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그림 4>의 팔찌장신구는 단위면적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만들고, 이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디자인하였다. 팔찌의 내 경을 60mm로 최소화하여 어린이나 손이 작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장신구구조물의 내부 형태에 예각으로 조각부분을 주어 3D 프린터로 출력하였 다. <그림 4>의 조형물은 내부공간을 최대한 비우고, ABS 소재의 가벼운 물성을 활용하여 장신구 전체의 중량을 최 소화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단계에서 제작된 장신구의 3D 프린터 출력 과정을 <표 5>로 정리하였다. <표 5> 3D Printer를 이용한 장신구 제작과정 1단계 :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2단계 : 완성된 설계데이터를 디자인된 장신구 디자인 STL파일로 변환 <그림 5> 팔찌 디자인-Ⅱ <그림 5>는 장신구의 외부구조와 내부구조를 다른 형태로 디자인한 팔찌장신구이다. CNC조각기의 Tool을 사용하여 형태를 제작하는 방식으로는 내경이 좁아 조형작업이 불가 능하지만, 3D 프린터의 적층조형방식으로는 제작이 가능하 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디자인한 장신구의 조형사례이다. 3단계 : UP plus 소프트웨어를 4단계 : 플랫폼과 노즐 높이 이용한 장비 설정 간격 설정하기 5단계 : 3D Printer 운행 6단계 : 1차 완성 <그림 6> 팔찌 디자인-Ⅲ. 벌집 구조를 반복적으로 배열한 디자인 사례 <그림 6>은 벌집구조를 반복적으로 배열하고, 외부 면과 내부 면을 이중으로 겹쳐 디자인한 팔찌장신구이다. 벌집 구조를 상 하로 어긋나게 배열함으로서 무늬를 패턴화했다. 지루하고 평범할 수 있는 벌집구조의 형태를 반복적으로 어긋나게 표현함으로서 시각적인 재미를 연출하였다. 투각 된 형태들이 이중 겹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어 복잡한 내 부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3D 프린터의 특징을 보여준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공정과정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만들 고자 하는 형태를 3D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디자인 한 후, 이를 STL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다음에는 3D 모델 링된 설계도면을 3D Printer의 소프트웨어에 설정한 후 장 비를 운행한다. 마지막으로 재료를 녹인 얇은 층들을 바닥 에서부터 차곡차곡 쌓아올리면서 하나의 입체적인 인쇄 결 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레이어의 두께는 모델에 따라 0.15mm 0.4mm까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는 종이 한 장보 다 얇기 때문에 정교한 입체모형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런 원리 때문에 출력된 형태를 확대해 보면 표면이 층계 형태 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0) 7단계 : 인쇄결과물을 지지대와 주 8단계 : 최종 완성(주제부) 제부로 분리 3. 옻칠을 활용한 3D 프린팅 장신구 제작 연구 3.1. 옻칠을 활용한 후처리 마감재 연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Personal Portable 3D Printer는 인쇄 출력물과 함께 주제부의 형태를 받쳐줄 지지대 부분도 함 께 생성된다. FDM방식의 적층조형 프린팅에서는 모델의 상태에 따라 반드시 지지대를 필요로 하는데, 조형이 완성 된 후에 지지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지지대면과 붙어있던 주제부의 형태가 파열되거나 손상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반드시 후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렇게 후처리가 된 후에도 출력된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 다 른 표면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10) http://demastudio.tistory.com/, 3D프린터의 원리에 대하여. - 304 -
를 거쳐 중간칠 과정인 흑칠로 표면을 정리한다. 표면이 흑칠로 정리된 다음인 3단계에서는 옻칠 장식기법인 다양 한 변칠 기법, 자개를 줄음질하는 기법, 금박 붙이기 기법 등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장신구를 완성한다. 4. 결론 현대인들은 다양한 제품의 홍수 속에서도 끊임없이 소비 욕구를 채우기 위해 개성 있는 나만의 제품을 찾아 분투하 <표 8> 옻칠기법으로 3D 프린트된 장신구를 완성하는 과정 고 있다. 이러한 소비 형태는 개인 창작자와 디자이너들에 1단계 2단계 3단계 -3D printer로 출력된 -옻칠기법으로 - 옻칠 장식기법을 게 보다 더 실험적이고 차별화된 제품, 혹은 예술 작품을 장신구모형 형태면 정리 활용하여 생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제공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ABS수지 원본) (중칠단계) - 흑칠 최종완성 현상들은 자연스레 다양한 방식으로 입체를 조형할 수 있 는 첨단기기의 발전으로 연결되었고, 하나의 대안으로 컴 퓨터 모델링 프로그램과 형태를 프로그램의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주는 3D 입체 프린터의 발전으로 연결되 었다. 하지만 최근 개인 보급형 3D 프린터의 확산은 사용 의 편리와 함께 많은 소비자들이 무분별하게 파일을 공유 하고, 제품을 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창작자와 디자 이너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해 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개인 휴대형 3D 프린터(pp3DP)를 사용하여 다양한 장신구의 형태를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완성하는 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연구 대상 아이템으로 장신구를 선택 하게 된 이유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3D 프린터로 제작 가 능한 조형물의 크기에 한계가 있었고, 3D 프린터로 제작되 는 다양한 제품군 중 출력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상품 화가 용이한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또한 소비층의 선호도가 높고 실용적인 아이템 중 하나가 장신구였기 때 문에 더욱 연구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었다. 논문에서 사용된 3D 프린터는 FDM방식의 용착조형공정으 로 형태를 제작하는데, 이러한 조형방식은 인쇄결과물과 지 지대가 함께 만들어진다. 그래서 후처리과정이 중요한 공정 단계 중 하나인데, 본 연구과정에서는 후처리방법 중 하나 의 대안으로 옻칠을 선택하였다. 옻칠은 지지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파열된 형태 표면을 수정하는 마감재로 사용되었 으며, 조형물 전체를 코팅 장식하여 장신구의 상품가치를 높 이면서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주었다. 본 논문을 진행하면서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공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입체구조물의 조형방식을 3D 프린터를 통하여 보다 실험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할 수 있었다. 3D 프린터는 빠른 시간 안에 조형이 가능하 고, 대량생산을 위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거나, 단일 제품 으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래서 3D 프린터는 연구소나 공장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용으로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다양하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 존의 CNC조각기가 갖고 있던 제작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쉽고 빠르게 3D 입체물을 완성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는 새로운 형태의 장신구 디자인을 실험하고 구현하는데 적합하였고, 다양한 제품군을 제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 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