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학 1 조 구태률, 김사강, 김수연, 김수진, 김영기, 김용우, 신샘이, 신승연, 안상진, 양희범, 이선주, 조요석, 주희영, 최성우
Contents 1 서론 연구배경,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및제언 5 연구의한계및개선점 6 참고자료
1 서론 연구배경
1 서론 연구목적 고위험군 술에대한인식 변화? 대학생 지식? 교육홍보 혹시나도? 효과? 정부의정책 영향인자?
2 연구방법 연구대상및조사방법 대상조사기간조사방법표본 건국대경희대고려대서울대 ( 관악 ) 성균관대연세대한양대 2008 년 3 월 21 일 ~ 3 월 25 일 각대학직접방문 설문지작성요청 전체모집단 700 명 최종표본 658 명 남 : 62.3% 여 : 37.7%
2 연구방법 조사도구및측정 설문지내용 알코올사용장애인지도, 자각정도음주행태, 지식, 기타음주관여요인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2 연구방법 분석방법 분석도구 SPSS 15.0 응답자의일반적특성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변수들간의상관관계분석 Pearson 상관계수 각변수가 AUDIT score 와다른음주행태에미치는영향 Chi-square test 로유의성검증
교육요소 대중매체인터넷홍보대사절주기간지정홍보교육 Knowledge 제반요소 Attitude & Belief 1) 나이 2) 성별 3) 술에대한전반적지식을얻은경로 4) 월지출비용 5) 현재거주형태 6) 부모님의음주행태 7) 부모님의알코올사용장애유무 8) 가족내음주에대한시각 9) 출신고등학교의계열 10) 동아리소속여부 Practice 적절 부적절 상담 LOGO www.themegallery.com
3 연구결과 연구대상의특성 (1) 특성 항목 비율 성별 남자 413명 (62.3%) 여자 250명 (37.7%) 연령 <19 11.5% 19~24 68.8% >24 19.9% 거주지 자택 57.2% 기숙사, 하숙, 자취, 기타 42.8%
3 연구결과 연구대상의특성 (2) 특성항목비율 월지출액 <20 만원 14.6% 20~40 만원 49.8% 40~60 만원 26.7% 60~80 만원 4.4% >80 만원 4.5% 출신고교인문계 84.8% 특목고 ( 외국어, 과학, 영재 ) 11.2% 예술고, 실업계고, 기타 4.1% 동아리활동참여함 56% 참여하지않음 44%
3 연구결과 알코올사용장애의비율과자각정도 (1) 7 5 C ou n t 5 0 AUDIT score 전체평균 9.54 표준편차 6.625 2 5 남자평균 10.89 여자평균 7.32 0 0 1 0 2 0 3 0 s c o r e
3 연구결과 알코올사용장애의비율과자각정도 (2) WHO AUDIT 8 점이상 371 명 (56.0%) 보건복지부 AUDIT 12 점이상 190 명 (28.7%) 알코올사용장애에해 당하면서이를자각하 는사람 9 명 (1.4%) WHO 기준알코올사용장애중 2.5% 보건복지부기준알코올사용장애중 4.8%
3 연구결과 알코올사용장애의원인변수 나이 성별 홍보여부금주교육 의료인 지출 부모주량부모장애가족인식 건강량 음주량 알고있음 score 나이 1 -.240(**) -0.05.147(**) 0.002.342(**) -.126(**) -0.008-0.038-0.051-0.022-0.032-0.01 성별 -.240(**) 1-0.01-0.033 0.004 -.149(**) -.096(*) 0.015-0.03-0.063 -.259(**) -0.073 -.261(**) 홍보여부 -0.05-0.01 1 0.035-0.036-0.02-0.035 0.037 0.07 0.012 0.042.115(**) -0.006 금주교육.147(**) -0.033 0.035 1 0.053.088(*) 0.041-0.011 0.036 0.016-0.058 0.046 0.065 의료인 0.002 0.004-0.036 0.053 1 -.103(**) 0.004-0.045-0.032 0.025-0.018 0 -.109(**) 지출.342(**) -.149(**) -0.02.088(*) -.103(**) 1-0.033-0.03 0.045-0.004 0.033 0.021.140(**) 부모양 -.126(**) -.096(*) -0.035 0.041 0.004-0.033 1 -.110(**).126(**).196(**).338(**) -0.04.269(**) 부모장애 -0.008 0.015 0.037-0.011-0.045-0.03 -.110(**) 1.143(**) -0.05-0.048-0.024-0.005 가족인식 -0.038-0.03 0.07 0.036-0.032 0.045.126(**).143(**) 1.261(**).182(**) 0.026 0.074 건강량 -0.051-0.063 0.012 0.016 0.025-0.004.196(**) -0.05.261(**) 1.339(**) -0.023.224(**) 음주량 -0.022 -.259(**) 0.042-0.058-0.018 0.033.338(**) -0.048.182(**).339(**) 1 0.037.547(**) 인식하고있음 -0.032-0.073.115(**) 0.046 0 0.021-0.04-0.024 0.026-0.023 0.037 1 0.014 score -0.01 -.261(**) -0.006 0.065 -.109(**).140(**).269(**) -0.005 0.074.224(**).547(**) 0.014 1 정답.096(*) 0.023 0.003-0.035-0.005 0.02 0.064-0.031 0 0.189(**) 0.124(**) 0.013 0.192(**) (**) 은유의수준 0.01 이하, (*) 은유의수준 0.05 이하 ) 에서 Pearson score
3 연구결과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1) AUDIT score 자신에게적절한음주량 건강에악영향을주는알코올의양 성인남성하루적정음주량
3 연구결과 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2) 월지출액 - 의료인의알코올관련조언 - AUDIT score - 의료인의알코올관련조언 월지출액 - AUDIT score
3 연구결과 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3) 가족의음주형태 알코올사용장애부모 11 명 (1.7%) 음주에대한인식이부정적 음주량이많은부모 가족구성원의알코올에대한관대한인식 건강에악영향을주는알코올양, 본인에게적당한음주량 AUDIT score
3 연구결과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4) 사회전반적문화
3 연구결과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5)
3 연구결과음주행태및알코올에대한인식 (6) 기타의견 - 부적절한홍보매체 - 프로그램의부재
3 연구결과 알코올사용장애자각관련변수 (1) 금주관련교육받은경우는 0 명 2 명 관심부족 7 명
3 연구결과알코올사용장애자각관련변수 (2) 4 명 3 명 2 명
4 고찰및제언 교육요소 대중매체인터넷홍보대사절주기간지정홍보교육 Knowledge 제반요소 Attitude & Belief 1) 나이 2) 성별 3) 술에대한전반적지식을얻은경로 4) 월지출비용 5) 현재거주형태 6) 부모님의음주행태 7) 부모님의알코올사용장애유무 8) 가족내음주에대한시각 9) 출신고등학교의계열 10) 동아리소속여부 Practice 적절 부적절 상담 LOGO www.themegallery.com
4 고찰및제언 연구집단에대한기본적분석 56%!!! 28.7%!!!
4 고찰및제언
4 고찰및제언 지식 (1) 상식
4 고찰및제언 지식 (2) 적정음주량 알코올이용장애 지식 사용실태 홍보여부교육여부홍보매체종류
4 고찰및제언 지식 (3)
4 고찰및제언 지식 (4)
4 고찰및제언 지식 (5)
4 고찰및제언 지식 (6)
4 고찰및제언 태도와신념 (1) 사용실태 태도와신념 낮은 AUDIT 점수 지식 높은지식점수 6 번문항 ( 건강에영향을끼치는알코올양 ) : 더낮은기준 7 번문항 ( 건강에영향을끼치는알코올양 ) : 더낮은기준
4 고찰및제언 태도와신념 (2) 상관관계? 고등학교계열 동아리가입여부 태도와신념 부모의알콜장애
4 고찰및제언 태도와신념 (3) 부정적인식과지식정도 ( 성별 )
4 고찰및제언 태도와신념 (4) 태도및신념 태도및신념 가족의음주허용정도 부모의음주량 사용실태 사용실태
4 고찰및제언 태도와신념 (5) 올바른태도및신념 대학생음주문화정책방향
4 고찰및제언 사용실태 (1)
4 고찰및제언 종합
Knowledge Attitude & Belief 성별 지식경로 부모님의음주량 가족분위기 Practice 월지출비용 성별 지식경로 부모님의음주량
5 고찰및제언 임상적응용 사회적학습이론 - Social learning theory(bandura) - 모방과관찰에의해인지적학습이루어짐 이연구의핵심결론 - 부모에대한모방에의한태도 / 행동, 사용실태영향 - 선후배 / 직장동료에대한모방에의하여도영향 역할모델 - 학습효과를유발하는데있어모방의역할모델중요 - 가정이고등학교보다효과적으로작용 - 좋은의미의모방이이루어지게하는방법강구
5 연구의한계및개선점 KABP 이론자체의한계 통계과정의오류 조사과정에서설문자간의편차 표본집단선정의문제 낮은상관계수 Further study.. 새로운건강행태모형에따른연구수행 각요소간의인과성검증을위한연구설계
acknowledgement 본연구는의료관리학교실의재정적지원아래진행되었습니다. 장원모선생님, 이은정선생님감사합니다.
6 참고자료 참고문헌 [1] 이효석, 술에의한췌장염및간질환들, 대한의사협회지 1998; 41(1); 20-30 [1] WHO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2007 [2] OECD 건강백서 2007 [3] 윤혜미, 대학생절주사업의실제. 대한보건협회 1999 [4] Wechsler H, Davenport A, Dowadall F, Moeykens B, Castillo S. health behavioral consequences of binge drinking in college A national survey of students at 140 campuses. JAMA 1994; 272: 1672-1677 [5] Wechsler H, Lee JE, Kuo M, seibring M, Nelson TF, Lee H. trends in college binge drinking during a period of increased prevention efforts. J Am Coll Health 2002; 50: 203-217 [6] Demers A, Kairouz S, Adlaf EM, Gliksman L, Newton-taylor B, Marchand A. Multilevel analysis of situational drinking among Canadian undergraduates. Soc Sci Med 2002; 55: 215-425
6 참고자료 [7] 보건복지부실태역학조사, 2001 방법, 결과 - [8] Barbor TF, Fuente DL, Saunders JB, Grant M.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health care. WHO, Geneva, 1989 [9]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종문, 남궁기. 한국어판알코올사용장애진단검사 (AUDIT) 의개발 : 신뢰도및타당도검사. 보건복지부보고서, 2000 고찰 - [10] Bergman H, Kallmen H. Alcohol use among swedens and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lcohol & alcohol 2002; 37(3); 245-251 [11] 제갈정. 한국인의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 2001
6 참고자료 [12] Claussen B, Aasland OG.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in a routine health examination of long term unemployed. Addiction 1993; 88; 363-368 [13] 보건복지부, 알코올문제없는행복한가정을위한파랑새플랜 2010 ; p.14 [14] John E. Donovan and Brooke S. G. Molina, Children s Introduction to Alcohol Use: Sips and Tastes, Alcohol Clin Exp Res., 2008 January; 32(1); 108 119. [15] 김영신, 소비자의사결정유형및관련변수에관한연구, 소비문화연구 2003; 6(3); 51-73 [16] Albert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 Hall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