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아웃 1

Similar documents
¹ßÇ¥¿äÁö

untitled


AB hwp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김해퇴래리 280 번지국비지원 지표조사보고서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7단원 1(252~269)교

step 1-1

속표지(도큐)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untitled

지도임자_1204_출판(최종).hwp

지도학발달06-7/8/9장


(2002).hwp

Microsoft Word - 4장_처짐각법.doc

열거형 교차형 전개형 상승형 외주형 회전형 도해패턴 계층형 구분형 확산형 합류형 대비형 상관형 (C) 2010, BENESO All Rights Reserved 2

12¾ÈÇö°æ 1-155T304®¶ó

STATICS Page: 7-1 Tel: (02) Fax: (02) Instructor: Nam-Hoi, Park Date: / / Ch.7 트러스 (Truss) * 트러스의분류 트러스 ( 차원 ): 1. 평면트러스 (planar tru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2011´ëÇпø2µµ 24p_0628

Microsoft Word - SDSw doc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¹¹®AR


학부모신문225호최종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04-다시_고속철도61~80p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DBPIA-NURIMEDIA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쌍백합23호3

- 2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 1 -

-. BSE ( 3 ) BSE. ㆍㆍ ( 5 ). ( 6 ) 3., ( : , Fax : , : 8 177, : 39660).. ( ). ( ),. (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 제정조례안 : 붙임 4. 예산수반사항 : 없음 5. 관계법령발췌서 : 붙임 - 2 -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Microsoft PowerPoint - e pptx

유선종 문희명 정희남 - 베이비붐세대 소유 부동산의 강제매각 결정요인 분석.hwp

학습목차 2.1 다차원배열이란 차원배열의주소와값의참조

- 2 -

DBPIA-NURIMEDIA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200706ºÎµ¿»êÆ®·£µåc02ªš

±Ù·Î½Ã°£ ´ÜÃà°ü·Ã ¹ýÁ¦µµ Á¤ºñ¹æ¾È.hwp

14년 광주신세계 추석.pdf

OCW_C언어 기초

2_안드로이드UI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1111




96 경첩들어올림 347 타입 A Ø 타입 B Ø 신속하고쉬운도어탈착 모든금속구조재질및마감처리강철, 아연도금또는스테인리스스틸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지표조사보고제 집 당진우강면원치리산 6-3 번지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목 록( 目 錄 )

02-1기록도전( )

03-1영역형( )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CC hwp

~11

슬라이드 1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120330(00)(1~4).indd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차례

•••••1301(•••).pdf

제 5강 리만적분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 1 -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목 차


Observational Determinism for Concurrent Program Security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Layout 1

A 목차

±³º¸¸®¾óÄÚ

Transcription: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79 小加耶樣式土器의編年硏究 金志姸 * < 目次 > Ⅰ. 머리말 Ⅱ. 토기분석 Ⅲ. 단계설정과편년 Ⅳ. 맺음말 본고는기존의소가야양식토기편년연구의문제점들을보완하기위해우선토기자료를집성하여, 각기종별로세밀한속성및형식분류를행하였다. 기왕의연구와같이시간성파악만을염두에둔것이아니라공간성도고려하였기에시 공간성을반영한다양한범주의것이개별형식으로설정되었다. 각기종의형식조합을토대로발생순서배열법에따라단계를설정하였다. 이러한단계설정은기종의생성과소멸에주목하였고, 다음으로형식의생성과소멸을기준으로삼아진행하였다. 그결과 5 단계의시기구분을도출하였다. Ⅰ 단계는고식도질토기단계의함안양식토기로부터분화 발전하여형식변화한것으로판단되는古단계와여러기종이새롭게등장함으로써소가야양식이출현하기시작한新단계로나뉜다. Ⅱ 단계는소가야양식의성립이완성되는단계로서, 역시古 新단계로구분된다. 古단계는통형기대 이단교호투창고배 개배를제외한全기종이성립 발전한다. 新단계가되면이단교호투창고배가출현하며, 유개식삼각투창고배와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 대부직구호등의몇몇기종에서전형적인형식이확인된다. Ⅲ 단계에는통형기대가등장하며, 무개식삼각투창고배는최말기형식인 Ⅵ 식이출현한다. 또한이단교호투창고배및통형기대를제외한모든기종의토기출토량도상당하며, 전형적인형태를갖춘다. Ⅳ 단계에는수평구연발형기대가급감하며, 이와동시에새로운형태의발형기대가출현하고蓋杯도등장한다. 이단교호투창고배는출토량이급격히늘어나며성행하기시작한다. 반면삼각투창고배는쇠퇴 소멸기를맞이한다. 수평구연발형기대와호의구연부는완전한수평면을가지며, 대부직구호는대각이 2 단에서 1 단구성으로변한다.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는파수가탈락되기시작한다. 이처럼 Ⅳ 단계가되면토기의기종도이전단계들과는달리새롭게출현하거나소멸하는것들이많아져양식자체에변화가생기며, 각기종별형식내에서도큰변화들이간취된다. Ⅴ 단계에는全기종에서最後의형식이확인되며, 전체적으로이단계의토기형식은소형화되는경향을보인다. 이들각단계는기존의편년안과스에키및대가야 아라가야 신라등주변지역과의교차편년을중심으로관련문헌사료및공반된마구자료에근거하여, Ⅰ 기 (5 세기 2/4 분기 )~Ⅴ 기 (6 세기 2/4 분기 ~3/4 분기전반 ) 까지의연대를부여하였다. 6 세기 1/4 분기 (Ⅳ 단계 ) 가되면토기의형식및기종구성등에서상당한변화가간취되어, 이시기는劃期로想定된다. 소가야는 562 년전후로토기의변화가둔감해지고, 쇠퇴의길을맞이하게된다. 주제어 : 소가야, 토기, 소가야양식, 소가야양식토기, 편년 * 부산대학교고고학과접수일 :2013 년 3월 30일심사완료일 :2013 년 5월 13일게재확정일 :2013 년 5월 26일 _79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0 I. 머리말 小加耶는산청 진주 고성을중심으로, 남강중 상류지역과남해안일대에존재했던후기가야연맹체의일원이다. 이지역은대가야나신라에비해무기 무구류등이극히빈약하며마구류는독자성이확인되지않아 ( 李尙律 2009), 土器를통한연구가필수적이다. 이러한토기는형식변화가빨라고고학에서지역과편년연구에보편적으로이용되며, 내포하고있는다양한속성과역사성이결부되어하나의樣式또는文化圈을나타낸다 ( 朴升圭 2010). 小加耶式土器는수평구연발형기대와수평구연호를지표로, 주변의加耶諸國들과는다른독특한토기문화를형성한다. 더욱이서부경남지역을동일문화권으로묶는기준이자, 이지역에다른가야들과는구분되는정치체가존재했음을보여주는고고학적인증거이다 ( 柳昌煥 2008). 소가야양식토기에대한연구는定森秀夫 (1983) 에의해시작되었다. 사천 고성식 이라는토기양식을설정하고, 중심연대를 5세기후반으로비정하였다. 그리하여이지역토기문화의一端이학계에처음으로알려지게되었다. 소가야식토기의기종별검토는趙榮濟 (1985, 1990, 2001, 2006a, 2006b) 에의해집중적으로이루어졌다. 소가야의특징적인壺와鉢形器臺를水平口緣壺와水平口緣鉢形器臺로命名하였으며, 기대를 I~Ⅲ단계로구분하였다. 단계구분과편년은기대가출토된유구의성격에따라설정하였다. 三角透窓高杯에대한연구도진행하였으며, 一段長方形 二段交互透窓高杯를 固城式, 三角透窓高杯를 中村里式 토기로분리하였다. 이와같은연구는소가야의특징적인기종을설정하여命名함으로써소가야식토기에대한논의를활성화시켰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朴升圭 (1992, 1993, 1998, 2000) 는一段長方形透窓高杯라는一器種을선택하여고고학적인검토를시도하였다. 이중소가야식토기유형을 ⅢaA4 類로설정하고, 속성검토를통해크게 3 段階로나누었다. 또한그는경남서남부지역에서출토된도질토기에대한형식분류와편년, 지역성검토를통해 晋州式 토기문화권을설정하고나아가진주식토기의형성배경과기종별특성, 분포권등을살펴보았다. 이후固城지역의발굴자료가더해져진주지역의토기문화와동일한것으로파악되어, 晋州式 은 晋州 固城式 으로수정되었다. 본격적으로소가야양식토기의기종조합을다룬연구는尹貞姬 (1997) 에의해시작되었다. 서부경남지역출토토기를대상으로형식을분류하고, 교차연대법을통해편년을시도하였다. 이로써소가야식토기를成立期 (Ⅰ단계 )- 發展期 (Ⅱ단계 )- 消滅期 (Ⅲ단계 ) 로나누었다. 이와같은변화와연동하여묘제는土壙墓 - 竪穴式石槨墓 - 橫穴式石室墓로대응되고, 공반되는외래계토기또한百濟系 - 高靈系 - 新羅系로변화됨을확인하였다. 또한소가야식토기는성립 발전기에비교적넓은범위 ( 산청 의령 마산 고성 진주 하동등 ) 에걸쳐분포하고, 소멸기에이르러서는극도로축소되어최소범위 ( 고성 진주 사천등 ) 에한정됨을밝혔다. 河承哲 (2000, 2001) 은서 80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1 부경남지역출토토기를서남부토기양식으로명명하고, 이들을속성분석및형식분류하여 Ⅰ단계 ~Ⅸ단계로설정하였다. 속성간의상관관계, 類型의설정, 공반관계의검토를행한후全器種의편년체계를구성하였다. 연대비정에는도질토기발생연대 (3세기말 ~4세기초 ) 와남원월산리 M1-A 호분의연대 (5세기 4/4분기 ), 대가야의멸망시점 (562 년 ) 을근거로하였다. 또한토기분포양상을통해고성 진주 산청지역을중심권역으로설정하고, 이중산청중촌리고분군을축조한집단을서남부토기양식분포지역의중심집단으로보았다. 最新의연구는金奎運 (2009, 2010) 에의해이루어졌다. 그는소가야식토기를기종별로형식분류한후, 순서배열하여 7단계로세분하였다. 연대는대가야 신라양식토기및스에키등과의교차편년을통해비정하고, 문헌자료를통해하한을설정하였다. 토기의분석과더불어소가야형묘제 ( 최하단수적석곽묘 ) 에대한간단한검토를행하였다. 고성지역을 5세기전반이후부터멸망에이르기까지소가야의중심지로설정하였으며, 고구려남정을 5세기에소가야가성립 발전하게되는근거로삼았다. 소가야식토기가출토된개별유적검토에대해서는禹枝南 (2005) 의연구가주목된다. 그 < 표 1> 기존의소가야양식토기편년안는진주무촌유적분묘출토토기의형식분류와공반유물검토, 교차연대등을통해총 10단계로구분하고편년을시도하였다. Ⅰ단계 ~Ⅴ 단계는공통양식을나타내는가야전반기 ( 고식도질토기 ) 로, Ⅵ단계 ~Ⅹ단계는가야토기의지역색이나타나는가야후반기로나누었다. 이상과같이토기를통해소가야지역을검토한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고고학자료와기존의문헌자료까지비교적전반적인양상을잘정리하였다. 그러나토기를단순히편년만을위한도구로써간단하게형식분류하여시간성만을파악하는데집중하였다. 토기의형식분류는편년을위한준비과정으로만그치는것이아니라, 시간적의미이외에도공간적 기능적인측면을고려한분류가이루어져야하며문화의변화를설명하는하나의도구로사용되어져야한다. 또한형식분류가기존연구와같이한두가지속성에의해서만이루어진다면 _81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2 정밀한연구가불가능하고, 그타당성을잃기쉽다. 시기구분역시이러한속성에의거하는경우가많다. 이는형식이변화되는과정의중요성을인정하지않는型式學的方法의모순성을그대로포함하게된다 ( 崔盛洛 2001). 본고에서는이러한문제점을인식하고연구를진행하고자한다. 소가야양식토기 1) 를기종별로각각속성및형식분류하여단계를설정하고, 이에연대를비정하겠다. Ⅱ. 토기분석 본장에서는소가야식토기의각기종을대상으로세밀한분석작업을행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형식분류는편년을위해시간성에민감한속성만을기준으로하는경우가많은데, 이렇게되면토기의지역색을간과해버리기쉽다. 그러므로본연구에서는이러한점을염두에두고시간성뿐만아니라지역성까지고려할수있는분석을진행하고자한다. 우선속성분석법을기초로기종별로토기가가지는속성을개개의단위로분해하여독립된단위로보고, 유효하다고판단되는명목적속성과계측적속성을임의로추출한다. 이들의주속성을토대로몇개의型式으로분류해보겠다. 1. 무개식삼각투창고배 토기片을제외한, 검토대상자료는총 135점이다. 무개식삼각투창고배는크게杯部와臺脚으로구성되고이는다시다양한속성으로이루어진다. 이중비교적유효하다고생각되는 7개의명목적 계측적속성을추출하였다. 각각의속성은시간성과공간성을내포한다. < 도 1> 무개식삼각투창고배구연단부형태 1) 소가야양식토기기종중蓋는高杯나杯와의세트관계로출토되는경우가대다수이므로, 토기분석을통해시간성을확인하는작업은중복되는것이라판단된다. 이외에도통형기대는소가야양식토기의한기종이지만, 출토수량이극히적어토기분석에서는제외시켰다. 82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3 1) 속성분류口緣端部형태 < 도 1> 는 3가지로대별된다. 속성 (1) 은수평면을이루지만凹면을가진것과그렇지않은것으로세분된다. 속성 (2) 와달리속성 (3) 은단부내연에단이없으나, 구연단부안쪽사면에홈이 < 도 2> 무개식삼각투창고배대각단부형태파인것과그렇지않은것으로나뉜다. 臺脚端部형태 < 도 2> 는 2가지로분류된다. 속성 (1) 은형태적으로유사하지만, 돌대없이단부끝에凹면을가지는것과단부끝이둥글게처리되고바로위에돌대가부착되는것으로세분된다. 杯部형태는둥근것 (1) 과단이지는것 (2) 으로구분된다. 杯部 基部 臺脚의투창아래에突帶가있는것 (1) 과없는것 (2) 으로구분한다. 器高는 10.8cm 이하의소형인것 (1) 과 10.8cm 이상인것 (2) 으로대별된다 < 표 2>. < 표 2> 무개식삼각투창고배기고에따른빈도분포표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諸형식으로나누고출토유적및개체수를정리한것이다음의 < 표 3> 이다. 각형식은주속성들에의해 6개의형식으로대분류된다. 이외에는亞型式 2) 으로분류하였다. 2) 전체적으로속성조합이흡사하여큰틀에서는하나의형식으로보아도무방하나, 한가지속성으로인해미미한차이를보일때 亞型式 으로설정한다. _83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4 < 표 3> 무개식삼각투창고배형식분류표 Ⅰ형식은산청 진주 마산 고성 김해까지비교적넓은지역에분포한다. 기부 배부 대각에모두돌대가부착되어있는점이가장큰특징이다. 또한둥근배부를가지며, 구연단부가수평면을이룬다. Ⅱ형식은 Ⅰ형식과흡사하지만기부에돌대가사라지는점이가장큰차이이다. Ⅲ형식은가장다수의개체수가확인되며, 배부형태의차이로亞型式이설정된다. 앞의형식들과의차이는기부를비롯하여배부및대각에돌대가모두사라지는점이다. 또한수평면을이루던구연단부가단부내연에단이지며, 구연단부끝은둥글거나뾰족하게처리된다. Ⅲ 형식은산청및마산만일대에서주로확인되나, 진주지역에서는거의보이지않는다. Ⅳ형식은대각돌대의부착有無에따라亞型式이설정된다. 이형식에서주목할속성은기고 (2) 로, 무개식삼각투창고배전체형식중이형식에서만집중적으로조합되는속성이다. 또한 Ⅲ형식에서사라진돌대가다시부착되는것으로보아, 기고뿐만아니라대각의돌대역시시간성만을반영하는속성이아닌것으로판단된다. 특히 Ⅳ형식은진주무촌유적에서대다수가출토되고있어, 이는소지역성을가지는형식이라볼수있다. Ⅴ형식은단부내연에단이지지않는구연단부 (3) 의출현이가장큰특징이며, 구경이넓어지고, 다른형식들에비해각기부가넓다. Ⅵ형식은기고에따라亞型式이설정되었다. 이전의형식들과달리대각단부 (2) 가조합되었다는점에서주목되는데, 앞서살펴본 Ⅳ형식과마찬가지로진주무촌에서만확인되고있다. 84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5 2. 유개식삼각투창고배 토기片을제외한, 본고의유개식삼각투창고배의검토대상자료는총 196점이다. 목곽 석곽묘출토품이대다수를차지하며, 횡혈식석실묘출토품도일부보인다. 유개식삼각투창고배에서비교적유효하다고생각되는 4개의명목적속성및계측적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杯部형태 < 도 3> 에따라 3가지로분류되며, 속성 (2) 는배부의底面에따라세분된다. 臺脚端部형태 < 도 4> 는외반하는것 (1) 과꺾이는것 (2) 으로대별된다. 臺脚에突帶가부착된것 (1) 과그렇지않은것 (2) 으로구분된다. 杯身高는 4cm 초과인것 (1) 과 4cm 이하인것 (2) 으로나뉜다 < 표 4>. < 도 3> 유개식삼각투창고배배부형태 < 도 4> 유개식삼각투창고배대각단부형태 < 표 4> 유개식삼각투창고배배신고에따른빈도분포표 _85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6 2) 형식분류 < 표 5> 유개식삼각투창고배형식분류표주요속성조합을통해형식분류를행한결과, 각형식의속성조합과대표유물 출토유적및개체수를정리한것이 < 표 5> 이다. 유개식삼각투창고배는총 5형식으로대분류되며, 亞型式및하위형식 3) 을통해세분된다. Ⅰ형식은배부형태 (1) 의속성이조합되는점이가장큰특징이라할수있다. Ⅱ형식은배부가 (2) 의속성을가지는점에서앞의형식과구별되며, 개체수도 47점으로 Ⅰ 형식에비해대량확인된다. Ⅲ형식은대각단부형태의차이로亞型式이설정되었다. 이형식은대각의돌대가사라지는속성 (2) 의조합을통해이전형식들과는큰차이를보인다. 또한개체수가전체출토수량의최대를차지하며, 가장전형적인형태라할수있다. Ⅳ형식은배신고가낮아지는 (2) 의속성이조합되는것이특징이며, 상위형식 (Ⅳ형식) 內에서하위형식 (a b) 으로세분된다. 주속성인배부형태와배신고의속성조합은공유하지만, 그외의다양한속성이조합되어하위형식名을부여하였다. Ⅳa형식은소량출토되지만주로함안도항리고분에서확인된다. Ⅳb형식은대각단부형태의차이를통해 Ⅳb 식의亞型式이설정되었다. Ⅴ형식은배부형태 (3) 의속성이이형식에서만조합되는점이주목된다. 또한진주무촌과마산합성동유적에서만출토되어, 소지역성을띠는형식이라판단된다. 나아가진주무촌과마산합성동간의교류관계를확인할수있는중요한단서가된다. 3) 亞型式과는달리주속성은공유하나특정속성의차이로단순히형태가다른것이아닌, 지역성을가지거나어떠한의미를지닌중요한속성의차이혹은주요속성이외의여러속성이다양하게조합되어이루어진경우로인해세분하여보는것이적합하다고판단될때하위형식名을부여한다. 86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7 3.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에대해서는연구자들간의견해 4) 가상이하다. 배부의형태로보아완보다는고배로보는것이합당하며, 파수가부착된것과그렇지않은것과의형태차이가거의없어, 파수의有無와상관없이본고에서는이기종을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로명명하고자한다. 검토대상자료는완형품을중심으로총 45점이며, 분묘출토품이주를이룬다.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의다양한속성중, 총 3가지의유효한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 < 도 5> 와같이파수의유무에따라 2가지로대분류되고, (1) 의속성은파수의형태와크기에따라 a~c로소분류된다. 杯部의형태는 < 도 6> 과같이 3가지로나누어진다. 臺脚端部형태는 4가지로분류된다 < 도 7>.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형식분류하였다 < 표 6>. 주요속성에의해 5형식으로대분류되고, 다시하위형식과亞型式을통해소분류된다. Ⅰ형식은파수 (1a) 가부착 < 도 5>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파수有無및형태 < 도 6>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배부형태 < 도 7>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대각단부형태 4) 연구자 명칭 견해 윤정희 무개식장방형투창고배 파수無 우지남 파수부무개식고배 파수有 無 김규운 대부파수부완 파수有 _87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8 되고배부돌대가미미하 < 표 6>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형식분류표다. 또한둥근배부형태에배심이깊고, 대각단부는돌대가부착되지않은형태를가진다. 개체수 10점모두진주무촌에서만보이는강한지역성이드러난다. Ⅱ형식은파수가작아지며 (1b), 대각단부에돌대가형성되는점 (2) 이이전형식과의큰차이라고할수있다. 진주창촌리와함안도항리에서각 1점씩출토된것을제외하면, 모두진주무촌에서만출토되었다. Ⅲ형식은흔적상의파수 (1c) 가부착된것과파수가완전히탈락 (2) 하는속성의차이를통해하위형식명을부여하고세분시켰다. 이형식역시진주무촌에서만출토되어지역성이확인된다. Ⅳ형식은크게굴곡져꺾이는曲折狀의대각단부 (3) 의등장이이전형식과의차이라할수있다. 또한무촌에서만독점적으로확인되었던무개식장방형투창고배가이형식부터고성, 의령등여러지역에서확인된다. Ⅴ형식은각진배신형태 (3) 의속성과조합되는점에서다른형식과구별되며, 대각단부형태의차이를통해亞型式을두었다. 4. ( 유개식 ) 일단장방형투창고배 검토대상자료는완형품을중심으로총 430여점이며, 일단장방형투창고배의다양한속성중, 유효한속성 3가지를추출하였다. 각각의속성은시간성과공간성을가진다. 1) 속성분류杯部형태및구연부형태는 < 도 8> 과같이총 4가지로분류된다. 臺脚端部형태는 < 도 9> 와같이 4가지로크게나뉜다. 속성 (1) 은외반하지만돌대유무나돌 88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89 출정도에따라 3가지로소분류되며, 속성 (3) 은단부가꺾이는정도와형태에따라 2가지로세분된다. 器高 < 표 7> 는 8.5cm 초과인것 (1) 과 8.5cm 이하 (2) 인것으로대별된다. < 도 8>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배부형태및구연부형태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諸형식으로나누고, 출토유적및개체수를정리한것이 < 표 8> 이다. 각형식은주요속성들에의해 7 개의형식으로대분류된다. Ⅰ형식은기고가높으며 < 도 9>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대각단부형태구연부가길고배심이깊다. 또한대형의장방형투 < 표 7>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기고에따른빈도분포표창이부착되고, 대각단부에돌대가없거나매우미미한것이특징이다. Ⅱ형식은 Ⅰ형식에비해구연부길이가짧아지며, 배심이얕아진다. Ⅲ형식은대각단부가완전히꺾이는속성 (2) 과조합되는점이앞의형식들과의가장큰차이점이다. 또한기부경이이전보다좁아지고, 개체수가 96점으로크게늘어나는점에서앞의형식들과의차이가확연히드러난다. Ⅳ형식은장방형의투창바로아래에돌대가부착되고, 曲折狀을띠는대각단부 (3) 가조합된다. Ⅴ형식은배심이깊고구연단부가얇고짧으며구경이좁은배부형태 (3) 를가지는점이특징이고, 기부경이넓으며기고가이전보다낮아진다. 또한대각단부형태에따라亞型式이설정된다. Ⅴ형식은산청명동유적에서만출토되고있어소지역성을가지는것으로판단된다. Ⅵ형식은배심이얕고, 구연단부가 _89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7 페이지 90 뾰족한형태의배부 (4) 를가진다. 이형식은총 120점으로개체수가가장많다. Ⅶ형식은기고가 8.5cm 이하의소형인것 (2) 이특징이며, 개체수가이전형식보다훨씬감소한다. < 표 8>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형식분류표 5. 이단교호투창고배 검토대상자료는토기片을제외한총 70여점이며, 석곽묘출토품이대부분을차지한다. 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3개의속성을추출하였으며, 이를통해시간및공간성을살펴보고자한다. 1) 속성분류臺脚端部형태는 < 도 10> 과같이 4가지로분류된다. 器高 < 표 9> 는 14.5cm 이상 (1), 10cm 이상 ~14.5cm 미만 (2), 10cm 미만 (3) 으로나누어진다. 脚高 < 표 10> 는 8.5cm 이상 (1), 6.6cm~8.4cm(2), 6.5cm 이하 (3) 로세분된다. 2) 형식분류주요속성인기고, 각고, 대각단부형태의조합을통해형식분류를행한다. 각형식의속성조합과대표유물 유적및개체수를정 < 도 10> 이단교호투창고배대각단부형태 < 표 9> 이단교호투창고배기고에따른빈도분포표 90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1 리한것이 < 표 11> 이다. < 표 10> 이단교호투창고배각고에따른빈도분포표 Ⅰ형식은비록개체수는구연부가일부결실된 1점밖에안되지만, 다른형식들과확연히차이가나므로하나의형식으로설정하였다. 기고가 14.5cm 이상 (1) 으로다른형식들에비해현저하게크며, 기부경 < 표 11> 이단교호투창고배형식분류표도매우좁다. Ⅱ형식은기고가 Ⅰ형식에비해낮아지고, 대각단부가돌대아래에서짧게꺾이는형태 (1) 를가진다. 또한기부경이극히좁고구경이넓다. Ⅲ형식은출토량이가장많으며, 기부경이넓어진다. 외반하는대각단부 (2) 와투창아래에돌대가부착되고크게굴곡져꺾이는曲折狀의대각단부 (3) 에따라亞型式으로나뉜다. Ⅳ형식은기고가 10cm 미만의소형 (3) 으로줄어들고, 개체수는적지만대각단부형태에따라다양한하위형식으로이루어졌다. 이러한형식들은각각특정유적에서만출토되어, 소지역성을가지는형식일가능성도고려된다. _91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2 6. 수평구연발형기대 토기片을제외한수평구연발형기대의검토대상자료는총 90여점이다. 분묘출토품이대부분을차지하며, 그외주구출토품및채집품등이일부확인된다. 기대가가진다양한속성중, 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3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口緣端部는외반하는정도와형태에따라 < 도 11> 과같이 3가지로분류된다. 杯部형태는 < 도 12> 와같이 3가지로구분된다. 속성 (2) 는배부하방에서꺾이는것과그렇지않은것으로세분된다. 臺脚端部형태 < 도 13> 는 3가지로나뉜다. 속성 (1) 은외반하며단부바로위에돌대가부착되는형태이고, 속성 (2) 는단부가완전히꺾이는형태이다. 속성 (3) 은대각단부가曲折狀을띠는형태를나타낸다. < 도 11> 수평구연발형기대구연단부형태 < 도 12> 수평구연발형기대배부형태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주요속성들을조 < 도 13> 수평구연발형기대대각단부형태합하여형식분류하였다. < 표 12> 와같이크게 5개의형식으로분류된다. Ⅰ형식은구연부가아직수평면을이루지않고, 외반하며구연단부가둥글게처리되었다. 또한깊고둥근반원형의배부를가진것이특징이다. 대각은八자상으로벌어진다. Ⅱ형식은구연단부가凹면을이루면서구연부가수평면에가까워진다. 배부형태는이전형식과같은속성을공유하지만비교적배심이얕아지고, 구경이넓어진다. Ⅲ형식은배부하방에서살짝단이지거나거의직선적인배부형태 (2) 를띠는것이특징이며, 구연단부는외측에凹면을가지며수평을이 92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3 룬다. 또한외반하는대각단부 (1) 과꺾이는대각단부 (2) 에따라亞型式이설정되었다. Ⅳ형식은구연단부가외절하며, 대각단부는하방에서曲折狀을띠는형태 (3) 이고대각은원통형에가깝다. 투창형태및배치, 대각형태, 기고등이이전형식들과는달리매우버라이어티하다. 더욱이개체수가이전형식들에비해확연히줄어든다. Ⅴ형식은구경이좁아지고, 배부중간에서굴곡지며배심이깊은형태 (4) 를가지는것이이형식의가장큰특징이라할수있다. Ⅳ형식과마찬가지로버라이어티한형태가많으며, 개체수가적다. < 표 12> 수평구연발형기대형식분류표 7. 수평구연호 검토대상자료는완형품을중심으로, 총 245점이다. 그중분묘출토품이대다수를차지한다. 수평구연호는크게頸部와胴體部로구성되며, 이는다시다양한속성으로분류할수있다. 이중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3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口緣端部형태는외반정도에따라 4가지로분류된다 < 도 14>. 동최대경의위치에따라동체상위 ~ 중상위 (1), 동체중위 (2), 동체하위 < 도 14> 수평구연호구연단부형태 _93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4 (3) 로나뉜다. 구경 / 동최대경지수는 0.98 미만 (1) 과 0.98 이상 (2) 으로대별되며, 수치가낮을수록구경이작고동최대경은크다 < 표 13>. < 표 13> 수평구연호구경 / 동최대경지수에따른빈도분포표 2) 형식분류 < 표 14> 수평구연호형식분류표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형식을분류하였다. < 표 14> 와같이주요속성에의해크게 4개의형식으로분류된다. Ⅰ형식은구연단부가凹면을이루며외반한다. 구경 / 동최대경지수는 0.97이하로구경이동최대경에비해좁으며, 경부고가낮고동체부가크다. 동최대경은중 ~ 상위에위치한다. Ⅱ형식은구경 / 동최대경지수에따라亞型式으로나뉜다. 구연단부는수평면까지는아니지만외반하다가살짝꺾여벌어지고, 구경도 Ⅰ형식에비해넓어지는경향이보인다. Ⅲ형식은구연부가수평으로강하게외반하며, 경부경이좁아지고동체부에비해경부고가높아지는경향이보인다. Ⅱ형식과마찬가지로구경 / 동최대경지수에따라亞型式을설정하였다. 개체수는수평구연호의전체형식중가장다수를차지한다. Ⅳ형식은구연단부가강하게외절하며, 구경이동최대경보다넓다. 동최대경은주로중하위에위치하고, 기고가낮아져소형인것이다수이다. 94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5 8. 수평구연대부장경호 5) 본고에서검토대상으로삼은자료는완형품이총 15여점밖에되지않지만, 이외에도정식보고가되어있지않은자료나토기片이확인된다. 비교적유효하다고생각되는수평구연대부장경호의 4가지속성을추출하여, 명목적인것과계측적인것으로나누어살펴보겠다. < 도 15> 수평구연대부장경호구연단부형태 < 표 15> 수평구연대부장경호의기고 / 대각고지수에따른빈도분포표 1) 속성분류口緣端部형태는외반정도에따라 3가지로나뉜다 < 도 15>. 臺脚은 (1)3단이상구획 (2 단이상의투창배치 ) 과 (2)2 단구획 (1단투창배치 ) 으로분류된다. 透窓의개수는 4개이상 (1), 3 개 (2) 로나눌수있다. 기고 / 대각고지수는 3 미만 (1) 과 3 이상 (2) 으로대별된다 < 표 15>. < 표 16> 수평구연대부장경호형식분류표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주요속성을통 5) 수평구연대부장경호는앞서살펴본수평구연호와형태적으로유사한구연부와동체부를가지며, 이에 3~4 개의투창이 1~2 단에걸쳐배치된대각이부착된것이다. 아직은확인된개체수가적어이기종에대해제대로언급된바없지만, 수평구연호와속성조합및형식변화가연동되며소가야식토기의주분포권에서확인되는점등으로보아소가야식토기의일기종으로판단된다. 주변지역의대부장경호와는경부및구연부에서분명한차이를보이므로, 수평구연대부장경호라명명하고자한다. _95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6 해형식분류를행한다. 각형식의속성조합및대표유물 유적및개체수를정리한것이 < 표 16> 이다. Ⅰ형식은수평구연대부장경호의초현기형식이기때문인지출토된 2점이각기상이한형태를보인다. 이형식은대각이 3~4단으로구획되고기고가높은점이다른형식들과차별되는특징이다. 구연단부형태는수평구연호와연동되어변화하는속성으로, 외반하며단부끝이凹면으로처리되었다. Ⅱ형식은수평구연대부장경호의전형적인형태이다. 2단구획의대각구성으로이루어졌으며, 구연단부는역시수평구연호의형식변화와같이외반또는외반하다살짝꺾여벌어진다. 특히산청평촌리유적에서집중적으로출토된다. Ⅲ형식은이전형식과달리 3개의투창이부착되고, 기고가낮아진다. 구연단부는수평면에가까우며, 이형식또한산청평촌리유적에서만집중되는점이주목된다. Ⅳ형식은형태적으로버라이어티하다. 수평면을이루거나외절하는구연단부 (3) 는다른형식과의차별성을보이고있어형식분류의기준이되는속성이라할수있다. 9. 대부직구호 토기片을제외한대부직구호의검토대상자료는총 50여점이다. 이기종의다양한속성중, 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4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이러한속성들은시간성및공간성을가진다. 1) 속성분류臺脚구성은 (1)3 단이상구획 ( 투창 2단이상구성 ) 과 (2)2 단이하구획 ( 투창 1단구성 ) 으로나뉜다. 頸部高는 1.2cm 이상 (1), 0.5cm 초과 ~1.2cm 미만 (2), 0.5cm 이하 (3) 로세분된다 < 표 17>. 胴最大徑은 19.5cm 이상 (1) 과 19.5cm 미만 (2) 으로분류된다 < 표 18>. 脚高는 8.5cm 이상 (1) 과 8.5cm 미만 (2) 으로대별된다 < 표 19>. < 표 17> 대부직구호경부고에따른빈도분포표 < 표 18> 대부직구호동최대경에따른빈도분포표 96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7 2) 형식분류 6) < 표 19> 대부직구호각고에따른빈도분포표 이상의주요속성을조합하여형식분류하였다 < 표 20>. 총 4개의형식으로대분류되며, 그외는亞型式으로나누어세분하였다. Ⅰ형식은목곽묘출토품으로, 경부고가특히높다. 앞 < 표 20> 대부직구호형식분류표서살펴본수평구연대부장경호와같이, 출토된 2점모두각기상이한형태를가진다 7). Ⅱ형식은대각이 3단이상으로구획되며, 동최대경은 19.5cm 이상의偏球形이다. 이형식은대부직구호의전형적인형태라고할수있으며, 경부고의차이에따라亞型式인 Ⅱ 형식으로세분된다. Ⅲ형식은 Ⅱ형식과유사하지만 2단구획의 1단투창이배치된대각형태가가장큰차이이며, 경부고의차이에따라 Ⅲ 형식으로나뉜다. Ⅳ 형식은개체수가가장다수를차지한다 8). 동최대경이상위에위치하는역삼각형의동체부가등장하며, 대각고는 8.5cm 미만으로낮아지고나팔상으로크게벌어진다. 하위형식名을부여한 Ⅳb형식 9) 은고성연당리고분군에서만 1점이출토되었는데, 경부가거의사라진특이한형태이다. 6) 토기의속성뿐만아니라유구성격 (1: 목곽묘출토품, 2: 석곽묘 횡혈식석실묘출토품 ) 또한의미를가지는것으로판단되어, 형식분류에이용하였다. 7) 진주무촌 2 구 29 호출토품의대각형태는예외적인것으로, 따로속성분류를하지않았다. 8) 이는수평구연발형기대가 Ⅳ 형식부터수량이극히줄어드는현상과연동될가능성이있다. 이처럼기대가줄어들고, 대부장경호나대부직구호등의수량이늘어나는점은 6 세기대삼국시대에전반적으로확인되는현상으로여겨진다. 9) 이는고성연당리유적의소지역적특성을가진형식일가능성도있다. _97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8 대부직구호를형식분류한결과, 앞서살펴본수평구연대부장경호와유사한부분이찾아진다. 두기종모두Ⅰ형식과 Ⅳ형식내에서형태적으로다양한토기들이확인된다. 또한 Ⅱ형식이되면전형적인형태를띠기시작한다. 이러한점들로미루어보았을때, 수평구연대부장경호와대부직구호는각형식간의출현시기와쇠퇴기가비슷하여토기의변화상이연동되는것으로추정된다. 10. 광구호 10) 검토대상자료는완형에가까운것으로총 50여점이며, 분묘출토품이대다수를차지한다. 광구호의다양한속성중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2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頸部형태는 < 도 16> 과같이 3가지로분류된다. 구경 / 동최대경지수는구경에대한동최대경의비율을산출한것으로, 수치가낮을수록구경이작고동최대경은크다. 0.85 이하 (1), 0.86~0.96(2), 0.97 이상 (3) 으로세분된다 < 표 21>.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광구호의형식을분류하였다. < 표 22> 와같이총 5개로나눌수있다. Ⅰ형식은경부의돌대가미미하며직선적인것이특징이고, 구경에비해동최대경이넓은형태이다. Ⅱ형식은경부중간에 1~2조의돌대가부착되고, 직선적으로올라가다가구연부에서살짝굴곡져외반하는것이특징이다. Ⅲ 형식은경부형태를살펴보면돌대가강하게돌출해경부단면이마치갈매기상으로외반하며, 동체고와경부고가 < 도 16> 광구호경부형태 < 표 21> 광구호구경 / 동최대경지수에따른빈도분포표 10) 구형의동체를가졌으며경부와동체의높이가유사하고, 구경이넓으며경부중간에돌대가 1~2 조부착된소형의壺이다. 98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99 유사해진다. Ⅳ형식은구경 / 동최대경지수가 0.86~0.96 으로, 이전형식에비해동최대경이좁아지는점이주목된다. Ⅴ형식은구경 / 동최대경지수가 0.97 이상으로구경과동최대경이거의같거나구경이더크다. < 표 22> 광구호형식분류표 11. 무개식컵형토기 11) 토기片을제외한검토대상자료는총 100점이다. 무개식컵형토기의다양한속성중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2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1) 속성분류把手부착위치와크기에따라 < 도 17> 과같이나눌수있다. 배신의형태에따라 < 도 18> 과같이세분된다.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주요속성을조합하여형식을분류하였다. < 표 23> 과같이총 6개의형식으로나누어진다. Ⅰ형식은동체전체에파수가부착되고, 배신형태는직선적으로올라가다가구연부끝에서외반한다. 또한동체중상위에돌대가부착된형태로, < 도 17> 무개식컵형토기파수부착위치 < 도 18> 무개식컵형토기배신형태 11) 이기종은무개식이며파수가부착된컵형의토기이다. 주로파수부배라고불리는데, 이는명칭에대한기준이모호하고광범위한여러형태의토기를가리키는경우가많다. 그리하여본고에서는명확한의미를지닌컵형토기라고칭하겠다. _99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0 고식도질토기의컵형토기와매우흡 < 표 23> 무개식컵형토기형식분류표사하다. Ⅱ형식 12) 은 C자형파수가배신의 2/3 이상의범위에부착된다. 배신부는직선적으로올라가다가 2조의돌대를기점으로내경하며, 구연부는직립하는형태를띤다. Ⅲ형식은 Ⅱ형식과파수의부착위치는유사하나, 배부의중간쯤에 1조의강한돌대가부착된다. 배부는직선적으로올라오다가배부중간의돌대에서부터구연부가부드럽게외반하며, 구연단부가매우뾰족하게처리된다. Ⅳ형식은파수자체의기능을거의상실한흔적상의파수를가지며, 배부 1/3정도의위치와구연부아래에돌대가 1~2조씩부착된다. 또한배부는직선적으로올라오다가구연부돌대에서살짝내경하면서단부끝에서외반하는형태를띠며, 구연단부는둥글게처리된다. Ⅴ형식역시흔적상의파수가부착되고, 배부는거의직선적으로올라가며구연부가직립하는형태이다. Ⅵ형식은이전형식들과달리배부형태가직선적이지않고둥근형태를띠다가구연부가직립하거나살짝외반한다. 이형식은신라양식토기에서형태를모방한것으로파악되며, 이에관해서는여러연구자들의의견이일치한다. 12. 유개식컵형토기 토기片을제외한검토대상자료는총 30점이다. 대부분분묘출토품이다수를차지한다. 유개식컵형토기의다양한속성중가장유효하다고생각되는 2개의속성을추출하였다. 12) 이형식은구연부가유개식컵형토기와형태적으로유사한부분이있지만, 이는受部가蓋의기능을고려한변화는아니라고판단되어무개식컵형토기로분류하여연구를진행하였다. 100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1 1) 속성분류把手형태와부착위치에따라 < 도 19> 와같이 4가지로분류된다. 口緣部길이는동체의 1/3~1/4 가량 (1), 동체의 1/5~1/6 가량 (2) 으로나뉜다 < 도 20>. < 도 19> 유개식컵형토기파수형태 2) 형식분류앞서살펴본각속성을조합하여유개식컵형토기의형식을분류하였다. 분류결과는 < 표 24> 와같이총 5형식 < 도 20> 유개식컵형토기구연부길이으로나뉘며, 구체적인내용은다음과같다. < 표 24> 유개식컵형토기형식분류표 Ⅰ형식은파수가구연부를제외한배부전체에부착된다. 구연부는동체의 1/4 이상의길이로이루어졌다. Ⅱ형식은파수가저부에서일정거리떨어진위치인배부중간정도에부착되어앞의형식과차이가난다. Ⅲ형식은구연부의길이가동체의 1/6정도로짧으며구연단부가완전히내경하지않고, 구연단부끝이살짝직립하는형태를띤다. Ⅳ형식은이전형식들과달리귀 ( 耳 ) 모양파수가부착되며, 구연부가짧고구연단부가완전히내경한다. Ⅴ형식은파수가극히작아져흔적상으로만남았으며, 구연부직하의돌대가강하게돌출하였다. _101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2 Ⅲ. 단계설정과편년 이번장에서는앞서살펴본기종별형식분류를토대로하여발생순서배열법 (Occurrence seriation) 을이용해소가야식토기의분기를설정하고, 전반적인토기변화양상을파악하고자한다. 1. 단계설정 < 표 25> 의순서배열표는각기종별로분류한형식을유구별로표시한것이다. 모든기종이단계설정의기준이될수있으나, 기종별로출토된유물의수량이상이하므로출토량이안정적이고토기의시간적인변화가가장잘드러나는고배를중심으로, 기대 호류및컵형토기등을함께살펴보고자한다. 각단계는기종별형식조합을토대로 1기종의생성과소멸을중심으로, 2형식의생성과소멸에따라설정한다. 순서배열의결과, 소가야식토기는크게 5단계로나뉘어진다 13). 이를토대로소가야식토기 의기종별시간폭을도식화하여나타낸것이 < 표 26> 이다. Ⅰ단계는古단계와新단계로세분될수있다 < 도 21>. 우선 Ⅰ- 古단계에는무개식삼각투 < 도 21> Ⅰ 단계소가야식토기 ( 上 : 古, 下 : 新 ) 1~3. 산청중촌리 3 호남토광 / 4~5. 마산현동 48 호 / 6. 산청중촌리 3 호분표토수습 / 7~8. 산청옥산리 41 호 / 9~10. 마산현동 56 호 / 11~14. 진양우수리 18 호 / 15~18. 산청중촌리 3 호북토광 13) 작게는 11 개의단계로세분될수도있겠으나, 우선은크게 5 단계로나누어연구를진행하겠다. 102_

04고고광장(김지연)_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3 <표 25> 순서배열표 _103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4 < 표 26> 소가야식토기기종별시간폭 창고배Ⅰ Ⅱ 식, 유개식삼각투창고배 Ⅰ식이지표적이다. 무개식 유개식삼각투창고배모두배부와기부및대각에돌대가부착된것이특징적이다. 기고는대부분 12~13cm 이상인것으로대형이며, 크고세장한삼각투창이배치되었고배심이깊다. 이러한고배들에서아라가야식삼각투창고배와매우흡사한요소가확인된다. 이는소가야토기문화권이아라가야토기문화권으로부터분화되기직전혹은직후에해당하는것으로판단되며, 출토되는토기기종이한정적이다. 대표적인유구로는산청중촌리 3호남토광, 마산현동 48호, 산청옥산리 35 41 호등이있다. Ⅰ- 新단계가되면수평구연발형기대 Ⅰ식, 수평구연호 Ⅰ식, 무개식컵형토기Ⅰ 식, 광구호Ⅰ식의새로운기종이출현하며, 무개식삼각투창고배는돌대가모두사라지고단부내연에단이지고외반하며, 배심이깊고각기부가좁은전형적인형태의 Ⅲ식이등장한다. 새롭게등장한수평구연발형기대와수평구연호는구연부가아직수평면을이루지않고, 외반하는정도이다. 기대의배부형태는배심이깊고둥근반원형이며, 구연단부가둥글게처리되었다. 수평구연호는구연부에비해동체부가특히크며, 동최대경이대체로상위에위치한다. 무개식컵형토기Ⅰ 식은고식도질토기단계의것과매우흡사하며, 이역시아라가야의영향을받은것으로생각된다. 파수가동체전면에부착되고구연단부끝만살짝외반하며, 동체상위와중위에돌대가부착된다. 광구호 Ⅰ식도수평구연호와같이구경에비해동최대경이매우크다. 또한경부가직선적이며경부중위의돌대가미미하게부착되고, 구연단부가뾰족하게처리되었다. 이단계는진양우수리 18호, 마산현동 56호, 산청중촌리 3호북토광등이표지적이다. Ⅱ단계또한古단계와新단계로구분된다. Ⅱ- 古단계 < 도 22> 에는이단교호투창고배와통형기 104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5 대, 개배를제외한全기종이확인된다. 즉소가야양식이성립되기시작한단계이다. 무개식삼각투창고배는 Ⅲ 식이다량출토되며, 기고가 10.8cm 이하의소형인 Ⅳ식이등장한다. 유개식삼각투창고배Ⅱ식은구연부가길어지고, 배부의底面이이전형식에비해직선적이다. 그러나기부혹은대각에여전히돌대가부착된것이다수를차지한다. 수평구연발형기대는전단계의 Ⅰ식이지속되며, 새롭게 Ⅱ식이출현한다. 이형식의구연부는 Ⅰ식에비해수평에가깝게외반하며, 구연단부는외측에凹면을가진다. 배부는이전형식보다얕아지며구경은약간넓어지는경향이보인다. 수평구연호는기존의 Ⅰ식이지속되면서 Ⅱ 식이등장한다. 구연부는기대의변화와연동되며, 동최대경은대체로상위 ~ 중상위에위치한다. 무개식컵형토기는파수가동체의 2/3 가량부착되고, 구연부가직립하면서단부는둥글게처리된 Ⅱ형식이출현한다. 또한이형식은동체의상위에강한돌대가 2조부착되며, 중하위에도 1조가부착된다.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 Ⅰ Ⅱ식은기고가대부분 12cm 이상의대형에속하며, 장방형의투창이크고넓게뚫려있다. 또한구연부가길고뚜껑받이턱이좁으며, 대각단부에돌대가없거나약하게돌출한다. < 도 22> Ⅱ 단계소가야식토기 ( 古 ) 1~4. 진주무촌 2 구 60 호 / 5,9~10. 진주무촌 2 구 55 호 / 6,12~13. 진주무촌 3 구 147 호 / 7~8,11,23~24. 진주무촌 2 구 16 호 / 14~15,20. 진주무촌 2 구 10 호 / 16~17. 진주무촌 2 구 29 호 / 18. 진주무촌 3 구 129 호 / 19. 진주무촌 2 구 36 호 / 21~22. 진주무촌 2 구 85 호 < 도 23> Ⅱ 단계소가야식토기 ( 新 ) 1,9. 함안오곡리 Ⅰ52 호 / 2,8. 진주무촌 2 구 90 호 / 3~5,11. 산청중촌리 3 호동석곽 / 6~7,12. 진주무촌 2 구 25 호 _105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6 이는전형적인형태이전의초현기형식이라볼수있다. 무개식일단장방형 ( 파수부 ) 고배또한 Ⅰ Ⅱ식이初出한다. 배심이깊고배부중위에돌대가약하게돌출하며, 파수는배부중하위에부착된다. 대각단부에는돌대가없거나약하게부착되고, 대형의장방형투창이뚫려있다. 대부직구호 Ⅰ식과수평구연대부장경호 Ⅰ식, 유개식컵형토기Ⅰ식은초출기의형식이라현재까지출토된수량은극소수이며, 형태도다양하고정형화되어있지않다. 표지적인유구로는진주무촌 2구 10 11 14 16 29 36 55 60 85 96호, 3구 129 147 호, 진주창촌리 A-158 호, 진양우수리 16호, 산청옥산리 21호, 함안도항리 428-1 번지 19호등이 < 도 24> Ⅲ단계소가야식토기있다. 1. 진주상촌리 64호 / 2. 의령예둔리 27호 / 3~4,15. 진주무촌 3구 Ⅱ- 新단계 < 도 23> 가되면, 기 133호 / 5~6. 마산합성동 82호 / 7~8,17,20~22. 진주무촌 3구 145 호 / 9~10. 마산합성동 24호 / 11,18. 산청평촌리 111호 / 12. 함안고가 14cm 이상인대형의이단오곡리Ⅰ101 호 / 13~14. 통영남평리 10호 / 16. 마산관해정 1호 / 19. 산청평촌리 155호교호투창고배Ⅰ식이등장한다. 또한구경이넓어지고배심이얕으며, 각기부가넓어지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 Ⅴ식이확인된다. 이단계부터출현하는유개식삼각투창고배 Ⅲ식과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 Ⅲ식은유사한형태를보인다. 이두형식에서대각단부가꺾이는형태가등장하며구연부길이는짧아지고세장한투창을가지는전형적인형태를띤다. 대부직구호 Ⅱ식역시 3단구획의대각구성에편구형의동체를가진대표적인형태를보인다. 이단계의표지적인유구는진주무촌 2구 25 51 90 호, 산청중촌리 3호동석곽, 함안 106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7 오곡리Ⅰ52호, 산청평촌리 167호등이다. Ⅲ단계 < 도 24> 에는통형기대가새롭게등장하며, Ⅱ단계에처음출현한대부분의기종들이정형화된다. 유개식삼각투창고배 수평구연호 무개식컵형토기 수평구연발형기대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 무개식장방형 ( 파수부 ) 고배 대부직구호는이전형식이지속적으로제작되며, 몇몇기종은새로운형식이더해진다. 그러나 Ⅰ- 古단계부터출현한무개식삼각투창고배는이단계부터퇴화되기시작한다. 또한 Ⅱ- 新단계에출현한이단교호투창고배는아직전형적인형태를갖추지못한 Ⅱ 식이등장한다. Ⅲ단계에는진주무촌 3구 133 145 호, 마산합성동 10호 60호, 통영남평리 1호, 함안오곡리 < 도 25> Ⅳ단계소가야식토기 1~2. 진주무촌 3구 80호 / 3~4. 진주무촌 3구 82호 / 5,11,16. 진주 Ⅰ19 34 88 호, 함안도항무촌 3구 54호 / 6,19. 산청명동Ⅰ34 호 / 9. 진주무촌 3구 81호 / 리 428-1 번지 17호, 산청명 10,12. 진주무촌 3구 83호 / 13,17. 진주무촌 3구 55호 / 14~15,20. 진주무촌 2구 63호 / 18. 산청명동Ⅲ38 호 / 21. 산청평촌리 152호 / 동Ⅰ지구 16호 Ⅱ지구 15 22~23. 고성연당리 23호호, 산청평촌리 148호등이표지적이다. Ⅳ단계 < 도 25> 에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가완전히소멸하며, 반면蓋杯가새롭게소가야양식토기의일기종으로등장한다. 또한수평구연발형기대가급감하기시작함과동시에새로운발형 _107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8 기대 14) 가출현한다. 수평구연발형기대 Ⅳ식과수평구연호 Ⅲ식의구연부는완전한수평면을가지며, 대부직구호 Ⅲ식은대각의투창이 2단에서 1단구성으로변한다. 무개식장방형투창 ( 파수부 ) 고배는파수가탈락된형식이등장한다. 이단교호투창고배 Ⅲ식은비로소정형화되기시작하며, 급격히출토량이증가한다. 또한특정유적에서만주로확인되는유개식삼각투창고배 Ⅴ식과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 Ⅴ식이등장한다. 그외에도구연부가짧아진유개식컵형토기 Ⅲ Ⅳ식과구경에비해동최대경이줄어든광구호Ⅳ 식, 기고가줄어들고구연단부가뾰족해진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Ⅵ 식등이확인된다. 이처럼 Ⅳ단계에는토기의기종및형식의다양한변화가주목된다. 이단계의대표적유구로는진주무촌 2구 63호, 3구 54 55 80 81 166 호, 산청평촌리 157 호, 진주가좌동 1호, 산청명동Ⅰ지구 17 31 34 41 78-3 호, 명동 Ⅲ 37 38 호, 의령천곡리 32호등이있다. Ⅴ단계 < 도 26 27> 가되면, 삼각투창고배는자취를감추며, 수평구연발형기대 Ⅴ 식과수평구연호 Ⅳ식은구연부가완전히외절한다. 유개식일단장방형투창고배Ⅶ 식 이단교호투창고배Ⅳ < 도 26> Ⅴ단계소가야식토기-1 식 대부직구호Ⅳ식 수평 1~3,6,17,21,23. 고성송학동 1A-7 호 / 4~5,19,22,25,27. 고성송학동구연호Ⅴ 식등은대체적으로 1A-11 호 / 7~8. 고성내산리 8-6곽 / 9~10,31. 고성내산리 34호주곽 / 11~12. 산청명동Ⅰ7-1 호 / 13. 산청명동Ⅰ5-2 호 / 14~16,20,28~29. 소형화되는경향을보인다. 진주무촌 3구 37호 / 18. 의령천곡리 2호 / 30. 하동우복리 4호 14) 윤정희 (1997) 의발형기대 Ⅱ류에속하는것으로, 수평구연발형기대와달리구연단부는외반하며뾰족하게처리되고, 대각은 1단투창의 2단구획으로이루어진다. 본고의 Ⅳ단계부터출현하며, Ⅴ단계에도지속적으로제작되었다 < 도 26-28 29 >. 108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09 무개식과유개식컵형토기도소형화된흔적상의파수가부착된다. 무개식컵형토기는앞단계의재지계 (Ⅴ식) 가계속이어지면서, 신라양식의컵형토기를모방한외래계 (Ⅵ식) 가등장한다. 이단계의대표적인유구로는진주무촌 3구 37호, 하동우복리 4호, 산청명동 Ⅰ지구 5-2 7-1 58 76 호, Ⅱ 지구 21호, 고성내산리 21-1 21-7 21-15 34 주 63-2 63-8 곽, 진주가좌동 2호, 의령천곡리 2 35-2 43 호, 고성송학동 1A-7 1A- 11 1B-1 호등이있다. < 도 27> Ⅴ 단계소가야식토기 -2 1~3. 의령천곡리 3 호 / 4~6,9. 의령천곡리 43 호 / 7. 의령천곡리 35-1 호 / 8,11. 의령천곡리 35-2 호 / 10,12. 고성내산리 21-1 곽 2. 편년 앞서살펴본소가야식토기의단계설정을통해편년을시도하고자한다. 소가야지역에서출토된유물중에서는절대연대를알수있는자료가없기때문에객관적인근거를제시하기가어렵다. 다음의 < 표 27> 은기존의편년연구성과를정리한것이다. 이를통해알수있듯이, 歷年代는크게 25년이상의차이를보이고있지만, 相對年代는어느정도일치하고있음을알수있다. 따라서본고에서는비교적안정되어있는상대편년안을토대로, 소가야양식토기와공반되는스에키및주변지역 ( 대가야 신라 아라가야등 ) 토기와의교차편년을시도하고, 관련문헌사료및마구자료를이용하여앞서설정한획기에대한연대를부여하고자한다. Ⅰ단계는 5세기 2/4분기에해당한다. Ⅰ- 古단계에해당하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 Ⅰ식이출토된마산합성동 36호에서공반된장경호는경주황남동 109호 3 4곽출토품과유사하다. 황남동 109호 3 4곽은기존의신라고분편년안에따르면 5세기 2/4분기로설정가능하다 ( 김두철 2007; 김동윤 2009). 또한마산현동 48호에서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 Ⅱ식이출토되었으며, 이는아라가야식토기편년안 ( 김정완 2000) 을참고하면 5세기 2/4분기로볼수있다. 그러나기존의편년안에서同단계로설정된마산현동 56호의출토품보다는토기형식이앞서는것으로판단되어, Ⅰ- 古단계는 5세기 2/4분기전반으로설정한다. Ⅰ- 新단계에해당하는진양우수리 18호와마산현동 56호에서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 Ⅲ식과 _109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0 < 표 27> 소가야식토기編年案비교 110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1 수평구연호 기대 광구호 무개식컵형토기의 Ⅰ식이출토되었다. Ⅰ- 古단계에출현한무개식삼각투창고배Ⅰ Ⅱ식보다후행하는형식이확인되며새로운기종이출현하는점등으로미루어보아, 이단계는 5세기 2/4분기후반으로비정할수있다. Ⅱ단계는 5세기 3/4분기로설정된다. 수평구연발형기대 Ⅱ식이출토된마산현동 54호에 < 도 28> Ⅱ단계토기교차편년자료-1 서공반된아라가야식의화염형투창고배는함안도항리 ( 현 )5호의화염형투창고배와흡사하다 < 도 28>. 또한수평구연호 Ⅰ식중, 초출기의것보다는후행하는것으로판단되는토기가함안오곡리 5호에서출토되었다. 이와공반된이단일렬투창고배는함안도항리 ( 문 )14호출토품과비교가능하다 < 도 29>. 마산현동 58호에서는이단계의소가야식토기와아라가야식대부호가공반되는데, 이는함안도항리 ( 경 )16호의것과흡사하다. 기존의아라가야식 < 도 29> Ⅱ단계토기교차편년자료-2 토기편년안 ( 김정완 2000; 이주헌 2000; 우지남 2005) 에따르면이들전체는 5세기 3/4분기로볼수있다. 또한고령지산동 30호분에서는무개식삼각투창고배 Ⅳ식이출토되었으며, 이역시대가야고분편년안 ( 김두철 2001, 2007) 을참고하면 5세기 3/4분기로설정가능하다. Ⅲ단계는 5세기 4/4분기로편년하였다. 이시기에는소가야식토기와창녕식토기가공반하는경우 15) 가다소확인된다. 창녕지역토기연구 ( 배정연 2012) 에따르면창녕이외의주변지역에서확인되는창녕식토기는 5세기 4/4분기의것으로전형적이라기보다는융합또는모방한것들이주로확인되며, 6세기 1/4분기가되면창녕식토기는쇠퇴기에접어드는것으로본다. 그러므로 < 도 30> 과같이전형적이지않은창녕식토기와공반된소가야식토기는 5세기 4/4분기정도로볼수있다. 또한이단계에속하는의령예둔리 57호, 함안오곡리 11호등에서공반된아라가야식토기는함안도항리 ( 문 ) 54호와비교가능하다. 합천봉계리 20호에서는 Ⅳ형식의유개식삼각투창고배 < 도 31-2 4> 와스에키 < 도 31-9> 가공반되었으며, < 표 28> 과같이기존연구자들 15) 마산합성동 15 65 호, 함안오곡리 11 23 48 75 호등의예가있다. _111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2 의견해를참고하면 TK208 新相 ~TK23 으로볼수있다. 또한 < 도 31-6> 의도질토기는합천옥전 M3호분과옥전 72 호분출토품과유사한것 ( 김두철 2011a) 으로기왕의편년안을참고하면 5세기 4/4분기로보는것이타당하다. Ⅳ단계는 6세기 1/4분기로연대비정이가능하다. 이단계에속하는진주가좌동 1호출토원환비 ( 류창환 2008) 16) 와 < 도 30> Ⅲ단계토기단경호 ( 윤정희 1997) 는기존의교차편년자료연구를토대로살펴보면, 6세左 : 마산합성동 15호右 : 함안오곡리 11호기 1/4분기로볼수있다. 또한산청명동 Ⅱ지구 22호분에서대가야식장경호가출토되었는데, 이는고령지산동 44호 6 7곽출토품과유사하다. 아라가야식토기가다량출토되는의령천곡리유적을살펴보면, 7 10-2 13 32 호출토컵형토기와파수부고배 17) 는 < 도 31> 합천봉계리 20호출토공반유물함안도항리 ( 문 ) 암각화의것과흡사하다. 또한 10-1 28 35-1 호에서출토된컵형토기와파수부고배는도항리 ( 문 ) 4호출토품과비교가능하다. Ⅴ단계는가야가멸망하는 562년전후를하한으로두어, 6세기 2/4~3/4 분기전반으로설정된다. 고성송학동 1A-11 1B-1 호, 의령천곡리 21호출토스에키 < 표 28> 는 MT15~TK10 정도로볼 16) 류창환은가좌동 1 호원환비를 5 세기말에서 6 세기초라고판단하였으나, 공반된소가야식토기의형식으로보아 6 세기초로보는것이무난하겠다. 17) 보고서의명칭을따른것임을밝혀둔다 ( 嶺南文化財硏究院 1997). 112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3 < 표 28> 소가야지역출토스에키자료및연구자별견해 수있으며고성송학동 1A-11 호, 고성내산리 34호주곽 21-1 곽출토마구류 ( 이상율 2009) 또한이시기에속하는것으로판단된다. 토기를통해살펴보면고성내산리 8호주곽출토유공광구호와산청명동Ⅲ 17호출토장경호는고령지산동 45호의것과유사하다. 고성내산리 21-1 곽출토단각고배와대부장경호는경주구어리 43호출토품과비교가능하다. 창녕계성고분군에서는소가야식수평구연호 Ⅳ식등이다량출토되는데, 이유적은 6세기 2/4분기를중심으로그이후까지로연대가설정된바있다 ( 정징원 홍보식 1995; 김두철 2011b; 배정연 2012). 이를종합해보면 Ⅴ단계는 6세기 2/4분기부터 6세기 3/4분기전반까지로보는것이더욱합당하다. 이상으로 < 표 29> 와같이소가야식토기의 Ⅰ~Ⅴ단계는 5세기 2/4분기부터 6세기 3/4분기전반까지의연대로설정하였다. Ⅰ~Ⅲ단계까지는소가야지역에서확인되는외래계토기출토량이극히적고, 마구등의철기류부장도殆無하여주로주변지역과의교차편년을시도하였으며, Ⅳ~Ⅴ단계에는마구류와스에키편년을참고하고주변지역과의교차편년을하였다. _113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4 < 표 29> 소가야식토기편년안 114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5 < 표 30> 편년근거자료 Ⅳ. 맺음말 본연구는우선토기자료를집성하여, 각기종별로속성분석및형식분류를하였다. 기왕의연구와같이시간성파악만을염두에둔것이아니라공간성도고려하였기에시 공간성을반영한다양한범주의것이개별형식으로설정되었다. 각기종의형식조합을토대로발생순서배열법에따라단계를설정하였다. 이러한단계설정은기종의생성과소멸에주목하였고, 다음으로형식의생성과소멸을기준으로삼아진행하였으며, 그결과 5단계의시기구분을도출하였다. 이들각단계는기존의편년안과스에키및대가야 아라가야 신라등주변지역과의교차편년을중심으로관련문헌사료및공반된마구자료에근거하여, Ⅰ기 (5세기 2/4분기 )~Ⅴ기 (6세기 2/4분기 ~3/4 분기전반 ) 까지의연대를부여하였다. 6세기 1/4분기 (Ⅳ단계 ) 가되면토기의형식및기종구성등에서상당한변화가간취된다. 그리하여이시기는소가야토기문화의劃期로想定된다. 이논고는필자의석사학위논문중형식분류와편년부분만을발췌하여수정및보완한것이다. 이러한편년설정의토대위에서소가야의지역성과토기문화권에대해규명하였으나, 이에관하여서는지면관계상별고에서다루고자한다. _115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6 參考文獻 金奎運, 2009, 考古資料로본 5~6세기小加耶의變遷 ( 慶北大大學院碩士學位論文 )., 2010, 5~6 世紀小加耶樣式土器設定, 韓國考古學年報 76. 金東潤, 2009, 新羅積石木槨墓의變遷過程硏究, 考古廣場 第 4 號. 金斗喆, 2000, 韓國古代馬具의硏究 ( 東義大大學院博士學位論文 )., 2001, 大加耶古墳의編年檢討, 韓國考古學年報 45., 2006, 三國 古墳時代의年代觀, 한일고분시대의연대관, 歷博國際硏究集会., 2007, 三國 古墳時代의年代觀 (Ⅱ), 한일삼국 고분시대의연대관 (Ⅱ), 제2회국제학술회의., 2011a, 加耶 新羅古墳의年代觀, 考古廣場 第 9 號., 2011b, 고고유물을통해본창녕정치체의성격, 고대창녕지역사의재조명, 제2회고대창녕지역사학술대회. 金一圭, 2011, 남해안지역須惠器 ( 系 ) 土器의출현배경과의의, 삼국시대남해안지역의문화상과교류, 제35회한국고고학전국대회. 金正完, 2000, 咸安圈域陶質土器의編年과分布變化, 伽耶考古學論叢 3. 金志姸, 2013, 小加耶樣式土器의硏究 ( 釜山大大學院碩士學位論文 ). 柳昌煥, 2008, 馬具로본 6세기대소가야와주변제국, 6 世紀代加耶와周邊諸國, 第 14 回加耶史國際學術會義, 金海市. 朴升圭, 1992, 一段長方形透窓高杯에대한考察, 嶺南考古學 11., 1993, 慶南西南部地域陶質土器에대한硏究, 慶尙史學 第 9 輯., 1998, 伽倻土器의地域相에관한硏究, 伽倻文化 11., 2000, 考古學을통해본小加耶, 考古學을통해본加耶, 한국고고학회학술총서1, 한국고고학회., 2010, 加耶土器樣式硏究 ( 東義大大學院博士學位論文 ). 裵貞姸, 2012, 三國時代昌寧地域土器文化硏究 ( 釜山大大學院碩士學位論文 ). 申敬澈, 2007, 加耶스케치, 考古廣場 創刊號., 2010, 三國時代嶺南의情勢變動과小加耶古墳群, 경남의가야고분과동아시아, 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禹枝南, 2005, Ⅲ. 考察晋州武村遺蹟出土陶質土器의檢討, 晋州武村 Ⅳ- 三國時代 (2)-, 慶南考古學硏究所. 尹貞姬, 1997, 小加耶土器의成立과展開 ( 慶南大大學院碩士學位論文 ). 李尙律, 2009, 가야首長墓馬具의의의 -재갈을중심으로 -, 加耶의수장들, 가야사학술회의 15. 李瑜眞, 2007, 한반도남부출토有孔廣口壺연구 ( 釜山大大學院碩士學位論文 )., 2011, 가야지역출토유공광구소호의양식과성격, 유공광구소호 속에숨은의미와지역성논 116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7 의, 국립광주박물관테마전기념학술세미나. 李柱憲, 2005, 咸安地域의古墳과土器文化, 안라국의상징불꽃무늬토기, 함안박물관특별기획展. 定森秀夫, 1983, 韓國慶尙南道泗川 固城地域出土陶質土器について, 角田文衛博士古稀記念古代史論叢. 鄭澄元 洪潽植, 1995, 昌寧地域의古墳文化, 한국문화연구 7. 趙榮濟, 1985, 水平口緣壺에대한一考察 - 西部慶南伽倻後期土器의一樣狀 -, 慶尙史學 1., 1990, 三角透窓高杯에대한一考察, 嶺南考古學 7., 2001, 水平口緣鉢形器臺에대하여, 韓國考古學年報 44, 2006a, 三角透窓高杯에대한再論, 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論集刊行委員會., 2006b, 西部慶南加耶諸國의成立에대한考古學的硏究 ( 釜山大大學院博士學位論文 ). 崔盛洛, 2001, 한국고고학의방법과이론, 학연문화사. 河承哲, 2000, 加耶西南部地域出土陶質土器에대한一考察, 古文化 56, 韓國大學博物館協會., 2007, 스에키출현과정을통해본가야, 4~6세기가야신라고분출토의외래계문물, 제16회영남고고학회학술발표회., 2011, 외래계문물을통해본고성소가야의대외교류, 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 가야사학술회의17. 洪潽植, 2006, 加耶 新羅土器, 須惠器의竝行關係 -6 世紀代의韓 日交叉編年 -, 한일고분시대의연대관, 歷博國際硏究集会. _117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8 A chronological study on the So-Gaya style pottery Kim, Jiyeon(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this paper, as collecting whole pottery datum, detail attribution analysis and the type classification was done by for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hronological study of the So-Gaya style pottery. A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type reflecting chronolog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set up. The phase was divided into five-Ⅰ~Ⅴ-by the occurrence seriation based on the type combination. The appearance and the extinction of forms and types as standard is noticed in the phase set. The first phase is divided into two phases: the old phase that the pottery separated from the Haman style of the old-type Dojil pottery and the new phase that the pottery of So-Gaya appears with new forms. The So-Gaya style pottery is completed in the second phase. It is also divided into two phases. All forms are appeared in the old phase except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 flat cup with a cover. In the new phase,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ppears, and the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and rectangular opening with a cover, a mounted jar with straight neck is also checked. In the third phase,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nd the last type-Ⅵ type- of the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with no cover appears. All forms except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nd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re checked abundantly, and take archetypal form. In the fourth phase, the pottery stand with horizontal plane lip decreases and new shaped pottery stand and a flat cup with a cover appears. While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increases,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declines. A lip of the pottery stand and a jar shows perfect horizontal line. A mounted part of a mounted jar changes from a double layer to a single layer. A grip of a mounted-dish with rectangular opening with no cover disappears as well. In this phase, the style of So-Gaya pottery changes that a form of pottery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fifth phase, the last type of each form in all potteries is checked and most type 118_

04 고고광장 ( 김지연 )_ 레이아웃 1 2013-06-27 오후 1:18 페이지 119 tends to be small. Each phase belongs each quarter from th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Ⅰphase) to the first quarter of the six century (Ⅳphase) and the Ⅴphase belongs from the second quarter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based on the existing chronological idea, the cross dating of pottery with Sueki, Dae-Gaya, Ara-Gaya and Silla, the literature and the harnessry. I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Ⅳphase), as the type and combination of the pottery changes, it can be seen as an epoch-making phase of the So-Gaya pottery culture. In about A.D 562, the change of the So-Gaya style pottery is getting slower and begins to collapse. Keywords: So-Gaya, Pottery, So-Gaya style, So-Gaya style pottery, Chronology _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