01)

66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K-POP 평가에 있어서는 한국가수에 대한 평가 (β=.158, p<.05)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β=.227,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K-POP의 청취기간이 길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한국가수에 대한 평가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회귀모델식은 67%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0.001수준에서 유의미한 통계치를 보였다. <표 5> 한국 호감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한국에 대한 호감도 독립변인 β 블록1 :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108** 연령.051 블록2 : 드라마 시청 및 평가 시청기간 -.106 일일 시청시간.139**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032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337*** 블록3 : K-POP 청취 및 평가 청취기간.152** 일일 청취시간.066 한국가수에 대한 평가.158*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227***.670*** Adjusted.659*** 회귀모델 적합도(F) 63.530*** *p<.05, **p<.01, ***p<.001 Δ.109***.495***.067*** (4) K-POP 청취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제 4에 대한 결과) <연구문제 4>는 중국인들의 K-POP의 청취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성별, 연령), 한국 드라마 시청량(시청기간, 일일 시청시간)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한국 배우와 드라마 내용에 대한 평가,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그리고

신한류 효과 67 K-POP의 청취량(청취기간, 일일 청취시간)과 K-POP에 대한 평가(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가요 내용과 소재에 대한 평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K-POP 요인을 가장 늦게 투입한 이유는 앞서 인구통계학적 변인, 드라마 시청행위 요인들이 통제되었 을 때도 K-POP 청취 행위와 평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만약 드라마의 시청 행위 요인들이 통제되었을 때 응답자들의 K-POP 청취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현재 한국 대중음악의 열풍으로 시작된 신한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표 6>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표준화된 회귀계수(β)와 각 단계별로 증가된 설명변량(Δ )을 보여주며, 전체 회귀모델의 설명량과 회귀식의 모델 적합도를 보여준다. 먼저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첫 번째 단계로 투입하였다. 종속 변인에 대한 5.7%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별과 연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로 한국드라마 시청량인 시청기간 과 일일 평균 시청시간 과 한국드라마 평가 변인인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 가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55.5%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 일일 평균 시청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일일 시청시간(β=.119, p<.05)의 경우 유의미한 정적 변인으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한국 드라마의 시청시간이 길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K-POP의 청취량인 청취기간 과 일일 평균 청취시간 변인과 K-POP 평가 변인인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변인이 투입되었으며, 부가적으로 2.6%의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K-POP의 청취량 변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K-POP 평가변인에 있어서는 한국가수 에 대한 평가 (β=.154, p<.05)와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 (β=.155, p<.05)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가수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회귀모델식은 63.8%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0.001수준에서 유의미한 통계치 를 보였다. <표 6> 한류 호감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인 β 블록1 :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062 연령.064 한류에 대한 호감도 Δ.057***

68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블록2 : 드라마 시청 및 평가 시청기간 -.022 일일 시청시간.119* 배우와 드라마내용에 관한 평가.230*** 드라마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313*** 블록3 : K-POP 청취 및 평가 청취기간.062 일일 청취시간 -.085 한국가수에 대한 평가.154* 가요의 소재와 내용에 대한 평가.155*.638*** Adjusted.626*** 회귀모델 적합도(F) 55.113*** *p<.05, ***p<.001.555***.026*** 5.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류의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 중국인의 K-POP과 드라마의 수용현황은 어떠한지, 그리고 중국인의 K-POP과 드라마의 이용이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의 중국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K-POP이용행태를 살펴본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상(55%)이 1-3년 동안 K-POP을 청취해 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이상이 하루에 평균 30분 이하 K-POP을 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POP의 청취 수단은 TV(32%)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중국에서도 인터넷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K-POP을 청취한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5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인터넷 온라인 재생 27%,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 28%). 둘째, 응답자들의 드라마 이용행태를 살펴본 결과로는 46%의 응답자들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한 지 1-3년이 되었으며, 50% 이상이 한국 드라마를 하루에 평균 30분 이하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드라마의 시청 수단은 TV(40%)가 제일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또한 48%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인터넷 온라인 재생 37%, 인터넷 무료 다운로드 11%)을 통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K-POP과 드라마를 주로 TV를 통해 이용하고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는

신한류 효과 69 응답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한국 대중문화를 이용한다 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및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변인간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한국드라마 시청시 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 청취기간, K-POP 평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난 점은 정수영(2009)의 연구 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의 연구에서도 여성 수용자의 한류 콘텐츠의 이용에 따른 한국에 대한 태도가 남성 수용자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두보(2007)의 주장처럼 한류 현상 의 초기부터 한국 드라마의 주요 수용자 계층은 여성이었고 한국 드라마의 특성인 멜로적 이야기가 해외에서도 여성에게 소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K-POP의 경우, 대부분 남성 아이돌 스타들을 중심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음에 따라 여성 팬덤이 더 많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김수아,2011). 실제로 본 연구의 추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여성 응답자들의 경우 남성보다 드라마 시청기간(t=-3.957, p<.001)이나 일일 시청시간 (t=-2.350, p<.05)이 더 길었으며, 여성 응답자들은 드라마의 배우나 내용에 대한 평가 (t=-4.556, p<.001), 드라마의 영상, 연출에 대한 평가(t=-3.884, p<.001)를 비롯해 한국 가수에 대한 평가(t=-4.354, p<.001), 한국 가요의 소재 및 내용평가(t=-3.473, p<.001)에 있어서도 남성 응답자들보다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여성 응답자들이 한류 콘텐츠를 남성들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면서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드라마냐 대중가요이냐 라는 콘텐츠에 따라서 미디어 이용기간과 일일 평균 이용 시간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드라마의 경우 일일 평균 시청 시간, K-POP의 경우 청취기간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드라마는 매일 보는 사람일수록 K-POP은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청취한 사람일수록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드라마의 하루 시청량이 많은 집단일수록, K-POP을 오랫동안 청취한 집단일수록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 지를 형성하여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된다는 일부 선행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여준다(유재웅, 2007;김주연 안경모, 2012b;이문영, 2006) 다음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 속성 중에서 유의미한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한국드라마 시청기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의 평가가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앞서 한국에 대한 호감도의 경우 성별의 차이가 나타났지만, 한류에 대한 호감도의 경우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중국 응답자의 대부분이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류에 대한 호감도는 드라마의 시청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는데, 특히 드라마의 이용 기간이 오래될수록 한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세경과 고민경(2006)의 연구를 지지하는

70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결과로서 그들의 연구에서도 드라마의 시청기간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간에는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POP의 청취요인은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중국에서 한류가 한국 드라마열풍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아직까지도 한류에 대한 인식은 드라마라는 콘텐츠에 더 무게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이용 측면보다는 한류 콘텐츠에 대한 평가라는 점이다. 즉 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평가 요인에 있어서도 한국 연예인에 대한 평가보다 음악과 드라마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평가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세경과 고민경(2006)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로, 이들의 연구에서는 한류 스타의 중요성이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스타를 좋게 평가하는 수용자들일수록 한류는 지속될 것이며 한국문화는 다른 문화에 대해 우위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물론 본 연구에 서도 한국 가수나 배우에 대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지만 이보다 는 K-POP의 소재와 내용, 드라마의 영상과 연출에 대한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인들의 한국드라마 시청효과를 다룬 김재휘와 이희성(2007)의 연구를 일부 지지하는 것으로 이들 연구에서도 한국드라마의 노출보 다는 한국드라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국가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드라마에 대한 평가를 통제했을 때에도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K-POP이 한류를 대표하며 중국인들의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형성할 수 있는 주요 콘텐츠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는 음악성 과 시각성 과 같은 K-POP의 선호 요인이 한국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김주연 안경모, 2012a)와, 시각적 음향효과 요인 과 소재와 내용의 참신성,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이 한국 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김성섭 김미주, 2009)들의 결과를 뒷받 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K-POP이 한류를 대표하며 중국인들의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을 형성할 수 있는 주요 콘텐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준웅(2003)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 드라마 의 이용량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한 중간의 호감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한국 대중음악의 경우 드라마만큼 강력한 효과 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드라마의 시청량과 평가를 통제했음에도 K-POP의 평가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K-POP이 한국 드라마보 다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차이는 연구시점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이준웅(2003)의 연구는 한류 발전단계의 시기상 한국 드라마가

신한류 효과 71 크게 부각되었던 한류 2기 시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는 K-POP이 주도하는 한류 3기(신한류)에 이루어진 연구로서, 이러한 결과는 한류 발전단계에 따라 주요 콘텐츠가 변화하 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어, 기존 한류를 주도했던 드라마와 현재 신한류를 주도하고 있는 K-POP이라는 두 가지 콘텐츠에 주목하면서 콘텐츠 이용과 평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이용행태보다는 콘텐 츠의 내용평가가 한국에 대한 태도 및 한국 드라마와 대중음악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콘텐츠의 내용평가의 중요성을 시사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에서 K-POP으로 시작된 신한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K-POP과 한국 드라마의 이용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 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한국 대중음악과 한국 드라마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한국 드라마의 강한 영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류의 중심이 드라마에서 대중음악 으로 변화함에 따라 K-POP의 영향력이 중국에서 점점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드라마와 K-POP의 내용평가가 한류와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한류에서 나타났던 스타중심의 콘텐츠 제작에서 벗어나 콘텐츠 자체의 내실강화가 필요하다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중국시장 을 겨냥한 한류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한류 스타들로 중국인들의 시선을 끄는 동시에 음악과 드라마의 제작 수준과 내용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자발적 수용이 많아지는 현 상황을 고려한다 면 실무적 차원에서 주목해야할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이 중국 전체 인구특성을 대표하지 못하고 있으며 편의적 표본 추출이라는 한계점을 안고 있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 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지역과 표본수를 확대하고 대표성을 담보한 보다 정교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둘째, 본 연구는 신한류의 효과를 분석하 는데 있어 한국 드라마와 K-POP이라는 두 가지 콘텐츠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물론 드라마와 K-POP이 한류의 시발점이자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중문화 콘텐츠이기는 하나,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요인들을 추가하여 분석한다면 신한류에 대해 보다 풍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나아가 K-POP이 전 세계적으로 열풍이 불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이라는 나라가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실제 타 문화권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대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한 다면 신한류의 효과를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2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참고문헌 고정민 (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김미주 김성섭 박제온 김도윤 (2010).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 레져연구. 22권 5호. 441-461. 김선남 (2007).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14호. 61-78. 김성섭 김미주 (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권 4호. 101-125. 김수아 (2011). 남성 아이돌 스타의 남성성 재현과 성인 여성 팬덤의 소비 방식 구성 - 샤이니와 2PM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9호. 5-38. 김재휘 이희성 (2007). TV드라마 시청이 국가에 대한 이미지 및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일본인들의 한국 TV드라마 시청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8권 3호, 379-398. 김주연 안경모 (2012a).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호. 516-524. 김주연 안경모 (2012b).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5호. 447-458. 김준형 (2012). 케이팜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제품 구매 및 사회문화적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진이 (2012). K-POP의 형성과 음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옥, 김남조, 정철 (2013). K-POP 인식이 한국의 관광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7권 1호. 77-101. 변미영 (2011).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철현 양진연 (2012). 중국인이 지각하는 한류의 K-POP 속성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 학회지, 25권, 4호. 1917-1938. 손승혜 (2009). 학술 논문의 메타 분석을 통해 본 한류 10년 -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 사회, 17권 4호. 2-199. 손승혜 (2012). 한류 수용의 로컬 콘텍스트와 글로벌 팬덤의 특성 : 코리안 커넥션 사례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10권 1호, 45-85. 시보청 (2003). 중국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 행태와 매체 효과에 관한 연구 : 한류 현상에 대한 이용과 충족 이론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두보 (2007). 한류와 한국 드라마, 그리고 여성의 팬덤.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389-541. 신현준 (2005). K-POP의 문화정치(학) - 월경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연구. 언론과 사회. 7-36. 양은경 (2003). 동아시아의 트랜디 드라마 유통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 연구. 방송통신연구, 56권, 197-220. 왕 단 (2013).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세정 (2012). K-POP의 선호 요인: 미주 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 24호. 205-233. 유세경 (2005). 동아시아 지역문화 구축을 위한 국가 간 프로그램 교류 활성화 방안: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신한류 효과 73 한국 프로그램의 교류와 수용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72-90. 유세경 고민경 (2006). 한국 TV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 연구 -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6호. 46-77. 유재웅 (2007).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홍보학연구, 11권 2호. 126-158. 윤경우 (2009). 중국의 한류 수용양상: 선택적 수용, 저항 그리고 변용 및 주변화. 중소연구, 32권 4호, 99-129. 윤정인 (2013). 신한류 문화로서 K-POP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학위논문. 윤재식 (2007). 방송 한류 위기 극복을 위한 신시장 교류 확대와 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한국방송광 고진흥공사 연구보고서. 이문행 (2005). 국내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수출 성과 분석. 한국언론학회 연구보고서, 33-68. 이연정 (2006). 한류가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6권 5호. 497-505. 이문영 (2006). 중국에서의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구매의사에 미친 영향. 국제경영리뷰, 10권 2호. 107-136. 이익수 (2011). 한류관광객의 관광동기 및 체험성이 관광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권 1호, 387-395. 이인구 김종배 오재환 (2006).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대한경영학회지, 19권 6호. 2335-2355. 이재화 양희 (2011). 정보통신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e-비지니스연구, 12권 2호. 161-183. 이준웅 (2003).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7권 5호. 5-35. 이창현 (2007). 일본과 중국내 한류 수용자의 해외 문화 수용에 대한 인식 비교. 주관성연구. 15권. 21-40. 임학순 (2012).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 소비요인 및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비교한국학, 20권 1호, 85-112. 장규수 (2009).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글로벌콘텐츠, 2집. 217-238. 정수영 (2009).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 일본 여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11호. 75-122. 정정숙 신광철 심광현 이원범 채지영 (2007). 한류에 있어서의 인문학의 활용방안. 경제 인문 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 정책보고서. 정태수 (2010).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신한류시대. SERI 경영노트, 76호. 삼성경제연구소. 정희진 이계희 (2010). 신한류가 일본과 중국관광객들의 한국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4권 6호, 249-270. 주호일 (2012). 신한류의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 K-POP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채지영 (2011).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최주열 (2006). 신한류정책으로서의 한국어 교육. 비교한국학. 59-84.

74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봄, 통권 6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관광공사 (2003). 한류관광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1). 2010 한류 경제효과 및 한류지수 조사결과.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한은경 (2005). 한류의 소비자 지각상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방송학보, 19권 3호, 325-360. 허 진 (2001). 한국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 반응.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53-77. 황인석 김봉 안성아 (2008).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권 6호. 140-150. 황인석 조은성 (2009). 한국 드라마 만족도의 중국 내 한류 효과 한국 휴대폰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19권 4호. 245-270. (투고일자: 2013. 12. 1, 수정일자: 2014. 1. 17, 게재확정일자: 2014. 1. 24)

신한류 효과 75 ABSTRACT Effect of New Hallyu: Influence of K-POP Consumption on Chinese Attitude toward Korea and Hallyu Jing-jin Liu * 2) Yeon-Jin Park ** 3) Ha-Sung Hwang *** 4)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usage of K-POP and Korean TV dramas influence Chinese attitude toward Korea and Hallyu as K-POP has gained its popularity all over the world. The result indicated that gender, duration of watching Korean TV drama, the evaluation of Korean TV dramas, duration of listening K-POP and evaluation of K-POP are strong predi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Korea among Chinese peopl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Hallyu, demographic factors are not appeared as the predictors, however, duration of watching Korean TV dramas, the evaluation of Korea TV dramas and evaluation of K-POP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Hallyu in a positive way.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ontent, either Drama or K-POP, has more importance to appeal global audience rather than famous star has. Furthermore, when variables such as watching Korea TV dramas and evaluation of Korea TV drama have been controlled, evaluation of K-POP appeared as a strong predictor to influence attitude of Korea and Hallyu in a positive wa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in content of Hallyu in China has shifted from Korean Dram to K-POP as the New Hallyu has been coming. Keywords: New Hallyu, Hallyu contents, K-POP, Korean TV dramas * Master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Dongguk University ** Doctoral Student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Dongguk University *** Professor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