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제 480 호 2016. 8. 12 발행처대구경북연구원발행인이주석편집위원회서인원, 유병규, 오동욱주소대구광역시수성구청수로 43 Tel (053) 770-5000 Fax (053) 770-5039 연구책임오동욱대구경북연구원연구위원박경숙대구경북연구원연구원 www.dgi.re.kr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마을축제, 축제의새로운패러다임으로부각 1995 년지방자치실시이후증가하기시작한지역축제는양적확대에비해질적발전은미흡하다는평가를받으며성장세가둔화되고있다. 반면, 공동체를중심으로참신하고흥미로운소규모의마을축제들이증가하면서지역에활력을불어넣고있다. 마을축제는마을공동체와구성원들이주체가되어지역고유의자원들을문화ㆍ관광콘텐츠로개발하여주민의화합과지역활성화를도모하는축제이다. 이는지역성을기반으로참여형, 체험형, 일체감이극대화된축제를지향하는특성을지닌다. 대구시는 2015 년 생활문화공동체우수마을축제지원사업 을추진하면서마을축제육성을본격화하였다. 2016 년에는 지역축제육성ㆍ지원사업 으로보완ㆍ확대하여, 구ㆍ군대표축제와우수마을축제로세분화하여지역축제지원을강화하고있다. 마을축제육성의시사점 감천문화마을골목축제, 성미산마을축제,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등과같은마을축제사례를통해주요시사점을살펴보면, 대부분의축제가차별적인장소성과고유성을전면에내세우고있다. 또한마을미술프로젝트,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등과같은정부공모사업을축제기반으로활용하는적극성을보이고있다. 대경 CEO BriefingⅠ 대구경북연구원 Ⅰ1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그리고주민문화예술동아리등일상속에서공동체가즐기는문화활동을축제로연결하고있으며민간추진조직이축제의기획과운영을주도하고있다. 특히, 축제추진조직은홈페이지나 SNS 등을통해지역민의참여를위한다양한소통창구를마련하고문화예술자원, 지역공동체거점등을잘활용하고있다. 시민축제의뿌리인 마을축제 의지속가능성을위해서 마을축제는보여주는전시용이아니라, 참여하고화합하는시민정신융화의용광로이자지역공동체복원의핵심이되어야한다. 대구시마을축제가시민행복의밑거름이되기위해서는현재의대표축제와유망축제발굴ㆍ육성의기조를유지하되, 소규모마을축제지원을확대하여큰틀에서대구시축제정책의뿌리를강화할필요가있다. 모든축제의뿌리인마을축제의지속가능성과질적성장을촉진하기위한과제로는첫째, 대구형마을축제인증시스템의구축이다. 기초지자체 ( 구ㆍ군 ) 에서추천한마을축제에대해대구문화재단 ( 축제사무국 ) 이인증위원회를구성하여마을축제의고유성, 장소성, 희소성, 매력도등을기준으로심사ㆍ인증한다. 등록된마을축제에대해인센티브및브랜드화지원등을시행한다. 둘째, 마을축제의성격과규모별로차별화된지원과평가기준을구축한다. 보조금지급외축제공간및홍보등과같은간접적지원을확대하고, 공동체의견수렴과정과참여도등축제추진과정에대한기준을제시한다. 셋째, 마을축제콘셉트에대한주민공론화과정을강화할필요가있다. 마을축제의가치를특화된색깔로상품화하기위해서는줄이고 (Reduce), 늘리고 (Raise), 없애고 (Eliminate), 새로만드는 (Creative) 것에대한공론화과정이필수다. 넷째, 마을축제의상징공간 ( 골목ㆍ상징탑등 ) 을구축할필요가있다. 축제개최장소의유ㆍ무형적자원을활용하여특정장소에가면해당마을축제가연상되는장소성을극대화해야할것이다. 다섯째, 생활문화센터나주민자치센터등지역밀착형공공시설과유기적으로연계해야한다. 또한마을의문화적역량강화를위한정부의공모사업과유관기관을적극활용하여야한다. 여섯째, 맞춤형마을축제컨설팅시스템구축이다. 마을축제의전반적인과정에영향을미치지못하는일반평가의한계를컨설팅기능으로보완할수있다. 이상의내용은이연구를 요약 한것입니다. 2Ⅰ 제 480 호 Ⅰ 2016. 8. 12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1. 최근지역축제의변화와흐름 축제의성장세둔화와활력도저하 지역축제는 1995년지방자치실시이후지속적증가, 2008년기점으로조정기에진입 - 전국 926개 (2008년), 758개 (2012년), 664개 (2015년) 로감소 축제의양적성장에비해질적발전은미흡하다는평가 - 지역마다유사한축제개최및지역민의참여부족 - 부실한콘텐츠와일회성이벤트행사과다 - 지나친상품화에따른진정한축제정신결여와고유성상실 질적성장을위한축제정책의본격화 문화부, 문화관광축제 1) 지원규모축소및일몰제시행 - 문화관광축제, 2009 년 57 개에서 2016 년 43 개로지원규모축소 - 지역축제지원기간한도를설정하는일몰제시행 (2010 년기준 ) 지자체, 기존축제의통폐합ㆍ유료화시도 - 경남도, 2013 년 70 개지역축제를 43 개 (2015 년 ) 로통폐합하여예산 25 억원절감 - 강진청자축제, 함평나비축제, 문경전통찻사발축제등주요문화관광축제유료화로재정자립도향상 지자체, 주민참여확대로축제정체성강화 - 강동선사문화축제 ( 서울강동구 ), 주민축제추진단을중심으로축제프로그램기획 - 주안미디어문화축제 ( 인천남구 ), 미디어를주제로다양한시민참여프로그램마련 지역공동체의형성과마을축제의증가 대규모관광형지역축제에대한피로도증가 주민주도형마을공동체, 지역기반민간공동체의자생적성장과공동체적활동의관심증대 - 주거공동체 : 공동주거, 마을공동체, 아파트공동체운동등 - 경제공동체 : 협동조합, 지역통화, 되살림가게운동등 - 교육ㆍ문화공동체 : 청소년문화공동체, 학습공동체, 작은도서관운동등 1) 전국에서개최되는수많은지역축제중에서관광상품화가능성이높은축제를문체부가인증하는관광브랜드 대경 CEO BriefingⅠ 대구경북연구원 Ⅰ3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주민들의참여를기반으로참신하고흥미있는소규모마을축제개최증가 - 지역에대한이해와관심증대, 참여ㆍ공유의문화확산으로마을축제개최본격화 - 주민공동체, 지역소모임, 지역문예단체등을중심으로화합형마을축제, 마을전통굿, 예술축제등다양한형태로개최 2. 마을축제의개념과의의 마을주민들이진정한주체가되는축제 마을축제개념 : 마을공동체와구성원들이주체가되어지역고유의자원들을문화ㆍ관광콘텐츠로개발하여그들의화합과지역활성화를위해개최하는축제 마을의범위 : 대면적관계형성이가능한지역적범위로물리적인공간만을뜻하지않고 마을사람들 과 그들의관계망 까지를포함 2) - 전통적인개념의마을에서도시속에서가치관을공유하는지역공동체로의미확대 마을축제는지역성을기반으로참여형, 체험형, 일체감이극대화된축제를지향 3) 마을축제의지향점 마을축제, 진정한의미의축제다움회복 공동체성회복및지역정체성제고에기여 - 마을축제는축제의본질인공동체를실현하고공동체성을다지는기능수행 - 지역민과지역의만남을통해지역사회재발견과정체성확립에기여 지역민의문화적욕구충족및문화다양성에기여 - 스스로문화를향유하고창조하는마을구성원의자발적참여를기반으로진행 - 주민의문화적욕구를충족하는어우러짐의장을제공 - 공동체의성격과역량에따라개최되므로지역내문화다양성확산 마을축제를통한지역이미지개선 - 문화와창의적아이디어를기반으로개최, 해당지역의이미지를강화하고관광자원화하여지역활성화에기여 2) 송지선, 2012, 대안적마을공동체에있어서축제의의미와기능 - 성미산마을축제를중심으로 -, 고려대학교대학원 3) 경기학연구센터, 2015, 경기도작은축제 4Ⅰ 제 480 호 Ⅰ 2016. 8. 12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3. 마을축제관련정책의변화 중앙및지자체, 공동체지원사업과연계또는개별사업으로추진 문화부,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 중심으로마을축제육성지원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 4) 대상공동체의개별사업으로마을축제추진 - 작은공동체전통예술잔치 (2014) 5), 지역단위소규모전통예술잔치발굴ㆍ육성 서울시, 지역특성문화사업 으로자치구내소규모축제지원 - 기획력이뛰어나며축제전과정에주민참여가활발한축제를선정ㆍ지원 - 2015 년 109 개소규모지역특성화축제에총 20 억원지원 6) 부산시, 도시재생지원센터및문화재단중심으로관련사업추진 - 도시재생지원센터, 주민주도적으로진행되는마을단위소규모축제지원 - 부산문화재단, 우리마을생활문화축제지원사업 (2014) 추진 경기도, 경기문화재단의개별사업으로마을축제지원 - 작은축제지원사업 (2008), 지역의문화적특성을기반으로지역소모임이나문화동아리등이주체가되어추진하는소규모축제지원 - 문ㆍ따ㆍ복 ( 생활문화로따뜻하고복된 ) 마을축제지원 (2015), 31개시ㆍ군마을단위의자생축제지원 대구시, 생활문화공동체우수마을축제지원사업 으로마을축제육성본격화 2015년구ㆍ군축제를대상으로 생활문화공동체우수마을축제지원사업 추진 - 2016년 지역축제육성ㆍ지원사업 으로변경, 구ㆍ군대표축제와우수마을축제로나누어지원강화 - 지역의역사성과특성을소재로하는소규모우수마을축제의발굴ㆍ지원으로주민화합과지역공동체결속을확산 정례적으로개최하는마을축제를대상으로축제운영경비지원 - 달성토성마을축제등 5개축제를대상으로총 60백만원지원 4) 2009년시범사업으로시작한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 은농어촌, 임대아파트단지등문화사각지대주민들의자생적인문화예술활동및문화공동체조성을위한사업지원 5) 문화체육관광부와 ( 재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추진 6) 서울시보도자료, 2015.02.07 대경 CEO BriefingⅠ대구경북연구원Ⅰ5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대구시우수마을축제지원현황 (2016) 구분축제명기간장소지역 1 봉산미술제 10 월봉산문화거리일원중구 2 용암산성옥천문화제 10 월도동측백나무숲주차장동구 3 달성토성마을축제 6 월행복한날뫼골공방및골목서구 4 대덕제앞산빨래터축제 4 월말 ~5 월초앞산빨래터공원, 앞산맛둘레길남구 5 경대서문골목축제 10 월경북대서문북구 마을축제맞춤형선정기준을구축하여축제지원의차별화시도 - 지역을기반으로한주민및민간공동체중심의축제추진지원 - 축제전과정에서의주민참여도와지역화합기여도등과같은항목중시 - 지역예술인등지역문화자원의활용및연계평가 대구시우수마을축제선정평가기준 (2016) 평가항목 세부내용 축제기획 자생적인마을주민공동체주체여부 축제기획서의전반적인분야 축제특성 / 축제콘텐츠 향토성있는문화인물 유적전통예술등활용도 역사성, 지역성, 연속성 축제소재의특이성과매력성, 차별성 지역민의호응도및참여가능성 축제운영 편의시설운영적절성등 축제계획및실행단계등축제전과정에서의주민참여노력 축제발전성 구군대표축제로의발전잠재력 지역주민의참여의지및협조수준 축제성과 재래시장및지역예술인참여계획마련등지역사회발전기여도 공동체의주민화합및공동체가가진본연의가치회복기여도 6Ⅰ 제 480 호 Ⅰ 2016. 8. 12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4. 마을축제육성사례와시사점 1 주요대도시 감천문화마을골목축제 - 독특한경관과역사성을바탕으로 마을미술프로젝트 를통한마을만들기사업전개 - 관광객에게볼거리를제공하고주민화합을위해 2011 년최초개최 - 주민협의회가축제주요프로그램및콘텐츠를주도적으로기획하고운영 성미산마을축제 - 마을주민개인의문화적욕구를충족시켜주는장으로서축제개최 - 성미산마을축제위원회를중심으로 4~5개월이상의준비기간을가지며축제기획, 운영, 평가의전과정에주민참여 - 마을극단, 어린이합창단, 악기동아리, 노래패, 밴드등마을내동아리활동활발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 - 2011년지역문화인들의소규모모임에서시작 - 집청정과반구대일대거주예술가들의자발적참여로영화제에서예술제로확대 - 지역대표레지던시모하창작스튜디오, 암각화박물관등인근문화시설축제장으로활용 주요대도시마을축제사례 (2015) 구분감천문화마을골목축제성미산마을축제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 장소감천문화마을일대성미산마을일대반구대집청정큰마당 주최 / 주관 부산시사하구 /( 사 ) 감천문화마을주민협의회 ( 사 ) 사람과마을 / 성미산마을축제위원회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조직위원회 주요프로그램 가족노래자랑, 전통혼례재현, 입주작가전시회, 골목갤러리등 골목마라톤, 골목풀장, 전시ㆍ체험, 어울림한마당등 영화상영, 야외음악회, 지역작가전시회, 오픈스튜디오 마을만들기사업의성공이공동체활성화와축제로연결 축제에대한주민들의적극적의견개진과활발한참여 지역예술인, 문화시설, 주민의자원봉사와자발적후원 특징 자료 : 축제별안내자료 _ 성미산마을카페 (http://cafe.naver.com/smsfest/679); 울산광역시공식블로그 (http://blog.ulsan.go.kr) 대경 CEO BriefingⅠ 대구경북연구원 Ⅰ7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2 대구광역시 삼덕동인형마임축제 - 주민모두가즐길수있는인형극을소재로 2006 년최초개최 - 삼덕동마을만들기에공감하는다양한단체참가 - 지역아동센터를중심으로인형극단 초록별아이들 구성, 매년어린이날을전후로축제진행 물베기마을문화예술축제 - 음악인과악기사가밀집한지역으로악기연주음으로인해음악인과지역주민들간갈등지속 - 2009년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시범사업 지역으로지정되면서무료음악강좌개설, 주민악단, 오케스트라등주민문화활동추진 - 2010년주민과예술인간의화합의장을마을축제형식으로시작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침체한경북대서문상권의부활을위해마을기업인 내마음은콩밭 을중심으로 2013년시작 - 서문골목을축제장으로활용하여골목버스킹, 구석구석영화관, 프리마켓등진행 - 축제프로그램기획, 마케팅, 축제장운영등전과정을세분화하여운영효율화 대구시마을축제사례 (2015) 구분삼덕동인형마임축제물 베기마을문화예술축제경북대서문골목축제 장소중구삼덕 3 가일대대구시청소년문화의집일대경북대서문골목일대 주최 / 주관 삼덕동희망마을추진위, 삼덕동인형마임축제조직위등 / 대구공간문화센터, YMCA 대명 2 동주민자치위원회, 물 베기예술마을협동조합등 / 물 베기축제추진위원회 대구광역시 / 내마음은콩밭, 동화 주요프로그램 국내외인형극공연, 아트바이크체험, 도자공예체험등 생활문화공연, 물 베기가요제, 청소년마을 RPG, 청소년예술발표회등 마당극, 풍물 놀이, 골목벽화그리기, 영화상영, 프리마켓, 버스킹등 다양한시민ㆍ문화단체의참여 공동체지원사업을기반으로주민문화예술역량강화 일상문화활동이축제의메인 특징 자료 : 축제별안내자료 8Ⅰ 제 480 호 Ⅰ 2016. 8. 12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3 시사점 차별적인장소성과고유성을축제전면에부각 지역고유의정체성과장소성을바탕으로축제기획ㆍ운영 - 감천문화마을골목축제 : 산복도로, 계단식집단주거형태등역사성을보유한장소를축제장으로활용 -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대학청년문화의상징적공간인서문을중심으로축제기획 - 물베기마을문화예술축제 : 풍부한지역문화예술자원과청소년문화를축제프로그램에반영 정부공모사업, 공동체형성의기반으로활용 정부의공동체지원공모사업을기반으로공동체를형성하고연계하여축제개최 - 감천문화마을 : 마을미술프로젝트 ( 문화부 ) 지원으로 2009년부터문화마을조성 - 물베기마을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 ( 문화부 ), 문화예술생각대로조성사업 ( 국토부 ) 으로공동체형성및축제지원 - 삼덕동 : 살고싶은도시만들기,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사업 ( 국토부 ) 등으로마을만들기추진 공동체문화활동을축제콘텐츠화 일상속에서공동체가즐기는문화예술활동이축제로연결 - 성미산마을축제 : 동네풍물, 마을극단, 사진동아리, 마을합창단등문화예술동아리활동활발 -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마을기업의문화예술강좌, 워크숍등이축제로연결 - 물베기마을문화예술축제 : 주민악단, 청소년창작센터의문화예술활동을축제프로그램에반영 주민또는민간주도축제추진조직운영 주민또는민간커뮤니티가축제추진조직을구성ㆍ운영 - 감천문화마을축제 : 감천문화마을주민협의회가주도 - 성미산마을축제 : 성미산마을축제위원회중심으로운영 -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 : 반구대산골영화제조직위원회추진 대경 CEO BriefingⅠ 대구경북연구원 Ⅰ9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지역민축제참여활성화를위한소통창구마련 주민과축제를연결하는일상적인소통창구마련 - 성미산마을축제 : 축제홈페이지를통한추진위와주민간소통 -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블로그와 SNS를통한축제홍보및참여유도 -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 : 지역주민들의자발적인후원과자원봉사통로마련 지역문화예술자원의적극적활용 지역의문화예술자원을활용하여축제프로그램의완성도와다양성을높이는전략 - 울산반구대산골영화제 : 집청정과반구대주변거주예술인의전시회, 공연등 - 물베기마을문화예술축제 : 물베기예술마을협동조합의예술인축제참여 -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경북대총동아리연합회의공연, 전시, 체험프로그램참여 지역공동체활동거점을핵심시설로활용 지역공동체활동의거점이축제운영본부, 축제장등축제운영의핵심으로활용 - 삼덕동인형마임축제 : 마을정원마고재, 빗살미술관등이축제주무대 - 성미산마을축제 : 성미산마을극장, 마을동아리들의놀이터이자축제장 - 경북대서문골목축제 : 마을기업 내마음은콩밭 을축제운영본부로활용 5. 대구시마을축제의질적성장을위한과제 대구형마을축제인증시스템구축 마을축제의성과관리및지속가능축제로양성하기위한축제인증시스템도입 - 개성있는마을축제확산으로축제의차별성을강화하고수요자만족도를제고 기초지자체 ( 구ㆍ군 ) 에서추천한마을축제에대해대구시를중심으로대구문화재단 ( 축제사무국 ), 축제전문가등이참여한 마을축제인증위원회 를구성, 기획및현장평가를통해진행 - 마을축제의고유성, 장소성, 희소성, 매력도등을기준으로심사 10Ⅰ 제 480 호 Ⅰ 2016. 8. 12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등록된마을축제에대해인증마크를부여하고일정기간인센티브및브랜드화지원 - 인증마을축제에대해일정한기준에의거재심사후평가등급 ( 지속, 보류, 중단등 ) 재결정 마을축제성격, 규모별차별화된지원과평가 축제규모와성격및운영방식등에맞는평가체계를구축하여천편일률적평가시스템지양 - 축제기획에서부터시행, 추진주체, 체크리스트등세부내용까지매뉴얼화 직접적지원외공간, 축제준비및네트워킹공간, 전문인력, 홍보등간접적지원확대 - 공동체의견수렴과정, 지역민참여도, 구성원문화역량강화등축제추진과정에대한기준보완 마을축제콘셉트에대한주민공론화과정강화 마을축제성공을위해해당축제의가치를특화된색깔로상품화ㆍ콘텐츠화하기위한주민공론화과정이가장핵심 - 어떤부분을줄여야하며, 또무엇을확대해야하는지, 너무진부해보이는것은무엇이며, 어느것부터없앨것인지에대한공감대형성 마을축제발전에대한추진력있는민간주체와의지를가진공공부문의관계자들이함께목표를수립하고기획과정에공동참여 - 비용대비효과가극대화되도록없애고 (Eliminate), 새로만들고 (Creative), 축소하고 (Reduce), 늘리는 (Raise) 부분에대한수정ㆍ보완강화 마을축제상징물 ( 공간 ) 의구축 장소성과상징성을극대화할수있는축제의상징물 ( 상징탑, 골목등 ) 개발 - 축제방문객의기억속에이미지화할수있는요소로서공간의특징과매력을극대화 축제개최장소가지니고있는유ㆍ무형의자원을적극적으로활용 - 특정장소에가면해당마을축제가연상되는축제전문장소구축 생활문화센터등지역밀착형공공시설과유기적연계 지역내주민밀착형공공문화시설을공동체활동거점으로활용 - 각시설이현재진행하는프로그램을중심으로지역문화공동체를형성하고활동을수용ㆍ지원하여마을축제개최를자연스럽게유도 대경 CEO BriefingⅠ 대구경북연구원 Ⅰ11
시민축제의뿌리, 마을축제 의질적성장을위한제언 지역문화예술동호회활동공간과연계하여센터내동호회참여유도 공동체활성화관련정부공모사업의적극적참여 문화부의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공모사업적극활용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은마을의문화적역량강화에초점을두는사업 - 대구시물베기마을 (2009년) 과여우골예술마을 (2013년) 등이해당사업을활용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등지원기관활용 마을축제컨설팅시스템구축 축제별문제점을공급자맞춤형으로보다세밀하게진단하는컨설팅시스템도입 - 대부분의마을축제들의미흡한축제기획력과운영의전문성보완 마을축제의전반적인과정에영향을미치지못하는일반평가의한계를컨설팅기능으로보완 - 축제기획, 특성화, 마케팅ㆍ홍보, 신규프로그램개발, 관광객수용태세변화등컨설팅 축제의성과와노하우를공유하는마을축제아카이브구축 - 평가ㆍ지원ㆍ컨설팅의삼각구조하에서축제정책의효율성극대화 내용문의 : 오동욱연구위원 (ohdong@dgi.re.kr) 053-770-5078 박경숙연구원 (ksp@dgi.re.kr) 053-770-5098 12Ⅰ 제 480 호 Ⅰ 2016.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