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3E220BBEABAD2C5EBB0E820BFACBAB82DC3D6C1BE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 B3E220BBEABAD2C5EBB0E820BFACBAB82D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1 림청대전광역시서구청사로 189, 1 동 푸른숲, 그사랑의시작은 산불예방입니다 년 산불통계연보산발간등록번호 2017 년 산 / 불 / 통 / 계연보 정확한판단신속한대응안전한진화

2

3 발간등록번호 년 산 / 불 / 통 / 계연보 정확한판단신속한대응안전한진화

4

5 2017 년산불통계연보길라잡이 1 발간목적 우리나라는최근 10년평균 ( 08~ 17 년 ) 421건의산불이발생하여 603ha의산림이소실되었으며, 최근에는기후변화등의원인으로전세계적으로초대형산불이자주발생하여산불예방과관리가국제적이슈로부각되고있다. 또한산불은큰피해에비해원인은사소한부주의로발생하고있으므로이를사전에예방하여피해를최소화하는것이중요하다. 따라서산불통계발간은국민들에게산불조심의중요성을인식시키고유관기관에는정책자료를제공함으로써산불발생을근원적으로줄이는데목적이있다. 2 자료구성및내용가. 자료의출처및기준 통계소재정보 - 승인번호 : 국가승인통계 (13625) - 통계분야 : 농림 - 통계종류 : 일반통계 보고통계 - 조사범위 : 전국 - 조사주기 : 1년 - 조사체계 : 시ㆍ군ㆍ구및국유림관리소 시ㆍ도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및지방산림청 산림청 산불통계연보는산림보호법제36조제4항및동법시행규칙제32조등에의거하여 산불발생및피해상황보고서 를정리 편집한것이며기타해외대형산불사례및통계는통계출처등을별도로표기하였음 4장의산불통계의기준일은 ~12.31까지이며 5장의 10년평균은 2008년~2017년을기준으로정하였음 6장의기상자료는 월기상청발표자료를활용한것으로이후변동사항이있을수있음

6 나. 통계의구성및주요내용 목차주요내용 < 제 1 장 > 일반현황산불방지정책변천사 < 제 2 장 > 눈으로보는산불사진으로보는주요산불현황 < 제 3 장 > 2017 년산불발생현황산불현황분석및시사점 < 제 4 장 > 2017 년산불통계 2017 년산불발생통계분석 < 제 5 장 > 최근 10 년이상산불통계최근 10~20 년간산불발생통계분석 < 제 6 장 > 기상상황산불과관련된기상여건 < 제 7 장 > 외국의산불외국의산불발생통계분석 < 제 8 장 > 부록산불피해대장및일자별산불발생현황등 3 이용자가이드 통계수치중세목과총계가각각반올림된경우에는세목의합계또는총계가일치하지않을수있으며, 일부자료는주요항목만발췌작성하여계와항목간자료의합계가일치하지않는경우도있음 전년호와일치하지않는통계자료는이번호에서정정된것임 산불통계는산불현황을유형별, 지역별등여러항목으로구분하고현황을도표로작성하여누구나쉽게활용할수있도록구성하였음 여기에수록된자료는산불정보시스템및전자북에 pdf파일로게시하였음 산불통계연보는산림보호법제36조제4항및동법시행규칙제32조등에의거하여 산불발생및피해상황보고서 를정리 편집한것으로소방청에서발표하는임야화재통계와는차이가있을수있음

7 목 차 제1장일반현황 7 1. 산불정책의변천 9 2. 시대별산불정책변천사 산불방지제도 년산불방지주요시책 년도추진성과평가및개선사항 25 제 2 장 2017 년눈으로보는산불 27 제3장 2017년산불발생현황 산불발생여건 산불발생현황및특성 34 가. 총괄 34 나. 시기별 35 다. 원인별 36 라. 지역별 37 마. 규모별, 시간대별 주요산불현황

8 제4장 2017년산불통계 월별산불발생현황 43 가. 월별 원인별산불발생현황 43 나. 월별 요일별산불발생현황 44 다. 월별 규모별산불발생현황 45 라. 시 도별산불피해액 기관별산불발생현황 47 가. 기관별산불피해현황 47 나. 기관별 피해규모별산불발생현황 48 다. 기관별 월별산불발생현황 49 라. 시 도별산불피해현황 50 마. 시 도별, 월별산불발생현황 51 바. 시 도별산불다발및피해가많은지역 진화시간및진화인력투입현황 53 가. 기관별진화소요시간 53 나. 기관별진화소요시간대별발생현황 54 다. 기관별진화인력투입현황 56 라. 연도별진화인력투입현황 월별산불발생원인별현황 58 가. 월별 원인별산불발생현황 ( 총괄 ) 58 나 ~ 파. 1~12월중산불발생별현황

9 5. 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82 가. 17 년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82 나. 연도별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야간산불현황 84 가. 기관별 월별야간산불현황 84 나. 기관별 원인별야간산불현황 헬기진화현황 86 가. 17년헬기진화현황 86 나. 17년헬기진화세부현황 87 다. 17년기관별헬기투입현황 88 라. 최근 5년간헬기투입현황 89 마. 연도별헬기투입현황 군사격장산불발생현황 91 가. 17 년군사격장및민통선산불발생현황 91 나. 연도별군 ( 軍 ) 사격장내산불발생현황 94 제 5 장최근 10~20 년간산불발생통계 최근 20 년간산불발생현황 최근 10 년간산불발생현황 98 가. 산불발생현황 ( 총괄 )

10 나. 원인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99 다. 원인별산불발생현황 ( 면적 ) 100 라. 계절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101 마. 요일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102 바. 시간대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103 사. 시간별산불발생현황 104 아. 기관별산불발생현황 105 자. 시 도별산불발생현황 최근 10년간월별산불발생현황 110 가. 월별발생건수 110 나. 월별피해면적 111 다. 월별 원인별발생현황 ( 건수 ) 112 라. 월별 원인별발생현황 ( 면적 ) 최근 10년간야간산불현황 114 가. 월별야간산불현황 114 나. 월별야간산불피해면적 115 다. 지역별야간산불현황 ( 건수 ) 116 라. 지역별야간산불피해면적 최근 10년간방화성산불발생현황 118 가. 방화성산불현황 118 나. 지역별방화성산불현황

11 6. 공휴일 설날 대보름날 식목일 선거일산불발생현황 120 가. 공휴일산불발생현황 120 나. 설날 대보름날 식목일산불발생현황 ha 이상산불피해내역 123 가. 30ha 이상산불피해내역 124 나. 100ha 이상산불피해내역 최근 10년 ( 08 ~ 17) 간산불가해자검거현황 128 제6장기상상황 산불과강수량 131 가. 월별산불과기상 131 나. 월별산불과강수량 132 다. 연도별 월별강수량현황 133 라. 연도별 월별강수일현황 134 마. 월별ㆍ지역별강수량 135 바. 월별ㆍ지역별강우일수 138 사. 월별전국강수량누계 140 아. 월별 지역별강수량 기상특보 166 가. 월별건조일수와산불건수 166 나. 기상특보 ( 건조특보 ) 발령현황 167 다. 최근 10년간건조주의보발령현황 168 라. 최근 10년간월별건조주의보발령현황

12 제 7 장외국의산불 국가별산불발생건수 국가별산불피해면적 국가별산불발생현황 175 가. 미국 175 나. 일본 176 다. 캐나다 177 라. 포르투갈 178 마. 스페인 179 바. 프랑스 180 사. 이탈리아 181 아. 그리스 182 자. 독일 세계의대형산불 184 제 8 장부록 년산불피해대장 213 가. 2017년산불피해대장 214 나. 2017년일자별산불발생현황 ( 총괄 ) 233 다. 최근 10년간일자별산불발생현황

13 제 1 장일반현황 - 7 -

14

15 제 1 장일반현황 1. 산불정책의변천산림청발족이전 (1945~1966) 산림청발족이전에는농림부산림국임정과에서산불업무담당 6.25전쟁으로산불에의한피해를줄이고자 1952년산림보호임시조치법을시행하여산불정책의발전계기마련 1961년산림법제정, 산불방지는산림계원과국유림보호조합원으로구성된산불경방단이농기구등을이용하여산불진화산림기본계획수립이전 (1967~1972) 1967년 1월산림청발족, 산불은임정국보호과에서관장 1968년산화경방요령과 1971년산림보호단속요강제정 1971년산림항공기최초도입 ( 소형 3대 ) 및산림항공대창설 산불진화장비는불갈퀴, 불털이개등진화장비사용제1차산림기본계획기 (1973~1978) 산림피해방지와조림 육림등산림조성을국가산림정책의최우선과제로추진 산불방지대책으로예방 진화 사후대책으로구분하여이행 월산림청을농림부에서내무부로이관하여녹화사업과산림보호에행정력강화 1973년입산통제정책시행, 방화선개설제2차산림기본계획기 (1979~1987) 산불방지목표는산불예방과조기진화로산불피해최소화 1987년산림청소속을내무부에서농림수산부소관으로변경 산불담당은임정국보호과에서담당 - 9 -

16 기상변화에따른산불경보제도입 1980년산림법개정시입산통제구역및산화경방기간설정을법적으로제도화하여산불예방활동강화제3차산림기본계획기 (1988~1997) 산불정책목표는범국민적산림보호공감대조성과산불방지의자율적참여의식정착 1995년공익근무요원산불감시및진화에활용 정부수립이후최대산불발생 ( 강원고성 3,762ha) 1996년산림청산불통제관및임업연수원산불방지훈련과신설 산림법을개정하여산림소유자에게산불예방과진화에대한조치를취하도록규정하고산림내취사행위완전금지제4차산림기본계획기 (1998~2007) 강원도동해안 4개시 군에서역사이래최대규모의대형산불발생 ( 00년 16건, 24,846ha), 양양산불 ( , 973ha) 로천년고찰낙산사소실 1999년산불통제관폐지, 임업정책국에산불방지과설치 IT기술을접목시킨관리시스템도입, 전문예방진화대확대 2000년산불현장통합지휘지침제정및동해안산불관리센터개소 산불진화기관의임무와역할에관한규정제정 ( ) 제5차산림기본계획기 (2008 ~ 현재 ) 저탄소녹색성장이국가정책과제로집중추진된시기임 산불핵심과제로과학적감시및뒷불감시시스템구축, 산불관리체계및조직의전문화, 산불예방및진화대응고도화기술개발, 산불피해지복구복원등을핵심과제로추진 2008년직제개정으로산불방지팀을산불방지과로재개편및업무확대 ( 산림재해종합상황실운영, 산불진화지휘차량운영, 항공기위성항법장치구축, 산악구조업무등 )

17 2009년장기가뭄에대응한산불방지특별대책수립 2010년산림보호법을제정하여산불방지장기대책수립, 산불조사기능등을강화 2010년위치관제시스템을이용한산불감시및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을이용한진화기술고도화추진 2011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산불방지장기대책수립 (2012~2016) 세계산불총회유치 (2015) 입산통제구역전자지도웹서비스 산림연접지산불요인저감대책수립추진 산불감시원운영요령제정 산불발생신고어플리케이션개발및보급 산불감시시설타당성평가시스템구축 광역산불진화대시범구성 운영 (6개단) 제1회전국산불지상진화경연대회개최 산불진화장비규격화추진 기계화산불진화시스템 ( 중형 ) 보급 헬기위치정보시스템 (SIS) 운영 산불통합지휘본부의산림부서일원화조치 ( 경북 ) 산불전문조사반산불대응평가로피드백기능강화 2012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세계산불총회준비를위한회의참석 ( 독일 ) 세계산불총회슬로건및로고확정 등산로개방지역전자지도웹서비스 ( 국립공원구역통합 ) 산불방지급수시설기준마련 대형산불위험사전예보제도입및서비스시범운영

18 산불상황관제시스템고도화사업추진 - 산불위험예보시스템, 등산로정보, 산불감시카메라영상, 산불신고어플리케이션, 송전선로정보추가 산불예방홍보동영상제작 산불전문예방진화대고용일수증가 ( 일) 산불현장풍속측정을위한풍속계보급 ( 시 군별 1대 ) 산림항공안전운항정보시스템고도화 ( 위성사진추가등 ) 산불현장동영상전송시스템설치 (2세트) 해외산불감식전문가초청교육실시 ( 캐나다 3명 ) 산불방지인력교육 훈련추진을위한제도마련 2013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산림항공안전계설치및산림항공안전기능강화 산불상황관제시스템고도화 - 문화재정보, 국립공원경계, 지번검색등 산불예방홍보삽화및교육용삽화제작 산불방지인력교육 훈련근거법령마련추진 ( 산림보호법정부안 ) 산불현장동영상전송시스템설치 (20세트) 산불방지급수시설기준보완 2014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지역별산불위험지실태조사추진 산불소화시설고도화 빅데이터분석을통한소각산불예방방안연구 산불조심기간중입산가능지역안내웹서비스확대 소각산불없는녹색마을추진 항공안전 50대대책이행

19 산림헬기 골든타임제 (30분이내현장도착 ) 운영 산불방지표준교재제작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설립 2015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필지별입산통제구역웹서비스실시 산불방지이격공간조성사업중단 스마트원격산불소화시설추진 산불방지교육 훈련확대 제6차세계산불총회개최및평창선언발표 농촌진흥청과소각산불공동대응 MOU 체결 2016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산불재난특수진화대시범운영 산불방지교육 훈련위탁업무처리기준변경 산불위험요인사전제거시범사업추진 산불소화시설유지보수점검추진 산불방지진화인력표준교육교재제작 2017년신규 ( 변경 ) 추진정책 산림재해일자리통합운영 ( 산림재해대응 4개일자리통합운영 ) 산불재난특수진화대시범운영 (10개월, 200명, 5개지방청 ) 무인항공기 ( 드론 ) 산림분야활용확대기반마련

20 2. 시대별산불정책변천사 구분조직제도진화장비 산림청발족이전 - 농림부산림국임정과 - 산림보호임시조치법 ( 52) - 무선통신시설도입 (1945~1966) 설치 ( 48.11) - 산림법제정 ( 61) - 농기구사용진화 산림기본계획이전 (1967~1972) - 산림청임정국보호과신설 ( 67) - 산림항공대창설 ( 71) - 산화경방요령제정 ( 68) - 산림보호단속요강제정 ( 71) - 방화선설치 ( 72) - 오토바이산불순찰 - 헬기 3 대도입 ( 71) 제 1 차산림기본계획기 (1973~1978) - 산림청내무부이관 ( 73) - 입산통제 ( 73) - 산림보호책임제강화 ( 75) - 진화장비최초도입 ( 7 7, 서독 ) 불털이개등 4 종 - 산불감시탑 감시초소운영 - 주민동원산불진화 제 2 차산림기본계획기 (1979~1987) - 산림청농림부이관 ( 87) - 산불경보제도입 - 공중산불진화도입 ( 81) - 와작스동력펌프도입 ( 82) 제 3 차산림기본계획기 (1988~1997) - 산림항공관리소신설 ( 91) - 산불통제관실신설 ( 96) - 임업연수원 산불방지 훈련과신설 ( 96) - 명예산림보호지도요원위촉법제화 ( 9 1 ) - 공익근무요원활용 ( 95) - 산불관리통합규정제정 ( 97) - 산불진화대조직 - 무인감시카메라도입 ( 97) - KA-32T 도입 ( 93) 제 4 차산림기본계획기 (1998~2007) - 산불방지과신설 ( 99) - 산불방지팀개편 ( 06) - 동해안산불관리센터개소 ( 06) - 산불진화기관의임무와역할에관한규정제정 ( 06) - 초대형헬기도입 ( 02) - 산불예보시스템도입 - 산불현장통합지휘지침제정 - 항공진화지휘통제기운영 제 5 차산림기본계획기 (2008~ 현재 ) - 산불방지과개편 (2008) - 산림보호법시행 (2010) - 기계화시스템도입 - 산불상황관제시스템도입 ( 10) - 바닷물산불진화도입 ( 10) - 헬기위치정보시스템 ( 11) - 기계화시스템중형도입 ( 11) - 산불현장동영상전송시스템시범실시 ( 12) - 산불현장동영상전송시스템확대설치 20 대 ( 14)

21 3. 산불방지제도 구분내용 o 법령 산림보호법 ( 09.6) - 동법시행령, 시행규칙 ( 10.3) o 훈령ㆍ예규 산불관리통합규정 ( 훈령 ) 산불감시원운영규정 ( 훈령 ) 중앙산불상황실운영규정 ( 훈령 ) 산림항공기사고대책본부구성및운영등에관한규정 ( 훈령 ) 산불진화기관의임무와역할에관한규정 ( 예규 ) o 지침ㆍ요령ㆍ고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운영 요령 산불진화지휘지침 산불진화대원진화지침 밀착형산불무인감시카메라 설치 및 운영관리 지침 산불진화대원복제지침 산림항공기지원지침 산불소화시설설치 및 운영관리 지침 산불방지 위반사항 신고 포상금 지급에 관한 규정 ( 고시 ) o 매뉴얼 산불조사실무 매뉴얼 (2009.9) 헬기사고수습 매뉴얼 (2010.1) 접경지역재난사고 위기관리 매뉴얼 (2010.2) 산불방지업무 매뉴얼 (2010.3) 제주도및 도서지역 산불 헬기진화 매뉴얼 (2011.3) 산불조사요령 (2011.3) 산불재난위기관리 표준 매뉴얼 (2017.1)

22 년산불방지주요시책 1 산불방지대책본부운영등대응태세확립 봄 가을철산불조심기간운영및전국 300여산림관서에 산불방지대책본부 설치 운영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24시간상황관리유지 - 전국산불상황관리, 진화자원지원, 유관기관정보공유, 협력 - 전국산불상황대응조치및청와대등상황보고 전파 시 도및지방산림청은 지역산불방지대책본부 설치운영 <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현판식 > <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운영 > 대형산불발생시기 산불특별대책기간 운영 ( ) 중앙산불상황실 확대개편및 24시간비상근무체계전환 - 상황실장을산림보호국장 차장으로격상및근무인원확대 (3 10명) 강원동해안산불방지협의회운영 ( ) 으로권역별협력체계가동 - 강원도동해안 6개시 군, 산림청소속기관, 유관기관등이연접지역지원 산불위험시기별선택과집중을통한맞춤형대책추진 - 산불경보를 경계ㆍ심각 등탄력운영, 근무인원확대와산불취약지순찰및배치 - 설연휴 (1.27~30), 대보름, 청명ㆍ한식 (4.5~6), 어린이날연휴 (5.3~9) 등특별대책시행

23 주말ㆍ휴일등산불위험이높은시기전직원기동단속및캠페인실시 - 산불위험시기 ( ) 전직원산불방지기동단속실시 (7차, 1,921개조 ) * 소각산불특별관리대상 1 2 개시 군에연인원 3, 789 명투입 ( 단속 140 건, 과태료 1, 759 만원 ) - 특별관리대상 12개시 군소각산불피해감소 ( 16년 년 42ha) * 불법행위드론 (64대) 감시단운영 ( 연인원 184명 /172회) 으로사전예방추진 < 산림인접지논밭두렁소각단속 > < 산불예방캠페인 (11.18, 낙산사 ) > 범정부산불대응을위한유관기관대책회의및협업체계구축 전국산불관계관회의 (3.2) 및대형산불대비긴급영상회의개최 - 산불방지주요사항논의및협력방안마련으로실효성있는대책추진 * 산불관계관회의 : 시 도산불담당국 과장, 40개기관 단체 92명참석 * 영상회의 : 지자체 ( 시 도 ) 및 5개지방산림청관계관참석 < 전국산불관계관회의 (3.2) > < 대형산불방지대책영상회의 (5.4) > 유관기관과소각산불등산불공동대응협력체계구축 - ( 농림식품부ㆍ환경부 ) Clean Agriculture Campaign 과연계한영농폐기물수거 - ( 농식품부ㆍ농촌진흥청 ) 농업인및귀농 귀촌자교육시산불예방 대응교육 - ( 국민안전처 ) 주택등산림인접지화재발생시신속한상황공유 진화공조 * 국민안전민관합동회의 (2.26, 총리주재 ), 안전관계장관회의 (3.17) 산불안건논의

24 2 산불위험 취약지중심의예방활동강화 산불통계분석에기반한소각산불예방특별대책추진 산불주요원인으로대두된소각산불예방특별대책추진 - 소각산불특별관리대상지역 (12 개시 군 ) 선정및재발방지대책추진 - 지역여건에맞는소각금지기간 ( ) 운영및대상자맞춤형홍보 - 참여형산불예방사업 소각산불없는녹색마을만들기 캠페인추진 * 자발적마을서약실시 (20천여마을참여 ), 우수실천마을포상 (300개마을 ) 취약시간대 (11시 16 시 ) 에특별감시 단속강화, 취약지역밀착감시 농업 환경부서와협력해논 밭두렁및농산부산물소각행위단속 - 논ㆍ밭두렁소각의비효율성홍보및농산부산물파쇄퇴비화활용 감시인력과드론등첨단장비를활용한입체적인감시 감시인력 (21 천명 ) 취약지배치, 신고단말기 (14 천대 ) 조기신고체계구축 - 입산통제구역, 등산로폐쇄구간, 산나물채취지역, 무속행위지역등산불위험이높은지역위주예방활동강화 시기별산불발생원인에따라드론ㆍ헬기등활용한계도및감시추진 - 취약지역위주드론감시단투입및중형헬기를활용한공중계도 문화재지역등에대한예방및입산자관리강화 전통사찰주변산림에설치된산불소화시설 (106개소) 을활용한사전물뿌리기실시및소화시설신규설치 (18개소) - 사찰, 문화재, 다중이용시설, DMZ 등보호대상시설우선설치 산불위험이높은지역을위주로입산통제구역및화기물소지금지구역확대등관리강화로입산자실화예방 - 전체산림의 35%(2,224 천 ha) 입산통제, 전체등산로의 23%(7,818km) 폐쇄 - 화기물소지금지구역 340만ha 확대및화기물보관함 1,231개소운영

25 등산로개방ㆍ통제구간지정ㆍ관리정보대국민서비스 - 입산가능한등산로안내웹사이트운영및인터넷포털 ( 네이버 ) 지도서비스실시로대국민정보제공서비스확대 < 등산로폐쇄구간대국민서비스 > < 입산가능한등산로안내서비스 > 산림연접지인화물질사전제거로산불요인근본적차단 산림인접지역인화물질사전제거및소각금지기간운영 - 인화물질사전제거 : 공동소각등 9,163ha, 영농부산물 쓰레기처리 12천톤 * 영농부산물파쇄퇴비화를위한파쇄기 100대 ( 임차지원 ) 시범사업실시 - 산불위험증가에따른소각금지기간 ( ) 운영및집중단속실시 유관기관과연계하여농 산촌쓰레기및폐비닐수거적극운영 - 농식품부 Clean Agriculture Campaign 와소각없는녹색마을캠페인연계추진 - 마을회관등생활권소각금지포스터부착, 순찰및단속강화 국방부, 군사격장산불요인사전제거및책임진화활동강화 - 군사격장은 3월이전산불요인사전소각, 방화선구축조치완료 - 사격훈련시산불발생에대비한군용헬기등진화자원사전배치 < 인화물질사전제거 > < 소각금지포스터 > <DMZ 산불소화시설 >

26 3 현장중심의다양한맞춤형산불예방홍보강화 TVㆍ라디오ㆍ신문등파급력높은언론매체를활용시기별집중홍보 지상파방송4사위험시기산불예방영상및자막방송등집중홍보 * 산불홍보영상및자막방송 (KBS 재난방송, MBC, SBS, YTN 등 ) 케이블 TV 산불예방홍보영상, 각라디오방송등을활용한광고실시 * 뉴스 Y, SBS Pl us, JTBC, MBN, 채널 A, TV 조선, 한국경제등 ( 일평균 100 회송출 ) 문화일보, 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등주요일간지 전문지등을활용한산불예방기획및영상광고홍보적극추진 * 홍보실적 : 기고 6 건, 브리핑 6 건, 기획보도 18 건, 보도자료 39 건, 정책현장설명 29 건등 < 문화일보기획보도 > < 전자신문기고 > 다양한매체, 우정사업본부등유관기관등홍보다양화 농진청영농교육시소각금지산불예방리플릿배포 (33만명) KTX, 지하철, 엘리베이터타운보드 (10천대 ), 버스터미널등생활권밀착홍보 집배원 (14천명) 이륜차량산불조심깃발홍보, 산불감시협조 마운틴 TV 온라인 ( 페이스북, 블로그, 밴드, 카카오TV 등 ) 홍보강화 < 버스터미널영상광고 > < 마운틴 TV 영상광고 >

27 4 산불발생시초동대응및진화자원효율적활용 일사불란한현장지휘체계확립및유관기관협력체계구축 통합지휘권자 ( 시장 군수 구청장또는국유림관리소장 ) 가산불발생초기에현장을총괄 지휘하고, 산불규모별통합지휘본부의지휘체계확립 산불상황발생시유관기관임무역할명확화 - 군 ( 진화지원 ), 소방 ( 시설보호 인명보호 ), 경찰 ( 교통통제 ) 등유관기관임무부여 < 야간지휘본부 > < 현장지휘본부운영 > < 중앙산불상황실운영 > 대형산불위험시기방지정책기술지원단운영 기상정보분석을통한산불위험예보추진으로대형산불대비 - 대형산불예보 (1,028회) 및소각산불예보 (659회) 발령 * 메모보고, SNS( 산불담당자밴드, 페이스북 ) 를통해실시한상황전파 대형산불우려가있는산불현장에기술지원단을파견정보제공 - 산불현장화선의위치 ( 드론촬영 ) 및확산특성등예측결과를중앙산불상황실및현장대책본부에제공하여신속한진화추진 * 무인기 ( 드론 ) 을활용한산불피해지촬영 ( 경북상주, 강원강릉, 강원삼척 ) < 산불확산예측분석 > < 지상진화계획수립 > < 산불피해지항공촬영 >

28 진화헬기 ( 산림 45, 임차 64) 골든타임제운영및유관기관헬기공조강화 지역별산불위험을감안한효율적헬기전진배치 ( 격납고 12, 계류장 6개소 ), 제주산림항공관리소개소로골든타임제이행제고 산불헬기가동률 90% 이상유지를위해야간정비, 이동정비팀운영 임차헬기는지자체상호간지원체계 (MOU) 에따라인접기관간지원하고, 유관기관가용헬기 ( 소방 28, 군 16대 ) 신속한지원체계가동 산림항공안전관리대책철저이행으로항공안전사고사전예방 < 헬기권역도 > < 공중지휘체계도 > < 헬기안전운항정보시스템 > 도심산불, 야간산불에대응한산불재난특수진화대시범운영 산불발생유형 ( 봄 가을 연중화 ) 변화및특수지역산불을대응하기위한전문화된진화조직필요에따라특수진화대 23팀광역단위운영 도심형산불, 야간산불발생시특수진화대투입조기진화및확산차단 - 야간산불 : 강릉 (3.9~10), 삼척 (5.6~9), 강릉 (5.6~9), 상주 (5.6~7), 성주 (6.4~5) - 도시산불 : 대전 (3.12), 인천 (3.28), 강릉 (5.6), 서울 (6.1), 울산 (12.12), 부산 (12.13) 국 사유림을불문하고산불현장에우선투입되며, 야간산불지속시광역단위출동지원으로진화역량강화 ( 방화선구축등 ) < 초동진화투입 > < 기계화진화작업 > < 야간산불진화작업 >

29 공중과지상의입체적진화를위한지상진화대운영체계화 주불진화는산림헬기, 초기및잔불진화은지상진화인력역할분담 - 초기산불은산림공무원, 기계화진화대 (193대) 적기투입, 상황에따라영림단, 군부대, 의용소방대원등보조진화대추가투입 - 산림헬기는인명, 문화재등보호시설과주불의확산차단 잔불관리를위한피해지순찰강화및뒷불정리책임자지정 - 잔불 뒷불감시는기계화진화대중심으로담당구역책임관리 < 산림헬기주불진화 > < 특수진화대지상진화 > < 잔불정리작업 > 전국산불진화합동시범훈련, 지상진화경연으로대응강화 대형산불확산에대비한유관기관공동대응진화훈련 - 산불상황관제시스템, 공중 지상협력기계화시스템등시연 * 산불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11.1 2, 1일차토론기반, 2일차현장진화 )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을활용한지상진화역량강화 - 전국산불기계화경연대회 (11.15, 경남함안 ) 및기관별지상진화경연대회추진 동절기산불진화용취수원확보를위한헬기담수훈련 < 전국산불기계화경진대회 > < 전국산불진화합동훈련 > < 동절기담수훈련 >

30 5 철저한산불조사및사후평가 분석강화 산불전문조사반및방화범검거팀을구성 운영으로산불재발방지 중앙및시 도산불전문조사반을현장에투입하여산불원인을철저히규명하고가해자검거에주력 ( 가해자검거 305명, 44.1%) - 검거된가해자는법에따라엄정처리, 손실에대한손해배상청구 산불다발및재발화지역에대한산림청조사감식실시 ( 산림과학원합동 ) 방화성산불은경찰과합동으로 방화범검거팀 운영하고, 가해자검거시언론에적극홍보하여대국민경각심고취 < 드론활용산불피해지파악 > < 현장정밀조사감식 > < 조사감식전문가양성 > 산불조사의과학화및조사기술의선진화도모 해외산불감식과정이수자직무역량향상을위한보수교육추진 산불피해지조사 감식방법표준모델개발및매뉴얼보급 17년도해외산불감식전문가교육실시 (2주간 14명, 국내및호주 ) 산불통계의과학화와통계품질제고로대국민서비스증진 산불통계신뢰도향상을위한정확성제고 ( 서식준수및정정보고등철저 ) - 정정보고산불조심기간종료후 15일이내 ( 산불원인규명등 ) 산불통계연보발간및 산불통계관리시스템 실시간산불정보제공

31 년도추진성과평가및개선사항 1 추진성과 재난성대형산불에대비한 산불대응체계강화대책 마련 재난성산불대비진화헬기확충및야간진화가능대형헬기도입 - 강풍에강한중 대형급이상헬기 25년까지연차별추가확보 * 18년수리온 1대, 초대형 1대도입, 17년추경예산대형급 2대계약체결 야간 도시 대형산불대응을위한지상진화체계운영강화 - 지상진화전문성제고를위한산불특수진화대, 공중진화대확충 * 특수진화대 300명, 공중진화대 24명등전문인력확충으로광역단위대응체계마련 2 미흡한사항 재난성대형산불발생시재난정보전파및유관기관공조체계미흡 산불재난문자발송기준및발송주체가명확하지않아혼선초래 강풍시진화가능한대형헬기와전문지상진화인력부족으로초동대응한계및소방ㆍ군등유관기관의일사분란한지휘ㆍ공조체계미흡 - 강릉ㆍ삼척산불진화에 4 일간총헬기 143 대, 인력 35,841 명투입 3 개선사항 산불위험지수상승및산불발생시재난문자발송체계정비 산불재난문자발송기준및발송주체가명확하지않아혼선초래 산불발생위험도상승시및산불발생시단계별 ( 발생, 대피권고, 대피명령 ) 재난문자방송실시로예방 대응지원 ( 지자체발송 ) * 재난문자방송기준및운영규정 ( 행정안전부예규제 14 호 ) 일부개정

32

33 제 2 장 2017 년눈으로보는산불

34

35 제2장 2017년 눈으로 보는 산불 산림청장 산불상황보고 중앙산불대책본부 현판식(1.27) 특별대책기간 운영 브리핑(3.15) 진화헬기 결빙 저수지 담수 시범훈련(2.8) 진화헬기 조종사 안전교육(1.13) 전국 산불관계관회의(3.2) 대형산불 방지 영상회의(5.4) 특별대책기간 기동단속(3-4월) 산불대응상황점검(3.4) 강릉 산불피해 현장(5.7) 삼척 산불피해 현장(5.7) 상주 산불피해 현장 (5.6)

36 농식품부 장관 항공본부 방문(2.24) 무인기(드론)워크샾 산불현장 홍보강화 워크샾 무선통신 연찬회(8.31) 산불방지 발전방안 토론회(9.14) 산불예방캠페인(낙산사) 산불안전한국훈련 토론(11.1) 산불안전한국훈련 현장(11.2) 산불진화기계화경진대회(11.15) 가을철 인화물질사전제거(11.17) 장관님 산불방지 점검(12.20) 산불방지 유공 군부대 위문(12.28)

37 제 3 장 2017 년산불발생현황

38

39 제 3 장 2017 년산불발생현황 1. 산불발생여건건조일수증가, 강수량 강수일수대폭감소로산불위험지속 예년및전년대비강수량 강수일수큰폭감소, 건조일수약 40% 증가 - 강수량및일수 : 968mm, 100일 ( 예년 1,296mm, 114일, 16년 1,273mm, 109일 ) - 건조특보발령일수 : 158일 ( 예년 113일, 16년 117일 ) 강수일수 건조일수 년평균 2016 년 2017 년 0 ( 일 ) 최근10년 2016년 2017년 0 ( mm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건조일수및강수일수 > < 강수량 > 봄철충청 경기 강원권심각한가뭄과가을철영동 경북 경남권건조지속 - 4 월 5 월가뭄으로산불증가, 11 월 12 월도건조지속으로위험고조 대선, 휴일장기화, 귀농귀촌및휴양인구증가로산불위험고조 설, 청명 한식, 어린이날등휴일장기화로인한휴양 등산객증가 귀농 귀촌증가및산림연접지개발로인위적인산불요인확대 대선 (5.9) 전후사회적대응태세이완과방화등산불위험성고조 선거가있었던해에고성 ( 96), 동해안 ( 00) 대형산불등봄철산불피해다수발생 AI 구제역대응등방제역량집중에따른산불대응력약화 소나무재선충병및 AI 구제역확산에따른방제역량집중으로지방행정력분산과산불담당자의업무과중으로산불대응력약화

40 2. 산불발생현황및특성 가. 총 괄 산불발생건수 692 건, 산림피해면적 1,480ha 산불건수는최근 10 년평균 (394 건 ) 대비 76%, 전년 (391 건 ) 대비 77% 증가 피해면적은최근 10 년평균 (478ha) 대비 3.1 배, 전년 (378ha) 대비 3.9 배증가 , ( 건 ) 최근 10 년 2016 년 2017 년 0 (ha) 최근 10 년 2016 년 < 발생건수 > < 피해면적 > 2017 년 봄철에피해집중, 가을철도산불발생급증, 산불비수기산불지속 봄철기간에 429 건, 1,373ha 피해로건수의 62%, 피해면적의 93% 집중 - 월별발생건수최다 3 월 192 건 (28%), 최대피해 5 월 1,127ha(76%) 가을철 ( ) 에만 72 건산불발생예년 (25 건 ) 대비 2.9 배급증 기후변화와산림내연료물질증가로산불발생의연중화 대형화 * 산불조심기간외산불발생 : ( 예년 ) 104 건 ( 16 년 ) 100 건 ( 17) 191 건 산불주원인은입산자실화 254 건 (37%), 소각 204 건 (30%) 순 입산자실화가 254 건으로 37% 를차지, 예년 지난해대비증가 * 입산자실화 : ( 예년 ) 149 건, 38% ( 16 년 ) 107 건, 27% ( 17) 254 건, 37% 소각산불이 204 건 ( 쓰레기 110, 논밭두렁 94) 으로 30% 차지, 예년대비증가 - 3 월 5 월까지지속된건조한날씨와영농시기가겹쳐소각산불증가 * 소각산불 : ( 예년 ) 122 건, 31% ( 16) 159 건, 41% ( 17) 204 건, 30% 가뭄및건조한날씨로경기 경북산불증가, 강원도에피해집중 산불발생은경기 (161 건 ), 경북 (115 건 ), 강원 (103 건 ) 이전체건수의 55% 차지 피해면적은대형산불 3 건이발생한강원 (1,196ha) 이전체피해의 81% 차지

41 나. 시기별 건조한날씨로 3 4 월에집중발생, 6 월까지지속, 월크게증가 1 2 월 : ( 예년 ) 79 건, 20% ( 16 년 ) 98 건, 25% ( 17 년 ) 77 건, 11% 3 4 월 : ( 예년 ) 194 건, 49% ( 16 년 ) 202 건, 52% ( 17 년 ) 314 건, 45% 5 6 월 : ( 예년 ) 62 건, 16% ( 16 년 ) 49 건, 13% ( 17 년 ) 190 건, 27% 월 : ( 예년 ) 33 건, 8% ( 16 년 ) 21 건, 5% ( 17 년 ) 100 건, 14% 최근 10 년 2016 년 2017 년 0 ( 건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ha) 최근 10 년 2016 년 2017 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 월별산불발생 > < 월별산불피해 > 정월대보름예년대비증가, 설명절과청명 한식은예년과비슷 설명절 : ( 예년 ) 5 건, 1.2ha ( 16) 16 건, 5.9ha ( 17) 2 건, 0.1ha 대보름 : ( 예년 ) 6 건, 2.1ha ( 16) 10 건, 2.8ha ( 17) 9 건, 1.4ha 청명 한식 : ( 예년 ) 17 건, 68.8ha ( 16) 17 건, 57.8ha ( 17) 15 건, 3.2ha 가을철산불조심기간 ( ) 중 72 건발생, 산림 45.2ha 피해 최근 10 년평균대비산불건수는 2.9 배, 피해면적은 2.2 배증가 - ( 예년 ) 25 건, 20.3ha ( 16) 18 건, 5.2ha ( 17 년 ) 72 건, 45.2ha 산불조심기간외산불은 191 건 (28%) 으로산불의연중화심화 최근 10 년평균대비발생건수 84% 증가, 피해면적은 30% 증가 - ( 예년 ) 104 건, 47.1ha ( 16 년 ) 100 건, 33.8ha ( 17 년 ) 191 건, 61.2ha 년평균 5 년평균 3 년평균 ( 건 ) 1월 1월 2월 2월 3월 3월 4월 4월 5월 5월 6월 6월 7월 7월 8월 8월 9월 9월 10월 10월 11월 11월 12월 12월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상하

42 다. 원인별산불주원인은입산자실화 254건 (37%), 소각 204건 (30%) 순 건조한날씨속산행인구증가로입산자실화로인한산불급증 - 입산자실화발생추이 : ( 예년 ) 149건 ( 16) 107건 ( 17) 254건 건축물화재 5% 어린이불장난 0% 성묘객실화 3% 담뱃불실화 3% 기타 22% 입산자실화 37% 쓰레기소각 16% 논ㆍ밭두렁소각 14% ( 건 ) 입산자실화 논ㆍ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최근 10 년 23.7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2017 년 어린이불장난 < 2017 년산불발생원인 > < 산불발생의주원인변화 > 건축물실화 기타 소각산불이 30%(204 건 ) 차지, 전년대비건수증가및비중은감소 - 영농시기인 2 월중순부터집중발생하여 5 월까지지속 - 소각산불발생추이 : ( 예년 ) 122 건 ( 16) 159 건 ( 17) 204 건 입산자실화 소각산불 0 ( 건 ) 1 월상순 1 월하순 2 월상순 2 월하순 3 월상순 3 월하순 4 월상순 4 월하순 5 월상순 5 월하순 6 월상순 6 월하순 7 월상순 7 월하순 8 월상순 < 월별산불발생원인 ( 예년 ) > 8 월하순 9 월상순 9 월하순 10 월상순 10 월하순 11 월상순 11 월하순 12월 12월 상순 하순 담뱃불, 성묘객실화는예년수준, 건축물화재및기타원인산불증가 산림내금연및화기물소지입산자계도 단속으로담뱃불실화감소 ( 예년 6% 17 년3%) 주택등건축물화재및작업장실화산불은증가 ( 예년 3% 17년 5%) - ( 예년 )10건, 3% ( 16) 13건, 3% ( 17) 36건, 5% 화목보일러불씨취급부주의등기타산불증가 ( 예년 17% 17년 22%) - ( 예년 ) 69건, 17% ( 16) 79건, 20% ( 17) 150건, 22%

43 라. 지역별경기 강원 경북에산불건수및피해집중 경기 (161건), 경북 (115 건 ), 강원 (103 건 ) 이산불발생건수의 55% 차지 대형산불 3건이발생한강원 (1,196ha) 이전체피해면적의 81% 차지 - 건조한날씨로전국대부분지역이산불발생및피해증가 최근 10년건수 2017년건수 2017년면적최근 10년면적 200 1, ( 건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 (ha) < 시 도별산불발생건수및면적 > 국유림산불은예년대비발생건수 91% 증가, 피해면적 55% 증가 발생건수 : ( 예년 ) 35 건, 9% ( 16) 28 건, 7% ( 17) 67 건, 10% 피해면적 : ( 예년 ) 25.0ha, 5% ( 16) 81.4ha, 22% ( 17) 38.7ha, 3% 마. 규모별, 시간대별 1ha미만소규모산불이대부분 (648건, 94%), 5ha 이상은 11건 ( 예년 ) 348건, 88% ( 16) 355건, 91% ( 17) 648건, 94% ha(7건 ) : 성주 24.2ha, 울산 18ha, 파주 6.5ha, 금산 6.3ha, 영덕 5.9ha, 영천 5.2ha, 산청 5ha - 30ha 이상 (4건) : 강릉 ( 옥계 ) 160ha, 상주 86ha, 삼척 765ha, 강릉 ( 성산 ) 252ha 발생시간은 14 18시 (49%), 11 13시 (33%) 에집중, 야간산불증가 14 18시 338건 (49%), 11 13시 231건 (33%), 19 05시 67건 (10%), 06 10시 56건 (8%) * 예년 : 14-18시 188 건 (48%), 11 시 -13 시 133 건 (34%), 시 45 건 (11%), 시 28 건 (7%) 야간산불은 67건 (10%) 으로예년 45건 (11%) 대비발생건수 49% 증가

44 3. 주요산불현황강원강릉옥계산계 (3. 9( 목 )) : 160.4ha 발생원인및가해자검거 : 입산자실화, 가해자 ( 남, 44세 ) 확산원인 : 최대풍속 14m/s 강한바람과소나무림에따른수관화및비화로많은헬기 ( 연 19대 ) 및진화인력에도불구하고산불확산야간에도강한바람으로익일진화완료시까지계속적으로확산 - 발생일시 3.9( 목 ) 10:28, 진화소요시간 36:02, 피해액 1,426백만원 * 민가로확산우려에따라지역주민 15 가구 40 여명대피, 진화인력 2,485 명 강원삼척도계점리 (5. 6( 토 )) : 765.1ha 발생원인및가해자검거 : 입산자실화 ( 추정 ), 가해자수사중 확산원인 : 강풍특보발효속최대풍속 23m/s 강한바람과강릉, 경북상주동시다발산불로인한헬기등진화자원부족과담수지가멀고험준한산악지역으로지상인력투입이제한되어피해확산 - 발생일시 5.6( 토 ) 11:42, 진화소요시간 71:38, 피해액 7,104백만원 * 인명피해 4 명 ( 사망 1, 부상 3), 주택 6 채소실, 이재민 1 명, 진화헬기 96 대, 인력 23, 059 명 경북상주사벌덕가리 (5. 6( 토 )) : 86ha 발생원인및가해자검거 : 농업부산물소각, 가해자 ( 남, 55세 ) 확산원인 : 동시다발산불로인한헬기등진화자원부족과험준한산악지역으로지상인력투입이제한 - 발생일시 5.6( 토 ) 14:10, 진화소요시간 50:28, 피해액 906백만원 * 인명피해 3명 ( 사망1, 부상2), 주민대피 215명 (123가구), 진화헬기 32대, 인력 2,146 명 강원강릉성산어흘리 (5. 6( 토 )) : 252ha 발생원인및가해자검거 : 입산자실화 ( 추정 ), 가해자수사중 확산원인 : 강풍특보발효속최대풍속 23m/s 강한바람과강릉, 경북상주동시다발산불로인한헬기등진화자원부족과재발화후확산 - 발생일시 5.6( 토 ) 15:27, 진화소요시간 63:07, 피해액 6,192백만원 * 인명피해부상1명, 주택 30채소실, 이재민 80명 (37가구), 진화헬기 47 대, 인력 12,782 명

45 참고강릉 삼척 상주산불피해현황 구분강릉삼척상주합계 발생일시 ( 토 ), 15: ( 토 ), 11: ( 토 ), 14:10 주불진화일시 ( 월 ), 12: ( 월 ), 18: ( 일 ), 10:38 잔불진화일시 ( 소요시간 ) 발생장소 ( 화 ), 06:34 (63:07) 성산면어흘리산 일원 ( 화 ), 11:20 (71:38) 도계읍점리산 83 일원 발생원인입산자실화 ( 추정 ) 입산자실화 ( 추정 ) 산림피해면적 (ha) 인명피해 ( 명 ) 직접피해액 ( 백만원 ) 건물피해 ( 동 ) 이재민 ( 명 ) 주민대피령 ( 명 ) 실대피인원 ( 명 ) 투입헬기 ( 대 ) 인력투입 ( 명 ) 산불진화차 ( 대 ) 소방차 ( 대 ) 기계화시스템 ( 대 ) ( 월 ), 16:33 (50:23) 사벌면덕가리산 108 일원 농산부산물소각 252ha 765ha 86ha 1,103ha 부상 1 명 ( 이재민, 요추골절상 ) 사망 1 명 ( 산림헬기정비사 ) 부상 3 명 ( 진화대원 2, 군인 1, 모두경상 ) 실족사망 1( 여 58) 부상 2 명 - 등산객 사망 2 명, 부상 6 명 6,192 7, 억원 30( 전파 27, 반파 2, 소파 1) 6( 주거 1, 공가 5) - 36 동 80(37 가구 ) 1(1 가구 ) - 2,500 30(20 가구 ) 215(123 가구 ) (20 가구 ) 215(123 가구 ) 47 대 ( 산 31, 임 4, 소 4, 군 8) 12,782 ( 공 3,329, 진 476, 소 2,042, 군 5,674, 기 1,261) 96 대 ( 산 53, 임 5, 소 3, 군 35) 23,059 ( 공 1,508, 진 428, 소 713, 군 13,945, 기 6,465) 32 대 ( 산 12, 임 17, 소 3) 2,146 ( 공 1,000, 진 100, 소 207, 기 839) 명 (38 가구 ) 175 대 ( 누계 ) 37,987 명 ( 연인원 ) 126대 ( 누계 ) 231대 ( 누계 ) 56대 ( 누계 )

46

47 제 4 장 2017 년산불통계

48

49 1. 월별산불발생현황 가. 월별ㆍ원인별산불발생현황 건축물화재 5% 어린이불장난 0% 성묘객실화 3% 기타 22% 쓰레기소각 16% 논ㆍ밭두렁소각 14% 입산자실화 37% 담뱃불실화 3% 월별 합계입산자실화논밭두렁소각쓰레기소각담뱃불실화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 단위 : 건, ha)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기타 합계 692 1, , ( 비율 ) 100% 100% 37% 84% 14% 8% 16% 3% 3% 1% 3% 0% 0% 0% 5% 2% 22% 2% 1월 월 월 월 월 104 1, , 월 월 월 월 월 월 월

50 나. 월별ㆍ요일별산불발생현황 월화수목금토일공 ( 단위 : 건 ) 구분계월화수목금토일공 합계 % 12% 10% 11% 14% 13% 20% 16% 4% 1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51 다. 월별ㆍ규모별산불발생현황 건 건수면적 648 ha 1,500 1, ha이상 10~30ha미만 5~10ha미만 1~5ha미만 1ha미만 ( 단위 : 건, ha) 구분 합계 30ha 이상 10~30ha 미만 5~10ha 미만 1~5ha 미만 1ha 미만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계 692 1, , 월 월 월 월 월 104 1, , 월 월 월 월 월 월 월

52 라. 시ㆍ도별산불피해액 ( 백만원 ) 90,000 80,150 산불피해액 60,000 44,963 30,000 17,311 15,160-2,716 계직접피해복구비진화비용공익적피해 ( 단위 : 건, ha, 천원 ) 지역별 건수 면적 계 직접피해 복구비 진화비용 공익적피해 계 692 1, ,149,972 17,311,159 2,715,633 44,963,012 15,160,168 비 율 100% 22% 3% 56% 19% 서 울 , , ,239 54,125 부 산 ,661 6,441 3,573 30,594 11,053 대 구 ,918 6,320 6, ,916 19,429 인 천 ,395 1,124 32,523 78, ,111 광 주 , ,551 5,159 7,931 대 전 ,920 5,154 26,529 77,692 77,545 울 산 , , , , ,696 세 종 , ,304 1,587 경 기 ,713,268 4, ,703 1,276,817 1,081,377 강 원 103 1, ,286,090 15,736,733 1,134,305 36,968,732 10,446,320 충 북 ,982 19,453 40, , ,586 충 남 ,101,838 72, , , ,002 전 북 ,893 45,229 19, ,435 61,456 전 남 ,346 11,357 25, ,749 85,848 경 북 ,662,612 1,220, ,022 3,510,040 2,162,241 경 남 ,817 48,797 61, , ,861 제 주

53 2. 기관별산불발생현황 가. 기관별산불피해현황 ( 단위 : 건, ha, m3, 천원 ) 관서별 발생건수 피해면적 피해재적 피해액 합 계 692 1, ,172 80,149,972 서 울 ,832 부 산 ,661 대 구 ,918 인 천 ,395 광 주 ,845 대 전 ,849 울 산 , ,381 세 종 ,437 경 기 ,210,496 강 원 81 1, ,147 63,901,080 충 북 ,575 충 남 ,051 전 북 ,760 전 남 ,810 경 북 ,815 7,458,662 경 남 , ,249 제 주 북 부 ,032 동 부 ,487 남 부 ,569 중 부 , ,265 서 부 ,042 기 타 ,

54 나. 기관별ㆍ피해규모별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구분 합계 30ha 이상 10~30ha 미만 5~10ha 미만 1~5ha 미만 1ha 미만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계 692 1, ,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81 1, ,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55 다. 기관별ㆍ월별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관서별건수면적 월별발생상황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합계 692 1, % 소 계 625 1,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81 1,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56 라. 시ㆍ도별산불피해현황 ( 단위 : 건, ha, m3, 천원 ) 관서별발생건수피해면적피해재적피해액 합계 692 1, ,172 80,149,972 서울 ,569 부산 ,661 대구 ,918 인천 ,395 광주 ,845 대전 ,920 울산 , ,381 세종 ,437 경기 ,713,268 강원 103 1, ,168 64,286,090 충북 ,982 충남 ,101,838 전북 ,893 전남 ,346 경북 ,172 7,662,612 경남 , ,817 제주

57 마. 시ㆍ도별, 월별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시 도별건수면적 월별발생상황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합 계 692 1, % 3% 8% 28% 18% 15% 12% 0% - 1% 1% 7% 7%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103 1,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58 바. 시ㆍ도별산불다발및피해가많은지역 ( 단위 : 건, ha) 순번 산불다발시 군 피해가가장많은시 군 시 도시 군발생건수피해면적시 도시 군발생건수피해면적 합계 , 경기 화성 강원 삼척 경기 양평 강원 강릉 강원 홍천 경북 상주 강원 춘천 경북 성주 경기 가평 울산 북 경북 경주 충남 금산 경기 남양주 경기 양평 충북 충주 경기 화성 강원 강릉 경북 영천 경북 안동 경기 가평 경기 광주 경기 파주 충북 청주 경북 영덕 경남 산청 경남 산청 경남 합천 강원 홍천 경기 파주 경기 김포 강원 원주 충북 청주 강원 영월 경북 봉화 경북 문경 경북 포항 서울 관악 인천 서 경기 포천 경기 남양주 강원 고성 강원 양양 충북 제천 경기 하남 충남 공주 경기 광주 충남 서산 경북 영주 경북 칠곡 경북 문경

59 3. 진화시간및진화인력투입현황 가. 기관별진화소요시간 ( 단위 : 건, ha, 분 ) 기관별 발생건수 피해면적 진화소요시간 건당진화시간 계 692 1, :39 2:52 서 울 :49 2:47 부 산 :23 1:24 대 구 :05 2:55 인 천 :57 2:02 광 주 :20 1:10 대 전 :29 2:14 울 산 :46 2:47 세 종 :40 1:20 경 기 :41 2:46 강 원 81 1, :04 3:40 충 북 :13 1:39 충 남 :08 1:56 전 북 :42 2:27 전 남 :13 2:52 경 북 :45 3:07 경 남 :27 2:24 제 주 북 부 :44 4:20 동 부 :36 2:31 남 부 :31 2:48 중 부 :10 8:35 서 부 :03 2:15 기 타 :53 2:

60 나. 기관별진화소요시간대별발생현황 구분 계비율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 관 서 계 시간이내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미만 시간이상

61 별 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북부동부남부중부서부기타

62 다. 기관별진화인력투입현황 관서 발생건수 건당투입 연투입인원 ( 명 ) 계공무원진화대보조공익군인경찰소방의용주민공중진화 기타 계 ,781 35,141 20, ,723 4,505 14,622 8, ,257 서울 , , 부산 , 대구 ,440 1, 인천 , 광주 대전 , 울산 ,447 1, 세종 경기 ,581 3,109 2, , 강원 ,216 8,134 3, ,357 1,433 2,320 3, ,375 충북 ,514 1,697 1, 충남 ,210 1,885 1, , 전북 , 전남 ,970 2,807 1, 경북 ,409 6,605 3, , ,093 경남 ,594 2,792 1, 제주 북부 , 동부 남부 , 중부 , 서부 기타

63 라. 연도별진화인력투입현황 연도별산불건수 ( 건 ) 건당인력투입 ( 명 / 건 ) 피해면적 (ha) ha당인력투입 ( 명 /ha) 인력투입 ( 명 ) 계공무원진화대소방주민군인경찰기타 , ,781 35,141 21,614 22, ,746 4,505 12, ,504 17,364 10,435 12, ,898 2,568 3, ,164 33,130 15,823 18, ,677 4,478 6, ,836 29,186 14,290 12, ,157 3,096 8, ,989 23,768 9,155 8, ,538 2,791 4, ,958 13,326 5,333 5, ,716 1,460 3, , ,531 35,354 10,053 8,839 1,013 5,832 2,449 8, ,627 18,842 8,751 5, ,380 1,164 5, , ,024 81,503 21,183 18,676 11,627 10,002 5,285 9, ,233 35,937 9,103 8,202 6,106 2,911 2,689 5, ,665 32,355 12,574 12,295 2,241 6,386 3,049 6,766 10년평균비율 100% 43% 17% 16% 3% 8% 4% 9%

64 4. 월별산불발생원인별현황 가. 월별ㆍ원인별산불발생현황 ( 총괄 ) 월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실화 기타 합계 692 1, ,149, 월 , 비율 (%) 3% 0% 0% 29% 9% 29% % 29% 2월 , 비율 (%) 8% 1% 1% 30% 12% 21% 2% 4% 2% 4% 25% 3월 ,426, 비율 (%) 28% 14% 7% 20% 26% 17% 4% 5% 0% 9% 19% 4월 ,786, 비율 (%) 18% 2% 2% 41% 10% 19% 4% 5% - 2% 19% 5월 104 1, ,726, 비율 (%) 15% 76% 83% 57% 10% 10% 4% - - 3% 16% 6월 ,476, 비율 (%) 12% 3% 3% 52% 8% 8% 4% 1% - 2% 25% 7월 , 비율 (%) 0% 0% 0% % 8월 비율 (%) 월 , 비율 (%) 1% 0% 0% 75% - 25% 월 , 비율 (%) 1% 0% 0% 50% - 25% % 11월 , 비율 (%) 7% 1% 1% 32% 6% 24% 4% 2% % 12월 ,159, 비율 (%) 7% 3% 3% 34% 4% 10% 4% 6% - 16% 26%

65 나. 1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합계 , % 9% 29% % 29% 소 계 , 서 울 부 산 ,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66 다. 2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650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2% 21% 2% 4% 2% 4% 25% 소 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동 부 남 부 , 중 부 서 부 기 타

67 2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698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2% 23% 1% 3% 1% 4% 26% 소 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서 부 기 타

68 라. 3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426,199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26% 17% 4% 5% 0% 9% 19% 소 계 ,592, 서 울 , 부 산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세 종 경 기 , 강 원 ,64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서 부 , 기 타

69 3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004,897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22% 19% 3% 4% 1% 7% 21% 소 계 ,134,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037, 강 원 ,669,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서 부 , 기 타

70 마. 4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786,377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0% 19% 4% 5% - 2% 19% 소 계 ,460, 서 울 , 부 산 , 대 구 인 천 , 광 주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71 4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791,274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8% 19% 3% 4% 1% 6% 20% 소 계 ,595,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771, 강 원 ,758,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196,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72 바. 5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104 1, ,726,112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0% 10% 4% - - 3% 16% 소 계 87 1, ,416,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세 종 경 기 , 강 원 19 1, ,928,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927,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73 5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495 1, ,517,386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7% 17% 3% 3% 1% 5% 19% 소 계 450 1, ,012,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011, 강 원 65 1, ,687,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652, 경 남 , 제 주 소 계 ,505,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74 사. 6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476,089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8% 8% 4% 1% - 2% 25% 소 계 ,847, 서 울 , 부 산 대 구 , 인 천 , 광 주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122,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 서 부 기 타

75 6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581 1, ,993,475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5% 16% 4% 3% 0% 5% 20% 소 계 522 1, ,859,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154, 강 원 73 1, ,72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775, 경 남 , 제 주 소 계 ,133,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76 아. 7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219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소 계 ,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

77 7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584 1, ,042,694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5% 16% 3% 3% 0% 5% 21% 소 계 524 1, ,902,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154, 강 원 73 1, ,72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775, 경 남 , 제 주 소 계 ,140,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78 자. 8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소 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79 8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584 1, ,042,694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5% 16% 3% 3% 0% 5% 21% 소 계 524 1, ,902,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154, 강 원 73 1, ,72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775, 경 남 , 제 주 소 계 ,140,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80 차. 9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797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 25% 소 계 , 서 울 부 산 ,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81 9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588 1, ,068,491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5% 16% 3% 3% 0% 5% 21% 소 계 528 1, ,928,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154, 강 원 73 1, ,72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775, 경 남 , 제 주 소 계 ,140,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82 카. 10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003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 25% % 소 계 , 서 울 , 부 산 ,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83 10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592 1, ,074,494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5% 16% 3% 3% 0% 5% 21% 소 계 532 1, ,934,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154, 강 원 73 1, ,720,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775, 경 남 , 제 주 소 계 ,140,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84 타. 11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752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6% 24% 4% 2% % 소 계 , 서 울 부 산 ,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중 부 , 서 부 기 타

85 11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642 1, ,990,246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4% 16% 4% 3% 0% 5% 21% 소 계 578 1, ,329,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203, 강 원 78 1, ,764,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935, 경 남 , 제 주 소 계 ,660,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86 파. 12 월중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159,726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4% 10% 4% 6% - 16% 26% 소 계 ,146, 서 울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대 전 울 산 , 세 종 경 기 , 강 원 , 충 북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소 계 , 북 부 , 동 부 남 부 , 중 부 , 서 부 기 타

87 12 월말현재산불발생현황 ( 누계 ) ( 단위 : 건, ha, 천원 ) 관서별 건수 ( 건 ) 면적 (ha) 피해액 ( 천원 ) 합계 692 1, ,149,972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14% 16% 3% 3% 0% 5% 22% 소 계 625 1, ,476,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210, 강 원 81 1, ,901,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458, 경 남 , 제 주 소 계 ,673,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

88 5. 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가. 17 년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명 사망 부상 사상자 : 16명 ( 사망 : 7명, 부상 : 9명 ) 발생일시 발생장소 번호 구분 성명 성별 나이 비고 월 일 시도 시군 읍면 동리 지번 경북 안동 일직 산 사망 여 충북 충주 산척 산 사망 남 전남 보성 울어 산 사망 여 충북 옥천 이원 산 부상 남 충북 충주 풍 산 부상 여 강원 삼척 도계 산 사망 남 진화자 강원 삼척 도계 산 부상 남 진화자 강원 삼척 도계 산 부상 남 진화자 강원 삼척 도계 산 부상 남 진화자 경북 상주 사벌 산 사망 여 58 대피자 경북 상주 사벌 산 부상 대피자 경북 상주 사벌 산 부상 대피자 충북 단양 단양 산 부상 남 37 진화자 전남 화순 동복 산 사망 남 진화자 전남 여수 돌산 산 사망 여 강원 홍천 홍천 산 부상 여

89 나. 연도별산불로인한사상자현황 구분 합계진화자가해자기타 ( 대피중 ) 계사망부상소계사망부상소계사망부상소계사망부상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6. 야간산불현황 가. 기관별ㆍ월별야간산불현황 ( 단위 : 건, ha) 관서별건수면적 합계 월별발생상황 ( 건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6% 3% 10% 21% 27% - - 2% - 13% 15% 소 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91 나. 기관별ㆍ원인별야간산불현황 ( 단위 : 건, ha) 관서별건수면적 합계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원인별발생상황 ( 건 ) 담배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 3% 6% 1% 1% - 6% 47% 소 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소 계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기 타

92 7. 헬기진화현황 가. 17 년헬기진화현황 유관기관 25% 합동진화 54% 산림헬기 21% ( 단위 : 건, 대 ) 구분진화건수진화대수건당대수 계 577 1, 산 림 헬 기 단 독 진 화 유 관 기 관 합 동 진 화 314 1, 유 관 기 관 단 독 진 화

93 나. 17년헬기진화세부현황 헬기진화총괄 구분 총산불건수 헬기진화건수 인력진화건수 합계 비율 (%) 기관별헬기진화내역 구분 총투입대수 비율 (%) 비고 합계 1, 산림 소방 군 55 3 임차 경찰 - - 기관별헬기진화세부내역 구분 진화건수 ( 건 ) 진화대수 ( 대 ) 건당대수 ( 대 ) 합계 577 1, 산림헬기단독진화 소방헬기단독진화 임차헬기단독진화 기관별단독진화소계 산림 + 소방 산림 + 군 산림 + 임차 소방 + 임차 산림 + 소방 + 임차 산림 + 소방 + 군 산림 + 군 + 임차 산림 + 소방 + 군 + 임차 기관합동진화소계

94 다. '17 년기관별헬기투입현황 ( 단위 : 건, 대 ) 관서 발생건수 인력진화 헬기진화 헬기진화율건당투입 (%) 대수 계산림소방경찰군임차 계 % 3.2 1,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2 2-0%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북 부 % 동 부 % 남 부 % 중 부 % 서 부 % 기 타

95 라. 최근 5 년간헬기투입현황 2,000 1,855 1,500 1, , , ( 대 ) 년평균 구분 년평균 산불건수 진화비율 헬기투입건수 % 82% 78% 78% 75% 83% 79% 건당투입대수 기관별헬기투입 계산림청소방경찰군임차 대수 , ,855 1,104 비율 100% 100% 100% 100% 100% 100% 대수 비율 62% 58% 62% 49% 54% 57% 대수 비율 8% 8% 9% 10% 7% 8% 대수 비율 대수 비율 2% 1% 1% 0% 3% 2% 대수 비율 28% 33% 28% 41% 36% 33%

96 마. 연도별헬기투입현황 연도발생현황헬기진화건수 공중진화율 건당진화대수 투입헬기현황 ( 연대수 ) 계산림소방경찰군임차 % % % % % % % % % % % 2.6 1, % 2.6 1, % 2.7 1, % % % 3.4 1,923 1, % 3.4 1,903 1, % 2.7 1, % % 3.2 1, % 3.1 1, % % % % 3.4 1,564 1, % % % % % % 2.6 1, % % 3.2 1,

97 8. 군사격장산불발생현황 가. '17 년군사격장및민통선산불발생현황 군사격장 : 총 66 건, ha 순번 연도 발생일시진화일시소요발생장소월일시간요일월일시간시간시도시군구읍면동리 피해면적 관련부대 :00 수 :20 11:20 강원 인제 서화 서화 0.30 야간사격훈련 :13 화 :40 19:27 경기 포천 영중 영평 3.00 군사격훈련중발화추정 :03 목 :00 11:57 경기 포천 영중 영평 1.00 사격중발화 :22 목 :30 2:08 경기 파주 진동 용산 9.00 원인미상 :20 수 :10 1:50 경기 포천 영중 영평 0.01 야간사격훈련 :36 목 :05 0:29 강원 철원 서 자등 0.01 신호키트에의해발생 :50 화 :50 4:00 충남 태안 남 거아도 0.03 사격시험 :30 목 :45 4:15 강원 철원 원남 주파 mm박격포사격 :18 토 :30 2:12 경북 포항 남 장기 :09 월 :20 1:11 경북 포항 남 장기 0.40 사격훈련중발화 :53 금 :00 3:07 경기 양평 청운 도원 0.80 사격훈련 :52 화 :40 3:48 강원 인제 서화 가전 mm박격포사격 :38 수 :08 0:30 충북 충주 살미 세성 0.01 훈련용연막탄 :00 화 :55 1:55 경기 양평 양평 신애 0.05 군사격훈련 :30 목 :30 6:00 경기 파주 진동 초 사격훈련 :28 목 :16 1:48 강원 철원 김화 읍내 0.20 쓰레기소각 :46 목 :50 5:04 경기 포천 이동 :02 금 :00 18:58 강원 인제 서화 서화 2.00 자연발화추정 ( 불발탄 ) :24 토 :30 3:06 경기 파주 법원 오현 :57 수 :20 2:23 경기 포천 이동 도평 3.00 사격훈련 :30 목 :30 2:00 충북 논산 가야곡 야촌 0.20 훈련중연막탄불씨산화 :49 목 :30 4:41 경기 포천 이동 도평 5.00 사격훈련 :13 목 :45 0:32 강원 인제 북 월학 :43 목 :35 0:52 경북 포항 남 장기 0.03 사격훈련중발화추정 :50 목 :20 0:30 경북 안동 송현 0.05 사격훈련 :30 화 :35 2:05 경기 파주 적성 무건 1.00 사격훈련 :51 목 :43 1:52 강원 철원 동송 상노 0.10 로켓포후폭풍 :45 목 :50 4:05 경기 포천 이동 도평 5.00 사격훈련 :08 일 :30 3:22 경기 파주 적성 객현 :28 월 :04 2:36 강원 화천 사내 명월 4.00 박격포사격

98 순번 연도 발생일시진화일시소요발생장소월일시간요일월일시간시간시도시군구읍면동리 피해면적 관련부대 :51 월 :00 4:09 경기포천이동도평 5.00 사격훈련 :43 화 :55 4:12 경기포천이동도평 5.00 사격훈련 :46 화 :40 0:54 경기포천군내좌의 0.10 북한군화공작전 :15 월 :10 0:55 전남장성황룡와우 0.05 피탄지화재 :37 월 :00 3:23 경기포천영중영평 3.00 원인미상 :54 수 :00 6:06 경기 포천 영중 영평 미상 ( 산불감시카메라 6.00 신고 ) :26 수 :00 4:34 경기 포천 이동 도평 3.00 사격훈련 :40 목 :30 15:50 경기가평가평승안 박격포사격비화 :20 금 :35 2:15 강원철원갈말동막 0.50 박격포사격 :32 금 :30 0:58 전남순천별량운천 0.20 사격훈련 :05 금 :30 1:25 강원 철원 김화 청양 사격장폐타이어에 0.01 화재발생 :33 월 :02 0:29 강원 인제 서화 심적 :08 화 :30 1:22 경기파주법원직천 0.60 사격훈련 :42 수 :25 15:43 경기포천이동도평 :55 수 :00 0:05 강원철원갈말신철원 :20 목 :23 1:03 경기포천이동도평 0.50 사격훈련 :26 목 :14 0:48 경기파주광탄용미 :15 목 :30 1:15 경기포천영중영평 0.20 사격훈련 :10 토 :15 1:05 경기포천영중영평 0.50 원인미상 :50 일 :40 2:50 강원인제서화가전원인미상 :50 화 :00 2:10 경기포천영중영평 2.00 사격훈련 :30 목 :00 3:30 경기양주광적비암 0.06 사격훈련 :57 일 :34 0:37 전남나주노안금안 0.01 군부대사격훈련 :25 수 :20 0:55 경기이천신둔장동 0.01 포사격 :10 월 :40 6:30 강원철원갈말신철원 0.01 다연장포사격 :18 목 :19 2:01 경북경주안강산대 :28 화 :20 0:52 경북포항장기수성 0.03 사격훈련 :10 수 :41 1:31 경기연천청산대전 :20 화 :20 2:00 경기양평양평신애 1.00 탱크포사격 :20 월 :00 2:40 강원인제서화서화 mm 포사격 :29 목 :20 0:51 광주광산지정 3.00 포사격 :26 월 :33 2:07 경북성주 :30 화 :50 2:20 충북단양매포김산 :25 목 :10 0:45 강원철원근남육단 :00 화 :56 1:56 경기포천영중영평 :11 수 :58 0:47 강원고성간성해상 0.02 군부대내화학모의탄연습불발탄발화

99 민통선 : 총 18 건, ha 순번 연도 발생일시진화일시소요발생장소월일시간요일월일시간시간시도시군구읍면동리 피해면적 관련부대 :53 화 :20 2:27 경기파주장단거곡 0.30 민통선내 :07 수 :59 87:52 경기연천장남필수 0.10 DMZ 내 :23 수 :30 1:07 강원철원동송관우 0.10 민통선 :41 목 :25 0:44 경기연천장남원당 :20 목 :00 3:40 경기파주진동동파 0.02 민통선내 :41 월 :00 3:19 경기파주적성답곡 0.02 민통선내 :15 월 :00 4:45 경기연천신서갈현 3.00 DMZ 내 :05 화 :50 1:45 강원고성현내마달 1.00 민통선내 :15 화 4 5 9:30 23:15 경기연천신서갈현 3.00 DMZ :59 월 :55 0:56 경기연천연천상 0.30 민통선내 :08 월 :30 3:22 강원양구해안만대 0.01 민통선 :20 화 :20 26:00 경기연천어적산 DMZ:20ha, 철책부근 :2ha :15 토 5 1 7:55 40:40 강원철원갈말정연 DMZ 내산불로불발탄폭발추정 :15 화 :12 152:57 강원고성수동신탄 DMZ 일원 :49 수 :19 72:30 경기파주진서금릉 DMZ :26 토 :59 22:33 강원고성수동덕산 4.48 DMZ 내 :56 금 :44 22:48 강원철원김화읍내 DMZ :45 수 :35 0:50 경기연천중횡산 0.10 민통선북쪽

100 나. 연도별군 ( 軍 ) 사격장내산불발생현황 건 구분면적 (ha) ha 년평균 구분건수 ( 건 ) 면적 (ha) 건당피해면적 (ha) 10 년평균 ' ' ' ' ' ' ' ' ' '

101 제 5 장최근 10~20 년간산불발생통계

102

103 1. 최근 20 년간산불발생현황 건 건수면적 천ha ( 단위 : 건, ha) 구분 건수 면적 건당피해 비고 20년평균 453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2. 최근 10 년간산불발생현황 가. 산불발생현황 ( 총괄 ) 건 건수면적 ha 1,600 1,400 1,200 1, 평균 ( 단위 : 건, ha, m3, 백만원, 분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피해재적금액 평균진화시간 평균 ,852 19,103 2:29 ' , :34 ' , ,626 3,883 2:15 ' ,168 4,451 1:31 ' , ,544 29,063 2:36 ' ,467 2,541 3:56 ' ,765 25,020 2:34 ' ,962 9,285 2:09 ' ,591 20,480 2:53 ' ,647 15,721 2:34 ' , ,172 80,150 2:52 피해액산정방식 ('11년 ) 과평균진화시간 ('12년 ) 은적용방식이변경으로이전대비증가함

105 나. 원인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어린이불장난 1% 성묘객실화 4% 담뱃불실화 5% 건축물화재 3% 쓰레기소각 14% 기타 19% 논ㆍ밭두렁소각 17% 입산자실화 37% 구분 10 년평균 건수 ( 건 ) 비율 (%) ( 단위 : 건 )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합계 입산자실화 논ㆍ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106 다. 원인별산불발생현황 ( 면적 ) 어린이불장난 1% 성묘객실화 4% 건축물화재 3% 담뱃불실화 2% 쓰레기소각 15% 기타 17% 논ㆍ밭두렁소각 13% 입산자실화 45% 구분 10 년평균 면적 (ha) 비율 (%) ( 단위 : ha)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합계 , , , 입산자실화 , 논ㆍ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

107 라. 계절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가을 (9~11 월 ) 10% 겨울 (12~2 월 ) 21% 봄 (3~5 월 ) 60% 여름 (6~8 월 ) 9% ( 단위 : 건 ) 구분 10 년평균 건수 ( 건 ) 비율 (%)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합계 봄 (3 5 월 ) 여름 (6 8 월 ) 가을 (9 11 월 ) 겨울 (12 2 월 )

108 마. 요일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일 18% 공휴일 4% 월 12% 화 12% 토 17% 수 12% 금 13% 목 12% ( 단위 : 건 ) 구분 계 월 화 수 목 금 토 일 공휴일 평균 비율 (%)

109 바. 시간대별산불발생현황 ( 건수 ) 오후 (14~18 시 ) 48% 야간 (19~05 시 ) 11% 오전 (6~10 시 ) 7% 정오 (11~13 시 ) 34% ( 단위 : 건 ) 구분 계 오전 (6~10시) 정오 (11~13시) 오후 (14~18시) 야간 (19~05시) 10년평균 비율 (%)

110 사. 시간별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 구분시간대 10 년평균 비율 (%) 합계 % % % 새벽 % % % 소계 % % % 오전 % % % 소계 % % 정오 % % 소계 % % % 오후 % % % 소계 % % % 야간 % % % % 소계 %

111 아. 기관별산불발생현황

112 아. 기관별산불발생현황 관서별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합 계 , , 소 계 , ,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소 계 기 타 북 부 동 부 남 부 중 부 서 부 민통선

113 ( 단위 : 건, ha) 년평균 건수 면적 건수 면적 건수 면적 건수 면적 건수 면적 건수 면적 , , ,

114 자. 시 도별산불발생현황 관서별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합계 ,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15 ( 단위 : 건, ha) 년평균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 ,

116 3. 최근 10 년간월별산불발생현황 가. 월별발생건수 120 ( 건 ) 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구분 10 년평균 건수 ( 건 ) 비율 (%) ( 단위 : 건 ) 합계 % 월 26 6% 월 42 10% 월 % 월 95 23% 월 48 11% 월 30 7% 월 2 0% 월 3 1% 월 8 2% 월 15 4% 월 22 5% 월 18 4%

117 나. 월별피해면적 ( 단위 : 건 ) 구분 10 년평균 면적 (ha) 비율 (%) 합계 , , , 월 % 월 % 월 % 월 % , 월 % , 월 % 월 % 월 % 월 % 월 % 월 % 월 %

118 다. 월별ㆍ원인별발생현황 ( 건수 ) 100% 80% 60% 40% 20% 0%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입산자실화 논ㆍ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실화 기타 ( 단위 : 건 ) 구분 10 년평균 건수 ( 건 ) 비율 (%)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실화 계 ,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기타

119 라. 월별ㆍ원인별발생현황 ( 면적 ) 100% 80% 60% 40% 20% 0%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입산자실화 논ㆍ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실화 기타 ( 단위 : ha) 구분 10 년평균 면적 (ha) 비율 (%) 입산자실화 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 담뱃불실화 성묘객실화 어린이불장난 건축물실화 계 , ,028 1 월 월 월 월 월 , 월 월 월 월 월 월 월 기타

120 4. 최근 10 년간야간산불현황 가. 월별야간산불현황 ( 건 ) 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월 구분 10 년평균 건수 ( 건 ) 비율 (%) ( 단위 : 건 ) 합계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121 나. 월별야간산불피해면적 구분 10 년평균 면적 (ha) 비율 (%) ( 단위 : 건 ) 합계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122 다. 지역별야간산불현황 ( 건수 ) 6 월, 12% 8 월, 1% 9 월, 2% 10 월, 4% 11 월, 8% 5 월, 13% 12 월, 8% 1 월, 10% 4 월, 18% 3 월, 13% 2 월, 11% ( 건 )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 단위 : 건 ) 관서 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3 라. 지역별야간산불피해면적 ( 단위 : ha) 관서평균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4 5. 최근 10 년간방화성산불발생현황 가. 방화성산불현황 건 건수면적 ha 계 ( 단위 : 건, ha) 구분 계방화방화추정 건수면적건수면적건수면적 계 ' ' ' ' ' ' ' ' ' '

125 나. 지역별방화성산불현황 25 건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 단위 : 건 ) 지역 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6 6. 공휴일ㆍ설날ㆍ대보름날ㆍ식목일ㆍ선거일산불발생현황 가. 공휴일산불발생현황 구분 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 계 양력설 음력설 삼일절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현충일 광복절 추석 개천절 한글날 성탄절 총선 선거일 대선 지방선거 한글날 (10.9) 은 2013 년부터공휴일로지정

127 ( 단위 : 건 ) 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

128 나. 설날ㆍ대보름날ㆍ식목일산불발생현황 ( 단위 : 건, ha) 구분 설날대보름식목일및청명ㆍ한식 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월일건수면적 10년평균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소계

129 7. 30ha 이상산불피해내역

130 7. 30ha 이상산불피해내역 가. 30ha 이상산불피해내역 ( 08 ~ 17) 발생일시 진화일시 소요 발생장소 년 월 일 시간 요일 월 일 시 시간 관서 시도 시군구 읍면 리 발생원인 평균합계 31건 :28 공 :30 4:02 경북 경북 고령 쌍림 신곡 방화 :30 월 4 7 7:15 16:45 경북 경북 안동 임하 금소 연접지인화물질 :59 월 :50 30:51 경북 경북 칠곡 지천 창평 입산자실화추정 :19 목 :45 15:26 경북경북포항남구강사입산자실화추정 :38 금 :15 21:37 경북경북경주동천동담뱃불실화추정 :40 토 :00 14:20 전북 전북 남원 이백 내동 콘테이너용접실화 :00 일 :20 8:20 경남 경남 산청 산청 모고 성묘객실화 :30 일 :50 6:20 전남 전남 장성 동화 송계 입산자실화 :56 금 :10 6:14 경북 경북 영천 청통 죽정 사찰내전기용접 :34 화 :00 26:26 인천인천옹진연평연평북한포격 :43 금 :50 6:14 강원강원삼척미로상사전주택화재 ( 전기누전 ) :14 월 :30 16:16 강원강원양양현남상월천원인미상 :25 금 :00 18:35 부산부산강서지사입산자실화추정 :05 수 :00 29:34 경북경북울진기성정명입산자실화 :55 수 :50 20:55 경북경북고령성산삼대축사용접에의한실화 :25 금 4 2 9:25 21:00 경북경북예천호명황지농산폐기물소각 :10 금 :00 15:50 경북경북영덕남정회쓰레기소각 :18 토 :10 3:52 울산울산북시례성묘객실화 :38 토 :30 16:52 경북경북포항북용흥어린이불장난 :30 토 :00 15:30 울산울산울주상북향산쓰레기소각 :31 일 :00 68:29 강원강원삼척가곡오목화목보일러불똥 :50 일 :30 5:40 경기경기여주북내중암쓰레기소각 :01 일 :30 20:29 강원강원화천간동도송쓰레기소각 :11 월 :00 28:49 강원강원홍천화촌군업입산자실화추정 :46 수 :33 21:47 경북경북상주외서예의논두렁소각 ( 볏짚소각 ) :42 토 4 3 9:00 13:18 경북경북예천용문상금곡논밭두렁소각 :08 화 :00 18:52 중부충북충주수안보고운쓰레기소각 :28 목 :30 36:02 강원강원강릉옥계산계입산자실화 :42 토 :20 71:38 강원강원삼척도계점입산자실화 :10 토 :30 50:20 경북경북상주사벌덕가농산부산물소각 :32 토 5 9 6:34 63:02 강원강원강릉성산어흘입산자실화

131 산림피해내역 ( 단위 :ha, 본, m3, 천원 ) 동원장비및인력 ( 대, 점, 명 ) 면적 본수 재적 피해액 헬기 장비 인력 ,935 40,938 12,619, ,773 10,005 4, ,989, , ,196, , , ,600 1, , ,200 3, , ,410 1, ,000 25,274 1,355, ,110 3, ,400 10, , ,420 3, , , ,488 5, ,500 5,528 66, ,578 3, ,930 9, , ,038 1, ,000 19,900 3, ,700 6,682 1,466, , , ,168 1,378 1,702, ,616 2, ,815 4,562 2,441, ,562 1, ,000-1,237, ,500 4, ,062 17,182 6,030, ,366 2, ,010 2,207 4,251, , ,601 5,065 4,159, ,000 3, ,425 14,412 3,715, ,500 3, , , ,461 8,055 5,416, ,915 4, ,000 43,705 10,522, ,363 4, ,878 2,125 4,130, ,360 3, ,600 3,864 1,376, ,370 4, , ,599 8, , , ,015, ,117 1, , ,219, ,522 1, ,341, ,070 31,382 2,415, ,863 2, ,331 91,076 39,542, ,946 23, ,200 12,000 4,262, ,520 2, ,762 76,325 21,258, ,829 12,

132 나. 100ha 이상산불피해내역 ( 08 ~ 17) 발생일시 진화일시 소요 발생장소 년 월 일 시간 요일 월 일 시 시간 관서 시도 시군구 읍면 리 발생원인 평균 합계 10 건 :59 월 :50 30:51 경북경북칠곡지천창평입산자실화추정 :00 일 :20 8:20 경남경남산청산청모고성묘객실화 :05 수 :00 29:34 경북경북울진기성정명입산자실화 :55 수 :50 20:55 경북경북고령성산삼대축사용접에의한실화 :25 금 4 2 9:25 21:00 경북경북예천호명황지농산폐기물소각 :10 금 :00 15:50 경북경북영덕남정회쓰레기소각 :30 토 :00 15:30 울산울산울주상북향산쓰레기소각 :28 목 :30 36:02 강원강원강릉옥계산계입산자실화 :42 토 :20 71:38 강원강원삼척도계점입산자실화 :32 토 5 9 6:34 63:02 강원강원강릉성산어흘입산자실화

133 산림피해내역 ( 단위 :ha, 본, m3, 천원 ) 동원장비및인력 ( 대, 점, 명 ) 면적본수재적피해액헬기장비인력 ,419 31,592 9,368, ,542 5,785 2, ,734, ,915 93,684, ,415 57, ,000 25,274 1,355, ,110 3, ,930 9, , ,038 1, ,062 17,182 6,030, ,366 2, ,010 2,207 4,251, , ,601 5,065 4,159, ,000 3, ,425 14,412 3,715, ,500 3, ,000 43,705 10,522, ,363 4, ,070 31,382 2,415, ,863 2, ,331 91,076 39,542, ,946 23, ,762 76,325 21,258, ,829 12,

134 8. 최근 10 년 ( 08~ 17) 간산불가해자검거현황 산불가해자검거현황 구분 산불건수 ( 건 ) 가해자검거 ( 명 ) 검거율 (%) 평균 년가해자검거 원인별 산불건수 ( 건 ) 가해자검거 ( 명 ) 검거율 (%) 계 % 입산자실화 % 논밭두렁소각 % 쓰레기소각 % 담뱃불실화 % 성묘객실화 % 어린이불장난 % 건축물실화 % 기타 %

135 제 6 장기상상황

136

137 1. 산불과강수량 가. 월별산불과기상 건수강수량 건조일수 mm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 건, 일 ( 단위 : 건, mm, 일 ) 구분 건수 강수량 건조일수 계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138 나. 월별산불과강수량 ( 건, ha) 1, 건수피해면적강수량 (mm)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 ( 단위 : 건, ha, mm) 월별건수피해면적강수량 계 692 1, 월 월 월 월 월 104 1, 월 월 월 월 월 월 월

139 다. 연도별ㆍ월별강수량현황 ( 단위 :mm) 일자합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평균 1, 비율 100% 2% 3% 5% 8% 7% 9% 24% 19% 11% 5% 4% 3% ' '16 1, ' '14 1, '13 1, '12 1, '11 1, '10 1, '09 1, '08 1,

140 라. 연도별ㆍ월별강수일현황 ( 단위 : 일 ) 일자합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평균 비율 100% 6% 6% 7% 9% 7% 9% 14% 12% 8% 6% 8% 8% ' ' ' ' ' ' ' ' ' '

141 마. 월별ㆍ지역별강수량

142 마. 월별ㆍ지역별강수량 ( 17) mm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재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월별평균서울인천수원강화춘천원주인제홍천속초강릉서산천안보령부여금산청주제천보은추풍령광주목포여수 계

143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 단위 : mm) 완도장흥해남고흥전주부안정읍울산부산거창합천밀양산청남해울진포항대구영주문경영덕의성구미영천

144 바. 월별ㆍ지역별강우일수 ( 17) ( 일 )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재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월별평균서울인천수원강화춘천원주인제홍천속초강릉서산천안보령부여금산청주제천보은추풍령광주목포여수 계

145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 단위 : 일 ) 완도장흥해남고흥전주부안정읍울산부산거창합천밀양산청남해울진포항대구영주문경영덕의성구미영천

146 사. 월별전국강수량누계 일자 일평균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합계

147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 단위 : mm)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일평균 월누계 년누계

148 아. 월별ㆍ지역별강수량 1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49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50 2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51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52 3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53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54 4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55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56 5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57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58 6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59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60 7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61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62 8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63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64 9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65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66 10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67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68 11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69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70 12 월중지역별강수량 평균 서울 인천 수원 강화 춘천 원주 인제 홍천 속초 강릉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청주 제천 보은 추풍령 광주 목포 여수 합계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강수일

171 ( 단위 : mm) 완도 장흥 해남 고흥 전주 부안 정읍 울산 부산 거창 합천 밀양 산청 남해 울진 포항 대구 영주 문경 영덕 의성 구미 영천

172 2. 기상특보 가. 월별건조일수와산불건수 건조일수 건수 일 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30 0 건 ( 단위 : 일, 건, ha) 구분 건조일수 건수 면적 계 , 월 월 월 월 월 , 월 월 월 월 월 월 월

173 나. 기상특보 ( 건조특보 ) 발령현황 ( 단위 : 일 ) 진한수치는건조경보일수임 구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전국부분 합계

174 다. 최근 10 년간건조주의보발령현황 구분합계 1 회 2 회 3 회 4 회 5 회 6 회 7 회 8 회 2008 일자 ( 일 ) 1.1~ ~ ~31 2.2~ ~ ~ ~22 4.4~8 일수 ( 일 ) 일자 ( 일 ) 1.1~ ~29 2.9~ ~ ~ ~ ~ ~4.15 일수 ( 일 ) 일자 ( 일 ) 1.1~3 1.6~ ~31 2.3~8 2.18~ ~30 4.2~8 4.15~18 일수 ( 일 ) 일자 ( 일 ) 1.8~ ~16 3.5~ ~ ~22 5.3~6 5.15~ ~10 일수 ( 일 ) 일자 ( 일 ) 1.1~2 1.5~ ~ ~ ~ ~ ~ ~10 일수 ( 일 ) 일자 ( 일 ) 1.2~ ~30 2.8~ ~27 3.1~ ~ ~ ~17 일수 ( 일 ) 일자 ( 일 ) 1.1~7 1.9~ ~ ~ ~7 3.5~ ~27 4.5~12 일수 ( 일 ) 일자 ( 일 ) 1.1~ ~21 2.1~ ~28 3.1~ ~ ~ ~28 일수 ( 일 ) 일자 ( 일 ) 1.1~ ~ ~ ~ ~ ~ ~ ~5.1 일수 ( 일 ) 일자 ( 일 ) 1.1~ ~ ~ ~ ~ ~ ~ ~5.9 일수 ( 일 )

175 9 회 10 회 11 회 12 회 13 회 14 회 15 회 16 회 17 회 18 회 19 회 4.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5.6~ ~ ~ ~ ~ ~ ~ ~9 5.13~ ~ ~ ~ ~ ~ ~27 5.4~7 5.9~ ~ ~ ~ ~ ~ ~ ~ ~ ~ ~29 6.3~5 10.5~ ~ ~ ~ ~ ~ ~ ~ ~ ~ ~ ~ ~ ~ ~ ~ ~ ~ ~ ~ ~ ~

176 라. 최근 10 년간월별건조주의보발령현황 구분합계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평균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일수 ( 일 )

177 제 7 장외국의산불

178

179 1. 국가별산불발생건수 ( 07 ~ 16 평균 ) 건 미국일본캐나다포르투갈스페인프랑스이탈리아그리스독일 ( 단위 : 건 ) 구분미국일본캐나다포르투갈스페인프랑스이탈리아그리스독일 평균 70,428 1,644 6,423 18,257 12,501 3,718 6,029 1, ,705 2,157 7,581 18,722 10,936 3,364 10,639 1, ,979 1,891 6,036 13,832 11,655 2,781 6,486 1, ,792 2,084 7,167 26,119 15,643 4,800 5,422 1, ,971 1,392 7,319 22,026 11,721 3,900 4,884 1, ,126 2,093 4,608 25,221 16,414 4,500 8,181 1, ,774 1,178 7,907 21,176 17,503 4,105 8,252 1, ,579 2,020 6,246 19,291 10,626 2,223 2, ,612 1,494 5,126 7,067 9,771 2,778 3, ,151 1,106 7,068 15,851 11,928 4,440 5, , ,595 1,027 5,173 13,261 8,817 4,285 4,

180 2. 국가별산불피해면적 3,000 2,500 2,653 2,566 2,000 1,500 1, 천 미국 일본 캐나다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독일 ( 단위 : ha ) 구분미국일본캐나다포르투갈스페인프랑스이탈리아그리스독일 평균 2,652, ,565,748 85,189 91,432 12,686 77,141 49, ,774, ,310,148 31,450 86,122 8, , , ,141, ,701,376 17,244 50,322 6,001 66,329 29, ,396,462 1, ,405 87, ,094 17,000 73,355 35, ,385, ,155, ,090 54,770 10,300 46,537 8, ,525,365 2,071 2,603,833 73, ,161 9,400 72,004 29, ,774, ,960, , ,125 8, ,814 59, ,748, ,203, ,756 58,985 3,608 29,076 46, ,455,093 1,062 4,563,847 19,929 46,721 36,125 36,125 25, ,097, ,903,277 64, ,200 11,160 41,511 7, ,229, ,499, ,522 65,817 16,093 47,926 26,

181 3. 국가별산불발생현황 가. 미국 천 건수면적 천 4, ,000 3, , 평균 ,500 2,000 1,500 1,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70,428 2,652, ,705 3,774, ,979 2,141, ,792 2,396, ,971 1,385, ,126 3,525, ,774 3,774, ,579 1,748, ,612 1,455, ,151 4,097, ,595 2,229, 자료출처 : NIFC

182 나. 일본 2,500 2,000 2,157 1,891 2,084 2,093 2,020 건수면적 2,500 2,000 1,644 1,500 1,392 1,494 1,500 1,000 1,178 1,106 1,027 1,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1, , , ,084 1, , ,093 2, , , ,494 1, , , 자료출처 : 소방청

183 다. 캐나다 9,000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6,423 7,581 6,036 7,167 7,319 4,608 7,907 6,246 5,126 건수면적 7,068 5,173 천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2,000 1,000 1,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6,423 2,565, ,581 1,310, ,036 1,701, , , ,319 3,155, ,608 2,603, ,907 1,960, ,246 4,203, ,126 4,563, ,068 3,903, ,173 1,499, 자료출처 : CIFFC

184 라. 포르투칼 천 30 건수면적 천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18,257 85, ,722 31, ,832 17, ,119 87, , , ,221 73, , , , , ,067 19, ,851 64, , , 자료출처 : EFFIS

185 마. 스페인 천 건수면적 천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12,501 91, ,936 86, ,655 50, , , ,721 54, , , , , ,626 58, ,771 46, , , ,817 65, 자료출처 : EFFIS

186 바. 프랑스 6,000 건수면적 40 천 5,000 4,000 3,718 3,364 4,800 3,900 4,500 4,105 4,440 4, ,000 2,781 2, ,000 1,000 2,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3,718 12, ,364 8, ,781 6, ,800 17, ,900 10, ,500 9, ,105 8, ,223 3, ,778 36, ,440 11, ,285 16, 자료출처 : EFFIS

187 사. 이탈리아 12,000 10,639 건수 천 250 면적 10, ,000 6,000 4,000 6,029 6,486 5,422 4,884 8,181 8,252 2,936 3,257 5,442 4, ,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6,029 77, , , ,486 66, ,422 73, ,884 46, ,181 72, , , ,936 29, ,257 36, ,442 41, ,793 47, 자료출처 : EFFIS

188 아. 그리스 천 2,500 1,983 건수 250 면적 2, ,500 1,481 1,613 1, ,000 1,145 1,063 1,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1,145 49, , , ,481 29, ,063 35, ,052 8, ,613 29, ,559 59, , , , , 자료출처 : EFFIS

189 자. 독일 1,200 1, 건수면적 1, 평균 ( 단위 : 건, ha ) 구분건수면적건당피해면적 평균 , 자료출처 : EFFIS

190 4. 세계의대형산불 미국캘리포니아주산불 상황보고 ( 보 ) < 배경 > 12 월 4 일캘리포니아벤투라카운티에서발생한산불이빠르게확산되면서 1,100km² 피해발생, 일부지역긴급대피명령발효 산불개요 ( 시기준 ) 장소 : 캘리포니아주벤투라카운티산타파울라 일시 : 2017 년 12 월 4 일 18 시 26 분경 원인 : 조사중 ( 송전선로가능성제기 ) 피해상황 - 진화대원 1 명사망 ( 원인 : 화상및연기흡입 ) - 구조물 1, 045 채연소, 257 채피해, 위험가능성이높은구조물 18,000 채 - 긴급대피명령지역 : 산타바바라카운티일원, 벤투라카운티직할구역 - 자발적대피권고지역 : 산타바바라카운티일원 - 입산통제실시 : 오하이, 산타바바라산림, Pinos Ranger District 산입산통제 입산통제위반시 5,000 달러의벌금혹은징역 6 개월형, 혹은두가지모두 선고 기상현황 기상개황 : 6-17, 풍속 4-9m/s, 최대풍속 11-23m/s ( 현재 ) 적색경보발효중 Red flag warning : 기상상황이산불발생으로이어질수있음 m/s 의북동풍과최대 20m/s 의돌풍예상

191 - 상대습도 8-15% 가예상되며밤사이에도회복선이 20-35% 수준을보일 것으로 예상 - 이에따라착화가발생한경우장거리비화, 극심한산불행동, 빠른 확산이 예상됨 산불상황 피해면적 : 272, 000ac (1, 100km²) 캘리포니아주에서발생한산불중 3번째로큰피해면적 진화율 : 60% ( 예상진화일 : ) 주요연료 : 관목수풀 (chaparral), 장초, 덤불 진화비용 : 1억 5,693.9 만 달러 (1,697 억원 ) 진화자원 - 진화인력 6,501 진화대 149 급수차 61 진화차 596 도저 46 헬기 35(12.20.) 산불행동 예측 주간에규칙적으로부는바람으로상대습도가소폭상승하여산불행동이 다소완화될것으로예측 일부지역높은연료량과매우낮은연료함수율로산불확산이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자료 출처 CAL FIRE : /Index/1922 InciWeb Incident Information System : -

192 참고 피해상황및사진자료 < 토마스산불피해지역 > < 토마스산불방화선구축도 > ( 빨강 : 방화선미구축, 검정 : 방화선구축 )

193 칠레산불 상황보고 ( 보 ) < 배경 > 현재 54 건의산불 (2.14.), 59.6 만 ha 의연소면적 (2.10.), 진화비용 3.3 억, 임업분야손실 3.2 억달러추정, 11 개국 (550 팀 ) 에서진화지원중 산불개요 발생장소 : 칠레오이긴스 (O Higgins) 지역외다수 ( 남부, 중부 ) 발생일시 : 2017 년 1 월중순 발생원인 : 조사중 상세발화와관련하여, 당국에서는고의성이있다고판단하여 40 명을용의 자로체포 피해상황 - 1 월 11 일발파라이소재난지역선포 재난지역선포에따라긴급사태관리자원활용이가능해짐 - 1 월 20 일중남부지역비상사태선포 - 오이긴스, 마울레, 비오비오, 아라우카니아지역비상사태지속 (2.10. 현재 ) - 11 명사망, 13 명부상, 100 명대피, 가옥 1,900 채소실, 가옥 41 채 부분적피해, 7,422 명피해 (2.5. 현재 ) - 46 개대피소에 469 명대피 (2.5. 현재 ) - 오이긴스, 마울레, 비오비오, 아라우카니아지역내 1,820 명에게 전력공급중단 (2.2. 현재 ) - 산타올가, 마울레, 비오비오지역농촌식수공급중단 (2.7. 현재 ) - 가축 ( 소, 조류, 말등 ) 및자급농업품 ( 과실나무, 채소등 ), 제재소, 목세공, 관광업, 양봉업등피해 ( 정확한피해등록정보부재 )

194 - 칠레재정부에서산불대응비용 3 억 3 천 3 백만달러추산 (2.3. 현재 ) - 칠레주요수출산업인임업분야손실 3 억 5 천만달러추산 (2.3. 현재 ) 대응상황 - 가뭄, 수도시설고장등에대응하기위하여생수 34,245 개, 개인위생키트 5, 071 개보급 (2.9. 현재 ) - 산불진화벽 (firewall) km 구축을위하여장비 102 대동원 ( 공공사업부, Ministry of Public Works) 현재까지조기복구계획부재 ( 다수지역에서산불이계속되고있음 ) - 국립산림기구 (CONAF) 요청에따라 2 월 1 일로스리오스지역전용코페르니쿠스위성영상서비스가동 - 긴급사태진단 분석을위해마울레, 비오비오에유엔재난평가조정단 (UNDAC) 파견 기상현황 기상개황 : 오이긴스 11-30, 풍속 4-7m/s, 습도 59-82%(2.15. 현재 ) 발파라이소, 메트로폴리타나, 오이긴스지역적색경보 (red alert) 발효 (2.13.) 일반적으로칠레는여름철산불발생 산불상황 산불건수 : 건 ( 통제 29 건, 진화 4 건 ) 건 ( 진행 77 건, 통제 51 건, 진화 14 건 ) 건 ( 진행 60 건, 통제 49 건, 진화 1 건 ) 건 ( 진행 58건, 통제 55건, 진화 11 건 ) 건 ( 진행 61 건, 통제 50 건, 진화 8 건 ) 건 ( 진행 83 건, 통제 59건, 진화 9건 ) 건 ( 진행 75 건, 통제 64 건, 진화 9 건 ) 건 ( 진행 51 건, 통제 68 건, 진화 12 건 ) 건 ( 진행 7 건,

195 통제 41 건, 진화 9 건 ) 건 ( 진행 8 건, 통제 28 건, 진화 7 건 ) 건 ( 진행 8 건, 통제 41 건, 진화 7 건 ) 건 ( 진행 3건, 통제 30 건, 진화 12 건 ) 건 ( 진행 5 건, 통제 36 건 ) 건 ( 진행 6 건, 통제 50 건 ) 건 ( 진행 10 건, 통제 33건, 진화 11 건 ) 피해면적 : , 161ha(1, 362km²) ,974ha(2,900km²) , 347ha(3, 754km²) ,520ha(3,665km²) ,520ha(3,665km²) 2.1. 최소 400, 000ha(4, 000km²) ,000ha 이상 (5,860km²) , 528ha(5, 965km² ) 피해면적 2016년 7월부터누적피해면적 진화상황 - 진화인력 4,000명 이상 항공기 37대 (1.24.) - 진화인력 19, 430 명 ( 진화인력, 군인, 주관계자 포함 ) 항공기 39 대 (1.30.) - 지상진화팀 697팀 항공기 69대 (1.31.) - 긴급사태대응인력 18,308 명 국가소방팀 1,170 팀 외부소방팀 628 팀 진화대원 4,000 명 칠레경찰병력 1,360 명 수사관 415 명 유관부처인력 2, 397 명 (2.3.) - 긴급사태대응인력 16, 065 명 국가소방팀 1, 170 팀 외부소방팀 및 전문가 550 팀 군병력 8,634 명 진화대원 2,000 명 칠레경찰병력 840 명 수사관 474 명 유관부처인력 2,397 명 항공기 45 대 (2.6.) - 긴급사태대응인력 15, 973 명 국가소방팀 1, 170 팀 외부소방팀 및 전문가 550팀 군병력 8,634명 진화대원 2,000 명 칠레경찰병력 748 명 수사관 474 명 유관부처인력 2,397 명 항공기 45 대 (2.7.) 긴급사태지원을위해외국소방팀 (550팀) 과항공기 6대산불현장도착 (2.7.)

196 자료 출처 ONEMI : reliefweb : 칠레산불관련기사 : -poor-planning-fire-chiefs-monoculture-fire-breaks ing-international-help 산불기상예보 : 칠레산불피해비용관련기사 :

197 참고 피해상황및사진자료 < 칠레산불상황도, >

198 < 칠레산불발생지도, >

199 < 칠레산불위험등급, > < 세계산불위험등급예보, >

200 < 칠레산불지도, >

201 < 주택피해지에서잔불을정리하는진화대원.> < 칠레산불및연기위성영상, >

202 <Litueche 지역에서진화활동중인헬기, > < 불길에휩싸인 Vichuquen 지역, >

203 캘리포니아산불 상황보고 ( , 2 보 ) 산불 현황 미국전역 : 55건신규발생, 대형산불 14 건, 28 건진화중, 누적연소면적 247, 55 7ha( 현재 ) - Type 1 : 4건, Type 2 : 2건 (Type 1~5, 1이가장심각, 국가주요사고 ) - 미국전역의산불대비수준 (National Preparedness level) : 3 단계 1 5 단계로구분 (5단계가가장심각하며모든자원이동원된상황 ) - 연간누계 : 51,277 건, 355만 ha (10 년평균 56,465건, 243만 ha) 10년평균에비해건수는 91%, 면적은 146% 캘리포니아주 : 대형산불 14 개, 연소면적 86천ha - 피해상황 : 41 명사망 (1 명은물탱크운전자 ), 5, 700 여채의주택과상가소실, 4 만여명대피 ( 추가대피령발령여부평가중 ) 주비상사태발령 (10.9.), 트럼프대통령은 FEMA( 미국연방재난관리청 ) 의지원승인 (10.10.) - 주요산불현황 Central 구역 : 4 개의산불 (Tubbs 산불 70% 진화 14, 726ha, Po c ke t 산불 40% 진화 4, 811ha, Nuns 산불 50% 진화 19, 677ha, Oakmont 산불 15% 진화 354ha) 확산중, 소노마와나파카운티, 23 명사망 Southern 구역 : 1개의산불 (Altas 산불 68% 진화 20,664ha) 확산중, 소노마와나파카운티, 6 명사망 MENDOCINO-LAKE 구역 : 2개의산불 (Redwood Valley 산불 50% 진화 14,487ha, Sulphur 산불 85% 진화 893ha) 확산중, 멘도시노카운티, 8 명사망 Wind 구역 : 3 개의산불 (Cascade 96% 진화 4,042ha, Lobo 97% 진화 332ha, LaPorte 95% 진화 2,489ha) 확산중, 유바카운티, 4 명사망

204 관찰및평가 산불의빠른확산원인 - 기상 : 시속 80km의바람과습도 22% 이하 Diablo wind가불어건조하면서강한바람 ( 허리케인수준 ) 형성 - 연료 : 여름고온가뭄지속으로관목과초본이마른상태 최근 6년간가뭄이지속되다, 지난겨울강우로초본이무성하게성장 대형피해원인 - 야생초지에대규모의주택가를인위적으로조성 - 마을주변연료축적으로산불강도가높았음 - 주택간의거리가가깝고, 가연성자재로건축되어연료로작용 - 통신망파괴로대피명령전파체계붕괴 주당국은핸드폰외에라디오, 와이파이기반통신체계등모든수단을확보할것을권고 시사점 통신망붕괴를대비한대피명령전파체계보완 산림인접지주택및시설을산불로부터보호하기위한실효적정책필요 - 연료저감을위한산림관리, 이격거리조성, 산불위험성평가등 산림인접지혹은내에주택및시설설치시산림재해위험을평가하여승인 자료 출처 CAL FIRE NICC (National Interagency Coordination Center)

205 참고 미국및캘리포니아주산불현황 < 미국전역산불현황, > < 캘리포니아주산불현황, >

206 포르투갈산불 상황보고 ( 보 ) < 배경 > 고온건조한포르투갈페드호가우그한데지역에서발생한산불로최소 64 명사망, 251 명부상 (6.22.), 3 일간국가애도기간선포 산불개요 발생장소 : 포르투갈 페드호가우 그한데 해당지역내밀도가높은숲에서발생 발생일시 : 2017 년 6 월 17 일 발생원인 : 마른뇌우추정 떨어지는물이고온에의해지면에도달하기전증발할때빈번히발생 진화대원연합 : 방화에의한산불가능성제기 경찰 : 마른뇌우에의한산불발생주장 원인조사에상당시간이소요될것으로보임 주요수종 : 소나무림, 유칼립투스림 수익성을목적으로유칼립투스를대량으로심었으나산불악화의원인으로지목되기도함 피해상황 - 최소 64 명사망, 251 명부상, 수백명대피 (6.22. 현재 ) 대피도중연기흡입과화상으로차내에서사망 (30), 차량밖이나도로변에서사망 (17), 숲에서사망 (11), 교통사고사망 (2) 매체별로부상자수집계상이. 위의사상자수는인도적지원과시민보호를위한유럽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Humanitarian Aid & Civil Protection) 의 6월 22일보고를기준으로하였음 일부생존자 : 진화대원현장도착지연과산림관리취약등에대한불만제기

207 - 페드호가우 그한데에서 발생하여 카스타녜이라드페라, 피게이로 투스비뉴스 지역으로 확산 - 연기 피해를 비롯한 위험 상황 진행으로 대피자는 많고 가시거리는 수 미터 수준으로 악화 - 해당 피해지역 학교 무제한 휴교령 발령 (6.18. 현재 ) - 야외 불피우기 행위 금지 (6.18. 현재 ) - 페드호가우 그한데 시장 : 마을 산림의 95% 가 연소되었고 인프라가 사실상 모두 사라진 것과 다름 없음 악화원인 - 총리 : 산불로 전화선과 통신탑이 파괴되어 대국민 조기 경보 발령 차질 - 산불전문가 (Xavier Viegas) : 정확한 실패 원인을 파악하기는 힘들 지만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 위험 수준 및 피해야 할 지역 전달 등 ) 이 이루어지지 못함. 경보 시스템을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 현재는담당자가직접문을두드리며대피명령을전달하는방식이주로사용 산불취약지역에서는위험경보체계를활용할필요가있음. 호주는 2009년산불로 173명이사망한후경보시스템을재정비해현재는문자 메시지와긴급방송을활용하는대국민경보체계를갖춤 - 산불예방, 진화담당 기관간의 상호 공조 부족, 산림관리 계획 미흡, 외곽지 인구 감소로 숲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함 - 산불전문가 (Paulo Fernandes) : 경고 신호 등이 있었으나 산불 시즌 전이라 주민들이 방심한 것으로 보임. 진화대원의 현장 도착이 늦어져 주민들이 집에 머물기보다 차량으로 대피하기를 선택. 산불 예방보다 진화를 더욱 중시하는 분위기 - 고속도로 ( 카스타녜이라드페라, 피게이로투스비뉴스를 연결하는 도로 ) 를 폐쇄하지 못해 해당 도로에서 많은 사망자가 발생 - 생존자 : 현장 경찰관이 IC8 번 도로 폐쇄로 N236 번 도로 ( 다수 사망 자가 발생한 도로 ) 를 이용하라고 지시

208 기상현황 기상개황 : 페드호가우 그한데 지역 19-23, 풍속 m/s, 상 대습도 60-82%(6.26. 현재 ) 겨울과봄철건조한현상과여름철폭염이이어지면서대기불안정, 피해지역강수량적음 산불위험기상경보 - 산불발생에취약한기상조건이지속됨에따라 2017 년 6 월 15 일포르투갈시민보호국 (National Civil Protection Authority, ANPC) 은산불위험기상경보발표 - 산불위험기상경보 : 6 월 16 일에서 18 일까지최고온도해안지역 35-39, 내륙지역 예상 (6.15. 기준 ) - 산불위험기상경보 : 바람은보통수준이며상대습도는 30% 이하예상 (6.15. 기준 ) 산불상황 산불건수 : 건 건 6월 15일-21일까지 7일간산불 580건발생 피해면적 : ,000ha 최소 44,969ha( 페드호가우그한데 29, 693ha, 고이스 15, 276ha) 시민보호국대변인실 : 추가적인산불진행이없는상황 6월 22일피해면적은산불피해가가장컸던두지역의피해면적만을합한수치 진화상황 - 군인 350 명이상, 진화대원 900 여명 (6.18.) - 군인 350 명이상, 진화대원 1,100 여명, 진화차량 820 여대, 공중진화자산 26 대 (6.19.)

209 EU 협력 - 포르투갈당국은 EU Civil Protection Mechanism을통한국제지원 ( 공중 지상진화자원 ) 요청 - 스페인에어트랙터 (air tractor) 2 대, 살수용항공기 (Canadair) 4 대, 지상진화모듈 2 대, 진화대원 120 여명, 차량 26 대협조 - 프랑스살수용항공기 (Canadair) 2대, 항공기 (Beech) 1대협조 - 이탈리아살수용항공기 (Canadair) 2 대협조 자료 출처 Reuters : ABC News : 5-people-killed-forest-fires / st-fire-death-toll-rises / 산불위험기상경고 (ANPC) : The Latest: Death toll from wildfire in Portugal rises to toll-wildfire-portugal-rises-63-article / Portuguese wildfires: early warnings hindered by damaged phone lines ires-water-dropping-planes-spain-france-italy/

210 Incendio mais mortifero em Portugal ainda nao esta controlado -portugal.html/ Portugal's deadliest fire still rages after 63 people killed EU channels extra support for Portugal to help with forest fires tugal-help-forest-fires/ Portugal: Forest Fires - Information Bulletin No bulletin-no-1/ Portugal s prime minister calls on emergency services to explain wildfire response Portugal Wrests Control Over Wildfire That Killed More Than 60 People /portugal-wrests-control-over-wildfire-that-killed-more-than -60-people/ 피해면적출처 drogao-grande-e-gois-queimou-quase-45-mil-hectares/

211 참고 피해상황및사진자료 < 포르투갈산불상황도, > < 포르투갈산불피해지역, >

212 < 포르투갈산불위험예보, > < 포르투갈진화자원배치도 ( 시민보호국 ), >

213 < 산불진화작업중인진화대원 > < 포르투갈산불연기피해, >

214 < 포르투갈산불민가인근피해, > < 포르투갈산불로인한연기피해 >

215 < 대피중인마을주민 >

2017 년도전국산불방지종합대책 2017. 1. 목 차 Ⅰ. 최근산불발생현황및 17 년도전망 1 1. 최근산불발생현황분석 1 2. 17 년도기상전망및산불발생여건 2 Ⅱ. 산불방지정책목표및추진전략 3 Ⅲ. 과제별세부추진계획 4 1. 산불취약시기산불방지대응태세확립 4 2. 원인별맞춤식산불예방으로발생요인사전차단 6 3. 통합적 체계적초동대응으로산불피해최소화 12

More information

<312E B3E220BBEABAD2C5EBB0E8BFACBAB82DC6EDC1FD312831C0E52D34C0E5292E687770>

<312E B3E220BBEABAD2C5EBB0E8BFACBAB82DC6EDC1FD312831C0E52D34C0E5292E687770> 2012. 1 2012. 1 2011 년산불통계연보길라잡이 1 발간목적 우리나라는연평균 427 건의산불이발생하여 1,173ha 의산림이소실되고있으며, 최근에는기후변화등의원인으로전세계적으로초대형산불이자주발생하여산불이범국제적재난으로부각되고있다. 또한산불은큰피해에비해원인은사소한부주의로발생하고있으므로이를사전에예방하는것이더욱중요한일일것이다. 따라서산불통계는국민들에게산불조심의중요성을인식시키고유관기관에는정책자료등으로활용하여산불발생을근원적으로줄이는데목적이있다.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의 가치를키우는제주 를실현하자 2016 년산불방지종합대책 정확한판단, 신속한대응, 안전한진화! 2016. 1. 12. ( 산림휴양정책과 ) 목 차 최근산불발생현황및 16 년도전망 1 최근산불발생현황분석 우리도산불발생현황 최근 년간연평균 건산불발생 산림 피해 구분 산불발생현황 계 건수 건 면적 월별 원인별산불발생현황 년간 구분 계 월 월 월 월 월 월 월 계

More information

2010 산불통계연보 면지

2010 산불통계연보 면지 발간등록번호 2010 년산불통계연보 2011. 1 연평도산불고속도로를넘은산불잔불정리애로산불낙뢰산불 정확한판단, 신속한대응, 안전한진화 목차 제1장일반현황 3 1. 산불정책의변천 3 2. 산불방지제도 6 3. 10년산불방지주요시책 7 제2장 2010년산불발생현황 9 1. 산불발생여건 9 2. 산불발생현황 9 가. 총괄 9 나. 시기별 10 다. 원인별 11 라.

More information

MRIO (25..,..).hwp

MRIO (25..,..).hwp 공공투자사업의지역경제파급효과추정을위한 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구축및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제 Ⅰ 장문제의제기 1 제Ⅱ장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분석의추이및문제점 7 제Ⅲ장 MRIO 모형구축을위한방법론검토 17 제Ⅳ장 KDI MRIO 모형의구조및특성 37 제Ⅴ장 KDI MRIO 모형의세부구축방법 60 제Ⅵ장 KDI MRIO 모형의추정및결과 120 제Ⅶ장

More information

Ⅰ. 지방의회기본현황 1 Ⅱ. 지방의회상임위원회현황 5 1. 총괄내역 8 가. 상임위설치의회수 8 나. 위원수별상임위원회수 10 2. 의회별내역 12 Ⅲ. 지방의회정당별등현황 37 1. 정당별및성별현황 41 2. 의원 1인당인구수 55 3. 직업별현황 69 Ⅳ. 지방의회의장협의회현황 83 1.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일반현황 85 2.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제 6 차지역산림계획 2018. 1.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11 1.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12 2.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16 3.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일상속산림복지체계정착 20 5. 산림생태계보전과이용조화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보도자료 보도일시배포일시담당부서담당자 목 목 사회통계국인구동향과 과장 윤연옥 서기관 김윤성 출생 사무관 송주화 사망 정호석 혼인 이혼 년 월 인구동향 통계청이작성한 2015 년 5 월인구동향 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조건에따라이용할수있습니다.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More information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4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SO2, 아황산가스)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SO2)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의

More information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 2012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2012. 5. 12( ) 2012 1. 1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2012. 7. 4( ) ~ 7. 6( ) 3 등록시간 : 09:00 ~ 18:00. : 2 ( 1 ). 1 3 (A4 1매, 워드작성 붙임서식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2012 년도재정사업자율평가결과 ( 정보화 ) 2013. 7. 산림청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 목차 ==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산림과학기술정보화 1. 산림자원정보화 ( 직접수행, 평가결과 : 보통 ) 계획 100.00 관리 86.67 성과 50.00 종합 71.00 (50) (5060) (60~80)

More information

ㅇ ㅇ

ㅇ ㅇ ㅇ ㅇ ㅇ 1 ㆍ 2 3 4 ㅇ 1 ㆍ 2 3 ㅇ 1 2 ㆍ ㅇ 1 2 3 ㆍ 4 ㆍ 5 6 ㅇ ㆍ ㆍ 1 2 ㆍ 3 4 5 ㅇ 1 2 3 ㅇ 1 2 3 ㅇ ㅇ ㅇ 붙임 7 대추진전략및 27 개세부추진과제 제 5 차국가공간정보정책기본계획 (2013~2017) 2013. 10 국토교통부 : 2013 2017 차 례 제 1 장창조사회를견인하는국가공간정보정책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제 2 차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국토교통부 Ⅰ Ⅱ Ⅲ Ⅳ Ⅴ - 4 - 1 배경및법적근거 2 계획의수립방향 - 3 - 3 계획수립의성격및역할 4 계획수립경위 - 4 - Ⅱ 1 국내외여건변화 가. 현황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나. 문제점및기본방향 - 14 - 2 국내 U-City 현황 가. 현황 -

More information

목 차. 2014 년달라지는주요사업및예산조기집행지침등. 사업계획. 부록 . 2014 년달라지는주요사업및예산조기집행지침등 . 사업계획 ~ 입산통제구역표지판 ( 제 13 조제 1 항관련 ) 1. 등산로폐쇄구간로그인 2. 등산로편집 3. 등산로추가 4. 등산로삭제 개요 개 념 조장근무일지 년월일

More information

기관대응수칙은매뉴얼이현장에서작동할수있도록 재난유형별주요단계에서지휘부와핵심대응부서가 판단하고조치할행동절차를규정

기관대응수칙은매뉴얼이현장에서작동할수있도록 재난유형별주요단계에서지휘부와핵심대응부서가 판단하고조치할행동절차를규정 산불재난 위기대응실무매뉴얼 2016. 3. 산림청 기관대응수칙은매뉴얼이현장에서작동할수있도록 재난유형별주요단계에서지휘부와핵심대응부서가 판단하고조치할행동절차를규정 기관대응수칙 재난유형 산불 산 불 산림청 유형 : 산불주관부처 : 산림청관리번호 : 2 Ⅰ 재난관리체계도및절차도 관련매뉴얼 산불재난 위기관리실무매뉴얼 : 산림청 산불재난 위기대응실무매뉴얼 : 산림청,

More information

120330(00)(1~4).indd

120330(00)(1~4).indd 도시개발법시행규칙 [ 별지제 5 호서식 ] 색상이어두운란은가작성하지않습니다. 접수번호 접수일자 성명 ( 법인의명칭및대표자성명 ) 주민등록번호 ( 법인등록번호 ) 전화번호 구역명 동의내용 구역면적 ( m2 ) 사업방식 시행자에관한사항 본인은 도시개발법 제4조제4항및영제6조제6항에따라환지방식의도시개발계획에대하여시행자등에게설명을듣고위내용 ( 개발계획수립과정에서관계기관협의및도시계획위원회의심의결과등에따라개발계획이변경되는경우를포함합니다

More information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 10.0 5.0 0.0-5.0-10.0 0.6 1.0 0.3 2.9 0.7 1.3 9.0 5.6 5.0 3.9 3.4 3.9 0.0 95 90-0.3 85 변동률 지수 65-15.0-13.6 60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More information

- I - - II -

- I - - II - - I - - II - PAGE - III - - IV - - V - - VI - - 1 - ~ ~ - 2 - - 3 - - 4 - - 5 - for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δ - 18 - - 19 - - 20 - - 21 - - 22 -

More information

<C0FCB1B9BBEABAD2B9E6C1F6C0E5B1E2B4EBC3A5BCF6B8B3C0BB20C0A7C7E520BFACB1B8BFEBBFAA20BCB3B8EDC0DAB7E128C3D6C1BE295FC6EDC1FD2E687770>

<C0FCB1B9BBEABAD2B9E6C1F6C0E5B1E2B4EBC3A5BCF6B8B3C0BB20C0A7C7E520BFACB1B8BFEBBFAA20BCB3B8EDC0DAB7E128C3D6C1BE295FC6EDC1FD2E687770> 제출문 산림청장귀하 본보고서를 전국산불방지장기대책 (2017 2021) 수립을위한 연구용역 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6 년 7 월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참여연구진 연구용역기관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책임연구원곽주린 (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 연 구 원박용빈 (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 진승현 (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 이명보 ( 인제대학교 ) 이영진 ( 공주대학교

More information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 목차 > 2011 년 1/4 분기지역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1 > [ 전년동분기비, %] 시 도 ( 권역 1) ) 광공업생산지수 2)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3) 취업자수 10.2/4 3/4 4/4 11.1/4 p 10.2/4 3/4 4/4 11.1/4 p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Contents - 목차 - 1.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2.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관리및운영지침 3. 공급인증서발급및거래시장운영에관한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5 법률시행령시행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More information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http://taas.koroad.or.kr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http://taas.koroad.or.kr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2015-0213-025 2015년판 교통사고통계 요약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http://taas.koroad.or.kr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축 관리 분석)하여 교통안전정책 수립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성장을선도하는폐기물처리시설조성

More information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삼성경제연구소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제 27 장 대형국책과제의추진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More information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2 012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목차 Ⅰ. 일자리창출및성장동력확충 1 고용창출지원강화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More information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2011--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요약문 1-1 - 2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운용 - 2 - 요약문 3-3 -

More information

합동화생방기술정보 최정예 화생방 전문부대 Contents / 제 55 호 (2014. 10 월 ) 美 제 55 호 (2014 년 10 월 ) 3 1. 육 해 공군부대 ------------------------------- 7 * 육군 31 사단, 민 관 군 경합동훈련등 3 건 2.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 8 *

More information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ⅰ ⅱ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ⅲ ⅳ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ⅴ ⅵ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More information

목차 I. 개요 1 II. 제 1 차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 주요내용 3 III. 우주위험대비 2016 년도주요실적 4 IV. 16 년도개선사항및 17 년도개선방향 12 V 년도추진목표및과제 13 VI. 추진과제별시행계획 우주위험대책본부운영

목차 I. 개요 1 II. 제 1 차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 주요내용 3 III. 우주위험대비 2016 년도주요실적 4 IV. 16 년도개선사항및 17 년도개선방향 12 V 년도추진목표및과제 13 VI. 추진과제별시행계획 우주위험대책본부운영 제 1 차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 '14~'23 2017 년도시행계획 2017. 2. 관계부처합동 목차 I. 개요 1 II. 제 1 차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 주요내용 3 III. 우주위험대비 2016 년도주요실적 4 IV. 16 년도개선사항및 17 년도개선방향 12 V. 2017 년도추진목표및과제 13 VI. 추진과제별시행계획 14 1. 우주위험대책본부운영 14 2.

More information

273-308 제4장

273-308 제4장 4 PROSECUTION SERVICE 274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73-308 제4장 2012.8.21 11:57 AM 페이지287 제3절 아세안 프로젝트 수행 마약퇴치 캠페인 - 2011. 10. 5. 라오스 비엔티엔 소재 라오플라자 호텔에서 LCDC 부위원장 등 양국 마약관계 관 30여명이 참석한

More information

<28C0DABFAC29BDC0C1F6BAB8C8A3B9FDC0D4B9FDBFB9B0ED2E687770>

<28C0DABFAC29BDC0C1F6BAB8C8A3B9FDC0D4B9FDBFB9B0ED2E687770> < 붙임 1> 환경부공고제2005-191호 습지보전법시행령 을개정함에있어국민에게미리알려의견을듣고자그취지와주요내용을 행정절차법 제41조의규정에의하여다음과같이공고합니다. 2005년 8월일환경부장관습지보전법시행령일부개정령 ( 안 ) 입법예고 1. 개정이유국가가수행하고있는습지보전에관한기능을국가와시 도가공동으로수행할수있도록 습지보전법 이일부개정 ( 법률제 7461호,

More information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More information

2015 군포시화재현황 화재건수 : 175 건 2014 년대비 : 6 건감소 ( 3.3%) 인명피해 : 6 명 ( 부상 6) 2014 년대비 : 4 명증가 (200.0%) 재산피해 : 1,514 백만원 2014 년대비 : 1,465 백만원감소 ( 49.2%) 1 개월평

2015 군포시화재현황 화재건수 : 175 건 2014 년대비 : 6 건감소 ( 3.3%) 인명피해 : 6 명 ( 부상 6) 2014 년대비 : 4 명증가 (200.0%) 재산피해 : 1,514 백만원 2014 년대비 : 1,465 백만원감소 ( 49.2%) 1 개월평 재난으로부터안전한군포구현 2015 년화재분석 군포소방서 G UNPO FIRE STATIO N 2015 군포시화재현황 화재건수 : 175 건 2014 년대비 : 6 건감소 ( 3.3%) 인명피해 : 6 명 ( 부상 6) 2014 년대비 : 4 명증가 (200.0%) 재산피해 : 1,514 백만원 2014 년대비 : 1,465 백만원감소 ( 49.2%) 1 개월평균

More information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기본과제 09-31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l development - 2010 발간사 요약 목차 표목차 ~ 그림목차 ~ ~

More information

< B3E22031BAD0B1E220C1F6BFAAB0E6C1A6B5BFC7E220BAB8B5B5C0DAB7E128C3D6C1BE292E687770>

< B3E22031BAD0B1E220C1F6BFAAB0E6C1A6B5BFC7E220BAB8B5B5C0DAB7E128C3D6C1BE292E687770> 보도일시. 05. 18.( 목 ) 12:00 보도자료 배포일시. 05. 18.( 목 ) 09:00 담당부서 경제통계국소득통계과 담당자 과장 : 박상영 (042-481-2206) 사무관 : 최기재 (042-481-2226) 년 1 분기 지역경제동향 지역발전에관심이높아지면서지역별경제지표및그동향분석에대한수요가증가하고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생산, 소비및고용등주요경제지표를지역별로나누어분석

More information

Ⅰ 년상반기경기도화재발생개요 화재발생현황요약 Ⅱ. 화재현황개요 1. 총괄 2017 년상반기경기도화재발생총괄현황은 화재 5,846 건, 인명피해 294 명 ( 사망 42, 부상 252), 재산피해 128,901 백만원 전년대비화재건수 199 건 (-3.3%),

Ⅰ 년상반기경기도화재발생개요 화재발생현황요약 Ⅱ. 화재현황개요 1. 총괄 2017 년상반기경기도화재발생총괄현황은 화재 5,846 건, 인명피해 294 명 ( 사망 42, 부상 252), 재산피해 128,901 백만원 전년대비화재건수 199 건 (-3.3%), Ⅰ. 7 년상반기화재발생개요 화재발생현황요약 Ⅱ. 화재현황개요. 총괄 7 년상반기화재발생총괄현황은 화재 5,86 건, 인명피해 9 명 ( 사망, 부상 5), 재산피해 8,9 백만원 년대비화재건수 99 건 (-3.3%), 인명피해 3 명 (-9.8% 명 ) 감소, 재산피해 9,53 백만원 (7.6%) 이증가하였음. ( 대형화재 ) 7 년상반기는 건의대형화재가발생하였음.

More information

목 차 최근산불발생현황및 년도전망 산불발생현황 금년도산불발생여건및전망 산불방지정책목표및추진과제 단계별세부추진계획 산불취약시기산불방지대응태세확립 원인별 맞춤형산불예방으로산불요인사전차단 통합적 체계적초동대응으로산불피해최소화 참고자료

목 차 최근산불발생현황및 년도전망 산불발생현황 금년도산불발생여건및전망 산불방지정책목표및추진과제 단계별세부추진계획 산불취약시기산불방지대응태세확립 원인별 맞춤형산불예방으로산불요인사전차단 통합적 체계적초동대응으로산불피해최소화 참고자료 2014 년도산불방지종합대책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목 차 최근산불발생현황및 년도전망 산불발생현황 금년도산불발생여건및전망 산불방지정책목표및추진과제 단계별세부추진계획 산불취약시기산불방지대응태세확립 원인별 맞춤형산불예방으로산불요인사전차단 통합적 체계적초동대응으로산불피해최소화 참고자료 최근산불발생현황및 14 년도전망 1 산불발생현황 년전국대비산불발생현황 구분전국경기도

More information

ⅰ ⅱ ⅲ ⅳ ⅴ 1 Ⅰ. 서론 2 Ⅰ. 서론 3 4 1) 공공기관미술품구입실태조사 Ⅰ. 서론 5 2) 새예술정책미술은행 (Art Bank) 제도분석 3) 국내외사례조사를통한쟁점과시사점유추 4) 경기도내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정책수립및활용방안을위 한단기및장기전략수립 6 7 Ⅱ. 경기도지역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실태 및현황 1) 실태조사의목적 ž 2) 표본조사기관의범위

More information

최근 년 년 장마경향 지역별장마시종일변화 지역 평년값 ( 년 ) 최근5년 ( ) 평균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전국 (+3.1%) 중부

최근 년 년 장마경향 지역별장마시종일변화 지역 평년값 ( 년 ) 최근5년 ( ) 평균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전국 (+3.1%) 중부 2016. 5. 30.( 월 ) 10:00 ( 총 21 매 ) 즉시 기상서비스진흥국국가기후데이터센터 센터장이재원 02-2181-0895 기후데이터로보는장마의모든것! - 기상청, 기상 기후데이터를활용한 장마 분석및통계발표 장마란 월하순부터 월하순까지계속해서많이내리는비로 기상학적으로는장마전선의영향을받는경우를의미한다 장마전선은북쪽의찬고기압과남쪽의따뜻하고습한고기압사이에형성되는정체전선으로

More information

해양수산관서 언 론 지방해양안전심판원 해양안전심판관리시스템입력 통계생성 대외제공 자체인지

해양수산관서 언 론 지방해양안전심판원 해양안전심판관리시스템입력 통계생성 대외제공 자체인지 해양사고통계 해양수산관서 언 론 지방해양안전심판원 해양안전심판관리시스템입력 통계생성 대외제공 자체인지 목 차. 해양사고통계현황 ( 총괄 ) 1. 선박등록척수대해양사고발생현황 ( 표 1-1) 1 2. 선박등록현황 ( 표 1-2) 2 3. 해역별해양사고발생건수 ( 표 2) 3 4. 국내해역별해양사고발생현황 ( 도 1) < 생략 > 5. 사고종류별해양사고발생현황

More information

1. 화재발생분석 가. 총괄 ( ) ( ) , , , , , % 21.6% 42.6% 19.2% -18.5% 2014 년경기도에서발생한화

1. 화재발생분석 가. 총괄 ( ) ( ) , , , , , % 21.6% 42.6% 19.2% -18.5% 2014 년경기도에서발생한화 1. 화재발생분석 가. 총괄 () () 2014 9,675 635 77 558 181,166 2013 9,049 522 54 468 222,216 626 113 23 90-41,051 6.9% 21.6% 42.6% 19.2% -18.5% 2014 년경기도에서발생한화재는총 9,675 건으로전년도 9,049 건 대비 626 건 (6.9%) 증가하였다. 1 일평균

More information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iv v vi vii viii ix x 1 2 3 4 5 6 경제적 요구 생산성 경쟁력 고객만족 수익성제고 경제성장 고용증대 외부여건의 변화: 범지구적 환경문제의 심화 국내외 환경규제의 강화 소비자의 의식 변화 환경비용의 증대 환경단체의 압력 환경이미지의 중요성 증대 환경적 요구 자원절약 오염예방 폐기물저감 환경복구 삶의 질 향상 생태계 보전 전통적 경영 경제성과

More information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Contents iii

Contents iii ISSN 1599-984X Contents iii Contents iv v Contents vi vii Contents viii ix Contents x xi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src.xls

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60000-000017-10 낙뢰연보 ANNUAL LIGHTNING REPORT. 2 0 1 4 일러두기 1. 이연보는전국에설치된 7 대의 IMPACT ESP 센서로관측된대지방전자료중에서, 3 개 이상의센서에서동시에관측된낙뢰자료만분석하였다. 2. 대지방전중전류의세기가 10 ka 이하인정극성낙뢰는구름내방전으로간주하여분석에 서제외하였다.

More information

-. BSE ( 3 ) BSE. ㆍㆍ ( 5 ). ( 6 ) 3., ( : , Fax : , : 8 177, : 39660).. ( ). ( ),. (

-. BSE ( 3 ) BSE. ㆍㆍ ( 5 ). ( 6 ) 3., ( : , Fax : ,   : 8 177, : 39660).. ( ). ( ),. ( 2018-231 ( 2017-4, 2017.1.25.) 46. 2018 7 00 ( ) 1., ㆍ ㆍ. 2.. ( 2 ) - - 1 - -. BSE ( 3 ) BSE. ㆍㆍ ( 5 ). ( 6 ) 3., 2018 9 00 ( : 054-912-0423, Fax : 054-912-0431, E-mail : ilsu@korea.kr, : 8 177, : 39660)..

More information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2010-1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요약,,,, 4, 5, 6,,,,, 5 58 1:1 34, 24 ( 13, 11 ) 2010 2017 8 i (5 8 ),.,, 74 (4 3, 5 19, 6 52 ) (4~6 4,901 ) 1.5% 5% ii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목적 2 연구범위와방법

More information

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1 제 1 장서론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구 1.1 1.2 1.3 제 1 장서론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구 2 제 2 장 국내외주요지진발생현황 및피해사례조사 분석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주 2.1 서론 2.2 국내지진발생현황및발생빈도 2.3 국외주요지진과하수도시설피해상황 제 2 장국내외주요지진발생현황및피해사례조사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像 氣 名 刹 希 望 曰 術 技 藝 道 技 年 月 日 0 5, 1 2 3 4 5 45,000 40,000 39,534 35,000 30,000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DMFC 제정 : 목 차

DMFC 제정 : 목 차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국방 군사시설기준 설계도서작성 감독지침 국방부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목 차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제 1 장일반사항 DMFC 1-30-50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 1 - 제 1 장일반사항 DMFC 1-30-50 Ÿ Ÿ Ÿ

More information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년예산개요 Ⅱ 경상북도예산규모 1. 예산총계규모 2. 세입예산규모 3. 세출예산규모 2019 예산개요 7 8 2019 년도예산개요 근거 : 지방자치법제 133 조 ( 예산편성후행정안전부보고 ) 예산편성심의의결후행정안전부보고, 예산에대한이해의도모와 단체간비교가용이토록정리 예산규모 총계규모 : 24조 478억원 ( 일반 20조 9,774억원, 특별 3조

More information

목 차 요약 0 Ⅰ. 산사태발생현황및 14 년전망 0 1. 최근산사태발생현황분석 0 2. 금년도산사태발생전망 0 Ⅱ. 정책목표및추진전략 0 Ⅲ. 과제별세부추진계획 0 1. 산사태취약지역중심의사전예방강화 0 2. 상황발생에대비한신속대응체계구축 0 3. 피해발생시조사 복구

목 차 요약 0 Ⅰ. 산사태발생현황및 14 년전망 0 1. 최근산사태발생현황분석 0 2. 금년도산사태발생전망 0 Ⅱ. 정책목표및추진전략 0 Ⅲ. 과제별세부추진계획 0 1. 산사태취약지역중심의사전예방강화 0 2. 상황발생에대비한신속대응체계구축 0 3. 피해발생시조사 복구 2014 년도전국산사태방지종합대책 2014. 3. 목 차 요약 0 Ⅰ. 산사태발생현황및 14 년전망 0 1. 최근산사태발생현황분석 0 2. 금년도산사태발생전망 0 Ⅱ. 정책목표및추진전략 0 Ⅲ. 과제별세부추진계획 0 1. 산사태취약지역중심의사전예방강화 0 2. 상황발생에대비한신속대응체계구축 0 3. 피해발생시조사 복구체계구축 0 4. 산사태방지추진기반구축 0

More information

( 1 ) ( 2 )

( 1 ) ( 2 )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 13 17) 2016 년시행계획 ( 안 ) ( 1 ) ( 2 ) 0 비전중장기 5대추진전략 국민건강 G7 선진국도약 - 2020 건강수명 75 세시대 달성 -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글로벌수준의기술개발을위한선택과집중 성과창출형 R&D 지원시스템고도화 연구생태계조성 건강산업촉진을위한제도개선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보건의료 R&D

More information

- 2 -

- 2 - 공공도서관정책제안자료집 2010. 7 02-529-7310, Fax: 02-6442-7310, E-mail : cultureandlibrary@ gmail.com - 2 - 1. 강원도 [ 표 1] 2008 년말기준전국공공도서관 1 관당지표 도서관수 ( 관 ) 연면적 ( m2 ) 장서수 ( 권 ) 직원수 ( 명 ) 사서수 ( 명 ) 예산 ( 천원 ) 자료구입비

More information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발 간 등 록 번 호 54-3540000-000057-01 2012년도 정비사업 추진 지연에 따른 갈등요인 길라잡이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1970년대 부평의 전경 1995년 부평의 전경 2011년 부평의 전경 백운2구역 재개발지역 부평4동 재개발지역

More information

학부모신문225호최종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2 04 10 11 06 15 2 225 2010.06.05 Q Q Q Q Q Q Q Q Q Q Q 2010.06.05 225 3 Q Q Q Q 4 225 2010.06.05 2010.06.05 225 5 6 225 2010.06.05 2010.06.05 225 7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More information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2018 년예산개요 Ⅵ 주요재정분석지표 1. 재정자립도 2. 재정자주도 3. 재정력지수 4. 주민1인당자체수입액 5. 주민1인당지방세부담액 6. 주민1인당세외수입액 7. 주민1인당세출예산액 8. 사회복지비비중 9. 인건비비중 10. 공무원관련경비비중 11. 의회비비중 2018 예산개요 233 234 Pride Gyeongbuk 1 재정자립도 재정자립도 일반회계의세입중자체수입

More information

성인지통계

성인지통계 2015 광주 성인지 통계 브리프 - 안전 및 환경 Safety and Environment - 광주여성 사회안전에 대한 불안감 2012년 46.8% 2014년 59.1% 전반적 사회안전도 는 여성과 남성 모두 전국 최하위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 2014년 광주여성의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범죄위험 으로부터 불안하 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76.2%로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1. 지구단위계획구역결정 ( 변경 ) 조서 가. 총괄 ( 변경없음 ) 도면표시번호 구역명위치 기정 면 적 ( m2 ) 변경후 변경 계 1단계 2단계 비고 - 수원시영통구매탄동, 이의동, 광교지구원천동, 하동, 팔달구우만동, 제1종지구단위계장안구연무동일원획구역용인시수지구상현동,

More information

1. 2. 3. 추진배경및경과 추진배경 추진경과 2012년도추진실적및성과 정부투자 인력양성및교육프로그램운영 단계별성과 2013 년도추진계획 기본계획 4 대전략별 13 년도투자계획 구분 미래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해수부 4 대전략별투입계획합계 ( 단위 : 백만원 ) 전략 1 전략 2 전략 3 전략 4 10,704.85 6,310.6 6,029.4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10-23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실효성확보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연구의목적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내용 1. 친권에관한검토 2. 양육권에관한검토 3. 면접교섭권에관한검토 4. 관련문제점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제도의시행현황 1. 공식통계를통해본시행현황 2. 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관련법원실무

More information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2012 S U M M A R Y O F F Y 2 0 1 2 B U D G E T 01 02 03 SUMMARY OF FY 2012 BUDGET 01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3 24 25 26 27 28 29 02 1 35 2 36 37 38 39 40 41 42 3 43 44 45 46 4 47 48

More information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0714-01 http://rri.ekr.or.kr Reforms of Code Structure fo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sign Standards (Ⅰ)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More information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2 0 1 5 년 6 월 3 일공보 2 0 1 5-6 - 7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는 2010 년실측산업연관표를기준년표로설정하여 작성되었으며,

More information

2012년 상반기 가스사고 발생현황(외부용).hwp

2012년 상반기 가스사고 발생현황(외부용).hwp 2012. 가스사고 발생현황 2 0 1 2. 0 7 사 고 점 검 처 2012년 가스사고 발생현황 개 요 ㅇ 2012년 가스사고 현황 발생건수 : 전년 55건 금년 60건, 증가 5건(증가율 9.1%) - 1~3급 전년 34건 금년 48건, 증가 14건(증가율 41.2%) - 4급 전년 13건 금년 8건, 감소 5건(감소율 38.5%) - 고의사고 전년 8건

More information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요약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요약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인구이동통계분석방안연구 김인식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12 1.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12 2.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39 1. 요약 39 2.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표목차 < 표 1> 지난 21년동안의전국연간총이동과주요관련지표현황 13

More information

2012-82 The Study on the Alternative Pla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in Palgong-Mountain , i ii iii iv v ? vi vii 제 절연구배경및목적 연구배경과필요성 연구목적 제 절연구범위 연구내용및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제 절선행연구고찰 주요개념 관련연구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목재미래기업발굴및육성을위한 중장기사업방향제안 2017. 11.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16 2.1. 목재제품의종류 16 2.2. 국내목재산업현황 19 2.3.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33 Ⅲ. 목재미래기업의정의및분류

More information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www.mogef.go.kr www.mogef.go.kr C O N T E N T S C O N T E N T S 0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008 009 0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010 01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More information

¿¹»ê»ç¾÷Æò°¡(±âŸ)-¼öÁ¤.hwp

¿¹»ê»ç¾÷Æò°¡(±âŸ)-¼öÁ¤.hwp 35% (단위 : 억원) 30% 28.8%(7,795) 28.7%(8,811) 25% 20% 15% 25.5%(6,505) 17.2%(4,635) 16.4%(4,164) 15.5%(3,941) 13.1%(3,531) 과학기술부 22.4%(10,266) 22.4%(10,158) 산업자원부 19.7%(8,934) 18.1%(5,564) 정보통신부 10% 8.4%(2,135)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1 1 1. 연구목적 2. 연구필요성 - 4 - - 5 - - 6 - - 7 - 2-8 - 3 1. 브루셀라증 - 9 - (2006 5 12 ) ( ) (%) : (2007) (2007 112008 1 ) - 10 - 2. 큐열 9. (2009, ) (2007 112008 1 ) - 11 - 3.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12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 1 - 목 차 1 교통사고사망자 50% 감축 5 2 사람중심의도로공간재편추진 7 3 보행환경개선지구확대 9 4 도심보행전용거리확대및운영활성화 10 5 보행불편해소를위한횡단보도확충정비 11 6 어린이교통안전프로젝트 엘로카펫 설치 12 7 2016 년공공자전거확대 구축운영 13 8 자전거안전이용문화확산 14 9 자전거인프라확충및안전시설개선 15 10 자동차소유문화변화를위한나눔카

More information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기계 기구및설비설치또는변경시사업장안전성문제가걱정된다면? 제조업등유해 위험방지계획서로해결하세요! '14 9 13 10 13. ?.? -? - www.kosha.or.kr * : (),, ( 15 ) - 15 - ( 25 ) - 2 - : - : ( 2013-2 ) ( ) 10. 500kW. 2,000kW. 2,000kW 84,000 123,000 183,000

More information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2012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교외선 ( 능곡 ~ 의정부 ) 철도사업 2012. 7. 요약 요약 제 1 장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추진배경 2000 5 16, 2004 4 1,, 2006 -,, 39,., ~~, 2. 사업의추진경위및추진주체 2004. 12: (~) () - 21 (B/C=0.34). 2010. 04~2012. 02: (~) () - (B/C=0.53,

More information

05 ƯÁý

05 ƯÁý Special Issue 04 / 46 VOL. 46 NO. 4 2013. 4 47 Special Issue 04 / 48 VOL. 46 NO. 4 2013. 4 49 S pecial Issue 04 / IHP 7단계 연구사업 구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연최대 강우량 침수면적 인명피해 재산피해 그림 4. 시군구별 연 최대 강우량과

More information

최종보고서-2011년_태양광등_FIT_개선연구_최종.hwp

최종보고서-2011년_태양광등_FIT_개선연구_최종.hwp Ⅰ Ⅱ - i - Ⅲ - ii - - iii - - iv - Ⅳ Ⅴ - v - 1 1 33 1.1 33 1.1.1. 33 1.1.2. 33 1.2 35 1.2.1. 35 1.2.2. 36 2 40 2.1 40 2.1.1. 40 2.1.2. 43 2.2 47 2.2.1. 47 2.2.2. 51 3 54 3.1 54 3.1.1. 54 3.1.2. 60 3.1.3.

More information

<BDC3BEC8BFEB2E706466>

<BDC3BEC8BFEB2E706466>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안산시 승인일 : 2017. 12. 15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 1 - - 2 - - 3 - - 4 - Ⅰ. 2018년도기금운용계획 1. 기금개요 관련법규 지방자치법제142 조 ( 재산과기금의설치) 지방자치단체기금관리기본법제8 조 ( 기금운용계획및결산) 운용방침 기금운용의성과분석을통한기금운용계획수립 기금운용의투명성및효율성제고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More information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FDI FOCUS] 4 차산업혁명에따른외국인투자유치정책의재편방향 ( 산업연구원 ) 2018 년 1 월 22 일 [ 제 140 호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1. FDI NEWS 2. GOVERNMENT

More information

- 1 - - 1 - - 2 - 재해대책본부장 재난및안전보건관리감독자 재난및안전보건관리총괄부서장 상황관리반방호복구반지원반 구분업무분장주요임무 - 3 - 구분근무형태상황반장부반장비고 - 4 - - 5 - - 6 - - 7 - - 8 -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일러두기 일러두기 목 차 1. 목적 2. 조사분석개요가. 조사자 나. 조사기간 다. 조사농가선정 라. 조사방법 마. 총수입및비용산정기준 (1) 주산물평가 (2) 부산물평가 (3) 종묘비 (4) 비료비 (5) 농약비 (6) 영농광열비 (7) 수리 () 비 - 5 - (8) 기타재료비 (9) 농기구, 영농시설상각비 (10) 수선비 (11) 임차료 (12) 노동비 (13)

More information

부서 : 장애인복지과정책 : 장애인복지증진단위 :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운영및지원 장애인복지과 42,688,106 42,676,106 12,000 국 14,697,854 14,697,854 0 도 2,569,440 2,569,440 0 시 25,420,812 25,408

부서 : 장애인복지과정책 : 장애인복지증진단위 :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운영및지원 장애인복지과 42,688,106 42,676,106 12,000 국 14,697,854 14,697,854 0 도 2,569,440 2,569,440 0 시 25,420,812 25,408 부서 : 사회복지과정책 : 국가보훈관리및지원단위 : 보훈대상자및보훈단체지원 사회복지과 28,948,817 28,553,537 395,280 국 405,936 405,936 0 도 630,025 630,025 0 시 27,912,856 27,517,576 395,280 국가보훈관리및지원 7,137,258 6,741,978 395,280 도 476,900 476,900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지역경제동향 은지역경제에대한이해와지역정책수립및 연구에필요한기초자료제공을목적으로매분기 (2, 5, 8, 11 월 ) 에 발간하고있습니다. 이보도자료는통계청이작성하고있는생산, 소비, 투자 ( 건설 수주 ), 무역 ( 관세청의통관자료 ), 물가, 고용및국내인구이동을

일러두기 지역경제동향 은지역경제에대한이해와지역정책수립및 연구에필요한기초자료제공을목적으로매분기 (2, 5, 8, 11 월 ) 에 발간하고있습니다. 이보도자료는통계청이작성하고있는생산, 소비, 투자 ( 건설 수주 ), 무역 ( 관세청의통관자료 ), 물가, 고용및국내인구이동을 보도일시. 11. 15.( 목 ) 12:00 보도자료 배포일시. 11. 15.( 목 ) 09:00 담당부서 경제통계국소득통계과 담당자 과장 : 심상욱 (042-481-2206) 사무관 : 최기재 (042-481-2226) 년 3 분기 지역경제동향 지역발전에관심이높아지면서지역별경제지표및그동향분석에대한수요가증가하고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생산, 소비및고용등주요경제지표를지역별로나누어분석

More information

정치

정치 2015 Busan University Students Value Research 2015 부산지역 대학생 가치관 조사 부산청년정책센터 공동기획 여론조사전문기관 (주)폴리컴 후원 2015 부산지역 대학생 가치관 조사 본 조사는 부산청년정책센터와 KNN, 부산일보와 공동기획 프로젝트이며,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주)폴리컴에서 실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조사는

More information

< B3E22032BAD0B1E220C1F6BFAAB0E6C1A6B5BFC7E220BAB8B5B5C0DAB7E128BEC8292E687770>

< B3E22032BAD0B1E220C1F6BFAAB0E6C1A6B5BFC7E220BAB8B5B5C0DAB7E128BEC8292E687770> 보도일시. 08. 18.( 목 ) 12:00 보도자료 배포일시. 08. 18.( 목 ) 09:00 담당부서 담당자 경제통계국소득통계과 과장 : 박상영 (042-481-2206) 사무관 : 최기재 (042-481-2226) 년 분기 지역경제동향 지역발전에관심이높아지면서지역별경제지표및그동향분석에대한수요가증가하고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생산, 소비및고용등주요경제지표를지역별로나누어분석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017. 10.18 Korea Wildfire 2 Korea Wildfire Wildfire case in recent decade Wildfire damage (per case) in recent decade 3 Korea Wildfire 4 Korea Wildfire It occurs while people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 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연구 - 2009.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 사 )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회장김석준 제출문 본보고서를귀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과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