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로구윤보선길 12( 안국동 170, 172 번지 ) 신축부지내유적시굴조사약보고서 2014. 4.
Ⅰ. 조사개요 1. 조사명 : 서울종로구윤보선12( 안국동 170, 172번지 ) 신축부지내유적시굴조사 2. 조사지역 : 서울시종로구윤보선12 ( 안국동 170, 172번지 ) 일원 3. 조사기간 : 2014년 4월 14일 ~ 2014년 4월 30일 ( 현장조사 2일 ) 4. 조사면적 : 310.6m2 5. 조사기관 : ( 재 ) 겨레문화유산연구원 6. 조사단구성 조사단장 : 신창수 ( 겨레문화유산연구원원장 ) 책임조사원 : 박종규 ( 겨레문화유산연구원책임연구원 ) 조 사원 : 박햇님 ( 겨레문화유산연구원연구원 ) 준조사원 : 김진운 ( 겨레문화유산연구원연구원 ) Ⅱ. 조사경과 1. 조사목적서울시종로구윤보선12 ( 안국동 170, 172번지 ) 일원신축부지에대하여공사에앞서발굴 ( 시굴 ) 조사를실시하여향후개발로인해발생할수있는매장문화재의훼손을사전에방지하고개발과유적보존의효과적인조화방안을수립하고자함. 2. 조사경과당해지역은 2011년서울특별시의주관아래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과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이실시한 <4대문안문화유적보존방안연구사업 > 결과, 시굴조사필요지역으로설정되어있다. 경복궁 ( 사적제117호 ), 운현궁 ( 사적제257호 ) 등많은유적이매우인접하여위치해있으며, 반경 300m 이내의안국동주변일대에서기실시된시 발굴조사에서도조선시대전기 ~ 일제강점기의건물지유구와도 자기및기와등의유물이상당량출토된바있다. 〇발굴 ( 시굴 ) 조사허가 : 2014. 04. 14 ( 문화재청허가제 2014-0347 호 ) 〇발굴 ( 시굴 ) 조사착수 : 2014. 04. 14 ( 겨레문화유산연구원 ) - 1 -
사진 1. 조사지역일원항공사진 도면 1. 조사지역위치 (1:25,000 편집 ) - 2 -
Ⅲ. 유적의입지및환경 1. 자연 지리적환경 조사지역이속해있는종로구는서울특별시의총 25개구 ( 區 ) 중한강이북, 서울시의중북부지역에해당하며동경 126 5 9, 북위 37 24 에위치한다. 종로구의동 -서간거리는 6.066km, 남-북간거리는 7.299km이고총면적은 24.01m2로서울시전체면적 605.2km2의 3.95% 를차지하고있다. 남쪽으로청계천을경계로중구와접하고동쪽으로는난계로 ( 蘭溪路 ) 와신설동로터리를경계로동대문구가자리하도면 2. 서울시행정구획도고, 북악터널과낙산성곽을경계로성북구가있으며의주로를경계로서쪽에서대문구가있으며북쪽에있는북한산남장대는경기도고양군과경계하고있다. 1) 종로구는백악산을주산 ( 主山 ) 으로하여동쪽에타락산, 서쪽에인왕산, 남쪽으로는청계천이동류하고있어전체적으로북악산사면의말단부로북고남저 ( 北高南低 ) 지형이다. 이에최저점인청계천연안과최고점인북한산남장대 (716m) 와의고도차이가무려 700m 이상차이나며대보화강암의침식및풍화작용으로형성된전형적인화강암산지로분지지형이다. 이를기준으로서울시중심부를관류하는청계천은충적층이발달한남부의저지와북부의험준한산지지형으로나눌수있는데대체로종로구의남부지역은청계천이동류하면서형성된범람원에해당하는저지대이다. 따라서종로구는평탄한충적지의발달과교통발달에유리한지형에위치해있다. 조사지역이속한돈의동일원은서울분지중앙에위치한청계천에인접하고있으며삼청동에서발원하여청계천으로흐르는회동제생동천과파자교동천이지나는곳에위치한다. 따라서이들하천의영향으로형성된충적층이발달하였다. 1) 종로구청환경위생과, 2005, 종로환경백서, 36 쪽 - 3 -
2. 고고 역사적배경 서울은북한산, 백악산으로이어지는산세와청계천, 한강으로둘러싸인배산임수의지리적조건을바탕으로역사적환경이이루어졌다. 서울에서확인되는선사시대의유적은대부분한강변과그지류인중랑천, 성내천, 탄천, 양재천가까이에분포하고있다. 인하대학교박물관에소장되어있는 1976년서대문무악산에서출토된사냥돌유물과같은해서대문부근에서출토된주먹도끼 2) 외에도빗살무늬토기가출토된암사동유적등이신석기시대대표유물과유적지라고할수있다. 청동기시대유적으로는 1958년조사된성북구정릉동지석묘가있으며, 2003년에는서울역사박물관에서조사한서대문구안산유물산포지에서소량의무문토기편이확인되었다. 3) 삼한ㆍ삼국시대에들어서는진국 ( 辰國 ) 과마한 ( 馬韓 ) 그리고초기백제 ( 初期百濟 ) 가한강유역을바탕으로등장한다. 삼한사회는 군장사회 ( 君長社會 ) 로발전하게되는데종로구지역과관련되는것으로마한 54국중하나인백제국 ( 伯濟國 ) 을들수있다. 4) 한성시대 ( 기원전 18 475년 ) 로대별되는한성백제의주요유적으로는풍납토성 ( 사적제11호 ), 몽촌토성 ( 사적제296호 ), 석촌동적석총 ( 사적제243호 ) 과방이동고분군 ( 사적제270호 ) 등이다. 5) 이후한강유역은고구려, 백제, 신라삼국의영토전쟁격전지가되었다. 개로왕 21년 (475) 장수왕은한성을함락하고한강일대에 북한산주 를설치, 이후 77년간통치하였으며진흥왕 11년 (550) 에 나제동맹군 에의해한강유역을점령하였으나결국신라에복속된다. 이들지역을삼국통일의전진기지로삼아신라는중국과적극적인교섭을시작할수있었으며결국한반도에서주도권을차지하고삼국을통일하게되었다. 신라경덕왕이후한양군으로불리던지금의서울지방은고려초기양주 ( 楊州 ) 로불렸다. 고려성종 2년 (983) 전국에 12목을설치하고중앙에서처음으로지방관을파견하였는데이때에양주목 ( 楊州牧 ) 으로승격, 고려문종 21년 (1067) 삼경제 ( 三京制 ) 가실시되면서남경이설치되었다. 남경개창후 9년만에양주로환원되었으나숙종대에다시남경으로승격된다. 이후조선초기태조, 태종, 세종대를거치면서조선왕조의기틀과함께한성부의구성도완성되었다. 도성의도로체계뿐만아니라전국의통신제도를한성부중심으로개편함으로써정치, 군사, 경제, 문화의중심지가되었다. 태조 3년 (1394) 한양으로천도하여이듬해 6월 6일에는한양 ( 漢陽 ) 을한성부 ( 漢城府 ) 로고쳤으며 9월에는종묘 ( 宗廟 ), 사직 2) 이경수, 2005, 서울지역선사유적의조사현황, 서울특별시문화유적지표조사종합보고서 Ⅰ, 99 쪽 3) 이경수, 앞의책, 114 쪽 4) 鍾路區, 1994, 鍾路區誌 ( 上卷 ), 72 73 쪽 5) 서울특별시서울역사박물관, 앞의책, 32 쪽 - 4 -
( 社稷 ), 궁궐을완성하였다. 태조 5년 (1396) 에는백악산, 타락산, 목멱산, 인왕산을연결하는약 18km도성을쌓았으며한성부의행정구역을 5부 52방 ( 동부 12방, 남부 11방, 서부 11방, 북부 10방, 중부 8방 ) 으로하였으며, 이외에도관아와시전, 도성과문묘, 교량의축조등조선초기왕도로서의면모를갖추어나갔다. 조선전기한성부의인구는세종때의기록을보면도성안에 10만명이넘고, 성저십리지역에 5천명이상의대략 11 만명정도의인구가살고있었다. 6) 임진왜란이후한성부는도성의모든시설이불타고파괴되었으나광해군집권기로부터궁궐과많은건물들이증축되어점차적으로왕도로서의면모를갖추기시작했다. 조선후기에들어오면서한성은상업도시로탈바꿈하는경향을띤다. 특히 17세기후반이후상업의발달에따라교통로의발달이이루어졌으며 18세기이후경강상인을중심으로한상업의발달은한성부의도시구조를변화시켰다. 16세기와비교해보아인구가 20만을헤아리게되었고, 종루의시전상점과아울러칠패, 베오개시장은도심의 3대시장으로자리잡았다. 1876년개항이후한성부는급속한근대사회로의이행중심지가된다. 1910년한일합방과부령 ( 府令 ) 제7호 (1910년 10월 1일공포 ) 에인하여한성부가경성부 ( 京城府 ) 로개칭되었으며, 1911년 4월 1일에는부령제 31호로경성부의행정조직이도성을기준으로성안은 5부 36방으로성밖은 8면으로하는 5부 8면제를시행함에따라지금의종로구지역은중부 8방과동부의 2방이해당된다. 7) 1936년총독부령 8호로경성부의구역확장과구제 ( 區制 ) 가실시되면서종로구와중구가신설되었다. 또한소의문 ( 서소문 ), 돈의문 ( 서대문 ), 혜화문, 경희궁등이차례로철거되는등 500여년간이어져내려온도성의모습은사라지게된다. 1945년해방이후주변국가의동포와북한주민들이남하하여서울등대도시에거주하게되면서서울의인구는급격하게늘어났다. 1945년부터미국과소련의군정속에서미군정에의해 서울시헌장 등이발표되어 1946년 9월서울은특별시로승격되었고 10월동리제가시행되었다. 1948년남한단독정부수립과 6.25동란 등으로휴전이성립되는 1953년까지중앙정부의행정력은미비하여정부에의한수도서울의정비는없었다. 전후상당수가서울에정착하였고이때부터서울의인구가급격히증가한다. 특히, 1960년대부터매년급속도로경제성장이이루어져인구의도시집중은심화되었으며종로구일대는급속히발전하게되었다. 그후서울개발과확장으로종로와세종로일대는중심업무지역으로, 중앙정부의행정과상업의중심지로발전하고있다. 6) 서울특별시서울역사박물관, 앞의책, 34 쪽 7) 鍾路區, 앞의책, 606 쪽 - 5 -
도면 3. 도성대지도(1770년대) 조사지역 일원 도면 4. 수선전도(1861년) 조사지역 일원 - 6 -
도면 5. 경성시가도 (1927 년 ) 조사지역일원 도면 6. 조사지역일원일제 (1912 년지적원도 ) 현재지적중첩도 - 7 -
3. 주변유적 도면 7. 조사지역주변문화재분포현황 - 8 -
표 1. 조사지역주변문화재분포현황표 1 안동별궁지 2 유적명위치시대종목분류 종로구인사동석장생 서울특별시종로구안국동 175- 서울특별시종로구관훈동 118-2 3 재동백송서울특별시종로구재동 83 조선시대 조선시대ㆍ궁궐터 현대ㆍ제의유적 천연기념물제 8 호 노거수 4 안국동윤보선가서울종로구안국동 8-1 외조선시대사적제 438 호유적건조물 5 감고당지 서울특별시종로구안국동 37-1 조선시대 ㆍ 위인선현유적 6 종친부지 7 한성도서주식회사지 서울특별시종로구소격동 165 서울특별시종로구견지동 32-3 조선시대사적제 461 호관아건축 조선시대ㆍ근대건축터 8 서울우정총국서울종로구견지동 397 조선시대사적제 213 호우정 9 충훈부지 서울특별시종로구관훈동 130-3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10 천도교중앙대교당서울종로구경운동 88 근대 / 일제강점기시도유형문화재제36호 민족종교 11 경운동민병옥가옥서울종로구경운동 66-7 근대 / 일제강점기시도민속자료제15호 가옥 12 서울운현궁 서울종로구삼일대로 460 ( 운니동 ) 조선시대 사적제257호 궁궐터 13 운니동김승현가 14 제생원지 서울종로구운니동 114-33 서울특별시종로구계동 140-2 조선시대 시도민속자료제 19 호 가옥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15 서울관상감관천대서울종로구원서동 206 조선시대보물제 1740 호천문관측 16 계동궁지 17 경우궁지 18 구민형기가옥 19 가회동한씨가옥 20 가희동백인제가옥 21 서울재동초등학교 22 23 24 종로구화동회화나무 ( 서1-7) 종친부경근당과옥첩당종로구화동회화나무 ( 서1-20) 서울특별시종로구계동 143-1 서울특별시종로구계동 146-1 서울특별시종로구계동 105 서울특별시종로구가회동 178 서울특별시종로구가회동 93-1 서울특별시종로구가회동 210 조선시대ㆍ궁궐터 조선시대ㆍ누정 조선시대ㆍ가옥 조선시대 시도민속자료제 14 호 가옥 조선시대ㆍ가옥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서울특별시종로구화동 2 조선시대ㆍ노거수 서울특별시종로구화동 2 서울특별시종로구화동 138-32 조선시대 시도유형문화재제 9 호 관아건축물 조선시대ㆍ노거수 - 9 -
25 구경성의학전문학교부설병원 26 사간원지 27 한성부북부관아지 28 사간동건물지 29 경복궁 30 동십자각 31 중학당지 32 사포서지 33 용동궁지 34 수송동목은선생영당 35 보성사지 36 조계사 서울특별시종로구소격동 165 서울특별시종로구사간동 62-1 서울특별시종로구사간동 78 서울특별시종로구사간동 112 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로 1-1 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로 1-58 서울특별시종로구중학동 83-7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85-1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80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91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80-7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44 37 조계사대웅전서울종로구수송동 44 조선시대 38 평화당 39 수진궁지 40 수진측량학교지 41 구조선일보사옥 42 동헌필방건물 43 죽동궁지 44 순화궁지 서울특별시종로구견지동 59-1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51-8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51-8 서울특별시종로구견지동 111 서울특별시종로구공평동 9 서울특별시종로구관훈동 198-1 서울특별시종로구인사동 194-27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조선시대사적제 117 호궁궐 조선시대ㆍ관아건축물 조선시대ㆍ유교건축터 조선시대ㆍ관아건축터 조선시대ㆍ궁궐터 조선시대ㆍ유교건축물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터 근대 / 일제강점기ㆍ사찰 시도유형문화재제 127 호 불전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조선시대ㆍ궁궐터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터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조선시대ㆍ궁궐터 조선시대ㆍ궁궐터 45 관립교동소학교서울특별시종로구경운동 2 근대 / 일제강점기ㆍ근대건축물 46 대빈궁지 47 금위영지 서울특별시종로구낙원동 58-8 서울특별시종로구운니동 98-5 조선시대ㆍ궁궐터 조선시대ㆍ군영건물터 48 비변사지서울특별시종로구와룡동 5 조선시대ㆍ관아건물터 49 통례원지 50 종부시지 51 관상감지 52 창덕궁 서울특별시종로구와룡동 133 서울특별시종로구와룡동 139 서울특별시종로구원서동 230 서울종로구율곡로 99 ( 와룡동 ) 조선시대ㆍ관아건물터 조선시대ㆍ관아건물터 조선시대ㆍ관아건물터 조선시대사적제 122 호궁궐 - 10 -
도면 8. 조사지역주변문화재조사현황 - 11 -
표 2. 조사지역주변문화재조사현황표 유적명 소재지 시대 성격 출 전 미대사관관사건물의기초부분 8동, 건물지 29동, 연도 2기 서울종로송현동 49-1 번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송현동 49-1 번지일원 조선 ~ 근대 / 일제강점기, 방지 1기, 담장 5기, 축대 6 기, 배수로 4기, 우물 3기, 조선식산은행도로 8기, 호안석축 1 기, 석축 1기, 미상석렬 3기등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 2011, 서울송현동유적 서울관훈동복합시설신축공사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관훈동 155-2 번지일원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2, 조선 ~ 근대 / 일제강점기건물지 22동, 우물 3기등서울관훈동복합시설신축부지발굴조사약식보고서 북촌한옥 ( 백인제가옥 ) 연못터 서울특별시종로구가회동 93-1 번지 근대 / 일제강점기 추정연못터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 2011, 북촌한옥 ( 백인제가옥 ) 연못터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가회동 93-3 번지외건물신축부지내유적 서울종로가회동 93-3 번지일원 ㆍ 유적없음 ( 재 ) 고려문화재연구원, 2012, 서울시종로구가회동 93-3 번지문화재발굴 ( 시굴 ) 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가회동 192 번지한옥증축공사부지내유적 서울종로가회동 192 번지일원 ㆍ 유적없음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종로가회동 192 번지한옥증축부지내유적시굴조사약식보고서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건립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소격동 165 번지일대 조선 ~ 근대 / 일제강점기 건물지 22 동, 담장 9 기, 구들 4 기, 아궁이 3 기, 도로 2 기, 석렬 11 기등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종친부터유적 태고종전통문화전승관신축공사부지내유적발굴조사보고서 서울종로중학동 62 번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사간동 112 번지일대 서울특별시종로구중학동 62 번지일원 조선시대 조선시대 우물 1 기, 적심석군 건물지, 중학천호안석축, 석축, 배수로, 유물, 미상유구등 상명대학교박물관, 2005, 서울종로구한국불교태고종전통문화전승관신축부지문화유적발굴조사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09, 종로중학구역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발굴조사약보고서 서울중학동한국일보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중학동 14 번지일원 ( 재 ) 고려문화재연구소, 2009, 조선 ~ 근대 / 일제강점기우물지 2기, 건물지, 적심등서울중학동한국일보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 연합뉴스사옥재건축부지 서울특별시종로구수송동 85-1 번지일원 조선 ~ 근대 / 일제강점기 건물지 7 동, 담장 1 기, 석렬 3 기, 적심 1 기, 석축 2 기등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수송동유적 서울종로경운동 22 번지도시형생활주택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경운동 22 번지 ㆍ 유적없음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2, 서울종로경운동 22 번지도시형생활주택부지내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세무서재건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낙원동 58-8 번지일원 근대 / 일제강점기 소로 1기, 석축 1기, 초석 4기등 ( 재 )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낙원동 58-8 번지유적 서울종로익선동 46 47 번지내호스텔신축부지내유적 서울종로운니동 45-2 번지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종로익선동 46 47 번지일원 서울특별시종로구운니동 45-2 번지 ㆍ역사시대미상 유적없음 석렬 1 기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1, 명동성당종합계획 (1 단계 ) 신축공사부지매장문화재발굴조사약식보고서 ( 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종로운니동 45-2 번지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약식보고서 - 12 -
Ⅳ. 조사내용 1. 조사지역및조사과정 조사지역은서울특별시종로구안국동 170. 172번지로전체면적이 310.6m2이다. 조사지역일원은북촌한옥마을내남서쪽경계부에위치하며, 대규모의재개발사업이이루어지지않아서대부분목조혹은조적조의소규모건물이자리잡고있고, 상업시설이밀집해있어유동인구가많은곳이다. 사업시행자는대상지에근린생활시설을신축하고자계획하였으며, 조사지역은서울시의 4대문안문화유적보존방안 에의해문화재시굴조사대상지역으로설정되어건축공사이전에시굴조사를실시해야하는지역이었다. 이에사업시행자는문화재청의허가 ( 제2014-0347호 ) 를받아, 우리연구원에시굴조사를의뢰하였고, 2014년 4월 16일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조선시대한양도성의중심에자리하고있다. 서쪽으로경복궁이위치하는데, 경복궁과의사이에종친부지, 사간원지, 한성부북부관아지, 감고당지, 안동별궁지등의다수의관청터가분포하고있고, 송현동일대발굴조사에서조선시대유적이조사된바있다. 남쪽의율곡로일대에서도다수의발굴조사가이루어져조선시대유적들이확인된바있다. 특히안동별궁은본래조선성종대에연경궁이위치하던곳으로, 고종 17년 (1880년) 에왕실의가례를위해지어진별궁으로, 소로를사이에두고위치하고있어 ( 현풍문여고경내 ) 조사지역역시관련유적이존재할가능성이있는지역이다. 금번조사지역에는북쪽에지상2층규모의조적조건물이자리잡고있고, 대부분지역이주차장으로쓰이다가신축공사를위해철거된상태로, 지표층에는철거과정에서생긴폐기물들이흩어져있는상태였다. 시굴조사는조사지역남쪽과북쪽에평행이되도록동서방향의시굴갱 2개소를설치하였고, 시굴갱의규모는대상지역면적의 10% 에해당하는약 30m2정도를조사하는것으로계획하였다. 다만조사과정에서 1번시굴갱은서쪽일부를확장하였다. 대부분의구역이교란이심한상태여서평면상에서확인하기가쉽지않았지만, 유구부존이확인되지않는층위는자연퇴적층까지하강하는것을원칙으로진행하였고, 평면및단면상에서유구의부존여부및층위양상을확인하였다. - 13 -
도면 9. 조사지역시굴갱배치도 - 14 -
2. 층위 층위는 2개소의시굴갱에서비슷한양상을보인다. 다만, 근현대층인 Ⅱ층은 1번시굴갱북벽의서쪽에서만부분적으로확인되며, 1번시굴갱의남벽과 2번시굴갱에서는전혀확인되지않는다. 금번조사지역의지형이본래서쪽의풍문여고방향 ( 안국동천방향 ) 으로경사지게내려가는구릉부의상단부에해당하는것으로추정되며, 현대건축물축조로대부분교란되면서평탄화되어잔존하지않는것으로여겨진다. 기준층위는 Ⅱ층이일부남은 1번시굴갱북벽을정리하였다. Ⅰ층은조사지역에위치한현대건축물의조성과철거과정에서형성된층위로, 적벽돌과시멘트블럭을포함한건축폐기물과생활쓰레기가다량포함되어있는층이다. Ⅱ층에는근ㆍ현대유물들이포함된층이다. 해당층에서는일부석재가확인되나, 교란이심하고잔존상태는불량한편이다. Ⅲ층은황적색사질점토층으로자연퇴적층이며, 그아래에서암반풍화토가확인된다. 표 3. 조사지역 (1번시굴갱북벽 ) 층위현황 구분 토색 토질 내용 비고 Ⅰ-1 적갈색 사질점토 조사전지표층 현대폐기물혼입 Ⅰ-2 회색 사질토 현대 - Ⅰ-3 흑적색 사질점토 현대 - I Ⅰ-4 흑색사질점토조사전지표층현대폐기물혼입 Ⅰ-5 암갈색 사질점토 현대 - Ⅰ-6 적갈색 사질점토 현대 현대쓰레기혼입 Ⅰ-7 흑 ( 적 ) 색 사질점토 현대 - Ⅱ-1 흑적색 사질점토 근현대 목탄포함, 현대쓰레기소량혼입 Ⅱ-2 황갈색 사질점토 근현대 - Ⅱ Ⅱ-3 회갈색사질점토근현대근대자기소량혼입 Ⅱ-4 황 ( 적 ) 색사질점토근현대 - Ⅱ-5 암갈색 사질점토 근현대 - Ⅱ-6 황색 사질점토 근현대 - Ⅲ 황 ( 적 ) 색 사질점토 - 자연퇴적층 암반풍화토 - - - 15 -
사진 2. 조사지역(1번 시굴갱 북벽) 층위 현황 - 16 -
사진 3. 1 번시굴갱북벽층위 사진 4. 1 번시굴갱남벽층위 - 17 -
사진 5. 2 번시굴갱북벽층위 사진 6. 2 번시굴갱남벽층위 - 18 -
3. 시굴갱조사 시굴조사는조사지역남쪽과북쪽에평행이되도록동서방향의시굴갱 2개소를설치하여, 유적의부존여부및층위양상을확인하고자하였다. 시굴갱내층위상황은대부분의구역이교란이심한상태여서, 안정된층위가거의남지않은상태이다. 2번시굴갱및 1번시굴갱의남벽은자연퇴적층과상부에현대교란층이퇴적되어있다. 1번시굴갱의북서쪽일부에서만비교적안정된층위가부분적으로확인되며, 해당층내에서적석과미상석재가일부확인되었다. 다만, 잔존층도평면상교란이심해남은범위가거의없고, 잔존상태도매우불량하다. 적석은잔존형태로보아지정시설일가능성이있지만, 시굴갱굴착시남쪽부분이평면상에서교란된상태여서절개하여단면상태를파악하였다. 이적석은 Ⅱ-3층부터굴광이확인되는데, 이층은굵은석립이다량포함된회갈색의사질토층으로층내에근대자기가혼입되어있다. 또한적석상부층 (Ⅱ-1층) 에서는소토와함께유리편이확인된다. Ⅱ-1층이하부적석층인 Ⅱ-2층과동일굴광내에형성되어있어, 이적석은폐기된수혈일가능성도있으며, 근현대에형성된것으로판단된다. Ⅱ층은 Ⅱ-1층과 Ⅱ-3층을제외한나머지층에서는유물이전혀출토되지않는다. 특히 Ⅱ-5과 Ⅱ-6층은자연퇴적층일가능성이있다. 1번시굴갱의서쪽확장부에서도미상석재가일부확인되는데, 후대혼입된것으로추정된다. 사진 7. 조사지역시굴갱조사전경 ( 북 남 ) - 19 -
사진 8. 1 번시굴갱조사완료전경 사진 9. 1 번시굴갱북서쪽확장부전경 - 20 -
사진 10. 1 번시굴갱북서쪽확장부및적석상태 사진 11. 1 번시굴갱확장부적석상부교란층 ( 현대쓰레기혼입 ) - 21 -
사진 12. 1 번시굴갱확장부적석굴광및소토 사진 13. 1 번시굴갱확장부적석굴광기반토층 (Ⅱ-3 층 ) - 22 -
사진 14. 2 번시굴갱조사전경 사진 15. 2 번시굴갱북벽층위세부 - 23 -
Ⅴ. 조사결과및조사단의견 금번시굴조사는서울특별시종로구윤보선길12( 안국동 170, 172번지 ) 일원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를대상으로진행되었다. 조사지역은 2010~2011년에걸쳐시행된 <4대문안문화유적보존방안연구사업 > 를통해시굴조사필요지역으로설정된지역이다. 시굴조사면적은 310.6m2이다. 금번시굴조사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1. 조사지역내시굴갱 2 개소를설치하여, 유적의부존여부및층위상태를파악하였다. 2. 층위는크게 4개층으로구분되며, 15개층으로세분된다. Ⅰ층은현대교란층으로건축폐기물및생활쓰레기가다량포함되어있다. Ⅱ층은다시 6개층으로세분되는데, Ⅱ-1층과 Ⅱ-3층에서만유물이소량출토되며, 근대자기편이혼입되어있다. Ⅱ-1층은현대생활쓰레기도일부혼입되어있다. Ⅲ층은자연퇴적층이며, 그아래로암반풍화토가확인된다. 3. 조사지역내대부분이후대교란이심해안정된유물포함층이거의남아있지않은상태이다. 다만, 1번시굴갱의북서쪽확장부에서 Ⅱ-3층을기반층으로적석이일부확인되지만, 잔존상태가매우불량하다. 이적석은근현대에조성된것으로추정되며, 지정시설또는폐기수혈일가능성이있다. 그러나, 주변교란이심해 Ⅱ-3층과관련한층위가 1번시굴갱외곽의조사지역내에잔존할가능성은매우낮을것으로판단된다. 4. 출토유물은대부분교란층내에서소량출토되며, 도자잔편이주를이룬다. Ⅱ 층내 에서도일부근대자기편등이확인되지만, 소량이고, 잔편이주를이룬다.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