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우리나라의성씨는몇개나될까? * 통계청은 2000 년우리나라의성씨및본관에대해조사하고, 2002 년에발표했다. 이것은성씨에관한최근의공식자료이다. 가가가가가? 그아이가가씨가맞느냐? 라고묻는경상도사투리다. 그런데가씨가정말로있을까? 있다. 한자로賈라고쓰는가씨는 9,090명이있다. 가씨가있다면가나다순으로가장뒤에오는성 ( 姓 ) 은무엇일까? 흥 ( 興 ) 씨가답이다. 흥씨는 462명이있다. 우리나라의성은이렇게가씨에서흥씨까지모두 290여개가된다. 이는중국의 2,600개, 그리고 10만개나되는일본에비하면그리많은편은아니다. 이름도성도모른다. 전혀모르는사람이라는뜻으로사용하는말이다. 그런데이표현은언제부터사용했을까? 그것을알려면먼저성이언제부터사용되었는지를알아야한다. 주변친구들을보더라도이름은순우리말인경우에도성은꼭한자인걸알수있다. 이렇게모든성이한자로되어있는걸보면, 중국의한자문화가들어온이후성을사용했음을알수있다. 가장오래된성에대한기록은삼국시대의것이다. 고구려의시조주몽이나라를세워 고구려 라하면서자신의성을고씨 ( 高氏 ) 라하였고, 백제를세운온조 ( 溫祚 ) 도 269
부여출신이라하여자신의성을부여씨 ( 扶餘氏 ) 라하였다. 신라의박 ( 朴 ) 혁거세는박처럼생긴알에서나왔다하여박의음을따성을만들었고, 김알지는금궤에서나왔다고하여성을김 ( 金 ) 이라고하였다. 그러나역사문서를보면삼국시대초기부터성을사용한것은아니다. 고구려는장수왕때 ( 재위 413~491) 부터고씨 ( 高氏 ) 성을썼고, 백제는근초고왕때 ( 재위 346~375) 부터여씨 ( 餘氏 ) 라하였다가무왕때 ( 재위 600~641) 부터부여씨 ( 夫餘氏 ) 라하였고, 신라는진흥왕 ( 재위 540~576) 때부터김 ( 金 ) 이라는성을사용하였다. 삼국시대에는대부분왕족이나귀족만성을가지고있었고, 고려때는평민들까지, 그리고조선후기에야천민들도성을가지게되면서모든사람이성을사용하게되었다. 그러니전혀모르는사람을말할때사용하는 이름도성도모른다. 라는표현은일반적으로조선후기에나가능했던일이라할수있다. 270
서울에서김서방찾기다. 일반적으로사람을찾기어렵다는표현을할때사용하는말이다. 이외에도 촌놈은김가아니면이가다. 김씨가끼지않은우물은없다. 라는표현도있다. 이걸보면우리나라에서가장많은사람이사용하는성은 김 일가능성이크다. 정말그럴까? 행정안전부조사 (2007. 10.30. 기준 ) 에의하면대략김 ( 金 ) 씨가최대의성으로 1,057만명정도가사용하여 5명중 1명꼴 (21.5%) 이며, 그다음으로는 724만명으로 7명중 1명꼴 (14.73%) 인이 ( 李 ) 씨, 그리고 4,15만명으로 12명중 1명꼴 (8.45%) 인박 ( 朴 ) 씨이다. 이들김, 이, 박씨를합하면 2천만명이넘는다. 즉우리나라사람중 2명에 1명은 김, 이, 박 씨다. 이성외에도인구 100만명이넘는성씨는정 (4.85%), 최 (4.72%), 조 (2.94%), 강 (2.56%), 장 (2.06%), 윤 (2.06%), 유 (2.06%), 임 (2.04%) 로모두 11개가있다. 그러면사람들이가장적게사용하는성은무엇일까? 혹시주변에서예 ( 乂 ) 씨나삼 ( 杉 ) 씨, 즙 ( 汁 ) 씨를만나본적이있는가? 이들을만났다면당신은매우특별한경험을한것이다. 이들성씨는아주희귀성이기때문이다. 100 만명이상인구를가진성씨와비율 단위 : % 김 21.50 67.97% 이 14.73 임 2.04 유 2.06 윤 2.06 장 2.06 강 2.56 최 4.72 정 4.85 조 2.94 박 8.45 271
너는어디 씨냐? 어른을만나성과이름을밝히고나면뒤를이어듣게되는질문이다. 본관을묻는것이다. 본관은어떻게해서생겨난것일까? 사람들의수가많아지면서성만으로같은혈족을구별할수가없게되자, 조상의출신지또는씨족의거주지와같은지명을성앞에붙여사용하면서본관이생겼다. 고려초에만들어진본관은처음엔신분의표시로주로지배층에서만사용되다가, 나중엔일반인도호적에본관을기재하게되었다. 현재가장많이사용되는본관은 경주 이고, 그다음으로 진주, 전주 순이다. 경주 라는본관을사용하는성씨는 87개이고, 진주 라는본관을사용하는성씨는 80개, 전주 라는본관을사용하는성씨는 75개이다. 실제사람수로보면 경주 본관을가진인구가 482만명으로가장많고, 그다음 김해 를본관으로한 43개성씨가 449만명으로뒤를잇는다. 성씨와본관을합쳐서살펴보면 김해김씨 가 413만명으로 11명중 1명꼴 (9.0%) 로제일많다. 그다음으로는 15명에 1명꼴인 밀양박씨 (6.6%), 18명에 1명꼴인 전주이씨 (5.7%) 순이다. 본관별성씨인구 (2000 년 ) 자료 : 통계청 272
성을갈겠다. 조선시대이래로모든사람들이성을갖게되면서 성 ( 姓 ) 은바뀌지않는다. 는원칙이철저히지켜져온우리나라에서굳은맹세나약속을할때사용하는말이다. 이때의성은아버지 ( 父 ) 의성씨를말하며, 여자들은혼인하더라도자신의아버지성을그대로유지한다. 어떠한경우에도성을바꾸지않는우리나라에서맹세를지키지않으면성을갈겠다는것은목숨을거는것과같은강한맹세인것이다. 그런데정말로성을가는경우는없는걸까? 실제로성씨가완전히다른집안에입양되는경우를제외하고는우리나라에서성을바꿀수없다. 성불변의원칙 은세계에서보기드문것으로, 우리나라의전통적인혈연적집단의식과뿌리깊은성씨의식, 그리고부계혈족주의를강하게보여준다. 그러나이렇게 불변의부계중심의성 을사용함에따라현실적으로여러가지문제가나타났다. 가장큰문제는 성불변의원칙 에따르면, 재혼한엄마를따라새아버지와사는아이들은전아버지의성을사용해야하기때문에한가족인데도성이달라상처를받거나놀림을받는경우가많다. 그리고부계성씨만을고집하는경우미혼모의자녀들은성으로인한사회적차별에고스란히노출된다. 이런점에서 성불변의원칙 은우리사회 인권의문제 의한원인이되었다. 그러나 2005년 성불변의원칙 을제도적으로강제하는 호주제 에대해 헌법불합치 라는헌법재판소의판정이내려졌고, 이에따라새법이만들어지면서 2008년 1월 1일부터 성불변의원칙 이사라졌다. 그렇지만우리의의식에남아있는 성불변의원칙 이나부계성위주의삶이쉽게바뀔것같지는않다. 그러나최근의몇가지성과관련한새로운풍조는우리의의식을변화시키는데유용할것이다. 신문이나방송에출연하는사람들가운데조한, 강이 등이름이 4자인사람들을본적이있을것이다. 예전처럼아버지의 성 만따르는것이아니라어머니의성까지같이쓰자고하는 부모성함께쓰기운동 을하는것이다. 법적으로는 273
여전히아버지 ( 父 ) 의성으로되어있지만사회적운동차원에서하는것이며, 이런활동을통해부계혈족주의의폐해를공론화하고자하는것이다. 하지만부모성함께쓰기는세대가지날수록성이길어지거나, 다음세대엔결국양가의아버지성만따르게되는문제가있다. 한걸음더나아가, 아예성을사용하지말자는움직임도있다. 인터넷에서사용하는이름인 하늘, 별 과같이그냥부를수있는자신의이름만사용하자는것이다. 이사람의본관이궁금하다! 우리나라에귀화하여성과이름을우리나라식으로표기하는사람들이늘고있다. 예를들어, 귀화외국인으로서처음공직자가된한국관광공사사장이참 ( 李參, 독일인, 베른하르트크반트 ) 과국제변호사하일 ( 河一, 미국인, 로버트할리 ) 씨가있다. 이들도본관이있을까? 당연히있다. 우리나라사람으로서적 (( 籍 ) 을가지려면본관이있어야하기때문에만든것이다. 이참씨의본관은독일이다. 그는 1986년에귀화하면서이한우라는이름을사용하였는데 (2001년에이참으로개명 ), 이때본관을자신의조국인독일로정하였다. 하일씨의본관은영도 ( 影島 ) 이다. 영도하씨는미국태생의로버트할리씨가 1997년 8월한국국적을취득하면서새로만든성씨이므로, 그는영도하씨의시조가되었다. 영도라는본관은그가살고있는 부산의영도 지명을따온것이다. 현재그의자녀 3명을포함해 4명의영도하씨가있다. 전통적으로우리나라의성이나본관제도는, 과거에는신분을나타내는표시였고, 최근에는부계혈족중심의사회적문제를일으키는원인이되었다. 이런점에서성을자유롭게선택하게되는세상이온다면이로인한사회적상처는조금줄어들것이다. 그리고앞으로 성을갈겠다 라고하면서중요한약속이나맹세를강조하는표현을사용하기는어렵지않을까? 274
우리나라의여러성씨가 ( 賈 ) 간 ( 簡 ) 갈 ( 葛 ) 감 ( 甘 ) 강 ( 剛 ) 강 ( 姜 ) 강 ( 康 ) 강 ( 强 ) 강 ( 彊 ) 개 ( 介 ) 견 ( 堅 ) 견 ( 甄 ) 경 ( 京 ) 경 ( 景 ) 경 ( 慶 ) 계 ( 桂 ) 고 ( 高 ) 곡 ( 曲 ) 공 ( 公 ) 공 ( 孔 ) 곽 ( 郭 ) 교 ( 橋 ) 구 ( 丘 ) 구 ( 具 ) 구 ( 邱 ) 국 ( 國 ) 국 ( 菊 ) 국 ( 鞠 ) 군 ( 君 ) 궁 ( 弓 ) 궉 () 권 ( 權 ) 근 ( 斤 ) 금 ( 琴 ) 기 ( 奇 ) 기 ( 箕 ) 길 ( 吉 ) 김 ( 金 ) 나 ( 羅 ) 난 ( 欒 ) 남 ( 南 ) 낭 ( 浪 ) 내 ( 乃 ) 내 ( 奈 ) 노 ( 盧 ) 노 ( 路 ) 노 ( 魯 ) 뇌 ( 雷 ) 뇌 ( 賴 ) 누 ( 樓 ) 단 ( 單 ) 단 ( 段 ) 단 ( 端 ) 담 ( 譚 ) 당 ( 唐 ) 대 ( 大 ) 도 ( 道 ) 도 ( 都 ) 도 ( 陶 ) 돈 ( 敦 ) 돈 ( 頓 ) 동 ( 董 ) 두 ( 杜 ) 두 ( 頭 ) 마 ( 馬 ) 마 ( 麻 ) 만 ( 萬 ) 매 ( 梅 ) 맹 ( 孟 ) 명 ( 明 ) 모 ( 毛 ) 모 ( 牟 ) 목 ( 睦 ) 묘 ( 苗 ) 묵 ( 墨 ) 문 ( 文 ) 미 ( 米 ) 민 ( 閔 ) 박 ( 朴 ) 반 ( 潘 ) 반 ( 班 ) 방 ( 房 ) 방 ( 方 ) 방 ( 邦 ) 방 ( 龐 ) 배 ( 裵 ) 백 ( 白 ) 범 ( 范 ) 범 ( 凡 ) 변 ( 卞 ) 변 ( 邊 ) 복 ( 卜 ) 봉 ( 奉 ) 봉 ( 鳳 ) 부 ( 傅 ) 부 ( 夫 ) 비 ( 丕 ) 빈 ( 彬 ) 빈 ( 賓 ) 빙 ( 氷 ) 빙 ( ) 사 ( 史 ) 사 ( 舍 ) 사 ( 謝 ) 삼 ( 杉 ) 삼 ( 森 ) 상 ( 尙 ) 서 ( 徐 ) 서 ( 西 ) 석 ( 昔 ) 석 ( 石 ) 선 ( 宣 ) 설 ( 薛 ) 설 () 섭 ( 葉 ) 성 ( 成 ) 성 ( 星 ) 소 ( 蘇 ) 소 ( 邵 ) 소 ( ) 손 ( 孫 ) 송 ( 宋 ) 송 ( 松 ) 수 ( 水 ) 수 ( 洙 ) 순 ( 淳 ) 순 ( 舜 ) 순 ( 荀 ) 순 ( 順 ) 승 ( 承 ) 승 ( 昇 ) 시 ( 施 ) 시 ( 柴 ) 신 ( 愼 ) 신 ( 申 ) 신 ( 辛 ) 심 ( 沈 ) 십 ( ) 아 ( 阿 ) 안 ( 安 ) 애 ( 艾 ) 야 ( 夜 ) 양 ( 樑 ) 양 ( 梁 ) 양 ( 楊 ) 양 ( 襄 ) 어 ( 魚 ) 엄 ( 嚴 ) 여 ( 呂 ) 여 ( 余 ) 여 ( 汝 ) 연 ( 延 ) 연 ( 燕 ) 연 ( 連 ) 염 ( 廉 ) 엽 ( 葉 ) 영 ( 影 ) 영 ( 榮 ) 영 ( 永 ) 예 ( 乂 ) 예 ( 芮 ) 오 ( 吳 ) 옥 ( 玉 ) 온 ( 溫 ) 옹 ( 邕 ) 옹 ( 雍 ) 왕 ( 王 ) 요 ( 姚 ) 용 ( 龍 ) 우 ( 禹 ) 우 ( 于 ) 우 ( 宇 ) 운 ( 芸 ) 운 ( 雲 ) 원 ( 元 ) 원 ( 苑 ) 원 ( 袁 ) 위 ( 韋 ) 위 ( 魏 ) 유 ( 柳 ) 유 ( 兪 ) 유 ( 劉 ) 유 ( 庾 ) 육 ( 陸 ) 윤 ( 尹 ) 은 ( 殷 ) 음 ( 陰 ) 이 ( 伊 ) 이 ( 李 ) 이 ( 異 ) 인 ( 印 ) 임 ( 任 ) 임 ( 林 ) 자 ( 慈 ) 장 ( 張 ) 장 ( 章 ) 장 ( 莊 ) 장 ( 蔣 ) 저 ( 邸 ) 전 ( 全 ) 전 ( 田 ) 전 ( 錢 ) 점 ( 占 ) 정 ( 丁 ) 정 ( 程 ) 정 ( 鄭 ) 제 ( 諸 ) 제 ( 齊 ) 조 ( 曺 ) 조 ( 趙 ) 종 ( 宗 ) 종 ( 鍾 ) 좌 ( 左 ) 주 ( 周 ) 주 ( 朱 ) 준 ( 俊 ) 즙 ( 汁 ) 증 ( 增 ) 증 ( 曾 ) 지 ( 智 ) 지 ( 池 ) 진 ( 晋 ) 진 ( 眞 ) 진 ( 秦 ) 진 ( 陳 ) 차 ( 車 ) 창 ( 倉 ) 창 ( 昌 ) 채 ( 菜 ) 채 ( 蔡 ) 채 ( 采 ) 천 ( 千 ) 천 ( 天 ) 초 ( 初 ) 초 ( 楚 ) 초 ( 肖 ) 최 ( 崔 ) 추 ( 秋 ) 추 ( 鄒 ) 춘 ( 椿 ) 탁 ( 卓 ) 탄 ( 彈 ) 태 ( 太 ) 판 ( 判 ) 팽 ( 彭 ) 편 ( 扁 ) 편 ( 片 ) 평 ( 平 ) 포 ( 包 ) 표 ( 表 ) 풍 ( 馮 ) 피 ( 皮 ) 필 ( 弼 ) 하 ( 夏 ) 하 ( 河 ) 학 () 한 ( 漢 ) 한 ( 韓 ) 함 ( 咸 ) 해 ( 海 ) 허 ( 許 ) 현 ( 玄 ) 형 ( 邢 ) 호 ( 扈 ) 호 ( 胡 ) 호 ( 鎬 ) 홍 ( 洪 ) 화 ( 化 ) 환 ( 桓 ) 황 ( 黃 ) 후 ( 侯 ) 후 ( 后 ) 흥 ( 興 ) 강전 ( 岡田 ) 남궁 ( 南宮 ) 독고 ( 獨孤 ) 동방 ( 東方 ) 망절 ( 網切 ) 사공 ( 司空 ) 서문 ( 西門 ) 선우 ( 鮮于 ) 소봉 ( 小峰 ) 어금 ( 魚金 ) 장곡 ( 長谷 ) 제갈 ( 諸葛 ) 황보 ( 皇甫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