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2DC0CCBFEBC5C2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C0CFC1A4B0FCB8AE E687770>

21-설03 경인고속도로309~320p

77

01. 마트에서의작업개요 01 마트에서의작업개요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04_이근원_21~27.hwp

- 2 -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

CONTENTS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Ȳ¿ë¼®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³»Áö_10-6

목차 보조지원사업지원설비안전조치기준 양산품목의안전조치 공사품목의안전조치 1. 적재대 ( 일반 / 중량물 / 금형 / 파렛 ) 2. 원사빔적재대 3. 공구함 4. 이동식대차 5. 스태커 6. 전동지게차 ( 보행식 / 입식 / 좌식 ) 7. 에어발란스 8. 컨베이어 9.


대상항목 총 50 항목 ( 신설 : 3, 보완 : 47) 번호그룹분야항목명구분요청기관내용 1~3 A 토목건축설비 토목 4~6 A 건축 설비 토목 7~9 A 건축 설비 토목 10~12 A 건축 설비 토목 13~15 A 건축 설비 토목 16~18 A 건축 설비 토목 19~

2016년 신호등 1월호 내지(1219).indd

신탁부동산공매공고

0001³»Áö

03-교통이야기

DBPIA-NURIMEDIA

152*220

국도_34호선(용궁~개포)건설사업_최종출판본.hwp

4-Ç×°ø¿ìÁÖÀ̾߱â¨ç(30-39)

ÀÌÁÖÈñ.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와플-4년-2호-본문-15.ps

untitled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Á¤Æò°¡

È޴ϵåA4±â¼Û

CC hwp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톤백마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톤백마대와 그 투입구

< FC0DAC3BC5FBCDBC0CEBFEB5FC3DFB6F C0E7C7D820C6AFBCBABAD0BCAE20B9D720BEC8C0FCC0E5C4A120B0B3B9DF20BFACB1B82E687770>


나하나로 5호

~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성인지통계

18-도2-베트남 :37 AM 페이지230 설계 감리사례 사업의 개요 1. 서론 - 사 업 명 : THE SECOND NORTHERN 본 사업은 ADB차관 사업으로 지역 내 도로 네 GREATER MEKONG SUB- 트워크와 운송 서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VIEW CHART 1

<303120BDC5BFEEC3B62E687770>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1. 터널거동과 관련된 요인

02Á¶ÇýÁø


특집1 국내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과 특징 망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증가(4.9% 5.5%)하 여 사고의 심각성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2%대인 자전거 수단분담률에 비해 전체 교통사고 중 자전거사고가 약 5%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자 전거 안전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외형이 육면체이며 원통 공으로 관통된 한쪽의 중앙부에 원형 공보다 직경이 더 큰 스플라인 홈이 설치되며, 원 통공의 축 중심과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원통 홈이 설치되고, 원통 홈의 중간부에 상, 하로 핀 홀이 설치된 스플 라인 너트(01)와,

< B3E220C1A631C8B820B0A1B1B8BCB3B0E8C1A6B5B5BBE720C7CAB1E22042C7FC28C0CEBCE2292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Microsoft Word - SDSw doc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ROK-WhitePaper(2000).hwp

012임수진

<31372E20B1E2C5B8BCB6C0AFC1A6C7B0C1A6C1B6BEF72E687770>

DBPIA-NURIMEDIA

* pb61۲õðÀÚÀ̳ʸ


PERFORMANCE technology the all-new bmw 5 series. dynamic 06 business 14 comfort 20 safety 22 model LineuP 24 TecHnicaL data 26 bmw service 28 bmw kore

µ¶¸³Á¤½Å45È£

005송영일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22DB3EDB9AE2E687770>

<INPUT DATA & RESULT / 전단벽 > NUM NAME tw Lw Hw 철근 위치 Pu Mu Vu RESULT (mm) (mm) (mm) 방향 개수 직경 간격 (kn) (kn-m)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KBO_보일러 사용기술 규격_에너지관리공단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 I.서 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력사고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범행 장소도 학교 안팎을 가리지 않는다.이제는 학교 안까지 침입하여 스스럼없이 범행을 하고 있는 현실 이 되었다.2008년 12월 11일 학교에 등교하고 있는 학생(여,8세)을 교회 안 화장 실로 납치하여

10송동수.hwp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09È«¼®¿µ 5~152s

CD 2117(121130)

?

....pdf..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248019_ALIS0066_1.hwp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서론 34 2

Transcription:

이용태 신승헌 손병창 * 계명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2005. 8. 26. 접수 / 2005. 11. 3. 채택) Accident Analysis of Second Daegu Subway Line During its Construction Period Yong-Tae Lee Sung-Heon Shin Byung-Chang Son *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Korea nazarene University (Received August 26, 2005 / Accepted November 3, 2005) Abstract : The accidents which occurred between during February of 1997 to December of 2004 at the 2nd Daegu subway construction site have been classified. The accident types of injuries include accidental falls, falling objects which consist 53.4% of all accidents. This result is higher than the same types of accident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which are 46.3%. It was found that the 3.4 times more accidents are caused from safety measures and working methods than problems caused by lack of supervision. 78.0% of the accidents occurred at stations and at the ventilation area. 31.9% of the accidents occurred when the operation was near completion(81.0%~100.0%) which means there was pressure to complete the operation to meet the set due date. In the case of 50.0% of the accidents were caused by workers with less than two month work experience. And lumbago is 6.9%, especially lumbago didn't showed before. Maybe accident should increase if not reduce a possibility of danger. In this study a literature 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cause of these accident types and respective suggestions are provided. Key Words : Daegu subway construction, accident type, prevention 1.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63년 세계 최초로 영국의 Metropolition 철도회 사가 런던시 중심가인 Bishop Road에서 Ealinton Street 까지 6.4km의 지하철을 건설한 이래, 다수의 국가에 서 현재에도 지하철 건설 공사가 수행되고 있다. 우 리나라의 지하철은 1971년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 지 9.54km가 착공되어 1974년에 개통된 후,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 주요도시에서 지하철 건설공사가 계 속되고 있다. 지하철 건설 현장은 건물과 설비가 고정되어 있 는 제조업의 현장과는 달리 안전시설물 등이 공사 가 진척됨에 따라 그 위치가 계속 바뀌게 되고 새로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rgono@kmu.ac.kr 설치해야 하는 시설물이 있어서 번거로움, 시간, 경 제적 여건 등으로 안전관리를 소홀하기 쉽게 된다. 또한 작업 시에 이동이 많고 작업이 지상, 지하에서 수행되므로 작업환경(소음, 분진, 조명 등)의 문제, 視 界, 장비의 대형화 복잡화 등으로 안전사고가 다 른 건설업종에 비하여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 다. 지하철공사는 다른 건설현장 작업보다도 위험 성이 큰 공사로서 사소한 실수로도 대형 재해를 유 발시켜 다수의 작업자뿐만 아니라 공공의 안전까 지 위협할 수 있다. 이렇게 어렵고 복합적인 건설공 사이지만, 지하철 건설로 인하여 지역개발촉진, 도 시미관 향상, 도시 활동거리의 확대 등 지역사회전 반에 미치는 효과가 크고, 외곽 주요 생활권의 지 역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도심부로 집중되 는 통행량을 분산시켜 도심의 활동밀도도 다소간 완 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교통수요증가에 대 138

비 교통시설용량, 지가 등으로 도로시설공급의 한계 를 극복하고, 교통체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증가, 공 해, 종합적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 등을 극복하기위 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상당기간 지하철 건설공사는 계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지하철 건설공사와 관련된 연구로는 고 성석과 안홍섭 1) 이 지하철 공사현장에서의 환기와 조명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대책으로 국소배기 설비, 배기덕트의 사용요령, 계획조도, 가설조명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산업안전공단 2) 에서는 지하철 건설현장의 작업공종별 재해예방모델을 발표하여 작 업공종에 따른 안전대책을 제시했다. 장준무 3) 는 지 하철 건설현장의 사고예방에 관한 내용으로 안전교 육, 재해예방업무의 민간주도, 신공법에 대한 이해 등을 설명했다. 이들 연구는 지하철 건설현장에서 유용한 내용으로 생각되지만 사고유형에 따른 분석 이 다소 결여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건설공사 에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지하철 2호선(29.0km) 건설공사(1997.2~2004.12)중에 발생 한 안전사고에 대하여 발생형태별로 분류하고, 각 형 태의 내용을 파악하여 그 대책을 안전공학, 인간공학 의 입장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 구광역시의 경우는 지하철 1호선(29.6Km)이 개통되 었고, 2호선(29.0Km)이 200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1.2. 지하철 건설의 공법 지하철 건설은 개착식(Open Cut)공법과 터널식공 법으로 대별된다. 개착식공법은 지질이나 환경, 굴착 방법 등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1) 지질, 환경에 의한 분류 1법면 굴착식( 掘 鑿 式 ) 2무복공식( 無 覆 工 式 ) 3복공식( 覆 工 式 ) 2) 굴삭방법에 따른 분류 1종할식( 縱 割 式 ) 2측구 식( 側 遘 式 ) 3) 구축방법에 의한 분류 1표준방법( 順 卷 式 ) 2Top- down 공법( 逆 卷 式 ). 실제적으로는 이들을 복합한 형태로 시공하는 경 우가 많다. 표준적인 개착식 공법의 시공순서는 흙 막이 파일 항타 노면복공 지장물 방호 굴 착 및 가시설 설치 구조물 시공 지장물 복구 및 되 메우기 노면복공철거 및 도로 포장이다. 터널식공법은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 Shield 공법이 있다. NATM공법의 시공순서는 상부반단면 굴착 상부반단면 지보재 설치 하부반단면 굴착 하부반단면 지보재 설치 방수 라이닝 콘크 리트 타설이다. TBM공법은 터널 시공을 원형단면 굴 착에 따른 안정성 증대와 발파에 의한 주변 지반의 손상이 적으므로 지반의 변형 및 침하가 감소하게 되 어 인접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진 동 및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이 적고 작업자에게 안 전하고 청결한 갱내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 지하철에는 서울지하철 5~9공구 화곡 터널 하부통과, 고층아파트단지 하부통과, 서울지하 철 5~21공구 지하철 2호선 하부통과(12M 이격), 아 현고가 하부통과(32M 이격), 서울지하철 5~27공 구 광희동 주택밀집지역 하부통과의 시공사례가 있 다. Shield공법은 연약한 지반의 터널을 건설할 때 선두에 강고한 강관을 잭 압력으로 압입시키며 굴 착하는 공법으로 굴진과 함께 강제통을 추진시키며 실드선단의 회전식 커터를 이용 전단면을 굴착하 며 후부에서 철근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조립하고 공 극을 그라우팅 주입하여 터널을 완성시키는 공법이 다. 시공순서는 발진수직구 장비반입 및 조립 반력대 설치 초기굴진 굴착 세그먼트조립 BACK FILL 주입 본 굴진 도달부 굴진 장비해체이며 우리나라 지하철 적용사례로 광주지 하철 TK 1공구가 있다. 우리나라 지하철 건설공사 는 일반적으로 개착식 공법과 NATM공법으로 시공 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2호선 건설공사 역시 개착 식 공법과 NATM공법으로 시공하였다. Table 1. Overview of subway construction in South Korea (Jan. 2005) 도시 인구(만명) 규모 개통 건설중 서울 1,026 325.0km(9개노선) 287.0km / 1974년개통(8개노선) 38.4km / 2007년 개통(1개노선) 부산 379 112.2km(3개노선) 54.2km / 2002년개통(2호선) 71.6km / 2007년 개통(2호선 개통) 대구 252 58.6km(2개노선) 29.6km / 1999년개통(1호선) 29.0km / 2005개통(2호선) 인천 256 30.6km(1개노선) 24.6km / 1999년개통(1호선) 6.0km(1호선 연장구간) 광주 138 20.1km(1개노선) 1단계 / 2004년 4월 28일 개통 20.1km / 2007년 개통(1개노선, 17,361억원) 대전 150 22.6km(1개노선) 1단계 / 2006년 상반기 개통 22.6km / 2007년 개통(1개노선, 18,438억원)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5년 139

이용태, 신승헌, 손병창 1.3. 국내 지하철의 건설 현황 2005년 현재 우리나라 지하철 건설 공사 현황은 Table 1과 같다. 1.4. 대구지하철 2호선 공사 개요 공사구간은 다사~고산방면이며, 공사규모는 연 장 29.0km, 정거장 26개소, 차량기지 1개소, 전동차 168량이다. 사업비는 2조 3,299억원(국비 11,327 : 지 방비 11,972) 이고, 공사기간은 1996년~2005년 9 월이다(1997년 1월 착공). 또한 연도별 공사 투입액 은 Table 2와 같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구광역시 지하철 2호선 건설공사(1974년 2월~2004년 12월, 29.0km) 에서 발생한 각종 안전사고 중, 근로복지공단에 의 해 산재요양이 허가된 144건을 Data로 하여 각종 분석에 이용한다. 각 재해마다 Table 3과 같이 재해 내역을 정리했다. Table 3 중 발생형태는 Table 4의 내용에 따라 분류했다. 3. 재해분석과 예방대책 3.1. 재해유형별 기술 및 관리적 원인과 예방 대책 Fig. 1은 발생된 144건의 재해에 대하여 유형별 로 그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추락이 31.9%, 낙하비 례가 21.5%로 두 유형이 53.4%나 차지하게 된 것 은 대구지하철 2호선의 경우 역사는 건축물로서 시 공되었고, 역과 역 사이는 터널시공을 하였다. 역사 가 건축물로 시공되어 일반 고소작업에서 특징적으 Table 2. Annual budget for subway construction (단위: 억원) 구분 총사업비 2001년까지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소계 23,299 13,526 3,188 2,776 2,070 1,739 국비 11,327 6,132 1,586 1,195 1,371 1,043 지방비 11,972 7,394 1,602 1,581 699 696 Table 4. Accident types 발생형태 내 용 사람이 건축물, 발판, 기계, 사다리 등 높은 장소 추 락 에서 떨어지는 경우 감전하여 추락한 경우는 감전으로 분류 아래로 떨어지는 물건, 날아오는 물건 등이 주체 가 되어 사람이 맞은 경우 낙하 비래 자신이 갖고 있던 물건을 발에 떨어뜨린 경우를 포함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 물체에 맞은 경우 사람이 평면, 경사면, 층계 등에서 구르거나 넘어 전 도 진 경우 미끄러짐에 의해 쓰러진 경우 사람이 정지물 또는 움직이고 있는 물체에 부딪친 경우 충 돌 매달린 짐, 기계부분 등에 사람이 부딪친 경우, 날 아와 떨어진 경우 등 어느 정도 통제 가능한 상황에서 물체에 맞는 경우 구동되고 있는 기계로 인하여 사람이 깔림, 말려 협 착 듬 또는 끼이는 경우 요 통 자신의 체력, 연령 등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동작 (무리한 동작) 안전수칙을 무시한 임의 동작 기 타 붕괴 도괴, 폭발, 질병, 절단, 감전, 베임, 진동 등 로 나타나는 추락, 낙하 비래와 같은 재해유형이 많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전통로의 확 보가 중요하고, 각종 개구부에 대한 안전조치를 취 해야 한다. 또한 현장 근로자가 작업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임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 리감독이 필요하다. 전도의 경우는 11.8%로서 이것은 작업자세의 불 안정과 족장의 크기와 경사, 지하철 건설현장의 특 성상 정리정돈의 어려움, 작업환경(조명, 바닥의 습 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충돌이 10.4%, 협착이 9.7%인데 작업장에서 자재를 운반할 때 시야의 장해와 소음 등을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 다. 특이한 것은 지금까지 지하철 건설현장의 재해 유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요통이 6.9%로 나타 난 것은 2002년 12월에 신설된 산업안전보건법 24 조 4) 단순반복 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 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 불 성실에 근거하여 요양신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 된다. 지하철 건설 현장에서도 무리한 작업자세, 중 Table 3. Accident analysis factor 순번 발생년 발생월 연령 근무기간 상해부위 최초요양일수 직종 기인물 발생형태 작업구간 작업공종 공정율 1 97 6 61 30일 팔, 목 49 보통인부 기타(기름) 기타(화상) 정거장 구간 기타작업 4.0% 144 04 11 46 5월 두부 56 전기공 사다리 추락 정거장 구간 구조물 작업 99.0% 140 Journal of the KOSOS, Vol. 20, No. 4, 2005

량물 취급 등 작업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러한 근골격계에 대한 부담 작업을 해소하지 않으 면 이와 관련된 요양신청의 건수는 앞으로 더욱 증 가할 것이다. Fig. 1에 제시된 재해유형에 대하여 그 원인을 기 술적인 내용과 관리적인 내용으로 나누어 나타낸 것이 Table 5이다. 기술적 원인이 77.1%, 관리적 원 인이 22.9%이다. 관리적인 원인에 비하여 기술적 원 인이 크게 높은 것은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시설, 기 계 기구, 작업방법 등 비교적 Hard한 내용에서 많 은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는 기술적원인의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낸 것으로 안전시설 미비가 49.5%나 되는 것은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이 부족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작업방법의 부적성이 24.3%나 되는 것 은 작업내용이 제조업의 흐름작업과는 상이하여 공정이 진척됨에 따라 작업내용과 작업장 환경이 계속 변하게 되어 작업자가 이러한 환경에 익숙하 Fi g. 1. Accident type comparison. Table 5. Accident cause analysis: technical and management aspect 기술적 원인(77.1%) 관리적 원인(22.9%) 안전시설 미비 구조적인 결함 작업방법의 부적합 불안정한 작업자세 기계 기구의 고장 Fi g. 2. Acci dent cause: Techni cal aspect. 안전교육 미흡 관리감독 소홀 보호장구 미착용 안전의식결여 정기점검 미실시 동일장소 동시작업 주용도 외 사용금지 Fig. 3. Accident cause: management aspect. 지 못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불안정한 작업자세도 21.6%나 되어 족장 등 작업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Fig. 3은 재해의 관리적원인의 구체적 내용을 나 타낸 것으로 관리감독 소홀이 48.5%나 되는 것은 현장의 안전담당자가 관리하는 장소가 넓고, 구조물 의 경우 공간이 넓고, 상하층 작업 때문에 지도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실제 현장 의 안전담당자의 업무가 관계기관에 대한 공문 작 성, 안전사고 발생시에 처리 등으로 현장 작업자들 을 일일이 관리감독하기에는 다소의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안전의식결여와 안전교육 미흡이 각 각 15.2%로 나타났는데 아직도 안전 불감증의 思 考 가 다수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설공사의 특성 상 작업장 곳곳에 위험요소가 있고, 작업자의 이직 률도 높아 질적인 안전교육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다. 동일 장소 동시작업에서도 12.1%나 되어 작업 분담의 애매함과 작업 시에 정보교환, 작업관리에 문 제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정기점검 미 실시와 보 호 장구 미착용이 9.1%나 되는 것에는 안전담당자 와 작업자 모두에게 안전관리의 기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고를 낸 작업자들이 그 작업장 에서 일을 시작한지 2개월 미만인 자가 약 50.0%나 된다(Fig. 7). 이들은 타 건설현장에서 작업경력이 있는 자도 있지만, 변화된 작업상황에 빨리 대응하 지 못하기도 하고, 안전의식에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현장에서 지적되고 있다. Fig. 1~3과 Table 5에서 재해유형과 기술 및 관 리적 원인을 생각했다. 결국 복잡한 지하철 건설 현 장에서 불안전한 상태를 찾아 기술적인 대책을 강 구하는 안전책임자의 끊임없는 노력과 스스로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작업자들이 되어야 이 러한 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5년 141

이용태, 신승헌, 손병창 Fig. 4는 재해 유형에서 기술 및 관리의 원인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추락에서는 안전시설 미비(61.0%)와 작업방법의 부 적합(20.0%)이 81.0%나 되어 신뢰성이 있는 안전망 과 안전띠 등의 필요성을 알 수 있고, 바른 작업자 세를 유지하기위한 작업방법 등을 강구해야 한다. Table 6. Model case in each accident type 재해유형 기술 관리적 원인 추락 낙하 비래 전도 충돌 협착 요통 안전시설미비 (60.9%) 대표적 사례 작업차로 이동중 선로에서 탈선하여 추락 벽면 암버럭이 착암기 로드위에 떨어져 기계와 함께 추락 숏크리트 덩어리가 낙하되면서 사고자를 타격하여 추락 사각 pipe를 안전통로 쪽으로 이동중 중심을 잃어 추락 철근조립 작업 중 안전 발판이 휘어지면서 추락 버팁보 위의 앵글을 잡다가 놓쳐 추락 작업방법의 부적합 강재인양 작업중 강재를 묶은 wire loop가 꼬이자 강봉을 이용하여 풀려다 개구부로 추락 (19.6%) 사고자가 백호 호퍼에 타고 이동 중 중심을 잃어 추락 관리감독소홀 (8.7%) 안전시설미비 (58.1%) 정리되지 않은 콘크리트 잔재더미에 미끄러져 추락 사다리 고정 상태가 불량하여 추락 버팀보 간의 간격이 넓어 체인 블럭을 발로 조작 중 미끄러져 추락 1차 숏크리트 처리된 중앙부 막장 면에서 부석이 낙하 터널 발파 작업중 터널 크라운부 암버럭이 낙하 막장 상부의 콘크리트 덩어리가 낙하 호이스트 운전자가 주변을 살피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호이스트 와이어가 사고자에게 비래 작업방법의 부적합 보강그라우팅 주입 작업중 주입압을 무시하고 체크밸브를 여는 순간 주입구에서 시멘트밀크가 사고자에게 분사 (22.6%) 라이닝폼 이동용 레일을 운반하던중 부주의로 손수레에서 레일이 낙하 관리감독소홀 (9.7%) 복공판 작업구에 흩어져 있던 토류판이 차량진동으로 지하로 낙하 호이스트 바가지에 강지보를 실은 상태에서 급골재를 담은 손수레를 메달고 올리는중 손수레가 낙하 절단기로 철근을 자르던중 무뎌진 절단기 날이 부러져 비래 추레라 상부로 타이어에 발을 딛고 오르는 순간 미끄러져 넘어짐 불안정한 작업자세 지하층으로 내려 가던중 미끄러져 넘어짐 (52.9%) 카고 크레인 적재부에서 내려오다가 미끄러져 넘어짐 안전시설미비 (11.8%) 관리감독소홀 (11.8%) 청소작업 중 옆 부분의 흙이 무너져 넘어짐 주 철근이 무너져 넘어짐 틀비계 가세가 이탈되어 비계에서 미끄러져 넘어짐 흩어져 있는 환기 탁트 보호용 벽돌을 밟아 넘어짐 계단 미끄럼 방지용 철근에 발이 걸려 넘어짐 떨어져 있는 바닥의 버럭을 밟아 발목이 접치며 넘어짐 천공 작업중 멍키스페너가 미끄러지면서 사고자가 천공기에 충돌 작업방법의 부적합 카고 크레인으로 ㄷ형강을 내리던 중 와이어로프가 받침보에 닿아 ㄷ형강이 빠져 사고자에 충돌 (33.3%) 해머드릴의 진동충격으로 해머드릴이 사고자를 타격 안전시설미비 (26.7%) 관리감독 소홀 및 안전교육미흡 (26.7%) 천공 작업중 부석이 떨어져 사고자에 충돌 앵글이 떨어져 사고자에 충돌 크레인드럼에 wire loop와이어로프가 풀리면서 H빔이 이탈하여 사고자에 충돌 백호의 주차를 위해 후진중 뒤 바퀴에 사고자가 치임 천공드릴의 비트가 마모되어 연마숫돌이 파손되면서 사고자를 타격 부주의로 손을 피하지 못해 손가락이 레일과 보도 헌치 사이에 협착 작업방법의 부적합 백호우 버킷을 이용하여 운반중이던 철판이 운전미숙으로 미끄러지면서 사고자의 발등에 협착 (35.7%) 띠장을 설치하던중 버팀보에 걸려 띠장이 튕기면서 버팀보 위에서 신호 중이던 사고자의 팔목부위가 협착 관리감독소홀 및 강재를 치우고 있는 사고자를 중기운전자가 보지 못하고 강재를 뒤집는 순간 발목이 협착 동일장소 동시작업 크레인으로 강재를 이동중 신호불일치로 재해자의 왼쪽다리가 벽체락볼트와 띠장 사이에 협착 (28.6%) 백호우가 강지보를 건드려 지보에 올라 있던 사고자의 왼쪽발이 강지보사이에 협착 안전시설미비 (21.4%) 드릴 비트에 작업복과 손목이 딸려 들어감 수평받침보가 전도되면서 사고자가 깔림 띠장이 이탈되면서 피해자의 왼손 인지가 토류판과 띠장사이에 협착 해머로 스크류 쟈키를 고정시키는중 자세가 불안정하여 허리통증 호소 불안정한 작업자세 허리를 구부려 무거운 자재를 드는 순간 허리통증 호소 (100.0%) 거푸집을 하부 작업자에게 내려주는 과정에서 허리통증 호소 기타 H빔 절단작업을 하던 중 정전이 되어 개구부에 왼발이 빠짐 트로리 자재운반 중 조명이 어두워 사고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충돌 어두운 지하 작업장내 작업을 위해 양수기 가동 중 감전 142 Journal of the KOSOS, Vol. 20, No. 4, 2005

Table 7. Prevention policy in each accident type 재해유형 추락 전도 낙하 비래 예방대책 1) 지상개구부, 가설통로 등에는 안전 난간과 폭목을 견고하게 설치함 2) 작업발판, 작업대차의 발판은 밀실하고 견고하게 하며 안전 난간대를 설치함 3) 철골작업시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구명 loop를 걸어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이동함 4) 수직구의 버럭 반출 작업장에는 덤프트럭이 후진시 수직구로 추락하지 않도록 stoper를 설치함 stoper는 사용후 남은 H빔을 이용하여 복공판 위에 용접 설치함 5) 이동식 비계위에 근로자가 탄 채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함 6) 고소 작업자에게는 안전장구 착용을 철저히 관리감독을 함 1) 작업장내의 정리정돈을 철저히 함 2) 작업장내 조명을 충분히 하여 사전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 3) 무리한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함 1) 터널 발파후 부석정리를 철저히 하여 후속 작업시 낙석이 낙하하지 않도록 함. 이때 부석의 규모가 크거나 부석 정리 작업 자가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백호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부석정리를 해야 함 2) 천공 작업, 부석정리 작업, 쇼트크리트 작업, 거푸집조립, 해체 등의 작업시에는 안전모 등의 착용을 철저히 하도록 관리감독을 함 3) 낙하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근로자의 출입을 금지시켜야 함. 토사반출 수직구 등에 토사반출 버켓이나 크리인으로 자재하역 등의 작업으로 수시 상하 작업하는 장소의 주변에는 작업경보장치, 안전표지판 등을 설치하고 안전담당자를 배치하여 작업 을 지휘하고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함 4) 상하 동시작업을 금지하여야 함. 상하 동시작업은 가급적 피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는 낙하물이 낙하 하지 않도록 안전시설을 하고 안전담당자를 배치해야 함 5) 상부작업발판에 무리한 자재적치 및 정리정돈 철저. 상부작업 등에 각종 자재나 공구 등을 건드려 낙하하는 경우가 많으므 로 작업발판 상에는 되도록 자재 등을 적치하지 말고 작업공구 등은 정리정돈을 해야 함 6) 수직구상의 토사반출용 버켓에는 버럭이 낙하하지 않도록 무리한 적재를 하지 않음. 버켓에 과적하여 인양 중 버켓의 요동 으로 인해 버럭 일부가 낙하하므로 적정량의 버럭을 인양해야 함 7) 버럭 반출 수직구 상하에는 자동경보장치를 설치하고, 버럭 및 자재를 반입, 반출하는 수직구의 상하 단에는 자동경보장치 를 설치하여 작업장 주위를 지나는 근로자의주위를 환기시킴. 8) 버팀보 상에는 자재 등을 쌓아 두지 말 것. 근로자가 버팀보 상을 이동시 쌓여 있는 자재를 건드려 낙하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을 사전에 제제해야 함. 9) 토류판 설치 작업시 토사나 누수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작업에 임해야 함 10) 그라인더에는 비산방지용 카바를 설치하여 그라인더 날이 파손되어도 비래 되지 않도록 함 1) 인양장비로 자재 운반시에 작업반경 내에 근로자의 출입을 금지시켜야 함. 장비로 자재 운반중 노면 불안정 등으로 자재가 흔들릴 우려가 있으므로 자재에 로프를 걸어 충분한 거리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 주며 이동하여야 함 2) 자재, 기구 등을 달아 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달줄이나 달포대를 이용해야 함 충돌 협착 3) 장비작업장에는 안전담당자를 배치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금지시켜야 함 4) 전동기계, 기구 수리시에는 항상 전원을 끄고 작업에 임하여야 함 5) 무리한 작업을 금지하여야 함. 중량물 작업시 근로자의 신체에 알맞은 작업량을 시켜야 함 요통 기타 1) 물체의 중심과 작업자와의 간격(발까지의 거리)을 최소화함. 그러기 위해서는 몸의 중심을 물체에 최대한 가까이 해야 하고 가벼운 물건이라 하더라도 그 부피를 최소화해야 함 2) 바닥에 놓여 있는 물체의 중심이 가능하면 작업자의 허리높이와 동일해야 한다. 바닥에 있는 물체를 들어 올릴 때는 물체의 무게중심이 허리 아래에 있기 때문에 책상등과 같은 받침대를 이용해서 물체의 중심높이가 작업자의 허리높이(약 75cm)에 위치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음 3) 물체의 운반거리 및 회수(혹은 들어올리는 회수)를 최소화 함. 물체의 중량이 크지 않더라도 들어 올리는 회수가 빈번해지면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음. 4) 바닥에 있는 물체를 들어 올릴 때는 허리를 곱게 편 상태에서 무릎을 굽혀 몸의 중심을 낮추도록 한다. 무릎을 편 상태에서 물체를 들어올리면 물체의 하중이 곧바로 척추에 전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함 5) 물체를 어깨위로 들어올리는 일은 금지해야 함 6) 두 사람 이상이 물체를 들어올릴 때는 양쪽에 힘이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행동을 동시에 취함 7) 무거운 물체 혹은 부피가 큰 것은 물체의 한쪽에서부터 들어올려야 함 8) 들어올리는 물체에는 손잡이가 있어야 하고 만약 손잡이가 여의치 않을 때는 코팅장갑을 착용해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9) 물체를 들어올릴 때는 힘을 지지하는 발끝을 서로 나란하게 하지 말고 가능하면 대각선 방향이 되도록해서 힘을 분산시키 도록 함 10) 바닥을 이용해 물체를 이동시킬 때는 앞에서 끌어당기지 말고 뒤에서 물체를 밀도록 함 1) 통로에 정상적인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는 정도(75Lux 이상)의 조명시설을 확보하고 상시 통행을 하지 않는 지하실 등에는 휴대용 조명 기구를 사용하도록 조치하여야 함 2) 당해 전로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 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사용하고, 전기기계 기구에 연결 되는 배선은 항상 접지할 수 있도록 접지선이 포함되어야 함 3) 전기기계기구 취급시 작업 안전수칙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 낙하 비래의 원인이 추락과 유사한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어 안전망, 작업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과 전도와 요통은 불안정한 작업자세의 원인이 각각 50.0%, 100.0%로 되어 있어 정리정돈과 작업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6에는 지하철 건설공사의 재해유형에 대 하여 그 원인(관리 기술)과 대표적 사례를 정리하 였고, Table 7에는 유형별로 그 대책을 제시했다 1-6). 그러나 유형별로 대책이 중복되는 것도 다수 있어 참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5년 143

이용태, 신승헌, 손병창 Fi g. 4. Cause analysis based on accident type: technical and management aspect. 야 하므로 적절한 조도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곳 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어떤 시점에서 작업을 위한 조명시설이 잘되어 있다고 해도 작업 이 진행되면 구조물이 형체가 바뀌게 되어 다시 조 명시설을 할 필요가 있다. 정거장이나 환기구의 2 층~3층 구간공사에서 목수, 철근, 철골작업이 수 행되어 추락이나 전도사고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금번 조사에서도 정거장과 환기구에서 발생 한 재해가 전체 재해의 77.8%나되어 위험한 작업 장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종 공종이 혼재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지연과 선 공 종의 작업이 지연되어 후 공종이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 공정에서는 주 야작업 과 작업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작업관리의 기법인 Gant Chart,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CPM(Critical Path Method)등의 기법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7). Fi g. 5. Number of accident by location. 3.2. 작업장소에 따른 재해 Fig. 5는 작업장소별 재해건수, Table 8은 작업장 소별 재해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대구 지하철 건설공사를 장소별로 대별하면 정거 장 및 환기구, 터널로 구분할 수 있다. 정거장과 환 기구는 통상 3층 구조물로 시공된다. 이 구조물 공 사 시에는 각종 개구부 발생과 지하 구조물 공사의 특징 중 하나인 자연광이 아닌 인공조명을 이용해 3.3. 직종별에 따른 재해 Fig. 6은 직종별 재해건수, Table 9는 직종별 재해 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철골공에서 재해자 수가 많 은 것은 정거장과 환기구 작업의 주요부분을 철골 공이 담당하기 때문이다. 3.2항에서 설명한 내용이 지만, 금번조사에서 정거장과 환기구 작업(고소작 업)에서 발생된 사고가 전체재해의 77.8%나 되고, 추락 재해가 많은 점 등이 이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 다. 다음으로 보통 인부에서 재해자 수가 많은 것 은 건설 작업의 특성상 근무기간이 짧은 작업자가 많아 작업환경에 익숙하지 못하고 안전의식의 결여 등을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금번조사에서 근무 기간이 2개월 미만의 작업자가 전체재해의 50.0% 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의 안전교육 Pro- Table 8. Accident type by location 재해유형 장 소 추락 낙하 비래 전도 충돌 협착 요통 기타 정거장 26(18.1%) 7(4.9%) 8(5.6%) 8(5.6%) 6(4.2%) 4(2.8%) 5(3.5%) 환기구 16(11.1%) 13(9.0%) 4(2.8%) 5(3.5%) 5(3.5%) 2(1.4%) 3(2.1%) 터널 6(4.2%) 1(0.7%) 1(0.7%) 2(1.4%) 1(0.7%) 본선 1(0.7%) 1(0.7%) 1(0.7%) 1(0.7%) 2(1.4%) 광장부 1(0.7%) 막장 2(1.4%) 철근가공장 2(1.4%) 기타 2(1.4%) 2(1.4%) 2(1.4%) 2(1.4%) 2(1.4%) 26(18.1%): 26(재해건수), 18.1%(전체 재해건수(144건)중 차지하는 비율) 144 Journal of the KOSOS, Vol. 20, No. 4, 2005

gram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목공과 용 접공의 재해는 철골공의 재해원인과 같은 맥락에 서 해석할 수 있다. Table 9의 직종별 재해유형에서 철골공과 용접공 은 추락, 보통 인부는 전도, 목공은 낙하 비래의 재 해가 많았다. 여기서 작업내용과 재해특성의 연관 성을 볼 수 있다. Table 9에서 음영 처리한 부분은 전체재해 중에서 5건(3.0%)이상 관련된 것을 나타 낸 것이다. 3.4. 근무 기간에 따른 재해 Fig.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월 미만의 작업자가 72건(50.0%)으로 과반수의 재해를 발생시 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계적으로 모집단의 분 포가 조사되지 않아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건설 산업의 특성으로 보아 일용직이 많고 이직률 도 높아 근무기간이 짧은 작업자들이 다수의 재해 를 발생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작업 초기에 작업환경에 익숙하지 못하고 경험부족, 안 전의식 등이 결여되어있어 특별한 안전교육이 필요 함을 알 수 있다. Fi g. 6. Number of accident by occupation. Fig. 7. Number of accident by job experience (working period). Table 9. Accident type by occupation 직 종 재해유형 추락 낙하 비래 전도 충돌 협착 요통 기타 철골공 12(8.3%) 3(2.1%) 7(4.9%) 3(2.1%) 5(3.5%) 2(1.4%) 보통인부 4(2.8%) 3(2.1%) 5(3.5%) 2(1.4%) 4(2.8%) 3(2.1%) 목공 4(2.8%) 6(4.2%) 2(1.4%) 1(0.7%) 1(0.7%) 1(0.7%) 착암공 1(0.7%) 6(4.2%) 1(0.7%) 3(2.1%) 1(0.7%) 1(0.7%) 용접공 9(6.3%) 1(0.7%) 2(1.4%) 1(0.7%) 노즐공 1(0.7%) 7(4.9%) 1(0.7%) 가시설공 2(1.4%) 1(0.7%) 4(2.8%) 철근공 1(0.7%) 1(0.7%) 1(0.7%) 1(0.7%) 전기공 2(1.4%) 1(0.7%) 1(0.7%) 방수공 3(2.1%) 1(0.7%) 콘크리트공 1(0.7%) 1(0.7%) 1(0.7%) 1(0.7%) 궤도공 1(0.7%) 1(0.7%) 1(0.7%) 덕트공 2(1.4%) 숏크리트공 2(1.4%) 기타 6(4.2%) 1(0.7%) 1(0.7%) 2(1.4%) 1(0.7%) 12(8.3%): 12(재해건수), 8.3%(전체 재해건수(144건)중 차지하는 비율)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5년 145

이용태, 신승헌, 손병창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인물이 많 음으로 인하여 기타가 34건이나 된다. 재해유형별 비 교에서는 무리한 동작으로 인한 추락재해가 15건으 로 전체 재해에 대한 비율이 10.4%이고, 물질에 의한 낙하 비래는 13건(9.0%)으로 그 다음으로 많이 점 유하고 있다. 무리한 동작과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있 는 요통은 10건으로 6.9%를 차지하고 있다. 무리한 동작과 물질에 기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 해서는 작업전 안전교육과 안전체조를 시행하여 근 로자의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신체적 활동성을 향상 시켜야 한다. 또한, 정리정돈과 작업방법의 개선 등 의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i g. 8. Number of accident by work progress rate. 3.5. 공정율에 따른 재해 Fig. 8은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된 재해건수 를 나타낸 것으로 공정율이 81%~100.0%에서 전 체 재해의 46.0%가 발생되었다. 작업내용으로 보아 이 시기가 각종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이다. 이 기간에는 정거장, 환기구 등의 구조물 공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시기이다. 구조물 축조를 위한 가 설공사는 영구적인 구조체가 아니고 일시적 목적 으로 설치한 후 해체하기 때문에 설계도면이나 시 방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고 시공회사가 임의로 설 치하기 때문에 공기, 가설비용 등의 이유로 본 구조 물보다 소홀히 취급되어 추락, 전도, 붕괴 등의 재 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설공사에 대한 철 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또한, 공사기간 중에 대 구에서 Universiade가 개최되어 대회전까지 일부 공 사를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고, 주 야 작업에 따 른 작업자의 피로, 건설인력의 주된 연령대가 50대 이어서 기능의 영향 등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공사가 완성단계에 이르러 마음이 느슨해지 기 쉬운 심리적인 점 등을 감안하여 안전관리의 측 면에서 안전 Patrol, 안전교육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able 10. Caused things 기인물 내 용 무리한 동작 자재취급, 운반 및 이동시의 무리한 동작 물 질 토사, 암, 파편, 아스콘조각, 콘크리트덩어리 등 중량자재 H형강, 앵글, 찬넬, 라이닝폼 등 일반자재 철근, 시멘트(몰탈), 벽돌, 방수쉬트, 흄관, 터널지보재 등 작업발판 이동식비계, 임의설치 작업발판 등 가설자재 거푸집, 강관파이프, 각재, 판재, 토류판, 이동식휀스 등 인양장비 크레인, 크렘셀버켓, 와이어로우프 등 버 팀 보 설치중이거나 설치 완료된 버팀보 사 다 리 사다리 띠 장 설치중이거나 설치 완료된 띠장 운반차량 카고트럭 등 운반차량 기 타 건설장비, 바닥, 거푸집동바리, 질병, 콘크리트 설비, 가설계단, 드릴, 복공판, 공구, 작업대차, 용접불씨, 버팀목(통나무), 열차, 가스통, 신너 등 3.6. 기인물에 따른 재해 Table 10은 기인물의 분류, Fig. 9는 기인물별 재해 건수, 그리고 Table 11은 기인물별 재해유형을 나타 낸 것이다. 무리한 동작으로 기인한 재해가 전체의 25.0%인 36건이며, 물질에 기인한 재해는 12.5%로 18건을 차 지한다. 그밖에 중량자재, 일반자재 순으로 재해가 Fig. 9. Number of accident by caused thing. 146 Journal of the KOSOS, Vol. 20, No. 4, 2005

Table 11. Accident type by caused thing 직 종 재해유형 추락 낙하 비래 전도 충돌 협착 요통 기타 무리한 동작 15(10.4%) 7(4.9%) 1(0.7%) 10(6.9%) 3(2.1%) 물 질 2(1.4%) 13(9.0%) 1(0.7%) 1(0.7%) 1(0.7%) 중량자재 7(4.9%) 1(0.7%) 2(1.4%) 3(2.1%) 일반자재 3(2.1%) 4(2.8%) 2(1.4%) 작업발판 5(3.5%) 1(0.7%) 가설자재 3(2.1%) 3(2.1%) 인양장비 1(0.7%) 2(1.4%) 2(1.4%) 1(0.7%) 버 팀 보 4(2.8%) 사 다 리 3(2.1%) 1(0.7%) 띠 장 1(0.7%) 3(2.1%) 운반차량 1(0.7%) 3(2.1%) 기 타 6(4.2%) 8(5.6%) 3(2.1%) 7(4.8%) 4(2.8%) 6(4.2%) 15(10.4%): 15(재해건수), 10.4%(전체 재해건수(144건)중 차지하는 비율)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지하철 2호선 건설공 사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중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요양이 허가된 144건에 대하여 그 원인과 대책을 검 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1) 지하철 공사현장에서는 추락, 낙하 비래 등 일 반 건설현장과 유형이 비슷하였으나 지금 까지 쉽게 볼 수 없었던 요통이 6.9%나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2) 재해원인에서 관리적 원인에 비하여 기술적인 원인이 77.1%로 크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안전 시설 미비와 작업방법의 부적절함이 73.0%나 되어 지하철 건설현장에서 아직 재래식 재해가 다수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3) 공정율이 81.0~100%에서 전체재해의 31.9% 가 발생하여 이 시기의 작업인 구조물 공사와 공기 를 맞추려고 하는 압박감이 재해요인인 것이 다시 확인 되었다. 4) 정거장과 환기구에서 전체재해의 78.0%가 발 생되어 재해 다발 장소로 확인되어 이들 작업에 집 중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5) 재해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원인 에 대하여 그 대책을 문헌고찰로 제시했다. 지하철 공사현장에서 안전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대구 지하철 2호선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재해를 분석하고, 그 대책을 생각했다. Data 가 인적재해에 국한되어 있어 물적 재해에 대해서 분석할 수 없었으나, 금후 건설되는 지하철 공사에 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고성석, 안홍섭, 지하건설공사의 작업환경개선 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119~132, 1997. 2) 한국산업안전공단, 지하철 건설현장 작업공종별 재해예방 모델, 상문상사, 1999. 3) 장준무, 지하철건설현장의 사고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994. 4) 장성록, 김용수, 이관석, 김유창, 배동철, 근골격 계질환의 제도적 관리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학 회지, 제18권, 제3호, pp. 149~153, 2003. 5) 이규진, 건설공사 추락재해의 발생장소별 피재 자별 분석, 산업안전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85~90, 2001. 6) 이종빈, 노민래, 고성석, 재해사례분석을 통한 빌 딩공사재해특성, 산업안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01~107, 2004. 7) 김용수, 손기상, 갈월모, 강윤진, 김상렬, 산업안전 관리론, 지구문화사, 2004.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5년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