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김일훈 김빛나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생물학과 요약 본조사는 제3차전국자연환경 " 조사의일환으로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포항시에위치한대보도엽 (359153)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상를대상으로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3목 6과 11종의양서 파충류서식이확인되었다.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와살모사 (Gloydius brevicaudus) 의서식이관찰되었으며, 멸종위기종및천연기념물, 생태계교란종등은발견되지않았다. 1. 서론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조사지역인대보도엽 (359153) 은경상북도포항시에위치하고있으며, 구룡포읍, 동해면, 호미곳면이해당한다. 대보도엽은도엽의반이상이바다이며, 내륙은 E4, E5, E6, E7 격자뿐이다. 내륙에흐르는강은없으며, 우물재산 (180m), 공개산 (213m), 응암산 (159m) 등이있으나높지않다. 대동저수지, 강서저수지, 삼정지등의저수지가있다. 본조사는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의일환으로 2012년 2 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포항시에위치한대보도엽일원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의서식현황을파악하는것을목적으로수행되었다. 대보도엽 (359153) 이포함된포항시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에대한이전조사는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의일환으로실시된김과송 (2001), 민과오 (2005) 의조사결과가있다. 대보도엽의양서 파충류조사는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격자별 3회현장조사를통하여수행되었다 ( 표 1).
표 1. 조사일정 격자번호 조사기간 1차조사 2차조사 3차조사 E4-1 2012. 03. 07 ~ 11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E4-2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2012. 06. 27 ~ 30 E5-1 2012. 03. 07 ~ 11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E5-2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2012. 06. 27 ~ 30 E7-1 2012. 03. 07 ~ 11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E7-2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2012. 06. 27 ~ 30 E8-1 2012. 03. 07 ~ 11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E8-2 2012. 04. 21 ~ 25 2012. 05. 09 ~ 13 2012. 06. 27 ~ 30 2. 조사결과및분석 본조사지역의양서 파충류를조사한결과, 총 3 목 6 과 11 종의 228 마리의성체와 5 마 리의사체가관찰되었다. 이중, 한반도고유종은한국산개구리와살모사가관찰되었다. 2.1 양서류상대보도엽 (359153) 의양서류를조사한결과, 총 2목 4과 6종 227마리의성체와 267개의난괴가관찰되었다. 환경부법적보호종중한반도고유중인한국산개구리의경우, 성체와난괴로서식이확인되었다.( 표 2). 표 2. 대보 (359153) 일대의양서류종목록과개체수 목 과 속 종명 상태 합계 Order Family Genus 학명 국명 성체 유생 난괴 사체 소리 Caudata Hynobiidae Hynobius Hynobius leechii 도롱뇽 81 5 202 283 Bombinatoridae Bombina Bombina orientalis 무당개구리 56 56 Hylidae Hyla Hyla japonica 청개구리 32 102 32 Salientia Rana coreana 한국산개구리 45 25 70 Ranidae Rana Rana dybowskii 북방산개구리 6 40 30 46 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 7 6 7 1 4 4 6 227 267 494 ; 산란된알의수로무당개구리, 청개구리를제외한모든종은알덩어리 (Clutch) 단위임. * ; 유생의수로, *= > 100, **= > 1000마리 합계 : 성체, 알, 사체의합으로, 유생과소리는제외함 2012 년도제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 2
3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대보도엽 (359012) 의양서류를조사한결과, 각격자별로최소 3종에서최대 6종의양서류가서식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3). 대보도엽은반이상이바다로 4개격자만조사를수행하였는데, E8번격자에서도롱뇽 (Hynobius leechii), 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가집단산란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E5번격자에서는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가다수확인되었으며, 청개구리 (Hyla japonica) 와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는넓은지역에서소수가확인되었다.( 표 3). 표 3. 대보 (359153) 일대의양서류상 대보도엽 (359153) 종명 E4 E5 E7 E8 (Species) A B A B A B A B 도롱뇽 14 1 8 260 무당개구리 25 19 9 3 청개구리 6 1 3 22 한국산개구리 21 49 북방산개구리 12 9 25 참개구리 5 1 1 4과 6종 3종 5종 2종 6종 - 표의수치는성체, 사체, 알의수를합한것임, 단무당개구리, 청개구리의알은포함안함. 2.2 파충류상대보도엽 (359153) 의파충류를조사한결과, 총 1목 2과 5종, 1마리의성체와 5마리의사체가관찰되었다. 대보도엽에서는한반도고유종인살모사가확인되었으나, 멸종위기종및생태계교란종등은발견되지않았다 ( 표 4). 표 4. 대보 (359153) 일대의파충류종목록과개체수 목 Order 과 Family 속 Genus 종명 상태 학명국명성체사체 합계 Elaphe Elaphe dione 누룩뱀 0 2 2 Colubridae Rhabdophis Rhabdophis tigrinus 유혈목이 0 1 1 Squamata Dinodon Dinodon rufozonatus 능구렁이 0 1 1 Viperidae Gloydius Gloydius ussuriensis 쇠살모사 1 0 1 Gloydius brevicaudus 살모사 0 1 1 1 2 4 5 1 5 6
대보도엽 (359153) 의파충류를조사한결과, 각격자별로최소 1종에서최대 3종의파충류가서식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5). E8번격자에서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능구렁이 (Dinodon rufozonatus),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의 3종이발견되어가장다양한종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E7번격자에서는한반도고유종인살모사사체가발견되어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표 5. 대보 (359153) 일대의파충류 종명 (Species) 대보도엽 (359153) E4 E5 E7 E8 A B A B A B A B 누룩뱀 1 1 유혈목이 1 능구렁이 1 쇠살모사 1 살모사 1 2과 5종 1종 2종 3종 2.3 문헌정보와의비교분석 2012년대보도엽 (369153) 을대상으로수행된양서 파충류조사결과를이전에포항시지역을대상으로수행된김과송 (2001), 민과오 (2005) 의조사결과와비교하였다 ( 표 6). 이전조사와비교해봤을때, 양서류의경우에는두꺼비, 황소개구리등이확인되지않았고, 파충류는도마뱀류와민물거북류가확인되지않았다. 2012 년도제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 4
5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표 6. 금번조사와문헌조사와의비교분석 문헌정보 조사종 김과송 (2001) 민과오 (2005) 12 년조사 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물두꺼비맹꽁이 무당개구리 양서류 청개구리 금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황소개구리 자라 남생이 붉은귀거북 아무르장지뱀 장지뱀 줄장지뱀 도마뱀구렁이 파충류누룩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대륙유혈목이 실뱀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 목견조사, : 청문조사 3. 결론및제언 3.1 결론 2012년대보도엽 (359153) 을대상으로양서 파충류의서식을조사한결과, 총 3목 6과 11종의서식이확인되었다. 이중,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의집단산란지가확인되었으며, 살모사의사체를통해도엽내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특히 E8지역의조사지점에서는도롱뇽, 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가같은지점에서집단산란하여매우중요한지점으로확인되었다.
2012년조사결과를김과송 (2001), 민과오 (2005) 의조사결과와비교하였을때, 이전조사에비해양서류와파충류모두종수가많이줄어들었는데, 이는조사지점의차이에의한것으로판단된다. 대보도엽에대한이전조사가없어서포항시지역의조사결과와비교하지만본조사도엽은바다와인접하여내륙의범위가좁고큰산이없다. 따라서산지형종인꼬리치레도롱뇽 (Onychodactylus fischeri), 물두꺼비 (Bufo stejnegeri), 까치살모사 (Gydius saxatilis) 등은서식이적합하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3.2 제언 2012년대보도엽 (359153)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를조사한결과, E8 격자의조사지점에서도롱뇽, 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가같은지점에서집단산란하였다. 따라서이지점은보존가치가매우높은것으로생각되며, 대보도엽내에서는이외의지역에서집단산란을할정도로적합한서식지가부족하였다. E4, E7, E8번격자에서는산과도로가인접하고, 파충류가일광욕을위해서도로를건너야하는위치이기때문에로드킬이자주발생한다. 따라서이러한파충류로드킬을줄이기위해서대책이필요하다. 이에대한제언은다음과같다. 1) 한국산개구리보호방안 - 조사지역내의한국산개구리의서식밀고및집단산란지조사 - 생활하수및쓰레기투기금지교육 - 산란지내수질개선에대한노력 ( 농약, 생활하수등 ) - 한반도고유종의집단산란지소개및보호요청안내 2) 파충류로드킬대책 - 조사지역에파충류로드킬현황및중점발생지역파악 - 로드킬위험종검토 - 중점발생지역에생태통로및안전가드조성 - 시민홍보를통한안전운전홍보 2012 년도제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 6
7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참고문헌 강영선 윤일병, 1975. 한국동식물도감제17권동물편 ( 양서 파충류 ), 문교부. 김인규, 송민희. 2001. 경주 포항, 만리성재일대의양서 파충류상. 제2차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국립환경과학원민희규, 오기철. 2005경주 포항지역의양서 파충류. 제2차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국립환경과학원. 원홍구. 1971. 조선량서파충류지, 과학원출판사. 환경부. 2006.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 양서 파충류 ), 국립환경과학원. Kim JB, Min MS, Yang SY, Matsu M. 22. Genetic relationships among Korean brown frog species (Anura, Ranidae), with special reference to evolutionary divergences between two allied species Rana dybowskii and R. huanrenensis. Zoological Science 19: 369-382.
<붙임 1> 조사 사진 사진 1. 도롱뇽(E4A) 사진 2. 통발에 산란한 도롱뇽(E1A) 사진 3. 통발에 산란한 도롱뇽(E1A) 사진 3. 한국산개구리(E8A) 사진 5. 포접한 북방산개구리(E7A) 사진 5. 청개구리(E5B) 사진 7. 누룩뱀 사체(E4B) 사진 8. 쇠살모사(E4A) 2012년도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