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경희 ( 한서대교수 )
목차 1. 머리말 2. 탑 ( 스투파 ) 3. 부도 ( 승탑 ) 4. 석등과비석 5. 맺음말
1. 머리말 1) 탑 - 부처의사리를안치하기위한건조물 - 솔도파, 수두파, 탑파라고도함. - 원래는부처의사리를넣기위해서돌이나흙등을높게쌓아올린무덤 2) 부도 ( 승탑 ) - 고승의사리나유골을안치하는묘탑. - 우리나라는당나라에서선종이들어온 9 세기이후통일신라때부터유행 - 조사 ( 祖師 ) 들의사리와유골을담은묘탑이중요한예배대상이되어많은부도가건립됨.
1. 머리말 3) 석등 - 원래능묘에설치된석물의일종이었음 - 불교전래이후진리를밝히는상징물로다양하게제작 - 주로불전앞에세워두는석조물 4) 비석 ( 석비 ) - 특정한장소에널리알리기위한목적으로세움 - 의미있는내용을보전하고자돌에새겨놓은기념물
2. 탑 ( 스투파 ) 탑 ; 부처의진신사리를안치하는건조물 ( 솔도파, 수두파, 탑파 ) -부처의사리를넣기위해서돌이나흙등을높게쌓아올린무덤 -석가열반후사리를여덟곳으로나누어탑을쌓은데서비롯됨 산치제 1 스투파, 인도, 높이 16.5m
탑의형식 탑 ;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 상륜부 상륜부 ;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 찰주 탑신부 탑신부 ; 옥개석, 옥신석, 층급받침, 낙수면 기단부 기단부 ; 지대석, 하대석, 상대석, 면석, 우주, 탱주
삼국시대탑 상륜부 우리나라초기탑 : 목조탑, 방형중층의목조건물형태로만듬 탑신부 가람배치 : * 일탑일금당식 * 일탑삼금당식 백제 ; 목탑 ----------> 석탑 신라 ; 목탑 --- 전탑 ----> 석탑 기단부 시원양식의탑 : 공통양식이없다 익산미륵사지석탑 ( 백제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 백제 ) 분황사모전석탑 ( 신라 ) 634 년
통일신라탑 상륜부 통일신라 ; 석조미술의전성기 가람배치 : 쌍탑식가람 * 예 ; 불국사의석가탑과다보탑 탑신부 기단부 시기에따라셋으로구분 제 1 기 (7C 후반 -8C 초 ): 크고높으며목탑과전탑의모방 ( 架構性 ) 제 2 기 (8C 전반 -9C): 세부수법에있어간략화 ( 塊體性 ) 제 3 기 (9C 이후 ): 장식성 ( 裝飾性 )
탑의역사적개관 - 불교도입초기인도탑과중국탑이함께존재추정 고구려 : 삼국유사 : 광개토왕이요동성을시찰할때위가가마솥을엎어놓은모양의삼층석탑과스님이나타난곳에칠층목탑을세웠다고함 * 요동성총 (4세기말-5세기초 ) 벽화에다층의목조건물존재 - 팔각, 사각목탑이존재 - 목탑이제작되다삼국말에석탑이등장 - 백제석탑 - 신라분황사모전석탑
탑의역사적개관 - 팔각, 사각목탑이존재 * 고구려 ; 평양무진리정릉사터 (398 년 ), 청암리금강사터 (498) ; 팔각탑터 * 백제 ; 부여군수리절터, 익산제석사터등 ; 사각목탑터 * 신라 ; 경주황룡사터 ; 사각목탑터 - 목탑이제작되다가, 7 세기초삼국말에석탑이등장 ; 익산미륵사지석탑, 부여정림사지석탑, 경주분황사모전석탑등 - 백제석탑 ; 목탑형상을석재로본떠이를다시석탑조형에알맞게재구성함. 우리나라석탑의주류형성에원동력 - 신라분황사모전석탑 ; 돌을벽돌처럼층층이쌓아, 중국의전탑 ( 벽돌탑 ) 을본뜬것임.
<익산 미륵사지 석탑>, 백제 7세기 초, 현재 높 이 14.2m, 전북 익산(국보 11호) 낮은 기단, 밑 넓은 안정된 기둥, 처마 구조 등에 석조를 짜맞춤. <법주사 팔상전>, 조선 1605년, 높이 22.7m,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익산미륵사지서탑, 백제 7 세기 복원된익산미륵사지동탑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백제 7 세기전반, 높이 8.33m, 충남부여 ( 국보 9 호 ) 지붕과지붕이만나는추녀마루에기와를얹은듯두툼하게표현하는등목조건물을건조건물로재현한느낌 < 익산미륵사지석탑 >, 백제 7 세기초, 현재높이 14.2m, 전북익산
< 분황사모전석탑 >, 신라 634 년, 높이 9.25m, 경주구황동 ( 국보 30 호 ) 신라탑은처음에는황룡사나홍륜사처럼목탑이었다가석탑으로바뀜. 분황사탑은안산암을벽돌모양으로잘라쌓은석탑으로전탑의모습을짐작할수있다. 원래는 7 층정도였을것으로추정되나현재는 3 층만남음. 문주양측에돋을새김의화강석판인왕상을하나씩배치, 처마밑받침수는초층이 6 단, 2,3 층은각 5 단, 낙수면단수는초층과 2 층이각각 10 단.
통일신라석탑의특징 - 백제목탑과신라모전석탑의절충양식 - 전형석탑 ( 일반형석탑 ) - 특수형석탑 - 모전석탑의계승
백제석탑과모전 석탑절충형등장 높은단층기단위에탑신 1 층에감실을내고기둥은밑이넓고위가좁아안정감이있으며감실문짝에달아맨흔적이있다. 기둥머리를따로설치하는등목탑형식을나타냄. 지붕위아래는모두층단형식을조성하여전탑형태를나타냄 의성탑리오층석탑 ( 義城塔里五層石塔 ), 통일신라 7 세기말, 높이 9.6m, 경북의성 ( 국보 77 호 ) < 분황사모전석탑 >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
특징 ; 석탑을구성하는단위석재가커지는반면석재의수는줄어들고기단은 2 층기단으로높아지며기단부에귀기둥과사잇기둥이새겨짐, 탑신은대부분 3 층으로이루어지며지붕밑층단받침은 5 단으로되고처마끝하단은수평을이루고상단은추녀끝에서위가살짝들려탑의전체적인조형은짜임새있고안정감있으며장중하면서도경쾌한느낌 감은사지 ( 感恩寺址 ) 삼층석탑, 통일신라 682 년, 높이 13.4m ( 국보 112 호 ) 가람배치는쌍탑일금당으로이후통일신라에유행하는삼층석탑의시원을보여줌.
감은사지 ( 感恩寺址 ) 삼층석탑, 통일신라 682 년, 높이 13.4m( 국보 112 호 ) < 고선사지삼층석탑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 통일신라 >, 백제 7세기7 세후반, 높이기 10.7 전반, m, 높이경주박물관 8.33m, ( 충남국보부여 38호 )
< 금제여래입상 < 나원리오층석탑 >, 경주 >, 구황동통일신라황복사지 8세기삼층석탑초반, 출토, 통일신라시대높이 8.8 m, 692경북년경, 월성 706년 ( 국보, 높이3914cm, 호 ) 12.1cm, 국립중앙박물관초층과 2층지붕돌의윗돌과층급받침은다른돌로만들었지만 3층이상은옥개석전체가하나의돌임. < 구황동삼층석탑 >, 통일신라 8 세기초, 높이 7.3m, 경주시구황동황복사지 ( 국보 37 호 ) 하층기단은여덟장의석재로짰는데지대석, 면석, 갑석이각각한개의돌로되어있다. 탑신부의몸돌과지붕돌은층마다각각한개의돌로조성됨
< 불국사석가탑 >, 통일신라 8 세기중엽, 높이 10.4m, 경북경주 ( 국보 21 호 ) 통일신라삼층석탑형식의절정을보여주는석탑으로완벽한아름다움을보여준다. 다보탑과쌍탑의전형적인예. 기단은상하 2 단으로되어있고우주와탱주가사각으로도드라지게새겨져있다. 탑신부는몸돌과지붕돌이하나의돌로짜여져있으며, 옥개석의층급받침은 5 단. 탑신부가알맞게체감하면서넓고안정된기단부와어울려빼어난조형성을이루고있다.
< 불국사석가탑 >, 통일신라 8 세기중엽, 높이 10.4m, 경북경주 ( 국보 21 호 ) 감은사지 ( 感恩寺址 ) 삼층석탑, 통일신라 682 년, 높이 13.4m( 국보 112 호 )
2 층옥개석을들어올리는모습 떨어진모습 깨어진옥개석 불국사석가탑출토금동제사리외함과사리합
< 불국사석가탑 >, 높이 10.4m, < 실상사동서삼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후반, 높이 8.4m, 전북남원시산내면입석리
통일신라말기탑 수량은많아지나규모나조형성은떨어짐. 기단폭줄어들고모습이연약해지고지붕밑층단수줄어듬. 표면조각장식풍부 팔부중상, 천인상, 사방불등장식적임 후기석탑양식 -8 세기후반부터차츰변화하기시작하여 9 세기로들어가면서탑의크기나무게보다외관에주력하여전대의구조적이고실루엣적인것에서섬세, 장식적인것으로바뀜. < 진전사지 ( 陳田寺址 ) 삼층석탑 >, 9 세기후반, 5m, 강원도양양 ( 국보 122 호 )
< 화엄사서오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6.4m, 전남구례 < 진전사지 ( 陳田寺址 ) 삼층석탑 >, 9 세기후반, 5m, 강원도양양
화엄사석탑특징 ; 탑신의너비가기단에비해작고세장하여안정감이적음. - 초층이하가조각으로장식된후기석탑의대표적인예. - 하층기단에는십이지상, - 상층기단에는팔부신중, - 탑신초층에는사천왕을각각양각 < 화엄사서오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6.4m, 전남구례
통일신라특수형석탑 - 기본모습이전혀다르게제작 : * 불국사다보탑,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해인사원당암다층석탑 - 둥근기단부 ; 석굴암앞삼층석탑 - 기단이연꽃무늬불상대좌 ; 철원도피안사삼층석탑 - 기단과탑신석사이괴임턱 ; 보령성주사지삼층석탑 - 통일신라석탑조형에서자신감이넘쳐변형의의지. - 고려시대의변형석탑조형으로더욱다양하게응용되는경향
< 불국사다보탑 >, 통일신라 8 세기중엽, 높이 10.4m ( 국보 20 호 ) 사자석탑
사자석탑 전통양식을깬특이한세부와의장을가미한이형탑 ( 異形塔 ). 하성기단각면에 3 구씩천인, 상성기단에네마리사자를기둥처럼세우고머리에돌을얹은다음갓돌놓음. 네마리사자의중앙에합장한승려를세워찰주구실을함. 초층에는각면에문비가있고양옆에인왕상배치, 탑신이기단에비해너무작음, 상성기단의사자기둥은불국사다보탑에서얻은것으로보임. <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5.5m, 전남구례
< 석굴암삼층석탑 >, 통일신라 8 세기중기, 높이 3m, 경주시진현동 기단부가방형 ( 方形 ) 이아니라원형으로조성됨. 원형과팔각형의기단면석이절묘한조화를이룬기단부위에일반형삼층탑신을놓아우아한조형미를보여주고있다. < 도피안사삼층석탑 >, 통일신라 865 년, 높이 4.1m, 강원도철원군동송읍 높은방형의지대석위에불상의대좌를연상시키는팔각형의기단을놓았다. 철조비로자나불의명문에나타난대로철원지방의평민에의해세워진원탑
<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5m, 전북남원 ( 국보 10 호 ) < 정혜사지십삼층석탑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5.9m, 경주안강면옥산리 ( 국보 40 호 )
모전석탑 < 안동조탑동오층석탑 >, 통일신라 8 세기, 높이 8.65m, 경북안동시일직면조탑동 < 안동동부동오층전탑 >, 통일신라 8 세기, 높이 8.35m, 경북안동시동부동
< 안동법흥동칠층전탑 >, 통일신라 8 세기, 높이 17m, 경북안동군신세동 ( 국보 16 호 ) < 송림사오층전탑 >, 통일신라 9 세기전기, 높이 16.2m, 경북칠곡군동명면구덕동
고려시대석탑의유형 고려시대석탑 : 통일신라석탑보다훨씬다양 현재전국에 1000 여기의석탑이있는것으로파악됨 지방적특성이가미된다양한형식의석탑이건립된점이큰특징 유형 1 평양을중심으로건립된팔각형석탑계열의고구려계석탑 2 충청도와전라도지역에건립된백제계석탑 3 경상북도및경기도일원에건립된신라계석탑 4 새롭게시작하는고려의특성을지닌석탑 5 이형석탑과점판암을재료로하여만들어진청석탑의유행
고려시대석탑의특징 특징 1 탑신밑에별개의괴임돌을삽입함 2 그돌이나기단에연화문을조각함 3 단층기단이보편화, 층수가많아져대부분늘씬하게하늘로솟은느낌 ; 탑신은폭에비해높이가현저히높아진다. 4 옥개석층단이대체로 3-4개로줄고전체적으로두꺼워지고특히추녀가두꺼워지면서동시에들리는특징이있다. 5 낙수면의경사는완만하고전각에이르러반전을이룬다.
백제계석탑 ; 충청, 전라지역 백제계석탑 백제의영토였던충청도전라도에건립된석탑들로미륵사지석탑, 정림사지오층석탑을양식적근본으로삼아세워진탑 < 익산왕궁리오층석탑 >, 고려, 높이 8.5m, 전북익산시왕궁면왕궁리 < 무량사오층석탑 >, 고려, 높이 7.5m, 충남부여군외산면만수리
< 비인오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6.2m, 충남서천군비인면월북리단층기단과지붕돌의양식으로보아정림사지오층석탑을충실히모방 < 부여장하리삼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4.9m, 충남부여군장암면장하리부여와가까운거리에위치한점과여러장의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 백제 7세기전반, 석재로구성한지붕돌, 층급받침등정림사지높이 8.33m, 충남부여 ( 국보9호 ) 오층석탑을모방한것으로보임
< 월남사지모전석탑 >, 고려시대, 높이 7m, 전남강진군월전면월남리 < 정읍은선리삼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6m, 전북정읍시영원면은선리
고려시대백제계석탑 삼국통일과함께더이상만들어지지않았던백제계석탑은고려시대에들어미륵사지석탑과정림사지석탑양식에근원을둔탑들이백제의옛영토에세워진다.
고려시대신라계석탑 신라계석탑 신라의영토였던경상북도및경기도일원에건립된석탑으로통일신라시대에세워진석탑양식을충실히계승 < 보원사지오층석탑 >, 고려, 높이 9m, 충남서산 충청남도에세워져있지만아랫기단각면에사자를, 윗기단면에는팔부신중을새겨, 통일신라말기석탑의양식을계승하면서도정림사탑같은경쾌한상승감과얇고길게뻗은처마는백제의전통을따르고있는고려초기의대표적인석탑
< 개심사지오층석탑 >, 고려시대 1010년, < 광주높이춘궁리4.3m, 삼층석탑경북 >, 예천군고려시대예천읍, 높이남본동 3.6m, 기경기도단부터하남시초층서부면탑신에춘궁동이르기까지기단과신라지붕돌석탑양식을충실히따르고있음 의수법에서신라석탑의양식을계승 < 보천사지삼층석탑 >, 고려초기, 높이 4.5m, 경남의령군의령면
고구려계석탑 고구려의수도였던평양지역을중심으로유행하던팔각다층석탑 월정사팔각구층탑은이러한양식의석탑가운데가장남쪽에건립됨. 상륜부는완전한형태로노반, 복발, 앙화, 보륜까지는석조이고그이상은금동제로조성됨 < 월정사팔각구층석탑 >, 고려초기, 높이 15.2m, 국보 48)
변형석탑 < 남계원칠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9.3m, 경복궁 ( 국보 100 호 ) < 서정리구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6m, 충남청양군정산면서정리
탑신부층마다괴임돌받침 < 서울홍제동오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3.5m, 경복궁층마다몸돌과같은돌로된별도의받침을끼워넣은점과지붕돌의양식에서고려시대석탑의특징이잘나타남. < 신복사지삼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4.5m, 강원도강릉시내곡동몸돌밑에괴임돌을삽입하는받침형식이강조됨
상륜부에이국적형태 < 마곡사오층석탑 >, 고려말기, 높이 7.5m, 충남공주군사곡면운암리 상륜부에놓여진라마탑양식의부재에서고려말기성행했던원나라의영향이보임
<사자빈신사지 석탑>, 고려 1022년, 높 이 5.6m,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통일신라 <홍천 괘석리 사사자석탑>, 고려시대, 높이 9세기, 높이 5.5m, 전남 구례 3.5m,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사무소
전탑형식의계승 < 제천장락리칠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9.1m, 충북제천시장락동 ( 국보 459 호 ) < 정암사수마노탑 >, 고려시대, 높이 9m, 강원도정선군동면고한리
< 도리사석탑 >, 고려시대, 높이 4.5m, 경북구미시해평면송곡동 < 금산사육각다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2.2m, 전북김제시금산면금산리
고려석탑의백미 경천사는경기도개풍군광덕면에자리잡은부소산에위치하고있었다. 고려예종이전에건립하여수도인개경에서국가제례를주관했던사찰중하나. 진전사원은왕실의조상숭배와직접적관계를맺고국가로부터후원을받은사원. 명문에 지정 8 년인 1348 년에대시주晋寧府院君姜融과원사인高龍鳳, 文化主省星, 시주法山人六怡등이원나라의황제와고려왕실의영원을기원하며천기가순조롭고國泰民安하며佛法이더욱빛나고법륜이항상움직여壽福을얻고다같이불도를이루기를기원한다 등의내용이있다. 당시고려는원세력과결탁한권문세족의권력이극대했던시대로대시주인강융과원사고용봉역시원과밀접한세력으로화려하고장대한경천사석탑을건립. < 경천사십층석탑 >, 고려 1348 년, 높이 13.5m
- 원대의다포식조영 ( 13 세기후반몽고지배시에전래 ) 경천사탑의외래적요소 - 외래적인요소 ; 탑의사면돌출식즉亞자형의평면형식 ( 단면이아 ( 亞 ) 자형에가깝고사방이돌출된사방돌출석탑으로 3 층기단 ) 아자형평면구도의기원 ; 인도의불탑과사원에서찾을수있음. 평면의특색은넓은주공간을중심으로사방에돌출공간을내고있는점인데이러한공간은고대인도인이나중국인들이생각하던우주관을평면으로도안화한것에근거를둔다. 중국의석탑에불상을조각하는영향 ; 항주의靈隱寺탑, 閘口백탑등 ( 오대탑 )
11 세기고려의탑신에불상군을배치하는유형이자리잡고있음 - 고려의 1020 년의현화사 7 층탑 / 1044 년의보현사 13 층석탑
경천사탑의조각 불법전도와관련된설화, 동식물, 불보살상등화려하게조각됨. 조선전기원각사지석탑의모체
운주사의특이한이형석탑 < 운주사구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10.7m, 전남화순군도암면용강리 < 운주사원형다층석탑 >, 고려시대, 높이 5.6m < 운주사난탑 >, 고려시대, 높이 2m
운주사의천불천탑
조선시대의 탑 석탑의 규모가 축소되고 새로운 석탑양식이 고안되지 못함. 고려시대 양식 계승 <신복사지 삼층석탑>, 고려시대, <신륵사 다층석탑>, 높이 높이 4.5m, 강원도 조선시대, 강릉시 내곡동 3m,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낙산사 칠층석탑>, 조선 15세기, 높이 6.2m,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조선시대의탑 < 수종사오층석탑 >, 조선시대 1493 년, 높이 3m, 경기도남양주시와부읍송촌리 고려시대에성행하던팔각다층석탑의양식을충실히계승한석탑으로안정된균형미와더불어한강을통한문화전파의경로를추적하는데중요한자료로주목됨.
세조가적극숭불정책으로도성에건립한사찰 원각경 등의원각사상을통해왕권강화는물론백성들의사상을통일하고자한것은아닐까추측 < 원각사지십층석탑 >, 조선 1467 년, 높이 12m, 서울시종로구탑골공원
원각사지십층석탑, 1467 년, 국보 2 호, 12m 경천사지십층석탑, 1348 년, 국보 86 호, 13.5m
원각사지석탑 1-3 층탑신 경천사지석탑 1-3 층탑신
원각사지 경천사지
원각사탑상륜부추정도 ( 경천사지석탑근거, 상 )
3. 부도 승탑 전남해남대흥사입구에있는부도밭
3. 부도 ( 승탑 ) - 고승의사리나유골을안치하는묘탑. - 당나라에서선종이들어온 9 세기이후스승으로부터제자에게법을이어전하는 ( 師資相承 ) 법맥이이어지면서불상숭배보다는조사 ( 祖師 ) 들의사리와유골을담은묘탑이중요한예배대상이되어많은부도가건립됨. - 삼국유사 : 원광, 혜숙, 혜현등고승승탑에대한기사로삼국말기승탑존재 - 통일신라말기부터선종의유행과관련승탑조성
3. 부도 ( 승탑 ) - 구조 ;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 - 상륜부 ; 보주, 보개, 보륜, 복발, 노반 - 탑신부 ; 옥개석, 우주, 탑신석, 문비와사천왕상등조각 - 기단부 ; 상중하대석으로구성, 앙연화와복련화및안상
팔각당형승탑 ; 조선시대까지계승 < 진전사지부도 >, 통일신라 9 세기, 3.17m, 강원도양양강현면 8 각당형식부도의시원양식으로도의선사사립탑으로추정되고있다. ( 염거화상스승도의선사가머물던진전사터, 사각형석탑모양의기단위에팔각형탑신을올린승탑으로팔각당형승탑의정착되는과도기 ) < 염거화상탑 >, 통일신라, 844 년, 높이 1.67m, 경복궁 신라선종 9 산문하나가지산문을가창한도의선사의제자로 844 년에입적 / 팔각형기단 : 하대석 ( 사자 ), 중대석 ( 향로와꽃무늬 ), 상대석 ( 연꽃무늬 )
팔각당형의외국사례 일본영산사 8 각당, 763(?) 중국 < 하남회선사정장선사탑 >, 764 년
팔각당형의대표적부도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 >, 861 년경, 높이 3.1m, 전남곡성군죽곡면원달리 < 실상사증각대사영료탑 >, 통일신라, 861-880 년, 높이 3m, 전남남원군산내면 < 쌍봉사철감선사조탑 >, 통일신라, 868 년경, 높이 2.3m, 전남화순군이양면
< 보림사보조선사장성탑 >, 통일신라 880 년경, 높이 4.1m, 전남장흥군 < 연곡사동부도 >, 통일신라, 높이 3m, 전남구례군토지면
< 철감선사부도 >, 통일신라, 868 년경, 높이 2.3m, 전남화순군쌍봉사 팔각 2 단지대석위에구름무늬를새긴하대석이있고그위에사자를조각, 그위에앙련상대석그위에가릉빈가를안상에넣은팔각탑신받침이있고, 탑신에문비와사천왕상비천상이조각됨
팔각당형승탑 < 봉암사지증대사부도 >, 통일신라 883 년경, 높이 4.1m, 경북문경군가은읍 뛰어난조형성을보여주어통일신라하대석조미술의진면목이석탑에서승탑으로옮겨왔음을실감할수있음.
종형승탑 - 신라종형부도유일례 - 안상을새긴장방형기단위에포탄형을하고있음 - 동쪽 ; 짐승얼굴에사람몸을한십이지상이부각, 한쪽에십이지상머리바로위로감김 < 십이지상부도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1.1m, 울산태화사지.
고려전기 통일신라팔각당형승탑계승 규모가장중, 지붕이과장되며기단부의변형 ( 중대석 ; 북모양배부르거나구름모양이채워지고하대석에구름모양이입체적으로나타남 ) < 흥법사지진공대사탑 >, 고려 940 년경, 높이 2.91m, 원위치 : 강원도원성군지정면안창리, 경복궁소재 < 고달사지원종대사혜진탑 >, 고려 977 년경, 높이 4.5m, 경기도여주군북내면상교리
<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 >, 고려 965 년경, 높이 5m, 경북문경군가은읍 < 보원사지법인국사보승탑 >, 고려 978 년경, 충남서산군운산면
고려후기 ; 팔각당형부도 < 보경사원진국사부도 >, 고려 1224 년, 경상북도영일군송라면중산리 < 인각사보각국사탑 >, 고려 1295 년, 경상북도군위군고로면화북동
고려후기 ; 팔각당형부도 변형승탑 : 보궁형, 탑형, 석종형, 답신원구형보궁형승탑 : 평면사각형에이층누각, 기단에서상륜부에다양한조각장식, 탑신부는이국적인조형감각 < 정토사흥법국사실상탑 >, 고려 1017 년, 높이 2.55m, 경복궁 <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 >, 고려 1085 년, 높이 6.1m, 경복궁
고려후기 ; 석종형부도 < 금산사석종 >, 고려, 높이 2.1m, 전북김제군수류면 신라태화사지부도의뒤를이은석종형부도로 2 단의석단위에놓인석종은인도의스투파를모방함 < 신륵사보제존자석종 >, 고려 1379 년, 경기도여주군북내면 조선시대성행하는석종형부도의직접적조형이됨
조선시대 ; 고려승탑계승 특징 : 탑신이북모양으로비대해지고기단부와지방이두툼, 조각장식도굵직하게표현, 시대가하락할수록지붕이솟아오르고상륜부가길쭉해짐. 팔각당형승탑 <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 >, 조선 1393 년, 충북중원군소태면오량리 < 회암사지부도 >, 조선 1407 년, 경기도양주군회천면회암리
< 복천사수암화상탑 >, 조선 1407 년, 충북보은군속리면사내리 < 복천사학조등곡화상탑 >, 조선 1480 년, 충북보은군속리면사내리
< 연곡사서부도 >, 조선 1650 년, 전라남도구례군토지면내동리 < 봉인사 < 연곡사사리탑동부도 >, 조선 >, 1620 통일신라년, 원위치, 높이 : 3m, 경기도양주군전남, 구례군현재국립중앙박물관토지면마당소재
4. 석등, 석비 1) 석등 능묘에설치된석물의일종이었으나불교전래이후진리를밝히는상징물로다양한석등이제작. 주로불전앞에세워두는석조물 통일신라 석등의간주석에따라세가지형식으로나눌수있다. 1. 팔각기둥 ( 일반적인구조 ) 2. 북모양 ( 장구모양, 鼓腹石 ) 3. 쌍사자
통일신라석등 : 팔각기둥 기단부하단에댓돌, 중간부에기둥돌, 상단에연꽃장식, 그위에불발기집 팔각기둥이다양하게변모 - 장구모양, 북모양등다양한장식등 < 부석사무량수전석등 >, 통일신라, 높이 2.97m, 영주 < 훙륭사석등 >, 발해, 높이 6.3m, 중국흥룡강성영안시발해진
통일신라 ; 북 ( 장고모양 ) < 화엄사석등 >, 통일신라, 높이 6.36m, 전남구례군마산면 < 청량사석등 >, 통일신라, 9 세기, 높이 3.4m, 경남합천황산리
통일신라 ; 쌍사자모양 < 중흥산성쌍사자석등 >, 통일신라, 8 세기말, 높이 2.5m, 국박 < 법주사쌍사자석등 >, 통일신라, 8 세기, 높이 3.3m, 충북보은군
통일신라 ; 통일신라계승 팔각기둥이원형등으로변모 < 나주서문석등 >, 고려 1093 년, 높이 3.25m, 경복궁 < 옥구발산리석등 >, 고려, 높이 2.5m, 전라북도옥구 < 고달사지쌍사자석등 >, 고려, 높이 2.34m, 경복궁
< 관촉사석등 >, 고려 939 년, 높이 5.45m, 논산 : 불발기창강조, 원기둥에꽃띠이례적 < 신륵사석등 >, 고려 1379 년, 높이 1.94m, 경기도여주 : 불발기창이국적
4-2) 석비 2) 비석 ( 석비 ) - 석비 ; 어떠한의미를특정한장소에널리알리고자또는내용을보전하고자돌에새겨놓은기념물 - 종류 ; 불교관계의탑비와능묘에세우는묘비가있음 - 형태 ; 이수 ( 용머리 ), 비신 ( 몸체 ), 귀부 ( 거북받침 )
통일신라석비 < 태종무열왕릉비 >, 통일신라, 661 년, 높이 2.1m, 경주서악동 통일신라초기의대표적인비석. 비신은없고귀부와이수만남아있음. 목을앞으로쭉뻗고입은다물고눈을크게떠약동하는힘을보이고있다. 머리, 목의주름, 발가락등모두사실적. 머릿돌에는거꾸로매달린여섯마리의용이새겨져있음 < 철감선사탑비 >, 통일신라 868 년, 화순쌍봉사 9 세기에들어귀부의머리가직립하고세부가편화되고이수도관모양으로바뀜. 입을벌리고옥을물고있으며얼굴은용으로바뀌고이수는복잡한운문으로장식. 고려비의선행형식.
< 보조선사창영탑비 >, 통일신라, 884 년, 탑신높이 264cm, 전남장흥군유치면보림사 < 원랑선사탑비 >, 통일신라, 890 년, 탑신높이 222cm, 충북제천군월광사전래, 국박
5. 맺음말 불교석조문화재의종류 ; 삼국시대부터발달한석탑을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이후발달한부도 ( 승탑 ), 석등, 석비등다양 우리나라탑의특징 ; 중국 ( 전탑 ), 일본 ( 목탑 ) 과달리우리는석탑이발달, 석가탑이가장전형적인삼층탑이고, 이형탑으로사자탑, 전탑, 다각다층탑발달 시대와지역에따른탑의특징 ; 삼국시대 ( 고구려, 백제, 신라 ) 의지역별차이, 삼국과통일신라의변화, 이국적인고려와조선의탑으로이행 부도 ; 부처님사리탑이간결하고사상적인데비해, 승탑은장식이화려하고정교하며팔각당형식으로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