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 R&D 이슈리포트 [HT R&D 2015-005] 2015.10 치매분야국가연구개발조사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 기획단정안나 감수 : 노지훈 ( 서울아산병원 ) 서상원 ( 삼성서울병원 ) 장건호 ( 경희대학교 )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Ⅱ 국내외현황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Ⅴ 첨부자료 한국보건산업진흥원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 기획단
요약문 2014 년우리나라 65세이상고령자의비율은전체인구의 12.7% 에이르러고령화사회로진입하였으며, 2018 년에는 14% 를넘어서고령사회로진입할것으로예상되고있다. 고령인구의증가는전세계적으로공통된현상으로, 우리나라의고령인구는선진국과비교할때매우빠르게증가하고있다. 고령인구의급격한증가와함께노인성질병또한급증하고있으며, 의료비증가등의사회문제로도발전하고있다. 그중특히치매질환은고령자의인구증가와긴밀한관계를유지하면서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으며, WHO 보고에따르면 2012 년세계치매인구는약 3,560 만명이었으며, 2050 년에는 3배로증가할것으로추정되고있다. OECD 주요국가인미국, 영국, 일본등은국가차원의치매전략을수립하여치매의치료및예방을비롯한치매환자의삶의질향상을위한노력을계속하고있다. 우리나라는 2012 년보건복지부를중심으로치매관리법을제정하였고, 이와함께치매종합관리계획을수립하여치매의조기진단, 치료, 예방사업등을추진하고있다. 2014 년우리나라정부의치매분야연구개발투자금액은약 408억원으로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가중심이되어연구개발을추진하고있다. 정부가지원하는연구개발은주로대학을통하여수행되고있으며, 아직은기초단계의연구분야에많은부분이투자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치매질환은암질환보다건강및사회적비용이두배이상소요됨에도불구하고연구개발투자규모는현저히적은상황이다. 우리나라의경우, 치매분야연구개발을통합관리하는체계가갖추어져있지않아연구개발현황및성과파악이어려운실정이다. 치매는우리나라뿐만아니라전세계적으로해결해야할현안으로, 국내외연구네트워크협력을통한새로운연구개발영역의발굴및국내연구성과들의시스템화를위한체계를구축할필요가있다. 또한이를위하여국가차원의일관성있는치매분야연구개발정책마련과연구개발에대한장기적지원이필요한시점이다.
목 차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1 Ⅱ. 국내외현황 7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1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44 Ⅴ. 첨부자료 52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1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치매의정의와분류 ( 정의 ) 치매란인간이가진여러가지인지기능인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능력을포함한측두엽및전두엽집행기능등에장애가발생하여일상생활이나사회생활을하는데어려움을초래하는상태 1) (Alzheimer's Association) Dementia is a general term for a decline in mental ability severe enough to interfere with daily life. ( 분류 ) 치매는그발생원인에따라알츠하이머성치매, 혈관성치매, 루이소체치매, 전두엽치매등으로구분 < 표 1> 치매의분류 2) 구분특징적초기증상신경병리학적정의비율 알츠하이머성치매 기억손상, 점진적진행 대뇌피질아밀로이드플라크와신경섬유얽힘 50 75% 혈관성치매 기억손상이적고집중력저하, 감정둔마, 단계적진행 뇌혈관질환주요부위단일경색또는다중경색확산 20 30% 루이소체치매인지능력변화, 환시파킨슨병대뇌피질루이소체 (alpha-synuclein) < 5~20% 전두엽치매 성격변화, 감정변화언어능력감소, 탈억제 Tau, TDP43 전두엽측두엽에제한된손상 5 10% 1) 치매임상적접근, 대한치매학회 (2006) 2) World Alzheimer Report 2014 (2014)
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급속한고령화로치매노인급증 전세계치매인구는 2015 년에약 4,680 만명이나, 2050 년에는약 3배증가하여 1억 3,150 만명에이를것으로예상 3) [ 그림 1] 세계치매인구증가추이 2012 년국내치매노인인구는 54만명으로 2030 년에는 120 만명을넘어설것으로추정 * 2012년약 54만명에서 2030년에는약 127만명, 2050년에는약 271만명으로매 20년마다약 2배씩증가할것으로추산 < 표 2> 우리나라치매노인증가추이및전망 ( 단위 : 천명 ) 구분 2010 년 2012 년 2015 년 2020 년 2030 년 2040 년 2050 년 치매노인수 474 541 648 840 1272 1,964 2,710 유병률 8.7 9.2 9.8 10.4 10.0 11.9 15.1 3) World Alzheimer Report 2015 (2015)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3 [ 그림 2] 우리나라치매노인증가추이및전망 4) 국내치매환자중알츠하이머치매는 71.3%, 혈관성치매는 16.9%, 기타치매는 11.8% 의비율을차지중증도별로는최경도치매 17.4%, 경도치매 41.4%, 중등도치매 25.7%, 중증치매 15.5% 이며, 이중최경도및경도치매가전체 58.8% 를차지 < 치매의유형별분포 > < 치매의중증도별분포 > 4) 2012 전국치매유병률조사 (2013) [ 그림 3] 국내치매유형별중증도별분포 5)
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치매치료및관리비용증가로사회 경제적부담가중전세계치매와관련한사회 경제적비용은 2010 년 6,040 억달러로추산되며 ( 전세계 GDP 의 1%) 2030 년에는 1조달러에이를것으로예측 6) < 표 3> 치매관련비용 (2010 년기준 ) 7) 치매인구수 ( 명 ) 예상비용 (10 억 US$) 직접의료비용직접사회비용전체비용 GDP 대비비중 (%) 3,560 만 964.1 2,556.9 6,039.9 1.01% 영국의경우, 치매질환의사회적비용은 230 억파운드로암, 심장질환보다현저히높은금액 8) * 주요질환별사회적비용 : 치매 230억파운드, 암 120억파운드, 심장질환 80억파운드, 뇌졸중 50억파운드국내치매와관련된사회 경제적비용은 2013년기준 11조 7,000억원으로 2050 년에는 43조 2,000 억원까지증가할것으로예측 9) < 표 4> 치매로인한사회적비용 ( 단위 : 조원 ) 구분 2013 년 2020 년 2030 년 2040 년 2050 년 실질 GDP 1,134.9 1,471.3 1,938.6 2,384.7 2,787.8 치매의사회적비용 실질비용 11.7 15.2 23.1 34.2 43.2 GDP 대비비율 1.0% 1.0% 1.2% 1.4% 1.5% 5) 2012 전국치매유병률조사 (2013) 6) World Alzheimer Report 2014 (2014) 7)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2014) 8) World Alzheimer Report 2014 (2014) 9) 치매관리사업의현황과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 표 5> 치매고위험군조기발견에따른유병률감소 10) ( 단위 : %) Ⅰ. 분석의배경및필요성 5 치매의조기발견에대한사회적관심증대 치매고위험군의조기발견을통해치매의발병을 2년정도지연시킬경우 20년후치매유병률이 80% 수준으로감소할것으로예상 지연연수 0 년 0.5 년 1 년 2 년 5 년 20 년후 100 94.6 89.5 80.1 57.6 40 년후 100 94.4 89.4 79.5 56.3 치매조기검진과약물치료를동시에시행할경우, 환자 1인당연간 1,217 만원, 총경제적편익은 2조 7,987 억원기대가능 11) < 표 6> 조기검진및약물치료의사회적편익구분 2007년 2013년편익 ( 달러 ) 11,400 12,968 조기검진 + 약물치료 편익 ( 원 ) 10,695,480 12,166,256 총편익 ( 백만원 ) ~ 2,789,718 치매는조기발견시질병증상의완화또는진행을지연시킬수있을것으로생각되는질병임에도불구하고현재적절한조기진단및치료방법부재 10) Jorm AF,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5) 11) 치매관리사업의현황과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현재우리나라는급속한노령화로치매인구가급증하고있으며, 이에따른의료비증가와사회경제적부담증가예상 치매인구과정위험요소 인구고령화에따른노인성치매증가 평균수명과건강수명의차이로인한치료기간증가생산가능인구감소 의료비증가건강보험재정악화국가생산성저하 본보고서에서는치매와관련한국내외연구개발투자현황에대한조사 분석과향후투자방향설정을위한대안을제시할것임
Ⅱ. 국내외현황 7 Ⅱ 국내외현황 치매관련연구개발동향 전세계적으로치매와관련한연구개발은진단분야와치료제분야를중심으로활발히진행 [ 그림 4] 치매치료제의연구개발현황 12) 진단분야치매의진단에서아직까지임상적용가능한생물학적진단지표는미비 - 현재개발되어있는지표로는유전자진단지표, 혈액진단지표, 뇌척수액진단지표, 뇌영상진단지표가대표적 13) 12) SENIOR 조선 (2012) 재구성 13) 치매진단지표개발에대한최신국내외개발현황 (2014)
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유전자진단지표 ) 알츠하이머치매중유전적요인이큰가족성치매 (familial Alzheimer disease) 는약 15% 14) 로 APP * 와 PS1, PS2 *, APOE * 가대표적유전자 *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PS1, 2(Preseilin 1,2), APOE (Apolipoprotein E) 치매관련유전자 APOE4 유전자는알츠하이머병의위험성을 3-8배이상높일수있음. 그러나해당유전자가있으면반드시알츠하이머병이발생하는것은아님. APP, PS1, PS2 유전자의이상은전체알츠하이머병의 1% 미만에서만나타남. 그러나상염색체우성유전의양상으로병리적인유전자의이상이있으면자녀에서반드시증상이나타남. - 유전적변이에의한영향을조사하기위해서는많은시간과비용이요구되며, 검사이후결과통보에대한윤리적문제존재 - 경북대와경희대합동연구팀은미래부의지원사업으로진행된연구에서해마신경세포를보호할수있는유전자구조체제작, 치매예방과치료를위한주요자료로활용기대 ( 뇌척수액진단지표 ) 뇌척수액의생물학적진단지표는실제알츠하이머병의병리와직접적상관성이높고민감도가뛰어나효과적 - 타우단백질및과인산화타우단백질은질병의진행에따라양이변화하므로질병의진행정도를모니터링하는데유용 - 뇌척수액을채취하는방법은침습적진단방법이며, 뇌척수액정도관리및요추천자의안전성문제존재 14) 한국일보 / 김기웅국립중앙치매센터장인터뷰 (2014)
Ⅱ. 국내외현황 9 ( 뇌영상진단지표 ) 뇌영상진단지표는비침습적진단방법이며, 치매의전단계를진단하는지표로중요성이부각 15) -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 의 T1 강조볼륨영상으로뇌측두엽회백질의체적변화로치매평가가능 -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전자단층촬영 ) 에서는 Amyloid -PET * 와 FDG-PET * 가알츠하이머의조기진단을위하여사용 * PET 진단의종류 - Amyloid-PET(Amyloid-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아밀로이드베타를직접확인 - FDG-PET(Flu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포도당대사항진부위를검출 - Tau-PET (THK5351, PBB3, T807) : Tau 병리침착부위의파악 정상인치매초기환자치매중증환자 [ 그림 7] 치매환자의 MRI 영상 16) 15) 치매진단지표개발에대한최신국내외개발현황 (2014) 16) 치매정보 365, http://www.edementia.or.kr/main/mainstart
1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ADNI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 미국을중심으로시작된다기관종적관찰연구 (multi-site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project - NIH와제약업계등의협력으로 6,700 만달러의재원마련. 2005 년 10월, 5개년계획을기반으로정식 ADNI 출범하여, 5년씩 3단계연구를진행중 - 2010 년 2,400 만달러의펀드로 ADNI-GO 를구성 ADNI 의연구를확대및지속, 2011년추가펀드 7,000만달러로 ADNI2 출범 < ADNI 프로젝트추진추이 > - 미국 ADNI 는아래 5 개구조를기본으로각코어중심의연구개발을추진 < ADNI 구성 > - 이와함께, 미국 ADNI 를기반으로하는 World Wide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WW -ADNI) 를구성 * * WW-ADNI : North American ADNI, European ADNI (E-ADNI), Japan ADNI, Australian ADNI (AIBL), Taiwan ADNI, Korea ADNI, China ADNI and Argentina ADNI
Ⅱ. 국내외현황 11 ( 혈액진단지표 ) 혈액속에포함되어있는치매의주요원인물질 ( 베타아밀로이드등 ) 을측정하여치매를조기에진단하기위한다양한연구진행 - 한국과학기술연구원뇌과학연구소와서울아산병원은치매를일으키는단백질로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의혈액내농도를검사하여치매를진단하는방법을개발 17) [ 그림 6] 혈액검사를통한치매진단 - 영국프로테움사이언시스 (Proteome Science) 와킹스칼리지런던은 1,148 명의혈액샘플을분석하여 10개의단백질을확인 18) 치료분야 (Alzheimer's disease 중심 ) 현재미국식약청에서승인된알츠하이머치료제는 donepezil 과같은콜린성신경계조절약물과 NMDA 수용체길항제약물 - 증상의완화작용에만효과가있고증상진전억제는불가능한상황으로근본적원인에대한치료제는전무한상황 - 지금까지 3개의콜린성신경계조절약물 * 과 1개의 NMDA 수용체길항제약물 ** 만이미국식약청에서치료제로승인 * ( 콜린성신경계조절약물 )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 (NMDA 수용체길항제약물 ) memantine 17) 혈액속베타아밀로이드농도측정해치매진단, 동아사이언스 (2014) 18) Pharm Times, 알츠하이머 진단혈액검사 개발 (2014)
1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최근 donepezil 과 memantine 을복합한제제인 Namzaric이미국 FDA의승인을얻었고, 2015년중미국내출시를준비중 * 미국 FDA 승인치료제 - Donepezil (AriceptR) 1996 - Rivastigmine (ExelonR) 2000 - Glantamine (RazadyneR) 2001 - Memantine (NamendaR) 2003 - Donepezil/Memantine (Namzaric) 2014 현재진행중인알츠하이머치료제파이프라인은 583 건으로 77% 가기초연구비임상연구와같은초기단계 - Phase III 연구는 21건 (3%) 으로, 대부분저분자로구성된화합물 * 2006년이후로알츠하이머치료제의개발실패율은 Phase I 44%, Phase II 69%, Phase III 76% [ 그림 8] 알츠하이머치료제연구단계별현황 19) 19) Alzheimer's Disease Identifying and Commercializing First-in-Class Innovation, GBI Research (2014)
Ⅱ. 국내외현황 13 2002 년부터 2012 년사이 413 건의임상시험이진행되었고이를통하여 243 개치료제가개발에실패, 단 1개의증상치료제만이개발에성공 - 알츠하이머치료제개발실패율은 99.6% 로암치료신약 ( 항암제 ) 개발 실패율 81% 보다높은수준 < 표 7> 알츠하이머치료제임상시험현황 20) 연도 Phase 1 Phase 2 Phase 3 합계 2002 0 2 3 5 2003 0 5 7 12 2004 1 9 4 14 2005 4 19 9 32 2006 5 14 6 25 2007 16 22 8 46 2008 25 27 9 61 2009 28 30 14 72 2010 16 24 11 51 2011 15 26 4 45 2012 14 28 8 50 합계 124 206 83 413 현재미국에서임상시험이나 FDA 승인심사를진행중인알츠하이머치료제는 81건 - ( 바이오젠아이덱, aducanumab) 치매환자 166명을대상으로 1상임상시험에서효과증명, 2차임상시험을생략하고 3차임상시험진행 (2019년종료 ) - ( 아스트라제네카, AZD3293) 환자 1500명을대상으로하는임상 2상, 3상시험진행 (2019년종료 ) 20) Alzheimer's disease drug-development pipeline:few candidates, frequent failures,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2014)
1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 일라이릴리 / 로슈, solanezumab) 2012년임상 3상에실패하였으나경미한치매치료에는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나추가임상진행중 - ( 머크, MK-8931) BACE 저해제계열약물로, 환자 1500명을대상으로한 3상임상시험진행 (2019 년종료 ) 국내에서는천연물과줄기세포를이용한연구개발이활발하게진행 - 천연물신약의경우, 대형제약회사를중심으로연구개발및임상시험진행 * 동아쏘시오그룹, 일동제약, 제일약품이천연물을이용한치매치료제임상연구진행중 - 메디포스트는제대혈에서유래한간엽줄기세포기반줄기세포치매치료제 뉴로스템 을개발하여임상진행 * 줄기세포를활용하여독성단백질등질병원인물질을확인하는기술을개발하여해외 10개국에서특허를취득 < 표 8> 우리나라치매치료제신약개발주요현황 (2015년기준 ) 21) 기관연구개발주요내용연구개발단계 경상대학교 천연단백물질 (Osmotin) 추출기술한국파마로기술이전국내특허출원등록및국제 PCT 출원, 미국특허출원 기술이전 대웅제약알츠하이머형치매신약후보물질 DWP 09031 임상 1 상 동아쏘시오그룹동아치매센터를중심으로천연물신약개발진행임상 2 상예정 메디포스트 일동제약 줄기세포치매치료제 뉴로스템 을개발하여임상 1 상을마치고치료제형태를변경하여삼성서울병원에서임상 1/2a 상을진행 천연물신약 ID1201( 비임상시험종료 ), 유럽주요 5 개국과일본, 중국에서특허취득 임상 1 상 2 상전기진행 임상 2 상예정 제일약품천연물에서유래한 DHED (Dehydroevodiamine) 임상 1 상 SK 케미칼 리바스티그민을이용한치매치료패치제품인 SID710 을세계최초로개발하고유럽수출 - 21) 치매치료제개발을위한 R&D 전략수립기획연구 ( 기획과제 ) 및최근기사발췌등
Ⅱ. 국내외현황 15 동아치매센터 2013년 10월, 동아산하의 4개연구센터에산재되어있던치매관련연구를하나로모아동아쏘시오 R&D 센터에개소 2016년까지 100억원이상을투입하여연구인력을현재 20명에서 50명까지확대할계획 치매관련연구는혁신신약연구소에서초기과제 1 2건, 바이오텍연구소가줄기세포관련공동연구진행중 현재가장빠르게진행되는연구는천연물신약으로미국하버드대학치매연구소와공동연구를진행중이며 2015년임상2상개시검토 산업및시장동향 ( 치료제를중심으로 ) 글로벌치매치료제시장규모는 2014 년 129 억달러로연평균성장률 8.6% 로성장하여 2020 년에는 212 억달러를넘어설것으로전망 22) 1993 년최초의치매치료제 Tacrine 이후현재까지여러종류의치료제가사용되고있으나발병후증상치료수준 2015 년까지 아리셉트, 엑셀론 등기존치료제의특허만료, 저가제네릭약품의시장잠식등으로당분간매출은감소하겠으나, 차세대치료제의등장으로시장은지속적으로확대될것으로예상 - 기존의치료제는증상을완화시키는수준이었으나현재개발중인신약후보물질은안전하고효과적으로증상의진행을예방 둔화시키는데초점 22) Persistence Market Research (2015)
1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그림 9] 치매및알츠하이머치료제시장규모 치매중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는알츠하이머성치매의치료제시장 규모는 2013 년 49억달러로연평균성장률 10.5% 로성장하여 2023 년에는 133 억달러를넘어설것으로전망 23) - 알츠하이머성치매의치료제시장을이끌고있는주요기업은 Eisai, Pfizer (Aricept), Forest, Lundbeck (Namenda), Novartis (Exelon) 의 5개기업 < 표 9> 알츠하이머성치매치료제시장주요기업 24) 브랜드 성분 회사명 개발국가 Aricept Donepezil Eisai, Pfizer 일본, 미국 Namenda Memantine Forest, Merz, Lundbeck 독일 Exelon Rivastigmine Novartis 미국 23) Alzheimer's Disease - Global Drug Forecast and Market Analysis to 2023 (2015) 24) Global Alzheimer Prevalence and Drugs Demand (2011)
Ⅱ. 국내외현황 17 [ 그림 10] 알츠하이머성치매치료제시장점유율 25) 국내치매치료제시장은 2009 년 720 억원에서 2012 년 4,000 억원으로급격히성장. 향후연평균성장률 20% 로성장하여 2020 년에는약 2조이상확대될것으로예상 26) 국내에서사용되는대표적인치매치료제는 Aricept, Exelon, Reminyl, Ebixa 4종 - (Aricept) 아세틸콜린분해제제계열의약물로 1998년국내에출시되어현재가장많이사용되는치매치료제. 많은임상데이터가축적되어있으며중등도, 중증치매증상에대해적응증을획득 - (Exelon) 아세틸콜린분해억제제계열의약물형알약으로출시되었다가붙이는패취가등장하여유용하게사용. 붙이는치매약과관련하여 SK케미칼과의특허소송진행중 - (Ebixa) 뇌신경세포를손상시키는글루타민산염의과잉분비를억제하는약물. 1980 년대파킨슨병치료제로개발되었으나, 1990 년대치매치료제로개발되어중증치매환자용으로허가 25) Alzheimers Drugs Market 2012-2017, Roots Analysis(2013) 26) ChosunBiz (2011)
< 표 10> 2014 년치매치료제원외처방액현황 27) ( 단위 : 억원 ) < 표 11> 국내치매치료제시장상위 30 개품목 28) ( 단위 : 백만원, %) 1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Reminyl) 치매의 1,2단계에해당하는경증이나중등도증상치료에적응증을가지고있으나, 최근스티븐슨-존슨증후군등의부작용이보고되어관심이고조 제품명 제조사 2013년 2014년 증감율 Aricept 에자이 398 415 4.1% Exelon 노바티스 147 149 1.3% Ebixa 룬드백 59 54-8.8% Reminyl 얀센 62 43-29.7% 성분제약사제품명 처방금액 2012 년 2013 년 전년대비증감율 1 도네페질 Eisai 아리셉트 35,159 39,350 11.9% 2 리바스티그민 Novartis 엑셀론 18,297 21,273 16.3% 3 메만틴 Lundbeck 에빅사 7,666 7,234-5.6% 4 갈란타민 Janssen 레미닐PR 8,727 7,115-18.5% 5 도네페질 Eisai 아리셉트에비스 5,576 6,230 11.7% 6 도네페질 삼진제약 뉴토인 3,852 4,396 14.2% 7 도네페질 명인제약 실버셉트 2,643 3,951 49.5% 8 도네페질 동아ST 아리도네 3,126 2,905-7.1% 9 도네페질 환인제약 도네페질정 2,139 2,394 11.9% 10 도네페질 CJ헬스케어 에이페질 1,683 2,376 41.2% 11 도네페질 성원애드콕 아리페 1,246 2,339 87.7% 27) UBIST (2015) 28) IMS, 메디칼업저버재구성 (2014)
Ⅱ. 국내외현황 19 성분제약사제품명 처방금액 2012 년 2013 년 전년대비증감율 12 도네페질 고려제약 뉴로셉트 1,542 1,509-2.2% 13 도네페질 대웅제약 도네프 1,353 1,466 8.3% 14 도네페질 종근당 뉴로페질정 994 1,369 37.8% 15 도네페질 현대약품 타미린 1,300 1,336 2.8% 16 도네페질 일동제약 디멘셉트 1,322 1,187-10.2% 17 도네페질 한미약품 도네질 744 985 32.3% 18 도네페질 신풍제약 바로페질 834 906 8.6% 19 도네페질 고려제약 바스티아 660 872 32.2% 20 메만틴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메비탄 660 833 26.2% 21 도네페질 SK케미칼 엘다임OD 620 693 11.8% 22 도네페질 영진약품 하이셉트 348 682 96.1% 23 갈란타민 명인제약 명인갈라타민 300 644 114.5% 24 도네페질 제일약품 도네필 661 607-8.2% 25 도네페질 현대약품 히페질 246 597 142.8% 26 메만틴 일동제약 메만토 377 575 52.6% 27 메만틴 명인제약 펠로우 747 569-23.8% 28 도네페질 이연제약 도네페트 321 524 63.5% 29 도네페질 동화약품 도네페질 543 520-4.3% 30 메만틴 영진약품 뉴로케이 362 510 41.0%
2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국내외치매관련정책동향세계보건기구 (WHO) 와알츠하이머국제기구 (ADI) 는치매를우선적인세계공공보건문제로고려할것을촉구하는보고서발표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2012) 2014 년일본에서 G7 치매수뇌회담실무회의 (G7 Dementia Summit Legacy Meeting) 를개최하여 10대치매관리핵심정책제시 [ 그림 11] 10대치매관리핵심정책 29) 2015 년 5월, 스위스제네바에서세계 70여회원국이참가한가운데치매치료를위한제1차장관급회의를개최하고, 치매에대한국제적대응을최우선과제로설정 * 치매예방과치료방법을적극적으로모색하고국제적인협력과정보교환을유도 29) 제 3 차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수립을위한사전기획연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4)
Ⅱ. 국내외현황 21 미국오바마행정부는연방정부차원에서치매의중요성을인식하고치매관련법률제정및연구개발중점지원 ( 법 제도 ) 1992 년알츠하이머질병및관련치매연구법 * 을비롯하여, 국가알츠하이머프로젝트법 * (2011 년 ) 및알츠하이머책임법 * (2014 년 ) 제정 * 알츠하이머질병및관련치매연구법 :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Research Act, ADRD * 국가알츠하이머프로젝트법 : National Alzheimer Project Act, NAPA * 알츠하이머책임법 : Alzheimer's Accountability Act, AAA ( 국가계획 ) 2012 년알츠하이머관리를위한국가계획 (National Plan to address Alzheimer s Disease) 을수립 (2012년 2015년) < 표 12>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의 5대목표및 3대원칙 30) 분류 내용 1. 알츠하이머예방및효과적치료법을 2025 년까지개발 2. 알츠하이머간병의품질과효율성제고 5 대목표 3. 알츠하이머환자보호인력 ( 간병인포함 ) 과가족지원 4. 알츠하이머에대한일반대중의인식제고 5. 알츠하이머관련데이터취합및데이터품질개선 3 대원칙 1. 알츠하이머예방 치료에관한기존자원을최적화하고, 각부처의지속적인예방 치료활동을개선및조정 2. 알츠하이머예방 치료에관한민관파트너십지원 3. 알츠하이머예방 치료에관한정부정책을지속적으로개선 30) 글로벌보건산업동향, 보건산업진흥원 (2012)
2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예산 ) 2012 년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추진을위하여 15,600 만달러를투자하였고, AAA 제정후 2015 년알츠하이머연구비로 2,500 만달러추가배정 - 미국정부는 2016년알츠하이머연구를위하여 5천만달러를투자할예정 ( 연구개발 ) Alzheimer's disease research center (ADRC) 를전국적으로지정하고연간 900 억원의예산으로 ADRC 의운영지원 * 알츠하이머질병연구자들사이의협업을촉진하고아이디어 데이터및연구결과의공유를위하여설립된연구네트워크를통한연구를촉진 [ 그림 12] 미국알츠하이머질병연구센터 (Alzheimer's disease research center) -NIH의 NIMH * 는원하는사람의사후뇌조직을공유하고연구하는웹기반은행인 Neuro Biobank 설립프로젝트를개시 * NIM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국립정신건강연구소
Ⅱ. 국내외현황 23 Neuro Biobank (NBB) 31) 미국내 5개뇌연구기관 * 이협력하여진행하며, 2013년 470만달러를지원 * 마운트시나이대, 하버드대, 마이애미대, 피츠버그대, 세풀베다연구조합 인터넷상에서신경과학커뮤니티네트워크를구축하는형식으로, 이미유럽에서는유사한프로젝트가시행 뇌를기증하기로서약한자원자가사망하면기증받은뇌의조직을저장한뒤뇌조직을필요로하는연구자들에게제공 연구자들이쉽게필요한검체에접근할수있게되어신경질환연구의효율성이크게제고될것으로기대 - 국가알츠하이머공동연구센터 (National Alzheimer s Coordi nating Cente, NACC) * 는 ADCs 등연구기관의데이터를기반으로데이터베이스를구축및관리, 활용 * 국가알츠하이머공동연구센터 (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 NACC) : 알츠하이머와신경성질환의공동연구를지원하는미국유일의데이터베이스구축기관 - 알츠하이머, 간질등원인불명의난치병치료제개발을위하여 BRAIN * initiative project 추진을발표하고 (2013년 4월 ), 2016년에는관련예산으로 2억달러책정 32) * BRAIN Initiative (Brain Research through Advancing Innovative Neurotech-nologies Initiative) : 5개연방정부기관 ** 이공동으로참여하여뇌연구분야의첨단기술개발과적용지원 ** 5개연방정부기관 : 국립보건원 (NIH),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 국립과학재단 (NSF), 고등정보연구계획국 (IARPA), 식품의약청 (FDA) 31) NIH (2013) 32) 한국보건산업진흥원주요국보건의료 R&D 동향 (2015)
2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영국치매극복을국가적과제로지정하고, 보건부를중심으로한정부와알츠하이머학회, 대학, 민간단체가적극적으로대처 ( 법 제도 )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5 를기반으로치매환자들의임금을보장하고있으며, ʻMental Capacity Act 2005ʼ에따라치매환자들을지원하고보호 ( 국가계획 ) 2009 년 Living well with Dementia: National Dementia Strategy 발표 (2009 2014년) < 표 13> 영국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17개목표 33) 1. 대중및의료종사자의치매에대한인식과이해증진 2. 고품질, 조기진단, 치매환자및보호자에대한지원과치료 3. 치매환자와가족을위한양질의정보제공 4. 진단후관리, 지원, 조언에대한접근용이성강화 5. 구조화된동료지원 (peer support) 및학습네트워크개발 6. 지역사회개인지원서비스향상 7. 간병인의처우개선 (Implement the New Deal for Carers) 8. 일반병원에서의간호의질향상 9. 치매환자를위한중간간호 (Intermidiate care) 증진 10. 치매환자와보호자를위한주거지원, 주택관련서비스, 기술등 11. 치매환자의가정간호질향상 12. 생애말기간호 (End-of-life care) 향상 13. 치매환자를위한정보전문인력양성 14. 치매를위한공동위원회전략 (Joint commissioning strategy) 15. 평가, 건강규제, 간호서비스, 시스템운영방법개선 16. 치매의원인과향후치료가능성에대한연구 17. 국가치매전략의이행을위한효과적인국가적 지역적지원 33) Living well with dementia: A National Dementia Strategy, DH (2009)
Ⅱ. 국내외현황 25 - (3단계전략 ) 치매에대한지식제공및사회적인지개선 치매환자및가족, 간호자를위한조기진단과지원, 치료제공 치매환자및가족, 간호자의요구를충족시키는서비스개발 * 국가가제공하는서비스영역이아닌국민의수요, 즉치매간호경로를기반으로수립 ( 예산 ) 런던에서개최된치매정상회의에서치매관련연구개발에 2015 년 6,600 만파운드의투자계획및치매를비롯한뇌질환연구에향후 5년간 1억파운드투입 * 할계획을발표 * 줄기세포연구소개설및치료제개발을위한대학간네트워크구축등 ( 연구개발 ) 뇌신경및정신건강관련연구는여러연구기관간의공동프로젝트를통하여대부분추진되고있는데, 특히 MRC 산하의 NMHB (Neurosciences and Mental Health Board) 에의해주도 < 표 14> MRC 뇌신경분야중점연구내용 34) 신경변성 정신건강 중독및약물남용 신경생물학및신경생리학 임상신경학및신경염증 인지및행동신경과학, 인지시스템 Neuroimaging Neuroinformatics 34) MRC 홈페이지 http://www.mrc.ac.uk
2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BBSRC(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의경우직 간접적으로뇌신경및정신건강관련연구를추진 - 세계최대규모의알츠하이머연구소를설립하여 50세이상영국국민 200만명의의료기록과생활습관등을모니터링할계획 * * 8개대학연구소, 의학연구협회, 아스트라제네카와글락소스미스클라인 (GSK) 을포함한제약사 6개, 바이오테크회사등이참여 - 브리스톨대학의 ' 스피어 '(SPHERE : Sensor Platform HEalth care in Residential Environment) 는치매환자등고령자간병에소요되는비용을줄이기위한연구진행 * 영국정부로부터 5년간 1,200만파운드의자금을지원받아진행되며, 영국내 50여명의연구자들과브리스톨시의회, KWMC (Knowle West Media Centre) 를비롯하여 IBM, 도시바와같은글로벌기업도공동으로참여 일본 2015 년새로운치매관련중장기계획인 신오렌지플랜 을수립하였고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와후생노동성을중심으로치매관련연구개발지원 ( 법 제도 ) 2005 년 개호보험법 을개정하면서치매환자지원을강화하였고, 2012 년치매에관한조사연구추진에대한규정을추가하여재개정 ( 국가계획 ) 치매관련대책을담은 치매대책 5개년계획 ( 오렌지플랜, 2013 2017년 ) 을수립하였고, 2015년이를보완한 신오렌지플랜 수립 * 치매를조기에진단할수있는병 의원증설, 인지증케어패스보급, 젊은치매대책강화등을추진
Ⅱ. 국내외현황 27 < 표 15> 신오렌지플랜주요내용 35) 1. 치매에대한이해를높이기위한보급 계발추진 2. 치매의증상및중증도에따른적절한의료 간호제공 3. 젊은치매대책강화 4. 치매환자및간병인지원 5. 치매환자를포함한노령자를위한지역만들기추진 6. 치매예방법, 진단법, 재활및간호시스템모델등의연구개발및성과보급추진 7. 치매환자와가족의관점중시 ( 예산 ) 2015 년, 신오렌지플랜과관련하여약 161 억엔의예산을배정하였고,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는뇌질환연구를위하여 68억엔책정 * 2015년 4월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설립이후, 후생노동성의 인지증대책종합연구사업 (6.5억엔) 은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로이관 ( 연구개발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를중심으로뇌전체의신경회로구조및기능해명, 치매 우울증등의정신질환의발병메카니즘분석등의연구를적극적으로진행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뇌건강대국실현프로젝트 뇌전체의신경회로구조 기능해명, 바이오마커개발을위한연구개발기반정비추진및치매, 우울증등의정신질환의발병메카니즘해명, 진단법, 치료법확립을목표로하는연구개발프로젝트 세부사업 - 혁신적기술에의한뇌기능네트워크해명프로젝트 (2015년 37.3억엔 ) - 뇌과학연구전략추진프로그램 (2015년 21.1억엔 ) - 장애자대책종합연구사업 (2015년 3.5억원 ) - 치매연구개발사업 (2015년 6.5억엔 ) - 임상시험, 연구지원 ( 거점간네트워크 ) 35) 인지증시책추진종합전략 ( 신오렌지플랜 ), 후생노동성 (2015)
2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2014년후생노동성은인지증대책종합연구사업을통하여 15개치매관련사업에 1.8억엔지원 < 표 16> 후생노동성치매관련주요연구 36) 연구내용연구책임자소속지원금액 대규모게놈역학공동연구에의한인지증위험인자및방어인자해명 대규모역학조사에의한인지증발병촉진원인및제어인자검출에관란연구 인지증의간호 의료지역체게실태과제가시화및계통적파악방법연구개발 큐슈대학 나고야학예대학 ( 교육대학 ) 교토대학 4,320 만엔 3,216 만엔 1,425 만엔 인지증케어및간호기술에관한연구효고현립대학 984 만엔 BPSD 증상평가법및치료법개발과뇌기반해명을위한종합적연구 쯔쿠바대학 984 만엔 36) 인지증대책종합연구사업, 후생노동성 (2014)
Ⅱ. 국내외현황 29 우리나라 ( 법 제도 ) 2011 년 8월치매관리법을제정하여 2012 년시행하였고 2015 년 1월법률의일부를개정하여 7월부터시행 * 치매관리법에서는치매의예방, 치매환자의진료 요양및치매퇴치를위한연구등에관한정책을종합적으로수립 시행하도록규정 ( 국가계획 ) 2008 년치매관리종합대책을발표하였고, 2012 년제2차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수립 * 제1차치매관리종합대책은 2011년치매관리법제정을위한중요한계기마련 < 표17> 제2차치매관리종합대책의주요내용 37) 구분 목표 추진과제 세부내용 1. 치매의예방 - 발견 - 치료 - 보호를위한체계적기반구축 2. 치매환자와가족의삶의질향상및노년의불안감해소 3. 치매에대한올바른이해및사회적관심제고 조기발견및예방강화 맞춤형치료 보호강화 인프라확충 가족지원및사회적소통확대 치매검진내실화 진단율제고 치매발생위험요인사전관리강화 치료지원상화 장기요양대상자확대 가족의돌봄지원 치매거점병원지정 운영 치매관리전달체계확립 치매환자종합 DB 고도화 치매전문인력양성 치매연구개발강화 치매케어상담등가족지원강화 치매인식개선및정보제공 ( 예산 ) 치매관리사업에대한보건복지부의 2014 년예산은 516 억원 38) - 2014년부터노인장기요양보험치매특별등급이도입됨에따라치매특별등급운영지원금이새롭게편성되어전년대비 63.6% 증가 37)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12) 38) 치매관리사업의현황과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3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연구개발 ) 치매관리법제10조에따라중앙치매센터를중심으로연구를수행하고있으며, 부처별로각사업에서치매관련과제를산발적으로지원 - ( 중앙치매센터 ) 사업팀내에연구기획파트를조직하여치매관련연구수행 [ 그림 13] 중앙치매센터조직도 _ 연구기획팀 * 중앙치매센터운영기관인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중심으로치매관련연구사업의통합관리치매예방 진단및치료에필요한신기술개발 보급, 관련전문교육수행 (2012년부터 6년간 90억예산지원 ) - ( 보건복지부 ) 2014년치매극복기술개발사업에대하여약 25억원의예산을배분 -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2014 년 241억원 ) 사업을통하여 MRI 기반뇌지도구축등의연구개발지원 - ( 산업통상자원부 )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 (2014년 105억원 ) 을통하여치매노인을위한스마트시스템개발등을지원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1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치매분야연구개발투자금액산출조건 ( 검색환경 ) NTIS 국가R&D 정보공유원스톱조사분석정보활용 ( 검색년도 ) 2012년 2014년 (3년) ( 대상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중소기업청, 식품의약품안전처등 32개부처 청 ( 검색키워드 ) 치매, 알츠하이머, 알쯔하이머, dementia, dimentia, alzheimer ( 데이터추출일자 ) 2015년 7월 27일 총연구개발투자금액 (2012 2014년) 2014 년치매분야의국가연구개발투자는총 408 억원 ( 전체국가연구개발사업의 0.2%), 5년간 (2012 2014 년 ) 연평균투자액증가율 4.2% - 3년간 (2012 2014년 ) 치매관련연구개발총투자금액은 1,159억원 < 표 18> 치매분야연구개발연도별투자현황 (2012 2014년) ( 단위 : 백만원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합계 ( 누적치 ) 정부R&D투자금액 37,570 37,528 40,775 115,873
3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그림 14] 치매분야연구개발연도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부처별투자현황 (2012 2014년) 3년간 (2012 2014 년 ) 부처별투자의경우, 미래부 (476 억원 ), 복지부 (401 억원 ), 교육부 (118 억원 ), 산업부 (58억원) 순 - 부처별투자비율은치매연구개발에대한총투자금액에대하여미래부 41%, 복지부 35%, 교육부 10%, 산업부 5% 순 < 표 19> 부처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 단위 : 백만원 ) 부처명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교육부 3,835 4,175 3,788 11,798 농림축산식품부 935 470 485 1,890 농촌진흥청 1,136 1,080 1,280 3,496 문화체육관광부 273 273 미래창조과학부 14,028 16,977 16,546 47,551 범부처사업 500 500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3 부처명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보건복지부 12,960 13,122 14,567 40,650 산림청 200 200 산업통상자원부 3,490 575 1,770 5,835 식품의약품안전처 270 270 540 중소기업청 913 358 1,069 2,340 환경부 800 800 총합계 37,570 37,528 40,775 115,873 [ 그림 15] 부처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3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연구개발수행주체별투자현황 (2012 2014년) 치매분야국가연구개발사업의주요연구개발수행주체를살펴보면최근 3년동안대학이가장큰비중을차지 - 연구개발수행주체중대학이 3년간 720 억원 (62%), 다음으로출연연구소 193억원 (17%), 중소기업 115억원 (10%) 순 < 표 20> 연구개발수행주체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 단위 : 백만원 ) 수행주체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국공립연구소 790 661 1,146 2,598 대기업 702 250 430 1,382 대학 22,250 24,015 25,769 72,034 중견기업 3,326 3,394 6,720 중소기업 7,787 1,366 2,352 11,505 출연연구소 5,369 7,397 6,518 19,284 기타 673 512 1,167 2,351 총합계 37,570 37,528 40,775 115,873 [ 그림 16] 연구주체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5 과학기술표준분류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과학기술표준분류기준에의하면보건의료 512 억 (44%), 생명과학 252 억 (22%), 뇌과학 196억 (17%) 의순으로많은금액이투자 < 표 21> 과학기술표준분류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 단위 : 백만원 ) 과학기술표준분류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건설 / 교통 60 60 과학기술과인문사회 44 44 88 기계 51 51 51 152 농림수산식품 2,705 2,154 2,589 7,448 뇌과학 5,121 7,172 7,305 19,598 문화 / 예술 / 체육 403 111 115 629 물리학 63 63 보건의료 17,597 16,719 16,881 51,197 사회 / 인류 / 복지 / 여성 179 300 320 799 생명과학 9,425 7,822 7,954 25,201 생활 60 58 118 심리 51 51 원자력 540 550 744 1,834 인지 / 감성과학 12 53 77 142 전기 / 전자 52 702 755 정보 / 통신 35 35 538 608 화공 25 25 화학 512 2,137 2,359 5,008 환경 293 800 1,093 기타 533 220 253 1,006 총합계 37,570 37,528 40,775 115,873
3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그림 17 과학기술표준분류 - 경제사회목적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적용분야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적용분야별기준에의하면건강 759 억 (66%),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168 억 (14%) 의순으로많은금액이투자 < 표 22> 적용분야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 단위 : 백만원 ) 적용분야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건강 22,407 27,044 26,478 75,929 교통 / 정보통신 / 기타기반시설 77 77 기타공공목적 897 1,212 1,691 3,799 기타산업 419 465 884 농업, 임업및어업 1,327 1,676 1,603 4,606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 260 231 294 785 사회질서및안전 20 20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7 적용분야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에너지 30 30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53 119 172 제조업 ( 섬유, 의복및가죽제품 ) 30 30 제조업 ( 음식료품및담배 ) 299 79 274 652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및시계 ) 153 307 951 1,411 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 ) 8,197 4,209 4,370 16,775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및통신장비 ) 528 528 지식의진보 ( 비목적연구 ) 3,270 2,677 2,787 8,734 출판, 영상, 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 273 200 473 환경 40 40 890 970 총합계 37,570 37,528 40,775 115,873 [ 그림 18] 과학기술표준분류 - 경제사회목적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3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년) 3년간연구단계별투자현황을살펴보면전체적으로기초연구에가장많은금액이투자되었고매년증가한것으로나타남 - 기초연구에 524억원 (45%), 응용연구 242억원 (21%), 개발연구 318억원 (27%) 순 < 표 23> 연도별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 단위 : 백만원 ) 연구단계 2012년 2013년 2014년 총합계 기초연구 17,229 18,157 17,061 52,447 응용연구 5,240 8,511 10,442 24,194 개발연구 12,734 7,868 11,231 31,833 기타 2,367 2,991 2,041 7,399 합계 37,570 37,528 40,775 115,873 [ 그림 19] 연도별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39 부처의연구단계별투자현황을보면개별부처별로집중적으로지원하고 있는연구단계가존재 - 교육부, 미래부는원천기술개발을위한기초연구분야에각각 107 억 (91%), 234억 (49%), 산업부는산업화를위한개발연구에약 50억원 (85%) 을 투자 - 복지부는기초연구에 130억원 (32%), 응용연구 75억원 (19%), 개발연구 200억원 (49%) 을투자 < 표 24> 부처별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년누계 ) ( 단위 : 백만원 ) 부처명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 기타 총합계 교육부 10,698 232 104 764 11,798 미래창조과학부 23,412 15,042 3,152 5,945 47,551 보건복지부 13,011 7,489 19,999 150 40,650 산업통상자원부 850 4,985 5,835
4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그림 20] 부처별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 년 )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41 [ 그림 21] 부처별연구단계별투자현황 (2012 2014 년누계 )
4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부처별치매관련과제수 (2012 2014년) 2012 2014 년 3년간부처별치매관련과제수는복지부, 미래부, 교육부가전체의 88% 차지 - 상기 3개부처의치매관련과제는 676 건으로, 치매분야연구의대부분이복지부, 미래부, 교육부에서이루어지고있는상황 - 각부처별 3년간과제당평균지원금액은산업부가 5.8억원으로한과제당가장많은금액을지원하고있는것으로나타남 < 표 25> 부처별과제수및과제당평균지원금액 ( 단위 : 건, 백만원 ) 부처명 과제수 투자금액 과제당평균지원금액 교육부 223 11,798 53 농림축산식품부 27 1,890 70 농촌진흥청 22 3,496 159 문화체육관광부 1 273 273 미래창조과학부 226 47,551 210 범부처사업 1 500 500 보건복지부 227 40,650 179 산림청 2 200 100 산업통상자원부 10 5,835 583 식품의약품안전처 2 540 270 중소기업청 26 2,340 90 환경부 2 800 400 합계 769 115,873 151
Ⅲ. 치매관련국가연구개발투자현황 43 [ 그림 22] 부처별과제수및과제당평균투자금액 < 표 26> 2014 년치매관련부처별주요사업 (5 억이상 ) ( 단위 : 백만원 ) 부처명사업명투자금액 교육부일반연구자지원 3,136 농촌진흥청국책기술개발 1,200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뇌과학원천기술개발중견연구자지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신진연구자지원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바이오 의료기술개발선도연구센터지원첨단융합기술개발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질환극복기술개발첨단의료기술개발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연구중심병원육성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 ( 사회약자배려및사회이슈해결 ) 산업기술국제협력 4,690 2,726 2,500 1,588 1,478 785 700 660 500 7,850 4,312 846 550 환경부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800 870 500
4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국가전략의목표에부합하는치매분야의연구개발투자확대급격한인구고령화에따른치매의사회경제적비용증가를고려하여국가차원의연구개발투자확대필요 - 치매는암보다건강및사회적비용이두배이상소요됨에도불구하고연구개발비용이현저히적은상황 [ 그림 23] 질병별건강사회비용및연구개발비용 39) 39) UK research spend in 2008 and 2012 : comparing stroke, cancer, coronary heart disease and dementia, BMJ (2015)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45 * 2014년우리나라정부연구개발투자금액중치매관련총투자금액은약 408억원 (2014년국가연구개발전체의 0.2%) - 다른질환과다르게노년에증상이나타나며발병진행속도가느려시험자체에많은시간이소요되므로장기적투자필요 * 기억력관련실험을 1회수행하는데에 2-3년의시험기간소요 - 치매질환을국가의주요해결과제로인지하고,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등치매관련국가전략및정책과연계하여국가차원의종합적이고실질적인연구개발계획및투자전략마련필요 * 암질환의경우, 국가차원의 암정복 10개년계획 에서암진단 치료기술개발을중점전략으로지정하고있으며, 이를기반으로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을추진민간참여및투자활성화를위한상용화프로그램개발을통하여민간투자및연구개발참여유도 - 국내뿐만아니라글로벌제약기업에서도치매치료제개발을주저하고있는상황이나, unmet needs가많은분야이므로정부지원을통한민간투자유도필요 * 3년간 (2012 2014년) 국가연구개발사업중기업이연구개발주체가되어민간투자금을매칭한경우는대기업 1%, 중견기업 6%, 중소기업 10% 에불과 - 치매치료제개발을목표로하는기업을중심으로각분야 ( 학교, 병원, 연구소등 ) 의협력연구를위한컨소시움형태의연구개발을기획함으로써민간의연구개발참여유도
4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치매관련연구개발체제정비국내의연구개발성과연계및현황파악을위하여연구개발전담센터설치고려 - 치매관련연구개발의중장기적기획및전략수립, 부처별사업프로그램조정등을위한컨트롤타워필요 * 현재치매연구개발과관련하여뇌연구촉진시행계획이수립되어있으나이는뇌연구전반에걸친계획으로, 치매분야에대한접근이미약 - 기진행된국내의연구개발성과를파악하고관련연구자들의연계협력을적극적으로추진 * 전세계적으로치매치료제개발은전무한상황으로모든국가가동일한수준에서시작하는 zero-base 연구. 국내에산재되어있는연구개발능력을집중 고도화하여선도적기술개발성과도출 - 정부중심의연구개발전담센터를설립하고, 성과분배에대한규정을명확히함으로써기업연구소등민간의참여를독려범부처형치매연구방안재고및부처별관련사업연계추진 - 현재의범부처사업은부처가협력하여연구를진행한다는개념보다는부처가공동으로연구비를지원하고사업단에서연구자를선발하여지원하는형태 - 부처별성과및실패사례공유를통하여연구개발의중복투자를방지하고기술적연계협력을통한효율화증진 < 부처별연계가능사업예시 > 교육부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능성인간줄기세포의알츠하이머병치료효능검증 ) 미래부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알츠하이머질환의줄기세포이식을위한생체내상호작용기전규명 ) 복지부질환극복기술개발 ( 유도만능줄기세포를이용한한국형치매환자연구모델확립 )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47 새로운기전및조기진단기술개발을위한연구추진필요기존의베타아밀로이드관련치매치료제개발의한계를벗어난새로운기전및진단기술개발연구필요 - 지난 20여년간치료제개발의주요타겟은베타아밀로이드였으나, 최근베타아밀로이드의축적과치매증상발현에수년간의차이가있음이알려짐 * 치매증상이발현된환자에대한임상시험실패의주요원인은치료시작시점이늦었던것에기인 - 전세계적으로기존에발병원인으로생각되었던기전이외의새로운치매질환유발원인규명을위한기전연구가진행되는추세 - 예를들면, 상염색체우성알츠하이머의경우, 전체알츠하이머환자에비하여발생수는적으나, 특징적인신경학적소견을동반하고있어전주기적치매의임상연구가구현될수있는모델 40) * 미국은상염색체우성알츠하이머연구를위해글로벌네트워크를구성하고적극적인연구추진 (DIAN) 치매증상이발현되지않은치매위험군을조기에발견하고, 발현초기부터증상을완화시키고개선시킬수있는방안마련시급 - 혈액및유전자를이용한조기진단을비롯하여, MRI 조영제및 PET 동위원소를이용한진단방법등조기진단을위한연구에신속하고구체적인지원필요 40)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임상연구인프라조성기획과제, 서울아산병원 (2015)
4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상염색체우성알츠하이머연구의글로벌네트워크 (DIAN, Dominantly Inherited Alzheimer Network) 상염색체우성알츠하이머병은산발성알츠하이머병의병태생리및예측할수있는근거가될수있는가장적합한모델 경과를 미국워싱턴대학교에서는상염색체우성알츠하이머병연구의중요성을일찍인지하고, 의료진주도하에국제적인네트워크 (DIAN) 를구성 미국, 독일, 영국, 호주등이참여하여알츠하이머병해명연구를비롯하여치료제임상시험까지진행 우리나라에서는서울아산병원을중심으로미국워싱턴대학교와 MOU를체결하는등 DIAN-Korea 연구를추진중 [ Global Map of DIAN Performance Sites ]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49 국내외연구네트워크확대를통한글로벌수준의치매진단 치료연구추진국제적공동연구에적극적으로참여함으로써국제적연구동향파악및정보수집, 체액및유전정보의수집, 보관, 분석기술의향상을도모 * K-ADNI의활성화를통한 WW-ADNI와의교류확대, 한-영알츠하이머국제협력강화, DIAN-K 신설을통한참여검토등 K-ADNI (Korea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알츠하이머치매뇌영상선도사업 뇌영상이니셔티브 (Alzheimer 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ADNI) 사업의일환으로보건복지부가 2012년부터추진 500명이상의피험자 ( 정상인및치매환자 ) 를대상으로뇌영상자료, 뇌척수액샘플, 혈액샘플등을추적수집하여 DB 구축하는것을목표로시작 < 사업의주요내용 > - 뇌영상및생물학적표지자의유효성평가및수집분석의표준화마련 - 자료수집과분석의표준화를통한치매연구기반구축 - 치매극복을위한신약개발및임상적용연구 - 치매관련국내외협력연구시스템구축 - 국제적으로공인된영상기술및진단용체액분석기술도입, 치매관련연구개발및분석기술의고도화 - 국내연구진이질높은국내외치매데이터를활용할수있는기회제공 * 우리나라는분석및연구기술은수준이높은데반하여환자수부족, 비체계화된임상정보데이터등자료부재로연구에어려움이존재
5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국내외환자들의정보교류를통하여환자와보호자의만족도향상을도모하고, 치료제개발및질병예방에대한희망적의지고취 - 치매환자간의네트워크를통하여급증하는간호비용감소와치매로인한사회적비용경감을위한인적네트워크의기반마련및정부의신속한대응을위한소통의창구마련 젊은치매예방을위한중점적연구개발지원필요노인성치매외에젊은층의치매질환에대한관심이증가함에따라 젊은치매 (60대미만 ) 방지를위한연구개발필요 - 젊은치매의원인은아직뚜렷하게밝혀지지않았으나유전적요인, 음주및흡연, 스트레스등사회환경적요인예측 [ 그림 24] 우리나라연령별치매진료환자수현황 41) - 기존젊은치매환자에대한데이터수집및분석연구를통한원인규명및예방을위한연구개발시급 * 일본은 2012년 향후치매대책의방향성 에서 젊은치매 관련대책강화 41) 치매노인유병률조사, 보건복지부 (2013)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51 일본의젊은치매대책종합추진사업 42) 시도내의젊은치매실태조사및니즈파악을위한간담회개최 젊은치매콜센터운영사업 ( 젊은치매종합상담창구설치등 ) 젊은치매환자의자립지원을위한네트워크구축사업 젊은치매케어모델사업 ( 젊은치매환자와가족을위한서비스지원 ) 42) 인지증대책종합지원사업실시요강, 후생노동성 (2012)
5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Ⅴ 첨부자료 붙임 1 분석의대상및범위 최근 5년 (2012 2014년) 간주요부처 청의국가연구개발사업을분석대상으로설정 - ( 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등 32개부처 청 - ( 대상사업및과제수 ) 78개사업 769개과제 - ( 검색방법 ) 분석의재료에해당하는치매관련세부과제정보는국가 R&D 사업관리서비스 (NTIS) 의국가R&D 정보공유원스톱조사 분석정보를통하여제공받음 - ( 검색키워드 ) 치매, 알츠하이머, 알쯔하이머, dementia, dimentia, alzheimer 본분석은상기조건으로검색된세부과제만을대상으로분석을수행하였으므로일부제한점이존재함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53 붙임 2 치매의분류 국제알츠하이머협회의치매분류 (Type of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are responsible for up to 90% of cases of dementia.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Dementia with Lewy bodies Fronto-temporal dementia (including Pick's disease) 붙임 3 중증치매환자의 1 인당의료비용 43) 중증치매환자의 1인당의료비용은경도치매환자의 8배 < 중증도별치매환자 1인당비용 > 중증도 (CDR) 환자분류 비용분류 환자당비용 정상 (CDR=0) 76.1% 39.5% 0.52 최경도 (CDR=0.5) 2.7% 2.0% 0.75 경도 (CDR=1) 10.8% 15.4% 1.43 중등도 (CDR=2) 5.2% 17.2% 3.28 중증 (CDR=3) 5.2% 25.9% 4.94 * CDR(Clinicak Dementia Rating) 임상치매등급 43) 치매노인실태조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1)
5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붙임 4 우리나라치매환자군의중증도변화 우리나라보건복지부의조사에따르면, 2008 년도대비 2012 년에최경도 치매환자수가감소하고, 경도중고도치매의비율이증가 조기발견과조기치료를통한치매의중증화방지시급 * 최경도치매환자 17.4%, 경도치매환자 41.4%, 중등도치매환자 25.7%, 중증 치매환자 15.5% 44) < 치매중증도별구성비비교 > 구분 최경도 경도 중등도 중증 2008년조사결과 29% 39% 19% 14% 2012년조사결과 17% 41% 26% 16% [ 중증도별치매인구비율 ] 44) 치매노인유병률조사, 보건복지부 (2013)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55 붙임 5 치매관련국내외논문 특허동향 논문치매관련기술에대한논문은 1993 년부터연평균증가율 6.2% 로증가 - 1993년부터 2000년까지완만하게증가하는추세를보이다가 2002년에 3,988 건의논문이발표되었고, 2004 년에도 4,201 건의논문이발표되면서급증 [ 치매관련기술논문출판현황 (1993 2014년) ] 국가별논문수로살펴보면, 대부분의국가가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으며특히미국은 1993 년부터 2014 년까지의누적논문건수가 28,603 건으로전체논문의 37.7% 를점유 - 우리나라는 1994년부터 2014년까지 1,184건의논문을발표 (1.6%) 하여점유율은낮으나, 연평균증가율이 22.1% 로가장높게나타나앞으로빠르게성장할것으로기대
56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치매관련기술의국가별논문수추이 > 연도미국영국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프랑스호주스웨덴한국 1993 742 151 71 78 45 95 61 24 61 0 2000 1,133 269 161 204 97 133 110 53 80 16 2005 1,299 360 257 190 176 154 148 161 145 43 2010 1,620 459 337 265 291 195 199 200 187 86 2014 1,669 623 351 261 379 272 276 294 227 163 합계 ( 93~ 14) 28,603 7,350 5,156 4,317 4,291 3,717 3,360 2,842 2,837 1,184 CAGR 3.9% 7.0% 7.9% 5.9% 10.7% 5.1% 7.5% 12.7% 6.5% 22.1% 1993 년부터 2014 년까지기관별치매관련기술의논문수는 Harvard Univ 가 1,566건, Univ Calif Los Angeles가 1,293건, Karolinska Inst가 1,194 건이며, 미국의학계에의해연구가주도되는상황 < 주요기관별치매관련기술논문수 > 기관명 건수 비중 HARVARD UNIV 1,566 2.1% UNIV CALIF LOS ANGELES 1,293 1.7% KAROLINSKA INST 1,194 1.6% UNIV CALIF SAN DIEGO 1,187 1.6% UNIV PENN 1,130 1.5% UNIV WASHINGTON 1,073 1.4% CASE WESTERN RESERVE UNIV 934 1.2% JOHNS HOPKINS UNIV 924 1.2% UNIV TORONTO 896 1.2% MAYO CLIN 876 1.2%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57 특허 45) 치매관련기술에대한특허출원 46) 은 1985 년부터현재까지연평균증가율 28.6% 의빠른속도로증가 - 1985 년부터 1999 년까지완만하게증가하는추세를보이다가 2000 년대에들어서면서부터급격히증가 - 특히, 2004 년에는 1,266 건의특허가출원되면서가장활발한연구활동이진행 [ 치매관련기술특허출원현황 (1985~2012 년 ) ] 출원인의국적별동향으로는, 미국이 5,024 건의특허를출원하였는데이는전체특허출원건수의 35.1% 에해당 45) 치매치료제개발을위한 R&D 전략수립기획연구, 연세대학교 (2015) 46) 전세계국가대상, WISDOMAIN DB 사용, 분석구간 : 1985.1.1 2012.1231
58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 우리나라의경우, 475건의특허를출원하여 3.3% 의점유율을나타내며 6위를차지 [ 주요국의치매관련기술특허출원현황 (1985~2012년) ] 국가별기술력지수 47) 에서, 프랑스는미국등록건수가 70건으로 5위였으나기술력지수는 2.016 으로 1위를차지하여양적인성장에비해질적인수준이높은국가로평가 - 스위스의경우에도미국등록건수가 8위였으나기술력지수는 1.724 로 2위를차지하여양적인수준에비해질적으로우수한특허를다수보유 47) 특허기술력지수 (Technological Strength) 분석 : 특허가영향을미치는정도 ( 특허영향력 (PII)) 와등록특허수의종합분석을통해국가별양적 질적수준을평가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59 < 미국등록특허로본국가별기술력지수 (TS) 순위 > 국적 미국등록건수기술력지수 (TS) 건수순위비율 TS 비율순위 미국 930 1위 1.00 0.992 1.00 5위 독일 110 2위 0.12 1.112 1.12 3위 일본 77 3위 0.08 0.337 0.34 9위 영국 76 4위 0.08 0.748 0.75 6위 프랑스 70 5위 0.08 2.016 2.03 1위 캐나다 39 6위 0.04 1.009 1.02 4위 덴마크 35 7위 0.04 0.467 0.47 8위 스위스 27 8위 0.03 1.724 1.74 2위 스웨덴 27 8위 0.03 0.478 0.48 7위 한국 20 10위 0.02 0.229 0.23 10위 치매관련기술의한국인출원동향을살펴보면,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이 27건의특허를출원하여가장많은특허를보유 - 그다음으로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등도 20건이상의특허를보유 [ 치매관련기술우리나라상위출원인 ]
60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붙임 6 참고자료 2012 전국치매유병률조사 2013, 보건복지부 제2차치매종합관리대책 2012, 보건복지부 2014년도뇌연구촉진시행계획, 부처합동 치매임상적접근, 대한치매학회 (2006) 제3차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수립을위한사전기획연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1 치매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치매관리사업의현황과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알츠하이머병치료제개발에관한동향보고서, BRIC 보건산업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치매의약물치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보장정책우선순위설정을위한주요질병의사회경제적비용분석, 건강보험정책연구원 국민건강보험보도자료, 건강보험공단 치매환자패널화인체자원플랫폼개발, 질병관리본부 알츠하이머병과치료제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치매의조기진단지표개발에대한최신국내외개발현황, 질병관리본부 노화와관련된질환연구의현황및시사점, KISTEP 주요국보건의료 R&D 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전문가리포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치매관리법안마련을위한연구, 서울대학교 치매정복융합연구동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혈액속베타아밀로이드농도측정해치매진단, 동아사이언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임상연구인프라조성기획과제, 서울아산병원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Jorm AF K-ADNI Update 발표자료, 2014 AAIC WW-ADNI Meeting DEMENTIA 2011 UK Dementia UK update, Alzheimer's Society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Alzheimer s Disease International World Alzheimer Report 2014, 2015, Alzheimer s Disease International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61 UK research spend in 2008 and 2012:comparing stroke, cancer, coronary heart disease and dementia, BMJ Coventry s Living Well with Dementia Strategy 2014-2017,Roots Analysis National Plan to Address Alzheimer s Disease: 2014 Update, HHS Research spend in the UK, Stroke Association The Global Impact of Dementia 2013 2050, Alzheimer s Disease International A state of the nation report on dementia care and support in England, DH Dementia 2012: A national challenge, Alzheimer's Society Frontier Pharma: Alzheimer s Disease - Identifying and Commercializing First-in-Class Innovation, GBI Research Alzheimer s Disease Therapeutics Market to 2019 - Early Stage Innovation Points to Disease Modifying Therapies and Market Transformation, GBI Research Dementia 2014: Opportunity for change, Alzheimer's Society Drug treatments for Alzheimer s disease, Alzheimer's Society Dementia: Policy, Diagnosis and Prevalence, House of Commons Library Alzheimer s disease drug-development pipeline:few candidates, frequent failures,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GBI Research Quality Outcomes Framework (QOF) Recorded Dementia Diagnoses, hscic Persistence Market Research (2015) 認知症施策推進総合戦略 ( 新オレンジプラン ), 厚生労動省 認知症介護研究, 研修東京センター 2014 高令社会百書, 厚生労動省 2015 認知症対策総合研究経費, 厚生労動省 認知増大本総合研究事業 厚生労働省 http://www.edementia.or.kr/main/mainstart http://www.pharmatimes.com/ http://www.persistencemarketresearch.com/
62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참고 해당자료들은한국보건산업진흥원홈페이지 (http://www.khidi.or.kr), 보건의료 R&D 포탈 (https:// www.htdream.kr) 에서확인하실수있습니다. HT 사업전략기획실보고서발간목록 (2012~ 현재 ) 년도 제목 저자및소속 2012 CTSA 미국의연구중심병원사업 김성애 (KHIDI) 2012 보건의료 R&D 혁신을위한새로운대안으로써의 Living Lab 김민희 (KHIDI) 2012 NCATS: 국가고등중개연구센터 우현영, 김성애 (KHIDI) 2012 미충족의료수요 (Unmet medical needs) - 종양분야권보배 (KHIDI) 2013 줄기세포분야연구개발동향분석보고서 HT 전략기획단 (KHIDI) 2013 주요질환별 R&D 조사분석보고서 ( 당뇨병 ) 정안나 (KHIDI) 2013 바이오시밀러분야연구개발동향분석보고서 2013 제네릭 (Generic) 연구개발동향분석보고서 2013 면역백신분야연구개발동향분석보고서 HT 전략기획단 (KHIDI) HT 전략기획단 (KHIDI) HT 전략기획단 (KHIDI) 2013 맞춤의료 (Personalized Medicine) R&D 조사분석보고서 HT 전략기획단 (KHIDI) 2013 미래기술예측방법론매뉴얼 HT 전략기획단 (KHIDI) 2013 주요질환별 R&D 조사분석보고서 ( 치매 ) 정안나 (KHIDI) 2014-001 일본의료분야연구개발종합전략정안나 (KHIDI)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63 HT 사업전략기획실이슈리포트발간목록 (2013~ 현재 ) 발간호제목저자및소속 HT R&D 2013-001 HT R&D 2013-002 HT R&D 2013-003 HT R&D 2013-004 HT R&D 2013-005 HT R&D 2013-006 HT R&D 2013-007 HT R&D 2014-001 HT R&D 2014-002 HT R&D 2014-003 HT R&D 2015-001 HT R&D 2015-002 나노의학 ( 현대의학의난제극복을위한새로운실마리 ) 창조경제관점에서본의료기기산업혁신방안 2013 년일본건강 의료전략 참여형시나리오플래닝을위한미래상전망 미래상전망을위한집단지성활용가능성모색 정신질환분야 R&D 동향및시사점 의료불평등해소와신시장창출의새로운수단적정의료기술 저선량방사선의건강영향이슈 : 불확실성에대응하는위기커뮤니케이션전략모색을중심으로 국민의료복지향상을위한영국의중개연구선도센터 : 영국의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AHSC) 일본의보건의료정책및연구개발전략에대한분석및시사점 통일시대를대비한보건의료 R&D 방향 치매분야국가연구개발조사분석보고서 김민희, 김현철 (KHIDI) 이동수, 강건욱 ( 서울대학교 ) 신주원, 김현철 (KHIDI) 정안나 (KHIDI) 박지현 (KHIDI) 김대원 (KHIDI) 권오연 (KHIDI) 안선희, 이명선, 김현철 (KHIDI) 이채원 ( 한국원자력의학원 ) 우현영 (KHIDI) 이명선, 김현철 (KHIDI) 정안나, 전용웅, 김현철 (KHIDI) 박수정, 김현철 (KHIDI) 정안나 (KHIDI)
64 주요질환별 R&D 조사 분석보고서 - 치매 - HT 사업전략기획실특허기술동향조사보고서발간목록 (2012~ 현재 ) 년도 제목 발간기관 2012 암바이오마커기술개발 KHIDI, 특허청 2012 암진단 치료 평가를위한분자영상기술 KHIDI, 특허청 2012 암치료용표적항암제 ( 화합물, 항체 ) 개발기술 KHIDI, 특허청 2012 암면역세포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암치료용줄기세포개발기술 KHIDI, 특허청 2012 주요장기 ( 간, 신장, 췌도 ) 이식기술 KHIDI, 특허청 2012 차세대바이오인공장기개발기술 KHIDI, 특허청 2012 첨단영상융합기술을이용한치매조기진단기술 KHIDI, 특허청 2012 주요혈관질환진단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고지혈증치료제개발기술 KHIDI, 특허청 2012 안질환예방 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난청예방 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비뇨생식기질환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치아질환예방 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관절질환및골다공증진단예방 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비만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줄기세포순수분리및줄기세포주확립기술 KHIDI, 특허청 2012 줄기세포분화유도기술 ( 체세포역분화포함 ) KHIDI, 특허청 2012 줄기세포안전성제어기술및대량생산기술 KHIDI, 특허청 2012 줄기세포를이용한질환치료기술 KHIDI, 특허청 2012 생체조직장기기술 KHIDI, 특허청 2012 이종장기기술 KHIDI, 특허청 2012 의료정보시스템 u-health 기술 KHIDI, 특허청 2012 의료영상정합기술을응용한차세대자동화의료기기기술 KHIDI, 특허청 2012 최소침습의료기기개발 KHIDI, 특허청
Ⅳ. 분석에대한시사점 65 년도 제목 발간기관 2012 알츠하이머치료를위한신약개발 KHIDI, 특허청 2012 HT 분야국제협력 KHIDI, 특허청 2012 글로벌개량신약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2단계면역백신개발사업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만성알레르기질환조기진단및치료법개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췌장암조기진단및효율적치료제개발기획 KHIDI, 특허청 2012 스마트폰기반의모바일헬스케어시스템개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초저선량방사선의료영상기기개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창상치료용시스템개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2 암테라그노시스 (Theragnosis) 기기개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3 대사성증후군대응 R&D 기획 KHIDI, 특허청 2013 보건의료 Big Data R&D 사업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3 사회보장부문 Big Data R&D 사업기획연구 KHIDI, 특허청 2013 나노의학진료기술개발 KHIDI, 특허청 2013 정신건강 R&D 사업기획 KHIDI, 특허청 2013 유전체기술개발로드맵수립을위한기획연구 KHIDI, 특허청
저자 정안나한국보건산업진흥원 HT사업전략기획실연구원 E-mail : anna0411@khidi.or.kr 감수 노지훈서울아산병원신경과교수 서상원삼성서울병원신경과교수 장건호경희대학교의과대학교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Issue Report HT R&D 2015-005 발행 2015년 10월 발행처한국보건산업진흥원충청북도청주시흥덕구오송읍오송생명2로 187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표전화 : 043)713-8000 5 http://www.khid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