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420C0CCB1D9BFAD2E687770>
|
|
- 보람 문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논문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이근열 密 陽 表 忠 寺 소장 < 泗 溟 大 師 日 本 上 陸 行 列 圖 八 曲 屛 > 연구 / 한태문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임철우의 소설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과 그 심층적 의미 / 한순미 바람꽃 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한홍화 삼국유사 소재 眞 聖 女 大 王 居 陁 知 조 설화의 검토 / 전기웅 율곡 사상에서 삶과 죽음의 문제 / 이영경 人 性 論 의 脈 絡 과 司 馬 光 의 人 性 論 / 정해왕 近 世 东 亚 士 人 的 精 神 桃 源 由 退 溪 及 朝 鲜 文 人 诗 画 看 武 夷 文 化 意 象 的 传 布 / 查 屏 球 영화를 통해 본 쓰기 의 의미 영화 <시>를 중심으로 / 김중철
2
3 한국민족문화 38, , 91~128쪽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1)이 근 열* 1. 들어가기 2. 문현의 지명 정보 분석 3. 문현의 지명 연원 4. 문현의 어원 5. 마무리 <국문초록> 본 논문은 부산 문현의 어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결과 문현 은 모너메, 못너메, 문너머, 못넘을고개 등 다양한 지명으로 나타나지만 기저에 는 높은 산을 뜻하는 mvrv 과 고개 를 뜻하는 너머 가 결합한 형태로 산을 넘어가는 고개 가 그 어원이었다. 이 형태에서 모음 변화에 따라 *물너머, *몰 너머 가 나타나고, 음운 탈락에 의해 무너머, 모너머 로 나타나며, 어형의 유연 성을 상실한 모, 무 가 음성적 유연성을 가진 어형인 못 이나 문 으로 대체되 어 못[ 池 ]너머, 문[ 門 ]너머 로 나타난 경우이다. 또한 못너머 는 못[ 毋 ] 으로 이해한 언중에 의해 너무 험해 못넘을고개 로 그 뜻이 바뀌게 된다. * 주요어: 부산 지명, 문현, 못너머, 문너머, 못넘을고개 * 부산대학교 언어정보학과 강사(gonyal@naver.com)
4 2 / 한국민족문화 들어가기 지명은 일반적 의미가 세분화 개별화되는 과정을 거쳐 점차 고유성을 획득하게 되어 특정지역을 구별하는 변별소로 기능을 한다. 지명이 고유성 을 확보하게 되는 근저에는 주로 언어 변화의 다양성과 해당 지역인들의 어원 의식에 따른 변화가 원인을 이룬다. 언어 변화의 다양성이란, 특정한 지명이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보편적 언어 변화의 규칙과 함께 해 당 지역의 음운 체계나 음운 현상의 특이성에 따른 변이를 의미한다. 어원 의식이란 해당 지명의 본래 어원에 대한 지역인의 정확한 의식을 의미하는 데, 이러한 어원의식이 없으면 원래의 지명은 의미적 유연성과 관계없이 음 성적 유연성에 의해 대응되는 다른 지명으로 바뀐다. 부산 남구에 있는 모래구찌 도 일본식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부산의 자연마을 에 의하면 모래구찌[ 沙 谷 浦 ] 마을은 감만1동 285번지 일대에 있 었던 마을로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이 마을은 모래가 많은 바닷가에 입을 의미하는 구찌[ 口 ] 라는 일본말이 첨가되어 만들어진 이름이다. 모래가 많 은 마을 입구란 뜻이 이렇게 마을 이름으로 변한 것이다 라고 소개하고 있 다. 1) 여기서 구찌 가 입[ 口 ]을 뜻하는 일본말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보고 모래가 많은 바닷가 마을의 입구 로 해석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우선, 이 마을은 일제 강점기를 기원으로 하는 마을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존재했던 자연 마을이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마을의 이름은 토속어로 존재했을 것 이며 나중에 일본식 발음에 따라 변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 지역은 지 형적으로 황령산 줄기가 바다 쪽으로 뻗어 있는 형상으로 만[ 灣 ]의 안쪽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또한 이 마을에는 모래의 흔적이 없다. 2) 이 지명은 모 래+구찌 로 분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구찌 는 입구 의 뜻이 아니라 부산 1) 부산광역시, 부산의 자연마을 제1권 남구편, 2006, 218쪽. 2) 모래의 흔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모래 의 대응 한자인 沙 는 잘못 분석된 지명이 된다. 이 지역에서는 모래 는 몰개, 몰기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ㄱ 의 흔적이 지명에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래 의 어원은 지형적 특성으로 보아 산 의 뜻인 몰 의 변화형으 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은 천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 2003, 115쪽에서 언급된 바가 있다
5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3 광안리의 늘구지[판관포] 처럼 산이 바다 쪽으로 튀어 나온 지형을 의미하 는 고유어 곶 의 변화형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이 지역 사람들이 곶 에서 변화한 고지, 구지 의 어원에 대한 유연 성이 부족해지자 고유어 구지 를 음성적 유사성이 있는 일본어 구찌 와 대 응하여 입구 의 뜻으로 의미를 해석하여 원래의 형태와 전혀 다른 지명으 로 고정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 의미를 지닌 고지명을 어원적 유연성을 무시하고 대체한 한자 지 명은 원래 어원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에 의거한 추론 과정에 의해 형성된 청각적 영상이거나 머릿속 사전의 대응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지명은 일반 사람들에게 대상이나 사물에 대한 객관적 정보나 지식에 의존 한 어원보다 더 강한 대응관계를 형성하여 후대에까지 전승되는 경우가 많 다. 왜곡된 어원 의식이 본래의 실상을 대체하며 해당 지역의 지명에 대한 개인과 집단의 반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지역의 특정 지명의 경우, 앞선 연구자들이 왜곡된 어원 의식에 대한 논 리적 검토 없이 공식화하고 여기에 특정한 전설이나 유래가 보태어 지게 되면 더 강하게 고착이 되어 교정할 수 없게 된다. 부산 문현동의 문현( 門 峴 )은 지겟골고개 에서 기원한 지명으로 문고개 라 고도 불린다는 것이 정설이다. 戶 谷 으로 표기되는 지겟골 은 지게+골 로 분석이 되고, 지게 는 외짝문 의 의미로 여기서 문고개 가 연유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3) 문현이 지겟골에서 기원한 것이 분명하다면 지겟골 골짜기에 있는 고개 란 의미로 호곡현( 戶 谷 峴 ) 이나 호현( 戶 峴 ) 이 되지 않고 문현( 門 峴 ) 으로 바뀐 것은 특이한 지명의 변이에 속한다. 왜냐하면 지게 의 의미를 정확하 게 해석하여 문 으로 지명을 고정하는 것은 고유어에 대한 정확한 어원의 식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문과 지게문을 구별하여 인식하 는 것도 어렵고, 외짝문과 두짝문의 지형적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더욱 어 3) 지게골 은 표기부터 잘못되었다. 원래 이 지역인들은 [지게골]로 발음하지 않고 [지게꼴] 로 발음하기 때문에 된소리를 반영하여 지겟골 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르다. 부산 지하철 역명부터 바꿔야 할 것이다
6 4 / 한국민족문화 38 려운 일이다. 또한 고개의 형태가 문처럼 생겼다는 것도 지형적으로 납득하 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고개는 산의 안부( 鞍 部 )에 있는데, 문처럼 생긴 지물이 존재하지 않는 한, 고개의 지형을 문의 형상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시작으로 잘못 알려진 문현( 門 峴 )의 지명 어원 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문현의 지명 정보 분석 문현 의 지명 어원과 관련된 문헌은 한글학회에서 간행한 한국지명총 람 (1980), 최해군의 부산의 맥 (1990), 부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산지명총람 제3권(1997)이다. 먼저 한국지명총람 을 살펴보자. (1) ㄱ. 문현-동(문현동) [문너머, 문현, 문넘, 호곡] <동> 본래 동래 군 서하면의 지역으로서 문너머, 문넘 또는 문현, 호곡이라 하였는데, 고종 33년(1896) 지방 제도 개정에 의하여 북서부 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래군 서면 에 편입되었는데, 1936년 부산 부 구역 확장에 의하여 다시 부산부(시)에 편입되고, 1957년 1월 1일 법률 제407호에 의하 여 부산진구에 편입되었는데, 1959년 1월 21일 부산시 조례 제156호의 동제 개편에 의하여 문현동을 1,2동회로 가르고, 1975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 7816호에 의하여 다시 1,2,3동 회로 갈라서 남구에 편입됨. ㄴ. 문-너머 <마을> 문현동. ㄷ. 문-넘 <마을> 문현동. ㄹ. 문-넘 <마을> 문현동. ㅁ. 문-현(문현) <마을> 문현동. ㅂ. 문현동-고개 [찌깻골고개] <고개> 문현동에서 대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ㅅ. 찌깻-골 <마을> 문현 제1동에 있는 마을. 문현동 고개 밑이 됨
7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5 ㅇ. 찌깻골-고개 <고개> 문현동 고개. ㅈ. 호-곡(호곡) <마을> 문현동. 4) (1)에 나타난 문현 의 지명 정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현 을 문너머, 문현, 문넘 으로 불렀으며, 고개이름이 마을 이름 이란 점이다. 특히, 문현 이라는 고개 이름과 마을이름이 있지만 또 다른 찌깻골 이 존재한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는 문현 이 찌껫골 과 다른 지 명임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문현 이 찌껫골 과 대응되지 않는다는 것은 문 현동 고개 밑 마을이라는 점과 찌깻골 이란 고유어 지명이 문너머 라는 고 유어 지명과 공존한다는 점이다. 같은 지명이라면 찌껫골 과 문너머 가 대 립하고, 호곡 과 문현 이 대응하는 꼴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찌껫골 은 호곡 과 부류칭이 골( 谷 ) 로 일치하고 문너머 는 문현 으로 부류칭이 너매 ( 峴 ) 로 일치하기 때문에 문현 과 찌껫골 은 다른 지명으로 보아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1ㄴ)의 문너머 의 경우, 문+너머 로 분석이 되며, 너머 는 고개 를 의미하는 고유 부류칭임을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너머 는 축약되어 넘 으로도 쓰여, 문넘 으로도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문너머 가 문현 으로 대응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속성을 칭하는 단어는 그대로 음차하여 문( 門 ) 으로 표기하고, 너머 는 훈차하여 현( 峴 ) 으 로 표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전히 문 의 뜻이 모호함을 알 수 있다. 셋째, (1ㄱ)에 의하면 문현 이라는 지명이 고종 33년(1896)에 북서부에 편입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문현 이 1896년에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문헌에 의한 고증이 필요한 부분이다. 사료에 의 하면 1896년에는 동래에 관한 기록이 없고, 동래 기록은 1895년에 간행 된 동래( 東 萊 ) - 附 事 例 이다. 이 읍지는 1894년 11월에서 이듬해 5월에 걸쳐 작성한 것으로 갑오경장 직후 지방 제도의 개편을 앞두고 그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간행된 것으로 기재형식이 1871년의 읍지와 유 4)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0권 부산 경남편, 1980, 151쪽(이하 지총 )
8 6 / 한국민족문화 38 사한 것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동래 서면( 西 面 )에는 부산리( 釜 山 里 ), 화촌리( 華 村 里 ), 미남리( 尾 南 里 ), 거인리( 巨 人 里 ), 여고리( 余 古 里 ), 거평 리( 巨 坪 里 ), 대제리( 大 堤 里 ), 양정리( 楊 亭 里 ), 연지리( 蓮 池 里 ), 범전리( 凡 田 里 ), 전포리( 田 浦 里 ), 초읍리( 草 邑 里 ), 문현리( 門 峴 里 ), 만덕리( 萬 德 里 ) 등 14개의 동리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5) 넷째, 지게골 로 알고 있던 지명이 찌깻골 로 표기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는 지게 과 찌깨 의 유사성을 의심하게 하는 자료이다. 일반적으로 부산 경남 지역에서는 초성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향이 높지만 등에 지는 지게 를 된소리 발음하여 찌깨 로 발음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찌께 가 지 게 의 어형에서 변화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6) 다음으로 향토 사학자인 최해군의 부산의 맥 이라는 지명 해설서를 살 펴보자. (2) 문현고개 - 지금의 남구 문현동과 대연동을 넘나드는 고개를 문 현고개 또는 대연고개라고 한다. 황령산이 용호반도(또는 우암반 도)로 이어지는 능선에 난 고개다. 이 문현고개 서쪽 골짜기 일대 를 지난날에는 지게골( 戶 谷 ) 이라 하고 그 지게골을 따라 고개 이 름을 지게골고개 라 했다. 지게골의 지게 는 지게문 을 말하는데 그 지게문은 위 아래로 돌쩌귀가 달려 종이를 바른 외짝문이다. 마루나 밖에서 열고 방으로 들어가게 돼 있다. 이 고개를 지게골 고개라 한 것은 지금의 문현동로터리 부근은 양 쪽 산이 오목하 게 앞뒤를 둘러싸서 바다 바람을 막아주어 지게문을 열고 드는 방안같이 오붓하다고 지게골이라 하게 되고 이 고개가 그 지게문 의 구실을 한다고 지게골 고개가 된 것이다. 찌께골, 찌게골고개 라고도 불려졌으나 그것은 지게골, 지게골고개 의 소리가 되게 나서의 일이다. 문현동이란 동명은 지게문( 門 ) 고개( 峴 )에서 나왔 지만 1910년의 서하면에 소속된 동명으로 처음 나오는 것으로 보 아 문현동이란 이름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문현동 5) 김동철 외, 東 萊 史 料 제2권, 려강출판사, 1989, 184쪽을 참고할 것. 6) 경남방언의 된소리되기의 일반적인 특징은 이근열, 경남방언의 음운론, 세종출판사, 1997, 136~146쪽을 참고할 것
9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7 이란 동명이 되고난 뒤 고개 이름이 문현고개가 되었다. 이 고개 는 지금도 보는 바와 같이 양쪽이 반석을 깎은 절벽으로 돼 있다. 그 반석을 깨기 이전은 가파른 고개로 해운대지구의 교통이 원활 하지 못하다가 1965년 2년간의 착평공사 끝에 지금처럼 30M 폭 의 도로로 낮아져 남구와 해운대구의 발전을 크게 보게 되었다. 7) (2)의 지명 정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현고개 가 바로 지겟골 위의 고개라는 점이 확인된다. 그러나 문제는 지겟골 과 문현고개 와 대응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즉, 지겟 골 위의 고개가 된다면 지겟골고개 가 되어야 하고, 문현 으로는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겟골과 문현은 다른 어원에서 출발한 지명이 될 수 있다. 둘째, 문현을 찌께골, 찌게골고개 라고도 불렸으나 이것은 지게골, 지 게골고개 의 소리가 되게 나서의 일이라고 지적한 점이다. 만약에 지겟골 이란 지명이 있었다면 1980년에 간행된 한국지명총람 에서는 지게골 이 나타나야 했으며, 찌께 가 찌게 로 음운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은 없다. 왜 냐하면, 된소리가 예삿소리로 바뀌는 음운 현상보다 예삿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된소리되기 현상이 일반적이고, 찌께 에서 찌게 로 변화할 경우, 음 식의 찌개 와 의미적인 혼동이 일어나기에 언중이 의식적으로 구별하려는 노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찌께 가 지게 로 변화할 가 능성은 어원의식의 부재에 따른 유사어형으로의 대체 가능성에 의한 것이 다. 즉, 찌께골, 찌게골 을 지게 와 대응하여 지게골 로 고정시켜 나타난 지명일 가능성이 있다. 셋째, 지겟골 의 어원이 처음 언급된다는 점이다. 지겟골 이 양 쪽 산이 오목하게 앞뒤를 둘러싸서 바다 바람을 막아주어 지게문을 열고 드는 방안 같이 오붓하다 는 뜻에서 비롯되었고 뒤의 고개가 그 지게문의 구실을 한 다고 지게골고개 라는 설명이 그것이다. 이 설명대로라면 바닷바람을 막아 주는 고개가 지게문의 역할을 하고 그 안쪽에 있는 골짜기가 지게문 안의 7) 최해군, 부산의 맥, 지평, 1990, 89쪽
10 8 / 한국민족문화 38 아늑한 골짜기로 본 것인데, 고개가 지게문의 역할을 하면 고개 안쪽의 마 을을 지겟골 이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지게문이 입구의 역할 을 해야 하므로 골짜기의 뒤가 고개로 이루어져 있고 양쪽이 오목하게 파 인 형태로 입구는 열린 꼴이 되어야 하는데, 왜 열린 문 안쪽에 있는 마을 을 지겟골 이라 하는지 의문이 해소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이 지역사람 들이 찝게꼴, 찍게꼴 이나 찌께꼴 등으로 이름하는 것이 이러한 지형적 특 성을 반영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즉, 입구가 좁고 양쪽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안쪽이 넓고 아늑한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는 모양이 집게 모 양과 유사하다. 이곳을 잘 아는 지역인들도 지겟골이 집게 모양이라고 확인 한 바가 있다. 8) 넷째, 문현동 이란 동명의 기원을 지게문( 門 )고개( 峴 ) 에서 나왔다고 보는 는 점이다. 지게문이라면 호( 戶 ) 고개( 峴 )로 대응해야 타당하지 문( 門 )으로 대응하는 것은 불합리한 대응이다. 또한 1910년의 서하면에 소속된 동명으 로 처음 나오는 것으로 보아 문현동이란 이름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것으 로 본다. 문현동이란 동명이 되고난 뒤 고개 이름이 문현 고개가 되었다. 는 것인데, 이는 역사적 사료의 고증이 잘못된 것으로 정확한 고증이 필요 하다. 특히, 문현동 이라는 동명이 되고 난 뒤 고개이름이 문현 이 되었다 는 말은 잘못된 추론이다. 이는 문현이라는 지명 뒤에 고개가 덧붙여 쓰였 다는 이유로 추론된 것이라 생각되는데, 문현은 문고개 이고 고개 가 덧붙 는 것은 지명의 일반적인 특성과 유사하다. 고개의 부류칭으로 붙인 현 ( 峴 ) 이나 치( 峙 ) 는 고개의 속성이 잘 드러나지 않으므로 이를 뚜렷이 하기 위해 -현고개, -치고개 로 붙여 이름한다. 즉, 부산의 서구의 대치 는 큰 고개를 의미하는데, 대치고개, 대티고개 등으로 고개를 붙여 부류칭을 뚜 렷이 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문현동은 문현 이라는 고개가 있는 동으 로 보아야 하며, 문현동 이라는 명칭 때문에 문현고개 가 생겼다는 말은 오 류이다. 8) 이 지역을 토박이로 하는 김봉모 님(1944년생, 부산시 전포동 출생, 현재 부산 동래구 온 천동 럭키아파트 9동 903호 거주)의 도움을 받았다
11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9 다음으로 부산지명총람 3권을 살펴보자. (3) 문현 마을, 문현동 ㄱ. 문현마을: 문현1동에서 있던 마을이다. 문현( 門 峴 )이란 지명 유래 에는 다음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다음과 같다. 문현동에서 대연동으로 넘어갈 때 그곳 지형은 고개가 높고 산이 양쪽으로 겹쳐 있어 마치 집밖에서 지게문을 열고 방안으로 들어가는 형세 라고 한다. 즉, 이곳의 산 모습이 지게문처럼 가리워져 있어 이 골짜기를 지게골( 戶 谷 ), 고개를 지게고개, 찌께고개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지게문고개를 한자로 적은 것이 문현( 門 峴 )이라는 것이 다. 다른 하나는 문고개의 위치가 위의 내용과 다르다. 문현 안동 네 즉, 성동초등학교 동쪽의 문현1동 쪽의 상당히 높은 고개가 있었는데, 이 고개를 문고개라 했다는 것이다. 지금부터 약 200 년 전에 문안동네에 영산( 靈 山 ) 신( 辛 )씨가 맨 먼저 들어와 살면 서 마을이 생기고, 그 후 문밖 동네에 몇 집이 생기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문안 문밖의 두 마을에 사람이 왕래할 때에는 이 고개가 문의 구실을 하였기 때문에 문고개( 門 峴 )이란 명칭이 생 겼다 한다. 그러므로 문현마을은 문현 안동네에 영산 신씨가 들 어와 살면서부터 생긴 마을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1904년에 간 행된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 에 의하면, 서하면 관내에 문현리 가 있는데, 당시의 호수는 21호이고 김 이 정( 丁 ) 등의 성씨가 많이 살고 있었다. 21호 가운데 신( 辛 )씨는 2호 뿐이었다. 9) ㄴ. 문현동 연혁: 문현동의 옛 이름은 찌께골이라고 한다. 찌께골은 지게골( 戶 谷 )에서 온 말로서 지게는 마루나 바깥에서 방으로 드 나드는 곳에 문종이로 안밖을 두껍게 싸서 바른 외짝문이라는 뜻 이다. 이 일대의 지형은 양쪽에 산에 의해 에워싸여 마치 집안의 방으로 들어가는 문( 門 )과 같기 때문에 옛날부터 찌께골로 불리 워왔다. 일제강점기 때까지만 해도 인가는 적었고, 찌게골 고개 밑의 좌우에 초가( 草 家 )만 드문드문 있었다고 한다. 문현동은 동 래부지 나 동래부읍지 에는 동리명이 보이지 않으나 1904년에 간행된 경상도동래군 가호안 과 일제 때에 편찬된 동래군지( 東 9)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지명총람 제3권 남구 해운대구편, 1997, 56~57쪽(이하 부 산지총 )
12 10 / 한국민족문화 38 萊 郡 誌 ) 에 비로소 서하면 문현리, 서면 문현리란 동면이 나온다. 이는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후 순수 우리말 지명을 한문식으로 바꾸면서 지게는 문( 門 )으로, 고개는 현( 峴 )으로 바꾼 것이다. 해 운대로 통하는 찌께골 고개, 즉, 문현 고개는 상당히 높은 고개 였기 때문에 해운대로 가는 길이 상당히 불편하였다. 1965년 부 산시에서는 지역개발의 일환으로 이 고개를 착평( 鑿 平 )하여 오늘 날과 같이 완만한 고개를 만들었다. 한편, 문현과 관련하여 이와 는 다른 이야기가 전해 내려 오고 있다. 문고개( 門 峴 )라 함은 문 현안동네 즉, 성동초등학교의 동편의 문현1동 쪽에 상당히 높은 고개가 있었는데, 이를 문고개라 했다는 것이다. 문고개의 유래 는 조선 후기 문안동네에 영산신씨가 먼저 들어와 살았고, 그 후 문밖동네에 몇 집이 생기게 되어 이 두 마을에 사람이 왕래할 때 에는 이 고개가 문의 구실을 하였기 때문에 문고랑 명칭이 붙었 다 한다. 10) (3)의 지명 정보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고개의 위치에 대한 혼란이다. (3ㄱ,ㄴ)의 정보를 분석하면, 문 현1동에 있던 마을이 문현 이고 이것이 지겟골 이며, 찌게골고개 라는 점과 문현 안동네 즉, 성동초등학교 동쪽인 문현1동 쪽의 높은 고개를 문고개 라 는 두 개의 고개가 나타난다. 즉, 찌게골고개 가 문고개 와 동일한 고개가 아니란 말이 된다. 특히 문고개 의 어원이 문현 안동네와 바깥 동네의 출입 문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보가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문 고개 는 지게골고개 와 다른 의미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한글학 회의 한국지명총람 자료에 의하면, 찌께골 이 대연동에 있는 것으로도 나 타나는데, 이는 찌께골 의 위치가 문현동보다 대연동쪽에 치우쳐 있음을 암 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11) 이러한 점은 다음의 부산의 자연마을 에서도 동 일하게 제시되어 있다. 10) 부산지총 3권, 48~49쪽. 11) 지총 10권, 520쪽
13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11 (4) 지겟골마을: 지겟골[ 門 峴 ] 마을은 남구 문현3동에 있는 마을이다. 지금 문현 교차로에서 대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골짜기 잔등 일대를 옛날에는 지게골[ 戶 谷 ]이라 하였고 그 고개를 지게골 고 개라 불렀다. 먼저 지게골이란 이곳이 골짜기 위쪽 산이 양쪽으 로 겹쳐 있어 그 모습이 마치 집 밖에서 지게문을 열고 방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된다. 즉, 이곳에서 바라보는 산 의 형태가 지게문처럼 가려져 있다고 해서 이 골짜기를 지게골이 라 부르게 되었고, 이 고개를 지게고개 또는 찌께고개라 불렀다 고 한다. 이 지게문고개를 한자로 적은 것이 문현( 門 峴 ), 즉 지금 의 지명 문현동 이다. 한편, 다음과 같은 다른 설도 있다. 문현 안동네 즉 성동초등학교 동쪽의 문현1동 쪽에 상당히 높은 고개 가 있었는데, 이 고개를 문고개라 했다는 것이다. 이 설은 지금부 터 약 200년 전에 문안동네에 영산 신씨( 靈 山 辛 氏 )가 들어와 살 면서부터 생긴 마을이라고 한다. 1904년에 간행된 경상남도동래 군가호안 에 의하면, 서하면 관내에 문현리가 있는데, 당시 호수 는 21호이고 김 이 정 등 성씨가 많이 살고 있었다. 21호 가운 데 辛 씨는 2호뿐이었다. 어쨌든 辛 씨가 제일 먼저 이곳에 들어와 살게 되었고 그후 다른 성씨 사람들이 들어와 살게 되면서 이 고 개가 문안과 밖을 구분하는 구실을 하였다 고 하여 문고개라 불리 워지게 되었다고 한다. 요즘은 지겟골이라 하면 문현3동의 문현 교차로 부근과 옛 길을 따라 문현고개까지를 말한다. 12) (4)에서 문고개 가 두 마을을 이어주는 문과 같은 역할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된 어원해석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고개가 두 마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문과 같은 역할로 보는 것은 발음에 이끌린 오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고개가 두 개의 산의 안부에 위치할 경우 양쪽의 산이 문처럼 인식될 수는 있어도 문안과 문밖을 연결하는 구실을 하는 고개가 문으로 인식될 수 없는 것이다. 이 경우, 목 으로 인식될 가능 성은 있다. 둘째, 문현 이라는 지명이 문헌에 등장하기 시기의 문제이다. (3ㄴ)에서 12) 부산광역시, 부산의 자연마을 제1권 남구편, 2006, 238~241쪽
14 12 / 한국민족문화 38 동래부지 나 동래부읍지 에는 동리명이 보이지 않으나 1904년에 간행한 경상도동래군 가호안 과 일제 때에 편찬된 동래군지( 東 萊 郡 誌 ) 에 비로소 서하면 문현리, 서면 문현리란 동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문현 이라는 지 명은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후 순수 우리말 지명을 한문식으로 바꾸면서 지게 는 문( 門 ) 으로, 고개 는 현( 峴 ) 으로 바꾼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문 현 을 일본식 지명으로 보는 것이다. 만약 문현 의 지명 연원이 이보다 오래 된 것이라면 일본식 지명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는 따로 고증될 점이다. 셋째, 문고개 에 대한 지형 정보이다. 문고개가 지형적으로 상당히 높은 고개란 점이다. 다른 제보자들에 의하면 이 문고개 를 못너메고개, 못넘을 고개 라고도 불렀는데, 그 이유는 고개가 높아 화적떼가 많이 나타나서 넘 기에 힘든 고개라는 뜻으로 붙여 부르기도 했다고 전하기도 한다는 점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13) 위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지겟골고개 와 문현 은 다른 곳에 위치한 지명 으로 문현 이 지겟골고개 와 대응되는 지명이 아니며, 원래 찌께골, 찍께 골, 찝께골 등으로 불리던 지명이 어원의식이 약해지자 유사한 어감의 지 게 로 대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찌께 에서 바뀐 지게 가 보통은 지는 지 게 로 인식하게 되지만 향토사학자의 지나친 어원 의식으로 인해 지게 의 의미를 문고개 의 문[ 門 ] 의 의미와 관련지어 지게문 으로 고정하게 된 것 이다. 찌께골 의 찌께 는 부산 지방에서 첫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게 되는 습성에 따라 발음하면 [찍께]로 나타날 수 있고, 이 형태는 음운 동화를 통 해 [찝께]로 변화할 수 있다. 지역인들이 증언한 골짜기의 형태가 집게 와 유사함을 생각해 볼 때, 찌께골 은 넓고 아늑한 집게 모양의 골짜기에서 연 유한 지명으로 해석해야 타당하다. 결국, 높은 산을 넘어 가는 고개 의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문고개 는 찌께골고개 와는 다르게 그 어원이 확인되어야 한다. 13) 이 지역 토박이인 이상일 님(1940년 생)의 도움을 받았다
15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문현의 지명 연원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문현 의 지명 유래에 대한 정보는 각기 다양하다. 이미 알려진 정보 중에는 서지학적 자료가 잘못된 것도 있고, 정확하게 확 인하지 않은 것도 있다. (5) 문현동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들어와 마을을 이루며 살게 되었는 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지만 1894년에 발행된 동래 부지( 東 來 府 誌 ) 에서 동래부 서면( 西 面 ) 문현리 명칭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1890년경부터 마을이 형성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 후 1904년에 간행된 경상도 동래군 가호안 과 일제시대 편찬된 동래군지( 東 來 郡 誌 ) 에서 하면 문현리, 서면 문현리 란 동리 명을 찾아 볼 수 있으며, 1907년 동래부 서하면에 소속되었다가 한일합방 후 1919년 1월 4일에 동래군 서면으로 통합되었고, 1936년 4월 1일 부산부 부산진출장소 에 소속된 이후 1946년 10 월 1일 문현리 를 문현동 으로 개칭하였다가, 1957년 1월1일부로 부산진구 에 편입되었고, 그 뒤 인구증가에 따라 문현리가 1962 년 1월 1일에 문현1,2동으로 분동이 되었으며, 1975년 남구가 신 설되면서 1월 1일에 남구 로 편입되었다. - 남구청 지명유래. 14) 문현 지명의 연원을 알기 위해서는 여러 동래 사료를 참고할 필요가 있 다. 동래에 관한 사료 중에서 동래부지( 東 萊 府 誌 ) 는 1740년(영조 16년) 동래부사 박사창( 朴 師 昌 )이 편찬한 책이다. 이 자료는 국가 주도하에 이루 어진 것이 아니라 당시의 동래부사가 직접 관할 지역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것을 독자적으로 편찬하였기 때문에 기재 사항이 풍부하고 항 목도 다른 읍지에 비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르면 18세기 중엽 당 시 동래는 읍내면, 동면, 남촌, 동평면, 사천면, 서면, 북면 등 7개의 면과 98개 동리가 있었다. 그러나 문현 이라는 지명은 나타나지 않는다. 15) 14) (검색일: 2010년 7월 10일) 1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邑 內 面 에는 東 部 지역으로 狐 峴 里, 忠 烈 祠 里, 安 樂 里, 廉 倉 洞, 舊 鄕 校 洞, 蛤 旨 洞, 驛 洞, 林 山 洞, 堂 下 洞, 池 洞, 水 門 洞, 新 鄕 校 洞, 南 門 東 邊 洞 등 13개
16 14 / 한국민족문화 38 다음으로, 1832년(순조 32년)에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는 경상 도 전체의 지리지 편찬의 목적으로 간행된 것으로 항목의 설정이 동래 부 지 에 비해 체계적이나 동래부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용이 적은 편에 속한다. 이 책의 방리조( 坊 里 條 )에 따르면 서면에는 부산리( 釜 山 里 ), 산저리 ( 山 底 里 ), 미남리( 美 南 里 ), 거인리( 巨 人 里 ), 여고리( 余 古 里 ), 거벌리( 巨 閥 里 ), 양정리( 楊 亭 里 ), 초읍리( 草 邑 里 ), 연지리( 蓮 池 里 ), 범전리( 凡 田 里 ), 전포리 ( 田 浦 里 ), 문현리( 門 峴 里 ), 만덕리( 萬 德 里 ) 등 13개 동리가 있었다. 16) 여기 에 처음 문현 이라는 지명이 나타난다. 동리가 있었으며 西 部 지역으로 南 門 西 邊 里, 西 門 路 上 里, 西 門 路 下 里, 北 門 路 上 里, 北 門 路 下 里, 堂 洞, 玉 味 井 洞, 大 井 洞, 西 門 外 洞, 凡 魚 洞, 野 井 洞, 客 達 洞 등 12개 동리 가 있었다. 東 面 에는 鳴 藏 里, 盤 如 里, 栽 松 里, 海 雲 臺 里, 右 洞 里, 中 洞, 左 洞, 地 境 里, 石 臺 里, 新 川 里, 西 洞 里, 五 倫 臺 里 등 12개 동리, 南 村 면에는 崇 亭 里, 東 部 里, 西 部 里, 北 門 外 里, 南 門 外 里, 丑 山 里, 甘 浦 里, 漆 浦 里, 包 伊 浦 里, 南 川 里, 大 淵 里, 石 浦 里, 盆 浦 里, 龍 堂 里, 戡 蠻 里, 牛 岩 里 등 16개의 동리가 있었다. 東 平 面 에는 古 代 里, 釜 峴 里, 甘 勿 里, 堂 里, 尾 要 里, 伽 倻 里, 釜 山 城 內 里, 凡 川 一 里, 凡 川 二 里, 左 自 川 一 里, 左 自 川 二 里, 豆 毛 浦 里, 海 汀 里 등 13개 동리가 있었다. 또한 沙 川 面 에는 上 端 지역에 周 禮 里, 毛 羅 里, 掛 乃 里, 德 浦 里, 場 門 里, 嚴 光 里 등 6개 동리와 下 端 지역에는 新 草 梁 里, 舊 草 梁 里, 大 峙 里, 牧 場 里, 甘 川 里, 禿 㫖 里, 長 林 里, 西 平 里, 多 大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西 面 에는 山 底 里, 余 古 里, 石 寺 里, 大 鳥 里, 居 伐 里, 草 邑 里, 羊 亭 里, 蓮 地 里, 凡 田 里, 田 浦 里, 萬 德 里 등 11개의 동리가 있었고, 北 面 에는 釜 谷 里, 仙 洞, 豆 口 里, 鵲 掌 里, 蘇 山 里, 南 山 里, 仇 世 里, 長 箭 里, 山 城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16) 구체적으로는 邑 內 面 에는 狐 峴 里, 安 樂 里, 書 院 里, 伏 龍 里, 回 龍 里, 驛 洞, 栗 北 里, 休 山 里, 生 民 里, 鶴 林 里, 安 民 里, 南 門 東 邊 里, 南 門 西 邊 里, 西 門 路 上 里, 西 門 路 下 里, 北 門 路 上 里, 北 門 路 下 里, 玉 味 井 洞, 大 井 洞, 西 門 外 洞, 凡 魚 洞, 校 洞 里, 客 達 洞 등 23개 동리가 있었다. 東 面 에는 鳴 藏 里, 西 洞, 絲 川 里, 北 洞, 東 臺 里, 五 倫 臺 里, 石 臺 里, 盤 松 里, 盤 如 里, 舞 亭 里, 栽 松 里, 右 洞, 中 洞, 左 洞, 海 洞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北 面 에는 九 世 里, 長 箭 里, 釜 谷 里, 南 山 里, 鵲 掌 里, 杜 邱 里, 仙 洞, 蘇 山 里, 伸 川 里, 蘇 亭, 山 城 里 등 11개의 동리가 있었고 알려져 있다. 南 村 面 에는 北 外 里, 東 一 牌 里, 東 二 牌 里, 東 三 牌 里, 西 一 牌 里, 西 二 牌 里, 西 三 牌 里, 南 門 外 里, 求 樂 里, 大 淵 里, 龍 湖 里, 龍 堂 里, 戡 蠻 里, 牛 巖 里, 南 川 里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東 平 面 에는 古 垈 里, 釜 峴 里, 堂 里, 甘 村 里, 尾 要 里, 伽 倻 里 등 6개 동리가 있었으며, 원래 동평면에 분리하여 釜 山 面 을 새롭게 분화시켰다. 이에 부산면에는 凡 川 一 里, 凡 川 二 里, 自 川 一 里, 自 川 二 里, 東 部 里, 路 下 里, 西 部 里, 豆 毛 里, 豆 中 里, 釜 海 汀 里, 豆 海 汀 里 등 11개 동리를 두 었다. 또한 沙 川 面 이었던 지역을 上 端 은 沙 上 面, 下 端 은 沙 下 面 으로 면을 나누어 沙 上 面 에 毛 羅 里, 德 浦 里, 掛 乃 里, 周 禮 里, 大 樹 里, 嚴 光 里, 九 德 里 등 7개 동리, 沙 下 面 에 平 林 里, 堂 里, 新 平 里, 新 草 梁 里, 槐 亭 里, 大 峙 里, 甘 川 里, 舊 草 梁 里, 長 林 里, 西 平 里, 嚴 南 里, 多 大 里 등 12개의 동리를 두었다
17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년(고종 8년)에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事 例 大 槩 는 전국적 인 읍지 편찬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1832년의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와 1895년에 간행된 동래( 東 萊 )- 附 事 例 에 비해 중간적인 성격으로 내용이 간략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다. 17) 이 책의 방리조( 坊 里 條 )에 기록된 동리 중에 서면에는 산저리( 山 底 里 ), 석사리( 石 寺 里 ), 대조리( 大 鳥 里 ), 거벌 리( 居 伐 里 ), 여고리( 余 古 里 ), 양정리( 羊 亭 里 ), 초읍리( 草 邑 里 ), 연지리( 蓮 池 里 ), 범전리( 凡 田 里 ), 전포리( 田 浦 里 ), 만덕리( 萬 德 里 ) 등 11개의 동리가 있 었고 남촌면에는 숭정리( 崇 禎 里 ), 북외리( 北 外 里 ), 남외리( 南 外 里 ), 동부리 ( 東 部 里 ), 서부리( 西 部 里 ), 감포리( 甘 浦 里 ), 축산리( 丑 山 里 ), 포이포리( 包 伊 浦 里 ), 칠포리( 漆 浦 里 ), 대연리( 大 淵 里 ), 석포리( 石 浦 里 ), 남천리( 南 川 里 ), 분 포리( 盆 浦 里 ), 우암리( 牛 巖 里 ), 감만리( 戡 蠻 里 ), 용당리( 龍 塘 里 ) 등 16개의 법정동이 있었지만 문현 이라는 지명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 후 1895년에 간행된 동래( 東 萊 )- 附 事 例 에는 문현 이 다시 나타난 다. 이 읍지는 1894년 11월에서 이듬해 5월에 걸쳐 작성한 것으로 갑오경 장 직후 지방 제도의 개편을 앞두고 그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간행된 것으로 기재형식이 1871년의 읍지와 유사한 것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18) 방리( 坊 里 )조 서면에 부산리( 釜 山 里 ), 화촌리( 華 村 里 ), 미남리( 尾 南 17) 동리의 내용으로 보아 1740년에 간행된 동래부지와 유사하다. 여기에 邑 內 面 에는 狐 峴 里, 忠 烈 祠 里, 安 樂 里, 廉 倉 里, 舊 鄕 校 里, 驛 洞, 蛤 旨 里, 休 山 里, 堂 下 里, 水 門 里, 生 民 里, 新 樂 里, 平 南 里, 會 寅 里, 萬 和 里, 安 民 里, 壯 南 里, 壽 民 里, 安 國 里, 福 祥 里, 富 嘉 里, 槐 井 里, 玉 泉 里, 西 豪 里, 凡 魚 里, 校 洞 里, 太 平 里 등 27개의 동리가 있었다. 東 面 에는 鳴 藏 里, 盤 如 里, 栽 松 里, 海 洞, 盤 松 里, 西 洞, 新 川 里, 蔚 禮 里, 五 倫 臺 里, 東 臺 里, 石 臺 里, 舞 亭 里, 右 洞, 中 洞, 左 洞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北 面 에는 九 世 里, 南 山 里, 鵲 掌 里, 豆 口 里, 蘇 山 里, 仙 洞, 山 城 里, 釜 谷 里, 召 幕 陣 里, 長 箭 里, 金 山 里 등 11개의 동리가 있었다. 또, 동평면을 분리해 동평면과 부산면으로 나누었는데, 東 平 面 에는 古 代 里, 釜 峴 里, 堂 里, 甘 勿 里, 尾 要 里, 伽 倻 里 등 6개의 동리를 두었고, 釜 山 面 에는 凡 川 一 里, 凡 川 二 里, 左 自 川 一 里, 左 自 川 二 里, 城 內 里, 豆 毛 里, 海 汀 里 등 7개 동리를 두었다. 沙 川 面 에는 앞서 분리된 사천면을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분리된 것을 다 시 합쳐 毛 羅 里, 德 浦 里, 掛 乃 里, 周 禮 里, 場 門 里, 嚴 光 里, 禿 㫖 里, 牧 場 里, 新 草 梁 里, 舊 草 梁 里, 大 峙 里, 甘 川 里, 長 林 里, 西 平 里, 多 大 里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또 한 桂 西 面 을 새롭게 만들어 萬 德 里, 大 里, 倉 里, 古 城 里 등 3개의 동리를 두었다. 18) 邑 內 面 에 東 部 지역으로 狐 峴 里, 安 樂 里, 書 院 里, 廉 倉 里, 栗 北, 回 用 里, 驛 洞 里, 新 樂 里, 生 民 里, 萬 和 里, 安 民 里, 平 南 里, 會 寅 里 등 13개의 동리, 西 部 지역에는 壯 南 里,
18 16 / 한국민족문화 38 里 ), 거인리( 巨 人 里 ), 여고리( 余 古 里 ), 거평리( 巨 坪 里 ), 대제리( 大 堤 里 ), 양정 리( 楊 亭 里 ), 연지리( 蓮 池 里 ), 범전리( 凡 田 里 ), 전포리( 田 浦 里 ), 초읍리( 草 邑 里 ), 문현리( 門 峴 里 ), 만덕리( 萬 德 里 ) 등 14개의 동리가 있었는데, 여기에 문현리 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1899년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19) 에는 남촌면에 숭정 리( 崇 禎 里 ), 북문외리( 北 門 外 里 ), 남문외리( 南 門 外 里 ), 동부리( 東 部 里 ), 서부 리( 西 部 里 ), 감포리( 甘 浦 里 ), 축산리( 丑 山 里 ), 포이포리( 包 伊 里 ), 칠포리( 漆 浦 里 ), 대연리( 大 淵 里 ), 석포리( 石 浦 里 ), 남천리( 南 川 里 ), 분포리( 盆 浦 里 ), 우 암리( 牛 巖 里 ), 감만리( 戡 蠻 里 ), 용당리( 龍 堂 里 ) 등 16개의 법정동이 있었고, 서면에 산저리( 山 底 里 ), 석사리( 石 寺 里 ), 대조리( 大 鳥 里 ), 거벌리( 巨 伐 里 ), 安 國 里, 壽 民 里, 福 祥 里, 富 嘉 里, 玉 泉 里, 槐 井 里, 西 豪 里, 凡 魚 里, 校 洞 里, 太 平 里 등 11개 동리를 두었다. 東 面 에는 鳴 藏 里, 西 洞 里, 錦 川 里, 絲 川 里, 回 川 里, 東 臺 里, 五 倫 里, 石 臺 里, 盤 松 里, 盤 如 里, 舞 亭 里, 栽 松 里, 右 洞 里, 中 洞 里, 左 洞 里, 海 洞 里 등 16개의 동리를 두었다. 北 面 에는 九 瑞 里, 老 圃 里, 鵲 掌 里, 杜 邱 里, 伸 川 里, 山 城 里, 蘇 亭 里, 靑 龍 里, 仙 洞 里, 上 賢 里, 釜 谷 里, 長 箭 里, 錦 陽 里, 杜 實 里, 南 山 里, 蘇 民 里, 蘇 驛 등 17개의 동리가 있었다. 南 村 面 에는 北 外 里, 東 一 里, 東 二 里, 東 三 里, 西 一 里, 西 二 里, 西 三 里, 南 外 里, 平 民 里, 求 樂 里, 包 伊 里, 大 淵 里, 大 二 里, 龍 湖 里, 龍 塘 里, 戡 蠻 里, 牛 岩 里, 南 川 里 등 18개의 동리가 있었다. 東 平 面 에는 古 垈 里, 釜 峴 里, 堂 里, 甘 村 里, 伽 倻 里, 尾 要 里 등 6개 동리가 있었으며 釜 山 面 에는 凡 一 里, 凡 二 里, 左 一 里, 左 二 里, 左 川 里, 東 部 里, 西 部 里, 路 下 里, 豆 毛 里, 豆 中 里, 東 三 里 등 11개의 동리를 두었다. 沙 上 面 에는 毛 羅 里, 德 圃 里, 掛 乃 里, 昌 法 里, 西 田 里, 甘 洞 里, 周 禮 里, 鶴 城 里, 場 門 里, 九 德 里, 嚴 光 里 등 11개 동리, 沙 下 面 에 堂 里, 平 林 里, 長 林 里, 槐 井 里, 甘 川 里, 嚴 南 里, 富 民 里, 新 草 梁 里, 舊 西 平 里, 大 峙 里, 新 平 里, 多 大 里, 富 平 里, 瀛 仙 里 등 14개의 동리를 두었다. 19) 전국적인 읍지 편찬의 일환으로 1871년(고종8년)에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事 例 大 槩 와 방리조가 유사하다. 구체적인 동리는 邑 內 面 에는 狐 峴 里, 忠 烈 祠 里, 安 樂 里, 廉 倉 里, 舊 鄕 校 里, 驛 洞, 蛤 旨 洞, 休 山 里, 堂 下 里, 水 門 里, 東 門 內 里, 南 門 東 邊 里, 西 邊 里, 西 門 路 上 里, 西 門 路 下 里, 北 門 路 上 里, 北 門 路 下 里, 玉 味 井 里, 大 井 里, 西 門 外 里, 凡 魚 里, 野 井 里 등 22개 동리가 있었다. 東 面 에는 鳴 藏 里, 盤 如 里, 栽 松 里, 海 洞, 盤 松 里, 西 洞, 新 川 里, 蔚 禮 里, 五 倫 臺 里, 東 臺 里, 石 臺 里, 舞 庭 里, 右 洞, 中 洞. 左 洞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北 面 에는 九 世 里, 南 山 里, 鵲 掌 里, 豆 口 里, 蘇 山 里, 仙 洞, 山 城 里, 釜 谷 里, 召 幕 陣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東 平 面 에는 古 代 里, 釜 峴 里, 堂 里, 甘 勿 里, 尾 要 里, 伽 倻 里 등 6개의 동리를 두었고, 釜 山 面 에는 凡 川 一 里, 凡 川 二 里, 左 自 川 一 里, 左 自 川 二 里, 城 內 里, 豆 毛 里, 海 汀 里 등 7개 동리를 두었다. 沙 川 面 에는 毛 羅 里, 德 浦 里, 掛 乃 里, 周 禮 里, 場 門 里, 嚴 光 里, 禿 㫖 里, 牧 場 里, 新 草 梁 里, 舊 草 梁 里, 大 峙 里, 甘 川 里, 長 林 里, 西 平 里, 多 大 里 등 15개의 동리가 있었다
19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17 여고리( 余 古 里 ), 양정리( 羊 亭 里 ), 초읍리( 草 邑 里 ), 연지리( 蓮 池 里 ), 범전리 ( 凡 田 里 ), 전포리( 田 浦 里 ), 만덕리( 萬 德 里 ) 등 11개의 동리가 있었지만 문현 은 기록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 후, 1937년에 동래향교에서 문기주( 文 錡 周 )가 편찬한 책인 동래군지 ( 東 萊 郡 誌 ) 는 이미 발행되었던 동래부의 여러 읍지를 참고하여 만들었는 데, 읍면동리조( 邑 面 洞 里 條 )에 의하면 동래읍 서면( 西 面 )에는 범전리( 凡 田 里 ), 연지리( 蓮 池 里 ), 초읍리( 草 邑 里 ), 부암리( 釜 巖 里 ), 당감리( 堂 甘 里 ), 가야 리( 伽 倻 里 ), 개금리( 開 琴 里 ), 양정리( 楊 亭 里 ), 부전리( 釜 田 里 ), 전포리( 田 浦 里 ), 문현리( 門 峴 里 ), 대연리( 大 淵 里 ), 용호리( 龍 湖 里 ), 용당( 龍 塘 ), 감만리 ( 戡 蠻 里 ), 우암리( 牛 巖 里 ) 등 16개의 동리가 있었다. 20) 여기에도 문현 이 지명으로 나타난다. 그 뒤 1937년에 성주의 정원호( 鄭 源 鎬 )가 대구의 경문 당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한 교남지( 嶠 南 誌 ) 속의 동래군( 東 萊 郡 ) 부산부 ( 釜 山 府 )의 읍면동리조의 서면에는 범전동( 凡 田 洞 ), 연지동( 蓮 池 洞 ), 초읍동 ( 草 邑 洞 ), 부암동( 釜 巖 洞 ), 당감동( 堂 甘 洞 ), 가야동( 伽 倻 洞 ), 개금동( 開 琴 洞 ), 양정동( 楊 亭 洞 ), 부전동( 釜 田 洞 ), 전포동( 田 浦 洞 ), 문현동( 門 峴 洞 ), 대연동 ( 大 淵 洞 ), 용호동( 龍 湖 洞 ), 용당( 龍 塘 ), 감만동( 戡 蠻 洞 ), 우암동( 牛 巖 洞 ) 등 16개의 동리가 있었는데, 문현 이 기록으로 나타난다. 21) 20) 구체적으로 東 萊 邑 에 校 洞, 福 泉 洞, 壽 安 洞, 樂 民 洞, 漆 山 洞, 蓮 山 里, 院 里, 鳴 藏 里, 書 里, 錦 絲 里, 盤 如 里, 回 洞 里, 五 倫 里, 石 臺 里, 盤 松 里, 溫 泉 里, 余 古 里, 巨 堤 里 등 18개 동리가 분화되어 있었다. 北 面 에는 釜 谷 里, 長 箭 里, 老 圃 里, 靑 龍 里, 杜 邱 里, 仙 里, 南 山 里, 久 瑞 里 등 8개의 동리가 있었다. 南 面 에는 裁 松 里, 佑 里, 佐 里, 中 里, 南 壽 里, 廣 安 里, 望 美 里, 民 樂 里, 南 川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沙 上 面 에는 周 禮 里, 鶴 章 里, 甘 田 里, 嚴 弓 里, 掛 法 里, 德 浦 里, 毛 羅 里, 柳 斗 里, 三 樂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으며 沙 下 面 에는 槐 井 里, 新 平 里, 堂 里, 下 端 里, 甘 川 里, 長 林 里, 舊 平 里, 嚴 南 里, 多 大 里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새롭게 설정된 龜 浦 面 에는 龜 浦 里, 德 川 里, 萬 德 里, 金 城 里, 華 明 里, 金 谷 里 등 6개 동리가 있었다. 21) 여기에 東 萊 邑 에 福 泉 洞, 壽 安 洞, 漆 山 洞, 樂 民 洞, 蓮 山 洞, 院 洞, 校 洞, 溫 泉 洞, 余 古 洞, 巨 堤 洞, 盤 如 洞, 石 臺 洞, 回 東 洞, 五 倫 洞, 鳴 藏 里, 錦 絲 洞, 書 洞, 盤 松 洞 등 18개 동이 있었다. 北 面 에는 釜 谷 里, 久 瑞 洞, 仙 洞, 杜 邱 洞, 長 箭 洞, 老 圃 洞, 南 山 洞, 靑 龍 洞 등 8개의 동리가 있었다. 龜 浦 面 에는 龜 浦 洞, 德 川 洞, 金 谷 洞, 萬 德 洞, 金 城 洞 등 이 있었고 沙 上 面 에는 德 浦 洞, 周 禮 洞, 鶴 章 洞, 掛 法 洞, 嚴 弓 洞, 甘 田 洞, 柳 斗 洞, 三 樂 洞, 毛 羅 洞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沙 下 面 에는 槐 亭 洞, 新 平 洞, 堂 洞, 下 端 洞, 甘 川 洞, 長 林 洞, 舊 平 洞, 嚴 南 洞, 多 大 洞 등 9개의 동리가 있었다. 새롭게 설정된 龜 浦 面
20 18 / 한국민족문화 38 여러 가지 문헌 정보를 살펴 보면 문현 이라는 지명으로 기록으로 나타 난 것은 1832년(순조 32년)에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가 최초이 다. 그 뒤에 편찬의 목적과 편찬자에 따라 누락되기하고 기록되기도 하여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문현 은 일제식의 지명이 아닌 셈이 된다.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가 경상도 전체의 지리지 편찬으로 만들어 진 것 이라 지역 관리들이 정확한 정보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현지의 고유 지 명을 최대한 반영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문현 이라는 지명은 이전에 기록되지 않은 고유한 자연 지명을 당시의 관리가 한자로 옮긴 것으로 추 정할 수 있다. 4. 문현의 어원 지겟골고개 와 다른 어원인 문현 은 문너머, 문너매, 문넘 등으로 나타 나는데, 이는 문+너매/너머/넘 로 분석할 수 있다. 부류칭인 너매 는 넘- [ 越, 過, 踰 ]에 위치를 나타내는 -에/애 가 결합되어 너메, 너매 로 나타난 형태로 넘어가는 곳 즉, 고개 의 의미이다. 22) 너머 는 너매 에서 변화된 형태로 축약의 빈도가 높은 부산지역에서는 넘 으로 축약될 수 있다. 속성칭인 문 은 일반적인 고개의 명명 특성과 관련하여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고개의 속성칭은 주로 고개의 위치, 지향점이나 출발점, 고개의 지형 적 특성, 고개의 지물 등을 기준으로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3) 이러한 고개 속성의 명명 특성과 관련하여 문 의 어원을 고찰해 보자. 첫째, 문고개 의 문 의 속성이 고개의 위치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다. 고 개는 특정지역에 위치하여 특정지역과 타지역을 연결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것이 일반적 기능이므로 고개의 속성칭이 고개가 위치한 특정 지역과 관련 에는 龜 浦 洞, 德 川 洞, 萬 德 洞, 金 城 洞, 華 明 洞, 金 谷 洞 등 6개 동리가 있었다. 22) 부산 지역에서는 넘 에 에 를 붙여 너메 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다른 지역에서는 넘- 에 -이 를 붙여 너미 로 나타난다. 천소영, 앞의 책, 116쪽. 23) 이근열, 부산 동래 지역 고개 말밑 연구, 우리말연구 제23집, 우리말학회, 2008, 7~9쪽
21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19 성을 가질 수 있다. 종전에 문현 의 속성칭인 문 이 지겟골 의 지게 와 관 련해서 해석되었던 것도 이러한 특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보았 듯이 문현의 속성인 문 은 지겟골 과 대응되어야 타당하지 지게문 과 대응 되는 것은 논리적 타당성을 획득하지 못한다. 이는 잘 알려진 해당 지명을 근거로 고개의 속성칭을 부여해야 고개의 인지적 속성이 높아지고 명명의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문고개 의 문 의 속성이 지물과 관련될 가능성이다. 문고개 가 나 타나는 지형은 대체로 산을 넘어가는 안부로 완만한 산등성이다. 그러므로 문고개는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분포될 수 있다. 경남 지역에 존재하는 문고 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6) ㄱ. 문고개[문고갯재] [고개] 고봉저수지 동남쪽에 있는 고개(고성 군 삼산면 고봉리) 24) ㄴ. 문고개[고개] 고실재(고성군 영현면 봉발리) 25) ㄷ. 문곡[고개] 연동에서 방홧골로 가는 고개(고성군 대가면 연지 리) 26) ㄹ. 문고개[고개] 부촌 남서쪽에서 상리면 고봉리로 가는 고개. 조선 때 큰 길로서 행인이 많이 다녔다 함(고성군 영현면 영 부리) 27) ㅁ. 문고개[문헨, 문현][고개] 돌마을 남쪽에 있는 고개(남해군 상 동면 난음리) 28) ㅂ. 문고개[고개] 한질등 서쪽에 있는 고개(울주군 범서면 구영 리) 29) ㅅ. 문고개[고개] 상삼에서 소석리로 넘어가는 고개(양산 상북면 상삼리) 30) 24) 지총 8권, 206쪽. 25) 지총 8권, 217쪽. 고실재[큰고개, 문고개] [고개] 쌧등 서쪽에서 상리면 고봉리로 가는 큰 고개. 영부리의 문고개 밑이 됨. 26) 지총 8권, 187쪽. 27) 지총 2권, 220쪽. 28) 지총 8권, 306쪽. 29) 지총 9권, 383쪽
22 20 / 한국민족문화 38 ㅇ. 문고개[문곡] [고개]: 양달 서북쪽에서 외광리로 넘어가는 고 개(울주군 온양면 운화리) 31) (6)의 문고개 는 대부분 넓고 큰 고개이거나, 높은 고개로 산등성이에 위 치한 고개이다. 문고개 가 한자로 옮겨질 경우, 문곡 으로 옮겨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문현 은 (6ㅁ)과 같이 남해 지역에서만 나타난다. 여기서 다른 지역에 나타난 문고개 를 살펴보자. (7) ㄱ. 문재( 門 嶺 )(울산 동구 방어진 문현): 방어진목장으로 통하는 문이 있었던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의 문현지구 입구의 신호등 일대이다. 문현지구 의 문현( 門 峴 ) 이나 문재 ( 門 嶺 ) 는 같은 뜻이다. 옛날 이곳에는 고구마 밭이 있었고, 그 맛이 일품이었다. 32) ㄴ. 문혜리(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현리, 지혜리 일부와 대동, 능곡, 논골, 새말, 토기점지석, 엄음성, 평촌, 삼셍이 등을 병합할 때 문현의 문자와 지혜의 혜자를 한 자씩 따서 문혜 리라 하였다. 그러나 문혜리의 옛 이름은 문열이(문여리)였다 는 유래도 전해오고 있다. 그것은 이 곳의 문고개에 당시 김 화와 함경도로 가는 관문이 있어 이 곳을 통행하는 이에게 문을 열어주었던 때문으로 풀이한다. 33) ㄷ. 문고개(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달지말에서 남면 조전 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영 마루에 문틀처럼 솟아난 두 개 의 바위 사이로 고갯길이 나 있으므로 문고개 라고 하는데 그 안에는 방고개 가 있다. 34) ㄹ. 문재(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김부리): 갈밭무기에서 신남으로 가는 고개로 문처럼 생긴 바위가 길 좌우로 우뚝 서 있는 데 연유한 이름 = 문현( 文 峴 ) 35) 30) 지총 9권, 269쪽. 31) 지총 9권, 423쪽. 32)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33)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34)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35)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23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21 ㅁ. 문고개: 문산리( 門 山 里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새왕 동 입구에 용립한 암석의 형태가 문짝을 세워 논 듯한데 유 래하여 지은 이름. 문현( 文 峴 ) = 맞바위1 : 번이터 동북쪽에 있는 마을. 맞바우2 : 바우 마을 어귀에 있는 큰 바위가 마 주 서 있어서 문과 같다고 한다. ㅂ. 문고개(강원도 원주시 단구동): 내남송에서 단구동 구루니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문바우란 바위가 있는데 옛날에 바 위를 떠넘겨 적병이 오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 ㅅ. 문현( 文 峴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대부분의 지역이 낮은 산 지와 평지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마을 북쪽으로 내촌천이 흐 르며 내촌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지류가 흐른다. 문고개 밑으로 문현광산이 있다. 자연마을로 문고개가 있다. 와야리 비선동으로 가는 고개인 문고개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 다. 36) ㅇ. 문고개(경북 영주시 문수면 대양2리): 지금 43가구가 살고 있으며 옛날에 文 殊 庵 이라는 寺 院 이 있었다고 한다. 서편에 대문이 있었는데 자주 열지 않았다고 하며 지금도 마을 사람 들은 武 보다 文 을 숭상한 탓에 그 고개 이름을 문고개라고 하고 마을 이름을 文 峴 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37) (7ㄱ)의 문현 은 문재 로 방언진 목장으로 통하는 길목의 역할로 문 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고, (7ㄴ)의 문혜리 의 문현도 관문 의 역할을 하는 의 미로 문 으로 해석하고 있다. (7ㄷ)의 문고개 는 고개에 문틀처럼 솟아난 두 개의 바위가 문 역할을 해서 고개를 해석하고 있고, (7ㄹ)의 문재 역시 문 처럼 생긴 바위가 길 좌우에 서 있다는 데서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7ㅁ)의 문재 역시 맞바위 란 지물 때문에 생긴 지명이며, (7ㅂ)의 문고개 도 문바위 에 의해 생긴 지명으로 풀이하고 있다. (7ㅅ)의 문현 과 (7ㅇ)의 문현 은 그 유래가 모호하다. 위의 (7ㄱ,ㄴ)의 경우는 문 의 어형에 이끌려 입구 로 해석한 경우이다. 36)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37)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24 22 / 한국민족문화 38 관문 이라는 특성을 부여하는 것은 고개의 특성 중에 하나이다. 고개는 특 정지역과 특정지역을 이어주는 것이 고유 역할이다. 고개 지명 중에 목 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이러한 의미에 유연성을 부여해 붙이는 일반적인 명명 법이다. (7ㄷ,ㄹ,ㅁ,ㅂ)은 고개의 지물인 문바위 에 의해 문고개 가 형성됨 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지물로 고개의 지명이 부여될 경우는 그 지물의 명칭을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바위 가 고개의 속성이 될 경우는 문바위고개 가 나타나야 명명의 일반원리에 부합 된다. 문박고개, 문바우고개 등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고개 속성에 나타난 문 에 이끌려 특정한 지물을 근거로 해서 나름대로 유연성을 모색 한 결과로 보인다. 문제는 (7ㅅ,ㅇ)이다. 문현 과 문고개 의 문 이 일반적으 로 인식되는 문[ 門 ] 이 아니라 문[ 文 ] 에 대응되었다는 점은 문고개 가 문 과의 유연성을 가지지 못함을 보이는 증거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등성이 를 넘어가는 고개는 두 개의 산 사이에 낮은 구릉이 되는 경우 양 옆에 큰 산이 두 개의 문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문고개 를 한자로 옮길 경 우 인지적으로 門 을 떠올릴 것이 타당하지만 文 에 대응된다는 것은 고개 의 형상이 드나드는 문으로는 인지되지 않음을 뜻한다. 특히, 문현동의 문고개 는 황령산의 안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정한 지 물이 존재하지 않고, 특정한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 않다는 점 에서 지형이나 지물의 속성으로 문 을 해석하기 어렵다. 여기서 문 의 속성 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문고개 가 대부분 높은 고개이거나 큰 고개로 산의 안부에 위치한 고개이므로 높은 고개, 큰 고개, 산 고개 로 그 의미를 추정해 수 있다. 셋째, 다음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지향점으로서의 문 의 가능성이다. 문현 은 전포동에서 대연동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대연동이 못골 로 불린다는 것을 참고로 하면 문현 이 못 으로 가는 고개의 뜻으로 못고 개 로 불릴 수 있다. 그 근거로는 문현 이 기록된 시기인 1832년(순조 32 년)에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에는 남촌면에는 숭정리, 동부리, 서부리, 북문외리, 남문외리, 축산리, 감포리, 칠포리, 포이포리, 남천리,
25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23 대연리, 석포리, 분포리, 용당리, 감만리, 우암리 등의 16개의 동리가 있었 는데, 그 중에 대연리 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문고개 가 못골 과 관련될 가능성은 존재한다. 38) 그러나 아래의 (8)의 해설을 살펴보면, 대연동의 못 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고동골에도 오래된 못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8) 못골마을: 못골 마을은 현재의 남구 대연5동에 있는 마을이다. 못 골은 대연동에서 북쪽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데, 북쪽으로 황령산 의 줄기인 연주봉과 바람고개에 가리워져 있다. 산줄기가 양쪽 팔로 감싸 안은 듯이 좌청룡 우백호의 형세로 아늑한 분지를 이 루며 북고남저의 형세인데, 절반 정도가 북쪽의 산지로 되어있다. 오랜 옛날부터 황령산 골짜기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큰 못이 여 러 곳에 있었다. 이 못의 지( 池 또는 淵 )와 골짜기의 곡( 谷 )에서 연유되어 지곡( 池 谷 ), 일명 못골이라고도 부르던 것이 한자로 표 기되면서 크다는 의미의 대( 大 )와 못이라는 뜻의 연( 淵 )을 합하여 지금의 대연동( 大 淵 洞 )으로 불려지게 되었다. 옛날 이 지역은 황 령산의 남쪽에서 동쪽으로 지형의 경사도가 높아서 비가 오면 그 물길이 골짜기를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못에 모이게 되었다. 이 일대에는 세 개의 못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신라시대 에 축조된 것으로 지금의 대연초등학교 부근에 있었던 아랫못, 현재 중앙고등학교와 해연중학교 입구 일대의 고동골 작은 못, 일제강점기 때에 축조된 것으로 현재 부산예술대학과 동천고등학 교 일대에 윗못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에 일제가 수리조합을 만들고 옛날의 못 자리 위쪽에 제방을 쌓아 다시 새로운 못을 만들었다고 한다. 즉 지금의 대연5동의 북쪽 골짜기(현 부산예술대학과 부근의 아파트 일대)에 또 하나의 큰 못을 축조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의 못(현 해연중학교 입구에서 중앙고등학교 일대)은 고동골 골짜 기에서 흘러내리는 골짜기의 물을 모아서 인근의 마을에 공급하 38) 1740년(영조 16년)에 간행된 동래부지( 東 萊 府 誌 ) 에는 남촌면( 南 村 面 )에는 崇 亭 里, 東 部 里, 西 部 里, 北 門 外 里, 南 門 外 里, 丑 山 里, 甘 浦 里, 漆 浦 里, 包 伊 浦 里, 南 川 里, 大 淵 里, 石 浦 里, 盆 浦 里, 龍 堂 里, 戡 蠻 里, 牛 岩 里 등 16개의 동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 데, 대연 이 문현 보다 기록상으로 먼저 나타난다
26 24 / 한국민족문화 38 여 농사를 짓게 하였다고 한다. 이제는 그 당시의 예스러운 정경 을 찾을 수는 없지만 대연동은 지형적 특성으로 못의 물을 이용 하여 타 지역보다 넓은 농토(당시 못골 논밭의 면적이 약 495,000m 2 (15만평) 되었다고 한다)에서 논밭을 경작하던 전형적 인 농촌 마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못도 남구 토지구 획 정리계획에 의하여 메워지고 아파트 등 주택단지로 변하여 못 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고 못골 이란 이름만 남아 전한다. 지금 지하철 2호선의 대연2동사무소 앞 역명이 못골역이다. 39) 위의 (8)의 정보에서 나타난 못은 아랫못, 윗못, 작은못 등 세 개이다. 위 세 개의 못 중에서 일제시대에 축조했다는 윗못(큰못)은 문현 이 최초 기록된 시기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명명의 대상이 아니다. 그렇다면 대연초 등학교 근처의 신라 때 축조한 아랫못 과 고동골 근처의 작은 못 이 명명의 대상이 된다. 아랫못 을 대상으로 한다면, 못으로 넘어가는 고개보다는 못 골 로 가는 고개가 더 타당해 보인다. 못이 여러 개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 정한 못 이라는 지물보다, 못이 있는 골짜기 가 더 지명의 인지적 타당성이 있다. 또한 작은 못 이 있는 고동골이 지금의 문현 고개 근처에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못이 있는 고개 이거나 못으로 넘어가는 고개 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문너메 는 지역인들이 못넘을 고개 로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고개가 높아서 화적떼들이 자주 나타나 혼자 넘기는 어렵다는 뜻에서 붙인 지명이다. 이것도 못너미 에서 넘지 못함 으로 유추된 지명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문현 이 못고개 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어원적으로 볼 때, 못넘을고개 는 고개가 높고 험할 경우 붙이는 일반적인 지칭이라는 점이다. 부산의 만덕 고개 역시 화적떼가 많아 만 명 이나 모여야 넘어갈 수 있다고 해서 만등고개, 못넘을고개 등으로 불리기 도 했다는 점, 양정의 마비현 도 못넘을고개 로 불렀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못넘을고개 는 못 과 관련된 의미가 아니다. 또한 못 의 의미가 못[ 池 ] 과 관련을 부인할 수 있는 여러 증거가 있다. 39) 부산광역시, 앞의 책, 225~227쪽
27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25 (9) ㄱ. 못안못(기장군 일광면 원리) 40) ㄴ. 못안골못(기장군 일광면 신평리) 41) (9ㄱ)에서는 못 안 쪽에 있는 못 으로 해석되는 지명이지만, 이 지역에는 못이 하나만 존재하므로 속성으로 제시된 못 은 부류로 제시된 못[ 池 ]과는 다른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이 지역을 확인한 결과 못이 위치한 지역이 산등성이로 산 속에 위치한 못 이다. 못 이 산 의 의미와 관련될 때 안 의 위치가 정확해 진다. 또한 (9ㄴ) 못안골못 도 못안골 에 있는 못[ 池 ] 으로 해석되는 지명인데, 못안골 의 위치가 못[ 池 ] 에 의해 결정되었다면 못골 로 되어야 타당한 것이므로 못안골 의 못 은 못[ 池 ] 의 의미가 아니다. 42) 이러한 점은 (10)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10) ㄱ. 못넘못[못] 댓골 서쪽 등 너머에 있는 못(경남 울주군 범서 면 천상리) 43) ㄴ. 모시골[마을] 본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 전에 모시풀을 묻었 다고 함(경남 진양군 이반성면 용암리) 44) (10ㄱ)의 경우, 못 을 지칭하는 속성칭은 못넘 이다. 이 부근에는 다른 못이 없으므로 속성칭의 못 은 물을 모아둔 못[ 池 ] 의 의미가 아니다. 여기 서 못 은 지명의 위치에서 나타나듯 등 의 의미로 보인다. 즉, 못 이 산등 성이 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또한 너머 가 넘 으로 나타나는 것이 이 지역 에서는 일반적이므로 못넘못 은 산등성이를 넘어 있는 못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10ㄴ)에서 모시골 은 못[ 池 ] 과의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 40) 지총 8권, 113쪽. 41) 지총 8권, 83쪽. 42) 김해군 김해읍 지내리에 있는 못안못 ( 지총 8권, 249쪽)은 지내(못안)에 있는 못 으로 지내(못안) 라는 곳에 위치한 못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지내 는 지형적으로 못 뒤로 산 안 쪽에 위치한 곳이므로 못 안쪽에 있는 마을 이라기보다는 산 안에 있는 마을 의 의미 일 가능성이 있다. 이 지역에는 물봉산( 勿 峰 山 )이 위치해 있다. 43) 지총 9권, 388쪽. 44) 지총 9권, 528쪽
28 26 / 한국민족문화 38 고 모시풀을 묻었다 는 해석을 붙인 것도 못 이 산 의 의미를 지지할 수 있 는 증거가 된다. 왜냐하면. 지명에서 특정한 행위를 한 것을 지명으로 붙이 는 것이 타당하지 않으며, 모시풀을 땅에 묻는 것도 일반적인 행위에 어긋 나는 일이기 때문에 모시풀을 묻었다고 해석을 한 것은 모시골 의 모시 란 어형에 이끌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곳도 산과 인접한 곳이기 때문에 모시골 은 못골 즉, 못 = 산 의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못 이 산 에 대응 되는 국어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그런데, 고개의 뜻인 너머, 너매, 넘 의 의미로 보아 넘어가는 대상이 되 는 못 은 특정한 지역을 속성으로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45) 또, 해당 지역 의 지명에 너머 의 형태와 유사한 변이형인 너미, 네미, 니미, 냉기 의 대 상물로서 못 에 해당하는 유사한 형태가 모 나 목, 무, 물 로 주로 나타난 다는 점은 못 의 의미를 규정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다. (11) ㄱ. 모너머고개(북구 만덕동) 46) ㄴ. 목너머고개(기장군 기장읍 교리) 47) ㄷ. 무내미[고개] 청현에서 생비량면 도리의 한더미로 넘어 가는 고개(산청군 신안면 청현리) 48) ㄹ. 물넘기[고개] 용산 서북쪽에 있는 고개(사천군 곤명 용산리) 49) ㅁ. 미네미산[산] 모남산: 실안 마을 북쪽에 있는 산(삼천포 시 와룡동) 50) 45) 부산지역 지명 중 너머 유형으로 보이는 것은 갓너메들(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고개넘 고개(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대넘에보(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대넘엣들(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덤넘산(기장군 정관면 방곡리), 들넘들(기장군 정관면 달산리), 집너매고개(기장 군 기장읍 신천리), 집넘보(기장군 철마읍 안펑리) 등 8개의 지명이다. 모두 너머 앞에 있는 대상이 갓(산), 고개, 대, 덤, 들(들겅), 집 등 넘을 수 있는 자연물이거나 지물이다. 46) 부산지총 3권, 151쪽. 47) 부산지총 7권, 38쪽. 부산지역에서 목넘, 목너메 로 나타나는 지명은 목넘고개 (기장 군 장안읍 좌동리), 목넘고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목넘곡고개 (기장군 정관면 두명 리), 목넘고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이고 넘 이 논 으로 나타나는 지명은 목논고개 (기 장군 기장읍 만화리), 목논고개 (기장군 정관면 월평리) 등이다. 48) 지총 7권, 212쪽. 49) 지총 7권, 85쪽. 50) 지총 7권, 238쪽
29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27 위의 (11)에서 보듯 부산 경남 지역에서 고개 를 뜻하는 너머, 너미, 네 미, 내미 등의 대상으로 나타나는 지명이다. (11ㄱ)의 모 (11ㄴ)의 목 (11 ㄷ)의 무 (11ㄹ)의 물 은 각각 못 과 대응되는 대상이다. 위의 지역은 대체 로 물 인 강과 관련되는 지역이 아니고 못 이 있는 지역도 아니다. 특히 (11ㅁ)의 미네미산 는 모남산 으로 대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넘다, 남다 가 변이형임을 고려하면 나미 가 남 으로 축약되어 나타날 수 있으므 로 미 가 모 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미 는 산의 고유어인 메 에 해당하는 의미이므로 모 는 산 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속성칭이 물 이 산 으로 대응된다는 점이다. 물 은 지명에서 못 이나 강, 내, 바다 등의 의미로 주로 나타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물 이 산 에 대응할 수 없는 것으로 믿는다. 그러나 물 이 그 어형의 유사성으로 인해 수( 水 ) 로 나타날 수 있지만 다음을 살펴보면 꼭 그렇지도 않을 수도 있다. (12) ㄱ. 수안리( 水 安 里 ) [물안, 수안] [리] 본래 김해군 하동(대동면) 의 지역으로서 앞에 숲이 많으므로 수안, 또는 물안이라 하 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수안리라 함.(김해 시 대동면 수안리) 51) ㄴ. 물봉산( 勿 峰 山 )[산] 수안리에 있는 산 (12ㄱ)에 나타난 것처럼 물안 은 수안( 水 安 ) 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아 물[ 水 ] 과 대응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이 옳다면 당연 히 물[ 水 ] 과 관련된 해석이 붙어야 한다. 그렇지만 앞에 숲이 많다 는 지 명해설은 이 지명이 물[ 水 ] 과 관련 없음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같은 지역에 있는 (12ㄴ)의 물봉산 의 경우에도 물[ 水 ] 과 관련되어 한자 표기가 나타지 않고 음차하여 물( 勿 ) 로 표기한 것 도 물[ 水 ] 과의 연관성을 부정한 것으로 보인다. 52) 51) 지총 8권, 253쪽. 52) 지명에 쓰이는 물 의 속성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물 과 관련 지명의 지형적 속
30 28 / 한국민족문화 38 이렇듯 지명의 속성칭으로 쓰이는 물 이 산 이 될 가능성은 아래의 지명 에서도 나타난다. (13) ㄱ. 물무디미[산] 싸릿재 북쪽에 있는 산(고성군 영현면 연화 리) 53) ㄴ. 무리메기곡[무리미곡][고개] 송상 동쪽에 있는 고개(남해군 상동면 송정리) 54) (13ㄱ)의 물무디미 는 물+무디미 로 분석되는데, 무디미 의 경우, 모여 있는 것 등으로 해석되는 산 의 부류칭이고, 물 은 산 의 속성을 가진 부 류칭으로 보인다. (13ㄴ)의 무리메기곡 도 물+메기+곡 으로 분석되는데, 메기 는 고개를 뜻하는 부류칭이고, 곡 은 부류칭을 뚜렷하게 하기 위해 덧 붙인 것이므로 물 은 물[ 水 ] 과 관련 없는 것이며 지형적 속성으로 보아 산 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류칭으로서의 물 이 산 을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는 지명은 아 래 (14)와 같다. (14) 눈나물[산] 누룩나무. 느태 북쪽에 있는 산. 누룩나무(느릅나무) 가 있었음(거제군 장승포면 두모리) 55) (14)에서 보듯 산의 부류칭으로 물 이 나타나는데, 물 이 산을 의미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누룩나무 가 있는 곳으로 해석한 경우이다. 보통, 느 릅나무는 산의 변별성을 가지는 지물이 아니므로 눈나+물 로 분석되는 것 이 타당하다. 물 이 산 과 관련된 지명으로 해석될 수 있는 국어사적 근거는 삼국사 성을 검토하여 물[ 水 ]과 관련된 지명과 물[ 山 ]과 관련된 지명을 밝힐 필요가 있다. 대부 분 지명은 어형의 유사성으로 물 을 수( 水 ) 로 대응하여 옮긴 것이다. 53) 지총 8권, 219쪽. 54) 지총 8권, 309쪽. 55) 지총 8권, 69쪽
31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29 기 지리지의 자료 중 복수 지명으로 나타난 물 이다. (15) ㄱ. 水 谷 城 縣 一 云 買 旦 忽 <37:4b> ㄴ. 水 谷 縣 一 云 德 頓 忽 <37:4b> ㄷ. 於 支 呑 一 云 翼 谷 <37:5b> (15ㄱ,ㄴ,ㄷ)에서 보듯 일반적으로 谷 에 대응되는 旦, 頓, 呑 에 주목하 면 谷 의 옛새김을 *tvn 으로 재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水 에 대 응되는 買, 德 에 주목하면 구체적인 대응 쌍을 만들기 쉽지 않다. 왜냐하 면 물 을 買 에 대응하여 고정된 인식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크다는 德 의 의 훈차에 해당하는 사실에는 주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56) 만약 水 에 대응하는 옛새김을 mvrv 로 재구하는 것도 가능하다면 산 의 의미 로 메, 미, 물, 몰, 말 의 어형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57) 특 히 삼국사기 지리지의 복수 지명은 고유지명을 한자로 기록한 것이므로 水 谷 역시 * (높은골짜기, 산골짜기)의 음차지명으로 해석되는데 水 谷 이 실제 지명이 고유지명과 달랐기 때문에 새롭게 바꾸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58) 56) 德 은 크다, 높다 에 대응되는 훈차자인데, 크다는 뜻의 고유어 과 德 은 서로 대응 되어 나타날 수 있다. 57) 천소영, 앞의 책, 201쪽에서는 mvrv 형 어사가 기원적으로 높은 곳을 지칭하는 공간지 시어가 으뜸, 처음, 근본, 크고 우세함을 뜻하는 추상어로 그 의미 영역을 확대하고 있 음을 지적하고 가 가장 정확한 표기로 추정한다. 특히, mvrv 의 기원형이 mvr (모음탈락형), mvt (관형형), mvy (모음간 ㄹ탈락형)으로 분화됨을 지적하고 있다. 58) 이종학, 훈차 지명어소의 새김 변천고, 지명학 15집, 한국지명학회, 2009, 75쪽에서 도 훈차자 水 가 신라의 지명에서는 勿 과 대응하고 고구려 지명에서는 買 와 대응하 며, 買 는 川, 井 의 새김으로 쓰였음은 주지의 사실임 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德 勿 縣 < 德 水 縣 <35:5b>에서 보듯이 고구려 지명에서도 水 의 새김이 勿 이 쓰이고 있다고 지 적하고 있지만 수=매=물 이 동일한 어형에서 출발함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남영우, 두모계 고지명의 기원과 분포,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50쪽에서도 산의 중세어 뫼 는 모, 모이, 모로>뫼>메 의 음운 변천 과정에서 연 유된 것이며, 물[ 水 ]을 의미하는 뫼 역시 m음계의 파생어이다 로 밝히고 계림유사( 鷄 林 類 事 ) 에 의하면 수왈매( 水 曰 每 ) 라 하였으므로 적어도 중세 초기까지 물을 뫼(moj) 라고 칭한 것 같다. 따라서 산과 물이 모두 뫼의 m음계에서 유래한 어휘임을 알 수 있
32 30 / 한국민족문화 38 경남 지역에서는 은 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지명에 주로 붙이는데, 산을 뜻하는 과 유사한 의미를 갖고 있다. (16) ㄱ. 달배미[논] 호박수통 위쪽에 있는 논(거창군 신원면 양지리) ㄴ. 말배미[논] 달배미 위쪽에 있는 논(거창군 신원면 양지리) 59) (16)에서 보듯이 달 이나 말 은 높은 곳에 위치한 지명에 주로 붙이는 것 으로 산 쪽에 위치한 논을 지칭한다. 이러한 말 은 주로 馬 로 훈차되어 지 명이 변화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상도 지역에서는 양순자음 뒤에 주로 원순성 모음으로 변화하여 몰 과 물 로도 나타나기도 한다. (17) ㄱ. 마산( 馬 山 ) [몰뫼][마을][산] 평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산) 60) ㄴ. 몰티고개 말티고개 61) ㄷ. 큰말등 큰몰등 62) ㄹ. 물상개[골] 마산곡 63) (17ㄱ,ㄴ,ㄷ)의 경우에는 말 이 몰 과 대응되는 지명이고 (17ㄹ)는 말 이 물 로 대응되는 지명이다. 산의 고형인 모래, 모리 는 후대에 몰 로 바뀌기도 하지만 산 의 어원적 유연성을 상실하게 되면 음성적 유사성을 가진 모래 로 인식되어 모래[ 沙 ] 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산에 위치한 지명이지만 모래 가 많은 것으로 해석되어 전혀 다른 뜻의 지명으로 바뀌게 되는 계기가 된 다. 64) 다 로 언급하고 있다. 또 우리 조상들은 물, 즉 하천의 근원이 산에 있으므로 그것을 모두 뫼 라고 일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는 지적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 59) 지총 8권, 136쪽. 60) 지총 8권, 303쪽. 61) 지총 9권, 511쪽. 62) 지총 9권, 357쪽. 63) 지총 8권, 305쪽. 64) 物 名 類 考 (4- 木 )에서도 몰 을 산 의 옛말로 확인하고 있음을 참고로 할 수 있다
33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31 (18) ㄱ. 몰아실 모래실 :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 ㄴ. 모래실[모래칠, 몰아실, 하련동] [마을] 봉곡 동남쪽에 있는 마을 65) (18)는 몰 과 모래 가 동일한 지명으로 나타난 경우이다. 이 경우 몰 에 서 모래 로 바뀐 것으로 보이며 몰 의 의미보다는 모래 의 의미로 지명의 해석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19) ㄱ. 모래배미[논] 굼배미 위에 있는 논(굼배미는 범바웃들에 있 는 논.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66) ㄴ. 모래배미[논] 장구배미 위쪽에 있는 논. 모래가 많음(거창군 신원면 수원리) 67) (19ㄱ)은 모래 가 높은 곳 이라는 위치적 속성을 가지는 경우인데, (19ㄴ) 에서처럼 모래가 많은 논 으로 해석되어 전승되고 있다. 상식적으로 모래가 많은 논은 벼가 잘 자랄 수 없는 환경이므로 모래 가 모래[ 沙 ] 로 해석되는 것은 잘못이다. 더러는 바다와 인접한 지명에서도 모래와 전혀 관계없는 지 역임에 불구하고 모래가 많은 지역 으로 해석이 붙을 수 있는 것도 모래 와 몰 의 형태적 유연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20)에서처럼 mvrv 의 변화형인 마래 마르 도 말 과 같이 산의 의미로 나타난다. (20) ㄱ. 마랫들[들] 진배밋들 위쪽에 있는 들(고성군 대가면 금산 리) 68) ㄴ. 마르티[고개] 말티에서 도둑골로 넘어가는 고개 69) 65) 지총 8권, 170쪽. 66) 지총 8권, 115쪽. 67) 지총 8권, 135쪽. 68) 지총 8권, 184쪽. 69) 지총 8권, 176쪽
34 32 / 한국민족문화 38 (20ㄱ)의 마랫들 은 다른 들보다 산 쪽에 가깝게 위치한 들을 의미하는 데, 마래들 에서 말들 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이며, (20ㄴ)의 경우 마 르티 와 말티 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산을 뜻하는 mvrv 에서 모르 로 변화하고 여기서 어 말모음이 탈락하여 몰 로 나타난 후 ㄹ 이 탈락하여 모 로 고정될 가능성이 높다. 70) (21) ㄱ. 모르실골[모곡] [골] 길가땀 북쪽에 있는 골짜기(고성군 심산 면 이당리) 71) ㄴ. 모곡( 暮 谷 )[골] 모르실골 (21)은 모르실 의 모르 가 모 로 대응되어 나타난 형태이다. 이 곳의 모 르 도 산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mvrv 의 변화형인 물, 물 이 너머, 너메 혹은 내 와 결합할 경우 는 ㄹ+ㄴ 의 연쇄가 생겨 ㄹ+ㄹ, ㄴ+ㄴ 로 음운이 변동하거나 앞의 ㄹ 이 탈락하여 ø+ㄴ 로 실현되게 된다. 또한 그 외의 음운과 연쇄가 일어날 경 우에는 그대로 몰, 말 로 유지되거나 ㄹ 을 탈락, 연음시켜 모, 무 로 나타 나는데, 이러한 어형은 그 어형적 유연성을 상실하므로 언중은 어감이 비슷 한 못 이나 문 으로 대응하여 그 형태를 고정하여 인식의 편리함을 도모하 게 된다. 이러한 지형과 유연성을 상실한 못 은 못( 池 ) 의미를 넘어 못 ( 毋 ) 의 의미로 발전하여 원래 지명과 전혀 다른 지명이 생겨나게 되는 원 인이 된다. (22) ㄱ. 문의리( 文 義 里 )[무내, 문의] [리] 본래 남해군 설천면의 지역 으로 무내, 또는 문의라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 라 남양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문의리라 함 72) 70) 모르 에서 말음절이 탈락하여 모 로 나타난다고 설명하는 것보다 모르 에서 몰 로 축약 된 후 모 로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음운론적으로 설명적 타당성이 높다. 71) 지총 8권, 205쪽. 72) 지총 8권, 319쪽
35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33 ㄴ. 모섬[목섬] [섬] 진동리 남쪽에 있는 섬- 남해군 창선면 진 동리 73) (22ㄱ)은 문 과 무 과 음운론적 연관성을 보이는 지명인데, 무내 가 한자 로 옮겨지면서 문의( 文 義 ) 로 변한 경우이다. 문 에서 ㄴ 탈락현상이 일어 난 것이 아니라 무 에서 ㄴ 이 첨가되어 문 으로 바뀐 형태이다. 또, (22 ㄴ)은 목 과 모 의 연관성에 관한 것인데, 목섬 이 모섬 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에는 ㄱ 이 첨가되거나 ㄱ 이 탈락되는 현상으로 모 와 목 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산을 뜻하는 물 에서 문 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명은 다음과 같다. (23) 문막리( 文 幕 里 )[물막]: 본래 원주군 미내면( 彌 乃 面 )의 지역으로 서 섬강( 蟾 江 )을 건너는 사람을 위하여 막을 치고 물막이라 하 던 것을 차차 번성하여 문막이 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에 따라 물구미, 웃골말, 아래골말을 병합하여 문막리라고 하여 건등면에 편입되었다가 1936년 문막면이 됨. 면 행정의 각 기관 과 학교, 시장이 있음.(강원도 원성군 문막면 문막리) 74) (23)에서 보듯 문막리 는 원래 물막 에서 문막 으로 표기된 경우이다. 물 의 의미를 문제 삼지 않더라도 물 이 한자로 표기될 때 문 으로 바뀔 가 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 또한, 물막 은 물[ 水 ] 와 관련될 수 있음에도 불 구하고 문( 文 ) 으로 표기한 것은 물 이 물[ 水 ] 과 유연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물, 무, 문, 몰, 모, 목, 못 은 동일한 어원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음운 규칙에 의해 변화한 지명 속성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물, 무, 문, 몰, 모, 목, 못 의 기저형은 높은 곳 을 뜻하는 mvrv 로 설정할 수 있다. mvrv 에서 마르, 무르, 모르, 마래, 무래, 모래 등의 어형이 나타나고 73) 지총 8권, 335쪽. 74) 지총 2권, 290쪽
36 34 / 한국민족문화 38 여기서 어말모음이 탈락하여 mvr 로 나타난다. 여기서 모음의 변이에 따라 말, 물, 몰 등 다양한 어형으로 출현하는데, 경남 지역에서는 말 형보다는 물, 몰 형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말, 몰, 물 형은 ㄹ 이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탈락하여 마, 모, 무 형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나타난 형태는 어원적 유연성을 상실하여 못, 목, 문 의 기존의 어형에 맞춘 재분석된 어형이 나 타난 것으로 확인된다. 부산 문현 은 모너메, 못너메, 문너머, 못넘을고개 등 다양한 어형으로 나타나지만 그 기저에는 높은 산을 뜻하는 mvrv 과 고개 를 뜻하는 너머 가 결합한 형태에서 변화한 형태로 추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의 변화에 따라 *물너머, *몰너머 가 나타나고, 음운 변화에 의해 무너머, 모너머 로 나타나고 어형의 유연성을 상실한 모, 무 가 음성적 유연성을 가진 어형인 못 이나 문 으로 대체되어 못너머, 문너머 로 어형이 고정되었다. 특히 못 너머 는 못[ 池 ] 에 대한 지물의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여 너무 험해 못넘을 고개 로 전해지기도 하는 지명이 되었다. 5. 마무리 본 연구는 부산의 지명 문현( 門 峴 )이 문( 門 ) 에서 유추된 지겟골고개 가 대응될 수 없다는 점에서 문너머 의 어원을 살피는 것이 주목적이었다. 위의 논의를 요약하면 지겟골고개 와 문현 은 다른 곳에 위치한 지명으 로 원래 찌께골, 찍께골, 찝께골 등으로 불리던 지명이 어원의식이 약해지 자 유사한 어감의 지게 로 대체한 형태이다. 이렇게 찌께 에서 바뀐 지게 가 보통은 지는 지게 로 인식하게 되지만 잘못된 어원 의식으로 인해 지게 의 의미를 문고개 의 문[ 門 ] 의 의미와 관련짓게 되어 지게문 으로 고정되 었다. 찌께골 의 찌께 는 부산 지방의 발음의 특성상 찍께 로 나타나며, 음 운 동화를 통해 [찝께]로 변화한다. 찌께골 은 넓고 아늑한 파인 집게모양 의 골짜기에서 연유한 지명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현 이라는 지명으로 기록으로 나타난 것은 1832년(순조 32년)에
37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35 간행된 동래부읍지( 東 萊 府 邑 誌 ) 가 최초임을 여러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문현 은 모너메, 못너메, 문너머, 못넘을고개 등 다양한 지명으로 나타 나지만 기저에는 높은 산을 뜻하는 mvrv 과 고개 를 뜻하는 너머 가 결합 한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 모음 변화에 따라 *물너머, *몰너머 가 나타나 고, ㄹ 의 탈락에 의해 무너머, 모너머 로 나타난다. 또, 어형의 유연성을 상실한 모, 무 가 음성적 유연성을 가진 어형인 못 이나 문 으로 대체되어 못[ 池 ]너머, 문[ 門 ]너머 로 나타난다. 또한 못너머 는 못[ 毋 ] 으로 해석하여 너무 험해 못넘을고개 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아가 몰 과 관련된 모래[ 沙 ] 류의 지명, 물 과 관련된 수[ 水 ] 류의 지명, 말 과 관련된 말[ 馬 ] 류 지명이 서로 유연성을 가질 수 있음을 밝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결국, 지명은 일반어에서 출발하여 고유성을 획득하는 다양한 과정이 전 제되지 않고서는 올바른 해석이 될 수 없음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으며, 해 당지역의 언어 인식과 어원 의식에 대한 종합적인 해석 없이는 정확한 지 명의 어원이 올바르게 밝혀질 수 없다
38 36 / 한국민족문화 38 참고문헌 1. 자료 부산광역시, 부산의 자연마을 제1권 남구,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지명총람 제1권 중 서 동구, 1995., 부산지명총람 제2권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1996., 부산지명총람 제3권 남구 해운대구, 1997., 부산지명총람 제5권 강서구, 1999., 부산지명총람 제6권 연제구, 2000., 부산지명총람 제7권 기장군, 2001., 부산지명총람 제8권 기장군,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2권 강원편(Ⅱ), 1980., 한국지명총람 8권 경남편(Ⅰ), 1980., 한국지명총람 9권 경남편(Ⅱ), 1980., 한국지명총람 10권 부산 경남편, 논저 김동철 외, 東 萊 史 料 제2권, 려강출판사, 1989ㄱ., 東 萊 史 料 제3권, 려강출판사, 1989ㄴ. 남영우, 두모계 고지명( 古 地 名 )의 기원과 분포,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 화역사지리학회, 이근열, 경남방언의 음운론, 세종출판사, 1997., 부산 동래 지역 고개 말밑 연구, 우리말연구 제23집, 우리말학 회, 이종학, 훈차 지명어소의 새김 변천고, 지명학 15집, 한국지명학회, 천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 2003., 우리말의 문화찾기, 한국문화사, 최해군, 부산의 맥, 지평, 강원도 인제군청
39 부산 지명 문현( 門 峴 ) 어원 연구 / 37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강원도 철원군청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강원도 홍천군청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경북 영주시청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영월 문화원 (검색일: 2010년 8월 20일) 울산동구청 (검색 일: 2010년 8월 20일)
40 38 / 한국민족문화 38 <Abstract> A Etymological Study of Busan Munhyeon-Pass Lee, Geun-Yeol The purpose of this essay was to make an etymological study of Munhyun-pass, Busan. As a result, Munhyun-pass, can be represented as to be a variety of forms of words, such as mo-neomeo, mot-neomeo, mun-neomeo, and motneomeul-goge. But, we were able to find Munhyun-pass could be interpreted, at the base, as pass going over a lofty mountain.' That is, mvrv meaning high mountains is combined with neomeo of a hill country. We could discover that mul-neomeo, mol-neomeo might be seen in mvrv+neomeo as a result of change of vowel shifts. These forms of words are again changed into mu-neomeo, moneomeo by elision. Since mot[pond], mun[gate] with phonological motivation has replaced mo, mu without the phonological motivation of the forms of words, the word form is fixed in the form of mot-neomeo, mun-neomeo. Especially, because mot-neomeo has lost the motivation at land mark on pond, its interpretation mot- be varied as too rough mountains to go over. * Key Words: Busan Place Names, Munhyeon-Pass, Mot-Neomeo, Monneomeo, Motneomeul-Goge ㆍ논문투고일: 2010년 10월 5일 ㆍ심사완료일: 2010년 11월 1일 ㆍ게재결정일: 2010년 11월 22일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1수준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ㄱ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2 3 4 5 6 7 8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ㄱ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10 11 12 13 14 15 16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More information<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24 2004. 12 2004. 11 25 26 2004. 12 % 50 40 30 20 10 0 華 東 華 北 中 南 西 南 東 北 西 北 전 체 중 대 형 차 중 형 차 소 형 차 경 차 2004. 11 27 帕 28 2004. 12 2004. 11 29 30 2004. 12 2004. 11 31 32 2004. 12 2004. 11 33 34 2004.
More information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제1장부산 18개선거구 ( 통합 ) 3 제2장중구 동구 8 제3장서구 13 제4장영도구 18 제5장부산진구 ( 갑 ) 23 제6장부산진구 ( 을 ) 28 제7장동래구 33 제8장남구 ( 갑 ) 38 제9장남구 ( 을 ) 43 제10장북구강서구 ( 갑 ) 48 제11장북
20 대총선부산 18 개선거구 지역선거여론조사 - 기본가중통계표 - 2016. 1. 8 제1장부산 18개선거구 ( 통합 ) 3 제2장중구 동구 8 제3장서구 13 제4장영도구 18 제5장부산진구 ( 갑 ) 23 제6장부산진구 ( 을 ) 28 제7장동래구 33 제8장남구 ( 갑 ) 38 제9장남구 ( 을 ) 43 제10장북구강서구 ( 갑 ) 48 제11장북구강서구
More information2. 4. 1. 업무에 활용 가능한 플러그인 QGIS의 큰 들을 찾 아서 특징 설치 마 폰 은 스 트 그 8 하 이 업무에 필요한 기능 메뉴 TM f K 플러그인 호출 와 TM f K < 림 > TM f K 종항 그 중에서 그 설치 듯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 림 > 다. 에서 어플을 다운받아 S or 8, 9 의 S or OREA
More information<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12.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직 책 성 명 소 속 직 위 조 사 단 장 성 태 현 경 남 발 전 연 구 원 원 장 책임연구원 이 범 홍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센 터 장 조 사 원 연구보조원 이 영 주
More information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O 매입처 : 유한회사유니스한국자산관리대부 / 연락처 : 02-6010-0084 일련번호생년월일성별고객명대출과목주소1 주소2 1 790208 남 강 * 태 일반자금대출 경기 시흥시 2 900321 여 강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서대문구 3 780830 여 강 * 경 일반자금대출 경기 양주시 4 670509 여 강 * 란 일반자금대출 경기 수원시 5 760411
More information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棄 権 DNS: 欠 場 )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More information토픽 31호(2016.3.7).hwp
절실히 묻고 가까이 실천하는 선진 산림과학 3.0 시대를 열겠습니다! 01 03 05 05 06 07 08 08 10 10 11 임업인에게는 희망을, 국민에게는 행복을 带 NIFoS 1 중국 닝샤회족자치구() 중국 무슬림 인구 주요 분포도 중국 닝샤의 회족 자치구 3 중국 무슬림 인구 Top 11 지역 순위 지역( 省 ) 인구(만)
More information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tory Story 2013. 1. 30. Story 2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3 STORY STORY 12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3 Korean Wave Story 2013 (2012년 1/4분기) 12 12 2012. 4. 9. 2 3 4 5 6 乱 世 佳 人 花 絮 合 集 梦 回 唐
More information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역사 51 창화현이라고도 한다. 현종 9년(1018) 양주에 예속시 키고 후에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조선) 태조 6년 (1397)에 양주에서 치소를 이곳 견주로 옮겼다가 뒤 에 지금의 치소로 옮겼다. 지금의 古 州 內 이다. 라고 하여 두 기사간에 다소의 차이점이 있
50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6. 조선시대 태조 2년(1393) 조선이라는 새로운 국호가 정해 지고 신왕조의 기틀이 잡혀지자 국도의 천도가 제기 되었다. 천도론은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지덕이 쇠한 개경에 머무를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 제기되었지만, 실질적 으로는 고려의 전통적인 세력기반을 떠나서 조선왕조 의 새로운 정치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태조는
More information-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抗 日 蜂 起 와 殲 滅 作 戰 의 史 實 探 究 - 韓 國 中 央 山 岳 地 帶 를 中 心 으로- 이노우에 가츠오( 井 上 勝 生 ) 1) 머리말 지난 해(2015년) 10월과 11월, 日 本 軍 東 學 黨 討 伐 隊 의 進 軍 路 를 한국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後 備 第 19 大 隊 (당시 東 學 黨 討 伐 隊 라고 불리었다) 第 1
More information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주 830516 입주자격소득초과 2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연 711202 입주자격소득초과 3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이 * 훈 740309 입주자격소득초과 4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이 * 희 780604 입주자격소득초과 5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안 * 현
More information741034.hwp
iv v vi vii viii ix x xi 61 62 63 64 에 피 소 드 2 시도 임금은 곧 신하들을 불러모아 나라 일을 맡기고 이집트로 갔습니다. 하 산을 만난 임금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말했어요. 원하시는 대로 일곱 번째 다이아몬드 아가씨를
More information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碘 岛 监 结 30km 20km 10km 碘 达 碘 测 时 提 高 后 的 上 限 [250,000 微 西 弗 / 年 ] [10,000 微 西 弗 / 年 ] 巴 西 瓜 拉 帕 里 的 辐 射 (1 年 来 自 地 面 等 ) > 辐 射 量 ( 微 西 弗 ) 250,000 100,000 50,000 10,000 注 : 本 资 料
More information<3120B9DABFACB0E628C0CEC7C3292E687770>
260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보제 18-2 권 / 2008 년 지하철소음도측정조사 부산교통공사에서운행중인지하철 3개노선 1개구간에대한구간별소음실태를체계적으로조사하여지하철내소음으로부터시민의건강보호및정온한지하철환경보전을위한정책추진시소음저감대책자료로활용하기위함 1. 조사개요 조사근거 : 시환경보전과-8608(2007. 05. 01) 조사기간 : 2008. 1 ~
More information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280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보제 19-2 권 / 2009 년 지하철소음조사 부산교통공사에서운행중인지하철 3 개노선 174 개구간에대한구간별소음실태를체계적으로조사하여지하철내소음으로부터시민의건강보호및정온한지하철환경보전을위한정책추진시소음저감대책자료로활용하기위함 1) 1. 조사개요 조사근거 : 시환경보전과-8608(2007. 05. 01) 조사기간 : 2009.
More information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03 ¸ñÂ÷
양 희은 강 석우의 커버스토리 인기코너 남자는 왜 여자는 왜 를 이끌어 가고 있는 김용석, 오숙희 씨. 2007 06 I 여성시대가 흐르는 곳 I 04 >>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의 소순임 씨를 찾아서 I 창 가 스 튜 디 오 I 08 >> 여성시대의 남자 김용석, 여성시대의 여자 오숙희 I 편 지 I 14 >> 아이들의 용돈 외 I 여성시대 가족을
More information....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323031352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지표조사보고서를 공개하는 데에 동의함. [별지 제3호서식] 사업 내용 지표 조사 조사 결과 사 업 명
More information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2015년9월도서관웹용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후회의 문장들 사라져 버릴 마음의 잔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해에도 배추농사에서 큰돈을 남은 평생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그 말을 다시 떠올려보 만졌다 하더라도 지난 여름 어느 날 갑자기 들기 시작한 았다. 맺지 못한 채 끝나버린 에이드리언의 문장도 함께. 그 생각만은 변함없을 것 같았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 그래서
More information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구 분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격식체 비격식체 해라하게하오하십시오해해요 - 다 - 네, - ㅁ세 - 구나 - 구먼 - 구려 - 냐, - 니 - 는가, - 나 - 어라 - 게 - 자 - 세 - 오 - ㅂ니다 - 어, - 지 - 어요, - 지요 - 어, - 지, - 군 - 어요, - 지요, - 군요 - 오 - ㅂ니까 - 어, - 지 - 어요, - 지요
More information#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여 48.6% 남 51.4% 40대 10.7% 50대 이 상 6.0% 10대 0.9% 20대 34.5% 30대 47.9% 초등졸 이하 대학원생 이 0.6% 중졸 이하 상 0.7% 2.7% 고졸 이하 34.2% 대졸 이하 61.9% 직장 1.9% e-mail 주소 2.8% 핸드폰 번호 8.2% 전화번호 4.5% 학교 0.9% 주소 2.0% 기타 0.4% 이름
More information<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 財 ) 東 亞 文 化 硏 究 院 地 表 調 査 報 告 第 14 輯 진영읍 신용리 아름다운아파트 신축공사 구간내 文 化 遺 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 0 0 4. 10 目 次 Ⅰ 7. 조사개요 Ⅱ. 역사 ㆍ 고고분야의 조사 8 1. 김해시의 자연환경 1. 8 2. 김해의 역사적 환경 2. 10 3. 조사대상지역 개관 3. 28 Ⅲ 29. 현지조사 및
More information<34372E B5B5BDC3C3B6B5B5BCD2C0BDB5B5C1B6BBE7BAB8B0EDBCAD28BCF6C1A4292E687770>
도시철도소음조사 도시철도소음조사 도시철도 개노선 개에대한별소음실태조사 지하철소음으로부터시민의건강보호및정온한지하철환경보전 ). 조사개요 조사근거 : 시환경보전과-(.. ) 조사기간 : 년 월 ~ 월 조사대상 : 개노선, 개 - 호선 ( 노포동 신평 ) 왕복 개 - 호선 ( 양산 장산 ) 왕복 개 - 호선 ( 대저 수영 ) 왕복 개 - 호선 ( 안평 미남 ) 왕복
More information<31C0CEC7C3B7E7BFA3C0DAB9D7C8A3C8EDB1E2B9D9C0CCB7AFBDBA2E687770>
도시철도소음조사 183 도시철도소음조사 부산교통공사에서운행중인도사철도 4 개노선 206 개구간에대한구간별소음실태를체계적으로조사하여도시철도내소음으로부터시민의건강보호및정온한지하철환경보전을위한정책추진시소음저감대책자료로활용하기위함 1) 1. 조사개요 조사근거 : 시환경보전과-8608(2007. 05. 01) 조사기간 : 2011년 1월 ~ 12월 조사지점 : 4개노선,
More information<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20세기초 언양의 농민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20세기 전반 彦 陽 의 小 農 社 會 이 영 훈 Working Paper 2015-03 Arp, 2015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31gil 5, Bongcheon-ro, Kwanak-ku, Seoul,
More information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슬라이드 1
NJ52-14-8-062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산외면신정리일원 NJ52-14-8-093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속리산면중판리일원 NJ52-14-8-094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More information팸
2015 Vol.12 Special Feature Special Interview Contents 4 I 5 8I 9 10 I 11 12 I 13 SPECIAL INTERVIEW 14 I 15 16 I 17 18 I 19 Interview Int Int In I e te w w t Int Int w te te w 20 I 21 22 I
More information(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84~299)206지도서2-3 2012.9.17 21:21 페이지284 mac01 T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1 단원의 개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물자와 사람들의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자연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교 통과 통신이
More information<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003. 11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Ⅰ. 調 査 槪 要 1. 調 査 目 的 고성군에서 추진중인 율대 농공단지 확장예정지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제74-2와 동법 시행령 제43-2
More information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간호8급 창원시 16 223 13.9 160 71.7% 18 81.00 간호8급 진주시 2 49 24.5 39 79.6% 2 77.00 간호8급 통영시 7 68 9.7 52 76.5% 7 71.50 간호8급 사천시 6 101 16.8 82 81.2% 7 80.00
More informationµ¶¸³Á¤½Å45È£
사독 진립 으정 로신 보 는 이 시 우 사 진 작 가 모스크바 크레믈린 1922년 한국독립운동의 분수령이 된 극동민족대회의 현장은 현대식건물로 바뀌어 건물 안을 들여다 볼 수도, 밖을 비추어 볼 수도 있었습니다. 안과 밖이 유리면에서 하나가 되듯, 나와 세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망막을 얻을 때 새로운 진실을 볼 수 있습니다. 2009 5*6 06 04 06
More information<303020C1B6BBE7BAB8B0EDBCAD202D20B8F1C2F72E687770>
도시철도소음조사 309 도시철도소음조사 부산교통공사에서운행중인도사철도 4 개노선 206 개구간에대한구간별소음실태를체계적으로조사하여도시철도내소음으로부터시민의건강보호및정온한지하철환경보전을위한정책추진시소음저감대책자료로활용하기위함 1) 1. 조사개요 조사근거 : 시환경보전과-8608(2007. 05. 01) 조사기간 : 2012년 1월 ~ 12월 조사지점 : 4개노선,
More information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소비자문제연구 제41호 2012년 4월 해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용약관의 약관규제법에 의한19)내용통제 가능성* : Facebook 게시물이용약관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이병준 업 요약 업 규 규 논 업 쟁 때 셜 네트워 F b k 물 규 았 7 계 건 됨 규 규 업 객 계 규 므 받 객 드 객 규 7 말 계 률 업 두 않 트 접속 록 트 른징 볼 규 업 내
More information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상현고등학교 2 1 28 유 훈 2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6 24 정 찬 3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8 3 김 헌 4 [1]2018개방실험-학생2기[
More information10월추천dvd
2011 10 DVD CHOICE dvd dvd?!!!! [1] [2] DVD NO. 1898 [3] Days of Being Wild 지금도 장국영을 추억하는 이는 많다. 그는 홍콩 영화의 중심에 선 배우였고,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거짓말 같던 그의 죽음은 장국 영을 더욱 애잔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만들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 이 장국영을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More information안테나/한지해(001~025)
01 1 01-1 2 3 01-2 0 250 m 02 1 02-1 2 3 02-2 03 1 03-1 2 03-2 3 04 1 2 3 04-1 04-2 05 1 2 3 05-1 05-2 06 1 06-1 2 06-2 3 07 1 2 3 07-1 07-2 08 1 2 3 08-1 08-2 09 1 09-1 2 3 09-2 10 1 2 10-1 10-2 3 11
More information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2 -
공공도서관정책제안자료집 2010. 7 02-529-7310, Fax: 02-6442-7310, E-mail : cultureandlibrary@ gmail.com - 2 - 1. 강원도 [ 표 1] 2008 년말기준전국공공도서관 1 관당지표 도서관수 ( 관 ) 연면적 ( m2 ) 장서수 ( 권 ) 직원수 ( 명 ) 사서수 ( 명 ) 예산 ( 천원 ) 자료구입비
More information20001031jc0inb001a.HWP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1 2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3 4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5 6 (2000
More information0001³»Áö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9 80 81
More information<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2002 年 2 月 昌 原 大 學 校 大 學 院 音 樂 科 安 明 基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Sonata for B-flat
More information4 7 7 9 3 3 4 4 Ô 57 5 3 6 4 7 Ô 5 8 9 Ô 0 3 4 Ô 5 6 7 8 3 4 9 Ô 56 Ô 5 3 6 4 7 0 Ô 8 9 0 Ô 3 4 5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 선거의 의미와 필요성 ① 선거의 의미`: 우리들을 대표하여 일할 사람을 뽑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선거의 필요성`: 모든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일을 의논하고
More informationÀÚ¿øºÀ»ç-2010°¡À»°Ü¿ï-3
2010 희망캠페인 쪽방의 겨울은 유난히 빨리 찾아옵니다. 하늘 높은지 모르고 오르는 기름 값은 먼 나라 이야기 마냥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내 몸 하 나 간신히 누일 전기장판만으로 냉기 가득한 방에서 겨울을 보내야 합니다. 한 달에 열흘정도 겨우 나가는 일용직도 겨울이 되면 일거리가 없어, 한 달 방값을 마련하 기 어렵고, 일을 나가지 못하면 밖으로 쫓겨 날
More information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2019. 6.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1225-1755 eissn 2288-9566 https://doi.org/10.9715/kila.2019.47.3.039 A Study on the Designer s Post-Evaluation of Gyeongui
More information레이아웃 1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vol.126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 vol.126 www.fsb.or.kr 20163 + 4 Contents 20163 + 4 vol.126 www.fsb.or.kr 26 02 08 30 SB Theme Talk 002 004 006 SB Issue 008 012 014
More information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논문집 별호 45 2002.4 훌규 羅 王 京 의 훌쉴 圍 와 區 城 에 대한 地 理 tjtj1i퓨갖릎 李 훌료 職 서 울대 학교 국토문제 연구소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More informationOD..Network....( ).hwp
예비타당성조사에활용되는 O-D 및 NETWORK 의분석지침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00 죤번호 죤명 인구수 죤번호 죤명 인구수 죤번호 죤명 인구수 1 종로구 190619 42 중구 99971 83 동안구 ( 안양 ) 334582 2 중구 125050 43 동구 342951 84 소사구 ( 부천 ) 204502 3 용산구 246613 44
More information<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84 85 86 87 88 89 1 12 1 1 2 + + + 11=60 9 19 21 + + + 19 17 13 11=60 + 5 7 + 5 + 10 + 8 + 4+ 6 + 3=48 1 2 90 1 13 1 91 2 3 14 1 2 92 4 1 2 15 2 3 4 93 1 5 2 6 1 2 1 16 6 5 94 1 1 22 33 55 1 2 3 4 5 6
More information학술대회편집2013.hwp
인천정명600년기념 지명과 지역 정체성, 그리고 인천 학술대회 순서 개회 (14:00 ~ 14:20) - 인사말씀 : 김교흥(인천광역시 정무부시장) 이준한(인천대 인천학연구원 원장) 주제발표 (14:25 ~ 15:35) : 사회-강옥엽(역사자료관 전문위원) - 제1주제(14:25 ~ 14:45) 인천 지명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병욱(인천대학교 명예교수) -
More information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untitled
像 氣 名 刹 希 望 曰 術 技 藝 道 技 年 月 日 0 5, 1 2 3 4 5 45,000 40,000 39,534 35,000 30,000
More information....5-.......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방송 콘텐츠는 TV라는 대중매체가 지닌 즉각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수익 창출이라는 부분에서 영화에 비해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이 사실 이다. 그러나, 최근 드라마 이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해 내 면서 방송 콘텐츠의 수익 구조에도 큰 변화가 오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드라마 은
More information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김해 한림면 용덕리 산1-5번지 외 7필지 국비지원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 2016.03 CONTENTS 목 차 Ⅰ. 조사개요 01 Ⅱ. 조사지역과 주변 환경 02 1. 자연 지리적 환경 02 2. 고고ㆍ역사자료로 본 김해의 역사 10 Ⅲ. 조사내용 18 1. 고고분야 19 2. 조사구역 내 유적 현황 22 3. 민속분야 24 4. 지명분야 25 Ⅳ. 종합고찰
More information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
More information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Android 용 Brother Image Viewer 설명서 버전 0 KOR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표입니다. Android는
More information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Story Story 2012. 9. 13. Story 1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2 STORY STORY 12 호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2 Korean Wave Story 2012 (2012년 1/4분기) 12 호 12 호 2012. 4. 9. 2 3 4 5 轩 辕 剑 之 天 之 痕 我 的
More information200706ºÎµ¿»êÆ®·£µåc02ªš
06 2007 SUMMARY PartⅠ 아파트 시장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3. 분양실적 및 계획 PartⅡ 토지 시장동향 1. 권역별 지가동향 2.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동향 3. 토지거래동향 주요 News Real Estate Trend June 2007 Vol.11 KOREA APPRAISAL BOARD 2 3 4 5 Real Estate
More informationCT083001C
발행인 : 송재룡 / 편집장 : 박혜영 / 편집부장 : 송영은 경희대학교 대학원보사 1986년 2월 3일 창간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전화(02)961-0139 팩스(02)966-0902 2016. 09. 01(목요일) vol. 216 www.khugnews.co.kr The Graduate School News 인터뷰 안창모 경기대학교
More information<B1B9BFAAC3D1BCAD2DC6EDC1FD2839292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인 명 497 색 인 인 명 (ㄱ) 강경중 姜 敬 重 182, 193 강덕상 姜 德 相 137 강만철 姜 萬 哲 149, 159 강만희 姜 萬 熙 135 강무형 姜 懋 馨 134 강문선 姜 門 善 88 강병학 姜 丙 學 390 강봉상 姜 奉 相 137 강봉진 姜 奉 辰 150 강석희 姜 奭 熙 133, 139, 158, 225 강선보 姜 善 甫 128, 129,
More information지도학발달06-7/8/9장
3 1 7 17 95101G 421d 221 2 3 4 1971 34 12 1804 1866 1972 31866 4 1 5 33 1866 3 6 31866 3 1803 1877 1804 1866 2 02333 318 4 51 633 3 6 2022 222 31866 1955 1931 3 916 7 1925 1925 10 9 1862 65 8 7 2 1931
More information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최정희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 활동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니가타현립대학교 야마다요시코 1 머리말 1931 년 삼천리사에 입사한 최정희는 기자로서 활동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37 년에 흉가 로 등단했다. 그 동안 습작기에 일본어 소설 1 편을 포함해 소설 15 편을 발표했다. 일본어 소설 그늘 은 역시 습작기에 쓴 가버린 美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