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1120~1126 ISSN : 1225-9918 DOI : http://dx.doi.org/10.5352/jls.2011.21.8.1120 μ μ μ α β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1121 μ μ
1122 생명과학회지 2011, Vol. 21. No. 8 μ μ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화환원반응에서 기질로 작용하며,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 (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들을 가리키 며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14]. 찔레나무 뿌리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Table 2와 같이 열 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에서 각각 57.48±0.88 mg/g, 61.2±0.04 mg/g, 61.5±0.01 mg/g, 67.05±0.56 mg/g으로 아세 톤 추출물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확인 찔레나무뿌리의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Fig. 1과 같이 찔레나 무뿌리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 μg/ml에서 40% 이상의 효능을 보였고,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경우 100 μg/ml에 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양성대조군 vit-c보다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Jung [13] 등 의 괴화, 녹차, 작약, 생강 메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Table 2.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of from R. multiflora root extracts Samples polyphenol contents (mg / g) RMR-W 57.48±0.88 2 RMR-E 61.23±0.04 3 RMR-M 61.59±0.01 4 RMR-A 67.05±0.56 1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2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3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4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1 Fig. 1.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R. multiflora root extracts.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Vit. C: ascorbic acid,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1123 농도에서 각 76.9%, 64.6%, 57.1%, 48.3%의 활성 을 나타낸 결과와 비교하면 찔레나무 뿌리의 라디컬 소거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결과 찔레나무뿌리의 ABTS radical cation 소거활성 결과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찔레나무뿌리 메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의 경우 50 μg/ml에서 양성대조군 vit-c와 유사한 80%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75%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DPPH법에 의한 전자공여능에서 찔레나무뿌리 아세톤 추출물 50 μg/ml 농도에서 78% 정도의 항산화력을 보인 반면 ABTS 양이온 소 거능에서는 90%로 더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radical 소거능이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DPPH 경우는 free radical 이지만 ABTS는 cation radical이라는 점에서, 또는 페놀성 물 질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두 기질에 결합하는 정도가 다르고, radical을 제거하는 기작이 다르다는 점에서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1,000 μg/ml 유사활성 측정결과 피부 노화방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SOD 유사활성을 측 정한 결과 Fig. 3와 같이 찔레나무뿌리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1,000 μg/ml에서 모두 20% 이상의 효능을 확인 하였다. 이는 An 등[2]가 보고한 산사자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12%의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낸다는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이 더 우수한 SOD 유사활성능 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uperoxide dismutase (SOD) Fig. 2.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R. multiflora root extracts.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Vit. C: ascorbic acid.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1124 생명과학회지 2011, Vol. 21. No. 8 에서 50% 이상의 효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같은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vit-c보다 우수한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는 Jeong [11]이 보고한 프로폴리스에 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quercetin 8 μmol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보임과 유사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Hyaluronidase 저해능 확인 본 실험에 사용한 HAase는 hyaluronic의 glucuronic acid 와 N-acetyl-glucosamine의 β(1 4)결합을 가수분해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결국 고분자 HA의 분해 효소인 HAase 의 저해에 의해 HA의 고분자 형태를 유지하게 함으로 서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찔레나무뿌리의 HAase 저 해능을 측정한 결과 Fig. 5와 같이 나타났다. 찔레나무뿌리 에 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500 μg/ml 에서 60% 이상의 높은 HAase 저해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인 vit-c 가 같은농도에서 20% 미만의 효능을 보인 것과 Choi 등[7]의 오가피, 황기 및 두충 에탄올추출물의 HAase 저해능 측정 결 과 1,000 μg/ml에서 60%, 61%, 63%의 저해능을 보인것을 비 교할 때 찔레나무 뿌리의 HAase 효능 효과가 저농도에서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의 세포독성 또는 변성으로 인한 cell population의 저하에 기인하는 결과인지 적용실험 대한 활성 또는 저해능에 대한 정확한 결과 값 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에 의한 macrophage cell의 독 50 μg/ml Fig. 3. SOD-like ability of R. multiflora root extracts.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Vit. C: ascorbic acid,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소거능 확인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은 xanthine oxidase 가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 생성 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찔레나무뿌리 추출물과 반 응시켜 nitro blue tetrazolium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 거능을 확인하는 방법이다[1,15]. 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 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의 생성저해 효과는 Fig. 4에 나타내었다. 찔레나무뿌리 열수, 메탄 및 아세톤 추출물 Superoxide anion radical Fig. 4.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R. multiflora root extracts.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Vit. C: ascorbic acid,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Fig. 5. Inhibition rate of R. multiflora root extracts on hyaluronidase. RMR-W: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water, RMR-E: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ethanol, RMR-M: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methanol, RMR-A: R. multiflora root extracted with acetone, Vit. C: ascorbic acid, Result are means±s.d. of triplicate data.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1125 μ μ μ μ μ
1126 생명과학회지 2011, Vol. 21. No. 8 μ α β μ 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