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¹é¹üȸº¸ 24È£ Ãâ·Â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지도학발달06-7/8/9장

01¸é¼öÁ¤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¼øâÁö¿ª°úÇÐÀÚ¿ø

allinpdf.com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120330(00)(1~4).indd

11+12¿ùÈ£-ÃÖÁ¾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단양군지

5 291


120~151역사지도서3

DocHdl2OnPREPRESStmpTarget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0001³»Áö

1. 경영대학

º»ÀÛ¾÷-1

슬라이드 1

2003report hwp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레이아웃 1

차 례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7단원 1(252~269)교

ITFGc03ÖÁ¾š

....pdf..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제 2 기 (2011 년 ~2014 년 ) 지역사회복지계획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2ÀåÀÛ¾÷

DBPIA-NURIMEDIA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hwp

2016년 신호등 1월호 내지(1219).indd

개회사 축 사

쌍백합23호3

152*220

untitled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DBPIA-NURIMEDIA

±³À°È°µ¿Áö

274 한국문화 73

- 2 -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제7조 ( 응시자격 ) 다음의요건을갖추고지도교수의추천을받은자는자격시험에응시할수있다. 1. 외국어시험은 1학기이상수학한자 2. 종합시험은 3학기이상수학하고 18학점이상취득자제8조 ( 시험과목 ) 1 외국어시험과목은영어로한다. 2 종합시험의전공과목은 3과목으로한다. 제9조

2014 년 5 월 16 일 부천시보 제 1044 호 부천시공유재산관리조례일부개정조례 참좋아! 햇살같은부천에별같은사람들이있어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 2 -

A 목차

T hwp

1. REACTOR TAP 90% 로변경, 제작공급한사유 - 고객요청사항은 REACTOR 80% 운전기준임. - 삼성테크윈에서사용하는표준 REACTOR 사양은 80%, 75%, 70% 로 STARTER 도면은표준사양으로제출됨. - 동프로젝트용모터사양서 / 성적서확인결과

<322DB3EDB9AE2E687770>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0월추천dvd

ROK-WhitePaper(2000).hwp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01-02Àå_»ç·ÊÁýb74öÁ¤š

untitled

041~084 ¹®È�Çö»óÀбâ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Y Z X Y Z X () () 1. 3

untitled

이 장에서 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을 한다

ÃѼŁ1-ÃÖÁ¾Ãâ·Â¿ë2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국도_34호선(용궁~개포)건설사업_최종출판본.hwp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ad hwp

- 2 -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ok.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 2 -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Transcription: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 강석화 1) 1. 머리말 2. 조선후기육진의군사적상황 1) 6진의지리적조건 2) 지휘체제와군병의구성 3. 파수와봉수체제 1) 두만강변의파수처 2) 봉수체제 4. 북병영행영의운영 5. 맺음말 1. 머리말 함경도는백두산과개마고원을비롯한험준한산악과고원지대가많으며해안을따라협로가이어질뿐도로가발달하지못하여교통이극히불편한지역이다. 마천령산맥을기준으로남관과북관으로크게구분되며, 남관은咸興에서端川까지의해안지역과개마고원일대의고원산악지역으로나뉘어지고, 북관은무산령북쪽에있는두만강변慶興, 慶源, 穩城, 鍾城, 會寧, 富寧 ( 茂山 ) 등육진지역과鏡城에서吉州까지의해안지대로구분된다. 조선은건국직후부터적극적인북진과영토확장정책을추진하여태조 7년 (1398) 에경성과경원 ( 경흥지역 ) 에거점을세웠다. 이지역에거주하던여진인들의반발과침공으로일시적으로읍치를남쪽에옮기고방어선을후퇴시키기도하였으나세종대에대대적인군사작전을감행하여두만강중하류연변과내륙지역을수복하였으며이때장악한영역은이후조선의영토로확고 * 이논문은 2003 년한국학술진흥재단의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KRF-2003-072 -AS1001)

298 韓國文化 36 하게자리잡았다. 두만강연변에방어거점을세운후에는축성사업을꾸준히전개하고병력을충원하여방어태세를갖추었고사민정책을추진하여지역사정을안정시켰다. 물리적으로구축된여진인들이나조선에복속한番胡들이침입하여주민들을약탈하는사건이여러차례발생하였고선조 16년 (1583) 에일어난尼蕩介의난과같은대규모침공사건도있었으나모두격퇴하였고영토적손실이나치소및주민을철수시키는등의조치는없었다. 조선후기에는이미확보된영역을지킬뿐아니라후금건국과명멸망과정에서여진인들이이동한기회를이용하여백두산동쪽두만강상류지역에무산부를세워압록강과두만강전역을완전히지배할수있게되었다. 조선시대에확보한대표적인영토인육진지역에대한기존연구성과를보면전기의경우개척과정과사민정책, 초기의기본적인방어체계, 봉수및파발로정비등에관한업적이많다. 1) 1) 이에비해후기의사정을다룬연구는대부분함경도전반의지역개발과영토의식의변화, 사회경제적여건의변화, 대청무역, 범월문제등에집중되어있고, 2) 2) 두만강변방어체제에대한소략한논문 3) 이 3) 있을뿐육진지역에대한본격연구성과는없는실정이다. 병자호란이 1) 조선전기육진지역에대한대표적인연구성과는다음과같다. 강영철, 1981 朝鮮初期의軍事道路 ( 국사편찬위원회편, 韓國史論 7) 송병기, 1981 東北, 西北界의수복 ( 국사편찬위원회편한국사 9) 이경식, 1992 조선초기의북방개척과농업개발 역사교육 52. 오종록, 1992 朝鮮初期兩界의軍士制度와國防體制,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 柳承宙, 1970 朝鮮後期對淸貿易의展開過程 17.8 世紀赴燕譯官의貿易活動을中心으로 백산학보 8. 金慧子, 1982 朝鮮後期北邊越境問題硏究 梨大史苑 18 19 합. 김종원, 1983 朝淸交涉史硏究 - 貿易關係를중심으로, 서강대학문학박사학위논문. 柳承宙, 1991 朝鮮後期朝 淸貿易小考 국사관논총 30. 강석화, 2001 조선후기함경도와북방영토의식경세원. 고승희, 2003 조선후기함경도상업연구, 국학자료원. 강석화, 2003 1812 년함경도암행어사의활동 인하사학 10. 3) 조선후기두만강변방어체제에대한선구적논문으로차용걸, 1980 양강지대의관방체제연구시론 ( 군사 창간호 ) 을들수있다. 이논문은萬機要覽의기사를중심으로강변읍진과파수및봉수체제에대해간략히정리하여제시한것이다.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299 후국제정세가안정되고침공위험성이줄어드는추세였으므로이러한경향은당연한것이라할수있다. 그러나육진은여전히북변의최일선이었으며방어에필요한제도및시설은꾸준히정비, 운영되었다. 그러므로조선후기국방체제를이해하기위해서는이지역방어체제의실상을먼저정리해야한다. 본연구에서는조선후기두만강연변육진의방위체제에대해서각읍진의지리적조건과군사제도, 파수및경보전달체제, 종성에있던북병영행영의운영으로나누어서술하였다. 육진지역의사회경제적상황과국제정세의변동에따라변화한두만강대안지역의사정을충분히확인하지못하고군사적요인에대해서만설명하였으나지역사정을종합적으로이해하는데필요한하나의단서가되기를바란다. 2. 조선후기육진의군사적상황 1) 6 진의지리적조건 두만강변의 6진은두만강하구에서부터거슬러올라가면서나열된경흥, 경원, 온성, 종성, 회령과회령에서경성의북병영으로이어지는경로에있는부령이다. 조선은건국직후부터이지역의여진인들을구축하고태조 7년 (1398) 에鏡城에만호진을설치하였으며두만강하구에는慶源府를두어군사행동의거점을마련하였다. 태종대에여진인들의반격을받아경원부를일단경성으로후퇴시켰으나세종대에다시대대적인군사작전을전개하여이곳을회복하고중요지점에읍치를세워통치기반을공고히하였다. 함경도북부지역의해안지대는단애가이어져해변도로가발달하지않았으므로두만강하류에서상류로진출하지못하고무산령을넘어두만강변에이른후강을따라하구까지도달하는경로를취하였으며이길은이후이지역의가장중요한교통로가되었다. 세종 10년 (1428) 에두만강하구의경원을수복하였고세종 15년 (1433) 에두만강중류연변에會寧을세웠으며세종 16년 (1434) 에는경원과회령을연

300 韓國文化 36 결하기위하여鍾城鎭 ( 현행영지역 ) 으로진출하였다. 이어경원을북쪽으로옮겨두만강중류의거점으로삼고이지역에는慶興을세웠다. 이와같이강변의중요거점을확보한후세종 22년 (1440) 에최북단에穩城을설치하고종성을강변으로옮겨경원과회령사이의간격을메웠으며세종 31년 (1449) 에무산령남쪽의부령을도호부로승격시켜두만강변의 6진체제를완성하였다. 4)4) 조선후기에는누르하치가後金을세우고번호들을이끌어가면서백두산동남쪽두만강상류지역인회령서부, 부령북서부지역에세력공백이생기자숙종 10년 (1684) 에무산부를세웠다. 이로써하구에서최상류까지두만강변을완전히장악하였으며내지의부령대신무산이강변 6진의하나가되었다. 5)5) 1 경흥두만강하구의여진인들을구축하고세운경흥은대안인野春 ( 也春 ) 지역에거주하는여진인감시가주임무였다. 해안을따라접근로가발달하지않아경원을거치거나험준한고개길을통해서만갈수있는가장외진곳에있는군사거점이었다. 경흥소속진보로는하구의바닷가에서거슬러올라가면서서수라, 조산, 무이, 아오지가있었다. 수군만호가배치된서수라보는뱃길을따라침입할가능성이있는海狼賊을대비하기위한것이었으며, 하구의조산보는녹둔도까지관할하였다. 6) 6) 아오지보는경흥과경원, 종성의북병영행영을잇는요충지방비를담당하였다. 2 경원두만강중하류에있으며대안에있는厚春 ( 琿春 ) 일대의번호를장악하고 4) 김구진 이현숙, 1999 制勝方略의북방방어체제 국역제승방략, 세종대왕기념사업회, 67-69 면. 5) 영조 11 년 (1735) 부터무산이육진의하나가되고부령이제외되었으며종래에육진 무산 삼갑이라칭하던방식이바뀌어육진 부령 삼갑으로부르게되었다 ( 비변사등록 98 책, 영조 11 년 8 월 23 일 ). 6) 녹둔도는선조대에둔전을설치하였다가선조 20 년 (1587) 가을에여진인들의습격을받아많은인명피해를내게되자철수하였다. 이에대한보복으로선조 21 년 (1588) 1 월에함경북도지역의병력 2 천 7 백여명을동원하여두만강을건너여진인들의근거지를공격하여 2 백여채의가옥을소각하고 383 명을참하는전과를올렸다 ( 김구진 이현숙, 앞논문, 80-81 면 ).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01 통제하는거점이었다. 하구의경흥과중류의온성사이에있으면서양쪽을지원하였고종성으로직접통하는길과安原堡를거쳐서行營으로통하는길이있었다. 경원의대안지역은거주하는번호가많고강폭이좁아침범가능성이높았으므로아산, 건원, 동림, 안원, 훈융진을두어강변감시를강화하였다. 개척초기부터번호들과공식교역이이루어지는무역소가개설되어있었으며조선후기에는 2년에 1회開市가열리는장소였다. 3 온성두만강중류지역을담당하는최북단에설치된읍이다. 남쪽에서북쪽으로흐르던두만강이동류하다가다시남쪽으로꺾이는돌출부에있다. 상류쪽의종성과하류의경원을서로연결하는길이있고육진의방어중심지인행영까지의봉수로는확보되어있었으나지형이험준하여도로가발달할수없어행영에서온성에이르기위해서는안원보와경원부를거쳐야만했으므로통행이편리한곳은아니었다. 얕은여울이많아번호가쉽게침입할수있어황척파, 미전, 유원, 영달등 4진보를강변에설치하여방어하였고세종대에는두만강변을따라회령에서경원훈융진까지행성을쌓았다. 4 종성두만강변에서내지로이어지는강변의요새인회령과최북단의방어거점인온성을잇는경로에위치하고있다. 처음설치된곳은내륙이었으나적로요해지를방비하기위하여강변으로이설되었다. 7) 7) 소속진보인동관진과방원보, 세천보도모두강변에있다. 종성에는북병사의행영도있었다. 이곳은원래종성의치소가있었으며회령과종성, 온성, 경원, 경흥과연결되는요충지였고두만강하구의서수라까지직접통하는길도있어강변어느지역이라도신속한병력의이동과지원이가능한곳이었다. 8) 8) 7) 세종실록권 155, 지리지함길도 종성도호부 8) 강영철, 앞논문, 375-376 면.

302 韓國文化 36 5 회령두만강상류의회령은조선시대내내강변방어의가장중요한거점이었다. 두만강이안쪽으로굽어들어대안의물길과도로가모이고풍산천 ( 회령천 ) 을따라내륙으로통하는길도있다. 경성으로이어지는경로의초입이며종성의행영까지닿는길도있는교통의요충이었다. 중류의종성내지의행영, 상류의무산과더불어두만강방비의중요거점으로인식되었으며강변에는고령진과볼하진을두어방비를강화하였다. 두만강도섭이편리하고양쪽으로오가기에편리한교통의요지였으므로세조 6년 (1460) 에여진인들을토벌하는征討軍이나 9) 9) 효종때 10) 羅禪征伐軍 10) 등원정군의출발지였으며, 조선후기에는매년개시가열리는무역의거점이었다. 6 부령두만강변에서회령을지나북병영이있는경성으로통하는도로를방비하는내륙의방어거점이었다. 무산령북쪽에양영만동과옥련보, 남쪽에무산진을두었다. 조선후기에소속진이었던무산이강변으로이동하고도호부로승격되었을때일부구역의토지와주민들을할속시키게되어그위상이나읍세가상대적으로위축되었다. 그러나경성으로이어지는무산령방비의거점으로서여전히중시되었다. 7 무산조선전기에는부령소속으로백두산동남쪽에서경성으로이어지는길목을방어하는진이었다. 조선후기에번호들이철수하여이지역이세력공백상태가되자현종 15년 (1674) 에두만강변으로위치를옮겼고숙종 10년 (1684) 에도호부로승격되었다. 강변방비를위해역시내지에서옮긴풍산보와양영만동보를소속진보로관할하였다. 신설초기에는각종국역부담이다른지역에비해가볍고개간이가능한지역이많아인근지역에서인구가집중되어빠르게읍세가성장하였으며, 부령을대신하여육진의하나가되었다. 9) 윗논문, 378 면 10) 비변사등록 17 책, 효종 5 년 2 월 22 일.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03 < 그림 1> 함경도육진의위치및주요도로 북관지역방어의중심지인경성에서두만강변의육진에이르는길은크게세갈래가있었다. 11) 11) 경성에서부령의무산령을거쳐회령과종성을지나온성, 경원, 경흥에이르는길이가장대표적인경로였다. 두번째경로는경성에서차유령을넘어서무산에이르는길이다. 조선초기에는거의이용되지않다가무산이두만강변으로진출하고방어거점으로성장하면서중요시되었다. 해안선을따라경흥에이르는길도있었다. 이길은경성에서경흥까지의노선중가장짧은길이었으나지형이험하고상주인구가거의없는지역이었으므로거의이용되지못하였다. 영조대에해안에交濟倉이설치되고해안에거주하는인구가늘어나면서통행량이증가하였고정조초에는가장첩로로인정될정도로발달하였다. 12)12) 세길가운데공인된관로는경성에서무산령을거쳐두만강변에이르는첫번째길이었다. 외적의침공이있을경우두만강하류의경흥에서부터회령까지거슬러오는것이아니며강변어느읍에서나초전이벌어질가능성 11) 비변사등록 43 책, 숙종 15 년 10 월 6 일. 12) 정조실록권 6, 정조 2 년 11 월 27 일계축.

304 韓國文化 36 이있었다. 소규모침공일경우인근읍진에서상호지원이이루어지도록하였으나규모가클경우경성의북병영본영에서신속히지원군을보내기는사실상불가능하였다. 그럼에도불구하고이길을주로이용하였던것은해안지역을통해두만강하구에이르는길과산간지대를거쳐강변각읍에이르는길이발달하지못하였기때문이다. 종성에북병영의행영을두고침공가능성이높은시기에북병사가이주하도록한조치는방어의문제점을최대한보완하려는것이었다. 육진가운데부령을제외하고두만강변에치소를둔 5진에서는城池와각종수성시설은물론읍진의기반유지및보수가중요한과제였다. 두만강은강폭이넓지않고유역이발달하지않아폭우가내릴경우급류를이루며자주범람하였으며수량과흐름에따라하구의퇴적지위치가바뀌고공격사면과퇴적사면도자주변하였다. 이때문에강변의읍은수해가잦았으며파수처나진은물론관아건물이무너지거나읍치전체가수몰되는경우도많았다. 수해의피해가가장컸던곳은두만강하구에있는경흥이었다. 海狼賊과대안지역번호경계를위해강변에설치되었던경흥은현종 13) 1년 (1660) 에 13) 내지에있는아오지와읍기를서로바꾸어옮겼으나영조 2년 (1726) 에다시서로읍기를바꾸었고 14) 14) 순조34년 (1834) 에는무이보와터전을맞바꾸었다. 15) 15) 철종 10년 (1859) 에는경흥의읍기를다시옛터로옮겼다. 16) 16) 모두수재때문이었다. 두만강중 상류지역인경원과온성, 종성, 회령의중요한사업은두만강의범람과공격사면의붕괴를방지하기위한치수공사였다. 수해로방축이무너져복구하거나붕괴가능성에대비한공사가있을경우해당읍뿐아니라주변지역에서도주민들을동원하여신속히진행하였으며 17) 17) 식목사업을꾸준히실행하여둑을유지하려하였다. 18) 18) 식목사업은범월방지를위한조치이기 13) 비변사등록 20 책, 현종 1 년 2 월 17 일. 14) 비변사등록 79 책, 영조 2 년 4 월 7 일. 15) 비변사등록 222 책, 순조 34 년 1 월 11 일. 16) 비변사등록 246 책, 철종 10 년 8 월 28 일. 17) 비변사등록 146 책영조 40 년 12 월 11 일 ; 160 책정조 3 년 11 월 24 일 ; 161 책정조 4 년 3 월 6 일 ; 4 월 30 일 ; 9 월 9 일. 18) 정조실록권 12, 정조 5 년 12 월 24 일임진.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05 도했다. 경흥과경원등지의조선쪽산들은민둥산이되어땔감을얻기어려웠던주민들이두만강을월강하는사례가많았기때문이었다. 19) 19) 그러나이러한치수사업이모두효과를거둔것은아니었다. 영조와정조대에대대적인방축공사를시행하였던회령부근의둑은철종대에무너져다시공사를해야만했고, 20) 20) 여러차례심은나무가제대로성장하기전에남벌하는일도많았던것이다. 21) 21) 수해가잦은두만강변의읍치를유지하고치수사업을지속적으로실행하는것은쉬운일이아니었다. 그러나자연재해때문에읍치나진보를철수시키거나내륙으로완전히옮기는조치는없었다. 두만강변의읍치와진보는경계와방어의최전선이었으므로이를유지하려는최소한의노력은계속되었던 22) 것이다. 22) 2) 지휘체제와군병의구성 16세기후반부터만주의누르하치가세력을키워후금을세우고요동을장악하게되면서무력충돌의가능성이높아지자조선은침공에대비한방책을강구해야했다. 그러나지역적으로는상황이달라전면전이벌어질경우침공가능성이가장높은곳은평안도서부의의주와창성지역으로예측되었으며실제정묘 병자란시청군의주공로역시이방향이었다. 여진의중심세력이심양방향으로이동하면서두만강연변에거주하던번호들을데려갔으므로함경도육진에대한위협은오히려감소하였다. 23) 23) 충돌이일어나더라도육진지역은성지가견고하고수성장비도충분하므로어려움 19) 鄭允容, 北路紀略부록 邊禁條 20) 비변사등록 248 책, 철종 12 년 4 월 25 일. 21) 비변사등록 205 책, 순조 16 년윤 6 월 16 일. 22) 두만강변의읍치는군사적방어거점이었을뿐아니라교역의중심지로서지역주민은물론대안지역에거주하는청인들의중요한생활터전이기도하였다. 거듭된수해에도불구하고강변에읍치를유지한것은이같은이유가있었기때문이다. 외침의가능성이줄어든조선후기강변읍진의위상과역할에대해서는경제적여건의변화에주목하는다른관점에서의접근이필요하다. 23) 광해군일기권 63, 광해 5 년 2 월 30 일.

306 韓國文化 36 이없을것으로예상하였다. 女人이지킨다해도남방과는다를 24) 것 24) 이라는장담은방비에대한자신감의반영이었다. 그러나누르하치의부족이이전에조선에복속해있던번호들을포섭하는과정에서여진인들끼리서로약탈하거나납치, 살해하는등충돌이잦아 25) 25) 경계를게을리할수없었다. 번호들이이주함에따라두만강대안지역의사정에대한정보를수집하기도어려웠다. 26) 26) 광해군 10년 (1618) 에명의요청으로파견한助明軍이深河전투에서패배한이후후금의보복공격에대한대비책도강구되어야했다. 27)27) 인조반정후친명정책을공개적으로내세운조선은후금의침공에대비한수비책을더욱강구해야만했고예상침공로인평안도지역방비를강화하였다. 함경도지역역시사소한충돌이나상호범월을차단하여침공의빌미를주지않으려했다. 이때문에두만강을넘어가사냥하다가인축을약탈당한柔遠鎭첨사를사형에처하기도하였다. 28)28) 인조초함경도지역의정세를동요시킨것은후금이아니라평안도철산의가도에머물고있던明毛文龍의군대였다. 모문룡이함흥을거쳐회령과경흥으로진출하여두만강대안지역의여진인들을공격할예정이라고조선에통보하였기때문에충돌가능성이높아졌고이들을만류하고접제하는일이큰문제였던것이다. 29) 29) 결국모문룡군은별다른군사행동없이함경도지역에민폐만끼치고철수하였다. 30)30) 인조 5년 (1627) 에정묘호란을겪었으나후금군의주공로가아니었던함경도는별다른손실을입지않았으며육진의방비에대한신뢰는여전히유지되었다. 강변의육진이나북관의방어거점인경성모두성지가견고하여방어가가능하다는평가를받았으며외침에대비한직로방비가더욱강조되었다. 31) 31) 방어시설점검은지속적으로실시되어인조 8년 (1630) 에도경성의성벽 24) 광해군일기권 35, 광해 2 년 11 월 18 일기미. 25) 광해군일기권 78, 광해군 6 년 5 월 16 일. 26) 광해군일기권 118, 광해 9 년 8 월 29 일신유 ( 비변사등록 1 책, 광해군 9 년 9 월 1 일 ). 27) 비변사등록 1 책, 광해 10 년 5 월 25 일. 28) 인조실록권 8, 인조 3 년 2 월 24 일계묘. 29) 인조실록권 5, 인조 2 년 4 월 16 일기해. 30) 인조실록권 6, 인조 2 년 6 월 8 일경인.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07 내부보강공사를시행하고식량을비축하였으며 32) 32) 안찰사를별도로보내육진의방비태세를확인하였다. 33)33) 인조 14년 (1636) 의병자호란이후육진지역의사정은크게바뀌었다. 전란의직접적인피해는거의없었으나정묘호란후시작된회령개시와경원개시가제도적으로자리잡아주민들의경제적부담이커졌고두만강대안지역厚春과也春에거주하는여진인의수가늘어변방의불안요인이되었다. 청이병력확보를위해강제로이송시켰던부족이나끝까지복속하지않았던종족가운데명멸망후후춘과야춘의원근거지로귀환하는인원이많아져 34) 34) 육진에서는이들을구호하는일까지떠맡게되었다. 35) 35) 개시를통해이들에게필요한물자를공급해야만했고후춘의여진인들은정기적으로경원부에미곡과물품을요구하였다. 36) 36) 이때문에함경도북부지역에기근이들어사정이너무긴급하므로구호양곡을지원해달라고먼저청에요청하여후춘지역을구제하라는요구를미리차단하자는제안까지나올지경이었다. 37) 37) 청정부의관심에서벗어난이들이육진지역을침범할가능성도 38) 있어 38) 회령이북지역의경계가강화되기도하였다. 39) 39) 그러나실제침공가능성이크다고생각하지는않았던것으로보인다. 두만강변의각읍진의주민들은규정상전시에대비하여동절기에는성안에서거주하고나머지계절에는들에서농사를짓다가유사시에성에들어가도록되어있었다. 하지만조선후기에는평소성안에거주하던주민들도성밖으로이주하는형편이었다. 이들을원규정대로성안에불러들이자는제안이있었으나실행되지는않았다. 대규모침공은물론, 무력충돌의가능성자체를그만큼낮게평가한것이다. 40)40) 31) 인조실록권 16, 인조 5 년 7 월 11 일을해 ; 권 19, 인조 6 년 8 월 18 일병오. 32) 인조실록권 22, 인조 8 년 4 월 9 일무오. 33) 인조실록권 23, 인조 8 년 9 월 16 일임진. 34) 인조실록권 40, 인조 18 년 2 월 5 일병진 ; 2 월 12 일계해. 35) 비변사등록 1 책, 인조 22 년 12 월 27 일. 36) 인조실록권 46, 인조 23 년 8 월 11 일경인 ; 권 49, 인조 26 년 8 월 9 일신축. 37) 비변사등록 13 책, 효종원년 10 월 20 일. 38) 효종실록권 5, 효종원년 10 월 20 일을사 ; 권 9, 효종 3 년 8 월 13 일임자 ; 권 12, 효종 5 년 4 월 10 일기사. 39) 현종실록권 10, 현종 6 년 5 월 21 일병오. 40) 효종실록권 12, 효종 5 년 4 월 10 일기사.

308 韓國文化 36 숙종 38년 (1712) 의백두산정계이후에는보다적극적으로두만강과압록강이남지역의강역을확보하려는정책을견지하였다. 두만강대안지역에호인들이강변에집을짓고개간하는것을관측하면반드시청조정에통보하여강제로철거시키고파수를강화하여상호접촉이나범월가능성을미리차단하였다. 41) 41) 또육진지역보다는백두산서쪽의황초령방비의중요성이논의되는등변방방위의초점도서쪽으로이동하였다. 압록강을건너장진강을따라내륙으로침공하여황초령을넘으면곧바로함흥을함락시킬수있었기때문이다. 42) 42) 내륙에장진부를세우고압록강상류지역에는후주부를설치한것은방비를강화하고강변지역을철저히장악하려는정책의일환이었다. 변경지역의정세변화와아울러육진의군제도변하였다. 임란이후전국적으로五衛制가폐지되고束伍軍制가시행되었으나이지역에는큰변화가없이두제도가중첩되어있었으며인조대에營將制가전면적으로시행되었으나 43) 43) 44)44) 곧폐지되고숙종초에는오위제가복구되었다. 오위제를다시실시하게된까닭은영장제하에서는병력지휘권을영장이가지므로지휘권이없는수령이나변장이평상시에군사들을관리할수없었고유사시신속하게대응하기어려웠기때문이었다. 호인들의침입을방어하기위해 6진의읍과진이강변을따라나열되어있었고어느한곳이라도외 41) 숙종실록권 55, 숙종 40 년 8 월 8 일정축 ; 권 56, 41 년 7 월 1 일갑오. 이때오라와영고탑의호인들이경원건너편의厚春과경흥대안의瑟海에옮겨올우려가있으나금령때문에거주를못하고있는상황이었다고한다. 42) 정조실록권 34, 정조 16 년윤 4 월 24 일임진. 43) 두만강변 6 진지역의영장제가구체적으로어떤방식으로실시되었는지명확히알수는없다. 인조 9 년 (1631) 에함경감사李安訥이북관지역은영장을별도로두기어려우니경성길주명천 3 읍수령중하나를겸영장으로삼자고제안한것으로보아북관지역의영장제는애초부터겸영장제로시행되었으며이러한사정은 6 진지역의경우에도마찬가지였던것으로보인다 ( 인조실록권 25, 인조 9 년 10 월 6 일병오 ). 영장제시행시기역시명확하지않다. 북병사金汝水의건의로북관지역의군병과출신, 무학및속오군을모두영장에게소속시켰다고하는데 ( 증보문헌비고권 119 병고 11, 주군병함경도 ) 그는인조 22 년 (1644) 에북병사에제수되었으므로 ( 인조실록권 45, 인조 22 년 12 월 26 일경진 ) 북관지역에영장제가본격적으로시행된것은그이후의일이다. 44) 비변사등록 34 책, 숙종 4 년 5 월 1 일 ; 9 월 9 일 ; 11 월 4 일 ; 38 책, 숙종 10 년 10 월 9 일.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09 침을받을경우상호지원하도록규정되어있었는데 45) 45) 영장제시행이후이러한작전이불가능해졌던것이다. 숙종 4년 (1678) 에오위제를다시시행하기로정하였으나 46) 46) 규정이제대로정비되지않았고숙종 17년 (1691) 에가서야복설절목이집행될수있었다. 47)47) 조선후기함경도의군제는남관은영장제, 북관은오위제에의거하여편제되었으며남관은전영 ( 홍원 ) 좌영 ( 갑산 ) 중영 ( 영흥 ) 별중영 ( 단천 ) 우영 ( 삼수 ) 후영 ( 덕원 ) 등 6영이있었다. 북관 10읍은남위와북위각각오위씩나누어남위는전위 ( 부령 ) 좌위 ( 경성 ) 중위 ( 무산 ) 우위 ( 명천 ) 후위 ( 길주 ) 로, 북위는전위 ( 회령 ) 좌위 ( 종성 ) 중위 ( 온성 ) 우위 ( 경원 ) 후위 ( 경흥 ) 로정리되었다. 48) 48) 두만강변의각읍과진은독자적으로방어구역을책임지며유사시인접지역을지원하는독진체제로운영되었다. 49)49) 육진지역은지리적여건상강변을따라각읍과진이나열되어있고이들을연결하는도로가개설되어있어어느한곳을방어거점으로설정하기곤란하였으며읍과진단위로전투를치르거나소속진보를지원하는체제를취하는것이더효율적이었다. 대규모침공이예상되지않았고무력충돌이나침범사건이일어나더라도규모가작아지역별로충분히막아낼수있을것으로기대되었기때문이다. 군제의변화와함께육진각읍과진 보에배치된兵種역시여러차례바뀌었다. 선조 21년 (1588) 에북병사李鎰이편집하여간행한制勝方略에는 6진각읍의군사를출신지역에따라土兵과赴防軍으로만구분하여기록하였다. 그러나현종 3년 (1662) 에李端夏가처음펴낸北關誌에는각읍의군사로有廳軍, 武學, 甲士, 騎兵, 步兵, 烽軍등조선전기의병종은물론속오군과衛軍이함께보이며영조대에편찬된海東地圖에도여전히속오군이있었다. 병자란이후남방군사들의부방이면제되고군사훈련자체가정지되면 45) 제승방략각보의 敵路相距條 와 追擊處 邀擊處相距條 에는외적의예상접근로와협동방어지점등이상세히기록되어있다. 46) 비변사등록 34 책, 숙종 4 년 11 월 4 일. 47) 비변사등록 45 책, 숙종 17 년 12 월 24 일. 48) 속대전권 4 병전 외관직 49) 온성미전진과유원아산진은영조 2 년에독진이되었다 ( 비변사등록 79 책영조 2 년 4 월 8 일 ).

310 韓國文化 36 서납포군으로바뀌는사례가많았기때문이었다. < 그림 2> 함경도북관의오위제 이에영조 23년 (1747) 에함경감사이종성은오위와속오군을모두혁파하고마병과보병으로만구분하고조련을강화하자고제안하였다. 50) 50) 그의주장이그대로수용된것은아니었으나이후편찬된輿地圖書에는속오군이나타나지않는것으로보아각읍소재군병이소속과병종별로재정리된것으 50) 영조실록권 65, 영조 23 년 7 월 3 일신묘.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11 로보인다. 여지도서를기준으로보면각읍에는읍의수비를담당하는守城軍 ( 城操軍 ) 과야전및인근지역지원전투에동원되는衛軍 ( 場操軍 ), 북병영및행영에속한兵營屬軍, 봉수를전담하는烽燧軍등네가지병종이있었다 (< 표 1> 여지도서두만강변각읍의군병총수참조 ). < 표 1> 여지도서두만강변각읍의군병총수 * 구분 경흥 경원 온성 종성 회령 부령 무산 합계 장조군 662 1,149 1,210 3,021 위군속 952 1,092 778 680 ( 부속 ) ( 위군 ) 3,502 수성군 1,663 3,194 1,653 3,359 2,415 1,133 ( 수성속 ) ( 성정 ) 2,174 15,591 병영속군 637 1,450 382 411 ( 행본영소속 ( 병영속 ) 및친기위 ) 2,880 봉수속 120 220 620 186 ( 봉무사 ) ( 봉무사 ) 1,146 군병 3,372 26,150 2,325 4,343 4,569 5,577 2,508 3,456 총수 (3,362**) (26,140) 호수 1,973 3,222 1.985 4,628 5,596 1,838 3,428 22,670 구수 11,102 19,283 남 5,404 남 9.353 여 5,698 여 9.930 9,817 남 4,377 여 5,440 22,115 남 10,588 여 11,527 24,074 남 11,616 여 12,458 10,371 남 5,192 여 5,179 22,095 남 11,113 여 10.982 118,957 남 57,643 여 61,214 * 북관의 6 진은경흥에서부령까지두만강변에설치된 6 읍을가리키는것이었으나숙종 10 년 (1684) 에무산부가신설된이후부령은내지읍이되었으며무산의읍세가커지자영조 11 년 (1735) 이후로부령대신무산이 6 진의하나가되었다. 이러한변화가있으나부령과무산모두강변방위를담당하는읍이었으므로본논문에서는두읍의군액을함께기록하였다. ** 온성부의경우여지도서본문에는군병총수가 3,372 명이라기록되어있으나각병종의총합은 3,362 명이므로이를병기하였다. 읍마다모든병종이공통적으로나타나는것은아니며경흥과경원, 종성의경우는장조군과수성군으로만구별되어있다. 이지역은호인들의침공가능성이높아모든병력을수성과야전에만동원하였기때문에병영에직속된군병이없었던것으로볼수도있으나봉수소속군액도전혀기재되어있지

312 韓國文化 36 않은것으로보아이는기록상오류나누락으로추정된다. 온성, 회령, 부령, 무산은장조군이보이지않고위군만있으나이들의역할이바로장조군에해당되는것으로보인다. 성정군은읍별로편차가있으나전체병력가운데 60% 에달하지만유사시에는幼學이나閑品人등도모두지정위치에동원되는이지역의읍성수비체제로미루어볼때상비병력으로서의의미는없었던것으로보인다. 그러나야전군보다는수성군의비중이높아져가는추세였음은알수있다. 실제조련역시장조를폐지하고성조만시행하는경우가많았다. 51) 51) 이는전면전가능성이낮아지고호인들과의무력충돌에대한우려역시줄어들면서나타난자연스러운변화였다. 함경도북관의두만강연변은기근이잦고수해가잇달아조선초기부터강제사민을통해인구를채워야할정도로주거환경이열악한곳이었다. 이때문에일찍부터함경남도와경성, 길주, 명천등타지역과남도의무과급제자들을부방군으로배치하여부족한병력을보충하였다. 52) 52) 부방군은근무기간동안필요한의식물품을스스로준비해야했기때문에군사력유지에보탬이되었을뿐아니라이들을통해외부의물자가유입되고번호들이판매하는가죽이나인삼등을매입하기위한상인들도많이출입하였으므로지역주민들은생계유지에많은도움을받았다. 그러나병자호란이후에는군병들의부담을줄이기위해부방이중지되고행상도금지되어육진의경제적인곤란은더욱심해졌다. 53) 53) 개시가열리면서경제적부담이가중된것역시인구유망의원인이되었다. 정부에서는우선全家徙邊에해당하는죄인은육진에만정배하도록하였고 54) 54) 이지역에이주한평안도주민들의쇄환을금지하는등이지역의인구를유지하기위한다양한대책을강구하였으나실효를거두기는어려웠다. 55)55) 인구가부족한상황에서병역자원을확보하는것은더곤란하였다. 조정에 51) 비변사등록 117 책, 영조 23 년 9 월 23 일. 52) 비변사등록 1 책, 인조 16 년 10 월 13 일. 53) 비변사등록 13 책, 효종원년 12 월 6 일. 54) 현종실록권 10, 현종 6 년 8 월 16 일기사. 55) 현종실록권 11, 현종 6 년 10 월 4 일병진.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13 서는부족한양정을보충하기위해내수사및각아문의노비들가운데무예실력이우수한이들을면천시켜정군으로삼으려하였고 56) 56) 장기입번이곤란한곳에는내수사노비를면천하여모입시키는조치도취하였다. 57) 57) 두만강변뿐아니라車踰嶺과茂山嶺, 加坡嶺등내지요해처방비병력도부족하였기때문에부근에거주하는僧徒들까지편제시킬계획도있었다. 58) 58) 천민뿐아니라양반에해당하는校生이나武學들도試講하여落講生을군액에충원하려는시도도있었다. 59) 59) 이지역의교생은유사시에는성정군으로동원되는총동원체제였으므로군역이완전히면제된것이아니었음에도부족한병력자원을보충하기위해이러한방안까지거론되었던것이다. 육진소속군병들은대부분각자의방어구역이나강변의파수처에서번갈아근무하였고정기적으로인원점검과조총및활쏘기훈련과試才가부과되었다. 특히인원점검은범월방지를위해 5일마다행해졌으며주민들의경제활동을제약한다는문제점이계속제기되었으나폐지되지않고유지되었다. 집단훈련은주로북병사가행영에입방하는겨울철에이루어졌다. 북병사는매년 10월에壯砲軍과武學을대상으로 3차로나누어 5일씩私操하였고親騎衛와吏奴作隊등에대한훈련도실시하였다. 60) 60) 시재종목가운데騎射의기준은 4,5 中일정도로북관무사의사격실력은뛰어났다. 61) 61) 북병사의행영移駐가마무리될시기인봄에는巡操를행하였는데 62) 62) 낮에는속오군을조련하고밤에는城操를실시하였다. 성조시에는향품과한산이라도명령체계과편제에익숙하여명령을들으면곧창을잡고성에올라자기자리를지킨다고평가되었다. 63) 63) 육진군병의무예수준은전국적으로정평이나있었고방어훈 56) 비변사등록 35 책, 숙종 5 년 3 월 12 일. 57) 비변사등록 141 책, 영조 38 년 3 월 17 일. 58) 영조실록권 70, 영조 25 년 10 월 18 일계사. 함경도북관의승도는이남지역의승려들과는성격이다른집단으로이해된다. 이들은가족을이루고살았으며생활습성등에서불가의승려집단과는전혀다른모습을보인다 ( 鄭元容, 北行隨錄 ). 부령과경성부근에거주하던번호들의후예인것으로추정되지만정확한유래는완벽히밝혀져있지않다. 59) 비변사등록 50 책, 숙종 25 년 6 월 21 일. 60) 비변사등록 140 책, 영조 37 년 12 월 14 일. 61) 비변사등록 176 책, 정조 14 년 3 월 6 일. 62) 비변사등록 119 책, 영조 25 년 1 월 27 일.

314 韓國文化 36 련의수준도인정받고있었던것이다. 3. 파수와봉수체제 1) 두만강변의파수처 조선은여진인들을구축하고두만강연변지역을확보한뒤주민을이주시켜강변지역을개간하였다. 이들의주거를안정시키고생업을보장하기위하여번호들의침입이예상되는경로에요해처를설정하고방어거점으로관리하였다. 읍과진의형세가자리를잡게되자강변을따라경계초소에해당하는守護를두고병력을배치하여번호들의동태를감시하고농민들을보호하였다 (< 표 2> 조선전기 6진의요해처와수호 ). 수호는경흥에서부령까지모두 114 곳이있었으며각수호를담당하는장교는매일 5경에병사들을소집하여군장을점검한후강변일대를순찰하며번호의동태를살펴야했다. 순찰을마친후에도군장을갖춘채수호청에서상주하면서강변을감시하고농민들이일을마치면함께읍이나진으로돌아왔다. 조선전기에는농민들도들에나갈때에는농기구외에병장기를함께소지해야만했다. 64)64) 조선후기에수호대신설치된파수처역시비슷한기능을하였다. 그러나번호들과의충돌위험성이줄어들었기때문에직접침공에대비한경비책임보다는상호범월을감시하는경계임무가더중시되었다. 수호에는농절기주간에만병력이배치되어있었으나파수처는동절기를제외한시기에는주야를가리지않고상설운영되었던것이다. 63) 정조실록권 6, 정조 2 년 11 월 27 일계축. 64) 제승방략제 2 권, 군무 29 조중제 11 조및제 12 조.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15 < 표 2> 조선전기 6 진의요해처와수호 * 읍명요해처진보명수호 경흥 경원 온성 종성 회령 훈융보, 무안보항탄, 오롱초포항탄, 사토탄, 합류탄, 심귀봉탄, 금득탄, 잉읍도, 동림성탄 소동건동, 고성동, 다온동, 미전동, 입암동 보청포동, 동량개동가월변동, 모을고가동, 소고가동, 고라이동, 동관보, 방원보. 운두성, 고산성 ( 險阻處 ) 9 5 7 2 서수라보오갈암 1 조산보 불암, 고봉, 고조산, 하단 4 무이보 여오리, 모대봉, 추도, 쇄봉, 마전도, 중봉, 주모단 7 본부 소지석, 대지석, 중평, 구신포하, 포항, 굴함 ( 다롱포 ), 군보, 가린단해망, 노구산 9 망해 아오지보 여오리, 중봉, 백안 3 아산보유간동, 최빙준도, 아라두도, 요비기 4 건원보 상동구, 중봉, 망모로, 하을금덕 4 안원보 상, 하망, 상망, 하 4 본부 상단, 포항, 중탄, 하탄, 저관망해, 백관망해 7 훈융진 우음기, 건, 고연대, 마전, 박응례전두, 하도, 평후망 7 황척파 경원계, 장성문양직 2 미전진 장성, 합지, 고성, 북장성, 어정 5 본부 부잉색고개해망, 초도해망, 유전탄, 독북탄, 포항 5 유원진 소요항, 맹원봉, 제봉, 수문, 고성 5 영달진 수문, 고시건 2 동관진적동, 망덕탄, 동량포탄, 타내탄 4 본부 속극질탄, 상고탄, 니가대탄, 타수탄, 안동구미봉해망, 임가가미봉해망 6 방원진 신기이, 신기이상단, 신기이하단, 여구량양직 5 세천보 포항동구 1 고령진 용연, 모도회탄, 문가을개탄, 죽보 4 금세동, 이랑개탄, 오지암, 오음회양직, 본부 팔을하수문양직, 탑동동구양직, 가린단해망, 8 해산단해망 볼하진 포항양직, 하, 중, 상 4 풍산 지덕, 우을대, 기우동, 지덕양직, 상동양직 5 양영만동우무개, 안점 2 신영동원, 무산동량동, 목적동 2 부령허수라여이동원, 3 무산보본부청암등대암해망, 서수라해망, 굴포초질동해망 4 옥련보여라암체탐처, 삭토동체탐처 2 계 26 6읍 21진보 114 24 26 19 16 21 8 * 이표는세종실록지리지와제승방략에기록된요해처 ( 회령은험조처 ) 및수호의명칭을정리한것이다.

316 韓國文化 36 < 표 3> 조선후기두만강변의파수처 * 읍명 진보명 조선후기의파수처 서수라보 조산보 수호파수 1 경흥 무이보 대우석파수 1 7 본부 구하파수, 구상파수, 하파수, 상파수 4 아오지보 고성모로파수 1 아산보 하파수, 상파수 2 건원보 하파수, 중파수, 상파수 3 경원 안원보 하파수, 중파수, 상파수 3 15 본부 하파수, 중파수, 상파수 3 훈융진 하파수, 중파수, 세마파수, 지경파수 4 황척파 황척파보파수 1 미전진 고성파수, 송봉파수, 어정파수 3 온성 본부 본부어정파수, 독북파수, 평파수, 직로파수, 본부유전파수, 하탄파수, 중탄파수 7 16 유원진 유전파수, 수문파수, 허제파수 3 영달진 하파수, 상파수 2 동관진 하탄파수, 망호정파수, 상탄파수 3 소암탄파수, 간도탄파수, 이독구미탄파수, 유곡탄파수, 서문외탄파수, 모로동탄파수, 죽기동탄파수, 상고탄파수, 본부 14 종성물지개탄파수, 야지내탄파수, 도적탄파수, 오갈암탄파수, 방원 20 하탄파수, 방원중탄파수 방원진 하탄파수, 중탄파수, 상탄파수 3 세천보 고령진 별은파수, 소금세동파수, 2 회령 본부 대금세동파수, 오음회파수, 오체암파수, 평지평파수 4 9 볼하진 포항파수, 사탄파수, 상수호파수 3 풍산 학사파수 1 무산 양영만동곡강촌파수 1 3 본부임강대 1 합 6읍 19진보 70 * 이표는북관읍지 (1872) 의기사를중심으로정리한것이다. 함경도두만강변의파수처는시기별로증감이있으나 19세기말까지모두 70개내외가유지되었다 (< 표 3> 조선후기두만강변의파수처참조 ). 현재파수처의위치를모두정확히파악할수는없으나경흥무이보의대우석, 온성황척파보, 유원진의유전, 종성동관진망호정, 간도탄, 죽기동탄, 방원진상탄,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17 회령볼하진의포항, 사탄, 상수호, 무산의학사, 곡강촌, 임강대파수등현재에도위치를확인할수있는몇곳을기준으로볼때대부분의파수처는두만강의도섭이가능한지점부근의관측과감시가용이한언덕에있었던것으로보인다. 65)65) 각파수처배치병력은장교 1인, 군사 2인합 3인이기준이었으며 5일씩윤번으로수직하였다. 66) 66) 파수처운영기간은 3월에서 9월까지였다. 동절기에는강변파수처에서월동하기가곤란하였으므로 10월에서이듬해 2월까지는파수를철수하고요지에盜直을두어순찰하였다. 67)67) 파수장졸의임무는두만강대안지역청인들의동향을관측하는것이었다. 청의건국과정에동원되었던후춘과야춘의호인들이병자호란이후원근거지로돌아오는상황, 68) 68) 청인상호간의충돌, 도망한청인의추격과체포에따른소동 69) 69) 등에관한정보를수집하여보고하였다. 대규모침공가능성은거의없었으나대안지역의동향을항상감시하였던것이다. 파수처에서는두만강을통한상호범월을감시하고방지하는역할도담당하였다. 대안지역관측과정보수집을위해서라면감시나조망이용이한곳몇 65) 輿地圖書의각읍별도면과海東地圖, 東輿圖에는각읍과진보의파수처명칭과위치가표기되어있다. 그러나지명이여러차례바뀌어모든파수처의정확한위치를현재사용하는지도에비정하기는불가능하다. 경흥무이보의대우석, 온성황척파보, 유원진의유전, 종성동관진망호정, 간도탄, 죽기동탄, 방원진상탄, 회령볼하진의포항, 사탄, 상수호, 무산의학사, 곡강촌, 임강대파수등의위치는북관읍지를비롯한여러읍지와고지도에나타난지명과강줄기의흐름을중심으로한지형을한국 1:50,000 지형도 ( 조선총독부육지측량부, 1925) 와최근북한 1:50,000 지형도 ( 경인문화사, 1997), 대한민국 1:250,000 지세도 ( 국립지리원, 2000) 등의지도및조선향토대백과 ( 평화문제연구소, 2005) 의항목과비교하여확인한것이다. 조선전기에제작된상세한지도가없고지명의변개가심하여상호대조가거의불가능하므로수호와파수처의위치가어떤관련성을갖는지는정확히확인하지못하였다. 수호는관측은물론접전에도유리한지형에설치되어야했으므로도섭지점가까이낮은곳에있었고, 파수처는양호한시계를확보하기위해상대적으로고지대에있었던것으로추정할수있으나정확한판단이라고자신하기는어렵다. 66) 北關邑誌, 鍾城府邑誌 67) 北關誌, 會寧府 關防條 68) 현종실록권 10, 현종 6 년 5 월 21 일병오. 69) 비변사등록 101 책, 영조 13 년 5 월 23 일.

318 韓國文化 36 군데에만두어도될파수처를강변에조밀하게설치하고상설운영하였던것은이때문이었다. 범월한조선인들이청인들을살해하고물품을약탈하는일도있었고 70) 70) 사냥중청인들에게체포되거나살해되는경우도있었다. 71) 71) 禁令을알고있던청인들이범월인을잡으면뇌물을받고놓아주는일도많았다. 72) 72) 반대로청인들이강을건너오다가적발되는일도잦았다. 73) 73) 범월사건이일어나면파수처의장졸은연대책임을져야했다. 특히파수장의책임이커범월을묵인한혐의를자주받았으며형신을받는도중에사망하는사례도있었다. 74) 74) 범월사건이자주일어난까닭은두만강폭이좁아도섭이용이하고조선초부터지역주민과번호들간에큰어려움이없이왕래와교역이이루어지고있었기때문이다. 강변에거주하는번호는정보전달과물품교역을위해수시로강변의읍과진을출입하였고, 조선후기에후금의세력이확장되면서충돌방지를위해두만강월강을금하였으나 75) 75) 강변의주민들은벌목과사냥을위해여전히왕래하였다. 76) 76) 숙종 11년 (1685) 의후주진범월사건을계기로단속규정이강화되어범월인이적발되면효수하고강변의주민들은 5일에한번씩점고를받아야했다. 이규정은유생도예외가없었고민폐가많기때문에여러차례시정안이제시되었으나 77) 77) 비교적잘지켜졌던것으로평가된다. 78) 78) 그러나범월은여전히자주일어났다. 지역주민들은두만강을건너가땔감을마련하는것을관행으로여겼고자신들의행동은범월이아니라통상적인왕래로생각하였던것이다. 79)79) 파수의역은육진지역주민들이맡아야하는역가운데가장고역이었다. 70) 숙종실록권 22, 숙종 16 년 9 월 11 일무술. 71) 인조실록권 49, 인조 26 년 3 월 6 일신축. 72) 비변사등록 86 책, 영조 5 년 9 월 21 일. 73) 비변사등록 36 책, 숙종 8 년 5 월 15 일 ; 숙종실록숙종 28 년 8 월 5 일갑신. 74) 비변사등록 54 책, 숙종 30 년 7 월 16 일. 75) 인조실록권 25, 인조 9 년 12 월 25 일계사. 76) 인조실록권 45, 인조 22 년 6 월 22 일무진 ; 권 48, 25 년 10 월 9 일신축 ; 권 49, 인조 26 년 3 월 6 일신축. 77) 숙종실록권 34, 숙종 26 년 2 월 10 일을해. 78) 비변사등록 49 책, 숙종 21 년 11 월 3 일 ; 50 책, 숙종 25 년 10 월 1 일. 79) 비변사등록 50 책, 숙종 25 년 6 월 21 일.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계 319 강물이 범람하여 강변에 접근 자체가 불가능할 때를 제외하면 계절을 가리지 않고 주야로 돌아가면서 입번해야 했기 때문이다. 육진의 민인들이 도산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80) 파수근무에 따른 경제적 80)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뿐 아니라 파수 장졸들까지 채삼과 초피 사냥을 위해 수시로 월경하였다. 18세기말에는 월경금지 규정도 유명무실해져 5일마다 실시되는 정기 점검 81)81) 에 빠져도 곤장으로 다스리지 않고 贖蔘을 대신 받는 일까지 있었다. 변읍 의 수령과 변장들도 일상화된 범월행위를 알고도 묵인하는 경향까지 있었고 범월은 더욱 빈번해졌다.82) 82) 19세기 후반에는 러시아가 두만강 대안지역에 세력을 확장하게 되면서 강 변 방비의 상황이 크게 변하였다. 조선은 이들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군비를 강화하였으며 기존 파수병에 더하여 포군을 설치하고 파수막을 증설하였다. 경흥의 경우 고종 6년(1868)에 평균 5리 간격으로 30곳의 포막을 창건하였으 며 고종 8년(1870)에 30곳을 증설하여 모두 60곳의 포막을 추가하였다.83) 파수처 83) 와 파수막은 경계의 거점에서 방어의 전초기지로 기능이 강화되었던 것이다. 2) 봉수체제 두만강변의 봉수체제와 역참 및 파발로는 조선 초기에 이 지역을 개척할 때부터 마련되었다. 번호들의 침입에 대비하여 신속한 경보전달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경흥에서 시작된 봉수는 두만강변 각읍을 지나 경성에 전달되었고 이곳에서 해안의 봉수로를 따라 서울까지 이어졌다. 조선전기의 봉수로는 세 종대에 처음 정비되었으며 16세기 중엽에 새로운 경로가 추가되는 변화가 있 었고, 16세기 후반에 봉수전달 경로가 바뀌는 등 크게 두차례 개편되었다.84) 80) 81) 82) 83) 84) 徐必遠, 堉谷先生遺稿 北伯海歸日贈閔大秀六鎭革瘼諸條 정조실록 권22, 정조 10년 7월 16일 정사. 북로기략 부록 변금 경흥부 지도 <奎 10695> 참조 조선전기 두만강변 봉수로는 경로나 전달방식면에서 크고 작은 변화가 자주 있 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승방략 등 세 가지 자료가 조선전기 봉수로의 사정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고 판단하고

320 韓國文化 36 처음정비된두만강변의봉수로는경흥장항에서경성나적동까지이어지는주봉수로와성천강서쪽회령서면보화에서시작되어주봉수로에연결되는보조경로로구분된다. 이는전국봉수로중제 1거에해당하는중요한전달경로였다. < 표 4> 세종실록지리지의봉수로 1 주봉수로 : 경흥 - 경성간경흥장항 - 진변보전봉 - 구신포 - 다롱개가북산 - 파태가북산 - 무안전산 - 경원백안가사 - 아산 - 수정 - 동림 - 자미하 - 부남산 - 중봉 - 마유 - 온성입암 - 석봉 - 전강 - 미전 - 포항 - 평봉 - 남산 - 유원 - 압강 - 고성 - 시건 - 견탄 - 중봉 - 송봉 - 소동건 - 종성보청포 - 동관북봉 - 부북봉 - 부남봉 - 중봉 - 삼봉 - 구방원북봉 - 시응거이 - 회령북면하을개 - 고령북봉 - 고령전봉 - 오롱초 - 오상 - 동우 ( 보조봉수로합류 ) - 영안 - 염통 - 전괘 - 부령고봉 - 무산보북봉 - 읍성섭봉 - 상장항 - 하장항 - 경성나적동참 2 보조봉수로 : 회령 ( 성천강서쪽 ) - 경성간회령서면보화 - 보을하 - 독산 - 관문 - 회령동우 ( 주봉수로와합류 ) < 그림 3> 세종실록지리지의봉수로 이에입각하여변화과정을서술하였다.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21 이봉수로는이후경로상에있는일부봉대가가감되고새로운봉수로가추가되어 16세기중엽에는다음과같이정비되었다. < 표 5> 신증동국여지승람의봉수로 1 주봉수로 : 경흥 - 경성간경흥조산포 - 구신포 - 남봉 - 망덕산 - 다롱합 - 파태 - 무이북봉 - 아오지동봉 - 경원백안 - 아산 - 수정 - 동림 - 부남산 - 후훈 - 마유 - 온성입암 - 전강 - 송봉 - 미전 - 포항 - 부평 - 사장 - 유원 - 압강 - 고성 - 시건 - 견탄 - 중봉 - 송봉 - 소동건 - 종성보청포 - 동관진 - 부북봉 - 남산 - 중산 - 삼산 - 오갈암 - 방원보 - 신기이 - 세천보포항 - 회령고령진하을포 - 북봉 - 죽포 - 오롱초 - 하문 - 상문 - 독산 - 옹산 - 봉화현 - 염통산 - 풍산보천장 - 전괘현 - 풍산보금세동 ( 보을하방면보조봉수로합류 ) - 부령우무개 - 무산남봉 - 무산보동량동 - 남봉 - 허통동 - 옥련북봉 - 임수덕 - 경성강덕 2 보조봉수로 : 회령 ( 성천강서쪽 ) - 경성간가보을하남봉 - 고연대 - 풍산보서봉 ( 송봉방면보조봉수로 1차합류 ) - 풍산보남봉 - 금세동 ( 주봉수로에합류 ) 나송봉 - 풍산보서봉 ( 보을하남봉보조봉수로에합류 ) < 그림 4> 신증동국여지승람의봉수로

322 韓國文化 36 회령서면보화에서시작되던보조경로가볼하남봉과송봉에서각각시작되는것으로바뀌었음을알수있다. 16세기후반에도봉수전달경로가재차정비되어회령성천강을기준으로구별되어있던동편과서편의봉수로가하나로통합되었고, 주봉수로외에강변각읍에서행영에전달되는봉수로가추가되었다. < 표 6> 제승방략의봉수로 1 주봉수로 : 경흥 - 경성간경흥서수라우암 - 조산보남산 - 조산보 - 두리산 - 구신포 - 남봉 - 다롱개 - 파태 - 무이보북봉 - 아오지보동봉 - 경원아산보백안봉수 - 건가퇴 - 수정 - 동림봉수 - 부남산봉수 - 후훈 - 훈융진성상 - 장항 - 마유 - 중봉 - 온성황자파입암봉수 - 미전진전강봉수 - 송봉 - 미전 - 포항 - 평연대 - 사장봉수 - 온성평연대 - 압강 - 고성 - 온성시건 - 견탄 - 중봉 - 송봉 - 소동건 - 종성동관진보청포 - 동관진북봉 - 장성문 - 종성부북봉 - 하수구 - 상수구 - 남봉 - 중봉 - 삼봉 - 오갈암 - 방원보부회환 - 신기이 - 세천보포항 - 회령고령진하을포 - 북봉 - 죽보 - 오롱초 - 오산 - 하문 -상문 - 고연대 - 보을하진남봉 - 송봉 - 풍산서봉 - 풍산남봉 - 금세동 - 부령무산보우무개 - 무산남봉 - 석봉 - 부령남봉 - 허통동 - 옥련보차산 - 서봉 - 임수덕 - 어유간하전파 - 경성강덕 2강변읍 - 행영간가경흥 - 행영 : 남봉 - 벽신보 - 두리산 - 금석산 - 마저고개 - 비덕산 - 행영성위망대나온성 - 행영 : 남증산 - 낙토 - 심포 - 동풍 - 소백산 - 비덕산 - 행영성위망대다회령 - 행영 : 고연대 - 지덕 - 남효량 - 행영성위망대라종성 - 행영 : 방원보부회환 - 고의내 - 회령부군산 - 세천내연대이구산 - 행영진북루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23 < 그림 5> 제승방략의봉수로 풍산보금세동에서경흥-경성간주봉수로에합류하던회령성천서편의볼하, 송봉출발봉수로가모두이어져하나의봉수로가된것이다. 이때문에봉수로가길어진다는문제점이제기되기도하였다. 각읍에서행영으로연결되는봉수들은항상유지하는것이아니라북병사가행영에주재하는매년 10월 1일에서이듬해 3월 1일까지 5개월만운영하였다. 북병사와助戰軍이입방한행영에경보를전달하여신속히대응할수있도록한것이다. 조선후기에도두만강변의봉수체제는그대로유지되었다. 번호의침입위험성은줄었으나청내부의정세동요로인한무력충돌가능성은여전하다고생각하였기때문이다. 조정에서는 < 烽燧摘奸節目 > 을마련하여각봉수대의근무인원, 비치장비등에대한규정을제시하고봉군에대해각읍에서과외의역을부과하지못하도록하였으며 85) 85) 여러차례어사를보내봉수대의사정을철저히조사하고관리하였다. 숙종 10년 (1684) 에무산부를신설하여두만강상류지역까지보다철저하게관리할수있게된후봉수경로는다시개편되었다. 경흥에서경성까지연결되는주봉수로는큰변화가없었으나성천강서쪽의봉수로가증가보완되어 85) 봉수적간절목 은숙종 1 년 (1675) 에처음마련되었고이후적간어사를보낼때마다다시제시되었다 ( 비변사등록 31 책, 숙종 1 년 4 월 4 일 ; 38 책, 숙종 10 년 2 월 23 일 ; 48 책, 숙종 20 년 2 월 26).

324 韓國文化 36 무산남령봉화가새로운화저가되고여기에서회령운두봉까지이어지는봉수경로가마련되었다. 두만강상류지역의경보를신속하고정확하게전달하기위해 16세기후반에단선으로운영되던봉수로를다시분리한것이다. < 표 7> 여지도서의봉수로 1 주봉수로 : 경흥 - 경성간경흥우암 - 造山堡남산 - 두리산 - 굴신포 - 망덕산 - 포항현 - 무이보서봉 - 아오지동봉 - 경원백안 - 건가퇴 - 수정 - 동림 - 남산 - 후훈 - 훈융성상 - 장항 - 마유- 중봉 - 온성입암 - 전강 - 미전 - 포항 - 평봉 - 사장 - 유원평 - 압강 - 고성 - 시건 - 견탄 - 중봉 - 송봉 - 소동건 - 종성동관보청포 - 동관북봉 - 동관장성문 - 북봉 - 남봉 - 삼봉 - 오갈암 - 방원남봉 - 신기이 ( 행영전달봉수시작 ) - 세천포항 - 회령고령진하을포 - 북봉 - 죽포 - 오롱초 -오산( 행영전달봉수시작 ) - 고연대 - 운두봉 ( 무산화저연결 ) - 남봉 - 송봉 - 보을하진중봉 - 봉현 - 이현 - 고풍산보고현 - 부령흑모로 - 남봉 - 구정판 - 칠전산 - 경성송곡현 2 보조봉수로 : 무산 - 회령간무산남령 ( 火底 ) - 쟁현 - 서현 - 대암 - 호박덕 - 회령운두봉 3 강변읍 - 행영간 : 제승방략의봉수로와같음. < 그림 6> 여지도서의봉수로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계 325 위와 같이 봉수전달 경로가 일단 정비되었으나 개선책은 꾸준히 논의되었 다. 숙종 3년(1677)에 호조참판 여성제는 연변 일대가 모두 접경지역이므로 앞의 봉화를 볼 수 없다 하여 다음 봉수에서 거화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므로 86)86) 아무리 연무가 짙어도 각자 거화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숙종 15년(1689) 에 북도암행어사 李萬元 역시 같은 의견을 피력하면서 육진의 봉수가 경흥의 서수라에서 시작되는 것은 육로 혹은 해로로 침입할 위험성이 있는 번호 방 비를 위해서인데 이미 번호가 이주하였으므로 서수라 거봉은 실질적인 의미 는 없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북병사가 행영에 있을 때에는 각읍의 봉수가 행 영에 전달되므로 이 방식을 이용하여 행영을 봉수의 중간 집결지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다. 봉수로와 간격을 재조사하여 강변 요소의 봉수를 모두 화저로 삼으며 북병사의 주재와 무관하게 행영으로 먼저 전달한 후 다시 경성을 거 쳐 서울로 이어지게 하자는 것이다.87) 숙종 21년(1695)에 무신 이홍술이 같은 87) 88)88)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의견은 비변사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되었지만 오랜 관행을 바꾸기 어려워 구현되지는 못하였다.89) 그러나 경보전달 방식에 대한 89) 관심은 여전히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봉수대에는 5개의 煙竈(아궁이)로 이루어진 화덕과 봉군의 유숙처, 각종 비품을 보관하는 창고, 관측을 위한 망대 등 시설물이 있었다.90) 비품으로는 90) 안개가 짙거나 우천시에 경보를 전달하기 위한 삼혈총, 봉수대가 공격을 받을 경우에 대비한 궁시, 삼릉장, 강한 화력을 얻기 위한 馬糞 및 狼糞 등을 비치 하였다.91) 91) 봉수마다 장교인 伍長 1인과 烽軍 5명이 상시 근무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92)92) 여건이 달라 2개조가 교대 근무하는 곳도 있고 86) 87) 88) 89) 90) 6번으로 나누어 5일에서 10 비변사등록 33책, 숙종 3년 3월 12일. 숙종실록 권21, 숙종 15년 10월 4일 정묘. 숙종실록 권28, 숙종 21년 6월 5일 을미. 비변사등록 43책, 숙종 15년 12월 30일. 조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편, 2005)권13, 회령시 학포 북봉봉수에 대한 설명 참고. 91) 비변사등록 38책, 숙종 10년 2월 23일 北路烽燧摘奸別單節目 92) 같은 글, 북로봉수적간별단 절목 에는 봉수마다 오장 2명이 봉군 5명을 거느리 고 입번한다고 하였으며 입번 일수에 대해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326 韓國文化 36 일씩교대하기도하였다. 93) 93) 94) 봉군은세습되는군역이었고 94) 정기적으로인적이드문지역의봉수대에서근무해야했으므로가장큰고역으로인식되었다. 또봉수의역이외에는다른역을부과할수없도록보장되어있음에도불구하고각읍에서잡역을요구하거나삼수군에편입시키는일도잦아피역자가속출하고봉수대의유지자체가곤란한경우도많았다. 95)95) 조정에서는봉군이라는명칭을烽武士로바꾸는한편, 96) 96) 장교와친기위로선발될수있는기회를열어주어위상을높이려하였다. 97) 97) 또한근무하는달에는대삭 1석 3두, 소삭 1석 2두 4푼의곡물을朔料로지급하여최소한의생계가보장될수있도록조치하였다. 98)98) 경보전달체제에대한관심에도불구하고 18세기후반이래함경도의봉화는서울까지전달되지않는경우가많았다. 경성이남에서함흥까지봉수로가해안에위치하였으므로안개가끼는날이면관측이불가능하였고, 함흥에서서울까지전해지는중에도간격이너무넓거나관리가소홀하여정확한조망이나보고가이루어지지않았던것이다. 99) 99) 이러한현상은실질적인전쟁의가능성이거의사라진조선후기의상황을반영하는것이었다. 그러나두만강변화저에서鏡城까지의봉수는큰차질없이연결되었던것으로보인다. 단천까지는봉대간상응이이상없이이루어졌으며 100) 100) 봉대는강변이제일낫다 고평가되었다. 101) 101) 이는북관지역봉수와봉군에대한관심및지원책이지속적으로이루어진성과로인정할수있을것이다. 93) 관북지, 경성부지 94) 비변사등록 34 책, 숙종 4 년 8 월 24 일. 95) 비변사등록 44 책, 숙종 16 년 11 월 18 일. 96) 봉군의명칭을봉무사로변경하는것은박문수의제안이다 ( 비변사등록 106 책, 영조 16 년 4 월 12 일 ; 108 책, 영조 17 년 3 월 12 일 ; 109 책, 영조 17 년 8 월 3 일 ). 97) 영조실록권 54, 영조 17 년 8 월 1 일계사. 98) 북관지, 경성읍지 99) 영조실록권 114, 영조 46 년윤 5 월 26 일신미. 100) 비변사등록 145 책, 영조 40 년 2 월 14 일. 101) 비변사등록 154 책, 영조 46 년 11 월 7 일.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27 4. 북병영행영의운영 6진은함경도최북단의방어거점으로두만강변에진출해있었으나험준한함경산맥으로가로막혀감영의소재지인함흥은물론북관지역의중심인경성까지거리도멀고교통이극히불편하였다. 이때문에조정이나감영의명령전달이제대로이루어지지않는폐단이컸으며군사적충돌이일어나거나대규모침공을받을경우후방에서적시에지원하기어려운문제가있었다. 번호의침입시각읍과진에서는인근지역을지원하도록규정되어있으나강변을따라읍진이나열되어있고도로가발달하지않아병력이동이용이하지않았다. 방어정면이넓어한지역에많은군사들을상주시킬수도없었다. 이에함경도북병영의행영을종성부근에설치하고번호의침공가능성이높은겨울철에북병사가군사들을이끌고주둔하여 6진지역방위의허점을보완하려하였다. 세종 16년 (1432) 에행영이처음세워진곳은鹿野坪부근이며 102) 102) 세종 22 년 (1440) 에두만강과수주강이합류하는곳으로종성을이설하였을때녹야의행영을원종성의터에옮겨서방어의거점으로삼았다. 이곳은종성부와는 85리, 회령과는 55리, 온성까지, 75리, 경원까지 90리떨어진 4진의중심에해당하는곳이다. 103) 103) 이어세종 30년 (1448) 에는경성의북병영을이곳으로이주시키고남북지역의助戰軍을통합지휘하여 6진지역의군사적통제권을강화하였다. 104) 104) 그러나조전군이없을때에는병사의위엄이보이지않고수비가약해지는단점이있다는문제가제기되어 105) 105) 본영은다시경성으로돌아가고종성에는전대로행영을두었다. 106) 106) 이후경성본영, 종성행영체제는변동없이조선시대내내지속되었다. 행영의방어시설로는석성이있었으며꾸준히보수되어인조 12년 (1634) 에 102) 관북지권 14, 行營事例 行營條 103) 東國與地勝覽권 50, 함경도종성도호부 關防條 104) 세종실록권 120, 세종 30 년 4 월 9 일갑자. 105) 세조실록권 4, 세조 2 년 7 월 26 일계사. 106) 세조실록권 12, 세조 4 년 5 월 17 일계묘.

328 韓國文化 36 동남면을개축하였고, 현종 14년 (1673) 에서북면의體城과 4면의여장을대대적으로개수하고문루를정비하였으며포루를모두개조하였다. 107)107) 북병사가행영에입방하는시기는두만강결빙으로여진인들의침공위험성이높아지는 10월 1일부터이듬해 2월말까지 5개월간이었다. 그러나행영은동절기방어목적으로만사용된것은아니었다. 북병사는변방에무력충돌이우려될경우입방시기가아니어도군사들을동원하여행영에서대기하였으며, 108) 108) 번호를공격할때에는거점으로활용하였다. 109)109) 자연재해로함경도전역이큰피해를입어南衛의병력을동원할수없는해에입방이중지된경우도있지만 110) 110) 입방규정은대체로엄격히적용되었다. 북병사가나문될때에도후임병사가부임할때까지우선입방하여대기해야했으며, 111) 111)10월 5일에입방한북병사를 10월 1일입방일자를맞추지않았다하여추고할정도였다. 112)112) < 표 8> 경성본영과종성행영소속군병의수 * 구분별장천총파총백총초관지구관 기패관 친기위마병속오군 성정군 표하군 비고 경성본영 6 2 4 6 29 4 28 500 9 초 20 초 15 초 698 장령 79 종성행영 5 2 4 28 4 86 500 8 초 20 초 15 초 879 장령 129 * 본표는증보문헌비고제 119 권, < 병고 11 주군병함경도편 > 의자료를정리한것이다. 별장, 백총, 초관등상위직급의장령의수는본영이많고마병역시 1 초가더있으나기패관과표하군은행영이더많아종합해보면행영관할군병의수가더많음을알수있다. 입방시북병사는휘하장령은물론남위소속여러읍에서군병을조발하여함께주둔하였다. 113) 113) 또행영에전달되는봉수에도근무자가배치되어운 107) 增補文獻備考권 29, 여지고 17 관방 5 함경도종성부 및북관지, 종성부 관방조 참조. 108) 세조실록권 26, 세조 7 년 11 월 11 일병오. 109) 선조실록권 86, 선조 38 년 4 월 23 일정묘. 110) 현종실록권 18, 현종 11 년 8 월 11 일을미. 111) 비변사등록 111 책, 영조 18 년 10 월 29 일. 112) 비변사등록 120 책, 영조 25 년 10 월 28 일. 113) 북관읍지 4, 경원부읍지 營三哨 간년으로겨울 3 달동안병영에입방함 ( 間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29 영되었으며북병사는입방기간동안친기위와마병도시를비롯한각종시험을주관하고환곡운영을담당하였다. 북병영행영은동절기육진지역의군사, 행정의중심지역할을하였던것이다. 북병사의행영이주는북관지역전주민들에게적지않은부담이었다. 북병사와수하군병이경성에서종성까지왕복하고장기간주둔할때소요물품을공급하는것은물론행영건물의유지와보수를위해서도많은비용이소모되었던것이다. 114) 114) 이는조선전기에행영제도가성립되었을때부터제기된문제로세종대에북병영을종성으로잠시옮겼다가다시복구하였던것도과도한유지비용때문이었다. 그러나병자란이전에는번호의침공가능성이상존하였으므로부담이컸음에도불구하고북병사의행영이주규정을크게문제삼는경우는없었다. 북병사의행영이주를정지해야한다는논의는병자호란이후대두되기시작하였다. 번호의침공가능성이줄어들고무력충돌위험성도사라진상황이므로많은인원과물자를동원한입방은굳이필요하지않으며민폐만야기할뿐이라는것이다. 침공가능성이상대적으로높은평안도에도寧邊에주재하는병사가昌城에이주하는규정이폐지되었고함경도남병영도병사가갑산의행영에직접가지않고虞侯를대신보내는데가장침공가능성이낮은육진지역방위를위해북병사가이주하는것은의미가없다는주장이었다. 그러므로북병사가입방하는대신우후를주재시키거나아예행영자체를혁파해야한다는건의가끊임없이나타났다. 인조 16년 (1638) 에참찬관윤이지는 6진지역의기근이심하고피폐해졌으니경제력이회복될때까지행영입방을잠정적으로정지하자고제안하였다. 이미번호를방어할일이없는데다가흉년이겹쳤으므로지역주민의부담을덜어주자는것이다. 이에대해행영이있는종성본읍의부담은병사가처음입방하였을때사흘만접대할뿐이고, 이후유방기간중소요되는물품은모두병영에서공급하며 6진에서는약간의찬물을보내주는데지나지않으므 年冬三月兵營入防 ) 114) 영조실록권 53, 영조 17 년 6 월 10 일계묘 ; 비변사등록 108 책, 영조 17 년 6 월 11 일.

330 韓國文化 36 로큰부담은아니라는반론이제기되어기각되었다. 북병사의행영입방은외침에대비할뿐아니라변란에대비하는의미도있으므로이를정지할경우변방지역을다스리기어렵다는점도지적되었다. 115)115) 영조 12년 (1736) 에는교리申宅夏가상소하여행영폐지를건의하였다. 북병사의행영이주는평상시에는육진의폐단이될뿐이고유사시에는외적과너무가까운곳에主將이있게되어방어에불리하다는것이다. 116) 116) 대규모무력침공이있을경우 6진지역에서막기는어차피불가능하며북관지역방비의중심은경성이므로경성방위에주력해야한다는주장이었다. 그러나행영및입방규정은유사시에대비한조치이므로함부로변개할수없다는반론이우세하여수용되지않았으며이러한입장은상당히오래유지되었다. 영조 40년 (1764) 에함경도감시어사洪樂仁이별단을올려북병사행영이주를철폐하자고제안하였을때영조는戎政에관계된일은함부로논해서안되며경계를늦추자는의견을개진하였다하여홍낙인을종중추고하도록명하였다. 117) 117) 정조 10년 (1786) 에도부총관柳鎭恒의입방정지제안에대해비변사에서는번호가없어도파수를유지하는것은 나아가면나아가지물러나지않는다 는병가의계략이므로철수는불가하다는강경한입장을고수하였다. 118) 118) 정조 15년 (1791) 에북병사를지낸李潤慶이행영은야인을제압하기위한것인데야인의위협이없으므로유지할필요가없다고건의하였을때좌의정채제공도군사들에게폐단만끼치므로폐지하자고찬성하였다. 그러나행영은대장이주둔하기에적당한곳은아니지만유사시 5,6백리나떨어진경성본영에서는절제가사실상불가능하므로유지해야한다는이조판서홍양호의주장이수용되어규정은전혀변하지않았다. 119)119) 북병사대신우후를상주케하여불편을최소화하자는건의도있었다. 정조 21년 (1797) 에전장령吳鵬南은행영은교통이편리한요충지이지만사면에서 115) 비변사등록 1 책, 인조 16 년 11 월 9 일. 116) 영조실록권 42, 영조 12 년 9 월 29 일경신. 117) 비변사등록 145 책, 영조 40 년 6 월 28 일. 118) 정조실록권 21, 정조 10 년 1 월 22 일정묘 ; 비변사등록 168 책, 정조 10 년 1 월 21 일. 119) 정조실록권 32, 정조 15 년 4 월 5 일기유.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31 침공을받을우려가있는데지휘해야할대장이직접적의선봉과마주치게되는문제가있으니우후를대신입방시키자고상소하였다. 남병영은갑산의행영에병사가직접입방하지않고우후를보내어관리하게하는데아무불편이없으니북병영도그대로하자는것이다. 120) 120) 이듬해에는전함경감사李鼎運도행영의상주병력이부족하여전시에수비하기어렵고북관의방어거점은어디까지나경성이므로북병사의이주를폐지하고경성방어에주력해야한다고주장하였다. 121) 121) 그러나비변사에서는번호가철거한이상행영입방을정지하여도무방할것으로보이지만이규정은어디까지나유사시에대비하는것이며행영의시설유지를위해서라도규정을준수해야한다고반대하였다. 122)122) 19세기에도행영이주규정을철폐해야한다는주장은계속제기되어함경도암행어사의별단에빠지지않는항목중하나였다. 123) 123) 철종 10년 (1859) 에는영의정정원용의건의에따라북병사의행영이주를우선정지시키고문제점을본격적으로논의하였다. 북병사가본영과행영을번갈아비워두는것도문제이고, 왕래시민읍의폐단이크며, 변방의사정이달라졌으므로방어대책역시바뀌어야한다는것이다. 124) 124) 그러나지역주민들의폐단이더커진다는현지의보고가올라오자북병사를이주시킬수밖에없었다. 125)125) 부담이컸음에도불구하고북병사의행영이주가계속되었던이유는육진지역군병들의試才및都試실시와營納의편의때문이었다. 북병사는행영에주재할때에친기위및마병을위한도시를주관하였다. 126) 126) 부령이북에거주하는무사들이시재에응시하기위해경성에있는북병영의본영까지왕래하는부담을덜기위한것이었다. 또각읍에서병영에납부해야하는각종조세를원거리에있는북병영에직접운송할경우야기되는있는민폐를줄일 120) 정조실록권 46, 정조 21 년 2 월 25 일병신. 121) 비변사등록 187 책, 정조 22 년 3 월 11 일. 122) 정조실록권 48, 정조 22 년 3 월 11 일을해. 123) 비변사등록 228 책, 헌종 6 년 10 월 21 일 함경도암행어사李殷相별단 및비변사등록 235 책, 헌종 14 년 1 월 7 일 함경도암행어사洪禹健별단 참조. 124) 비변사등록 246 책, 철종 10 년 8 월 28 일. 125) 비변사등록 246 책, 철종 10 년 11 월 16 일. 126) 비변사등록 77 책, 영조 1 년 2 월 1 일.

332 韓國文化 36 수있는측면도있었다. 127)127) 경제적으로극히열악한 6진지역에대해조정에서는특별한지원을해줄 수없는형편이었다. 이러한상황에서종성행영은 6진의군사거점이자지역 경제에도기여하는바가있었기때문에동절기북병사의행영이주원칙은수 세기동안유지되었던것이다. 5. 맺음말 두만강이남백두산일대에거주하던여진인들을무력으로구축하고영토를확보한조선전기에육진지역은대소규모의충돌이계속일어나고긴장관계가유지되고있었다. 이에비해조선후기에는여진인들의중심세력이심양과북경일대로이동하고국제정세가안정되어실제침공가능성은크게줄어들었다. 그러나대안지역의사정에대한관측과정보수집, 경보발령을위한파수와봉수를이용한경보전달체제, 군사조련과방위력강화를위한북병사의종성행영이주등기본조치는여전히유지되었다. 조선후기육진지역은번호와의교역이중지되고방위력보충을위해시행되던외지병력의부방도정지되어지역경제가타격을입었으며대안지역에거주하는청인들의생필품을공급하기위한개시가강요되어주민들의부담이컸다. 이때문에유리하는주민이많아읍세를유지하기위한민호확보와군액마련이곤란하였다. 자연재해도끊임없이발생하여두만강의범람때문에경흥의경우治所를자주이동했으며성곽등방어시설과강둑의유지와보수도큰문제였다. 그러나어려움에도불구하고강변에서내지로읍치를옮기거나민호를철수하는일은없었으며조선전기에확보한강역은고수되었다. 육진지역의군사제도는남도와는달리오위제가유지되었고각읍의병력은야전에투입되는장조군과성곽방어에배치되는수성군으로나누어편제되었다. 번호의침공위험성이줄어장조군보다는수성군의비중이더컸고유사시에는반상을가리지않고전주민이동원되는체제였으므로병종별구분자체가점차무의미해졌다. 그러나북병사가주관하는試射와試才, 私習 127) 비변사등록 211책, 순조 23년 8월 23일.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33 및陣法훈련이꾸준히시행되었으므로무예수준이전국에서가장우수한것으로인정되었다. 두만강대안지역의정찰과상호범월방지를위해강변에 70개소의파수처를두었으며각파수에는장교 1명, 병사 2명이한조가되어교대근무하였다. 특히범월단속이중시되었으나두만강폭이좁아도섭이용이하고상호왕래가일상화되어있었기때문에철저한단속은불가능하였고 18세기말이후로는유명무실화되어갔다. 변경의경보전달을위한봉수로는조선전기에마련된이래여러차례개편되었으며무산부신설후에는경흥에서시작되어회령을거쳐경성으로전달되는경로와무산에서출발하는봉수로가함께운영되었다. 조선후기에는지형상문제와기후등의여건으로인하여북변에서서울까지봉수가이어지지않는경우가많았다. 그러나두만강변에서북병영이있는경성까지는거의빠지지않고전달되었던것으로평가된다. 봉수관리규정과봉군을위한기본적인지원책을마련하고지키려한정책의성과였다고할수있다. 종성에있는북병사의행영은육진의군사중심지로두만강이얼어붙는겨울철에는북병사가경성일원의병력을이끌고주둔하면서번호들의침공에대비하였다. 조선후기에이들의실질적인위협이사라졌음에도불구하고북병사의이주는해마다빠짐없이계속되어지역주민들은병사접대와군병호궤, 관아건물수리등의부담을져야만했다. 이때문에인조대부터북병사의행영이주를폐지하거나행영을철파해야한다는주장이여러차례제기되었다. 그러나유사시에대비한규정이므로충돌가능성이줄었더라도방비를소홀히할수없다는의견이강하였고납세나試才를위해육진의주민들이원거리를왕래하는폐단을덜어주는이점이있었기때문에이규정은변함없이유지되었다. 행영은육진의군사적거점이었을뿐아니라경제활동의중심지였던것이다. 전반적으로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은북변방어의최일선이었으며국제정세가안정되어청의침입위험성이줄어들었음에도기본적인파수와봉수전달체제는큰차질없이유지되었다. 그러나범월이일상화되고이에대한단속이유명무실해지면서청인들과사적인교역이활발해지고대안지역으로

334 韓國文化 36 이주하는주민의수도늘어났다. 육진은방어의중심지에서변경교역및이주의거점으로변하고있었던것으로보인다. ( 필자 : 경인교육대학교사회교육과부교수 ) 주제어 : 육진, 파수, 봉수, 행영, 두만강 투고일 (2005. 11. 10), 심사시작일 (2005. 11. 17), 심사종료일 (2005. 12. 3)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35 참고문헌 制勝方略備邊司謄錄朝鮮王朝實錄續大典東國與地勝覽輿地圖書海東地圖東輿圖北關邑誌北關誌萬機要覽鄭允容, 北路紀略鄭元容, 北行隨錄徐必遠, 堉谷先生遺稿조선총독부육지측량부, 1925 한국 1:50,000지형도, 경인문화사. 경인문화사, 1997 최근북한 1:50,000 지형도국립지리원, 2000 대한민국 1:250,000 지세도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향토대백과 강석화, 2001 조선후기함경도와북방영토의식경세원. 강석화, 2003 1812 년함경도암행어사의활동 인하사학 10. 강영철, 1981 朝鮮初期의軍事道路 ( 국사편찬위원회편, 韓國史論 7 고승희, 2003 조선후기함경도상업연구, 국학자료원. 김구진 이현숙, 1999 制勝方略의북방방어체제 국역제승방략, 세종대왕기념사업회김종원, 1983 朝淸交涉史硏究 - 貿易關係를중심으로, 서강대학문학박사학

336 韓國文化 36 위논문. 김혜자, 1982 朝鮮後期北邊越境問題硏究 梨大史苑 18 19 합. 송병기, 1981 東北, 西北界의수복 ( 국사편찬위원회편한국사 9) 오종록, 1992 朝鮮初期兩界의軍士制度와國防體制,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유승주, 1970 朝鮮後期對淸貿易의展開過程 -17 8 世紀赴燕譯官의貿易活動을中心으로- 백산학보 8. 유승주, 1991 朝鮮後期朝 淸貿易小考 국사관논총 30. 이경식, 1992 조선초기의북방개척과농업개발 역사교육 52. 차용걸, 1980 양강지대의관방체제연구시론 ( 군사창간호 )

조선후기함경도육진지역의방어체계 337 <Abstract> The Defense System of Duman River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28) Kang, Seok-hwa * There were 6 counties along the Duman river in Hamkyeong Province. The defence system of these counties was made up with guard posts, beacon fire and supporting system - crossing support between forts and support from southern Provinces. About 25 thousands farm soldiers, consisted with infantries and cavalry, were resided in these counties, they had trained in archery, gunshot and battle formation regularly. The bravery and fighting ability of them were well-known all over the country. 70 guard posts were arranged along the riverside and one officer and two soldiers were posted in each. They had to observe the opposite site, announce an alarm and prohibit the violation of the border. In the winter, northern army commander of Hamkyeong Province(Bukbyeongsa) had been stationed at temporary headquarter (Haengyoung) in Jongseong - the center of 6 counties - to provide against invas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 possibility of conflict was decreased, but alert and military drills didn't become relaxed, because these counties were northern forefront bases of Joseon. Key Words : six counties, guard post, Duman river, beacon fire, temporary headquarter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