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2 -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³»Áö_10-6

untitled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SMART Podium 500 시리즈 대화형 펜 디스플레이 사용자 설명서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AVG Internet Security User Manual

고객 센터 사용자 가이드

AVG AntiVirus User Manual


ROK-WhitePaper(2000).hwp


2.pdf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ePapyrus PDF Document

AVG Internet Security User Manual

My Document

AVG PC TuneUp 2015 User Manual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D 2117(121130)

시집 종류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248019_ALIS0066_1.hwp

AVG Performance User Manual

GB AV2š

AVG Internet Security 2015 User Manual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AVG Protection User Manual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2ÀåÀÛ¾÷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¾Æµ¿ÇÐ´ë º»¹®.hwp

歯이


AVG AntiVirus 2015 User Manual

04 Çмú_±â¼ú±â»ç

AVG Network edition (User Manual)

로그인 / 회원가입필요없는학습자료무료제공사이트 레전드스터디닷컴

0001³»Áö

hwp

CR hwp


<BBE7BEF7C1D6B9D7C0E5BED6C0CEB5EEBFA1C0B6C0DAC1F6BFF8B1D4C1A4B0EDBDC328BEC8295B325D5FC7D1B1B9C0E5C3D12E687770>


교육목적 TCMSTaBfrsir 系 혓 冬,i조- j1si ci' K3J Bsnsp nm v 紅 技! 石 송* 亡 卜 '* f-~'>~ '.; -'v ^ 厂, C 2 J C 5 P 우* 5 육: 金? rss m is tss'm 田 as 명 政.... t rasihes

편집장 님;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DocHdl2OnPREPRESStmpTarget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¼øâÁö¿ª°úÇÐÀÚ¿ø

생태유아교육연구 제 7 권 제 1 호,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Operation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유 수 경(S

<%DOC NAME%> (User Manual)

나하나로 5호

Çʸ§-¾÷¹«Æí¶÷.hwp.hwp

아~ 대한민국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03 ¸ñÂ÷

Á¦190È£(0825).hwp

한국과학예술포럼

프로야구 선수들의 선수에이전트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2003report hwp


untitled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09콘텐츠산업백서_1 2

152*220

01¸é¼öÁ¤


½Ç°ú¸Ó¸®¸»¸ñÂ÷ÆDZÇ(1-5)¿Ï

60

½Å½Å-Áß±¹³»Áö.PDF

4-Ç×°ø¿ìÁÖÀ̾߱â¨ç(30-39)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가가 (MILK) (MILK) 게 게 동 게 가 원 게 게 가가 가가 라 가가 라 로 빠르게 로 빠르게 동 검색가 원 가르로 원 르로 검색 가가 게 르 가가 르 라 라 가 원 동 동 가 게 게 (Papergarden) (Papergarden) 검색 검색 2 2 바깥 원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연구노트

master.hwp

»êÇÐ-150È£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exp

....pdf..

8표지 앉기

최 우 수 등 급 획 득 힘 찬 출 발 선 언 대학종합평가 준비체제 발대식 7월 4일 개최 제2주기 대 학 종 합 평 가 에 서 최 우 수 등 급 을 획 득 한 다!, 제2주기 대 학 종 합 평 가 를 체 계 적 이 고 효 율 적 으 로 준비하기 위 한 준비체제 발대식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hwp

Transcription: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原任史官 널 민 을 소집하고 한편으로 리 수집하여 실록과 승정원일기를 로 또다시 두 사서가 유실되었다 全時期 복 복 능 20 궐 불 탔 실록은 년까지만 한편 영조 또다시 모두 년 궁 에 춘 와 복 구하였다 그러나 이괄 난으 험 추관은 임진왜란 때 경 을 토대로 하였다 승정원일기가 화재로 그동안 보수한 실록과 다 영조는 동왕 22년 일기청을 설치하고 승정원 일기를 보수하였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접하는 실록과 겠 는 영조대 보수한 사서가 되 승정원일기 런 몇번 환 축 다 그 데 은 인조대 이후 내용이 소략하며 닭 친 뒤 란을 거 두 소되었다 즉 실록 사서는 그 이전 것과 비교해 볼 때 내용이 크게 는 까 를 승정원일기는 선조 즉위년부터 인조원 구하였으나 구가 가 家藏史草 野史 간에서 보관 중인 승정원일기가 인조대부터 시작되 이 여기에 있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공통점은 사관이 기록한 관찬사서 라는 점이다 그러나 편찬체제는 상호 다른데 그것은 기록하는 주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실록은 후에 당대 時政記 예 열 이 기록하고 왕 사 문관 검 34)를 토대로 실록을 편찬한 반면 승정원일기는 승 정원 주서가 왕명출납과 관련한 사건 일체를 기록하여 편수하였다 따 라서 여기서는 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편찬체제를 비교함으로써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만 실록 편찬체 34) 時政記 춘 춘 史草 낸 草書 飛草 飛 草 史官職 겸 藝文館 直提學 直館 2 춘 매 正本 춘 1 매 차례씩 감 매 칙 3 쇄 議政府 忠州史庫 (李成茂 朝鮮王朝實錄 韓國學 硏究 민 17 1994 31쪽) 는 추관 사관들이 록들을 토대로 는 을 근하여 시정기 이 일을 추관에 모인 대한 기 라고 하였다 이 원이 을 만들고 독하였다 시정기는 고하는 것이 원 와 각 기관에서 보 원고를 만들었는데 이를 추관 당상관 추관에 인이 일 출 월 한 년 만들어 연말에 그 책수를 왕에게 보 이었지만 일반적으로 에 보관하였다 년마다 인 하여 해당 관청이나 과 족문화 20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이홍두 제를 이해하고자 할 때 먼저 실록편찬 기초사료로 사용된 시정기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다음 사료가 시정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시정기 편찬사목 干支(年) 淸 年號 某月某日干支 날씨 쓰 災變 쓴 1) 2 政事 常參 經筵 차례 쓴 1) 史官入侍 긴 골 沿革 是非 褒貶 綱目 워 1) 臺諫 言論 啓辭 올린 름 올린 람 름 쓰 않 異議 쓴 1) 疏章 긴 1) 뒤 참 諸禮 1) 1) 령 外任 람 람 직 낮더 1) 啓下文書 골 1) 제1행 상단에 단에 을 나라 를 고 하 다 제 행 상단에 를 논한 장소 에 대한 일을 로 다 때에는 요한 것만을 상세히 기록하며 사 이 이나 자료가 될 만한 것은 따로 은 거 모두 기록하되 은 에 라서 기록하고 그 은 지 는다 를 을 세 기관 이 등도 기록한다 만 적고 가 있을 경우에는 그것도 다 요한 것만을 기록한다 고가 될만한 는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과거 급제자는 그 등수와 인원수를 기록한다 인사발 된 사 은 고관이나 가운데 중요한 것만 기록하되 특명으로 임명 이나 논란이 있던 사 각 관청 은 위가 六典條例 춘 추관 시정기 관이 시정기를 기록할 때 구체적인 목 사 은 다음 몇 가지로 요 연 간지 연호 일 라서 기록한다 時政記條 목 범례 약 첫째 1 날씨 쓰 災變 쓰 2 常參 經筵 쓴 둘째 혁 별 강목 워 셋째 疏 위 사료는 라도 기록한다 는 기록할 가치가 있는 것만 인데 사 에 해당된다 시정기 할 수 있다 시정기 제 행 상단에 을 행 상단에 정사를 논한 장소 에 대한 일을 다 관은 중요한 것만을 기록하되 제도 연 이나 시비 등은 상세히 기록 章 포폄 를 편찬 고 하단에 하고 월 간지 편찬사 자료가 되는 것은 과 각 관청 啓下 넷째 차 을 세 사 기록한다 문서는 중요한 것만 기록하되 대간 언론은 거 모두 기록한다 기록하고 특 도로 며 제 령 인사발 은 고관이나 外任 가운데 중요한 것만 선발자와 임용시 논란이 있었던 자는 기록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21 직 위가 낮더 라도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조선왕조실록35)은 史官 이 작성한 시정기를 토대로 왕 사후에 편 예 춘 辭命 制撰 열( 9 ) 4 찬한 편년체 관찬사서였다 당시 실록 편찬은 예 무를 각각 분담하였다 즉 봉 아문인데 은 교(정7품) 實職 으로서 주로 문관은 왕 알 史草 예 參下官 봉 런 번 열 번 춘 문관 였다 그 고 상 인 데 당시 하 이상은 교 이하 검 한 셈 한 춘 추관에서 숫 8원36) 올린 긴 요 케 베끼 져 봉 8인에게 시정기 편수를 담당 앞 상 자를 보고토록 하였으며 다음 추관에 출근하여 각 아문 바 림8 등 이른 원 등 는 승정원일기와 각 아문 8인은 긴 예 질 인을 지칭하는데 이들이 실 하 승정원일기 를 은 정원에 출근하여 상고하여 시정기를 편찬하였다37) 열 정 품 39년 7월 19일조 수 있다 먼저 시정기는 업 맡 추관이 하는 일을 를 작성하였다 한 문서들을 찬집하여 연말에 그 책 으로 을 2원 대교(정8품) 2원 검 당시 시정기 편찬과정은 선조 소를 통해 문관과 요한 문서를 가 문관 교 대교 다 검 적으로 시정기를 편찬 이다 참 申奭鎬 學問 發達 編纂事業 車長燮 朝鮮前期 史官 職制 政治的 役割 慶北史學 第 輯 韓㳓劤 朝鮮前期 史官 實錄編纂 震檀學報 第 號 高柄翊 東亞諸國 實錄 민 李成茂 朝鮮王朝實錄 韓國學硏究 민 崔完基 바 高 純宗實錄 민 韓㳓劤 明宗實錄 解題 민 李南姬 電算化 朝鮮王朝實錄 書誌學的 書誌學硏究 李成茂 떤 미디 經國大典 권 吏典 京官職 藝文館 宣祖實錄 권 병 35) 실록에 관한 것은 다음 논고를 조할 것 과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편 1974) 및 ( 6 1984) 과 에 관한 연구 ( 66 1988) ( 족문화 17 1994) 과 ( 족문화 17 1994) 이른 에 대하여 ( 족문화 17 1994) ( 족문화 17 1994) 를 통해서 본 측면을 중심으로 ( 13 1997) 조선왕조실록 어 책인가(동방 어 1999) 36) 1 37) 201 선조 39년 7월 술 22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반면에 춘 官司 임명하였으며 다른 임 을 기록하는 아문인데 모두 문관을 관원으로 사관을 겸 춘 당시 時政 추관은 그때 그때 추관 사관은 이홍두 렀 강 겸 케 임 하였다38) 따라서 56인에 이르 는데 그들은 정부 6조 홍문 宗簿寺 춘 都事 령 승문원 관원들이었다 이들은 자기 관청에 관계된 일들을 초록하여 추관에 보내는 임무를 관 승정원 띠 사헌부 사간원 시 원 고 있었다39) 한편 지방에는 각 도 군 림8 하여 주 득 정치 풍속 美惡 실과 인은 승지 하여 홍문관 관원 나 언동 하 정사 등은 개인 실 을 원은 대한 독하였다 부 주 에 그리고 이들 사관이 토 하여 집에 두었다가 실록 라고 하는데 집에 간 추관에 모인 문관 정기 정본을 만들고 감 충 춘 으로 여 하여 두는 와 각 기관에서 보 고 시정기 원고를 만들었다 이를 을 라고 하였다 41) 문관 한 관 사관 자 추관에 제출하였다 을 편찬할 때 제출하였다 이를 를 주서 등과 함 인은 당 를 써서 및 기타 기밀사 史草 예 갖 직 를 임명 을 기록하여 보고토록 하였다40) 에 있었다 이들 중 검 견문한 外史 중에서 께 侍臣 범 열 1 2 번( 번) 격 朝啓 房上日記 춘 賢否 人君 득 풍속 美惡 향 邪正 항 史評 붙 直書 史草 직 家藏史草 림8 춘 史草 낸 飛草 飛草 겸 예 直提學 直館 2 춘 매 춘 1 매 차례씩 3 쇄 한편 한 참석 나 수 라고 하였는데 이 원이 추관 당상관 이러한 시정기는 추관에 인이 년마다 인 기록을 는 사 일 출근하여 시 월 한 이 일을 하여 해당 관청이나 정 주사고에 보관하였으며 연말에 그 책수를 왕에게 보고하였다42) 추관에서 실록을 편찬할 때 하고 대제학 등 문장에 능 람 한 사 을 당상과 經國大典 권1 吏典 京官職 春秋館 李成茂 앞 31쪽 韓㳓劤 앞 (1988) 84쪽 李成茂 앞 (1994) 30 31쪽 韓㳓劤 앞 (1988) 84쪽 38) 39) 40) 41) 42) 람 총 3정승 가운데 한 사 을 논문 논문 논문 논문 23 낭 재관에 임명 청에 임명하였다 이어서

한국사론 37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都廳 六房 과 을 각 방으로 나누어 업 무를 분담하여 편찬토록 하였다43) 家藏史草 보 하고 이것을 이 감 수하여 등이었다 이때 각 방 당상이 都廳 正草 첨삭 에서 하여 춘 낭 께 初草 中草 총 승정원일기 실록을 편찬할 때 이용한 자료는 시정기 中草 각사등록 청과 함 를 만들며 조 를 작성 를 재관 등 대신 추관과 각 사고에 보관하였다44) 를 만들어 그러면 대부분 사료를 유실한 임진왜란과 이괄 난 때 실록 편 범례 찬체제는 어떠하였을까? 이에 대한 것은 선조대왕실록 수정 악 그 실마리를 파 를 통해 할 수가 있다 宣祖大王實錄修正凡例 물 긋났 람 름 름 벼슬 름 뒤섞 틀렸 잘 잘못 름 올린 글 넣 않았 틀린 못 큰 름 올린 글 같 ② 날짜별 혹 별 별 야 날짜별 野史 뽑 날짜별 별 알 끝 쓰 혹 날짜 날짜 ① 실록은 인 평가를 근거없이 함부로 하여 사실과 어 대체로 사 이 고장이 으며 또 정사가 들도 모두 써 이 되고 지 되는데 관계되는 이 다 여기서 사건 과정과 내막 및 이 을 뿐만 아니라 나라일들이 모두 이고 있는 신하들이 것을 다 고치지는 있는 신하들이 하지만 은 것은 있는 대 로 편찬하여 기록한다 45) 실록에는 임진년 이전 것은 록한 것이나 년 기록한 것이 있다 지금 없으므로 다만 월 에 로 기록한 것이 없고 로 기록한 것이 있으며 기로 한다 에서 월 임진년 이후에 아 모은 것을 로 기록하고 월도 자세히 로 기 로 로 적을 수는 수 없는 것은 그해 를 상고할 수 있는 것은 그 를 기록하 였다46) 申奭鎬 앞 (1974) 71쪽 李成茂 앞 (1994) 31 32쪽 宣祖大王實錄修正凡例 一 實錄 非但毁譽失眞 狼藉無處也 凡人名地名職名 國事大槪人所易知者 皆錯換違悞 又名臣奏疏關係治亂之幾者 皆不書入 今雖未能刪改謬訛 至於 大事 首末源委及名臣奏疏 隨所有纂錄 46) 一 實錄 壬辰以上 無日記 或有日記 或只年記 壬辰以後 方有日記 今以野 史採輯者 不得爲日記 只隨月記之 而月亦未詳 則當於年終書之 或日子可 考處則存之 43) 44) 45) 논문 논문 24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③ 강령 람 못 ④야 같 먼저 린 에 실 묘 같 람 잘잘 약 폄 쓰 긋 지 행장에 있는 것을 수집한다 [행장 도 기록되어 있으므로 모두 자세히 수집한다]47) 칠 잡 같 은 것은 문장이 거 묘 쓰 못 름 장을 만들며 지나 행장 고 되므로 여기서는 그것을 요 람 은 것은 사 을 찬양하거나 본문대로 ⑤야 삭 ⑥ 약 득 한다48) 지 사는 설사 이 릇 면 취한다49) 요 하여 부 이 보 이 더 더 것이라고 하 것이라 하 해 이 통하지 않 끔 이 이 고 모두 라도 사실과 어 나면 라도 사실을 기록하였으 차 백 못 미드 이가 나면 합해서 고 내막이 명 다 완전한 기록도 가 하여 문 하여 사실대로 되 한 가지 사건에 대하여 기록이 며 그 중에서 이고 여러 사 ⑦야 이 된 사 뽑 쓰 뜻 충 쓴 람 미 여러 기록에서 쓴 람 쓴 람 쓴 있는 사 제하고 아무리 그 하하는 것이 약 정도에 지나치므로 여기서는 공론에 따라 요 일이 은 데는 사적뿐만 아니라 나라 일도 기록되어 있고 다른 사 사 이홍두 것을 기록하고 다음에 여러 기록에 있는 것을 수집하 며 그 다음에 비명 그 사 하지 있지만 모두 이 한 것은 러난 사실 정한 논인 경우에는 모두 사실에 근거해서 일 다50) 별 않 더첨 렵 옳 많 못 같 흉 총 빼 덜 손 넣 람 매 득 했 람 오 직 매 친 람몇 헐 뜯 람 름 47) 一 先錄綱領所載 次採雜記 次採碑誌行狀 行狀之類 非止其人事跡 或記國 事 或記他人得失 皆得詳採 48) 野史之類 文字荒雜 今當卽約成文 誌狀之類 美惡溢辭 今當一從公論 取卽 實記 不得一從本文 49) 一 野史 雖出於名人 失實則刪 雖出於非人 紀實則取 50) 一 雜取諸紀錄 有一事而所紀差異 當合幷刪略而書之 其間所論 意不貫屬 源委未暢者 不得已增潤 完備則間或有之 然皆已着之事 諸家已定之論 皆 處采整書之 사에는 시비가 완전히 반영되어 있지 없으며 행장과 가하기 어 묘 같 지 않 폄 옳 기 때문에 년 은 것은 찬양하고 하하지는 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책에는 은 것을 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한 것은 적어서 완전하지 나 이에 대해 할 말은 있다 실록을 편찬할 때 음 어 주관하면서 그자들은 세상사 고 고 하는 것을 모두 제 그들 자신이나 자기들과 는 사 우 할 것 한 간신이 밀한 사 다 그러 재가 되 었다 우 적고 조정에 가 기 때문에 찬양한 사 은 모두 당시 임금이 신임한 이 25 다고 하는 것은 으로 결정하여 써 들이 모두 외면하여 무리들이 찬 조정인사들이 모두 그들을 원수로 대 로 서술할 수가 기 때문에 들은 명뿐이었다 그리고 있는 신하로서 이들 자신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훌륭 미덕 더럽혔 많더 잘못 흉 놓 곳 득 쓰 례 느 쓴 ⑧ 름 올린 글 알 귀감 긴 올 생 올 컨 ⑨ 큰 름 올 린차 올 않 줄 킨 ⑩ 쓴끝 곡 틀 쓴 오늘 락 삼 끝 첨 참 만이 모함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 책에서 찬양한 것이 한 왕대 라도 을 심히 으므로 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 중 에 공정한 논대로 평가하여 볼만한 것은 실록에 있는 대로 두고 음 한 간신이 자신을 찬양하고 분식하여 는 전 이 에 해 공정한 견을 어 있는 신하들이 이 되기에 은 에 대해서는 부 가운데서 당시 시비를 요한 것들은 전부 리기도 하고 대 세상 교화에 관계되는 것을 중요시한다 52) 실록에 사건 과정이 자세히 기록된 것이나 이 이 책을 다 에는 실록에서 왜 하는 도를 일일이 들어 한 단 리지 고 그 거 다 53) 하고 리게 사론으로 진상과 아 그 에 수정 부함으로 고할 수 있게 한다 54) 써 후세에 위 사료는 인조반정 후 서인들이 범례 광 군 해 리기도 하는 있는 신하들이 자와 상소문이 전부 실려있는 것은 이 책에 수정 고 후세 략하여 데 요 리만 적음으로써 사건 내용을 연결시 이 역사를 다 51) 정도 범례 이다 여기 수정 대 북인들이 편찬한 하여 나라일들이 뒤틀 선조실록55)을 수정 편찬할 때 든 는 다음 몇 약 가지로 요 물 할 수 있다 먼저 선조실록은 인 평가를 근거 없이 함부로 름 리고 이 있는 신하들이 올린 글 들을 모두 빠뜨 一 野史 是非不全 具不得逐年齊排 狀誌之類 有褒而無褒 難於添揷 則此 史是是多而非非少 似爲不全 然有可諉者 修實錄時 姦兇總裁主張 刪削增 加 皆自筆定 伊人輩 爲世所外 徒黨甚少 滿朝前後輩 皆所仇對 故所褒者 只其身及所親密若干人 所詆者 皆先祖所倚任名臣 不但其人愛誣 其汚衊盛 世淸明之美 已甚 此雖褒多而不爲過也 其有從公是非間 有可觀者 則實錄 自具矣 至於姦兇自褒自飾處 則不得已而依史筆例 稍存公議 52) 一 名臣奏疏 切於一時是非 後世龜鑑者 或全載 或刪載 要在關世敎爲重 53) 一 凡實錄所記 大事首末詳備 及名臣啓箚疏章 皆載者 則於此書不載 只存 其大槪 以屬事意 54) 一 此錄畢修之末 歷擧實錄誣枉 訛謬之狀 兼今日修補之意 作一段史論 付 于其末 以備後考 55) 宣祖實錄 항복 총 흠 文衡 께 축옥 쫒겨났 첨 권 잡 삭 (仁祖實錄 권2 8 병 ) 51) 은 이 수하였으나 계 이 사로 재가 되고 정구와 신 다 이이 제하였다고 한다 이 정 인조 원년 26 이 을 월 으로서 함 찬 자 그 초고를 모두 자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렸 큰 야 같 사 묘 지나 행장 약 능력 할 때 저자 학문적 준 과는 삼았 으로 고 은 것도 찬양일색이기 때문에 사실 별 야 에 일 에서 고찰한 시정 잡 않 를 통해 알 기 때문 확 년 표시를 명 히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미 록보다 역사적 알 다하게 취하여 한 사건에 대한 평가가 상호 선조수정실록은 선조실 따라서 사실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면 례 실히 앞 선조실록은 사에는 완전한 기록과 공정한 시비가 반영되어 있지 월 충 과 비교해 본다면 사실 실증성에는 한계가 있음을 수 있다 즉 여러 기록을 다르며 택 사를 취사선 다는 것은 실록을 편찬할 때 객관적 사실을 항 기 편찬사 야 개로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가 여부 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영 약 되므로 사실에 근거하여 요 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과 공정한 논에 따라 요 했 칠 잡 같 은 것은 문장이 거 하여 문장을 만들고 만을 기 이홍두 사건 과정과 내막 및 명신들 상소는 모두 편찬한다 다 으므로 음으로 겠 가 크다고 하 범 는데 그것은 위 일련 수정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조대 이후 실록 내용이 소략 하다고 평가한 것과 비교해 본다면 그 사료적 가치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루 그러면 인조반정 이후 서인들에 해 이 찬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자 宣祖實錄 어진 선조수정실록 편 에 대해 당시 서인들은 그것이 북인들에 해 편찬되었기 때문에 시비가 분명하지 였다 따라서 반정 지 못했 직 相臣 후 다 그러던 중 인조 않 史書 은 로 인식하 들은 실록을 개수하려고 하였지만 실행하 21년실록을 수정하여 한 질 史庫 했 을 하자고 청하자 인조가 영정 김류에게 그 일을 관장하도록 명 에 보관 다 그 러나 실제로는 이식이 주관하였다 이식은 사관이 기술한 시정기와 주서가 기술한 락 람 수합하고 그 중 유실되거나 누 朝報 野史 雜記 및 여러 사 승정원일기를 모두 된 것은 개인이 가정에 보관하고 있는 행장과 27 묘 지명에 있는 내용을 수집하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런 였다 그 데 이식은 선조 재위 42년 가운데 30년까지만 수정하고 되자 수정실록 편찬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효 종 8년(1657) 우정 沈之源 죽 게 끝 돈녕 선조수정실록 편찬을 은 내 덕 金堉 총 尹順之 李一相 蔡裕後 켜 범례 광 군 권 史局 열 광 군 착 광 군 186 잃 버렸 런 광 군 史筆 첨 왔 2 5 춘 첫째 예 겸 춘 2員 별 朝報 둘째 낸 날 께 칙 같 광 군 도록 상소하여 경 궁 승정원에 찬수청을 개국하였다 이때 영 사 이 이를 괄하였는데 담시 이식 에 따라 그러면 해 자 인조정 은 등에게 이를 분 선조수정실록 을 완성하였다 56) 일기 편찬체제는 어떠하였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 선조실록 수정 일기 편찬에 편찬과 동시에 을 수하였다 그러나 이괄 난 때에 동안 사적을 모두 어 다 그 데 해 어 해 문객에서 나 일기 를 편찬하는 데는 건하였는데 그 내용은 을 년 월 추관에서 시정기 수정을 승정원일기 를 수정하는 도로 선발하되 각처 마다 출근하여 현재 사관과 함 에 따라 와 당시 사관 집에 있는 일 기 초본책을 거두어 모으게 할 것 일전에 사관을 지 자는 살펴서 수정하게 하고 본관 당상관도 하게 할 것57) 등이 그것이다 교대로 검 이와 이 이 기 때문에 시정기 내용을 모두 실록편찬에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인조 추 해 개월 사적을 분실한 것 외에 또다른 문제가 있었다 그것은 당시 이 부 이 당시 서인들은 해 일기 를 편찬함에 있어 먼저 실록 기초자료인 시정기를 서인 입장에서 수정코자 하였다 따라서 동왕 년 광 군 광 군 량 亂草 6월에는 해 일기 수정 당시 해 일기 54개월 분 은 56) 57) 58) 중 백 32 량 中草 태 미 베껴 쓰 못했 1 개월 분 상 로 宣祖修正實錄 권42 仁祖實錄 권6 2 仁祖實錄 권6 2 쳐 부록 인조 년 인조 년 2 편찬을 위해 찬수청을 설치하였다58) 은 지 오 5월 무 6월 신해 28 태 로 완성된 상 묘 는데 정 였으며 호란을 만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철 광 군 나 찬수청을 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왕 설하고 일기 중 해 亂草 로 남아있던 이홍두 복 11년 7월 찬수청을 량 中草 54개월 분 을 였다 시정기 중초가 완성되면 찬수청에서는 그것을 로 수정하 활 생 쇄 자로 인 하는 것 칙 복 춘 같았 활 배열 판 짜 클 숫 섯 불 황 광 군 쇄 正書 11 12 낙 광 군 활 繕寫 謄錄官 50 房 배 복 10 광 군 186 正寫 39 2 中草 져 총 64 1 3 1 江華 1 태백 1 이었다 59) 찬수청을 이 원 그러나 자를 하여 자가 다 건에 설할 당시 을 추관 는 공역이 과한 상 뿐만 아니라 소장할 실록 에서 해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인조가 동왕 로써 해 일기 는 자체로 찬수청은 설한 지 책으로 장정하여 정하여 책으로 가운데 건은 해 건은 함으 이에 따라 찬수청은 일기 건을 만들었다 또한 건을 만들어 모두 합하여 에 월에 이를 승 편을 하였는 를 가 다 장 건을 만들었는데 이들 건은 적장산에 보관하였다 61) 산에 승정원일기 편찬체제는 어떠하였는 지에 대해 살펴보자 그러면 銀臺便攷 에서는 세조대에 만62) 년 하는 대신 정하였다 60) 에 여 개월만에 데 그것을 일기 를 인 하게 되었다 명을 선발하여 이들을 각 다 각도 이와 승정원일기가 처음 편찬되었다고 하였지 미 문종실록 기사를 보면 세종대에 이 형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승정원일기 문서 식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 호와 날씨 에 관한 것이고 다음으로 좌목 이며 마지막으로 기사본문이 그것이다 朝鮮王朝實錄 활 쇄 활 쓰 박 박 직 (仁祖實錄 권28 11 12 ) 60) 仁祖實錄 권28 11 12 미 61) 仁祖實錄 권29 12 5 62) 銀臺便攷 권4 禮房攷 日記 政院之日記 始自世祖朝 世祖朝以前 但有 翰林時政記而已 世祖初 始立注書記注之法 59) 체로 또 또 은 모두 자로 인 써서 간 해 두었다고 한다 한 것은 아니고 대부분 월 인조 년 월 계 인조 년 월 임인 29 자에 는 인조 년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좌 謄寫 目 삼았 별 같 났 날짜 원고지에 필사한 다음 그것을 를 綱 으로 붙 ( )을 좌 승정원일기는 한 면을 상단( 우)과 하단( 우)으로 나누어 탈초본 삼 고 기사를 으로 여 기사내용을 구 겠 는데 내용이 다른 기사 하였다 이와 과 임금 거동에서 일어 형 하여 책으로 만들었다 내용은 이 던 사건을 승정원일기는 승정원 속 단위로 계 기록한 일기체 날짜 첫째 날씨 포 둘째 직 황 알 좌목 좌목 단위 일기는 자 관 탈자 연월일 성명 부연설명 근무상 보수자 도록 하자 좌목 업 에는 당일 승정원 承旨( 정3품) 6인63)과 를 함한 연호를 표시하 찬자 등 내용을 참 좌 승지 우승지 정 품) 假注書 했 春秋館記事官 겸 을 기록하였다 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 2인 事變假注書( 천망 정7품) 했 을 이라고 친 하게 하여 승정원을 거 케 했 1인이 할 수가 없었 드 다64) 주서는 반 를 임명 서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사실을 기록 官 함한 기사 항 여한 자들 인적 사 좌 注書( 7 다 주서에게 사고가 있으면 으며 포 결 과 기사본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 그들이다 승지는 무관도 임명할 수 있지만 지방관은 을 임명 셋째 이 있으며 수 있는 보수전거 무에 승정원을 구성하는 도승지 간지 을 본문이 전개된다 여기서는 지 등 에 심볼 다 식 책이라고 하 고 앞 날짜 시 문관 사건과 문 史 事 하였다 그러므로 주서를 다 임진왜란부터 전쟁에 관한 사실을 기록하기 위하여 직 63) 승정원에 6승지를 설치한 것은 당시 행정조 이 6조로 구분되었기 때 문이었다 승지는 6조 만 출납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기타 국가 모든 공사를 출납하였다 임금이 정부 또 公事 六曹 臺諫 弘文館 령 않 드 上奏 못 드 앞 1961) 64) 大典會通 吏典 正三品衙門 承政院條 는 하명하지 등 각 기관에 명 고 반 릴 을 내 때에는 직 접 기관에 시 승정원에 하명하여 그 기관에 통보하였으며 반대 로 정부 등 각 기관에서 국왕에게 상소 또는 건할 일이 있으면 접 국왕에게 하지 하고 반 논문 30 석 시 승지를 통하여 상주하였다(신 직 호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變假注書 끝 事變假注書 常設 황 좌목 를 설치하였는데 임진왜란이 기록하기 위하여 난 후에도 전쟁에 관한 사실을 하고 한 명을 실을 기록하였다 65) 한편 근무상 은 軍事 鞫獄 름 와 에서 이 에 관한 사 다음에 작은 로 표시되고 있다 야 승정원일기 편찬체제를 고찰함에 있어서 먼저 언급해 은 기사본문 중 다양한 뒤 형태 는 그러면 할 부분 몇 가지 내용을 고찰하려 승정원일기에서 결자는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 법 뒤 로 표시되는 방 경우와 글씨 로 구성된 본문내용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먼저 결자 탈자 등 고 한다 탈초본 이홍두 缺 자가 이 있고 다른 하나는 에 있는 一字缺 缺 자가 앞 에 있는 缺一字 모양이 그것이다 떤차 改修日記凡例 승정원일기 본문에 대한 편찬체제는 시정기와 어 가 있을까? 그것은 영조 펴보면 그 대략을 엿 22년 日記廳 에서 마련한 를 살 볼 수가 있다 改修日記凡例 ① 擧條 긴 入錄 드 날짜 前月 擧條 달 前月 낸 ② 各司 草記 참 ③ 臺諫 啓辭 긴 ④ 上疏 入啓 大槪 쓴 ⑤ 入啓 呈辭 三度呈辭 遞差 는 요한 것이든 아니든 모두 를 상고한다 에 기록한 사관에게 보 는 후일 는 는 이 를 이 하되 반 했 付標 달 시 당일에 기록 에 제출할 경우에는 다 66) 를 는지 아 고할 수 있는 것만을 입록한다 67) 요한 것이든 아니든 모두 입록한다 68) 를 는 기록하고 다 69) 는 기록하되 한다 70) 석 앞 擧條 則勿論緊歇入錄 而必考日字 錄於當日 前月擧條之 出此月者 則付標 以送 於前月所書之員 67) 各司草記 可爲後日參考者 入錄 68) 臺諫啓辭 勿論緊歇 入錄 69) 上疏入啓者 則書大槪 70) 入啓呈辭書之 三度呈辭只書 遞差 65) 신 호 66) 해제 31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⑥ 政事 뽑 落點者 쓴 ⑦ 各殿 藥房 朝廷 政院 玉堂 쓴 ⑧ 傳敎 쓴 ⑨ 政事 取稟 ⑩ 謝恩 下直 ⑪ 臺諫 啓辭 前啓 新啓 알 못 前月 약 쓸 ⑫ 觀象監 災異 쓴 ⑬ 朝報 移御 日字 별 벽 ⑭ 各道 書目 쓴 ⑮ 御史 回啓 쓴 ⑯ 吏曹 兵曹 歲抄 쓴 ⑰ 敍用 쓴 ⑱ 禁府 啓目 참 쓴 ⑲ 燼餘日記 謄錄 옮긴 는 기록한다 다만 관원을 을 때는 만 이 문안한 것은 다 71) 다 72) 다 73) 는 모두 한 것은 기록한다 74) 중 한 것은 기록한다 75) 과 월초 기록한다 만 가 인지 인지를 지 하면 을 조사하여 전계한 것이면 기록하고 아래로 내려 고치기를 청한다 만하면 기록하며 신계는 모두 기록한다 76) 말이 에서 보고하는 중 는 당일에 는 추려내어 은 다 79) 는 다 80) 와 한 것은 위 사료는 에 순서를 기록한다 78) 다 81) 는 에 고될 만한 것은 다 83) 다 84) 日記廳謄錄 다 77) 다 82) 중 후에 는 도로 영조 범례 22년 5월 21일조 개수일기 이다 일기청등록은 영조 20년 화재로 소실된 승정원일기를 개수하기 위 政事書 以有政只書 落點 各殿藥房朝廷政院玉堂 問安書之 傳敎 則並書之 政事取稟書之 謝恩下直 書之 月初臺諫啓辭 未知爲前啓 新啓則考前月 而書之 前啓則只書 請以下改 措 語則書之 新啓則盡書之 77) 觀象監災異 書於當日 78) 朝報中 移御日字則 初出別錄 揚壁次 79) 各道書目書之 80) 御史回啓書之 81) 吏曹兵曹 歲抄書之 82) 敍用書之 83) 禁府啓目中 可備後考者 書之 84) 燼餘日記 移謄 71) 72) 73) 74) 75) 76) 32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항목 곧 해 일기청에서 편찬한 책이다 여기에 보이는 각 겠 은 승정원일 항목 졌 야 항목 ①항 올 항(擧條) ③항 臺諫 啓辭 ⑧항 傳敎 ⑪항 新啓 택 항목 ②항 各司 草記 ⑱항 禁府 啓目 항목 례 범례 루 런 같 몇 차 첫째 올 항(擧條) 했 생 골 혁 했 褒貶 더욱 루 목 석 걸친 감 물 포폄 둘째 올 啓辭 형 느 느 (右副承旨李植以備邊司言啓曰 혹 以吏曹言啓曰) 형 燃藜室記 述 大小 公事 드 榻前 법 침 폐 啓辭 注書 글 셋째 확 례 참 기 주요 내용이 되 부가 정해 런 이홍두 다 그 다 먼저 모두 기록해 는 일체 조 고 다음으로 선 개수일기 서 은 관 은 국왕에게 은 리 이 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일련 내용은 고 있다 그 중요성에 따라 기록 여 하는 적으로 기술할 이며 나머지 징을 이 데 각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 데 실록과 비교하면 다음과 은 가지 점에 이가 있다 승정원일기 는 국왕에게 관계없이 기록 을 중요성에 던 반면 실록은 사관이 중요하다고 라서 기록하였다 특히 연 은 리는 모든 조 상세히 다 각한 것만을 과 시비에 대해서 상세히 기록 었다 이러한 사실은 으며 승정원일기 와 실록 편찬 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 된다 즉 는 현재 정치적 필요성 때문에 국정 전반에 승정원일기 내용을 가 없이 기 록하였지만 실록은 후대 역사적 평가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인 비나 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편찬할 수밖에 없었다 승정원일기 국왕에게 승지가 어 은 리는 각종 조종조 는데 중세 이후로 이 가 는 모든 관리가 반 이 마 식이다 어 내 지되어 모든 식에 대해 시 에서 아뢰었 를 말로 승지에게 로 써서 아뢰었다 85)고 그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86) 승정원일기 는 사실 인과 전 를 燃藜室記述 別集 6권 官職典故 承政院 앞 22쪽 85) 86) 김종수 표현 관원 말로써 아뢰었다 는 표현이 그것이다 이러한 에서는 전하면 시 제 논문 33 조하는데 사용되었다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찍 일 16년(1816) 승지 이 순조 루갖 겸했 실을 두 까지 朴宗薰 은 승정원일기에 대해 대체로 사 추고 국가 제도를 근거로 하여 다 87)고 평가하였다 둥 확 謄錄 體 史策 用 에다 승정원일기가 다른 사서보다 사료적 가치가 있는 것은 임금 거 과 관련한 일체 행사 및 신료인접시 주고 하게 기록한 사실관계 때문이다88) 한편 받 빠짐 는 말을 없이 정 승정원일기는 국가 제도를 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朝報 謄錄 있는데 그것은 충 을 모두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와 Ⅳ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정보화 방안 배 현재 우리 사회 지 예 오프 적인 패 러다임은 지식정보화이다 이러한 현상 외가 아니다 지금까지 역사학계 정보화는 은 역사학계도 을 중심으로 한 라인 영역과 축 CD-ROM DB구 을 통한 온라인 영역으로 구분 하여 진행되었다 여기서 전자가 지식정보화 초기단계라면 후자는 자 료 디 털 지 그동안 털 지 텍 트 력 력 루 졌 및 원문 스 입 승정원일기 원문입 을 통한 환 화 일 으로 이 어 넷혁 DB 축 등으로 인터 져왔 구 은 한국기록문화 디 다 그러한 결과 현재는 국내 연구자들뿐만 롭 활 아니라 세계 각국 연구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자유 다89) 따라서 여기서는 다 명을 가 게 용하고 있 승정원일기 문헌학과 관련한 정보화 방안에 純祖實錄 권19 16 8 盖其該括事實 憑信掌攷 以謄錄之 體 兼史策之用 88) 앞 101쪽 89) 참 金 炫 韓國古典 電算化 成果 課題 (민 18 1995) 李南姬 電算化 朝鮮王朝實錄 書誌學的 (書誌學硏究 13 1997) 87) 정만조 순조 년 월 경자 논문 한국학 자료 전산화에 대한 것은 다음 논고를 와 를 통해서 본 조할 것 족문화 측면을 중심으로 34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먼저 注書 느 인본91) 중 어 력 1961년 국사편찬위원회가 편찬한 영 것을 저본으로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면 원본을 저본으로 할 때 장 께 1차 더 승정원일기가 실록과 함 더많 단점은 무엇일까? 먼저 장점은 기본사료이지만 기밀 기록이 실록보다 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가 크다는 점이다 반면에 단점은 원일기 사료적 가치가 크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이것은 한 귀 없는 중한 자료이므로 書 이홍두 승정원일기 원문을 입 하려고 할 때 가 기록한 원본90)과 승정원 열람 하기가 쉽지 않 다는 것이다 또한 승정 벌 漢文草 밖에 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해독할 수 없는 것도 단점 중 하나이다 한 편 영조 더갖 22년에 개수한 원본 승정원일기는 고 있다 첫째 몇 인조 원년부터 경종 원년까지 가지 구조적 결함을 99년 간 기사는 타 고 남는 사료와 기타 단편적 기사를 되는 대로 기록하였기 때문에 전후 문장이 서로 연결되지 않 은 경우가 있고92) 둘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본 부주로 한국학편년사료대계(1997) 21세기 정보화시대 한국학 제10회 한국학 국제 학술회 논문집(1998) 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李南姬 朝鮮時代 資料 電算化 베 ( 12 2000) 李南姬 朝鮮王朝實錄 디 털 향 ( 90) 519 承政院日記 총 6400 권 달 1권씩 칙 2권씩 3 번씩 윤달 3245권 오 (1623) 31 (1894) 폐 198권 91) 承政院日記 草書 1961 字 精書 판 92) 23 承政院日記 감 卷末 쓴 람 람 ( 석 앞 ) 데이터 이스 구 조선시대사학보 지 조선왕조 정원일기 는 한 에 편찬하였으며 또한 나 현존하는 는 부터 고종 년 년에 한 승정원이 는 한문 영조 하여 출 는데 지될 때까지 을 합한 것이다 소재를 명시하였다 신 자이다 그러 과 이후 승 찍 楷 記事 사 호 과 교정한 사 해제 35 고 승정원일기이다 는 이러한 점을 에 승 으면 그것은 인조 원년 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구두점을 하였는데 이것이 탈초본 년에 개수한 처를 명시하고 이었지만 사건이 로 되었기 때문에 일반 연구자들이 해독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로 이 된다고 한다 을 계산한 이 전해 선원 전비서원 등에서 발간한 원본 여 기록하는 것이 원 승정원일기 는 17 2002) 많 숫 3047권 청계사학16 화 과정과 방 년 간 현단계와 과제 안하여 마다 출 성명을 기입하여 책임

승정원일기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 방안 연구 한국사론 37 씩 한 두장 다른 곳 끼 에 있다는 점이다93) 앞 뒷 어 있어 반면에 국사편찬위원회 탈초본 楷字 精書 장 몇 단점은 다음 로 약 찍 지명 었고 책장 순서가 바 쓰 못 관명 등을 로 지 바뀐 했 바 하고 取音 가 형 하고 원 를 해독하지 것은 원본 순 했 하여 여러 문자로 표시 능 물 글 넣 그대로 그려 지명 은 것과 원본 명 草 자에 대해 겠 같 많 채 템 (wwwkoreanhistoryorkr) 디 털 미 삼 하게 발견되는 것은 단점이라고 하 국사편찬위원회 탈초본 를 으며 원본에서는 른 문자로 정정하였다 그러나 원본 중 인명 書 못 誤字 빈번 漢文亂草 승정원일기에서는 가 한 한 이들을 모 지만 국사편찬위원회 탈초본 두 가 승정원일기를 저본으로 할 때 그 서를 무시하고 문장이 연결되는 부분을 찾아서 등사 인명 례 지 아니한 사 할 수가 있다 먼저 장점은 가지로 요 하여 구두점을 맞 장이 서로 다 승정원일기는 이와 이 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정보화를 위해서는 원본을 저본으로 책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 94) 특히 최근에 이르러 축 을 구 승정원일기 원본 자료를 함으로써 게 입수할 수 있는 것도 원본을 저본으로 겠 럼 다 이처 원본을 저본으로 적으로 검색을 통해 생 산성을 지 이 지를 통해 쉽 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 삼 높 아 정보화를 실현할 경우 그것은 궁극 이는 데에 목 적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 겠 다 로 원전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유용하다고 하 다음으로 영조 승정원일기 23년에 개수한 차 燼餘日記 베 와 경종 원년 이후에 편찬한 이점에 대한 데이터 석 축 이스 구 이 필요하다 燼餘日 93) 신 호 위 해제 94)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 은 서 대 규장각 국사편찬위원회 족문화 추진회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소장 중인 역사 기록 을 공동으로 보 하여 인터 서비스 기본 을 실현하였다 이밖에 한국 기록 문 화 지 화는 한국전산원에서 국가지식정보 통합 검색시스 (www knowledgegokr)을 구 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넷 디 털 템 울 플랫폼 축 36 물 민 템 확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記 총 548권 을 지칭하는데 이것은 권 량 했 같 승정원일기 1796 은 시기 량 축 3분 1에 해당하는 분 이다 따라서 분 이 기 내용 또한 크게 부실 을 것으로 짐 이홍두 99년간 개수승정 는 화재로 소실된 인조 원년부터 경종 원년까지 원일기 큼 소한 만 신여일 작된다 따라서 신여일기와 승정원일기에 대한 실증성 및 자료들 사이 연관성에 대해 상호 별 성을 둘 수밖에 없는 소이가 여기에 있다 신여일기 특성은 校正 람 한 사 미 다 말 記事 권 마다 출처를 명시하고 차 람 말에 기록한 사 과 성명을 기입하여 책임 소재를 명시하였다 또한 기사마 성명을 기록하였다95) 已上燼餘<g/> 또는 分注 가 있으며 에 출처를 표시한 권 말에 書役郎廳 校正郎廳 과 승정원일기 DB에서 신여일기는 모두 <g> 燼餘<g/> 태 <g> 그(Tag)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신여일기인지 여부를 첨 알 가하여 자료를 검색할 려면 일기를 수정할 때 校正<g/> <g>日記郎廳<g/> <g>朝報<g/> <g>謄錄 <g/> <g>春坊日記<g/> <g>堂後日記<g/> <g>銀臺日記<g/> <g>瀋陽日記 <g/> <g>完平日記<g/> <g>延平日記<g/> 목 달 各司 <g>禁府謄錄<g/> <g>掌隸院謄錄<g/> <g> 訓局謄錄<g/> <g>備局謄錄<g/> 목 대본으로 사용한 <g> 등을 검색하면 용이하게 을 적 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출처를 명시한 등을 기사제 으로 검색한다면 이에 대 한 내용뿐만 아니라 신여일기에 대한 정보까지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Ⅴ 맺 음 말 이상에서 본고는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을 승정원일기 보 울 수체계 및 왕조실록과 비교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아 석 앞 95) 신 호 해제 37 러 문헌학적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과 정보화 방안 英門 내 승정원에 보관하였지만 영조 20년 10월 13일 화재로 인하 여 또다시 선조 임진년(1592)부터 경종 원년(1721)까지 권 일기가 소실되었다 이에 영조는 동왕 記事 여 사료 실증성 는 새 축 로 건 말에 기록자와 교정자를 기입하 보에 역점을 두었다 영조대 개수한 한 승정원에 보관하였는데 고종 생 승정원일기 밤 25년(1888) 3월 7일 권 형 듬 대로 남아 있 26년 일기청을 설치하여 이 해 12월에 개수를 완료 하였다 둘째 승정원일기 문헌학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時政記 실록 편찬 과정을 상호 비교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과 공통점은 史官 이 기록한 르다 왕조실록은 또 승정원일기 361 이 소실되었다 그 하여 러나 이때 소실된 일기는 당시 조보와 각사등록이 원 었기 때문에 고종 소 권 확 다시 승정원에 화재가 발 권 축 99년 간 일기를 548 승정원일기는 규모면에서 크게 에 출처를 명시하고 되었지만 130년간 1793 22년(1746) 5월에 일기청을 설치하고 인조 원년(1623)부터 경종 원년까지 으로 보수하였다 이때 개수한 이홍두 예 官撰史書 열 문관 검 와 왕조 승정원일기 라는 점이지만 편찬체제는 상호 다 이 기록하고 왕 사후에 당대 시정기 를 토대로 실록을 편찬하였지만 승정원일기는 승정원 注書 가 왕명 출납과 관련한 사건 일체를 기록하여 찬집하였다 한편 실록 편찬 기초 자료로 쓰 이 중요한 적이었으므로 먼저 제도 연 목 褒貶 록하고 章 물 인 시정기는 문 별 자료가 되는 것은 과 각 관청 啓下 도로 혁 강목 이나 시비 등은 상세히 기 워 을 세 기록하였으며 疏 문서는 중요한 것만 기록하되 대간 언론은 모 두 기록하였다 반면에 항 조 제도를 정비하고 관원을 평가하는 것 승정원일기는 政事 와 국왕에게 올 리는 모든 뿐만 아니라 임금 언동까지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승정 원일기가 현재 정치적 필요성 때문에 작성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따 라서 국정 전반에 걸친 감 내용을 가 없이 기록할 수밖에 없었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