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imilar documents
한국학 온라인 디지털 자원 소개

hwp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학 온라인 디지털 자원 소개

3. 교과과정표 일반전공 과목 구분 학제간과목 (3) 원전자료해독능력배양교과목 (1) 전공이론심화와연구역량제고를위한교과목 (11) 전통의현대화와미래지향을위한교과목 (6) 현장학습과목 (2) 연구참여과목 (2) 외국인학생을위한전공과목 (2) 국문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Ⅰ

2016남서울_수시모집요강_단면.pdf


PDF_Compass_32호-v3.pdf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SIGIL 완벽입문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ë¾È°ø°£º»¹®_0827

Windows 8에서 BioStar 1 설치하기

Ⅱ-1. 한국디지털인문학의성장배경 1) 김현 디지털인문학은정보기술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의도움을받아새로운방식으로수행하는인문학연구와교육, 그리고이와관계된창조적인저작활동을말한다. 2) 연구방법의혁신뿐아니라

allinpdf.com

¸Þ´º¾ó-ÀÛ¾÷5

2ÀåÀÛ¾÷

슬라이드 제목 없음

3. 교과과정표 일반전공 과목 1) 디지털인문학 구분 학제간과목 (3) 원전자료해독능력배양교과목 (1) 전공이론심화와연구역량제고를위한교과목 (11) 전통의현대화와미래지향을위한교과목 (6) 현장학습과목 (2) 연구참여과목 (2) 외국인학생을위한전공과목 (1) 국문정보화를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건 학 정 신 나는 이 집에 온 젊은이들에게 이 나라를 키우신 위대한 선인들의 거룩하신 뜻 자기의 이익보다 나라의 이익을 먼저하였고 자기의 명예보다 겨레의 명예를 먼저 높인 그 뜻과 공적을 가리키고 아울러 인류문화를 높인 세계만방의 지혜와 영혼을 높여 그들이 찬란한 새

Microsoft Word - USW 英語課清單 Fall 2009

AT_GraduateProgram.key

³»ÁöinÇ¥Áö

01_총람0320

CONTENTS 숭실사이버대학교 소개 총장 인사말 교육이념 및 비전 콘텐츠의 특징 숭실사이버대학교 역사 숭실사이버대학교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숭실사이버대학교 학과 소개 1 1 학과 소개 30 연계전공 & 신 편입생 모집안내 숭실사이버대학교 C


01 01NEAR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KCC2011 우수발표논문 휴먼오피니언자동분류시스템구현을위한비결정오피니언형용사구문에대한연구 1) Study on Domain-dependent Keywords Co-occurring with the Adjectives of Non-deterministic Opinion

2010희망애뉴얼

2013 <D55C><ACBD><C5F0><BC31><C11C>(<CD5C><C885>).pdf

4-Ç×°ø¿ìÁÖÀ̾߱â¨è(51-74)

#반룡리_본문

( ),,., ,..,. OOO.,, ( )...?.,.,.,.,,.,. ( ),.,,,,,.,..,

¨è ¿¬Â÷º¸°í¼Ł³»Áö-1 PDF

?

CC hwp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유한표지F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수 영문교과목명 현대독일미학Ⅱ 3 3 Contemporary German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Ⅰ 3 3 Contemporary French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


Microsoft PowerPoint - 3장-MS SQL Server.ppt [호환 모드]

07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3635B1E8C1F8C7D02E485750>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09오충원(613~623)

untitled

214호 내지_최종.indd

세종대 요람

DBPIA-NURIMEDIA



- 4 -

¼�È«¼® Ãâ·Â

SQL Developer Connect to TimesTen 유니원아이앤씨 DB 기술지원팀 2010 년 07 월 28 일 문서정보 프로젝트명 SQL Developer Connect to TimesTen 서브시스템명 버전 1.0 문서명 작성일 작성자

* pb61۲õðÀÚÀ̳ʸ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04 특집

<3231C3A4C8F1C5C22E687770>

01정책백서목차(1~18)

국제무역론-02장

자궁내막증 진단과 추적에서의 혈액 표지자의 유용성

1. 경영대학

152*220


Microsoft PowerPoint Android-SDK설치.HelloAndroid(1.0h).pptx

,, ,

KERIS 종합목록입력지침 -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통합서지용 보완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hwp

?


Microsoft Word - src.doc

- 2 -

<43494FB8AEC6F7C6AE5FB0F8B0A3C1A4BAB85FBCF6C1A42E687770>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30315FB1E2C8B9B3EDB4DC B0A1C0BBC8A3295FB1E8C1DFC8A32E687770>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untitled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Microsoft Word - ntasFrameBuilderInstallGuide2.5.doc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 10:00 ~ 14() 18:00 ( ) [] [] [] [] [] 1

Untitled-1

지도학발달06-7/8/9장

iii. Design Tab 을 Click 하여 WindowBuilder 가자동으로생성한 GUI 프로그래밍환경을확인한다.

untitled

한국학 온라인 디지털 자원 소개

커버콘텐츠

untitled

<30352D30312D3120BFB5B9AEB0E8BEE0C0C720C0CCC7D82E687770>

Transcription:

Ⅰ. 디지털인문학이란무엇인가?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이란디지털로표현하고디지털로소통하는이시대에인문지식이더욱의미있게탐구되고가치있게활용되도록하려는노력이다. 1) 디지털인문학의함의는무엇이며, 디지털인문학활동을통해얻고자하는것은무엇인가? Ⅰ-1. 디지털인문학의함의 디지털인문학이란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의도움을받아새로운방식으로수행하는인문학연구와교육, 그리고이와관계된창조적인저작활동을일컫는말이다. 이것은전통적인인문학의주제를계승하면서연구방법면에서디지털기술을활용하는연구, 그리고예전에는가능하지않았지만컴퓨터를사용함으로써시도할수있게된새로운성격의인문학연구를포함한다. 단순히인문학의연구대상이되는자료를디지털화하거나, 연구결과물을디지털형태로간행하는것보다는정보기술의환경에서보다창조적인인문학활동을전개하는것, 그리고그것을디지털매체를통해소통시킴으로써보다혁신적으로인문지식의재생산을촉진하는노력등이 디지털인문학 이라는새로운조어의함의라고할수있다. 2) Ⅰ-2. 디지털인문학의배경 1) 세계의디지털인문학 미국에서는이탈리아의예수회신부로베르토부사 (Roberto Busa, 1913~2011) 가토마스아퀴나스 (Thomas Aquinas) 의저작을중심으로하는 1) 미국의인문학재단 (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 이 2008 년디지털인문학지원단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을설치하고각대학의디지털인문학연구에대한지원을강화하면서, 디지털인문학은미국뿐아니라세계대학의새로운관심사로부상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인문학연구와교육의새로운활로를모색하고자하는인문계연구자들이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를결성하는등 (2015 년 5 월 ) 디지털사회에서인문학의기능을제고하는방법을찾고있다. 2) 김현, 디지털인문학 : 인문학과문화콘텐츠의상생구도에관한구상, 인문콘텐츠 29 (2013) - 1 -

중세라틴어텍스트 1,100만단어의전문색인을전자적인방법으로편찬한것 (1949~1974) 을디지털인문학의시작으로보고있다. 3) 이를계기로인문학연구의새로운방법에눈을뜨게된연구자들은컴퓨터의활용을여러방면으로모색하기시작했다. 이방면의선도적인노력가운데하나는인문학지식을담은텍스트를전자적으로기술하기위한마크업언어의개발이다. 1987년인문학재단의지원으로시작된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기반의인문지식전자텍스트기술언어 TEI(Text Encoding Initiative) 의개발연구는 1990년에초안을발표한이후 2007년까지지속적으로확장되면서인문학텍스트를전자적인연구자원으로전환하는일을선도하였다. 초기에는컴퓨터를인문학연구에활용하려는시도가 인문학전산화 (Humanities Computing), 또는 전산인문학 (Computational Humanities) 이라는이름으로, 텍스트및언어자원의색인 통계처리를위주로하였으나, 정보기술환경의급속한진화와더불어그활용범위를데이터베이스와멀티미디어, 그리고대규모원시데이터에서전자적인방법으로의미있는사실을찾아내는데이터마이닝 (Data Mining), 그결과를그래픽으로보여주는시각화 (visualization) 로까지넓혀갔다. 4) 로베르토부사 (Roberto Busa, 1913~2011) 5) 전통적인인문학과디지털기술의교섭이더이상데이터의양적처리에만 3) Susan Schreibman, Ray Siemens, John Unsworth, A Companion to Digital Humanities (Oxford: Blackwell, 2004) 4) 김현, 디지털인문학 : 인문학과문화콘텐츠의상생구도에관한구상, 인문콘텐츠 29 (2013) 5) 사진출처 : http://stephenramsay.us/2011/08/11/father-roberto-busa/ - 2 -

머물지않는다는것을주목한일군의연구자들은 인문학전산화 (Humanities Computing) 를대신하는표현으로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이라는용어를사용하였다. 6) 이새로운조어는 2006년미국인문학재단의기획연구사업의이름 (Digital Humanities Initiative) 으로채용되었고, 이것이 2008년인문학재단의정규사업단중하나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로편제되면서 디지털인문학 은디지털환경에서의인문학연구와교육을지칭하는이름으로자리잡게되었다. 2) 한국의디지털인문학 로베르토부사의토마스아퀴나스콘코던스 (Thomas Aquinas Concordance) 에비견되는우리나라디지털인문학의효시는에드워드와그너 (Edward Wagner, 1924~2001) 의문과프로젝트라고할수있다. 미국하버드대학의동아시아언어문명학과교수를역임한에드워드와그너는미국과서유럽의역사학계에서한국사연구를선도한학자로잘알려져있다. 와그너교수는 1967년에하버드대학교옌칭연구소의지원을받아그의한국인동료송준호교수와함께문과합격자명부인 문과방목 ( 文科榜目 ) 데이터를디지털데이터베이스로편찬하는프로젝트 (Munkwa Project) 에착수하였다. 7) 와그너와송준호는이프로젝트를통해 14,600명의문과합격자와그의가까운친족 ( 부, 조, 외조, 장인 ) 에관한데이터 ( 본관성씨, 관직, 거주지등 ) 를컴퓨터에입력하고이를종합적으로분석하였다. 여러가지기술적인어려움에도불구하고이와같은방식의연구를수행하고있는이유에대해와그너교수는다음과같이말하였다. 역사연구를위해컴퓨터를사용하는데에는근본적인이유가있습니다. 컴퓨터는이미인 류의삶의일부가되었고앞으로더욱그러할것이기때문입니다. 컴퓨터를이용한연구에종 사하는것은우리로하여금우리의미래에더욱다가갈수있게하는것입니다. 8) 6) 2004 년 Susan Schreibman, Ray Siemens, John Unsworth 는 A Companion to Digital Humanities (Oxford: Blackwell, 2004) 를공동으로편찬하였다. 이책은종래 인문학전산화 (Humanities Computing) 라고불리던학술활동의확장된개념으로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이라는용어가쓰이게하는데기여하였다. 7) Kim Sun Joo Edward W. Wagner and His Legacy: Toward New Horizons i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The Wagner Fiftieth Appointment Anniversary Special Lecture,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September 29, 2008) 8) Edward Wagner, "Problems in the Computerization of Materials in the Korean Studies Field: A Report on the Munkwa Project", 한국학자료의전산화연구 (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3 -

에드워드와그너 (Edward Wagner, 1924~2001) 와그너 - 송문과데이터. 한자대용으로중국의전신부호계사용. 한국의인문학자들로하여금와그너가말한 컴퓨터의도움을받는연구 (Computer-assisted Research) 에다가가게한사건은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의전문을데이터베이스에수록한 조선왕조실록 CD-ROM 편찬이었다. 1992년에착수하여 1995년 10월에첫선을보인이디지털편찬물의간행은대한민국인문학정보화의효시이자가장커다란파급효과를가져다준획기적인사업이었다. 9) 9) 최희수, 디지털인문학의현황과과제, 소통과인문학 13 (2011) - 4 -

국역조선왕조실록 CD-ROM 초판패키지 조선왕조실록데이터베이스는국내외의한국사연구자들, 특히조선시대사연구자들에게는필수적인연구도구가되었다. 검색 이라고하는제한된기능만을제공하는시스템이었지만, 데이터의양이워낙방대했기때문에기사탐색에많은시간을소비해온조선시대사연구자들은이 CD-ROM을통해인문학연구환경의변화를실감할수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의디지털화는조선시대사연구라는학술분야뿐아니라역사지식을대중적인문화상품의창작에활용하는데기여하였다. 어떤의미에서는교양서적저술가와 TV 방송프로그램제작자, 연극극작가등이디지털조선왕조실록의최대수혜자였다고할수있다. 예전같았으면조선시대사전공자가아니고서는찾아낼수없었던그시대의세세한일들을누구나찾아볼수있게된것이다. 10) 디지털조선왕조실록은인문지식이일반인들도즐길수있는다양한문화상품의소재가될수있다는사실과디지털기술이그것의가교역할을할수있다는사실을일깨웠다. 이러한인식은우리나라대학의인문학연구자들사이에서도확산되어갔고, 그연장선상에서 인문콘텐츠학 과 인문정보학 이라는새로운학술활동이시작되었다. 디지털기술의활용을통해 학술 과 창작 사이에놓였던 지식소통의장벽 을해소하고자한시도는우리나라 인문학정보화 의특징적인면모의하나이다. 이것은 1990년대말부터우리나라가범국가적차원에서정보산업과문화콘텐츠산업의진흥을위해다각적인정책을펼친것에도그원인이있다 10) 김현,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 and Cultural Informatics, 인문콘텐츠 10 (2007) - 5 -

고할수있다. 11) 이러한배경에서발전해온한국의디지털인문학은전문적인학술연구만이아니라인문지식을대중화하여유용하게쓰일수있게하는것, 그리고그와같은일을수행할수있는응용인문학인력을양성하는데에도관심을두고있다. Ⅰ-3. 디지털인문학연구개발사례 디지털인문학이라고할수있는연구활동의구체적인내용은세계여러나라의대학에 디지털인문학연구센터 (Center for Digital Humanities) 또는이와유사한이름으로설치된조직에서수행하는연구개발프로젝트와그산출물을통해살필수있다. 디지털인문학프로젝트는교양적수준의인문지식교재개발에서부터고도의정보처리기술을동원한빅데이터분석에이르기까지매우다양한성격을드러낸다. 디지털인문학은인문학분야의새로운분과학문이아니라, 인문학을연구하고교육하는방법상의혁신을지향하는것이기때문에연구의범위나주제를어느특정한영역에한정하기는어려울것이다. 다양한성격의연구개발프로젝트가운데디지털인문학에대한이해를넓히는데도움이될만한몇가지사례를살펴보기로한다. 1) 문화의시각화 미국의메사추세츠공대 (MIT) 에서수행하는 문화의시각화 (Visualizing Cultures) 프로젝트는 이미지가이끄는학술 (Image Driven Scholarship) 을표방하는디지털환경의인문교육교재개발사업이다. 12) 역사적사실에관한그림, 사진등의이미지자료를디지털영상으로제작하고, 13) 영상자료의구석구석에담긴지식의모티브를찾아학술적인설명을부가하는방법으로 11) 김현, 문화콘텐츠, 정보기술플랫폼, 그곳에서의인문지식, 철학연구 90 (2010) 12) Visualizing Cultures: http://ocw.mit.edu/ans7870/21f/21f.027/home/index.html,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3) Visualizing Cultures 프로젝트에서활용하는이미지는대부분미국과일본의유명박물관에서유물로보존하고있는것들이다. 이러한희귀자료에대한접근성과활용성을높이는것도이프로젝트가지향하는목표가운데하나이다. 이미지자료제공기관 : Arthur M. Sackler Gallery / Smithsonian Institution /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 Honolulu Academy of Arts / Hood Museum of Art, Dartmouth College / Museum of Fine Arts, Boston / Peabody Essex Museum / Ryosenji Treasure Museum / Shiseido Corporation / Smith College Museum of Art - 6 -

시각적인스토리텔링을구현하고있다. 이저작물은모두월드와이드웹 (World Wide Web) 을통해공개되고있으며 MIT의온라인교육프로그램으로활용되고있다. 중국광동무역의흥망 (Rise & Fall of the Canton Trade System), 흑선과사무라이 (Black Ship & Samurai) 등 20개주제에관한 45개의코스웨어유닛이만들어져있는데, 흥미로운사실은그것이모두아시아의근대에관한내용이라는것이다. MIT의 Visualizing Cultures Project는 2010년부터예일대학 (Yale University) 의동아시아학위원회 (Council of East Asian Studies) 와함께 Visualizing Asia in the Modern World 라는이름의컨퍼런스를개최해오고있다. 14) 시각적인자료를통해아시아의역사와문화를연구한것이나아시아의문화와자연을담은멀티미디어데이터베이스등이이컨퍼런스를통해소개되고있는데, 이러한주제들은앞으로 문화의시각화 (Visualizing Cultures) 에관한또다른연구프로젝트로발전해갈것으로예상된다. Visualizing Cultures 15) 14) Visualizing Asia in the Modern World: http://www.visualizingasia.com, 이컨퍼런스는 2010 년에시작하여해마다열리고있으며, Yale, Harvard, Princeton 세대학이각각의연차대회를주관하고있다. 15) http://ocw.mit.edu/ans7870/21f/21f.027/home/index.html - 7 -

2) 편지공화국의지형도 편지공화국의지형도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16) 는미국의스탠포드대학에서수행한디지털인문학프로젝트이다. 편지공화국 (Republic of Letters) 이란 17, 18세기유럽과미국에서원거리편지교신으로지식과감성의공감대를형성해온문화적공동체를지칭하는표현이다.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는볼테르 (Voltaire), 라이프니츠 (Leibniz), 루소 (Rousseau), 뉴턴 (Newton), 디드로 (Diderot) 등계몽주의시대의인물들이남긴수많은편지의발신지와수신지, 발신날짜로기록된공간, 시간정보를시각적으로재현한다이내믹디지털콘텐츠이다.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17) 예시화면에서보이듯이특정시간대에주고받은편지의수발신위치가세 계지도상에표시되고있다. 이네트워크그래프의한노드를클릭하면그것에 해당하는편지의목록이나오고, 다시클릭하면개별편지의내용을확인할수 16)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http://republicofletters.stanford.edu/, Stanford University 17) http://www.stanford.edu/group/toolingup/rplviz/rplviz.swf - 8 -

있게된다. 이러한수준의고기능멀티미디어데이터베이스의구현은시각화기술만으로이루어질수없으며, 그내용을이루는인문학적콘텐츠가존재해야가능한일이다. 이와같은지리적시각화프로젝트가가능했던것은방대한규모의유럽계몽기편지데이터베이스가인문학자들에의해먼저구축되었기때문이다.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에서사용한모든데이터는영국의옥스퍼드대학에서만든 Electronic Enlightenment 18) 데이터베이스에서끌어온것이다. 이데이터베이스는 17세기초에서 19세기중반까지약 200년의기간동안 7,476명의사람들에의해쓰인 60,647건의역사적인기록물을담고있다. 단순히원문을디지털화한데그치지않고, 본문에 270,000여건의주석을부가하고, 관련있는사람들을연결시키고, 중요한키워드는옥스퍼드인명사전등 50여개의다른데이터베이스에하이퍼링크로연결되도록하였다. 3) 런던사람들의생활 디지털인문학적연구성과로주목받는또하나의인문지식데이터베이스는영국셰필드대학과허트포드셔대학이편찬한 런던사람들의생활 (London Lives) 19) 이다. 이곳에는 1690년부터 1800년사이에영국런던거주민의삶에관계된고문서 240,000여건이집적되어있다. 20) 교회교구의기록물을비롯해범죄와재판에관한기록, 병원의진료기록과검시보고서, 상공인조합의기록, 빈민구제에관한기록등이다. 이데이터속에는모두 3백 35만개의인명이포함되어있는데, 데이터베이스편찬자는그가운데동일인물들을추적하여 18세기런던의하층민으로살았던수많은사람들의생애를재구성할수있게하였다. 이데이터베이스의효용을가늠하는사례로, 그속에서찾은한고아소년에관한기록을살펴보기로하자. 18) Electronic Enlightenment Project: http://www.e-enlightenment.com/, Bodleian Libraries, University of Oxford 19) London Lives, 1690~1800: http://www.londonlives.org, version 1.1, 24 April 2012 20) London Lives 는런던시의 8 개아카이브에소장된자료를담은 15 개기존데이터베이스를이용하여만들어졌다. - 9 -

John Conway는 1775년 6월 7일 St. Clement Danes 교구회에맡겨졌다. 교구기록에는그의나이가 3년 6개월이고, 글을읽고주기도문을욀수있다고적혀있었다. 간호사 Hill이주급 2실링 6펜스를받고그를보육하였다. 1778년 John은가난한소년들에게일거리와숙식을제공하는구빈원 ( 救貧院 ) 으로옮겨진다. ( 이때그의나이는 2살이늘어난 8살로기록된다.) 그는이곳에서걸레에쓰는실을짜는일을했다. 교구의도제등록부에의하면, John은 1783년 8월 30일 Essex 지방의 Barking에사는어부 Morris Jones의도제 ( 徒弟 ) 로보내진다. 이때만들어진고용계약서에는 7주후에마스터인 Morris Jones가 2파운드를받고, 3년간의고용기간이만료되면 2파운드 2실링을더받는것으로되어있다. John은 3년동안일한후에옷한벌을받기로하였다. 1785년 4월 18일에 John은다시 St. Clement Danes 구빈원의명부에올랐다. 하지만 4월 22일에열린입원자격심사에서그가도제생활을한지 9달만에도망쳤던사실이드러나입원이거부되었고, 다음날그는 Barking으로추방되었다. 1786년 3월 15일, John은 14살이라고나이를속이고다시구빈원에들어오려고했지만, 이번에도심사를통과하지못했다. 3월 17 일, 존은다시 Barking으로돌려보내졌다. 21) London Lives, 1690~1800: www.londonlives.org 21) London Lives: http://www.londonlives.org/static/conwayjohn1775-1786.jsp - 10 -

London Lives 연구는 고문서 로분류되는옛기록물의데이터베이스가단순히문서의보존을위한장치에머물지않고새로운지식을발견하는유용한수단으로활용될수있음을잘보여주고있다. 그유용한활용은디지털기술의도움만으로가능한것이아니며, 미세한데이터의조각에서의미있는사실의실마리를발견하는인문학적인식견과통찰이필요한일이다. 4) 노예해방의시각화 노예해방의시각화 (Visualizing Emancipation) 는미국남북전쟁기간동안 400만명의흑인노예해방의시간적, 공간적추이를시각적으로탐색할수있게한데이터베이스편찬프로젝트이다. 미국리치몬드대학디지털인문학센터에서미국인문학재단 (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 NEH) 의디지털인문학프로그램의지원을받아수행되었다. 미국역사상 가장극적인사회변화 라고일컬어지는노예해방은어느한시점에전국적으로이루어진사건이아니다. 남북전쟁기간동안정부의정책, 북군과남군의지역별전투및해당지역의점령상황, 또한각지역의노예제농장과그곳흑인노예들의저항과대립, 전투참여등에따라다양한양상으로전개되었는데, 이연구는노예해방과관련된그같은다양한사건들의정보를세밀하게수집, 정리하여전자적인데이터베이스로편찬하였고, 이를통해미국의노예제종식과정에어떠한패턴이있는지를발견할수있게하였다. 시각화된데이터는구글어스 (Google Earth) 에서열람할수있도록 KML(Keyhole Markup Language) 22) 파일로제공하고있다. 이것은연구자들은위한자료로서뿐아니라, 학생들을위한교육자료, 일반인들을위한교양정보로도활용되고있다. 22) KML(Keyhole Markup Language): 구글어스, 구글지도에서지리적위치와관련정보를표현할수있도록하는 XML 기반의전자지도스크립트언어 - 11 -

Visualizing Emancipation Project (Map of Slavery s end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23) 5) 중국역대인물데이터베이스 중국역대인물데이터베이스 ( 中國歷代人物傳記資料庫, China Biographical Database, CBDB) 는미국하버드페어뱅크중국학연구센터, 타이완중앙연구원역사언어연구소, 중국북경대학교중국고대사연구센터가공동으로편찬하였다. 1995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수를역임한미국의중국학자 Robert M. Hartwell이작고하였을때, 그가남긴유산에는중국의역대인물 25,000명의신상과가계정보디지털데이터가포함되어있었다. CBDB는하트웰의데이터를토대자료로삼아서편찬된인물정보중심의중국학연구데이터베이스이다. 23) Visualization of Emancipation: http://dsl.richmond.edu/emancipation/ - 12 -

CBDB: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24) CBDB 데이터는 7~12세기에중국에서활동한인물 360,000명에관한신상정보 ( 이름, 생 / 몰년, 별명, 임관, 출생 / 거주지, 저술등 ) 를기본정보로수록하고있으며, 여기에더하여그인물들사이의친속관계와사회관계를기술하는정보를제공하고있다. 특히인물들사이의사회적관계는학문적관계, 정치적관계, 경제적관계를포함하는 500가지이상의관계성으로상세하게정보화함으로써그시대중국사회주요인물들의사회적관계망을시각화하고다양한관점에서분석할수있는길을열어주고있다. 24)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http://isites.harvard.edu/icb/icb.do?keyword=k16229-13 -

CBDB 데이터를이용한중국인물의사회적관계망시각화예시 CBDB는이데이터를중국학연구에관심을갖는연구자들이응용할수있도록다양한접근경로를열어두고있다. 중국학에관한다른연구프로젝트나일반사용자들을위한정보서비스목적으로, 온라인상에서 CBDB 데이터를끌어쓸수있게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25) 를제공할뿐아니라이데이터베이스의전체데이터를다운로드받을수있도록허용하고있다. 현재미국, 유럽, 타이완의여러대학과연구기관에서이데이터를이용한 2차적연구성과를월드와이드웹상에서제공하고있다. 26) 6) 조선시대표류기록의시각화 조선시대표류노드시각망은조선시대에발생한표류사건의기록을토대로, 표류인들의해상 육상이동경로와그들이겪은일에대한정보를멀티미디어데이터베이스로편찬한연구결과물이다. 이프로젝트는우리나라연구재단에서 2014년에처음으로시행한디지털인문학연구지원사업의일환으로수행되었다. 27) 25)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자신의프로그램이나데이터베이스조작을온라인상의외부시스템에서할수있도록제공하는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 26) CBDB API: http://isites.harvard.edu/icb/icb.do?keyword=k16229&pageid=icb.page649231-14 -

이연구는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변례집요( 邊例集要 ), 표인영래등록 ( 漂人領來謄錄 ), 제주계록( 濟州啓錄 ), 표해록( 漂海錄 ) 등조선시대의표류사건에관한기사를담고있는문헌을검토하여, 표류인물, 출해목적, 표류원인, 표류기간, 표류경로, 표착지점, 송환경로, 송환시기 등의미있는정보요소를추출하고, 그결과를시각적데이터관계망및이동경로가표시된전자지도로표현한것이다. 문헌자료에서추출한표류사건기록은위키 (Wiki) 문서로작성하여웹상에서열람할수있게하였으며, 하나의표류안에서발생한작은사건들, 표류및송환과정에서거쳐간지역들, 표류선원들과그들이만난인물들, 표류선원을취조한조선및외국의기관등을정보개체로설정하고이것들사이의상관관계를네트워크그래프로시각화하였다. 아울러표류및송환과정에서의이동경로를구글어스상에서보여주는전자지도, 제주도와대마도의해안지역중표류사건의출해지및표착지로추정되는곳의모습을보여주는 3D 영상자료등이이연구의결과물데이터베이스에포함되어있다. 이연구는종래텍스트자료의조사정리형태로만이루어지던고문헌기록연구의결과를다양한형태로시각화할수있는가능성과함께이를통해연구결과에대한이해와활용을증진시킬수있음을보이는사례이다. 조선시대표류노드시각망 ( 표류사건관계망 ) 28) 27) 이연구를위한연구팀은연세대학교, 선문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의연구진이공동으로구성하였다. - 15 -

조선시대표류노드시각망 ( 표류및송환경로전자지도 ) 28) 조선시대표류노드시각망 : http://www.digerati.kr/mediawiki/index.php/ 표류 _ 노드 _ 시각망 - 16 -

7) 문중고문서시맨틱아카이브 문중고문서시맨틱아카이브구축연구는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인문학교실에서수행하고있는조선시대고문서데이터활용에관한연구이다. 이기관의고문헌아카이브장서각 ( 藏書閣 ) 에소장된조선시대문중고문서를대상으로하는이연구는 고문서 라는실물을아카이빙하는방법이아니라, 그문서안에기술된내용을데이터로다루는방법을제시하기위한것이다. 디지털환경에서디지털기술로, 고문서에적힌글의내용을분석하고, 새로운의미를찾아그것을재구성하는방법을찾고자한것이다. 29) 이연구는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고문서자료관에서디지털사본을서비스하는 65개문중고문서중에서재산상속내용을담은분재기류문서, 재산상속사실을증빙할목적으로작성된소지, 입안류의문서, 토지와노비의매매를증빙하는명문, 현금을차용하고발급한차용증등을분석대상으로삼고있다. 이와함께디지털적연구틀의다른한축으로삼는것은그문중의가계계승기록인족보이다. 문중고문서에기록된다양한사건의주체는대부분그문중의구성원들이다. 따라서고문서에나타난인물들의혈연관계를보여주는족보데이터가고문서의내용정보와연계됨으로써그들이살아온모습을더선명하게드러낼수있게된다. 이프로젝트의연구자들은연구대상으로삼은고문서와족보에서인물, 문서, 내용, 토지, 노비등의지식요소들을추출하여범주화하고, 각범주에속하는개체들이서로에대해어떠한관계를맺고있는지조사하여그결과를데이터베이스속의데이터로기술하였다. 이러한방법을통해독립적으로존재하던개개의문중고문서들은그내용요소들사이의관계성으로인해커다란의미적관계망으로묶이게된다. 29) 김현, 류인태, 관계의발견을위한디지털스토리텔링데이터모델, 한국고문서정서 역주및스토리텔링연구 - 2015 년연구보고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2015); 김하영, 門中古文書디지털아카이브구현연구 ( 한국학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2015) - 17 -

그래프데이터베이스를활용한고문서내용분석및시각화 30) 30) http://digerati.aks.ac.kr/paper/paper2015-3/2015-12- 부안김씨.htm -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