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점의원천 생략된주어를찾아라. 저무는섬하나떠올리며울었습니다 나는그섬을떠올리며울었습니다. 하늘은부끄럽게도푸릅니다. 1) 하늘은푸릅니다. 2) 1) 과 2) 사이에생략된문장 => 생략된서술어를찾아라 n 아래 [ A ] 에생략된말을쓰시오. [ 반복 ] 우리가물이되어만난다면가

Similar documents
[1-3]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진주장터생어물전에는바다밑이깔리는해다진어스름을, 울엄매의장사끝에남은고기몇마리의빛발 ( 發 ) 하는눈깔들이속절없이은전 ( 銀錢 ) 만큼손안닿는한 ( 恨 ) 이던가. 울엄매야울엄매. 별밭은또그리멀리우리오누이의머리맞댄골방안되어손


152*220

통계내지-수정.indd

5 291

hwp

º´¹«Ã»Ã¥-»ç³ªÀÌ·Î

10월추천dvd

쌍백합23호3


ÀÚ¿øºÀ»ç-2010°¡À»°Ü¿ï-3


2015년9월도서관웹용

내지 뒷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아침 송(頌) 유자효 자작나무 잎은 푸른 숨을 내뿜으며 달리는 마차를 휘감는다 보라 젊음은 넘쳐나는 생명으로 용솟음치고 오솔길은 긴 미래를 향하여 굽어 있다 아무도 모른다 그 길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길의 끝은 안개 속으로 사라지고 여행에서 돌아온 자는 아직

(연합뉴스) 마이더스

CONTENTS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레이아웃 1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041~084 ¹®È�Çö»óÀбâ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글청봉3기 PDF용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2006.5ø˘ øÏæ - ª¡ˆ.pdf

ITFGc03ÖÁ¾š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¼ºÀαÇ24È£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10월_v8

30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 pb61۲õðÀÚÀ̳ʸ

Ⅰ Ⅱ ? ? Ⅲ Ⅳ

contents 24 떠나자, KIST 가족소풍 Issue & Science + 상상이상, KIST 오픈라운지 + KIST GALLERY + + Celebration + UKC 12 세대공감 ( 世代共感 ), KIST 역사가미래다! + 34


ÆÞ¹÷-Æîħ¸é.PDF

_¸ñÂ÷(02¿ù)

CONTENTS 2011 SPRG Vol

내지-교회에관한교리

With_1.pdf

³»Áö_10-6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2007년 6월 고2 모의고사 국어,언어 문제.hwp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5월_v1[1].pptx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2002report hwp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Microsoft PowerPoint _Monthly InsighT 19년 1월.pptx

E (2005).hwp

¿¹¼ú°¡À̾߱â

(001~009)248사회문화(연)

S - O I L M A G A Z I N E 2016 April Vol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기본소득문답2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한빛소리07월호

1 학기중간고사대비특강 - 4. (1) 김수영의 풀 다시읽기 이것만은꼭꼭! 1. 비평관점에따른 < 풀 > 해석 2. 이글의논지전개방식 / < 풀 > 의표현상특징 3. 시어나시구의의미 - 대립적의미 4. 이글에드러난글쓴이의생각 ( 근거 ) - 1 -

Contents

지학-문학2

1 1 만 알아보기 1000이 10개이면 10000입니다. 이것을 또는 1만이라 쓰고 만 또는 일만이라 고 읽습니다. 9000보다 은 2 다섯 자리 수 알아보기 9900보다 보다 보다 1 큰 수입니다. ⑴ 1000


750 1,500 35

178È£pdf


1220½É¹Ì¾Èâ27È£º»¹®

•••••1301(•••).pdf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해오름summer200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7단원 1(252~269)교

2013 경찰직 1차 형법 해설 이영민 (0gichul.tistory.com).hwp

로그인 / 회원가입필요없는학습자료무료제공사이트 레전드스터디닷컴

CONTENTS CSCaritas Seoul Mission. Vision Caritas,,. 28 Yes, I Do 32 DO CAT 2017 SPRING <+>

<BFA9C8A3BFCDB4C2C0A7B4EBC7CFB4D9284A2E522E >

Çѹ̿ìÈ£-197È£


77

연구노트

..1,2,3,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À¯¾ÆâÀÇ°úÇмÒÃ¥ÀÚ.PDF

내지-진짜최종

3+4월호-최종-pdf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2003report hwp

와플-4년-2호-본문-15.ps

Transcription: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1 강 1. 모든문장의주어와서술어를확인할것 [ 화제와속성 ] 시의경우도문장단위로읽을것 2. 문장의반복과단어의대응을확인하라. [ 동형성의원리 ] 1. 문장단위로읽읍시다. 시의문장을산문적진술 [ 주어 + ( 목적어 / 부사어 / 보어 ) + 서술어 ] 의형식으로복원할것 산문적문장 꽃이 예쁘다 화제 ( 진술의대상 ) 화제의속성 / 화제를바라보는진술자의태도 ( 대상에대한화자의주관적느낌 ). 꽃이예쁘게피었다. 꽃이피었다. ( + 꽃이예쁘다.) 예쁜꽃이피었다. 꽃이피었다. ( + 꽃이예쁘다.) 예쁜꽃이꺾였다. 꽃이예쁘다. + 대상에대한화자의태도는긍정적 / 꽃이꺾였다. (-) 화자가파악한대상의상황은부정적 운문적문장 산문적문장 예쁘게핀그노란꽃!! 노란꽃이예쁘게피어있다. n 밑줄친 11~13 을산문적진술로바꾸어보자. 1. 어제를동여맨편지를받았다 2. 늘그대뒤를따르던 3. 길문득사라지고 4. 길아닌것들도사리지고 5. 여기저기서어린날 6. 우리와놀아주던돌들이 7. 얼굴을가리고박혀있다 8. 사랑한다사랑한다, 추위가득한저녁하늘에 9. 찬찬히깨어진금들이보인다 10. 성긴눈날린다 11. 땅어디에내려앉지못하고 12. 눈뜨고떨며한없이떠다니는 13. 몇송이눈. 10) 성긴눈날린다. 11~13) - 1 -

만점의원천 생략된주어를찾아라. 저무는섬하나떠올리며울었습니다 나는그섬을떠올리며울었습니다. 하늘은부끄럽게도푸릅니다. 1) 하늘은푸릅니다. 2) 1) 과 2) 사이에생략된문장 => 생략된서술어를찾아라 n 아래 [ A ] 에생략된말을쓰시오. [ 반복 ] 우리가물이되어만난다면가문어느집에선들좋아하지않으랴. 우리가키큰나무와함께서서우르르우르르비오는소리로흐른다면 [ A ] n 아래 [ ] 에생략된말을쓰시오. [ 접속사및문맥 ] 내마음을아실이 -김영랑 내마음을아실이내혼자마음날같이아실이 [ B ] 그래도어디나계실것이면, 내마음에때때로어리우는티끌과속임없는논물의간고한방울방울, 푸른밤고이맺는이슬같은보람을보밴듯감추었다내어드리지. 아! 그립다. 내혼자마음날같이아실이 꿈에나아득히보이는가. 향맑은옥돌에불이달아사랑은타기도하오련만불빛에연긴듯희미론마음은, 사랑도모르리, 내혼자마음은. - 2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1 강 2. 반복과대응을확인합시다. 반복 변주되는문장의대응하는시어는의미가유사하다.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0504 월교육청 ] 14. 생명은 15. 추운몸으로온다. 16. 벌거벗고언땅에꽂혀자라는 17. 초록의겨울보리, 18. 생명의어머니도먼곳 19. 추운몸으로왔다. 20. 진실도 21. 부서지고불에타면서온다. 22. 버려지고피흘리면서온다. 23. 겨울나무들을보라 24. 추위의면도날로제몸을다듬는다. 25. 잎은떨어져먼날의섭리 ( 攝理 ) 에불려가고 26. 줄기는이렇듯이 27. 충전 ( 充電 ) 부싯돌임을보라 28. 금가고일그러진걸사랑할줄모르는이는 29. 친구가아니다. 30. 상한살을헤집고입맞출줄모르는이는 31. 친구가아니다. 32. 생명은 33. 추운몸으로온다. 34. 열두대문다지나온추위로 35. 하얗게드러눕는 36. 함박눈눈송이로온다. 1. < 보기 > 를통해 [ 나 ] 를감상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 김남조, < 생명 > [45%] 보기 소나무는지조와절개를상징하는소재로그림에자주등장한다. 겨울월출산소나무 라는제목의이그림은한겨울에찬눈을맞으면서꿋꿋이자리를지키고있는소나무를인상적으로그린것이다. 홀로서있는이소나무는글자그대로낙락장송이다. 이소나무를보면고난에굴하지않는강한의지가느껴지기도하고, 홀로추위를견디는모습이외롭게보이기도한다. 1 그림의소나무처럼고난을겪고있는외로운사람에게 [ 나 ] 의 친구 는꼭필요한존재라고할수있어. 2 소나무 가한겨울의강추위를이겨내는모습을보니, [ 나 ] 에서 진실 이오려면왜 불 을거쳐야한다고했는지알수있어. 3 소나무가눈이덮인황량한산과벌판을배경으로그려져있는데, [ 나 ] 의 눈송이 도황량한겨울추위를의미한다고볼수있어. 4 그림의 소나무 에서는끈질긴생명력이느껴지는데, [ 나 ] 의 줄기 가 충전부싯돌 에비유된것을보면 줄기 에서잠재적인생명력을느낄수있어. 5 그림의 소나무 가겨울의시련을이겨내는모습을볼때, [ 나 ] 의 겨울보리 도겨울의시련을견디고초록의생명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볼수있어. - 3 -

만점의원천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1. 노래가낫기는그중나아도 2. 구름까지갔다간되돌아오고, 3. 네발굽을쳐달려간말은 4. 바닷가에가멎어버렸다. 5. 활로잡은산돼지, 매 [ 鷹 ] 로잡은산새들에도 6. 이제는벌써입맛을잃었다. 7. 꽃아. 아침마다개벽하는꽃아. 8. 네가좋기는제일좋아도, 9. 물낯바닥에얼굴이나비취는 10. 헤엄도모르는아이와같이 11. 나는네닫힌문에기대섰을뿐이다. 12. 문열어라꽃아. 문열어라꽃아. 13. 벼락과해일만이길일지라도 14. 문열어라꽃아. 문열어라꽃아. - 서정주, < 꽃밭의독백 - 사소 ( 娑蘇 ) * 단장 > 1. [ 가 ] 의시어에대한설명으로가장적절한것은? [67%] [ 가 ] 시어의의미와기능 1 바닷가 화자가현재머무는장소 2 산새 화자의지향에서벗어나있는대상 3 개벽 화자의처지가변화하는계기 4 물낯바닥 화자가수행하는자기성찰의매개물 5 아이 화자가부러워하는대상 - 4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2 강 시의본질 : 주관적정서를드러냄 화자 시적대상 주인공 (+) 연민 안타까움 화자 - 5 -

만점의원천 시의본질 2 : 정서의구체적이미지화 1. 비유와상징 비유 상징 원관념 [ 표현대상 ] 보조관념 [ 표현수단 ] 하나로고정 원관념과유사한속성만제공실재하지않음 고정되어있지않음 n개의해석이가능함 실재 ( 實在 ) 함 2. 시 공간적배경 잉크병얼어드는이러한밤에 어쩌자고잠을깨어 그리운곳차마그리운곳 - 이용악, < 그리움 > 사랑한다사랑한다, 추위환한저녁하늘에찬찬히깨어진금들이보인다성긴눈날린다땅어디에내려앉지못하고눈뜨고떨며한없이떠다니는몇송이눈. - 황동규, < 조그만사랑노래 > 너와헤어져돌아오는눈쌓인골목길에새파랗게달빛이쏟아지는데. 가난하다고해서두려움이없겠는가, 두점을치는소리, 방범대원의호각소리, 메밀묵사려소리에눈을뜨면멀리육중한기계굴러가는소리. - 신경림, < 가난한사랑노래 - 이웃의한젊은이를위하여 > - 6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2 강 3. 자연물 예문 1) 송파구는 2007 년부터매년은행잎약 200t 을남이섬으로보내고있으며연간 1 천 200 만원에달하던 [ 낙엽 ] 처리비용을 줄이는효과도거두고있다 예문2) 그녀는떠나고나만홀로남겨진텅빈공원, [ 낙엽 ] 만이흩날리고있네. 4. 추상적대상의구체화 내어디서그리무거운비애를지고왔기에 1 비애가무겁다 2 비애를지니고왔다 마을아낙네들은무심코 / 차가운이야기를가을냇물에실어보냈다는 / 그날밤 1 2-7 -

만점의원천 월훈 ( 月暈 )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0709 월평가원 ] 1. 이시에대한감상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노인의삶을바라보는따뜻한시선이느껴져. [38%] 1. 첩첩산중에도없는마을이여긴있습니다. 잎진사잇길저모랫둑, 그너머강기슭에서도보이진않습니다. 허방다리들어내면보이는마을. 2. 갱 ( 坑 ) 속같은마을. 꼴깍, 해가, 노루꼬리해가지면집집마다봉당에불을켜지요. 콩깍지, 콩깍지처럼후미진외딴집, 외딴집에도불빛은앉아이슥토록창문은모 2 외딴집의정경을통해노인의고독을드러내고있어. 3 목가적분위기를대화적구성을통해보여주고있어. 4 시상이집약된시어로끝맺으면서여운을남기고있어. 5 시어의반복과연쇄로산문적진술에리듬감을주고있어. 과빛입니다. 3. 기인밤입니다. 외딴집노인은홀로잠이깨어출출한나머지무를깎기도하고고구마를깎다, 문득바람도없는데시나브로풀려풀려내리는짚단, 짚오라기의설레임을듣습니다. 귀를모으고듣지요. 후루룩후루룩처마깃에나래묻는이름모를새, 새들의온기를생각합니다. 숨을죽이고생각하지요. 4. 참오래오래, 노인의자리맡에밭은기침소리도없을양이면벽속에서겨울귀뚜라미는울지요. 떼를지어웁니다, 벽이무너지라고웁니다. 5. 어느덧밖에는눈발이라도치는지, 펄펄함박눈이라도흩날리는지, 창호지문살에돋는월훈 ( 月暈 ) *. * 월훈 : 달무리. - 박용래, < 월훈 ( 月暈 )> - 8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2 강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1205 월평가원 ] [66%] 1. < 보기 > 를참고하여, [ 가 ] 의 [A]~[E] 를이해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3 점 ] 보기 [ 가 ] [A] 지금은ᄀ남의땅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 나는온몸에햇살을받고ᄂ푸른하늘푸른들이맞붙은곳으로가르마같은논길을따라꿈속을가듯걸어만간다. [B] 입술을다문하늘아들아내맘에는나혼자온것같지를않구나네가끌었느냐누가부르더냐답답워라말을해다오. 1920년대중반에일부시인들은민중의참담한상황, 그리고노동에기반한민중의생명력에주목하면서민중의생활을노래하였다. 이런점은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 에도잘반영되어있다. 1 [A] 의ᄀ은당시민중의참담한상황을나타낸표현이군. 2 [C] 의ᄃ에는민중의생명력이, ᄅ에는노동을중시하는화자의태도가함의되어있군. [C] 바람은내귀에속삭이며한자욱도섰지마라옷자락을흔들고종다리는울타리너머아씨같이구름뒤에서반갑다웃네. 고맙게잘자란ᄃ보리밭아간밤자정이넘어내리던고운비로너는삼단같은머리를감았구나내머리조차가뿐하다. 혼자라도가쁘게나가자마른논을안고도는착한도랑이젖먹이달래는노래를하고제혼자어깨춤만추고가네. 3 [B] 와 [D] 의비교에서드러나는태도의변화로보아, [C] 에는민중의실상에대한화자의안타까움도내재되어있군. 4 [B] 의ᄂ에는화자의이상이, [D] 의ᄆ에는화자의현실인식이투영되어있군. 5 [A] 와 [E] 의연관으로보아, [B]~[D] 에서의화자의행위는민중의처지를바꿔보려는적극적의지의소산이군. 나비제비야깝치지마라맨드라미들마꽃에도인사를해야지아주까리기름을바른이가지심매던그들이라다보고싶다. 내손에ᄅ호미를쥐어다오 살찐젖가슴같은부드러운이흙을 발목이시도록밟아도보고좋은땀조차흘리고싶다. [D] 강가에나온아이와같이짬도모르고끝도없이닫는내혼아무엇을찾느냐어디로가느냐우스웁다답을하려무나. 나는온몸에풋내를띠고ᄆ푸른웃음푸른설움이어우러진사이로다리를절며하루를걷는다아마도봄신령이지폈나보다. [E] 그러나지금은 들을빼앗겨봄조차빼앗기겠네. - 이상화, <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 > - 9 -

만점의원천 1. [ 제목 ] 을통하여내용을추측해본다. 2. 화자와시적대상 ( 주인공 ) 간의관계를파악할것 3. 시적대상이처한상황및태도를파악한다. 4. 시적대성의속성과대상에대한태도를파악한다. 1 2-1 2-2 제목화자의위치를파악중심대상파악 1 인칭화자 [ 나 ] 나자신의상황이나내면 3 인칭화자 다른사람 or 자연등 - 10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3 강 미래지향 3 현재가치지킴 대상의상황 (= 정서 ) 상황에대한태도 과거를그리워함 자아성찰및반성 깨달음 기타 예찬 4 지향 추구 대상의속성 대상 ( 속성 ) 에대한태도 친화 지양 비판 ( 풍자 ) - 11 -

만점의원천 1. 제목을통하여내용추측해보기 현대시독법 1 단계 (1). 사람 : 1) 시제목에쓰인사람은시의 주인공 이지만화자자신은아니다. 2) 주인공 은주로부정적상황에처해있으며속성은대체로긍정적이다.( 선량하거나고귀한인품 ) 여승 내가만난이중섭 선제리아낙네들 소년에게 흥부부부상 (2). 자연물 : 1) 자연물자체의긍정적속성이부각된다. 이때자연물은화자에게지향의대항이거나화자와동일시된다. 교목 ( 喬木 ) 폭포 눈 무등을보며 2) 자연물의부정적상황이부각된다. 이때자연물은화자에게연민의대상이며화자의동일시될수도있다. 파초 ( 芭蕉 ) 그나무 3) 자연물이날씨, 기후, 계절, 시간을나타나는경우자연물은화자가처한상황, 상황에따른정서, 그리고태도 ( 화자의내면 ) 을형상화한다. 파초우 강우 ( 降雨 ) 월훈 ( 月暈 ) - 12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3 강 (3). 공간 : 1) 화자가처한공간은부정적이다. 2) 화자가그곳에없다면그곳은긍정적이다. 바다로, 바다에서 고향, 고향앞에서 지리산뻐꾹새 꽃밭의독백 못위의잠 사평역에서 (4). 불완전한문장으로된제목을완전한문장으로복원할것. 다시밝는날에 우리가물이되어 또기다리는편지 - 13 -

독법 2 : 화자의시적대상의관계 교목 ( 喬木 )- 들길에서서 - 고고 ( 孤高 )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2007년수능 ] [ 가 ] 1. 푸른하늘에닿을듯이 2. 세월에불타고우뚝남아서서 3. 차라리봄도꽃피진말아라 4. 낡은거미집휘두르고 5. 끝없는꿈길에혼자설레이는 6. 마음은아예뉘우침아니라 [ 다 ] 1. 북한산 ( 北漢山 ) 이 2. 다시그높이를회복하려면 3. 다음겨울까지는기다려야만한다. 4. 밤사이눈이내린, 5. 그것도백운대 ( 白雲臺 ) 나인수봉 ( 仁壽峰 ) 같은 6. 높은봉우리만이옅은화장을하듯 7. 가볍게눈을쓰고 8. 왼산은차가운수묵으로젖어있는, 9. 어느겨울날이른아침까지는기다려야만한다. 7. 검은그림자쓸쓸하면 8. 마침내호수 ( 湖水 ) 속깊이거꾸러져 9. 차마바람도흔들진못해라 - 이육사, < 교목 ( 喬木 )> 10. 신록이나단풍, 11. 골짜기를피어오르는안개로는, 12. 눈이라도왼산을뒤덮는적설 ( 積雪 ) 로는드러나지않는, 13. 심지어는장밋빛햇살이와닿기만해도변질하는, [ 나 ] 1. 푸른산이흰구름을지니고살듯 2. 내머리위에는항상푸른하늘이있다 14. 그고고 ( 孤高 ) 한높이를회복하려면 15. 백운대와인수봉만이가볍게눈을쓰는 3. 하늘을향하고산림처럼두팔을드러낼수있는것이얼 마나숭고한일이냐 16. 어느겨울날이른아침까지는 17. 기다려야만한다. - 김종길, < 고고 ( 孤高 )> 4. 두다리는비록연약하지만젊은산맥으로삼고 5. 부절히움직인다는둥근지구를밟았거니 6. 푸른산처럼든든하게지구를디디고사는것은얼마나 기쁜일이냐 7. 뼈에저리도록 생활 은슬퍼도좋다 8. 저문들길에서서푸른별을바라보자 9. 푸른별을바라보는것은하늘아래사는거룩한나의일 과이거니 - 신석정, < 들길에서서 > - 14 -

독법 2 : 화자의시적대상의관계 [44%] 1. [ 가 ]~[ 다 ] 에대한설명으로가장적절한것은? 1 [ 가 ] 와 [ 나 ] 에는현재처한상황을긍정적으로인식하는화자의태도가드러나있다. 2 [ 가 ] 와 [ 다 ] 에는이상과현실의괴리가해소된조화로운상태가구현되어있다. 3 [ 나 ] 와 [ 다 ] 에는일상생활의소중함에대한자각이나타나있다. 4 [ 가 ], [ 나 ], [ 다 ] 에는자연의섭리에대한깨달음이바탕에깔려있다. 5 [ 가 ], [ 나 ], [ 다 ] 에는화자가바람직하게생각하는삶의자세가담겨있다. 교목 - 들길에서서 - 고고 정답 : 5-15 -

독법 2 : 화자의시적대상의관계 여승 ( 女僧 )- 못위의잠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0806월평가원 ] [ 가 ] 1. 여승 ( 女僧 ) 은합장 ( 合掌 ) 하고절을했다 2. 가지취의내음새가났다 3. 쓸쓸한낯이녯날같이늙었다 4. 나는불경 ( 佛經 ) 처럼서러워졌다 15. 제자리에선채달빛을좀더바라보던 16. 사내의, 그마음을오늘밤은알것도같습니다 17. 실업의호주머니에서만져지던 18. 때묻은호두알은쉽게깨어지지않고 19. 그럴듯한ᄅ집한채짓는대신 20. 못하나위에서견디는것으로살아온아비, 21. 거리에선아직도흙바람이몰려오나봐요 22. 돌아오는길희미한달빛은그런대로 23. 식구들의손잡은그림자를만들어주기도했지만 5. 평안도 ( 平安道 ) 의어늬산 ( 山 ) 깊은ᄀ금덤판 6. 나는파리한여인 ( 女人 ) 에게서옥수수를샀다 7. 여인 ( 女人 ) 은나어린딸아이를따리며가을밤같이차게울었다 8. 섭벌같이나아간지아비기다려십년 ( 十年 ) 이갔다 24. 그러기엔ᄆ골목이너무좁았고 25. 늘한걸음늦게따라오던아버지의그림자 26. 그꾸벅거림을기억나게하는 27. 못하나, 그위의잠 - 나희덕, < 못위의잠 > 9. 지아비는돌아오지않고 10. 어린딸은도라지꽃이좋아돌무덤으로갔다 11. 산 ( 山 ) 꿩도설게울은슬픈날이있었다 12. ᄂ산 ( 山 ) 절의마당귀에여인 ( 女人 ) 의머리오리가눈물방울과같이떨어진날이있었다 - 백석, < 여승 ( 女僧 )> [ 나 ] 1. 저지붕아래제비집너무도작아 2. 갓태어난새끼들만으로가득차고 3. 어미는둥지를날개로덮은채간신히잠들었습니다 4. 바로그옆에누가박아놓았을까요, 못하나 5. 그못이아니었다면 6. 아비는어디서밤을지냈을까요 7. 못위에앉아밤새꾸벅거리는제비를 8. 눈이뜨겁도록올려다봅니다 9. 종암동ᄃ버스정류장, 흙바람은불어오고 10. 한사내가아이셋을데리고마중나온모습 11. 수많은버스를보내고나서야 12. 피곤에지친한여자가내리고, 그창백함때문에 13. 반쪽난달빛은또얼마나창백했던가요 14. 아이들은달려가엄마의옷자락을잡고 - 16 -

독법 2 : 화자의시적대상의관계 1. [ 가 ] 와 [ 나 ] 를비교할때적절하지않은것은? [32%] 1 [ 가 ] 는사람이, [ 나 ] 는자연물이시상을유발한다. 2 [ 가 ] 는 [ 나 ] 에비해내면을성찰하는태도가잘드러 난다. 3 [ 나 ] 는 [ 가 ] 에비해간접적으로정서를드러내고있다. 4 [ 나 ] 는 [ 가 ] 에비해친근한어조를사용하고있다. 5 [ 가 ] 와 [ 나 ] 는비유적으로인물을표현하고있다. [ 답 ] 2 반응률 17% 268% 39% 43% 5 14%[ 해 ] [ 작품의공통점과차이점파악 ] 에서는시적대상자체가 여승 으로국한되어있으므로, 자신의내면을대상으로하여성찰을하는행위는전혀드러나지않는다. [ 오답풀이 ] 1 에서는 여승 이 에서는못위에서잠을자고있는 제비 가시상을유발하고있다. 3 에서는 나는불 ~ 2. ᄀ ~ ᄆ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38%] 1 ᄀ : 여인 이생계를유지하는공간 2 ᄂ : 여인 이비극적상황에서대안으로선택한공간 3 ᄃ : 사내 가자신의처지를확인하는공간 4 ᄅ : 사내 가지향하는삶을상징하는공간 5 ᄆ : 사내 가정서적유대감을느끼게되는공간 교목 - 들길에서서 - 고고 1 번 : 5 여승 - 못위의잠 1 번 : 2 2 번 : 5-17 -

만점의원천 현대시독법 2 단계 화자의위치와시적대상의관계를파악할것 1 시적화자의위치 1) 표면에드러나는화자 ( 나 ) : 화자가작중상황속에나타남 2) 표면에드러나지않는화자 ( 이면화자 ) : 화자가작중상황속에나타나지않음 2 시적대상 ( 주인공 ) 1) 나 ( 나의내면및나의상황 ) = 화자자신 2) 화자자신이아닌다른존재 ( 다른사람및자연물등 ) 화자의위치와시적대상의관계 1 시적화자의위치 2 시적대상 ( 주인공 ) 1) 표면화자 ( 나 ) 1 1) 화자자신 2 2) 이면화자 2) 다른사람및사물 ( 자연물 ) 3 1 화자 나 가자신의내면과상황에대하여노래함 2 화자 나 가자신이아닌다른사람이나자연물등에대하여노래함 3 이면화자가다른사람이나자연물등에대하여노래함 - 18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4 강 낡은집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2005년수능 ] 1. 날로밤으로 2. 왕거미줄치기에분주한집 3. 마을서흉집이라고꺼리는낡은집 4. 이집에살았다는백성들은 5. 대대손손에물려줄 6. 은동곳도산호관자도갖지못했니라 7. 재를넘어무곡을다니던당나귀 8. 항구로가는콩실이에늙은둥글소 9. 모두없어진지오랜 10. 외양간엔아직초라한내음새그윽하다만 11. 털보네간곳은아모도모른다 12. 찻길이뇌이기전 13. 노루멧돼지쪽제비이런것들이 14. 앞뒤산을마음놓고뛰어다니던시절 15. 털보의셋째아들은 16. 나의싸리말동무는 17. 이집안방짓두광주리 * 옆에서 18. 첫울음을울었다고한다 29. 당나귀몰고간애비돌아오지않는밤 30. 노랑고양이울어울어 31. 종시잠이루지못하는밤이면 32. 어미분주히일하는방앗간한구석에서 33. 나의동무는 34. 도토리의꿈을키웠다 35. 그가아홉살되던해 36. 사냥개꿩을쫓아다니는겨울 37. 이집에살던일곱식솔이 38. 어데론지사라지고이튿날아침 39. 북쪽을향한발자옥만눈우에떨고있었다 40. 더러는오랑캐령쪽으로갔으리라고 41. 더러는아라사로갔으리라고 42. 이웃늙은이들은 43. 모두무서운곳을짚었다 44. 지금은아무도살지않는집 45. 마을서흉집이라고꺼리는낡은집 46. 제철마다먹음직한열매 47. 탐스럽게열던살구 48. 살구나무도글거리 ** 만남았길래 49. 꽃피는철이와도가도뒤울안에 19. 털보네는또아들을봤다우 20. 송아지래두불었으면팔아나먹지 21. 마을아낙네들은무심코 22. 차그운이야기를가을냇물에실어보냈다는 23. 그날밤 24. 저릅등이시름시름타들어가고 25. 소주에취한털보의눈도일층붉더란다 50. 꿀벌하나날아들지않는다 * 짓두광주리 : 반짇고리 의방언. ** 글거리 : 그루터기 의방언 - 이용악, < 낡은집 > 26. 갓주지이야기와 27. 무서운전설가운데서가난속에서 28. 나의동무는늘마음졸이며자랐다 - 19 -

만점의원천 [54%] 1. 위시에대한감상문을쓰기위해 < 보기 > 자료를수집하였다. 이를바탕으로작품을감상한내용중적절하지않은것은? 보기 발표연도 : 1938년 작가소개 : 이용악의고향은함경북도경성이다. 그의집안은대대로소금장사를하였는데, 아버지의객사 ( 客死 ) 로어머니가생계를꾸려야했다. 어려서부터궁핍한생활을했던이용악은일본유학시절에도품팔이로학비를조달했다. 그러면서도방학때면으레귀국하여동포들이모여사는간도등지를돌며유이민 ( 流移民 ) 의비극적인삶을살펴보기도했다. 1 1938 년에발표된것으로보아, 가난, 겨울 과같은시어 를일제강점기의시대적상황과관련하여읽을수도있겠 어. 2 당나귀몰고간애비돌아오지않는밤 이라는시구에서 시적화자의아버지가객사했음을알수있어. 3 이시에나타난궁핍한생활상은가정형편이어려웠던작 가의실제삶과도관련된다고볼수있어. 4 유이민에대한작가의관심이털보네가족의삶으로형상 화된것으로보여. 5 함경도에서의공간체험이시에방언으로형상화되어있음 을알수있어. 2 반응률 18% 246% 36% 413% 527% [ 관점에따른시의감상 ] 보기는시가창작된연도를밝히고작가의실제삶을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다. 그런낡 - 20 -

현대시독법과출제원리 4 강 추억에서 - 그리움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2002년수능 ] [ 가 ] 1. 진주장터생어물전에는 2. 바다밑이깔리는해다진어스름을, 3. 울엄매의장사끝에남은고기몇마리의 4. 빛발 ( 發 ) 하는눈깔들이속절없이 10. 잉크병얼어드는이러한밤에 11. 어쩌자고잠을깨어 12. 그리운곳차마그리운곳 13. 눈이오는가북쪽엔 14. 함박눈쏟아져내리는가 - 이용악, < 그리움 > * 백무선 : 함경북도백암에서두만강의삼림지대를가로질러무산을잇는철도. 5. 은전 ( 銀錢 ) 만큼손안닿는한 ( 恨 ) 이던가. 6. 울엄매야울엄매. 7. 별밭은또그리멀리 8. 우리오누이의머리맞댄골방안되어 9. 손시리게떨던가손시리게떨던가, 10. 진주남강맑다해도 11. 오명가명 12. 신새벽이나밤빛에보는것을, 13. 울엄매의마음은어떠했을꼬, 14. 달빛받은옹기전의옹기들같이 15. 말없이글썽이고반짝이던것인가. - 박재삼, < 추억에서 > [ 나 ] 1. 눈이오는가북쪽엔 2. 함박눈쏟아져내리는가 3. 험한벼랑을굽이굽이돌아간 4. 백무선 * 철길위에 5. 느릿느릿밤새워달리는 6. 화물차의검은지붕에 7. 연달린산과산사이 8. 너를남기고온 9. 작은마을 에도복된눈내리는가 - 21 -

만점의원천 1. [ 가 ]~[ 나 ] 의공통점으로알맞은것은? 1 사랑하는대상을향한그리움과안타까움이드러나있다. 2 화자는자신의현재상황을회의적으로바라보고있다. 3 부정적인현실에대한비판적태도를보여주고있다. 4 화자자신의과거를반성적으로되돌아보고있다. 5 자연친화적인삶의태도가나타나있다. 3. [ 가 ], [ 나 ] 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 가 ], [ 나 ] 모두의문형진술을통해화자의정서를강화하고있다. 2 [ 가 ], [ 나 ] 모두어둠과추위의이미지를통해삶의어려움을환기하고있다. 3 [ 가 ] 의 말없이글썽이고반짝이 는 옹기 에는화자자신의감정이이입되어있다. 4 [ 나 ] 에반복된 울엄매 는화자가유년기체험을반추하고있음을보여준다. 5 [ 나 ] 는화자가있는곳과 너 가있는곳을병치시켜역설적인효과를내고있다. 2. [ 가 ] 를 < 보기 > 처럼바꾸어썼다고가정할때, 고려했을사항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보기 열무삼십단을이고시장에간우리엄마안오시네, 해는시든지오래나는찬밥처럼방에담겨아무리천천히숙제를해도엄마안오시네, 배추잎같은발소리타박타박안들리네, 어둡고무서워금간창틈으로고요히빗소리빈방에혼자엎드려훌쩍거리던아주먼옛날지금도내눈시울을뜨겁게하는그시절, 내유년의윗목 1 어머니의힘든노동 이라는소재는그대로살려야겠지? 2 방안이라는공간에초점을두어시상 ( 詩想 ) 을집약하는것도좋겠군. 3 화자의정서를더강조하기위해, 화자혼자남겨지는상황을만들면어떨까? 4 어머니의아픈마음 을표현하려한원시 ( 原詩 ) 의의도는그대로살려써야겠어. 5 어머니의일을채소장사로바꾸고, 그일과관련된이미지를새로만드는것은어떨까? 낡은집 1 번 : 2 추억에서 - 그리움 1 번 : 1 2 번 : 4 3 번 : 5-22 -

현대시독법및출제원리 5 강 3. 상황및태도 현대시독법 3 단계 1. 미래지향의태도 : 부정적인현재속에서긍정적인미래에대한의지, 믿음과신념, 기대를다지는태도 2. 현재가치의지킴 : 부정적인상황속에서도자신이지향하는신념및가치를지켜가는태도 3. 과거에대한그리움 : 현재는없지만과거에있었던것에대한긍정적태도 4. 자아성찰및반성 : 자아성찰및반성 ( 살펴봄, 돌이켜봄 ) 부정적자아의발견 부끄러움등의정서 다짐등 5. 성찰및깨달음 6. 부정적상황의제시 ( 체념, 탄식등 ) : 부정적인정서를드러내는것에그치는경우 - 23 -

만점의원천 (1). 미래지향의태도 1) 주변상황, 현실및자신을변화시키려는의지 2) 자신이나주변이변화할것이라는신념. 3) 변화를향한소망, 희망, 기대 미래지향적시들의지표 ( 指標 ) ; barometer 1) 시간의흐름을통해변화에대한신념을드러낸다. 현재 (-) 미래 (+) ( 어두운 ) 밤 ( 밝은 ) 아침 ( 추운 ) 겨울 ( 따스한 ) 봄 북 ( 北 ) 쪽툰드라에도찬새벽은눈속깊이꽃맹아리가옴작거려제비떼까맣게날아오길기다리나니마침내저버리지못할약속 ( 約束 ) 이여 2) 공간의이동을통해서미래에대한긍정적, 낙관적태도를드러낸다. ( + ) 가내게로온다. 내가 ( + ) 로간다. 생명은 추운몸으로온다 벌거벗고언땅에꽃혀자라는초록의겨울보리 나의지식이독한회의를구하지못하고내또한삶의애증 ( 愛憎 ) 을다짐지지못하여병든나무처럼생명이부대낄때저머나먼아라비아의사막으로나는가자. 3) 미래에대한소망과희망을담고있는동사들이사용된다. 기다리다, 희망하다, 소망하다, 꿈을꾸다, 믿다등등 4) 화자의신념및의지를드러내는어미 ~ 하리라. ~ 하겠다. ~ 하자 ( 청유형 ), ~ 해라 ( 명령형 ) 등등 우리들의꿈이만나한폭의비단이된다면나는기다리리, 추운길목에서오랜침묵과외로움끝에한슬픔이다른슬픔에게손을주고한그리움이다른그리움의그윽한눈을들여다볼때어느겨울인들우리들의사랑을춥게하리 - 24 -

현대시독법및출제원리 5 강 꽃밭의독백 _ 사소 ( 娑蘇 ) 단장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0809월평가원 ] [ 가 ] 1. 노래가낫기는그중나아도 2. 구름까지갔다간되돌아오고, 3. 네발굽을쳐달려간말은 4. 바닷가에가멎어버렸다. 5. 활로잡은산돼지, 매 [ 鷹 ] 로잡은산새들에도 6. 이제는벌써입맛을잃었다. 7. 꽃아. 아침마다개벽하는꽃아. 8. 네가좋기는제일좋아도, 9. 물낯바닥에얼굴이나비취는 10. 헤엄도모르는아이와같이 11. 나는네닫힌문에기대섰을뿐이다. 12. 문열어라꽃아. 문열어라꽃아. 13. 벼락과해일만이길일지라도 14. 문열어라꽃아. 문열어라꽃아. [58%] 1. 시인이 < 보기 > 의옛기록을바탕으로 [ 가 ] 를썼다고할때, 창작과정을추리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보기 경주선도산 ( 仙桃山 ) 에신모 ( 神母 ) 가있었는데그 이름을 사소 라했다. 일찍이신선술을터득하여 멀리바다건너서쪽나라로부터해동 ( 海東 ) 으로들 어왔다. 솔개가날아가내리는곳에집을지으라는 계시를받고서선도산에정착하여신선이되었다. 사 소가처음삼한땅에이르러자식을낳으니, 그가동 국 ( 東國 ) 의첫왕이되었다. 무릇혁거세와알영의 유래를말하는것이리라. 1 사소 의내적갈등에초점을맞추어 < 보기 > 를새롭게 해석했군. 2 < 보기 > 에없는 노래 와 구름 같은시어로바다건너 고향을그리는 사소 의심정을나타냈다고볼수있어. 3 꽃 은시적주제를부각하기위해 < 보기 > 밖에서가져 온소재야. 4 < 보기 > 와달리 사소 가 처녀로잉태 했다고한것은 사소 를특별한존재로만들기위한설정이야. 5 < 보기 > 를근거로원주를붙인데에는원주를참조하여 시를이해하기바라는시인의의도가담겨있어. - 서정주, < 꽃밭의독백 - 사소 ( 娑蘇 ) * 단장 > [ 원주 ( 原註 )] 사소 : 사소는신라시조박혁거세의어머니. 처녀 로잉태하여, 산으로신선수행 ( 神仙修行 ) 을간일이있는데, 이 글은그떠나기전그의집꽃밭에서의독백. - 25 -

만점의원천 연륜 ( 年輪 )- 견회요 ( 遣懷謠 ) n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0904월교육청 ] [ 가 ] 1. 무너지는꽃이파리처럼 2. 휘날려발아래깔리는 1. 어버이그릴줄을처음부터알아마는 2. 임금향한뜻도하늘이삼겨시니 ( 만들었으니 ) 3. 진실로임금을잊으면긔불효 ( 不孝 ) 인가여기노라. < 제5수 > - 윤선도, < 견회요 ( 遣懷謠 )> 3. 서른나문해야 4. 구름같이피려던뜻은날로굳어 5. 한금두금곱다랗게감기는연륜 ( 年輪 ) 6. 갈매기처럼꼬리떨며 7. 산호 ( 珊瑚 ) 핀바다바다에나려앉은섬으로가자 8. 비취빛하늘아래피는꽃은맑기도하리라 9. 무너질적에는눈빛파도에적시우리 10. 초라한경력을육지에막은다음 11. 주름잡히는연륜 ( 年輪 ) 마저끊어버리고 12. 나도또한불꽃처럼열렬히살리라 - 김기림, < 연륜 ( 年輪 )> [ 나 ] 1. 슬프나즐거오나옳다하나틀렸다하나 2. 내몸의해올일만닦고닦을뿐이언정 3. 그밖의나머지일이야분별 ( 分別 ) 할줄이시랴. < 제1수 > 1. 내일망녕된줄내라하여모르겠는가. 2. 이마음어리석기도님위한탓이로세. 3. 누구가아무리일러도임이헤아려보소서. < 제2수 > 1. 추성 ( 秋城 ) 진호루 ( 鎭胡樓 ) 밖에울어가는저시내야. 2. 무엇을하리라주야 ( 晝夜 ) 에흐르는다. 3. 임향한내뜻을좇아그칠때를모르나다. < 제3수 > 1. 산은길고길고물은멀고멀고. 2. 어버이그린뜻은많고많고하고하고. 3. 어디서외기러기는울고울고가느니. < 제4수 > - 26 -

현대시독법및출제원리 5 강 [62%] 1. [ 가 ] 와 [ 나 ] 에공통된표현상의특징으로가장적절한것은? 1 시어의대비를통해주제를부각하고있다. 2 시어를반복하여대상의본질을강조하고있다. 3 반어적표현으로공간의가치를드러내고있다. 4 색채어를활용하여시의분위기를조성하고있다. 5 자연과인간사의대비를통해정서를심화하고있다. [72%] 3. [ 다 ] 를유배지에서쓴글이라고할때, < 보기 > 와관련지어 [ 다 ] 를감상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군신 ( 君臣 ) 의대의 ( 大義 ) 를아뢰나이다. 신의아 버지는저의상소를금하려한즉국가를저버릴까두 렵고, 받아들이려한즉그아들이죽음으로나가는 것을불쌍히여겨서멍하니앉았고묵묵하게말이없 었습니다. 신이상소를올린다는말을듣고는신의 손을잡고서눈물을흘리며울고슬피목이메었으 니, 어찌슬퍼하지않을수있었겠습니까? 엎드려바라건대, 성스럽고자비로운임금님께서 는비록신을무거운법에놓아주시되이때문에늙 은아버지에게화 ( 禍 ) 가미치게하지마시면영원히 천하후세에충신효자들의귀감이될것입니다. 부 - 보기 - [ 다 ] 의화자가유배당한원인이된상소문의일 [31%] 2. [ 가 ] 와 [ 다 ] 의화자가대화를나눈다고할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 가 ] : 저는제뜻을충분히펴지못했던지난날의삶 이보잘것없다고생각해요. 2 [ 다 ] : 자신이한일에정당한이유가있었다면보잘것 없는과거라도초라하지만은않을텐데요. 3 [ 가 ] : 이유야어떻든이제는지난날에연연하지않고 열렬히살려고합니다. 4 [ 다 ] : 그래요. 앞으로우리인생이힘들더라도지금 품은뜻은잃지맙시다. 5 [ 가 ] : 네. 굳게살다보면당신처럼삶을굴곡지게하 는외부적조건을없앨수있겠지요. 1 제1수에는아버지의염려에도불구하고상소문을올리게된화자의성품이나타나있군. 2 제2수에는무거운법을감수하더라도상소를올리는이유가나타나있군. 3 제3수에는유배를당했어도임금의안녕을기원하는신하로서의마음이드러나있군. 4 제4수에는아들을걱정하던아버지를유배지에서그리워하는아들의심정이드러나있군. 5 제5수에는충과효를모두중시하는화자의생각이충과효를동일시하는모습으로나타나있군. - 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