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ÌπÆ_9ø˘23¿œ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7¬˜≥ÌπÆ_9ø˘23¿œ"

Transcription

1 논문 제4부 Article

2 한국의 목공예 ( 木 工 藝 ) 광복 이후 벌목이 강력히 금지되고 생활양식이 변화되면서 목기는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거 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특히 합판이 널리 사용되면서 한때 우리의 전통 목조짜임기법이 단절될 위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목공예란 최근에 생긴 용어로서 에 인공을 가하여 만든 기물( 器 物 )을 지칭한다. 과거에는 이 와 같은 목공예품을 목물( 木 物 ) 또는 목기( 木 器 )라고 하였다. 목물은 로 만든 물건을 통틀어 일 컫는 말이며 목기는 광의로는 로 만든 그릇 가구 등 세간을 뜻하지만 협의로는 로 만든 그릇류를 일컫는다. 산지가 많고 목재가 풍부한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목조주택을 짓고 일상생활용품으로는 목 물 목기를 사용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비고편 동국여지비고 제 2 한성부 에 서울 육조( 六 曹 ) 앞에는 상목기전( 上 木 器 廛 )이 있었고 이현( 李 峴 )에는 하목기전( 下 木 器 廛 )이 있 어 목판( 木 板 ) 싸리농[ 杻 籠 ] 성긴 싸리농 키 궤( 櫃 ) 등을 판매하였고, 또 효경교( 孝 經 橋 ) 주변 등 여러 곳에 칠목기전( 漆 木 器 廛 )이 있어 여러 가지 그릇과 무늬있는 장[ 文 木 欌 ] 장 [ 紙 欌 ] 방장( 房 欌 ) 등을 판매했다 고 기록한 것으로 미루어 예전부터 목기라는 용어가 광의로 쓰였 음을알수있다. 그러나 목기는 불에 잘 타며 또 습기에도 약해 전승되어 온 오래된 목기 유물의 예나 기록이 없 어 시대에 따른 양식이 어떠했는지 현재로서는 알 길이 없으며, 고분 출토 유물들은 대부분 칠을 한 칠기로서 순수한 목기는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옛 목기의 형태는 칠기를 통해 확인할 수 밖에 없 는 실정이다. 삼국 및 신라의 고분에서 출토된 목심칠기들은 당시 상류사회에서 사용되었던 공예품 으로서의 생활용기들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자기와 청동기가 제작이 까다로운 목기 대신 고급 생활 용기로 자리잡았으며 고려 말기에 목기의 사용을 건의하는 상소가 있었다. 시대에 이르러서는 궁중과 사대부 계층에서는 관청에 예속된 소목장들에게 목기의 제작을 의뢰하여 연회와 제사를 위시한 일상 생활용품으로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재력이 없는 서민층, 지방의 농민들은 필요한 기물을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였거나 부업으로 목장( 木 匠 )을 겸한 수공업자로부터 공급받았다. 특히 산간지역 서민들은 대부분의 생활기물들을 로 만들어 사용 하였으며 또한 판매를 하여 생계에 보태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목공예품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그 명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문헌 기록과 출토 유물로 미루어 적어도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 간다고 볼 수 있다. 후한서( 後 漢 書 ) 동이열전( 東 夷 列 傳 ) 에 동이들은 그릇으로 조두( 俎 豆 )를 사용한다고 하였 다. 부여국( 夫 餘 國 )에서는 장사 지낼 때에 곽( 槨 )을, 동옥저( 東 沃 沮 )는 장사 지낼 때에 큰 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장이나 되며 한쪽 끝 부분을 열어 놓아 문을 만들고 식구들의 유골을 하나의 곽 속에 안치하는데 살아 있을 때와 같은 모습으로 새긴 목상( 木 像 )을 사람의 숫자대로 안치한다 고 기록되어 있다. 1988년에 발굴 조사된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기원 전 1세기 ~ 2세기)에서 통 목관과 부장 품을 담았던 죽협( 竹 : 대로 엮어 짠 상자)과 원형두( 圓 形 豆 ) 방형두( 方 形 豆 ) 유개통( 有 蓋 筒 ) 등 목심칠기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 칠기가 발견되기 이전에는 우리나라 칠기는 낙랑( 樂 浪 )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믿었 었다. 그러나 그 기형은 우리나라 남부지역 후기 무문토기의 흑색토기류인 두형토기( 豆 形 土 器 ) 통 형토기( 筒 形 土 器 ) 등의 기형과 유사해 중국과는 다른 우리나라의 동시대( 同 時 代 ) 기형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삼국유사( 三 國 遺 事 ) 신라( 新 羅 )에 관한 기록으로는 권 제1 탈해왕( 脫 解 王 ) 조의 탈해왕이 들 어있던큰궤, 사금갑( 射 琴 匣 )(488년) 조의 금갑, 지철로왕( 智 哲 老 王 ), 지증왕( 智 證 王 ) 때의 목 우사자( 木 偶 獅 子 ), 경덕왕( 景 德 王 )(742~765) 충담사( 忠 談 師 ) 표훈대덕( 表 訓 大 德 ) 조의 벚 통[ 櫻 筒 ], 선율환생( 善 律 還 生 ) 조의 상( 床 )이 있고, 같은 책 가락국기( 後 漢 光 武 帝 建 武 18(42)년 에는 탑( 榻 )과 상( 床 )이 있다. 또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에는 탈해이사금( 脫 解 尼 師 今 ) 조의 큰 궤, 문무왕( 文 武 王 ) 상( 上 ) 4년(664)의 궤장( 杖 ) 등이 있다. 백제( 百 濟 )에 관한 기록으로는 백제본기( 百 濟 本 紀 ) 의자왕( 義 慈 王 ) 에 서안( 書 案 )이 있고 고구 려( 高 句 麗 )에 관한 것으로는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잡지 제 1 제사( 祭 祀 ) 에 북사( 北 史 ) 의 기록 을 인용하여 부여신( 夫 餘 神 )인 하백( 河 伯 )의 딸과 고등신( 高 登 神 )인 주몽( 朱 蒙 )의 목상을 만들어 섬 긴다고 하였다. 와 관련된 신라의 관청으로는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잡지( 雜 志 ) 제 8 관직( 官 200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01

3 職 ) 중( 中 )에 마전( 磨 典 : 梓 人 房 ) 기개전( 机 槪 典 : 机 盤 局 ) 양전( 楊 典 : 司 扮 局 ) 칠전( 漆 田 : 食 器 房 ) 등의 명칭이 있다. 같은 책 잡지( 雜 志 ) 제 9 관직( 官 職 ) 하( 下 )에는 북사( 北 史 ) 를 인용하여 백제의 관직을 언급하 였는데 11개의 내직( 內 職 ) 중에 목부( 木 部 )가 포함되어 있다. 고구려의 쌍영총( 雙 楹 塚 ) 무용총( 舞 踊 塚 ) 사신총( 四 神 塚 ) 각저총( 角 低 塚 ) 등의 고분 벽화 에는 평상 의자 탁자 등의 그림이 있어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백제시대인 300년 경에 조성된 서울 석촌동( 石 村 洞 ) 대형 토광묘에서 출토된 목심칠기들은 쟁 반 반( 盤 ) 사각반( 四 角 盤 ) 이배( 耳 杯 ) 등으로 재료는 향로 확인되었으며 외면은 흑칠( 黑 漆 ) 바탕에 주칠( 朱 漆 )로 거치문대( 鋸 齒 文 帶 )를, 내면은 흑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백제 무녕왕릉 출 토의 두침( 頭 枕 )과 족좌( 足 座 )는 백제공예( 百 濟 工 藝 )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예이다. 신라의 것을 들면 경주 금관총( 金 冠 塚 )에서는 연화당초문칠합( 蓮 花 唐 草 文 漆 盒 )이, 금령총( 金 鈴 塚 )에서는 칠잔( 漆 盞 ) 평저칠발( 平 底 漆 鉢 ) 고배( 高 杯 )가, 식리총( 飾 履 塚 )에서는 이배( 耳 杯 )가, 서봉총( 瑞 鳳 塚 )에서는 칠잔( 漆 盞 ) 합( 盒 )이, 천마총( 天 馬 塚 )에서는 주칠화잔( 朱 漆 畵 盞 ) 동명칠 잔( 董 銘 漆 盞 ) 주칠조형배( 朱 漆 鳥 形 杯 ) 압형배( 鴨 形 杯 ) 칠고배( 漆 高 杯 ) 유개표자형칠기( 有 蓋 杓 子 形 漆 器 ) 봉두식주칠화각배( 鳳 頭 飾 朱 漆 畵 角 杯 ) 칠원반( 漆 圓 盤 ) 은장주칠칠절반( 銀 裝 朱 漆 七 折 盤 )이, 황남대총에서는 칠잔( 漆 盞 ) 마랑명칠잔( 馬 朗 銘 漆 盞 ) 원통형칠잔( 圓 筒 形 漆 盞 ) 동명 칠이배( 董 銘 漆 耳 杯 ) 사절방합( 四 折 方 盒 ) 평저칠합( 平 底 漆 盒 ) 등이 출토되었다. 신라( 新 羅 ) 안압지에서는 호비칼로 판 두레박과 벼루 합( 盒 ) 반( 盤 )류의 목심칠기가 출토되 었다. 조의 33년(고종33, 1246)에 최이( 崔 怡 )가 임금을 위해 연회를 베풀면서 설치한 안( 案 ) 등이 있다. 고 려사( 高 麗 史 ) 권 27 원종( 元 宗 ) 13년 3월 갑진( 甲 辰 )에 설치한 전함조성도감( 鈿 函 造 成 都 監 )은 원나 라 황후의 경함( 經 函 )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이때 제작된 경함은 우리나라에는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일본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경함들로 당 시 경함의 형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또 권 85 지( 志 ) 제 39 형법( 刑 法 ) 금령( 禁 令 ) 3의 공양왕( 恭 讓 王 ) 3년(1391) 3월에 중랑장 방 사양( 中 郞 將 房 士 良 )이 이제부터 구리와 쇠로 만든 그릇을 금하고 오로지 자기와 목기를 써서 습속을 고치도록 하소서 하여 이를 가납하였다 고 하였다. 고려도경( 高 麗 圖 經 ) 에 기록된 목공예품 명칭은 제 5권 왕부( 王 府 ) 의 탑( 榻 ), 제 21권 산원 ( 散 員 ) 의 반( 盤 ), 제 22권 잡속일( 雜 俗 一 ) 의 조두( 俎 豆 ), 향음( 鄕 飮 ) 의 상탁( 牀 卓 ) 좌탑( 坐 榻 ) 소조( 小 俎 ), 제 23권 잡속이( 雜 俗 二 ) 의 함지박, 제 26권 연의( 燕 儀 ) 의 탁( 卓 ), 하절석( 下 節 席 ) 의 상탁( 牀 卓 ) 소조( 小 俎 ), 27권 도할제할위( 都 轄 堤 轄 位 ) 의 탑( 榻 ), 28권 좌탑( 坐 榻 ) 연대 ( 燕 臺 ) 단칠조( 丹 漆 俎 ) 흑칠조( 黑 漆 俎 ) 와탑( 臥 榻 ), 제 32권 등비( 藤 ) 도필( 刀 筆 ), 33권 궤 식( 饋 食 ) 의 반독( 盤 : 소반과 쟁반) 등이다. 고려시대의 목공예와 관련된 부서로는 도교서( 都 校 署 ), 공조서( 供 造 署 )가 있었다. 도교서에는 목업 담당 장인이 있었으며 잡작국( 雜 作 局 )이라고도 하였고 후에 선공시( 繕 工 寺 )에 합쳤다. 공조서 에는 소목장( 小 木 匠 ) 마장( 磨 匠 )이 있어 왕이 쓰는 기구와 장식물 등의 목물을 제작하였는데 중상 서( 中 尙 署 )라고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공조서라 하였다. 고려사( 高 麗 史 ) 에는 소목장( 小 木 匠 )이라는 직함이 있어 국가와 왕실 수요의 목공예품을 제작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 高 麗 史 ) 의 목공예 관련 기록으로는 세가 7 문종( 文 宗 )1 의 즉위년(1046) 5월 기해일 ( 己 亥 日 )에 돌아가신 임금[ 靖 宗 ]이 사용하던 기상( 倚 床 )과 답두( 踏 斗 )는 전부가 금은( 金 銀 )으로 장 식되었는데 그것을 동철( 銅 鐵 )로 고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라는 기록이 있다. 고려사( 高 麗 史 ) 제 59권 및 60권의 길예대사( 吉 禮 大 祀 :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에 관한 예식)와 제 65권 빈례( 賓 禮 : 외국손님을 맞이하는 의식) 및 제66 67권 가례( 嘉 禮 : 결혼, 책봉 등의 경사스 러운 의식)에는 찬반( 瓚 盤 ) 목작( 木 爵 ) 변두( 邊 頭 ) 조( 俎 ) 향안( 香 案 ) 교상( 絞 床 ) 포상( 鋪 床 ) 책함안( 冊 函 案 ) 과안( 果 案 ) 화안( 花 案 ) 조함( 詔 函 ) 책함( 冊 函 ) 표함( 表 函 ) 과함( 果 函 ) 과 함께 사상( 箱 : 치포관을 담는 상자) 즐상( 櫛 箱 ) 관상( 冠 箱 ) 필연안( 筆 硯 案 ) 고상( 高 床 ) 등 목공예품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 고려사( 高 麗 史 ) 권 제 121 열전( 列 傳 ) 제 36 주인원( 朱 印 遠 ) 에는 황마포 이롱( 黃 麻 布 二 籠 )이라는 기록도 있고, 권 제 129 열전 제 42 최충헌( 崔 忠 憲 ) 시대의 문신 어득강( 魚 得 江, 1470~1550)이 쓴 기물명( 器 物 銘 ) 20수에는 관( 冠 ) 띠[ 帶 ] 신 [ 履 ] 베개[ 枕 ] 이불[ 衾 ] 휘장[ 帳 ] 옷상자[ ] 횃대[ ] 솥[ 鼎 ] 거울[ 鏡 ] 빗[ 櫛 ] 자[ 尺 ] 도장 [ 印 ] 술잔[ ] 거문고[ 琴 ] 궤( 櫃 ) 평상[ 榻 ] 검( 劍 ) 병풍[ 屛 ] 등이 있다. 유중임( 柳 重 臨 )은 증보산림경제( 增 補 山 林 經 濟 ) 에서 가중 일용지기물( 家 中 日 用 之 器 物 )을 갖추지 못함이 한 가지라도 있으면 매양 남의 것을 빌어 쓰기 어려우니 반드시 힘이 미치는 대로 차 근차근 준비하되 편리함과 정고( 精 固 )함을 위주로 해야 할 것이다. 라고 가중기물( 家 中 器 物 )의 편 리 정고( 精 固 ) 실용성을 주장하면서 주중기물( 廚 中 器 物 ) 방청기용( 房 廳 器 用 ) 제중기용( 齋 中 器 用 ) 농작제구( 農 作 諸 具 ) 방적구( 紡 績 具 ) 잡기용류( 雜 器 用 類 ) 제용제물( 祭 用 諸 物 )등의 세부 물목( 物 目 )을 기록하였다. 이들 물목은 모든 생활용품을 망라하였는 바 그 세부 물목은 당시의 세 간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중 실내에서 사용하는 목기 목물 중 와 관련된 것으로 부엌세간[ 廚 中 雜 物 ]으로는 목통 ( 木 桶 ) 목절구[ 木 臼 ] 공이[ 杵 ] 바가지[ 瓠 瓢 ] 이남박[ 齒 瓢 ] 석작[ ] 매통[ 木 磨 ] 개수통[ ] 됫박 [ 斗 升 ] 열말 되[ 斛 ] 찬장( 饌 欌 ) 뒤주[ 斗 支 ] 귀함지[ 木 耳 朴 ] 소반[ 盤 ] 등을, 방과 마루세간에는 202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03

4 농( 籠 ) 상( 箱 ) 광( 筐 : 대로 엮은 옷상자) 사( ) 목궤( 木 ) 층탁자( 層 卓 子 ) 탁자( 卓 子 ) 옷 장[ 衣 欌 ] 자[ 尺 ] 빗접[ 梳 貼 ] 화장구 등을, 사랑채 세간으로는 거문고[ 琴 ] 퉁소[ 洞 簫 ] 서안( 書 案 ) 평상( 平 床 ) 팔걸이 가께수리[ 倭 ] 등경( 燈 ) 서등( 書 燈 ) 벼루집[ 硯 匣 ] 필통( 筆 筒 ) 죽고비( 竹 高 飛 ) 걸상[ 木 坐 榻 ] 책장[ 書 欌 ] 매장( 梅 欌 : 梅 花 盆 을 넣어두는 장) 대발[ 竹 簾 ] 대야[ 木 器 ] 바둑판[ 棋 局 ] 죽피방석( 竹 皮 方 席 ) 고은 대자리[ 竹 細 ] 나막신[ 木 履 ] 총채 [ 塵 尾 ] 약롱( 藥 籠 ) 약연( 藥 硏 ) 지팡이[ 杖 ] 전판( 剪 板 ) 우산( 雨 傘 ) 등을, 제례용 제용제물( 祭 用 諸 物 )로는 자리[ 地 衣 ] 단석( 單 席 ) 면석( 面 席 ) 촛대( 燭 臺 ) 병풍( 屛 風 ) 상탁( 床 卓 ) 향상( 香 床 ) 교의( 交 椅 ) 등을 기록하고 그 말미에 인가( 人 家 )의 기용( 器 用 )이 매우 많으니 어찌 능히 다 기 술하겠는가? 그 중에 가장 기요한 것만을 대략 기록하는 바 라 하였다. 시대 후기 백과사전인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林 園 經 濟 志 ) 섬용지( 贍 用 志 ) 와 이운지( 怡 雲 志 ) 에는 일상생활에 소용되는 가구기물의 명칭과 특징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섬용지 의 취사준비에 소용되는 취촌지구( 炊 之 具 )에 가지[ 木 瓢 ] 통[ 木 桶 ] 장 군[ 木 缶 ] 체[ 篩 ] 버들고리[ 篩 籠 ] 국수틀[ 麵 搾 ] 떡살[ 餠 案 ] 다식판[ 茶 食 模 ] 도마[ 俎 ] 떡칼[ 餠 刀 ] 소반[ 槃 ] 왜반( 倭 盤 ) 화반( 華 盤 ) 쟁반( 錚 盤 ) 찬합( 饌 盒 ) 등합( 藤 盒 ) 죽합( 竹 盒 ) 목합 ( 木 盒 ) 죽상( 竹 箱 ) 광주리[ 筐 ] 뒤주[ 斗 廚 ] 찬장[ 饌 廚 ] 궤[ 木 櫃 ] 곡갑( 穀 匣 )이 있고 복식 을 보관하는 데에 횃대[ ] 채상( 彩 箱 ) 버들고리[ 柳 箱 ] 의롱( 衣 籠 ) 의장( 衣 欌 )이 있으며 몸단장 하는 데에 대야[ 木 盆 ] 목욕통[ 浴 盆 ] 빗접[ 梳 匣 ] 각종 빗 빗치개가 있다. 눕기 위한 것으로는 침대[ 臥 床 ] 죽점침( 竹 枕 ) 퇴침( 退 枕 ) 죽침( 竹 枕 ) 나전침( 螺 鈿 枕 ) 죽부인이 기록되어 있다. 좌구( 坐 具 )로는 의자[ 椅 ] 등걸[ ] 등상[ 橙 ] 연궤[ 燕 ] 탁자[ ]가 있으며 기타 잡구( 雜 具 )에 구장( 鳩 杖 ) 전수장( 田 水 杖 ) 연초갑( 煙 草 匣 ) 재판[ 煙 灰 槃 ]이 있다. 이운지 의 의자류[ 牀 榻 ]에는 이의상( 二 宜 牀 ) 대의자[ 竹 榻 ] 등받이[ 背 ] 고궤( ) 의상( 床 ) 취상( 醉 床 ) 단탑( 短 榻 ) 선의( 仙 椅 ) 은궤( 隱 ) 나판( 懶 版 ) 천연탑( 天 然 榻 ) 선 의( 禪 椅 )가 있다. 음식 그릇[ 餌 具 ]에는 찬합( 饌 盒 ) 죽발( 竹 鉢 ) 향연반( 香 盤 )이 있다. 문방아제( 文 房 雅 製 )에는 묵갑( 墨 匣 ) 묵상( 墨 床 ) 연갑( 硯 匣 ) 연산( 硯 山 ) 연병( 硯 屛 ) 도서 갑( 圖 書 匣 )이, 서실잡기( 書 室 雜 器 )에는 서상( 書 牀 ) 의안( 案 ) 서등( 書 燈 ) 문구갑( 文 具 匣 ) 서 가( 書 架 )가 있고 도서장방( 圖 書 藏 訪 )에는 서주( 書 廚 ) 서함( 書 函 ) 목갑( 木 匣 )이 있다. 위의 명칭에서 보이는 왜반( 倭 盤 )이나 화반( 華 盤 )은 설명할 필요도 없이 일본과 중국의 것 또는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임원경제지( 林 園 經 濟 志 ) 의 인용서목( 引 用 書 目 ) 중에는 중국서적( 中 國 書 籍 )과 일본서적( 日 本 書 籍 )도 있어 당시 중국과 일본의 영향도 있었음이 확인된다. 또 흥보가( 興 甫 歌 ) 중의 박타령( 朴 打 令 )에는 안방세간 사랑세간 부엌 헛간기물( 器 物 ) 농사연장 길쌈용구를 거의 빠짐없이 망라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 내용 중 목공예와 관련된 것은 다음과 같다. 안방세간으로는 삼층 이층 단층장, 오합( 五 合 ) 삼합( 三 合 ) 자드리상자( 箱 子 ), 지롱( 紙 籠 ) 목롱( 木 籠 ) 자개함롱( 函 籠 ) 뒤주장( 欌 ) 앞닫이 혼합경대 쌍용( 雙 龍 )을 그린 빗접고비 바느 질상자 반닫이 선반 횃대 키 큰 병풍 작은 병풍 등이며 사랑세간으로는 문갑 책상 가께 수리 퇴침 찬합 사서삼경 백가어( 四 書 三 經 百 家 語 )를 가득 담은 책롱( 冊 籠 ), 부엌 세간으로는 소반 모반 채반이며, 대소쿠리 함지 함박 등의 세간 명칭을 나열하였다. 고려도경( 高 麗 圖 經 ) 제 19권 민서( 民 庶 ) 에는 산림이 지극히 많고 넓고 평평한 땅이 적기 때 문에 경작하는 농민이 공장이를 따르지 못한다. 또 공기( 工 技 ) 에 고려는 공장이의 기술이 지극 히 정교하여 그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이는 다 관아에 귀속되는데 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고려사 ( 高 麗 史 ) 지( 志 ) 제 34 제아문공장별사( 諸 衙 門 工 匠 別 賜 ) 에 300일 이상 복무한 자에게 문종 30년에 정한 급료는 중상서( 中 尙 署 ) 소속 소목장지유승지( 小 木 匠 指 諭 承 旨 )와 소목장행수교위( 小 木 匠 行 首 校 尉 )가 쌀 10섬이며 도교서( 都 敎 署 )의 목업지유( 木 業 指 諭 ) 20섬, 목업행수교위( 木 業 行 首 校 尉 ) 10섬 이었다고 한다. 위의 기록들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뛰어난 장인은 모두 관청에 속해 있었으며 생활정 도는 농민보다 좋고, 맡은 바 일에만 전념 할 수 있어 우수한 공예품이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대는 건국초기인 태조 1년 7월 문무백관의 관제를 정하였는 바 목공에 관련된 부서로는 공조( 工 曹 )와 선공감( 繕 工 監 ), 공조서( 供 造 署 ) 등이 있었다. 공조는 공장( 工 匠 ), 조작( 造 作 )의 일을 관장하였고 선공감은 재목 영선( 營 繕 )의 일을, 공조서는 죽물( 竹 物 )의 일을 관장하였다. 태종 15년 4월 10일 선공감에 명하여 숙련된 목수 100명을 선발하여 장부에 올리게 한 것이 경 공장( 京 工 匠 )의 효시라 할 수 있다. 세종 7년 4월 28일에 공조에 있는 각색장인의 수가 부족하므로 양민, 공천( 公 賤 ), 별호( 別 戶 )의 사천( 私 賤 )이라도 재주있는 자는 공장( 工 匠 )이 스스로 고하여 채워 정하게 하되 사사로이 배운 자가 없으면 각 관청의 노자( 奴 子 )로 견습생으로 두었다가 결원이 생기 면 보충하도록 하는 것을 법식으로 삼았다. 세종 16년에는 병조와 군기감( 軍 器 監 ) 제조가 공장의 인원을 증가할 것을 건의하여 소목장 9인 에서 11명을 증원하여 달라고 하는 요구를 그대로 따랐다고 하였다. 세종 초기에는 주자하는 일과 같은 중한 일을 하는 장인에게는 처자의 월료[가족수당]를 주고 그 공에 따라 서반군직( 西 班 軍 職 )에 임명하고 행랑살이 하는 공장의 납세를 감면해주고 사적으로 공장 을 부리는 관료를 옥에 가두는 등 장인에 대한 처우가 좋았다. 그러나 병조와 의정부 등에서 공장의 서반군직 임명은 옳지 않다고 하여 상림원에 예속시켜 양천을 구별하게 되었다. 또 세자의 병회복 으로 인한 경사로 많은 관직에 가자( 加 資 )하였으나 천구( 賤 軀 )와 공장은 제외하였다. 문종 즉위년 12월에 공조의 공장들이 체아직을 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윤허하지 않았다. 세조 6년 8월 1일 병조의 소목장은 21인이며 선공감의 목수는 100인이었다. 그러나 성종 16년 204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05

5 (1474)에 수정 간행한 경국대전( 經 國 大 典 ) 공장( 工 匠 ) 에 경외( 京 外 )의 공장( 工 匠 )은 적( 籍 )을 작 성하여 본공조( 本 工 曹 ) 본사( 本 司 ) 본도( 本 道 ) 본읍에 비장하여 둔다. 하여 서울에 경공장을, 지방에는 외공장을 두었다고 하였다. 이는 제궁( 諸 宮 ) 각사( 各 司 )의 공업품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그중 목장( 木 匠 )은 군기시( 軍 器 寺 )에 4인, 교서관에 2인, 선공감에 60인, 조지서에 2인, 귀후 서에 4인 등 총 72인에 불과하였고 외공장으로는 경기도에 37인, 충청도에 56인, 경상도에 69인, 전 라도에 59인, 강원도에 28인, 황해도에 26인, 영안도에 22인 평안도에 26인 등 총 323인이었다. 중종 32년 4월에 정원에 전교하기를 세종 조에서는 백공의 기예를 장려하여 장인들이 일에 정 진하도록 독려하여 백공들의 기예가 지극히 정교하였다. 그러므로 법을 세워 장인들의 기술에 전력 하도록 하였으나 유사( 攸 司 )가 그대로 거행하지 않아 없어진 분야가 많으며 있다 하더라도 한 분야 에 한 사람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자신의 업에 충실하도록 해야 한다. 고 하여 장인의 분야 및 수를 늘리도록 하였으나 그대로 시행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인조 3년 5월 29일에는 각사의 공장 과 군병은 헛된 장부만이 간직되어 있다고 하였다. 광해 5년 8월 18일 사헌부에서 난리를 겪은 뒤 군민의 피해, 부역의 폐단 등을 금지하기를 청한 내용에 해변의 방어를 위해 통제영( 統 制 營 )을 설치하였으나 군기( 軍 器 )를 갖춘다는 핑계 하에 삼 로( 三 路 ) 열읍( 列 邑 )의 재능있는 공장들을 모두 모아 각종 기구를 제작하게 하여 남에게 뇌물을 써 명예를 구할 터전을 삼고 있다. 하여 통제영에서의 공예품이 양산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제영에서의 공예품 양산은 목민심서( 牧 民 心 書 ) 제 6조 장작( 匠 作 )에서도 볼 수 있다. 그 내 용은 이수일이 통제사가 되었다. 종래에 이 직임을 맡은 자는 날마다 직공들을 시켜서 기괴하고 요 사스러운 물건을 만들어 권력이 있거나 귀현( 貴 顯 )한 자들을 섬기어 그 비용이 달마다 천( 千 )으로 계산하게 되었다. 와 청비속록 을 인용한 글에 손이 관부 책방에 들어가 보니 바야흐로 형사( 荊 司 : 싸리상자) 5~6짝을 만들고 있는데 중으로 하여금 바르고 또 깎고 한다. 한쪽에는 기교가 좋은 목공이 두어 사람 앉아서 남자의 교자 여자의 교자 황백농 칠소반 등을 만드는데 톱 질하고 또 조각하곤 하여 구름의 모양을 새기고 있다. 곧 주공( 主 公 )의 탐욕스런 창자와 먹같은 뱃속이 여자의 청알( 請 謁 )에 빠진 것을 알 수 있다. 하여 위의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아울러 통 영이 우리나라 공예품의 산지가 된 연유를 알 수 있게 한다. 광해 9년 3월 23일 선수도감이 아뢰기를 서울에 사는 재주있는 공장이들은 모두 다 사대부의 집으로 들어가서 도감에서는 부릴 수가 없다고 하였으며 그나마 영건도감에서는 공장( 工 匠 )을 사사 로이 민가에 빌려주는 일을 자행하기도 하여 이를 엄히 다스리도록 하였다는 광해 10년 5월 26일의 기록은 장인이 하는 일의 수요가 막대하며 장인을 이용한 부정이 횡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 이라할수있다. 이후관에예속된장인의수는점차줄어영조22년 속대전( 續 大 典 ) 을 편찬할 때 에 이미 외공장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음은 그 말미에 기록된 원전( 原 典 ) 때에는 각도( 各 道 ) 각 읍( 各 邑 )에 공장( 工 匠 )의 명색( 名 色 )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외공장은 그 성적( 成 籍 )을 본도( 本 道 ) 에 비장( 備 藏 )하는 법이 없이 관에서 사역( 使 役 )이 있을 때에는 사공( 私 工 )을 임용( 賃 用 )한다. 고로 속전( 續 典 ) 때에도 역시 여기에 대해서는 거론( 擧 論 )이 없다. 지금은 원전( 原 典 )을 좇아 일도내( 一 道 內 ) 각읍의 공장의 명색( 名 色 ) 액수( 額 數 )를 계( 計 )하여 기록함으로써 번잡을 생략하고 구제( 舊 制 ) 를 보존하는 것이다. 라는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경공장에 속한 목장의 숫자도 줄었음은 정 조 10년 대전통편( 大 典 通 編 ) 을 작성할 당시에는 이미 귀후서가 혁파된 것으로 미루어 알수있 다. 이와 같이 경공장에 속한 목장( 木 匠 )들은 재신 및 명관의 집으로 투탁하여 일을 하면서 판매도 겸하여 부를 축적하게 되어 18세기 말경에는 서울에서 칠목기전 목기전 등을 자영하게 되었고 그 곳에서 장 농 소반 목기 등 상품화된 목물을 판매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는 서울의 극히 일부 우수한 장인에 불과하고 지방의 외공장들은 마을의 집 수리와 혼사가 있는 집안의 가구짜기 등으로 생계를 이었으며 주문이 없는 경우 연장통을 메고 전 국을 다니며 일을 하였다. 19세기 초에 기록된 임원경제지( 林 園 經 濟 志 ) 에는 총 1,108곳의 팔도 시 장 명칭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중 취급 상품명이 기록된 곳은 164곳으로 이들 중 80여 곳에서 목기 를 판매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종 31년 6월 28(계유 : 癸 酉 )일에 의정부 이하 각 아문의 관제를 개정하여 총무국에서 모든 장 공인( 匠 工 人 )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사무와 모든 장공인들의 명단을 작성하는 동시에 기사를 고용하 여 일본식 기술을 학습하는 등의 일을 맡아 보도록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전통 목공예의 특수 한 짜임 기법은 이때부터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 서구 문물의 급격한 유입과 한국전쟁의 와중 속에 그 명맥을 근근이 이어온 몇 안 되는 전통 목 공장인들은 일을 배우고자 찾아오는 어린아이들에게 보수 없이 몇 년 동안 잔심부름을 시키면서 기 능을 전수하는 도제제도에 의해 후계자를 키웠다. 수년의 세월이 지나 스승으로부터 장인으로서의 기능과 능력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면 연장 한 벌을 주어 독립을 시켰다. 광복 이후 국가에서는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한 기 예능분야의 기능을 지닌 여러 종목의 장인과 예능인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지정하면서 1975년에 비로소 제 55호 소목 장이 지정되었고 그들 기능의 전 과정을 이수한 보조자[조교]를 인정하고 있다. 또 각 대학에서는 목공 관련 학과를 개설하여 목공 분야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있다. 우리의 전통 목공예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 특수한 짜임으로 짜여져 매우 견고하며 의 결을 살려 소박하며 오래 사용하여도 실증을 느끼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적절한 비례와 균형으로 짜 여지고 목리가 뛰어난 목기들은 독특한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수많은 목기 유물들 중에도 이러한 아름다움을 갖춘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아름다운 목기들은 이미 오래 전에 외 국으로 반출되었거나 국내에 있더라도 박물관이나 애호가들의 가정에 소장되어 일반인이나 소목 장들이 대할 수 있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206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07

6 숙련된 목공 기능인이 되기 위해서는 십 수년의 도제기간을 거쳐야 되며 그러한 인고의 세월이 지나도 윤택한 삶을 보장받지 못하므로 소목일을 배우고자 하는 희망자가 없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 실이다. 모든 제품이 그러하듯이 우수한 목공예품도 수요와 공급이 적절해야 하는 시장원리가 적용된다 고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장인들의 숙련된 솜씨와 미적 감각이 가미되어야 하며 적정한 가격이 형성되면 목공예 분야의 활성화는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다. 소목장 중 경제적인 어려움을 크게 겪지 않는 장인들은 과거에 박물관의 유물을 수리한 경험이 있거나 국가의 지원으로 해외 전시를 경험한 장인들이다. 대다수의 장인들은 전통적인 기법과 숙련된 기능은 지녔으나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 목공예를 볼 기회가 없어 과거 스승으로부터 배운 방식과 규격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실정이다. 이번 시연을 곁들인 한국의 전통 공예 전시는 관객들이 전통 목공예의 진수를 깊히 느낄 수 있 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 박물관 연구직과 소목장과의 유대관계도 긴밀하게 이루어져 목기제작이 나 전시자료 등에 관한 협조 체제를 갖춘다면 박물관 전시와 사회교육, 소목작업 모두에 활성화가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Korean Wooden Crafts Kim Samdaeja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Woodworking and Furniture Design, Hongik University) 1. Introduction Woodcarving is a classical art form of creating handcrafted wood items. The pieces of woodcarving have been called Mokmul or Mokgi. The former represents all things made of wood, while the latter stands for household furniture made of wood in a broad sense, but only wooden kitchenware in a narrow sense. In Korea, abundant wood resources have been available from long time ago, as large parts of its territory are wooded, mountainous areas. People have built wooden houses to live in and used wood to make their utensils and work tools. According to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a geography book compiled in 1530), there were mokgi stores that sold a variety of wooden products such as wooden platters, ssarinong, winnows, and chests. Among them, the most famous were Sang mokgi jeon located in front of government ministry buildings and Ha mokgi jeon in Ihyeon. In addition, there were specialized mokgi stores called Chil mokgi jeon around Hyogyeong gyo. They are known to have mainly handled wooden lacquerware, including wardrobes and paper cabinets. This suggests that the term mokgi was widely used at that time. However, mokgi burns well and is weak against humidity. Due to the lack of records about or remains of mokgi, it s hardly possible to find out its types throughout the history at present. Most relics found in old tombs are Chilgi (lacquered ware). Speaking of pure mokgi, it seemed nothing has remained. Therefore, the types of mokgi in the past can be only estimated through chilgi. Most of the Moksim chilgi (wooden lacquerware) items found in tombs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are craftworks, which were used as household utensils in the upper-class families. In the Goryeo dynasty, the luxurious ceramic and bronze wares were substituted for mokgi. There were memorials to kings during the last years of the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families and the upper classes had the joiners, who were under 208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09

7 the control of central government, make mokgi and used it for banquets, religious rites, and rituals. The commers, on the contrary, made household wares for themselves or bought them from local handicraftsmen. The mountain village residents, above all, made most household wares by wood and even earned good money by selling them. Afte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in 1945, a felling was strictly forbidden. Besides, our life pattern has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mokgi has gradually disappeared in our daily life. Due to a wide use of veneer boards, especially, our traditional wood-product manufacturing crafts have even confronted with the crisis of severance. 2. Woodcarving History Exactly when wooden craft items were first used in Korea is unknown, but judging from documentary records and excavated relics it dates back to at least the first century. According to the Dongi Yeoljeon of Huhanseo (a history book), Dongi (Koreans labeled as eastern bowmen or eastern barbarians) used bird heads as vessels; In Buyeo and Dong Okjeo, people used a long wooden receptacle when they held a funeral. It was as large as to accommodate other members of a family. A door was set up at one end of the receptacle so that the body could be put into it. A receptacle had wooden figures carved on as they were while in life and the number was the same as the number of bodies put in it. Excavated in 1988, the Daho-ri remains (1st~2nd century BC) of Changwon, Gyeongnam, included log coffins, bamboo boxes with grave goods, and moksim chilgi items (such as wonhyeongdu, banghyeongdu, and yugaetong). Until the chilgi items were discovered in the place, there had been a belief that Korea s chilgi culture was influenced by Nakrang. From the discovery, however,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y had a Korea s own contemporary style different from Chinese lacquerware as their form prove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black-colored Mumun-Togi (no-pattern earthenware) items: Duhyeong-Togi (mounted dish earthenware) and Tonghyeong-Togi (bamboo-shaped earthenware). 1) Mokmuland mokgi of the Three Kingdoms and Silla dynasty The Silla section of Samgukyusa (The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overs records about a large chest in its King Talhae part; Sageumgap in its Tale of Sageumgap part; a wooden lion doll in its King Jijeung part; a cherry barrel in its King Gyeongdeok, Chungdamsa Temple, and Pyohundaedeok parts; and a wooden table in its Seonyul Hwansaeng part. And the Gaya section of the same book, or Garakgukgi (Historical Records of the Gaya Kingdom), keeps a record of wooden chairs and tables used in the Silla Kingdom. Samguksagi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cludes records of a large chest in its Talhae Nisageum part and a chair and stick in its King Munmu part. In the King Euja part of Baekje Bongi (The Main History of Baekje), there is a record of desks used in the Baekje Kingdom. For the Goguryeo Kingdom, Samguksagi records that people served a daughter of Habaek (a tribal god of Buyeo) and the kingdom s high-class god Jumong with their wooden figure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rees and wood resources, Samguksagi shows that the Silla Kingdom had eight government positions; Four of them were each titled Majeon (Jaeinbang), Gwegaejeon (Gwebanguk), Yangjeon (Sabunguk), and Chiljeon (Sikgibang). While mentioning the government positions of the Baekje Kingdom, the book also quotes Buksa (The Northern History) as saying that Baekje had the Ministry of Tree and Wood Resources among its 11 government branches. The mural paintings on the walls of Goguryeo s tombs (such as Ssangyeongchong, Muyongchong, Sashinchong, and Gakjeochong) help us guess the living conditions of those times as they show wooden benches, chairs, and tables. Including plates, trays, quadrangular trays, and cups, some moksim chilgi articles made of aromatic trees were discovered in the Togwangmyo Tombs (wooden coffin tombs), which are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Baekje Dynasty around AD 300. For each of them, the outside surface has sawtoothed purple-lacquered bands on a black lacquer base, while the inside is blacklacquered overall. A pillow and footrest discovered in Munyeongwangneung (The Tomb of King Munyeong) ar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from which we can see Baekje s advanced crafts, at least partly. As examples of showing Silla s arts and crafts, a variety of wooden articles including cups, trays, plates, bowls, and other chilgi vessels were excavated from many tombs of the dynasty in Gyeongju; Kimgwanchong, Kimnyeongchong, Sikyichong, Seobongchong, Cheonmachong, and Hwangnamdaechong. And discovered in Anapji Pond were buckets and inkstones made with a hooked router and brass bowls and trays as moksim chilgi lacquerware. 2) Mokmul and mokgi of the Goryeo dynasty From Goryeosa (The History of Goryeo), we can see that joiners titled Somokjang made 210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11

8 pieces of joinery to supply the demand from the country and royal families. In the book, there is also a record showing that King Munjong said in May 1046 (the first year of his reign) that all the gold and silver ornaments of the saddle and footboard his predecessor King Danjong had used before death should be redecorated with bronze or iron. In addition, Goryeosa introduces various types of bowls, trays, tables, desks, cases, and boxes, with many other wooden craft items such as sasang (a coffer for coronets), jeulsang, gwansang, pilyeonan, and gosang, covering national ceremonies for ancestral rites in its 59th and 60the volumes, formalities of receiving foreign guests in its 65th volume, and royal ceremonies in its 66th and 67th volumes. The book s 121st volume (in its Part 36 Juinwon) keeps a record of two bamboo vessels with yellow hemp cloth, and the 129th volume writes in its Part 42 Choi Chungheon that Choi Yi set up a desk in 1246 (the 33rd year of King Gojong), while giving a feast in honor of King Gojong. The record of Jeonham joseong dogam (a government office) in Goryeosa s 27th volume shows that it was set up in March of the 13th year of King Wonjong and supports the presumption that it was a provisional government office that produced gyeongham (book boxes), which are found in America, Britain, and Holland, as well as Japan. In the Prohibitory Decree 3 of its Part 39 The Criminal Law, the 85th volume writes that in March 1391 (the 3rd year of his reign) King Gongyang accepted General Bang Sa Ryang s advice: The use of copper and iron vessels and bowls should be prohibited and people should be forced to use woodenware only so that their folkways could be corrected. Goryeodogyeong (A Custom Guide of Goryeo) contains records of various woodenware items: chairs in the Wangbu part of its 5th volume; plates and trays in the Sanwon part of its 21st volume ; dressing boards in the Japsok I part of its 22nd volume and flat benches, chairs, and small dressers in the Hangeum part; bowls and porringers in the Japsok II of its 23rd volume; chairs in the Yeonui part of its 26th volume and flat benches and small dressers in the Hajeolseok part; chairs in the Dohaljehalwi part of its 27th volume; chairs, couches, and redand black-lacquered dressers in its 28th volume; brushes in its 32nd volume; and small dining tables and trays in its 33rd volume. The Goryeo dynasty had Dogyoseo and Gongjoseo as government bodies related to woodcraft. Dogyoseo kept craftsmen to take responsible for woodworking. It was also called Jajakguk and later absorbed into Seongongsi. Gongjoseo took in joiners and craftsmen called Majang who engaged in making wooden tools and ornaments for Kings. It had been also called Jungsangseo before it had the name Gongjoseo. 3) Mokmul and Mokgi of the Joseon dynasty Eo Deuk Gang (1470~1550), a civil minister in the Joseon dynasty, wrote 20 pieces of poetry with 20 utensils: coronet, band, shoes, pillow, bedding, curtain, clothes chest, clothes rack, pot, mirror, comb, ruler, seal, glass, geomungo, coffer, flat bench, sword, and folding screen. In his Jeungbo Sallimgyeongje (a revised and enlarged version of Sallimgyeongje by Hong Man seon), Yu Jungrim emphasized the convenience and practicability of household necessaries by writing If you don t have anything of household necessaries, it will be difficult to borrow it from others whenever you need it. Therefore, you should prepare them one by one and step by step, focusing on their convenience and duration. In the book, he also listed many other required articles. As the list includes almost all living necessaries. It in itself is an important datum in understanding household effects of the times. As indoor woodenware is among them, the list covered a variety of kitchen utensils including barrel, bucket, mortar, pounder, gourd, container, cupboard, dresser, grain chest, tray, and plate; household furnishings for use in bedrooms and on the floor including basket, cabinet, chest of drawers, table, clothes chest, wardrobe, ruler, and comb box; and household goods for use at the male quarters called sarangchae including geomungo (a musical instrument), tungso (a musical instrument), desk, flat bed, armrest, safe, lamp, lantern, inkstone case, pencil vase, chair, bookcase, baduk board, basin, bamboo mat, rain shoes, cushion, mortar, mattress, candleholder, desk, and table. And he wrote at the end of the list : There would be numerous necessaries in a household, but how is it possible to mention all of them here? This is meant to be a list of the most required things. Imwon gyeongje ji, (an encyclopedia written by Seo Yugu in the late Joseon dynastry), introduces the names and features of various utensils and pieces of furniture as living necessaries in its Seomyongji and Yiunji sections. The Seomyongji section covers a large number of wooden items such as gourd, bucket, sieve, basket osier, barrel, noodle-making machine, rice-cake pattern, dasikpan (a board for pressing patterns in small cake), dressing board, cake knife, dining table, plates (waeban or hwaban), trays, picnic boxes, cane bowls, bamboo bowls, bamboo cases, baskets, rice bins, cupboard, coffer, and grain chest as necessaries for cooking and kitchen work; such as clothes rack, bamboo sheath, basket osier, suitcase, and clothes chest as necessaries for keeping clothes and other ornaments; and such as washbasin, bathtub, comb holder, combs, and comb-cleaning pins as necessaries for dressing and beauty. It also shows a bed and other bedding articles made of bamboo (such as bamboo pillows and jukbuin). 212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13

9 And included as items necessary for sitting are chairs, backrests, yeongwe (desks), tables, and other woodenware items. Yiunji covers various items for sitting such as chairs, stools, and backrests and food bowls and vessels such as chanhap, jukbal, and hyangyeonban. In addition, this book introduces inkstone cases, small folding screens, an paper cases as Munbangaje items; desks, chairs, lamps, stationary cases, and bookshelves as Seolsiljapgi items; and seoju, paper cases, and mokgap (wooden cases) as Doseojangbang items. Not to mention, plate items called waeban or hwaban were imported from Japan and China or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ose countries. Imwon-gyeongje-ji suggests that as seen in Mokminsimseo by Jeong Yakyong and as it includes Chinese and Japanese books in its bibliography, there was some influence of China and Japan on Korean woodenware crafts. In its Baktaryeong (A Song of the Gourd) part, Heungboga (The Song of Heungbo) makes mention of almost all household furnishings including room utensils, kitchenware, barn appliances, farming tools, weaving instruments, etc. Among them, woodenware items are as follows : Included as main-room utensils are chests of drawers (single, double, and triple), jadeuri cases (three-storied and five-storied), paper cabinet, mother-of-pearl case, rice chest, apdaji, dressing table, comb rack, workbasket, blanket chest, shelf, clothes rack, and folding screens; included as guest room furnishings are stationary chest, desk, gakkesuri(a wooden safe), pillow, chanhap (a nest of boxes), and bookcase; and included as kitchenware items are soban(a small dining table), moban, chaeban (a vessel), basket, hamji (a basin), and hambak (a large basin). 3. Social Status of Joiners and Transmission of Joinery Techniques According to Minseo (vol. 19 of Goryeodogyeong : a collection of records taken by Seogeung from the Song Dynasty about his journey to Goryeo), due to thick forest and a lack of arable land, peasants were way behind of artisans. In Gonggi, it s said, The Goryeo artisans are highly skilled so that they are under the prote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Jaeamungongjangbyeolsa part of Goryeosa (a chronologic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joiners who worked for more than 300 days were paid 10, 20, or 30 rice bags depending on their social status. As shown above, in Goryeo dynasty, all talented artisans were belonged to a government organization. Because they were better off than peasantry, they could produce masterpieces. The Joseon dynasty also set up several woodworking-related government offices such as Gongjo, Seongonggam, Gongjoseo, etc. Gongjo took care of craftwork and construction affairs; Seongonggam was responsible for timbering and maintenance works; and Gongjoseo took charge of bamboo works. On April 10 of the 15th year of King Taejong, 100 skilled carpenters were selected and enrolled on the artisans list by the instruction of Seongonggam. They were the first to Gyeonggongjang (artisans who provided the necessary products to the royal family an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On April 28th, the 7th reign of King Sejong,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due to lack of artisans in Gongjo, the vacancy was filled up by the commoners provided that they were qualified. If they were not skilled, they could be chosen as an apprentice. Then, when they were well ready and a vacancy occurred, they filled up the vacancy. In the 16th year of King Sejong, the government approved the request (the increase of staff from 9 to 11). In the early stage of King Sejong, the artisans who took care of important jobs such as type casting were paid family support allowance by the month. Based on the level of their achievement, they were hired to (Seobangunjik, a government position) and got tax benefits. The government officers who mistreated them were even punished. However, Byeongjo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Uijeongbu (State Council) pointed out that the appointment was wrong. Furthermore, to commemorate the recovery of the Crown Prince s disease, many people were hired to government positions. However, Cheongu (the commoners) and artisans were excluded. In December,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 the artisans in Gongjo asked for Chaeajik (administrative office position), but the King rejected their request. On August 1 of the 6th year of the King Sejo, there were 21 joiners in Byeongjo and 100 carpenters in Seongonggam. In the 16th year of King Seongjong (1474), According to the Artisan part of Gyeonggukdaejeon (The Grand Code for State Administration), however, the artisans names in outside of the capital were registered and stored in Gongjo and subordinate government offices. It said, Gyeonggongjang worked in Seoul, and Oegongjang (artisans who provided the necessary product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worked in local regions.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industrial products, there were a total of 72 woodenware artisans in each government department: 4 in Gungisa (arsenal department), 2 in Goseogwan, 60 in Seongonggam, 2 in Jojiseo, and 4 in Gwihuseo. There also were 323 Oegongjang: 37 in Gyeonggi-do, 56 in Chungcheong-do, 69 in Gyeongsang-do, 59 in Jeolla-do, 28 in Gangwon-do, 26 Hwanghae-do, 22 Yeongan-do, 26 Pyeongan-do. In April of the 32nd year of the King Jungjong, the propagation said, Sejong dynasty encouraged all artisans to be more focused on their arts. A law was enacted to support them. Because Yusa (office administrative duty) hadn t properly been conducted, many fields of arts disappeared. There has left nearly only one artisan in each field. In order to make each artisan to 214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15

10 focus on his duty, the field and the number of art crafts were tried to be expanded. But, it didn t go well. On May 29 of the 3rd year of the King Injo, it s said that the record on artisans and soldiers were of no use. On August 18 of the 5th year of the King Gwanghaegun, Saheonbu (Ministry of Justice) submitted a petition in order to reduce the village residents damage and correct an abusive slave labor: Tongjeyeong (in charge of naval forces) was set up to defend coastal area. However, as an excuse of manufacturing war weapons, highly skilled artisans are gathered. They are trying to restore their fame by bribing others. The fact that the industrial arts have been produced in Tongjeyeong can also be referred in the Jangjak part, vol 6 of Mokminsimseo. It says, Lee Suil became a Tongjesa (a top admiral of navy). The ex-admirals had artisans always make weird and wild things and served the high and mighty. They over-calculated the cost. Chengbisokrok also supports the fact that the industrial arts have originated from Tongyeong. According to a record, on March 23 of the 9th year of King Gwanghaegun, Seonsudogam (a government office) told to the king that it couldn t find skilled craftsmen or artisans in Seoul, as most of them had been forced to work for Sadaebu (literati and high officials). A record dated May 26 of the 10th year of King Gwanghaegun says that as Yeonggeondogam (a government office) even had provided its artisans or craftsmen to people for their private use, the king ordered that such informal transaction should be under strict control. Those records indicate that, due to a significant demand for artisans and craftsmen, there were frequent corruptions or scandals where they were involved. Afterwards, the number of artisans belonging to the government was gra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 when Sokdaejeon (The Canon of Regulations) was compiled in the 22nd year of King Yeongjo s reign, outside public artisans could not be found anywhere. Furthermore, at that time when Daejeontongpyeon (The Comprehensive National Code) was being written in the 10th year of King Jeongjo, Qwihuseo (a government office) was abolished as part of reformation. This means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wood craftsmen and artisans in Seoul as well. Some of wood craftsmen in Seoul could amass wealth by selling their works in the market while working for the families of ministers and high-profile official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y could run their own woodenware stores such as chilmokgi-jeon or mokgi-jeon, which dealt in various woodenware items including chests of drawers, cabinets, dining tables, and vessels. However, the number of those successful craftsmen was very small. Most of other artisans, especially public craftsmen in areas outside Seoul, maintained their livelihood doing carpentry for village houses or making pieces of furniture for families with a wedding occurring. When there was no order with them, they even wandered about the country with a tool bag to work. In Imwon-gyeongje-ji published in the early 19th century, 1108 markets in the country s eight provinces are named. Among them, 164 markets are mentioned with lists of their dealt-in goods, including more than 80 markets that carried woodenware products. After public offices under the control of Uijeongbu (State Council) were reorganized on June 28 of the 31st year of King Gojong, the General Affairs Bureau came to oversee artisans and craftsmen, compile a list of their names, and invited engineers to learn Japanese techniques and skills. Consequently, Korea s traditional framing technique (called jjaim ) began to disappear little by little. Only a small number of Korean woodcarving artisans and craftsmen have barely kept traditions of Korean woodcarving in existence, experiencing the rapid inflow of Western culture and the outbreak of Korean War. They have trained their successors in the way of taking as their apprentices children who want to learn their skills and in the way of initiating them into their skills. Those apprentices have to work for several years in order to master their employers craft and skills. They can t set up for themselves until they have obtained recognition of their skill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1945,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initiators of cultural traditions in each area of arts and crafts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ince 1975 when the government designated a holder of joinery as No. 55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ome apprentices have obtained recognition for learning joinery skills and techniques as assistants and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woodcarving-related departments to train woodworking designers. 4. Conclusion The pieces of traditional woodcarving are very solid and strong specially made based on traditional crafts without using a nail. The texture of wood comes alive and their simple design draws an everlasting attention. Above all, their perfectly balanced and harmonized shape and the exquisite beauty of the grain of wood even make them more distinctive. However, only few pieces still hold this kind of magnificence. Most masterpieces have already been taken out abroad, or even if they are in the country, the general public and the joiners can hardly see them because they are displayed in a museum or confined in a chest of wood-piece collectors. To grow into a fine woodcarving artisan, tens of painful apprentice years must be gone through 216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17

11 in advance. Besides, even though the tough period has successfully passed, a bright future would still not be guaranteed. Today, therefore, no one is willing to take the risk. Like all the other goods, woodcarving products are also under the influence of market mechanism in which supply and demand operate in harmony. The artisan s exquisite craft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market operation. Once an optimal price is determined, the woodcarving industry could move forward smoothly. There have been some carpenters who are not economically difficult. However, they are only those who took care of the relics in museum or had an overseas exhibition with government support in the past. Even though they are highly qualified, most craftsmen have failed to create the masterpieces because they have never actually seen them. This stage performance-based traditional woodcarving exhibition could be a momentum to make the public feel and realize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woodcarving. Furthermore, the museum researchers and the joiners could get closer and more closely cooperated with each other. under this favorable atmosphere, the woodcarving industry including museum exhibition, social education, and joiners woodcarving job could gradually develop into a bright future. Reference Goryeosa (A Chronologic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Mokminsimseo Samguksagi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ongjechonghwa (Document in the fields of politics, society, system, and culture) Jeungbosallimgyeongje (A book of cultivation) Imwongyeongjeji (A book of daily life) Goryeodogyeong (A collection of records from the Song dynasty about his journey to Goryeo) 전통 목가구의 형태분석 및 지역별 형식분류 반닫이와 소반을 중심으로 반닫이는 전통수납가구 중 가장 널리 애용했던 다기능 가구로 전면을 반으로 나누어 위쪽 절반 을 여닫도록 만든 가구이다. 반을 여닫으므로 반닫이라 불렀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문을 앞쪽으로 열고 닫는다 하여 앞닫이라 부르기도 한다. 반닫이의 구조는 크게 몸통과 다리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몸통은 천판, 앞널, 측널, 밑널, 문 판 등이 짜임으로 결속되고 다시 장석으로 보강하여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구조물의 내부 공간 은 대부분 빈 공간으로 수납 기능이 부여되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랍 혹은 선반과 같은 구조물 을 달아 제작하기도 한다. 다기능 가구인 반닫이는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목재의 각 연결 부위를 장석으로 견고하게 보강한다. 반닫이의 장석은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미적인 면을 돋보이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로 다른 가구의 장석과는 달리 다양한 형태와 문양이 장식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각 지역마다 생 산되는 반닫이는 규격과 형태가 동일한 것을 찾아보기 힘들고, 생산지 장인의 기술력과 지역별 특 징이 반영되어 의장의 변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조 반닫이는 일정한 규격에 의해 생산된 제품이 아닌 형태의 수정과 변형이 거듭되 면서 일정한 유형으로 정착된 것이어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형태 변화를 기준으로 구조 및 제작 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유물과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 으로 전면형식, 문판의 구조, 다리의 형식, 내부구조의 형태분석과 장석의 의장적 특징을 파악하여 지역별 형식분류를 하고자 한다. 한편 본 형태분석 분류에 사용된 용어와 명칭은 연구자가 자의적 으로 명명하였음을 밝혀둔다. 1) 218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19

12 반닫이는 제작자의 제작기술, 사용자의 용도와 규모, 지역별 유행 등이 형태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반닫이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전면형식, 문판의 구조, 다리의 형식, 내부구조 등의 4 가지 형식에 영향을 준다. 로 형태를 분류하였다. 족대형은 반닫이의 몸통을 받치고 있는 다리가 방형 혹은 장방형의 평범한 각재를 몸통에 부착 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마대형은 장과 농에서 나타나는 형식으로 다리와 몸통이 분리되나 때 에 따라 몸통과 고정시켜 제작하기도 한다. 일체형은 전후좌우 4면의 널판이 다리와 하나로 이루어 진 형태이다. 즉 양측널, 앞널, 뒷널이 바닥 면까지 내려와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와 양측널을 연장 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반닫이의 전면형식은 크게 일반형, 개판형, 액자형, 분할형, 복합형 등의 형태로 분류된다. 일반 형은 반닫이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형식으로 전면이 앞널과 문판의 기본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앞널과 문판이 통판으로 제작된 구조를 말한다. 개판형은 반닫이의 천판이 측널보다 조금 튀어나온 형태로 장의 상부처리와 흡사하다. 액자형은 앞널과 문판이 몸통의 각 널 안으로 삽 입되어 있어 액자의 틀처럼 보인다. 즉 대부분 반닫이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측널과 윗널 그리고 밑 널이 전면에 가려 보이지 않으나, 이 형식은 널의 단면이 앞널과 문판을 감싸고 있어 액자가 그림을 감싸듯 몸통의 단면이 액자의 틀처럼 보이는 구조를 말한다. 분할형은 전면이 쇠목, 동자, 알판 등으 로 분할되어 장의 전면과 매우 흡사한 구조를 띠고 있다. 조형미가 뛰어나며 머름칸이나 쥐벽칸의 알판 부위를 서랍으로 제작하여 소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기능을 부여하기도 한다. 이 형식은 반 닫이에서 장롱으로 변이되는 중간 형태로 이해된다. 그래서 반닫이장으로 부르기도 한다. 복합형은 반닫이와 장이 혼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상하문판이 모두 반닫이 형태이거나 상부는 여닫이로 하 부는 반닫이로 구성하는데 반드시 복층을 이루고 있다. 문판의 구조는 반닫이의 규모와 가장 밀접하게 변화하는 요인이다. 이는 규모가 커지면서 문판 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제작기법이 변화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문판은 크게 통판형, 문 변자형(양측면보강형, 사면보강형) 등의 구조적인 변화요인을 기준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통판형은 말 그대로 두께 20~30mm 내외의 원목 판재로 제작한 것이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구 조이다. 반닫이의 규모가 커지면서 제작 기법이 보완된 형식이 문변자형이다. 문변자형은 문판의 휨 을 방지하고 미적 측면을 고려한 제작 방식이다. 문변자형은 문판의 양측면만을 보강한 것과 사면을 덧댄 형태가 있다. 문변자형에는 연귀짜임, 장부짜임, 반턱짜임, 혀물림 등의 짜임기법이 사용된다. 문변자형 가운데 비교적 규모가 큰 반닫이에서 쇠목, 동자, 알판의 형식으로 만든 문판을볼수있다. 내부구조는 사용자의 용도, 보관될 내용물에 따라 형태의 변화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내부구 조의 형태에 따라 무( 無 )형, 선반형, 서랍형, 문갑형으로 형태가 분류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인 무( 無 )형은 내부에 아무런 구조물을 두지 않는다. 반면에 선반형, 서랍형, 문갑형은 주로 사랑방이나 안방등방안에두고사용하였으며 귀중품이나 문서, 각종 소품 등을 보관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선반형은 반닫이의 내부 상단에 한 단 또는 두 단의 선반 을 설치한다. 서랍형은 반닫이의 내부 상단이나 선반 아래 칸에 서랍을 둔다. 문갑형은 내부에 문갑 처럼 선반과 서랍을 둔 형태이다. 주로 사랑방에서 사용하며 중요한 문서나 물건, 문방구 등을 넣어 두는 용도였다. 문갑형은 대개 전라도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반닫이의 장석은 지역별 분류기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본적으로 목재의 짜임과 제작 기법은 지역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인 제작 방식은 동일하며 지역별 형태 분류의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닫이의 형태는 우선 지역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석의 의장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반닫이의 형태는 우선 지역적 특 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의장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반닫이의 장석에는 몸체와 문판을 이어주는 경첩, 들어 옮길 때 쓰는 들쇠, 목재의 접합 부위나 모서리를 보강해 주는 감잡이, 귀장식, 장식적 효과와 기능성을 갖춘 광두정, 앞바탕, 배꼽장식 등이 있고 지역마다 사용되는 문양이나 형태가 특별했다. 따라서 장석의 형태와 사용된 문양의 형식에서 지역적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평안도,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의 7개 지역으로 형식을 분류하였다. 반닫이의 다리는 몸통과 온돌바닥 사이에서 통풍을 고려한 기능적인 측면과 장식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다리의 형식에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며 형식 변화에 따라 족대형, 마대형, 일체형으 북한 지역의 대표적인 반닫이의 하나라 할 수 있는 평안도 반닫이는 크기가 크며 장석의 전면에 작은 기하문양을 정밀하게 반복적으로 투각하여 여러 가지 문양을 화려하게 가공한 것이 특징이라 220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21

13 할 수 있다. 장석의 전면을 투각한 형태를 두고 속칭 숭숭이 반닫이 로 부르며 박천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어 박천 반닫이로도 알려져 있다. 방형, 원형, 타원형 등의 기하문양을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장석의 표면을 투각하였다. 투각이 정교하고 장석의 수가 많으며 규모가 커서 반닫이의 절반 이상 을 덮고 있다. 큰 규모에 걸맞게 들쇠와 같은 기능성 장석이 견고하게 제작되었다. 목재는 피가 많이 쓰였다. 경기도의 강화, 개성, 남한산성 등은 반닫이로 이름이 난 지역들이다. 이들 각 지역 반닫이의 특 징을 하나로 꼬집어 제시하기는 쉽지 않고, 특정 지명을 붙이기 어렵다. 다만, 경기도 지역에서 제작 하여 사용된 반닫이의 특징을 지적해 볼 수 있겠다. 경기도 반닫이는 굽이 없는 호리병 모양의 경첩과 동 식물문양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배꼽장식 이 많고, 다른 지역에 비해 동장석이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반닫이와 장의 기능이 복합된 형태 도 경기도 지역에 많다. 그러나 강화 반닫이는 일반적인 경기도 반닫이와 다른 특징이 있다. 우선 강 화 반닫이만의 무쇠장석을 갖는다. 무쇠장석은 동일한 형태를 여러 개 사용하며 투각한 卍 자문양이 많다. 또한 뻗침대가 천판의 앞쪽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다. 다리는 마대형이며 풍혈의 높이가 낮다. 강원도 반닫이는 일반적으로 액자처럼 문판이 몸통 안으로 들어가는 액자형의 전면형식을 취한 다. 일반적으로 산악지대인 탓에 반닫이가 장이나 농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 높이가 비교적 높고 부피가 크며 내부에는 서랍이 달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목재는 주로 소를 사용하였으며 장석은 두꺼운 무쇠장식을 사용하였다. 장석의 형식은 3첩의 경첩과 경첩 밑으로 배꼽장식 3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가운데 경첩은 호리병 형태를 취하고 있고 양가의 두 개의 경 첩은 식물문양과 제비초리의 변형된 형태의 외형을 갖고 있다. 또한 앞바탕은 전체적인 형태가 제 비초리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별자리 형태의 기하문양이 투각된 것이 특징이다. 광두정은 외형은 꽃문양을 취하고 있으며 내부는 양각의 원형으로 가공하여 볼록하게 제작하였다. 장석의 수 량은 많지 않지만 크기가 크고 투박하게 표현된 것이 특징이다. 충청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특징을 꼬집어 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전반적으로 장석의 수가 적은 편이며, 경첩은 약간 넓은 제비초리 형태를 쓴다. 천판이 측널보다 넓은 반닫이, 책장과 반닫이 의 결합 형태도 충청도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전북 지역의 꽃잎 형태 경첩과 문경이나 상주 지역에서 나타나는 제비초리 형태의 경첩 등이 나 타나기도 한다. 충북 지역에서는 전면형식이 강원도 반닫이에서 나타나는 액자형 구조의 반닫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경상도 지역 내에서 반닫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지역은 북부에서 예천 상주 안동 경주 등 지이고, 남부 해안지역에서는 밀양 양산 언양 김해 진주 통영 남해 등지를 꼽는다. 그러 나 반닫이는 특정 지역에서만 생산 유통된 것이 아니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 지역마다 다소 차 이는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경상도 지역 전체를 일관할 때 다른 지역에 비해 반닫이의 높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즉 세로 에 비해 가로의 폭이 넓어서 전체적으로 낮게 보인다. 장석에서는 앞바탕의 하부가 상부보다 완만 하게 넓어지며 하부에는 주로 매미형(혹은 부엉이, 박쥐문)의 화려한 투각문양을 새긴다. 그리고 만 ( 卍 )자 혹은 변형 만( 卍 )자문 투각이 많이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판형감잡이가 주류를 이룬다. 안동과 경주 등 북부지역은 장석이 단순화된 인상을 준다. 경첩과 앞바탕은 제비초리 형태가 많 다. 상주 반닫이는 문판이 몸통 안으로 들어간 형태로 강원도 반닫이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충무 통영 진주 지역의 반닫이는 앞바탕과 경첩에 부엉이 혹은 매미 형태가 나타나며, 앞바 탕에 들쇠장식이 달려 있는 것이 많다. 특히 진주 지역의 배꼽장식은 마름모 형태의 바탕에 크기가 크고 장식성이 강한 들쇠형 배꼽장식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밀양 반닫이는 경첩이 4첩이나 2첩으로 달려있고 길이가 길고 크며 투각이 많다. 정교한 투각과 견고한 무쇠 경첩을 장점으로 지적할 수 있으며, 앞바탕과 감잡이 등에 만( 卍 )자문을 즐겨 쓴다. 남해 반닫이는 경첩 상단에 태극문양이 투조되어 있고 앞바탕에는 복( 福 )자문양이 투조되어 있 는 것이 특징이다. 전라도는 남부 해안지역, 광주에 인접한 나주 영광 함평 담양 등지, 전주를 중심으로 한 인 근 지역으로 나눠볼 수 있고, 남부 해안지역과 뚜렷이 구분된다. 남부 해안지역의 장석은 쌍버선 혹 은 실패와 유사한 형태로 상하 대칭이며 크기가 큰 편이다. 석류형의 독특한 감잡이가 이 지역의 특 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남부 해안지역은 제주도와 매우 흡사한 형태이다. 반면 광주와 나주 인근 지역과 전주 인근 지역의 반닫이는 장석의 형태를 단순화 시켰고, 기능 상 필요한 부분 이외에 수량을 최소화하였다. 보상화 형태의 앞바탕과 제비초리 형태의 경첩이 특 징이며 주로 2첩이 많다. 반닫이의 내부 공간에 서랍과 선반을 두어 수납 기능을 분화시킨 점이 공 통적으로 나타난다. 장성, 영광, 나주 지역 반닫이의 몸통 결구방식은 상하부는 맞짜임이고 전후는 주먹장사개짜임이 많으며 짜임 부위의 간격은 촘촘하다. 222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23

14 제주도 반닫이는 전라남도 남부 해안 지역과 유사한 장석의 형태를 보인다. 느티를 사용하 여 거칠게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목재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자귀나 톱자국이 그대로 표면에 거칠게 남아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앞바탕과 경첩을 버선코 모양이나 제비초리 형태로 제작하였 다. 경첩의 상부와 감잡이는 석류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문양을 사용하기도 한다. 감잡이는 일( 一 ) 자 형태와 석류 형태를 반복적으로 전면의 하부와 측면에 사용한다. 상판은 두꺼운 통판을 파내어 변죽[제물전]과 판이 하나의 로 이루어졌으며, 장방형의 네 귀 를 능형으로 굴려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다리는 상판 아래, 좌우 양끝에 부착하는데 이때 주먹장끼움 방식으로 천판과 결합한다. 즉 상판에 홈을 내고 다리를 한쪽 끝에서 반대쪽으로 끼워 들어간다. 그런 다음 상판 홈의 나머지 부분은 각재로 끼워 마무리한다. 또한 판각은 밑으로 내려오 면서 약간 밖으로 벌어져 무게를 받는 힘의 배분과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었다. 운각은 두 다리를 연 결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리와 상판을 모두 같은 목재로 사용하며 은행, 가 래, 피, 소 등이 쓰이고 대못을 쓴다. 한편 강원지역 소반의 형태가 해주식과 유사 성을 보인다. 판형의 다리 구조와 상판에 연결하는 방식, 그리고 전체적인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 다 만 해주식 소반의 화려한 문양에 비해 판각이 단순하다. 소반은 우리나라 좌식 생활의 단면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방 가구이다. 소반은 식기를 받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쓰는 작은 상으로 다른 가구와 달리 계층을 막론하고 널리 사용한 생활 필 수품이었다. 부엌에서 사랑채나 안채로 식기를 받치고 옮기는 쟁반의 기능과 함께 방 안에서는 상 의 본래 용도로 쓰인다. 예전의 한옥 구조는 서양과는 달리 조리된 음식을 방으로 옮겨와 식사를 해 야 했기 때문에 소반은 음식을 나르는 쟁반과 식탁의 구실을 겸하게 되었다. 소반은 여성들이 음식상을 차리고 운반해야 하므로 한 사람이 운반하기 좋을 만한 크기에 들기 편하도록 가벼운 재질이 적합하였다. 목재는 은행, 소, 느티, 단풍, 대추, 피나 무 등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은행는 가볍고 습기에 강하며 뒤틀림이 적어 소반 제작에 가장 적 합한 였다. 또한 나뭇결이 아름다운 느티와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소도 자주 사용되 었다. 소반은 물과 접촉이 많아 방수를 위해 투명칠, 흑칠, 주칠 등으로 마감한다. 통영식 소반은 상판과 변죽[제물전]이 한 몸을 이룬다. 통판에서 바닥을 파내어 변죽을 구성하는 점에서 해주반의 상판과 동일한 방식을 취한다. 나주반과 함께 오랫동안 소반의 명성을 이어온 통 영소반은 다리와 운각의 형태, 다리와 천판의 결합방식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상 판에 홈을 파고 다리를 직접 결합하는 점에서 나주반과 구별된다. 다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윗중 대와 아랫중대 두 개가 상하로 놓이는 점이 통영반의 특징이기도 하다. 상판의 판재는 느티, 은 행를 상품으로 치며 혹은 피를 쓰기도 한다. 다리와 운각, 중대는 소와 느티 등을 사용한다. 통영지역은 특히 나전칠기가 발달하여 소반의 생명이기도 한 칠마감이 뛰어나다. 간혹 십장생, 천도, 운학, 복( 福 )자 등의 문양을 다리와 상판에 넣어 자개반으로도 알려져 있다. 소반은 상판, 다리, 운각, 중대, 족대 등으로 구성되며 다리와 상판, 다리와 중대 등의 짜임 구 조와 결구 방법, 다리 형식 등이 형태분석의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민속박 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제작기법을 통한 지역적인 요소에 따라 해주식, 통영식, 나주식으로 분 류하고 이에 속하지 않는 일주반, 다각반 등의 4가지 형식으로 나눠 형태분석과 지역별 특성을 파 악하고자 한다. 2) 해주식 소반은 다리가 판각으로 이루어졌다. 다리에는 뇌문, 연화문, 박쥐문, 당초문, 卍 자문 등 이 투조되어 장식성이 돋보인다. 나주식 소반의 특징은 변죽을 따로 제작하여 상판에 부착하는 방식이 통영반과 크게 다르다. 이 는 목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상판의 휨을 방지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상의 규모를 크게 제작 할 수 있 는 잇점이 있다. 이 때문에 나주반은 다른 지역의 소반보다 변죽[변자]의 두께가 두껍다. 운각은 다 리의 윗쪽에서 반턱짜임으로 끼우고 다시 상판과 혀물림으로 연결하여 판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 였다. 대개의 경우 중대가 없거나 다리 위쪽으로 한 가닥을 두른다. 원통형의 다리가 주류를 이루나 호족, 구족, 마족 등 동물의 다리 모양의 소반도 적지 않다. 상판은 은행를 최상으로 여기며 호두, 배, 오동, 느티, 피, 가래 등이 사용된다. 다리 부분은 버드 혹은 소를 사용한다. 나주반은 통영식이나 해주식에서 보이는 화려함보다는 간결함이 돋보인다. 224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25

15 한 개의 기둥이 소반의 상판 중심을 받치고 있어 일주반으로 불린다. 다리의 하부는 십( 十 )자로 교차된 4개의 받침대의 발이 있다. 소반의 크기가 작아서 간단한 주안상이나 과반으로 쓰인다. 상판 과 발 사이의 일주는 실을 꼬아놓듯 조각하며 발은 연주문, 연당초문 등을 조각한다. 간혹 소반의 상 판이 회전하도록 만들어 이를 회전반으로 부르기도 한다. 다각반은 소반의 상판이 여러 각으로 형성되며 다리 역시 다각을 이룬다. 상판이 다각이 아닌 원형인 경우도 적지 않으며 여기에는 번상, 공고상 등이 속한다. 이들 상은 원래 관청이나 대궐에서 숙식하는 관리들을 위해 음식을 머리에 이고 나르기 위하여 만든 기능적인 상으로 음식물을 나를 때 앞이 보이도록 투창이나 개구부가 뚫려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한편 공고상은 점차 판각의 높이가 높아지고 앞을 보기 위한 개구부는 단순한 장식적 기능으로 변화되었다. 공고상에는 안상 문, 방형, 원형 등이 많으며 만( 卍 )자문, 칠보문 등을 투조한다. 간혹 수저와 젓가락을 넣을 수 있도 록 서랍을 두기도 한다. - 통판을 파내서 제물전[변죽] 을 만든다. - 네 귀는 약간씩 각을 굴려 능형이나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한다. -재료로는 은행, 가래, 피, 소 등이 쓰인다. - 통판을 파내서 제물전[변죽] 을 만든다. - 질좋은 자개로 상판을 장식 한다. 자개반 으로 유명하며 주로 길상문양, 천도, 운학, 십장생 등이 시문 되었다. - 상판의 네 모서리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한다. - 재료로는 느티, 은행 등이 쓰인다. - 전[변죽]이 제물이 아니고 상 판을 물고 있는 형태이다. 상판이틀어지는것을방지 한다. 목재 활용의 경제성을 높 인다. 상의 규모가 크다. -상판에 거의 장식을 하지 않고 나뭇결 그대로를 이용, 자연미를 강조한다. - 은행, 호두, 배, 오동, 느티, 피, 가래 등이 쓰인다. - 투조로 화려하다. - 강원반은 상대적으로 투조 된 문양이 없고 단순하다. -네 다리를 연결하여 반의 결구를 강화시킨다.(사각반 의 경우) - 당초, 모란문양이 양각된다. - 화려한 장식은 피하고, 구름 문양을 외곽선으로 표현한다. - 상판과 다리를 연결해주며 다리의 결구를 강화시켜 준다. - 운각을 받쳐주는 윗중대 를 가지고 있다. - 중대는 없고 운각이 기능을 대신한다. - 윗중대와 아랫중대, 2개를 두는 경우가 많다. - 중대가 없거나 다리 상부에 하나를 두른다. -화려한 투조 판각이 특징 이다. - 좌우 판각은 내려오면서 약간 벌어져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 한다. -장식된 조각으로는 뇌문, 연화문, 박쥐문, 당초문, 만( 卍 )자문 등이 있다. - 사각반의 경우 원통형과 마족형의 다리가 많다. - 굵은 원통형의 다리가 주류를 이루고, 호족, 구족, 마족 등 동물의 다리 모양이 많다. - 다리의 상부는 운각을 끼워 맞추도록 반턱짜임으로 되어 있다. - 재료로는 소, 오리, 물푸레가 많이 쓰인다. - 판각에는 대부분 가래가 쓰인다. 226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27

16 An Analysis of the Shapes of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and the Form Classification by Regional Groups Centered on Chests and Dining Tables Kim Heesoo (Curator,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 Bandaji Bandaji is a piece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was loved by people most among the traditional cabinets. Its front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top half is designed to open and close. The reason why this chest is called Bandaji (the Korean word Ban means half, and Daji means closing ) is that only the half is opened and closed. In some areas, it is opened and closed forward so it is called Apdaji (the Korean word Ap means fore) too. The structure of Bandaji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body and legs. For the body, ceiling panel, front board, side board, bottom board, and door panel are reinforced by feldspar after being put together. The inside of this structure is mostly empty to be available as cabinet, but depending on a user s need, a drawer or a shelf can be added to i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aspect, each connection of the woods is strongly reinforced by feldspar. The feldspar is an important factor to highlight not only the functional aspects of Bandaji, but also the aesthetic aspects. Therefore, unlike the feldspars used for other types of furniture, the feldspar for Bandaji has various shapes with a meaning of decor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Bandaji of the same size and shape because craftsmen s skill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llow the design to be varied. The shape of Bandaji in the Joseon dynasty was settled after going through repetitive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s. It was not made on the basis of certain specifications, so this paper intend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based on changes in shape, centering on the relic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on the data obtained from field studies. Specifically, it has studied the form of the front side, the structure of door panels, the form of legs, and the internal structure, and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elements of feldspars. Based on this analysis, it has worked on form classes by regional 228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29

17 groups. The terminology and names used for analysis and form classes have been arbitrarily named by the researcher. 1) 1) Analysis of the Shapes of Bandaji Craftsmen s manufacturing skills, user s needs and size, and popularity of a region are factors making changes in the shapes of Bandaji. And these have influence on the form of the front side,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the form of legs, and the internal structure. Form of front side The front side of Bandaji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general, shingle, framed, partitioned, and complex. The general type is most popular. Its front side is composed of front board and door panel. The front board and the door panel are made of plank. In case of the shingle type, the ceiling board is a little more projected than side boards, which are similar with the upper part of closet. For the framed type, the front board and door panel are inserted into each board of the body so it looks like a frame. In case of other types of Bandaji, when Bandaji is seen in front, side boards, top board and bottom board get hidden by the front side so they are invisible. However, in case of the framed type, a section of the board covers the front board and the door panel, so the section of the body looks like a frame. In case of the partitioned type, the front side is partitioned into center board, baluster, and raised panel, so it is very similar with the front side of a closet. Its formative art is excellent and the raised panels of wainscoted walls can be used as a drawer for keeping small items. It seems that this type was made as Bandaji was changed into closet. The complex type is a mixture of Bandaji and closet. The upper and lower door panels have half of one side hinged, or the upper door panel has all of one side hinged while the lower door panel has half of one side hinged. It is essential that the door panel forms a double-tiered structure. Structure of door panel The structure of door panel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Bandaji. For a larger Bandaji, different manufacturing techniques are used to prevent the door panel s distortion. Based on the factors of structural changes, the door panel is classified into plank type and frame type (two-side reinforced or four-side reingorced). 1) Kim Hee-Soo and Kim Sam-Gi, Understanding of Folk Relics I - Wooden Furniture, Based on 56 pieces of relic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35 pieces studied in the field, the shapes have been analyzed and the forms have been classified by region. The plank type is made of 20 ~ 30 mm thick boards, and most commonly found around us. The frame type of door panel was created for a larger Bandaji, which intends to prevent the door panel s distortion and considers aesthetic aspects. Boards are added to two or four sides of the door panel. Various joining techniques are used for this type like edge-bonding, dovetailing, halving, and clamping. In quite large Bandaji of frame type, door panels made in the form of center board, baluster, and raised panel are often found. Form of legs Legs of bandaji work as functional (considering ventila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floor of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and decorative factor. These factors make different shapes of leg. The legs are classified into Jokdae type, Madae type, and monolithic type. Jokdae type is most general. The legs of square or rectangular timber are attached to the body. Madae type is usually seen in closets or clothes-boxes, in which the legs and the body are separable, but sometimes the legs are fixed to the body. Monolithic type is that four boards (front, back, left and right) and legs are made into one. That is, side boards, front board and back board come down to the floor and play a role of legs. Otherwise, both side boards are lengthened to play a role of legs. Internal structure The internal structure is changeable subject to a user s application and contents to be kept. It is classified into nothing-type, shelf-type, drawer-type and papeterie-type. Nothing-type is most general. There is nothing inside of bandaji. On the other hand, the shelf-type, the drawer-type and the papeterie-type were mostly used in rooms in order to keep valuables, documents or other small items in. The shelf-type has one or two-staged shelf on the top of the inside. The drawer-type has a drawer on the top or the lower part below the shelf. The papeterie type has both shelf and drawer. It was mostly used in a detached living room for important documents/items or stationary. It is often seen in the areas of Jeollado. 2) Form Classes by Regional Groups The fledspar of bandaji becomes an important factor for classification by regional groups. Basically, how to join the wood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are slightly different by region, but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is same so it is unreasonable to use the manufacturing method as the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by reg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form of bandaji based on the 230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31

18 design elements of feldspar that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eldspar, there are hinge (connecting the body and the door panel), handle (used to lift and move Bandaji), large metal staple (reinforcing connections of woods or edges), corner-ornament (protecting the corners and reinforcing connections), Gwangdujeong (nail whose nailhead is round and flat, and which has decorative effects and functional effect), front ground (metal for the front of Bandaji to prevent any damage caused by lock or hook), and bellybutton-ornament. Designs or shapes of the feldspar were special by region so the shapes and designs tel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ased on this, this paper has classified bandaji into 7 regional groups - Pyeongando,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Gyeongsangdo, Jeollado and Jejudo. Pyeongando bandaji Pyeongando Bandaji is a representative bandaji in the areas of North Korea. It is large. On the front of the feldspar, small geometric designs are precisely and repeatedly pierced, which is the reason why Pyeongando Bandaji is called, Soong-soong-e (empty) Bandaji. Various designs are splendidly carved on it. Many of Pyeongando Bandaji were produced in the area of Bakcheon so it is known as Bakcheon Bandaji. Square, round and oval types of geometric designs are regularly repeatedly pierced into feldspar. Piercing is precise. There are many feldspars used, which are big so the feldspars cover more than half of bandaji. Suitably for the large size, a functional feldspar like handle is solidly made. Linden tree is mostly used. Gyeonggido bandaji In Gyeonggido, Ganghwado, Gaeseong, and Namhansanseong are famous for Bandaji. It is not easy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bandaji by each area, and also it is difficult to give a particular geographical name to Bandaji. Therefore, this paper will tal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gido Bandaji in overall. Gyeonggido Bandaji has many of hinges (in the shape of gourd bottle), bellybutton-ornaments with realistic designs of animal and plants, and bronze feldspar. A mixture type of bandaji and closet is often found in Gyeonggido. However, bandaji from Ganghwado is much different from Gyeonggido s. First, Ganghwado Bandaji has its own iron feldspar. Several of the same-shaped iron feldspar are used and the letter of 卍 is pierced a lot. Bbeotchimdae (long metal bar like a handle) is attached to the front corner of the ceiling board. The legs are Madae type - the legs and the body are separable, but sometimes, the legs are fixed to the body - and the height of Punghyeol (small ornaments around Bandaji) is low. Gangwondo bandaji Gangwondo Bandaji has a framed type of front side that door panel is inserted into the body like a frame. Gangwondo is mountainous, so Bandaji is used as closet or clothes-box. It is quite high and large. Mostly it has drawers in it. Pine tree is used and thick iron feldspar is used. The feldspar is composed of three hinges and three bellybutton ornaments below the hinges. The second hinge is in the shape of gourd bottle and the first and the third hinge are in the shape of plants and Jebichori (hairs protruded on the front brow or the back of the head). The front ground is overall in the shape of Jebichori and geometric designs of constellations are pierced into it. The appearance of Gwangdujeong (nail whose nailhead is round and flat) is a flower design and its inside is roundcarved in relief. The quantity of feldspars used is not many, but they are big and roughly processed. Chungcheongdo bandaji It is difficult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do Bandaji. Overall, a small number of feldspars are used and the hinge is in the shape of a little wide Jebichori (hairs protruded on the front brow or the back of the head). Bandaji whose ceiling board is wider than side board, and a mixture of bookshelf and bandaji are often found in Chungcheongdo. In Chungcheongdo, hinges in the shape of petal (available in Jeonbuk area) and of Jebichori (available in Mungyeong or Sangju) are often found. In the northern part of Chungcheongdo, Bandaji of framed type is sometimes available. Gyeongsangdo bandaji The areas in Gyeongsangdo that the name of bandaji is often used are Yecheon, Sangju, Andong, Gyeongju (these four areas are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do), Milyang, Yangsan, Eonyang, Gimhae, Jinju, Tongyoung, and Namhae (these areas are in the southern part or the coast). However, Bandaji was not produced and distributed only in a particular area so it is not well known and instead, there are only some differences by region. In general, Bandaji of Gyeongsangdo is lowest compared with that of other areas. That is, the width is larger than the height so it looks low. In case of the feldspar, the lower part of the front ground becomes slowly wider than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has splendid piercing of cicada, owl or bat. It also has the design of 卍 or modified 卍 a lot. In the northern part like Andong and Gyeongju, the feldspar is simplified. Hinge and front ground are often in the shape of Jebichori (hairs protruded on the front brow or the back of the 232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33

19 head). Bandaji found in Sangju is that the door panel is inserted into the body, which is similar with that of Gangwondo. In Chungmu, Tongyoung, and Jinju, the front ground and the hinge have a design of owl or cicada, and the front ground has an ornament of handle. In Jinju, the handle-type of bellybutton ornament which is big and decorative is hung on the diamond-shaped ground. Bandaji of Milyang has four or two hinges which are long and have lots of piercing. Precise piercing and strong iron hinge are strengths of Milyang Bandaji. The design of 卍 is often used on the front ground and the large metal staple. Bandaji of Namhae has a design of Taegeuk on the upper part of the hinge, and piercing of the Chinese letter 福 on the front ground. Jeollado bandaji Jeollado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southern coastal area and the neighborhood of Gwangju like Naju, Younggwang, Hampyeong, Damyang, and Jeonju.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the feldspar is large and its shape is like a pair of Korean socks or spool. The top and the bottom are symmetrical. The large metal staple of pomegranate shape is a characteristic of this area. Bandaji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is very similar with that of Jejudo. On the other hand, bandajis of Gwangju, Naju and Jeonju have simplified the feldspar. The quantity of the feldspars used has been minimized only for essentially necessary functions. The front ground of lotus flower shape and the hinge (usually 2 hinges used) of Jebichori (hairs protruded on the front brow or the back of the head) shap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rea. The inside of bandaji has a drawer and a shelf to reinforce the storage function. In Jangseong, Younggwang and Naju,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body are occluded for joining, and the front and the back are joined in the type of Jumeokjangsagae. They are joined closely. Jejudo bandaji The feldspar of Jejudo Bandaji is similar with that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Jeollanamdo. It, made of zelkova tree, is roughly designed. The surface of the wood is roughly processed to have sawing or adze-wielding traces. The front ground and the hinge are in the shape of the Korean socks end or Jebichori (hairs protruded on the front brow or the back of the head). The upper of the hinge and the large metal staple have a design of pomegranate realistically expressed. For the metal staple, the design of the ㅡ letter or pomegranate is repeatedly used for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front. 2. Soban (Dining Table) Soban is a representative kitchenware that shows a section of the Korean sedentary living style. Soban is a small table to carry tableware or to eat food. Unlike other furniture, it was a living necessity widely used regardless of the social class. It works not only as a tray to carry tableware from the kitchen to a detached or main living room, but also as a table used in a room.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ing system, unlike the western style, people had to carry cooked food to a room for eating so Soban played two roles of a tray and a table. The material for soban had to be light enough for a woman to carry, together with food. Gingko tree, pine tree, zelkova tree, maple tree, jujube tree, and linden tree are used. Especially, gingko tree is light and strong against humidity so it is less distorted. Therefore, it is most suitable for Soban. Zelkova tree which has beautiful grain and pine tree which is easy to get are often used. Soban is painted for water-proof. 1) Analysis of the Shapes of Soban and Form Class by Regional Groups Soban is composed of top plate, legs, cloud-shaped carvings, middle stool, and footstool. How to join and connect the legs and the top plate, or the legs and the middle stool, and the type of leg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nalyzing the form of soban. Centering on the relic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is paper has classified Soban into Haeju type, Tongyoung type and Naju type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other types of soban that don t belong to any of the above types, it has classified into Iljuban with only one post and polygonal Dagakban (which is polygonal). 2) Haeju soban The legs of Haeju Soban consist of wood engravings, on which the designs of fret, lotus flower, bat, vine and 卍 are carved, so they are remarkable in terms of decoration. For the top plate, thick plank is bored so the rim and the plate are in one. Four rectangular edges are curved smoothly. The legs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left and the right under the top plate in the type of Jumekojang. The top plate is grooved in order for the legs to be inserted into, and the rest of the grooves on the plate are finished with square timber. 2) Based on 35 pieces of relic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shapes have been analyzed and the forms have been classified by region. 234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35

20 Wood engraving gets wi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consideration of weight distribution and visual stability. Cloud-shaped carvings connect two legs to strongly fix them. The same wood is used for the legs and the top plate. Ginkgo tree, wild walnut, linden tree and pine tree are used. Bamboo nails are used. Soban available in Gangwondo is similar with that of Haeju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leg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legs to the plate, and the overall shape. However, Gangwondo Soban has simple wood engravings compared with splendid engravings of Haeju Soban. Tongyoung soban Tongyoung Soban has the top plate and the rim in one, which is same as Haeju Soban. Tongyoung Soban which has succeeded to the reputation of soban for long, together with Naju Soban has cle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legs, wood engraving,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legs and the plate. First of all, the top plate is grooved and the legs are directly connected to it, which is different from Naju Soban. The upper middle stool and the lower middle stool that connect the legs are put up and dow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ongyoung Soban. The top plate made of zelkova tree and gingko tree is evaluated best. Linden tree is sometimes used. For the legs, wood engravings, and middle stool, pine tree and zelkova tree are used. In Tongyoung, lacquer ware is developed so Tongyoung Soban is excellent at paint-finishing which is the key point of Soban. Sipjangsaeng (The Ten Immortals), mythical peach that is said to grow in Heaven, clouds, crane, and the letter of 福 made of mother-of-pearl are laid in the legs and the top plate. Iljuban (a table with one post) and Dagakban (a polygonal table) Iljuban is that the center of the top plate is supported by one post. The lower part of the legs have 4 props of foot which are crossed. Iljuban is small, so it is good for side dishes for liquor or fruits. The post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feet is carved like twisted thread, and on the feet, the design of lotus stalk or lotus vine is carved. In some cases, the top plate of iljuban is made to rotate. In case of Dagakban, its top plate and legs are polygonal. Sometimes, the top plate is round. Beonsang a (table to carry food for a family member on duty) and Gonggosang a (table used to carry out food to a family member working outside) have round top plate. They were functional tables made to carry food on the head to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boarding and lodging in a government office or a royal palace. In order to get sight when carrying the table on the head, a hole was made, which is the biggest feature of Dagakban. However, in case of Gonggosang, in the meantime, wood engravings have gone up higher and the hole for sight has been changed into a decorative function. There are An sang (eye-shape) design, square design and round design, and the letter of 卍 and the Seven Treasures design are carved. Sometimes it has a drawer to keep spoons and chopsticks. Naju soban Naju Soban is different from that of Tongyoung in that a rim is separately made to be attached to the top plate. This method heightens use of woods and prevents the top plate from being distorted so large sizes of soban can be made. Therefore, the rim of Naju Soban is thick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Cloud-shaped carvings are inserted into the legs from the top in the method of halving, and then, joined with the top plate in the method of clamping, which is to prevent the plate from being distorted. Mostly it doesn t have middle stool or has one around the top of the legs. The legs are mostly cylinder type, but there are some legs in the shapes of animals like tiger, horse, or dog. The top plate made of gingko tree is regarded best, and walnut tree, pear tree, paulownia tree, zelkova tree, linden tree and wild walnut tree are used too. For the legs, willow or pine tree is used. Naju Soban is simple unlike Tongyoung Soban and Haeju Soban that are splendid. 236 와 - 한국의 전통공예 Wood and Paper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237

¼Ò¸ñÀåÇ¥Áö

¼Ò¸ñÀåÇ¥Áö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55 Somokjang (Somok furniture making)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장 이 록도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록과 보존전승 일환으로 발간한 보고서이다. 소장( 小 木 匠 )은 건 창호라든가 가구를 제작하는 수를 말하는데, 무늬가 있는 나무를 가지고 자연스런 미( 美 )를

More information

11¹Ú´ö±Ô

11¹Ú´ö±Ô A Review on Promotion of Storytelling Local Cultures - 265 - 2-266 - 3-267 - 4-268 - 5-269 - 6 7-270 - 7-271 - 8-272 - 9-273 - 10-274 - 11-275 - 12-276 - 13-277 - 14-278 - 15-279 - 16 7-280 - 17-281 -

More information

민속지_이건욱T 최종

민속지_이건욱T 최종 441 450 458 466 474 477 480 This book examines the research conducted on urban ethnography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most people in Korea

More information

Study on Wood art in Tongyoung Sudo Mamoru' PARK Hyun kuk*2 Tongyoung is the most famous of the Korean traditional woodenware, furniture, small dining tables, woodenware technology, and lacquer ware inlaid

More information

7 1 ( 12 ) 1998. 1913 ( 1912 ) 4. 3) 1916 3 1918 4 1919. ( ) 1 3 1, 3 1. 1.. 1919 1920. 4) ( ), ( ),. 5) 1924 4 ( ) 1. 1925 1. 2). ( ). 6). ( ). ( ).

7 1 ( 12 ) 1998. 1913 ( 1912 ) 4. 3) 1916 3 1918 4 1919. ( ) 1 3 1, 3 1. 1.. 1919 1920. 4) ( ), ( ),. 5) 1924 4 ( ) 1. 1925 1. 2). ( ). 6). ( ). ( ). 7 1 ( 12 ) : 1-11, 1998 K orean J M ed H ist 7 : 1-11, 1998 ISSN 1225-505X * **.,.., 1960.... 1) ( ) 1896 3 2 ( ) ( ) ( ) ( ) 2. 1), 14 1909 1,. 14 17 1913. 2)..,. ( ) ( ),. * 1998 (1998. 5. 7). ** 1).

More information

274 한국문화 73

274 한국문화 73 - 273 - 274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5 276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7 278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9 280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81 282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83 284

More information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延 世 醫 史 學 제12권 제2호: 29-40, 2009년 12월 Yonsei J Med Hist 12(2): 29-40, 2009 특집논문 3 한국사회의 낙태에 대한 인식변화 이 현 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들어가며 1998년 내가 나이 마흔에 예기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을 때, 내 주변 사람들은 모두 들 너무나도 쉽게 나에게 임신중절을 권하였다.

More information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근대기 조선 지리지에 보이는 일본의 울릉도 독도 인식 호칭의 혼란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이 글은 근대기 일본인 편찬 조선 지리지에 나타난 울릉도 독도 관련 인식을 호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고찰한 것이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부국강병을 기도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에 의존하여 지리지를 펴냈고, 이를 제국주의 확장에 원용하였다. 특히 일본이 제국주의 확장을

More information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ꡔ周禮ꡕ* 52)부 남 철** 차 례 Ⅰ. Ⅱ. Ⅲ. Ⅳ. Ⅴ. 서론 유교국가의 정신 仁과 정치의 公共性 총재정치 육전체제 결론 국문초록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 鄭道傳이 ꡔ周禮ꡕ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ꡔ주례ꡕ는 유학자들이 이상적인

More information

歯1.PDF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More information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1 of 6 Learn Korean Ep. 13: Whether (or not) and If Let s go over how to say Whether and If. An example in English would be I don t know whether he ll be there, or I don t know if he ll be there.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More information

본문01

본문01 Ⅱ 논술 지도의 방법과 실제 2. 읽기에서 논술까지 의 개발 배경 읽기에서 논술까지 자료집 개발의 본래 목적은 초 중 고교 학교 평가에서 서술형 평가 비중이 2005 학년도 30%, 2006학년도 40%, 2007학년도 50%로 확대 되고, 2008학년도부터 대학 입시에서 논술 비중이 커지면서 논술 교육은 학교가 책임진다. 는 풍토 조성으로 공교육의 신뢰성과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Page 1 of 5 Learn Korean Ep. 4: To be and To exist Of course to be and to exist are different verbs, but they re often confused by beginning students when learning Korean. In English we sometimes use the

More information

` Companies need to play various roles as the network of supply chain gradually expands. Companies are required to form a supply chain with outsourcing or partnerships since a company can not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1) 통계청고시제 2010-150 호 (2010.7.6 개정, 2011.1.1 시행 ) - 4 -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에따른골밀도검사기준 (2007 년 11 월 1 일시행 ) - 5 - - 6 - - 7 - - 8 - - 9 - - 10 -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오용록의 작품세계 윤 혜 진 1) * 이 논문은 생전( 生 前 )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 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 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More information

Stage 2 First Phonics

Stage 2 First Phonics ORT Stage 2 First Phonics The Big Egg What could the big egg be? What are the characters doing? What do you think the story will be about? (큰 달걀은 무엇일까요? 등장인물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요? 책은 어떤 내용일 것 같나요?) 대해 칭찬해

More information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로컬리티 인문학 2, 2009. 10, 257~285쪽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양 인 실* 50) 국문초록 세계화 로컬리티는 특정장소나 경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시대에 따 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영화는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특이할 만한 사실은 미국과 일본의 영화계에서

More information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星州 漢文學의 歷史的 展開樣相 황 위 주* Ⅰ. 머리말 Ⅱ. 高麗末 以前의 狀況 Ⅲ. 朝鮮前期 官人과 士林 Ⅳ. 朝鮮後期 道學派의 活動 Ⅴ. 19世紀 以後의 狀況 Ⅵ. 마무리 국문초록 본고는 성주라는 특정 지역의 한문학을 집중적 검토 대상으로 삼아 이 곳에서 수행된 창작 활동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고 자 하였다. 성주지역 한문학은 신라 말부터

More information

step 1-1

step 1-1 Written by Dr. In Ku Kim-Marshall STEP BY STEP Korean 1 through 15 Action Verbs Table of Contents Unit 1 The Korean Alphabet, hangeul Unit 2 Korean Sentences with 15 Action Verbs Introduction Review Exercises

More information

2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Formation of Myuncheoneupchi and Myuncheon 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Abstract Myuncheon,

More information

204 205

204 205 -Road Traffic Crime and Emergency Evacuation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Abstract Road Traffic Crime

More information

IKC43_06.hwp

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

........pdf 16..

........pdf 16.. Abstract Prospects of and Tasks Involving the Policy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Yong-Shik, Le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21st century, the

More information

-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한국학연구 56(2016.3.30), pp.33-6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세종시의 지역 정체성과 세종의 인문정신 * 1)이기대 ** 국문초록 세종시의 상황은 세종이 왕이 되면서 겪어야 했던 과정과 닮아 있다. 왕이 되리라 예상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세종은 왕이 되었고 어려움을 극복해 갔다. 세종시도 갑작스럽게 행정도시로 계획되었고 준비의 시간 또한 짧았지만,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27(2), 2007, 96-121 S ij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j ij i j S ij S ij POP j SEXR j AGER j BEDDAT j k i a i i i L ij = S ij - S ij ---------- S ij S ij =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 전통 동요 및 부녀요를 중심으로 - 이 보 형 1) * 한국의 자연태 음악 특성 가운데 보편적인 특성은 대충 밝혀졌지만 소박집합에 의한 장단주기 박자유형, 장단유형, 같은 층위 전후 구성성분의 시가( 時 價 )형태 등 은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20 36 June 2004 ISSN 1225 505X * 1 1886 ( ) 1) 1905 * 1) 20 2) 1910 1926 1910 1926 1930 40 2 1899 1907 3) 4) 1908 1909 ( ) ( ) ( 2) 1995 1998 3) 1997 p 376 4) 1956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국악원논문집 제31집 111~144쪽 2015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16) 한국 초전불교와 서역 불교문화를 통하여 윤소희*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월명사가 부르지 못했던 성범(聲梵) 의 실체를 찾아서 실크로드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초전불교의 면면 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 초기불교 시기에 서역에서 온 유랑승들이 많았고, 이들은 범어범패로

More information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儀 禮 의 社 會 的 機 能 과 變 化 李 顯 松 裵 花 玉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ore information

03¹ü¼±±Ô

03¹ü¼±±Ô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Seon-Gyu Beom* Abstract : In Korea, aside from their official administrative names, aliases of each province

More information

<BABBB9AE2E687770>

<BABBB9AE2E687770> 253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 49) 이진원* Ⅰ. 머리말 Ⅱ. 기존 연구성과 검토 Ⅲ.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검토 Ⅳ.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의 의의 Ⅴ. 맺음말 Ⅰ. 머릿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취관악기(縱吹管樂器)에는 무황악기(無簧樂器)인 퉁소 단소가 있 고, 유황악기(有簧樂器)로 피리와 쇄납 등이

More information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朝中關係의 관점에서 본 仁祖反正의 역사적 의미 83)한 Ⅰ. Ⅱ. Ⅲ. Ⅳ. Ⅴ. Ⅵ. 명 기* 머리말 仁祖反正 발생에 드리운 明의 그림자 扈聖功臣 후예 들의 정권 장악으로서의 仁祖反正 仁祖反正에 대한 明의 이중적 인식과 대응 仁祖反正 승인을 통해 明이 얻은 것 맺음말 인조반정은 明淸交替가 진행되고 있던 동아시아 정세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More information

2 min 응용 말하기 01 I set my alarm for 7. 02 It goes off. 03 It doesn t go off. 04 I sleep in. 05 I make my bed. 06 I brush my teeth. 07 I take a shower.

2 min 응용 말하기 01 I set my alarm for 7. 02 It goes off. 03 It doesn t go off. 04 I sleep in. 05 I make my bed. 06 I brush my teeth. 07 I take a shower. 스피킹 매트릭스 특별 체험판 정답 및 스크립트 30초 영어 말하기 INPUT DAY 01 p.10~12 3 min 집중 훈련 01 I * wake up * at 7. 02 I * eat * an apple. 03 I * go * to school. 04 I * put on * my shoes. 05 I * wash * my hands. 06 I * leave

More information

1_2•• pdf(••••).pdf

1_2•• pdf(••••).pdf 65% 41% 97% 48% 51% 88% 42% 45% 50% 31% 74% 46% I have been working for Samsung Engineering for almost six years now since I graduated from university. So, although I was acquainted with the

More information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DOI http:ddoi org 10 14380 AHF 2015 41 113 新 興 寺 佛 殿 莊 嚴 壁 畵 考 I. 머리말 朴 銀 卿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규슈대학 문학박사 불교회화사 15 3 3 1 1 * 2013 NRF 2013S1A5A2A03045496 ** : 26 2014; 高 麗 佛 畵 : 本 地 畵 幅 奉 安 問 題 美 術

More information

12Á¶±ÔÈŁ

12Á¶±ÔÈŁ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5, No. 4. pp.158~175(2001) A Study on the Apparel Industry and the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 Kyu Hwa Cho Prof.,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More information

Output file

Output file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An Application for Calculation and Visualization of Narrative Relevance of Films Using Keyword Tags Choi Jin-Won (KAIST) Film making

More information

2011´ëÇпø2µµ 24p_0628

2011´ëÇпø2µµ 24p_0628 2011 Guide for U.S. Graduate School Admissions Table of Contents 02 03 04 05 06 08 09 10 11 13 15 21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SERVICE www.leadersuhak.com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More information

¹Ìµå¹Ì3Â÷Àμâ

¹Ìµå¹Ì3Â÷Àμâ MIDME LOGISTICS Trusted Solutions for 02 CEO MESSAGE MIDME LOGISTICS CO., LTD. 01 Ceo Message We, MIDME LOGISTICS CO., LTD. has established to create aduance logistics service. Try to give confidence to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45) * 김경남 차 례 Ⅰ. 서론 Ⅱ. 근대 계몽기 이순신 서사와 뺷유년필독뺸 Ⅲ. 일제 강점기 실기(實記)와 뺷문예독본뺸의 이순신 Ⅳ. 광복 이후의 이순신 서사 Ⅴ.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근대이후 교재에 나타난 이순신상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More information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이 함께 했던 사람의 이야기 가 나와 있는데 에스라 7장은 거듭해서 그 비결을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이 함께 했던 사람의 이야기 가 나와 있는데 에스라 7장은 거듭해서 그 비결을 새벽이슬 2 0 1 3 a u g u s t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 그가 백합화같이 피 겠고 레바논 백향목같이 뿌리가 박힐것이라. Vol 5 Number 3 호세아 14:5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More information

제34호 ISSN 1598-7566 충청감사와 갑오년의 충청도 상황 신 영 우 2015. 3. 동학학회 충청감사와 갑오년의 충청도 상황 신영우* 국문초록 이 논문은 충청감사의 시각에서 갑오년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한 글 이다. 지금까지 군현이나 권역 단위의 사례연구는 나왔으나 도( 道 ) 단위로 살 펴본 적은 없지만 충청도는 동학농민군의 세력

More information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

#중등독해1-1단원(8~35)학

#중등독해1-1단원(8~35)학 Life Unit 1 Unit 2 Unit 3 Unit 4 Food Pets Camping Travel Unit 1 Food Before You Read Pre-reading Questions 1. Do you know what you should or shouldn t do at a traditional Chinese dinner? 2. Do you think

More information

2 소식나누기 대구시 경북도 영남대의료원 다문화가족 건강 위해 손 맞잡다 다문화가정 행복지킴이 치료비 지원 업무협약 개인당 200만원 한도 지원 대구서구센터-서부소방서 여성의용소방대, 업무협약 대구서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난 4월 2일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적응 지원을

2 소식나누기 대구시 경북도 영남대의료원 다문화가족 건강 위해 손 맞잡다 다문화가정 행복지킴이 치료비 지원 업무협약 개인당 200만원 한도 지원 대구서구센터-서부소방서 여성의용소방대, 업무협약 대구서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난 4월 2일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적응 지원을 제68호 다문화가족신문 발행 편집 인쇄인 : 매일신문사 사장 여창환 발 행 처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20 매일신문사 무지개세상 편집팀 TEL(053)251-1422~3 FAX (053)256-4537 http://rainbow.imaeil.com 등 록 : 2008년 9월 2일 대구라01212호 구독문의 : (053)251-1422~3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More inform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발굴조사보고서 BANGUDAE PETROGLYPH IN DAEGOK-RI, ULJOO EXCAV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More information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맛있는 한국으로의 초대 - 중화권 음식에서 한국 음식의 관광 상품화 모색하기 - 소속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도교수 : 오승렬 교수님 ( 중국어과) 팀 이 름 : 飮 食 男 女 ( 음식남녀) 팀 원 : 이승덕 ( 중국어과 4) 정진우 ( 중국어과 4) 조정훈 ( 중국어과 4) 이민정 ( 중국어과 3) 탐방목적 1. 한국 음식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경제적 가치에도

More information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001 002 003 004 005 006 008 009 010 011 2010 013 I II III 014 IV V 2010 015 016 017 018 I. 019 020 0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III. 041 042 III. 043

More information

I&IRC5 TG_03,04권

I&IRC5 TG_03,04권 I N T E R E S T I N G A N D I N F O R M A T I V E R E A D I N G C L U B Written by Eun-shil Chun Illustrated by Soo-woong Choi 47 (in 1745,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his family was not

More informatio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

서론 34 2

서론 34 2 34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ume 34, Number 2, 2009, pp. 165 176 165 진은희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More information

#Ȳ¿ë¼®

#Ȳ¿ë¼® http://www.kbc.go.kr/ A B yk u δ = 2u k 1 = yk u = 0. 659 2nu k = 1 k k 1 n yk k Abstract Web Repertoire and Concentration Rate : Analysing Web Traffic Data Yong - Suk Hwang (Research

More information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논문접수일 : 2014.12.20 심사일 : 2015.01.06 게재확정일 : 2015.01.27 청각 장애자들을 위한 보급형 휴대폰 액세서리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Prototype of Low-end Mobile Phone Accessory Design for Hearing-impaired Person 주저자 : 윤수인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More information

영남학17합본.hwp

영남학17합본.hwp 英 祖 代 戊 申 亂 이후 慶 尙 監 司 의 收 拾 策 李 根 浩 * 105) Ⅰ. 머리말 Ⅱ. 戊 申 亂 과 憂 嶺 南 說 Ⅲ. 以 嶺 南 治 嶺 南, 독자성에 토대한 통치 원칙 제시 Ⅳ. 鄒 魯 之 鄕 복원을 위한 교학 기구의 정비 Ⅴ. 상징물 및 기록의 정비 Ⅵ. 맺음말 국문초록 이 글은 영조대 무신란 이후 경상감사들이 행했던 제반 수습책을 검토 한 글이다.

More information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190 2016 JEL Classification Number J24, I21, J20 Key Words JILPT 2011 1 190 Empirical Evidence on the Determinants of Success in Full-Time Job-Search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By Hiroko ARAKI and

More information

I&IRC5 TG_08권

I&IRC5 TG_08권 I N T E R E S T I N G A N D I N F O R M A T I V E R E A D I N G C L U B The Greatest Physicist of Our Time Written by Denny Sargent Michael Wyatt I&I Reading Club 103 본문 해석 설명하기 위해 근래의 어떤 과학자보다도 더 많은 노력을

More information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More information

<313120B9DABFB5B1B82E687770>

<313120B9DABFB5B1B82E687770> 한국민족문화 40, 2011. 7, 347~388쪽 1)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2)박 영 구** 1. 머리말 2. 1973년, 중화학공업화선언과 과학기술인력의 부족 3. 1973년 전반기의 교육제도 개편과 정비 1) 계획과 개편 2) 기술교육 개선안과 인력개발 시책 4. 1973년 후반기의 개편과 정비 5. 정비된 정규교육제도의 특징

More information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權 近 의 五 經 인식 - 經 學 과 經 世 論 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 文 植 * 1. 머리말 2. 經 學 과 經 世 論 연결의 이론적 기반 3. 五 經 淺 見 錄 의 經 典 해석과 經 世 論 4. 맺음말 요약문 권근( 權 近 )은 체용론( 體 用 論 )에 입각하여 오경( 五 經 ) 간의 관계 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 用 )

More information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13 2 ( 25 ) 2004 12 Korean J Med Hist 13 284 296 Dec 2004 ISSN 1225 505X 1) * ** ** 1 1920 1930 40 ( 1896-1973) 80 * ** 1) 2003 284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More information

歯M991101.PDF

歯M991101.PDF 2 0 0 0 2000 12 2 0 0 0 2000 12 ( ) ( ) ( ) < >. 1 1. 1 2. 5. 6 1. 7 1.1. 7 1.2. 9 1.3. 10 2. 17 3. 25 3.1. 25 3.2. 29 3.3. 29. 31 1. 31 1.1. ( ) 32 1.2. ( ) 38 1.3. ( ) 40 1.4. ( ) 42 2. 43 3. 69 4. 74.

More information

01김경회-1차수정.hwp

01김경회-1차수정.hwp 한국민족문화 57, 2015. 11, 3~32 http://dx.doi.org/10.15299/jk.2015.11.57.3 장복선전 에 나타난 이옥의 문제의식 고찰 - 심노숭의 사가야화기, 정약용의 방친유사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김 경 회 * 1. 들어가며 2. 장복선의 행적 비교 1) 입전 동기 2) 장복선의 처지 3) 장복선의 구휼 및 연대 3. 장복선의

More information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독서문화 생태계 조성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내 국외 성공 사례에 기초하여 오선경 * 국문초록 매체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해가면서 종이책 독서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더불 어 오픈 마켓이나 대형 서점, 온라인 서점 등의 공격적 마케팅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빨리, 보다 싸게 라는 책 소비 패턴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곧 규모나 자본

More information

09김정식.PDF

09김정식.PDF 00-09 2000. 12 ,,,,.,.,.,,,,,,.,,..... . 1 1 7 2 9 1. 9 2. 13 3. 14 3 16 1. 16 2. 21 3. 39 4 43 1. 43 2. 52 3. 56 4. 66 5. 74 5 78 1. 78 2. 80 3. 86 6 88 90 Ex e cu t iv e Su m m a r y 92 < 3-1> 22 < 3-2>

More information

00표지

00표지 11 2007 11 Vol.379 www.corrections.go.kr 004 004 011 032 007 012 020 021 032 036 038 041 042 044 046 COVER STORY 067 162 170 052 067 076 079 084 134 145 148 150 153 154 183 184 Monthly Correctional Review

More information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018.01 Vol.259 C O N T E N T S 02 06 28 61 69 99 104 120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8.1 3 4 2018.1 1) 2) 6 2018.1 3) 4) 7 5) 6) 7) 8) 8 2018.1 9 10 2018.1 11 2003.08 2005.08

More information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2 @ Preflight (2)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2 @ Preflight (2) Think Big, Act Big! Character People Literature Beautiful Life History Carcere Mamertino World Special Interview Special Writing Math English Quarts I have been driven many times to my knees by the overwhelming

More information

2 御 手 洗 辰 雄 25 社 民 論 指 導 朝 鮮 春 秋 會 辛 島 島 驍 文 章 報 國 250 朝 鮮 文 人 協 會 3 書 畵 觀 半 4 漢 學 畵 筆 報 國 親 日 儒 學 系 2 內 地 1930 1930 6 9% 外 地 亞 細 亞 硏 究 51:1 2008 pp 1

2 御 手 洗 辰 雄 25 社 民 論 指 導 朝 鮮 春 秋 會 辛 島 島 驍 文 章 報 國 250 朝 鮮 文 人 協 會 3 書 畵 觀 半 4 漢 學 畵 筆 報 國 親 日 儒 學 系 2 內 地 1930 1930 6 9% 外 地 亞 細 亞 硏 究 51:1 2008 pp 1 美 術 史 論 壇 第 34 號 2012 6 久 保 田 天 南 朝 鮮 南 畵 院 I. 들어가며 黃 빛나 韓 國 美 術 硏 究 所 硏 究 員 水 源 大 學 校 講 師 梨 花 女 子 大 學 校 美 術 史 學 科 博 士 課 程 修 了 韓 日 近 代 美 術 史 1910 171 543 1940 757 823 30 100 公 務 1 內 地 * 2003 小 室 翠 雲 1874

More information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김관원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Ⅰ. 머리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 현안으로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등이 일본에서 희생자 보상청구 소송을 제 기한 1991년부터다. 이때 일본 정부는 일본군이 위안부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i g d e d mod, t d e d e d mod, t e,0 e, n s,0 e,n e,0 Division of Workers' Compensation (2009). Iowa workers' compensation manual. Gamber, E. N. & Sorensen, R. L. (1994). Are net discount rates stationary?:

More information

<32303132C7D0B3E2B5B520C0DABFACB0E8BFAD20B8F0C0C7C0FBBCBAB0EDBBE72020B9AEC1A62E687770>

<32303132C7D0B3E2B5B520C0DABFACB0E8BFAD20B8F0C0C7C0FBBCBAB0EDBBE72020B9AEC1A62E687770> 언어이해력 1. 단어의 구조가 보기와 다른 것은? 4. 다음의 빈칸에 들어갈 적당한 말은? 선풍기 : 바람 = ( ) : ( ) 보리밥 은 재료+대상 의 의미 구조를 지 닌다. 따라서 보리로 만든 밥 이라는 뜻이 다. 1 발전소 : 전기 3 세탁기 : 옷 2 인쇄기 : 종이 4 자동차 : 기름 1 밀짚모자 2 유리창 3 꽃집 4 비단옷 2. 다음의 낱말 이어가기에서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동남아시아연구 20권 2호(2010) : 73~99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 여성상 고찰* 1) 육 상 효** 1. 들어가는 말 한국의 영화와 TV 드라마에 아시아 여성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베트남 여성이다. 왜 베트남 여성인가? 한국이 참전한 베트 남 전쟁 때문인가? 영화 , , 드라마 을

More information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18세기 馬 兵 의 한글일기 난리가 연구 1)정우봉 * 1. 서론 2. 난리가 의 장르, 작가 및 창작 시기 3. 난리가 의 주제의식과 표현방식 4. 결론 난리가( 亂 離 歌 ) 는 1728년에 발생한 戊 申 亂 (일명 李 麟 佐 의 난)을 진압하 기 위해 官 軍 으로 참전한 訓 練 都 監 소속의 한 馬 兵 이 산문으로 기록한 한글 일기

More information

49-9분동안 표지 3.3

49-9분동안 표지 3.3 In the ocean, humans create many noises. These noises disturb the waters. People do not know that manmade sound harms the creatures living in the sea. In the end, disturbing the ocean affects each one

More information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

GEAR KOREA

GEAR KOREA GEAR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Gears Support your various needs with our world class engineering skill and the newest manufacturing facilities. 1 2 Nissei creates high-quality high-precision gears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발 간 사 국악학 기초연구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국악원논문집 은 1989년 제1집을 시작으로 2004년 제16집까지 연1회 발간하였고, 잠시 중단되었던 학술지는 2008년 제17집부터 발간횟수를 연간 2회로 늘려 재발간하고 있습니다. 국악원논문집 은 공모를 통해 원고를 모집하고 편집회의를 통한 1차 심사,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의 2차 심사를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小兒藥證直訣 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 病證과 處方을 중심으로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ㆍ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2*1)2)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The Theory of Five Organs in Soayakjeungjikgyeol(小兒藥證直訣) 1 Dept. of Oriental

More information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2017.09 Vol.255 C O N T E N T S 02 06 26 58 63 78 99 104 116 120 122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7.9 3 4 2017.9 6 2017.9 7 8 2017.9 13 0 13 1,007 3 1,004 (100.0) (0.0) (100.0)

More information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497 의사학 제24권 제2호(통권 제50호) 2015년 8월 Korean J Med Hist 24 ː497-532 Aug 2015 c대한의사학회 http://dx.doi.org/10.13081/kjmh.2015.24.497 pissn 1225-505X, eissn 2093-5609 역시만필( 歷 試 漫 筆 ) 의 사례로 재구성한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질병

More information

<32303131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32303131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통일문제연구 2011년 하반기(통권 제56호) 전쟁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국가 만들기* - 역사/다큐멘터리/기억 - 1)이 명 자** Ⅰ. 들어가는 말 Ⅱ. 과 제작배경 Ⅲ. 과 비교 Ⅳ. 역사/다큐멘터리/기억 현대 남북한 체제 형성에서 주요한 전환점인 한국전 쟁은 해방 후 시작된 좌우대립과 정치적,

More information

00표지

00표지 2008 01 www.corrections.go.kr Vol. 381 01 Vol.381 www.corrections.go.kr 004 008 014 028 036 040 042 045 046 048 050 007 008 036 COVER STORY 054 067 067 170 179 076 079 084 116 140 143 152 157 183 184 008

More information

1. 2. 2 1. 2 2. 2 3. 3. 3 3 1. 3 2. 3 3. 4. 4 1. : 4 2. : (KSVD) 4 3. : 88 5. 36

1. 2. 2 1. 2 2. 2 3. 3. 3 3 1. 3 2. 3 3. 4. 4 1. : 4 2. : (KSVD) 4 3. : 88 5. 36 , 1965 1994: 3 1965 (Konstfackskolan). 1996. (, 2004) :, (, 2010), 20 (, 2005), :,, (, 2005), 02: (, 2008), (KDF, 2009), (, 2011), (, 2011). ( _, 2011 3 ), : ( 前 史 ) (, 102, 2012). 35 1. 2. 2 1. 2 2. 2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251-273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2.201706.251 : 1997 2005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More information

<BCB1B9AEC8ADBFACB1B8203135C1FD2D35B1B32E687770>

<BCB1B9AEC8ADBFACB1B8203135C1FD2D35B1B32E687770> 정책논증모형을 통해 본 조선초기 불교정책과 涵 虛 禪 師 의 顯 正 論 이원행(한양대학교 행정학박사) Ⅰ. 머리말 Ⅱ. 政 策 論 證 模 型 과 朝 鮮 初 期 儒 佛 論 爭 Ⅲ. 政 策 資 料 및 情 報 와 朝 鮮 初 期 佛 敎 政 策 1. 根 據 와 朝 鮮 初 期 排 佛 論 과 佛 敎 政 策 2. 補 强 과 性 理 學 的 政 治 理 念 Ⅳ. 反

More information

00표지

00표지 12 2007 12 Vol.380 www.corrections.go.kr 004 004 011 028 007 012 016 018 028 032 034 037 038 040 042 044 COVER STORY 166 174 178 048 067 076 079 084 117 137 138 146 150 153 183 184 Monthly Correctional

More information

05_±è½Ã¿Ł¿Ü_1130

05_±è½Ã¿Ł¿Ü_1130 132 133 1) 2) 3) 4) 5) 134 135 6) 7) 8) 136 9) 10) 11) 12) 137 13) 14) 15) 16) 17) 18) 138 19) 20) 21) 139 22) 23) 140 24) 141 25) 142 26) 27) 28) 29) 30) 31) 32) 143 33) 34) 35) 36) 37) 38) 39) 40) 144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10송동수.hwp

10송동수.hwp 종량제봉투의 불법유통 방지를 위한 폐기물관리법과 조례의 개선방안* 1) 송 동 수** 차 례 Ⅰ. 머리말 Ⅱ. 종량제봉투의 개요 Ⅲ. 종량제봉투의 불법유통사례 및 방지대책 Ⅳ. 폐기물관리법의 개선방안 Ⅴ.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개선방안 Ⅵ. 결론 국문초록 1995년부터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제작, 판매되기 시작하였는데,

More information

07_Àü¼ºÅÂ_0922

07_Àü¼ºÅÂ_0922 176 177 1) 178 2) 3) 179 4) 180 5) 6) 7) 8) 9) 10) 181 11) 12) 182 13) 14) 15) 183 16) 184 185 186 17) 18) 19) 20) 21) 187 22) 23) 24) 25) 188 26) 27) 189 28) 29) 30)31) 32) 190 33) 34) 35) 36) 191 37)

More information

03-ÀÌÁ¦Çö

03-ÀÌÁ¦Çö 25 3 (2004 9 ) J Korean Oriental Med 2004;25(3):20-31 1), 2), 3) 1) 2) 3) Grope for a Summary Program about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TK)etc. Discussed in WIPO Hwan-Soo

More information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271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정 규 식* 1) - 목 차 - Ⅰ. 서론 Ⅱ.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전반적 현황 1. 이야기꾼의 여성 편중성 2. 구연 자료의 민요 편중성 3. 이야기꾼의 가변적 구연력 4. 이야기 유형의 제한성 5. 이야기꾼 출생지의 비부산권 강세 Ⅲ.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특징 Ⅳ. 결론 개 요 본고의 목적은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