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96~104, 2015. 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Analysis on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Plants in Haeunjeong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You, Ju-Han Hong, Kwang-Pyo ABSTRACT 국문초록 Corresponding author: Kwang-Pyo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Gyeongju 38066, Korea. Phone: +82-54-770-2231, E-mail: hkp@dongguk.ac.kr 96 1 2 (2015 12 )
유주한 홍광표 : 부산광역시 해운정사의 조경식물과 식재특성 분석 Ⅰ. 서론 우리나라의 사찰은 산지, 마을, 도심 등 다양한 지역에 위치 하고, 이 중 전통사찰은 불상 등 불교 신앙의 대상을 봉안하고 승려의 수행활동, 신도 교화를 위한 건립, 축조된 건조물로 경 내지, 동산 및 부동산이 포함된다(진상욱, 2010). 또한, 사찰은 건조물과 함께 종교적 의미를 가진 식물의 식재뿐만 아니라, 주변 자연경관을 포함함으로써 인공과 자연환경이 적절하게 조화된 지역이다. 특히 한국 사찰의 조경은 자연경관을 바탕으 로 연못이 조영되었으며, 연꽃, 측백, 전나무, 작약 등을 식재하 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김남철과 홍광표, 1993) 과거부 터 사찰 내 조경은 중요한 기능과 영역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수목 식재와 같은 사찰조경은 식물재료에 의한 식생 경관을 조성하여 딱딱한 건축경관을 순화시켜 주변 경관과 일 체감을 주며, 계절감, 척도감, 공간성을 제공하는 등 사찰경관 의 중요한 인자가 된다(허상현, 2005). 과거 사찰은 주로 수려 한 산지 내 입지하였으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포교활동 증대, 신도수 확충 등의 이유로 인해 도시 내로 사찰이 많이 조성되 고 있다. 즉, 불교의 현대화는 현실화, 대중화, 생활화로 정의되며, 불 교의 대중화와 생활화를 위해 사찰이 도시로 그 영역이 확대되 고 있다(이신영 등, 2014). 따라서 도시 내 사찰은 종교적 지역 인 동시에 하나의 소규모 녹지 또는 정원의 역할을 함으로써 도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에 도시 사찰은 인공적인 건조물과 어울리도록 수목식재와 같은 조경을 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불교 정서와 맞지 않는 외래수종 식재, 무분 별하고 무계획적인 조경식재로 전통적인 미적 가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내 사찰 중 하나인 해운정사의 조경 식물의 종류, 특성 및 식재형태 등을 파악하여 현대 사찰에서 적용가능한 조경식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인 해운정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410번 지에 위치하며, 해운대 장수산 일대에 1971년 창건되었고, 장수 산의 거대한 코끼리 형상을 안고 해운대가 조망된다. 해운정사 를 중심으로 동쪽은 송정해수욕장, 서쪽은 수영만과 봉대산 (147.7m), 남쪽은 해운대해수욕장, 북쪽은 장산(634m)이 입지 해 있다. 그림 1. 연구대상지 기후개황은 2014년 부산관측소를 기준으로 평균기온 15.1, 평균최고기온 19.2, 최고기온 32.9, 평균최저기온 12.0, 최저기온 6.0, 연강수량 1,693.1mm, 평균상대습도 66.0%, 평균풍속 3.2, 최다풍향 NE이다(기상청, 2014). 경내 주요 건 물은 원통보전, 대불전, 관음보궁, 토요선원, 하선원, 해탈문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 참조). 2. 조사 및 분석방법 현장 조사는 2014년 10월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범위는 해운 정사의 경내로써 경내 식재된 조경식물만을 대상으로 수행하 였다. 경내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담장이나 경계부의 석단을 기 준으로 하였으며, 경계부가 불명확한 지역은 인공식재된 식물 군을 경계로 구분하였다(최상범과 하재호, 1998). 식물의 동정 은 현장에서 직접 실시하였으며, 동정이 불가능한 종은 사진 촬영 후 문헌과 비교하여 최종 식물명을 확정하였다. 식물의 동정 및 분류는 홍성천 등(1994), 윤평섭(2001), 이창복(2003) 의 도감을 사용하였다. 식물의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 록(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에 의거하여 작성하 였으며, 과내 학명은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였다. 식물의 성상은 교목, 관목, 덩굴, 초본 등 생육특성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잎의 탈락 유무 및 형태에 따라 상록침엽, 낙엽 침엽, 낙엽활엽, 상록활엽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근원 및 흉고 직경 2cm 이상은 교목, 2cm 이하는 관목, 등반형이거나 하수 형인 것은 덩굴, 목질부분이 없고 지상부가 겨울에 고사하는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제 1 권 2 호(2015년 12월) 9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 vol. 1 no. 2 것은 초본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직경 2cm 이하로 측정되었 지만 원 성상이 교목인 것은 교목으로 분석하였다. 식재형태는 각 건물의 전면, 후면, 측면에 식재된 특성에 따라 현장에서 직 접 기록하였으며, 식재위치는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개략적 위 치를 파악한 후 도면에 표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식재종 현황 본 지역에서 식재된 조경식물은 45과 62속 68종 5변종 3품종 등 총 76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은 6과 9속 12종 1변 종 등 13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35과 48속 51종 4변 종 3품종 등 58분류군, 단자엽식물은 4과 5속 5종 등 5분류군이 다(표 1 참조). 가장 많이 식재된 종의 과는 장미과 10분류군, 물푸레나무과 7분류군, 측백나무과 5분류군, 소나무과 4분류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미과는 모과나무, 산당화, 매실나무, 복사나무, 앵도나무, 왕벚나무, 피라칸다, 장미, 비파나무, 자엽자두이고, 물푸레나무과는 이팝나무, 개나리, 광나무, 목서, 금목서, 구골 나무, 서양수수꽃다리이다. 대부분 목본성 식물이 식재되어 있었으나, 화단 및 수목 하부 에 초화류가 일부 식재되어 있었으며, 초본류는 분꽃, 상록패랭 이, 선인장, 접시꽃, 페튜니아, 코스모스, 국화, 맥문동, 잔디가 조사되었다(그림 2 참조). 특히 맥문동, 잔디를 제외하고, 대부 분 외래 화훼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생종보다 외래 화훼종이 구입이 용이하고 꽃이 화려하기 때문에 식재된 것으 로 생각되며, 향후 도시 사찰의 생태적 기능성을 증진시키고, 고유 향토성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생종의 사용이 필 요할 것이다. 본 지역과 다른 사찰의 식재종을 비교해 보면, 선암사 91분 류군(하재호 등, 1997), 불갑사 53분류군(최상범과 하재호, 1998), 불국사 102분류군(하재호와 김남철, 1999), 분황사 39분 류군 기림사 32분류군 골굴사 21분류군(허상현, 2005), 해인 사 52분류군 통도사 55분류군 송광사 88분류군(유주한 등, 2010)으로, 선암사, 불국사, 송광사보다 식재종이 적었지만 불 갑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해인사, 통도사보다는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2. 성상분석 조경식물의 성상을 분석한 결과, 교목은 36분류군, 관목은 27 분류군, 덩굴은 4분류군, 초본은 9분류군으로 나타났다(그림 3a 참조). 교목과 관목 즉, 목본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목본류에 의해 해운정사의 식재경관이 형성되었다. 또한, 잎의 탈락 유무와 형태는 상록침엽 12분류군, 낙엽침엽 1분류 군, 낙엽활엽 27분류군, 상록활엽 22분류군, 기타 14분류군이며, 이 중 기타는 덩굴, 초본이 해당된다(그림 3b 참조). 낙엽활엽과 표 1. 해운정사에 식재된 조경식물의 현황 분류단계 과 속 종 변종 품종 소계 나자식물 6 9 12 1-13 피자식물 39 53 56 4 3 63 쌍자엽식물 35 48 51 4 3 58 단자엽식물 4 5 5 - - 5 합계 45 a: 분꽃 62 b: 란타나 그림 2. 해운정사에 식재된 초본류 9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제 1 권 2 호(2015년 12월) 68 5 c: 페튜니아 3 76 d: 국화
그림 3. 해운정사의조경식물성상분석 a: 성상 b: 잎의탈락과모양 표 2. 해운정사내주요구역별식재형태분석 구역식재양식식재형태식재기법주요식재종 일주문 정형식열식가로수식재서양측백, 카이즈까향나무 자연풍경식기식녹음식재느티나무, 단풍나무 조실채 자연풍경식 - 군락식재 소나무, 동백나무, 배롱나무 요사채 정형식 열식 녹음식재 회화나무, 느티나무, 철쭉 토요선원 정형식 열식 차폐식재 서양측백, 화백 원통보전 정형식 열식 군락식재 수국 대불전 정형식 대식 강조식재 병솔나무, 금식나무, 당종려 1 2 (2015 12 ) 99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 vol. 1 no. 2 따라서 불교 상징 식물을 통한 사찰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찰 북쪽은 상록활엽수를 활용한 완충식재를 적용하 여 식재림이 방풍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경 식재가 된다면 사찰의 시각적 집중도가 높아질 것이다. 또한, 사찰 전체 내 특정 식재형태나 수종이 없기 때문에 경관의 틀 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낙엽활엽수를 이용한 기조식재를 이용하 여 단위 경관을 짜임새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간별로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해운정사의 일주문 주 변은 수고 약 1.5m 정도의 서양측백이 열식되어 있었으며, 느 티나무와 단풍나무가 부등변 삼각형 식재형태를 하고 있어 단 위 공간의 자연미가 연출되었으며, 일부 공간에는 목서와 아왜 나무가 단식되어 있었다. 또한 일주문 주변으로 수고 약 4.0m의 카이즈까향나무가 열 식되어 있었으나, 상록수인 특성 때문에 단순한 경관이 연출되 었다(그림 4a 참조). 그리고 주목, 동백나무, 아왜나무, 철쭉, 서양수수꽃다리, 배롱나무가 열식되어 있었으나, 각기 다른 수 종이 식재되어 통일된 경관이 아닌 혼란스러운 식재경관이 발 생되어 향후 수종의 통일이 필요하다. 카이즈까향나무는 일본 원산으로 현재 조경용으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단정한 수형 유지를 위해서 잦은 전정이 요구되는 수종이다. 특히 열 식된 형태가 질서정연한 모습보다는 차폐식재 형태로 연출되 기 때문에 간벌 또는 동백나무, 가시나무와 같은 자생수종으로 대체함이 좋을 것이다. 일주문 주변 화단 가장자리에는 팔손이나무, 카이즈까향나 무, 은행나무, 삼나무, 곰솔, 당종려, 구골나무가 식재되었으며, 내부에는 왕벚나무, 능소화, 동백나무, 금식나무, 편백, 개나리, 비파나무 등이 혼식되어 있었다. 본 구역도 단위 공간 면적에 비해 종수가 많고 일정한 식재양식이 적용되지 않아 혼란스러 운 경관이 연출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조경식재계획을 통한 수 종의 재배치가 필요할 것이다. a: 해탈문 그림 4. 해운정사에서 확인된 열식 형태 10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제 1 권 2 호(2015년 12월) 조실채 주변의 경우, 건물 전면에 동백나무, 귤, 소나무, 복사 나무가 식재되어 있었으나, 불규칙적인 형태를 하고 있어 수종 과 형태가 통일된 정형식재가 요구되었다. 주변 화단 주변에는 백목련과 이팝나무를 중심으로 석류나무, 돈나무, 치자나무, 배 롱나무, 금목서 등이 산재된 형태를 하고 있었다. 범종루 및 요사채 주변은 수고 약 3.5m의 목서와 수고 약 5.0m의 회화나무 및 느티나무가 열식되어 있었으며, 석가모니 상 전면에 열식된 철쭉 주변으로 장미와 돈나무가 각각 좌우측 에 식재되어 있었다. 토요선원의 경우, 잔디식재지 내 동백나 무, 백정화, 불두화, 수국, 돈나무, 박태기나무, 감나무 등이 식 재되어 있었으며, 경계에는 서양측백이 열식되어 있었다(그림 4b 참조). 그리고 곰솔이 대칭식재된 형태를 하였고, 앵도나무, 비파나무, 삼나무, 잣나무 등이 열식되었다. 원통보전과 조실채 사이 공간은 수국이 열식되어 있었으며 (그림 4c 참조), 영산홍, 앵도나무, 석류나무, 매실나무, 백목련 이 있었고, 후면부에는 수국이 대규모로 식재된 상태였다. 대불 전 전면 입구에는 병솔나무, 금식나무 및 당종려가 대칭식재되 어 있었으며, 철쭉, 불두화, 장미, 금목서가 확인되었다. 이 중 병솔나무는 적색 꽃이 아름다워 꽃 공양의 의미로 식재된 것으 로 생각되나, 이보다는 파초나 배롱나무의 식재가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파초는 무아(無我) 또는 공(空)을 표상하며, 인간사 의 무상함을 환기시키는 의도뿐만 아니라, 믿음의 구법을 염원 하는 상징적 의미가 있어 사찰 내 식재가 많다(노재현 등, 2010). 또한, 배롱나무는 불교세계의 상징성을 부여하는 부귀 영화를 의미한다(이성규와 심상렬, 1997). 따라서 불교적 의미 가 없는 병솔나무보다는 파초나 배롱나무와 같이 전통사찰에 많이 식재된 불교상징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필요하며, 식재형 태는 종교적 특성을 감안하여 정형식인 대칭식재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본 구역은 다른 구역과 달리 수국이 가장 많이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주한 등(2010)은 수국 이 삼보사찰에서도 공통적으로 식재되어 있는 것이 석가탄신 b: 토요선원 c: 원통보전
1 2 (2015 12 ) 101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 vol. 1 no. 2 Received : 8 December, 2015 Revised : 13 December, 2015 26 December, 2015 Accepted : 28 December, 2015 3인익명심사필 (1st) (2nd) 102 1 2 (2015 12 )
부록 1. 해운정사에식재된조경식물목록 과명 학명-국명 성상 소철과 Cycas revoluta Thunb. 소철 상록침엽관목 은행나무과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낙엽침엽교목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Pinus thunbergii Parl. 곰솔 낙우송과 Cryptomeria japonica (L. f.) D. Don 삼나무 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편백 Chamaecyparis pisifera (Siebold & Zucc.) Endl. 화백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Hort. 카이즈까향나무 Thuja occidentalis L. 서양측백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주목과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자작나무과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느릅나무과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분꽃과 Bougainvillea glabra Choisy 부겐빌레아덩굴 Mirabilis jalapa L. 분꽃초본 석죽과 Dianthus spp. 상록패랭이 초본 선인장과 Opuntia ficus-indica Mill. 선인장 초본 목련과 Magnolia denudata Desr. 백목련 녹나무과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후박나무 상록활엽교목 매자나무과 Nandina domestica Thunb. 남천 작약과 Paeonia suffruticosa Andr. 모란 낙엽활엽관목 차나무과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상록활엽교목 Camellia spp. 겹동백나무상록활엽교목 범의귀과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iebold & Zucc.) Wilson 수국 낙엽활엽관목 돈나무과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돈나무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모과나무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산당화 낙엽활엽관목 Prunus mume Siebold & Zucc. 매실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복사나무 장미과 Prunus tomentosa Thunb. 앵도나무낙엽활엽관목 Prunus yedoensis Matsum. 왕벚나무 Pyracantha angustifolia (Franch.) 피라칸다 Rosa hybrida Hort. 장미 낙엽활엽관목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비파나무 상록활엽교목 Prunus cerasifera var. atropurpurea Ehrh. 자엽자두 콩과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낙엽활엽관목 Sophora japonica L. 회화나무 운향과 Citrus unshiu Marcov. 귤 상록활엽교목 단풍나무과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노박덩굴과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 회양목과 Buxus koreana Nakai ex T. H. Chung & al. 회양목 갈매나무과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대추나무 포도과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덩굴 1 2 (2015 12 ) 103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 vol. 1 no. 2 부록 1. 계속 과명 학명-국명 성상 아욱과 Althaea rosea Cav. 접시꽃 초본 벽오동과 Firmiana simplex (L.) W. F. Wight 벽오동 부처꽃과 Lagerstroemia indica L. 배롱나무 석류나무과 Punica granatum L. 석류나무 도금양과 Callistemon lanceolatus DC. 병솔나무 상록활엽교목 층층나무과 Aucuba japonica Thunb. 식나무 Aucuba japonica for. variegata (Dombrain) Rehder 금식나무 두릅나무과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팔손이나무 진달래과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영산홍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낙엽활엽관목 감나무과 Diospyros kaki Thunb. 감나무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이팝나무 Forsythia koreana (Redher) Nakai 개나리 낙엽활엽관목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 물푸레나무과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금목서 Osmanthus heterophyllus (G. Don) P. S. Green 구골나무 Syringa vulgaris L. 서양수수꽃다리 낙엽활엽관목 꼭두서니과 Gardenia jasminoides Ellis 치자나무 Serissa japonica (Thunb.) Thunb. 백정화 마편초과 Clerodendrum thomsoniae Balfour. 클레로덴드룸덩굴 Lantana comara L. 란타나낙엽활엽관목 가지과 Petunia hydrida Vilm. 페튜니아 초본 능소화과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 능소화 덩굴 인동과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K. Koch. 아왜나무상록활엽교목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Nakai) Hara 불두화낙엽활엽관목 국화과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초본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 Kitam cv. 국화초본 백합과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맥문동 초본 벼과 Zoysia japonica Steud. 잔디 초본 야자나무과 Trachycarpus wagerianus Becc. 당종려 상록교목 104 1 2 (2015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