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학교내활동 체육활동중사고 / 8 실험 실습활동중사고 / 9 외부인침입및정전 < 저녁돌봄교실 > / 0 승강기사고 /. 학교밖활동 실내체험활동중사고 / 산, 숲체험활동중사고 / 농촌및갯벌체험활동중사고 / 6 물놀이 수상활동중사고 / 7 놀이공원및야영장활동중사고 /

Similar documents
제6장 응급처치 - 고급과정 1. 응급처치 고급과정


¾ÈÀü°ü¸®¸Å´º¾óÃÖÁ¾Ãâ·Âµ¥ÀÌŸ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공용심폐소생술00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 나 ) 본선심사기준 심폐소생술과 AED 순서및방법, 전체적인숙련도 심사기준 배점 부록2 심사기준표 ( 학생은부록3 평가표세부기준참조 ) 100 총점 대회심사및시상계획 가. 심사위원 - 보건교사 1, 체육교사 3 나. 평가기준및평가방법 - 평가기준 : 2

(연합뉴스) 마이더스

4-Ç×°ø¿ìÁÖÀ̾߱â¨ç(30-39)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

º´¹«Ã»Ã¥-»ç³ªÀÌ·Î



•••••1301(•••).pdf

Microsoft PowerPoint Android-SDK설치.HelloAndroid(1.0h).pptx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사회재난 06 화재 자연재난 황사 미세먼지 폭염 태풍 집중호우 지진 대설 한파 사회재난 화재 화학물질유출사고 방사능재난 해양사고 기타재난 응급처치 교통안전 ( 통학버스등 ) 민방공훈련 폭파테러 화학테러 생물테러 방사능테러 무기에의한테러


77


< 참고 1> 생활안전지도개발자센터 생활안전지도관련개발자들을위한 API 를제공 1 오픈 API 소개 2 오픈 API 예제및샘플 오픈 API 소개 - 오픈 API 소개 - 서비스흐름및오픈 API 이용안내 오픈 API 유형별예제및샘플 - 지도 API / 데이터 API /

.....hwp

쓰리 핸드(삼침) 요일 및 2405 요일 시간, 및 요일 설정 1. 용두를 2의 위치로 당기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를 설정합니다. 2. 용두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요일을 설정합니다. 3. 용두를 3의 위치로 당기고 오늘 와 요일이 표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28C0CEBCE2BABB29C1F1B0CCB0ED20BDC5B3AAB4C220C7F6C0E5C3BCC7E8C7D0BDC02E687770>

±³À°È°µ¿Áö

1 응급처치의정의 보건복지부령에서정하는응급증상및응급에준하는증상 기타재난 chapter 01. 응급처치 응급처치의개념사고나질병으로인한응급상황이발생한후응급의료기관에서전문적인치료를받기전까지행해지는즉각적이고임시적인처치로, 가슴압박과인공호흡, 기타생명의위협이나증상의악

성인지통계

Microsoft PowerPoint - 부교재_자동차생활_34.파워 윈도우,도어록,와이퍼 사용법 [호환 모드]

목 차 Ⅰ. 안전에 관한 일반지침 1. 청소년활동과 안전의 정의 6 2. 파라미타 활동과 안전 7 3. 파라미타 활동 안전 매뉴얼의 목적 9 4. 파라미타 활동 안전 매뉴얼 활용 방법 9 Ⅳ. 위기 상황별 대처방법 1. 참여 청소년 및 지도자 부상 긴급 환자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A0 rev.0

Contents 01. 안전을 위한 주의 사항 터치형 멀티 조절기 각부 명칭 터치형 각방 조절기 각부 명칭 조절기 난방/정지 하기 조절기 외출 /해제하기 조절기 반복난방 하기 조절기 예약난방 /


물놀이 장소별 주의사항 위험한 물놀이 장소에 대해 알아본다. 하천, 바다, 계곡, 수영장 등 여름철에 재미있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물놀이 장소들은 안전수칙을 무시하게 되면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 물놀이 사망사고 발생률을 살펴보

½Ç°ú¸Ó¸®¸»¸ñÂ÷ÆDZÇ(1-5)¿Ï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BCD5BEC4B1E2BDC7C5C2B9D7C0C7BDC42DBAB8B0EDBCAD E687770>

1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슬라이드 1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

2.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급의료 제공에 관한 조례안 및 심사보고서.hwp


차례

경영학회 내지 최종

MSDS ( 물질안전보건자료 ) 1. 화학제품과회사에관한정보 제품명 : 타이트본드친환경무공해실리콘 [Metal Roof 실란트 ] (Titebond Weathermaster Metal Roof Sealant White 61001A) 제품타입 : 액체 제조사 : Fran

, /...24, / FERPA...40 FERPA (, )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재난... 예방이 최선입니다 생존율... 높일 수 있습니다 하인리히의 법칙 1:29:300 미국 9 11 테러 실제사례 저서 산업재해예방 에서 발표된 것으로 재난은 300건의 사소한 사고조짐이 보이고 29건의 경미한 사고가 반복되다가 1건의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다는 이

* ** *** ****

( ),,, (239 ).,,,,,.,,,. (safemap.go.kr),., 행사기간 : (4 개월, 8 회 ) 참여방법 : (2 주단위로퀴즈내용제공 ) 정답자중추첨을통해소정의모바일


hwp

178È£pdf

¾Æµ¿ÇÐ´ë º»¹®.hwp

À¯¾ÆâÀÇ°úÇмÒÃ¥ÀÚ.PDF


식품의약품안전청, 우리집 식생활 안전 가이드 10 한국소비자원, 가정내 안전사고 위해정보 분석, 2011년 식품의약품안전청, 집단급식소 위생관리 매뉴얼, 2009년 한국소비자원, 가정내 어린이 중독사고 실태조사, 2003년 식품의약품안정청, 농촌진흥청, 알기 쉬운 독초

(1) 주간 : 그룹호출을통하여심폐소생술팀을일시호출한다. ( 가 ) 그룹호출내용 : CPR OO병동 OOO 호 OOO 환자 ( 나 ) 그룹호출범위 : 심폐소생술팀 ( 진료부전체 + 3A간호팀장 + AED 관리담당자 ) ( 다 ) 전산장애로인해그룹호출이어려운경우연락체계

내지(교사용) 4-6부

레이아웃 1

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10월추천dvd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KD hwp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30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NOON_Manaul_KOR


2019달력-대(판형키워)

나하나로 5호

CD 2117(121130)

CONTENTS 청소년수련활동안전매뉴얼활용안내 1 사고발생시대응절차 2 Ⅰ. 활동단계별안전관리체크리스트 3 1 활동계획단계 3 2 활동준비단계 4 3 활동실행단계 5 4 활동종료단계 6 Ⅱ. 활동운영시상황별대처요령 7 1 참여청소년및지도자부상 7 좌상, 염좌, 절상,

슬라이드 1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비상시국민행동요령교육교재개발 - 연구보고서

비전성남-8월호

장깨표지65


2019 주요업무추진계획

2007년 6월 고2 모의고사 국어,언어 문제.hwp

* pb61۲õðÀÚÀ̳ʸ

청소년 수상 안전사고 예방교육

스마트주택용분전반_160331


PERFORMANCE technology the all-new bmw 5 series. dynamic 06 business 14 comfort 20 safety 22 model LineuP 24 TecHnicaL data 26 bmw service 28 bmw kore

<5BC7D0B1B3BAB8B0C7C1F8C8EFBFF85D B3E2B5B520C1A63437C8A320C7D0B1B3BAB8B0C7BFACBAB85FB3BBC1F62E687770>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01. 마트에서의작업개요 01 마트에서의작업개요

ok.

4. 응급상황시업무분담 절차및업무분담 구분 상황 교장 교감 보건교사 담임교사 생활지도 ( 교무 ) 부장 기타 이송담당 행정담당 환자상태가위급하거나 중한외상이있는경우 의식장애, 호흡곤란, 약한맥박, 심정지, 다량출혈, 개방골절, 응급수술을요하는경우등 * 상황총괄 * 원인

Transcription:

학교생활 안전 매뉴얼

차례. 학교내활동 체육활동중사고 / 8 실험 실습활동중사고 / 9 외부인침입및정전 < 저녁돌봄교실 > / 0 승강기사고 /. 학교밖활동 실내체험활동중사고 / 산, 숲체험활동중사고 / 농촌및갯벌체험활동중사고 / 6 물놀이 수상활동중사고 / 7 놀이공원및야영장활동중사고 / 8 6 겨울철스포츠활동중사고 / 9. 폭력 학교폭력 / 성폭력 / 아동학대 / 유괴 / 집단따돌림 ( 일명왕따 ) / 6 6 자살징후 / 7 7 흉기위협 / 8 8 학교외부인침입 / 9. 교통사고 보행중교통사고 / 버스사고 / 전철 기차사고 / 항공기사고 / 선박사고 / 6 6 자전거사고 / 9. 감염및중독 감염병 / 식중독 / 유독물질중독 /

차례 6. 응급처치 응급상황대처및 9신고요령 / 6 더위로쓰러졌을때 / 7 코피가날때 / 8 화상을입었을때 / 9 상처에서피가날때 / 0 6 벌에쏘였을때 / 7 뱀에물렸을때 / 8 뼈가부러졌다고의심될때 / 9 이물질이목에걸렸을때 / 0 심장이멈췄을때 / 7. 자연재난 태풍 집중호우 / 8 산사태 / 60 홍수및침수 / 6 강풍 / 6 풍랑 / 6 6 지진 / 6 7 지진해일 ( 쓰나미 ) / 6 8 대설 / 66 9 폭염 / 67 0 황사 미세먼지 / 68 8. 비상사태 화재 / 70 옷에불이붙은상황 / 7 학교시설붕괴 / 7 민방공경보발령 / 7 포탄, 미사일, 항공기공격 / 7 6 화학무기공격및유해화학물질누출 / 76 7 생물학무기공격 / 78 8 핵무기공격 / 80

. 학교내활동. 체육활동중사고. 실험 실습활동중사고. 외부인침입및정전 ( 저녁돌봄교실 ). 승강기사고

체육활동중사고 체육활동 중사고가나면 실험 실습활동중사고 실험 실습 중사고가나면 즉시선생님께알린다. 다친학생은상처를함부로만지지않는다. 선생님의지시에따라 9 에신고하거나보건선생님께도움을청한다. 상처가난경우, 흐르는물로상처를씻어내고지혈한다. ( 응급처치 참고 P0) 즉시선생님께알린다. 선생님의지시에따라응급처치하고 9 에도움을청한다. 상처에이물질이박혀있고제거하기어려운경우에는그대로이송한다. 뼈가다친것으로보이는경우에는함부로이송하지말고구조구급대를기다린다. ( 응급처치 8 참고 P) 다친학생을함부로만지지않는다.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외부인침입및정전 ( 저녁돌봄교실 ) 외부인이침입하면 선생님께낯선사람이들어왔음을알린다. 선생님의지시에따라침착하고조용하게행동한다. 경찰관이도착하여대피할때에는신속하게움직인다. 선생님이계시지않으면 에신고하거나비상벨을누른다. 선생님께정전사실을알린다. 선생님의지시에따라대기한다. 어둠속에서대기하는동안에는되도록움직이지않는다. 전기제품을만지지않는다. 정전이되면 승강기사고 침착함을유지한다. 비상벨을눌러관리실로승강기에갇혔음을알린다. 승강기에갇혔을때 휴대전화가있을경우, 9 에전화한다. 구조요원이올때까지침착하게기다린다. * 추락위험이있으므로무리하게승강기문을열거나기대지않는다. 선생님이계시지않으면 ( 한전콜센터 ) 또는 9 에신고하여정전사실을알린다. 비상연락처 : ( 한전콜센터 ) 0 학교생활안전매뉴얼

. 학교밖활동. 실내체험활동중사고. 산, 숲체험활동중사고. 농촌및갯벌체험활동중사고. 물놀이 수상활동중사고. 놀이공원및야영장활동중사고 6. 겨울철스포츠활동중사고

실내체험활동중사고 실내체험활동중사고가나면 선생님이나담당자에게즉시알리고, 통제에따른다. 화재등위급한상황에서는소리를질러주변의도움을요청하거나대피한다. 산, 숲체험활동중사고 산행및숲체험활동 중사고가나면 선생님께알리고, 9 나국립공원관리사무소등에신고한다. 신고할때에는등산로국가지점번호, 다목적표지판, 휴대전화사진등을이용하여사고위치와주변환경을정확히알린다. 다친학생이생기면, 9 에신고하고응급처치를한다. 화재가발생하면젖은수건이나옷으로코와입을막고대피유도등을따라낮은자세로신속하게대피한다. 비상시에는엘리베이터를타지말고계단으로대피한다. 다목적표지판사진출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구조될때까지몸을따뜻하게유지하고의식을잃지않도록한다. 학교생활안전매뉴얼

농촌및갯벌체험활동중사고 농촌이나갯벌체험활동중사고가나면 물놀이 수상활동중사고 물놀이 수상활동중사고가나면 선생님이나주변어른들께즉시알린다. 위급한경우 9 에신고한다. 물에빠졌을때는 살려주세요 라고크게소리쳐서, 주변사람에게도움을요청한다. 팔을쭉뻗어서아래위로흔들며자신의위치를알린다. 벌레에물렸을때에는깨끗한물로씻어내고약을바른다. 발이갯벌에빠졌을때에는바닥에누워등을붙이고머리방향으로몸을밀어나온다. 갯벌에발이빠지면몸무게를분산시켜더빠지지않도록한다. 몸을물살과같은방향으로하여주변상황을살피면서물의속도가줄어들때까지몸을맡기고, 물의흐름에따라비스듬히헤엄쳐나온다. 쥐가나면몸의힘을빼고편한자세로다리를주무르거나엄지발가락을몸쪽으로잡아당긴다. 물에빠진사람을발견하면선생님이나안전요원에게소리쳐알리고장대나튜브등주위물건을던져준다.( 함부로물에뛰어들지않는다.) 보트가뒤집혔을때에는보트속에있지말고밖으로나온다.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놀이공원및야영장활동중사고 놀이공원및야영장활동 중사고가나면 탑승중인놀이기구가고장이나면, 함부로움직이지말고, 선생님이나안전요원에게알린후통제에따른다. 길을잃으면당황하지말고안내원이나주변의어른에게도움을요청한다. 6 겨울철스포츠활동중사고 스키, 눈썰매, 스케이트활동중사고가나면 충돌사고가나면선생님이나안전요원에게알리고안내에따른다. 뒤에오는사람과부딪쳐서 차사고가발생하지않도록사람이없는길바깥쪽으로이동한다. 넘어지거나떨어져서다친경우에는함부로움직이지말고도움을청한다. 넘어지거나부딪쳐서다친사람을발견하면함부로옮기지말고도움을청한다. 취사도구를사용하다가화상을입은경우, 흐르는찬물에식히고깨끗한거즈로덮고병원에서치료받는다.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 폭력. 학교폭력. 성폭력. 아동학대. 유괴. 집단따돌림 6. 자살징후 7. 흉기위협 8. 학교외부인침입

학교폭력 성폭력 학교폭력을당하거나목격하면 성폭력을당하면 선생님, 부모님, 7( 학교폭력신고 상담센터 ), 학교전담경찰관, 배움터지킴이등에게알려도움을받는다. 다른사람이몸을만지려고하거나만지라고하면, 그자리를벗어나서도와줄수있는사람이있는곳으로피한다. 성폭력피해에대해부모님이나선생님, 학교성고충상 담원 ( 보건선생님등 ), 899-07, 66 등으로전화하여전문기관의도움을받는다. 긴급상황시대처하는방법 ( 긴급호출등 ) 을미리알아둔다. 괴롭힘을당한증거 ( 욕설문자캡쳐등 ), 피해사실기록 ( 시간, 장소, 상황, 가해자등 ), 목격자증언, 병원진단서 ( 필요시 ) 등을확보한다. 양치, 세수, 목욕등몸을씻지말고병원에가서검사와치료를받는다. 피해당시입고있던옷이나증거물이될수있는물건들은세탁이나변형하지말고보관하였다가신고할때제출한다. 사이버상에서성폭력피해를당하거나목격했을경우 에는 나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에신고한다. 관련사이트 학교폭력예방종합포털 (www.stopbullying.or.kr) 청소년폭력예방재단 (www.jikim.net/sos) 안전 Dream 아동 여성 장애인경찰지원센터 (www.safe8.go.kr) 비상연락처 : 원스톱지원센터 해바라기여성아동센터 (899-07), 여성긴급전화 (66) 관련사이트 :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www.cyber88.kr) 학교생활안전매뉴얼

아동학대 유괴 학대를받으면 유괴위험을느끼면 학대를받은상황이발생하면강하게거부의사를표현하고, 주변사람에게도와달라고큰소리로외친다. 부모님허락없이다른사람이주는물건이나음식은거절한다. 학대사실을선생님등주변에알리고도움을요청한다. 학대를당한증거를확보하고피해사실을기록해둔다. 누군가같이가자고하거나자동차에타라고하면거절하고자동차의반대방향으로피한다. 다른사람에게개인정보 ( 이름, 연락처, 주소등 ) 를함부로알려주지않는다. 나 9로신고한다. 낯선사람이경찰이나선생님이라고하며도움을요청하거나같이가자고하면, 즉시휴대전화로부모님이나가족에게전화를걸어서확인한다. 억지로끌고가려고하면, 도와주세요 라고큰소리로외치며주변에도움을요청한다. 비상연락처 :, 9( 보건복지콜센터 ) 관련사이트 : 아동보호전문기관 (www.korea9.org) 비상연락처 : 관련사이트 : 안전 Dream 아동 여성 장애인경찰지원센터 (www.safe8.go.kr) 학교생활안전매뉴얼

집단따돌림 ( 일명왕따 ) 친구들로부터따돌림을당하면 6 자살징후 친구가자살발언을하면 집단따돌림에대해아무런조치를하지않을경우점점심해질수있으므로, 선생님또는부모님께사실을알리고상의한다. 자살관련발언과평소에다른행동을하는친구를주의깊게살펴본다. ( 시험을망치면죽겠다, 평소아끼는물건을준다등 ) 가해자, 가해자집단으로부터받은피해사실과증인으로부터정보를모은다. 침착함을유지하고선생님또는, 9 등에알린다. 혼자두지않도록최대한노력한다. 학생을위태롭게하는물건 ( 칼, 약품, 끈등 ) 을찾지못하게숨겨놓는다. 관련사이트 학교폭력예방종합포털 (www.stopbullying.or.kr) 청소년폭력예방재단 (www.jikim.net/sos) 안전 Dream 아동 여성 장애인경찰지원센터 (www.safe8.go.kr) 비상연락처 :, 9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7 흉기위협 8 학교외부인침입 흉기로위협하면 낯선사람이침입하면 침착함을유지한다. 외부인 ( 낯선사람 ) 의행동에주의를기울인다. 흉기로위협하는사람의지시를따르고, 자극하지않는다. 도망갈기회가생기면안전한곳으로피해선생님 또는 등에알린다. 칼등흉기를소지한것을보았다면위험하지않을경우에흉기를확보하여숨기도록한다. 선생님등에게외부인의행동을알린다. 외부인이선생님의지시또는안내에따르지않으면 에알린다. 외부인에게경찰에신고한사실을알린다. 외부인이도주하는것을무리하게막지않는다. 비상연락처 : 비상연락처 :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 교통사고. 보행중교통사고. 버스사고. 전철 기차사고. 항공기사고. 선박사고 6. 자전거사고

보행중교통사고 보행중교통사고를당하면 마음을침착하게가진다. 가벼운상처라도 에신고하고즉시선생님이나부모님께알린다. 차량번호를기억 ( 기록 ) 하고운전자등가해자의연락처를받는다.( 필요시목격자확보 ) 버스사고 버스이용중사고가나면 즉시부모님이나선생님, 주변어른들께도움을요청한다. 선생님이나보호자의안내를받아사고차량밖으로나와차량과 0m 이상떨어진안전한곳으로대피한다. 당장아프지않더라도병원에가서진찰을받는다. 버스에서급히탈출해야할경우, 버스안쪽벽에준비된비상탈출용망치로창문을깨고질서있게탈출한다. 전화기가없다면주변어른의도움을받는다.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 전철 기차사고 전철이나기차에서사고가나면 즉시선생님께알리고지시에따른다. 객실끝에있는비상통화장치로승무원에게도움을요청한다. 비상시출입문이열리지않으면비상열림장치를이용하여수동으로출입문을열고탈출한다. 문이열리지않으면비상용망치나소화기를이용하여유리창을깬다. 화재나가스가누출된경우에는코와입을옷소매등으로막고낮은자세로대피유도등을따라신속히대피한다. 지상으로대피하기어려울때는전동차진행방향터널로대피한다. 항공기사고 승무원의안내방송에따른다. 항공기에서사고가나면 비행중비상용산소마스크가내려오면착용한다. 충돌에대비하여좌석등받이를앞으로세우고안전띠를맨후, 허리를굽혀낮은자세를유지한다. 강이나바다에비상착륙하는경우에는승무원의안내에따라구명복을착용한다. 비상탈출용슬라이드사용시과감하게뛰어내리고, 모서리가날카로운물건을소지하지않는다. 물위에비상착륙후, 구명정이없다면서로팔을걸어동그라미형태의원을만들고구조를기다린다. 탈출후에는비행기에서멀리떨어진다. 학교생활안전매뉴얼

선박사고 선박에서사고가나면 출발전비상시대응요령및구명조끼사용법을알아둔다. 즉시선생님이나승무원에게사고를알린다. 승무원이나선생님의안내에따르되, 탈출이필요한상황인지주위상황을파악하여대처한다. 해양사고긴급신고는 문이열리지않으면비상용도끼로유리창을깬다. 배가기우는경우, 반대방향의제일높은곳으로이동한다. 비상시, 구명조끼를가지고선실밖으로나와퇴선이쉬운갑판에서대기한다. 구명정에타지못하고바다로뛰어들었을경우, 몸을웅크리고주변에사람들과모여체온을유지한다. 방수복이있으면방수복을입은후에구명조끼를입는다. 퇴선명령이내려지면, 구명조끼를입고구명정에신속하게승선한다. 선박의상황에따라비상시행동요령이달라지므로해당선박의상황에맞춰행동한다.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구명조끼착용법 자신의신체사이즈에맞게구명조끼를선택한다. 가슴조임줄을풀어준다. 구명조끼를몸에걸친다. 6 자전거사고 사진출처 : 국민안전처자전거를타다사고가나면 자전거관련신고가났을때는, 응급상황시 9 로신고한다. 가슴단추를채운다. 인 조로가슴조임줄을당겨준다. 가능한범위내에서응급처치를실시한다. 6 생명줄을다리사이로뺀다. 7 생명줄을건다. 사고가발생한경우목격자를확보하고가해자 ( 또는피해자 ) 의연락처를받는다. 8 구명동의 ( 조끼 ) 착용완료 자전거는자전거전용도로, 공원, 놀이터, 학교운장등안전한장소에서탄다. 방수복착용법 자전거를탈때는안전모와보호장구를반드시착용한다. 다리부터끼워넣는다. 구명조끼를착용한다. 다리부터물에들어간다. 자신의몸에맞는자전거를선택한다.( 또는몸에맞게조정한다.) 출발하기전자전거점검 ( 손잡이, 안전등 ) 을실시한다.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 감염및중독. 감염병. 식중독. 유독물질중독

감염병 식중독 감염병이의심되면 식중독이의심되면 감염병증상 ( 발열, 두통, 설사, 발진, 물집, 눈가려움증등 ) 이나타나면선생님또는부모님께알린다. 보건소또는병원을방문하여진료를받고결과를선생님께알린다. 선생님의지도에따라학교에가지않는다. 식중독증상 ( 음식을먹은후설사, 복통, 구토, 발열등 ) 이나타나면선생님또는부모님께알린다. 보건소또는병원을방문하여진단과치료를받는다. 식중독환자는완전히나을때까지치료상태를선생님께알린다. 기침과재채기를할때, 코와입을휴지나소매로가린다. 다른사람에게전염되지않도록마스크를쓰고, 되도록사람이모이는곳에가지않는다. 비상연락처 : 해당학교, 관할시 군 구 ( 보건소 ) 및교육청 관련사이트 : 질병관리본부 - 감염병관리 (www.cdc.go.kr/cdc) 비상연락처 : 해당학교, 관할시 군 구 ( 보건소 ) 및교육청 관련사이트 : 식중독예방대국민홍보사이트 (www.mfds.go.kr/fm) 학교생활안전매뉴얼

유독물질중독 유독물질에중독된사람을발견하면 즉시 9 에신고하고선생님께알린다. 중독의원인으로보이는약물통이나토사물을발견했을때는 9 구조대원에게알린다. 6. 응급처치 일부러토하게하지않는다. 중독원인으로보이는약물통에는직접손대지말고 9 구조대원에게알려수거하도록한다.. 응급상황대처및 9신고요령. 더위로쓰러졌을때. 코피가날때. 화상을입었을때. 상처에서피가날때 6. 벌에쏘였을때 7. 뱀에물렸을때 8. 뼈가부러졌다고의심될때 9. 이물질이목에걸렸을때 0. 심장이멈췄을때

응급상황대처및 9 신고요령 응급상황이생기면 더위로쓰러졌을때 더위로쓰러지면 당황하지말고침착하게신고한다. 9 신고내용. 사고의내용, 사고발생장소 ( 친구가 OOO 에있는미끄럼틀에서떨어졌어요. ). 부상자의상태 ( 의식이없어요. ). 부상자수, 성별, 연령 ( 살여자어린이에요. ). 신고하는사람의이름과전화번호, 주소 ( 저는 이고, 전화번호는 000-0000 번이에요. 위치는 구 동 번지 초등학교입니다. ) * 구급차가도착하기전까지는 9 로부터부상자에대한도움을받을수도있으므로전화를끊지않는다. 9 에서알려주는대로응급처치를한다. 선생님께알린다. 되도록편안한자세로안정을취하도록한다. 몸을조이는옷과장신구등을느슨하게풀어준다. 의식이있는경우 통풍이잘되는그늘로옮긴다. 옷을벗기고찬물수건으로몸을감싸거나찬물을뿌린후, 에어컨과선풍기를틀어체온을내린다. - 얼굴이창백한경우머리를다리보다낮게하여쇼크를예방한다. -" 구토증세가있을시수분보충금물 " 체온이내려가면이온음료를마시게해서수분을보충한다. 의식이없는경우 9 에구급차를요청한다. 심폐소생술을실시한다.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코피가날때 코피가나면 화상을입었을때 뜨거운것에의해화상을입으면 고개를아래로숙이게한다. * 고개를뒤로젖힐경우피가기도로넘어갈수있다. ~0 분간코뼈바로아래부분을세게누른다. 흐르는물로 분정도식혀준다.( 화상부위에화끈거림이느껴지지않을때까지식혀준다.) 상처에항생제연고나화상용연고를바르고, 소독한거즈나깨끗한천으로덮어준다. * 화상부위가넓거나상처가깊다면병원에간다. 탈지면이나깨끗한휴지로코피가나는코속을막고, 필요시이마와코사이 ( 콧등 ) 에냉찜질을한다. 출혈이심한상처부위는심장보다높게올린다. 출혈이멈추지않으면가까운병원에서치료를받는다. 화학물질로인한화상은 9 또는인근병원에응급처치방법을확인후지시에따른다.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상처에서피가날때 6 벌에쏘였을때 상처에서피가나면 벌에쏘이면 일회용장갑을끼고, 소독한거즈나깨끗한천으로상처부위를완전히덮는다. 피가멈출때까지세게누르고, 상처부위는심장위치보다높게올린다. 생리식염수또는비눗물로상처부위를깨끗이씻는다. 붓거나가려움이있으면냉찜질을한다. 항히스타민제연고를바른다. 상처치료용거즈위에붕대를세게감고, 병원에간다. 벌침이남아있을경우응급처치후곧바로병원에 가거나 9 에도움을요청한다. 0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뱀에물렸을때 뱀에물리면 8 뼈가부러졌다고의심될때 뼈를다치면 9 에도움을요청한다. 9 에도움을요청한다. 뱀에물린부위를생리식염수나흐르는물에비누로부드럽게씻어준다. 탄력붕대는물린부위에서 Cm 위쪽으로 ( 심장방향 ) 손가락한개가들어갈정도로감아준다. 손상부위를심장보다낮게하고, 몸의움직임을최소화하여신속히병원에간다. 뱀의생김새를기억하여의사에게알린다. 칼로상처를절개하거나뱀에물린상처를빨아내지않는다. 뱀에물린부분을많이움직이지않도록한다. 피가나지않으면, 부목을사용하여가볍게붕대를감는다. 피가나면, 지혈후에압박붕대로감고부목으로고정시킨다. 병원에간다. 상처부위를함부로만지거나환자를함부로옮기지않는다. 특히목이나척추에이상이의심되는경우에는그대로둔다. 상처부위에서열이나면냉찜질을하여통증과부종을완화시키면서병원으로데려간다.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이물질이목에걸렸을때 0 심장이멈췄을때 이물질이목에걸리면 쓰러져호흡이없으면 9 에도움을요청한다. 환자의의식이있을때에는, 뒤에서서허리를팔로감싼후, 환자의다리사이에치료자의다리를넣고고정한다. 한손으로주먹을쥐고다른손으로는주먹을감싸배꼽위와가슴뼈바로아래에둔다. 팔꿈치를구부리면서복부를주먹으로빠르게 번위로밀쳐올린다. 회마다상태를확인한다. 의식을확인한다. - 어깨를두드리며 괜찮아요? 라고묻고환자의반응을살핀다. 9 에신고한다.( 주변에사람이있으면 9 신고와자동제세동기를요청한다.) 환자를평평한바닥에눕히고환자가슴옆에무릎꿇는자세를취한다. 가슴중앙에한손의손바닥을대고그위에다른한손을겹쳐, 분당 00 회의속도로 (cm 깊이 ) 심폐소생술을실시한다. 6 이물질이나올때까지계속하고, 의식이없다면심폐소생술을실시한다. 가슴압박 0 회실시후, 인공호흡을 회실시한다. ( 인공호흡을하기어렵다면가슴압박만실시한다.) 정확한동작으로시행하도록하고흉곽 ( 가슴 ) 을건드리지않도록주의한다. 이물질이더이상내려가지않도록등을두드리거나물을마시게하지않는다. 6 9가도착하거나의식이있을때까지실시한다. 자동제세동기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전기충격을통해심장의기능을회복시키는장치 전원버튼을누르고설명에따라처치한다.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자연재난. 태풍 집중호우. 산사태. 홍수및침수. 강풍. 풍랑 6. 지진 7. 지진해일 ( 쓰나미 ) 8. 대설 9. 폭염 0. 황사 미세먼지

태풍 집중호우 태풍및집중호우가발생하면 6 7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임시휴업을하는지학교에확인한다. 등교하기어려우면담임선생님께알린다. 등 하교할때에는저지대나상습침수 ( 예상 ) 지역을피하여다닌다. 건물내에있을때강풍에대비하여유리창과출입문을닫는다. 학교안내에따라외부활동을하지않고안전한건물내부에머문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 로신고한다. 등 하교할때피해야할곳 - 축대벽 (* 옹벽 ) 주변 * 흙이무너지는것을방지하기위해돌, 벽돌등으로설치하는구조물 - 공사장, 하천, 배수로주위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고압전선근처, 돌출된간판, 길가에세워진간판 낙뢰시에는건물내부나저지대로대피한다. 물이새는곳이나파손된곳을발견하면선생님께알린다. 태풍 집중호우시에는산사태, 홍수및침수, 강풍, 풍랑이함께일어날수있으므로상황별행동매뉴얼을확인하고행동한다. 비상연락처 : 9 관련사이트 : 국민안전처 (www.mpss.go.kr) 국가재난정보센터-재난대비 (www.safekorea.go.kr)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자연재난 (www.ndmi.go.kr) 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9

산사태 산사태가일어나면 홍수및침수 홍수가발생하거나침수가시작되면 경사진곳에서흙탕물이솟아오르고나무가기울어지면, 산사태가일어날수있으니신속히대피하고선생님과주변에대피사실을알린다. 선생님의안내에따라행동한다. 등 하굣길에산사태위험지역이있는경우에는안전한길로돌아서다닌다. 미처피하지못했으면큰나무뒤또는튼튼한건물에숨는다. 산사태로인하여갇힐경우 9 또는 688-9 로구조를요청한다. 비상연락처 : 9, 688-9( 산림항공구조대 ) 관련사이트 : 산림청산사태경보시스템 - 산사태예상지역 확인 (sansatai.forest.go.kr)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높은곳으로대피한다. 지정된대피소에도착하면부모님, 선생님께도착사실을알리고대피소운영진 ( 담장자 ) 안내에따른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 로신고한다. 평소에대피장소와침수되지않는대피로를미리알아둔다. 홍수로침수되었던도로를이용하지않는다. 전선이나플러그가침수된곳은피한다. 60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

강풍강풍이발생하면 풍랑 풍랑이발생하면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문과창문을닫고, 움직이지않도록고정시킨다. 유리창이파손되면위험하므로두꺼운테이프, 안전필름등을유리창과새시, 새시와창틀이흔들리지않도록부착한다. 강풍에의해날리는물건과쓰러진전봇대나나무로인해다칠수있으므로바람이약해질때까지실내에머문다. 바닷가지역의학생들은평소에대피장소와대피경로를파악해둔다. 풍랑주의보및경보가발령되면바닷가에접근하지않는다. 실내에머문다. 위험한상황으로생각되면선생님께알리고선생님의안내에따라대피한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로신고한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 로신고한다. 전봇대나고압선에가까이가지않는다.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

6 지진 7 지진해일 ( 쓰나미 ) 지진이발생하면 전원을신속하게차단하고출입문을열어둔다. 진동이멈출때까지책상밑으로들어가머리를보호한다. * 진동이멈추면학교안내에따라건물밖으로대피한다. 대피할때에는책가방, 방석등으로머리를보호한다. 건물밖에있는경우에는인근건물이붕괴될수있으므로공터로대피한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 로신고한다. 엘리베이터를타지말고계단을이용한다. 지진해일이발생하면 바닷가에서진동을느끼거나경보방송을들으면안내에따라즉시대피한다. 바닷가에서는높은곳으로빨리대피한다. 짐이나옷을챙기려고시간을허비하지않는다. 구조가필요한상황에는 9 로신고한다. 지진해일의전조증상이보이면선생님과주변에알려빨리대피하도록한다. - 위아래로움직이는해수면 - 유난히부글거리는바다거품이밀려옴 - 해안가로부터바닷물이빠져바닥이드러남 - 갑자기바닷물이없어지면서물고기떼가바닥에흩어짐 바닷가에서학습활동을하는경우, 지진해일대피장소를미리알아둔다. 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

8 대설대설이발생하면 9 폭염 폭염이발생하면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임시휴업을하는지확인한다. 등교하기어려운상황이면선생님께알린다. 옷을따뜻하게입는다. 주머니에손을넣지않고장갑과미끄러지지않는신발을착용한다.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임시휴업을하는지학교에확인한다. 얇은옷을착용하고, 모자나양산으로햇볕을가린다. 걸을때보폭을좁게하고바닥을보며걷고, 현관과계단에서는난간을잡고이동한다. 6 젖은옷과신발은완전히말린후착용한다. 건널목, 도로주변, 경사지에서는자동차에주의한다. 지붕에눈이많이쌓여붕괴위험이있는건물에들어가지않는다. 눈이많이쌓인경사면주변 ( 건물지붕포함 ) 과위험지역 ( 미확인지역, 맨홀, 공사장등 ) 에가까이가지않는다. 6 7 바깥활동시자외선차단제를골고루자주바른다. 한낮 (~ 시경 ), 쉬는시간이나점심시간에오랜시간밖에있지않는다. 땀이많이나는운동은하지않는다. 물을많이마셔서탈수증을예방한다. 6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7

0 황사 미세먼지 황사 미세먼지가발생하면 방송매체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전화등 ) 를이용하여기상상황을확인한다. 임시휴업을하는지학교에확인한다. 8. 비상대피 창문을닫고바깥활동을줄인다. 실외에서는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옷을착용한다. 6 손과발을자주씻고, 양치질을한다. 눈을만지지않으며, 눈이가려울경우에는깨끗한물로씻거나인공눈물을사용한다.. 화재. 옷에불이붙은상황. 학교시설붕괴. 민방공경보발령. 포탄, 미사일, 항공기공격 6. 화학무기공격및유해화학물질누출 7. 생물학무기공격 8. 핵무기공격 6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69

화재 불이야 라고큰소리로외쳐선생님과다른사람에게알린다. 화재경보비상벨을누르고, 9 에신고한다. 화재가발생하면 비상대피로를평소에확인한다. 문을열기전에손가락두개나손등으로문손잡이를만져보고뜨거우면문을절대열지않는다. 선생님의안내에따라질서있게신속히밖으로대피한다. 연기속을통과할때에는물에적신수건이나옷으로입과코를막고몸을낮추어대피한다. 불길속을통과할때에는물에적신담요나수건등으로몸과얼굴을감싼다. 비상연락처 : 9 관련사이트 : 국민안전처 - 국민행동요령 (www.mpss.go.kr) 연기가있다면, 방향을잃지않도록벽을더듬으며대피한다. 엘리베이터를타지말고비상계단을이용한다. 아래층으로내려가기어려우면옥상으로대피하고구조를요청한다. 밖으로나온뒤에는다시안으로들어가지않는다. 70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옷에불이붙은상황 학교시설붕괴 옷에불이붙으면 건물안에있을때 일단그자리에멈춰선다. 두손으로얼굴을가리고바닥에엎드린다. 6 주변을살펴몸을피하거나외부로나가는길을찾는다. 건물에서나가기어려우면단단한기둥을붙잡고있는다. 건물잔해에몸이끼어움직이지못할때에는혈액순환 을위해서손가락과발가락을수시로움직인다. 불필요하게힘을쓰지말고구조를기다린다. 파이프등의물건으로벽이나 바닥을규칙적으로두드려외부에 알린다. 9 에신고한다. 건물밖에있을때 불이붙은부분을바닥에대고불이꺼질때까지좌우로뒹군다. 사고현장에다가가지않는다. 파편이튀어다칠수있으므로가방, 책등으로머리를보호하며건물로부터멀리떨어진다. 7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민방공경보발령 민방공경계경보가울리면 포탄, 미사일, 항공기공격 포탄및미사일, 항공기공격을받으면 경계경보 : 분동안울리는사이렌 ( 음의높낮이가일정, - - - - -) TV, 라디오방송을듣거나학교안내에따라대피할준비를한다. 야간에는학교의통제에따라전등을끄거나커튼을쳐서빛이밖으로새어나가지않도록한다. 포탄및미사일이떨어지는소리가나면즉시엎드린다. 책가방이나안전모등을이용하여머리를보호한다. 고막이파열되지않도록귀를막고손으로눈을덮고입을조금벌린다. 민방공공습경보가울리면 공습경보 : 분동안울리는사이렌 ( 음의높낮이가있음, ~~~~~) 학교의안내에따라대피장소로대피한다. 대피한뒤에도방송을들으면서학교의안내에따라행동한다. 포성이멈추면재빨리튼튼한건물구석이나지하로몸을숨긴다. 관련사이트 : 국가재난정보센터 (www.safekorea.go.kr) 7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

6 화학무기공격및유해화학물질누출 화학무기공격을받거나유해화학물질이누출되면 건물의높은곳이나고지대로대피한다. 바람방향으로오염물질이퍼지므로학교의안내에따라바람을거슬러이동하여대피한다. 실내에서는바깥공기가 들어오지않도록출입문과 창문을닫고, 에어컨과 환풍기를끈다. 방독면을착용하고맨살이오염물질에노출되지않도록비닐비옷, 비닐장갑또는고무장갑을착용한다. * 방독면이없는경우커다란투명비닐봉투를뒤집어쓰고가까운대피장소로대피 바람방향 공격지역 대피장소 오염예상지역 학교 오염물질로의심되는것이피부에묻으면우선흐르는물에 분이상대고있다가병원에서진료를받는다. 6 오염된옷은벗어서플라스틱용기나비닐등에넣고밀봉처리한다. 오염물질이묻었을때문지르지않는다. 불산, 염소가스등유해물질누출사태에도같은방법으로대처한다. 76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7

7 생물학무기공격 생물학무기공격을받으면 의심물질및오염자와는절대접촉하지말고, 마스크나손수건등으로항상코와입을보호한후대피한다. 모르는사람이보냈거나의심스런물건을받으면열어 보지말고,, 9 등에신고한다. 대피후에는안전지역에서예방접종을하고의사의진찰을받는다. 몸을깨끗이씻고, 옷을햇볕에 말리는등개인주변위생관리를 철저히한다. 학교에서주는급식이외의음식을섭취하거나음료, 물을마시지않는다 78 학교생활안전매뉴얼 79

8 핵무기공격 핵무기공격을받으면 학교안내에따라대피시설등으로대피한다. 핵무기공격중에는시력을잃지않도록폭발지점을보지않고, 몸을숨길수있는곳 ( 배수로, 콘크리트시설물등 ) 으로즉시대피한다. 낙진위험예상지역내에있는학교는폭발지역으로부터멀리떨어진안전한지역으로대피한다. 바람방향 폭발지역 낙진위험예상지역 학교 대피장소 폭풍이지나가고파편물낙하가멈출때까지손으로눈과귀를막고입은벌리며, 배가바닥에닿지않도록엎드려있는다. 실외에서는방독면이나방진마스크, 장갑등을착용하고, 비닐옷등으로몸을덮어보호한다. 80 학교생활안전매뉴얼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