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과한탄강의생태 철원군을흔히 생태계의보고 ( 寶庫 ) 라고한다. 이는강원도가대부분산지지역인데비하여철원군에는평야지역이넓게펼쳐져있고, 그한가운데를한탄강이흘러다양한동식물군이분포하기때문이다. 추가령열곡과광주산맥의영향을받아평탄구릉을이루면서평야가형성된철원군은우리나라중부온대지방

Similar documents
차례


untitled

src.xls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11

변화근(1).fm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 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ž

쌍백합23호3


는 1940 년대부터국가기관과관련된사람들이계속사용되어온용어이며아직우리말로된좋은단어를찾지못해그대로사용중이다. 내수면연구소는이러한구역에살고있는생물, 담수생물 ( 주로민물고기, 자라, 다슬기, 기타갑각류 ) 을대상으로생태에관한연구, 자원조성에관한연구, 유용담수생물의증양식기술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WSAVA dental guideline 1차 번역 수정

(연합뉴스) 마이더스

½Ç°ú¸Ó¸®¸»¸ñÂ÷ÆDZÇ(1-5)¿Ï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내지 뒷

- 2 -

안테나/한지해(001~025)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통계내지-수정.indd


~

이지복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14년 광주신세계 추석.pdf




07-왕피천(JE)


경영학회 내지 최종

4-Ç×°ø¿ìÁÖÀ̾߱â¨ç(30-39)


ITFGc03ÖÁ¾š

Korean J. Ichthyol. 11(2), 177~183, 1999 실험실에서사육한버들치의 및 期 한경호 노병율 오성현 박준택 조재권 성기백 * 여수대학교수산생명과학부, * 국립수산진흥원양양내수면연구소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

Ⅰ Ⅱ Ⅲ. 1. (Life Cycle) 2. ( ) Ⅳ. Ⅴ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¼øâÁö¿ª°úÇÐÀÚ¿ø

- 1 -


1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untitled

지도학발달06-7/8/9장

#7단원 1(252~269)교

1362È£ 1¸é

1009원우 앞-최종

!

제출문 환경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환경생태유량시범사업및제도운영방안 연구 ( 연구기간 : 2017 년 4월 13 일~2017 년 11월 30 일) 의 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7년 11월 생물모니터링센터

** ¿ùÈ£

b77ùµåÆ÷Ä¿½º³»Áö/L265µš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소식지수정본-1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아침 송(頌) 유자효 자작나무 잎은 푸른 숨을 내뿜으며 달리는 마차를 휘감는다 보라 젊음은 넘쳐나는 생명으로 용솟음치고 오솔길은 긴 미래를 향하여 굽어 있다 아무도 모른다 그 길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길의 끝은 안개 속으로 사라지고 여행에서 돌아온 자는 아직

<B0F8C0E5C6F3BCF6C0C7B9DFBBFDB0FAC3B3B8AE E687770>

(50-55)극지의자연환경.indd

<322DB3EDB9AE2E687770>

ÆÞ¹÷-Æîħ¸é.PDF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10월추천dvd

03-교통이야기

!aT내지 12월호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Y Z X Y Z X () () 1. 3

Á¦190È£(0825).hwp

지표3권1-265

* pb61۲õðÀÚÀ̳ʸ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이장에서다룰내용 테두리를제어하는스타일시트 외부여백 (Margin) 과내부여백 (Padding) 관련속성 위치관련속성 2

1. 경영대학

ÀÚ¿øºÀ»ç-2010°¡À»°Ü¿ï-3

DocHdl2OnPREPRESStmpTarget

<C3CA36B0FAC7D020B1B3BBE7BFEB2E687770>

Jkafm093.hwp

I&IRC5 TG_01.02권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학부모신문225호최종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hwp

Transcription:

제 3 장 한탄강 ( 화강 ) 생태 한탄강돌단풍

철원군과한탄강의생태 철원군을흔히 생태계의보고 ( 寶庫 ) 라고한다. 이는강원도가대부분산지지역인데비하여철원군에는평야지역이넓게펼쳐져있고, 그한가운데를한탄강이흘러다양한동식물군이분포하기때문이다. 추가령열곡과광주산맥의영향을받아평탄구릉을이루면서평야가형성된철원군은우리나라중부온대지방에속하는동시에북부냉대지방에가까워온대와냉대에서식하는동식물이함께번식 생장하고 60년간사람의발길이끊긴 DMZ 있다. 철원군은 6.25전쟁전에는산림이울창해많은동물이서식하였으나피비린내나는전쟁터로변해완전히폐허가되었고황무지로변해더이상살수없었다. 그러나휴전후 60년이란세월이지나면서철원군전지역에산림이울창해지고특히 DMZ와민통선지역내사람출입이제한되면서각종수목과잡초가무성해지고다시동식물의낙원으로변모했다. 한탄강은화산폭발로이루어져강이용암평원한가운데를좁고깊게깎아내려간수직절벽과협곡사이를흘러풍광은아름답지만사람들이쉽게접근할수가없어자연환경은원형그대로잘보존되어있다. 한탄강의이런지정학적인특징과 DMZ의특수성이어우러져철원군전체가생태계의보고인것이다. 철원군에는노루, 너구리, 고슴도치, 다람쥐, 두더지, 들쥐, 박쥐, 멧돼지, 산양, 산토끼, 살쾡이, 족제비, 오소리, 담비등 30여종의포유류가서식한다. 조류는참새, 콩새, 촉새, 방울새, 종다리새, 할미새, 박새, 휘파람새, 딱새, 굴뚝새, 제비, 파랑새, 물총새, 딱따구리, 뻐꾸기, 두견새, 수리부엉이, 소쩍새, 올빼미, 매, 새매, 솔개, 황새, 백로, 청둥오리,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기러기, 비둘기, 꿩, 뜸부기, 꾀꼬리, 동박새등 80여종이분포한다. 한편봄꽃이만발한한탄강상류나무는소나무, 참나무, 잣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박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동백나무, 생강나무, 낙엽송등 20여종이자라고있다. 풀종류는쇠뜨기, 고사리, 개모시풀, 쇠비름, 개비름, 패랭이꽃, 명아주, 매발톱꽃, 노루귀, 사위질빵, 으아리, 노루귀, 할미꽃, 꿩의다리, 족도리풀, 고추나물, 애기똥풀, 괴불주머니, 꽃다지, 냉이, 돌나물, 매화말발도리, 토끼풀, 괭이밥, 담쟁이덩굴, 제비꽃, 달맞이꽃, 미나리, 익모초, 질경이, 더덕, 잔대, 도라지, 돼지풀, 곰취, 개미취, 벌개미취, 산구절초, 엉겅퀴, 망초, 뚱딴지, 쑥, 머위, 고들빼기, 원추리, 민들레, 씀바귀, 은방울꽃, 미역취, 꽃창포, 붓꽃, 꿩의밥등수백종이서식한다. - 71 -

한탄강 변에 발달한 습지에는 각종 야생 동식 물이 서식하고 있다. 한탄강 유역은 야생화의 천국이기도 하다. 협곡 주상절리나 현무암 돌 틈 사이에서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피어 강인 한 생명력을 자랑하는 돌단풍, 자양강장 효과가 뛰어나다는 삼지구엽초, 화강암 주변에 많은 철 쭉, 붉은 색 병꽃나무, 한탄강 유역에만 자생하 는 포천 구절초 등 독특한 식물과 꽃들이 많 다. 물론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식물과 야 직탕폭포 주변 현무암에 피어난 돌단풍 생화도 부지기수다. 한탄강 주변에서 유난히 눈 길을 끄는 것은 북방식물인 돌단풍이다. 돌단풍 은 한탄강 전역의 암반, 주로 수직절벽과 현무암 돌 틈에 서식한다. 돌단풍은 잎이 단풍잎같 이 생긴데다 주로 돌 틈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돌나리라고도 한다. 한탄강 주변에 서 또 하나 눈에 띄는 식물은 삼지구엽초로 흔히 음양곽 이라 불리며 우리 자생식물 중 자양 강장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약용식물이다. 병꽃나무라는 이름은 9월에 열리는 열매의 모양이 마치 액체를 담는 유리병 모양을 하고 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이면 포천 구절초라는 들국화 를 만날 수 있다. 한탄강 지역에 자생하는 특산식물로 분홍빛이 돈다. 우리나라에는 가을에 피는 야생화로 국화과 식물이 많다. 구절초, 개미취, 쑥부쟁이, 벌개미취 등은 모두 생김새가 비슷해 소국(小菊)으로 통한다. 철원군은 6.25전쟁 때 완전히 황폐화 되었으 나 전쟁 이후 DMZ와 민통선이 설정되고 60년 간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면서 자연경관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휴전선 인근 일대와 한탄강 상류에 특히 산림과 초지 등이 무성하게 발달 해있어 습지조류, 산림조류, 희귀조류 등 다양 하게 관찰할 수 있다. 휴전선 부근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통제와 환경오염(농약, 폐수)이 전혀 없는 지역이기에 텃새와 철새들의 좋은 번식지이자 이동철새의 이정표가 된다. 강원도 화강에서 한가로이 노니는 여름철새 지역의 환경은 해안습지 조류의 좋은 이동경로 가 되고 계곡 산악지방은 산림조류의 낙원이다. 그 중 딱새류 등 소형 산림조류는 대부분 휴 전선 부근의 습지나 높은 산 어디를 가나 많이 관찰되며 최근 그 수가 줄기 시작한 여름철새 인 뜸부기도 휴전선 부근 경작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그 외 딱새류, 멧새류, 되새류, 뻐꾸 기류, 백로류 등도 철원군이 중부 내륙지방에 비해 밀도가 높다. 또한 희귀조류이자 국제보호 조인 두루미, 검독수리와 천연기념물 조류인 검은머리물떼새, 원앙, 붉은배 새매, 참매, 황조 롱이, 잿빛개구리매 등도 관찰된다. 철원군은 철원평야가 넓고 그 한가운데 한탄강이 흐르고 있어 습지조류들의 개체수가 유난히 많다. 철원평야는 주변이 분지로 이뤄져 있어 텃새나 철새들이 안정되고 시야가 넓게 보이는 지역이기 때문에 작은 조류에서 대형조류, 희귀조류가 많이 찾아온다. 강과 계곡 주변에 발달 - 72 -

한관목이나넝쿨식물군락지는조류의번식및휴식, 월동장소로이용된다. 특히희귀조류인두루미와까마귀, 오리등이추운겨울에집단으로찾아오는것은경작지에풍부한먹이가있고, 평야군데군데샘통같은얼지않는깨끗한물이있기때문이다. 철원군에서관찰되는조류는총 32과 87종이며여름철새 34종 (39%), 텃새 29종 (34%), 겨울철새 17종 (20%), 나그네새 6종 (7%) 이다. 무리별로는백로류, 수리류, 두루미류, 딱따구리류, 때까치류, 딱새류, 멧새류, 되새류등이대부분이다. 특히철원지역은번식조류보다이동철새인겨울철새, 나그네새, 텃새등과같이이동장소나월동장소, 채식지로이용하는조류들이많이관찰된다. 그대표적인조류로서천연기념물인두루미류, 수리류와매류, 지빠귀류, 멧새류등이봄과가을, 겨울에많이관찰되는것으로보아철원평야는철새들에게최적의환경조건을제공한다. 철원평야는사람도새도넉넉히먹여살리는 생명의산실 이라고할수있다. 샘통은철원읍외촌리철원역으로부터북방으로경원선철도변을따라월정역중간지점인재송평에위치하고있으며이곳은현무암지대로 4계절내내 15 미지근한온천이용출되어겨울철에도하천이얼지않는유명한곳이며백로, 왜가리, 두루미등철새도래지로서천연의입지조건을갖추고있다. 이곳은궁예가도읍을정하고통사계절따뜻한물이솟구치는샘통치할때부터사람들이거주하였다고전해지고있으며일제강점기는 80여호에 400여명의주민들이살았다고한다. 철원과평강, 이천으로연결되는길목으로샘통근처연못주위와부락주변에오래된수목들이울창해철따라도래하는백로, 왜가리, 두루미들의모습을경원선여행객들이한눈에볼수있었다. 300년전부터겨울이면두루미 150여쌍, 여름에는백로 300여쌍, 왜가리 50여쌍이도래해번식하였다고전한다. 철원벌을찾는철새가운데가장빛나는주인공은두루미다. 천연기념물 202호인두루미는전세계에 2천여마리밖에살지않는희귀종이다. 이중 400~500마리가매년민통선지역에서겨울을난다. 한탄강에서식하는어류로는버들치, 피라미, 갈겨니, 모래무지, 어름치, 쉬리, 돌고기, 붕어, 참붕어, 누치, 참마자, 잉어, 줄납자루, 묵납자루, 돌마자, 배가사리, 미꾸리, 미꾸라지, 종개, 참종개, 동자개, 퉁가리, 메기, 가물치, 꺾지, 쏘가리, 뱀장어등총 10과 49종에이른다. 이중한국특산어종으로는금강모치, 어름치, 쉬리, 가는돌고기, 줄납자루, 묵납자루, 돌마자, 배가사리, 참종개, 새코미꾸리, 퉁가리, 미유기, 꺾지등 16종이있고, 희귀어종으로보존고석정임꺽정전설에나오는꺽지할가치가있는금강모치, 새미, 가는돌고기, 돌상어, 배가사리, 종개등도서식한다. 특히종개, 배가사리등이많이보이고천연기념물인어름치도비교적우세하다. 한반도고유종외에도바다와육지를왕래하는회유어종으로뱀장 - 73 -

어가있으며, 국지회유성어종으로는붕어, 잉어, 끄리, 피라미, 누치, 참마자, 동자개등이있 다. 독특하게한탄강에는철갑붕어와참게도서식한다. 어류들에따라주로활동하는공간도각기다르다. 잉어, 어름치, 누치등은주로깊은물의중간층에서활동하며피라미, 갈겨니는표층에서활동한다. 모래무지, 참마자, 돌고기등은하천의밑바닥부근에서활동하며하상구조 ( 모래, 자갈등 ) 와깊은관계가있다. 메기, 동자개, 눈동자개, 꺾지, 쏘가리, 뱀장어등육식어종은수심이깊고큰돌이있는곳에서식한다. 각어류의서식밀도는여울에서의밀도가천연기념물제259호어름치소 ( 沼 ) 에서의밀도보다크게높다. 이것은여울에서식하는어류개체수가훨씬많기때문이다. 피라미, 갈겨니는아침과저녁으로모래무지는오후 8~10시경활동이왕성하고육식어류는주로 22시에서오전 4시까지야간에활동한다. 한탄강에서식하는패류 ( 貝類 ) 로는참다슬기, 염주다슬기, 논우렁이, 쇠우렁이, 말조개, 물달팽이등이있다. 한탄강은남한에하나밖에없는화산강으로그아름다운비경만큼이나많은전설과역사, 생태를간직한보배로운강이며철원군민삶의젖줄이다. 천연기념물두루미 철원군은강원도최대곡창지대로서현무암용암지대위에광활한철원평야가펼쳐진다. 궁예가세운태봉의도읍지로서일제강점기에는강원도에서강릉다음으로두번째로인구규모가컸던도시였다. 수량이풍부한한탄강과용암지대의다양한지형은새들의번식과휴식에적절한서식지를제공하고있다. 6.25전쟁이후분단체제로서불가피하게군사보호지역인 DMZ와민간인통제구역인민통선이생겨나면서농사는짓지만거주할수없는철원군은두철원평야에서먹이활동하는두루미루미의낙원이되었다. 군사지역이면서풍부한낙곡과여울이발달하고어류와강생물들이풍성한한탄강, 지뢰밭으로개발할수없는산과구릉지는자연적인천이과정을통해형성된식생과다양한지형적조건과어울리면서두루미에게는가장좋은서식지이다. 두루미는주로미꾸라지, 갯지렁이, 다슬기등동물성먹이와벼, 옥수수, 씨앗, 뿌리등식물성먹이를먹는다. 우리나라에는 2차대전까지만하더라도겨울이면수천마리의두루미가찾아왔으나최근에는 DMZ와인천, 강화도등지에수백마리정도가찾아와월동할뿐이다. 두루미는천연기념물제202호이고재두루미는제203호, 흑두루 - 74 -

미는제 228 호로지정되어범국가적인보호와지원을받고있다. 두루미는우리나라에서찾아오는철새중에서키가큰야생조류에속한다. 키는 140~160cm, 날개길이 240cm, 부리는머리길이에 1.5배로서길고뾰족한모양이고, 몸전체가하얗고날개끝이검어땅위에서있을때는흰도포자락을휘날리며거니는선비의모습이다. 그래서우리나라선비의표상으로서입는 ' 학창의 ' 는학과같이고고하고덕망있는선비에게어울리는것이다. 학 ( 鶴 ) 이라불리는두루미는천연기념물 203호재두루미 " 뚜루루뚜루루 " 울음소리를본따서만들어낸이름으로알려지고있다. 영어이름크레인 (Crane), 라틴어그루스 (Grus), 일본어쯔루 (tsuru) 도모두국가별로들리는울음소리에기원한다고한다. 두루미는동아시아에서번식하고월동하며전세계에 2,600~2,800마리가살고있다고알려져있다. 두루미의번식지는러시아와중국접경지역인한카호수, 중국의자룽습지와몽골에이르는아무르강범람원지역이대표적이다. 갈대와사초군락이형성된습지로형성된평야는누구도범접할수없는곳으로두루미 1쌍은 2마리의새끼를땅위에서키운다. 이들이자라서그해겨울에는한국의철원군한탄강및한강하구지역, 강화군갯벌등지에찾아오게된다. 특히키가커서경계심이강한두루미는다양한지형과식생을즐기고벼생산이후떨어진낙곡이주된먹이다. 저녁에얼지않고여울이발달한강에서잠을자기때문에철원군은두루미의좋은보금자리가되고있다. 두루미는 1박2일을해야제대로볼수있다. 두루미는새벽에어떠한인위적인소리도없는고요함과적막한새벽을깨면서비상한다. 철새마을이라불리는양지리토교저수지에서이른아침일제히비상하는두루미광경은장관이고황홀하기까지하다. 그들은철원평야에서자기가족과친구들끼리일정한구역에모여서낙곡을먹는다. 눈이내린하얀겨울논은두루미의발자국과낙곡을찾으려는두루미부리흔적, 다른두루미나기러기와달리둥그런그근하신년 ( 謹賀新年 ) 들의따뜻한배설물까지겨울철군계일학의자연경관을보여준다. 그래서이들의우아한모습을찍기위해많은사진동호인들이철원에모여든다. 찍으면그냥근하신년 ( 謹賀新年 ) 이되는사진들이쏟아진다. 고요한아침에울려퍼지는두루미의쩌렁쩌렁한울음소리를듣고있노라면저절로힐링이된다. 짝을찾거나자기짝에게새로운모습을보여주기위한수컷의춤과노래소리는그무엇과비길수없을정도로아름답다. 우리의학춤이다소정적인데반해서기원이되는이들의춤은다이내믹하고수려하다. - 75 -

전국최고의밥맛철원오대쌀 1970년대후반만하더라도벼품종은다수확이우선이기에통일벼계통의밀양21호가한창보급되는단계였다. 물론당시에도밥맛이좋은품종이있었지만소출이많지않아일반농가에서는꺼리고있었다. 남북이치열하게대립하는형국에서국가적으로도식량자급이제일의지상과제였기에다수확품종개발에박차를가하고반강제적으로경작하게하였다. 농촌지도소와각읍면사무소에서는벼수확량소이산에서바라본철원평야을늘리기위해객토와퇴비채취, 보온못자리, 적기병충해방제등을적극독려하고각종경진대회를열어포상하기도했다. 식량자급과빈곤해방문제가어느정도해결되고삶의질향상문제가대두되면서밥맛좋은쌀에대한관심이높아졌다. 이런사회분위기속에서철원군에서는우리지역기후와풍토에적합하고소비자들의입맛을충족시킬새로운벼품종개발에집중하게된다. 10년간의연구개발및시험재배를거쳐 1982년첫선을보인것이오대벼이다. 그때만하더라도그냥오대벼였고단지새로개발된조생종품종중하나일뿐이었다. 오대벼가처음부터일반농민및소비자들에게환영받은것은아니었다. 농민들에게새로개발한쌀의우수한품질을설득하는것도문제지만생산된쌀의판로확보도관건이었다. 아무튼처음에그리주목받지못했던오대쌀이철원지역기후에순화되고품질이안정화되면서일반농가에소문이퍼졌고재배지역이확대되게된것이다. 오대벼는농촌진흥청작물시험장에서개발된벼로서, 냉해에강하고수량이많은일본벼아키스호를어미로하고냉해에강하고잘쓰러지지않는후지269호를아비로, 1974~1975 년가을에인공교배를통해만들어졌다. 오대벼의계통명은수원 303호이며 1981~1982년철원지역에서마지막육종단계인지역적응시험이수행되었다. 오대벼 라는이름은평창군에있는오대산의 오대 를따온것이며, 이것은당시벼품종의이름을붙이는기준이조생종경지정리가잘된전방지역철원평야은산이름을붙이도록하였기때문이다. 오대벼는철원지방에서 7월말경에출수하는조생종으로이삭이길고벼알이드물게달렸으며쌀알이굵은편으로현미 1000 알의무게가 25g이상된다. 또한해에따른풍흉이크지않아안정적수량을보이나수확량이많은품종은아니다. 쌀알은흰티가약간있으나투명하며찰기가있고맛이좋다. 그리고철원지역의기후조건이쌀을잘여물게하여질좋은쌀이생산될수있었고, 맑은물과오염안된토양등철원청정이미지가소비자에게크게어필하였다. 또한철원은남한북쪽의유일한평야지대로서냉한날씨영향으로병해충발생이미 - 76 -

미해농약사용이중남부지역에비해현저히적어철원쌀이다른지역쌀에비해안전성면에서앞선다. 철원오대쌀이성공한것은국민생활수준의향상으로맛좋은쌀의요구가증대된것과 1990년대초미곡종합처리장이설립되면서한단계높은쌀제품을생산공급할수있기때문이다. 그리고철원평야는조생종지대중에서대규모로집단화되어있어생산물의품질이비교적균일하다. 철원오대쌀은철원기후및토질과찰떡궁합이다. 위도에따라서낮의길이와기온이크게변하므로작물생육에많은영향을준다. 여름철적도부근열대지역에는낮의길이가 12시간으로연중같다. 그러한환경에서우리나라중만생종벼를심으면정상적생육을하지못하고출수를하므로거의수량을기대할수없다. 또한밤기온도높아낮동안만들어놓은양분을벼식물체의왕성한호흡작용으로써버용암대지위에펼쳐진철원평야리므로온대지역에비해벼수량이낮다. 철원평야는우리나라중가장위도가높은평야로서양력 6월 21일경인하지를전후해낮의길이가서귀포에비해서는 30분가량길고, 전라남도남쪽지역에비해서는 20분정도길다. 매일 20~30분가량낮이길므로벼식물체가그만큼더양분을만들수있다. 또한 8월출수후밤낮의온도차가남쪽평야에비해뚜렷이크므로벼식물체의밤동안호흡이억제되어양분소비를적게함으로서결국벼가잘여물게되어쌀의품질은좋아지고수량은느는것이다. 무공해청정지역인 DMZ 부근에서발생하는물과공기는당연히철원오대쌀의품질을한단계더업그레이드시킨다. 어떤농작물이맛있으려면그농작물이가지고있는형질이 100% 발현되어야한다. 그런데농작물의형질이 100% 발현될수있는자연환경이란것이그리넓지않다. 평균기온 1~2도의차이, 토양에서의모래질혼입몇퍼센트의조그만차이등등으로농작물의형질은제각각발현된다. 심지어 3,000평짜리논하나에서도가운데에서자란벼와가장자리의벼의맛이다르다. 오대벼가강원전역에심어지고있지만 철원오대쌀 이맛있다는명성을가지게된것가을수확을앞둔철원오대벼은이같은 품종과자연환경의궁합 이절묘하게맞아떨어진결과라고할수있다. 철원오대쌀 이맛있는까닭에대해서는특히벼가여무는시기의일교차를들수있다. 이삭이다나오고난이후인 8월 6일부터 9월 15일사이에벼가익기시작하는데이때철원지역의일교차는섭씨 8~11도에이른다. 낮에는햇볕이쨍하고밤에는찬공기가감싸는것이다. 이런기후에서는낮에광합성을하여얻은영양분을밤에벼로잘축적하게되어맛있는쌀이된다. 또흙이질참흙이라는점, 물이맑다는점등이 철원오대쌀 의맛을더한다. 오대벼는여느품종에비해쌀알이약간크다. 또밥을하고 - 77 -

난후식었을때도쉽사리딱딱해지지않는다. 그래서특히도시락용으로안성맞춤이다. 수확후관리도중요하다철원오대쌀은대부분철원관내의농협미곡종합처리장에서수매를한다. 일반적으로수확후수분함량을 16% 로건조한벼로받는다. 수확후곧장수매에내기도하는데이를물벼라고하며미곡처리장에서건조를한다. 미곡처리장에서는다른품종의벼도수매를하지만오대벼와섞이지않게따로보관한다. 보관창고는한여름에도섭씨 15도를넘지않도록유지한다. 그온도를넘기면맛이변할수있기때문이다. 이렇게보관한벼는그때그때도정을하여연중시장에낸다. 가정에서의보관도중요하다. 벼에서쌀로도정되고난다음에는되도록빨리먹는것이좋다. 벼는살아있는상태이므로오래보관하여도변성되지않지만, 쌀은죽은상태이므로실온에서 10여일지나면단백질이며지방질에변성이오기시작하기때문이다. 따라서작은봉지의것을자주사는것이맛있는밥을해먹는요령이다. 또쌀포대에도정날짜가찍혀있으므로가장최근날짜의쌀을고르는것이좋다. 철원오대쌀은전국에서추수가가장빠르기에언론의주목을많이받는다. 그리고햅쌀출하가격이가장먼저결정되기에모든사람들의이목이집중된다. 철원오대쌀수매단가및판매가격이전국에서생산되는벼수매가의기준이되는셈이다. - 78 -

한탄강의주요민물고기 버들치 ( 학명 Moroco oxycephalus BLEEKER) - 잉어목잉어과 몸이가늘고길며옆으로납작하다. 주둥이가길며위턱끝에서전방에돌출한육질 ( 肉質 ) 돌기가있다. 몸빛은고르지못한황갈색바탕에등쪽은암갈색, 배쪽은담색이다. 몸한가운데에는폭이넓고윤곽이불선명한암갈색의세로띠가있고등쪽에암반점이많이흩어져있다. 몸길이는 12 14cm이다. 한국, 시베리아, 연해지방, 중국북부등지에분포한다. 넓은하천과호소에도서식하지만좁은산간계류를더좋아한다. 깨끗한 1급수에서만사는 1급수지표종이다. 활발하게행동하며잡식성으로갑각류, 곤충류, 작은동물, 식물의종자등을먹는다. 산란기는 5 6월이며물이느리게흐르는여울에서알을낳는다. 맛이없어식용으로보다는관상용으로더인기가높다. 임원경제지 에유어 ( 柳魚 ) 를한글로 버들치 라고기록하였는데강버들밑에서유영하는것을좋아하므로이름을버들치라고한것으로여겨진다. 뱀장어 ( 학명 Anguillia japonica TEMMINCK et SCHLEGEL) - 뱀장어목뱀장어과 뱀장어는장어류가운데유일하게바다에서태어나강으로올라가생활하는회류성어류이다. 형태는몸이둥글고길어서다른어류들과쉽게구별된다. 아주잔비늘이피부에묻혀있다. 배지느러미는없고등지느러미와뒷지느러미는길며꼬리지느러미에연속되어뒤끝에서뾰족해진다. 몸색깔은사는장소나시기에따라서약간씩차이가나서, 민물에서바다로이동할때에는짙은검은색으로변한다. 따뜻한민물에서살며, 육식성으로게, 새우, 곤충, 실지렁이, 어린물고기등을잡아먹는다. 낮에는돌틈이나풀, 진흙속에숨어있다가주로밤에움직이는야행성이다. 물의온도가낮아지면굴이나진흙속에들어가겨울을보내고이듬해봄에다시활동한다. 수컷은 3~4년, 암컷은 4~5년정도지나면짝짓기가가능해지고, 8~10월에짝을짓기위해바다로내려간다. 이때에는생식기관이발달하고소화기관이퇴화하면서, 굶은상태로산란장소를찾아이동한다. 필리핀인근의깊은바다에서짝짓기가이루어지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700~1,200만개의알을낳고죽는다. 부화된새끼는다시담수로올라오는데그시기는지역에따라다르다. 제주도와호남지방은 2 3월경부터시작되고, 북쪽으로갈수록늦어져서인천근처는 5월경이된다. - 79 -

금강모치 ( 학명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 잉어목잉어과 금강산계곡에서처음발견되어금강모치라는이름이붙었는데버들쟁이 산버들치 산피리 버들피리 버드쟁이 청피리등으로도불린다. 한국고유종으로몸길이 10cm 내외로크기가작은소형종이며날씬하다. 몸은원통형에가깝지만옆으로조금납작하다. 머리는보통으로눈은머리의양옆가운데보다약간앞쪽에있고등쪽에붙는다. 콧구멍은 2개로앞뒤가서로가깝고눈의앞끝에가깝다. 주둥이끝이뾰족하고아래턱이위턱보다조금짧다. 아가미구멍은양쪽다아가미뚜껑바로뒤에뚫려있고넓다. 아가미갈퀴는작은돌기처럼생겼으며짧고그수가적다. 입수염은없다. 등지느러미는배지느러미보다뒤에붙으며삼각형모양으로바깥가장자리는거의직선이다. 뒷지느러미의모양과크기는등지느러미와비슷하고바깥가장자리는밖으로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깊이갈라지고끝이날카롭다. 한강과금강의최상류에서식하며북한에서는대동강과압록강에서분포한다. 심산유곡의물이맑고찬계류에서서식하면서주로수서곤충이나작은갑각류를먹고살며산란기는 4 5월로암수의어울린집단이자갈밑을파고들어가산란한다. 피라미 ( 학명 Zacco platypus TEMMINCK et SCHLEGEL) - 잉어목잉어과 2급수에주로서식하고내성이강하며여름에특히많이잡힌다. 재물보 에는조어 ( 鰷魚 ), 난호어목지 에는필암어 ( 畢巖魚 ) 라하여형태를설명하였으며, 산란기에미적색의혼인색을띤수컷을 불거지 라하여적새어 ( 赤鰓魚 ) 로기록하고있다. 전북 충남에서는피리, 피래미, 피라지라불린다. 몸길이는 8 12cm로길고날씬하며옆으로납작하다. 옆줄은배쪽으로많이쳐져있다. 비늘은큰육각형으로수정광택이있으며꼭대기가장자리와밑언저리의중앙은솟아올라있다. 뒷지느러미는매우크며, 생식시기가되면유난히붉은빛을띠며수컷이더욱뚜렷하다. 몸빛깔은등쪽이청갈색이고옆구리와배쪽은은백색을띤다. 옆구리와배쪽사이에는붉은빛이서로질러있고옆구리에는불규칙한암청색의가로띠가 10 13줄있다. 어릴때에는이가로띠가분명하지않은것도있다. 산란기에수컷은화려한혼인색을나타내등은청록빛을, 주둥이, 머리, 지느러미는붉은빛을띠며옆구리에는분홍색의무늬가나타난다. 하천중류와하류의여울에주로서식한다. 2급수에주로살지만, 내성이강하여 3급수에서도잘견딘다. 주로돌이나모래에붙어사는미생물을먹지만물에서사는곤충도먹는다. 산란기는 6 8월이며, 물살이느리고모래나자갈이깔린곳에지름 30 50cm의산란장을만들고암컷과수컷이함께들어가 30초 - 80 -

동안에알을낳는다. 암컷이알을보호하지않기때문에다른민물고기의먹이가되기도한 다. 갈겨니 ( 학명 Zacco temminckii TEMMINCK et SCHLEGEL) - 잉어목잉어과 피라미와비슷하지만머리가큰편이다. 뒷지느러미가발달되어있기는하지만피라미만큼은발달되어있지않다. 몸길이는 18 20cm정도로비늘이잘고눈이크고검다. 등쪽은창록색 ( 蒼綠色 ), 옆구리는다창색, 배쪽은은백색이다. 옆구리에는어두운세로띠가뚜렷이있어피라미와구별하기쉽다. 생식기에는몸전체가붉은빛깔을띤다. 우리나라압록강이남의서해안및남해안에유입되는여러하천과강원도남부이남의동해에유입되는하천에분포하고, 일본과중국에도분포한다. 하천의상류 중류의숲이우거진곳의수면표층가까이에머무르는때가많다. 산란기는 6 7월이며물이느리게흐르는자갈바닥이나모래감탕바닥에알을낳는다. 1 2급수를대표하는물고기인만큼강상류나중상류의수면이나중층같은맑은물에서산다. 오염에약하기때문에사람이손을댄강바닥, 저수지등에는살지못한다. 나무가무성한물가를좋아하며주로곤충을잡아먹는다. 파리를좋아해서플라이낚시에매우잘낚인다. 모래무지 ( 학명 Pseudogobio esocinus TEMMINCK et SCHLEGEL) - 잉어목잉어과 모래속에숨는성향이있어서모래무지라는이름이붙었으며학명에쓰인라틴어 'gobio' 는바닥에살고있는작은고기라는뜻을담고있다. 난호어목지 와 임원경제지 에는사 ( 鯊 ), 한글로는모래마자또는모리모자로썼다. 몸은원통형으로길고몸뒤쪽으로갈수록점차가늘어진다. 머리와주둥이가길며입은머리의아래쪽으로향해있다. 입의아래턱이위턱보다짧으며한쌍의수염이있다. 비늘이큰편이며옆줄의비늘수가 40~44개이다. 등지느러미와뒷지느러미는거의정삼각형의모양을띤다. 몸의옆에는 8~9개정도의커다란검은반점이있으며반점의경계는뚜렷하지않다. 강의모래바닥근처에서먹이를찾아다니며물속에사는수서곤충이나작은동물을잡아먹는다. 먹이를먹을때에는바닥에있는모래와함께먹이를삼켰다가모래만아가미구멍으로내보낸다. 산란기가되면알을모래나자갈바닥에낳는다. 알은 6~7일뒤에부화하며 1년만에 6~7cm 정도로자라고, 3년이지나면 15cm 정도까지성장한다. 수질오염에민감한편이 - 81 -

어서주로깨끗한물에서살고있다. 모래나작은돌에붙은유기물을걸러서먹는습성이있 어서물의정화작용을돕는역할을하기도한다. 얼음치 ( 학명 Gonoprokopterus mylodon BERG) - 잉어목잉어과 1978년 8월 18일천연기념물제259호로지정되었고 어름치 라고도쓴다. 한강과금강의상류에만아주희소하게서식하는얼음치는우리나라의특산어종이다. 물이맑고바닥에자갈이깔려있는큰강의중 상류에산다. 육식성으로주로수생곤충을먹고갑각류나그밖의동물도잡아먹는다. 누치와참마자에비해몸이크고주둥이가둥글며몸표면에검은점이있고꼬리에화살모양의검은점이뚜렷한것이특징이다. 몸길이 15 40cm이다. 몸은원통형에가깝고앞부분이굵고뒤쪽은가늘며옆으로납작하다. 눈은머리의양쪽중앙부보다조금앞에있지만위로붙는다. 주둥이는길지만아래턱은위턱보다크다. 산란습성이아주특이하여 4 5월수온이 16 18 로상승하면물이맑고완만하게흐르는여울에구덩이를파고돌틈에알을낳은뒤에알의유실을방지하기위하여자갈을모아산란탑을쌓는다. 산란부화후 1년이되면 10cm까지자라고, 만 3년이지나면 25cm정도성장한다. 지금까지알려진얼음치의서식지는한강의춘천 가평 화천 인제 홍천 횡성 영월 정선등의수역과금강에서는무주와금산수역이다. 환경변화에민감하고분포지역이국한되어있으므로멸종되는것을방지하기위해천연기념물로지정하였으며그모양이나행동이특이하여학술적으로매우중요하다. 쉬리 ( 학명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 잉어목잉어과 몸길이 10 15cm로몸매와몸빛깔이아름다운민물고기로유명하다. 몸은가늘고길며머리가뾰족하고돌고래와비슷하게생겼다. 머리와몸통모두옆으로납작하다. 눈은머리의가운데양쪽중앙보다앞에있고등쪽으로치우쳐서붙는다. 입은주둥이끝의밑에있고밑에서보면위턱이원형이다. 아래턱이위턱보다짧다. 비늘은비교적크고옆줄의비늘수는 41개이다. 측선은완전하고곧게뻗는다. 등지느러미는배지느러미보다약간앞에있고바깥가장자리는밖으로둥글다. 뒷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보다뒤에있고바깥가장자리는둥글다. 가슴지느러미는가늘고길며아가미뚜껑바로뒤에하나씩붙는다. 몸은등쪽이검고머리의등쪽이갈색, 배쪽이청백색이다. 옆구리의측선부분에는넓은노란띠가세로로있고그등의언저리는등황색이며아름다운등색의세로띠가있다. 강상류와중류의물이맑고자갈이깔린여울에서서식한다. 작은무리를이루어바닥가까이를헤엄치다가사람이나타나면바위틈으로숨는다. 수생곤충이나작은동물 - 82 -

을잡아먹는다. 산란기는 5 월초 6 월중순이며주먹크기의돌밑에알을붙인다. 한국특산 어로북한지역을제외한우리나라중남부의한강 금강 섬진강 낙동강과동해안의모든하천 수계에분포한다. 붕어 ( 학명 Carassius Carassius LINNAEUS) - 잉어목잉어과 몸이약간길고옆으로납작하며꼬리자루의폭이넓다. 머리는짧고눈이작으며주둥이는짧고끝이뾰족하지않다. 입은작고입술은두껍다. 입가에수염이없는것이잉어와전혀다른점이다. 몸빛은등쪽은황갈색이고배쪽은황갈색을띤은백색이다. 세계적으로널리분포하고있으며우리나라전역에분포한다. 환경에대한적응성이가장강한물고기로서하천중류이하의유속이완만한곳이나호소 ( 湖沼 ) 또는논에살며수초가많은작은웅덩이에도잘산다. 겨울에는활동이둔해지며깊은곳으로이동하고봄에수온이상승하기시작하면활동이활발해지면서얕은곳으로이동한다. 산란기는 4월에서 7월사이이다. 자연적으로나인위적으로변이 ( 變異 ) 가일어나기쉬운물고기로서금붕어도붕어에서변화한것이다. 한편가뭄이나수질오염에대한저항력은대단히강하다. 붕어는옛문헌에부어 ( 鮒魚 ) 또는즉어 ( 鯽魚 ) 로나온다. 손쉽게잡을수있어식용으로이용한역사가매우길다. 1469년 ( 예종 1) 편찬된 경상도속찬지리지 에어량 ( 漁梁 ) 에서산출되는어류에부어가들어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조에강원도를제외한모든도에서즉어가나는것으로되어있다. 향약집성방 에는즉어가하나의약재로올라있는데여러가지부스럼을다스리고순채 ( 蓴菜 ) 와함께국을끓여먹으면위가약해음식이내리지않는것을다스리며회를쳐서먹으면오래된적리 ( 赤痢 ) 백리 ( 白痢 ) 를다스린다고하였다. 난호어목지 에는부 ( 鮒 ) 를한글로 붕어 라하고그맛에대하여강천 ( 江川 ) 에사는것은빛깔이금처럼누렇고맛이좋으며지택 ( 池澤 ) 에사는것은검고맛이좋지못하다고기록하고있다. 오늘날에도붕어는우리나라사람들의기호식품의하나가되어있을뿐아니라유어 ( 遊魚 ) 에없어서는안될중요한담수어자원인데무분별한남획과수질오염으로자원이옛날에비해많이줄었다. 누치 ( 학명 Hemibarbus labeo PALLAS) - 잉어목잉어과 눌어 ( 訥魚 ) 또는중순어 ( 重脣魚 ) 라하고눕치라고도하였다. 몸길이는 20 30cm가보통이나 50cm에달하는것도있으며, 몸은조금납작하고머리가크다. 모양이잉어와비슷하나머리가뾰족하고등지느러미에억센가시가하나있는것이다르다. 입술이두껍고한쌍의입수염이있으며몸빛은은백색바탕에등쪽은암흑색이고, 배쪽은회색에가까운빛깔이다. 몸은기다란원통형으로뒤쪽으로갈수록옆으로납작한형태이다. 주둥이가튀어나와머리모양이전체적으로뾰족하다. 눈이큰편이고입술이다소두껍다. 머리와아가미덮개를제외한몸전체에둥글고큰비늘이덮여있다. 가슴지느러미와배지느러미는노랗고둥그스름한모양이 - 83 -

지만등지느러미는삼각형이가깝다. 물이맑고깊은곳을좋아해서주로큰강의상류에서찾아볼수있다. 강바닥위에서헤엄치면서모래에붙은부착조류를비롯해물에사는곤충, 실지렁이, 작은갑각류등을먹고산다. 5월정도가되면 10~100cm 정도깊이의강바닥에알을낳으며, 이알은 4~5일이지나면부화하기시작한다. 부화후 2년이지나면 10cm가넘게자라고, 다자랐을경우크게는 70cm에이른다. 큰강의중 상류에서낚시를통해잡히는경우가많다. 가짜미끼를이용하는루어낚시와더불어얼레에긴낚싯줄을감거나풀어서낚싯줄의길이를조정하여물고기를찾아잡는 ' 견지낚시 ' 가많이이용된다. 잉어 ( 학명 Cyprinus carpio LINNAEUS) - 잉어목잉어과 잉어는담수어류의대표종이라고할만큼거의전세계적으로분포하고있으며,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등지에서널리양식되어온어류이다. 인류가양식한어류중에서는가장오랜물고기로기원전약 500년경에저술된중국도주공 ( 陶朱公 ) 의 양어경 에도상세한잉어사육법이기록되어있다. 입가장자리에는두쌍의수염이있기때문에수염이없는붕어와구별된다. 몸이크고긴원통모양이며성체의크기는최소전장 21.6cm, 최대 122cm로알려져있다. 눈은작은편이며아래턱이위턱보다조금짧다. 비늘은옆줄을따라서 30 33개로비교적크며둥근기와모양으로몸에덮여있다. 동양화에서는큰비늘을묘사하기위하여그수가적게그려지기도한다. 형태와몸색깔은살고있는곳에따라다소차이가난다. 특히몸색깔은어두운색에서밝은색까지아주다양하다. 등지느러미와꼬리지느러미는짙은색을띠며다른지느러미는옅은색을띤다. 적응력이뛰어나다양한환경에서살수있지만주로바닥이진흙이고물흐름이느린큰강이나호수에서산다. 잡식성으로조개류나새우류, 작은물고기나알, 물속곤충, 미생물이나물풀등닥치는대로먹고산다. 겨울이되어수온이떨어지면활동이둔해지며, 이듬해봄이되어야활동하기시작한다. 수온이 18~22 가되는 5~6월경에짝짓기가시작되며대개오전에산란한다. 성숙한암컷은약 30만개의알을낳으며, 이알을물풀줄기나잎에붙인다. 수정된알은 10일을전후로하여부화하며시간이지나 25mm 정도로자라면어른의모습을갖추게된다. 3년가량지나면 30cm 정도가되며 20년까지살았다는보고가있다. 원산지는유라시아온대지방이지만세계여러지역에분포한다. 아직없는곳은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및마다가스카르섬이다. 미국에서는일반적으로해를끼치는동물로취급되는데, 그것은먹이를찾기위하여바닥을파는습성때문에진흙이나개흙을부유시켜서물을탁하게하고이부유된진흙이수중식물등다른물체의표면에가라앉기때문이다. 그러나 - 84 -

우리나라에서는잉어가낚시의가장좋은대상의하나로취급된다. 자연계에서는강의중하류구역, 물살이약한소 ( 沼 ) 를이루는곳에주로살고, 호수나큰저수지등에서도자라고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해마다많은양어장에서기른종묘를큰면적의대형수면에방류해왔기때문에원래의자연산과섞여서살고있다. 홍수때강에서살던잉어가강의하류로내려가서바닷물이섞이는기수구역또는바다의깊숙한곳까지밀려가서발견되기도한다. 잉어는부화직후인어릴때에는동물성플랑크톤을먹고자라지만그뒤는잡식성으로되어동물성과식물성먹이를다같이먹는다. 오래전부터식용이나약용, 관상용으로이용하였으며특히보양식으로잘알려져있다. 찜을하거나죽이나탕을끓여서먹으며, 밤과대추등과함께끓인물을먹기도한다. 비린내가많이나기때문에요리를하기전식초를탄물에담궈냄새를제거하기도한다. 또한일본에서는다양한몸색깔을내는비단잉어를개발하여세계각지에서관상용으로이용하고있다. 효자가하늘의도움으로겨울에잉어를구해병든어머니를공양했다하여유교덕목의효와부합되어 오륜행실도 에수록되어전한다. 용왕의아들인잉어를구해주고보은을받았다는신이담 ( 神異譚 ) 이전해오기도한다. 잉어꿈은수태를알리는길몽이라하였다. 잉어를용종 ( 龍種 ) 으로보고입신출세를상징한다. 잉어가황하상류의룽먼 ( 龍門 ) 의거센물길을오르면용이된다는중국의등용문 ( 登龍門 ) 고사가우리에게도그대로전해지고있다. 줄납자루 ( 학명 Acheilognathus yamatsute MORI) - 잉어목잉어과 한국특산어로몸은옆으로납작하고몸높이는납자루속어류가운데가장낮다. 몸길이는 10cm까지달하며주둥이는앞으로약간돌출되었다. 몸높이는암컷이높고등 뒷지느러미도암컷이길다. 머리는작고옆으로납작하다. 눈은머리의양쪽옆면가운데보다조금앞에있고위로붙는다. 주둥이는뾰족하며입은말굽모양에짧은수염이 1쌍있고, 입술의안언저리는각질화되었다. 옆줄은뚜렷하고배쪽으로약간휘어진다. 등지느러미는배지느러미보다뒤에서시작하고바깥가장자리는밖으로굽는다. 뒷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의가운데쯤에서시작하고등지느러미와비슷하지만약간작다. 가슴지느러미는아가미뚜껑의바로뒤에달려있으며길고좁다. 꼬리지느러미는깊이갈라지고위아래조각의크기나모양이거의같으며끝이뾰족하다. 몸빛깔은전체적으로은백색이며옆구리의중앙부이상의등쪽이암갈색이고측선에가까울수록짙어진다. 성어의등 뒷지느러미에는여러줄의뚜렷한검은색또는흰색의세로줄이지느러미를가로지르고있다. 산란기가되면혼인색이곱다. 물이맑고물풀우거진하천이나늪지에서서식한다. 잡식성으로수생곤충, 물풀과돌에붙은미생물등을먹는다. 산란기는 4월하순에서 6월상순으로부족류조개의체내에알을낳는다. 산란기가되면회색산란관이길어진다. 알은타원형으로한쪽끝이둥글고크며다른쪽은가늘다. 은근한멋을자아내는푸른띠가햇살을받으면더욱빛을발한다. 우리나라의동해안으로유입하는하천을제외한전수역에서분포하는데하천에펄과자갈이섞여있고수심 30 80cm인곳에서산다. 산란기인 3월말에서 7월말 - 85 -

까지는큰집단을이루며, 산란이끝나는대로 8 월경부터무리를형성하지않고흩어져산다. 묵납자루 ( 학명은 Acheilognathus signifer BERG) - 잉어목잉어과 한국특산어로몸은옆으로납작하고몸높이는높다. 몸길이는 8cm로등지느러미와뒷지느러미의가장자리는다른납자루에비해둥글게되어있다. 눈은크고머리의양옆가운데보다앞쪽으로치우쳐서등쪽으로붙으며두눈사이가넓다. 콧구멍은앞과뒤의길이가짧다. 주둥이의끝보다눈의앞끝에가깝다. 주둥이는둥글고, 입은주둥이의끝밑에있다. 입술은얇고매끄러우며입수염이달려있다. 아가미구멍은아가미뚜껑의뒤에있고넓다. 비늘은크고기와처럼덮여있다. 수컷의등지느러미는가장자리가둥글지만암컷의것은거의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와배지느러미도작고끝이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깊이갈라지고위아래조각의크기와모양이거의같다. 옆줄은몸통의양옆면가운데서배쪽으로휘면서직선으로달리는완전한모습을보인다. 몸빛깔은암갈색으로서등쪽이짙고배쪽은연한색이다. 옆구리에무늬가없거나몸의후반부중앙에가느다란선이희미하게있으며몸높이가높지않다. 옆구리는암갈색으로지느러미의바깥언저리가어두운색이다. 등지느러미의윗언저리는밖으로살짝굽어있고, 혼인색은수컷에서는흑갈색이고암컷에서는연한빛깔이다. 담회색의산란관은항문뒤에있고산란기가되면길어진다. 물살이느리고수풀이우거지거나모래, 진흙과자갈이섞인깊지않은개울, 저수지에주로서식한다. 잡식성으로동물성과식물성먹이를두루먹는다. 산란기는 5 6월이며조개의몸속에알을낳는다. 우리나라의한강 임진강 대동강등지에분포하며 2012년 5월 31일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지정되어보호받고있다. 돌마자 ( 학명 Microphysogobio yaluensis MORI) - 잉어목잉어과 한국특산어로몸이거의원통형으로길고약간옆으로납작하며머리와몸통의배쪽이편평해서바닥에붙는다. 몸길이는 7~10cm 정도이고눈은등쪽에붙었다. 입은밑에서보면말굽모양인데비교적넓다. 아래턱이위턱보다짧다. 윗입술에는비교적큰피질돌기가 1 줄로나란히있다. 입구석에는 1쌍의입수염이길게있다. 머리를비롯해가슴부터배의가운데부분까지비늘이없다. 등지느러미의바깥가장자리는거의직선형이다. 뒷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보다작고배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보다뒤에서시작한다. 꼬리지느러미는깊이갈라지고윗조각과아랫조각의크기는비슷하다. 측선 ( 옆줄 ) 은완전하고몸의양옆가운데부분을거의직선으로달리지만앞쪽이배쪽으로조금굽는다. 몸빛깔은등쪽이청갈색, 배쪽이은백색이며눈아래로불분명한암색띠가 1-86 -

개있다. 옆구리중앙에 6 8개암색반점이세로로줄지어있다. 등지느러미와꼬리지느러미에는검은색작은반점이줄지어있다. 모든반문은어린것에서더욱뚜렷하다. 산란기에는암컷과수컷모두주둥이,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등이부분적으로주황색을띤다. 맑은물이흐르고바닥에모래가깔려있는곳에서서식한다. 습성이모래주사와비슷해같은곳에서사는경우가많은데, 바닥가까운곳을헤엄치면서작은규조류 녹조식물 수생곤충등을잡아먹는다. 산란기는 5 7월이다. 한국특산어종으로압록강 낙동강 밀양강 남강에분포한다. 배가사리 ( 학명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MORI) - 잉어목잉어과 몸길이 8 12cm이다. 몸은원통형이고길쭉하지만옆으로조금납작하다. 눈이작고등쪽에치우친다. 주둥이의밑에서부터배까지평평하기때문에바닥에붙을수있다. 입은밑에서보면말굽처럼생겼고아래턱이위턱보다짧다. 윗입술은반원형으로비교적큰피질돌기가 1줄로배열되어있다. 입구석은눈의앞끝에닿으며입구석에는수염이 1쌍있다. 아가미구멍은양옆에있고비교적넓다. 등지느러미는뒷지느러미보다크고배지느러미보다앞에서시작하며, 가운데부분이밖으로둥근데특히수컷에서두드러지게나타난다. 꼬리지느러미는끝이깊이갈라지고아랫조각과윗조각의크기가비슷하다. 비늘은큰편으로기와처럼배열되어있다. 배와가슴에는배쪽으로비늘이있고가슴의좁은부분에만비늘이없다. 몸빛깔은등쪽의윗부분이청갈색이고배쪽은흰색이다. 몸중앙에는분명하지않은어두운세로띠가있으며, 이세로띠안에는 8 9개의어두운색반점이나란히있다. 이세로띠는간격이고르지않다. 등쪽으로는분명하지않은갈색의반점들이흩어져있다. 중 상류의물이맑고바닥에자갈이깔려있는하천에서식한다. 바닥주변에서규조류 녹조식물을찾아먹고작은곤충과모래도먹는다. 겨울이시작되기바로직전과알을낳을무렵에는큰무리를이룬다. 산란기는 6 7월경이며 2년이면성숙한다. 한국특산어종으로한강 임진강 금강 대동강등지에분포한다. 중고기 ( 학명 Sarcochelichthys czerskii BERG) - 잉어목잉어과 몸길이 10 16cm이다. 몸은가늘고길며옆으로납작하다. 머리는둔하게뾰족하다. 눈이작고두눈사이는넓다. 입은작고위턱은밑으로길게늘어뜨릴수있다. 윗입술은얇고가늘며아래턱이위턱보다짧다. 입에는잘보이지않는미세한수염이 1쌍보이며비늘은비교적크다. 등지느러미는작고거의삼각형이며배지느러미보다조금앞에서시작한다. 뒷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와비슷하게생겼으나 - 87 -

약간작다. 가슴지느러미가비교적길고넓다. 배지느러미는작고끝이둥글며항문을감싼다. 꼬리지느러미는깊이갈라지고위아래조각의크기나모양이거의같으며끝이둥글다. 측선 ( 옆줄 ) 은뚜렷하고몸의양쪽옆면중앙부를달린다. 몸빛깔은등쪽이암녹갈색이고배쪽은은백색이다. 각지느러미는등황색을띠고있다. 옆구리중앙에는어두운세로띠가있다. 등지느러미기부와바깥언저리근처에검은색띠가있고꼬리지느러미상하양옆에도어두운세로띠가있어다른종류와구별하기쉽다. 그러나노성어 ( 老成魚 ) 는이세로띠가불분명하다. 산란기의수컷은주황색을띠고몸통과지느러미, 눈은분홍색으로변한다. 물살이느리고수심 1m 안팎의바닥에서주로헤엄을치며노는데, 진흙이섞인모래와자갈이깔려있고물풀이많은곳을좋아한다. 소리나그림자등이얼핏비치기만해도도망갈정도로환경변화에매우민감하게반응한다. 우리나라낙동강에서대동강에이르는사이의여러하천에분포한다. 양쯔강 ( 揚子江 ) 등지에도분포한다. 깊지않은못에서식하며밑바닥에서먹이를찾는다. 주로수생곤충 갑각류 실지렁이등의동물성먹이를잡아먹는다. 산란기는대개 5 6월로조개의몸안에알을낳는다. 한국특산종으로서해와남해로흐르는각하천에분포한다. 미꾸라지 ( 학명 Misgurnus mizolepis GUNTHER) - 잉어목미꾸리과 한자어로는추 ( 鰌 ), 추 ( 鰍 ) 라고한다. 미꾸리와굉장히비슷하게생겨서구별하지않고부르는경우가대부분이지만생물학적으로는다른종으로분류되며형태에서다소차이가난다. 몸이미꾸리보다크며전체적으로가늘고길다. 몸은미꾸리보다옆으로더납작하고머리는위아래로납작하다. 작은눈이머리위쪽에붙어있고입이아래쪽으로향해있다. 입주변에는 5쌍의수염이있는데미꾸리에비해긴편이다. 암컷이수컷보다크고, 가슴지느러미가암컷은둥글고짧은데반해수컷은가늘고길다. 몸옆면에는작고까만점이흩어져있고, 등과꼬리지느러미에도작은반점이나타난다. 비늘이미꾸리보다크고머리에는비늘이없다. 몸표면에서는점액을분비한다. 주로강하류, 연못처럼물흐름이느리거나물이고여있는곳에서산다. 물이그리깨끗하지않은 3급수정도의물에서도잘견디며진흙속에자주들어간다. 온도가낮아지거나가뭄이들면진흙속으로들어가휴면을취하며, 물속산소가부족한경우에장으로공기호흡을한다. 동물성플랑크톤과모기유충인장구벌레, 진흙속유기물을먹고살며대개밤중에활동한다. 비가내려물이불어나면짝짓기가시작되며, 이때수컷은암컷몸을감아서알을낳도록유도하고알을수정시킨다. 낳은알은물풀에붙이는데보통 2일후에부화한다. 몸길이가 4cm 정도로자라면어른의모양새를갖추게된다. 봄과여름사이에비가내리는날농수로나작은도랑에서촘촘한그물을이용해잡을수있다. 날씨가추워지면진흙속으로들어가므로이때에는삽으로땅을파서잡기도한다. 단백질과비타민 A 함량이높아영양식으로이용된다. 미꾸리와함께추어탕재료로유명하며튀김으로먹기도한다. 겨울보다봄, 여름사이에살이많이오르기때문에이때가가장맛이좋은것으로알려져있다. 참종개 ( 학명 Iksookimia koreensis KIM) - 잉어목미꾸리과 - 88 -

한국고유종으로몸길이는 7~10cm이다. 머리와몸은굵고옆으로약간옆으로납작한긴막대모양이다. 주둥이는길게돌출되어끝이뾰족하며입은작고주변에 3쌍의입수염이있다. 눈은머리중앙의위쪽지점에있으며그아래에는작고끝이 2개로갈라진안하극이라부르는가시가있다. 등의가운데에는삼각형모양의등지느러미가있으며수컷의가슴지느러미기부에는가늘고긴막대모양의골질반이있다배지느러미는등지느러미보다약간뒤쪽에서시작되고꼬리끝과배지느러미중간지점에는뒷지느러미가있으며꼬리지느러미는갈라지지않았다. 몸전체는연한황색바탕이며머리에는주둥이에서시작하여눈을지나는검은줄무늬가있고군데군데점무늬가있다. 등과몸의옆에는진한갈색의작은반점이있다. 몸중앙에는 10~18개의삼각형꼴의반점무늬가있는데, 그사이에는구름모양의얼룩무늬가있다. 등지느러미와꼬리지느러미에는 3~4 개의흑갈색줄무늬가있다. 하천중 상류물이맑고흐름이빠른곳의자갈바닥에살며위협을느끼면자갈이나모래속으로파고들어간다. 노령산맥이북의서해로흐르는임진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과동해안으로유입되는삼척오십천과마읍천에분포한다. 하천의중 상류의유속이빠르고물이맑으며자갈이깔린하천바닥이나그가까이에서서식하며주로수서곤충과부착조류를먹고산다. 산란기는 6 7월로추정된다. 퉁가리 ( 학명 Liobagrus andersonii REGAN) - 메기목퉁가리과 한국고유종으로생김새가메기와비슷하지만색깔은노랗고크기가작다는점에서차이가난다. 몸이다소길고, 머리가위아래로납작하며몸뒤편으로갈수록옆으로납작해진다. 주둥이가납작하고위턱과아래턱길이가비슷하다. 입은옆으로찢어지고이빨이있으며, 입주변에는네쌍의수염이달려있다. 가슴지느러미에는굵고단단한가시가있으며몸에는비늘이없다.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의가장자리는연하고안쪽은어두운색을띤다. 물이맑고바닥에는자갈이많이깔려있는강의중 상류의바닥에서생활한다. 야행성으로낮에는돌틈사이에숨어있다가주로밤에먹이를찾아활동한다. 작은물고기나물속에있는곤충을잡아먹고산다. 산란기가되면암컷은물살이세지않은수심 20~30cm 정도의돌밑에알을붙여서낳으며수컷이수정시킨다. 이후암컷은수정된알을보호한다. 약 8일후에는알이부화하고 1.5cm 정도로자란새끼는이미다자란성어의형태와비슷해진다. 2년뒤에는 7~10cm에이르는성체로자란다. 낚시나족대, 어항을이용해서잡는다. 강원도에서는된장이나미끼를넣은커다란단지에천을덮고작은구멍을뚫어서물속에넣는방식으로야행성인퉁가리를잡기도한다. 식용으로이용하기도하지만쏘가리를낚을때사용하는미끼로더잘알려져있다. 맑은물 - 89 -

에서자라는특성으로인해오염에민감한편이다. 최근에는서식지가줄어들고있어개체수 도점차줄어들고있는실정이다. 메기 ( 학명 Parasilurus asotus LINNE) - 메기목메기과 낮에는바닥이나돌틈속에숨어있다가밤에먹이를찾아활동하는야행성이며, 대부분의수중동물을닥치는대로잡아먹는특징이있다. 단백질, 비타민함량이풍부한영양음식으로유명하며요리방법도다양하다. 우리나라곳곳에서살고사람들에게친숙하기때문에각지역마다메기를칭하는방언이상당히많다. 고양이처럼수염이길어서영어로는 "catfish" 라고한다. 몸이길고전체적으로원통모양이지만머리는위아래로납작하고몸뒤쪽은옆으로납작하다. 눈은크기가작고두눈사이가매우넓다. 입은크고이빨이잘게나와있고아래턱이위턱보다길다. 입수염은두쌍이며콧구멍옆에달린수염은길어서가슴지느러미까지닿는다. 몸에는비늘이없이점액으로뒤덮여있다. 뒷지느러미가매우길어서전체몸길이의반쯤된다. 지역이나개체에따라몸색깔의변화가심하며불규칙한얼룩무늬가특징이다. 배부분은연한노란빛을띠는것이보통이다. 물살이느린강중 하류의돌틈이나바닥근처에서산다. 주로야행성으로, 낮에는바닥이나돌틈속에숨어있다가밤에먹이를찾아활동하기시작한다. 먹이로물고기나수생곤충, 올챙이등대부분의수중동물을닥치는대로잡아먹는성질이있다. 짝짓기를할때에는수컷이암컷의배를강하게감아서산란을유도하며, 암컷은짙은초록색의알을물풀이나자갈에붙인다. 알은 8~10일정도후에부화하며, 3~5개월이지나면다자란메기와같은형태를띤다. 4년정도자라면몸길이가 60cm에이르며, 오래사는경우에는최대 40년까지사는경우도있다. 개구리나거머리를미끼로해서낚거나가짜미끼를이용한루어낚시로잡기도한다. 매운탕이나찜의재료로인기가많으며특히당뇨병이나빈혈등에좋다고한다. 단백질함량이풍부하고비타민도많이들어있어서영양가있는음식으로유명하며, 국, 튀김, 구이, 훈제등요리방법도여러가지이다. 오염에민감하지않고물이깨끗하지않아도잘살수있는적응력덕분에우리나라전지역의강에두루분포한다. 메기가지진을일으킨다는속설이있으나그것은잘못전해진것이고메기가지진에대한감각이예민해지진을미리안다는것은사실이다. 미유기 ( 학명 Silurus microdorsalis MORI) - 메기목메기과 한국특산어종으로몸길이는 15 25cm이다. 몸이메기보다가늘고길며등지느러미가작고주둥이끝이등쪽에서보면직선형이고아래턱이튀어나와있는것이특징이다. 머리는위아래로납작하고넓적하다. 몸은원통모양이며꼬리쪽은옆으로납작하고길다. 몸높이는등지느러미가시작하는곳언저리가가장높다. 눈은작고머리의비스듬히위쪽에있다. 콧구멍은앞뒤가서로떨어져있으며작고, 뒤콧구멍은양눈틀의앞가장자리를맺는선보다약간 - 90 -

뒤쪽으로있다. 입수염이 2쌍인데콧구멍앞과아래턱에붙어있다. 측선 ( 옆줄 ) 은완전히옆구리의중앙을곧바로가고있으며그앞쪽은위로향하였고앞끝은아가미뚜껑의위끝바로앞에있다. 비늘은없다. 몸빛깔은등쪽이암청갈색, 배쪽은황백색이다. 가슴지느러미와배지느러미는기부만어두운색이고, 등지느러미의앞부분과뒷지느러미및꼬리지느러미는몸과같은색이며, 뒷지느러미의바깥쪽가장자리는연한색으로그폭이넓다. 물이맑고바닥에자갈이깔려있는하천의중 상류에서많이발견된다. 식성은육식성으로수생곤충이나작은물고기등을잡아먹는다. 산란기는 5월경이며알은엷은노란색이다. 가물치 ( 학명 Channa argus CANTOR) - 농어목가물치과 한국토종민물고기로탁한물밑이나진흙, 물풀이무성한곳에살며, 피로해소나여성의산후조리용보양식으로이용된다. 몸통이길고가는편이다. 원통형에가까우며, 비교적큰민물고기로서 90cm까지자랄수있다. 머리는뱀의모양이고, 몸전체가검은빛을띠고있으며, 등쪽은짙고배쪽은희거나노란색을띠고있다. 지느러미에는검은갈색의불규칙한반점이있다. 한국, 일본, 중국에분포하고있으며, 흐르지않는연못, 저수지, 늪지에주로서식한다. 물이탁하고바닥이뻘로되어있는, 물풀이많은곳을좋아한다. 가물치는아가미로만호흡하는다른물고기들과는달리, 공기호흡을할수있는보조호흡기관을가지고있기때문에, 수온이높아산소가부족한곳이나, 부패하여악취가날정도의물속에서도정상적인생활을할수있다. 수온변화에내성이강하고오염된물이나거의무산소상태의물에서도살수있다. 수온이높을때는아가미호흡보다공기호흡을많이한다. 겨울에는깊은곳으로이동하여동면을하며, 우기에는습지에서뱀처럼기는수도있다. 봄이되면얕은곳으로나와산란기인 5~7월까지활발히먹이를먹는다. 가물치는육식성으로서어린시기에는물벼룩등을주로먹지만, 몸길이가 4cm 정도되면작은물고기를잡아먹기시작해같은가물치끼리잡아먹기도한다. 이때부터는집단생활을끝내고단독생활을하게된다. 성어가되면작은물고기나개구리등을먹는데, 40cm 정도의크기로자라면보통한번에개구리 10마리정도를잡아먹는다. 가물치낚시는산란기인 5~7월에저수지나웅덩이에서주로행해지며, 미꾸라지, 개구리, 지렁이등미끼를이용한다. 꺽지 ( 학명 Coreoperca herzi) - 농어목꺽지과 한국고유종민물고기로몸길이는 15~20cm 이다. 몸과머리는좌우로납작한형태이며옆에 서보면방추형이다. 몸에비하여머리가크고눈은머리의위쪽에있다. 입은크고끝이뾰 - 91 -

족하며위턱이아래턱보다약간길다. 등지느러미와뒷지느러미의뒷부분은끝이둥글고길다. 꼬리지느러미는테두리가둥글다. 몸은연한녹색빛이도는갈색이며몸옆에는 7~8개의검은색의가는가로무늬가있고, 아가미덮개에는청색의둥근반점이있다. 지느러미는연한황갈색이다. 하천중 상류의물이맑고자갈이많은하천에서식하며, 낮에는돌틈에숨어있다가밤에주로활동한다. 산란시기는 5~6월이며수컷은새끼들이부화하여일정크기까지자랄때까지알을지키는부성애습성을가지고있다. 육식성으로작은물고기와갑각류, 물에사는곤충을잡아먹는다. 한국에서는거의모든하천수계에서볼수있다. 쏘가리 ( 학명 Siniperca scherzeri) - 농어목꺽지과 생김새가민첩하고아름답다. 쏘가리매운탕이유명하며, 회, 구이, 찜, 곰국등으로먹으며맛잉어라고도한다. 한자어로궐어 ( 鱖魚 ), 금린어 ( 錦鱗魚 ) 라하는데 재물보 에는살맛이돼지고기처럼좋다하여수돈 ( 水豚 ) 이라고도하였다. 본초강목 에는대어 ( 臺魚 ), 석계어 ( 石桂魚 ) 라하였다. 예로부터한국과중국의문인들사이에서외모가아름답고궐어의궐 ( 鱖 ) 자와음이같아고귀하게여겼으며시문과도자기, 회화등에흔히등장하였다. 몸길이 20cm 이상으로, 몸은긴편이며옆으로납작하다. 몸은전체적으로노란색을띠며, 몸전체에둥글고불규칙한검은색무늬들이빽빽이나있다. 머리와지느러미에는몸통의것보다조금작은흑점이흩어져있다. 몸은작은둥근비늘로덮여있으며, 지느러미에는날카로운가시가있다. 언뜻보기에는바다볼락과비슷하며, 다른민물고기와는생김새가다르다. 하천중류의물이맑고바위가많은큰강에서서식한다. 큰돌이나바위틈에서떼를짓지않고단독으로생활한다. 육식성으로서작은물고기나새우류를잡아먹으며, 바위그늘에머물고있다가먹이가눈에띄면순식간에튀어나와서삼키고다시자리로돌아간다. 어릴때에도살아있는먹이만먹는다. 화가나면몸을부풀어올리는습성이있고돌밑에잘숨는다. 산란기는 3 7월이며잔자갈이깔린여울에서산란한다. 수정된알은자갈사이에서부화한다. 우리나라의압록강을비롯한황해와남부연해에흐르는여러하천의중 상류수계에분포하며, 주산지는한강과대동강이다. 낚시로잡고초봄에서가을까지가제철인데무분별한어획으로최근에는멸종위기를맞고있다. 2010년 6월 18일부터변경어족자원의보호를위해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에서는 4월 20일부터 5월 30 일까지, 그외의모든지역에서는 5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어획을금지하고, 18cm 이하의어린고기는잡는것을금지하고있다. - 92 -

한탄강의패류 ( 貝類 ) 다슬기는우리나라계곡과강, 호수어디에든있고흔히먹는민물고둥으로깨끗한하천에주로서식하고 2급수와 3급수지표생물이다. 특정지역의환경상태를잘나타내는종을지표종이라고하며, 이종에속하는생물을지표생물이라한다. 다슬기는전국적으로분포하여지역마다부르는이름이각기다른데경남에서는고둥, 경북에서는고디, 전라도에서는대사리, 강원도에서는달팽이, 충청도에서는올갱이등으로불린다. 이외에도골뱅이나소라라고부르는지역도있다. 다슬기는우리나라에 2속 9종이서식하고있으며고둥류 ( 前鰓類 ) 가운데서가장작은무리에든다. 생물도감에는다슬기의종류를다슬기, 참다슬기, 구슬알다슬기, 곳체다슬기, 염주알다슬기, 주름다슬기, 띠구슬다슬기, 좀주름다슬기등으로구별하지만같은종류라도서식지의유속과바닥환경에따라모양새에차이가난다고한다. 가장깨끗한물에서자라는것이구슬알다슬기이고, 곳체다슬기는상당히오염된물에서도살수있다. 그외참다슬기, 염주알다슬기, 주머니알다슬기, 주름다슬기, 좀주름다슬기등은깨끗한물에서서식한다. 다슬기는길이 35mm 직경 15mm를넘는것이드물다. 껍질에나사층이 10층이나되는것도있으나대개뾰족한끝부분이부식돼없어지고 3-4층만남는다. 껍질의색깔은황색, 황갈색, 암갈색, 갈색, 검정색따위로다양하고껍질의표면도매끈한것, 우툴두툴혹이있는것, 가로줄이있는것, 세로줄이있는것, 가로주름이있는것, 세로주름이있는것등이있다. 개체에따라생김새의차이다많다. 다슬기는야행성이라낮에는햇볕이안드는돌밑에붙어있다가저녁무렵이면슬슬기어 나와활동을시작한다. 날이흐리거나비가오는날에는낮에도기어나와활동한다. 활동할 때에는평평하고넓은발바닥을바위에붙여천천히움직이는데발바닥에끈적끈적한점액이 - 93 -

분비되어바위에잘달라붙는다. 바위에붙어있는다슬기를떼어내면금방얇은각질뚜껑을덮어몸을감추는것을볼수있다. 이각질뚜껑을각구라고한다. 다슬기는이각구안에신체의모든기관이들어있다. 기어다니는다슬기를자세히관찰하면한쌍의더듬이 ( 촉각 ) 를볼수있고촉각아래눈이있으며눈과눈사이에입이있는것을볼수있다. 입은턱과치설이있는데치설은연체동물만이갖고있는기관이다. 다슬기는냇물속의바위나자갈에붙어있는조류나물고기배설물등을먹고산다. 다슬기를물에넣고삶으면물이파랗게우러난다. 다슬기뿐아니라거의모든조개, 고둥류들도삶으면물이새파랗게된다. 이는다슬기조개고둥류의핏속에파란색소가많이들어있는까닭인데그가운데서도다슬기에파란색소가가장많다. 모든다슬기는먹을수있다. 소금물에하룻밤담가서흙이나더러운것을다뱉어내게한뒤에삶아서바늘로살만빼어서먹는데담백하면서도독특한맛이있다. 다슬기는폐흡충 ( 肺吸蟲 ) 중간숙주이기때문에감염될우려가있어절대날로먹어서는안된다. 동의보감 ( 東醫寶鑑 ) 에기록되어있는다슬기의효능 1 간염, 지방간, 간경화등간질환의치료및개선 2 숙취해소와신경통, 시력보호 3 위장기능개선 ( 위통, 위장병소화불량, 변비해소등 ) 4 자주빈혈증세를느끼는수험생에효과 5 골다공증예방및치료효과 6 무지방, 고단백질건강식품 ( 다이어트효과 ) 7 성질은차고맛은달며독은없다. 8 간열과눈의충혈 9 통증을다스리고신장에작용하며대소변을잘나게한다. 10 위통과소화불량을치료하고열독과갈증을푼다. 본초강목 ( 本草綱目 ) 에기록되어있는다슬기의효능 1 열을내린다. 2 술에취한것을깨어나게한다. 3 갈증을멈춘다. 4 대소변을잘나가게한다. 5 열독을푼다. 6 간기능회복과황달을제거한다. 7 이뇨작용을촉진한다. 8 체내의독소를배설한다. 9 부종을없애고눈을밝게한다. 10 우울증을없애고스트레스해소에도움을준다. 11 칼슘이풍부하며골다공증을예방한다. 12 신장및담낭결석예방이되는데다슬기속에마그네슘이풍부하기때문이다. 13 혈액속의헤모글로빈을만든다. - 94 -

다슬기 ( 학명 Semisulcospira bensuni PHILIPPI) - 중복족목다슬기과 다슬기는모두민물에서살며껍데기는길죽한데대부분끝이끊겨있다. 곳에따라시냇물의암석에많이붙어있다. 다슬기는껍데기의길이가 30mm, 지름이 10mm정도로, 그표면은황록색바탕에흑갈색의가로무늬가있는것이보통이나어두운갈색인것도있다. 나층 ( 螺層 : 나선모양으로감겨져있는한층 ) 은원래 5 6층이나부식되어 3 4층만남는다. 이것은민물에석회분이부족하기때문이다. 각나층은부풀어있지않고봉합 ( 縫合 : 나층과나층의경계선 ) 은선명하지만깊지않아옆면이거의직선을이룬다. 체층 ( 體層 : 껍데기주둥이에서한바퀴돌아왔을때의가장큰한층 ) 을비롯한각나층에는가늘고뚜렷한나륵 ( 螺肋 : 각층의나관이성장방향과나란히생기는가로주름 ) 이균일하게나있는데체층에는 11 15줄정도있다. 종륵 ( 縱肋 ) 이많고거친성장맥이나타나는것도있으며개체변이가매우심하다. 하천과호수등물이깊고물살이센곳의바위틈에무리를지어산다. 난태생 ( 卵胎生 ) 으로자웅이체인데대부분큰개체가암컷일경우가많다. 한국 일본 타이완등지에분포하고식용으로쓰이며삶아서살을빼먹는다. 참다슬기 ( 학명 Semisulcospira coreana PHILIPPI) - 흡강목다슬기과 한국에분포하며, 광주, 전주, 임진강, 전남탕진강, 금산, 전북 ( 관촌, 김제읍, 신태인읍, 산외 ) 에서채집된다. 패각은낮은방추형, 나탑은 5층이나성체는 3층정도만남아있다. 체층이커서각고의 4/5 정도를차지하며봉합은얕지만뚜렷하고각나층은약간볼록하게팽윤되어있다. 종륵과나륵이교차하여과립을이루고나륵은체층에 7줄, 차체층에 5줄이있고, 그다음나층에 4줄정도있으나개체에따라과립이뚜렷치않은것도있다. 종륵은체층과차체층모두 21줄정도있으나성체에서는체층의종륵이각구에가까워질수록약해져없어지고방사맥만있는것도있다. 각저에는나륵이 5줄있고각피는황갈색또는황록색이다. 각구는장난형외순은얇고내면은회청색, 내순은백색활층으로덮여단단하다. 어린개체에서는각구내면에짙은갈색줄이 3줄있는것도있다. 종륵과나륵이교차하여과립열을이루고체층이커서각고의 4/5 정도를차지한다. 몸길이는각고 27.4mm, 각폭 8.8mm이다. 염주알다슬기 ( 학명 Koreanomelania nodifila) - 흡강목다슬기과 껍데기가염주모양으로생겨이름붙여졌다. 껍데기높이 20 mm, 지름 13 mm이다. 서식지가 물살이매우빠른곳이기때문에이런환경에적응하기위해껍데기는염주처럼둥글고매끄 - 95 -

러우며, 발이매우넓어다른다슬기에비해거의 2배이다. 껍데기빛깔은서식지에따라황록색 흑갈색 적갈색을띤다. 나층 ( 螺層 : 나선모양으로감겨져있는한층 ) 은 3층으로되어있으며각정 ( 殼頂 ) 은부식되어체층 ( 體層 : 껍데기주둥이에서한바퀴돌아왔을때의가장큰한층 ) 만남아있다. 개체에따라체층에 7 8 개의나륵 ( 螺肋 : 각층의나관이성장방향과나란히생기는가로주름 ) 을갖는경우도있으며, 성장선이뚜렷한무늬모양을이루는개체도있다. 껍데기주둥이는크고둥글며체층끝의성장맥이보인다. 암컷은발부분에산란홈을가지고있다. 한국의고유종으로강원도 충청북도등중부지방에분포한다. 강의약간깊은곳의급류에서식하며, 자웅이체로울릉도다슬기와다르게난생이다. 2012년 5월 31일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지정되어보호받고있다. 우렁이 ( 학명 Cipangopaludina chinensis GRIFFTH & PIDGEON) - 중복족목논우렁이과 단백질이풍부해식용, 약용으로널리쓰인다. 최근유기농법이확산돼논이나소택지에서많고, 한자어로전라 ( 田螺 ) 토라 ( 土螺 ) 라고도한다. < 재물보 >, < 물명고 > 에전라를우렁이라하고육지의못이나논에있다고하였다. 나탑 ( 螺塔 : 체층위에있는층전체 ) 은 6층이고봉합 ( 縫合 : 체층위에있는층전체 ) 은깊다. 껍데기주둥이는넓고둥글다. 뚜껑은각질 ( 角質 ) 로달걀모양이고가운데가오목하며황갈색으로반투명이다. 아가미로호흡하며겨울에는건조한논바닥에서한다. 플랑크톤, 물풀, 작은생물들을먹고살며백로의먹이가된다. 최근에는농약의오염으로그수가극히줄었다. 암컷은수컷보다크고수컷의오른쪽촉수는구부러져있어생식기기능을한다. 새끼는알로태어나어미의몸속에서부화하여밖으로나온다. 한마리의암컷이 40~100여개의알를낳을수있다. 새끼는부화후 1년이면생식력을가진다. 물에담가진흙을토하게한다음데쳐서껍데기를버리고채소와함께먹거나국거리로이용한다. < 동의보감 > 에는우렁이로만든전라고 ( 田螺膏 ) 는창 ( 瘡 ) 을낫게하고종기로인한통증을다스리며껍데기는반위 ( 反胃 : 위암 ) 와위냉 ( 胃冷 ) 을고치고담 ( 痰 ) 을삭인다고한다. 쇠우렁이 ( 학명 Parafossarulus manchouricus) - 중복족목쇠우렁이과 쇠우렁이는연못 개울 논 늪등뻘이많고물풀이많은곳에서식한다. 흡충류의중간숙주로작용한다. 껍데기높이 12.5mm, 지름 7mm 작은방추형이다. 나탑 ( 螺塔 : 체층위에있는층전체 ) 은나층 ( 螺層 : 나선모양으로감겨져있는한층 ) 이 3 4층으로높으나꼭대기는침식되어있다. 봉합 ( 縫合 : 나층과나층의 - 96 -

경계선 ) 은깊고껍데기표면에나륵 ( 螺肋 : 각층의나관이성장방향과나란히생기는가로주름 ) 이있으며석회질이들러붙어두껍고거칠다. 배꼽구멍은좁으며껍데기주둥이의끝이두껍다. 각피는회백색또는황갈색으로광택이난다. 뚜껑은석회질로검은색달걀모양이고가운데가안쪽으로움푹패어있으며핵 ( 核 ) 은앞쪽에있다. 한국 일본 중국북부및북동부, 시베리아등지에분포한다. 물달팽이 ( 학명 Radix auricularia coreana) - 기안목물달팽이과 물달팽이는지역에따라껍데기형태에차이가많이나고강이나연못가, 호수가등의수온이높은지역에서서식하며오염된곳에서도채집되는오염지표종이다. 껍데기의크기는중형으로난형이며껍질은얇다. 몸빛깔은회백색또는회갈색, 검은색으로서식지에따라다르고육질이제거되면모두회백색의껍질을갖는다. 나층은 3~4층이고각정이작고뾰족하다. 체층이각고의대부분을차지하는데체층은폭이넓고둥글며체층이후는급격히감소하여체층이상당히비후된모습을보인다. 각구는원형으로아주넓고성패는약간반곡한다. 각축이심하게꼬여있으며내순과축순은발달된활층으로덮여있다. 배꼽구멍이없다. 물흐름이거의없는강이나연못, 호수에서채집할수있다. 먹이로는식물질과동물질을모두먹는다. 번식력이강해보통 2개월만에산란한다. 자웅동체로다른개체와교미하여여름내내산란하며, 5 6월이성기이다. 소 말에기생하는간디스토마중간숙주이다. 폐호흡을하므로어릴때에는수중에서만산다. 아시아북부, 유럽에걸쳐분포한다. 말조개 ( 학명 Unio (Nodularia) douglasiae) - 석패목석패과 방합 ( 蚌蛤 ) 이라고도하며몸길이약 76mm, 높이약 34mm, 나비약 22mm 타원형민물조개이다. 강, 하천등지의맑은물이흐르는모래, 자갈에서식한다. 중국, 대만, 한국, 일본등에분포하며, 수원남부, 금강, 전북, 춘천의암호, 남한강에서채집된다. 전측치는짧고예리하며후측치는길고가늘다. 각정부에파상의무늬가있다. 어린조개는뒤끝에각이져있고각피는노란색바탕에녹색띠를나타내지만자라며검은색으로변하고안쪽면은진주광택을낸다. 각정에는물결무늬가있으나닳아없어진것도많으며인대는적갈색이다. 껍데기안쪽에는외투막의흔적이남아있다. 주치와측치는각각오른쪽껍데기에큰것이 1개, 왼쪽껍데기에작은것이 2개있다. 하천 호수등의진흙이나모래가섞인흙에서서식하며식용한다. 산란은여름에이루어지고글로키디움유생이아가미의육아낭에서자란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시베리아등지에분포한다. -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