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家支援地方道 60 호선 ( 翰林 - 生林 ) 建設工事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 2004. 04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國家支援地方道 60 호선 ( 翰林 - 生林 ) 建設工事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 Ⅰ. 調査槪要 1. 調査目的 문화재보호법 74-2와동법시행령 43-2에의거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 ( 한림-생림 ) 건설공사예정구간에대한사전지표조사를실시하여문화유적을보호하기위한기초자료를확보함으로써개발로인한문화재의훼손을방지하고토지개발과문화재보존을조화롭게하기위함. 2. 調査地域및範圍 조사구간의行政的위치는慶南昌原市大山面北部里 ~ 金海市生林面沙村里下沙村일원이며, 조사를의뢰받은범위는상기한구간의 12km이다. 한편, 조사구간의외곽범위에서 500m 이내에분포하는지정문화재에대해서도동사업에의한영향을평가하기위해함께조사하였다. 시간적인범위는考古 歷史資料의경우 20 세기중반을하한으로삼고, 自然生態 人類 民俗學 地名分野의조사는현재까지를시점의하한으로삼았다. 3. 調査期間및日程 일수내용 2일차 5일차 17일차 20일차구성비 1. 자료수집및분석 20% 2. 현장조사및보완 30% 3. 분석및작성 40% 6. 보고서제출 10% 7. 조사진행계획 20% 50% 90% 100% - 1 -
4. 調査團構成 번호직위성명소속직책전공분야 1 조사단장이범홍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2 책임조사원최헌섭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박태성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3 조사원박원철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4 조사보조원 김성우 김상호 경남발전연구원경남지역정보센터경남발전연구원지역정보센터 센터장 조사연구부장 고고학 고고학 비상근연구위원지명학 연구원 인류 민속학 연구보조원고고학 연구보조원 지리정보학 5. 調査方法 조사는文獻調査와現場調査, 資料整理및報告書發刊단계로나누어실시하였다. 조사의전단계에서는조사지역을대상으로조사 정리된자료를수집하여조사지역에대한정보의개황을파악하였다. 그결과는아래의표에일목요연하게정리제시하였다. 현장조사는考古 歷史, 地質 地形, 地名등 3개분야에걸쳐수행하였다. 1) 文獻調査우선조사지역을대상으로이미수행된자료를수집 분류 분석하였다. 이때, 수집된자료의종류와간행시기등을분류의기준으로삼았을때, 아래와같은분류표를얻을수있었다 - 2 -
번호 출 전 내 용 개요 弁辰亦十二國官本考證曰此弁辰疑作弁韓下別有弁辰范書弁 변진십이국에 1 辰在弁韓之南亦十有二國其南亦與倭接又有諸小別邑各有渠대한槪況과조 三國志 卷第三十魏帥大者名臣智其次有險側范書險作儉次有樊穢范書作樊사지역인김해가書三十烏丸鮮卑東夷祗次有殺奚次有邑借宋本作邑借范書同章懷注皆其官名也문헌상弁辰狗邪傳第三十弁辰傳 弁辰狗邪國 大國四五千家小國肉七百家總四五國으로등장하는 萬戶 下略 최초의예 2 金海小京古金官國一云伽落國一云伽耶自始祖首露王 三國史記 卷第三十고려시대까지至十世仇亥王以梁中大通四年新羅法興王十九年率百四雜志第三地理一金海의연혁변姓來降以其地金官郡文武王二十年永隆元年爲小京良金海小京천사景德王改名金海京今金州 神鬼干等九干者是酋長領總百姓凡一百 ( 萬?) 戶七萬五千人多以自都山野鑿井而飮耕田而食屬後漢世祖光武帝建武十八年壬寅 (42년) 三月稧浴之日所居北 조사지역인 김 龜旨 中略 日日而大踰十餘晨昏 中略 其月望해지역에흥성했 日卽位也始現故諱首露或云首陵首陵是崩後諡也 中던 駕洛國 ( 弁辰 略 國稱大駕洛又稱伽耶國卽肉伽耶之一也餘五人狗邪國, 金官國 ) 3 各歸五伽耶主東以黃山江西南以滄海西北以地理山의건국에서패 三國遺事 卷第二東北以伽耶山南而爲國尾俾創假宮而入御但要質儉망에이르기까지駕洛國記茅茨不剪土階三尺二年癸卯春正月王若曰朕欲定置京의기록. 주로首 都仍駕幸假宮之南新畓坪是古來閒田新耕作故云也畓乃俗文露王과건국과정 也 中略 議曰案三國史仇衡以梁中大通四年壬子에대한내용이 (532년) 納土投羅卽計自首露初卽位東漢建武十八年壬중심적으로서술 寅 (42년) 至仇衡末壬子得四百九十年矣若以此記考之되어있다. 納土在元魏保定二年壬午 (562년) 則更三十年總五百二 十年矣今兩存之 金州本駕洛國新羅儒理王十八年駕洛之長我刀干汝 刀干彼刀干等九人率其民稧飮望見龜旨峰有非常聲氣 就視之有金榼自天而降中有金色卵圓如日輪 中略 有一童子剖殼而生年可十五容貌甚偉衆皆拜賀盡 5 童 子日就岐嶷歷十餘日身長九尺 是月望九人遂奉以爲主 4 卽首露王也國號駕洛又稱伽倻後改爲金官國 中略 고려시대까지 高麗史 志第十一卽位一百五十八年薨至九代孫仇亥喪國帑寶物降于新金州의연혁변地理二金州羅 中略 新羅法興王旣受降待以客 5 以其國爲食邑천사號金官郡文武王置金官小京景德王爲金海小京太祖二 十三年改州府郡縣名爲金海府後降爲臨海縣又陞爲郡 成宗十四年改爲金州安東都護府顯宗三年更今名元宗 十一年以防禦使金晅平密城之亂又拒三別抄有功陞爲金 寧都護府忠烈王十九年降爲縣三十四年陞爲金州牧忠 宣王二年汰諸牧復爲金海府. 世祖實錄 150 지 上略 ( 三國史記, 高麗史 地理志와동일한조선전기세종조 5 리지경상도진주목내용임 ) ( 高麗 ) 元宗 11년경오에防禦使金晅이密까지김해도호부 김해도호부 城의亂을평정하고, 또三別抄를막아功이있는까 의연혁변천사 - 3 -
번호 출 전 내 용 개요 닭으로, 올려서金寧都護府로하고, 인해김훤을발탁 5 하여都護로삼아鎭守하게하였다. 忠烈王 34년무 世祖實錄 150 지조선전기세종조신에金州牧으로올렸다가, 忠宣王 2년경술에여러리지경상도진주목까지김해도호부牧을없앰에따라다시김해부로하였는데, 본조에서김해도호부의연혁변천사그대로따랐다가, 太宗 13년계사에 3에의하여都 護府로고쳤다. 屬縣이 2이다. 下略 6 上略 ( 三國史記, 高麗史, 世宗實錄 地조선전기중종조 新增東國輿地勝覽 理志와동일한내용임 ) ( 高麗 ) 忠烈王二年以殺安廉까지김해도호부卷三十二金海都護府使劉顥降爲縣後陞金州牧忠宣王二年汰諸牧復爲金海의연혁변천사府本朝因之 金海地區綜合學術 7 調査報告書 金海해당사항없음 地方의先史文化 8 文化遺蹟總覽 해당사항없음 加耶文化圈精密地表 9 調査報告 - 金海市 金해당사항없음 海郡 - 10 駕洛의傳統 해당사항없음 11 金海文化財地表調해당사항없음査와整備計劃 12 金官加耶圈遺蹟精密해당사항없음地表調査報告 13 慶南文化財大觀 - 해당사항없음道指定編 - 조사구간의주변에독점고분군, 下鳳林고분군, 生林 17 문화유적분포지도里고분, 下沙村고분군등과鳳林里석비군이분포하 -김해시- 는것으로보고함 상기의표에서본바와같이조사구간의주변에독점고분군, 下鳳林고분군, 生林里고분, 下沙村고분군등과鳳林里석비군등이분포하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2) 自然生態分野조사지역의각종古地誌및古地圖, 지질도와지형도등을구하여지질및지형적특성의이해를도모하였다. 이와같은자료의분석결과본조사구역은화성암을기반암으로한지역으로서지형적으로는구릉지와곡간충적지에해당된다. 3) 考古 歷史分野우선위표 3) 에서구해진바와같이旣刊된자료를일별하여조사구간에대한사전정보를구하였다. 조사구간에는상기한바와같이본산리고분군이분포하는것으로보고되어있으나이번조사에서는유적의분포상을확인할수없었다. 당조사와관련한고고 역사분야의조사는구간의전역을대상으로한地表面의觀 - 4 -
察을통해서이루어지게된다. 이와함께주민들을대상으로한探問調査를병행실시하여자칫현재의지표에서관찰될수없는정보도놓치지않으려애썼다. 4) 地名分野현장조사는조사지역에거주하는주민들과의질의조사를바탕으로하였다. 아울러조사지역의지명의형성과변천과정을밝히는데주력하였고, 이들지명이조사구간에유존할가능성이높은유적의분포상을이해하는데도움이될수있도록유용한정보를얻고자애썼다. - 5 -
Ⅱ. 調査內容 1. 自然生態分野 1) 調査區間의地形環境 조사구간의지형은크게洛東江의背後濕地域과그외곽에발달한丘陵地로대별된다. 행정구역으로창원시대산면과김해시한림면일대는낙동강의배후습지로서지금은범람원을개척한평야를무대로한農村이다. 그러나이곳은 20세기초만하더라도낙동강의배후습지역을이루고있어서거의不毛地와다름없이放置되어왔다. 洛南正幹의북쪽인창원시대산면과김해시한림면일대는大山平野 1) 와河南平野를하나의단위로하는盆地 2) 를이루고있으며, 이가운데로는洛東江이관류하며분지를남북으로분할하고있다. 대산평야는하나의거대한侵蝕盆地로이루어져있는데, 충적지는이분지중앙부의저지대가洛東江의운반물질에의해메워짐으로써형성된것이다. 3) 낙동강은중하류에이르러黃江 南江등의지류하천과합류하면서그양안으로넓은平野를형성시키며, 하상의句配가극히완만해져서곳곳에低濕地가발달해있다. 낙동강은하류인密陽江의합류점부근에서유향을바꾸어약 20km에달하는梁山峽谷을통과하여南海로유입된다. 그런데양산협곡은洪水時에유수의소통을극히불량하게하므로상류의수위를현저하게상승시키고滯水時間을길게만든다. 4) 따라서유적지의주변으로저습한환경이발달하게된것이다. 대산평야를이룬沖積層의기반은慶尙系新羅統의八龍山凝灰巖으로이루어져있는데이기반암은풍화에약하여차별침식에의해평야화하거나구릉의형태로남아있다. 5) 지금의盆地底는注南貯水池라불리는春山貯水池와東板貯水池로된 1) 大山平野는과거에進永平野의일부로서소개된바있다. 하지만평야의전체면적에서진영이차지하는것은그다지넓지않으므로이로써평야의명칭을삼기는곤란하다. 따라서평야의가장많은부분을차지하며, 지역주민들도이곳을 대산들 이라부르고있으므로그가운데에위치한大山을대표명으로삼는것이여러모로적합하다고생각된다. 대산평야는창원시의동읍과대산면, 김해시진영읍에속해있는데면적은약 3,400ha로서경남에서는김해평야다음으로넓다. 張景順, 1978, 進永平野의地形및土地利用에관한地理學的硏究, 梨花女子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pp.2 3. 權赫在, 198?, 大山平野, 師大論集, 高麗大學校師範大學, p.175. 2) 切峰面圖를토대로한분석결과에의하면대산평야일대는 300m 이상의산지로둘러싸인완전한盆地로되어있다는것을알수있다. 張景順 (1978), 앞의글, pp. 18 19. 3) 張景順 (1978), 앞의글, p. 31. 4) 張景順 (1978), 앞의글, pp. 5 6. 5) 國立地質調査所, 1964, 韓國地質圖 -0 山圖幅 -, pp. 2 9. - 6 -
背後濕地性沼澤地 6) 와농경지로조성되어있다. 하지만금세기이전까지만하더라도이곳은낙동강의범람에의한背後濕地 7) 로서인간의토지이용이어려운곳이었다. 현재는배후습지의대부분이논으로개발되었으나금세기초만하더라도자연상태로방치된곳이많았다. 이곳에서의배후습지는특히대산평야의남서쪽구릉지쪽에넓게발달되어있었다. 지금의春山貯水池, 東板貯水池등은배후습지성호소를제방으로둘러막아灌漑用인공저수지로만든것이며, 전체적인윤곽은원래의형태를그리벗어나지않는다. 8) 이러한점은支石墓의분포와 1925년의大洪水時의범람선을복원한그림을통해방증된다. 현재분지내에분포하는지석묘중에서가장저위에입지한지석묘는용잠리 구방우들 지석묘이다. 이곳은현재경지정리가완료되어경작지로이용되고있다. 이지석묘들의입지고도는해발 5m 대이다. 9) 따라서靑銅器時代까지만하더라도홍수시의면수침선은해발 5m 이상일것으로여겨진다. 이는함안가야에서의지석묘의분포레벨을통해당시의면수침선을해발 10m 내외일것으로본것과는다소차이가있는데이는다호리일대가함안에비해보다더하류이기때문인것으로여겨진다. 10) 또한이지역이배후습지였다는점도침수레벨이낮게설정되는요인으로작용했을것으로추정된다. 西海와南海로유입되는대부분의하천은하구부에서潮汐의영향을받는데낙동강의경우에는하구에서약 60km 상류에위치한守山橋부근에까지미친다. 따라서대산평야는조석의영향권에들며, 그영향은大潮時에만소규모로미치는것으로파악되고있다. 11) 대산평야의충적지는단순히하천의側方侵蝕에의해서형성된것이아니고, 낙동강의양안에발달한거대한侵蝕盆地에後氷期의海面上昇과관련하여낙동강의운반물질이쌓여그것이매몰됨으로써발달하였다. 그렇기때문에이지형은전체적으로하나의큰汎濫原에해당된다. 12) 대산평야주변의지질구조는馬山巖이라불리는花崗巖과主山安山巖, 八龍山凝灰巖등으로구성되어있는데, 유적과그배후산지로는화강암의발달이현저하 權赫在 (198?), p.176에서재인용. 6) 낙동강하류부인高 0에서부터낙동강하구의勿禁에이르는구간에는배후습지성소택지 ( 혹은湖沼 ) 가많이분포한다. 이들소택지는대개의경우소지류가본류에합류하기수 km 전에잘나타나있다. 曺華 m 外, 1981, 三浪津周邊平野의地形發達, 地理學 第 23 號, p. 1. 7) 배후습지 (backmarsh 혹은 backswamps) 는농경지로개발되기이전의자연상태의식생내지지형을가리킨다. 그러나오늘날에는과거와같은습지가거의없어졌다. 張景順 (1978), p. 29. 8) 張景順 (1978), 앞의글, p. 29. 9) 이고도대는다호리주변평야인대산평야의평균고도와비슷하다. 따라서이일대에서의지석묘의분포는당시의지형을아주미세하게반영하고있는것으로이해된다. 이고도대를기준으로낮은곳은저습한환경을높은곳은高燥帶를이루었을것으로추정된다. 10) 昌原大學校博物館, 1995, 阿羅加耶文化圈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11) 張景順 (1978), 앞의글, p. 13. 12) 張景順 (1978), 앞의글, pp. 24~25. - 7 -
다. 고도가낮은殘丘들로는주산안산암이그보다다소고도가높은곳으로는팔용산응회암이분포해있다. 낙동강유역권에속하는창원시북쪽의북면 동읍 대산면과김해시한림면 생림면은낙동강으로시역의경계를삼고있다. 낙동강에연한곳에서의함안과경계를이루는곳은낙남정간의崎脈에의해자연적경계를이루며, 金海와의경계는大山平野와進永平野의한가운데를경계로삼고있어서자연적구분이명료하지못한편이다. 그러나대산평야와진영평야의경우지형형성의배경이낙동강의背後濕地를이루는곳이었으나최근에이르러경작지로개간된곳이다. 특히주남저수지와그주변은 20세기초까지低濕地를이루고있었으나, 日帝强占期에일본인松村이주도한농장건설로인하여현재의모습에가깝게개간되어왔다. 지금도곳곳에는배후습지의잔적이남아있어이일대가개간되기이전에는洛東江營力에의해형성된배후습지임을알수있게해준다. 이러한정보들은최근에그성과가축적되어가고있는地形學界의연구결과를통해서도어느정도알수있다. 지형학계의연구성과와아울러고고학적자료들로서도과거지형환경의일단을알수있게해준다. 이에대한근거자료로예시할수있는것이支石墓이다. 지석묘는청동기시대의대표적인묘제의하나로서그분포레벨을근거로당시의토지이용양상의일단을알수있고, 또한이를토대로당시의最大水浸線을복원할수있다. 즉, 지석묘란당시의무덤이高燥地인免水浸圈에조영되었을것이란전제로써가능한것이다. 이로써볼때, 대산평야외곽에서의홍수시면수침선은동읍용잠리와무성 무점리간의경계를대체적인선으로해서신방리대한아파트부근을잇는선으로상정된다. - 8 -
지도 1) 조사구간위치및주변유적분포도 (1/25,000) - 9 -
2. 考古分野 1) 考古 歷史資料로본昌原의歷史的變遷 창원지역에서의인간활동의근거가찾아지는시기는新石器時代로거슬러올라갈수있다. 이에대한예증으로는동읍합산리패총에서채집된櫛文土器片을들수있다. 13) 이패총유적은현재의洛東江河床에서남쪽으로 3.2km 정도떨어져있는고립구릉의사면에형성되어있으며, 유적이입지한마을주변의고도는약 6m 내외이다. 따라서유적의형성기인신석기시대의주변평야일대는낙동강의背後濕地를이루고있었을것으로추정되며, 유적이입지한구릉은습지의중간에섬처럼남아있었을것으로여겨진다. 아직합산패총유적에서채집된유물만으로는그시기를編年하기에어려움이있다. 그러나주변유적에서채집된유물로써 cross - dating을시도해본다면, 얼마간의보완을구할수있을것이라여겨진다. 주변지역에서신석기시대의패총자료가구해진곳으로는金海와그주위의南海島嶼에형성되어있는패총유적을근거로들수있다. 이가운데서창원지역의패총유적과비교가가능한유적으로는김해지역의패총유적이다. 그예로는水佳里貝塚을비롯하여, 凡方貝塚, 禮安里貝塚, 農所貝塚등이있다. 이들유적의형성시기는남해의外島에형성된패총에비해시기적으로늦게형성된것으로서그연대는신석기시대중기이후이다. 14) 또한최근에조사된南江邊의自然堤防과그상류인黃江邊의河岸段丘에입지한제유적들의연대를토대로해보더라도이주변지역에서확인된신석기시대유적의연대는중기이상을넘지못하는것으로알려지고있다. 15) 이로써볼때, 창원지역에서최초의인간활동이이루어진시기도현재의자료로서만한정한다면, 신석기시대중기이전으로는소급되지않을것으로추정된다. 이들이창원지역으로들어오게된루트는낙동강을통한루트로추정된다. 이에대한근거로는신석기시대의제유적의立地環境을분석한결과를예로들 13) 昌原大學校博物館, 1994, 昌原郡文化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pp.147~148. 14) 부산대학교박물관, 1982, 김해예안리고분군. 부산대학교박물관, 1982, 김해수가리패총. 부산시립박물관, 1993, 범방패총. 15) 東義大學校博物館, 1988, 大也里住居址 1. 東義大學校博物館. 1989, 大也 武陵里住居址. 安春培, 1989, 居昌壬佛里先史住居址調査槪要 (1), 嶺南考古學 6. 安春培, 1989, 壬佛里新石器時代住居址에대하여, 第 13 會韓國考古學全國大會發表要旨 韓國考古學會. 沈奉謹, 1988, 鳳溪里先史遺蹟調査槪報, 考古歷史學誌 4, 東亞大學校. 沈奉謹, 1989, 陜川鳳溪里遺蹟, 東亞大學校博物館. 경남대학교박물관, 1996, 山淸黙谷里遺蹟, 지도위원회의및현장설명회자료. 남강유적발굴조사단, 1998, 남강선사유적, 경상남도. - 10 -
수있다. 이에의하면, 대부분의유적들이대하천변의자연제방이나하안단구등에밀집하는경향성을보이고있으므로이들지형면을차지하게된경제적배경에漁 : 가반영되었음을반영하는바도있겠지만, 이와아울러당시인들이새로운환경을찾아가는루트가강을통하여이루어졌음을강력하게시사하고있는것으로이해된다. 이에더하여이시기의패총유적의많은예가섬에입지하고있는사실도이와같은점을방증하는예로들수있다. 16) 물론이것을토대로창원분지에서의인간활동의근거를신석기시대로까지소급시키기에는현재의자료만으로는다소무리가있다고생각된다. 그러나당시의지형환경적배경을제대로이해한다면창원분지에서의인간활동의근거도그기원이보다더이전으로소급될가능성도있을것이다. 그런데창원의도시화가다른지역에비해워낙급속도로이루어졌기때문에이에따른유적형성기의인간활동의인멸가능성도염두에두고고찰하여야할필요가있다고생각된다. 현재까지창원분지를포함한주변市域에서이유적을제외하고는더이상의신석기시대의유적은확인되지않고있다. 이러한점은지표조사의한계로인해조사의손길이미치지못한부분도있을수있겠지만, 이시기에는아직이지역을점거한인간의수가그다지많지않았다는예증일수도있다고본다. 최근대규모의토목공사에수반된수몰지구에서의발굴조사시내륙지역의대하천변에서신석기시대의유적이상당수조사되었다. 합천댐수몰지구에서조사된居昌大也里遺蹟, 壬佛里遺蹟, 陜川鳳溪里遺蹟의예와山淸黙谷里遺蹟, 召南里遺蹟, 晉州上村里遺蹟의예를제시할수있다. 이와같은제유적군은강변의滑走斜面에발달한하안단구면이나자연제방상에유적이입지한예로서앞으로낙동강중 하류역에대한조사에서도이러한유적이확인될가능성이높은것으로여겨진다. 이러한유적의입지적정황으로미루어볼때, 내륙으로의인간거주의확산은하류에서의하천을이용한루트와중 상류에서는谷壁에형성된강변의단구면을통했을것으로추정된다. 이와함께남해안일대의패총유적이해안과연한구릉이나島嶼에입지해있으므로원격지를잇는교통로로서는바다를통한海上交通路가상정된다. 해상을이용한루트의설정가능성은유물의産地推定이나, 기후변동의연구를통한당시의海水面變動등으로알수있다. 이에대한원격지무역의가능성은이미흑요석의산지추정을통해그일단이알려져있다. 이와아울러유물의생산지와그분배과정에대한연구를통한결과도이와같은문화의전파루트를알수있는방법으로널리연구되고있다. 17) 16) 宋銀淑, 1997, 立地로본南部內陸地域新石器文化의特徵, 韓國先史考古學報 4호, 韓國先史考古學會. 崔憲燮, 1998, 韓半島中 南部地域先史聚落의立地類型, 慶南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7) 宋銀淑 (1997), 앞의논문. 崔憲燮 (1998), 앞의논문. 任孝宰 權鶴洙, 1984, 鰲山里遺蹟(Ⅰ), 서울大學校博物館. - 11 -
이러한점으로미루어볼때, 창원지역에서도북면에서대산면을잇는강변의충적지에대한조사가보완된다면, 이곳에서도신석기시대에까지이르는인간활동의증거가확보될수있을것이다. 이와같은강변충적지중에서도자연제방의발달이현저한동읍의本浦에서대산면의日東에이르는구간에서선사유적이발견될가능성이높다. 선사시대의취락이입지하는지형의유형을분석한연구결과에의하면, 신석기시대의취락유적중가장시원적인입지지형은대하천에연한범람원상의자연제방인것으로밝혀졌다. 18) 이는취락입지를규제하는자연적조건으로서가장높은비용단위를차지하는물의확보가가장중요한입지인자로작용하기때문이다. 19) 이로써볼때, 창원지역에서도인간활동에유리한자연적조건을가진낙동강변의자연제방이나해안에인접한곳에서당시인들에의해조성된유적이확인될가능성이높다고생각된다. 靑銅器時代에접어들면, 창원지역에서도인간활동의증거가적극적으로확보되기에이른다. 많은수의遺物散布地로확인된聚落遺蹟을비롯하여貝塚, 支石墓등이그 3 證이다. 대표적인유적으로는당시의취락유적이확인된南山遺蹟 20) 과加音丁洞遺蹟 21), 德川里遺蹟 22), 城山遺蹟 23), 盤溪洞遺蹟 24) 등을들수있다. 이들유적의입지환경은독립된丘陵이나山脚의末端部라는공통점을가진다. 前代의유적에비해그입지환경이크게달라진것은하천에연한충적지에서충적지를바라보는배후의丘陵地로거주지역을상향이동시켰다는점이다. 이와같은거주지역의상향이동은충적지에서의경제활동을염두에둔배려라고이해되고있다. 25) 任孝宰 李俊貞, 1988, 鰲山里遺蹟(Ⅲ), 서울大學校博物館. 18) 崔憲燮 (1998), 앞의논문. 19) 吳洪晳, 1994, 聚落地理學, 敎學硏究社. 崔憲燮 (1998), 앞의논문. 20) 1996년창원대학교박물관에의해서이일대가시굴조사되고, 이듬해에는발굴조사가진행되었다. 조사결과, 남산유적은靑銅器時代에서三韓時代에이르는環壕聚落으로밝혀졌다. 청동기시대의환호는출입시설을갖춘것으로서, 그단위규모에있어서국내최대의규모이다. 또한환호내의중앙고지에는望樓로여겨지는高上建物址가확인됨으로써환호의기능이防禦施設임을입증하고있다. 삼한시대에도환호는계속적으로사용되었는데, 전대에비해규모가크게축소되어흔적기관처럼상징성만유지하고있다. 이러한점은양시대가문화적으로계기성을가지는것으로이해할수있는점이라여겨진다. 이와아울러우리나라에서는그예가드문청동기시대의貝塚이조사되기도하여학계의주목을받고있다. 昌原大學校博物館, 1995, 昌原市文化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pp.36~37. 昌原大學校博物館, 1996, 昌原南山遺蹟試掘調査報告書 昌原大學校博物館, 1998, 昌原의先史 古代聚落 pp.6~25. 21) 昌原大學校博物館, 1996, 昌原市文化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pp.15~25. 昌原大學校博物館, 1998, 昌原의先史 古代聚落 pp.26~30. 22) 慶南大學校博物館, 1993, 昌原德川里遺蹟, 지도위원회의및현장설명회자료. 昌原大學校博物館, 1994, 德川里遺蹟, 昌原郡文化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pp.149~150. 23)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76, 馬山外洞城山貝塚發掘調査報告書. 24) 昌原大學校博物館, 1995, 昌原市文化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pp.9~10. 25) 崔憲燮 (1998), 앞의논문. - 12 -
창원지역에서확인된가장이른청동기시대의유적으로는아직전기후엽경으로까지밖에소급되지않는다. 이시기의유적과유물은크게지역적인양상을간취하기어렵다. 청동기시대의문화권은크게韓半島西北地域圈과東北地域圈, 中 南部地域圈으로대별된다. 창원지역이속한중 남부지역권은청동기시대중기에이르러圓形竪穴住居址, 石棺墓, 磨製石劍, 磨製石鏃, 松菊里形土器등을셋트로한동일문화권을형성하고있다. 창원지역에서이러한文化像을반영하고있는대표적인유적으로는德川里支石墓遺蹟, 南山環壕聚落遺蹟, 加音丁洞遺蹟, 上南支石墓遺蹟등을들수있다. 이가운데서덕천리지석묘유적과상남지석묘유적등에서확인된무덤의구조는중 남부지역권이라는廣域圈내에서나름의小地域的特性을반영하고있는것으로여겨지므로앞으로의연구가어느정도의심도를가지는가에따라文化圈의細分化도가능하리라고생각된다. 이시기의유적들이입지하는지형면은전대에비해더욱다양해지며, 거의모든입지형이완성되기에이른다. 따라서이시기의文化의傳播路는海洋과江등의水上路를주로이용한전대에비해내륙의거의전역으로확산되기에이르렀다. 이로써볼때, 그교통로도水上交通路에만한정되지않고陸上交通路를본격적으로이용하는단계에진입하게되었다. 그러므로전대의교통로가주로수상루트를이용하게되므로자연적으로그文化圈은流域圈으로규정되는경향이강하다. 그런데청동기시대에이르면인간의거주지역이내륙으로도더욱확산되어水陸루트를모두이용하게되었다. 이에따라陸上路가보다적극적으로개척되기에이르게되었을것이고, 그루트는당연히지름길을선호하게되었을것이다. 이때, 지름길은당연히山脈의발달이顯著한우리나라의地形的特性을고려한다면고개를통해이루어졌을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이를증명하기란결코쉽지않다. 이를위해서는문화유적의분포분석을통한고찰이이루어질필요가있다. 이로써보자면창원지역에서고개를통한交通路의開設은청동기시대에이르러비로소가능하였던것으로확인되고있다. 그예는龍崗고개와소목고개 < 牛項峙 > 26) 를통하였을것으로추정되는덕천리유적을비롯한동읍일대의지석묘유적과남산환호취락유적과상남 가음정동지석묘유적등을 3 示할수있다. 鐵器時代에이르면, 전대의취락입지와교통로를계승 발전시키면서그입지를더욱공고하게고착화해나간다. 특히이시기에이르러신석기시대이후에바다를資源 1 域으로혹은交通路로서이용한예가사라졌다가다시부활하였다는점을특기할수있다. 창원지역에서도이를반영하는많은많은패총유적이분포해있어서이와같은사실을입증하고있다. 이시기에이르러고개를이용한지름길의개설이보다더본격화된것으로이해된다. 그예는안민고개를통해교통하였을창원 26) 금번조사에서고개마루에축조된건축물의기단부를확인할수있었고, 그주변에서는중근세기의자료이긴하지만유물도채집되어고래로이고개를이용한교통이있었음을알수있다. 당조사와관련된철로는이고개의약간남측에서터널공법을통해동읍용전리로연결되게설계되었다. - 13 -
성산 가음정동패총과진해자은동패총간의교통로, 용강고개를통하였을도계동고분군과다호리고분군과의교통로, 굴현고개를통하였을창원분지내의제취락유적 27) 과북면일대의화천리 동전리고분군 28) 과의교통로등을들수있다. 유물을통해서상정되는당시의대외교통에대한증거는성산패총출토의五銖錢 29) 과三東洞甕棺墓群에서출토된銅鏃, 30) 銅製倣製鏡 31), 內洞貝塚에서채집된倭系유물 32) 과道溪洞古墳群 6호토광묘에서출토된內灣口緣壺 33) 등을통해알수있다. 오수전은제작지가중국으로밝혀진외래유입품이분명하며, 그유입경로는해상로를통하였을것으로추정된다. 이러한정황은중국제의동전이출토된金海會峴里貝塚 34), 濟州道山地港 35) 등의예에서보듯이유적의입지적배경이바다와관련된다는점에서도충분히방증된다. 三國時代는고대국가가정립되어인간에의한토지이용이다양한지형면으로확대 발전되어갔다. 따라서교통로의개설도전대에비해더욱적극적으로이루어졌고, 보다광범위하게확산되었다. 이시기의교통로의복원은연구지역내에산재한해당유적들의분포분석과유물의지역색분석, 산성네트웤의확립으로가능할수있다. 이시기의유적들은창원분지의외곽으로보다더확대되는경향성이간취되는데그배경으로는문명의발전에비례한토지확보를들수있다. 27) 창원분지내의제패총유적으로상정가능하다. 28) 이고분군들은아직정식발굴조사를거친것은아니지만지표조사를통하여철기시대 ( 종래의원삼국시대 ) 늦은단계의와질토기가채집된적이있다. 29) 서남구패총의 C트렌치패각층하단에서출토되었다. 五銖錢은中國漢代의화폐로서당시의도량형의기준이되었으며, 무게는 3.35g 이고, 銅製와鐵製의두가지가있다. 성산패총에서출토된오수전은동제의穿上半星文五銖錢으로여겨지는데제작시기는漢武帝代의神爵年間 (B.C 61~ 58) 으로추정되고있다. 崔夢 m, 1976, 西南區貝塚發掘報告, 馬山外洞城山貝塚發掘調査報告,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pp.127~128. 30) 2호석관묘에서 2점의화살촉이출토되었다. 그형식으로미루어보아왜계유물로추정된다. 31) 18호옹관내에서출토된銅製倣製鏡이다. 이방제경은그祖形이중국後漢初의內杏花文鏡에서구해지며, 분포권은중국을비롯하여우리나라와일본등지이다. 32) 지표채집된유물중창원대학교박물관에소장되어있는彌生式토기를그증거로들수있다. 33) 아가리가안쪽으로감아들어간적갈색연질의도기로서소위왜계유물이다. 34) 김해회현리패총의제6층에서출토된王莽錢으로서그제작시기는漢天鳳元年 (A.D 14년 ) 이다. 大正九年度古蹟調査報告書, 圖版 27. 35) 1928년濟州市建入洞의산지항신축공사시절벽아래의동굴에서출토되었다고전해진다. 출토유물은오수전 4매, 화천 11매, 대천오십 2매, 화포 1매등총 18매이다. 오수전의형식은洛陽燒溝漢墓 Ⅰ형식혹은岡內三眞이분류한 Ⅱ형식에속하는것들이다. 李淸圭 姜昌和, 1994, 제주도출토漢代화폐유물의한 3, 韓國上古史學報 17, 韓國上古史學會. 李淸圭, 1995, 濟州道考古學硏究, 學硏文化社, pp.193~197. 이밖에도산지항에서는방제경이출토되어당시의활발했던대외교류의한측면을시사해주고있다. - 14 -
유적의상한고도는아직은낮은편이어서가장고지에서확인된고분군의입지고도는해발 100m대에도제대로미치지못한다. 따라서이시기의교통로는대부분산각의저지에서충적지로이어지는경사변환대를이용하여개설되었을것으로추정되며, 지형적인장벽으로작용되는산줄기를넘기위해서는鞍部에개설된고개를통한지름길을이용하였을것이다. 유물을통한대외교통의증거는 4세기대이후의분묘출토유물을예시할수있다. 먼저창원도계동고분군에서출토된도기중에서함안, 김해와의통교를지시하는유물이있어주목된다. 도계동고분군창원대 3호토광묘에서출토된외반구연고배는김해지역에서주로출토되는기형이다. 또한화염형투창고배는지금까지의조사예에의한다면함안지역적색채가강한유물이다. 이와함께이보다다소앞선시기의유물로서赤峴洞古墳群 36) 에서출토된원통형고배를표지로하는일괄출토품을외부와의교통에대한근거로들수있다. 지금까지의연구에의하면그분포의중심지는함안을중심으로한그주변지역으로알려져있다. 37) 이시기에이르게되면앞서든자료와함께지역적색채가느껴지는陶器 38) 가생산보급되기시작한다. 이문제와관련하여일찍이지역양식설과공통양식설이제기된적이있으나논의는지속되지못하고있다. 창원을중심으로한고대政治體의형성은金海의狗邪國, 咸安의安邪國을들수있고, 당시昌原은浦上八國중의骨浦國, 日本書紀에나타나는卓淳國, 三國志에기록된弁辰諸小國中의弁辰走遭馬國이라는설이제기되고있다. 2) 考古 歷史資料로본金海地域의人文環境 고고학적인자료에의하면김해지역을무대로한인간활동의근거는新石器時代 36) 현재의한국중공업공장신축작업시일괄유물이출토되어경남대학교박물관에전시되어있다. 昌原市 昌原大學校博物館, 1995, 赤峴洞古墳群, 앞의책, pp. 37) 宋桂鉉, 1984, 慶南鎭北大坪里遺蹟採集鐵器類, 加耶通信 제10호, pp.40~45. 安在浩 宋桂鉉, 1986, 古式陶質土器에대한약간의考察 - 義昌大坪里出土品을通하여-, 嶺南考古學 1. 崔憲燮, 1989, 집게와망치의기능에대하여 -함안회산리채집품을중심으로-, 考古硏究 第三輯, 嶺南靑年考古硏究會, pp.17~35. 金亨坤, 1990, 咸安일원古墳出土土器類, 加耶通信 19 20 合輯, 釜山大學校博物館, 168~ 177. 朴東百 李盛周 金亨坤, 1990, 馬山縣洞遺蹟, 昌原大學校博物館. 김정례, 1991, 晉陽郡一斑城面원당유적에대하여, 考古硏究 7, 嶺南靑年考古硏究會. 박승규, 1992, 咸安郡北地域出土陶質土器에대한考察, 晉州專門大學論文集 14. 김정완, 1993, 함안지역도질토기의편년연구, 제2회영남고고학회학술발표회발표및토론요지, 영남고고학회, pp.5~28. 38) 여기서는종래의회청색경질토기를지칭하는용어로사용하고자한다. 연대적으로는역사시대이후에생산된것으로한정하며, 제도기법상으로는녹로에의한성형과등요에의한소성을특징으로들수있다. - 15 -
로부터비롯된다. 洛東江하구의水佳里貝塚과北亭貝塚, 古金海灣의연변에입지한農所里貝塚등에서그근거가구해진다. 靑銅器時代에는고김해만과연한배후구릉의경사가완만한사면이나고립구릉의정상부에서無文土器片이채집되어이러한지형대를입지배경으로한취락의존재가상정된다. 저명한龜旨峰에서도무문토기가채집된바있어이러한정황을방증하고있으며, 이구릉정상부의남사면에는龜旨峰支石墓가입지해있음은널리알려진바있다. 한편화정지구와구산지구의조사시에도청동기시대의住居址와支石墓로추정되는분묘가조사된바있다. 보다더저지에입지한內洞支石墓와西上洞支石墓및首露王陵境內支石墓群의존재는이시기에이르러고김해만의변연에인간거주가집중적으로이루어졌음을알수있게한다. 이러한유적의분포양상을통해弁辰狗邪國형성의기반을헤아릴수있다. 三韓時代에이르면고김해만으로돌출된鳳凰臺遺蹟을거점으로변진구사국이형성되기시작하였다. 이시기의유적으로는상기한유적외에저명한大成洞遺蹟을비롯하여구지로와화정지구에서도당시의유적이발굴된바있다. 외곽에입지한유적으로는양동유적과퇴래리고분군등을예시할수있다. 加耶時代로접어들면서유적의분포는더욱조밀해지는데, 이는金官加耶의成長및繁榮과연동된다. 김해의진산인盆山남록의거의전역과김해시의외곽인예안리와칠산동등곳곳에서이시기의유적이확인되는점이상기한내용을반영하고있는단적인예이다. 2) 周邊遺蹟 조사지역의주변으로는삼국시대의유물산포지 1개소, 고분군 3개소및고분 1 기, 고려시대의유물산포지, 조선시대유물산포지 2개소와석비군을비롯하여시기를알수없는고분 1기등이분포해있다. (1) 北部里독뫼遺物散布地 昌原市大山面北部里독뫼북부마을남동측범람원상에형성된 독뫼 라불리는微高地에입지해있다. 지금은과수원과민묘역, 밭으로이용되고있으며, 지표상에서朝鮮時代의瓦片과자기편등이다량으로채집된다. 조선시대의건물지가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약 120m, 비교노선 2안의남쪽으로약 5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150m 相距. (2) 匙山里封土墳 金海市翰林面匙山里匙山마을背後丘陵 - 16 -
匙山마을배후구릉의정상부에원형封土墳 1기가입지해있다. 봉토분이입지한곳은洛東江邊에형성된孤立丘陵으로지세는저평하며, 정부는침식삭박작용에의해平頂峯의형상을이루고있다. 봉분은이평정봉의가운데에단독으로조성되어있어立地의卓越性이인정될뿐만아니라주위에대한眺望도우수하다. 아마도여러입지인자중에서이점이크게고려된것으로추정된다. 지금까지조사된예에의하면, 고대의봉토분은群集분포하는특성을가지는것이일반적인현상이다. 봉토분이單獨으로입지하는예는新羅下代의王陵이나高麗時代이래의봉토분에서그예를찾을수있다. 이경우봉분은구릉의斜面에입지하는것이일반적인경향이다. 최근고립구릉의정상부나능선의정선부에단독으로입지한봉토분이조사된예가있는데, 그立地場所가海洋과관련된곳이어서주목된다. 특히巨濟島에서발굴된간곡고분군의경우바다와가까운해안구릉의정선부에입지한예인데, 봉토분의구조와출토유물에서倭系로볼수있는요소가다량으로검출되었다. 일본에서조사된자료를검토해보면, 이러한墓制의淵源은일본西北九州에서찾을수있다. 당시해양을통한왜와의관련성을강하게시사하는자료이다. 이곳시산리의봉토분도이와같은입지적특성을보이고있어그성격을추정할수있는유력한근거가된다. 상기한예와비교할때, 입지장소가海邊이아닌江邊인점이차이점으로지적될수있지만그입지적아이디어는유사하다고볼수있다. 이는지형학계의연구결과에의해서도방증된다. 만조시낙동강하구에서의역상범위가三浪津혹은조사구간보다더북쪽인守山까지미친다는결과가그것이다. 39) 지금의낙동강하류역은범람원을개간한경작지로바뀌어우리나라의대표적평야의한곳이되었지만, 1910년대에낙동강변에제방을축조하기전에는그야말로 새밭 40) 이었다. 지금도주변에는많은濕地가개발되지않은채남아있는데, 당조사구간에속한한림면소재지에서장재마을에이르는구간의花圃川濕地가전형적이다. 41) 기본계획안의북쪽으로약 200m, 비교노선 2안의북쪽으로약 45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700m 相距. (3) 독점古墳群 金海市翰林面安下里큰독점마을큰독점마을을위요하고있는구릉과그동쪽구릉에분포하는삼국시대의고분군이다. 유적의전방으로는한림면일대에형성된배후습지가발달해있고, 배후와 39) 張景順 (1978), 앞의글, p. 13. 40) 濕地性식물인갈대등이군락을이룬풀밭을이곳에서는새밭이라부른다. 41) 이곳은습지환경의우수한보존성이인정되어環境部에서실시하는전국내륙습지 2 차년도조사 (2000 년 ~2004 년 ) 의대상지가된곳이기도하다. - 17 -
그동서쪽으로는구릉지이다. 유적이입지한구릉은과수원과임야로이용되고있는데, 과수원내경작지에서가야시대의도기편이채집되었으며, 기왕의보고서에서는이시기의封土墳이파괴되어석곽의개석과벽석이드러나있었다고하나이번조사에서는확인할수없었다.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약 700m, 비교노선 2안의남쪽으로약 100m, 비교노선 1안의남쪽으로약 400m 相距. (4) 下鳳林古墳群 金海市翰林面安下里큰독점마을하봉림마을위요하고있는구릉에분포하는삼국시대의고분군이다. 유적의전방으로는곡간평야인 하봉들 이사촌천유역에발달해있고, 유적의서쪽으로는경동마을전방에 재골 이형성되어있다. 이곳의재골과그서쪽의구릉에삼국시대에서고려시대에이르는유물산포지가분포하는데아마도하봉림고분군과연동되는취락유적으로추정된다. 유적이입지한곳은저평한설상의구릉지이다. 유적지는과수원과묘역으로이용되고있으며, 기왕의보고서에의하면, 이곳에서출토된것으로전하는 6세기대의長頸壺 1점과短脚高杯 3점이봉림초등학교에전시되어있다고보고하였다. 42) 이번조사에서는유물및유구의잔상에대해서는확인할수없었지만, 이고분군과인접한재골과분절에걸치는삼국시대의유물산포지에서파상문이시문된기대편등이채집되어이일대에당시의취락및이에부수되는고분군등제종의유구가분포할가능성이높음을알수있다. 기본계획안의남동쪽으로약 10m, 비교노선 2안의북쪽으로약 45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700m 相距. (5) 生林里古墳 金海市翰林面生林里아래골생림리아래골배후산록에봉토분 1기가분포해있다. 기왕의보고서에서는三國時代의봉토분이라전하고있다. 43) 하지만삼국시대의봉토분의경우군집분포하는특징을보이는일반적인입지경향을고려하면, 그시기에대해신중하게규정할필요가있다. 墳形은圓墳이며, 최근에정비된듯봉분의외형이정연하다. 底俓 ; 10m, 高 ; 2.5m.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 900m, 비교노선 2안의북쪽으로 400m, 비교노선 1안의남쪽으로약 100m 相距. 42) 동아대학교박물관, 1998, 문화유적분포지도 - 김해시 -, p.151. 43) 동아대학교박물관 (1998), 앞책, p.151. - 18 -
(6) 鳳林里石碑群 金海市生林面鳳林里生林面事務所內생림면사무소내에있다. 宣恩臺라각자한비 1기와鳳林寺巡 5 碑라전하는석비 4기가모아져있다. 44) 1 宣恩臺碑高宗代에漢城判尹, 法部大臣, 農 商工部대신등의벼슬을지낸생림면출신李裕寅이왕의愛民之德을고취시키기위해고종 25년 (1888년) 에세운것이다. 가첨석을갖춘대형의석비에 宣恩臺 석자를새겼다. 비신 ; 177 65 25cm. 가첨석 ; 114 74 50cm. 2 沈舜澤永世不忘碑 영의정심순택의영세불망비이다. 領相國沈公諱舜澤永世不忘碑靑陽吉宅先憂後樂黃扉重望廟籌克壯玉墀獻議海土烟花金州蘇病士女歌詠 비신 ; 158 51 16cm. 가첨석 ; 80 54 33cm. 3 李鎬俊永世不忘碑 상국이호준의영세불망비이다. 巡相國李公諱鎬俊永世不忘碑按節南墦施惠金省厲精巡撫特軫玆土啓勘五條爰頌貞珉歡動百里垂示千祀 비신 ; 145 48 15cm. 가첨석 ; 78 54 35cm. 4 趙秉甲永世不忘碑 부사趙秉甲의선정을기리기위해 1888년에세운영세불망비이다. 가첨석과비대를갖추었으며, 재질은사암이다. 府使趙侯諱秉甲永世不忘碑一自下車矯革五 念切分憂金州有川感 r 宣恩一片習名萬民 樂千古無 上之二十五年戊子九月日立 비신 ; 140 47 15cm. 가첨석 ; 85 48 25cm. 5 李 寅頌德碑 44) 문화유적분포지도 - 김해시 - 에는봉림사순례비라전하나그내용은御使, 觀察使, 府使, 縣監등의善政碑이다. - 19 -
兵曹參判李 寅의선정을기리기위해 1890년에세운송덕비이다. 가첨석과비대를갖추었다. 資憲大 兵曹參判李公 寅頌德碑世居 壤幹旋蠲蘇稔燭五苦闔隱 猪挽不漕轉蘆㣗 千置 漢司永世石碑庚寅九月日立 비신 ; 124 46 15cm. 가첨석 ; 77 51 23cm. (7) 下沙村古墳群 金海市翰林面沙村里下沙村하사촌마을북서측丘陵의말단부와扇狀地性지형대에걸쳐입지하는삼국시대의古墳群으로추정되는유적이다. 유적이입지한곳은지세가완만하여지금은대부분과수원및경작지로개간되어있다. 이과정에서유물이출토된적이있다고하며, 과수원및밭등의경작면에서도많은양의陶器片이채집된다. 그시기는三國時代後期에서統一新羅時代에이르는것이대부분이다. 이밖에도高麗時代이래의도기편이함께채집된다. 기왕의보고서에서는삼국시대의고분군이분포하는것으로추정하고있다. 45) 채집유물과지세를고려해보면, 유적의성격은삼국시대에서고려시대에이르는취락및이에딸린고분군등제종의유구가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 900m, 비교노선 2안의북쪽으로 400m, 비교노선 1안의남쪽으로약 100m 相距. 3) 遺蹟現況 당조사구간에서는많은수의유적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는데, 기왕에확인된유적은없었으나이번조사에서삼국시대의유물산포지및고려시대의유물산포지및요지, 조선시대의유물산포지등이그내용이다. (1) 北部里아래똥뫼遺物散布地 ( 비교노선 2 안 ) 昌原市大山面北部里독뫼북부마을동측범람원상에형성된 큰독뫼 라불리는微高地에입지해있다. 지금은과수원과민묘역, 밭으로이용되고있으며, 지표상에서조선시대의와편이다량으로채집된다. 조선시대의건물지가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약 20m, 비교노선 2안에포함,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250m 相距. 45) 동아대학교박물관 (1998), 앞책, p.151. - 20 -
(2) 匙山里진말遺物散布地 ( 비교노선 2 3 안 ) 金海市翰林面匙山里진말시산리진말마을배후의고립구릉에분포하는유물산포지이다. 유적이입지한곳은과거의배후습지에분포하는孤島와같은구릉으로서지세는低平하다. 유적지의토지는대부분과수원과밭으로경작되고있으며, 경작면에서통일신라시대의印花文陶器와고려시대이래의도기편등이채집된다. 채집유물과지세를통해볼때, 유적의성격은통일신라시대에서고려시대이래의취락및이에부수되는경작지등제종의유구가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의남쪽으로약 20m, 비교노선 2안에포함,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250m 相距. (3) 長才里큰골窯址 ( 기본계획안 ) 金海市翰林面長才里큰골장재리배후의큰골에입지한窯址이다. 요의壁體조각으로추정되는燒土와강하게燒結된가마찌꺼기가검출되어이곳에요지가분포할가능성이매우높은것으로추정된다. 실제주민의전언으로도이와같은사실이방증되는데, 큰골일대에 가마굴 이있었다고전한다. 가마의잔적은극히적은부분만이드러나있어정확한내용을파악하기는어렵지만, 구릉의사면에입지한登窯로추정된다. 그주변에많은양의高麗時代陶器片이산란하는것으로보아가마의조업시기는고려시대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에포함, 비교노선 2안의남쪽으로 20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100m 相距. (4) 長才里큰골遺物散布地 ( 기본계획안 ) 金海市翰林面長才里큰골장재리배후사면일원에분포하는유물산포지이다. 유적지의지형은산지의말단부에형성된완사면으로감나무과수원과밭, 민가등으로이용되고있다. 경작지와사면의나지에서다량의陶器片및瓷器片, 瓦片등이채집되었다. 특히요지가분포하는저수지동측사면에서도기편이집중적으로채집되어이일대에상기한요지와高麗時代의聚落및이에부수되는제종의유구가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에포함, 비교노선 2안의남쪽으로 20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100m 相距. - 21 -
(5) 鳳林里재골遺物散布地 ( 기본계획안 ) 金海市生林面鳳林里재골. 翰林面生林里분절마을생림리분절마을동측구릉과봉림리경동마을서쪽구릉말단부와재골일대의충적지에분포하는유물산포지이다. 유적지의토지이용은과수원, 묘역, 임야, 밭, 논경작지등이다. 이가운데경작지와묘역에서다량의도기편이채집된다. 특히최근개설된분절마을의의성김씨묘역에는묘역의정비과정에서파괴된것으로보이는三國時代전기의軟質陶器片이집중적으로널려있어이시기의집자리가훼손된것으로추정된다. 또한주변의과수원에서도波狀文이시문된삼국시대의鉢形器臺杯部片등이채집되어이일대에는삼국시대의聚落및이에부수되는古墳群및耕作遺構등이분포할것으로추정된다. 특히이와같은유물정보는이웃한下鳳林古墳群에서출토된유물과聯動되는것으로여겨져상호간의關聯性이示唆된다. 한편, 이곳에서는고려시대이래의도기및자기편도상당수채집되었는데, 그집중분포범위는봉림리경동마을전방의재골과그서쪽구릉의말단부이다. 채집유물과지세를통해볼때, 당유적의성격은삼국시대에서고려시대에이르는취락및이에부수되는제종의유구가분포하는것으로추정된다. 기본계획안에포함, 비교노선 2안의북쪽으로 400m, 비교노선 1안의북쪽으로약 500m 相距. - 22 -
지도 2) 북부리똥뫼 아래똥뫼유물산포지분포도 (S=1:10,000) - 23 -
지도 3) 시산리봉토분 시산리진말유물산포지분포도 (S=1:10,000) - 24 -
지도 4) 장재리요지 유물산포지, 독점고분군분포도 (S=1:10,000) - 25 -
지도 5) 봉림리재골유물산포지 하봉림고분군 생림리고분 봉림리석비군분포도 - 26 -
지도 6) 하사촌고분군분포도 (S=1:10,000) - 27 -
3. 地名分野 調査地域 : 昌原市大山面北部里 ~ 金海市生林面沙村里 1) 地名形成의原因과그形態 지명을단순히땅의이름이라고말할수는없다. 왜냐하면지명은일정한지역의문화와어떠한시대의역사적배경을그대로반영하고있기때문이다. 그러므로지명을언어학이나역사학문학혹은민속학등에서어느한가지기준으로해석하려는것은매우잘못된생각이다. 그러므로다음의몇가지기준을축으로형성되는지명을종합적으로고찰해야할것이다. 일반적으로지명의형성에서가장기초적작용을하는것이방향이다. 즉동서남북 ( 東西南北 ) 의방향을기준으로지명이정해진다. 동면서면남면북면등이그것이다. 동서남북의방향을지칭하는우리말은동은 서는 남은 북은 이다. 여기서모음ㅏ혹은아래 는ㅓㅗㅜㅡㅣ등으로변할가능성이얼마든지있다. 즉시대의흐름이나지역적특성에따라서음운변화가생길때이에따른단어의변화도일어난다는것이다. 가령동을뜻하는우리말 가시대나지역적여건에따라서솔살새실술등의음으로변할수있다는것이다. 또동서남북을뜻하는우리말은처음기록문자가없었으므로그것을한자로차자표기하였다. 즉한자의음이나훈을빌어서표기하였는데가령솔은松으로살은矢로새는新草등으로술은酒로실은實谷등으로한자의음이나훈을따서표현하였다. 이것은나중에전혀엉뚱한전설과연관되기도한다. 가령송정 ( 松亭 ) 이라는마을이처음에는동쪽을지칭하는것이었다가나중에는실재소나무와연관시킨다든지시문 ( 矢門 ) 이라는지명역시동쪽문이라는뜻인데마을모양이화살촉처럼생겼다거나실재화살과연관되는전설이후대에만들어져전해지는경우가그것이다. 둘째, 지명은지형적특성을기준으로형성되는경우가있다. 지형이거북이모양으로생겨서거북섬, 길게용이누운것같다고해서와룡산등으로형성되는것이다. 이경우사람들은풍수와연관지어그지역의특성을억지로설명하려는경향이짙다. 그러나많은부분에서꾸며진이야기일가능성이크다. 셋째, 지명은역사적사건을기준으로형성되는경우가있다. 통영과같이통제영이있어서생긴지명이있거나이충무공으로인하여충무라는지명이정해지는경우가그것이다. 이외에도심지어는중국의역사적사건이나인물과연관되는경우도있다. 넷째, 지명은옛유적을중심으로형성되는경우가있다. 절골부처고개말산장군봉고래장터가장골애장골입석왕당터등이그것이다. 사찰이나돌부처돌미륵고분아기장터선돌고인돌등과연관되는것이다. - 28 -
다섯째, 지명은전설을바탕으로혹은지명이전설의산실이되면서형성되는경우가있다. 즉만날고개라든지울음고개감나무봉먼데이등이그것이다. 이들은시집간딸과친정어머니의만남, 누이와오빠와의관계, 대홍수설화등에연관되는지명이다. 이외에도지역의특성이나일정지역만의자연조건지형적조건등이지명을결정한다. 해안지방의 --끗, 어장막등이나산골벌목지의움터, 광산지역의 --굴등이모두이에해당된다. 이처럼지명은다양한축으로형성이되고또시대의변이에따라서지역적특성에따라서다양한형태로변이될수있다. 그러므로현재의지명으로원래지명이가지고있던의미를찾아내고그것이인간의삶과어떻게연관되며그의미는무엇인가를찾는것이지명연구의목적이다. 이러한기준을축으로다음의지역을조사하려고한다. 2) 창원대산면 북부리 ( 北部里 ) : 북부리의원래지명은진말이었다. 임진왜란때진을쳐서붙여진이름이라고하나불확실하다. 길다의방언진과마을의방언말이결합된것으로도추정된다. 동부 ( 東部 ) : 북부마을전체를둘로나눌때마을이의지하고있는동서로뻗은작은산구릉의동서봉우리를중심으로나눈다. 동부는동쪽봉우리아래의마을이다. 서부 ( 西部 ) : 북부마을서쪽봉우리아래의마을이다. 동부당산 : 동부마을뒤산꼭대기의당산이다. 서부당산 : 서부마을뒤산꼭대기의당산이다. 똥메 : 북부마을남쪽논가운데있는작은동산이다. 아랫똥메 : 아리미똥메라고도한다. 북부마을동남쪽유등쪽에보이는똥메이다. 강하구쪽에있기때문에아래라는의미가붙었다. 아리미는아랫마을의경상도방언이다. 유등리 ( 柳等里 ) : 유등은유등마을뒤강에나루가있었는데이나루를대개배들이혹은배나리라고한다. 즉배가들어오고나가는곳을말하는것이다. 배들이가버들이로착각되면서버들유 ( 柳 ) 로한자화되는경우가허다하다. 유등은평리유등유청동곡등 3개의자연부락으로이루어져있다. 유청리 ( 柳靑 ) : 유등서쪽의마을로유유청청에서유래되었다고하나불확실하다. 거북산 : 유등마을과유청마을뒤의산으로거북모양으로생겨서붙여진이름이라고하나확실치않다. 산위에개구리바위혹은두꺼비바위가있는데이바위로인하여붙여진이름으로추정된다. 무진산이라고도한다. 옛날탁영선생이이곳에무진정이라는정자를지었다가무오사화에화를당하여정자도불탔다고하며무진 - 29 -
정에서무진산이된것이다. 부치바위 : 거북산중턱에있는바위로옛날절이있었던자리라고하여붙여진이름이라고한다. 무선암 : 무진정이있던자리에세워진암자이다. 음지각단 : 거북산서쪽사면에붙은마을로유청마을의일부이다. 음지면에붙은마을이기때문에생긴지명이며각단은마을을여러단위로나눌때가장작은단위이다. 제산재 : 김해김씨삼현파의재실로저산봉의판도판서공의무덤을찾고그를모시기위하여세워진것이다. 동곡 : 월림산뒤의마을로옛날에는유등에속하였음. 평리 : 유청마을로들어오는다리건너기전을강변이라고하고건넌다음의마을을평리라고하였다. 무섬지- : 거북산아래강변쪽을말한다. 무섬은물과섬의결합으로추정된다. 지- 는亭의방언으로보인다. 무진정과관련되는것인지무선암과관련되는지는확실치않다. 용꼬 : 용꾸미혹은용꼬-오라고한다. 유등나루약간서북쪽의자리이다. 의미는불확실하다. 유등나루 : 유등마을강변쪽의나루로옛날밀양으로통하던중유한나루였으나지금은없다. 3) 김해이북면가동리 ( 佳洞里 ) : 낙동강제방공사이전에이곳은물바다였으며그가운데떠있는아름다운동산의모습때문에가동 ( 佳洞 ) 이라고하였다. 큰메뜽 : 가동서쪽마을이없는큰산을말한다. 새말고개 : 가동중심마을로산아래낮은부분에마을이새로들어섰기때문에붙여진이름이다. 또산과산사이의낮은곳으로고개길이형성되면서붙은이름이다. 명례나루 : 명례 ( 明 5) 밀양하남면명례로가는나루이므로붙은이름이다. 覓 5 나루라고도한다. 한티골 : 大峴이다. 큰고개라는의미이다. 한골이라고도한다. 당산 : 가동남쪽산정상부에있는당산이다. 당산사당이있고둘레담을쌓아잘관리하고있다. 뒤똥메 : 가동마을서쪽에독립된산으로과수원으로사용되고있다. 마을뒤에있으므로붙은이름이다. 뒷들 : 뒷똥메와가동마을사이의들이다. 앞들 : 가동마을앞의들이다. - 30 -
가산리 ( 佳山里 ) : 작은독메를둘러싸고생긴마을이다. 마을유래는가동과비슷하다. 구지골 : 가산의서쪽마을이다. 의미는불분명하다. 금창들 : 마을합의들판을말한다. 명근늪 : 가산과구지골사이의늪으로가뭄이들때기우제를지냈다고함. 새밭 : 신전 ( 薪田 ) 이라고한다. 풀이많아서생긴이름이라고도하고新田이라고하여새로생긴마을이란의미로사용하기도한다. 시산리 ( 匙山里 ) : 마을모양이숟가락처럼생겨서붙여진이름이라고한다. 술뫼라고하는데흔히술미라고부른다. 그러나술미의술은똥메의다른말이다. 똥메는獨메로독은외따로떨어졌다는것을의미하고메는뫼로산이다. 이것이똥메로발음되고똥메를동메로발음하여동을東의의미로읽은것이술이다. 술은동쪽을뜻하는우리말 의차자표기이다. 즉 솔설술등의음들은모두상통한다. 그러므로독메똥메동메술메시산은모두동일한말인것이다. 장승배기 : 마을동쪽끝의자리로옛날장승이있었던자리이다. 지금은없다. 시호 ( 匙湖 ) : 낙동강제방쪽의마을이다. 시산 : 서쪽의마을이다. 내리방 : 시산서쪽끝의마을이다. 강으로내려가는길목에있는마을이기때문에붙은이름이다. 서재고개 : 시호와시산가운데마을이다. 옛날서재가있었던곳이며이곳에고개길이형성되어있기때문에붙은이름이다. 당산 : 시산동쪽의산꼭대기이다. 당산나무는없다. 장군무덤 : 당산정상부에있는큰무덤이다. 임진왜란때명나라에서유격장으로조선에들어온동일원 ( 董一元 ) 의아들대순 ( 大順 ) 이귀화하여이곳에정착했다고하므로그와연관된것으로추정할수있다. 한림정 : 翰林亭은한림김계희 ( 金係熙 ) 가낙향해서살았다고해서붙여진이름이다. 왜정때일본이유림 ( 楡林 ) 으로고쳤던것을해방후에다시한림으로고쳤다. 안굼티 : 현한림정면소재지의서쪽부분이며논으로형성된들판이동쪽으로끝나는부분의마을을말한다. 즉한림들의동쪽안으로굽이진곳에형성된마을이라는말이다. 용두산 : 龍頭山한림면소재지뒤즉동남편으로길게뻗어있는산이다. 용은중심을나타내는우리말 의차자표기이다. 는머리를의미한다. 우두머리의머리와같다. 머리는고대에왕즉부족장을의미하였고부족장의무덤을말무덤, 말등, 말산등으로표현한다. 이때말은馬가아니라머리를의미하는 이다. 이 을표기하는우리말이없었으므로한자를借字하여 ( 빌려 ) 표기하는데그중의하나가龍이다. 용의고어는미르미리밀등이다. 미르미리등은위의 와동일한음으로읽히었다. 頭는앞의龍을음인용으로읽지말고머리로읽으라는의미첨기이다. 즉앞의단어를반복하여확인하는표기인셈이다. 마산의龍馬山은龍 - 31 -
을말로읽어라는것이다. 부산의龍頭山역시이와동일한것이다. 그러므로위의용마산은중심이되는산이라는의미이다. 한림들 : 한림의서쪽들판이다. 대항 : 大項은위의안굼티 와비교되는마을이다. 안굼티 를한자화하면內項이다. 그러므로대항은바깥굼티 인셈이며한림으로들어가는큰굼이가되는것이다. 장재 ( 長才 ) : 장재는옛날이곳에百萬長者가살았는데하도가난한사람들이몰려와구걸을하므로풍수에게사람들이오지않게하는방법을묻자마을주변의산허리를잘라맥을끊으면된다고하여맥을잘랐더니백만장자가망하였다고한다. 그長者에서장재가나왔다고한다. 그러나긴고개즉고개의방언이재이며장은길다를한자로바꾸면서생긴이름이다. 분절 ( 분절 ) : 분절 ( 粉切 ) 은이곳에절터가있으므로붙여진이름이다. 粉은가리이고切은절이다. 남쪽을지칭하는우리말 에서나온것으로추정된다. 미등산 : 微登山으로마을서쪽의산이다. 경동 ( 耕洞 ) : 자경동 ( 自耕洞 ) 이다. 조선선조때함안에서판윤 ( 判尹 ) 구천 ( 龜川 ) 윤종 ( 尹鍾 ) 이이주하여정착하였다고함. 잰골 : 재-애골이라고도한다. 경동의원래지명으로기와를굽던곳이므로붙은이름이다. 재-애는기와의방언이다. 구천재 : 파평윤씨재실이다. 대부산 : 貸付山경동동남쪽의산이다. 떡고개 : 봉림으로넘어가는고개길이다. 안하고개 : 이북면안하 ( 安下 ) 로넘어가는고개이다. 봉림리 ( 鳳林里 ) : 봉황이숲으로내려오는명당이있기때문에붙여진이름이라고한다. 하봉림 : 봉림서쪽의지역으로분절방향이다. 개울아래쪽에있기때문에붙여진이름이다. 본봉림 : 원래의지명은역촌 ( 驛村 ) 이다. 조선후기에금곡역 ( 金谷驛 ) 이이곳에있었기때문이다. 돌담밖몽롱이 : 하봉림으로가는길목이다. 구준굴모롱이 : 사촌으로가는모롱이이다. 구산불등 : 봉림동쪽산이다. 삼거리 : 봉림의면소재지의교통요지이다. 말티고개 : 馬峴이라고도한다. 말은대개머리를뜻하는우리말 를표현하기위한것이다. 山城 : 옛날산성이있던곳아래의마을이므로山城洞이라고한다. 安城이라고도하며동쪽은산성저수지가있고서쪽은쇠사골이다. - 32 -
Ⅲ. 맺음말 1. 조사성과 조사지역의기반암은화성암으로구성되어있으며, 지형은낙동강영역에의해발달한배후습지와구릉지와그곡간충적지로구성되어있다. 기왕의조사성과에의하면, 당조사구간의외곽 1,000m 이내에는독점고분군, 하봉림고분군, 생림리고분, 봉림리석비군 ( 봉림사순례비군 ), 하사촌고분군등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어있다. 당조사와관련하여조사구간에서는삼국시대의유물산포지 1개소, 통일신라시대 ~ 고려시대의유물산포지 1개소, 고려시대이래의유물산포지 1개소, 고려시대요지 1개소, 조선시대유물산포지 1개소등도합 5개소의유적을발견하였다. 구 분 구간내유적 주변유적 소 계 북부리아래독뫼유물산포지 북부리독뫼유물산포지 시산리시산봉토분 시산리진말유물산포지 독점고분군 유적명 장재리큰골유물산포지 하봉림고분군 12 장재리큰골요지 생림리고분봉림리석비군 봉림리재골유물산포지 하사촌고분군 소 계 5 7 12 위의표에서보는바와같이모두 12개소의유적에대해조사를실시하였는데, 조사구간내에는삼국시대에서조선시대에이르는유적 5개소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한편, 조사구간의 1km 이내의범위에서삼국시대에서조선시대에이르는유적 7개소에대한분포상이확인되었다. - 33 -
구 분 유적명 구간명 북부리아래독뫼유물산포지 비교노선 2 시산리진말유물산포지 비교노선 2 3 유적명 장재리큰골유물산포지 장재리큰골요지 봉림리재골유물산포지 기본계획안 기본계획안 기본계획안 위의표에서본바와같이노선내에분포하는유적은모두 5개소이다. 이가운데기본계획안에포함된유적이 3개소, 비교노선 2안에포함된유적이 1개소, 비교노선 2 3안에포함된유적이 1개소이다. 3. 조사단의견 - 34 -
관련사진
사진 1) 북부리독뫼유물산포지전경 사진 2) 채집유물 - 36 -
사진 3) 북부리아래독뫼유물산포지전경 사진 4) 채집유물 - 37 -
사진 5) 시산리봉토분전경 사진 6) 봉토분근경 - 38 -
사진 7) 봉토분근경 사진 8) 봉토분근경 - 39 -
사진 9) 시산리봉토분에서본낙동강변의밀양수산일대 사진 10) 시산리봉토분에서본낙동강변의밀양삼랑진일대 - 40 -
사진 11) 시산리점말유물산포지전경 사진 12) 점말유물산포지근경 - 41 -
사진 13) 채집유물 1 사진 14) 채집유물 2-42 -
사진 15) 장재리큰골요지전경 사진 16) 요지근경 - 43 -
사진 17) 요지의소토괴노출상태 사진 18) 요지의찌꺼기 ( 窯壁滓 ) 노출상태 - 44 -
사진 19) 장재리큰골유물산포지전경 사진 20) 큰골유물산포지근경 - 45 -
사진 21) 채집유물 1 사진 22) 채집유물 2-46 -
사진 23) 독점고분군전경 사진 24) 독점고분군전경 ( 하봉림고분군에서 ) - 47 -
사진 25) 봉림리재골유물산포지전경 사진 26) 재골유물산포지근경 ( 하봉림고분군에서 ) - 48 -
사진 27) 묘역건설로유적이훼손된상태 사진 28) 묘역부근에서드러난적갈색연질도기편일괄 - 49 -
사진 29) 위사진의근접촬영 사진 30) 재골유물산포지채집도기편 - 50 -
사진 31) 하봉림고분군전경 사진 32) 하봉림고분군내석곽묘의부재로추정되는석재 - 51 -
사진 33) 생림리고분전경 사진 34) 생림리고분근경 - 52 -
사진 35) 생림리고분 ( 정면에서 ) 사진 36) 생림리고분 ( 배후에서 ) - 53 -
사진 37) 봉림리석비군근경 사진 38) 宣恩臺 - 54 -
사진 39) 沈舜澤영세불망비 사진 40) 李鎬俊영세불망비 - 55 -
사진 41) 趙秉甲영세불망비 사진 42) 李 寅頌德碑 - 56 -
사진 43) 하사촌고분군전경 1 사진 44) 하사촌고분군전경 2-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