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문사회연구회대중국종합연구협동연구총서 10-03-43 연구기관고유일련번호 2010 년대중국종합연구 한국의중국학과중국의한국학 : 연구추세의비교분석
1. 협동연구총서일련번호 10-03-43 연구보고서명 : 연구기관 관동대학교동아경제문화연구센터 2. 주관연구기관 연구기관연구책임자참여연구진 관동대학교동아경제문화연구센터 이규태 강원식구광범 협력연구기관
iii ix xii
< 1-1-1> 3 < 2-1-1> 0 2 < 2-1-2> 1 2 < 2-1-3> 3 2 < 2-1-4> 2010 3 2 < 2-1-5> 2008 4 4 2 < 2-1-6> ( ) 5 2 < 2-1-7> 5 2 < 2-1-8> 10 6 2 < 2-1-9> 2000 7 2 < 2-1-10> 2000 0 3 < 2-1-11> 2000 1 3 < 2-1-12> 2000 2 3 < 2-1-13> 2000 3 3 < 2-1-14> 2000 4 3 < 2-1-15> 2000 6 3 < 2-1-16> 2000 8 3 < 2-1-17> 2000 8 3 < 2-1-18> 2000 9 3 < 2-1-19> 2000 9 3 < 2-1-20> 2000 1 4 < 2-1-21> 2000 2 4 < 2-1-22> 2000 3 4
< 2-1-23> 2000 5 4 < 2-1-24> 2000 6 4 < 2-1-25> 2000 8 4 < 2-1-26> 2000 0 5 < 2-1-27> 2000 2 5 < 2-1-28> 2000 4 5 < 2-1-29> 2000 6 5 < 2-1-30> 2000 57 < 2-1-31> 2000 9 5 < 2-1-32> 2000 0 6 < 2-2-1> 4 6 < 2-2-2> 2000 4 6 < 2-2-3> 2000 5 6 < 2-2-4> 2000 6 6 < 2-2-5> 2000 7 6 < 2-2-6> 2000 8 6 < 2-2-7> 2000 69 < 2-2-8> 2000 0 7 < 2-2-9> 2000 1 7 < 2-2-10> 2000 2 7 < 2-2-11> 2000 3 7 < 2-2-12> 2000 4 7 < 2-2-13> 2000 5 7 < 2-2-14> 2000 7 7 < 2-2-15> 2000 78 < 2-2-16> 2000 9 7 < 2-2-17> 2000 0 8 < 3-1-1> 2 8 < 3-1-2> 4 8
< 3-1-3> 5 8 < 3-1-4> 6 8 < 3-1-5> 8 8 < 3-1-6> 8 8 < 3-1-7> 9 8 < 3-2-1> 3 9 < 3-2-2> 4 9 < 3-2-3> 8 9 < 3-2-4> 9 9 < 3-2-5> 10 1 < 3-2-6> 20 1 < 3-2-7> 30 1 < 3-2-8> 71 1 < 3-2-9> 81 1 < 3-2-10> 42 1 < 3-2-11> 72 1 < 3-2-12> 92 1 < 3-2-13> 03 1 < 3-2-14> 53 1 < 3-2-15> 53 1 < 3-2-16> 73 1 < 3-2-17> 04 1 < 3-2-18> 34 1 < 3-2-19> 64 1 < 3-2-20> 64 1 < 3-3-1> 05 1 < 3-3-2> 35 1 < 3-3-3> 16 1 < 3-3-4> 86 1 < 3-3-5> 27 1 < 3-3-6> 77 1 < 3-3-7> 97 1
< 4-1-1> 18 1 < 4-1-2> 28 1 < 4-1-3> 48 1 < 4-1-4> 58 1 < 4-1-5> 68 1 < 4-1-6> 78 1 < 4-1-7> 98 1 < 4-1-8> 09 1 < 4-1-9> 2001 191 < 4-1-10> 2009 ( ) 19 1 < 4-1-11> (2006 ) 29 1 < 4-1-12> 29 1 < 4-1-13> (2009 ) 39 1 < 4-1-14> 59 1 < 4-1-15> 69 1 < 4-1-16> 79 1 < 4-1-17> 2000 198 < 4-1-18> 89 1 < 4-1-19 > 99 1 < 4-2-1> 20 2 < 4-2-2> 2000 402 < 4-2-3> 50 2 < 4-2-4> 60 2 < 4-2-5> 70 2 < 4-2-6> (2008.4) 8 0 2 < 4-2-7> 80 2 < 4-2-8> 90 2 < 4-2-9> 01 2 < 4-2-10> 11 2 < 4-2-11> 1997 212 < 4-2-12> 31 2
< 5-1-1> 51 2 < 5-1-2> 71 2 < 5-1-3> 81 2 < 5-1-4> 91 2 < 5-1-5> 02 2 < 5-1-6> 221 < 5-1-7> 22 2 < 5-1-8> 224 < 5-2-1> 52 2 < 5-2-2> 225 < 5-2-3> 62 2 < 5-2-4> 72 2 < 5-2-5> 92 2 < 5-2-6> 92 2 < 5-2-7> 23 2 < 5-2-8> 2 23 < 5-2-9> 43 2 < 5-2-10> 234 < 5-2-11> 63 2 < 5-2-12> 236 < 5-2-13> 73 2 < 5-2-14> 83 2 < 5-3-1> 93 2 < 5-3-2> 5 04 2 < 5-3-3> 14 2 < 5-3-4> 24 2 < 5-3-5> ( ) 342
< 5-3-6> 44 2 < 5-3-7> 54 2 < 5-3-8> 54 2 < 6-1-1> 260
< 2-1-1> 2 2 < 2-1-2> 3 2 < 2-1-3> 10 6 2 < 2-1-4> 2000 8 2 < 2-1-5> 2000 9 2 < 2-1-6> 2000 1 3 < 2-1-7> 2000 2 3 < 2-1-8> 2000 5 3 < 2-1-9> 2000 7 3 < 2-1-10> 2000 40 < 2-1-11> 2000 42 < 2-1-12> 2000 5 4 < 2-1-13> 2000 7 4 < 2-1-14> 2000 9 4 < 2-1-15> 2000 1 5 < 2-1-16> 2000 2 5 < 2-1-17> 2000 55 < 2-1-18> 2000 6 5 < 2-1-19> 2000 58
< 2-1-20> 2000 0 6 < 2-2-1> 2000 5 6 < 2-2-2> 2000 7 6 < 2-2-4> 2000 69 < 2-2-5> 2000 70 < 2-2-6> 2000 1 7 < 2-2-7> 2000 2 7 < 2-2-8> 2000 3 7 < 2-2-9> 2000 4 7 < 2-2-10> 2000 5 7 < 2-2-11> 2000 6 7 < 2-2-12> 2000 77 < 2-2-13> 2000 78 < 2-2-14> 2000 9 7 < 2-2-15> 2000 0 8 < 3-1-1> 7 8 < 3-1-2> 9 8 < 3-2-1> 3 9 < 3-2-2> 9 9 < 3-2-3> 71 1 < 3-2-4> 83 1 < 3-2-5> 64 1 < 3-3-1> 35 1 < 3-3-2> 16 1 < 3-3-3> 86 1 < 3-3-4> 27 1 < 4-1-1> 58 1 < 4-1-2> 98 1
< 4-1-3> (2009 ) 491 < 5-1-1> 61 2 < 5-3-1> 93 2 < 5-3-2> 14 2 < 5-3-3> 241
한국의중국학과중국의한국학 : 연구추세의 비교분석 Ⅰ. 연구개요.. 1. 2. 3.
1. 2.. 1. 2. 3..
Ⅱ. 연구내용.. 1940 2009. 1 ( ). ( ). 2. 3 ;.. 1 1945 2009. 2000~2009. 199 0.
.. 1990 2000. 2000 2000.. 2 2000 2000... 3 167 116 ( ) 170.. 4 200 -.. 70 12..
Ⅲ. 정책대안및시사점 1. 2. 3. 4-1 2. 5. 6 ( ).. 1 1945-2009.. 2.
. ( ).. 3.
제 1 장서론
1 제 1 절연구의목적과연구방법 2008 5 8 胡錦濤. 5 17 6 6 34... 21.... 1990. 敵情
. (Constructivism). 知彼知己百戰百勝. 20...... 21..
1... 1990........ < 표 1-1-1> 한국과중국의대학원재학생숫자의비교 한국 (2009 년 ) 중국 (2008년 ) 석사과정재학생 256085 명 1046429 명 박사과정재학생 50386 명 236617 명 * 한국통계 :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기준작성 ( 일반 전문 특수대학원포함 ). * 중국통계 : 中國敎育部敎育統計 (www.moe.edu.cn)..
. 4 4.6.........
1 (http://www.nanet.go.kr) ( ) (http://www.doctorinformation.or.kr) (http://www.nlc.gov.cn) ( ).. ( 2002) ( ) 1991~2000 ( 2002) - (1949~199 0) ( ) : ( 2000) ( 3 2000)......
.. 제 2 절한국에서국제지역연구과중국학의발전 1990.. 20.. 1) 1960-70. 2) 1960... 1980 1) ( : 1998) p. 611. 2) p. 612.
1.... 3). 1988... 1990. '. 1980.. 4) 1980 1988. 北方政策. 3) p. 612. 4) 柳世熙 中蘇硏究 中蘇硏究 (Vol.27 No.4 2004 ).
. 1989 ( ). 1990. 1997 9 5 200... 1987 ( Vol.21 No.2 1987). 1994 ( 1994). 1995 ( 19 95)... : ( 1998).. 1.. 2
1. 3 4.. ( 1999); ( :. 1998); ( : 1999). ( 2000) ( 2001). ( : 1996). 10.. : ( : 2002).. 5) 5). : ( ( 38 1 1998) pp. 3-16.; : ( )( 11 4 2002); 金永明 權容立 申東浩 : ( 21 2 1987. 12) pp.133-152; Ⅰ ( 9 1 )( 2007) pp.249-276; Ⅱ ( 9 1 )( 2007) pp. 277-298 ; ( 20 ) ( 2003) pp. 303-326; ( 19 2 2002); 1999 (1999. 12) pp. 224-229 ; (No.127 2008. 6) pp. 3-4; ( 20 2003. 2) pp. 303-326;
. 漢學... 19. 1894.. 1910.. 1945. 19.. 1884 漢口 日淸貿易硏究所 支那通商綜覽. 1906 1908 支那經濟全書 12. 6) 6) ( : 1995) p.177.
1 20. 1990.. 7) 1945 3. 8) 1 1970. 中華民國. 2 UN.... 3 1979.. 1980 北方政策. 1988. 7) p. 168. 8) pp. 185-186. 3. 1990 : ( : 1998) pp. 3-41. ( : 1996)
. 3 1992. 1980 臺灣.. 國立政治大學東亞硏究所 政治硏究所 外交硏究所 中國文化大學 大陸硏究所 國立臺灣大學 政治硏究所 外交硏究所 臺灣. 2000. 1... 1992. 1960~1970 1970~1980 1980 1990.
1..... 中國 三皇五帝 夏 商 周 秦 漢 魏 晋 南北朝 隨 唐 五代十國 宋 元 明 淸 中華民國 中華人民共和國. 漢字 漢字文化... 漢學. 中國地域 中國大陸 臺灣... 地緣關係 地政學 地經學 地域經濟 地域文化.
漢民族 藏族 蒙古族 55 56.. 中華人民共和國 ( ) 中華民國. 中華人民共和國 特別行政區 高度自治. 特別行政區 ( 香港特別行政區 奧門特別行政區 ) 自治區 自治州 ( 縣市 ).. 1949 10 1 中華民國 2009. 一個中國 2010. 北京 中華人民共和國 中華民國. 中華人民共和國 臺灣 中華民國.. 3. 中華人民共和國 社會主義市場經濟體制
1 中華民國 民生主義經濟體制. 資本主義經濟體制. 3.. 經濟特區.. 1980.... 2.28 km 14 邊境貿易....
( ).. 亞非語文學.... ( ) ( ) ( ) /.. 朝鮮 - 韓國學學院 - -.......
제 2 장한국의 중국학 과중국의 한국학 의연구성과
2 제 1 절한국의 중국학 연구성과의양적변화 1) 1990. 에비하여. 4 ( ) 1990 2000.....
. DDC... 2) ( )... 1 : (title keyword) ( ). 2 단행본 title keyword ( ). ( ). 일경우 ( ). 3 2 ( ).
2 4 title keyword ( ) ( ) 1990. 5 (title keyword) ( ). 6 (https://u-lib.nanet.go.kr/dl/searchindex.php) 2010.7.20 2010 9 9 ).. 7.... 1).
. (https://u-lib.nanet.go.kr/dl/searchindex.php) 2010 7 20. 2010 7 20.... < 표 2-1-1> 한국의주요국가지역연구현황의검색방법 단행본국내학술지석 박사학위논문 검색장소 국회도서관전자도서관 http://www.nanet.go.kr/03_dlib/01_datasearch/datasearch.jsp 검색수준일반검색일반검색일반검색 검색일자 ( 최종일 ) 2010.7.20 ( 추후필요시확인검색 ) 2010.7.20 ( 추후필요시확인검색 ) 2010.7.20 ( 추후필요시확인검색 ) 검색유형대상 도서 비도서자료 세미나자료 국내학술지 석사논문 박사논문 검색어 title keyword: 중국 또는 미국 또는 러시아 또는 일본 자료사용언어 한국어 국내학술지로한정하였으므로검색대상언어지정이불필요 한국어 1945 2009. ( ) ( ).
2 < 표 2-1-2> 한국의주요국가지역연구의성과총계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연구성과유형별 1945~69 1970~79 1980~89 1990~99 2000~09 계 단행본 ( 도서 ) 67 166 518 1550 3379 5680 국내학술지논문 560 795 1727 6901 19687 29670 석 박사논문 38 70 291 1568 5797 7764 소계 665 1031 2536 10019 28863 43114 단행본 ( 도서 ) 177 194 581 1147 2353 4452 국내학술지논문 3692 3940 5691 7485 15939 36747 석 박사논문 145 133 689 1209 1931 4107 소계 4014 4267 6961 9841 20223 45306 단행본 ( 도서 ) 2 15 71 386 591 1065 국내학술지논문 27 51 146 1567 3098 4889 석 박사논문 1 6 50 237 403 697 소계 30 72 267 2190 4092 6651 단행본 ( 도서 ) 84 249 849 1989 3498 6669 국내학술지논문 2422 4657 7161 10505 18818 43563 석 박사논문 54 109 588 1496 3522 5769 소계 2560 5015 8598 13990 25838 56001 1945 2009 56001 45306 43114 6651.. 1945 1 969. 1970.. 1980 1990. 1980 10 2536 1990 10 10019 3.9. 13990 9841.
22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그림 2-1-1> 한국의 주요국가 지역연구의 연도별 변화 비교 그림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미국 러시아 일본 10000 중국 0 년 사이의 중국에 대한 연구는 28868건으로 급속도로 늘어나 미국에 대한 연구 20223건보다 많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에 대한 연구성과 25838건을 능가하여 한국 학계나 전문가들의 지역연구의 주된 대상이 중국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후 이러한 추세는 변화하지 않고 있으며 그 격차도 점차 벌어지고 있다. 한국은 미국과 1948년 관계를 정상화하였고 일본과는 1965년 러시아와는 1991년 그 리고 중국과는 1992년에 관계를 정상화하였다. 이러한 국교정상화시기를 고려하면 한국 과 중국과의 교류관계는 물론이고 한국의 중국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는 추세는 그 어떤 국가관계에서도 볼 수 없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특히 한국과 1992년 중국이 수교한 시기와 비슷하게 1991년 수교한 러시아에 대한 연 구와 비교할 경우 한국의 중국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연구성과의 총누계를 비교해 보면 중국에 대한 연구성과 43114건은 러시 아에 대한 연구성과인 6651건의 6.4배에 이른다. 이처럼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연구가 차이가 나는 것은 한국의 학계에서 인식하는 중요성의 차이를 말해주는 것이며 이를 통 해서 한국의 중국에 대한 관심이 중국에 대한 지역연구성과에도 그대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 2000~2009
2 < 표 2-1-3> 한국의주요국가지역연구의연도별변화비교표 1945~1969 1970~1979 1980~1989 1990~1999 2000~2009 계 중국 665 1031 2536 10019 28863 43114 미국 4014 4267 6961 9841 20223 45306 러시아 30 72 267 2190 4092 6651 일본 2560 5015 8598 13990 25838 56001 < 그림 2-1-2> 한국의주요국가지역연구의누적연구성과비교표 중국미국러시아일본 56001 43114 45306 6651 중국미국러시아일본 < 표 2-1-4> 2010 년도한국의석 박사학위논문의주요국가지역연구현황 중국미국러시아일본 석사 615 91 9 168 박사 47 13 4 23 총계 662 104 13 191 자료출처 : 국회도서관전자도서관검색 (2010.9.26 일자검색 ) 검색기준 : 일반검색 논문 (title word): 중국 / 미국 / 러시아 / 일본 논문언어 : 한국어
2010 9 662 191 104... 2009~2010 40%. 2008 4 5.072 1296 3344 545. 2009 6406 1165.. < 표 2-1-5> 2008 년 4 월국내고등교육기관에재학중인외국인유학생현황 석사과정 박사과정 인문사회 이공 자연계 예체능 계 인문사회 이공 자연계 예체능 계 재중국동포 171 42 28 33 274 50 20 32 8 110 대만 58 2 15 1 76 16 1 15 5 37 중국 3344 889 367 472 5072 546 360 329 34 1269 계 3573 933 410 506 5422 612 381 376 47 1416 자료출처 : 교육과학기술부국제협력실정보자료실 (http://www.mest.go.kr) 에서인용 (2010.7.30.).
2 < 표 2-1-6> 중국인한국내체류자격별 ( 유학생 ) 현황 국적총계성별합계 문화예술 전문학사 학사유학 석사유학 박사유학 연구유학 총계 870636 계 (T) 남 (M) 여 (F) 870636 485806 384830 88 55 33 6171 3434 2737 40323 19428 20895 11983 5330 6653 3557 2379 1178 78 42 36 아시아주계 804750 남 (M) 여 (F) 446315 358435 50 30 3405 2679 18434 20096 4742 6299 2224 1118 36 31 한국계중국인 363087 남 (M) 여 (F) 184893 178194 1 6 274 254 796 983 263 440 90 91 0 2 중국 125564 남 (M) 여 (F) 54107 71457 28 12 2652 2058 15984 17091 2489 3917 660 505 14 19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http://www.immigration.go.kr/ ) 통계자료실 (2009 년출입국통계년보 ) 에서인용. ( ).. < 표 2-1-7> 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연도별총계표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2000-2004 2005-2009 연도별총계 점유율 (%) 도서 6 2 13 17 29 52 114 158 360 720 830 1332 2047 5680 13.17 박사논문 석사논문 1 1 5 9 17 100 111 181 369 794 1.84 2 13 12 10 29 35 50 215 481 876 1661 3586 6970 16.17 학술지 110 33 72 129 216 390 405 523 1204 2603 4298 8005 11682 29670 68.82 총계 116 37 98 158 256 472 559 740 점유율 (%) 179 6 390 4 0.27 0.09 0.23 0.37 0.59 1.09 1.30 1.72 4.17 9.06 611 5 14.1 8 1117 9 17684 43114 100 25.93 41.02 100
1945~2009 43114 5680 (13.17%) 6970 (16.17%) 794 (1.84%) 29670 (68.82%). 1944~1969 1970~1979 1980~1989 1990~1999 2000~20 09 66.95% 2000 1990 90.19%. 1990. 1944~1969 1970~1979 1980~1989 1990~1999 2000~2009 연도별총계 성과물유형별점유율 (%) 도서 67 166 518 1550 3379 5680 13.17 박사논문 1 6 26 211 550 794 1.84 석사논문 37 64 265 1357 5247 6970 16.17 학술지 560 795 1727 6901 19687 29670 68.82 총계 665 1031 2536 10019 28863 43114 100 연도별점유율 (%) < 표 2-1-8> 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 10 년단위별분포표 1.55 2.39 5.89 23.24 66.95 100 < 그림 2-1-3> 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 10 년단위별분포그림 2% 2% 6% 67% 23% 1945-1969 1970-1979 1980-1989 1990-1999 2000-2009
2. 2000 66% 2000. 1) 2000 2000 5. 1945-1949 < 표 2-1-9>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연구성과대주제분류표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0 0 2 1 5 15 17 7 5 39 19 110 0.77 한국학중국학 0 0 1 0 1 4 11 5 19 44 75 160 1.12 사상철학 1 1 4 7 14 11 23 39 69 128 168 465 3.26 종교 0 1 0 2 1 15 11 29 39 96 116 310 2.18 정치 77 21 28 62 78 181 122 264 686 1471 2196 5186 36.39 경제 17 0 12 16 59 41 71 90 430 1127 1683 3546 24.88 교육문화 6 2 9 22 29 51 72 89 149 253 509 1191 8.36 어문학 12 6 28 34 50 80 134 93 172 320 702 1631 11.44 예술 2 0 0 1 2 16 33 32 46 61 98 291 2.04 역사지리 0 6 14 12 9 33 35 59 116 291 447 1022 7.17 과학의학 1 0 3 1 8 25 30 33 65 112 228 506 3.55 연도별총계 연도별점유율 (%) 116 37 98 158 256 472 559 740 1796 3904 6115 14251 0.81 0.26 0.69 1.11 1.80 3.31 3.92 5.19 12.60 27.39 42.91 1980 1980 1980~1984 1984~1989 74 0 1796 2.4 1990~1994 1984~1989 2.1 1994~1999 1990~1994 1.5
2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한국에서 1990년대 연구성과 급증은 중국의 개혁개방과 한중 수교이후 중국에 대한 교류가 급증하면서 학술계에서도 중국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사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2000년대 이전 한국의 중국 관련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국제지역연구의 일반 적인 경향인 어문학이나 역사지리 보다도 정치와 경제분야 그 중에서도 정치분야에 가 장 많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는 한국의 남북한 분단상황에서 정치적 외교적 으로 중국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였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한국에서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현황과 국제적인 중국학의 연구추세에 대한 관심도 점차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연구추세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는 중국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한국의 중국학에 대한 현황파악과 연구방향설정을 위한 담론이 형 성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중국학의 방향설정에 관한 논의는 199 0년대 이후 크게 나타나 각 주제 분야별 중국에 대한 연구현황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중 국학 분야의 교육방향이나 연구현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1990년대 중국학에 대한 논의가 그 이후 2000년대 중국학에 대한 관심증가와 대학의 학과개설 및 교육과정 개편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연구방향설정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국내대학에서 중국학 과가 개설되고 중국어나 중어중문학과 교육 과정에 중국정치나 중국경제 등 사회과학분야의 중국학과목이 개설되었다. 또한 과거 중 국 문사철 중심의 중국학 과 사회과학의 중국학이 상호 격리된 연구시기를 극복하고 상 호교류하고 함께 토론하는 기초가 되었다. <그림 2-1-4> 2000년 이전 한국 중국학 연구성과 연도별 양적변화 추세도 7000 6115 6000 5000 3904 4000 3000 1796 2000 1000 0 116 37 98 158 256 472 559 740
제2장 한국의 중국학 과 한국학 의 연구성과 비교 29 <그림 2-1-5> 2000년 이전 한국 중국학 연구성과의 주제별 변화추세도 2500 2000 1945-1949 1950-1954 1500 1955-1959 1960-1964 1965-1969 1000 1970-1974 1975-1979 500 1980-1984 1985-1989 1990-1994 0 1995-1999 년 이전 중국 관련 도서(단행본)의 연구성과 단행본의 연구성과에서도 2000년대 이전 중국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그대로 반 영하고 있다. 연구의 양적변화추세는 1985년 이후 급속하게 늘어났다. 1999년까지 연구성과 누계를 기준으로 할 때 1984~1989년이 15.6%를 차지하면서 그 이전의 1980~1985년 사이의 연 구성과 158건에 비해서 360건으로 약 2배가 늘어났으며 1990~1995년 사이에는 720건으 로 다시 2배로 늘어났다. 따라서 1999년까지 누계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 도서단행본 연 구성과인 2301건 중에서 1990년 이후가 모두 1550건으로 67.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늘어났다. 연구주제의 경우 대주제로 분류할 경우 정치 경제 어문학 역사지리 사상철학과 문 화교육의 순서로 당시 한국의 중국에 대한 관심을 주고 있다. 하지만 1969년까지는 문화 교육과 어문학 및 역사지리를 합한 것이 정치경제보다 많아서 당시 중국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문사철로 불리는 인문학분야가 주류였던 것을 알 수가 있다. 2) 2000
< 표 2-1-10>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대주제별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1 2 5 3 4 25 2 42 1.83 한국학중국학 4 16 20 0.87 사상철학 1 3 2 4 5 16 28 57 59 175 7.61 종교 1 3 6 17 5 32 1.39 정치 5 3 3 5 10 23 60 155 204 233 701 30.47 경제 1 12 57 180 201 451 19.60 문화교육 1 1 4 3 3 12 12 11 57 71 175 7.61 어문학 1 5 5 15 20 33 31 49 79 119 357 15.51 예술 2 18 7 7 9 14 57 2.48 역사지리 1 2 2 1 6 12 13 41 75 84 237 10.30 과학의학 1 1 7 6 13 26 54 2.35 총계 6 2 13 17 29 52 114 158 360 720 830 양적점유비율 (%) 0.26 0.09 0.56 0.74 1.26 2.26 4.95 6.87 15.65 31.29 36.07 230 1 1999.. 90. 1999. 1980 1990. 1990. 1997 1999.
2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총계 주제별점유율 총류총류 1 2 5 3 4 25 2 42 1.83 중국학한국학 사상철학 중국학 4 16 20 0.87 한국학 0 0.00 사상 1 1 3 2 14 15 30 42 108 4.69 철학 1 2 1 1 3 2 13 27 17 67 2.91 종교종교 1 3 6 17 5 32 1.39 정치일반 5 2 3 4 9 15 43 107 99 107 394 17.12 정치외교 ( 국제관계 ) 2 20 16 26 64 2.78 군사 2 19 14 35 1.52 양안통일문제 9 6 15 0.65 북중관계 5 7 3 15 0.65 한중관계 5 1 1 29 36 72 3.13 조선족 17 30 47 2.04 소수민족 4 10 6 3 23 1.00 대만홍콩마카오 1 1 1 3 10 10 2 8 36 1.56 화교 0 0.00 경제 경제일반 1 10 28 110 124 273 11.86 기업경영 7 14 26 47 2.04 무역투자 2 13 38 29 82 3.56 한중경제 9 18 22 49 2.13 대만경제 0 0.00 문화교육 문화 1 2 3 3 5 7 9 35 36 101 4.39 교육 8 6 14 0.61 체육 6 1 1 8 0.35 한중문화관계 1 2 1 4 2 13 29 52 2.26 대만문화 0 0.00 어문학 언어문자 2 2 8 14 6 12 26 26 96 4.17 한중언어 0 0.00 문학 1 5 3 13 12 19 25 37 53 93 261 11.34 한중문학 0 0.00 예술 예술 2 18 7 7 9 14 57 2.48 역사지리과학의학 < 표 2-1-11>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표 역사 2 1 1 6 12 12 35 42 56 167 7.26 지리 1 1 1 6 33 28 70 3.04 과학의학 1 1 7 6 13 26 54 2.35 총계 6 2 13 17 29 52 114 158 360 720 830 2301 < 그림 2-1-6>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도 250 200 150 100 50 0 총류중국학사상종교정치경제문화어문학예술역사과학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 그림 2-1-7>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변화도 도서대분류 1945 ~ 1989 < 표 2-1-12>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분류표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1990 ~ 1999 통계 1990 ~ 1999 주제별점유율 (% ) 총류 15 9 6 4 4 2 1 1 27 1.74 42 한국학중국학 1 2 1 1 3 3 5 4 20 1.29 20 사상 59 13 18 8 5 13 5 9 14 14 17 116 7.48 175 종교 10 1 4 3 4 5 1 3 1 22 1.42 32 정치 264 39 40 44 37 44 52 42 54 48 37 437 28.19 701 경제 70 21 34 32 45 48 48 50 42 34 27 381 24.58 451 문화교육 47 7 5 13 12 20 14 18 13 11 15 128 8.26 175 어문학 159 11 8 14 19 27 16 17 28 27 31 198 12.77 357 예술 34 3 2 3 1 1 4 9 23 1.48 57 역사지리 78 9 15 17 18 16 16 19 20 16 13 159 10.26 237 과학의학 15 1 4 6 2 4 7 8 7 39 2.52 54 751 114 131 141 155 179 157 166 187 166 154 1550 2301 1944 ~ 1999 총계 1990~1999 ( ). 1992...
2 < 표 2-1-13>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분류표 도서소분류 1945 ~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류 15 9 6 4 4 2 1 1 42 중국학 1 2 1 1 3 3 5 4 20 한국학 0 사상 36 9 8 5 2 6 4 8 7 10 13 108 철학 23 4 10 3 3 7 1 1 7 4 4 67 종교 10 1 4 3 4 5 1 3 1 32 정치일반 188 23 21 24 14 17 22 18 21 26 20 394 외교국제관계 ) 22 7 3 3 2 1 9 4 4 4 5 64 군사 2 1 2 6 6 4 4 3 1 4 2 35 양안통일문제 1 1 4 2 1 1 3 1 1 15 북중관계 5 1 1 3 2 1 1 1 15 한중관계 7 5 7 3 2 12 9 5 7 10 5 72 조선족 2 3 3 5 4 5 7 13 1 4 47 소수민족 14 2 2 2 1 1 1 23 대만 ( 홍콩 / 마카오 ) 26 1 1 1 5 1 1 36 화교경제일반 39 12 26 17 28 27 31 30 26 20 17 273 기업경영 7 1 1 3 4 5 5 8 6 4 3 47 무역투자 15 8 5 7 9 9 5 5 7 7 5 82 한중경제 9 2 5 4 7 7 7 3 3 2 49 대만경제문화 30 4 4 7 8 12 8 10 6 5 7 101 교육 2 4 1 1 3 1 2 14 체육 7 1 8 한중문화관계 10 1 1 1 3 7 6 8 4 5 6 52 대만문화언어문자 44 10 3 3 5 5 1 4 9 4 8 96 한중언어문학 115 1 5 11 14 22 15 13 19 23 23 261 한중문학예술 34 3 2 3 1 1 4 9 57 역사 69 5 11 14 4 8 10 10 14 14 8 167 지리 9 4 4 3 14 8 6 9 6 2 5 70 과학의학 15 1 4 6 2 4 7 8 7 54 751 114 131 141 155 179 157 166 187 166 154 2301
3) 2000 1990. 1999 5 19 90. 1990~1999 69.12% 1990.. 38.28% 24.99% 10.64% 5.80%.. 2000. < 표 2-1-14>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1 1 3 10 14 3 5 14 15 66 0.66 중국학한국학 1 1 4 11 5 18 38 57 135 1.35 사상 1 1 2 3 10 7 16 19 32 59 101 251 2.51 종교 1 2 1 14 10 24 19 49 70 190 1.90 정치 72 20 22 52 70 165 88 188 465 1075 1604 3821 38.28 경제 17 12 16 58 39 68 74 308 743 1160 2495 24.99 문화교육 5 2 5 17 26 41 52 63 120 151 311 793 7.94 어문학 12 5 20 26 31 53 93 56 94 195 477 1062 10.64 예술 2 1 1 10 13 20 26 38 66 177 1.77 역사지리 4 6 10 8 25 18 40 63 154 251 579 5.80 과학의학 1 3 1 7 22 22 31 54 87 186 414 4.15 학술지총계 110 33 72 129 216 390 405 523 120 4 260 3 429 8 9983 연도별점유율 (%) 1.10 0.33 0.72 1.29 2.16 3.91 4.06 5.24 12.0 6 26.0 7 43.0 5
제2장 한국의 중국학 과 한국학 의 연구성과 비교 35 <그림 2-1-8> 2000년 이전 한국 중국학 학술지논문 연구성과의 대주제별 변화도 1800 1600 1400 1945-1949 1200 1950-1954 1000 800 1955-1959 1960-1964 1965-1969 600 1970-1974 400 1975-1979 200 1980-1984 0 1985-1989 1990-1994 1995-1999 한국의 중국연구가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었지만 그 중에 하나의 특징은 모 든 연구가 중국대륙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만이나 홍콩에 대한 연구는 시류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대만의 대륙정책이 개방되는 1990년 전후 시기 홍콩이 중국으로 넘어 가는 1997년을 전후한 시기 그리고 마카오의 중국반환 1999년 시기 등에 일부 연구성과 를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인 연구상황은 매우 저조한 상항이다. 대만(홍콩과 마카오 포함)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207건 양안통일문제와 관련된 연구 2 13건 대만경제에 대한 논문 250건 대만문화 50건 대만문학 3건 대만지리 2건으로 총 518건으로 1999년까지 전체 논문 9983건의 5.1%에 불과한 상황이다. 또한 학술지를 기준으로 대만에 대한 연구상황을 살펴보면 대만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는 1970년대 상호관계가 여전히 발전하던 시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960년대 말에서부터 1990년대 초까지 대체로 연구가 있었지만 1990년대 이후 전반적인 연구상황이 매우 축 소되어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는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홍콩에 대한 연구도 1997년 중국 반환을 전환하여 학술지논문으로 적지만 그래도 연구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대만과 관련해서 양안통일문제의 관점에서 보이는 연구주제로서 관심은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인 면에서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양안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그것에 대한 평가나 남북한관계의 비교차원에서 연구가 1990년대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다.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총류 1 1 3 10 14 3 5 14 15 66 0.66 중국학한국학 사상 중국학 1 1 4 10 5 14 20 42 97 0.97 한국학 1 4 18 15 38 0.38 사상 1 1 1 2 8 7 13 12 21 43 65 174 1.74 철학 1 1 2 3 7 11 16 36 77 0.77 종교종교 1 2 1 14 10 24 19 49 70 190 1.90 정치일반 경제일반 문화교육 언문학 정치일반 54 11 11 13 26 55 41 76 247 459 607 1600 16.03 외교 ( 국제관계 ) 10 3 8 11 7 44 16 13 52 119 258 541 5.42 군사 2 2 1 21 64 129 219 2.19 양안통일문제 1 6 7 22 2 19 24 59 73 213 2.13 북중관계 2 1 1 3 10 55 129 201 2.01 한중관계 5 3 5 6 4 21 60 111 168 383 3.84 조선족 2 24 156 180 362 3.63 소수민족 1 6 23 39 69 0.69 대만홍콩마카오 6 3 19 23 35 22 52 18 21 8 207 2.07 화교 2 3 8 13 26 0.26 경제일반 17 1 3 1 2 10 13 168 457 741 1413 14.15 기업경영 18 56 131 205 2.05 무역투자 1 62 102 126 291 2.91 한중경제관계 2 44 128 162 336 3.37 대만경제 11 13 57 36 58 59 16 250 2.50 문화 4 1 4 5 6 10 18 16 35 54 157 310 3.11 교육 1 1 3 3 11 5 4 21 34 87 170 1.70 체육 1 4 7 4 16 0.16 한중문화관계 1 4 6 12 23 31 52 55 63 247 2.47 대만문화 5 11 7 6 12 8 1 50 0.50 언어문자 4 3 8 6 16 56 25 32 76 178 404 4.05 한중언어 1 1 1 10 17 23 53 0.53 문학 12 1 16 18 24 35 37 29 52 102 276 602 6.03 대만문학 1 1 1 3 0.03 한중문학 0.00 예술예술 2 1 1 10 13 20 26 38 66 177 1.77 역사지리 역사 4 6 8 7 23 18 36 54 113 162 431 4.32 지리 1 2 4 9 41 89 146 1.46 대만지리 2 2 0.02 과학의학과학의학 1 3 1 7 22 22 31 54 87 186 414 4.15 전체연도별합계연도별점유율 (%) < 표 2-1-15>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표 전체연도별합계 110 33 72 129 216 390 405 523 1204 2603 4298 9983 연도별점유율 ( %) 1.10 0.33 0.72 1.29 2.16 3.91 4.06 5.24 12.0 6 26.0 7 43.0 5. 1980
2. 1980.. 1990 362 69 26. 5.2. 2000. < 그림 2-1-9>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변화도 1999 1990 1999 449 1004 2.3. 1990. 1990~1999 39.69% 27.58% 67.27%.
학술지논문 < 표 2-1-16>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대분류표 1949-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1990-1999 통계 1990-1999 주제별점유율 (%) 총류 37 2 2 3 7 3 7 2 2 1 29 0.42 66 중국학한국학 40 4 9 8 10 7 5 7 12 19 14 95 1.38 135 사상철학 91 15 13 7 10 14 19 22 20 16 24 160 2.32 251 종교 71 11 9 13 7 9 19 14 14 7 16 119 1.72 190 정치 1142 231 195 212 197 240 295 288 417 296 368 2739 39.69 3881 경제 592 87 154 180 146 176 256 232 196 237 239 1903 27.58 2495 문화교육 331 27 29 25 30 40 55 45 69 67 75 462 6.69 793 어문학 390 29 39 34 41 52 76 75 76 129 121 672 9.74 1062 예술 73 7 10 7 6 8 15 11 8 16 16 104 1.51 177 지리 247 28 36 29 42 57 53 53 56 68 87 509 7.38 756 과학의학 141 15 14 20 14 24 20 14 40 42 70 273 3.96 414 3082 449 500 528 500 626 801 744 866 883 1004 6901 9983 1945-1999 총계 학술지논문 < 표 2-1-17>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소분류표 1949-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류 37 2 2 3 7 3 7 2 2 1 66 중국학 35 2 4 6 1 7 4 5 10 12 11 97 한국학 5 2 5 2 9 1 2 2 7 3 38 사상 66 10 8 5 9 11 14 13 14 9 15 174 철학 25 5 5 2 1 3 5 9 6 7 9 77 종교 71 11 9 13 7 9 19 14 14 7 16 190 정치일반 534 109 70 105 79 96 115 93 156 118 125 1600 외교 ( 국제관계 ) 164 24 34 18 24 19 34 44 51 57 72 541 군사 26 10 6 13 15 20 27 25 31 23 23 219 양안통일문제 81 19 10 8 13 9 13 21 10 11 18 213 북중관계 17 9 10 7 7 22 31 21 25 16 36 201 한중관계 104 30 28 17 15 21 31 27 49 25 36 383 조선족 26 22 28 36 32 38 32 36 42 29 41 362 소수민족 7 3 3 1 6 10 6 5 14 9 5 69 대만 ( 홍콩마카오 ) 178 4 5 6 2 4 5 13 36 3 11 267 화교 5 1 1 1 4 1 1 3 3 5 1 26 경제일반 215 55 100 94 90 118 180 137 126 164 134 1413 기업경영 18 7 9 16 8 16 16 23 33 25 34 205 무역투자 63 17 26 25 20 14 31 36 11 24 24 291 한중경제관계 46 8 19 45 28 28 29 36 26 24 47 336 대만경제 250 250 문화 99 12 9 6 11 16 27 17 32 36 45 310 교육 49 4 5 7 4 14 13 14 25 20 15 170 체육 5 2 1 4 1 3 16 한중문화관계 129 9 13 8 15 10 15 13 9 11 15 247 대만문화 49 1 50 언어문자 150 12 10 9 23 22 29 19 33 50 47 404 한중언어 13 4 5 4 1 3 2 5 3 2 11 53 문학 224 13 24 21 17 27 45 51 40 77 63 602 대만문학 3 3 한중문학 0 0 예술 73 7 10 7 6 8 15 11 8 16 16 177 역사 156 17 20 16 28 32 27 25 34 31 45 431 지리 16 4 6 6 8 17 11 17 14 21 26 146 대만지리 2 2 과학의학 141 15 14 20 14 24 20 14 40 42 70 414 3082 449 500 528 500 626 801 744 866 883 1004 9983 1944-1999 총계
2 4) 2000 1990. 1990~1999 79.72%. 1994~1999 50.18%. 1990 211 1980 25 8.4 1980 265 1990 1357 5.1. < 표 2-1-18>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논문총계표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총계 박사논문 1 1 5 9 17 100 111 244 석사논문 2 13 12 10 29 35 50 215 481 876 1723 연도별총계연도별점유율 (%) 2 13 12 11 30 40 59 232 581 987 1967 0.00 0.10 0.66 0.61 0.56 1.53 2.03 3.00 11.79 29.54 50.18 100.00 61.21%. ( ). < 표 2-1-19>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석 박사 합치 1945-1949 1950-1954 1955-1959 1960-1964 1965-196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2 2 0.10 중국학한국학 1 2 2 5 0.25 사상철학 1 1 2 2 4 9 12 8 39 1.98 종교 1 2 14 30 41 88 4.47 정치 1 3 7 3 6 11 16 66 192 299 604 30.71 경제 1 1 3 4 65 204 322 600 30.50 교육문화 1 7 8 14 18 45 127 220 11.18 어문학 3 3 4 7 8 6 29 46 106 212 10.78 예술 1 4 2 5 13 14 18 57 2.90 역사지리 1 6 2 5 6 12 24 46 102 5.19 과학의학 2 1 2 5 12 16 38 1.93 연도별 2 13 12 11 30 40 59 232 581 987 1967 100.00 연도별점유율 0.00 0.10 0.66 0.61 0.56 1.53 2.03 3.00 11.79 29.54 50.18 100.00
4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석 박사학위논문에서 중국연구가 보이는 특징의 하나는 도서나 학술지논문과 달리 199 9년까지 전체 누적통계에서는 정치분야가 604편으로 600편인 경제분야보다 조금 앞서지 만 내용을 보면 1990~1995년 사이에 이미 경제분야가 정치분야에 대한 연구보다 앞섰 다. 도서나 학술지논문이 학교를 졸업한 전문가나 학자들이 주류라면 학위논문은 특히 미래 취업을 고려하는 학생들이 집필하기 때문에 졸업후 취업을 고려하는 경향이 강하다 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한중경제관계의 급속한 발전이 대학원생들의 학위논문 주제의 선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 <그림 2-1-10> 2000년 이전 한국 중국학 석 박사논문 연구성과의 대주제별 변화도 700 600 1945-1949 500 1950-1954 400 1955-1959 300 1960-1964 200 1965-1969 100 0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논문의 주제를 세분화해 보면 학위논문을 작성하는 학생들의 관심이 분명하게 들어난 다. 1980년대까지 연구주제에서 보면 한중경제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366편으로 18.66% 를 차지하여 일반적인 정치분야 12.5% 보다 월등히 많다. 특히 정치분야의 한중관계에 대한 연구도 3.18%를 차지하여 여기에 한중문화관계 3.00%를 추가하면 한중관계분야의 연구가 모두 14.4%로 한중관계에 대한 관심이 학생들에게 특히 높았음을 보여준다. 미래 중국의 발전과 한중관계의 발전을 고려하는 학생들의 관심이 연구주제의 선정에도 그대 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가 있다. 석 박사학위에서 나타나는 학술지논문이나 도서(단행본)과 다른 중국 관련 연구성과에 서 나타나는 다른 특징은 종교분야 논문이 1999년까지 논문총수에서 4.47%로 단행본의 1.39% 학술지논문의 1.90%보다 월등히 높다는 점이다. 이는 많은 신학대학교의 학위논 문들 중에서 중국에 대한 선교활동을 고려한 중국의 종교나 선교문제와 관련된 주제를 택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대만이나 홍콩과 관련된 주제는 이미 미래에 민감한 대학원
2. < 표 2-1-20>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표 194 5-194 9 1950-1954 1955-1959 196 0-196 4 196 5-196 9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2 2 0.10 중국학 1 2 2 5 0.25 한국학 0 0.00 사상 1 1 2 2 3 9 10 7 35 1.78 철학 1 2 1 4 0.20 종교 1 2 14 30 41 88 4.47 정치일반 1 6 1 3 10 8 35 79 98 241 12.25 외교 ( 국제관계 ) 1 1 1 2 3 4 10 27 34 83 4.22 군사 2 2 17 39 60 3.05 양안통일문제 1 2 7 14 24 1.22 북중관계 1 1 8 19 29 1.47 한중관계 1 9 30 35 75 3.81 조선족 1 18 34 53 2.69 소수민족 1 2 6 9 0.46 대만홍콩마카오 1 5 3 17 26 1.32 화교 1 3 4 0.20 경제일반 1 9 42 51 103 5.24 기업경영 6 48 54 2.75 무역투자 10 23 33 66 3.36 한중경제 1 44 132 190 367 18.66 대만경제 1 3 3 2 1 10 0.51 문화 1 5 4 3 4 12 60 89 4.52 교육 1 2 3 8 31 45 2.29 체육 1 1 1 4 12 19 0.97 한중문화관계 1 1 8 7 19 23 59 3.00 대만문화 2 3 2 1 8 0.41 언어문자 1 2 3 3 2 3 16 25 57 112 5.69 한중언어 1 1 3 10 15 0.76 문학 1 1 4 1 12 18 38 75 3.81 한중문학 2 1 2 1 2 1 1 10 0.51 예술 1 2 4 12 14 15 48 2.44 한중예술 1 3 1 1 3 9 0.46 역사 1 6 2 5 6 11 18 23 72 3.66 지리 1 6 23 30 1.53 과학의학 2 1 2 5 12 16 38 1.93 연도별통계 2 13 12 11 30 40 59 232 581 987 1967 연도별점유율 0.00 0.10 0.66 0.61 0.56 1.53 2.03 3.00 11.7 9 29.5 4 50.1 8
< 그림 2-1-11>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변화도 < 표 2-1-21>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문연구성과의대분류표 1945-1989 1990 1991 1992 199 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류 2 2 0.10 중국학한국학 1 1 1 1 1 5 0.25 사상 19 3 4 1 3 1 1 2 1 3 1 39 1.98 종교 17 4 4 4 13 5 3 7 10 11 10 88 4.47 정치 113 39 35 31 38 49 42 40 56 66 95 604 30.71 경제 74 52 23 33 34 62 64 53 62 62 81 600 30.50 문화교육 48 5 8 6 15 11 8 6 13 17 83 220 11.18 어문학 60 6 5 9 10 16 8 15 17 25 41 212 10.78 예술 25 0 2 5 6 1 4 6 3 2 3 57 2.90 역사지리과학의학 32 4 4 4 6 6 7 9 9 9 12 102 5.19 10 4 0 1 4 3 2 2 2 5 5 38 1.93 399 117 85 95 130 154 139 141 173 202 332 1967 100.00 20.2 8 5.95 4.32 4.83 6.61 7.83 7.07 7.17 8.80 10.2 7 16.8 8 100.00 18.66%.
2 중분류 < 표 2-1-22> 2000 년이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문연구성과의소분류표 1945-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2 2 0.10 중국학 1 1 1 1 1 5 0.25 한국학 0.00 사상 18 2 3 1 3 1 1 1 1 3 1 35 1.78 철학 1 1 1 1 4 0.20 중교 17 4 4 4 13 5 3 7 10 11 10 88 4.47 정치일반 64 22 12 8 16 21 16 10 17 21 34 241 12.25 외교 ( 국제관계 ) 22 2 6 8 5 6 3 9 4 6 12 83 4.22 군사 4 2 5 2 4 4 7 5 11 9 7 60 3.05 양안관계 3 2 1 2 2 1 3 3 5 2 24 1.22 북중관계 2 2 3 2 1 5 5 1 8 29 1.47 한중관계 10 8 6 6 3 7 7 7 5 6 10 75 3.81 조선족 1 1 7 5 5 1 6 6 14 7 53 2.69 소수민족 1 2 1 3 1 1 9 0.46 대만 ( 홍콩마카오 ) 6 2 1 1 1 2 13 26 1.32 화교 1 1 1 1 4 0.20 경제일반 10 14 3 9 9 7 6 6 10 10 19 103 5.24 기업경영 3 3 4 7 11 11 15 54 2.75 무역투자 10 7 4 3 1 8 8 3 4 9 9 66 3.36 한중경제관계 45 28 12 21 24 47 46 37 37 32 38 367 18.66 대만경제 9 1 10 0.51 문화 17 1 2 2 2 5 4 3 5 7 41 89 4.52 교육 6 1 2 1 3 1 2 1 2 26 45 2.29 체육 3 1 2 1 2 2 8 19 0.97 한중문화 17 2 3 2 8 4 2 2 4 7 8 59 3.00 대문화 5 1 1 1 8 0.41 언어문자 30 2 5 3 4 11 4 6 7 10 30 112 5.69 한중언어 2 1 1 1 1 0 3 3 3 15 0.76 문학 19 3 5 6 4 3 9 7 12 7 75 3.81 한중문화 9 1 10 0.51 예술 19 2 5 6 1 4 5 3 3 48 2.44 한중예술 6 1 2 9 0.46 역사 31 4 3 3 4 4 4 7 2 4 6 72 3.66 지리 1 1 1 2 2 3 2 7 5 6 30 1.53 과학의학 10 4 1 4 3 2 2 2 5 5 38 1.93 연도별총계 399 117 85 95 130 154 139 141 173 202 332 1967 2000. 1990 1995 ( ). 1980 1990...
1990... 2000.. 1970 1980 1990. 1980 1990.... 1) 2000 2000
2. ( ) 11.71%(3379 ) 68.21%(19687 ) 2 0.08%(28.863 ). < 표 2-1-23>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유형별통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형별총계 유형별점유율 (%) 도서 179 188 339 298 328 416 424 403 459 345 3379 11.71 학술지논문 석 박사 학위논문 1056 1300 1681 1780 2188 2006 2198 2257 2287 2934 19687 68.21 267 300 389 412 474 641 592 624 925 1184 5797 20.08 총계 1502 1788 2409 2490 2990 3063 3214 3284 3671 4463 28863 연도별총계 (%) 5.20 6.19 8.35 8.63 10.36 10.61 11.14 11.38 12.72 15.46 < 그림 2-1-12>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유형별비교도표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도서 학술지논문 석박사학위논문 50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00 2000 (1502 ) 2009 4463 2.9. 1980 1990. 2000 1999 33.08% 26.47%.
. 2001. 2000 520 347 2001 540 2000 542 1.5. 2009. < 표 2-1-24>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표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4 14 7 14 4 11 11 13 78 0.27 중국학한국학 27 28 46 51 34 47 22 32 24 21 332 1.15 사상철학 41 31 45 52 51 48 57 52 83 87 547 1.90 종교 32 42 33 55 37 58 62 63 28 54 464 1.61 정치 520 540 686 697 775 767 878 799 952 1027 7641 26.47 경제 347 542 796 820 1073 1045 1057 1209 1229 1431 9549 33.08 교육문화 120 154 237 208 286 307 328 305 371 478 2794 9.68 어문학 208 222 275 338 342 461 486 480 557 943 4312 14.94 예술 31 38 41 35 46 35 45 48 68 79 466 1.61 역사지리 107 111 185 155 282 207 211 198 283 270 2009 6.96 과학의학 69 76 51 72 64 74 64 87 65 49 671 2.32 연도별총계 1502 1788 2409 2490 2990 3063 3214 3284 3671 4452 28863 연도별점유율 (%) 5.20 6.19 8.35 8.63 10.36 10.61 11.14 11.38 12.72 15.42 1994~1999 11.47% 2000 14.94%..
2 6.96% 1.90% 1.6 1%.. 1990 2000. ㅣ. 1.15%. 200 0. < 그림 2-1-13>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비교도 12000 10000 8000 7641 9549 6000 4000 2000 0 78 332 547 464 2794 4312 466 2009 671.
2) 2000 ( ) 2000 ( ) 1990. 24.47% 21.46%. 1990 28.19% 24.58%. 2000. 2000 15.30%. 14.23% 10.71% 5.06% 3.37% 48.67%.. < 표 2-1-25>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1 4 1 12 4 6 10 10 48 1.42 한국학중국학 4 4 8 11 2 6 1 1 3 4 44 1.30 사상 10 4 14 12 23 21 13 16 21 37 171 5.06 종교 1 3 3 3 5 5 6 4 1 31 0.92 정치 51 42 80 67 76 98 79 81 87 64 725 21.46 경제 31 54 100 91 87 96 116 88 97 67 827 24.47 교육문화 21 17 42 22 39 31 48 48 58 36 362 10.71 어문학 26 25 34 48 25 68 76 75 73 67 517 15.30 예술 9 9 10 6 8 11 16 18 17 10 114 3.37 역사지리 18 29 41 33 67 57 57 58 80 41 481 14.23 과학의학 8 3 4 1 11 9 6 9 8 59 1.75 연도별총계 179 188 339 298 328 416 424 403 459 345 3379 100.00 연도별점유율 (%) 5.30 5.56 10.03 8.82 9.71 12.31 12.55 11.93 13.58 10.21
제2장 한국의 중국학 과 한국학 의 연구성과 비교 49 <그림 2-1-14> 2000년 이후 한국 중국학 단행본 연구성과의 대주제별 변화도 140 120 2000 100 80 60 2001 2002 2003 2004 40 2005 20 2006 2007 0 2008 2009 도서(단행본)의 연구성과를 소주제로 나누어 보면 보다 정확한 연구추세를 이해할 수 가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 경제분야의 연구가 13.9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정치일 반이 10.3%이다. 경제분야에서 무역투자와 중국의 기업경영 그리고 한중경제관계에 대 한 연구성과물이 종합적으로 환산하면 여전히 제일 높은 편이다. 반면에 정치분야에서는 한중관계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크지만 그 외의 주제 예를 들 면 외교와 국제관계 대만해협양안의 통일문제 북중관계 그리고 소수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는 그 저변이 여전히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대만에 대한 연구성과는 2000년대 들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홍콩이나 마카오에 대한 관심도 도서(단행본)의 연구성과는 더욱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한편 한국에서 화교들에 대한 연구는 중국경제분야에 대한 관심이 과중되면서 거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주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어문학분야에서 문학분야의 연구성과가 도서(단행본)분야에서는 10.59%로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역사분야의 연구도 10.33%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학분야의 강세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양국간의 문화교류가 급증하면서 예술과 문화교류분야의 관심도 크게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교육분야에서는 한국에 온 중국유학생과 중국으로 가는 한국유학생이 크게 늘어나면 서 유학생을 중심으로 중국과 한국의 관계 한중문화적 관계 중국사회의 변화를 논하는
... < 표 2-1-26>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표 중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1 4 1 12 4 6 10 10 48 1.42 중국학 4 4 8 11 2 6 1 1 3 4 44 1.30 한국학 0.00 사상 5 1 14 10 18 16 7 12 18 37 138 4.08 철학 5 3 2 5 5 6 4 3 33 0.98 종교 1 3 3 3 5 5 6 4 1 31 0.92 정치일반 22 18 43 30 39 46 31 42 43 34 348 10.30 외교 ( 국제관계 ) 4 7 11 7 10 7 12 8 4 70 2.07 군사 5 3 3 2 1 2 1 1 3 21 0.62 양안통일문제 2 1 1 2 1 2 1 1 3 2 16 0.47 북중관계 3 4 2 3 4 8 1 4 4 33 0.98 한중관계 10 7 11 9 17 16 16 12 11 12 121 3.58 조선족 7 4 10 2 15 9 8 9 2 66 1.95 소수민족 1 2 5 10 5 3 4 6 2 38 1.12 대만홍콩마카오 1 1 1 1 2 1 1 8 0.24 화교 1 2 1 4 0.12 경제일반 15 32 63 44 44 58 66 52 56 41 471 13.94 기업경영 1 2 7 12 15 6 9 2 13 6 73 2.16 무역투자 6 13 13 17 8 18 23 17 14 7 136 4.02 한중경제 9 7 17 18 20 14 18 17 14 13 147 4.35 대만경제 0.00 문화 15 11 25 16 18 22 31 31 44 18 231 6.84 교육 1 3 5 3 6 5 8 10 5 17 63 1.86 체육 2 2 0.06 한중문화관계 5 3 10 3 15 4 9 7 9 1 66 1.95 대만문화 0.00 언어문자 4 1 12 17 7 17 18 25 25 26 152 4.50 한중언어 1 1 1 1 3 7 0.21 문학 22 24 22 31 17 51 57 49 47 38 358 10.59 예술 9 9 10 6 8 11 16 18 17 10 114 3.37 역사 11 18 28 22 49 45 49 38 57 32 349 10.33 지리 7 11 13 11 18 12 8 20 23 9 132 3.91 과학의학 8 3 4 1 11 9 6 9 8 59 1.75 179 188 339 298 328 416 424 403 459 345 3379 5.30 5.56 10.03 8.82 9.71 12.31 12.55 11.93 13.58 10.21
2 < 그림 2-1-15>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변화도 3) 2000 2000.. 19687 65 76 33.4% 5949 30.2%. 11.9% 7.13%. 2000. 9.0 5% 11.9%. 2000. 2004 2001 49 2002 39 2003 47 2003 7 1 2004 177. 2004. 2004 2000 11 4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3 8 6 2 4 3 26 0.13 중국학한국학 22 24 37 40 32 41 20 31 17 16 280 1.42 사상 28 25 30 37 25 25 42 29 61 49 351 1.78 종교 10 15 13 24 17 29 44 34 1 41 228 1.16 정치 399 428 513 547 611 570 688 632 722 839 5949 30.22 경제 235 390 561 610 811 699 741 884 783 862 6576 33.4 문화교육 78 119 159 157 203 216 227 191 187 245 1782 9.05 어문학 134 144 155 172 205 212 242 233 253 592 2342 11.9 예술 13 18 21 18 21 22 18 24 41 46 242 1.23 역사지리 81 72 140 113 206 139 131 126 183 212 1403 7.13 과학의학 56 62 44 56 57 51 45 69 39 29 508 2.58 연도별총계연도별점유율 (%) < 표 2-1-27>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1056 1300 1681 1780 2188 2006 2198 2257 2287 2934 19687 100.00 5.36 6.60 8.54 9.04 11.11 10.19 11.16 11.46 11.62 14.90 100.00 < 그림 2-1-16>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도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1 1.39% 2.242 6.2
2 8% 1237. 615 3.12% 572 2.91%. 2000. 250 1.27% 467 2.37%. 0.04% 78. 47.. 181 0.81%. 4014 20.3%.. 7.26% 1430.. 3.37% 663 2.38% 469. 2000..
. < 표 2-1-28>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표 중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3 8 6 2 4 3 26 0.13 중국학 17 19 31 25 22 29 15 25 13 9 205 1.04 한국학 5 5 6 15 10 12 5 6 4 7 75 0.38 사상 21 19 22 26 17 11 33 23 52 41 265 1.35 철학 7 6 8 11 8 14 9 6 9 8 86 0.44 종교 10 15 13 24 17 29 44 34 1 41 228 1.16 정치일반 127 146 229 206 188 199 268 249 323 307 2242 11.39 외교 ( 국제관계 ) 56 78 93 90 139 117 145 148 147 224 1237 6.28 군사 14 29 13 23 42 37 19 46 30 28 281 1.43 양안통일문제 25 11 5 10 25 23 11 10 21 19 160 0.81 북중관계 31 42 30 75 64 71 116 41 46 99 615 3.12 한중관계 53 44 50 68 70 52 44 52 62 77 572 2.91 조선족 55 46 60 41 54 50 56 40 32 33 467 2.37 소수민족 20 21 22 20 25 17 18 21 48 38 250 1.27 대만홍콩마카오 13 11 8 7 3 2 9 17 3 5 78 0.40 화교 5 3 7 1 2 2 8 10 9 47 0.24 경제일반 155 249 347 346 481 426 393 551 528 538 4014 20.39 기업경영 15 35 44 81 72 61 84 102 86 83 663 3.37 무역투자 21 33 41 42 62 39 75 53 31 72 469 2.38 한중경제관계 44 73 129 141 196 173 189 178 138 169 1430 7.26 대만경제 0.00 문화 51 61 65 76 98 92 96 89 88 104 820 4.17 교육 15 33 56 36 50 64 56 44 33 53 440 2.23 체육 9 4 2 6 8 7 8 12 1 57 0.29 한중문화관계 12 16 34 43 49 52 68 50 54 87 465 2.36 대만문화 0.00 언어문자 39 45 59 74 94 109 100 110 118 294 1042 5.29 한중언어 8 8 5 7 17 19 48 33 38 51 234 1.19 문학 87 91 91 91 94 84 94 90 97 247 1066 5.41 대만문학 0.00 한중문학 0.00 예술 13 18 21 18 21 22 18 24 41 46 242 1.23 역사 49 39 47 71 177 96 107 101 141 189 1017 5.17 지리 32 33 93 42 29 43 24 25 42 23 386 1.96 대만지리 0.00 과학의학 56 62 44 56 57 51 45 69 39 29 508 2.58 연도별총계 1056 1300 1681 1780 2188 2006 2198 2257 2287 2934 19687 100.00 연도별점유율 (%) 5.36 6.60 8.54 9.04 11.11 10.19 11.16 11.46 11.62 14.90 100.00 820 4. 17%. 5.41% 1061 5.29% 1.042 1017 5.17%.
2 234 1.19%. 265 86 1.35% 0.44%. 3705 465 4170 21.8%.. 2000.. 2000. < 그림 2-1-17>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변화도 4) 2000 1990~1 999 10 211 1357 1568 20 00~2009 10 550 5247 5797 3.3. 2000 2009 267 1173 4.4% 228 1078 4.7.
.. < 표 2-1-29>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의연도별현황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연도별총계 박사논문 39 29 37 33 43 71 66 62 75 95 550 석사논문 228 271 352 379 431 570 526 562 850 1078 5247 총계 267 300 389 412 474 641 592 624 925 1173 5797 < 그림 2-1-18>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변화도 1200 1000 800 600 400 박사논문 석사논문 20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00 37.02% 16.48% 2.2.. 1990 30.71% 30.50% 604 600.... 25.06% 1453 2000 10.78% 2.5
2. 11.21% 650 2 253 38.86%. 1999 573 29.1%. 1990 5.19% 2. 16% 1.98% 0.43%.. 1990 11.18% 11.21% 2. 2000... 4. 97% 2.36%. 1990 4.47% 88. 205 3.54%.. < 표 2-1-30>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류표 석 박사합산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2 1 1 0 4 0.07 중국학한국학 1 1 1 0 4 1 8 0.14 사상 3 2 1 3 3 2 2 7 1 1 25 0.43 종교 21 24 17 28 20 24 13 23 23 12 205 3.54 정치 70 70 93 83 88 99 111 86 143 124 967 16.68 경제 81 98 135 119 175 250 200 237 349 502 2146 37.02 문화교육 21 18 36 29 44 60 53 66 126 197 650 11.21 어문학 48 53 86 118 112 181 168 172 231 284 1453 25.06 예술 9 11 10 11 17 2 11 6 10 23 110 1.90 역사지리 8 10 4 9 9 11 23 14 20 17 125 2.16 과학의학 5 14 4 12 6 12 10 12 17 12 104 1.79 연도별총계 267 300 389 412 474 641 592 624 925 1184 5797 100.00 연도별점유율 (%) 4.61 5.18 6.71 7.11 8.18 11.06 10.21 10.76 15.96 20.42
< 그림 2-1-19>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포도 2500 2000 1500 1000 500 0 2000 18.09% 16.0 0%... 6.19%. 2.17% 2.08%. 9.17%. 5.45% 8.55% 5.27%...
2. < 표 2-1-31>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의주제별비교표 주제별 석사논문 점유율 주제별 박사논문 점유율 총류 4 0.08% 총류 0 0.00% 중국학 4 0.08% 중국학 1 0.18% 한국학 3 0.06% 한국학 0 0.00% 사상 14 0.27% 사상 8 1.45% 철학 1 0.02% 철학 2 0.36% 종교 197 3.75% 종교 8 1.45% 정치일반 325 6.19% 정치일반 51 9.27% 외교 ( 국제관계 ) 101 1.92% 외교 ( 국제관계 ) 12 2.18% 군사 64 1.22% 군사 6 1.09% 양안통일문제 21 0.40% 양안통일문제 3 0.55% 북중관계 68 1.30% 북중관계 8 1.45% 한중관계 114 2.17% 한중관계 12 2.18% 조선족 109 2.08% 조선족 30 5.45% 소수민족 31 0.59% 소수민족 4 0.73% 대만홍콩마카오 2 0.04% 대만 ( 홍콩마카오 ) 0 0.00% 화교 6 0.11% 화교 0 0.00% 경제일반 508 9.68% 경제일반 85 15.45% 기업경영 344 6.56% 기업경영 35 6.36% 무역투자 114 2.17% 무역투자 14 2.55% 한중경제관계 949 18.09% 한중경제관계 88 16.00% 대만경제 0.00% 대만경제 9 1.64% 문화 199 3.79% 문화 9 1.64% 교육 138 2.63% 교육 8 1.45% 체육 13 0.25% 체육 9 1.64% 한중문화관계 261 4.97% 한중문화관계 13 2.36% 대만문화 0.00% 대만문화 0 0.00% 언어문자 1045 19.92% 언어문자 47 8.55% 한중언어 265 5.05% 한중언어 0.00% 문학 59 1.12% 문학 29 5.27% 한중문학 8 0.15% 한중문학 0.00% 예술 87 1.66% 예술 13 2.36% 한중예술 10 0.19% 한중예술 0.00% 역사 64 1.22% 역사 10 1.82% 지리 36 0.69% 지리 15 2.73% 대만지리 0.00% 대만지리 0.00% 과학의학 83 1.58% 과학의학 21 3.82% 5247 100.00% 0 550 100.00%
< 그림 2-1-20>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의주제비교도 < 표 2-1-32> 2000 년이후한국중국학석 박사학위논문의소주제분류표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2 1 1 4 4 0.07 중국학 1 1 3 5 0.09 한국학 1 1 1 3 0.05 사상 2 2 1 3 2 2 1 7 1 1 22 0.38 철학 1 1 1 3 0.05 종교 21 24 17 28 20 24 13 23 23 12 205 3.54 정치일반 30 24 31 28 35 33 39 30 67 59 376 6.49 외교 ( 국제관계 ) 7 10 10 9 10 11 16 13 18 9 113 1.95 군사 4 7 8 7 3 7 9 5 11 9 70 1.21 양안관계 1 3 2 4 1 3 2 5 3 24 0.41 북중관계 5 5 10 6 9 4 11 9 8 9 76 1.31 한중관계 8 5 12 11 13 19 12 15 11 20 126 2.17 조선족 12 10 15 14 13 20 15 13 16 11 139 2.40 소수민족 2 5 5 3 4 2 5 5 4 35 0.60 대만 1 1 2 0.03 화교 1 1 2 1 1 6 0.10 경제일반 20 21 28 22 42 60 47 49 105 199 593 10.23 기업경영 10 16 30 17 20 33 35 60 63 95 379 6.54 무역투자 5 8 6 11 17 12 10 16 22 21 128 2.21 한중경제관계 46 53 69 68 95 143 107 112 157 187 1037 17.89 대만경제 2 1 1 2 1 2 9 0.16 문화 9 7 14 6 18 21 14 15 39 65 208 3.59 교육 4 3 7 2 3 8 11 9 27 72 146 2.52 체육 0 1 2 1 6 5 7 22 0.38 한중문화관계 8 7 13 20 23 31 28 36 55 53 274 4.73 대만문 0 0.00 언어문자 32 37 64 103 87 145 136 124 185 179 1092 18.84 한중언어 4 10 11 8 17 23 23 39 34 96 265 4.57 문학 12 6 11 7 7 9 8 7 12 9 88 1.52 한중문화관계 1 4 1 2 8 0.14 예술 7 9 9 10 13 2 11 6 10 23 100 1.73 한중예술 2 2 1 1 4 10 0.17 역사 3 5 2 5 3 6 16 11 14 9 74 1.28 지리 5 5 2 4 6 5 7 3 6 8 51 0.88 과학의학 5 14 4 12 6 12 10 12 17 12 104 1.79 연도별총계 267 300 389 412 474 641 592 624 925 1173 5797 연도별점유율 (%) 4.61 5.18 6.71 7.11 8.18 11.06 10.21 10.76 15.96 20.23
2 2000. 1990 2000.. 1990.. 2000. 1990... 2000... 2000.
.. 2000. 19 90 2000.. 2000.. 2000 2000... 1990 2000.. 1990.
2. 2000 2000 1990..... 제 2 절중국의 한국학 연구성과의양적변화 ( ). 1945~1993 杭州大學韓國硏究所 韓國硏究中文文獻目錄 (1912~1993) ( 杭州大學出版社 1994) 本 1993~2005 沈定昌 劉大軍 朝鮮半島文獻目錄 (1992~2005) ( 遼寧民族出版社 2008) 本. 2 005~2009 萬方數據知識服務平台 (http://www.wanfangdata.com.cn)..
< 표 2-2-1> 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연도별 유형별통계 1945-1989 1990-1994 1995-1999 2000-2004 2005-2009 유형별총계 유형별점유율 (%) 단행본 493 139 275 493 1040 2440 17.3 석사논문 0 4 51 243 825 1123 8.0 박사논문 0 0 5 38 69 112 0.8 학술지 1931 944 1826 2002 3741 10444 74.0 총계 2424 1087 2157 2776 5675 14119 100.0 연도별점유율 (%) 17.2 7.7 15.3 19.7 40.2 100.0 < 2-2-1> 1945~2009 14119. 2440 (17.3%) 1123 (8.0%) 112 (0.8%) 10444 (74.0%). 2000 < 2-2-2> 1945~1999 55 5668 (40.1%) 2000~2009 10 8451 (59.9%) 10 55. 2000. < 표 2-2-2> 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 2000 년이전과이후의비율 1945~1999 2000~2009 유형별총계 유형별점유율 (%) 단행본 907 1533 2440 17.3 석사논문 55 1068 1123 8.0 박사논문 5 107 112 0.8 학술지 4701 5743 10444 74.0 총계 5668 8451 14119 100.0 연도별점유율 (%) 40.1 59.9 100.0 2000. 2000.
2 < 표 2-2-3>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1945~1989 1990~1994 1995~1999 주제별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19 3 9 31 0.5 사상 철학 81 35 53 169 3.0 종교 12 6 26 44 0.8 정치 334 111 282 727 12.8 경제 859 629 954 2442 43.1 교육 문화 78 75 251 404 7.1 어문학 386 89 246 721 12.7 예술 12 3 13 28 0.5 역사 지리 618 130 299 1047 18.5 과학 의학 25 6 24 55 1.0 연도별총계 2424 1087 2157 5668 100.0 연도별점유율 (%) 42.8 19.2 38.1 100.0 2000 1945~1999 56 68 1945~1989 2424 (42.8%) 1990~1994 1087 (192 %) 1995~1999 2157 (38.1%). 45 10. 10 45 1992. 2000 2442 (43.1%) 1047 (18. 5%) 727 (12.8%) 721(12.7%) 10 10.. < 2-2-1> 2000. < 그림 2-2-1>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포도
( ) 3. 1) 2000 907 276 (30.4%) 197 (21.7%) 179 (19.7%) 156 (17. 2%). 2000 45 (1945~1989 ) 10 (1990~ 1999 ) 45 54.4%. < 2-2-4> 45 10 45 10. 10 45 3. 45 10. < 표 2-2-4>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1945~1989 1 1990~1994 2 1995~1999 3 1+2+3 총계 2+3 주제별점유율 (%) 총류 19 3 9 31 12 3.4 사상 철학 3 6 12 21 18 2.3 종교 2 2 8 12 10 1.3 정치 110 18 51 179 69 19.7 경제 43 58 55 156 113 17.2 교육 문화 15 2 13 30 15 3.3 어문학 198 24 54 276 78 30.4 예술 0 0 0 0 0 0.0 역사 지리 103 25 69 197 94 21.7 과학 의학 0 1 4 5 5 0.6 연도별총계 493 139 275 907 414 100.0 연도별점유율 (%) 54.4 15.3 30.3 100.0 45.6 < 2-2-2> 2000 45 10 45 10.
2 < 그림 2-2-2>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173 (19.1%) 150 (16.5%) 118 (13.0%) 71 (7.8%) 67 (7.4%). 1990 1999 1~2% 5~6% 1997 7%. 대분류 소분류 45-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총류 19 0 0 2 1 0 0 1 2 4 2 31 3.4 철학 사상 사상 2 0 0 0 0 0 0 0 2 3 1 8 0.9 철학 1 1 1 2 0 2 3 1 0 2 0 13 1.4 종교 종교 2 0 0 0 2 0 1 0 1 3 3 12 1.3 정치일반 38 0 0 0 2 4 4 5 5 5 4 67 7.4 정치 외교 45 0 0 2 1 3 2 5 4 6 3 71 7.8 군사 10 3 1 0 1 0 1 3 1 0 1 21 2.3 남북문제 17 1 0 0 0 0 0 0 1 0 1 20 2.2 경제 문화 교육 언어 역사 지리 과학의학 < 표 2-2-5>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경제일반 36 9 6 10 12 9 9 9 6 6 6 118 13.0 기업경영 3 0 0 0 0 4 1 2 3 1 14 1.5 무역투자 4 0 0 0 3 5 3 1 2 18 2.0 공업기술 1 2 2 1 6 0.7 문화 13 0 2 0 0 2 1 1 19 2.1 교육 2 0 0 0 0 2 1 1 2 2 10 1.1 예술 0 0.0 체육 0 0 0 0 0 1 1 0.1 언어 61 0 0 0 1 7 9 2 2 4 1 87 9.6 문학 137 0 2 2 1 8 2 7 4 5 5 173 19.1 작품번역 1 2 4 1 3 3 2 16 1.8 역사 83 2 1 5 5 6 8 11 8 9 12 150 16.5 인물 15 1 0 0 0 2 1 1 2 3 2 27 3.0 지리 5 0 0 0 0 3 3 2 1 4 2 20 2.2 의학 0 0 0 0 0 1 1 0.1 과학 0 0 0 0 0 1 1 2 4 0.4 합계 493 17 13 23 30 56 56 53 50 64 52 907 100.0 연도별점유율 (%) 54.4 1.9 1.4 2.5 3.3 6.2 6.2 5.8 5.5 7.1 5.7 100.0
< 그림 2-2-2>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관련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2) 2000 60 55 5. 1993 2 1997 1. 2000 9%. 1993 3% 1996 13% 1998 30%. 43 71.7% 5 (8.3%) 3 (5.0%).. < 표 2-2-6>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대분류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계 점유율 사상 철학 1 1 1.7 종교 0 0.0 정치 5 0 5 8.3 경제 2 2 1 6 6 9 17 43 71.7 문화 교육 2 1 3 5.0 어문학 1 1 0 1 3 5.0 예술 1 1 1.7 역사 지리 1 0 1 1.7 과학 1 0 1 1 3 5.0 총계 2 2 1 8 8 18 21 60 100.0 점유율 3.3 3.3 1.7 13.3 13.3 30.0 35.0 100.0
2 < 그림 2-2-4>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 2-2-7> < 2-2-5> 12 (20.0%) 11 (18.3%) 11 (18.3%). IMF. < 표 2-2-7>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대분류소분류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계 주제별점유율 사상 철학사상 철학 1 1 1.7 종교 종교 0 0.0 정치 3 3 5.0 법률 0 0.0 정치 외교 0 0.0 군사 1 1 1.7 남북관계 1 1 1.7 경제일반 1 1 3 1 2 4 12 20.0 기업경영 2 3 4 9 15.0 경제 무역투자 1 3 2 5 11 18.3 금융 2 3 2 4 11 18.3 관광 0 0.0 문화 0 0.0 문화 교육 교육 1 1 2 3.3 체육 1 1 1.7 어학 1 1 1 3 5.0 어문학 고대문학 0 0.0 현대문학 0 0.0 예술 예술 1 1 1.7 역사 지리 역사 1 1 1.7 지리 0 0.0 과학 의학 1 1 2 3.3 기타 1 1 1.7 총계 2 2 1 8 8 18 21 60 100.0 연도별점유율 3.3 3.3 1.7 13.3 13.3 30.0 35.0 100.0
< 그림 2-2-5>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3) 2000 74%. 4701 2243 (47.7%) 839 (18.1%) 543 (11.6%) 442 (9. 4%). 2000 45 10 < 2-2-8> 45 41.1% 10 58.9% 10 45. 45 10 45 10 5. 10. < 표 2-2-8>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1944~1989 1 1990~1994 2 1994~1999 3 1+2+3 총계 2+3 주제별점유율 (%) 사상 철학 78 29 40 147 69 3.1 종교 10 4 18 32 22 0.7 정치 224 93 226 543 319 11.6 경제 816 567 860 2243 1427 47.7 교육 문화 63 73 235 371 308 7.9 어문학 188 65 189 442 254 9.4 예술 12 3 12 27 15 0.6 역사 지리 515 105 229 849 334 18.1 과학 의학 25 5 17 47 22 1.0 연도별총계 1931 944 1826 4701 2770 100.0 연도별점유율 (%) 41.1 20.1 38.8 100.0 58.9
2 < 그림 2-2-6>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 2-2-9> 1656 (35.2%) 796 (16.9%) 310 (6. 6%) 277 (59%) 273 (5.8%) 236 (5.0%). 1 1990 3% 1994 7% 1998 8% 4. 1990. < 표 2-2-9>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대분류소분류 45-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총계점유율 사상 철학 사상 철학 78 6 5 6 6 6 9 8 9 5 9 147 3.1 종교 종교 10 2 2 1 3 2 7 5 32 0.7 정치 87 4 12 7 12 16 18 16 19 21 20 232 4.9 외교 116 0 3 5 3 25 21 15 16 19 13 236 5.0 정치 군사 6 0 1 1 2 1 2 3 2 11 4 33 0.7 남북한관계 15 1 3 4 6 4 9 42 0.9 경제일반 600 84 75 54 80 144 96 156 118 149 100 1656 35.2 경제 기업경영 48 8 3 5 2 26 44 34 29 51 27 277 5.9 무역투자 168 24 18 18 7 19 10 13 13 9 11 310 6.6 문화 교육 문화 5 0 2 4 4 10 13 18 9 21 13 99 2.1 교육 46 5 3 11 11 16 42 21 25 16 36 232 4.9 체육 12 1 2 3 1 2 4 2 5 8 40 0.9 어문학 어학 45 1 3 2 4 8 10 11 18 27 40 169 3.6 문학 143 1 11 9 14 12 14 12 20 14 23 273 5.8 예술 예술 12 1 2 1 2 7 2 27 0.6 역사 역사 502 9 7 17 26 38 34 39 38 45 41 796 16.9 지리 지리 13 1 7 8 7 2 8 7 53 1.1 과학 과학 25 5 2 1 3 5 6 47 1.0 총계 1931 145 145 142 174 338 330 367 338 419 372 4701 100.0 점유율 41.1 3.1 3.1 3.0 3.7 7.2 7.0 7.8 7.2 8.9 7.9 100.0
< 그림 2-2-7> 2000 년이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2000 2000. 2000 9% 2000 14%. < 2-2-10> < 2-2-8> 2000 2000. < 표 2-2-10>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연도별 유형별통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유형별점유율 단행본 58 51 94 137 153 196 206 201 210 227 1533 18.1 석 박사 40 35 59 48 99 141 191 242 163 157 1175 13.9 학술지 340 398 385 417 462 571 674 741 816 939 5743 68.0 총계 438 484 538 602 714 908 1071 1184 1189 1323 8451 100.0 연도별점유율 (%) 5.2 5.7 6.4 7.1 8.4 10.7 12.7 14.0 14.1 15.7 100.0
2 < 그림 2-2-8>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유형별변화추이 2000 2000 2000 2248 (26.6%) 2191 (25.9%) 1299 (1 5.4%) 1048(12.4%) 1045 (12.4%). < 2-2-11> 2000. 2000 2000. < 표 2-2-11>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대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3 2 1 2 4 8 4 3 2 4 33 0.4 철학 사상 9 12 10 19 7 18 27 40 40 48 230 2.7 종교 11 5 9 4 5 10 12 14 12 15 97 1.1 정치 69 106 69 82 86 89 114 134 140 156 1045 12.4 경제 127 144 150 170 188 242 272 303 284 311 2191 25.9 문화 교육 52 59 78 76 113 139 155 188 198 241 1299 15.4 어문학 82 67 125 139 186 254 345 344 335 371 2248 26.6 예술 4 3 10 6 13 11 20 20 18 13 118 1.4 역사 지리 74 83 76 97 96 122 107 116 137 140 1048 12.4 과학 의학 7 3 10 7 16 15 15 22 23 24 142 1.7 총계 438 484 538 602 714 908 1071 1184 1189 1323 8451 100.0 연도별점유율 (%) 5.2 5.7 6.4 7.1 8.4 10.7 12.7 14.0 14.1 15.7 100.0
< 그림 2-2-9>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연구성과의대주제별분포도 1) 2000 2000 626 18.1% 2000 17.3%. 815 (53.2%) 199 (13. 0%). 170 (11.1%) 145 (9.5%) 123 (9.5%). 2000 3% 2004 10% 2006 13% 2009 15%. 대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합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 3 2 1 2 4 8 4 3 2 4 33 2.2 철학 사상 2 1 3 5 1 0 1 3 2 2 20 1.3 종교 1 0 0 0 1 3 2 2 2 3 14 0.9 정치 9 8 9 17 13 12 13 12 15 15 123 8.0 경제 6 8 10 13 12 20 19 19 17 21 145 9.5 문화 교육 4 3 8 11 18 23 20 27 25 31 170 11.1 어문학 13 13 46 69 82 108 128 115 119 122 815 53.2 역사 지리 20 15 15 19 19 20 18 19 26 28 199 13.0 과학 의학 1 2 1 3 2 1 1 2 1 14 0.9 합계 58 51 94 137 153 196 206 201 210 227 1533 100.0 연도별점유율 (%) < 표 2-2-12>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3.8 3.3 6.1 8.9 10.0 12.8 13.4 13.1 13.7 14.8 100.0
2 < 그림 2-2-10>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478 (31.2%) 263 (17.2%) 117 (7.4%). 2000. 2000 2004... 대분류소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합계 주제별점유율 (%) 총류총류 3 2 1 2 4 8 4 3 2 4 33 2.2 철학 사상 사상 1 0 3 3 0 0 1 3 2 2 15 1.0 철학 1 1 0 2 1 0 5 0.3 종교종교 1 0 0 0 1 3 2 2 2 3 14 0.9 정치 경제 < 표 2-2-13>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정치일반 3 2 2 8 10 9 8 7 8 9 66 4.3 외교 3 4 6 6 1 2 2 3 4 3 34 2.2 군사 2 0 0 2 1 1 1 1 2 1 11 0.7 남북문제 1 2 1 1 1 0 2 1 1 2 12 0.8 경제일반 4 4 5 3 3 9 8 9 7 9 61 4.0 기업경영 1 1 1 2 4 5 4 6 4 5 33 2.2 무역투자 2 1 1 2 1 2 1 10 0.7 공업기술 1 3 4 6 4 5 5 3 4 6 41 2.7
대분류 소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합계 점유율주제별 (%) 문화 교육 어문학 역사 지리 과학 의학 < 표 2-2-13> 계속 문화 1 1 3 3 4 21 16 22 19 23 113 7.4 교육 3 1 2 2 1 2 1 3 2 17 1.1 예술 1 5 6 11 0 2 3 3 4 35 2.3 체육 1 1 1 2 5 0.3 언어 5 2 16 20 31 31 45 35 37 41 263 17.2 문학 6 7 5 8 5 9 8 12 8 6 74 4.8 작품번역 2 4 25 41 46 68 75 68 74 75 478 31.2 역사 17 8 9 15 14 15 12 13 20 21 144 9.4 인물 1 3 0 3 2 3 1 3 2 3 21 1.4 지리 2 4 6 1 3 2 5 3 4 4 34 2.2 의학 1 1 1 1 1 5 0.3 과학 1 1 3 1 1 1 1 9 0.6 합계 58 51 94 137 153 196 206 201 210 227 1533 100.0 연도별점유율 (%) 3.8 3.3 6.1 8.9 10.0 12.8 13.4 13.1 13.7 14.8 100.0 < 그림 2-2-11>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단행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2) 2000 60 2000 1175 20.. 445 (37.9%) 282 (24.0 %) 148 (12.6%). 2004 10% 20 05 10% 12% 2007 20.6%
2. 2009. 대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사상 철학 1 1 4 7 1 4 18 1.5 종교 1 1 1 3 0.3 정치 6 4 5 2 15 18 25 34 21 18 148 12.6 경제 18 19 33 25 41 55 64 85 49 56 445 37.9 문화 교육 3 0 2 1 3 13 20 39 21 30 132 11.2 어문학 9 8 9 14 22 27 59 50 43 41 282 24.0 예술 1 3 2 10 9 16 15 14 5 75 6.4 역사 지리 2 5 1 5 12 1 8 8 1 43 3.7 과학 3 1 2 3 3 6 1 3 5 2 29 2.5 총계 40 35 59 48 99 141 191 242 163 157 1175 100.0 연도별점유율 (%) < 표 2-2-14>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석 박사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3.4 3.0 5.0 4.1 8.4 12.0 16.3 20.6 13.9 13.4 100.0 < 그림 2-2-12>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220 (187%) 168 (14.3%) 111(9.4%) 84 (7.1%) 75 (6.4%). 75.
대분류 소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사상 사상 철학 1 1 4 7 1 4 18 1.5 종교 종교 1 1 1 3 0.3 정치 5 3 4 1 4 4 17 11 10 8 67 5.7 정치 경제 문화 교육 < 표 2-2-15>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법률 1 3 4 5 8 7 5 33 2.8 외교 1 5 4 1 13 2 4 30 2.6 군사 0 0.0 남북한관계 1 1 3 6 2 2 2 1 18 1.5 경제일반 6 10 8 3 6 15 26 21 9 7 111 9.4 기업경영 5 4 9 6 7 8 12 9 13 11 84 7.1 무역투자 5 3 11 10 22 22 17 34 20 24 168 14.3 금융 2 2 4 5 5 8 7 14 7 8 62 5.3 관광 1 1 1 2 2 7 6 20 1.7 문화 1 2 2 4 11 22 13 16 71 6.0 교육 2 1 6 6 15 6 10 46 3.9 체육 1 3 3 2 2 4 15 1.3 어학 8 7 5 11 19 24 40 32 36 38 220 18.7 어문학 고대 1 1 1 1 6 6 3 1 20 1.7 현대 1 3 3 2 2 13 12 4 2 42 3.6 예술 예술 1 3 2 10 9 16 15 14 5 75 6.4 역사 역사 2 5 1 5 11 1 8 8 1 42 3.6 지리 지리 1 1 0.1 과학 의학 1 1 1 2 2 1 2 10 0.9 기타 3 1 2 1 4 1 5 2 19 1.6 총계 40 35 59 48 99 141 191 242 163 157 1175 100.0 연도별점유율 (%) 3.4 3.0 5.0 4.1 8.4 12.0 16.3 20.6 13.9 13.4 100.0 < 그림 2-2-13>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3) 2000 5743 2000 68%. 2000 2009
2. 4 1601 (27.9%) 1151 (20.0%) 997 (17.4%) 774 (13.5%). 2000 5% 2009 16% 1. < 표 2-2-16>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대주제별통계 대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주제별점유율 (%) 사상 철학 7 10 7 14 6 17 22 30 37 42 192 3.3 종교 10 5 9 4 4 7 9 11 9 12 80 1.4 정치 54 94 55 63 58 59 76 88 104 123 774 13.5 경제 103 117 107 132 135 167 189 199 218 234 1601 27.9 문화 교육 45 56 68 64 92 103 115 122 152 180 997 17.4 어문학 60 46 70 56 82 119 158 179 173 208 1151 20.0 예술 3 3 7 4 3 2 4 5 4 8 43 0.7 역사 지리 54 66 56 77 72 90 88 89 103 111 806 14.0 과학 4 1 6 3 10 7 13 18 16 21 99 1.7 총계 340 398 385 417 462 571 674 741 816 939 5743 100.0 연도별점유율 (%) 5.9 6.9 6.7 7.3 8.0 9.9 11.7 12.9 14.2 16.4 100.0 < 그림 2-2-14>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대주제별변화추이 1135 (19.8%)
628 (10.9%) 613 (10.7%) 538 (9.4%). 2000 178 174 99 80. < 표 2-2-17>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류 대분류소분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계 사상 철학 주제별점유율 사상 철학 7 10 7 14 6 17 22 30 37 42 192 3.3 종교종교 10 5 9 4 4 7 9 11 9 12 80 1.4 정치 정치 25 22 29 34 29 26 45 50 57 75 392 6.8 외교 17 18 11 15 26 27 25 29 36 37 241 4.2 군사 6 23 2 4 1 4 3 4 8 7 62 1.1 남북관계 6 31 13 10 2 2 3 5 3 4 79 1.4 경제일반 71 90 83 105 109 121 123 135 140 158 1135 19.8 경제 기업경영 24 11 13 17 19 28 36 33 43 47 271 4.7 문화 교육 어문학 무역투자 8 16 11 10 7 18 30 31 35 29 195 3.4 문화 16 27 18 25 32 42 51 58 82 99 450 7.8 교육 17 20 19 25 39 48 46 49 53 57 373 6.5 체육 12 9 31 14 21 13 18 15 17 24 174 3.0 어학 34 23 37 24 35 57 84 95 104 120 613 10.7 문학 26 23 33 32 47 62 74 84 69 88 538 9.4 예술예술 3 3 7 4 3 2 4 5 4 8 43 0.7 역사 지리 역사 44 54 41 59 55 76 70 68 79 82 628 10.9 지리 10 12 15 18 17 14 18 21 24 29 178 3.1 과학과학 4 1 6 3 10 7 13 18 16 21 99 1.7 총계 340 398 385 417 462 571 674 741 816 939 5743 100.0 연도별점유율 5.9 6.9 6.7 7.3 8.0 9.9 11.7 12.9 14.2 16.4 100.0 < 그림 2-2-15> 2000 년이후중국한국학학술지연구성과의소주제별분포도
제 3 장한국의 중국학 과중국의 한국학 의연구주제와연구방법
3 제 1 절연구대상논문의범위와방법. 2. 1270 619 1889 < 3-1-1> 21 9 30..... 30 < 3-1-1>
( 1) ( 2) 23 7.. < 표 3-1-1> 한국연구재단중국관련등재학술지목록 학술지명 발행기관명 분야등재후보등재여부 1 2 선정연도 중어중문학 한국중어중문학회 인문 어문 2002 년등재 2002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인문 어문 2004 년등재 1999 중국고중세사연구 중국고중세사학회 인문 역사 2008 년등재 2005 중국근현대사연구 중국근현대사학회 인문 역사 2006 년등재 2003 중국사연구 중국사학회 인문 역사 2003 년등재 2000 중국어문논역총간 중국어문논역학회 인문 어문 2005 년등재 2003 중국어문논총 중국어문연구회 인문 어문 2002 년등재 1999 중국어문학논집 중국어문학연구회 인문 어문 2003 년등재 2000 중국어문학지 중국어문학회 인문 어문 2004 년등재 2000 중국인문과학 중국인문학회 인문 어문 2005 년등재 2003 중국학연구 중국학연구회 인문 융합 2003 년등재 2000 중국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중국연구소 인문 융합 2006 년등재 2003 중국소설논총 한국중국소설학회 인문 문학 2006 년등재 2001 중국문학 한국중국어문학회 인문 문학 2001 년등재 1999 중국언어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인문 어학 2003 년등재 2001 국제중국학연구 한국중국학회 인문 인문 2005 년등재 2003 중국학보 한국중국학회 인문 인문 2001 년등재 1999 중국현대문학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인문 문학 2002 년등재 1999 중국문학연구 한국중문학회 인문 문학 2003 년등재 2000 중소연구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사회 사회 2005 년등재 2000 현대중국연구 현대중국학회 사회 사회 2009 년등재 2005 중국학논총 고려대학교중국학연구소 인문 인문 2008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인문 인문 2006 중국문화연구 중국문화연구학회 인문 문화 2005 중국학논총 한국중국문화학회 인문 문화 2008 중국어교육과연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인문 교육 2008 韓中言語文化硏究 한국현대중국연구회 인문 어문 2006 CHINA 연구 부산대학교중국연구소 사회 사회 2009 중국법연구 한중법학회 사회 법률 2008 한중사회과학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사회 사회 2007 * 분야 1은해당발행기관이한국연구재단에스스로신고한분류임. * 분야 2는세부분야를특정하여본연구에서임의로분류한것임... 2
3. 21.... ( ) ( ) ( ) ( ) CHINA ( ) ( ) ( ) 7 537 129 910 740 C HINA 78 118 150 2662. CHINA 2 1. < 3-1-2> 8 < 3-1-3> 50.2% 41.4%.. 2 (tit le keyword) 794. 2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84 건수가 적은 편이지만 석사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경우에는 워낙 많은 건수를 조사대 상으로 하는데 키워드 검색으로 하면 그것이 진정 중국 관련 논문인지를 확인할 수 없 었기에 오로지 논문제목에서 중국 으로 검색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본 장에서는 연구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조사를 진행하면서 국내에서 발간된 중국 관련 박사학위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자 하였기에 논문명 이 아니라 키워드 로 검색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중국과 직접 관련이 없는 논문을 모두 선별하여 골라내었다. 즉 키워드로 중국을 검색할 경우 모두 1020건이 검색되는데 이를 모두 수작업으로 검토한 결과 명백하게 중국 관련이라 볼 수 없는 경우가 모두 65건이 발견되는데 이는 ①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취득한 박사학위논문을 국내박사학위로 잘못 등재된 경우가 25건 ② 명백하게 중 국관련 연구가 아닌데 잘못 분류한 경우가 40건이다. 따라서 모두 65건 을 제외하면 총 955건이 중국 관련 국내박사학위 건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제3장에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으로 삼는 학술논문은 총 3617건인데 이는 국회도서관에서 검색된 중국 관련 박사학위논문 총 1020건 가운데 65건의 비중국 관련 논문을 제외한 총 955건의 박사학위논문과 위의 5개 학술지에 게재 된 논문 총 2662건을 합한 건수이다. 9) <표 3-1-2> 한국 중국학 관련 논문의 조사대상별 연구주제 분류 총류 박사학위 중국학연구 중국연구 중소연구 한중사회과학 연구 현대중국연구 중국법연구 CHINA연구 9) 사상 철학 정치 경제 어문학 교육문 화예술 역사 지리 과학 건 0 59 151 351 104 126 106 58 955 % 0 6.2 15.8 36.8 10.9 13.2 11.1 6.1 100 건 1 45 78 125 457 96 104 4 910 % 0.1 4.9 8.6 13.7 50.2 10.5 11.4 0.4 100 건 5 32 155 104 306 76 56 6 740 % 0.7 4.3 20.9 14.1 41.4 10.3 7.6 0.8 100 건 9 24 279 170 4 25 14 12 537 % 1.7 4.5 52.0 31.7 0.7 4.7 2.6 2.2 100 건 0 4 26 108 0 9 1 2 150 % 0 2.7 17.3 72.0 0 6.0 0.7 1.3 100 건 1 3 37 64 2 15 5 2 129 % 0.8 2.3 28.7 49.6 1.6 11.6 3.9 1.6 100 건 2 0 50 56 0 0 4 6 118 100 % 1.7 0 42.4 47.5 0 0 3.4 5.1 건 1 3 15 20 3 3 31 2 78 % 1.3 3.8 19.2 25.6 3.8 3.8 39.7 2.6 100 19 170 791 998 876 350 321 92 3617 예컨대 이형근 흡혈 중국얼룩날개모기에서 발현 조절되는 유전자의 동정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8); Peter 의 地域評價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1970) 등이 그러하다. Mergenovich 北美合衆國 四個 市政
3 대분류소분류대분류소분류 사상 철학 정치 교육 문화 예술 총류 역사 지리 < 표 3-1-3> 한국중국학의연구주제분류표 사상일반 사회주의 철학 종교 정치행정 법률 * 외교정책 국제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군사 민족문제 지방정치 대만문제 교육 사회 문화 경제 어문학 과학 경제일반 개혁개방 재정금융증권 기업경영 상업 무역투자 지방경제 대외경제 사회보장보험 에너지 농업농촌 관광스포츠 어학 문학 과학기술 정보통신 식품의류 의학건강 예술환경 ** * 분야별구체적인법률문제는여타분야로분류 ** 환경은순수과학뿐만아니라 환경관련경제 녹색성장 환경안보등정치 경제관련연구도포함하여분류 3 DDC DDC.. DDC.. < 3-1-3>.
< 표 3-1-4> 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연구주제별분류 대분류소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총계 사상 철학 정치 경제 어문학 교육 문화 예술 과학 총류 10 9 19 사상일반 11 9 20 사회주의 25 24 49 76 94 철학 25 28 53 종교 15 33 48 정치행정 64 70 134 법률 21 89 110 외교정책 50 39 89 국제관계 57 42 99 한중관계 26 85 111 322 469 북중관계 17 30 47 군사 19 12 31 민족문제 12 38 50 지방정치 18 17 35 대만문제 38 47 85 경제일반 19 95 114 개혁개방 74 24 98 재정금융증권 8 77 85 기업경영 14 173 187 상업 3 69 72 무역투자 32 138 170 218 780 지방경제 19 72 91 대외경제 18 41 59 사회보장보험 4 12 16 에너지 3 9 12 농업농촌 23 32 55 관광스포츠 1 38 39 어학 77 231 308 302 574 문학 225 343 568 교육 14 50 64 사회 18 73 91 76 274 문화 28 108 136 예술 16 43 59 역사 지리 123 198 321 과학기술 8 18 26 정보통신 1 8 9 식품의류 0 14 7 78 7 의학건강 4 21 25 환경 1 24 25 ( 총계 ) 1141 2476 3617 170 791 998 876 350 92 < 3-1-4> 3617. 2 2000 2000 1141 2476 2 (217%). < 3-1-1>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87 따라 학술논문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여기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듯이 2000년 이전에는 정치분야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2000년 이후에는 경제분야 연구로 옮아가게 되었다는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림 3-1-1>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대주제별 분류 1200 1999년까지 1000 2000년이후 총계 800 600 400 200 0 총류 사상 철학 정치 경제 어문학 교육 문화 예술 역사 지리 과학 2. 중국의 한국학 중국에서 발표된 한국학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 한국 관련 석 박사 학위논문과 중국 북방지역의 대표적 학술연구 근거지인 北京大學의 韓國學硏究中心에서 발간하는 韓國學論文集 남방지역의 학술연구 대표대학인 復旦大學의 韓國硏究中心에 서 발간하는 韓國硏究論叢 에 게재된 학술논문을 함께 종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연구성과는 이미 2장에서 검토한 바와 같고 본장에 서는 이를 포함하여 중국의 북방과 남방으로 대표되는 2개 대학의 연구성과에 대한 주제 와 방법적인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전반적인 관심과 성향을 파 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국학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 정형화된 연구주제별 분류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중국이 갖고 있는 학술연구의 특수성으로 고려하여 나름의 분류법 에 따라 연구주제를 재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의 분류기준은 <표 3-1-5>와 같다.
< 표 3-1-5> 중국한국학의연구주제분류표 대분류 소분류 대분류 소분류 사상 철학 철학경제일반종교기업경영 정치행정 무역투자 법률금융재정경제외교공업기술 정치 군사물류운송남북관계농수산 한중관계 관광산업 북핵문제 어학 북중관계 어문학 고대문학 문화일반 현대문학 한류관련역사역사 지리문화 교육 예술교육지리 체육의학과학예술기타 < 3-1-5> 韓國學論文集 韓國硏究論叢 2000 2000 < 3-1-6>. < 표 3-1-6> 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연구주제별분류 대분류 소분류 2000년이전 2000년이후 총계 사상 철학 종교 철학 35 72 107 73 96 종교 38 24 62 169 정치행정 22 83 105 법률 3 39 42 외교 23 140 163 정치 군사 2 0 2 83 375 남북관계 3 31 34 458 한중관계 26 43 69 북핵문제 2 32 34 북중관계 2 7 9 문화일반 16 94 110 문화 교육 예술 교육 39 74 113 60 261 체육 1 15 16 321 예술 4 78 82 경제일반 22 85 107 기업경영 10 87 97 경제 무역투자 19 71 178 481 197 552 금융재정 12 66 78 기타 8 65 73 어학 7 232 239 어문학 고대문학 10 20 40 326 50 346 현대문학 3 54 57 역사 지리 역사 67 151 218 67 152 지리 0 1 1 219 과학 의학 2 10 12 3 29 기타 1 19 20 32 총계 377 1720 2097
3 2097 2000 377 2000 1720 5. < 3-1-7> 2000 55 2000 1068 20. 2000. 2000. < 3-1-2>. < 표 3-1-7> 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게재지별연구대상건수 구분 2000년이전 2000년이후 총계 韓國學論文集 ( 北京大學 ) 185 222 407 韓國硏究論叢 ( 復旦大學 ) 132 323 455 석사학위논문 55 1068 1123 박사학위논문 5 107 112 계 377 1720 2097 < 그림 3-1-2> 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대분류증가추이
9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제2절 한국의 중국학 연구논문 1. 총류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학술논문 가운데 총류에 해당하는 것은 모두 19건인데 20 00년 이전이 10건 2000년 이후가 9건이다. 모두 학술지 논문인데 이런 주제가 학위논문 의 연구대상이 되지 않은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는 연구성과를 전 반적으로 리뷰하고 새로운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모색하는 매우 중요한 연구이기 때문 에 해당 학문분야에 질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구논문이 발표된 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중소연구 가 10건으로 가장 많으며 중국연구 가 5건 중국법연구 가 2건 중국학연구 와 현대중국연구 및 CHINA연구 가 각 1건씩이다. 가. 2000년 이전 2000년 이전 총류로 분류할 수 있는 연구성과는 모두 10건이 있는데 1970년대 3건 19 80년대 1건 1990년대 6건이다. 각 시기별 한국의 중국학 연구현황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논문들로서 한국의 중국학이 전체적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보여주는 주요한 연구 들이라 할 수 있다. 최명 교수의 중국학에 있어서 자료와 방법론의 문제 는 본 연구의 조사대상에서는 중 국학 연구방법론과 관련한 최초의 논문인데 1975년 중국연구 제1호에 게재되었다. 당 시 폐쇄체제였던 중국과 관련한 사실자료(facts)를 구하기 어려운 사정을 지적하면서도 다양한 출처와 수준의 자료를 구할 수 있다면서 이 문제를 중점 논의함으로써 그 후의 중국연구에 일정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또한 최명 교수는 개념 용어 연구조사 곤란성 등 방법론상의 문제점도 지적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일차자료를 적절하 게 활용할 것을 주문하였다. 1991년 중소연구 제15권 2호에 발표된 문흥호 교수의 한국에서의 중국연구동향 은 당시까지의 한국의 중국연구가 양적 증가 연구방법론에서 새 지평의 확대 주제의 다양 화 등에서 발전이 있었음을 지적하면서 첫째 전문연구자의 부족 둘째 정치 외교 경제 등에 대한 연구주제의 집중 셋째 이념상의 한계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는데 이는 현재의 관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92년 중소연구 제16권 4호는 沈儀琳의 중국에서의 한국학연구 현황 이라는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91 논문을 게재하였는데 중국에 대한 한국의 일방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우리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성과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沈儀琳은 중 국사회과학원 문헌정보센터(文獻信息中心) 부주임 겸 교수로서 한국인 연구자라 할 수 없으나 국내에서 이와 같은 논문이 집필되고 소개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沈儀琳은 한중관계정상화 전후에 중국의 한국연구 동향을 소개하면서 한국학 연구 의 특징을 지적하고 있는데 첫째 북한을 위주로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남한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로 이전했다는 것이며 둘째 순수 학술연구로부터 현실문제로 접근하는 연구 로 전환하였으며 셋째 한국을 부정적인 측면에서 평가하던 태도로부터 전면적이고 과학 적인 태도를 취하는데로 연구태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면서도 인재부족 연구역량의 분산 장기적인 학술교류사업의 결여 등을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한중관계 발 전을 위해 한국의 중국연구자들과 중국의 한국연구자들의 책임이 중대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중국연구 도 제13권(1992)에서 중국 연구방법론에 관한 특집을 내면서 이희옥의 중국연구방법론 시론: 기존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연구의 모색 과 전병곤의 중 국 연구의 방법과 과제 를 게재하였으며 제16권(1995)에서는 중국현대문학에 관한 한국 의 연구를 정리한 박재우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희옥의 논문은 기존의 연구접근방법 즉 전체주의적 접근 역사문화적 정치문화적 접근 복합조직 접근 근대화 발전론적 접근 집단갈등 접근 엘리트 접근 체계기능분석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대안으로 서 내재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사회주의 이념과 현실을 내재적으로 분석 비판하여 사회주의가 이룩한 성과를 사회주의의 내재적 관점에서 검토 비판하여야 한다는 것이었 다. 전병곤의 논문은 구미 동양 일본 대만 등 해외 중국연구의 방법 및 쟁점을 소개하 면서 한국의 중국연구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였는데 서구의 방법론을 무비판적으로 그대 로 수용하는 것을 경계하면서 연구자료와 인력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중국법연구 가 1997년 창간되면서 그 창간호에 윤진기 한상돈 한기종의 공동연 구결과로서 중국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1979~1994년의 기간을 중심으로 가 발표되었는 데 이는 한국의 중국연구가 보다 다양하게 분화하여 전문화되고 있음을 보여는 단적인 실례라 할 수 있었다. 10)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 총류로 분류할 수 있는 연구성과는 모두 9건이 있는데 2003년 4건 2004 중국연구 제16권 1995. 10) 朴宰雨 韓國的中國現代文學硏究介紹近十六年的情況分析(1980~1995)
92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년 2건 2008년 2건 2009년 1건이다. 2003년 현대중국연구 제5집 2호에 발표된 김진호 의 중국학 연구분야와 그 방법론에 대한 고찰 은 중국학 이란 용어의 개념 정의를 시도 하고 있는데 과거 중국학은 중국언어 중국문학 중국사학 중국철학 중국문화 등 인문 학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는데 정치학과 사회학 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법학도 새로 운 학문영역이 되고 있다면서 국제환경의 변화와 중국이 처해있는 역사적 환경 그리고 중국과 관련 있는 국가 사회들의 학문적 실용적 필요에 따라 과거 인문학적 중국학에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동시에 같이 연구하는 중국학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모름지기 중국학은 중국이라는 연구대상에 대해 연구자의 국가와 사회가 갖고 있는 학문 적 역량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개념이다. 그러나 논자는 중국학 이 아직 과도기적 상황에 있다고 진단하면서 중국학의 溫故而知新 이란 온 이 중국학을 위한 인문역량이라면 신 은 중국의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는 정치 경제 법률 등 사회과학적 역량이라 할 수 있 으며 그런 점에서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잘 조화하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또한 중국연구 제33권(2004)에 발표된 박흥수 한국 대학교의 중국 관련 학과 유형 고찰: 학과명칭과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는 한국의 중국학에서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교 육분야에 주목한 연구인데 한국의 대학에 설치된 중국 관련 학과를 중어중문학 중국어 중국학 중국경제 중국문화 관광중국어 등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교과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한편 2004년 중국법연구 제4집에 실린 윤진기의 인터넷을 통한 중국법 연구 자료의 접근 과 2009년 CHINA연구 제6집에 발표된 위성광의 중국의 고전문헌 데이터베이스 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는 정보기술시대에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국학 연구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로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한국의 중국 학이 세분화 전문화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논문들이라 할 수 있다. 정보통 신과 관련된 부문은 실로 빛의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변화된 정보환경에 부 응하여 새로운 연구자료 접근통로와 검색방법 등을 소개하고 제시하는 후속연구도 끊임 없이 나와야 할 것이다. 2. 사상 철학 종교 사상 철학 종교분야에서 2000년 이전의 연구는 모두 76건이며 2000년 이후에는 94건 이다. <표 3-2-1>과 <그림 3-2-1>는 사상 철학 종교분야의 연구주제별 규모와 추이를 상세 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93 <표 3-2-1> 사상 철학 종교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규모 대분류 소분류 2000년이전 2000년이후 사상일반 11 9 사회주의 25 24 사상 철학 철학 25 종교 15 76 28 총계 20 49 94 53 33 170 48 <그림 3-2-1> 사상 철학 종교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추이 60 2000년이전 50 2000년이후 40 총계 30 20 10 0 사상일반 사회주의 철학 종교 이에 의하면 사회주의와 철학에 대한 연구는 정체상태였던 반면에 종교연구는 2배 이 상 증대하였다. 이는 한국의 중국에 대한 관심이 보다 현실적인 것으로 옮겨가면서 나타 난 현상으로 보이는데 사상과 철학이 모든 학문연구의 가장 근간이 됨에도 불구하고 답 보상태에 있었던 것은 사실 우려스러운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종교분야의 연구 가 증대한 것도 형이상학적인 관심이라기 보다는 한중 양국간의 종교교류가 증대하고 현 실종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긴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에 역시 현실주의 적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 보여진다. 한편 <표 3-2-2>는 이 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과 일반 학술논문과의 비율을 조사한 것 인데 박사학위논문이 총 59건 학술논문이 111건이다. 사상일반과 사회주의 영역에서는 박사학위논문 보다 학술지논문이 훨씬 그 건수가 많은데 이는 중국사회의 현실적 필요 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에 철학영역에서 학술지논문 건수에 박사학위논 문 건수가 비슷하게 근접하였다거나 종교영역에서 오히려 박사학위논문 건수가 학술지 논문 보다 많은 것은 특기할 만하다. 즉 철학과 종교문제는 학문의 밑바탕으로 이루기 때 문에 새로이 학문을 시작하려는 박사학위논문 청구자들이 이 영역의 주제에 주목하였다
94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사회주의와 사상일반(여기에서는 모택동 사상 등)와 같은 응용학문분야 보다 철학과 종교 등 기초학문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이 많이 배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표 3-2-2> 사상 철학 종교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논문종류별 분류 대분류 소분류 사상 철학 종교 사상일반 사회주의 철학 종교 2000년이전 박사 학술지 0 11 6 19 13 12 12 3 31 45 2000년이후 박사 학술지 1 8 1 23 10 18 16 17 28 66 박사 1 7 23 28 59 합계 학술지 19 42 30 20 111 계 20 49 53 48 170 가. 2000년 이전 사상일반과 관련하여 2000년 이전의 11건의 논문 가운데 모택동사상을 다룬 것은 7건 인데 맑스레닌주의와 모택동주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중국이 여타 사회주의국가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려는 의도가 주된 연구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1988년 중소연구 제12권 3호에 실린 김소중의 모택동사상과 등소평 은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관련하여 모택동사상과 등소평사상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밖의 4건의 논문은 중국 민 본주의 실용주의 중화민국 초기 주요사상 등에 관한 것이었다. 사회주의에 관한 연구는 중국의 국가적 이데올로기적 정체성과 관련한 매우 중요한 연 구인데 이 또한 현실사회의 비사회주의적 성향 즉 시장경제화 등을 반영하여 양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2000년 이전에 사회주의에 관한 연구는 모두 25건이 있었는데 맑스레닌 주의적 관점에서 중국혁명 당시의 사회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이 모두 5건에 불과 하며 그중에서도 1998년에 발표된 김재철의 레닌주의 체제에서의 당의 지도' 원칙의 이론과 실제: 모택동 시기의 중국을 중심으로 를 제외하면 1985년 이전의 논문들이다. 그 밖의 논문들은 이른바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인데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모습을 이데올로기적 본질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하려는 연구성과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철학분야에서는 여전히 선진과 제자백가시대의 중국철학을 연구하는 것이 주종을 이 11) 나창주 中共의 革命 이데올로기와 그 機能에 關한 考察 건국대 박사학위논문(1979).; 유세희 일본과 중국에서 의 초기 공산주의 운동의 비교연구: 지식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7권 1호 (1983).; 서창호 中 蘇紛爭 硏究: 中共의 民族共産主義를 中心으로 전남대 박사학위논문(1985).; 김재철 레닌주의 체제에서의 '당의 지도' 원 칙의 이론과 실제: 모택동 시기의 중국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22권 1호 (1998). 11)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95 루고 있으며 2000년 이전의 25건의 연구 가운데 Confucian Ethic and the Spirit of Sun Yat-senism: Their Impact upo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Modernization in Aisa (馮滬祥 중소연구 제7권 2호 1983) 현대 중국철학의 동향;중국 마르크스주의 인식론: 연구의 변화에서 본 (金白鉉 중국학연구 제5권 1990) 西歐 近代史에 있어서의 중국사상의 역할: 18세기 프랑스 啓蒙主義사상을 중심으로 (柳炳九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3) 유학과 동아시아의 현대화 (거삼원 중소연구 1995) 梁漱溟과 新儒家 (권용옥 중 국학연구 제13집 1997) 19세기 동도서기론 형성과정 연구 (노대환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9) 등 6건을 제외하면 모두 근대이전시기의 철학이슈를 다룬 것이다. 중국 최후 의 유학자로 일컬어지는 梁漱溟(1893~1988)이 中國文化要義 에서 중국 사회는 秦漢 이 래 2000여년간 크게 변한 것이 없다. 따라서 내가 100년전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20 00년 동안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라고 말하였듯이 중국을 연구함에 있어서 고대 선진사상의 중요성은 재언이 필요 없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동안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던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교분야에서는 2000년 이전에 모두 15건의 논문이 연구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주로 불교와 유교 도교 등과 관련된 연구들이 주종을 이루었으며 주술 등 민간신앙에 대한 것도 일부 나타났다. 기독교와 관련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1993년 성신여대 박사 학위논문으로 장정란의 아담 샬 연구: 中國 傳敎活動과 그에 따른 思想論爭을 중심으로 가 발표되고 1998년에는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으로 한미경의 초기 한국성서와 중국성 서의 서지학적 연구 그리고 박성주의 중국현대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적 성향 ( 중국연 구 제24집 1999)가 발표되었다. 중국내 기독교문제와 관련하여 이러한 연구들이 순수 한 종교연구라고 지칭한다면 1999년 단국대 박사학위논문인 김승배의 한국 중국 일본의 그리스도교 교회건축 수용에 관한 연구 는 한국과 중국간의 예술교류가 기독교 선교와의 연장선상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는가를 밝히는 새로운 시도였으며 종교와 건축학 이 융합되면서 중국학의 연구대상과 방법을 한층 풍성하게 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나. 2000년 이후 사상일반에서 2000년 이후 9건의 연구가 있었는데 2000년 이전에 주로 모택동사상을 다루고 있었던 것에 비하여 연구주제와 방법이 다양해진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즉 蘇俊 燮 중국의 비법치주의 전통에 대한 유가사상의 영향 ( 중국학연구 제31집 2005) 김 진환 1920년대 중국사회개량주의 연구 ( 중소연구 제24권 1호 2000) 최지영 주권과
: ( 28 4 20 04) : ( 30 3 2006) : ( 30 1 2006) 1 : ( 31 1 2007) ( 2009).. 2000. 2000 2000. 200 0.. ( 25 4 2001) 3 ( 26 2003) : ( 31 4 2007) ( 38 2006) ( 8 2 2007) ( 46 2009). 2000 28 ( 28 2001) 體用 中國儒家 文化讀法 ( 姜眞碩 20 2001) ( 2004) 16 ( 2005)
3 ( 2007) ( 2008) : ( 2010). 2000 2000.. : ( 2000) : ( 2003) : Haier ( 平曉原 2007) : ( 44 2008) : ( 46 2008). 2000. 2000 15 33. 胡錦濤 析評 : ( 34 2005).. (2006 ) 李商隱詩歌 道敎文化 ( 34 2004) : ( 32 2005) 宋初詩歌 道敎文化 ( 33 2005). 7 12) 5 12) : 19~20 2000.; : (1944~1958) 2003.; ( ) : 2007.; :
9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건이 박사학위논문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3. 정치 정치분야에서 2000년 이전의 연구는 모두 322건이며 2000년 이후에는 469건이다. 이 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장의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3617건 모두를 대상으로 할 때에 는 2000년을 전후하여 약 2배 이상의 양적 증대가 있었던 것에 비교한다면 이 분야는 크 게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정치에 대한 연구관심이 보다 현실적인 경 제 등의 여타 분야로 옮겨갔음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경제영역을 검토하면서 다 시 살펴볼 것이다. <표 3-2-3>과 <그림 3-2-2>는 정치분야의 연구주제별 규모와 추이를 상세하게 보여주 고 있는데 2000년을 전후하여 양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과 오히려 줄어든 것이 분명하게 대비된다. 즉 법률과 한중관계 민족문제 등은 증대하였는데 특히 한중간의 교류 협력이 급증하면서 이와 관련된 법률문제를 검토하는 현실적 필요에서 법률영역의 연구는 21건 에서 89건으로 급증하였다. 한중관계 역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26건에서 85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고 민족문제도 12건에서 38건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 또한 중국의 정치적 불안정성을 감안한 결과라고 평가된다. <표 3-2-3> 정치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규모 대분류 소분류 2000년이전 2000년이후 총계 정치행정 64 70 134 법률 21 89 110 외교정책 50 39 89 국제관계 57 42 99 한중관계 26 정치 85 322 111 469 791 북중관계 17 30 47 군사 19 12 31 민족문제 7 38 45 지방정치 23 17 40 대만문제 38 47 85 사학위논문 2008.; 이강석 중국교회의 역사적 조건과 신학적 특성 연구: 丁光訓을 중심으로 성공회대 박사 2009.; 김덕삼 중국 교회대학의 발전과 교육적 영향 중국연구 제46권 2009.; 김소정 미국 개신교 선교사의 중국화 번역 전략: Education in Japan 에서 문학흥국책 으로의 전변 중국연구 제49권 2010.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99 <그림 3-2-2> 정치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추이 160 2000년이전 140 2000년이후 120 총계 100 80 60 40 20 0 정치행정 법률 외교정책 국제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군사 민족문제 지방정치 대만문제 표 3-2-4>는 이 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과 일반 학술논문과의 비율을 조사한 것인데 전체 정치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의 비율은 19.1% 학술지 논문은 80.9%로서 학술지의 비 중의 압도적으로 크다. 이는 정치학적 주제가 현안문제일 경우가 많으므로 학위논문의 연구주제라기 보다는 시의성을 갖는 학술연구주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표 3-2-4> 정치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논문종류별 분류 대분류 소분류 정치 정치행정 법률 외교정책 국제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군사 민족문제 지방정치 대만문제 2000년이전 박사 학술지 7 57 5 16 9 41 5 52 5 21 6 11 3 16 2 5 1 22 3 35 46 276 2000년이후 박사 학술지 10 60 35 54 6 33 6 36 10 75 13 17 5 7 13 25 2 15 5 42 105 364 박사 17 40 15 11 15 19 8 15 3 8 151 합계 학술지 117 70 74 88 96 28 23 30 37 77 640 계 134 110 89 99 111 47 31 45 40 85 791 가. 2000년 이전 정치행정영역은 정치분야의 분류중에서 특정하기 어려운 것을 모아놓은 것인데 사실 매우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2000년 이전 총 64건의 연구논문 가운데 우선 박사학 위 7건을 살펴보면 1970년대에 문화대혁명을 연구한 것이 2건이 있었던 것을 제외하면
. (1991) 1 (1993) 1 (1993) 1.. 57 1990 1989. 21.. 5 1985 1990. ( 1993) ( 1994) ( 1994) ( 19 97).... 2000 50. < 3-2-5>.
3 1970~80. 1990 姜錫燦 中國 派閥鬪爭 外交政策路線 變化 ( 1991) 石翰燮 ( 1993) ( 15 199 4). 13) 3. 14) ( ). 4. < 표 3-2-5> 외교정책영역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 ( 소계 ) 외교정책일반 32 29 61 소련 ( 러시아 ) 3 3 미국 5 1 6 일본 1 1 동북아및한반도 1 6 7 동남아 3 1 4 인도 1 1 중앙아시아 1 1 아프리카 4 4 중남미 1 1 ( 소계 ) 50 39 89 2000 57. 50 107 322 3 1.. 13) 14 1998. 14) 3 10 4 1986.; 3 1994.
< 3-2-6> 2000 ( ).. 15).. < 표 3-2-6> 국제관계영역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 ( 소계 ) 동아시아질서일반 11 9 20 중 소및중 러관계 22 7 29 중 미관계 13 14 27 중 일관계 9 2 11 중 유럽관계 1 1 중 동남아관계 1 2 3 중 인관계 1 1 중 아프리카관계 1 1 유엔 1 1 상하이협력기구 3 3 국제테러리즘 1 1 2 ( 소계 ) 57 42 99 1970... < 3-2-7> ( ) 1 15) V.S.Miasnikov Ethno - Cultural Aspects of Interaction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Their Influence upon the Soviet - Chinese Relations 15 4 1991.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03 과의 연장선상에서 분석하거나 동남아에서의 중소간의 갈등과 각축을 논한 논문도 있 다. 그에 비하여 인도 아프리카 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고 이 시기에 중앙아시아 중남미 유럽 등에 관한 연구는 조사대상 연구성과에서는 발표되지 않았다. 물론 동북아 및 한반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그 건수로는 많다. <표 3-2-7>의 하단에 적혀 있듯이 한중관계와 북중관계에 관한 연구는 4장의 분석에서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 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합하여 계산하자면 2000년 이전에만 모두 44건이 해당하고 2 000년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보면 165건인데 사실 중국외교와 관련된 영역에서는 가 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라고 지칭할 수 있다. 16) <표 3-2-7> 외교정책 국제관계 영역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지역 국가별 분류 2000년이전 2000년이후 합계 외교정책 국제관계 (소계) 외교정책 국제관계 (소계) 외교정책 국제관계 (총계) 일반 32 12** 44 29 14 43 61 26 87 소련(러시아) 3 22 25 7 7 3 29 32 미국 5 13 18 14 15 6 27 33 일본 동북아 한반도* 동남아 1 1 3 9 10 1 4 2 2 6 3 1 7 4 11 12 7 7 1 1 6 1 2 3 인도 1 1 1 1 1 1 2 중앙아시아 1 1 1 1 아프리카 4 4 1 1 4 1 5 중남미 1 1 1 1 유럽 1 1 1 1 (소계) 50 57 107 39 42 81 89 99 188 * 중국의 동북아 한반도관련 연구는 이 분류보다는 한중관계 북중관계 영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건수를 2000년 전후로 살펴보 면 한중관계(20/55) 북중관계(16/25)이며 이를 모두 합하여 이 표에서 말하는 중국의 동북아 한반도관련 연구를 총계하자면 2000년이전 37건 2000년이후 84건이라 분류할 수 있다. ** 국제관계 일반 영역의 분류에 유엔과 상하이협력기구 등 국제기구와 국제테러리즘을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한 중관계 영역의 연구는 2000년 이전에 26건이 이루어졌는데 1970~80년대에는 한 중 간의 관계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한 중 양국의 상대에 대한 외교관념과 인식 정책변화 가 능성 등을 검토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면 1990년대에는 사회주의권 붕괴이후 한반도통 일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 이에 대한 중국의 입장 또는 정책을 분석하는 연구가 발표 되었으며 한 중수교 자체에 대한 연구에서는 1999년 김세웅의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中國의 對韓國 修交 決定要因 硏究 이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결과로서 발표되었 다. 또한 한 중간의 경제교류 협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17) 정천구 베트남과 중소분쟁 중소연구 제 권 호 이다 중소연구 제18권 4호 1994.; 이상근 중국의 남북한 통일에 대한 입장변화 고찰 단국대 박사학위논문 1995. 16) 7 4 1984. 17) Hao Bin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 A Chinese Perspective
: 19 4 1995.; 21 4 1997.; 21 4 1997.; 1 199 7.; 東北亞地域 中韓兩國關係 複合相互依存性 ( 19 19 97). 17 18). 19) 1 995 ( 19 4 1995) 1997.. 1985 : ( 9 1 1985) 1991 北韓商品 貿易競爭力 : 蘇聯 中國 貿易.. 20). 19. 1970~80 : ( 1 1975) ( 3 1977) : ( 8 1979) ( 9 1985) ( 11 3 1987). 18) The Influence of Factional Struggle in North Korea on its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1 1975.; : 8 1 1984. 19) 11 1981.; 北韓 對中 蘇外交政 策 硏究 (1950~70): 自主路線 形成 展開過程 中心 1985. 20) 1999.
3 1990 4. Parris H. Chang 宋寅榮 21). 1992. 22). 23) 7 ( 3 1977) ( 7 1 1983) 金大洸 1994 中國 少數民族政策 變化過程. 24). 25) 23. ( 17 1 1993) : ( 18 3 1 994) 中國 地方政治 地方行政 ( 15 1994) 21) Parris H. Chang Political Role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 An Overview 10 2 1986.; 宋寅榮 中國政治 軍 役割 : 共産黨大會 中心 1991.; 18 3 1994.; : 19 3 1995. 22) : 1991.; 1990 20 1 1996. 23) 21 1998. 24) : 20 3 1996. 25) 5 1978.; 1998.
1998 中國改革時代中央政府 地方政府 權力關係 : 集權化 分權化要因 中心.. 26) 2000 38. 1970~80 12. 3 27) 1989 1. 28) 1990 26 19. 3 29) 1. 30) 1990. 1990. 26) : 8 3 1984.; 21 3 1997.; 21 3 1997. 24 1999.; 24 1999.; 24 1999. 27) 7 2 1983.; 10 4 1986.; Prospects for the Democratization of Taiwan 13 3 1989. 28) 13 1 1989. 29) 16 2 1992.; 16 2 1992.; 臺灣 韓國 中小企業 社會學的 17 1999. 30) 林碧炤 鄭端躍 16 2 1992.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07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 시기의 정치영역 연구는 70건으로 이전시기에 비하여 정치조직과 체계가 작동하는 전반적인 원리와 작동과정 등 표면적인 연구 보다는 구체적으로 정치조직과 체 계가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로 발전하였다. 예컨대 장경섭의 중국 의 체제 개혁과 지배엘리트의 성격 변화 ( 현대중국연구 제2집 2000) 박광희의 中國 촌민 자치의 정치발전론적 연구 ( 중국학연구 제18집 2000) 정해용의 중국 지방당정 엘리트의 충원과 인사통제: 공산당 제15대 성급 지도자를 중심으로 ( 중소연구 제26권 1호 2002) 박종우의 중국 지도이념'의 사회통제기능과 사회운동 통제 ( 중국연구 제 31권 2003) 김종현 중국 基層政權의 권력관계 분석 ( 중국학연구 제38집 2006) 박 보현의 중국 개혁개방 이후 정치엘리트 충원의 규범화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박 사학위논문 2009) 등은 지배엘리트의 내부문제를 분석하는 논문들로서 연구분석방법에 서도 표면적인 통계만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 질적 변화를 추적하는 방향성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2000년대의 변화된 정치 사회환경속에서 중국공산당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 는지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남종호가 이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중국의 정치 변동 가능성과 관련한 연구에서도 특히 엄운용의 중국 정치체제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박사학위논문 2005)과 이민자의 밑으로부터의 저항과 중국특색 의 시민사회 ( 중소연구 제32권 4호 2008) 이철원의 중국의 경제체 제전환기에 국가권력의 변동 ( 중국연구 제44권 2008)은 변동의 동인을 경제사회적 수 준 및 시민사회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분야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 루었다. 특히 중국의 정치민주화 문제를 논의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이계희의 중국의 정치발전과 선거제도 개혁: 차액선거 제도화를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 제45집 2008) 김진환의 중국 정당의 발생 및 발전 ( 중국학연구 제49집 2009) 이기현의 중국 민주 주의 발전의 제약: 당국가의 사영기업 통제와 붉은 자본가 ( 중국학연구 제49집 2009) 등이 그것이다. 한편 행정분야에서도 공무원 부패문제 공공윤리 치안문제와 내부통제제도 행정청문 제도 등 과거에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까지 연구대상을 넓히고 있다. 특히 치안문제에 관 한 연구도 여러건 이루어졌는데 또한 중국의 국가창신과 관련한 주제도 다루어졌는데 31) 남종호 中國共産黨의 國家政權에 대한 관계이론 연구 중국연구 제33권 2004.; 남종호 중국 사회주의 정치 체제 하에서의 黨政관계 연구: 共産黨 영도 지위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35권 2005.; 남종호 중국 사회주의 정치체제 하에서의 黨政관계 연구: 共産黨 영도 지위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31집 2005. 31)
( CHINA 2 2007) ( 31 3 2007).. 89 2000 21 4. 1997.. 30.. 118. 11. 2000 20 35. 1 1 1 2 2 1. 1 1 1 4 2 1 1 1 2 1 2 7 1 2. 7 6 1.. 2000 39 50.
3 2000 < 3-2-5> 2000 2000 39 6 1 29.. NPT 32). 2000 42 57. < 3-2-6> 9 7 14 2 2 1 1 3 1.. : ( 27 4 2003) 國際輿論 中國威脅論 評價 展望 ( 31 2 2007) : ( 2001) : ( 200 32) " " " " 28 2001.; 毛澤東 27 2001. 24 4 2000.; : 2006.; 49 2010 27 4 2003.. : 34 2004.; 45 2008. 33 1 2009.; 11 2 2010..
7).. ( 27 2 2003) ( 33 1 2009). 2 ( 7 2006) : ( 2009).. 33) < 3-2-7> ( ). 4 20 00 1. 34). 33) : 36 2005.; (SCO) :' 5 ' ' ' 33 2005.; (SCO) 33 1 2009. 34) 25 2007.; 12 2008.; : ( ) 13 1 2009.; ( ) 1 2 2008.; ( ) 20 2 2008.; ( ) 136 2004.; 21 28 2008.
3 2000 85 26.. 2001 2006 1992 : 2010 :. 3. 85 35) 36) 37).. 38) 39) 40) 35) : 3 2001.; : 20 2001.; : 2004.; 7 1 2005.; : 6 2005.; 34 2005.; 8 1 2006.; 10 1 2008. 36) - Techno-Mart 6 2 2004.; 29 2004. 37) CHINA 5 2008.; : 11 2008. 38) : 2008.; : 32 4 2008.; 9 2 2008.; 48 2010. : 48 2010. 39) : 9 2 2008. 40) 8 2006.; 32 1 2008.; 44 2008.
. 41) ( 33 2004) ( 35 2005) 韓流的社會 文化 心理原因 ( 36 2005) ( 32 2005). 42) 2009. 2000 30. 2002 2003. ( 27 3 2003) ( 35 2006) : ( 47 2009) 2 : 5 6 (2003~2005) ( CHINA 3 2007). 2004 :. 2008 2. : 41) 11 2009.; 12 2009. 42) ( 抗 ) : 46 2008.
3 :. ( 2 2003) : ( 25 2003) ( 2010). 43) ( 32 2 2009). 2000 12.. 2000 The Dynamics of Civil-Military Relation s in Russia and China: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Perspectives ( 24 2 2000) ( 26 2 2002). 2001 : 12 4.. 2001 : ( 29 2002) ( 32 3 2008) 21.. 44) 43) : 50 2009. 44) 2002.; 30 4 2006.
2005 : ( ) 2009 ( 33 2 ) 2. 45) 7 2000 38. 2000 : 2001. 46) 2005. CHINA ( 1 2006) ( 2 2007) 胡錦濤時代 中華民族中興戰略 ( 36 2005).. ' ( 38 2006) : 1990 ( 47 2009).. 2001 45) 2 34 2004. 46) 32 2003.; 27 3 2003.; 5 2 2003.; 10 2 2009.
3 - : 2000 ( 29 3 2005). ( 西藏 ) ( 28 200 4) : ( 28 2004). 2008 2008 ( 11 1 2009) ( 34 1 2010). : 新疆 7.5 ( 15 2009). 2006 : ( 5 2 2003) 2006. 2009 : ( 望京 ) ( 42 2007). 2000 17. 地方分權 : 放權讓利 ( 18 2000) : ( 4 2 2002) : ( 47 2009) 2007
11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표한 중국의 촌민자치 와 연변지구 농민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와 원상철이 2008년 숭실대 박사학위논문으로 발표한 중국 개혁개방시기의 지역발전 거버넌스모형: 연변조 선족자치주의 경우를 중심으로 라는 2편의 박사학위논문은 연변지역을 사례모델로 하여 오늘날 중국의 지방정치가 촌민자치 개념에서 거버넌스형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연구한 좋은 성과라 할 수 있다. 대만문제 영역에서는 2000년대 들어 모두 47건의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에도 이전시기와 마찬가지로 중국 대만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양안관계를 직접 논의 하지 않더라도 대만문제를 중심으로 중 미관계를 살펴보는 등 간접적으로라도 양안관계 가 그 분석의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대만경제의 중국진출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나 타났는데 고정식의 화남권 경제통합: 대만의 대중국투자를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 제 19집 2000) 장경욱 김윤태의 중국투자 대만기업의 현지화 경영 ( 중국연구 제36권 2 005) 박윤철의 재중국 대만투자기업의 적응과 변천:노동관리와 지역사회적 적응을 중심 으로 ( 중국연구 제48권 2010 등이다. 한편 대만 자체의 내부적 변화를 살펴보려는 연 구도 진행되어 좋은 논문들이 여러 건 발표되었는데 다양한 주제에서 심도있는 연구 가 진행되어 적어도 한국의 대만연구가 1990년대 양안관계 중심의 연구편식은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47) 4. 경제 경제분야에서 2000년 이전의 연구는 모두 218건이며 2000년 이후는 780건이다. 이는 2 000년을 전후하여 경제분야에서는 많은 양적 증가가 이루어졌음을 말해주는데 한 중관 계가 특히 경제를 중심으로 엄청한 발전이 이루어졌음을 반영한다. 박윤철 대만 시민사회의 성장과 비영리조직의 활성화: 대만특색의 기금회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27권 2호 설동훈 대만의 외국인 노동자 고용관리체계 중소연구 제28권 3호 2004.; 박윤철 대만의 시민사회조 직과 시민사회의 성숙도 중국학연구 제30집 2004.; 김연태 설동훈 대만의 국제결혼 이민자 복지정책 중소연 구 제29권 3호 2005.; 강문구 정슬기 대만 빈곤의 여성화'와 여성복지정책 중국학연구 제32집 2005.; 박윤 철 민주화이후 대만 경제독점구조의 재구조화: 국가 자본 및 지방파벌의 삼각동맹 중소연구 제32권 1호 2008.; 최병헌 대만 IT기업의 전략적 포지셔닝(Positioning)에 관한 연구 현대중국연구 제9집 2호 2008. 47) 2003.;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17 <표 3-2-8> 경제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규모 대분류 소분류 경제일반 개혁개방 재정금융증권 기업경영 상업 무역투자 지방경제 대외경제 사회보장보험 에너지 농업농촌 관광스포츠 경제 2000년이전 19 74 8 14 3 32 218 19 18 4 3 23 1 2000년이후 95 24 77 171 71 138 780 72 41 12 9 32 38 총계 114 98 85 185 74 170 91 59 16 12 55 39 998 표 3-2-8>과 <그림 3-2-3>은 경제분야의 연구주제별 규모와 추이를 상세하게 보여주 고 있는데 2000년을 전후하여 양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과 오히려 줄어든 것이 분명하게 대비된다. 전체적으로 218건에서 780건으로 358% 증가하였는데 특히 재정금융증권(96 3%) 기업경영(1221%) 상업(2367%) 등의 영역은 괄목할 만한 양적 증가가 이루어졌다. 경 제일반(500%) 무역투자(431%) 지방경제(379%)에 대한 연구는 전체적인 증가추세와 유사 하였으며 반면에 개혁 개방에 관한 주제는 급감하였다. 재정금융증권 기업경영 상업 등 의 영역에서 2000년을 전후하여 크게 양적인 증가를 보였던 것은 한 중경제관계의 현실 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개혁 개방에 관한 연구주제가 급감한 까닭은 이미 중국 에서 시장경제가 정착되어 개혁 개방이란 주제 자체가 전통적 의미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 3-2-3> 경제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추이 200 2000년이전 180 2000년이후 160 총계 140 120 100 80 60 40 20 0 경 제 일 개 혁 개 재 정 금 기 업 경 반 방 융 영 상 업 무 역 투 지 방 경 대 외 경 사 회 보 자 제 제 장 증 보 권 험 에 너 지 농 업 농 관 광 스 촌 포 츠
< 표 3-2-9> 경제분야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논문종류별분류 대분류 경제 소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계 경제일반 6 13 13 82 19 95 114 개혁개방 16 58 5 19 21 77 98 재정금융증권 3 5 20 57 23 62 85 기업경영 5 9 48 123 53 132 185 상업 2 1 42 29 44 30 74 무역투자 17 15 82 56 99 71 170 지방경제 4 15 24 48 28 63 91 대외경제 0 18 7 34 7 52 59 사회보장보험 0 4 5 7 5 11 16 에너지 0 3 2 7 2 10 12 농업농촌 6 17 9 23 15 40 55 관광스포츠 1 0 34 4 35 4 39 60 158 291 489 351 647 998 < 3-2-9> 35.2% 64.8% 18 4%. 2000 27.5%(60/218) 37.3%(291/780). 2000 27.5% 2000 37.3%.... 955 2000 288 2000 667 2000 20.8%(60/288) 2000 43.6%(291/667). ( ) 2000.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19 이하에서는 2000년 이전과 이후로 대별하여 경제분야의 소분류별로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가. 2000년 이전 경제일반 영역은 경제분야의 분류중에서 특정하기 어려운 것을 모아놓은 것인데 중국 의 경제정책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관련 연구 등 매우 다양한 주제들을 포괄하고 있다. 2000년 이전 이 영역에서는 19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1970~80년대의 7건의 연구는 기초적인 개황수준의 소개에 그치고 있었으나 1990년대의 12건 연구는 개혁 개방이래의 사영경제의 실태에 대한 분석을 비롯하여 사회주의시장경제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한 연 구가 시도되었다. 이월형이 1998년 전북대 박사학위논문으로 발표한 中國 社會主義 市 場經濟의 政治經濟學的 연구 와 최익만의 中國 經濟發展의 新思考와 新戰略: 內需擴大 와 構造調整 ( 중국학연구 제17집 1999) 등은 이 시기 이 영역연구를 종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한계와 분석방법의 부족으로 아직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시장 경제를 온전하게 분석하고 있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평가된다. 개혁 개방영역에서는 2000년 이전에 74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鄧小平이 華國鋒과 의 5년간의 권력투쟁 끝에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한 1981년 이후에서야 한국의 중국학에 서는 이 주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우선 등소평의 개혁 개방을 소개하는 차 원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점차 연구의 범위와 심도가 내실화하면서 개혁 개방의 결과 로 산업구조와 금융제도 대외경제관계 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 펴보는 연구도 이어졌다. 1990년대에는 개혁 개방 영역에서 54건의 연구가 발표되었고 그 가운데 이 주제에 관 한 박사학위논문도 비로소 17건이 나왔다. 박사학위논문은 1990년 3건 1991년 1건 1993 년 1건 1994년 2건 1995년 1건 1996년 1건 1997년 2건 1998년 2건 1999년 4건으로 비 교적 매년 꾸준히 발표되었다. 이는 이 주제가 정책과 현실적 한 중관계에 미치는 시의성 도 매우 높았을 뿐만 아니라 학술적 의의도 매우 컸음을 뜻한다. 또한 연구주제도 매우 다양하고 그 심도도 매우 깊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국유기업 개혁문제가 가장 심도있게 다루어진 것으로 나타나는데 학술지 논문의 경우에는 1998년 이후에 집중적으 로 발표되었다. 특히 1998년과 1999년의 각 8건과 14건의 논문 가운데 국유기업 개혁문 48) 여운승 중공의 경제개혁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과정 - 제6차 5개년 계획의 성과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 권 1호 1986.; 이종연 중공 금융제도 개혁의 현황과 과제 중소연구 제10권 1호 1986.; 육남천 새로운 시 대의 중소 경제무역관계 발전전망 중소연구 제13권 4호 1989. 48) 10
1998 6 1999 11. 8. 1982 ( 6 1 ) ( 16 1999). 2000 1992 : 1999. 14. 2000 173 14 5 9.. 49) ( 14 3 1990) 1996. 1997. 3. 200 0 69. 50) 32. 17 15 7. 對中國直接投資 國際法的保護 關 硏究 : 韓國人 ( 文俊朝 1991) 韓國中小企業 對中國直接投資戰略 ( 崔相來 199 3) 韓 中國際競爭力構造 對中直接投資 相關分析 ( 洪性道 1994) ( 黃昞玟 1996) 49) 17 3 1993. 50) 家族購買意思決定 關 韓 中比較硏究 1992.; 蘇文斌 1995.; 16 1999.
3 ( 1996) 中國 改革 開放化 外資企業規制 關 硏究 ( 金鍾美 1998) 中國外國投資企業 稅務會計戰略 硏究 : ( 徐甲洙 1998)... ( 2 1976) 中國 對外貿易制度 硏究 : 韓 中交易可能性 中心 ( 李德懋 1989) ( 13 3 1989) ( 1 1997). 51). 52) 15 4 11. 53) 54).. 16. 1996 11 2. 55) 2 WTO 51) 纖維産業 戰略群 : 1994.; 複合運送周旋業 中國市場進出戰略 : 臺灣企業 意思決定 經營戰略 中心 1997. 52) 李殷琶 中國 貿易慣習 : 韓 中貿易去來 1993.; 1994. 53) 中國 地域經濟發展政策 硏究 : 社會主義市場經濟 政策變化 1997. 54) 改革後中國 地域隔差 1997.; 中國 地 域發展不均衡 : 隔差 23 2 1999.
21. WTO 2000. 4 2 56) 2. 57) 1990. 3... 58) 6 11 17. 2000 21.. 1993 1994 2 59). 鄕鎭社會 1994 19 2 (1995) 6. 60) 1998 55) 20 1 (1996) 3 魏艾 居三元. 21 1 (1997) 21 3 (1997) 3 B. Limanonda 馬戎. 22 2 (1998) - APEC 2. 56) The Limits of Government Capacity : Social Security Reform of State Enterprises in Post - Mao China (1978~1995) 21 4 1997.; 社會主義國家 保險法制 1 1997. 57) ' ' : 21 4 1997.; 23 2 1999. 58) 中共 石油政策 韓國 影響 10 1980. 59) 中國農業改革 展開過程 效果 1993.; 1980 : 1994. 60) 19 2 1995.;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23 사학위논문으로 발표된 신은영의 사회주의 변형된 사회주의 혹은 자본주의화: 중국농촌 의 소유제 소득분배와 중국사회주의 성격의 변모 는 개혁 개방이후 중국의 농촌문제를 사회주의이념과의 연관성속에서 분석하여 중국의 농업개혁 뿐만 아니라 중국의 개혁 개 방정책 전반에 대한 사회주의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관광스포츠 영역에서는 이 시기 동안 단 1건의 논문만이 발표되었는데 그것도 중국의 건강증진을 위한 스포츠에 관한 논문이 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된 것이었다. 그러나 20 00년 이후시기에는 무려 34건이라는 박사학위논문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 술할 것이다. 61) 나. 2000년 이후 2000년대 경제일반 영역에서는 모두 95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그 이 전시기에 비하여 연구대상이 광범위화 되고 연구의 심도도 구체화되어 질적 향상이 이루 어졌다. 중국경제 전반을 관류하는 정책적 지향점과 정책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뿐 만 아니라 IT 자동차산업 건축 및 부동산산업 항만과 철도 의약산업 문화산업 등 개별 경제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도 발표되었다. 중국경제 연구방법론에 대한 연구에서도 최의현 박상수가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권 2003)에 발표한 중국의 경제통계 믿을 만 한가? 는 중국경제 연구에서 기초자료라 할 수 있는 통계수치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올바른지 라는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대안을 모색하는 좋은 논문이었으며 2000년대 중국경제 연구발전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2009년 오용석 이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4권)에 발표한 중국인의 경제마인드 연원 고찰: 한국과의 비 교 도 경제연구가 경제적 분석방법에만 의존하지 아니하고 역사적 철학적 심리학적 영역 까지 이르는 학제적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강현구 이정용이 발표한 체제개혁 모형과 관련된 중국 경제학계 7개 학파에 대한 고찰 ( 중국연구 제3 2권 2003)은 중국 경제학계의 이론동향을 정리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모름지기 2000 년대 한국의 중국학에서 경제연구는 그 기초연구라 할 수 있는 경제일반 영역에서 양적 으로 질적으로 큰 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혁 개방영역에서 2000년에는 모두 24건의 연구가 발표되는데 박사학위논문이 5건 와 도시화 위의 논문집.; 안석교 중국 경제구조의 변화와 농촌구조의 재편 위의 논문집.; 王小剛 중국 농촌의 사회구조 및 의식구조의 변화 조사연구 : 사천성 홍아현을 중심으로 위의 논문집.; 張英 중국 농촌의 사회구조 및 의식구조의 변화 조사연구 : 길림성 쌍양현을 중심으로 위의 논문집.; 王康樂 중국 농촌의 사회구조 및 의식구조 의 변화 조사연구 : 호남성 상담현을 중심으로 위의 논문집. 61) 이춘만 중국 전통 健身術 수련자의 심리적 특성 및 수련효과 지각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9.
19. 2000 74. ( 21 2001) ( 4 1 2002) ( 26 1 2002) : ( 31 4 2007) : 30 ( 11 2008) ( 33 3 2009) 2009 1990. ( 28 1 2004). < 표 3-2-10> 재정 금융 증권영역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세부주제별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 합계 박사 학술지 ( 계 ) 박사 학술지 ( 계 ) 박사 학술지 ( 소계 ) 재정 1 1 1 4 5 2 4 6 통화 환율 1 1 1 7 8 1 8 9 조세 1 7 8 1 7 8 금융 은행 1 1 2 9 29 38 10 30 40 증권 1 1 2 8 12 20 9 13 22 3 3 6 20 59 79 23 62 85 8 2000 77. 20 57. < 3-2-10> 2000. 2003 가. :
3 ( 8 2 2007) ( 12 2008). 2000 ( 19 ) 2002 ( 26 4 ) 2005. ( 11 2008) ( 15 2009) 2 ( 29 2004) ( 52 2010). 62). 63). 64) (2006) (2007) ( 12 2008) 62) : 1994 4 1 2002.; 2 2003.; 5 2005. 63) : (Tax Effort) (Political Intention) 5 1 2003.; ( ) : 2003.; : 10 2007.; 14 2009.; 38 2006. 64) 31 2003.; 26 2003.; 32 2005.; 4 43 2008.; 46 2008.
. : (2004) : (2006) 汪世虎 : ( 6 2006).. 2006 ( 7 2007) ( 9 2008) ( 10 2 2009) ( 11 2 2010).. 2000 20 8 12.. 65) 66). 67) 65) 6 2005.; 2008.; WTO 43 2008. 66) : 2005 2008.; 32 1 2008.; : 20009.; CHINA 6 2009. 67) 7 2007.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27 <표 3-2-11> 기업경영 영역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세부주제별 분류 세분류 기 업 경 영 경영일반 기업정책 기업관련법제 재무관리 지배구조 인사노무관리 M&A R&D 지재권 윤리경영 경영문화 지방기업 박사 2 0 1 2 0 0 0 0 0 0 0 0 5 2000년 이전 학술지 2 1 3 1 0 2 0 0 0 0 0 0 9 (계) 4 1 4 3 0 2 0 0 0 0 0 0 14 박사 11 0 3 7 4 7 2 0 4 0 10 0 48 2000년 이후 학술지 17 5 17 7 14 21 16 5 2 7 9 3 123 (계) 28 5 20 14 18 28 18 5 6 7 19 3 171 박사 13 0 4 9 4 7 2 0 4 0 10 0 53 합계 학술지 19 6 20 8 14 23 16 5 2 7 9 3 132 (소계) 32 6 24 17 18 30 18 5 6 7 19 3 185 년대 기업 경영영역에서는 171건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이 영역에서 이전시 기 14건의 연구에 비하여 비약적인 성장이라 할 수 있는데 박사학위가 48건 학술지연구 가 123건이다. 이 시기동안에는 중국에서의 기업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주제에 관한 연구 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표 3-2-11>는 기업 경영영역에서 세부주제별로 연구성과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다. 171건의 연구 가운데 기업의 재무관리에 관한 연구가 14 건 인사노무관리에 관한 연구가 28건 연구개발(R&D)이 5건 경영문화가 19건에 이르렀 다. 재무관리에서는 회계 관련뿐만 아니라 기업관련 각종세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으 며 기업감사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인사노무관리에서는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전반 의 문제를 연구하면서도 특히 노동시장의 특징 중국의 노사관리문제 근로계약법제와 그 운용에 관한 논점들이 연구되었다. 5건의 연구개발에서는 중국내 다국적기업의 R&D 투 자에 관한 연구들이나 2009년에는 중국기업의 R&D도 연구되었다. 한편 중국의 경영 문화에 관한 주제가 19건이나 이루어졌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CEO의 경영방식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사기와 일에 대한 태도 조직구성원의 관계 등이 기업의 경영실적 과 직결된다는 차원에서 고찰된 연구성과였다. 특히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이 유념하 여야 할 중국내 기업문화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또한 중국의 기업관련법제에 2000 68) 69) 김혜진 다국적기업과 한국기업의 중국 내 연구개발(R&D) 활동 비교 분석 중국학연구 제31집 2005.; 김지 대 송영욱 박상언 중국기업의 가치 혁신 신제품개발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제15권 2009. 69) 윤경우 한중일 3국 기업문화의 유사성과 차이성 비교 중소연구 제29권 4호 2005.; 이경훈 경영자간 관계 적 특성이 중국 진출 한국기업 지식습득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8.; 楊莉華 중국기업의 조직문화 특성 및 학습환경이 학습전이 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08.; 백권호 장수현 중국 기업문화의 특성과 경영 현지화: 정 리 법 패러다임과 관시'의 비판적 재고찰 중국학연구 제47집 2009.; 안종석 백권호 중국 기업문화 현지화와 베스트 프랙티스 :대기업 중국 진출 자회사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51집 2010. 68)
20. 7 ( 5 2005) IT ( 33 1 2009) (CSR) : GM CSR ( 45 2008) C SR : 3 ( 48 2010). 14 18. 4 ( 2005) ( 2005) ( 2006) ( 2010). ( 26 1 2002). 70) 2000 71 42 29. < 3-2-12>. 70). 2 2003.; 走出去 30 1 2006.; : 8 2007.; " " 9 2007.; M&A : M&A 10 2 2009.; : M&A 13 2009.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29 <표 3-2-12> 상업 영역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세부주제별 분류 세분류 상 업 상업일반 물류 광고마케팅 프랜차이즈 사이버마케팅 박사 2 0 0 0 0 2 2000년 이전 학술지 (계) 0 2 1 1 0 0 0 0 0 0 1 3 박사 3 13 15 3 8 42 2000년 이후 학술지 (계) 3 6 6 19 12 27 1 4 7 15 29 71 박사 5 13 15 3 8 44 합계 학술지 3 7 12 1 7 30 (소계) 8 20 27 4 15 74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류와 관련한 박사학위가 13건 학술지논문이 6건 있었는데 중 국내 물류현황을 살펴보고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으며 한국물류기 업의 중국진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물류금융을 비교 분석 한 연구도 진행되는 등 연구주제와 범위가 물류영역에서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광고 마케팅영역에서도 박사학위논문이 15건 학술지논문이 12건 있었는데 중국진출 한 국기업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만도 5건이 발표되었다. 기업의 브랜드이미지만을 집 중적으로 연구한 경우도 많았으며 중국에서 광고효과 극대화를 위한 텍스트 활용문제 가 연구되기도 하였다. 한편 중국내 정보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사이버마케팅과 관련한 연구도 활발하 게 이루어졌다. 관련 박사학위도 8건이나 있었고 학술지논문은 7건 발표되었다. 그 대부 분의 연구는 중국내 전자상거래에 관한 것이었으나 특히 모바일광고와 홈쇼핑의 광고효 과 그리고 인터넷뱅킹서비스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그 밖에도 중국내 프랜차이 71) 72) 73) 74) 75) 76) 77) 허봉 한국물류기업의 중국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제3자 물류를 중심으로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2009. 이주영 김형기 한중 물류금융에 대한 비교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4권 2009. 한영수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현지 마케팅 전략에 관한 실증분석 : 광동성 산동성 상해를 중심으로 동국대 박 사학위논문 2004.; 조경일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마케팅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 박사학위논문 2005.; 이상균 한국의 대 중국 투자기업의 마케팅 전략 유형이 중국 현지에서의 생존 및 철수에 미치는 영향 단국 대 박사학위논문 2009.; 백권호 삼성전자의 중국시장 브랜드전략 사례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3권 2009.; 박승 찬 국내 베이커리 기업 VI(Visual Identity)에 대한 북경 소비자 반응 분석 :국내 3사 베이커리 기업을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46권 2009. 74) 남양호 원산지 및 브랜드이미지가 다국적 제품 선호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자동차 핸드폰 운동화 시장을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04.; 문철주 중국시장에서의 지역효과(Region Effect)와 브랜드효과(Brand Effect)에 관한 실증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05.; 유명길 중국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 전효과가 브랜드 태도 및 고객만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 박사학위논문 2007.; 김성철 제품속 성 브랜드 및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9개 지역의 휴대폰시장을 대상으로 강원대 박사학위논문 2008.; 김현숙 미백화장품 소비자의 브랜드 재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비교를 중심 으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 박사학위논문 2009. 75) 홍경아 중국 광고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한국외대 박사학위논문 2008. 76) 김효정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계명대 박사학위논문 2006.; 박상수 정염하 중국 TV 홈쇼핑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 제49권 71) 72) 73)
13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즈 시스템에 관한 연구도 3건이나 이루어졌는데 모두 박사학위논문으로 발표되었다. 물 론 중국의 전통적 상업활동에 관한 연구 또는 각종 상행위관련 문화 등에 관한 연구도 지속되었다. 무역 투자영역에서는 2000년대에 모두 139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박사학위논문이 82건 학술지논문이 56건으로 박사학위논문이 많으며 <표 3-2-13>이 세부주제별로 분류 한 결과이다. 박사학위가 많은 까닭은 앞서 상업영역을 거론하면서 언급하였듯이 현실경 제의 수요을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역에서는 무역관련 정책과 각 종 법제를 연구하는 바탕위에 각종산업별로 무역 투자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대종을 이 루었는데 농산업 수산업 광산업 외식산업 섬유 의류 패션산업 전기 전자산업 서비스 산업 미용산업 레저산업 물류산업 건설산업 SI산업 자동차산업 부동산산업 등 다양 한 산업종류를 망라하였다. 78) <표 3-2-13> 무역투자 영역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세부주제별 분류 세분류 무 역 투 자 2010. 77) 무역일반 무역정책 무역관련법제 산업별 보호조치 무역분쟁 해상운송 FTA FEZ 지방무역 투자일반 외자정책 투자관련법제 투자리스크 직접투자 기술이전 지방투자 2000년 이전 2000년 이후 합계 박사 학술지 (계) 박사 학술지 (계) 박사 학술지 소계 3 0 2 2 0 0 0 0 1 0 0 0 0 0 8 0 1 0 2 3 0 0 2 0 0 0 0 5 1 1 0 1 0 0 3 2 5 2 0 2 0 0 1 0 5 1 1 0 9 0 1 3 3 2 19 9 5 6 6 0 1 4 1 1 2 15 1 4 5 0 0 6 3 1 2 12 1 0 4 4 2 4 8 2 2 8 3 2 25 12 6 8 19 1 1 8 5 3 6 23 3 6 6 3 4 21 9 5 6 6 1 1 4 1 1 2 23 1 5 5 2 3 6 3 3 2 12 1 0 9 5 3 4 9 2 2 11 5 7 27 12 8 8 18 2 1 13 6 4 6 32 3 7 17 15 32 82 56 139 99 71 170 김문희 한국과 중국의 은행 서비스품질에 관한 비교연구 : 전통 은행서비스와 인터넷뱅킹서비스를 중심으로 계 명대 박사학위논문 2006. 78) 최홍실 WTO 체제하에서의 중국의 무역관련 환경조치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07.; 김경화 중국의 전자무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07.; 최송자 WTO 가입이후 중국 무역구제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5.; 김정덕 영업비밀의 보호법제에 관한 연구 : WTO/TRIPs 협정의 국내이행 을 중심으로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09 등이 그것이다.
3 12 79) 6. 19 FTA. 80) 8. 81) 23. 15 82). 83). 84) 6 85) 86) 79) ADR : 2008.; 2010. 80) FTA 49 2010.; FTA : 10 2 2009.; FTA 32 1 2008.; 44 2008.; 43 2008.; (FTA) 7 2007.; FTA 2007.; FTA 41 2007.; 東 自由貿易地帶 (FTA) 形成 中國 戰 略 31 2003. 81) 7 2006.; 2006.; 4 2004 2009. 82) 2009.; IT 2009.; : 2008. 83) 2006.; 2005.; (' 走出去 ') 35 2006.; 崔義玄 孫尙範 41 2007. 84) (FDI) : 2009.; : 52 2010. 85) : 5 2 2003.
. 87). 3 88) 6.. 2000 72 24 48. 19. 24 8 : ( 2009) ( 2009) 12. 8 1 2. -. 41 7 34. 89) WTO 5 90) 91) 11. 2 000. 86) 8 2006. 87) : 2009. 88) : ERP 2008.; 32 2 2008.; 34 1 2010. 89) 26 2000.; - CEPA 26 2003.; ' ' : -ASEAN 41 2007. 90) 2002. 91) 中國與杯黃海區域經濟合作聞題硏究 1 2003.
3 1. - -. 92) 2000 4 2000 12. 12 5.. 93) 94). 2 7. 21. 95). : 1990 ( CHINA 4 2008) ( 29 2 2005) : ( 35 2006). 2000 32. 9 23 2009 96) 92) 顔國瑞 2007. 93) : 2003.; 2008.; (Gender Perspective) 26 2003. 94) 李金易 2008. 95) : 48 2010.; : 47 2009.; 2009.; ( 胡錦濤 ) 51 2010. 96) : (1978~1984) 2009.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134 스템 농촌의 토지소유 및 사용문제 농업세 농산물분쟁 농업보조금제도 등 구체적인 이슈들에 대한 연구도 이어졌다. 관광스포츠 영역에서는 그 이전시기의 단 1건에 비해 박사학위논문만으로 34건이 발 표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으로 삼은 학술지에서는 단지 4건만이 검색되었는데 한 국학술정보의 홈페이지에서 중국+관광 으로 검색하면 총 127건 중국+스포츠 로 검색하 면 147건의 연구결과가 검색된다. 이는 이 영역의 중국학 연구가 학술적으로 매우 활 발하였으나 적어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는 실리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결과 적으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 가운데에는 이 영역의 논문에 관심을 기울이는 학술지가 없다는 의미로밖에 해석할 수 없으며 이는 한국의 중국학이 안고 있는 매우 큰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관광스포츠 영역의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모택동의 체육 사상에서부터 중국의 스포츠정책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기공 태극권 대학체육교 육 축구 조정 궁술 레저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였으며 관광영역에 서도 호텔 레스토랑 항공기의 서비스 품질연구와 중국 관광객의 만족도 등 광범위한 주 제와 내용을 연구하였다. 97) 98) 99) 5. 어문학 어문학 분야에서는 <표 3-2-14>에 나타나듯이 2000년 이전에 302건의 연구가 진행되 었는데 어학이 77건 문학이 225건이다. 또한 2000년 이후에는 574건의 연구가 진행되고 그 중에서 어학이 231건 문학 343건이다. 물론 이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서 어문학분 야 학술지를 제외하고 조사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중국학연구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어문 학 연구결과는 이 보다 훨씬 양적으로 많은 성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경희 중국 곡물유통체제에 관한 연구 : 1979-1997년 곡물가격 정책을 중심으로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이종수 중국 농촌금융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2005.; 王睿 明悦 蒲勇健 호혜성 소액 대 출기구: 농촌금융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선택 CHINA연구 제4집 2008.; 박종근 중국농촌집단토지의 소유 및 사용에 관한 연구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2005.; 민귀식 농업세 폐지 이후 중국 향진정부 직능전환평가 중소연 구 제34권 1호 2010.; 유예리 중국의 농산물무역 분쟁 대응성과와 한국에의 시사점 중국법연구 제8집 2007.; 유예리 WTO 체제하에서 중국의 현행 농업보조금제도에 관한 연구 중국법연구 제11집 2009. 98) http://kiss.kstudy.com/search/result_kiss.asp 99) 박영호 모택동 체육사상의 형성배경과 중국체육에 미친 영향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2000.; 김창권 정치상황 변화에 따른 중국 체육 스포츠 정책의 전개양상과 전망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2002.; 유영환 중국 체육의 압축적 근대성에 관한 연구 수원대 박사학위논문 2008. 97) 2000.;
3 < 표 3-2-14> 어문학분야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연구주제별규모 대분류소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총계 어문학 어학 77 231 308 302 574 문학 225 343 568 876 7 < 3-1-2>. 104 10.9% 457 50.2% 306 41.4%. 4 C HINA 3 2. 876. < 표 3-2-15> 어문학분야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논문종류별분류 대분류 어문학 소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계 어학 12 65 11 220 23 285 308 문학 45 180 36 307 81 487 568 57 245 47 527 104 772 876 < 3-2-15>....
13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가. 2000년 이전 2000년 이전 어학분야의 연구에서 박사학위논문을 살펴보자면 중국의 어문정책에 관 해 1건 그리고 옛 중국어에 관한 연구도 3건이 이루어졌다. 현대중국어에 관해서는 품사 (동체 부정접두정태동사 부사) 동의어 빈어 및 조자방법을 중심으로 한 문자분류 연구 등 모두 6건이 이루어졌고 한국 한자어 또는 한자음과 중국어와의 관계를 연구한 것도 2건이 발표되었다. 2000년 이전 문학분야의 연구는 모두 45건이었는데 이를 다시 크게 나누어보면 현대 문학이 20건 고전문학이 17건 한국과 중국의 비교문학이 7건 중국과 유럽과의 비교문 학이 1건 등으로 나타난다. 현대문학은 특히 199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는데 19 95년 이후의 총 14건의 연구 가운데 4건을 제외하곤 모두 현대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문 학연구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한중 비교문학이 7건이라는 점이다. 한국 한문시 소설의 중 국수용문제를 분석하거나 더 나아가 한국과 중국의 소설을 비교문학적으로 연구하거나 또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로는 한 중의 원귀설화 등을 서로 비교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 졌다. 비교연구는 연구대상에 대한 단방향적인 시각이 아니라 쌍방향적인 관점에 입각한 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대 어학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은 11건이 발표되었는데 현대중국어에 관한 연구 는 복합어 사동표현 보조용언 미각어 음성학 어학교육 등 이전시기에 비해 보다 구체 적인 주제에 대한 연구가 나타났으며 중국내 소수민족의 언어에 대한 관심도 나타났다. 옛 중국어에 관한 연구도 1건 이루어졌다.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과정을 중국어와의 연 관성상에서 파악한 연구도 2건 이루어졌고 한국 한자어 또는 한자음과 중국어와의 관계 를 연구한 것도 1건 이루어졌다. 2000년대 문학분야에서는 36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이를 다시 나누자면 현대문학 이 12건 고전문학이 6건 한중 비교문학이 18건이었다. 2000년 이전에 비하여 현대문학 의 점유율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는데 현실적 관심을 반영할 까닭이라고 보여진다. 문제 는 한중 비교문학이 18건이나 되어 특히 주목된다. 2000년대의 한 중 비교문학은 그 이 전시기에 비하여 훨씬 세밀한 주제를 비교하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한연의 한 중 동화문학 비교연구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2002) 최계화의 1930년대 한 중 가족 사소설 비교 연구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2003) 김은진의 한중 현대소설의 다성성 시학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37 연구: 삼대 와 위성 의 비교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2004) 신창순의 한 중 소설 의 여성형상 비교연구 : 1920~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05) 장연호의 韓 中 訟事文學의 比較硏究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06) 范偉利의 초창기 한 중 상징주의 시의 비교 연구: 김억과 이금발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2008) 吳春花의 한 중 여성 성장소설 비교연구 (국제문화대학원대 박사학위논문 2009) 苑英奕의 한국의 민중문학과 중국의 저층서사 비교 연구: 황석영 조세희 나위장 조정로의 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9) 등이 그것이다. 2000년대 한국의 중국문학 연구는 심층화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교육 문화 예술 교육 문화 예술분야에서는 2000년 이전에 76건 2000년 이후에는 274건의 연구가 발표 되었는데 2000년을 전후하여 거의 4배의 양적 증가를 보였다. 이는 앞서 3장의 연구결과 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2000년 이전에 970건과 2000년 이후에 3260건이 있었음과 비교 한다면 비슷한 양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루는 이 분야 연구의 데이터 숫자가 실제의 성과보다 월등히 적다보니 전체적인 연구의 모습을 가늠하는데 어 려움이 있음을 밝혀두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이 연구의 주요목적이 주로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동향을 밝혀보려는데 있음을 다시 언급함으로써 변명하고자 한다. <표 3-2-16> 교육 문화 예술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규모 대분류 교육 문화 예술 소분류 2000년이전 교육 14 사회 18 문화 28 예술 16 2000년이후 50 76 73 108 43 총계 64 274 91 136 350 59 한편 <표 3-2-16>과 <그림 3-2-4>에서 보이듯이 2000년 이전이든 이후이든 모두 문화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 예술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또한 제2장에서 이미 살펴 보았던 결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13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그림 3-2-4> 교육 문화 예술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추이 160 2000년이전 140 2000년이후 120 총계 100 80 60 40 20 0 교육 사회 문화 예술 가. 2000년 이전 교육영역에서는 박사학위논문이 8건 학술지논문이 6건이었는데 1970~80년대에는 중 국의 교육정책 및 교육이념을 연구하는 기초연구단계로서 대표적인 연구는 채의순의 중 국 고대교육사 연구 (단국대 박사학위논문 1971)과 이병주의 陶行知博士( 1891~1946 ) 와 중공의 교육이념 ( 중소연구 제1호 1975) 신용철의 4개 현대화와 중공의 교육 ( 중소연구 제6권 1호 1982) 강계철 중공의 교육현대화 ( 중국연구 제6권 1982) 유 성준 중공의 학술현대화의 일맥: 중국과학원과 출판사업 ( 중국연구 제6권 1982) 등 을 들 수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교육영역의 연구주제가 좀 더 세분화되었다. 개혁 개방이후 중국의 교육환경 변화를 다룬 논문과 중국의 간호교육 사립대학체제 등 구 체적인 사안을 연구하는 논문도 발표되었다. 사회영역에서는 18건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중국의 언론 중국내 계층분화와 계 층간 갈등문제 지식인문제와 엘리트간 갈등분석 그리고 중국사회의 자율성문제 등에 관 한 연구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중국사회의 사회적 변화를 계층분화와 이 것이 시민사회의 성장과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관점이다. 예컨대 이희옥의 중국의 계층분화와 중국적 부유계층' 등장의 성격과 의미 ( 중소연구 제18권 3호 1994) 김종 현 중국대륙 사회계층 구조의 전환 ( 중국학연구 제13집 1997 등은 중국사회의 계층 100) 101) 의 開放化以後 高等敎育 政策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1. 특히 연변 조선족의 교 육환경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曺點煥 中國 延邊 朝鮮族 自治州의 敎育政策 變遷과 그 特性에 관한 연구 성균 관대 박사학위논문 1990. 101) 이춘옥 중국과 한국의 간호교육체제 비교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9.; 신보충 중국 사립대학 체제 발 전방안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9. 100) 鄭振敦 中國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39 간 갈등문제에 주목하고 장경섭의 편파적 시장화와 계급 갈등: 중국의 시장사회주의적 사회질서 ( 현대중국연구 제1집 1999)는 이러한 갈등이 개혁 개방후 중국의 새로운 사 회질서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시민사회 가 능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박윤철의 中國의 經濟發展과 市民社會의 形成 可能 性 ( 중국학연구 제13집 1997)과 김종현의 中國市民社會의 발전 可能性에 대한 展望 ( 중국학연구 제15집 1998) 등이 그러하다. 문화영역에서는 28건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중국의 전통문화를 고전과 철학(유가와 도가) 민간문학 등을 통해 살펴보려는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중국의 다양한 의 식 주의 문화를 연구하거나 한국과의 비교를 시도하는 연구도 여럿 나왔다. 한자를 중심으 로 문화교육과 교통문화 등의 중국문화를 풀이하는 연구도 발표되었으며 소수민족의 문화를 연구하기도 하였다. 예술영역에서는 2000년 이전에 모두 16건이 발표되었는데 박사학위논문이 4건 학술 지논문이 12건이다. 물론 명백하게도 이처럼 작은 건수는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이 영역 이 아니기 때문이다. 박사논문들은 모두 순수예술 영역이었으며 학술지논문 가운데에도 5건을 제외하고는 순수예술영역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사회과학적 의미가 있는 논문을 거론하자면 중국의 문예정책에 관한 연구가 4건 그리고 중국의 문예대중화논 쟁에 관한 연구가 1건이었다. 102) 103) 104) 105) 나. 2000년 이후 2000년대에 들어 교육영역에서는 <표 3-2-17>에서 나타나듯이 이전시기의 14건에 비 하여 50건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조사대상 논문을 세분하여 보면 한국과 중국의 교육환 경을 비교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그 연구주제는 중등교사 양성제도 평생교육제도 간호교육체제 등의 비교 국어 및 영어 교과서 및 교육과정 비교 청소년 동아리활동 비 교 등을 연구한 것이었다. 조선족의 교육환경과 제도에 관한 연구도 있었는데 전반적인 변화를 연구한 논문 이외에도 문학교육 소설교육 음악교육 등 구체적인 교과목에 106) 107) 박흥수 漢字와 中國文化 敎育 : 姓父婚娶 자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23집 1999.; 박흥수 漢字에 반영 된 중국의 교통문화 중국학연구 제16집 1999. 103) 김희섭 中國 苗族 女子 服飾의 意匠學的 硏究 세종대 박사학위논문 1998.; 김순심 조선 연변조선족의 복식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1994. 104) 이익성 중공 문예정책에 관한 고찰 중국연구 제5권 1981.; 이충양 中共黨의 文藝政策-毛澤東 문예이론 과 中共 作家들의 갈등 중소연구 제6권 1호 1982.; 조용중 中共 문예의 도전과 응전: 社會效果論 제기 전후의 고찰 중소연구 제6권 4호 1982.; 이충양 중국의 문예정책 중소연구 제14권 4호 1990. 105) 임춘성 中國文藝大衆化論爭(1930~1932)의 展開過程 및 爭點에 대한 評價: 중국연구 제13권 1992. 102)
. < 표 3-2-17> 교육 문화 예술분야한국중국학연구논문의논문종류별분류 대분류 교육 문화 예술 소분류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박사학술지계 교육 8 6 26 24 34 30 64 사회 3 15 18 55 21 70 91 문화 14 14 40 68 54 82 136 예술 4 12 13 30 17 42 59 29 47 97 177 126 224 350 108). 5 ( 2003) 李立緖 ( 2004) : ( 46 2009).. : ( 2008) ( 2009). 2000 73. 109) 106) 2 2000. 107) : 2002.; 2005.; : 2008. 108) 2005.; 2003. 109) 2 2000.; : 25 3 2001.; 25 3 2001.; : 2004.; 2005.; 13 2009.
3 110) 111). 112). 113) 114). 115).. 2000 108 40 68. 2000 116). 117) 118) ( 110) 27 2004.; 7 2 2006.; 37 2006.; 2008. 111) 10 1 2008. 112) 22 2002.; 26 2 2002.; : " 7 1 2005.; (NPOs) 33 2005.; NGO 39 2007.; :? 47 2009. 113) ' ' : 29 2004.; 30 3 2006.; 8 1 2006.; : 2007. 114) : 11 2 2010. 115) ( 關係 ) : 2003.; : ( ) 2006.; 37 2006.; ( 地緣網 ) 11 1 2009. 116) 梁漱溟東西文化觀 現代的意義 21 2001.; 梁漱溟 文化三路向說 硏究 23 2002. 117) 34 2005.; 41 2007. 118) ( ) 2000.;
) 119) 120). ( 6 2 2004) ( 3 2004) 121).. 122) 2000 43. 13 30. : ( 2007) : ( 2010). 123) : (Political Pop) ( 46 20 08) : ( 2005).. 23 2003.; 2008. 119) 2001.; 中國 東北三省文化硏究 20 2001.; 28 2004.; 文化親緣性 28 2004.; 32 2005.; ( 天葬 ) 37 2006.; 2008.; 葬法 生死觀 : Silk Road Tea Road 49 2009. 120) : 27 2004.; 12 2008. 121) 52 2010. 122) 31 2005. 123) : 4 2 2002. '' '' 37 2006.; 35 2006.; :2003~2006 41 2007.; 46 2008.; (Phallus) : 48 2009.; 50 2009.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43 행되었는데 본 연구가 조사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 2000년이전에는 한건도 없던 것 이며 2000년대의 총 43건의 조사결과중에서도 23건이면 반이 넘는다. 임대근이 7건의 논 문을 발표하여 가장 많고 나민구가 2건 그리고 송철규 김영구 박병원 이응철 강내영 이강인 김정은 동여생 김순진 이충민 박정수 곽수경 안영은이 각 1건씩의 논문을 발 표하고 이영구 박민호가 공저로 1건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중국 영화산업 가능성에 주목 하였기 때문에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7. 역사 지리 역사 지리분야에서는 총 321건의 연구결과가 조사되었는데 <표 3-2-18>에서 나타나듯 이 박사학위논문이 106건 학술지논문이 214건이다. 역사 지리분야라고 분류하였으나 실제로 조사대상의 논문에서 지리분야는 단 1건뿐이었으며 그것도 순수한 지리학의 영 역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논문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모두 역사분야라고 볼 수 있으 나 중국의 한국학 연구와 함께 분류체계를 통일하는 차원에서 여기에서 역사 지리분야 로 통칭하여 사용한다. 124) <표 3-2-18> 역사 지리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논문종류별 규모 2000년이전 역사 지리 2000년이후 총계 박사 학술지 (계) 박사 학술지 (계) 박사 학술지 합계 60 63 123 46 152 198 106 214 321 제3장에서 역사 지리분야는 전체 연구의 43114건 가운데 3031건으로 약 7%의 점유율 을 보이는데 여기 제4장에서 조사대상으로 하는 전체 3617건 가운데 역사 지리분야는 3 21건으로서 약 8.9%에 해당한다. 제3장의 점유율보다는 조금 높지만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며 전체적인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한 다. 가. 2000년 이전 조사대상 연구 가운데 최초의 중국역사 연구는 1962년도 서울대 박사학위논문으로 발 표된 金庠基의 古代 韓中民族交涉史의 硏究 였다. 그 후 중국 역사연구는 계속되어 2000 124) 임종태 17 18세기 서양 지리학에 대한 조선 중국 학인들의 해석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
144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년 이전동안 <표 3-2-18>에서 나타나듯이 박사학위논문 60건 학술지논문 63건의 총 123 건이 연구되었다. 중국역사 연구의 핵심주제라고 할 수 있는 모든 주제에 관한 논급은 여기에서 논외로 하고 사회과학적 함의가 있는 근현대사와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자면 박사학위 논문으로 함홍근의 중국근대의 정치적 개혁사상 연구 (이화여대 1975) 白永瑞의 1920 年代 中國의 大學文化 硏究: 敎育環境 學生運動 革命活動 (서울대 1993) 李泰魯의 청말 이후 중국의 정권위기와 대외정책: 아편전쟁부터 문화대혁명까지 (한국외대 1994) 車瓊 愛의 義和團運動과 제국주의열강: 의화단운동의 진압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1994) 李哲源의 중국의 개혁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양무운동과 개혁 개방운동을 중심으로 (한 국외대 1998) 등이 발표되었는데 청말이래 외세의 도래와 개혁의 요구 등을 둘러싼 사 회적 갈등을 다룬 내용들이었으며 이 주제들에 관한 연구는 현대중국을 이해하는 기초 가 되는 매우 중요한 것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장개석과 국민혁명시기에 관한 연구도 박사학위논문으로 발표되고 중국공산당의 창당과정과 그 후의 혁명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박사학위논문도 다수 발표되었 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를 다룬 논문도 다수 연구되었는데 근세 한 중간의 학술교 류 무역교섭사 한 중 영유권 분쟁과 간도협약 등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125) 126) 127) 나. 2000년 이후 2000년대에 들어 역사분야에서는 198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박사학위논문이 46건 학술지논문이 152건이다. 이전시기와 비교하여 중국 선진시대를 포함한 옛 중국의 역사 에 관한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이어졌지만 이전시기와 달리 공산당 창당과정 및 국공내 전 등 혁명과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산당을 직접 언급한 박사학위 국민혁명시기의 연구 군사 정치적 대두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5.; 전동현 을 으로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8. 임훈 의 에 한 특히 그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1983.; 조수 성 의 에 한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1991.; 曺焄 中國初期勞動運動에 관 한 연구: 1840年~1921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3.; 장현표 中國革命과 中國共産黨의 土地 政 策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4.; 이영 중국공산당의 토지개혁운동: 토지소유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 학위논문 1994.; 박제균 中國 파리그룹 (1907~1921)의 無政府主義 思想과 實踐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1997.; 이준태 中國共産黨의 創黨과 國共合作에 관한 硏究: 陳獨秀의 활동을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1999. 127) 황원구 近世韓中의 學術交流와 禮論에 관한 諸問題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83.; 김종원 朝淸交涉史 硏究: 貿易關係를 中心으로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1983.; 李日杰 間島協約에 관한 연구: 韓 中 領有權紛爭을 둘러싼 日 淸 交涉過程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1. 125) 裵京漢 蔣介石 : 中國 國民革命期 三民主義 硏究: 統治理念化過程 中心 126) 中國共産黨 創黨過程 關 硏究: 中國共産革命過程中 農民 政治參與 關 硏究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45 논문은 없었고 김승욱의 북경정부시기 상해의 근대은행과 은행공회 (서울대 박사학 위논문 2001)가 있었을 뿐이었다. 2000년대에 들어 중국의 시장경제화가 급속도로 진행 되면서 공산주의에 대한 연구흥미를 잃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사 회주의영역에 관한 연구추세 등과도 유사하다. 서세동점시기의 외세침탈과정 및 중국의 개혁과제 등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었고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를 다룬 연구도 계속되었다. 다만 특기할 만한 사항은 중국의 동 북공정이 본격화되면서 고구려사 왜곡문제가 관심을 끌어 박사학위논문으로 2건이 발표 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이정자의 고대 중국정사의 고구려 인식: 대외관계기사를 중심으 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은 고대 중국의 역사서에 나타난 고구려관련 기사를 직접 분석하였으며 이천석은 중국 동북공정에 관한 연구 (영남대 2009)를 통해 동북공정 전 반을 전체적으로 조명하였다. 128) 129) 130) 8. 과학 과학분야에서는 조사대상 연구논문가운데 총 92건이 발표되었는데 <표 3-2-19>에서 나타나듯이 2000년 이전에 14건 2000년 이후에 78건이 발표되었으며 <그림 3-2-5>에서 잘 나타나듯이 식품의류영역이 가장 저조하고 과학기술영역이 가장 많으나 환경영역에 서 2000년전후로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중국의 과학분야를 다 루는 전문적인 학술지가 없는 상황에서 중국의 과학분야를 연구하는 성과들이 각각의 전 공영역에서만 발표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부분적인 조사대상만으로 전체를 말하기 는 매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적어도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살펴본다면 유의미한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 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학술지논문으로도 조선족문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공산당을 고찰한 것과 주은래에 관한 연구 2건이 전부였다. 조선인에서 조선족으로: 중국공산당의 연변지역장악과 정체성변화(1945-49) 중소연구 제26권 3호 2002.; 정종욱 주은래와 중국 공산혁명: 1920~1934년 중소연구 제28권 4호 2004. 129) 박사학위논문으로는 이형근 중국 상하이의 상업공간 형성과 경관변화: 1843~1915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03.; 윤영도 중국 근대 초기 서학 번역 연구: 만국공법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5 등 이 발표되었다. 130) 박사학위논문으로는 이명화 중국에서의 안창호의 독립운동연구: 1919-1932 홍익대 박사학위논문 2000.; 이광재 1920-30년대 한국과 중국 프로문학운동 비교연구 충북대 박사학위논문 2000.; 쟈오페이 집단사고 (Groupthink) 모델의 타당성과 한계: 중국의 한국전 참전 결정과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09 등이 발표되었다. 128) 李振翎
14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표 3-2-19> 과학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규모 대분류 과학 소분류 과학기술 정보통신 식품의류 의학건강 환경 2000년이전 8 1 0 4 1 2000년이후 18 8 7 78 21 24 14 총계 26 9 7 25 25 92 <그림 3-2-5> 과학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별 추이 30 2000년이전 25 2000년이후 총계 20 15 10 5 0 과학기술 정보통신 식품의류 의학건강 환경 가. 2000년 이전 <표 3-2-20>은 과학분야 연구성과를 논문종류별로 분류한 것인데 여기에서 잘 나타나 듯이 과학기술영역에서는 2000년 이전에 학술지 8건만의 연구성과가 있었다. 채희준의 중공 과학기술의 현대화 ( 중국연구 제6권 1982)를 제외한다면 7건은 연구는 모두 중소연구 에 실린 것인데 수학자인 김용운이 발표한 논문이 6건이고 다른 1건은 여운 승 안석교 신승철의 공동연구로 중국의 기술개발전략을 다룬 것이다. <표 3-2-20> 과학분야 한국 중국학 연구논문의 논문종류별 분류 대분류 소분류 과학 과학기술 정보통신 식품의류 의학건강 환경 2000년이전 박사 0 1 0 4 0 5 학술지 8 0 0 0 1 9 2000년이후 박사 16 7 6 19 5 53 학술지 2 1 1 2 19 25 합계 박사 16 8 6 23 5 58 학술지 10 1 1 2 20 34 계 26 9 7 25 25 92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47 정보통신영역에서는 연세대 박사학위논문으로 1996년에 발표된 곽동철의 러시아 및 중국과의 기술협력을 위한 정보관리정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가 발표되었고 의학건강영 역에서는 이 시기동안 박사학위논문 4건이 발표되었는데 중의학에 관한 연구가 1건이었 으며 청소년의 체격과 정신건강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실태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환경영역에서는 1건의 학술지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중국법연구 제2집에 게재된 金瑞 林과 汪勁의 중국의 환경법 연구의 현상과 전망 이 그것이다. 나. 2000년 이후 과학기술영역에서는 2000년 이후에 16건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고 2건의 학술지논 문이 게재되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2000년 이전에 이 영역에서 8건의 학술지논문이 발 표되었던 것에 비하면 박사학위논문이 갑자기 급증하고 학술지논문은 적다고 할 수 있 는데 이는 2000년이후의 문제가 아니라 2000년대 이전 한양대학교 교수인 김용운의 논 문이 중소연구 에 6건이나 실렸기 때문에 생긴 문제이다. 따라서 이를 제외한다면 학술 지논문도 이 연구에서 조사대상으로 한 사회과학계열의 논문집에서는 결국 2000년 이전 이나 이후에나 2건씩밖에 실리지 않았음을 뜻한다. 오히려 박사학위논문이 16건이나 발 표된 것이 특기사항인데 이는 중국이 경제성장과 함께 우주개발에 나서는 등의 상황전 개에 따라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2000년이후 한국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리하여 학술지에 발표된 2편의 과학기술영역 연구도 은종학이 중국의 과학역량에 관한 집필한 것들인데 중국의 과학역량을 국가의 지원과 국제적 연구네트워크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을 직접 연구한 박사학위논문은 아직 발표되 지 않았지만 박철만의 중국 과학기술단지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 박사학위논 문 2008)은 중국의 과학기술이 종합학문으로 융복합될 수 있는 환경을 논하였다는 점에 서 의미가 크며 소병우의 대학의 지식재산경영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호서대 박사학위논문 2009)는 산학협력문제를 분석하였다. 그 밖의 박사학위 논문들은 수학 이학 생물학 건축학 공학 등 중국과 관련한 순수과학기술에 대한 연구 였다. 정보통신영역에서는 2000년대에 박사학위논문 7건 학술지논문 1건이 발표되었는데 중소연구 (제24권 2호 2000)에 발표된 유재섭의 논문은 중국의 정보통신산업정책을 다룬 131) 은종학 중국 과학기술 역량에 대한 再考 : 新슘페터리안 관점 중소연구 제31권 2호 2007.; 은종학 중국 의 과학 역량에 대한 미시적 탐색: 학문적 리더십과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중국연구 제47권 2009. 131)
. : ( 2004) ( 2009). 6 1 4 2. 2007. 132) 2000 19 2 ( 2005) : ( 2006). 2 2. 5 19.. 133) ( 39 2007).. 134) 132) 41 2007. 133) 2002.; 李章源 : 31 2003.; 7 2006.; 9 1 2007.; 包茂宏 CHINA 3 2007.; 40 2007.; CO₂ 51 2010.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49 환경이슈에 잘 적응하고 있으며 이를 오히려 성장동력을 활용하고 있다는 관점이다. 한편 중국의 환경외교와 한 중 또는 동북아 환경협력을 다룬 연구들도 발표되었다. 이는 특히 중국의 황사문제에 대한 국내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 해서는 국제협력이 필요불가결하다는 논점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중국의 환경문제가 중 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현실적 쟁점으로 또는 녹색산업을 둘러싼 경쟁력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중국의 환경관련법제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김철의 중국의 환경 정보공개제도 ( 중국법연구 제7집 2007)와 강효백의 WTO협정에 따른 중국환경법제 의 현황과 문제점 ( 중국학연구 제46집 2008) 등 학술지논문 뿐만 아니라 노청석은 연세대 박사학위논문으로 환경행정소송의 소제기요건에 관한 연구: 한국법과 중국법을 중심으로 (2005)를 발표하고 최원영은 동아시아 지역환경형법의 연구 라는 제목으로 20 09년 청주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35) 제3절 중국의 한국학 연구논문 1. 사상 철학 사상 철학 종교 분야는 2000년 이전의 연구는 73건이며 2000년 이후에는 96건으로 23 건이 증가하였다. 총 169건 중 학술지에 147건 석사학위 논문에서 21건을 다루고 있으 며 박사학위논문은 2000년 이전에 발표된 단 1건에 불과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이 단 1건 에 불과한 이유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인문사상을 주제로 하여 학위 논문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론의 정립과 함께 상당한 학술수준이 요구되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 3-3-1>는 사상 철학 종교 분야 게재지 유형별 건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문학술지인 韓國硏究論叢 87건 韓國學論文集 60건으로 학술지 총 수량의 합 147건이 석 박사학위논문을 합한 22건보다도 약 7배가량 많은 수량임을 알 수 있다. 이혁구 중국 녹색산업의 현황과 평가 중국연구 제46권 2009.; 김동하 중국의 녹색 GDP 등장과 공무원 고과에 대한 영향 중국학연구 제50집 2009. 135) 문흥호 중국의 환경외교와 한중 환경협력 중소연구 제26권 4호 2002.; 원동욱 황사문제와 동북아 환경협 력: 권력 이익 그리고 지식의 상호작용연구 중소연구 제27권 3호 2003.; 추장민 중국 산성비 규제에 관한 국 제협력전략 연구 현대중국연구 제5집 1호 2003.; 김인 중국의 환경문제와 한중 환경협력: 한중관계지수 연계 분석 중소연구 제30권 3호 2006. 134)
15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표 3-3-1> 사상 철학 종교분야 중국 한국학 연구논문의 게재지 유형별 건수 2000년 이전 2000년 이후 총계 구분 사상철학 종교 사상철학 종교 사상철학 종교 계 韓國學論文集 26 13 15 6 41 19 60 韓國硏究論叢 8 25 39 15 47 40 87 석사학위논문 0 0 18 3 18 3 21 박사학위논문 1 0 0 0 0 0 1 소계 35 38 72 24 105 62 169 가. 2000년 이전 2000년 이전의 사상 철학 종교 분야 주제를 다룬 전체 합은 총 73건으로 북경대학의 韓國學論文集 에 39건 복단대학 韓國硏究論叢 에 33건 박사학위논문 1건이 있으며 석 사학위논문은 단 1건도 보이지 않았다. 이 중 사상 철학 분야만을 보면 韓國學論文集 에 26건 韓國硏究論叢 에 8건 박사학위 논문 1건이 있었다. 사상 철학 분야의 논문들이 다루고 있는 구체적 주제들은 朱子學과 관련한 이퇴계 이율곡 사상을 다룬 내용이 14건 으로 가장 많았고 유교사상 연구와 유교의 전파를 다룬 논문 그리고 陽明學 등을 다룬 논문들도 일부 나타나 보였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論李退溪的天人之學 ( 韓國學論文 集 1992) 唐代儒學在新羅的傳播 ( 韓國學論文集 1995) 李退溪理學體系中的實學思 想 ( 韓國學論文集 1998) 中韓陽明學比較 ( 韓國學論文集 1998) 論李珥的理氣觀 ( 제6집 1999) 등을 들 수 있다. 2000년 이전에 유일하게 출현한 1건의 박 사학위논문은 한국 北學派의 주장과 사상을 다룬 韓國北學派思想研究 (浙江大學 1999) 이다. 종교 분야로 분류한 이 기간에 출현한 총 3건의 논문 중에는 복단대학 韓國硏究論叢 에 게재된 연구논문이 25건 북경대학의 韓國學論文集 13건으로 나타났다. 韓國硏究 論叢 에 게재된 논문 중에는 12건이 기독교와 관련한 논문이었으며 불교와 관련한 논문 은 단 1건도 없었다. 반면 韓國學論文集 에 게재된 13건 중 12건이 불교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단 1건만이 기독교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두 대학의 연구 학풍이 큰 대조를 이룬 다 할 수 있겠다. 기독교를 다룬 논문들 중에는 초창기 기독교의 전파로 끼친 당시 사회 적 영향과 관련하여 여성문제 인권문제 등을 다룬 연구논문이 여러 건 보였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論韓國基督教會在 三一 運動中的作用 ( 韓國硏究論叢 제4집 1998) 17~18 韓國硏究論叢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世紀漢文天主教典籍在朝鮮的傳播及其影響 ( 韓國硏究論叢 151 제5집 1998) 對 基督教與近 제6집 1999) 基督教和近代中韓婦女運動 ( 韓國 硏究論叢 제6집 1999) 등이 있다. 불교 주제를 다룬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華嚴宗東傳與 代中韓婦女運動 的評析 ( 韓國硏究論叢 中韓文化交流 ( 韓國學論文集 1995) 簡論崔致遠的佛教觀 ( 韓國學論文集 1995) 天臺 宗在日本和韓國的傳承與發展 ( 韓國學論文集 1999) 다룬 주제가 다수 보였다. 등을 들 수 있는데 불교의 전파를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의 사상 철학 종교 분야 연구는 2000년 이전과는 양적인 측면과 주제의 다 양성 측면에서 확연히 다름을 볼 수 있었다. 사상 철학 분야에 있어서 2000년 이전에 상 당부분을 차지했던 朱子學과 관련한 이퇴계 이율곡 사상을 다룬 내용이 2000년 이후에 도 12건 기타 유가사상을 다룬 주제가 6건으로 2000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일정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2000년 이후에는 이러한 주제 외에도 아주 다양한 주제가 새 롭게 연구대상이 되었다는 점이 특색이다. 구체적인 주제들을 살펴보면 서경덕 연구 불 교철학 송시열 정약용 동학사상 연구 등이 2000년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주제들로 200 0년 이후에 새롭게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논문은 韓國硏究論叢 에 39건 韓國學論文 集 에 15건이 게재되어 있는데 2000년 이전에는 韓國學論文集 에 실린 수량이 많았지 만 2000년 이후에는 韓國硏究論叢 에 게재된 논문수량이 훨씬 많게 나타났다. 2개 대학 학술지에 게재된 대표적인 논문들로는 試論朱子學與李栗穀哲學 ( 韓國硏究論叢 제7집 2001) 尤庵宋時烈性理學思想淺析( 韓國硏究論叢 제11집 2004) 東學精神: 民族主體性 ( 韓國硏究論叢 제11집 2004) 論朝鮮李朝中期的道山之學( 韓國學論文集 2004) 粟穀 的理氣觀( 韓國學論文集 2005) 徐敬德哲學思想探源 ( 韓國學論文集 2009) 등을 들 수 있다. 석사학위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사상을 비교 연구한 논문이 다수 있었는데 대표적인 논문으로 張載和曹植哲學思想比較 (延邊大學 2007) 王廷相與徐敬德哲學比 較 (延邊大學 2007) 古代中韓佛教哲學中的圓融思想及其現代意義 (延邊大學 2007)로 저 자는 한국어와 중국어가 모두 가능한 교포로 추정된다. 또한 석사학위 논문 중에서는 주 목할 만한 3건의 논문이 보였는데 2건은 중국 농촌사회 발전에 있어 우리나라 새마을운 동 정신이 시사하는 바를 연구한 韓國新村運動對中國建設社會主義新農村的啟示 (西南大 學 2008) 蘇南城鄉一體化的現狀分析與路徑探索: 對比借鑒韓國新村運動經驗 (江南大學 과 한국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인물 형상들이 중국 여대생들 혼인관념에 끼치는 영 2009)
152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향과 대책을 연구한 韓劇對我國女大學生婚戀價值觀的影響及對策研究 (福建師範大學 20 09) 등도 보였다. 종교를 주제로 한 이 기간의 건수는 총 24건으로 불교를 다룬 주제 10건 기독교를 다 룬 주제 9건이 보였는데 기독교와 관련한 주제는 2000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한국과 중 국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끼친 영향을 주제로 삼은 논문이 여러 건 보였다. 불교 주제 또한 한국의 불교 전파와 발전을 다룬 주제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처음으로 혜초를 연 구한 논문도 1건이 보였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基督教在中韓傳播的比較與思考 ( 韓國硏 究論叢 제7집 2001) 基督教與近代中韓婦女習俗變革 ( 韓國硏究論叢 제7집 2001) 朝鮮 禪僧惟政與壬辰戰爭及戰後議和: 佛教僧侶與東方外交之個案研究 ( 韓國學論文集 2002) 唐代 赴印新羅來講求法僧事蹟考實:評新出兩種研究慧超 往五天竺國傳 的書 ( 韓國學論文集 2008) 등이 있다. 종교와 관련한 주제에 있어서 2000년 이전과 비교되는 점이 있다면 2000년 이 전에 보이지 않았던 종교 주제 학위논문이 2000년 이후 3건의 석사학위논문이 출현하였 다는 점이다. 이 중 1건은 불교 2건은 기독교를 다루고 있는데 논문 제목은 각각 韓國 佛教本土化之管窺 (延邊大學 2006) 韓國社會基督教認同研究 (東北師範大學 2007) 20 이다. 世紀七八十年代韓國基督教境外傳教曆史條件解析 (東北師範大學 2008) 2. 정치 연구범주에서 검색한 정치분야 연구논문 총 건수는 458건으로 2000년 이전에 83건에 불과하였던 것이 2000년 이후에 무려 4.5배가 증가한 375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률 남 북관계 외교를 주제로 한 논문의 숫자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게재지 유형별로는 학술지로 분류한 韓國硏究論叢 과 韓國學論文集 에 실린 연구논문 합이 3 07건 석사학위논문이 137건 박사학위논문이 14건으로 학술지에서 다룬 논문이 학위논 문 총 151건보다 2배가 넘게 나타났다. 이는 정치학이란 주제가 현안문제를 다루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학위논문보다는 학술지 논문이 더 많이 발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소주제 별로 살펴보면 외교가 163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정치행정 105건 한중관 계 6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 3-3-2>는 정치분야 게재지 유형별 건수를 나타 낸 것이며 <그림 3-3-1>는 연구논문의 주제별 추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모든 주제에서 20 00년 이후에 더 많은 증가가 있음을 한눈에 알 수가 있다.
3 < 표 3-3-2> 정치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게재지유형별건수 구분 2000년이전 2000년이후 총계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계 정치행정 19 3 0 20 59 4 39 62 4 105 법률 3 0 0 4 34 1 7 34 1 42 외교 23 0 0 117 17 6 140 17 6 163 군사 1 1 0 0 0 0 1 1 0 2 남북관계 2 1 0 13 17 1 15 18 1 34 한중관계 26 0 0 36 5 2 62 5 2 69 북핵문제 2 0 0 32 0 0 34 0 0 34 북중문제 2 0 0 7 0 0 9 0 0 9 계 78 5 0 229 132 14 307 137 14 458 < 그림 3-3-1> 정치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추이 22 19 3. 1990 1990. 論韓國的地方自治 ( 韓國硏究論叢 3 1997) 韓國政治革新的深層剖析 ( 韓國硏究論叢 3 1997) 韓國成功的政治因素 ( 韓國學論文集 1
998) 韓國政治轉型的成就與問題 ( 韓國硏究論叢 4 1998). 1 高麗與唐選舉制度比較研究 ( 韓國學論文集 1999). 1998 韓中國家公務員人力資源開發比較研究 ( 華東師範大學 1998) 論維新體制時期韓國官僚威權主義 ( 北京大學 1998) 試論韓國的政府主導型宏觀調控模式 ( 華東師範大學 1998). 3 韓國學論文集. 中國的改革開放與韓中法文化的抵觸 (1998) 從韓中行政程式法的制定看韓中行政程式法的異同 (1998) 韓國法律援助制度的現狀與課題 (1998). 2000 2000 2000 2. 明朝出兵參與平定壬辰倭亂緣起考 ( 韓國學論文集 1999) 美韓聯盟與韓國軍事獨立化傾向 ( 復旦大學 1998). 23.. 美韓外交和美國在遠東的戰略 : 兼析 1945~1969 年美國對韓政策之演變 ( 韓國硏究論叢 2 1996) 80 80 年代韓國反美主義初探 ( 韓國硏究論叢 3 1997). 關於 1905 年韓日締結 < 乙巳五條約 > 之不成立與無效問題 ( 韓國學論文集 1993) 論日本與朝鮮半島的關系 ( 韓國硏究論叢 4 1998). 調整中的韓國安全政策 ( 韓國硏究論叢 2 1996) 後冷戰時期亞太地區戰略格局的重組及其前景 ( 韓國硏究論叢 4 1998) 21 世紀東北亞新秩序與韓半島 : 以多邊安全協作體制為討論中心 ( 韓國學論文集 1999). 論 朝鮮策略 與近代朝鮮的對外開放 韓國對華政策的回顧與展望 ( 韓國硏究論叢 2 1996) 關於旅滿朝鮮人的歸化問題 (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55 등이 이 시기 외교 주제와 관련한 대표적 논문들이다. 남북문제를 다룬 논문은 3건이 있었는데 석사학위논문 聯合國中的大國與韓半島問題 (北京大學 1998)과 한반도의 통일문제를 다룬 東北亞戰略四邊形格局與朝鮮半島統一問 題 ( 韓國硏究論叢 제3집 1997)가 대표적 논문이다. 2000년 이전의 정치분야 중에서는 한중관계를 다룬 주제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학 위논문은 없고 학술지에만 26건의 논문이 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논문은 대부분 한중관 계의 역사를 연구한 것이었으며 1992년 수교이후의 한중관계를 언급한 논문은 단 2건에 불과했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1992년 비록 한중수교가 성립되었지만 정치적 외교적 으로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기피하는 현상이 지속되는 듯하였다. 한중관계의 역사를 다룬 논문들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고려시대 조선시대와 중국의 당대 원대 명대 청대시기와의 친선관계를 다룬 논문이 많았다. 대표적인 논문으로 李 鸿章与朝鲜(1870-1894年) ( 韓國硏究論叢 제1집 1995) 10世纪中叶到11世纪初北宋与高 丽王朝的友好关系 ( 韓國硏究論叢 제1집 1996) 朝鲜 壬午兵变 与中韩关系述论(上) ( 韓 國硏究論叢 제2집 1996) 高宗朝丽蒙关系考述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先秦時期 韓國學論文集 1999) 中朝關係問題初探 ( 韓國學論文集 1992) <高麗史>中的中韓關係研究 ( 韓國學論文集 1 995) 中韓關係史研究的歷史回顧與展望 ( 韓國學論文集 1997) 등이 있다. 1992년 수교이 후의 한중관계를 반영한 논문으로는 冷戰後亞太國際關係格局與中韓關係 ( 韓國學論文集 1997) 21世紀的東北亞國際新秩序與中韓關係的發展 ( 韓國學論文集 1997)이 있는데 한중수교로 인한 동북아의 새로운 국제질서를 전망하거나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교류 및 친선교류 측면을 강조한 논문이라 볼 수 있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의 정치행정 분야 논문 83건 중에 20건만 학술지 논문이고 나머지는 석사 학위논문 59건 박사학위논문 4건으로 단연 학위논문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먼저 학술 지 논문을 살펴보면 수량은 2000년 이전과 차이가 없지만 2000년 이전보다는 좀 더 다양 한 주제를 갖고 쓴 논문들이 보였다. 예를 들자면 한국의 사회문제를 다룬 주제 한국의 민주화와 민족주의를 다룬 주제 정당문제 역대 대통령의 평가와 정책을 연구한 주제 등 2000년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주제들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논문들을 보면 한 국 사회의 부패현상과 대책을 다룬 韓國社會的腐敗現象及其對策 ( 韓國硏究論叢 제10 집 2003) 민족주의와 민주화운동 과정을 다룬 韓國民族主義研究的概念化及其運用 ( 韓
國學論文集 2001) 韓國民主化的長征歷程 : 中斷與持續 ( 韓國學論文集 2001) 公民社會運動與韓國的民主發展 ( 韓國學論文集 2009) 金大中政治思想與韓國政黨政治的轉型 ( 韓國硏究論叢 8 2001) 試析李承晚時期韓國政黨變遷的過程與特征 ( 韓國硏究論叢 14 2007) 盧武鉉政府的政治改革 ( 韓國硏究論叢 19 2008). 1988 關於漢城奧運會與韓國政治轉型的關係問題 ( 韓國學論文集 2008) 北風 試析 北風 對韓國政黨體系變遷的影響 ( 韓國硏究論叢 16 2007). 2000.. 金融危機後韓國政府實施的企業結構調整及對我國的借鑒 ( 廈門大學 2000) 從 主導到引導 : 韓國大企業集團發展過程中的政府作用分析 ( 複旦大學 2000) 政府在韓國經濟發展中的作用 ( 青島大學 2005) 中韓行政機構改革的比較研究 ( 山西大學 2006) 世紀之交的中韓行政體制改革比較研究 ( 河南大學 2006) 中韓政府績效管理的現狀 特點與比較研究 ( 浙江大學 2007) 韓中專門行政監督機構比較研究 ( 雲南大學 2009) 公共組織績效管理運營方案研究 : 以韓國首爾市政府 市民評價制 爲案例 ( 山東大學 2009) 韓國青年失業問題及對策研究 ( 南開大學 2007) 中韓老年人口健康比較研究 ( 浙江大學 2008) 韓國社會保障建設對我國的啟示 ( 山東大學 2008) 韓國政治文化研究 ( 複旦大學 2005) 論韓國市民團體參與環境行政管理 ( 上海交通大學 2006) 政府主導下的鄉村發展 : 韓國新村運動研究 ( 華中師範大學 2006) 政府主導下的城鄉統籌發展 : 韓國 新村運動 對我國新農村建設的借鑒 ( 山東大學 2008). 4 韓國現代化進程中的國際因素 ( 山東大學 2002) 韓國政黨體系變遷動因與模式研究 ( 複旦大學 2009) 韓國政治轉型中的政黨政治研究 ( 山東大學 2009). 2000 3 39 4 34 1.
3 從高麗朝的刑罰制度看中國古代法律文化的影響 ( 韓國學論文集 2001) 朝鮮王朝的刑罰制度與中國古代法律文化的關係 : 以 經國大典 和 續大典 為中心 ( 韓國學論文集 2002). 34. 中韓勞動爭議處理制度的比較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4) 中韓正當防衛制度比較研究 ( 華東政法學院 2005) 中韓金融控股公司法律制度比較研究 ( 複旦大學 2007) 中韓住宅所有權法律制度比較研究 ( 延邊大學 200 7) 中韓租賃制度比較研究 ( 延邊大學 2007) 中韓兩國網絡犯罪比較研究 ( 大連海事大學 2009). 中韓扣押船舶制度比較研究 ( 大連海事大學 2006) 韓國船員法研究 ( 大連海事大學 2008) 中韓商標權及其糾紛解決機制比較研究 ( 西北大學 2008) 知識產權刑法保護的中韓比較研究 ( 中國海洋大學 2008) " 韓國違憲審查制度研究及啟示 ( 東北大學 2006) 從民主制度及違憲審查的發展解析韓國的憲政曆程 ( 延邊大學 2006) 淺析韓國違憲審查制度 ( 山東大學 2009). WTO 在 WTO 體制下中國商業秘密保護立法研究 : 以與德 美 韓國等法制比較研究爲中心 ( 武漢大學 2003). 140... 韓國外交政策的發展過程及其變遷原因 ( 韓國學論文集 2001) 邁向和平繁榮的東亞時代 : 對東北亞安全合作的幾點思考 ( 韓國學論文集 2004) 21 世紀東北亞和平與發展 ( 韓國學論文集 2004) 東北亞局勢分
析與東北亞和平共同體展望 ( 韓國學論文集 2005) 關於東北亞和平安全機制的建立 ( 韓國學論文集 2007) 論朝鮮半島與周邊大國關系形態及其特征 ( 韓國硏究論叢 14 2 007) 冷戰後俄羅斯的朝鮮半島政策演變析論 ( 韓國硏究論叢 16 2007) 東北亞安全合作機制與六方會談 ( 韓國硏究論叢 16 2007) 朝鮮半島安全機制中的觀念問題 ( 韓國硏究論叢 16 2007) 國際政治視野中的東北亞能源戰略合作 ( 韓國硏究論叢 16 2007). 對東北亞多邊安全合作機制的考察 兼析韓國的觀點 ( 複旦大學 2000) 冷戰後韓國的東亞地區合作政策研究 ( 山東大學 200 7) 論冷戰後韓國的東北亞外交政策 : 從盧泰愚時期到盧武鉉時期 ( 山東大學 2009) 評析盧武鉉時期的 均衡外交 ( 遼寧大學 2009) 朝鮮半島危機與中美關系 ( 中共中央黨校 2004) 韓半島和平機制建設研究 : 兼論中國的外交作用 ( 外交學院 2005) 東北亞多邊安全合作機制考察 : 以韓國爲視角的研究 ( 華東師範大學 2007). 2000 美韓同盟趨於弱化 ( 韓國學論文集 2005) 李明博政府執政後的韓美關係 ( 韓國學論文集 2008) 試析韓國第一共和國時期外交政策與韓美關系 <1948~196 0> ( 韓國硏究論叢 15 2007) 美國對韓政策的初步建構 <1953~1961> ( 韓國硏究論叢 16 2007). 美韓同盟 : 從冷戰到新世紀 ( 外交學院 2004) 試析冷戰後韓美關系的現狀和走向 ( 武漢大學 2005) 冷戰後韓美關系中的朝鮮因素 ( 南開大學 2007) 冷戰後美韓同盟關系的調整 ( 內蒙古民族大學 2009) 冷戰以來朝鮮半島局勢的演變與駐韓美軍的未來 ( 複旦大學 2004) 冷戰後的美國朝鮮半島政策析論 ( 中共中央黨校 2006). < 韓日關係基本條約 > 與朝鮮半島問題 ( 韓國學論文集 2005) 從國際法角度解析韓日 獨 / 竹島 歸屬問題 ( 韓國硏究論叢 14 2007) 60 試論 20 世紀 60 年代韓國外交與韓日邦交正常化 ( 韓國硏究論叢 17 ) 論韓國金大中政府的對日政策 ( 青島大學 2009) 美日韓安全三角 ( 外交學院 2005). 黃遵憲的 朝鮮策略 對舊韓末政局的影響 ( 韓國學論文集 2001) 朴正熙外交政策對韓國經濟發展的影響 ( 韓國學論文集 2004)
3 北方外交的成功實施及其原因 ( 韓國學論文集 2005) 淺析韓國政府的華僑政策 : 以 1948~1992 年間對華僑政策為中心 ( 韓國學論文集 2008) 韓國環境外交解析 ( 青島大學 2007) 韓國對歐盟外交政策分析 ( 華東師範大學 2008). 3 6. 陽光政策的本質和評價 ( 韓國學論文集 2002) 朝鮮半島統一問題與周邊大國 ( 韓國硏究論叢 9 2002) 朝鮮半島南北雙方統一政策演變和南北關系 ( 韓國硏究論叢 10 2003) 朝鮮半島和平統一與台海兩岸和平統一問題比較研究 ( 韓國硏究論叢 10 2003) 朝鮮半島統一模式略議 ( 武漢大學 2004) 2000. 試析盧武鉉政府的 和平繁榮政策 ( 韓國硏究論叢 17 2007) 試析李明博政府的對朝政策 ( 韓國硏究論叢 19 2008) 朝韓經濟合作在朝鮮半島統一中的作用 ( 青島大學 2008) 北朝鮮經濟對中國的依賴性上升的原因與韓國 - 北朝鮮經濟合作的發展方向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6) 冷戰後韓國對朝政策研究 ( 吉林大學 2005). 南北雙方 2000 ( ). 2003 2000 2 2000 34. 朝鮮核問題的由來與發展 ( 韓國學論文集 2004) 6 朝鮮半島核問題與六方會談 ( 韓國學論文集 2004) 朝核問題六方會談再認識 ( 韓國學論文集 2005) 朝鮮進行導彈試射和核子試驗的得與失 ( 韓國學論文集 2006)
16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관련하여 북미관계를 다룬 美國對第一次朝鮮核危機的應對政策 ( 韓國硏究論叢 제12집 2006) 美國核威脅在朝鮮核選擇中的作用 ( 韓國硏究論叢 제14집 2007) 美國應對朝核 問題的政策選擇分析及展望 ( 韓國硏究論叢 제17집 2007) 등이 대표적인 연구논문이다. 한중관계는 2000년 이후 학술지에 36건 석사학위논문 5건 박사학위논문 2건으로 대 부분 학술지를 통한 연구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논문으로 1992년 한중수교 이 후 10여년의 한중수교 성과와 회고 21세기 한중관계의 과제와 전망을 다룬 中韓建交十 周年回顧 ( 韓國學論文集 2002) 淺論21世紀東北亞和韓中關係的新典範問題( 韓國學論文 集 2003) 21世紀中韓協作關系的新展望( 韓國硏究論叢 제9집 2002) 十五年來中韓關系 제16집 2007) 中韓關系正在健康發展 ( 韓國硏究論叢 제12집 2006) 建交後的中韓關系 (武漢大學 석사 2004) 論韓中關系的發展與前景 (天 津師範大學 박사 2007) 등이 있으며 한중관계의 역사를 다룬 논문으로는 影響高麗與蒙 古帝國早期接觸的幾點外部因素 ( 韓國硏究論叢 제14집 2007) 元朝與高麗的文化交流 ( 韓國硏究論叢 제19집 2008) 大韓帝國與中國的外交關系1897~1910 (複旦大學 박사 200 4)가 있었다. 2000년 이후의 한중관계 연구의 특징은 2000년 이전의 역사 중심 연구를 탈 피하여 수교이후에는 현재의 당면한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 이전과 다른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북중관계 주제는 2000년 이후 총 7건이 있는데 대부분 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을 다 룬 주제이다. 북중 변경무역을 다룬 北黃海經濟帶 開發開放與中朝邊境經濟合作發展分 析 ( 韓國學論文集 2009) 북한의 경제 현황과 개혁문제를 다룬 朝鮮的經濟現狀及其改 革趨向 ( 韓國硏究論叢 제11집 2004) 북중 경제관계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한 中朝經 貿關系的現狀與課題 ( 韓國硏究論叢 제20집 2009) 등이 있었다. 發展的回顧與瞻望( 韓國硏究論叢 3. 경제 경제분야는 연구범주 대분류 항목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주제이다. 1980년대 초 역사 문화 어학 중심의 순수학술 분야 연구로 출발한 중국의 한국학 연구 가 1980년대 후반 특히 한중수교를 전후하여 경제분야에서 가장 비약적인 성과가 나타 난다. 연구논문 수량에서도 말해주듯이 총 건수는 552건 그 중 2000년 이전 연구가 71건 2000년 이후 연구가 무려 481건으로 약 7배의 증가를 보였다. 게재지 유형별로는 학술지 에 65건 석사학위논문 461건 박사학위논문 26건으로 경제분야에 있어서는 단연 학위논 문이 많게 나타났다. 아래 <표 3-3-3>은 경제분야 게재지 유형별 건수를 나타낸 것이며
3 < 3-3-2> 2000 2000. 197. < 표 3-3-3> 경제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게재지유형별건수 구분 2000년이전 2000년이후총계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계 경제일반 17 4 1 18 62 3 35 66 4 105 기업경영 1 9 0 2 78 7 3 87 7 97 무역투자 8 11 0 10 156 12 18 167 12 197 금융재정 1 11 0 4 61 1 5 72 1 78 기타 1 7 0 3 62 2 4 69 2 75 계 28 42 1 37 419 25 65 461 26 552 < 그림 3-3-2> 경제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추이 2000 17 5.. 韓國經濟增長方式轉換初探 ( 韓國硏究論叢 4 1998) 中韓經濟增長模式之比較研究 ( 東北大學 1996) 韓國政府與韓國經濟騰飛 ( 韓國學論文集 1997) 論韓國經濟增長中的政府行爲及其作用 ( 天津財經學院 1997) 韓國經濟發展中的政府行爲
研究 ( 湖北大學 1999). 朴正熙政權的農村經濟開發政策研究 ( 韓國硏究論叢 3 1997) 論韓國經濟結構性矛盾及其企業的結構調整 ( 韓國硏究論叢 6 1999) 韓中經濟發展的主要原因與儒教思想的影響 ( 韓國學論文集 1998) 韓國國家創新體系及技術進化 ( 清華大學 1999). 1 9 韓國企業開拓中國市場的戰略研究 ( 西安交通大學 1997) 韓國企業對華開拓內銷市場的營銷戰略 : 以流通消費市場爲中心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1999) Posco 浦項制鐵公司的形成及其管理經驗 ( 韓國硏究論叢 3 1997) LG 韓國 LG 電子家電產品在中國地區的經營現狀與前景分析 ( 上海交通大學 1999). ( ) 中韓國有企業比較研究 ( 清華大學 1997) 論韓國企業集團形成和發展中的產業政策 ( 複旦大學 1998). 8 11.. 韓國對外投資現狀及發展起趨勢 ( 韓國學論文集 1993) 我國擴大對韓國經濟貿易策略研究 ( 湖南大學 1993) 韓中對外貿易管理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1999) 關於韓國企業對中國市場投資若幹問題的研究 ( 東北財經大學 1996) 韓國對華直接投資研究 ( 東北財經大學 1998) 韓中對外貿易管理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1999). 韓國對華投資展望 ( 對外經濟貿易大學 1999) 世紀之交的韓印經貿關系 : 現狀與未來 (( 韓國硏究論叢 5 19 98) 當代韓國與墨西哥經濟發展戰略比較研究 ( 韓國硏究論叢 6 1999).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63 나 소개 성격이 강한 연구가 많았다. 따라서 전반적 학술수준은 아직까지 깊이를 가졌다 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금융재정 주제는 학술지에 1건 석사논문에서 11건을 다루고 있다. 이 시기의 금융재정 주제는 크게 2가지의 주제로 압축할 수 있는데 1997년 한국의 금융위기 발생이전까지는 은행 주식시장을 다룬 주제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금융위기가 발생한 후로는 한국의 금 융위기 발생의 근원을 분석한 논문이 많이 보였다. 대표적인 논문을 살펴보면 한국 증권 시장의 국제화 및 중국정부의 대책을 다룬 韓國證券市場國際化及我國政府對策 (中南工 業大學 석사 1994) 한일 그리고 대만의 증권시장 국제화를 비교 연구한 日本 台灣 韓國 證券市場國際化比較研究 (遼寧大學 석사 1994) 한중 은행제도를 비교 연구한 韓 中銀行 制度比較研究 (上海財經大學 석사 1998) 등이 있다. 한국 금융위기를 반영한 연구논문은 1998년 이후에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연구논문으로 한국 금융위기가 중국에 주는 교훈을 다룬 韓國金融危機及其對中國的啟示 (上海財經大學 석사 1998) 한국 금융위기 발생 근 원 분석과 중국 금융위험 예방책을 다룬 論韓國金融危機的根源及我國金融風險的防範 (陝西師範大學 석사 1999) 論韓國金融危機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1999) 등이 있다. 경제분야 기타 주제로는 위의 주제 분류법에 의한 분류가 애매한 공업 여행업 농업 산업기술 등을 기타 주제로 분류하였는데 대표적인 논문으로 한국 여행업의 발전문제를 다룬 韓國旅遊業何以獲得飛速發展 ( 韓國硏究論叢 제6집 1999) 한국의 농업과 농촌발 전을 다룬 韓國農業和農村發展的初步研究 (東北師範大學 석사 1993) 한중 산업기술 정 책을 비교 연구한 韓中產業技術政策比較研究 (東北大學 석사 1996) 한중 전신업무 발 전을 비교 연구한 中 韓電信發展比較研究分析 (北京郵電大學 석사 1998) 등을 들 수 있 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 경제일반은 학술지에 18건 학위논문에서 65건을 다루고 있다. 연구논문 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은 한국의 산업구조 기업구조 실업문제 현대화와 공업화 등 경 제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제구 조 산업구조 문제를 다른 論韓國經濟的結構調整及政策設計 (複旦大學 석사 2000) 知 識經濟下韓國產業結構面臨的挑戰 ( 韓國硏究論叢 제7집 2001) 韓國產業結構調整與經 濟增長的關聯分析 (遼寧大學 석사 2006) 韓國產業結構變遷動因分析 (南開大學 석사 2 007) 한중 IT산업 합작방안을 다룬 中韓IT產業合作方案研究 (上海交通大學 석사 2001)
韓國移動通信產業進入中國市場的戰略分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6) 中日韓三國文化產業競爭力研究 ( 南京農業大學 2008) 韓國影視文化產業發展分析 ( 遼寧大學 2009) 中韓兩國中小企業扶持政策及其實施效果的比較研究 ( 複旦大學 2006) 韓國失業問題的深層原因剖析 ( 韓國硏究論叢 15 2007) 韓國工業化曆程及其啟示 ( 韓國硏究論叢 13 2006) 韓國現代化模式 : 產業化與民主化並駕齊驅 ( 韓國硏究論叢 15 2007). 信用卡產業的政府規制問題研究 : 以韓國爲例 ( 南開大學 2007) 韓國信息產業發展過程中政府作用的演變 ( 北京郵電大學 2006) 關於營銷溝通中的人際溝通 : 中韓消費者態度比較研究 ( 複旦大學 2006) 韓國與中國住宅政策的宏觀比較 ( 上海財經大學 2006). 3. 韓國產業政策研究 ( 遼寧大學 2001) 中韓產業技術政策及其社會文化背景比較研究 ( 東北大學 2002). 2000. 2 85.. 26 LG POSCO S K ( ) SDI LG. 大宇重工業煙台有限公司信用銷售政策的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1) 韓國三星 (SAMSUMG) 公司企業文化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4) POSCO 本鋼浦項冷軋薄板有限公司市場營銷戰略研究 ( 東北大學 2004) LG LG 電子企業文化在中國成功本土化研究 ( 南開大學 2005) 韓國汽車產
3 業進入中國的本土化戰略 : 現代汽車公司進入中國的成功案例分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7). 韓國企業經營體制論析 ( 韓國學論文集 2004) 韓國大企業集團結構調整探析 ( 延邊大學 2000) 論韓國企業集團結構調整 ( 東北財經大學 2001) 韓國大型企業結構調整問題研究 ( 哈爾濱工業大學 2002) 在華韓資企業文化的本土化研究 ( 東南大學 2006) 中韓企業文化比較研究 ( 遼寧科技大學 2007) 韓國 R&D 投入與發展研究 ( 長安大學 2008) 在華韓資中小企業人力資源管理現狀問題的分析與改進的探討 ( 上海財經大學 2008) 在華中小韓資制造業企業的跨文化管理研究 ( 上海財經大學 2008). 中韓企業管理比較的借鑒與啟示 ( 複旦大學 2003) 韓國流通企業進入中國市場的戰略研究 ( 華中科技大學 2003). 2000 178. 10 12 156. 2000. WTO FTA. 韓國企業來華投資中的問題及對策分析 ( 山東大學 2000) 中國入世後韓國企業對中國投資發展戰略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2) 韓國企業對華直接投資研究 ( 浙江大學 2002) 韓國對中國投資的貿易效應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3) 韓國對中國直接投資問題研究 ( 複旦大學 2004) 中國對韓國直接投資的現狀及策略分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5) 韓國對華直接投資對中韓貿易的影響研究 ( 北京工業大學 2009). 中韓經濟貿易合作與自由貿易區的前景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3) 中韓經貿合作關系探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3) 中韓經貿合作關系的回顧與前瞻 ( 中國海洋大學 2004) 中韓兩國合作推進雙邊自由貿易區問題探討
( 遼寧師範大學 2009). 關於中國西部大開發與韓國對華投資的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2) 山東半島與日韓經貿合作研究 ( 山東師範大學 2006) 韓國對青島直接投資發展趨向分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7) 威海與韓國經濟合作發展的戰略研究 ( 山東大學 2007). 中韓產業內貿易研究 : 以資本和技術密集型產品貿易爲例 ( 北京師範大學 2007) 中韓機電產品貿易淺析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7) 中韓鋼鐵業產業內貿易分析 ( 遼寧大學 2009) 韓國影像產業的中國市場擴展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9). WTO FTA. WTO 中國加入 W TO 對韓國企業出口的影響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2) 中韓加入 WTO 後農業保護政策比較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4) 中國加入 WTO 後韓國企業在中國投資的戰略研究 ( 上海財經大學 2007) FTA FTA 韓 - 中 FTA 的經濟效果與前景展望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 7) 韓中 FTA 對韓中貿易的影響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9) FTA 韓中 FTA 的預期影響及韓國的對策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9). 中韓外國人直接投資法比較研究 ( 中國社會科學院 2 002) 中國外商投資企業法律制度及其完善 : 與韓國外國投資法的比較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4) 中韓自由貿易區的可行性及預期經濟效應研究 ( 山東大學 2008). 2000 I MF 2005. 2000 2000 IMF 2000.. 韓國金融危機之後的對策及其啟示 ( 湖北大學 2001) 韓國銀行業結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構調整評價及其啟示 (上海財經大學 167 석사 2003) 韓國金融體系改革及其對我國的啟示 (中 석사 2005) 석사 2003) 金融危機後韓國銀行業重組機制對中國的啟示 (中國 海洋大學 석사 2006) 등이 있다. 이밖에 금융위기 10년 후의 한국경제 현황과 전망을 다 룬 金融危機10年後的韓國經濟現狀及前景 ( 韓國硏究論叢 제19집 2008) 한국 신용카드 산업의 위기를 다룬 解析韓國信用卡產業危機 ( 韓國硏究論叢 제12집 2006) 보험업과 관련한 주제를 다룬 中韓保險市場比較研究 (天津財經學院 석사 2003) 中韓保險業競爭 力分析及韓國企業在華發展對策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2006) 등이 있으며 한중 증권 사의 조직과 구조를 비교한 中韓兩國股份有限公司組織機構的比較研究 (天津大學 석사 2007) 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투자행태를 분석한 韓國股票市場上外國投資者的投 資業績與投資行爲分析 (上海交通大學 석사 2009) 한중 회계원칙을 비교 연구한 中韓會 計准則及國際會計准則比較研究 (中南大學 석사 2007) 中韓兩國會計准則國際化及其障 礙比較研究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2007) 한국의 금융감독제를 다룬 韓國的銀行監管 體系及其借鑒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2009) 등이 있다. 기타 경제분야의 주제로는 관광산업을 다룬 주제 농업경제를 다른 주제 공업기술을 다룬 주제 등을 들 수 있는데 대표적인 논문으로 관광산업과 관련하여 한국 관광산업 발 전을 다룬 韓國旅遊業的發展及其借鑒 (延邊大學 석사 2002) 한국 여행사의 국제경쟁력 을 연구한 韓國旅行社國際競爭力研究 (山東大學 석사 2005) 경주 및 수원 화성지구를 예를 들어 한국 문화유산 관광지를 연구한 韓國世界遺產旅遊開發研究: 以慶州 水原華城 地區爲例 (北京第二外國語學院 석사 2006) 등이 있다. 농업경제를 다룬 주제로는 한국 인삼산업의 국제경쟁력 전략을 연구한 韓國人參產業的國際競爭戰略研究 (對外經濟貿易 大學 석사 2004) 中韓農產品競爭優勢比較及貿易潛力分析 (沈陽農業大學 석사 2007) 등이 있으며 물류산업을 다룬 現代物流與產業結構關系研究: 基於美國 中國 日本和韓國 的研究 (浙江大學 석사 2005) 등이 있다. 공업경제를 다룬 주제로는 한국철도공사의 지 식관리 시스템을 연구한 韓國鐵路公司知識管理研究關於執行和增進 (上海交通大學 석사 2005) 한국과 중국의 조선업 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中國和韓國造船產業競爭力對比分析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2007) 등이 있다. 國海洋大學 4. 어문학 어문학 분야는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다루기 시작한 분야 이기도 하다. 어학은 2000년 이전에는 어학학습을 위한 단행본 교재 출간이 주류를 이루
2000. 2000 20 2000 326. < 3-3-4> 346 61 385. < 3-3 -3> 2000 10 3 2000 50 57. 20 00 7 2000 239. < 표 3-3-4> 어문학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게재지유형별건수 구분 2000년이전 2000년이후총계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계 어학 4 3 0 12 201 19 16 204 19 239 고대문학 10 0 0 20 14 6 30 14 6 50 현대문학 3 0 0 12 35 7 15 35 7 57 계 17 3 0 44 250 32 61 253 32 346 < 그림 3-3-3> 어문학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추이 2000 20.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69 그 중 고대문학을 다룬 주제가 10건으로 가장 많고 어학 4건 현대문학 3건으로 나타났 다. 어학을 다룬 논문으로는 한중 번역에 있어서의 관형어 처리문제를 연구한 韓譯漢中的 定語處理研究 (北京語言學院 석사 1996)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어려운 발음 과 교정 방법을 다룬 韓國人學習漢語時難發的音及其糾正方法 (北京語言文化大學 1997) 훈민정음과 중국 음운학을 다룬 訓民正音 與中國音韻學 ( 韓國學論文集 1999) 등이 있었다. 고대문학을 주제로 다룬 논문으로는 이퇴계와 주희 도연명의 시문을 비교 연구한 詩的 理學詮釋:評 朱熹與李退溪詩比較研究 ( 韓國學論文集 1993) 從退溪詩看李退溪與陶淵明 ( 韓國硏究論叢 제6집 1999) 박지원의 열하일기 와 문학가로서의 박지원을 다룬 讀朴 趾源 熱河日記 ( 韓國學論文集 1997) 出的思想家小說家和詩人朴趾源 ( 韓國硏究論叢 제6집 1999) 김택영과 명대 당송파 문인 귀유광의 문학사상을 비교 연구한 金澤榮文學中 的中國文人思想考察 ( 韓國學論文集 1998) 歸有光與金澤榮的文學思想比較 ( 韓國學論文 등이 있었다. 현대문학 주제의 학술논문으로는 한중 현대작가의 작품을 비교한 논문이 있었는데 중 국 현대작가 소홍과 항일시기의 여류작가 강경애의 소설창작을 비교 연구한 肖紅和薑敬 愛的小說創作比較 ( 韓國學論文集 1998) 중국현대작가 심종문의 소설 변성 과 한승원 의 흑산도 를 비교한 邊城 與 黑山島 的比較研究: 以成長小說觀點為中心 ( 韓國學論文 集 1998) 등이 있었다. 集 1999)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의 어문학분야는 급속한 증가세를 보인다. 특히 어학 주제에 있어서 석사 학위논문에서만 201건을 다루는 등 2000년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수량의 증가가 있었다. 이는 2000년 이후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 학습자가 그 만큼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는 부 분이기도 하다. 어학 주제는 학술지 12건 석사학위논문 201건 박사학위논문에서 19건을 다루고 있다. 수량 면에서 석사학위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가 이 부분에서 주 목할 만한 것은 지금까지의 연구대상 범주 내에서 박사학위논문이 한 주제에서 10건 이 상을 다룬 주제가 없었는데 유일하게 어학 주제에서 19건을 다루고 있는 점은 특이 사항 이라 할 수 있겠다. 구체적으로 다룬 주제를 살펴보면 한중 한자를 비교해서 다룬 것 한
. 韓漢兩種語言中漢字詞的比較 ( 北京語言文化大學 2000) 中韓漢字比較研究 ( 山東大學 2001) 老乞大 朴通事 作爲外語教材的熟語 修辭特點 ( 天津師範大學 2002) 古本 老乞大 代詞和助詞研究 ( 華中科技大學 2003) 老乞大 四種版本語言研 ( 中國社會科學院 2000) 韓國學生初級詞偏誤分析 ( 四川大學 2005) 韓國人學習漢語語音的偏誤分析及其對策 ( 華中師範大學 2007) 韓國留學生句群偏誤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9) 韓國人學習漢語語法偏誤分析 ( 西北大學 2009) 中韓成語比較研究 ( 山東大學 2005) 中韓成語俗語中動物象征意義的對比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6) 中韓四字成語比較研究 ( 山東大學 2009) 韓國孔子學院項目開發及設計研究 ( 山東大學 2008). 韓中禁忌語比較研究 ( 複旦大學 2007) 爲對象的韓國語敬語教學法研究 ( 山東大學 2008). 李白 杜甫對韓國古代詩歌的影響 ( 韓國學論文集 2003) 中韓詩論比較舉隅 ( 韓國學論文集 2004) 韓 中兩國古代戲劇的考察 ( 複旦大學 2000) 從 西遊記 對 九雲夢 的影響看韓國小說的受容情況 ( 遼寧師範大學 2004) 李白對松江文學影響的比較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7). 新羅留學生與漢文學 ( 南京師範大學 2006) 崔致遠文學創作研究 ( 中央民族大學 2006) 朝鮮朝閨閣漢詩研究 ( 延邊大學 2007) 朝鮮言情漢文小說研究 : 以 春香傳 爲中心 ( 上海師範大學 2008)..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71 을 살펴보면 양계초와 신채호의 문학을 비교한 梁啟超與申采浩之文學比較 (延邊大學 석사 2006) 노신 현진건 이태준을 중심으로 한중 양국의 고향 을 소재로 한 소설을 비 교 연구한 中韓兩國 歸鄉 題材小說比較研究: 以魯迅 玄鎮鍵 李泰俊的 故鄉 小說爲中 心 (延邊大學 석사 2006) 가족을 주제를 한 파금의 가 와 염상섭의 삼대 을 비교 연 구한 30年代中韓家族小說的敘事比較: 以巴金的 家 和廉想涉的 三代 爲中心 (對外經濟貿 易大學 석사 2006) 오영수와 심종문의 생명주의 의식을 비교 연구한 吳永壽和沈從文小 說的生命主題意識比較研究 (中央民族大學 석사 2006) 김대핵(金大翮)의 계몽소설 예계 종 과 이해조의 자유종 속에 나타난 한중 여권의식을 비교 연구한 中韓啟蒙小說中的 女權意識比較: 以 女界鍾 與 自由鍾 爲中心 (對外經濟貿易大學 석사 2007) 욱달부와 김동인의 단편소설을 비교한 郁達夫和金東仁短篇小說之比較: 以主題意蘊和人物形象爲 中心 (延邊大學 석사 2007) 등이 있다. 한중 양국의 문학을 비교 연구한 학술논문은 연 변대학에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연변대학에 한국문학을 번역 소개한 중국어판 자료가 많고 대학원생 중에는 한중 언어가 모두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밖 에 1980년대 한중 여성작가들을 비교한 80年代中國與韓國女性作家比較論 (中國社會科學 院 석사 2002) 박완서의 장편소설을 연구한 朴婉緒成長小說 研究 (山東大學 석사 200 8) 한중 현대문학관의 형성을 비교 연구한 中韓現代文學觀念形成比較研究 (複旦大學 박사 2003) 1990년대 한중 여성작가들의 애정소설을 비교 연구한 二十世紀八 九十年代 中韓女性作家愛情小說比較研究 (山東大學 박사 2006) 등이 있다. 5. 문화 교육 예술 문화 교육 예술분야의 총 건수는 321건으로 2000년 이전에 60건 2000년 이후에는 약 6 배가량이 증가한 321건으로 나타났다. 그 중 문화일반 부분과 교육부분이 대등한 수량을 보였고 예술 체육 순으로 나타났다. 게재지 유형별로 보면 학술지가 110건 학위논문이 211건으로 학위논문의 수량이 학술지의 수량보다 2배가 많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표 3-3-5>는 문화 교육 예술분야 게재지 유형별 건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학술지는 2000 년 이전과 이후의 차이가 없지만 학위논문은 2000년 이전 단 4건에서 2000년 이후에는 2 07건으로 기하학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3-4>는 연구논문의 주제별 추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든 주제에서 2000년 이전보다는 2000년 이후에 많은 연구논문이 출현하였을 알 수 있다.
< 표 3-3-5> 문화 교육 예술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게재지유형별건수 구분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총계 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학술지석사박사계 문화일반 16 0 0 23 63 8 39 63 8 110 교육 37 1 1 28 43 3 65 44 4 113 체육 0 1 0 0 14 1 0 15 1 16 예술 3 0 1 3 68 7 6 68 8 82 계 56 2 2 54 188 19 110 190 21 321 < 그림 3-3-4> 문화 교육 예술분야중국한국학연구논문의주제별추이 2000 60 16 39 1 4. 16 韓國學論文集 15 韓國硏究論叢 1 16. 中韓文化交往史六題 ( 韓國學論文集 1992) 入唐新羅人與唐羅文化交流 ( 韓國學論文集 1996) 中韓歷史上的文化交流 ( 韓國學論文集 1998) 近代中韓文化交流史上的金澤榮 ( 韓國硏究論叢 5 1998) 韓國歲時節日的起源 : 特點和社會功能 ( 韓國學論文集 1995) 韓國民俗文化的歷史淵源及其特徵 : 以個案研究為中心 ( 韓國學論文集 1999) 韓國服飾的基本結構和傳統款式 ( 韓國學論文集 1998).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73 두 번째로 교육을 주제로 다룬 논문들을 살펴보면 총 39건 중 37건이 학술 논문지에 게재되어 있고 학위논문은 단 2건에 불과했다. 대표적 논문으로 한국학 연구 현황을 다 룬 國外韓國學研究動態 ( 韓國學論文集 1992) 當代韓國學析略 ( 韓國硏究論叢 제2 집 1996) 國際互聯網上的韓國研究 ( 韓國硏究論叢 제4집 1998) 한국의 인성교육 및 운영실태 사교육 문제 등을 다룬 韓國教育的運作 ( 韓國硏究論叢 제2집 1996) 私人 教育費 在韓國教育發展中的地位與作用 ( 韓國硏究論叢 제4집 1998) 韓國與中國人間像 教育比較 ( 韓國學論文集 1998)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비중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주제는 김준엽 선생의 한중교육교류에 있어서의 공로와 역할을 다룬 것으로 총 21건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개인의 공로에 대한 감사의 성격이 강한 부분이 많아서 본 연구에서 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이밖에 한중일 3국의 대학교 학생모집에 대한 내용을 다룬 日 韓兩國高校招生制度的改革及其對我國的啟示 (華中師範大學 석사 1998)과 한중 교사양성 교육을 비교한 中韓兩國教師教育比較研究: 教師教育與國家發展 (南京師範大學 박사 19 99) 등의 학위논문을 이 시기 교육을 주제로 다룬 연구논문으로 들 수 있다. 체육과 예술 부분은 2000년 이전에는 단 5건에 불과했는데 대표적인 논문으로 한국전 통무용을 다룬 韓國傳統舞蹈文化散論 ( 韓國學論文集 1994) 한국고대음악사를 다룬 中國正史中的韓國古代音樂史料概觀 ( 韓國學論文集 1999) 한국과 중국의 탁구 선수 중 펜 홀더 그립을 사용하는 선수의 공격기술 연구와 훈련방식을 분석한 對中國和韓國 直拍優秀運動員反手攻技術的研究及其訓練方法的探討 (北京體育大學 석사 1998) 한중 고대건축양식을 비교한 初探中韓兩國古代建築文化的比較與交流-以14世紀至19世紀爲主 (清華大學 박사 1997)이 있었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에 나타난 문화 교육 예술분야는 총 261건으로 문화 주제 94건 교육 74건 체육 15건 예술 78건으로 2000년 이전에 비하면 급격한 수량의 증가를 볼 수 있다. 문화를 주제로 한 논문을 살펴보면 이 기간에는 한국 드라마 영화가 본격적으로 중국 에 전파되면서 한류와 관련한 문화연구 주제가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총 94건의 문화 주 제 논문 중에서 한류와 관련한 학술논문이 41건이나 출현하였는데 이는 2000년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주제로서 2000년 이후에만 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대표적인 논문을 살펴보면 한중 대학생의 혼인관념과 패션에 대한 충동구매를 비교한 中 韓大學生性與婚 姻態度比較研究 (北京師範大學 2000) 中韓大學生服裝沖動購行爲比較研究 (蘇州大學 20
09) 韓流 與文化軟實力 : 以 < 大長今 > 等韓劇爲中心 ( 韓國硏究論叢 13 2006) 韓國文化產業在中國市場傳播的研究 : 以韓劇 < 大長今 > 爲分析對象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6) 韓劇 < 大長今 > 在中國熱播現象的美學思考 ( 中南民族大學 2007) 從儒家文化角度看韓國電視劇 ( 廈門大學 2006) 韓流洶湧 : 韓國家庭倫理劇研究 ( 四川師範大學 2007) 中韓當代家庭倫理電視劇比較研究 ( 蘇州大學 2008) 韓流 產業在中國的市場運作 ( 韓國硏究論叢 10 2003) 韓中文化產業合作研究 ( 對外經濟貿易大學 2006) 韓流 湧動的文化成因與市場運作 ( 山東大學 2007) 泡菜 (KIMCH I) 文化的民族學研究 ( 中央民族大學 2009). 韓國情色電影興盛的原因及其文化淵源初探 ( 廣播電視藝術學 2004) 中國端午節與韓國端午祭比較研究 : 以中國慶陽與韓國江陵爲個案 ( 西北民族大學 2007) 跨越千年的愛戀 : 韓國愛情電影研究 ( 南昌大學 2007) 中國儺戲與韓國假面劇比較研究 : 安徽省縞溪曹村與慶尚北道河回村的田野考察 ( 北京師範大學 2004).. 2000 46. 43 3. 韓國大學評價研究 : 以韓國大學教育協議會與 < 中央日報 > 的評價爲例 ( 北京師範大學 2005) 韓國現代高等教育分析與思考 ( 揚州大學 2006) 中韓高校教育評估的若幹問題思考 ( 天津大學 2006) 韓國高等教育大衆化的發展曆程及其啟示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7) 中韓職業教育比較的研究 ( 吉林農業大學 2006) 中韓職業教育比較與啟示 ( 山東大學 2007)
3 韓國專科大學人才培養模式研究 ( 遼寧師範大學 2009) 韓國幼兒個性發展研究 ( 遼寧師範大學 2005) 韓國 新村幼兒園 運動研究 1982 年 ~1991 年 : 以家長參與教育爲中心 ( 北京師範大學 ( 北京師範大學 2007) 在滬韓國幼兒園生活教育研究 ( 華東師範大學 2007) 中韓初中生道德教育比較研究 ( 遼寧師範大學 2005) 中韓兩國中小學信息技術教育開展情況的比較分析 ( 東北師範大學 2005) 韓國當代中小學道德教育發展研究 ( 廣西師範大學 2008). 韓國高中教育管理個案研究 ( 遼寧師範大學 2000) 中韓民辦 ( 私立 ) 高等教育比較研究 ( 南京理工大學 2006) 中韓研究生培養模式對比研究 ( 上海師範大學 2007) 中韓兩國教師教育比較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6) 中韓女性教育比較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7).. 3 90. 14 1. 中國與韓國冰壺運動後備人才培養的比較與分析 ( 東北師範大學 2005) 韓國跆拳道與中國武術競技項目的國際化發展對比研究 ( 北京體育大學 2005) 韓國職業足球對區域經濟發展的影響研究 ( 上海財經大學 2006) 中韓足球後備人才培養的比較研究 ( 東北師範大學 2009) 韓國武道館市場營銷分析及武術推廣方案研究 ( 湖南師範大學 2009). 3 68 7.. 林漢澤的電影世界 ( 中國藝術研究院 2000)
17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룬 黑色 的影像美學: 金基德電影影像美學分析 (山東大學 석사 2004) 역시 김기덕 감독 의 작품을 분석한 韓國制造: 金基德及其作品分析 (西南大學 석사 2006) 罪與美的世界: 金基德電影研究 (南京師範大學 석사 2006) 김기덕 감독의 비극영화를 연구한 金基德悲 劇電影研究 (華東師範大學 석사 2008) 이밖에 허태호 감독의 작품세계를 다룬 韓國電 影導演許秦豪藝術風格研究 (山東大學 석사 2007)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 의 폭력미 학과 사회비판정신을 분석한 朴贊鬱 複仇三部曲 的暴力美學與社會批判性分析 (上海大學 석사 2008) 등을 들 수가 있다. 건축예술로는 김수근의 건축을 다룬 韓國當代建築初探: 以金壽根爲例 (東南大學 석사 2006) 한중일 건축의 외부공간 전통미의 현대화 문제를 다룬 中 韓 日建築傳統美現代化比較研究: 外部空間爲主 (東南大學 박사 2005) 등이 있다. 미술로는 조선시대 화가 조희룡의 회화를 연구한 朝鮮後期畫家趙熙龍繪畫研究 (南京藝 術學院 박사 2007) 신사임당의 초충도 를 연구한 16世紀韓國申師任堂草蟲畫的再研究 (南京藝術學院 석사 2009) 김홍도의 화조화를 연구한 金弘道翎毛 花鳥畫研究 (南京藝 術學院 석사 2009) 등이 있었다. 이밖에 창덕궁 비원의 미학사상을 다룬 試論韓國昌德 宮秘苑的美學思想 (東南大學 석사 2006) 조선시대 민화의 회화적 특징을 다룬 朝鮮民 畫的繪畫特徵研究 ( 韓國學論文集 2006) 한중 예술교류와 추사 김정희를 다룬 韓中學 術與藝術交流的使者金正喜 (首都師範大學 석사 2002) 등이 있다. 6. 역사 지리 역사 지리분야는 총 219건으로 2000년 이전에 67건 2000년 이후에 152건이 발표되었 다. 그 중 역사가 218건 지리가 단지 1건으로 분류되어 두 분야 간의 추세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하겠다. 단지 제2장의 단행본 언급 시에 지리분야의 수량이 적지 않게 보였기에 지리를 포함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지만 연구논문은 단행본의 수량과 전혀 다 른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게재지 유형별로는 학술지가 172건 학위논문이 47건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역사라는 특수성 때문인지 학생이 저자인 학위논문보다는 현직에 종사하는 학자들이 주로 게재하는 학술지에 훨씬 많은 논문이 게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현재 중국에서 역사 분야를 연구하는 계층은 현직에 있는 한국학 전공 학 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겠다. <표 3-3-6>은 역사 지리분야 게재 지 유형별 건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2000년 이전 보다는 2000년 이후가 학위논문 보다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177 <표 3-3-6> 역사 지리분야 중국 한국학 연구논문의 게재지 유형별 건수 2000년 이전 구분 2000년 이후 총계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계 역사 66 1 0 106 37 8 172 38 8 218 지리 0 0 0 0 0 1 0 0 1 1 계 66 1 0 106 37 9 172 38 9 219 가. 2000년 이전 2000년 이전의 역사분야는 총 67건으로 학술지 66건 석사학위논문 2건이 전부이다. 이 기간의 역사 주제는 크게는 시대별 역사 일반을 다룬 주제와 독립운동 다룬 주제로 구분 할 수가 있다. 독립운동을 주제로 다룬 학술논문은 총 22건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해 복단대학 韓國硏究論叢 학술지에서 집중 다루어졌다. 역사분야의 대표적인 논문으로 최부의 표해록 의 학술가치를 다룬 漂海錄 學術價值再探 ( 韓國學論文集 1994) 崔 溥 漂海錄 價值再探析 ( 韓國學論文集 1997) 고려시대의 역사와 주변국과의 관계를 다 룬 高麗與蒙元的政治軍事關係 ( 韓國學論文集 1995) 恭湣王後期明高麗關係與明蒙戰 局 ( 韓國學論文集 1998) 高麗忠宣王西謫事件考析 ( 韓國硏究論叢 제3집 1997) 한 국역사와 관계되는 요동반도의 지석묘를 다룬 韓國和遼東半島的支石墓 ( 韓國學論文集 1995) 임진왜란 때 명나라 수군 도독으로 출전한 陳璘과 이순신을 비교한 陳璘與李舜 臣 ( 韓國學論文集 1995)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도 고조선 개국신화를 다룬 古朝鮮 開國神話考 ( 韓國學論文集 1999) 한중 역사 비교에 있어의는 문제점을 다룬 關於中韓 史學比較研究的若幹問題 ( 韓國硏究論叢 제1집 1995) 화교의 한국이주 역사를 다룬 旅韓華僑華人歷史分期初探 (韓國學論文集 1999) 등의 논문을 들 수 있다. 독립운동을 다룬 논문으로는 중국에서의 한국 독립운동 활동을 연구한 中國境內韓國反日獨立運動研 究綱要 ( 韓國硏究論叢 제1집 1995) 중일전쟁시기의 한국 임시정부를 다룬 論中日戰 爭期間的韓國臨時政府 ( 韓國硏究論叢 제1집 1995) 중국 국민당과 한국 임시정부의 관 계를 다룬 評中國國民政府對承認韓國臨時政府所持的態度 ( 韓國硏究論叢 제3집 199 7) 關於國民政府與韓國臨時政府關系的若幹思考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國民黨 派系政治與韓國獨立運動 ( 韓國硏究論叢 제4집 1998) 한국 임시정부와 중국 공산당과 의 관계를 다룬 論中國共產黨與韓國臨時政府的關系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한국 임시정부의 중국내 소재지를 다룬 韓國臨時政府上海舊址的由來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韓國臨時政府在陪都重慶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등이 있다. 이밖에 김구
17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선생의 피난처를 다룬 金九先生避難南北湖 ( 韓國硏究論叢 제4집 1998) 미국 외교문 서 중에 한국 임시정부와 관련한 사료를 다룬 美國外交文件中有關韓國臨時政府史料選 編 ( 韓國硏究論叢 제5집 1998) 등이 있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의 역사 지리분야는 총 152건으로 역사가 151건 지리가 1건을 다루고 있 다. 이중 역사 주제는 학술지에 106건 석사학위논문 37건 박사학위논문 8건이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단 1건인 지리 주제는 박사학위논문에서 다루고 있다. 이 기간의 역사 주 제를 다룬 학술논문도 2000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역사 일반을 다룬 주제와 독립운동을 다룬 주제로 양분할 수 있는데 독립운동을 다룬 연구논문은 40건으로 나타났다. 역사 일 반을 다룬 연구논문은 2000년 이전과 약간의 다른 점이 나타났는데 2000년 이전에는 고 대역사 연구가 대부분 이었지만 2000년 이후에는 근현대 역사를 포함한 연구범주가 확장 되었다는 점이 달랐다. 역사 일반을 다룬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중국의 태평천국의 난과 조선시대 동학혁명을 비교한 太平天國和韓國東學農民戰爭目標比較研究 ( 韓國硏究論叢 제15집 2007) 안중근 연구 ( 韓國學論文集 2009) 현대 한국의 중국역사 연구 상황 을 다룬 當代韓國的中國歷史研究50年 ( 韓國學論文集 2004) 고려말 전답제의 개혁과 사회적 효과를 다룬 高麗末期的田制改革及其社會效果 ( 韓國硏究論叢 제8집 2001) 일 제치하 시에 북경의 한인사회와 중경의 한국인을 다룬 日本侵略下的北平韓人社會研究 ( 韓國學論文集 2008) 抗戰時期重慶的韓僑研究 (西南大學 석사 2008) 3 1운동과 중국 의 5 4운동을 비교한 中國五四運動與韓國三一運動的比較 (湖南師範大學 석사 2007) 원 나라 때 고려의 조공제도를 다룬 元代高麗朝貢制度研究 (內蒙古師範大學 석사 2009) 등 이 있다. 이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연구논문으로 한국 신문의 중국 국공내전시기 보도 자료를 다룬 大韓民國成立至新中國成立時期朝鮮日報對中國內戰的報道研究 (四川大學 석사 2005) 중국의 아편전쟁을 지켜본 당시 조선 정부 관료들의 반응을 다룬 朝鮮君臣 對兩次鴉片戰爭的反應評述 ( 韓國學論文集 2007) 한나라 때의 한반도 통제를 고고학적 인 측면에서 다룬 考古學所見漢王朝在朝鮮半島的統治與經略 ( 韓國硏究論叢 제17집 2 007) 등이 있다.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연구논문 중에는 중국내에서 벌인 한국인의 항일운동을 다룬 내 용 한국 임시정부와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다룬 것 임시정부 구성원을 다룬 것 등이 있었다. 대표적인 논문을 살펴보면 중국내에서의 당시 한국인의 항일운동 활동을 다룬
제3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韓國人在中國東北的抗日獨立戰爭 ( 韓國硏究論叢 제7집 2001) 179 試論朝鮮義勇軍的抗 제7집 2001) 韓國光複軍在華東地區 (廣西師範大學 석사 200 7) 임시정부와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다룬 中國共產黨對韓國獨立運動的支持與協助: 以中國關內地區為中心 ( 韓國學論文集 2003) 손정도와 한국 독립운동을 다룬 孫貞道 與韓國獨立運動 ( 韓國硏究論叢 제8집 2001) 윤봉길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을 다룬 中 國人對尹奉吉事件的認識: 以媒體的報道爲中心 ( 韓國硏究論叢 제13집 2006) 김구와 중 국 공산당과의 교류관계를 다룬 金九與中國共產黨 ( 韓國硏究論叢 제15집 2007) 金九 與中國國民黨交往述論( 韓國硏究論叢 제15집 2007) 박은식과 한국 독립운동을 다룬 日宣傳 ( 韓國硏究論叢 朴殷植與韓國獨立運動: 紀念韓國臨時政府成立90周年暨朴殷植誕辰150周年 ( 韓國硏究論 제20집 2009) 등이 있다. 지리 주제를 유일하게 1건 다룬 논문은 관광지리 측면에서 한국의 국립공원과 중국 국 가중점 풍경지구 명승지를 비교 연구한 韓國國立公園與中國國家重點風景名勝區的對比 研究 (北京大學 박사 2005)가 있다. 叢 7. 과학 과학분야의 학술논문은 2000년 이전 3건 2000년 이후 29건으로 본장의 대주제 분류 중 가장 적은 총 32건에 불과하였다. 게재지 유형별로는 <표 3-3-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석 사학위논문 23건 박사학위논문 9건 학술지 논문은 단 1건도 없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의학 주제가 12건 기타로 분류한 주제가 20건을 차지하고 있다. 기타로 분류한 주제 안 에는 환경학 생태학 해양 생물 광물 식품공학 등의 내용들을 다루고 있었는데 내용별 로 그 양이 12건에 불과하여 편의상 통틀어 기타로 분류하였다. <표 3-3-7> 과학분야 중국 한국학 연구논문의 게재지 유형별 건수 2000년 이전 2000년 이후 총계 구분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학술지 석사 박사 계 의학 0 1 1 0 7 3 0 8 4 12 기타 0 1 0 0 14 5 0 15 5 20 계 0 2 1 0 21 8 0 23 9 32
18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가. 2000년 이전 2000년 이전의 과학분야 학술논문은 총 3건으로 의학논문 中國人與日本人 韓國人顱面 形態結構X線頭影測量對比研究 (北京醫科大學 석사 1996) 明代韓中本草發展的比較研究: 公元1368~1644年(中國中醫研究院 박사 1998) 2건과 동물학 논문 中韓黑線姬鼠Apodemus agrarius線粒體dna RFLP分析及核DNA RAPD分析 (山東大學 석사 1999) 1건이 있다. 나. 2000년 이후 2000년 이후의 과학분야 학술논문은 29건으로 의학을 다룬 논문으로는 한중 상용약재 를 비교 한의학과 중의학의 영향관계를 연구 동의보감을 연구한 논문 등을 들 수 있는 데 관련 논문으로는 中韓常用藥材的對比研究 (北京中醫藥大學 석사 2002) <傷寒論>在 韓國的流傳及對韓醫學的影響 (山東中醫藥大學 석사 2003) 中韓兩國癡呆危險因素及其證候 分布的比較研究 (北京中醫藥大學 석사 2004) <東醫寶鑒>針灸內容的研究 (上海中醫藥大學 박사 2004) 등 이다. 환경생태계를 다룬 中國東北地區及韓國黃蚜小蜂屬的分類研究:膜翅目: 蚜小蜂科 (東北林業大學 석사 2003) 세계적 기후변화와 한국의 기후를 연구한 世界氣候變 動和韓國氣候 (南京氣象學院 박사 2002) 한중 황사 날씨를 비교한 中國和韓國沙塵天氣過 程與氣溶膠物理特性對比研究 (南京信息工程大學 박사 2008) 한국 각섬석의 광물학적 보석 학적 특징을 연구한 韓國閃石玉的礦物學 寶石學特征研究 (長安大學 석사 2009) 김치 맛을 내는 물질과 포함된 유산균을 연구한 泡菜中揮發性風味物質及其乳酸菌研究 (上海海洋大學 석사 2009) 유전학을 다룬 韓國產槲寄生植物凝集素表達載體的構建及其在酵母中表達情況 的研究 (哈爾濱醫科大學 석사 2005) 미생물학을 다룬 韓國淡水中銅鏽微囊藻除藻菌的選育 及除藻性能的研究 (哈爾濱工業大學 석사 2005) 등이 있다.
제 4 장한국의 중국학 과중국의 한국학 의교육연구체제와인력배양
4 제 1 절한국의대학교육과정에서 중국 관련인력배양체제. 2009 123. 44 167. < 표 4-1-1> 한국대학의주요국가 지역관련학과현황 전문대학대학계비고 중국 중국어관련학과 ( 대학 학부 학과 전공 ) 44 123 167 미국 영어관련학과 37 118 155 일본 일본어관련학과 28 84 112 러시아 러시아어관련학과 2 26 28 유럽관련학과 0 9 9 동아시아관련학과 0 8 8 자료출처 : 대학자료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ue.or.kr) 및전문대학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ce.or.kr) 의 2009 학년도입학전공관련자료를조사하여재정리 44
20. < 4-1-2> 28. < 표 4-1-2> 한국대학의중국관련학과의명칭 전공 학과 학부 대학명칭숫자개설대학 1 중어중문학과 44 2 중국학과 20 강릉원주대학교강원대학교경북대학교경상대학교공주대학교군산대학교목포대학교부산대학교서울대학교순천대학교안동대학교전남대학교전북대학교제주대학교충남대학교충북대학교방송통신대학교건국대학교경기대학교경성대학교경원대학교고려대학교국민대학교단국대학교대구가톨릭대학교덕성여자대학교동국대학교동아대학교동의대학교명지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서원대학교성결대학교순천향대학교성균관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숭실대학교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한양대학교협성대학교수원대학교원광대학교창원대학교한서대학교영산대학교고신대학교관동대학교대진대학교상지대학교세종대학교신라대학교용인대학교평택대학교한림대학교한양대학교 ( 안산캠퍼스 ) 남서울대학교청운대학교계명대학교나사렛대학교목원대학교중부대학교동아대학교 3 중어중국학과 5 인천대학교동덕여자대학교선문대학교성공회대학교호서대학교 4 중국어전공 2 그리스도대학교 ( 외국어인문학부 ) 경주대학교 ( 관광외국어학부 ) 5 중국언어문화전공 2 가톨릭대학교대전대학교 6 중국언어문화학부 1 영남대학교 ( 중어중문학 / 중국문화정보 / 중국어통번역전공 ) 7 중국어언어문화학과 2 건양대학교대전대학교 8 중국어문학과 2 계명대학교상명대학교 ( 천안캠 ) 9 중국어문화학과 3 서울시립대학교강남대학교조선대학교 10 중국어중국학과 3 대구대학교인하대학교 ( 동양어학부 ) 한중대학교 11 중국어과 7 충주대학교한밭대학교단국대학교삼육대학교서울신학대학교안양대학교우석대학교 12 중국어학과 9 경희대학교한북대학교 극동대학교동서대학교동신대학교위덕대학교호남대학교광주대학교세명대학교 13 중어학과 1 서경대학교중앙대학교 ( 안성캠 ) 14 중국어 중국학과 1 울산대 15 중국통상학과 1 한남대학교 16 중국어중국통상학과 1 영동대학교 17 중국어통번역학과 1 한국외국어대학교 ( 용인캠 ) 18 중국지역통상학과 1 부산외국어대학교 19 중국지역학과 1 한신대학교 20 중국실용지역학 1 강남대학교 21 관광중국어학과 1 대불대학교 22 중국학부 6 청주대학교 ( 중어중문학 / 중국통상학전공 ) 고려대학교 ( 세종캠 ) 인제대학교 ( 중어중문 / 한중통번역 ) 한국외국어대학교 ( 중국어대학 ) 경남대학교 ( 중국언어문화 / 중국비지니스 ) 배재대학교 ( 중국어학 / 중국통상학전공 ) 23 중국어학부 1 부산외국어대학교 ( 중국어통번역 / 중국어언어 문화전공 ) 24 중국중국학부 1 대구한의대학교 ( 중국어 / 중국학 / 중국어영재교육개발전공 ) 25 중국문화정보학부 1 한신대학교 ( 중어중문학 / 한중문화콘텐츠 / 중국문화 예술전공 ) 26 국제비즈니스어학부 1 서경대학교 ( 중어전공 ) 27 중국학대학 1 강남대학교 ( 중국어문화학과중국실용지역학과 ) 28 중국어대학 1 한국외국어대학교 ( 중국학부 ) 121. 2
제4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교육연구체제와 인력배양 183 러한 곳이다. 예를 들면 청주대학교(중어중문학/중국통상학전공)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인제대학교(중어중문/한중통번역) 경남대학교(중국언어문화/중국비지니스) 배재대학교(중 국어학/중국통상학전공)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중국어학부(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 역/중국어언어 문화전공) 중국중국학부(대구한의대학교: 중국어/중국학/중국어영재교육개 발전공) 중국문화정보학부(한신대학교: 중어중문학/한중문화콘텐츠/중국문화 예술전공) 등 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추세가 반영하여 아예 단과대학 형태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면 한국외 국어대학교의 중국어대학 과 강남대학교의 중국학대학 이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강남대 학교의 중국학대학에는 중국문화학과와 중국실용지역학과를 개설하고 있으며 한국외국 어대학교의 중국어대학에는 중국학부를 그 아래에 두고 있으며 별도로 중국어통번역학 과(용인캠퍼스)를 개설하고 있다. 이들 중국 관련 전공을 개설하고 있는 4년제 대학과 전 문대학의 입학정원은 2009학년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4년제 대학교가 6257명 전문대학 이 2600명으로 총 8857명이었다. 나. 대학의 중국 관련 전공과목 개설 현황 중국 관련 학과와 전공의 명칭이 다양한 만큼 이들 전공학과 및 학부에서 개설하고 있 는 교과목도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2010년 9월까지 각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중국 관련 학과의 전공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과목은 전통적인 문사 철 분야의 핵심인 중국언어분야로 전부 2407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문학분 야가 749개 과목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중국사상(철학)문화분야 162개 과목 중국전통 역사분야 65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하지만 정치경제분야는 중국정치분야가 경제분야가 174개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정 치분야는 65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고 그 외에도 중국외교분야 19개 과목 한중관계분야 13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중국사회분야과목이 41개가 개설되어 있으며 시사문제와 관 련된 과목이 15개 개설되어 있다.
분류교과목유형편성교과목수점유율중국언어분야 * 2407 58.25% 어학중국문학분야 749 18.13% 문학소계 3156 76.38% 문화사상역사 정치경제 < 표 4-1-3> 한국대학의중국관련전공과목개설현황 중국전통사상 ( 철학 ) 문화분야 162 3.92% 문화 ( 예술 ) 분야 114 2.76% 한중문화콘텐츠 92 2.23% 중국전통역사분야 65 1.57% 중국지리분야 27 0.65% 소계 460 11.13% 중국정치 ( 정치사상 ) 분야 65 1.57% 중국경제분야 174 4.21% 중국외교분야 19 0.46% 한중관계분야 13 0.31% 중국군사분야 1 0.02% 중국시사분야 15 0.36% 중국사회분야 41 0.99% 소수민족 / 화교분야 18 0.44% 소계 346 8.36% 현장수업 여행 / 답사 / 현지수업 / 인턴쉽 34 0.82% 중국이해분야 54 1.31% 중국학 중국학분야 51 1.23% 지역학 지역학 31 0.75% 소계 136 4.11% 총계 4132 * 한자 한문 작문 독해 듣기 청취 교육론 교재연구및지도법관련수업은전부언어에포함시킴. 자료출처 : 각대학의홈페이지의자료를취합하여재정리한것임.. 230. 58.25% 76.38%. 346 8.3%. 30.
4 < 그림 4-1-1> 한국대학의중국관련학과의교과목분포도 정치경제외교 한중관계등 사회과학분야 8% 현장수업 1% 중국학지역학 3% 문화사상역사 지리 11% 어학문학 77% < 표 4-1-4> 한국대학에개설된중국현지수업과목 과목명칭중국현지수업중국어현장답사 12 전공글로벌현지교육 직장체험 산업체인턴쉽 ( 중국현지 / 계절수업 ) 중국여행과문화컨텐츠 중국현장연구 ( 중국현지연수 ) 중국현지탐방보고 인턴십 국내인턴쉽 IⅡ 해외인턴쉽 IⅡ 중국의관광과여행문화 장기인턴학습 (1)(2) 단기인턴학습 (1)(2) 실무프로젝트 (1)(2) 중국소수민족문화답사기행 중국음식답사기행 황하문명답사기행 불교문명답사기행 실크로드답사기행 양자강답사기행 중국관련전공학과개설대학관동대명지대 숙명여대 평택대 한림대 동아대 계명대 동아대 삼육대 호남대 호남대 경주대 경주대 경주대 경주대 한신대 한신대 한신대 한신대 한신대 한신대 한중박물관사이버기행한신대 ( 중국문화예술전공 ) 중국현장실습 1 고려대 중국관광산업벤처창업실습한신대 ( 중국문화예술전공 ) 한중무역벤처창업실습한신대 ( 중국문화예술전공 ) 현장학습강남대 * 각대학홈페이지의자료를재정리한것임. 현장실습관련과목으로중국학과교육과정에개설되어있는경우에는 중국 이라는말을사용하지않아도여기에포함시켰음
18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다. 대학의 중국 관련 전공학과교수들의 전공분포 학부의 교과목 분포현황을 중심으로 볼 때 대부분 대학의 교수들의 전공과목도 중국 어와 문학과목의 전공교수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각 대학의 인 터넷 홈페이지에 나타나는 교수들의 전공소개를 기초로 분석해 보면 이러한 사실을 알 수가 있고 이것이 한국의 대학에서 중국 관련 교육과 연구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는 자료라고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표 4-1-5> 중국 관련 전공학과 교수의 전공분포 어문학 인문 예술 사회과학 및 기타 교수학위 전공분야 중국언어분야 어문학계통이나 홈페이지 확인불가 중국문학분야 소계 중국전통철학문화분야 중국지리분야 중국동양미학 미술사 예학 소계 중국정치분야(정치학 법학 행정학) 중국경제분야(경제학 경영학) 중국외교분야(외교학 국제관계 국제정치) 중국군사분야 국제지역학 중국사상사 중국민족학 중국학 교육학 관련 교수 총수 131 78 267 476 15 0 1 1 17 28 14 5 0 2 1 2 5 1 점유율 23.48% 13.98% 47.85% 85.31 2.69% 0.00% 0.18% 0.18% 3.05 5.02% 2.51% 0.90% 0.00% 0.36% 0.18% 0.36% 0.90% 0.18% 정치경제학 2 0.36% 중국정치학/중국어학 1 0.18% 소계 61 10.95 계 조사대상 중 확인가능 전임교원 총수 558 100.00% *자료출처: 각대학 홈페이지 교수소개에서 전공학위 혹은 전공분야가 표시된 분야의 명칭을 근거로 재정리한 것임. * '중국'관련 학과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기타 전공학과에 소속된 중국과 관련된 전공 교수들은 조사하지 않았음. 이 통계자료를 보면 전체적인 전공교수들의 분포현황이 교과목의 분포도와 유사하며 교과목의 77%가 어문학계통인 것에 반하여 전공교수들은 85.3%가 중국어문학분야를 전 공한 교수이고 사회과학과 기타 분야를 전공으로 명기한 교수가 약 10.9% 그리고 문학 과 사상철학 그리고 예술을 전공한 교수분야가 3.0%에 지나지 않았다. 전국대학에 중국학과나 중국학부가 개설되면서 이들 전공학과에 정치와 경제 등 사회 과학분야에서 중국을 전공한 교수들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대학의 재정적 상황으로 인하
제4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교육연구체제와 인력배양 187 여 교수충원은 전통적인 어문학중심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수들의 전공과 위에서 분석한 교과목의 분야별 분포상황을 감안해 보 면 한국의 중국 관련 교육에서 나타나는 국제지역학적인 특색은 유럽식의 문사철 중심 도 아니고 또한 미국식의 사회과학 중심도 아닌 한국적인 어문학 중심의 독특한 현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 한국의 중국 관련 주요 연구인력과 연구기관현황 가. 중국지역에서 한국인 박사학위 취득과 유학생현황 한국의 대학과정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것과 같이 상당히 많은 중국 관련학과가 개설되 어 있는데 이러한 대학교육에서 중국 관련 학과의 발전과 한국의 중국 관련 연구에서 논 하지 않을 수가 없는 인력이 바로 대만과 중국대륙과 홍콩을 포함한 중국지역의 대학에 서 석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문가 연구인력들이다. 그 중에서 현재 통계자료를 통해서 분 석이 가능한 인력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연구인력들이다. 한국연구재단의 해외박사신고정보통계 에 따르면 신고된 해외학위 중에서 총 36488 개 중에서 미국에서 취득한 박사학위가 20620개로 56.51%를 차지할 만큼 높다. 다음으로 일본에서 받은 학위가 총 6012개(16.48%)를 차지하고 있다. <표 4-1-6> 한국연구재단 국가별 외국박사학위 신고현황 국가별 해외학위 신고 국가별점유율 미국 20620 56.51% 일본 6012 16.48% 러시아 523 1.43% 중국 1005 2.75% 대만 365 1.00% 홍콩 3 0.01% 기타국가 7960 21.82% 총계 36488 100.00% 자료출처 : 한국연구재단 해외박사학위신고통계 (http://doctorinfo.nrf.go.kr/fdtsapp/gather/reporter_major.jsp)(2010.7.24인용)의 자료를 재정리 분석. 중국지역(중국대륙 대만 홍콩 포함)에서 받은 학위는 중국대륙에서 1005개 대만에서 369개 그리고 홍콩에서 3개를 포함하여 모두 1376개로 3.76%에 지나지 않는다. 러시아 에서 받은 학위는 모두 523개로 1.43%를 차지하고 있고 그 외 기타 지역이 모두 7996명
21.82%. 60. 1990 1992 ( ) ( ). 1992. 2010 7 3.. 199 1 55 1992 2010 7 314........... (9.31%) (23.92%) 3 3.23% (11.38) (11.63%) 23.01%.
4 < 표 4-1-7> 한국연구재단국가별 전공별외국박사학위신고현황 미국일본러시아중국대만홍콩기타총계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농수해양 예술체육 복합학 논문수 1919 4932 2973 4506 593 507 519 255 4416 20620 점유율 9.31% 23.92% 14.42% 21.85% 2.88% 2.46% 2.52% 1.24% 21.42% 논문수 684 699 661 1706 319 476 173 25 1269 6012 점유율 11.38% 11.63% 10.99% 28.38% 5.31% 7.92% 2.88% 0.42% 21.11% 논문수 172 108 18 18 2 0 75 3 127 523 점유율 32.89% 20.65% 3.44% 3.44% 0.38% 0.00% 14.34% 0.57% 24.28% 논문수 499 222 4 7 69 7 33 3 161 1005 점유율 49.65% 22.09% 0.40% 0.70% 6.87% 0.70% 3.28% 0.30% 16.02% 논문수 222 83 2 1 1 1 2 1 52 365 점유율 60.82% 22.74% 0.55% 0.27% 0.27% 0.27% 0.55% 0.27% 14.25% 논문수 1 1 0 1 0 0 0 0 0 3 선택안함 점유율 33.33% 33.33% 0.00% 33.33% 0.00% 0.00% 0.00% 0.00% 0.00% 논문수 2305 1844 639 878 187 169 331 84 1523 7960 점유율 28.96% 23.17% 8.03% 11.03% 2.35% 2.12% 4.16% 1.06% 19.13% 논문수 5802 7889 4297 7117 1171 1160 1133 371 7548 36488 점유율 15.90% 21.62% 11.78% 19.51% 3.21% 3.18% 3.11% 1.02% 20.69% 합계 http://doctorinfo.nrf.go.kr/fdtsapp/gather/reporter_major.jsp(2010.7.24) 의자료를재정리분석 < 그림 4-1-2> 한국연구재단국가별 전공별외국박사학위신고현황비교도표 총계 기타국가홍콩대만중국러시아일본미국 인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공학의약학농수해양예술체육복합학선택안함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49.65% 22.09% 68.74%. 60.82% 22.74% 83.56%.
.... 53.5%... 18 1005 365 1370.... 50~60 20.. < 표 4-1-8> 한국의중국관련국내박사및외국박사현황 중국지역 ** 국내박사 * 총계중국대륙대만홍콩 828 1005 365명 3명 2201 * 중국 관련논문으로취득한국내박사학위 : 2010 년 7월 20일까지국회도서관전자도서관 중국 관련학위논문검색을통한박사학위논문을근거로정리한숫자임 ( 따라서실제로는이를초과할수있음 ). ** 중국지역은한국연구재단해외박사학위신고정보를인용 (2010.7.14) 하여재정리한숫자임..
4. 1945~2009 ( ) 1370 794 ( ) 1.7.. 2009 4 6 6809.. 2001 2009 77.78. 56.78.. 중국에서취득한박사학위 * 한국 중국 관련박사학위 ** 비고 < 표 4-1-9> 2001 년이후중국취득박사와중국관련국내박사의인원비교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년평균학위취득인원 82 83 116 67 82 77 63 81 49 77.78 29 37 33 43 71 66 62 75 95 56.78 2001 년부터 2009 년까지년평균 77.78 명씩학위를신고하였음 * 중국박사학위자료출처 : 한국연구재단외국박사종합시스템 http://doctorinfo.nrf.go.kr/fdtsapp/gather/stat_country.jsp(2010.10.6 인용 ) * 중국의박사로최초로신고된해는 1991 년 1 건임. ** 한국국내취득박사학위 : 중국 관련학위논문 ( 국회도서관전자도서관검색 ) 에근거함. < 표 4-1-10> 2009 년해외한국인유학생통계 ( 대학생이상 ) 연도미국중국영국호주일본캐나다뉴질랜드필리핀기타계 2008 62392 57504 17274 17000 16774 10792 10183 1923 23025 216867 비율 (%) 28.8 26.5 8.0 7.8 7.7 5.0 4.7 0.9 10.6 100.0 2009 69124 66806 17031 20420 18862 15971 10992 2653 21365 243224 비율 (%) 28.4 27.5 7.0 8.4 7.8 6.6 4.5 1.1 8.8 100.0 자료출처 : 교육과학기술부정보자료실 (http://www.mest.go.kr)(2010.10.5 인용 )
.. 2006 122 26. 136) < 표 4-1-11> 한국의중국관련대학원현황 (2006 년 ) 학제 석사과정 박사과정 일반대학원 48 24 전문대학원 11 2 특수대학원 57 0 학과간협동과정 6 0 계 122 26 < 표 4-1-12> 한국의고등교육학교현황 대학 2007 2008 2009 전문대학 148 147 146 대학교 200 197 199 대학원 1042 1055 1115 주요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me_kor/inform/science/science/general/index.html)(2010.9.20 인용 ) 2009 1115 199 12.2%. 2006.. 2009 ( ) 136) : ( ) 27 (2007.1) p. 21.
4 ( ). 116. ( 1 ) 43 (37.07%) 34 (29.31%). < 표 4-1-13> 한국대학의중국관련대학원학과 전공현황 (2009 년 ) 분류전공혹은학과명칭개설수전공별점유율 중어중문 류중어중문학 ( 전공. 학과 ) 42 36.21% 중일어문학과 1 0.86% 유형별총계 대유형별점유율 43 37.07% 중국어교육 류 중국어문화 류 중국학 류 통번역 류 중국통상 류 중국어교육전공 32 27.59% 중어교육전공 1 0.86% 중어중문교육전공 1 0.86% 중국어학과 1 0.86% 중국어과 1 0.86% 중국언어문화학과 1 0.86% 중국언어와문화학과 1 0.86% 중국학과 12 10.34% 중국지역학과 1 0.86% 중국학교육전공 1 0.86% 통번역학과 1 0.86% 통역학과 1 0.86% 중국어번역학과 1 0.86% 중국어통번역학과 1 0.86% 통역학과 ( 한영중전공 ) 1 0.86% 한영중과 ( 전공 ) 3 2.59% 한중과 2 1.72% 한중전공 1 0.86% 중국지역통상경영학과 1 0.86% 중국지역통상학과 1 0.86% 중국통상전공 1 0.86% 중국통상학과 1 0.86% 중국통상학과간협동과정 1 0.86% 중국통상학협동과정 1 0.86% 중국비지니스학과 1 0.86% 중국경제관리학과 ( 중국전문대학 ) 1 0.86% 34 29.31% 4 3.45% 14 12.07% 11 9.48% 8 6.90% 중국 관련기타중국개발조사학과 1 0.86% 중국법무학과 1 0.86% 2 1.72% 총계 116 100.00% 116 100.00%
< 그림 4-1-3> 한국대학의중국관련대학원학과 전공현황표 (2009 년 ) ' 중국통상 ' 류 7% 중국 관련기타 2% 통번역 류 10% 중국학 류 12% 중어중문 류 37% 중국어문화 류 3% 중국어교육 류 29% 11 (9.48%) 8 (6.9 0%) 4 (3.45%) 1... 1 11. 1 3. 29. 15 6 ( ) 6 1 12..
4 < 표 4-1-14> 한국대학의대학원국제지역 동아시아류전공 학과현황 분류 전공혹은학과명 개설수 국제지역학과 6 국제지역학연협동과정 1 국제지역협력학과 1 국제지역전공 1 국제지역 류 국제지역정보학과 1 국제지역통상학과 1 15 국제관계지역학과 1 지역학협동과정 1 지역학전공 1 해외지역연구전공 1 국제학과 류 국제학과 6 6 국제협력 류 국제협력학과 ( 전공 ) 6 6 국제평화전공 1 국제사무학과 1 국제사회문화연구전공 1 국제안보전략학과 1 국제정치대학원 1 기타 국제행정학과 1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1 12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1 국제관계학과 1 국제문화대학원 1 국제관계및통상학과 1 국제관계통상외교학과 1 동아시아사상문화학과 2 동아시아학과 3 동아시아유럽학과 1 동아시아 류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1 11 동양철학과 1 동양학과 ( 동양학대학원 ) 1 동북아물류대학원 1 한국동아시아전공 1 아태국제신학과 1 아태지역 류아태지역연구학과 ( 전공 ) 2 4 아시아학과 1 총계 54 54 * 국제통상혹은국제무역은일반적으로무역학과를말하는것이며 국제경영전공도국제지역학과류와는성격이차이가있어 통계에서제외하였음. 2010 ( ) ( ) 170..
( ).. 43.91% 42.30% 86.21%.. < 표 4-1-15> 한국의대학원중국관련전공과목개설현황표 분류 교과목유형 편성교과목수 점유율 언어 문학분야 중국언어분야 * 844 43.91% 중국문학분야 813 42.30% 소계 1657 86.21% 중국전통사상 ( 철학 ) 문화분야 22 1.14% 문화 사상 문화 ( 예술 ) 분야 38 1.98% 역사 지리분야한중문화콘텐츠 11 0.57% 중국전통역사분야 18 0.94% 중국지리분야 1 0.05% 소계 90 4.68% 정치 경제분야 중국정치 ( 정치사상 ) 분야 42 2.19% 중국경제분야 86 4.47% 중국외교분야 13 0.68% 한중관계분야 1 0.05% 중국군사분야 1 0.05% 중국시사분야 2 0.10% 중국사회분야 2 0.10% 소수민족 / 화교분야 5 0.26% 소계 152 7.91% 중국학 중국이해분야 8 0.42% 지역학 중국학분야 8 0.42% 지역학 7 0.36% 소계 23 1.21% 총계 1922 * 한자 한문 작문 독해 듣기 청취 교육론 교재연구및지도법관련수업은전부언어에포함시킴. * 자료출처 : 각대학의홈페이지의자료를취합하여재정리한것임.. (85.03%) ( ) 10.93% 3.05%.
4 < 표 4-1-16> 한국대학의중국관련전공교수전공현황표 교수전공별분류 점유율 중국어 문학분야 476 85.30% 인문분야분야 17 3.05% 사회과학분야및기타 61 10.93% 계 558 100.00% * 자료출처 : 각대학홈페이지교수소개에서전공학위혹은전공분야가표시된분야의명칭을근거로재정리한것임. * 한국의대학원의경우일반적으로대학학부의전공교수들이같은전공의대학원교수를겸임하고있는상황을고려하여대학원교수는별도로통계하지않고중국관련학부의교수전공현황을근거로작성함.... 2000 1 0 37.5% 16.08% 50%. 25.06%.. 2 16.18% 37.02% 53.20% 25.06%.....
19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표 4-1-17> 2000년대 한국 중국학 석 박사학위논문 연구성과의 대주제별 분류표 석 박사합산 총류 중국학한국학 사상 종교 정치 경제 문화교육 어문학 예술 역사지리 과학의학 연도별총계 주제별총계 4 8 25 205 967 2146 650 1453 110 125 104 5797 주제별점유율(%) 0.07 0.14 0.43 3.54 16.68 37.02 11.21 25.06 1.90 2.16 1.79 100.00 이러한 중국 관련 대학원 교육과정과 중국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 주제별 분류에서 어 문학분야와 정치경제분야가 불균형을 보여주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중국 관련 대학원이 아닌 국제관련 대학원이나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태평양지역관련 대학원 그리 고 기타 각종 전공분야의 학생들의 학위논문에서 중국 관련 분야가 그 만큼 많다는 것 을 보여준다. 죽 2009년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한국의 중국 관련 대학원의 숫자가 116개이고 국제지역 (동아시아와 아시아태평양지역 학과 전공포함)관련 대학원이 54개로 총 170개 대학에 관 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6년에서 2009년 사이에 중국 관련 석사학위논문이 나온 대학은 147개 대학 이다. 따라서 중국 관련 학과가 설치된 대학인 116개보다 30여개가 많다. 이것은 결국 중 국 관련 석 박사논문이 중국 관련 대학원이 아닌 다른 대학원전공분야에서 배출되고 있 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야기할 수가 있을 것이다. <표 4-1-18> 한국의 중국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 배출 대학 수의 변화 1945~1989 1990~1995 1995~2000 2001~2005 2005~2009 석사학위 배출대학 46 71 98 143 147 박사학위 배출대학 15 35 43 51 48 자료출처: 국회도서관 전자도서관(http://u-lib.nanet.go.kr:8080/dl/SearchIndex.php)에 등록된 중국 관련 한국대학의 석 박사논문 자료를 활용(2009.7.10 인용) 재작성한 것임. 라. 국내에서 취득한 중국 과 관련한 석 박사학위 현황 한국에서 중요한 중국연구전문가 그룹 중에 하나는 위에서 언급한 해외에서 석 박사
4... 2... 2010 1 7 342 34. 2009 2010 1-7 ( ) 828 7312. 828.. < 표 4-1-19 > 한국의중국관련석 박사학위현황 1945~1989 1990~1999 2000~2009 2010 총계 박사 33 211 550 34 828 석사 366 1357 5247 342 7312 총계 399 1568 5797 376 8140 자료출처 : 이자료는제2장에서통계분석한국회도서관전자도서관에서검색한 중국 관련석 박사학위논문을기준 (2010 년자료는 2010 년 1~7월통계임 ) 2200.. 4 560 100 700.. 17. 137) 137) A2100 A2101 A2102 ( ) A2103 A2104 A2105 A2107 ( ) A2108 A2109 A2110 A2111 A2190
200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지역학으로 분류하고 있을 뿐이다.. 제2절 중국의 대학교육과정에서 한국 관련 인력배양체제 1. 대학교육과정에서 한국 관련 인력배양체제 가. 과 라는 호칭의 갈등 중국에서 한국 관련 연구를 언급할 때 처음으로 분명하게 언급해야 하는 것은 학과(전 공)의 명칭이나 교과목명칭 그리고 연구소들의 명칭에서 보여주고 있는 조선 과 한국 의 명칭 혼란의 문제이다. 사실상 이 문제는 학문적인 문제가 아닌 정치 외교적 문제로 볼 수 있으며 사실상 중국인들의 한반도에 대한 인식이나 전략적 사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학의 특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우라고 이야기할 수가 있을 것이다. 즉 남북한의 대립관계를 중국식으로 해석하는 문제가 바로 조선 과 한국 이라는 명칭 의 혼란현상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것이 바로 남북한에 대한 등거리외교를 유지하고자 하는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특색을 그대로 보여주는 정치외교적 전략적 용어사용의 전 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이라는 용어는 당연히 북한과 관련되어 있다. 1949년 이후 중국대륙에서 중국공 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생긴 정치이념과 체제를 공유하면서 북한을 사회 주의혈맹 으로 인정하였고 1992년까지 북한을 조선반도 의 유일한 합법적인 정권으로 승인하고 있었으므로 중국은 북한이 사용하는 조선이라는 국호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 다. 한반도는 조선반도로 불리고 한국어는 조선어로 통용되었으며 남한은 남조선이고 북한은 북조선이었다. 따라서 1992년 이전 중국에서 한반도에 대한 연구는 조선반도에 대한 연구였으며 남 한에 대한 연구는 남조선연구였고 한국문제의 연구도 조선문제의 연구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었다. 언어는 조선어 문학은 조선문학 역사는 조선역사였으며 지리는 조선지리로 모든 것이 조선문제였다. 1980년대 중국에서 개혁개방을 시작하고 외교적으로 이념체제 의 문제와 상관없이 대외관계를 확대하기 시작하면서 종래의 냉전 시대에 실시 해온 남 조선 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전 중국의 한반도연구는 거의 中朝友誼 차원의 연구로 연구기관도 주로 동북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던 대학이나 기타 연구기구의 조선문화연구소나 조선어학과를 朝鮮學 韓國學 타(중어중문학) B1201 중국고대사 B1202 중국중세사 B1203 중국근/현대사 B2102 중국철학 B2305 중국종교
4... 1980. 1980 4.. 1992..... - 高麗學. 2005 延邊大學 1949 朝鮮語言文學系 1972 朝鮮語系 2005 朝鮮 韓國學學院. 中朝韓日文化比較研究中心 朝鮮 韓國學研究中心. 中央民族大學 - -. 朝鮮 ( 韓 ) 語.. 東方語言文化系 朝鮮 ( 韓國 ) 語文化專業 ( ). 基礎
朝鮮 / 韓國語 朝鮮 / 韓國文學史 韓國文化史 朝鮮半島概況 朝鮮 / 韓國語視聽說 韓國報刊選讀 朝鮮 / 韓國語語法 朝鮮 / 韓國語泛讀 漢朝 ( 朝漢 ) 翻譯 朝鮮 / 韓國語言 文學 文化 以及比較語言學 4. 朝鮮 / 韓國.. < 朝鮮語專業 > 培養目標 : 本專業培養具有紮實的朝鮮語語言基礎知識和熟練的聽說讀寫譯能力 同時具有寬廣知識面的高素質朝鮮語專門人才 畢業生能在外事 經貿 文化 新聞 出版 教育 科研 旅遊等部門從事翻譯 教學 研究 管理等工作. 主要課程 : 初級韓語 中級韓語 高級韓語 綜合韓語 基礎韓語會話 實用韓語會話 韓語視聽說 韓語泛讀 翻譯理論與技巧 韓國文學作品選 韓國朝鮮概況 韓國語概論 韓國社會文化 韓語寫作 商務韓語 報刊選讀 等 韓國.. 朝鮮 韓國.
4 < 표 4-2-1> 중국대학의한국관련학과 전공의소속과명칭 대학명칭소속단과대학 ( 학과 ) 학과 ( 전공 ) 명칭 南京大學 外國語學院 朝 ( 韓 ) 語專業 南京師範大學 外語學院 朝 ( 韓 ) 語專業 楊州大學 外語學院 朝鮮語專業 蘇州大學 外語學院 朝鮮語文系 延邊大學 朝鮮 - 韓國學學院 朝鮮語言文學專業 朝鮮語專業 對外經濟貿易大學 外語學院 韓國語 北京大學 外語學院 朝鮮 ( 韓國 ) 語文化系 北京第二外語大學 朝鮮語系 朝鮮語系 中央民族大學 朝鮮語言文學部 朝鮮語言文學系中韓經濟貿易翻譯專業 山東大學 外語學院 朝鮮語專業 山東師範大學 外語學院 韓語系 煙台大學 外語學院 朝鮮語專業 濟南大學 外語語學院 韓國語系 上海外國大學 東方語學院 朝鮮語 ( 韓國語 )- 英語專業 復旦大學 外文學院 朝鮮語語言文學系 西安外國大學 東方語言文化學院 朝鮮語 遼寧大學 國際關系學院 朝鮮語 ( 中韓經貿關系方向 ) 黑龍江大學 東語學院 朝鮮語專業......... 138) 朝鮮 韓國學學院 -. 138) 魏志江 沈定昌等編著 韓國學槪論 ( 中國廣州 : 中山大學出版社 2008) p. 20.
204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보다는 낮은 단계의 전공으로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의 경우 대부분이 日本語관련 학과는 독립된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지만 북경 대학을 포함하여 조선어 혹은 한국어 관련 학과는 亞非 즉 아시아아프리카어계의 학문분 류에 속해 있다. 나. 중국대학의 학부과정의 한국 관련 학과개설현황 중국에서 한국과 관련한 교육은 1946년 중경의 국립남경동방어문전과학교에서 조선어 학과 개설되면서 시작되었다. 남경대학교의 한(조)어전공의 홈페이지의 소개에 따르면 이 학과는 그 해 여름 중경에서 남경으로 옮겨졌고 전임 高麗大學校長 金俊燁 총장이 여기에서 교수를 하였으며 여기에서 제1세대의 중국인 한국어인재와 한반도문제전 문가들이 배양되었다. <표 4-2-2> 2000년 이전 중국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 개설현황 1992년 이전 (한중수교 이전) 2000년 이전 소속대학 北京大學 國立東方語文專科學校 延邊大學 對外經濟貿易大學 遼寧省朝鮮民族師範學校(전문대학) 洛陽外國語大學(현 解放軍外國語學院) 中央民族大學 北京第2外國語大學 山東大學 中國海洋大學 山東大學(威海分校) 遼東學院 煙台大學 大連外國語大學 遼寧大學 上海外國語大學 吉林大學 北京外國語大學 北京語言大學 靑島大學 復旦大學 延邊科學技術大學 黑龍江大學 南京大學 개설년도 1946 1946 1949 1952 1952 1955 1972 1972 1992 1992 1992 1992 1993 1993 1992 1993 1993 1994 1995 1995 1995 1995 1996 1997 그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중국내의 특별한 정치적 환경과 수요의 변화 그리고 외부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 발전해 왔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중관계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인적교류가 급증하고 한국기업 의 대중국교역과 대중국투자가 크게 발전하고 한류가 중국인들에게 크게 유행하면서 중
제4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교육연구체제와 인력배양 205 국내에서 한국어의 수요가 동시에 급증하였다. 2000년대 이전까지 25곳 정도에 불과하였 다. 그리고 이것이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7년까지 42개로 늘어났 다. 그 후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을 포함한 대학에 각종 형식의 한국어강좌가 이미 200여 개를 넘어섰고 그 외에 각종 외국어교육을 하는 학원형식의 각종 형태로 개설된 강좌까 지 포함할 경우 400곳이 넘는다고 한다. 그리고 전공명칭도 韓語 朝鮮語 應用韓語 國貿韓語 商務韓語 旅遊韓語 日韓語 英韓語 등과 같은 학과나 전공뿐만 아니라. 韓國語學院이나 朝鮮-韓國學大學 같은 단과대학의 형식으로까지 발전하였다. 다.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과목 개설현황 중국에서 한국 관련 교육은 국제지역연구의 초기형태인 한국언어와 한국문학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한국어를 교육하면서도 대외경제무역대학의 조선 어과나 요령대학의 국제관계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한국어과는 한국어와 더불어 한국의 경제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를 교육하는 21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정리하여 본 결과 이러한 현상은 매우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 4-2-3> 중국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 학과의 교과목 유형분포 교과목 유형 한국어(조선어)류 한국(조선)문학류 예술/문화류 민속/종교류 사회류 역사류 정치류 경제류 외교류 한국학류 한중관계류 실습류 지리류 서사학 총합계 교과목 450 83 15 5 3 9 2 23 16 3 8 1 2 623 점유율 72.23% 13.32% 2.41% 0.80% 0.48% 1.44% 0.32% 3.69% 0.00% 2.57% 0.48% 1.28% 0.16% 0.32% 100.00% 자료출처: 21개 대학(南京大學-外國語學院-朝(韓)語專業/南京師範大學-外語學院-朝(韓)語專業/楊州大-外語學院-朝鮮語專業/蘇州大學-外語學院 - 朝鮮語文系/延邊大學-朝鮮 韓國學學院-朝鮮語言文學專業 朝鮮語專業/對外經濟貿易大學-外語學院-韓國語/北京大學-外語學院-朝鮮 韓國 語 文化系/北京語言大學-朝鮮語(韓國語方向)/北京第二外語大學-朝鮮語系/中央民族大學-朝鮮語言文學部-朝鮮語言文學系/中韓經濟貿易翻譯專業/山東大 學-外語學院-朝鮮語專業/山東師範大學-外語學院-韓語系/陽台大學-外語學院-朝鮮語專業/濟南大學-外語語學院-韓國語系 /上海外國大學-東方語 學院-朝鮮語 韓國語 英語專業/復旦大學-外文學院- 朝鮮語語言文學系/西安外國大學-東方語言文化學院-朝鮮語/大連外國學院-朝鮮語 韓國語語 言文化專業 /遼寧大學-國際關系學院-朝鮮語 中韓經貿關系方向 /遼東學院-朝鮮語/黑龍江大學-東語學院-朝鮮語專業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공 교육과목 정리분석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샘풀로 조사한 21개 중국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의 분포를 보면
20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교과목 명칭에서 한국어(조선어)류는 모두 총 623개 과목 중에서 450개 과목으로 점유율 이 72.23%에 달한다. 더불어 한국(조선)문학류가 83개 과목으로 13.32%를 점유하여 이 둘을 합하면 85.55%나 되어 절대적으로 한국어 문학류를 위주로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가 있다. 그 외에 한국의 예술/문화를 소개하는 교육과정이 15개 과목으로 2.41%를 차지하고 있 으며 경제와 관련된 과목이 어문학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비율을 점유하고 있다. 이처 럼 경제분야의 과목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요령대학교 國際關系學院 朝鮮語학과(中韓 經貿關系方向 전공)에서 요령대학교의 특성화분야인 경제분야를 반영하여 구성한 교육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물론 대외경제무역대학에서도 경제무역분야의 한국어를 교 육하고 있고 기타 대학의 한국(조선)어학과에서도 학과의 교육목표가 단순한 언어구사 력이 아니기 때문에 실용적인 한국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 구성에서 는 아직도 언어와 문학중심의 특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동북삼성지역 발해만지역 산동반도지역 장강삼각주지역의 많은 전문대 학과정인 專科學院과 職業技術學院들이 한국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많은 한국어관련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하지만 전중국에서 전문대학 중에서는 유일하 게 요령성조선민족사범학교 (1952년 개설 2003년 5년제 전문대학)가 조선족 위주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과 관련된 전공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다. 라.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학과교수들의 전공분포 중국의 대학에서 한국 관련 학과(전공)의 교육특색은 학과(전공)의 명칭 교육과정에 서 보여준 바와 같이 한국(조선)어와 한국(조선) 문학 위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 서 이러한 한국 관련 교육과정은 당연히 이러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수들의 전공과 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수들의 전공이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9개 대학의 한국 관련 학과의 93명의 교수 들의 전공을 정리분석한 결과 한국어 관련 전공교수가 21명으로 22.58% 한국문학관련 전공교수가 60명으로 64.52%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한국정치관련 교수가 6명으로 6.4 5% 한국 역사학전공 교수가 3명으로 3.23%를 각각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경제학관 련 전공교수가 2명 인류학이 1명이었다. 물론 이들이 중국의 한국연구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한국 관련 대학의 학과(전 공)의 교수들을 조사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 대학의 현황을 근거로도 충분히 전반
4. < 표 4-2-4> 중국대학의한국관련전공학과교수의전공분포도 전공분야전공 ( 학위 ) 수점유율 어학 21 22.58% 문학 60 64.52% 역사학 3 3.23% 정치학 ( 정치학 법학 행정학 ) 6 6.45% 경제학 ( 경제학 경영학 ) 2 2.15% 인류학 1 1.08% 총합계 93 100.00% * 자료출처 : 9 개대학 ( 南京大 延邊大 對外經濟貿易大中央民族大山東大 煙台大 上海外國語大 大連外國語學院 ) 의한국관련학과 ( 전공 ) 홈페이지검색. 1990. 2009 78.05% ( ). 34865 7113 1346..
20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표 4-2-5> 한국내 외국인유학생 중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현황 유학생전체 중국 중국조선족 전체중국국적 총계 80985 59683 3526 63209 78.05% 유학 208 64 6 70 0.09% 전문학사 6213 4733 537 5270 6.51% 학사유학 40368 33086 1779 34865 43.05% 석사유학 12021 6409 704 7113 8.78% 박사유학 3562 1165 181 1346 1.66% 연구유학 79 33 2 35 0.04% 국어연수 18534 14193 317 14510 17.92% * 자료출처: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09 통계연보 최종 ((http://www.immigration.go.kr) (2010.10.6인용). 하지만 이들 유학생들의 실제 재학현황에 따르면 전체 인원에서는 조금 차이가 있 다. 2008년 4월의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에 나타난 국내의 고등교육기관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대만 중국조선족 중국인 포함)들의 석사와 박사과정의 재학현황에 따르면 석사과정에 재학하는 학생수는 모두 5422명이며 박사과정에 재학생은 모두 141 6명이다. 따라서 이들 석 박사과정의 학생들이 미래 중국의 한국연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은 틀림이 없다. 2010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외국인학생들의 유학입학자격기준 을 크게 강화함으로서 앞으로 당분간 유학생들의 조정 축소될 수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이들이 한국 대학의 석 박사과정을 졸업 한 후 중국에서 한국 관련 전문가로 성장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가 있어 이들이 한국에서 직접 학습하고 경험을 쌓으면서 연구한 한국전문가로서 중국내에서 역할이 더 욱 높아질 것이다. 139) <표 4-2-6> 한국 고등교육기관 재학 외국인유학생 현황(2008.4) 석사과정 박사과정 인문사회 이공계 자연계 예체능 재중국동포 171 42 28 33 대만 58 2 15 중국 3344 889 계 3573 933 계 인문사회 이공계 자연계 예체능 계 274 50 20 32 8 110 1 76 16 1 15 5 37 367 472 5072 546 360 329 34 1269 410 506 5422 612 381 376 47 1416 *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 외국 유학생 중에는 상당수가 불법체류자로 대학에 재학여부가 불분명하며 출입국외국인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년 3월 10일 현재 국내에 체류중인 중국인 유학생은 모두 52467명이며 그 중에서 합법체류자는 47764명 불 법체류자는 4070명으로 약 10%에 이른다. 자료출처: 출입국외국인본부통계자료실 국적별유학생체류현황 (http://www.immigration.go.kr/hp/timm/imm_06/imm_2010_03.jsp)(2010.9.20인용). 139) 2010
제4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교육연구체제와 인력배양 209 나. 중국의 한국 과 관련한 석 박사학위 현황 앞의 제2장에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1997년에서 2009년 사이에 중국대학에서 한국 관 련 박사학위논문은 모두 112편이었다. 이는 13년 동안 년평균 8.6명이 박사학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제2장의 분석에 따르면 석사학위(논문)은 1993년부터 2009년 사이에 모두 1123편 으로 나타났다. 1999년 까지는 37권에 불과하고 2000년대 이후 모두 1086편이 쓰여졌 다. 다시 말해서 석사를 기준으로 할 경우 2000년대 이후 중국에서 매년 평균 약 108명 의 한국 관련 전문가가 배출되었다고 추론할 수가 있다. 이처럼 한국에 대한 중국학생들 의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중관계가 발전하고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증가추세가 지속될 것이다. <표 4-2-7> 중국 대학에서 석 박사학위논문의 배출건수 년도 1999년대 2000년대 총계 박사학위논문* 5 107 112 석사학위논문 55 1068 1123 * 자료: 중국의 학술논문검색이 가능한 万方数据库 (http://www.wanfangdata.com.cn) * 검색이 가능한 것을 기준으로 박사학위는 1997년부터 석사학위는 1993년부터 한국 관련 학위논문이 검색가능. 앞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한국관련의 학부과정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고 특히 한국 어를 정규과정 혹은 비정규과정으로 개설한 대학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 학원과정의 석사나 박사과정의 한국관련 전문가 배양인력은 한국의 중국관련 석박사에 비해서 여전히 큰 차이가 난다. 특히 중국의 석박사과정은 중국교육부에서 엄격하게 통 제하고 있으므로 석박사를 배출하는 대학도 여전히 소수의 일부대학으로 한정되어 있다. 중국대학의 한국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의 현황을 근거로 이들을 배출한 대학을 역통계 한 결과 중국대학에서 한국 관련 석사를 배출한 대학의 현황은 다음 표 <4-2-8>과 같다.
< 표 4-2-8> 중국대학의한국관련석 박사학위배출대학의수 박사논문과배출대학수 석사논문과배출대학수 대학수 논문수 대학수 논문수 1993 2 2 1994 2 2 1995 1 1 1996 7 8 1997 1 1 5 7 1998 1 1 10 17 1999 3 3 11 18 2000 4 4 19 36 2001 2 3 19 32 2002 8 9 26 50 2003 7 12 20 36 2004 9 10 34 89 2005 9 13 48 128 2006 8 16 54 175 2007 12 15 75 227 2008 10 17 62 146 2009 7 8 42 146. 2009 8 7 146 42. 2007 75 12. 4 1079 ( 322 ). 75 6.9%. 796 75 9. 4%. ( ).
제4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의 교육연구체제와 인력배양 211 <표 4-2-9> 중국의 고등교육기관 현황 2000 738 2005 766 2006 767 2007 795 2008 796 1. 일반대학 415 450 450 479 479 2. 과학연구기구 323 316 317 316 317 二 일반대학 1041 1792 1867 1908 2263 1. 본과대학 599 701 720 740 1079 一 대학원생배양 기구(학교 통계아님) 그 중 독립대학(대학이 법인으로 설립) 2. 전문대학 322 442 그 중 직업기술대학(사립 전문학교) 3. 분교 전문학교(학교통계가 아님) 三 성인대학 772 1091 1147 1168 1184 921 981 1015 1036 428 428 425 77 481 444 413 400 四 사립의 기타 고등교육기관 1077 994 906 866 * 敎育統計 中華人民共和國敎育部(http://www.moe.gov.cn/edoas/website18/96/info1261474691589796.htm)(2010.9.20 인용) 석사와 박사과정이 설치된 대학은 중국내에서 규모와 수준이 높은 대학이라는 점을 고 려한다면 동북삼성 발해만지역 산동반도 그리고 장강삼각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 부분의 주요대학에서 한국 관련 석 박사를 배출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의 대학 중에서 한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의 대부분에 한국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도 특색이다. 다. 중국의 한국 관련 대학원 현황 중국 대학원의 교육과정에서 한국과 관련된 학과(전공)가 얼마나 되느냐 하는 것은 대 학마다 정보공개의 차이가 있어 정확한 통계를 낼 수가 없다. 석 박사 논문을 통해서 역 으로 분석한 바와 같이 석 박사학위가 가장 많이 배출되었던 2007년의 경우 75개 대학의 대학원과정에서 한국과 관련된 논문이 있었기에 75개 대학의 대학원과정에 한국과 관련 된 지도교수가 있고 교육과정이 있다고 충분하게 추론할 수가 있다. 하지만 2007년에 한국과 관련된 박사학위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학생을 배출한 것은 12개 대학밖에 되지 않는 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는 달리 중국의 대학원에서 대학원 석사와 박사과정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엄격 한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기 때문에 석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들은 우수대학이 고 특히 박사과정이 개설된 대학은 모두 명문대학이다. 박사학위를 2명 이상 배출한 대학의 경우 중서부지역인 武漢에 위치한 華中農業大學
. 10 (25 ) 華中師範大學 (12) 西南大學 (11) 武漢大學 (10). < 표 4-2-10> 중국의한국관련석 박사학위배출주요대학 박사학위석사학위논문수배출대학배출대학 논문수 1 山東大學 11 對外經濟貿易大學 147 2 中央民族大學 10 延邊大學 81 3 華東師範大學 8 復旦大學 62 4 復旦大學 8 山東大學 55 5 清華大學 5 東北師範大學 46 6 延邊大學 4 遼寧大學 43 7 遼寧大學 4 上海交通大學 36 8 南京師範大學 3 北京師範大學 28 9 中國社會科學院研究生院 3 浙江大學 26 10 華中科技大學 3 中國海洋大學 25 11 對外經濟貿易大學 3 青島大學 21 12 山東大學 2 遼寧師範大學 18 13 南京藝術學院 2 華東師範大學 16 14 北京中醫藥大學 2 中央民族大學 16 15 外交學院 2 北京語言大學 16 16 中共中央黨校 2 南開大學 14 17 中國海洋大學 2 南京師範大學 13 18 東北師範大學 2 華中師範大學 12 19 華中農業大學 2 東北財經大學 12 1990... 北京大學 復旦大學 東方語 亞非語..
4 日語 朝鮮語 英語語言文學 俄語語言文學 法語語言文學 德語語言文學 日語語言文學 印度語言文學 西班牙語語言文學 阿拉伯語語言文學 歐洲語言文學 亞非語言文學 外國語言學及應用語言學 亞非語言文學. 140) 延邊 延邊大學 朝鮮 - 韓國學學院 -. 1949 朝鮮語言文學 1979 亞非語言文學 1986 亞非語言文學 1998 比較文學 世界文學. 中央民族大學. 1979 2004. ( ) - 6 4.... 39 32. 583 232 2.5. 학문분류 < 표 4-2-11> 1997 년이래중국대학의한국관련박사학위논문분포 사상철학 정치경제문화교육어문학예술 석사학위논문 21 137 ( 사회과학 4포함 ) 461 122 253 68 38 23 박사학위논문 1 14 26 13 32 8 9 `9 역사지리 자연과학 140) 中国学位与硏究生敎育新息网 (http://www.chinadegrees.cn/xwyyjsjyxx/sy/glmd/267001.shtml)(2010.10.1 )
. 時代性. 復旦大學 6 203 79 33 45 26 9.. 141) < 표 4-2-12> 중국의한국관련주요연구기관연구원의주요연구방향 연구영역 인원 역사 9 인문 20 정치 ( 외교 ) 33 경제 25 사회 1 민족문화 2 총계 90 조사대상기관 : 中國社會科學院亞洲太平洋研究所 / 哈爾濱工業大學國際經濟關系學院 / 黑龍江省社會科學院東亞研究所 / 黑龍江大學韓國語言學研究 所 / 吉林省社會科學院朝鮮韓國研究所 / 東北師範大學朝鮮 - 韓國研究中心 / 山東社會科學院對外經濟研究所 / 山東大學韓國學院 / 復旦大學韓國研究 中心 / 上海國際問題研究所亞太研究室 / 上海社會科學院朝鮮半島研究中心 / 上海國際問題研究所亞太研究室 / 同濟大學亞洲太平洋研究中心朝鮮半島 研究室 / 吉林大學東北亞研究院 / 東北師範大學朝鮮 - 韓國研究中心. 90 ( ) 33 25. 31 1.. 141) (2010.9.15 ) 石源華 中國韓國學博士生敎學的現 狀與展望 : 以中國韓國學博士生論壇爲中心. 韓國語言博士生論壇.
제 5 장한국의 중국학 과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비교
5 제 1 절연구성과의양적추세비교 2... < 표 5-1-1>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연구성과유형별비교표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 총계 중국의한국연구 연구성과 (A) 2440 10444 1235 14119 유형별점유율 (%) 17.28 73.97 8.75 100.00 한국의중국연구 연구성과 (B) 5680 29670 7764 43114 유형별점유율 (%) 13.17 68.82 18.01 100 한중연구성과비교 B/A 2.3 2.8 6.2 3.1 1945~2009. 2 43114 14119 3.1.
21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중시하는 정도가 중국의 학계에서 한국을 중시하는 정도보다 훨씬 깊고 광범위하다는 것 을 보여주는 것이다. 단행본을 보면 한국의 중국연구에서 총 5680권으로 중국의 한국연구인 2440권보다 2. 3배가 많았고 양국의 연구성과 전체에서 각각 13.17%와 17.28%를 차지하고 있었다. 중국 의 한국연구에서 단행본의 연구성과 비중이 한국의 중국연구에서 단행본의 연구성과보 다는 좀 많은 편이다. 학술지논문의 경우 한국의 중국연구에서는 총 29670건으로 중국의 10444건보다 약 2. 8배나 많았다. 이것은 한국의 학술적인 환경이 중국보다 자유롭다는 것을 한편으로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체적 성과에서 차지하는 학술지논문의 비중은 중국이 73.97%로 매우 높으며 한국의 중국연구에서도 학술지 논문이 전체 연구성과의 68.82%로 높게 나 타나고 있다. <그림 5-1-1>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유형별 연구성과의 비교도 35000 30000 25000 20000 중국의 한국연구 15000 한국의 중국연구 10000 5000 학 0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 학위논문의 경우 한국의 중국연구와 중국의 한국연구가 전체적 연구성과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상당히 큰 차이가 있었다. 한국의 경우 석 박사 학위논문이 전체 연구성과의 1 8.01%로 중국의 8.7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즉 석 박사학위논문의 연구성과에서 한 국의 중국연구가 중국의 한국연구보다 6.2배나 많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국의 대학원생들의 중국에 대한 관심이 중국 대학원생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5 < 표 5-1-2>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주제별연구성과비교표 중국 한국 양국비교 주제별연구성과 (A) 주제별점유율 주제별연구성과 (B) 주제별점유율 B/A 총류 64 0.45% 192 0.45% 3.0 사상 철학 399 2.83% 1012 2.35% 2.5 종교 141 1.00% 774 1.80% 5.5 정치 1772 12.55% 12763 29.60% 7.2 경제 4633 32.81% 13095 30.37% 2.8 교육 문화 1703 12.06% 3982 9.24% 2.6 어문학 2969 21.03% 5943 13.78% 2.0 예술 146 1.03% 757 1.76% 5.2 역사 지리 2095 14.84% 2927 6.79% 1.4 과학 의학 197 1.40% 1177 2.73% 5.9 총계 14119 100% 43114 100% 3.1 * / (492 ) * : ( ) (1945~2009 ) 29.60% 12763 12.55% 1772 7.2.. 32.81% 20.37%. 2.8. 21.03% 13.78%. ( ).. ( ) 14.84% 6.79% 2.. 2.35% 2.83%.
.... ( 漢 ) ( 隨 ) ( 唐 ) ( 元 ) ( 淸 )..... 44.7%(1091 ) 12.4%(302 ) 12.3%(301 ). ( ). < 표 5-1-3>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단행본연구성과의주제별비교 중국의한국학 ( 단행본 ) 한국의중국학 ( 단행본 )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총류 64 2.6% 90 1.6% 사상철학 41 1.7% 346 6.1% 종교 26 1.1% 63 1.1% 정치 302 12.4% 1426 25.1% 경제 301 12.3% 1278 22.5% 문화교육 * 200 8.2% 601 10.6% 어문학 1091 44.7% 874 15.4% 예술 0 0.0% 171 3.0% 역사지리 396 16.2% 718 12.6% 과학의학 19 0.8% 113 2.0% 총계 2440 100.0% 5680 100.0%
5 12.6%(396 ) 1.7%. 12.6%(718 )... < 표 5-1-4>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단행본연구성과의시기별 주제별비교 1989 년이전 1990 년대 2000 년대 한국 중국 한국 중국 한국 중국 총류 15 19 27 12 48 33 사상철학 59 3 116 18 171 20 종교 10 2 22 10 31 14 정치 264 110 437 69 725 123 경제 70 43 381 113 827 145 문화교육 * 47 15 148 15 406 170 어문학 159 198 198 78 517 815 예술 34 0 23 0 114 역사지리 78 103 159 94 481 199 과학의학 15 0 39 5 59 14 총계 751 493 1550 414 3379 1533 2000 2000 1989 103 78 1990 159 94. 1990 1989 1990 103 94. 2000 481 1990 2. 2000. 1989 1990 2000 827
. 1989 1990 2 2000. 1989 1990 2000. ( 12.4% 12.3%) 25.1% 22.5%. 32. 9% 9970 30.6% 9071. 12.6% 1317 36.8% 3844.. 15.8% 1655 6.7%.. < 표 5-1-5>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술지논문연구성과의주제별비교 중국의한국학 ( 학술지논문 ) 한국의중국학 ( 학술지논문 )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총류 0 0.0% 92 0.3% 사상 339 3.2% 602 2.0% 종교 112 1.1% 418 1.4% 정치 1317 12.6% 9770 32.9% 경제 3844 36.8% 9071 30.6% 문화교육 1368 13.1% 2990 10.1% 어문학 1593 15.3% 3404 11.5% 예술 70 0.7% 419 1.4% 역사지리 1655 15.8% 1982 6.7% 과학의학 146 1.4% 922 3.1% 총계 10444 100.0% 29670 100.0%
제5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221 <표 5-1-6>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학술지논문 연구성과의 시기별 주제별 비교 총류 사상 종교 정치 경제 문화교육* 어문학 예술 역사지리 과학의학 총계 1989이전 한국 중국 37 0 91 78 71 10 1142 224 592 816 371 63 390 188 73 12 174 515 141 25 3082 1931 1990년대 한국 중국 29 0 160 69 119 22 2679 319 1903 1427 557 308 672 254 104 15 405 334 273 22 6901 2770 2000년대 한국 중국 26 0 351 192 228 80 5949 774 6576 1601 2062 997 2342 1151 242 43 1403 806 508 99 19687 543 주제별 연구성과에서 학술지논문의 경우 가장 큰 특징은 1989년 이전 한국에서 중국연 구의 경우 정치분야가 경제보다 2배 이상 많았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에 한국과 중국의 경제교류가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 대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중국의 경제분야에 대한 학 문적인 관심이 높아졌고 그 결과 경제분야의 학술지 논문이 정치분야의 논문보다 훨씬 많이 나왔다. 이것은 한중경제교류의 급속한 발전이 가지고 온 결과라고 할 수가 있을 것 이다. 같은 시기 중국의 경우 한국의 정치보다는 오히려 한국의 경제에 훨씬 큰 관심을 보여 주고 있었다. 당시 경제분야의 논문이 816건으로 정치분야 논문 224건보다 약 3.6배가 많 았다. 당시 중국에서 한국의 현대화의 경험 을 연구하는 풍조가 뚜렷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한국경제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4. 석 박사논문의 연구성과 비교 석 박사논문의 경우 중국의 한국연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현상은 경제분야의 논문 이 정치분야논문의 3배가량 된다는 점이다. 정치분야의 논문이 1317건이었던 것에 반해 서 경제분야의 논문은 3844건이어서 각각 12.6%와 26.8%라는 큰 차이가 나고 있다. 한국 의 경우 석 박사 논문에서 오히려 정치쪽이 약간 높게 나타나 정치분야의 학위논문이 3 2.9%인 9770건으로 경제분야의 9017건 보다 약간 많았다.
< 표 5-1-7>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석 박사논문연구성과의주제별비교 중국의한국학 ( 석 박사논문 ) 한국의중국학 ( 석 박사논문 )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주제별연구성과 ( 건수 ) 점유율 총류 0 0.0% 6 0.1% 사상철학 19 1.5% 64 0.8% 종교 3 0.2% 293 3.8% 정치 153 12.4% 1571 20.2% 경제 488 39.5% 2746 35.4% 교육문화 135 10.9% 883 11.4% 어문학 285 23.1% 1665 21.4% 예술 76 6.2% 167 2.2% 역사지리 44 3.6% 227 2.9% 과학의학 32 2.6% 142 1.8% 연도별 1235 100.0% 7764 100.0%. 47.4% 49.4%. 30.3% 32.9% 30.6%. 63.4% 30.3%.. 1989 1990 2000 1989. 1990 491 526 2000 967 2146 2. 1989 1 1993 1997. 1990. 1990 60 43.
5. 2000 2 1990 152 2000 1453. 9.5. 1990 2000 1990 2000. 1990 3 2000 282 94. ( ). 2000........
... 2000.... < 표 5-1-8> 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석 박사학위논문연구성과의시기별 주제별비교 1989 이전 1990 년대 2000 년대한국중국한국중국한국중국 총류 0 0 2 0 4 0 사상철학 19 0 20 1 25 18 종교 17 0 71 0 205 3 정치 113 0 491 5 967 148 경제 74 0 526 43 2146 445 교육문화 49 0 176 3 658 132 어문학 60 0 152 3 1453 282 예술 25 0 32 1 110 75 역사지리 32 0 70 1 125 43 과학의학 10 0 28 3 104 29 연도별 399 0 1568 60 5797 1175 제 2 절연구주제와연구방법의특징비교 170 169. < 5-2-1>
5 4.7% 8.0%. 사상철학분야 < 표 5-2-1> 사상 철학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점유율비교 2000년이전 2000년이후 합계 건수 비율 (%) 1) 건수 비율 (%) 2) 건수 비율 (%) 3) 한국의중국학 76 6.7% 94 3.8% 170 4.7% 중국의한국학 73 19.4% 96 5.6% 169 8.0% 1) 2000 년이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1141 건 중국의한국학 377 건 ) 에서의비율 2) 2000 년이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2476 건 중국의한국학 1720 건 ) 에서의비율 3) 전체건수 ( 한국의중국학 3617 건 중국의한국학 2097 건 ) 에서의비율 < 5-2-2>. 3 2000 1. < 표 5-2-2> 사상 철학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위논문및학술지별비교 2000년이전 2000년이후 합계 학위학위학위학술지학술지논문논문논문 학술지 계 사상 한국의중국학 31 45 28 66 59 111 170 철학분야 중국의한국학 1(1) 72 21(0) 75 22(1) 147 169 * 한국의중국학에서학위논문은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한국학에서학위논문은석사학위와박사학위논문의합 계이며 ( ) 속의수치는박사학위논문의개수이다. 2000 19.4%.. 2000
226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에 관한 연구 등 현실적 관심도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 연구주제와 내용이 다변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한국의 중국학에서 중국의 선진사상에서부터 전통적 중국철학에 대한 연구는 기초연 구로써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고 할 수 있으며 현실적 차원의 연구로서는 중국의 국가정 체성과 관련한 이데올로기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2000년 이전에는 모택동사상과 정통 사회주의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나 개혁 개방이후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의 방향성을 가늠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주목되고 있다. 철학영역에서는 특히 2000년대에 들어 그 이전시기가 주로 선진사상 연구에 주력하고 있었다면 중국 전통사상의 현대적 의미 등을 연구하는 방향으로의 연구중점이 이동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중국이 현재 유가를 정치적 필요에 의해 강조하고 있는 상황 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교영역에서는 중국에서의 기독교를 연구하는 주제들이 점증하고 있는데 중국에서의 기독교 상황을 감안할 때 중국사회에 대한 이해 를 위해서라기 보다는 한국 교회의 입장에서 중국을 바라보는 모습을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 정치분야 한국의 중국학에서 정치분야는 조사대상 가운데 모두 322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중 국의 한국학에서 이 분야는 모두 83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표 5-2-3>은 정치분야에서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을 비교한 것인데 여기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의 중국학에 서 정치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20.2%이고 중국의 한국학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 1.8%로 중국과 한국이 비슷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다만 한국의 중국학이 2000년을 전 후하여 정치분야 연구가 차지하는 전체 점유율이 감소한 반면에 중국의 한국학은 꾸준한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중국학이 감소한 이유는 중국학의 관심이 정치보다 경제 등 보다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영역으로 옮아간 까닭으로 평가된다. <표 5-2-3> 정치분야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점유율 비교 2000년 이전 2000년 이후 건수 비율(%)1) 건수 비율(%)2) 정치 한국의 중국학 322 28.2% 469 18.9% 분야 중국의 한국학 83 22.1% 375 21.8% 1) 2000년 이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1141건 중국의 한국학 377건)에서의 비율 2) 2000년 이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2476건 중국의 한국학 1720건)에서의 비율 3) 전체건수(한국의 중국학 3617건 중국의 한국학 2097건)에서의 비율 건수 791 458 합계 비율(%)3) 20.2% 21.8%
5 < 표 5-2-4> 정치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위논문및학술지별비교 2000년이전 2000년이후합계학위학위학위학술지학술지학술지계논문논문논문정한국의 46 276 105 364 151 640 791 치중국학분중국의 5(0) 78 146(14) 229 151(14) 307 458 야한국학 * 한국의중국학에서학위논문은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한국학에서학위논문은석사학위와박사학위논문의합계이며 ( ) 속의수치는박사학위논문의개수이다. 163 105 69. 2000 明 2. 2000......
22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의 구체적인 주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련법규를 분석하고 있다. 이 점은 중 국특색의 사회주의를 연구하는 데에서도 우리의 시각에서 보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이 안고 있는 정치 사회 경제적 현실과 사회주의권의 대붕괴라는 세계환경 속에서 중국이 선택하고 있는 이념적 좌표를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연구하여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오히려 한국의 중국연구에서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냉각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와 중국을 같은 잣대에 두고 중국의 사회와 정치 경제를 분석 평가하는 오류를 범할 가능성도 있음을 동시에 지적해두고 싶 다. 다만 중국의 외교관계에 관한 연구는 소련(러시아) 미국 일본 등 강대국과 중국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동남아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에서의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를 연구하는데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 나 이 또한 중국외교에 대한 기초연구가 튼튼해지면 자연스럽게 그 저변을 확대해나갈 것이기에 크게 문제가 되는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한중관계 연구도 정치 외교 군사 중심에서 벗어나 무역과 투자 기술협력 등 경제영역과 문화교류와 환경협력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영역에서 한국과 중국의 입장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편 중국정치에서 국가정체성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면서 이를 민족문제라 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도 활발해졌고 특히 중화민족 문제를 집중 연구하는 성과도 발표되었으며 티베트와 신장 등 민족갈등의 문제도 고찰하고 있다. 또한 중앙무대의 정 치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지방단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치현실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 지고 있어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아직도 중국 전지역을 보다 작게 쪼개어 철저하고 세밀하게 고찰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3. 경제분야 한국의 중국학에서 경제분야는 조사대상 가운데 모두 998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중 국의 한국학에서 이 분야는 모두 552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표 5-2-5>은 경제분야에 서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을 비교한 것인데 여기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의 중국 학에서 경제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27.6%이고 중국의 한국학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26.3%로 중국과 한국이 비슷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경제분야는 양국 모두 전체 조사대상의 연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점하는 것인데 양국 모두 2000년 이후에 더욱더 이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00년
5 3 1 28%. 경제분야 < 표 5-2-5> 경제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점유율비교 2000년이전 2000년이후 합계 건수 비율 (%)1) 건수 비율 (%)2) 건수 비율 (%)3) 한국의중국학 218 19.1% 780 31.5% 998 27.6% 중국의한국학 71 18.8% 481 28.0% 552 26.3% 1) 2000 년이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1141 건 중국의한국학 377 건 ) 에서의비율 2) 2000 년이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2476 건 중국의한국학 1720 건 ) 에서의비율 3) 전체건수 ( 한국의중국학 3617 건 중국의한국학 2097 건 ) 에서의비율 경제분야 < 표 5-2-6> 경제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위논문및학술지별비교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학위논문학술지학위논문학술지학위논문학술지계 한국의중국학 60 158 291 489 351 647 998 중국의한국학 43(1) 28 444(25) 37 487(26) 65 552 * 한국의중국학에서학위논문은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한국학에서학위논문은석사학위와박사학위논문의합계이며 ( ) 속의수치는박사학위논문의개수이다. < 5-2-6>.. 552 487 88.2%.. < 3-1-7> < 5-2-6> 112 26 23.2%. ( 26.3%). 1123 461 41%. 41%.
.. 998 351 35. 2% 2000 59.5%. 2000 1....... IMF.....
5..... M&A. (CSR)... WTO. 35 351 10% 6.
876 346. < 5-2-7> 24.2% 16.5%. 어문학분야 < 표 5-2-7> 어문학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점유율비교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건수비율 (%)1) 건수비율 (%)2) 건수비율 (%)3) 한국의중국학 302 26.5% 574 23.2% 876 24.2% 중국의한국학 20 5.3% 326 19.0% 346 16.5% 1) 2000 년이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1141 건 중국의한국학 377 건 ) 에서의비율 2) 2000 년이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2476 건 중국의한국학 1720 건 ) 에서의비율 3) 전체건수 ( 한국의중국학 3617 건 중국의한국학 2097 건 ) 에서의비율 < 5-2- 8>. 어문학분야 < 표 5-2-8> 어문학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위논문및학술지별비교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 학위논문 학술지 학위논문 학술지 학위논문 학술지 한국의중국학 57 245 47 527 104 772 876 중국의한국학 3(0) 17 282(32) 44 285(32) 61 346 * 한국의중국학에서학위논문은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한국학에서학위논문은석사학위와박사학위논문의합계이며 ( ) 속의수치는박사학위논문의개수이다. 계 < 5-2-8> 2000 47 527 282 44. 2000 2000. 2000
5. < 3-1-7> < 5-2-8> 44 545 8.1% 282 1175 24% 250 1068 23.4% 32 107 29.9%. 3617 955 2000 288 2000 667 2662 2000 853 2000 1 809 < 5-2-8> 2000 47 7.1% 527 1809 29.1%. 29.1%. 8.1% 29.1% 24% 7.1%....
234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문학에 대해서는 고전문학을 연구하면 서도 특히 최근 들어서는 현실적 관심을 반영하여 이전시기에 비하여 현대문학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문학과 사회현상을 고찰하는 연구도 광범위하면서도 심도있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5. 교육 문화 예술분야 한국의 중국학에서 교육 문화 예술분야는 조사대상 가운데 모두 350건의 연구가 이루 어지고 중국의 한국학에서 이 분야는 모두 321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표 5-2-9>은 교 육 문화 예술분야에서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을 비교한 것인데 여기에서 나타나 듯이 한국의 중국학에서 이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9.7%이고 중국의 한국학에 서 차지하는 비율은 15.3%이다. <표 5-2-9> 교육 문화 예술분야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점유율 비교 2000년 이전 건수 비율(%)1) 교육문화 분야 2000년 이후 건수 비율(%)2) 건수 합계 비율(%)3) 한국의 중국학 76 6.7% 274 11.1% 350 9.7% 중국의 한국학 60 15.9% 261 15.2% 321 15.3% 1) 2000년 이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1141건 중국의 한국학 377건)에서의 비율 2) 2000년 이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2476건 중국의 한국학 1720건)에서의 비율 3) 전체건수(한국의 중국학 3617건 중국의 한국학 2097건)에서의 비율 한편 <표 5-2-10>에서 나타나듯이 이 분야에서도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비교하면 한 국과 중국이 모두 학위논문이 학술지보다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높은 사실을 알 수 있다. <표 5-2-10> 교육 문화 예술분야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별 비교 2000년 이전 교육 문화 분야 2000년 이후 합계 학위 논문 학술지 학위 논문 학술지 학위 논문 학술지 계 한국의 중국학 29 47 97 177 126 224 350 중국의 한국학 4(2) 56 207(19) 54 211(21) 110 321 * 한국의 중국학에서 학위논문은 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 한국학에서 학위논문은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논문의 합 계이며 ( )속의 수치는 박사학위논문의 개수이다.
제5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235 년 이후의 경우만을 살펴보면서 앞서 어문학분야를 분석하면서 이용하였던 데이 터를 원용하자면 중국의 경우 2000년 이후 총 1068건의 석사학위 논문중 188건은 전체 의 17.6%이고 총 107건의 박사학위 논문중 19건은 17.8%에 해당하는 높은 점유율이나 학술지논문 54건은 전체 542건의 10%이다. 한국의 경우에도 2000년 이후 총 97건의 박사 학위논문은 전체 박사학위논문 667건의 14.5%에 해당하나 177건의 학술지논문은 대상논 문 전체 1809건의 9.8%에 해당한다. 결국 중국에서는 앞서 어문학분야에서 나타났던 까닭과 비슷하게 석사학위논문을 작 성하면서 여타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한국의 교육 문화 예술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것이 손쉬운 동시에 학위취득후 유리한 측면이 있기에 이 분야에 집중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이 분야 한국의 연구 점유율 문제는 조사대상의 한계로 인해 생기는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앞서 조사대상을 선정하면서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가운데 어문학 이외에 도 교육과 문화에 특화된 전문학술지의 존재가 있었던 것에 비추어 볼 때 그러하며 박사 학위논문의 수효를 중시하여 한국의 중국학에서 약 14.5%의 연구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고 보는 것이 객관적일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중국 한국학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 자체를 다룬 연구 와 한중간의 문화교류를 연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류를 반영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교육에서는 교육관리 체계와 대학교육과 초 중등교육 유아교육 직업교육 등을 연구하고 중국내 농촌문제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한국의 농촌교육을 다룬 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한국 중국학의 이 분야 연구는 문화영역의 비중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중국의 전 통문화 및 의 식 주 등 생활문화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거니와 소수민족의 문화와 지역간 문화차이를 연구하고 있어 그 범위와 심도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예술영역에서는 전통적 중국예술 뿐만 아니라 특히 중국 영화에 관한 연구가 주목되고 교육영역에서는 교육관 련 법제와 역사 연구를 비롯하여 초중등 일반교육은 물론이거니와 특수교육과 사회교육 등에 이르는 주제를 폭넓게 연구주제로 삼고 있다. 한편 사회분야에서는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사회적 불평등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현상을 다루는 연구가 증가 하고 있으며 여론과 시민사회 여성문제와 가족파괴 등의 주제도 주목되고 있다. 2000 6. 역사 지리분야 한국의 중국학에서 역사 지리분야는 조사대상 가운데 모두 321건의 연구가 이루어지
219. < 5-2-11> 8.9% 10.4%. < 표 5-2-11> 역사 지리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점유율비교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 건수비율 (%)1) 건수비율 (%)2) 건수비율 (%)3) 역사지리분야 한국의중국학 123 10.8% 198 8.0% 321 8.9% 중국의한국학 67 17.8% 152 8.8% 219 10.4% 1) 2000 년이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1141 건 중국의한국학 377 건 ) 에서의비율 2) 2000 년이후합계건수 ( 한국의중국학 2476 건 중국의한국학 1720 건 ) 에서의비율 3) 전체건수 ( 한국의중국학 3617 건 중국의한국학 2097 건 ) 에서의비율 역사지리분야 < 표 5-2-12> 역사 지리분야한국중국학과중국한국학의학위논문및학술지별비교 2000 년이전 2000 년이후합계 학위논문 학술지 학위논문 학술지 학위논문 학술지 한국의중국학 60 63 46 152 106 214 321 중국의한국학 1(0) 66 46(9) 106 47(9) 172 219 * 한국의중국학에서학위논문은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한국학에서학위논문은석사학위와박사학위논문의합계이며 ( ) 속의수치는박사학위논문의개수이다. 계 < 5-2-12>. 2000 17.8% 2000 8.8%. 2000. 2000 2000. 2000
제5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237 목된다. 한국 중국학에서 역사연구는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중국사 전반에 대한 광범위하고 도 세부적인 주제들이 분석되고 있다. 사회과학적 함의가 있는 연구들만을 살펴본다면 2 000년 이전의 경우에 공산당 창당 및 국공내전 등 혁명과정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나 200 0년 이후에는 이 문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는데 세월이 좀 더 흐르면 중국공산주의를 역사로서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경향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근대시기의 외세침 탈과 중국의 개혁과제 등의 주제는 중점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7. 과학분야 한국의 중국학에서 과학분야는 조사대상 가운데 모두 92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중국 의 한국학에서 이 분야는 모두 32건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표 5-2-13>은 이 분야에서 한 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을 비교한 것인데 여기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의 중국학에서 이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2.5%이고 중국의 한국학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이 다. 상대국 과학에 대한 관심은 중국보다 한국이 더 큰 셈이다. <표 5-2-13> 과학분야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점유율 비교 2000년 이전 건수 비율(%)1) 과학 분야 2000년 이후 건수 비율(%)2) 건수 합계 비율(%)3) 한국의 중국학 14 1.2% 78 3.2% 92 2.5% 중국의 한국학 3 0.8% 29 1.7% 32 1.5% 1) 2000년 이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1141건 중국의 한국학 377건)에서의 비율 2) 2000년 이후 합계 건수(한국의 중국학 2476건 중국의 한국학 1720건)에서의 비율 3) 전체건수(한국의 중국학 3617건 중국의 한국학 2097건)에서의 비율 또한 <표 5-2-14>는 과학분야에서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을 논문종류별로 분류하 여 비교한 것인데 본 연구의 조사대상 학술지가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하기에 이 분야에 서의 연구성과를 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다만 학위논문만을 볼 때 한국에서는 200 0년 이전보다 이후에 약 11배의 성장이 있은 반면에서 중국에서는 약 29배의 성장이 나 타났다. 중국이 한국의 과학기술에 관해 과거보다 현재에 더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 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므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비율로 보더라도 2000년 이전 중국의 석사학위논문 총 55건 가운데 과학분야 5건은 9.1%에 해당하는데 2000년
238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분석 이후 석사학위논문 총 1068건 가운데 135건은 12.6%에 해당한다. <표 5-2-14> 과학분야 한국 중국학과 중국 한국학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별 비교 2000년 이전 과학 분야 2000년 이후 합계 학위 논문 학술지 학위 논문 학술지 학위 논문 학술지 계 한국의 중국학 5 9 53 25 58 34 92 중국의 한국학 5(0) 78 146(14) 229 151(14) 307 458 * 한국의 중국학에서 학위논문은 박사학위논문이며 중국의 한국학에서 학위논문은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논문의 합 계이며 ( )속의 수치는 박사학위논문의 개수이다. 연구주제별로 보자면 중국에서는 특히 한국의 의학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데 전체 적으로 과학분야 연구의 약 38%에 해당하며 한의학과 중의학의 관계 동의보감 및 한국 의 약재 연구 등 한의학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한국인과 중국인의 체형과 건강을 비교하 는 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그 밖에 과학적 주제로서는 환경생태계 기후 광물자원 김치 등 식품과학 생물학 등을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도 과학기술과 의학건강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각각 전체의 28.3%와 27.2%에 해당한다. 중국의 순수 과학기술와 의료수준 등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중국 의 과학역량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평가하는 논문들도 발표되고 있다. 특히 정보통 신과 식품의류분야에서의 연구도 박사학위논문으로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환경영역에 서의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중국의 환경정책과 환경관련 제반 이슈들을 다각도로 분 석하고 있으며 심지어 녹색산업의 관점에서 중국의 과학을 분석하는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제3절 한중간의 학술교류의 특색과 발전 전망 1 한중간의 대학간 교류의 현황 국제적인 학술교류의 유형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누어진다. 정부차원의 교류지원 대학간의 교류 학자들의 교류 학술단체의 교류 정부차원의 타국학자들의 학술연구의 지원 등으로 나누어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제5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239 <표 5-3-1> 한국 대학의 미 중 일 대학들과 자매결연 현황 미국 중국 일본 2006 1316 1307 896 2010 1634 2068 1102 자료출처: 2006년 자료는 김희수 외 아태지역대학 e-러닝 클러스터 구축전략 수립기초연구 (2007)에서 인용하여 재 작성한 것임 * 2010년의 자료는 한국 4년제 대학의 홈페이지를 전수조사한 자료임 <그림 5-3-1> 한국 대학의 미 중 일 대학들과 자매결연 현황도표 2500 2068 2000 1634 1500 1316 1307 1102 896 1000 500 0 2006 2010 미국 중국 일본 한국의 대학들의 해외교류현황을 미국과 일본 및 중국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2006년 까지는 분명히 미국과의 자매결연 등 교류관계를 많이 체결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0년 9월 현재의 통계를 보면 중국과의 교류가 2068개로 미국과 체결한 1634개보다 월등히 높아졌다. 이는 한중관계에서 각종 교류관계가 발전하고 있는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 로 대학간의 교육분야의 교류도 그 만큼 늘어나고 있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한국과 미국은 1948년에 수교하였지만 한국과 중국의 교류는 1992년에야 수교하였다 는 점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과 중국대학의 자매결연이나 교류의 속도가 얼마나 빠르게 진전되었는가를 알 수가 있다. 이러한 대학간의 학술교류는 당연히 교수 및 전문가들 사이의 연구교류를 동반하는 것 으로 대학간 학술연구 교류활동도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한중 대학 들의 학술연구기구들 사이의 정기적 학술회의나 상호초청연구 같은 여러 가지 유형들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대학 간의 교류가 학생 중심의 혹은 학교당국 중심의 의례 적인 교류라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양국관계가 다양하게 발전하는 만큼 앞
...... 2009 7 2005 2009 5 389 1296. 797 1908 418 1761. 분야 일본미국중국독일영국프랑스합계 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학회수기관수 인문학 224 445 108 285 135 410 56 118 19 44 8 49 550 1351 사회과학 199 414 99 275 119 359 44 98 5 27 9 26 475 1199 자연과학 57 219 33 372 12 64 4 61 4 47 3 20 113 784 공학 109 288 51 268 41 129 6 59 9 47 2 13 218 804 의약학 79 151 54 238 18 48 4 12 2 9 3 4 160 462 농수해양 39 83 14 71 18 52 2 5 2 9 1 4 76 224 예술체육 57 134 34 107 42 87 3 8 5 12 2 4 143 352 복합학 33 174 25 145 4 147 1 19 4 16 1 12 68 513 총계 797 1908 418 1761 389 1296 120 380 50 211 29 132 1803 5689 자료출처 : 학회정보통계 국가별학술교류현황 ( 한국학술진흥재단 (http://www.krf.or.kr) (2009.7.20 인용 ) 현 재학회정보통계는한국연구재단 국내학술지인용색인 (http://www.kci.go.kr) 에서구할수있으나 통계기간에 대한언급이없어활용이곤란함 < 표 5-3-2> 한국내학회 연구기관의최근 5 년간국제교류현황..
제5장 한국의 중국학 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 241 <그림 5-3-2> 한국내 학회 연구기관의 국가별 국제학술교류 총수비교 2705 2179 1685 500 261 일본 미국 중국 독일 영국 161 프랑스 학문분류별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합칠 경우 학회연구기관의 중국(1023건)과의 교 류가 일본(1282건)보다는 차이가 나지만 미국(767건)과의 교류보다는 많은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일본이나 미국의 경우 이공계분야가 높은 이유는 첨단기술을 습득하려는 경우 가 많다고 볼 수가 있다. <표 5-3-3> 인문 사회과학분야 학회 연구기관의 국가별 학술교류 현황 인문학 669 393 545 174 63 57 1901 일본 미국 중국 독일 영국 프랑스 총계 사회과학 613 374 478 142 32 35 1674 총계 1282 767 1023 316 95 92 3575 <그림 5-3-3> 인문 사회과학분야의 학회 연구기관의 국가별 학술교류 현황도표 1400 1200 1000 800 사회과학 600 인문학 400 200 0 일본 미국 중국 독일 영국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