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D6C1BEBAB8B0EDBCAD5FC7A5C1F6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C3D6C1BEBAB8B0EDBCAD5FC7A5C1F62E687770>"

Transcription

1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기술 Restoration Technology of Damaged Ecosystem 도시녹지공간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for the Eco-corridor in Urban Area 고려대학교 환 경 부

2

3 보고서 초록 연구과제명 코드번호 (국문) 도시녹지공간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 (영문)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for the Eco-corridor in Urban Area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심 우 경 총 연구기간 2003년 1월 1일 ~ 2004년 6월 30일 총 연구비 (천원) 정 부 출연금 250,000,000원 민 간 부담금 참여기업 - - 계 250,000,000원 위탁기관 - 연구책임자 - 최종보고서 페이지수 초록내용 453 총 참여 연구원수 (명) 29 본 과제는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1970년대 도시개발로 인해 녹지가 단편 화되고 감소되어 생물서식환경이 고립되고 열악해졌고 도시경관이 삭막해져 경제성장에 걸맞지 않는 결과가 초래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의 하나 로 도심지에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총합적인 접근으로 한국형 생태 corridor 설계기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과제를 위하여 선정된 사례지역은 1970년대 개발된 서울특별시 강남지 역에 위치한 올림픽공원과 서리풀 공원 사이의 간선도로 약 10km 구간을 선정하고 도록권역 50m와 양쪽 50m 씩을 포함하여 폭 150m를 연구 대상 지로 선정하였으며 도로로부터 500m 이내의 초중등학교와 도시공원, 공공 기관 등을 stepping stone으로 잡아 설계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과제에 주안점을 두었던 점은 사업시행을 위하여 대상지 선종 전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쳤으며, 한국형 도심지 생태 corridor를 조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기후, 토양, 식생, 곤충 및 양서류, 수문, 경관, 관련법,

4 예술, 홍보 등]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대안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외국 대학원생 들에게 사례연구를 시켜 본 과제 수행에 참작하였다. 본 과제는 한국 digital 사업의 메카이며 가장 번화한 신도시로 외국기업 들이 많이 입주한 고층건물로 둘러싸인 번화가이지만 환경이 매우 열악하고 부적절한 도시경관으로 인해 거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생물서식환경 개선과 기로경관 증진, 미기후 개선 등 총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과제의 연구과정은 첫 단계에서 자료수집, 사례지역 선정, 현황 조사 및 분석이 이루워 졌는데, 사례지역 선정은 향후 사업실천을 목표로 후보지 역 지방자치단체 담당 공무원과 상의를 거처 서울시 강남지역의 올림픽공원 과 서리풀 공원 사이 약 10km 구간이 선정되어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에 걸쳐 있는 구간이며, 특히 양쪽의 올림픽공원과 서리풀공원은 넓은 면적이 확보되어있어 이곳을 서식환경으로 보완하면 녹지 거점으로서 훌륭한 역할 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한국 경제발전의 상징도로로 탄생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현황조사. 분석결과 이 도로는 그 위치의 중요성에 비해 그 기능이 매우 미약하며 열악한 환경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며, 이 도 로가 생태 corridor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인근의 stepping stone을 보완하 여 연결시키고, 물의 적극적인 도입과 자생식물을 활용한 녹지의 확충이 선 결조건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하기 위하여 독 일, 미국 등을 출장 다녀왔으나 대부분 야생물 위주의 국가별 정체성이 없 는 녹지 위주의 현황이어서 본 계획에서는 총체적 접근으로 문화적인 요소 를 보완하여 이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공생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역점을 두었다. 두 번째 단계의 기본구상에서는 대안이 3안 마련되었는데 1안은 소극적인 안으로 기존 상황을 유지하면서 분리대에 물을 도입하고, 가로수를 갱신하 며 가로수 사이에 줄 녹지를 보완하여 부족한 녹지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 시하고, 2안은 좀더 적극적으로 8차선의 교통도로를 2차선으로 줄이고 대신 분리대를 3m에서 10m로 확장하여 corridor를 확장하는 방안이었고, 3안은 분리대는 현황대로 살리고 차선을 2차선으로 줄이고 보도를 넓히는 방안을 준비하여 국제적 학자들을 초빙하여 심포지엄을 개최한 결과 3안 가운데 한

5 안을 획일적으로 적용시키는 것 보다는 도로와 구청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는 적용이 요구되어 올림픽공원과 탄천교 사이 송파구청 구간은 도로변 아파트가 재개발 되면서 도로에서 10m 후퇴하여 완충녹지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어 이 구간을 이용하여 실개천을 도입하고 corridor를 조성하는 방 안을 세웠으며, 탄천교와 강남역 사이의 강남구청 구역은 1안을 적용시켜 기존 도로를 살리고 가로수 갱신과 줄 녹지 보완 등을 하였으며, 강남역과 서리풀공원 사이의 서초구청 관할 구역은 도로 확장계획이 있으나 교통량이 다른 구간에 비해 적은 관계로 3안을 적용시켜 보행자 위주의 corridor 조 성을 목표로 세웠다. 3안 모두 도로 양쪽 50m에 포함된 건물의 옥상에 초 지형 녹화를 권장하고, 가로시설물을 한국 전통요소를 도입하여 정체성을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주요 사거리에는 랜드마크 역할을 위하여 조형물 배 치를 계획하였다. 본 과제는 하나의 획기적인 종합적 도시환경개선 방안으로 대규모 예산 (약 일천억원)이 소요되므로 담당 부서 선정에서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가 절 반씩 부담함으로써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시범 사업으로 탄천 교에서 삼성역 사이 400m 구간에 걸처 실시설계를 실시하여 착공을 준비하 고 있고, 시공 후 모니터링을 실시 한 후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전 구간에 사업이 여장되고 타 도시에도 적용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색 인 어 (각 3개이상) (국문) 생태통로, 단편화, 생물서식환경, 총합적 접근 (영문) eco-corridor, fragmentation, wild-life habitat, holistic approach 21 0m m 297 m m

6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2003년 도시녹지공간의 생태 corridor 설계기 법 (총 연구기간 : 2002년 12월 1일~ 2004년 5월 31일)의 최 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7 월 30 일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 심 우 경 책임연구원 : 김은일, 권영휴, 노송호, 박승자, 박인재, 심재한, 이광우, 이봉희, 조현길 한경덕 연 구 원 : 김경환, 김대연, 김송아 김현준, 박경복, 안창연 안태원, 정진호 연구보조원 : 공 병, 김수진, 김은영, 박현구, 서경덕, 이은기, 임혁성, 정미화, 정재윤 자 문 위 원 : Niall Kirkwood(Harvard University) Yoichi Kumagai(Tokyo University) Lee Yeoung Heui(Technischen Universitat Berlin) - 1 -

7 요 약 문 Ⅰ. 제 목 도시녹지공간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970년부터 이후 급격하게 발생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개발 면적의 증가와 도시환경의 황폐화는 생태계의 기본고리인 먹이사슬의 단절을 가져오게 되어 일부 야생동물들은 점점 도시내의 좁은 녹지에서 멸종 되거나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게 되었으며 생물다양성은 감소하 게 되었다. 또한 도로나 철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건설과 기타 인간을 위한 개발사업에 의하여 발생된 녹지단편화는 야생물의 고립화를 초래 하여 동종교배(in-breeding)현상이 발생되어 진화의 저하가 초래되고 있는데 이런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 한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생태 corridor의 개발이다. 도심지내 조성되는 생태통로는 산재되어 있는 녹지와 서식지를 연결 하여 그 자체가 서식지가 되고, 이동통로가 되며, 미기후 조절, 도시미 관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 인간에게는 교육적인 휴식처 및 환경교육장 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생태통로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는 제한적이나마 도시생태계와 녹지기능의 회복 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심 외곽지역이 아닌 차량의 이동과 사람의 이 - 2 -

8 동이 많은 기존의 도심지 내에서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을 개발하고 자 하였다. 특히 서울시 강남의 간선도로인 올림픽 공원부터 안곡산[서 리풀공원]까지로 분리되어있는 기존의 녹지공간을 하나로 연결하여 생 태corridor 기능과 동시에 쾌적한 녹지공간 확보, 도시경관 재정비, 미 기후 조절, 또한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게 함으로써 기존 도로에 plus α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연구의 최종 목 표인 기본 계획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건물과 녹지, 자동차와 인간, 과 거와 현재가 어울리는 총체적인 생태 corridor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범위 가. 시간적 범위 - 1차 : ~ : 기본구상 - 2차 : ~ : 기본계획 나. 공간적 범위 -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올림픽공원에서부터 강남구 테헤란로, 서초구 안곡산[서리풀공원] 사이 약 10km 구간의 도로 - 도로 폭 50m, 양쪽 50m 합계 150m의 도로와 도로로부터 500m 이내의 공공시설 지역. 2. 연구내용 가. 국내외 생태corridor 사례조사 생태 corridor와 관련된 국내외 사례들을 조사

9 나. 대상지 현황 조사 분석 생태 corridor 설계기법에 필요한 연구대상지 내의 식물상, 동물 상, 토양, 기후, 교통량, 경관, 시설물 등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잠재력 분석. 다. 대상지에 적합한 생태 corridor 기본계획 작성 연구대상지에 적합한 생태 corridor 기본계획 제시. Ⅳ. 연구개발결과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조사 및 분석, 기본계획으로 나눌 수 있다. 1. 조사 및 분석 가. 도로 연구대상지의 도로 및 시설물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나. 식물상 연구대상지의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 하였다. 다. 동물상 연구대상지의 동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도입 가능한 종을 제시 하였다. 라. 토양 연구대상지의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마. 미기후 연구대상지의 미기후를 조사하여 기본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 하였다

10 바. 경관 연구대상지의 경관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사. 옥상 옥상을 stepping stone으로 활용하기 위해 초지형 옥상 녹화 방 안을 제시하였다. 아. 법령 및 조례사항 본 연구와 관련된 법령 및 조례사항들을 조사하였다. 2. 기본계획 연구대상지의 조사 분석 내용을 토대로 대상지 구역별로 적합한 생태 corridor 기본계획을 하였다. 송파구 올림픽로 구간은 기본계획 1안(그 림 3.2.2), 강남구 테헤란로 구간은 기본계획 2안(그림 3.2.3), 서초구 서초로 구간은 기본계획 3안(그림 3.2.4)을 적용한다.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모델들은 시범사업을 통해 monitoring 한 후 보완하여 전 구역에 시공할 수 있으며, 도심지 내에서의 벽면녹 화, 가로녹지조성, 화단조성, 옥상녹화, 중앙분리대녹화 등을 이용한 생 태 corridor기법 및 생태조경기법의 도입으로 조경업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시범사업을 통하여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전 도시로 확 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11 SUM M ARY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ing now and at the early 1970s when the new town planning started, there was no enough mind on ecological consideration and only on the economic aspect. Accordingly the urban environment h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low quality and unsuitable environment for wild-life habitat. This project was attempted to develop the design technology of eco-corridor in urban area to connect the fragmented greens for wild-life moving safely, to modify the micro-climate for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o express Korean cultural identity with holistic approaches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soil, climate, vegetation, fauna, landscape, law, tradition culture, public relation and so on. Case study site was select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re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ng with the related local governments. The site was approximately 10km between Olympic Park and Seoripul Park in length, and 150m in width including 50ms right of way with each side 50m, and stepping stones such as school campus, urban parks, historical site, steam and so on. Research process was consisted with selecting the site, inventory and analysis of the community and resources, preparing the concept plan and preparing the final - 6 -

12 development plan. For the site selection, discussion with the related local government was fully carried out. Site inventory and analysis for soil, micro-climate, flora, fauna, visual, law, infrastructur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ransportation, land use and ownerships and so on were also carried out by the experts. At this stag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ermany, U.S.A. were investigated through field trips, and various reports and books were referred for the synthesis. At the concept plan stage, symposium was hel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distinguished scholars such as Niall Kirkwood, chair and professo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d school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Y. Kumagai, professor of environment, graduate school, Tokyo University, Yeoung Heui Lee, professor of environmental planning, Berlin Technical University [Appendies Ⅰ]. At this stage, 3 alternatives were prepared to discuss at the symposium with expert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lt. 1 was rather passive one and keep the existing conditions with adding more greens and water stream in the median strip, Alt. 2 actively changing with reduction of traffic lanes from 8 to 2 lanes and enlarging the median strip from 3m to 10m, Alt.3 active one with enlarging the pedestrian way and reducing the traffic lanes to 2. After discussion on this matters, the experts were request to adopt the alt. according the situation flexibly. Development - 7 -

13 plan was prepared for the Songpa-ku district zone from Olympic Park to Tancheon bridge with modified alt.1 which is greening at the 10m set-back area of apartment redeveloping zone, for the Kangnam-ku district zone from Tancheon bridge to Kangnam subway station with alt.1 and for the Seocho-ku distirict zone with alt. 3. All alternatives are including roof-greening, wall planting, water stream execution, street trees renovation with planting the shrubs and ground-covers between street trees. And 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street furnitures and land marking with sculptures at the cross road traffic island. For this project, construction cost was estimated approximately 100,000,000,000won($84,000,000) and most citizens agree with the project but the question is who the responsible agent for the construction. But example construction of 400m zone between Tancheon bridge to Samsung sub-way station is preparing from Kangnam-ku district office now and soon or later it will be executed with the research results. After monitoring the executed example co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adopted as one of an ideal alternative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wild-life habitat with Korean identity to most of cities in Korea

14 C O N T E N T S Chapter Ⅰ. Introduction 21 Section 1. Objectives and needs of the study 22 Section 2. Scope of the study 25 Section 3. Process of the study 26 Chapter Ⅱ. Investigation of related research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27 Section 1. Cases in other countries EECONET Germany England U.S.A Holland Spain Singapore Japan 48 Section 2. Cases in Korea 50 Chapter Ⅲ.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53 Section 1. Site inventory and analysis

15 1. Road Flora Fauna Soil Microclimate Lanadscape Rooftop Law and regulation 232 Section 2. Prelimimary plan 256 Chapter Ⅳ. Achievements of the study and contribution to other cities 269 Chapter Ⅴ. Uses plan of the research results 271 Chapter Ⅵ. References 273 Appendices International Symposium Asia GSD Harvard Design School Articles

16 목 차 제Ⅰ장. 서론 21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22 제2절. 연구범위 25 제3절. 연구과정 26 제Ⅱ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7 제1절. 국외사례 EECONET 독일 영국 미국 네덜란드 스페인 싱가포르 일본 48 제2절. 국내사례 50 제Ⅲ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3 제1절. 현황조사 및 분석 도로 식물상

17 3. 동물상 토양 미기후 경관 옥상 법령 및 조례사항 232 제2절. 기본계획 256 제Ⅳ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269 제Ⅴ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71 제Ⅵ장 참고문헌 273 부 록 국제심포지움 Asia GSD Harvard Design School 신문기사

18 그 림 목 차 그림 연구대상지 범위 27 그림 The Greenway Planning Process 28 그림 미국 데이비스의 그린웨이 형태 57 그림 연구대상지 항공사진(위:1972년, 아래:2002년) 55 그림 연구대상지 현황 56 그림 시설물 현황도1 58 그림 시설물 현황도2 59 그림 시설물 현황도3 60 그림 시설물 현황도4 61 그림 시설물 현황도5 62 그림 시설물 현황도6 63 그림 시설물 현황도7 64 그림 시설물 현황도8 65 그림 시설물 현황도9 66 그림 시설물 현황도10 67 그림 시설물 현황도11 68 그림 시설물 현황도12 69 그림 시설물 현황도13 70 그림 시설물 현황도14 71 그림 시설물 현황도15 72 그림 시설물 현황도16 73 그림 시설물 현황도

19 그림 시설물 현황도18 75 그림 시설물 현황도19 76 그림 유치 가능한 조류 128 그림 생물 생태공학적인 저습지조성기법 129 그림 자연적인 Prototype 저습지 136 그림 횡적이동 통로 조성기법 사례 151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온도변화 160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온도변화 160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온도변화 161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온도변화 161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습도변화 162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습도변화 162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습도변화 163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습도변화 163 그림 월 초순 시간별 광도변화 그림 월 중순 시간별 광도변화 그림 월 초순 시간별 광도변화 그림 월 중순 시간별 광도변화 165 그림 월 초순 시간별 풍속변화 그림 월 중순 시간별 풍속변화 그림 월 초순 시간별 풍속변화 그림 월 중순 시간별 풍속변화 167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20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173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174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74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75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75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76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하지 음영분포 179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춘분 및 추분 음영분포 180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동지 음영분포 181 그림 수목피도별 온습도 변화 183 그림 월 하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183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184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184 그림 월 하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185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185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186 그림 정주환경 향상을 위한 디자인 이미지 190 그림 경관요소들의 분류 192 그림 대상지내 건물의 옥상녹화 192 그림 옥상녹화 사례 193 그림 대상지내 빌딩 194 그림 해외 벽면녹화 사례 194 그림 벽면 녹화 공법 195 그림 옥외공간 사례

21 그림 옥외공간 해외사례 196 그림 실내공간 해외사례 197 그림 연구대상지 도로 현황 198 그림 일본 동경 사례 199 그림 예제 199 그림 테헤란로의 건축물 200 그림 테헤란로의 건축물 201 그림 테헤란로의 간판 202 그림 일본사례 202 그림 가판대 203 그림 휴지통 204 그림 볼라드 204 그림 테헤란로 보행로 205 그림 해외사례(일본 동경) 206 그림 보행자공간 예제 206 그림 연구대상지 기타 시설물 207 그림 예제 208 그림 대상지 위치도 211 그림 녹화시스템 설계 진행 과정 212 그림 벽면녹화 해외사례 217 그림 기본계획도(대안Ⅰ) 225 그림 단면도(대안Ⅰ) 226 그림 기본계획도(대안Ⅱ) 227 그림 단면도(대안Ⅱ)

22 그림 경량성 초지형 제품 229 그림 일반적인 인공지반 녹화의 시공과정 230 그림 경량성 초지형 제품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의 시공과정 230 그림 전체배치도 257 그림 기본계획 1안 258 그림 기본계획 2안 259 그림 기본계획 3안 260 그림 Image Concept 그림 Image Concept 그림 Image Concept 그림 식재설계평면도1 264 그림 식재설계평면도2 265 그림 식재설계평면도3 266 그림 식재설계평면도

23 표 목 차 표 올림픽로 진주아파트 지점 교통량 77 표 올림픽로 롯데월드앞 지점 교통량 78 표 올림픽로 주공2단지앞 지점 교통량 78 표 잠실역 사거리 교통량1 (올림픽공원 잠실역) 79 표 잠실역 사거리 교통량2 (신천역 잠실역) 79 표 신천역 사거리 교통량1 79 표 신천역 사거리 교통량2 80 표 종합운동장 사거리 교통량1 80 표 종합운동장 사거리 교통량2 80 표 테헤란로 글라스타워 앞 지점 교통량 81 표 테헤란로 선능역 지점 교통량 81 표 테헤란로 스타타워빌딩 앞 지점 교통량 81 표 삼성역 사거리 교통량 82 표 선능역 사거리 교통량 82 표 강남역 사거리 교통량 82 표 서초로 진흥아파트 지점 교통량 83 표 서초로 서초역 앞 지점 교통량 83 표 강남역 사거리 교통량 84 표 교대역 사거리 교통량 84 표 서초역 사거리 교통량 84 표 지하철지하수 발생량 및 이용현황

24 표 테헤란로 식재 현황 86 표 삼릉공원 식재 현황 88 표 도성초등학교 식재 현황 89 표 진선여중고교 식재 현황 91 표 대명 중학교 식재 현황 93 표 휘문중고교 식재 현황표 95 표 개화기별 곤충(나비)의 흡밀식물 98 표 새의 먹이가 되는 종자식물 104 표 새의 먹이가 되는 열매식물 109 표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110 표 육상척추동물 조사 대상지 선정 및 평가 118 표 주간 육상곤충류 조사 대상지 선정 및 평가 120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양서 파충류상 및 특이사항 122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조류상 및 특이사항 123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포유류상 및 특이사항 124 표 조사대상지 위협요인 분석 및 방안 125 표 유치 가능한 조류 128 표 도입 가능한 지역 및 유입가능 종 128 표 한국산 양서류의 서식공간과 산란장소 132 표 도입 서식 가능한 종과 서식조건 132 표 조사대상지별 시기별 출현 곤충류 목록 및 분석 138 표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153 표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25 표 녹지 및 표면재료 구성비(%) 158 표 월별 미기후 변화 159 표 월별 풍향의 빈도(%) 168 표 최근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분석( ) 169 표 최근 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분석 (m/s) 170 표 최근 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풍향분석(%) 171 표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기상자료 분석 172 표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향빈도(%) 177 표 계절별 및 시간별 그림자 길이(m) 178 표 수목피도에 따른 주간 평균 온습도 차이 182 표 수목피도 측점지점별 표면재료 구성비(%) 187 표 벽면녹화의 방법과 문제점 216 표 대상면적에 대한 법적 인정면적 220 표 건물옥상의 적재 하중표 221 표 옥상녹화의 효과 222 표 기본구상의 원칙과 목표

26 제Ⅰ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범위 제3절. 연구과정

27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1970년부터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개발 면적의 증가와 황폐화는 생태계의 기본고리인 먹이사슬의 단절을 가져오게 되 어 일부 야생동물들은 점점 도시내에 좁은 녹지에서 멸종되게 되었고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녹지공간의 생 물다양성은 감소하게 되었으며 서식지 단편화를 초래게 되었다. 서식지 단편화는 도로나 철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건설과 기타 인간을 위한 개 발사업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이런 단편화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 나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생태 corridor의 개발이다. 도심지내 조성되는 생태통로는 산재되어 있는 녹지와 서식지를 연결 하여 그 자체가 서식지가 되고, 이동통로가 되며, 미기후 조절, 도시미 관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 인간에게는 교육적인 휴식처 및 환경교육장 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생태통로 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는 제한적이나마 도시생태계와 녹지기능의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심 외곽지역이 아닌 차량의 이동과 사람의 이 동이 많은 기존의 도심지 내에서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을 개발하고 자 하였다. 특히 서울시 강남의 간선도로인 올림픽 공원부터 안곡산까 지로 분리되어있는 기존의 녹지공간을 하나로 연결하여 생태corridor 기능과 동시에 쾌적한 녹지공간 확보, 도시경관 재정비, 미기후 조절, 또한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고, 이 도로에 생태 corridor를 조성함으 로 기존 도로에 plus α 효과를 가질 수 있게 연구를 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최종 목표인 기본 계획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건물과 녹지, 자동차와 인간, 과거와 현재가 어울리는 생태 corridor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28 1. 도심지내 생태 corridor 설계 자료 구축 현재 조성된 생태 corridor의 국내 외 사례를 조사하고 기존의 공법 을 분석하여 생태 corridor에 대한 자료를 구축한다. 각기 상이한 환경 조건 및 동물상에 따른 다양한 방법의 자료의 구축 과 앞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모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며, 기존의 문제 점을 제시하여 새로운 형태의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 한다. 2. 인간을 포함한 생물의 이동통로로서의 corridor 조성 녹지 연결 및 네트워크는 생물의 다양성과 그의 stepping stone의 역할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도시의 특성 상 생물만이 이동하는 통로 를 연결하여 생물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은 경제성 및 공간의 부족, 이 동의 문제 등 제한점이 발생된다. 본 연구는 야생물 이동통로로서의 corridor 조성과 더불어, 인간을 생물의 한 개체로 인식하여 생물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여 생활을 영위 하며 쾌적한 삶을 위한 도시의 선형 녹지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확장 시켜 나갈 수 있는 기본적 틀을 제시한다. 3. 중앙분리대 및 가로녹지를 이용한 생태 corridor 계획 사례지로서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및 가로변의 환경을 조사 분석 하여 적절한 생태 corridor를 계획하고 설계하여 도로변의 새로운 형태 의 생태 corridor를 조성하도록 한다. 현재 도로의 가로수 및 중앙분리대 등의 가로변은 단순 수종의 식재 로, 생물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중앙분리대 및 도로변 가로지역을 생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선형의 녹지로 개발하여 도시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29 4. 도심지에 적합한 새로운 생태 corridor 기본계획 기존의 생태 corridor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 리나라의 도심지의 가로변을 중심으로 한 벽면, 옥상, 도로변 소공원, 학교 등의 공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법의 생태 corridor 모델을 제시 하고, 다양한 환경과 생물의 이용에 따른 모델을 구분하여 실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30 제2절. 연구범위 1. 시간적 범위 - 1차 : ~ : 기본구상 - 2차 : ~ : 기본계획 2. 공간적 범위 - 서울시 강남 올림픽 공원과 안곡산[서리풀공원]사이 간선도로 약 10Km 구간(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 도로 폭 50m, 양쪽 50m 합 150m를 대상지로 설정. 그림 연구대상지 범위

31 제3절. 연구과정 1차년도에는 국내 외 사례조사 및 연구대상지의 자연환경(식물상, 동물상, 토양, 기후)과 인문환경(관련법, 교통 등)조사를 통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본구상을 실시하고 국제 심포지움을 개최하여 해외사례들 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알아본다. 2차년도에는 구축된 자료를 통해 기본 계획을 실시한다. 그림 The Greenway Planning Process

32 제Ⅱ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1절. 국외사례 제2절. 국내사례

33 제1절. 국외사례 1. EECONET(Europe Ecological Network) 최근 유럽에서의 자연환경정책의 주요 이슈는 유럽지역 전 지역에 걸 친 생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러한 생태적 네트워크는 생 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선도적 네트워크, 자연보전계획의 중심으로서 의 생태적 네트워크, 통합된 계획체계의 일부로서의 생태적 네트워크라 는 성격을 갖는다. 유럽의 자연환경정책은 초기 단계에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보호, 보전의 차원이었다. 그러나 국가적, 국제적 차원의 자연보전활동에도 불구하고 생물종의 수와 서식지의 수는 점점 감소되 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도서생물지리학 이론에 따라 비오토프의 면적, 비오토프 사이의 거리, 이동통로의 존재 유무, 주변의 토지이용 등이 생물종의 번성과 쇠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제기 되면서 자연환경정책은 생태적 네트워크라는 물리적 계획으로 통 합되어 갔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은 1995년 10월 유럽 환경장관회의에서 2005년 까지 유럽 전체를 생태통로로 연결하는 EECONET(Europe Ecological Network)계획을 추진키로 합의하기에 이르렀다. 유럽연합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럽연합의 지침에 의하 여(Habitats Directives 92/43/EEC Article 3) 지정되는 특별보전지 역(SAC:Special Areas of Conservation)들을 서로 연결하는 유럽생 태네트워크(EECONET: European Ecological Network)의 구축작업 을 NATURA 2000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하고 있다. 이 생태네트워크는 서식지와 생물종들의 연결통로로 구성되는데 유럽

34 연합의 서식지 지침(Habitat Directives)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생물 서식지와 생물종들을 보전하고 최상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유럽연합의 각 회원국들은 이를 위하여 각국의 영토내 에 특별보전지역(SAC)을 설정하여 생물서식지와 생물종들을 보호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야생동식물 서식지에 적합한 경관을 구축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회원국들은 NATURA 2000 네트워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토지이용계획과 각종 개발정책에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식물구계(flora) 나 동물구계(fauna)가 연결된 선형의 구조를 가지거나 징검다리의 구 조를 가져 야생동식물들의 이동과 확산, 그리고 종간의 유전자교환 (genetic exchange)을 돕도록 하는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ECNC, 1998a). 유럽생태네트워크는 생물중심의 핵심지역(biocenters), 완충지역 (buffer zone), 생태통로, 자연복구지역으로 구성된다. 이 생태네트워 크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지방, 지역, 국가, 국제적 차원에서 핵심지역, 생태통로가 각각 구축되는데 네트워크상에서 핵심지역과 생 태통로들의 기능은 지방, 지역, 국가, 국제적 차원별로 달라지게 된다. 지방에서 자연보전지역, 생태가치가 있는 지역, 동식물의 서식지 등 중 요한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은 그보다 더 낮은 차원의 지방의 입장에서 는 핵심지역이 되는 것이지만 국가차원에서는 생태통로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제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ECNC, 1998b). 생태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계획은 다른 계획과정과 밀접하게 조정 되고 통합되어야 한다. 다른 계획과정이란 지역계획, 지역조경계획, 삼 림계획, 농촌계획 등을 말한다.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본적인 원 칙의 한 가지는 이 네트워크의 구축이 대륙, 국가, 지방별로 계층제적

35 인 질서를 가지며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을 적용한다 는 것은 중앙정부가 두 가지 방향에서의 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국가는 대륙전체 생태계보전의 관점에서 타국가 의 어느 지역이 생태적보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전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합의해 나가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국내 의 지역중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어느 지역이 생태계보전의 관점에서 보전되어야 한다는 점을 합의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2. 독일 가. 전국 비오톱연계망 구축 독일은 유럽공동체의 FFH-시행령의 국내법 수용과 의제 21의 지속 가능발전목표의 이행 및 생물다양성보존협약의 이행을 목적으로 2002 년 연방자연보호법을 전면 개정하였다. 또한 독일의 경우는 국가의 자 연적 생활기반보호 의무를 헌법에 규정하고 있다: 국가는 역시 차세 대에 대한 책임에서 자연의 생활기반을 보호하여야 한다. (헌법 제 20a조). 이에 상응하여 연방 자연보호법은 자연의 기능력의 확보, 자연 재의 갱신력과 지속가능한 이용력의 확보, 동식물계 및 그들의 생활공 간 확보, 자연과 경관의 다양성, 특성, 아름다움과 휴양가치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현행 연방 자연보호법은 목적조항에 서 자연과 경관 은 단지 인간의 생활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 중심적 접근), 그 자체 가치를 바탕으로 (생태중심적 접근) 보호, 관리, 개발되어져야 하며, 필요에 따라 복원되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독일 신규 연방자연보호법의 핵심규정의 하나는 법 제 3조에 의한 야생동식물서식처 및 생활공간 연계망 ( 비오톱연계망 )의 조성이다

36 동 규정에 따라 주정부는 의무적으로 주전역에 걸친 비오톱연계망을 구축하여야 하며, 이 연계망은 각 주( 州 ) 총면적의 최소한 10 %가 되 어야 한다. 이 비오톱연계망은 고유동식물종의 지속가능한 안정과 그 생활공간 및 생활공동체를 포함한 모집단의 안정도모와 생태기능의 복 원 및 생태적 상호관계의 수호, 복원,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유럽 공동체 생태연계망 Natura 2000을 지원하게 된다. 독일 비오톱연계망은 핵심지역, 연결지역 및 연결요소로 구분된다. 이 연계망은 지정국립공원, 법정보호 비오톱, 자연보호지역, 생물권유보 지역 또는 이들 지역의 일부분과 경관보호지역 및 자연공원의 일부가 그 구성요소가 된다. 비오톱연계망지역은 자연보호법 및 공간계획법에 의거한 보호지역으로의 지정과 장기협약 (계약자연보호) 또는 여타 적 절한 대책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장된다. 독일 환경문제자문위원회는 이 신규제도와 관련하여 주( 州 )면적의 10 %의 하한규정이 단지 핵심 지역에 해당되어져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SRU 2002). 연방 자연보호법 제 30조에 법정보호 비오톱을 열거하고 있으며, 각 연방주는 연방자연보호법 제 40조에 의거하여 종 및 비오톱보호의 수 행을 위하여 구체적인 주의 법을 제정하여야 하며, 또한 비오톱리스트 를 확대할 수 있다. 나. 도심지 비오톱면적요소의 정량화사례 도심의 녹은 도시의 심장역할을 한다. 때문에 건축계획, 경관계획 등 에서 의무 녹지면적의 정량화 대책이 수립되고 있다. 독일 베를린주의 경우는 도심에서의 환경오염 감축을 도시개발의 주목표로 설정하고 있 다. 이를 위하여 자연가계의 기능력개선 및 현 토지이용의 고려하에서 비오톱발전의 진흥을 도모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경관계획의 구체적

37 도구로서 도심지 비오톱면적요소를 정량화하고 있다. 베를린의 비오톱면적요소 산정기준은 도시적 이용형태인 주거, 상업 및 기반시설 등에 적용되며, 건축물 신축 또는 변경시 조성해야 될 생 태 최저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도시건축밀도와 그 변경에 융통 성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심지 비오톱면적요소는 식 물의 입지에 기여하는 토지 내지는 자연가계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녹지가 되며, 종류와 대책에 따라 상이하게 계산되는 도시생태의 질기 준이다. 비오톱면적요소 산정에서는 지면 식재면적의 확대에 우선을 두고 있 으며, 차후대책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토지의 포장제거 또는 생 태친화적 포장재료의 대채와 같은 가능성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옥상이나 벽면, 울타리녹화 등과 같은 지면녹화에 대한 보정녹화대책은 건물이 극히 밀집되었거나 또는 자유공지의 상업적 이용 등의 경우에 비오톱면적요소로 산정이 허용된다. 적용의 예외는 상공업적 이용토지 의 경우에 지하수 수질보호를 위하여 지표의 포장이 불가피할 경우이 며, 이 경우는 지면식재보다 옥상 및 벽면녹화대책이 우선적으로 인정 된다. 비오톱면적요소는 도심의 생활질 및 경관질 개선을 위한 요소로 작용 하고 있으며, 또한 동식물계의 자연적인 발전에 기여 하고 있다. 다. 자연보호정책도구 유럽에서는 자연보호 정책도구로서 종보호지도, 위해동식물종 리스 트, 비오톱지도 및 생태환경관찰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비오톱의 지도 화는 독일의 경우 1974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서울시의 경우 2000년 비오톱유형도 작성). 비오톱 지도화 목적은 특별한 보호가치가

38 있는 생활공간의 현황, 상태 및 입지를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비 오톱지도화는 공간계획에서 필요한 생물생태적 기본데이타를 작업하고 입법시 생태적 측면의 검토에 활용할 목적으로 지방자치단체측에서 실 시하기 시작하였었다. 비오톱지도는 자연보호프로그람 내지 종 및 비오 톱보호대책수립에 활용되고 있으며, 녹지정비계획과 경관계획 또는 도 시생태계획에서 이 지역을 통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라. 자연환경보전법과 생물서식공간 독일의 연방자연환경보전법 1조의 목적규정은 "자연과 경관은 인간 의 정주공간 및 비정주공간에서, 전국토에 걸쳐 내재되어 있는 자연자 산들의 잠재적 기능, 자연자원들의 이용성, 동식물세계 그리고 자연과 경관의 다양성, 고유성 및 미가 인간 삶의 근본 토대로서, 한편으로는 자연과 경관 속에서 휴양을 위한 전제로서 지속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 록 보호, 관리 그리고 개발되어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목적규정 은 인간 삶의 근본토대로서 경관생태시스템 복원을 통한 능동적인 자 연환경보전과 휴양공간제공을 전제로 한 쾌적환경 창출이라는 두가지 측면의 임무를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자연환경이라는 개념은 자연자산 (Naturhaushalt), 자연자원(Naturgueter), 동식물세계 및 경관의 다양 성과 고유성 및 아름다움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동식물세 계 및 비오톱의 보전 개발 복원에 관해서 구체화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은 보호되어야 하며 특히 산림, 폐쇄된 식물군락지 및 수 변식생은 합리적인 개발과 이용의 테두리 속에서 보전되도록 해야 한 다. 또 비정주공간에서 식물로 피복된 공간들이 제거되어야 할 경우에 는 제거된 양 만큼 현장의 생육상태에 부합하도록 재차 녹화되어야 한

39 다. 둘째, 자연자원의 한 요소로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장한 야생 동식물 과 이들의 서식지는 종다양성의 확보의 맥락속에서 보전되어야 하고 특히 비오톱은 보전, 발전, 재생복원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나정화, 1997, p.76). 연방자연환경보전법에서 설정된 목적규정과 이 목적규정을 구체화한 기본원칙규정의 내용들은 경관생태시스템의 복원을 통한 자연환경보전 및 경관의 다양성, 고유성, 미의 발전을 통한 쾌적환경창출을 위한 실 제적인 토대가 되며 이들 내용은 각 주정부의 경관법의 목적 및 기본원 칙 규정에서도 반드시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법제1조 2항 및 3항). 기본원칙규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자연환경보전 및 경관관리의 세부 지침들은 경관계획(Landschaftsplanung)과 침해규정(Eingriffsregelung) 의 도입을 통하여 현실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경관계획은 전체국토공간 개발계획으로부터 야기되는 자연환경 및 경관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복 원시켜 나갈 수 있는 공간계획적 핵심도구로 활용되며 침해규정은 개 별적 단위사업으로부터 야기되는 자연환경 및 경관의 파괴를 최소화하 고 복원시켜나갈 수 있는 핵심수단으로 사용된다. 연방자연보호법 12-18조에서는 자연 및 경관의 특정한 부분에 대한 개발, 관리, 보호에 관한 사항이 명시되어 있는데 크게 면적보호, 대상 물보호로 대별된다. 면적보호에 관한 사항들로는 국립공원 및 자연공원 지정에 관한 사항, 자연보호지역에 관한 사항, 경관보호지역에 관한 사 항이 있고, 대상물보호에 관한 사항으로는 유적지 및 기념비 보호에 관 한 사항, 특별히 보호되어야 할 경관, 풍치지구에 관한 사항들이 면적 규모에 따라 차등있게 분리 규정되어 있다. 특히 국립공원, 자연공원 등 면적보호에 관한 사항들은 거시적 차원에서 큰 비오톱으로 간주되 며 그 다음조항에서 명시되어 있는 작은 비오톱군과의 결합을 형성하

40 여 광역차원에서 녹지망체계를 등급별로 구분짓는데 중요한 법적근거 가 되는 조항이다. 연방자연보호법 20-26조에서는 작은 공간단위에서 의 비오톱군을 형성시킬 수 있는 동식물서식처 보호 및 위험에 처한 특 정야생동식물 보호에 관한 사항등이 명시되어져 있는데 비오톱군의 형 성을 위한 면적단위의 비오톱군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체적 내용이 포 함되어 있다(김용수외, 1994, p.109; 이영희, 1992, P.129). 마. 독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환경영향평가제도와 생물서식공간 환경영향평가는 도시내 각종 개발사업, 재개발사업과 같은 행위가 생 물서식공간에 미칠 영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타의 단위사업이 가지고 올 환경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생물서식공간의 보호를 위한 중요한 사전 예방적인 수단으로 활 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독일의 환경영향평가제도는 많은 시사점 을 제공한다. 1985년 유럽의회는 환경영향평가지침을 통과시키는데 이 지침에 따라 독일연방의회는 1990년 환경영향평가법을 통과시키게 된 다. 그러나 독일의 지방자치단체는 연방정부의 환경영향평가법만으로는 환경문제에 대응하기에 미흡하다고 판단하여 지방정부마다 다양한 형 태로 환경영향평가를 적용하고 있다. 지방환경영향평가를 도입한 일부 도시는 환경영향평가의 범위를 제한하여 건설기본계획, 지구상세계획에 한정하고 있으나 비스바덴, 하노바등 대부분의 도시는 원칙적으로 모든 행정행위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비스바덴시의 경우 환경영향평가는 환경과 관련이 있는 모든 지 방행정행위를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환경과 관련 이 있는 행위라 함은 연방환경관련법의 규정에 의한 법적구속력이 있

41 는 조치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등 의무적 성격을 가지지 않는 것도 포함 하고 있다. 즉, 자연 및 경관침해행위, 건설기본계획, 교통계획, 각종 건 설시설 및 상공업시설뿐 아니라 계획안, 프로그램, 개념, 원료와 제품의 이용 등을 규정함으로써 매우 포괄적으로 평가대상의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과정에 주민의 참여는 기존의 각종 사업 또는 계획 의 의사결정절차에서 보장하는 주민참여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 별도로 환경영향평가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데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주민의견조사의 실시, 결과를 알리기 위한 주 민회합의 개최, 분과위원회에서의 의결발표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 다. 도시계획과에서 도심에 고층 아파트빌딩을 건설하기 위해 마련한 지구상세계획이 도시미관측면과 기후생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 다는 환경과의 문제제기로 인하여 저층아파트로 지구상세계획이 변경 된 사례는 도시환경보전을 위한 지방환경영향평가의 효과성을 말해주 는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하노바 市 의 경우, 2000년에 개최되는 "엑스포2000" 박람회에 대비 한 환경영향평가의 목표을 "엑스포를 개최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환경 질은 더욱 개선되도록" 정하고 3가지 종류의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였 다. 우선, 공간정주체계법에 의한 공간입지에 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사업환경영향평가, 그리고 하노 바 市 정부의 환경영향평가 지침에 의한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였다. 하 노바시에 의한 환경영향평가의 요소로서는 전시장 관련시설 부지선정, 교통계획, 전시후 토지 및 건물이용, 엑스포관련 상업의 기존 도시계획 에의 통합성 여부, 엑스포개최이후를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전시시설의 적합성 등을 꼽고 있다. 이러한 독일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영향평가의 특징은 첫째, 사업 또는

42 시설중심의 환경영향평가에서 벗어나 계획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등 평가대상이 매우 광범위한 점, 둘째, 단일매체중심의 환경영향평가 에서 벗어나 종합적 환경영향평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으며, 셋째, 사 업 또는 계획이 최종 확정되기 전에 과정환경영향평가 또는 다단계 환 경영향평가를 시행함으로써 대안탐색 및 취소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넷째, 평가과정에 주민 및 전문가가 광범위하게 참여하 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조진상, 1994). (1) 베를린의 도시내 자연보전 전략 독일에서는 연방자연보호법(1976년)에 따라 도시지역에서의 생물종 다양성의 보호 및 증진을 위해서 수년에 걸쳐 도시 전역에 걸쳐 비오토 프를 조사하고 도면화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1/50,000 의 지도상에 도시지역(Urban Areas), 도시근교지역(Sub-urban Areas), 시골지역(Countryside Areas)으로 구분하여 전략적 차원에 서 도시내 비오토프의 보호 및 관리대책을 마련하였다. (2) 슈트가르트의 서식처 네트워크 지역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독일 슈트가르트의 서식처 네트워크는 독 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오토프의 네트워크 계획을 잘 보여주는 사 례중에 하나이다. 독일에서의 비오토프 네트워크(서식처 네트워크)는 비교적 다른 나라에 비해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상지역의 특 성을 반영하는 서식처의 유형분류를 실시한 후에 서식처의 현황조사,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각 서식처들은 단계별로 평가 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식처 도면을 작성한 후에 관리전략 등의 수립 절

43 차를 거친다. 조사, 분석, 평가, 지도화 등으로 이루어지는 독일의 네트 워크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좀 더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영국 영국의 경우는 생물종다양성 행동계획(Biodiversity Action Plan)을 통하여 생태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보전하고 있다. 영국의 기본적인 의 도는 동식물 서식지들이 분절화되어 가는 경향을 되돌리려는데 두고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기본적인 정책방향은 첫째, 자연적으로 보전가 치가 높으면서도 서로 단절되어 있는 특별보전지역들과 이 지역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지역을 우선적으로 보전하고, 둘째, 잠재적으로 높 은 가치를 지닌 동식물서식지들을 회복해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 지 정책을 통하여 영국은 생태보전을 위한 핵심지역을 강화하고 이들 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간다는 것이다. 영국 에는 이미 기존의 여러 정책과 프로그램들에서 영국내의 야생동식물에 대한 보호수단들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앞으로 20년 동안 영국의 자연 보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더 새로운 조치들을 마련할 필요에서 생 물종다양성 행동프로그램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추진을 위하여 영국정부는 생물다양성행동계획추진단체(Biodiversity Action Plan Steering Group)를 구성하였다. 여기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련기관, 관련자료 보유 기관, 봉사조직과 아카데믹단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 단체는 핵심 종들에 대한 조사, 생물학적 데이터베이스에 대 한 접근도의 향상,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공중관심의 제고, 진척상 황의 점검 등의 임무를 맡고 있다(ECNC, 1998a)

44 영국 런던지역에 대한 생태평가는 1982년 광역런던의회(Greater London Council)가 생태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부터 체계적으로 계속 되어 오고 있다. 런던의회는 이 프로그램을 몇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추진하였는데 그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Goode,1996). 첫째, 생태학자들을 계획과(planning department)에 임명하여 다음 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 생태계와 자연보전을 위한 계획정책을 수립 - 런던에 대한 생태조사를 실시 - 생태조사에 입각하여 계획에 필요한 생태 데이타베이스를 구축 - 계획에 대한 생태학적인 조언을 제공 - 생태학 핸드북을 출간 - 생태공원과 자연센타를 건립 - 런던 생태센터를 건립 여기서 도출된 결과와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은 런던개발계획에 대한 하 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초기 이 프로그램이 출발하던 당시만 하여 도 개발계획은 생태적인 고려를 전혀 하지 않고 있었으며 런던자치구 들은 해당 자치구내의 생태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할 어떠한 의무도 법 적으로 지니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15년이 지난 지금은 사정이 많이 바뀌어 현재는 모든 개발계획이 생태계와 자연보전에 관한 매우 상세 한 별도의 독립된 章 을 가지고 있을 정도이다. 중앙정부의 지침 역시 지방의 개발계획에 생태적 고려를 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지역이나 도시계획의 일부로 자연녹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종 합적인 전략이 필요한데 이러한 종합적 전략은 상세하고 종합적인 생 태조사에 기초하여야 한다. 이 생태조사에는 지역내에 서식하는 모든 야생생물에 대한 정보와 이들의 중요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런던의회는

45 이러한 종합적인 생태조사를 1984년에 실시하였다. 지역에 대한 1만분 의 1 지도에 표준화된 야생생물서식공간이 표시되었으며 야생생물은 약 38종으로 크게 분류되어 이 지도에 표시되었다. 이 조사는 1년여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이후 각 런던자치구들은 이 조사들을 지속적을 반 복하여 자료들을 갱신해 나가고 있으며 조사기술들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셋째, 이상의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다섯가지 유형의 보전지역을 선정 하게 되었다. 다섯가지 유형의 보전지역이란 메트로폴리탄지역(site of Metropolitan), 자치구지역(site of Borough Importance), 지방지역 (site of Local Importance), 야생동물통로(Wildlife Corridors), 시골 지역(Countryside Conservation Areas) 을 말한다. 1 메트로폴리탄 보전지역(site of Metropolitan)은 런던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야생생물이 있는 곳, 특별히 희귀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곳, 여러 종들이 조합을 이루어 서식하는 곳, 중요한 종이 서식하는 곳 등이다. 이러한 메트로폴리탄 보전지역은 런던의 야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자연환경과 접촉할 수 있는 기 회를 준다는 점에서도 대단히 높은 보전의 우선순위를 부여받고 있다. 메트로폴리탄 보전지역의 결정은 런던생태위원회(London Ecology Committee)와 런던주변의 지방정부의 위원회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계획과정에서 이 메트로폴리탄 지역을 보존해야 한다는 인식은 현재 런던지역의 계획과정에 광범위한 인식과 지지를 받고 있으며 중앙정부 의 계획과정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2 자치구지역(site of Borough Importance)은 런던전체의 입장에 서 메트로폴리탄 보전지역이 필요한 것처럼, 자치구의 시각에서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 생태계가 파괴되면 심각한 손실을 입을

46 위험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자치구 보존지역은 1급지(Grade I) 와 2급지(Grade II)로 나누어 진다. 3 지방보전지역(site of Local Importance)은 지방 거주민들이나 지방학교에 특별한 보전의 가치가 있는 지역을 말한다. 4 야생동물통로(Wildlife Corridors)는 비교적 연속적인 녹지로서 인위적인 환경을 통과하면서 다른 녹지와 연결시키고 그린벨트와 연결 되는 야생생물의 통로이다. 5 시골보전지역(Countryside Conservation Areas)은 런던외곽의 보전지역을 말한다. 이상의 다섯 가지 유형의 보전지역으로 어느 지역을 선정할 것인가는 일련의 기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러한 기준들은 현재 상당히 발전 되어 있다. 현재 33개 런던자치구중에서 23개 자치구는 이상과 같은 자연보전전략을 채용하고 있다. 넷째, 분명하고 효과적인 자연보전정책을 가진다는 것은 각종 계획과 정에 대하여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런던의 경우 1982년에서 1984년 사이에 개발된 이상의 자연보전 프로그램들은 런던의 자연보 전프로그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후 지방정부들의 각종 계획프로그램에 이러한 자연보전정책들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변화 는 런던의 계획과정에 자연보전이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자리잡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보전정책들은 이제 지방의 각종 계획과정에 자연보전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런던청(Government Office for London)은 런던 생태유닛에 의하여 사용된 각종 보존지역 선정의 절 차들이 앞으로 자연보전의 기초가 되어야 하며 개발계획의 수정을 위 한 초석으로 삼을 것을 내용으로 하는 행정지침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47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영국의 이러한 정책들은 영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야생동식물에 대한 광범위하고 철저한 조사에 기반하고 있다. 영 국의 생태기록센타(Biological Records Centre)는 1964년에 국가 종 다양성센터(National Biodiversity Center)로 설립되었다. 이 연구센타 는 種 의 서식지를 비롯한 각종 야생생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데이 터를 모집하고 있다. 주된 연구 주제들은 영국의 식물군과 동물군의 지 리적 분포, 종 다양성의 원인과 패턴, 그리고 야생종의 분포변화에 대 한 연구 등이다. 영국 야생생물에 대한 약 6백만종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재 16,000여 種 에 대한 조사를 진행중이며, 10,000여종의 야생생물의 분포에 대한 지도를 제작하여 발간하고 있다 ( 가. 레스터시의 그린 네트워크 전략 레스터시는 교외에서 도심가지 녹지대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어 야생동 식물의 서식처 및 이동통로, 산책로, 자전거도로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시범도시이다. 레스토시는 그린네트워크 전략을 수 립하기 위해서 전문가, 민간단체, 학생들과 함께 1983년부터 1987년 까지 도시내의 오픈스페이스, 운하, 하천, 개천, 철도변, 도로변, 생울타 리, 건물주변 등에 걸쳐 서식하는 동 식물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실시 했다. 이를 도면화하여 도시계획을 수립하거나 개발사업을 승인하기 위 한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4. 미국 가. 캘리포니아주

48 캘리포니아 州 의 환경법(California Environmental Quality Act)은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의 질을 회복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며, 각종 사업이 환경에 미칠 심각한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 고, 가능하면 환경에 미칠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환경에 대한 심각한 영향이라 함은 첫째, 희귀 동식 물 또는 멸종위기의 동식물이나 이들의 서식지에 대한 영향, 둘째, 어 류나 야생생물의 이동에 대한 영향 셋째, 어류, 야생생물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 topic/env_law/ceqa_summary.html). 캘리포니아주의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하여 州 환경법은 캘리포니아주 의 생태계가 잘 유지되는 것과 캘리포니아 주민들의 복지와의 상관관 계에 대한 깊은 이해의 필요성이 있음을 선언하면서 (California Public Resource Code Section (c)) 캘리포니아 주의 환경정 책을 열거하고 있다. 생태계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인간의 행동으로 야기되는 야생생물의 감소를 방지하고 이러한 야생생물들이 자연번식 이 가능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반조치를 취하며, 미래의 캘리포 니아 주민들을 위하여 캘리포니아에 존재하는 모든 야생동식물들이 보 존되도록 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 주정부의 모든 부서들이 캘리포 니아 주의 환경의 질을 보존하기 위한 기준과 절차들을 작성하고 이들 을 적용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California Public Resource Code Section 21001(c)(f)). 한편 캘리포니아 주법은 州 환경법이 지방정부 의 계획에도 일관성 있게 반영되도록 계획 및 연구부서(the Office of Planning and Research)로 하여금 지방정부가 기본계획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계획지침을(General Plan Guideline) 만들도록 하고 있 다. 이 지침은 법적인 강제력은 가지지 않으나 토지 이용가들이나, 의

49 사결정자들, 그리고 캘리포니아 주민들이 지방의 일반계획을 수립할 때 이 지침을 기준으로 삼음으로서 주정부의 환경법이 지방정부의 계획에 반영되도록 하고 있다. 나. 샌프란시스코 샌프란시스코의 도시기본계획중 환경보전요소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경요소에 대한 기본계획의 일반적인 목적은 첫째, 샌프란시스 코지역 자연자원의 보존과 이용 그리고 개발의 적절한 조화를 달성하 는 것 둘째, 자연자원에 대한 광범위하고도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수립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첫째 목표인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자연자원의 보존과 이용 그리고 개발의 조화를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인위적 환경 간의 적정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지금까지의 개발경향을 역전시킬 것 이며, 새로운 녹지와 야생생물 서식지를 창출하고, 도시의 환경을 회복 시키고 재생시키는 것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 다. 또 샌프란시스코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개발행동은 엄격한 환경기 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인간의 필요성을 감안한 개발이어야 함을 명시 하고 있다 (Dept. of City Planning,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I.6.3-4). 식물 區 系 (flora)와 동물 區 系 (fauna)의 보존을 위해서 기본계획은 첫 째, 캘리포니아 주의 관련부서(Department of Fish and Game)와 밀 접한 협조체계를 유지하여 야생동식물의 생명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둘째, 공원등지에서 제공되고 있는 야생생물 서식지가 야생 동식물의 안전한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사람들의 레크리에이션의 범위를 확장 시키지 않도록 하며 셋째, 멸종위기의 야생동식물을 파악하여 최대의

50 보호책을 마련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Dept. of City Planning,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I.6.11). 다. 데이비스 데이비스시는 1960~70년대 생태운동의 거점으로서 풀뿌리 시민운 동이 활발하였다. 데이비스시는 시민, 대학, 공공기관이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오픈스페이스의 통합화 조직화 활성화에 노력하였다. 1970년대에 만들어진 빌리지홈은 그린웨이 계획을 주도하였는데, 빌 리지홈의 오픈스페이스는 동서로 통하고, 주택간의 우수와 배수를 겸한 작은 도로와 정원, 도로의 막다른 곳에서 남북으로 관통하는 시민농원, 레크레이션 공간과 작은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지역의 개발사업도 그린웨이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데이비스시는 그린웨이를 조성하기 위 해 주민협력으로 시가지의 토지를 취득하였다. 기존도로를 정비하고 자 연 조류보호단체기금의 협력을 얻으면서 야생식물의 서식지인 습지대 를 보존하였다. 그린웨이는 오픈스페이스와 공원, 공동시설, 농업지구 등과 네트워크 로 연결되어 그 연장이 향후 약 150km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림 미국 데이비스의 그린웨이 형태

51 5.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80년대말 사회전반에 걸쳐 자연환경의 중요성에 대 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전국에 걸친 생태적 네트워크의 형성이 자연환 경정책의 주요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국토전체의 생태적 네트워크 화 계획은 기존의 자연보존지역을 확대하고 생물서식공간의 단절 및 파편화를 방지하며, 새로운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네덜란드 전 역에 걸친 비오토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서 생물종 다양성의 증진을 모색하고 있다. 6. 스페인 마드리드 지역의 자연환경은 3백만명의 인구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지역으로 이곳은 주거지와 공업지역의 개발뿐만 아니라 집 약적인 농경체계도 반자연적 서식처의 파편화를 가져오고 있는 곳이다. 마드리드 지역에서도 최근까지는 고립된 보호지역의 지정등과 같이 개 별적인 서식처의 보호에 자연보전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생태 적 과정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경관-생태적 과정을 지배하는 인자 에 관한 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자연보전전략을 위한 기본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생태네트워크의 설계를 위한 과학적 그리고 사회 경제 적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마드리드 지역의 생태네트워크 설계는 크게 4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는데,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 생물학적 동태, 그리고 농경활동과 관련된 주요한 생태적 과정의 파악 등을 포함하고

52 있다. 또한, 자연보전을 보다 광범위한 사회 경제적 활동과 통합하기 위한 법적, 그리고 재정적 수단을 강구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7. 싱가포르 싱가폴은 1970년대부터 도심녹지대에 사용될 일정분량의 토지를 1970년대 이전과는 반대로 처음부터 따로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년에는 공원 및 리크리에이션과(Parks and Recreation Department) 가 국토발전부(Ministry of National Development)에 창설되어 식목 과 도로변의 나무관리, 공원과 휴식공간의 개발 및 관리에 관한 전반적 인 책임을 맡게된다. 이 부서는 약 3800ha에 달하는 공원과 정원, 500만 그루에 달하는 각종 나무와 과일수, 그리고 새들의 서식처가 되 는 나무들의 관리를 책임진다. 동시에 PRD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가치 가 있는 지역에 대한 보존과 확충을 위한 계획과 연구의 책임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공원 및 리크리에이션과가 설치된 이후 싱가폴에서는 녹 색지대의 확충을 촉진하기 위하여 식목행위에 대한 세금유인제도가 제 공되었다. 나무들은 특히 열섬효과를 억제하고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 여 개발지역과 자동차 주차장 주변부에 집중적으로 심어지고 있다. 1980년대를 통하여 싱가폴은 도시정원운동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녹 지공원체계를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약 2세기에 걸친 대규모의 도시개 발과 자연환경의 급속한 파괴에 대한 반작용으로 자연녹지의 개념은 모든 계획의 핵심적인 관심사항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1989년에는 공원 및 리크레이션과(Parks and Recreation Department)는 싱가폴 섬 전체적으로 공원의 네트워크화를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대규모의 새 로운 공원들을 계획하고 이 공원들을 서로 연결하여 싱가폴 전체의 공

53 원들을 연결해 나간다는 것이다(Yuen, 1996). 8. 일본 가. 사이따마현의 비오토프 네트워크 구상 사이따마현은 일본의 자연환경복원연구회와 협조하여 비오토프 사업 을 해왔다. 비오토프의 창조는 대규모적이고 충부한 자연환경과 도시 내에서 보전 복원 창도되어진 주변의 자연환경을 네트워크화해서 縣 전체의 자연도의 향상을 꾀하는 것 을 목적으로 1990년부터 신규 주 요시책으로서 "비오토프 창조 추진사업 을 시작하였다. 도쿄만으로 흘 러들어가는 사이따마현 아라카와 상류에 약 50ha에 달하는 아라카와 비오톱이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縣 내에서 이미 所 澤 市 (1987), 八 潮 市 (1989), 狹 山 市 (1990), 富 士 見 市 (1993) 등에서 이와 같은 취지의 조 사가 실시되고 있다. 나. 요코하마의 비오토프 네트워크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神 奈 川 縣 橫 浜 市 )는 인구 300만 이상의 인구 를 포함하는 대도시이면서 구릉지, 하천, 바다와 같은 자연환경과 농지 등이 남아있다. 이것들을 보전해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추진하는 것이 개성적 도시정비에 중요하다고 인식되어 전 도시의 생태네트워크 의 형성을 지향하고 있다. (1) 잠자리 연못의 네트워크 계획 요코하마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네트워크 계획은 잠자리 연못의 네트워크화 계획으로 도시내의 초등학교, 공원녹지 등에 잠자리 연못을

54 만들어 이들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약 40여개소가 정비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조성계획을 수립해 가고 있다. (2) 국영 알프스 아즈미 공원의 비오토프 네트워크 계획 이 공원의 비오토프 네트워크화 계획은 알프스 아즈미 공원의 기본계 획에 대해 보다 다양한 생물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지역 적인 차원에서 가장 작은 규모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원의 비오토프 네트워크화 계획의 특성은 대상지역내 의 비오토프와 서식하는 생물종 등에 대한 현황파악을 바탕으로 장래 의 환경을 예측하여 향후에 서식하게 될 목표종 및 가이드종을 설정하 고 있다. 특히, 가이드 종은 생물종이 이용하는 비오토프에 대한 조사 를 실시하여 선정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물종과 서식처 와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하여 비오토프 네트워크 계획도를 작성하고 있다

55 제2절. 국내사례 생물서식공간의 구축을 위한 유럽의 노력은 1990년대에 일본을 비 롯한 아시아 국가에도 그 방법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근자에는 한 국에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와는 달리 한국에서의 생물서식 공간의 확보를 위한 노력은 대륙적인 생태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목 적을 염두에 두고 추진되고 있지는 않으며 개별 국가의 그린네트워크 구축 혹은 지역 및 도시단위에서 개별적인 소규모의 생물서식공간(비 오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자연환경복원 연구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환경부에 서는 G-7 환경공학 기술개발사업 및 환경기초기반기술개발 사업 ( )의 일환으로써 본격적인 환경생태기술 연구사업이 추진 되어 도로개설 및 도시의 건설 등에 따른 생물서식공간의 단편화와 고 립화를 막고 전국토의 네트워크화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적인 종 다양성 유지를 위한 계획과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개발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국토의 곳곳에 서식처를 단절시키는 도로개설 및 도시의 건설 등이 이 루어져왔으며 이에 따라 직접적인 녹지와 산림의 훼손 이외에도 기존 야생동식물의 서식처의 질적 저하를 불러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생태적 통로(Wildlife passag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타개하기 위하 여 1995년 환경부에서는 그린네트워크화 계획 의 추진을 통한 생 물서식공간의 단편화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도로개 통시 이동통로 개설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린네트워크 구상은 그 배경을 도시, 농어촌, 하천 등 전 국토의 자연성과 쾌적성을 높이고 생물다양성을 증대시켜 우리 국토를 인간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들고 있다. 이를 위한

56 기본틀로 생태통로 조성, 생태도시 조성, 자연형 하천공법 도입과 농촌 그린네트워크 등을 들고 있다(환경부, 1995). 또한, 환경부에서는 전국 그린네트워크 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 로서 생태통로와 하천의 그린네트워크, 소생태계 조성, 생태마을 조성 등을 들고 있다. 한편, 적용사례로서 경기도 일산 신도시와 분당 신도 시, 대전시 생태도시 계획 등을 사례로 들고 있다(환경부, 1997). 하지만, 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에 비추어서 볼 때, 우리나라의 도시나 지역, 공원 등에서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입하여 적용한 사례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생태적으로 바람직한 새로운 자연을 창조하는 적극적인 정책으로, 이 그린네트워크화의 기본 적인 구상은 생물의 서식과 이동을 위하여 태백, 광주, 차령, 소백, 노 령산맥의 5대 산맥과 한라산을 생태계보전과 생물다양성증가를 위한 핵으로 하여 그 주위의 농지, 하천, 습지를 체계적으로 연결시키며 전 국의 주요 산지, 공원 등을 생태통로로 연결해 나간다는 것이다. 아울 러 기존의 도시를 녹색도시로 조성해 나가기 위하여 생물서식공간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야생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숲, 습지 등 생물서식공간을 만들면서 도시 내의 그린네트워크를 구상하고 있다

57

58 제Ⅲ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제1절. 현황조사 및 분석 제2절. 기본계획

59 제1절. 현황조사 및 분석 1. 도로 가. 도로현황 테헤란로는 길이 4km, 너비 50m의 강남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왕복10차선 간선도로로, 국제금융과 무역이 활발하고 도시설계지구에 해당한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가 한양 천도 578주년을 맞 아 이름없는 시내 59개 도로에 대한 가로명을 지을 때 삼릉로가 되었 다가 그 뒤 한국의 중동 진출이 한창이던 1977년 6월 17일 이란의 수 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과 테헤란시와의 자매결연을 기념하여 현 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주요 통과지역은 역삼동 대치동 삼성동 잠실동이다. 서초로 올림 픽로와 동서로 이어지고, 영동대로 강남대로 논현로 언주로 선릉 로 삼성로와는 연결 교차된다. 서초로와 강남대로가 교차하는 사거리 에 지하철 2호선 강남역이 있고, 논현로와 교차하는 사거리에 역삼역, 선릉로와 교차하는 사거리에 선릉역, 영동대로와 교차하는 곳에 삼성역 이 있다. 최근 30년간 테헤란로의 변화는 그림 3.1.1을 보면 알 수 있 다. 연구대상지인 서초로, 테헤란로, 올림픽로 구간의 현황은 그림 와 같다

60 그림 연구대상지 항공사진(위:1972년, 아래:2002년)

61 그림 연구대상지 현황

62 나. 도로변 시설물 현황 연구 대상지에는 지하철 출입구, 버스정류장, 신호등, 전화박스, 자전 거 보관소, 가로등, 휴지통, 환풍기, 다양한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으 며, 그 현황은 그림 3.1.3에서 그림 과와 같다.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 시설들도 있으나, 변압기의 경우 통행인들에게 불편함을 줄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지하에 매설하거나 차폐식재를 통해 미관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시설물의 경우 전통적인 요소가 전혀 가미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국의 정체성을 찾고 이곳에 방문하는 많은 외국인들에게 한국 문화 를 알릴 수 있는 디자인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63 다. 교통량 송파구의 교통량은 2002년 출퇴근시간(출근시간 07:00-09:00,퇴근 시간 17:00-19:00)에 조사되었으며, 양방향 평균 교통량은 출근시간 6,490대, 퇴근시간 7,834대로 조사됐다. 강남구의 경우 2003년 조사 자료이며, 양방향 평균 교통량은 출근시 간 5,271대, 퇴근시간 5,701대로 조사됐으며, 교차로의 경우 삼성역사 거리는 출퇴근 평균 12,247대, 선능역사거리는 8,132대, 강남역사거리 는 12,343대로 조사됐다. 서초구의 경우 2002년 조사 자료로 양방향 평균 교통량은 출근시간 5,229대, 퇴근시간 6,688대로 조사됐다. 따라 서 연구대상지의 양방향 교통량은 출근시간에 5,663대, 퇴근시간에 6,741대이다. (1) 송파구 (올림픽로 ~ 삼성교) (가) 가로구간 교통량 조사 (송파구청, 2002) 1 가로명 : 올림픽로 (잠실역~올림픽공원) 지점명 : 진주아파트 (올림픽공원 앞) 표 올림픽로 진주아파트 지점 교통량 접근방향 잠실역 올림픽공원 올림픽공원 잠실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시 간 07:00~09:00 2,193 4,286 17:00~19:00 2,550 3,528 합 계 4,743 7,

64 2 가로명 : 올림픽로 지점명 : 롯데월드 앞 표 올림픽로 롯데월드앞 지점 교통량 접근방향 잠실역 종합운동장 종합운동장 잠실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시 간 07:00~09:00 3,216 3,252 17:00~19:00 4,683 4,334 합 계 7,899 7,586 3 가로명 : 올림픽로 지점명 : 주공 2단지 앞 표 올림픽로 주공2단지앞 지점 교통량 접근방향 종합운동장 잠실역 잠실역 종합운동장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시 간 07:00~09:00 2,465 4,059 17:00~19:00 4,351 4,057 합 계 6,816 8,116 (나) 교차로 교통량 1 가로명 : 잠실역 사거리

65 표 잠실역 사거리 교통량1 (올림픽공원 잠실역) 시 간 진행방향 잠실역 접근방향 석촌호수 신천역 잠실대교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 ~ 09:00 1,329 2,308 1,137 17:00 ~ 19:00 1,188 2, 합 계 2,517 4,425 1,811 표 잠실역 사거리 교통량2 (신천역 잠실역) 시 간 진행방향 잠실역 접근방향 석촌호수 신천역 잠실대교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 ~ 09:00 1,163 1, :00 ~ 19:00 1,419 1,679 1,591 합 계 2,582 2,844 2,499 2 가로명 : 신천역 사거리 표 신천역 사거리 교통량1 시 간 진행방향 신천역 접근방향 종합운동장 한강고수부지 잠실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 :00~19: 합 계 ,

66 표 신천역 사거리 교통량2 시 간 진행방향 신천역 접근방향 잠실역 석촌호수 종합운동장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 :00~19: 합 계 350 1,353 1,173 3 가로명 : 종합운동장 사거리 표 종합운동장 사거리 교통량1 시 간 진행방향 종합운동장 접근방향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 종합운동장 올림픽대로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 , :00~19: , 합 계 1,165 6, 표 종합운동장 사거리 교통량2 시 간 진행방향 종합운동장 접근방향 올림픽대로 신천역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 , :00~19:00 1,243 3,011 1,081 합 계 1,708 4,472 1,

67 (2) 강남구 (삼성교 ~ 강남역) (가) 가로구간 교통량 조사(강남구청,2003) 1 가로명 : 테헤란로 (삼성교 ~ 강남역) 지점명 : 글라스타워 앞 표 테헤란로 글라스타워 앞 지점 교통량 시 간 접근방향 삼성역 역삼역 역삼역 삼성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00 2,927 2,247 17:00~19:00 2,827 2,844 합 계 5,754 5,091 2 가로명 : 테헤란로 지점명 : 선능역 표 테헤란로 선능역 지점 교통량 시 간 접근방향 삼성역 역삼역 역삼역 삼성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00 2,589 2,766 17:00~19:00 2,812 2,855 합 계 5,401 5,621 3 가로명 : 테헤란로 지점명 : 스타타워 빌딩 앞 표 테헤란로 스타타워빌딩 앞 지점 교통량 시 간 접근방향 삼성역 역삼역 역삼역 삼성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07:00~09:00 2,413 2,873 17:00~19:00 2,839 2,925 합 계 5,270 5,

68 (나) 교차로 교통량 1 가로명 : 삼성역 사거리 표 삼성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테헤란로 방향 접근방향 영동대로 테헤란로 차 량 수 차 량 수 (대) 07:00~09:00 12,302 17:00~19:00 12,189 합 계 24,491 2 가로명 : 선능역 사거리 표 선능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테헤란로 방향 접근방향 논현로 테헤란로 차 량 수 차 량 수 (대) 07:00~09:00 7,988 17:00~19:00 8,275 합 계 16,263 3 가로명 : 강남역 사거리 표 강남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테헤란로 방향 접근방향 강남대로 테헤란로 차 량 수 차 량 수 (대) 07:00~09:00 11,787 17:00~19:00 12,899 합 계 24,

69 (3) 서초구 (강남역 ~ 서초역) (가) 가로구간 교통량 조사(서초구청,2002) 1 가로명 : 서초로 지점명 : 진흥아파트 표 서초로 진흥아파트 지점 교통량 접근방향 강남역 교대 교대 강남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시 간 07:00~09:00 2,730 2,594 17:00~19:00 3,170 3,408 합 계 5,900 6,002 2 가로명 : 서초로 지점명 : 서초역 앞 표 서초로 서초역 앞 지점 교통량 접근방향 교대역 서초역 서초역 교대역 차 량 수 차 량 수 (대) 차 량 수 (대) 시 간 07:00~09:00 3,335 1,799 17:00~19:00 4,171 2,627 합 계 7,506 4,426 (나) 교차로 교통량

70 1 가로명 : 강남역 사거리 표 강남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서초로 접근방향 신사역 진흥아파트 양재역 역삼역 차 량 수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07:00~09:00 4,339 2,730 4,897 3,166 17:00~19:00 4,633 3,170 5,439 3,957 합 계 8,972 5,900 10,336 7,123 2 가로명 : 교대역앞 사거리 표 교대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서초로 접근방향 신사역 진흥아파트 양재역 역삼역 차 량 수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07:00~09:00 2,042 3,335 2,089 2,694 17:00~19:00 2,716 4,171 2,909 3,408 합 계 4,758 7,506 4,998 6,102 3 가로명 : 서초역 사거리 표 서초역 사거리 교통량 시 간 진행방향 서초로 접근방향 강남성모병원 방배동 예술의 전당 교대역 차 량 수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차량수(대) 07:00~09:00 5,651 3,241 2,826 1,826 17:00~19:00 4,772 2,895 3,488 2,627 합 계 10,423 6,136 6,314 4,

71 라. 지하수 발생량 및 이용현황 지하철 역사에서 발생하는 지하수의 양은 표 와 같다. 대상지 내에 위치한 역사에서 하루 평균 약 743l의 지하수가 발생하고 있으 나, 이용현황은 종합운동장 역사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중 연간 93,360 l를 공원용수로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종합운동장에서 연간 발생하는 총량의 38%밖에 미치지 못하며, 다른 역사에서는 이용조차 되지 않아 연간 242,375.5l의 지하수가 버려지고 있다. 지하철 역사에서 발생하는 지하수를 이용한 지상부의 수변공간 도입 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표 지하철지하수 발생량 및 이용현황 역 사 지하수발생량 (l) 2002년 2003년 2002년 이용현황(l) 연간발생량 (l) 계 , ,735.5 잠 실 ,407.4 잠실(본선) 미량 미량 - - 신 천 미량 ,131.0 종합운동장 , ,740.4 종합운동장(본선) 삼 성 ,150.3 선 릉 ,256.0 역 삼 ,024.6 강 남 ,512.0 강남(본선) ,792.6 교 대 ,351.2 서 초 ,

72 2. 식물상 가. 연구방법 연구대상지(테헤란로) 및 거점녹지(선정릉, 진선여중고교, 도성초등 학교, 대명중학교, 휘문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식물 조사방 법은 매목조사를 기본으로 초본, 목본류를 대상으로 하였다. 나. 연구결과 (1) 테헤란로 연구대상지(테헤란로) 에 식재된 전 수종은 총 26종으로 대부분 생 육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테헤란로 식재수목은 상록 교목 4종, 활엽교 목 10종, 상록관목 5종, 낙엽관목 2종, 그 외 지피류(5종)가 식재되어 있다. 이중 상록교목은 전 수종(교목 기준)의 22%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은행나무가 가장 많은 비율(16.5%)을 차지하였고, 활엽교목은 전 수종(교목 기준)의 78%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플라타너스(60%), 느 티나무(10%) 순을 차지하였다(표 ). 표 테헤란로 식재 현황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스트로브 잣 Pinus strobus 상록 주목 Taxus cusptdata 교목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소계 101(3종) 5.5 감나무 Diospyros kaki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단풍나무 Acer palmatum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낙엽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교목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19 1 은행나무 Ginko biloba 칠엽수 Aesculus turbinata 플라타너스 Platanus occidentalis 소계 1692(11종)

73 (표 계속)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눈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1 눈향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상록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관목 옥향 Juniperus chinensis 'Globosa' 16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소계 5종 낙엽 무궁화 Hibiscus syriacus 17 산철쭉 Rhododr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관목 소계 2종 꽃양배추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난쟁이조릿대 지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피 류 수호초 Pachysandra terminalis 잔디 Zoysia spp. 소계 5종 합계 총 26종 지피류 : 군식으로 수량 파악 불가능 플라타너스는 최소 근원직경(R) 30cm, 수고(H) 10m가 넘는 수목 이 대부분이었으며, 생장도 매우 양호한 편이며, 상록관목은 중앙분리 대, 삼각분리대에 식재된 수종이 대부분이었으며, 사철나무와 회양목은 차폐용으로 식재되었으며, 낙엽관목은 역시 가로수에는 식재되지 않고 중앙분리대, 삼각분리대에만 식재되어있으나 한정되어 있었다. 지피류 역시 중앙분리대, 삼각분리대에 식재되어 있으며, 관리가 가능한 대형 건물 앞에 있는 화단에 조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은행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는 전 수종의 86.5%를 차지하며, 식 이수종이 매우 부족한 편이었으며, 연구대상지 내 수공간이 없으므로 생물 유입이 기대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부분의 수목은 생육이 양호 하나, 중앙분리대에 식재된 대추나무의 경우는 대부분 병이 걸려있고 생육이 불량하며, 중앙분리대에 식재되어있는 수목은 나지화로 뿌리부 분이 파여진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앙분리대의 경우 차가오가며 던지

74 는 오물에 의해 분리대 부근에 쓰레기가 많아, 부근 경관이 좋지 않은 상태였으며, 지피류는 겨울철 월동이 불가능한 수종이 많아 겨울철에는 대부분 멀칭을 하였다. (2) 삼릉공원 1970년 사적 제 199호로 지정된 선정릉은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번지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은 240,588m2(72,778평)[산림면적 (156,000m2), 능원 및 원지 면적 (84,558m2)]이며, 둘레는 1,958m이 다. 선정릉에 식재된 수종은 다음과 같다(표 ). 표 삼릉공원 식재 현황 수 종 2001년 말(A) 총계 구성비율 (주) (%) 2002년 말(B) 총계 구성비율 (주) (%) 리기다소나무 비고(A-B) 소나무 4, , 본 제거 침엽수 기타 침엽수 소계 5, , 본 제거 버드나무 벚나무 활엽수 아까시나무 기타활엽수 4, , 소계 5, , 합 계 10, , 선정릉에 식재된 수종은 교목 63종, 관목 15종 총 78종으로, 이 중 관목의 수량은 교목의 3%로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수목 식재영역은 참나무림과 소나무림이 주종인 단일 식재로 하부 식 생이 매우 불량하게 나타났고, 일부 관람로 주변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75 나지화가 확대되었다. 교목 중에서 생물을 유인할 수 있는 식이수종은 꽃사과, 감나무, 대추나무, 살구나무, 뽕나무 등 총 9종이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식이수종 역시 전체 수량의 2%도 안되었다. 그나마, 꽃 사과는 외래수종으로 한국의 전통 능원의 식재수목으로는 적당하지가 않다. 왕릉으로 가는 대부분의 평지는 단일종인 잔디로만 피복되어 있어 생 물이 서식 은신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므로, 봉분을 제외한 초지 공간은 다양한 생물종이 유인될 수 있게 잔디 외의 야생 초본류를 식재하여야 할 것이다. 야생초지는 기존 잔디로만 피복된 초지에 드는 유지 관리 비 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3) 도성초등학교 서울 강남구 역삼2동 714에 위치한 도성초등학교는 교목이 잣나무 로 경계식재로 잣나무가 많이 식재되어 있다. 학교 정 중앙 대칭으로 같은 수종이 많이 식재되어 있고, 교정 가장자리에 장미와 개나리가 혼 식되어 있다(표 ). 표 도성초등학교 식재 현황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가이즈까향 Juniperus chinensis 'kaizuka' 독일가문비 Pices abies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스트로브잣 Pinus strobus 상록 잣나무 Pinus koraiensis 35 6 교목 전나무 Abies holophylla 주목 Tuxus cuspidata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소계 115(10종)

76 (표 계속)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가중나무 Ailanthus altissima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단풍나무 Acer palmatum 18 3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낙엽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교목 백목련 Magnolia heptape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은행나무 Ginko biloba 자주목련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튤립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플라타너스 Platanus occidentalis 소계 100(13종) 16.5 눈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눈향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상록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옥향 Juniperus chinensis 'Globosa' 관목 왜철쭉 Rhododendron lateritium Planchon 유카 Yucca smalliana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소계 222(7종) 36.5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라일락 Syringa vulgaris 무궁화 Hibiscus syriacus 박태기 Cercis chinensis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낙엽 앵도나무 Prunus tomtntosa 관목 장미 Rosa centrifolia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철쭉나무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소계 166(10종) 27.3 등나무 Wisteria floribunda 5 1 만경목 포도나무 Vitis labrusca 소계 5(1종) 0.8 합계 608(41종)

77 식재수종 총 41종 중, 상록교목10종, 낙엽교목 15종, 상록관목 6종, 낙엽관목 9종, 만경목 1종이 식재되어있고, 학교 조경이기 때문에 비교 적 많은 수종이 식재되어 있고, 경계부는 다층식재도 되어있는 편이다. 다른 거점녹지와 다른 점은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교정 왼쪽에 사육원 (오리, 닭, 병아리, 토끼, 거북이 등)이 있고, 사육원 뒷편에 암석원이 있고,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과수원이 있었으나 지금은 포도나무 두 그루만 식재되어 있고, 전 수목 중 식이수종이 매우 부족한 상태(포도 나무, 모과나무, 라일락, 앵도나무 등)이다. 교정 뒷편에는 채소밭이 있 고, 그늘이 져있어 그늘에 강한 음수가 많이 식재되어 있다. (4) 진선여중고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13번지에 위치한 진선여중고교는 불교학 교로 교화는 연꽃, 교목은 보리수나무이나 교목, 교화는 식재되어 있지 않았다(표 ). 표 진선여중고교 식재 현황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반송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백송 Pinus bungeana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소나무 Pinus densiflora 상록 스트로브 잣 Pinus strobus 교목 잣나무 Pinus koraiensis 주목 Taxus cuspitdata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소계 579(11종) 45.7 감나무 Diospyros kaki 꽃사과 Malus spp 낙엽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14 1 단풍나무 Acer palmatum 교목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모과나무 Cydosia sinensi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78 (표 계속)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백목련 Magnolia denudata 별목련 Magnolia stellata 12 1 보리수 Elaeagnus umbellat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낙엽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교목 은행나무 Ginko biloba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홍단풍 Acer palmatum var amoenum 13 1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소계 155(16종) 12.2 눈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무늬식나무 Aucuba japonica 상록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관목 옥향 Juniperus Globasa 왜철쭉 Rhododendron lateritium Planchon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소계 268(7종) 21.1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라일락 Syringa vulgaris 명자꽃 Chaenomeles lagenaria 모란 Paeonia suffruticosa 무궁화 Hibiscus syriacus 13 1 박태기 Cercis chinensis 낙엽 불두화 Viburnum sargentii for. sterile 관목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앵도나무 Prunus tomtntosa 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 장미 Rosa centrifolia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찔레꽃 Rosa multiflora 소계 259(14종) 20.4 덩굴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만경목 등나무 Wistaria floribunda 소계 7(2종) 0.6 총계 1268(50종)

79 총 9000평인 부지 위에 학교, 체육관, 운동장, 기념관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진선여중고교는 다른 거점녹지(학교)에 비해 수종이 다양하게 식재되어 있다. 단 식재 수는 많은 편이나, 대부분 상록 침엽수라, 그늘 제공이 미비하며, 휴식공간이 적은 단점이 있다. 식재수종 총 49종 중 상록교목12종, 낙엽교목 17종, 상록관목 6종, 낙엽관목 14종, 만경목 2종이 식재되어 있고, 학교 조경이기 때문에 비 교적 많은 수종이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거점녹지에 비 해 유실수의 수종이 많은 편이나 수량은 역시 적은 편이었다. 학교 정 중앙 대칭으로 같은 수종이 많이 식재되어 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식재된 수목은 약간 틀리며, 교정 가장자리에 차폐식재로 잣나무, 향나무, 측백나무가 빼곡하게 식재되어 있다. 녹지공간에는 철 쭉류, 회양목, 진달래가 많이 혼식되어 있고, 고등학교 뒤편에 회화나무 한그루가 식재되어 있다. 학교 뒷편 그늘에는 단풍나무, 은행나무, 라일 락, 산수유가 식재되어 있으며. 작약과 모란이 있으며, 화단은 잘 조성 되어 있는 편이었다. (5) 대명 중학교 서울 특별시 강남구 대치3동 952에 위치한 대명중학교는 학교 부지 약 4300평이며, 교화는 철쭉이며 교목은 느티나무이다. 학생 재적수는 총 1000명 정도 되는 학교로 다른 거점녹지(학교)에 비해 다양한 수 종은 아니지만 아기자기하게 식재되어 있다(표 ). 표 대명 중학교 식재 현황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가이즈까향 Juniperus chinensis 'kaizuka'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상록 소나무 Pinus densiflora 실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교목 주목 Taxus cusptdat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소계 37(7종)

80 (표 계속)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감나무 Diospyros kaki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떄죽나무 Styrax japonica 메타세쿼이어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모과나무 Cydosia sinensi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낙엽 백목련 Magnolia heptapeta 복사나무 Prunus persica 교목 산딸나무 Cornus kous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은행나무 Ginko biloba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중국단풍 Acer buergerianum 청단풍 Acer palmatum 튤립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홍단풍 Acer palmatum var amoenum 소계 122(19종) 9.8 눈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상록 옥향 Juniperus chinensis 'Globosa' 관목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소계 289(3종) 23.3 라일락 Syringa vulgaris 무궁화 Hibiscus syriacus 12 1 낙엽 산철쭉 Rhododr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왜철쭉 Rhododendron lateritium Planchon 관목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소계 787(7종) 63.5 등나무 Wistaria floribunda 만경목 소계 5(1종) 0.4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지피 지피류 소계 (1종) 총계 1239(37종)

81 식재수종 중 총 37종 중, 상록교목7종, 낙엽교목 19종, 상록관목 4 종, 낙엽관목 5종, 만경목 1종, 지피류 1종이 식재되어 있고, 식재수목 마다 대부분 이름표가 부착되어 있어 일반인이 쉽게 수목을 알아볼 수 있게 되었으나 몇몇 종은 잘못 명기된 이름표가 있었다. 쥐똥나무로 학 교 울타리 차폐를 했으며 스탠드 윗부분과 옆 부분은 메타세쿼이어를 식재하였다. 상록 교목은 전체 식재수목중의 3%밖에 차지하지 않았으 므로 상록 교목의 보식이 요구되어진다. 관목류가 전 수목의 86%를 차지하고 있으나 대명중학교 역시 단층 식재로 구성되어 있고, 철쭉이 교화이므로 전 수종의 21%나 식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다른 거점녹지와 마찬가지로 여러 소동물을 유인할 수 있는 식이수종은 매우 부족한 편이었다. (6) 휘문중고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52-1에 위치한 휘문중 고등학교는 학교 부지가 약10,000평 운동장(4,724평), 교사연건평(5,505평) 이 되는 큰 거점녹지이다. 다른 거점녹지(학교)에 비해 부지가 넓은 편이나 부 지에 비해 수목은 많이 식재되지 않은 편이다(표 ). 표 휘문중고교 식재 현황표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가이즈까향 Juniperus chinensis 'kaizuka' 반송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3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3 소나무 Pinus densiflora 1 상록 스트로브잣 Pinus strobus 6 교목 실화백 Chamaecyparis.pisifera var.filifera 1 주목 Taxus cusptdata 5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소계 181(10종) 24 감나무 Diospyros kaki 2 계수나무 Cercidiphyllum japonicum 15 낙엽 고무나무 Ficus elastica 1 꽃사과 Malus spp 2 교목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6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1 매실나무 Prunus mume

82 (표 계속) 성상 수목 학명 수량 비율(%) 메타세쿼이어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1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1 모과나무 Cydosia sinensis 3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1 백목련 Magnolia heptapeta 13 복자기나무 Acer triflorum 7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1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1 낙엽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7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1 교목 은행나무 Ginko biloba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2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10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1 청단풍 Acer palmatum 13 튤립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1 홍단풍 Acer palmatum var amoenum 4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5 소계 107(25종) 10 눈향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상록 옥향 Juniperus chinensis 'Globosa' 관목 왜철쭉 Rhododendron lateritium Planchon 9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소계 379(4종) 36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라일락 Syringa vulgaris 3 명자 Chaenomeles lagenaria 3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산철쭉 Rhododr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낙엽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1 관목 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 2 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10 죽단화 Kerria japonica for. plena 1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2 찔레 Rosa multiflora 3 소계 309(11종) 29.4 만경 등나무 Wistaria floribunda 목 소계 5 (1종) 0.6 총계 1050(51종)

83 이 자료를 통해 현재 연구대상지에 있는 식물 분포는 크게 몇 가지 문제점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연구대상지에 식재된 수종은 대부분 플라타너스, 은행나무로 동물을 유입할 수 있는 식이수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차 후에 본 대상지에생태 corridor 설계 시 식이수종의 보식을 통하여 동 물의 서식공간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둘째, 연구대상지 식재형태는 단일식재로 동물의 잠복장소를 하기에 는 부적합하므로 기존 가로수 공간에 관목, 지피류를 식재하여 녹지율 을 높이며, 끊어지지 않는 생태 corridor를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지의 식물 data-base를 구축 한 후 토양분석, 동물, 기후 분석과 연계하여 토양의 수분상태나 기후에 따른 연구대상 지 생육식물 분포를 제시할 것이며, 도시 공간 내에 생태 corridor를 설계하기 위해서 동물이 유입가능한 장소를 마련해 주기 위한 식물선 정을 할 예정이다. 다. 고찰 및 제언 많은 곤충과 새 등 동물상은 1차 생산자인 식물에 의존하여 생활하 고 있다. 또한 겨울철의 생존을 유지하는 것은 식물의 종자와 과실 등 은 생존의 절대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식재와 보식 시 동물들을 위한 식이식물을 우선 식재하는 것 이 중요하며, 이들 식물을 관리하는 것, 또한 인위적인 먹이공급도 배 려할 수 있겠다. 다양한 생물 서식은 1차 공급원인 식물종의 다양성이 우선이며, 새와 곤충들이 좋아하는 식물들을 풍부하게 유치하는 것이 생태공원의 우선순위라고 할 수 있다. 즉, 식물종의 보전과 다양한 식물상의 유치와 식이식물의 공급 등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었을 때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게 되는 첫걸음인 것이다

84 다음의 표 은 곤충(나비)의 먹이와 , 는 각각 새 들의 먹이원인 식물의 종자와 과실의 결실기를 나타낸 것으로 곤충과 새들의 먹이원으로서 시기별로 나뉘어져 있다. 식물의 보식 및 관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표 개화기별 곤충(나비)의 흡밀식물 개화기 3월 4월 5월 식물명 장미과: 세잎양지꽃 국화과: 민들레 꿀풀과: 광대나물, 긴병꽃풀 난초과: 금난초, 새우난초, 금새우난 매자나무과: 깽깽이풀 미나리아재비과: 가는잎할미꽃, 개구리잣, 개구리발톱, 개구리자리, 꿩의 바람꽃, 노루귀, 동의나물, 섬노루귀, 왜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백합과: 달래, 산자고, 얼레지, 윤판나물, 처녀치마 범의귀과: 괭이눈, 오대산괭이눈 붓꽃과: 각시붓꽃 석죽과: 벼룩나물, 큰개별꽃 십자화과: 꽃다지, 논냉이, 벌깨냉이,장대나물, 털장대, 황새냉이 쐐기풀과: 나도물통이, 우산물통이 앵초과: 뚜껑별꽃, 봄맞이, 앵초 양귀비과: 피나물 원지과: 애기풀 장미과: 뱀딸기, 솜양지꽃 제비꽃과: 노랑제비꽃, 서울제비꽃, 제비꽃 지치과: 꽃마리, 꽃바지 콩과: 자운영 현호색과: 댓잎현호색, 산괴불주머니, 왜현호색, 현호색 홑아비꽃대과: 홑아비꽃대 괭이밥과: 애기괭이밥 국화과: 떡쑥, 솜나물, 솜방망이, 씀바귀, 조뱅이, 좀씀바귀, 지칭개, 풀솜나물 꼭두서니과: 갈퀴덩굴, 선갈퀴 꿀풀과: 골무꽃, 광대수염, 광릉골무꽃, 금창초, 꿀풀, 벌깨덩굴, 조개나물 난초과: 갈매기난초, 감자난, 약난초, 자란 닭의장풀과: 자주닭개비 대극과: 산쪽풀,암대극 (표 계속)

85 개화기 5월 6월 식물명 돌나물과: 대구돌나물, 돌나물, 땅채송화 마디풀과: 개대황, 미꾸리낚시, 수영, 애기수영, 참소리쟁이 마타리과: 쥐오줌풀 미나리아재비과: 꽃꿩의다리, 모데미풀, 쌍둥이바람꽃 백합과: 각시둥글레, 맥문동, 맥문아재비, 밀나물, 비짜루, 산달래, 산마늘 소엽맥문동, 실꽃풀, 연령초, 청미래덩굴, 큰두루미꽃, 풀솜대 범의귀과: 돌단풍, 바위취 붓꽃과: 노랑붓꽃, 붓꽃 산형과: 애기참빈대, 전호 석죽과: 개별꽃, 별꽃, 쇠별꽃 숫잔대과: 수염가래꽃 십자화과: 가는장대, 개갓냉이, 나도냉이, 말냉이, 싸리냉이, 쑥부지깽이 양귀비과: 금낭화, 애기똥풀 용담과: 구슬붕이 운향과: 백선 자리공과: 섬자리공, 자리공 장미과: 가락지나물, 제주양지꽃 쥐방울덩굴과: 개족도리, 등칡 지치과: 지치 질경이과: 털질경이 콩과: 갯완도, 갯활량나물, 새완두 현삼과: 개불알풀, 누운주름잎, 주름잎 현호색과: 금낭화, 자주괴불주머니, 좀현호색 협죽도과: 백미꽃, 정향풀 가지과: 미치광이풀 국화과: 갯취, 버들금불초, 벌개미취, 뻐꾹채, 쇠서나물, 엉겅퀴, 우산나물, 지느러미엉겅퀴 꼭두서니과: 갈퀴꼭두서니, 솔나물 꿀풀과: 개박하, 그늘골무꽃, 백리향, 석잠풀, 오리방풀, 용머리, 자란초, 탑꽃, 흰꽃광대나물 닭의장풀과: 좀닭의장풀 대극과: 대극, 두메대극

86 (표 계속) 개화기 6월 식물명 돌나물과: 기린초 마과: 단풍마, 도꼬로마, 마, 참마 마디풀과: 가는범꼬리, 기생여뀌, 나도하수오, 닭의덩굴, 범꼬리, 소리쟁이, 싱아, 호장근 매자나무과: 꿩의다리아재비, 삼지구엽초 메꽃과: 메꽃 명아주과: 명아주 물레나물과: 물레나물 미나리아재비과: 검종덩굴, 매발톱꽃, 미나리아재비, 연잎꿩의다리, 으아리, 자주꿩의다리, 젓가락나물, 좁은잎사위질빵, 촛대승마, 큰꽃으아리, 할미밀망 백합과: 각시원추리, 나도옥잠, 원추리, 청가지덩굴, 하늘나리 벽오동과: 까치깨 붓꽃과: 꽃창포 산형과: 갯방풍, 구릿대, 누룩치, 붉은잎참반디, 사상자, 참나물 삼백초과: 삼백초, 약모밀 석죽과: 대나물,실별꽃, 오랑캐장구채, 패랭이꽃 십자화과: 구슬갓냉이, 미나리냉이 앵초과: 검은낭아초, 까치수용, 눈개승마, 단풍터리풀, 돌양지꽃, 딱지꽃, 물까치수용, 뱀무, 산딸기 양귀비과: 매미꽃 장미과: 단풍터리풀, 좁쌀풀, 짚신나물, 참좁쌀풀 쥐손이풀과: 둥근이질풀, 쥐손이풀 질경이과: 질경이 참깨과: 수염마름 천남성과: 석창포, 창포 초롱꽃과: 초롱꽃 콩과: 가는등갈퀴, 갈퀴나물, 고삼, 달구지풀, 된장풀, 등갈퀴나물, 별노랑이, 벌완두, 자주황기, 활량나물 현삼과: 등포풀, 물과리아재비, 섬현삼 후추등과: 후추등

87 (표 계속) 개화기 7월 식물명 국화과: 가새쑥부쟁이, 개미취, 골등골나물, 곰취, 금불초, 껄껄이풀, 등골 나물, 망초, 미역취, 버드쟁이나물, 병풍쌈, 산비장이, 서덜취, 쑥부쟁이, 절굿 대, 제비쑥, 조밥나물, 중대가리풀, 큰엉겅퀴, 톱풀, 해국 꼭두서니과: 꼭두서니, 큰절굿대 꿀풀과: 개곽향, 덩굴곽향, 배초향, 속단, 애기골무꽃, 익모초, 참골무꽃, 층 층이꽃, 털쉽사리, 황금 난초과: 제비난 닭의장풀과: 닭의장풀 돌나물과: 가는기린초, 낙지다리, 둥근잎꿩의비름, 바위골꽃, 섬기린초 마과: 국화마 마디풀과: 대황, 며느리배꼽, 이삭여뀌, 호범꼬리 마타리과: 뚝갈, 마타리 마편초과: 누린내풀, 마편초 명아주과: 댑싸리 물레나물과: 고추나물, 애기고추나물 미나리아재비과: 금꿩의다리, 긴잎꿩의다리, 박새, 비비추, 뻐꾹나리, 산옥 잠과, 숙은돌창포, 여로, 좀비비추, 중나리, 참나리, 푸른박개, 하늘말나리, 한 라돌창포 범의귀과: 노루오줌, 도깨비부채, 애기물매화 벽오동과: 불암초 부처꽃과: 돌바늘꽃, 마디꽃, 말털이슬, 부처꽃, 분홍바늘꽃, 털부처꽃 붓꽃과: 범부채 비름과: 털비름, 비름 산형과: 개시호, 기름나물, 미나리, 방풍, 병풀, 섬바디, 참반디, 피막이 삼과: 환삼덩굴 석류풀과: 석류풀 석죽과: 덩굴별꽃, 동자꽃, 술패랭이꽃, 장구채, 털동자꽃 수선화과: 문주란 숫잔대과: 숫잔대 쐐기풀과: 거북꼬리, 모시풀, 물통이, 쐐기풀, 큰물통이 앵초과: 기생꽃, 큰앵초 용담과: 닻꽃 장미과: 너도양지꽃, 물양지꽃, 오이풀, 좀딸기, 터리풀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 쥐손이풀과: 선이질풀 초롱꽃과: 당잔대, 도라지, 자주꽃방망이, 잔대 콩과: 낭아초, 도둑놈의갈고리, 돌콩, 여우팥, 자귀풀, 차풀, 큰여우콩, 활나 물, 현삼과: 꼬리풀, 꽃며느리밥풀, 냉초, 등에풀, 애기물꽈리아재비, 절국대 현호색과: 눈괴불주머니

88 (표 계속) 개화기 8월 식물명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 곡정초과: 가지곡정초, 곡정초 국화과: 가막사리, 가실쑥부쟁이, 각시취, 곤달비, 깨묵, 담배풀, 더위지기, 물쑥, 버들잎엉겅퀴, 사철쑥, 산솜방망이, 여우오줌, 응긋나물, 좀딱취, 참취, 한련초 꿀풀과: 들깨풀, 송장풀 난초과: 붉은사철난, 사철난, 여름새우난 닭의장풀과: 나도생강, 사마귀풀 돌나물과: 꿩의비름, 바위채송화, 큰꿩의비름 마과: 부채마 마디풀과: 고마리, 바보여뀌, 쪽 마편초과: 층꽃나무 물레나물과: 물고추나물 미나리아재비과: 개버무리, 눈빛승마, 승마, 왜젓가락나물, 흰진범 백합과: 두메부추, 산부추, 일월비비추 범의귀과: 나도승마 붕선화과: 노랑물봉선, 물봉선 부처꽃과: 가는마디꽃, 바늘꽃 비름과: 쇠무릎 산형과: 강활, 개발나물, 갯사상자, 고본, 궁궁이, 묏미나리, 바디나물, 산청 궁, 시호, 참당귀, 큰참나물 수선화과: 상사화 쇄기풀과: 개물통이, 긴잎모시풀, 큰쐐기풀 용담과: 용담, 칼잎용담 원지과: 병아리풀 장미과: 산오이풀 쥐손이풀과: 세잎쥐손이, 이질풀 초롱꽃과: 더덕, 모시대, 잔퍼리잔대, 털잔대 콩과: 괭이싸리, 나비나물, 돌동부, 매듭풀, 비수리, 새콩, 새팥, 현삼과: 나도송이풀, 논둑외풀, 산꼬리풀, 송이풀, 수염며느리밥풀, 현삼

89 (표 계속) 개화기 9월 10월 식물명 국화과: 감국, 구절초, 물머위, 민쑥부쟁이, 산구절초, 산국, 털머위, 포 천구절초 꿀풀과: 꽃향유 돌나물과: 바위솔 마디풀과: 긴미꾸리낚시 물옥잠과: 묽달개비, 물옥잠 미나리아재비과: 세잎돌쩌귀, 진돌쩌귀, 투구꽃, 한라돌쩌귀 부처꽃과: 좀부처꽃 수선화과: 백양꽃 쐐기풀과: 모시물통이, 산물통이 용담과: 개쓴풀, 자주쓴풀 현삼과: 소엽풀 석죽과: 분홍장구채

90 표 새의 먹이가 되는 종자식물 종자 성숙기 5월 6월 7월 식물명 마디풀과: 미꾸리낚시 석죽과: 별꽃 십자화과: 갓, 냉이, 논냉이, 황새냉이 장미과: 뱀딸기 쥐손이풀과: 세잎양지꽃, 솜양지꽃, 양지꽃 꿀풀과: 꿀풀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 개구리자리, 개구리갓, 모데미풀 백합과: 달래 범의귀과: 괭이눈 벼과: 띠, 메밀, 보리, 산조풀, 향모, 개피 사초과: 뚝사초 석죽과: 벼룩나물, 쇠별꽃 십자화과: 꽃다지, 배추, 왜갓냉이, 유채, 속속이풀 장미과: 가락지나물, 장딸기 천남성과: 애기앉은부채 현삼과: 주름잎 현호색과: 금낭화, 산괴불주머니, 왜현호색, 자주괴불주머니, 현호색 국화과: 조뱅이 꿀풀과: 골무꽃, 광릉골무꽃, 벌깨덩굴, 조개나물 마타리과: 쥐오줌풀 매자나무과: 꿩의다리아재비, 삼지구엽초, 한계령풀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 백합과: 나도옥잠화, 두루미꽃,산달래, 산자고, 얼레지, 은방울꽃, 중의무릇 범의귀과: 돌단풍 벼과: 옥수수, 잔디, 큰조아재비, 호밀, 호밀풀 붓꽃과: 각시붓꽃, 붓꽃 사초과: 실사초, 진퍼리사초, 구슬사초, 산비늘사초 양귀비과: 매미꽃, 애기똥풀, 피나물 지치과: 당개지치 천남성과: 앉은부채 콩과: 연리초

91 (표 계속) 종자 성숙기 8월 식물명 꿀풀과: 꿩의밥, 속단 국화과: 망초 노루발과: 노루발 마디풀과: 수영 매자나무과: 깽깽이풀 명아주과: 명아주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 노루귀, 동의나물 백합과: 각시원추리, 나도여로, 둥글레, 비짜루, 산마늘, 삿갓나물, 애 기나리, 윤판나물, 죽대, 처녀치마, 천문동, 큰연영초, 하늘나리 범의귀과: 바위치 분꽃과: 분꽃 사초과: 괭이사초, 긴목포사초, 꼬랑사초, 나도별사초, 도랭이사초, 바 랭이사초, 산뚝사초, 얼룩사초, 왕방늘사초, 일본사초, 잔디사초, 잔솔잎사초, 바위사초, 산형과: 붉은참반디, 선바지 삼과: 환삼덩굴 삼백초과: 약모밀 십자화과: 다닥냉이 앵초과: 까치수영 자리공과: 섬자리공 장미과: 눈개승마, 뱀무 천남성과: 반하 콩과: 갯완두, 새콩

92 (표 계속) 종자 성숙기 9월 식물명 국화과: 쇠서나물 꼭두서니과: 솔나물 꿀풀과: 익모초 난초과: 으름난초, 제비잠자리난, 콩짜개난, 큰방울새난, 큰제비난 닭의장풀과: 닭의장풀 대극과: 산쪽풀 돌나물과: 기린초 두릅나무과: 독활 마과: 천마 마디풀과: 마디풀, 범꼬리, 산여뀌, 소리쟁이, 호장근 마편초과: 층꽃풀 물레나물과: 물레나물 미나리아재비과: 병조희풀, 요강나물, 으아리, 노루삼 박과: 산외, 뚜껑덩굴 백합과: 개감채, 뻐꾹나리, 섬말나리, 솔나리 범의귀과: 노루오줌 벼과: 강아지풀, 쇠치기풀, 우산잔디, 조개풀 봉선화과: 봉선화 붓꽃과: 꽃창포, 돌창포, 범부채, 창포 사초과: 광릉골, 방동사니, 바늘골산사초, 쇠방동사니, 바늘사초, 삿갓 사초, 줄사초, 통보리사초, 흰사초, 올방개, 네모골 산형과: 등대시호 석죽과: 장구채, 패랭이꽃 쐐기풀과: 나도물통이, 쐐기풀 운향과: 백선 쥐방울덩굴과: 뚝갈 쥐손이풀과: 둥근이질풀, 쥐손이풀 참깨과: 참깨 콩과: 갈퀴나물, 고삼, 별노랑이, 여우팥, 콩, 팥, 달구지풀, 자귀풀

93 (표 계속) 종자 성숙기 10월 식물명 곡정초과: 흰개수염 골풀과: 갯골풀, 푸른갯골풀 국화과: 개미취, 분취, 톱풀 난과: 제비난 돌나물과: 둥근잎꿩의비름, 섬기린초 마과: 마, 부채마 마디풀과: 메밀, 싱아, 이삭여뀌, 흰범꼬리, 고마리, 물여뀌, 여뀌 물옥잠과: 물달개비, 물옥잠 미나리아재비과: 그늘돌쩌귀, 사위질빵, 승마, 진범, 투구꽃, 할미밀망 바늘꽃과: 바늘꽃 방동사니과: 금방동사니, 드렁방동사니, 드렁새, 방동사니아재비, 서울 방동사니, 알방동사니, 참방동사니 백합과: 날개하늘나리, 말나리, 맥문동, 맥문아재비, 무릇, 비비추, 박 새, 산옥잠화: 여로, 원추리, 참나리, 흰여로 범의귀과: 물매화 벼과: 그령, 금강아지풀, 기름새, 돌피, 미국개기장, 바랭이, 새, 솔새, 수수, 수크령, 쌀새, 염주, 조, 주름조개풀, 참새그령, 참억새, 달뿌 리풀, 갈대, 물억새, 벼, 줄 비름과: 비름 사초과: 감둥사초, 산꼬리사초, 지리사초, 파대가리, 꼴하늘지기, 노루 박이, 나도방동사니, 왕골 산형과: 구릿개, 개발나물 수선화과: 문주란 쐐기풀과: 왕모시풀 앵초과: 좁쌀풀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 질경이과: 질경이 천남성과: 천남성 초롱꽃과: 자주꽃방망이 콩과: 나비나물, 매듭풀, 비수리, 애기등, 차풀, 해녀콩, 활나물 현삼과: 송이풀 현호색과: 눈괴불주머니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 후추등과: 후추등

94 (표 계속) 종자 성숙기 11월 12월 식물명 국화과: 골등골나물, 삽주, 수리취, 가막사리 꿀풀과: 산박하, 향유 용담과: 개쓴풀, 자주쓴풀, 영담 초롱꽃과: 애기도라지 겨우살이과: 겨우살이

95 표 새의 먹이가 되는 열매식물 결실기 식 물 명 1월 상록 구실잣밤나무 상록 회양목 6월 낙엽 귀룽나무, 뽕나무, 앵도나무, 왕벚나무 7월 낙엽 개느삼, 딱총나무, 뜰보리수, 매실나무, 살구나무, 이스라지, 자두나무, 팥꽃나무, 황벽나무 8월 9월 10월 상록 덩굴 주목 댕댕이덩굴, 오미자, 담쟁이덩굴 구기자나무, 말오줌때, 무화과, 박태기나무, 복사나무, 산수유, 흰말채 낙엽 나무 상록 만병초, 애기동백, 곰솔, 비자나무), 소나무, 주목, 개다래, 개머루, 인동덩굴, 청가시덩굴, 청미래덩굴, 칡, 등나무, 포도 덩굴 나무 가막살나무,감태나무개산초나무, 개암나무, 고추나무, 골담초, 괴불나 무, 구기자나무, 국수나무, 나도밤나무, 낭아초, 노린재나무, 덜꿩나무, 댕강나무, 때죽나무, 마가목, 말채나무, 매발톱나무, 매자나무, 멀그슬 나무, 모란, 목련, 물푸레나무, 미선나무, 밤나무, 백당나무, 백목련, 병 꽃나무, 병아리꽃나무, 분꽃나무, 비목나무, 산사나무, 산초나무, 생강 낙엽 나무, 석류, 쇠물푸레, 옻나무, 수수꽃다리, 순비기나무, 쉬땅나무, 실거 상록 덩굴 리나무, 아까시나무, 이팝나무, 자귀나무, 장미, 정향나무, 조록싸리, 조팝나무, 졸참나무, 쪽동백, 찔레꽃, 참꽃나무, 채진목, 초피나무, 층층 나무, 탱자나무, 팥배나무, 함박꽃나무, 호랑가시, 황매화, 흰말채나무, 히어리 사철나무, 삼나무 노박덩굴, 다래, 댕댕이덩굴, 덩굴옻나무, 으름덩굴, 줄사철 감나무, 개오동, 고욤나무, 곰의말채, 까마귀밥나무, 꽃사과, 낙상홍, 누리장나무, 노각나무, 두릅나무, 모감주나무, 무궁화, 보리수나무, 붉 낙엽 나무, 산돌배, 산딸나무, 아그배나무, 야광나무, 오갈피나무, 오동나무, 오리나무, 위성류, 은행나무, 음나무, 작살나무, 쥐똥나무, 참빗살나무, 콩배나무, 팽나무, 회화나무, 화살나무 11월 낙엽 머귀나무

96 3. 동물상 가. 연구내용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며, 1차 년도에는 연구 대상지의 선정 및 대상지의 동물상 조사 분석을 통하여, corridor조성 시범사업지역으로 향후 도입될 가능성이 있는 동물군(포 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류)의 제시와 향후 예측되는 동물군집 의 변화를 비교 조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연차별 주요 연구 범위는 표 과 같다. 표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구 분 연구기간 주요연구내용 1차년도 2003년 2월 년 11월 조사대상지 선정 및 조사방법 선정 조사대상지 및 주변 주요 biotop 또는 거점녹지의 동물상(포유류상, 조류상, 양서파충류상, 주간육상곤충류상) 조사 corridor조성시 도입 가능한 종 선정. 향후 monitoring을 위한 비교 자료 수집 축적. 2차년도 2004년 6개월간 1차년도 corridor조성 시범사업지역의 동물군(도심내 도입이 예상되는 일부 대상 분류군)에 대한 monitoring

97 나. 연구방법 및 과정 (1) 조사방법 (가) 육상척추동물(양서 파충류상) 1 직접확인 방법(direct survey) 가 무미 양서류 無 尾 目 (개구리 類 )은 조사대상지역 주변의 접근 가능한 지역을 따라 좌우 10m간격으로 이동중인 개체와 바위틈 혹은 하천, 수로 그리고 저 습지 주변에서 포충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나 유미 양서류 有 尾 目 (도롱뇽 類 )의 도롱뇽과 꼬리치레도롱뇽은 물이 흐르는 하천 유속의 흐름이 완만한 곳을 찾아 작은 바위를 들추어 유생을 확인하거 나, 물이 고여 있는 작은 웅덩이에 산란한 알을 찾아 종을 확인하는 방 법을 이용하고, 성체는 활엽수림이 있는 음지쪽에 쓰러져 있는 고목을 들추거나, 바위틈에서 확인하였다. 다 파충류 ㄱ. 장지뱀(도마뱀)류 묵정밭, 초지주변, 하천변과 햇볕이 잘드는 곳에 쌓여 있는 돌을 들 추어 확인하거나, 도로변에 이동중인 개체는 곤충채집용 포충망을 이용 하여 채집하였다

98 ㄴ. 뱀류 뱀류( 蛇 類 )는 저지대의 임연부일대, 묵정밭 주변에서 뱀집개와 포충 망을 이용하여 채집하고, 석축, 돌담, 경작지, 돌밑, 스레트밑을 들추어 확인하였다. ㄷ. 거북류 호수, 연못, 하천 등지에서 활동하는 개체를 쌍안경(Nikon 10x40 5.9, 8x32 10 )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2 간접확인 방법(indirect survey) 가 무미 양서류 울음소리(Call) 양서류(개구리 類 )는 주간보다 야간에는 논이나 밭 근처, 수로 그리고 웅덩이 등지에 모여 집단으로 울기 때문에 울음소리로 종을 식별하였 다. 나 파충류 흔적(허물) 파충류 중에서 뱀류( 蛇 類 )는 성장을 하면서 영양상태가 양호하면 수 시로 허물을 벗게 된다. 그래서 자연상태에서 뱀들이 탈피한 허물을 수 거하여 종의 서식 유 무를 확인하였다. 다 청문조사 조사 기간 중에 채집 및 관찰이 불가능하였던 종들에 대해서는 백 심 (1999)의 뱀(지성자연사박물관 1)과 심(2001a, 2001b)을 이용하여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청문을 통하여 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99 (나) 육상척추동물(조류상) 공원내, 야산 하천주변 그리고 가로변을 이동하면서 정점센서스 (Point census)와 선조사법(Line census)에 의하여 좌 우 폭 25m 범 위 내에서 쌍안경(Nikon 8x32 10 )을 사용하여 관찰하거나, 울음소 리로 서식조류를 확인하였다. 한편 원거리의 조류는 Fieldscope(Nikon,ED II 30 x 60 )을 사용 하여 관찰하였다. (다) 육상척추동물(포유류상) 1 직접확인 방법 가 목견법 선정된 조사경로를 이동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목견에 의한 종의 유 무를 확인하고, 주변의 서식환경, 고도, 개체수 등 다양한 생태적인 습 성과 서식정보를 기록하였다. 2 간접확인방법 가 Field sign 방법 조사대상지와 하천 그리고 공원내 小 路 와 도로변을 따라 足 跡, 排 泄 物, 食 痕, 糞 및 직접목견에 의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한편 포유류는 거 의 대부분이 야행성이기 때문에 중형포유류와 대형포유류는 Field-Sign법으로 종의 서식을 확인하고, 본 조사기간 중에 확인이 불 가능하였던 종들에 대해서는 양서 파충류와 동일하게 인근 주민을 대상 으로 청문조사를 실시하였다. Field-sign method(signs of wildlife occupancy)

100 ㄱ. Fecal material or other sigh(foot track, Feather etc.) ㄴ. Tree nests(squirrels, Vole) ㄷ. Ground nests(mole, Vole) ㄹ. Rodent mound and tunnels ㅁ. Squirrel middens(caches) ㅂ. Ground dens(rabbit, Bear, Weasel, Raccoon dog, Badger, Small-eared cat) ㅅ. Snag(Mammals) ㅇ. Deer rubs (라) 육상무척추동물(주간 육상 곤충류) 1 확인방법 테헤란로 전체지역에서 corridor조성 시범사업지역 및 주변 거점녹지 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주간 육상곤충을 대상으로 정성적 정량적 조 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적인 조사를 위하여 변형된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을 사용하여 50m구간을 1인이 직경 45cm의 포충 망으로 10분간 임의채집 한 것을 1개 조사 unit로 설정하여 각 조사지 점에서 3개 units를 조사하였다. 정성적 조사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적 절한 조사법을 이용하여 가급적 많은 종의 조사 확인을 실시하였다. 가 임의채집법: 관찰에 의해 발견된 곤충을 직경 45cm의 포충망 으로 직접 채어잡기(brandishing)하는 방법으로 출현종의 정성적 조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활용한다. 나 쓸어잡기법(sweeping): 수변초지의 목견( 目 見 )이 어려운 곤충 을 조사하기 위하여 바닥을 쓸 듯이 식물들을 흔들어 낚아채는 방

101 법이다. 단위공간에서 일정 회수의 쓸어잡기를 하여 정량적 조사 할 수 있다. 본 조사에서는 수변초지 등에서 실시하였다. 다 털어잡기(beating): 관목림에 있어서 목견이 어려운 곤충류의 조사를 위하여 관목림을 털어 떨어지는 곤충을 털어잡기망을 이용 하여 받아 채집하였다. 라 목견되는 곤충을 기록하였다. 2 조사결과의 정리 채집한 육상곤충류는 건조표본 및 액침표본(in 70% ethanol)을 만들 어 보관하였다. 조사경로별로 정량 채집한 표본을 보관하였다. (2) 분석방법 (가) 종목록 작성 본 조사지역에서 채집 및 확인된 종류의 종 목록 작성과 과 개체수를 계수하고, 특정야생동물(법적보호종, 특산종 및 희귀종)의 서식 유무를 확인하여 서식처의 특이성을 조사하고, 서식처와 조사대상지와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 조사대상지 위협요인 및 방안 각 조사대상지별로 생물의 서식에 위협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생물생태공학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 도입 가능한 지역 및 도입 가능한 종 분석 각각의 대상지별로 현 상태에서 도입 가능한 생물 종 을 분석하였으 며, 서식처 창출과 인위적인 간섭을 도모하였을 시 도입(유입, 복원)이

102 가능한 종류와 이동거리 등 생태통로로서의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3) 조사 시기 각 동물군의 출현 시기를 고려하여 조사 시기를 선정하였다. (가) 육상척추동물 1차 조사 : 2003년 2월 6일 2차 조사 : 2003년 2월 24일 3차 조사 : 2003년 4월 27일 4차 조사 : 2003년 5월 25일 5차 조사 : 2003년 6월 22일 6차 조사 : 2003년 8월 24일 (나) 주간육상곤충류 1차 조사 : 2003년 2월 6일 2차 조사 : 2003년 3월 23일 3차 조사 : 2003년 4월 13일 4차 조사 : 2003년 5월 11일 5차 조사 : 2003년 8월 26일, 29일 6차 조사 : 2003년 9월 17일 (4) 조사지 선정 및 평가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좌우 50m구역 전체를 조사지 대상지로 하여, 도로에 구획에 따라 5개 조사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인근 거점녹지를

103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도로 중앙분리대 및 도로 인접지역의 5개 조사지역(시범조성지역 1 개 지역을 포함)에 대한 조사는 동물 서식환경 조건을 현장 답사를 통 해 판단해 볼 때 육상척추동물의 서식처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사료되 어 육상곤충류에 대한 조사만을 실시하였다. 추후 시범지역을 조성한 후 조성지역의 육상곤충류 변화와 시범조성지역외의 지역간의 변화상 을 비교 판단 할 수 있도록 조사지를 선정하였다. 인근 거점녹지에 대한 조사지 선정은 현장 답사를 통하여 시범조성지 역으로의 동물 도입원으로 작용할 능력의 정도를 아래와 같이 선정 평 가하였다. 조사지 선정 및 평가에 대한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기준 Ⅰ : Relative high biodiversity pool area(생물다양성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 corridor 조성 시범사업지역 주변에서 상대적으 로 생물다양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으로 시범조성지역으로의 동 물 도입원이 될 수 있는 지역. 평가기준 Ⅱ : Potential biodiversity pool area(잠재 생물다양성 보 유지역), 잠재적으로 생물을 부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 평가기준 Ⅲ : Poor biodiversity pool area( 貧 생물다양성 지역). 일 부 조경수로 이루어져 있거나 식생 형성이 매우 빈약하고 아울러 서식 동물의 종류나 개체수가 매우 빈약하다고 판단되는 지역. (가) 육상척추동물 생물다양성 부양 능력을 임의 평가하여 조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조사 대상지의 공간적 현황과 육상척추동물 종에 미칠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표 ). 표 육상척추동물 조사 대상지 선정 및 평가

104 조사대상지 평가기준 실 태 도곡초교 Ⅲ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진성여중이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고, 선정릉 과는 빌딩에 의하여 철저히 단절된 상태이다. 선정릉 Ⅰ 도심내 존재하는 소규모 야산의 구릉지로 소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도로주변에 밀식되어 있는 덤불숲이 야생조류의 은신과 휴식처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雨 期 를 제외하고는 외부유입 水 源 地 가 없어서 야생동물에 게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봉은사 Ⅱ 사찰 내에 형성되어 있는 산림지가 형성되어 있어 잠재적으로 생물을 부양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을 것으 로 판단된다. 무역센타앞 Ⅲ 무역센타 앞의 작은 자투리 휴식공간으로 조경목과 다양한 관목을 식재한 상태이며, 봉은사와는 무역센타 빌딩에 의하여 단절된 상태이다. 그러나 인접하여 탄천 과 아시아공원이 위치하고 있어 중간통로로서의 잠재 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된다. 대명중학교 Ⅲ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휘문중고교와 인접하 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휘문중고 Ⅲ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대명중학교와 인접하 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한편 학교건물벽에는 오래된 담쟁이덩굴이 벽면을 감싸고 돌고 있어 곤충의 차원에서는 다양성증가에 기회성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05 (표 계속) 조사대상지 평가기준 실 태 아시아공원 Ⅱ 도심내 존재하는 소규모 공원으로 소나무 등 거대 한 교목이 존재하며, 덤불숲이 있어 특정 야생조류의 은신과 휴식처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雨 期 를 제외하 고는 외부유입 水 源 지가 없어서 야생동물에게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바로 주변 에 탄천이 위치하고 있어 생물부양능력은 잠재적으 로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탄천 Ⅰ 도심내로 흐르는 하천으로 최근 들어 점차 오리류 와 붉은머리오목눈이, 개개비 등의 조류가 증가하고 있으며, 양서류는 옴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등 이 간혹 발견되는 지역으로 이 조사대상 지역중에서 는 가장 생물부양능력이 높은 거점지역이라고 판단 된다. 역삼공원 Ⅲ 역삼공원은 근린공원이라고도 하며, 도심내에 존 재하는 망토 혹은 소매녹지공간이며,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유가 전혀 없다. 한편 주변에 연계될 수 있는 녹지축이 없어서 매우 열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성여중 Ⅲ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나무와 교 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 할 수 있는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도곡초등학 교와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계를 보유하 고 있고 선정릉과는 빌딩에 의하여 철저히 단절된 상태이다. (나) 주간 육상곤충류 생물다양성 부양 능력을 임의 평가하여 조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조사 대상지의 공간적 현황과 육상곤충류에 미칠 요인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표 )

106 표 주간 육상곤충류 조사 대상지 선정 및 평가 조사 대상지 평가 기준 실 태 Site 1 목화예식장 앞 Ⅲ 삼성화재에서 우리은행앞 구간. 중앙분리대 50m 및 좌우 인도변 50m 구역. 모델조성지역과 유사한 환경으 로 추후 곤충군집의 변화 비교가 가능한 지역. 곤충상은 매우 열악한 지역으로 추정됨. Site 2 천지빌딩앞 Ⅲ 삼성아파트주택문화관에서 두꺼비빌딩 구간. 중앙분 리대 50m 및 좌우 인도변 50m 구역. 모델조성지역과 유사한 환경으로 추후 곤충군집의 변화 비교가 가능한 지역. 곤충상은 매우 열악한 지역으로 추정됨. Site 3 장안리정형 외과앞 Ⅲ 동남타워에서 연합철강 구간. 중앙분리대 50m 및 좌 우 인도변 50m 구역. 모델조성지역과 유사한 환경으로 추후 곤충군집의 변화 비교가 가능한 지역. 곤충상은 매 우 열악한 지역으로 추정됨. Site 4 현대백화점 앞 Ⅲ 중앙분리대 50m 및 좌우 인도변 50m 구역. 모델조 성지역과 유사한 환경으로 추후 곤충군집의 변화 비교가 가능한 지역. 곤충상은 매우 열악한 지역으로 추정됨. Site 5 한빛은행앞 Site 6 개나리아파 트단지 및 진선여중고 교정 Ⅲ Ⅱ 모델지역 조성구간. 삼양빌딩에서 덕양빌딩 구간. 곤 충상은 매우 열악한 지역으로 추정됨. 늦겨울과 초봄의 곤충상은 형성되어 있지 않았음. 탄천변과 근접하여 위 치. 탄천변의 생물군집의 유출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 되는 지역.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 는 지역으로 추정됨. 선릉역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으로 추정

107 (표 계속) 조사대상지 평가기준 실 태 Site 7 선정릉 Site 8 휘문중고교 정 Site 9 봉은사 및 경기고교정 Site 10 탄천변 Ⅰ Ⅱ Ⅱ Ⅱ 곤충다양성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으로 추정됨. 선릉 역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는 지역으로 추정. 미약하나마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으로 추정됨.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으로 추정.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 는 지역으로 추정됨.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으로 추정.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 는 지역으로 추정됨.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으로 추정. 다. 연구결과 및 고찰 (1) 육상척추동물 (가) 종목록 작성 본 조사지역에서 채집 및 확인된 동물의 종목록과 개체수를 작성하 고, 법적보호종, 희소종 등이 출현한 지점을 분석하여 서식처의 특이성 조사하고, 서식처와 조사대상지와의 상호관계 분석하였다. 1 양서 파충류상 조사된 결과와 G-7 Project(자연형하천공법의 개발)시 기 조사된 결과를 종합하여 테헤란로 주변일대 10개 지역에서 확인된 양서 파충류 는 표 와 같다

108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양서 파충류상 및 특이사항 번 호 과(Family) 속(Genus) 종 명 양서 파충류 개체수 학 명 국 명 A B C D E F G H I J 합계 Rana rugosa 옴개구리 Ranidae Rana 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 아 무 르 산 개 구 Rana a. coreana 리 Rana dybowskii 산개구리 Hylidae Hyla Hyla japonica 청개구리 Lacertilida e Takydromus Takydromus wolteri 줄장지뱀 Trachemys scripta 4 Emydidae Trachemys 붉은귀거북 elegans 5 Colubridae Elaphe Elaphe dione 누룩뱀 Rhabdophis Rhabdophis t. tigrinus 유혈목이 과 6속 9종 0종 0종 0종 0종 0종0종 0종 0종 0종 9종 48 확인된 개체수는 매회 조사마다 기록되는 최대치를 사용함 A:역삼공원, B:진성여중, C:도곡초등학교, D:선정릉, E:봉은사, F:무 역센타, G:대명중학교, H:휘문중고교, I:아시아공원, J:탄천일대 표 와 같이, 10개 조사지역에서 단지 탄천일대에서만 5과 6속 9종의 양서 파충류가 확인되었으며, 여타의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 다. 이는 여타지역이 양서 파충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적인 규모가 형 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 대상으로 도심내 생태 통로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탄천에서 부터 도심내로 유입할 수 있 는 방법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고, 단지 잠재생물다양성보유지역 (Potential biodiversity pool area)내에 생태연못 등을 조성하여 종의 도입 및 복원전략이 유효하다고 사료된다. 2 조류상 본 대상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표 와 같이 모두 11종 175개 체였으며, 관찰된 선정릉과 봉은사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참새(Passer

109 montanus)와 까치(Pica pica)외에 다른 종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테헤란로 일대가 고밀도의 도심지역으로서 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 식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서식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러나 선정릉은 도심에서 산림이 존재하는 공원 또는 녹지로서 다른 지 역에 비해 비교적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도심에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종은 직 박구리(Hypsipetes amaurotis)와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rnis webbianus)의 2종이다. 따라서 이 지역 조류서식지복원을 위하여 다 양한 여러 가지 전략을 세우가 보다는 위에 언급한 종을 대상으로 한 복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조류상 및 특이사항 A B C D E F G H I 1. 꿩 Phasianus colchic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청딱다구리 Picus canus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개똥지빠귀 Turdus naumanni eunomu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쇠박새 Parus palustris 곤줄박이 P. varius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참새 Passer montanus 까치 Pica pica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확인된 개체수는 매회 조사시마다 기록되는 최대치를 사용함 A:역삼공원, B:진성여중, C:도곡초등학교, D:선정릉, E:봉은사, F:무역센타앞, G:대명중학교, H:휘문중고교, I:아시아공원, J:탄천일대

110 3 포유류상 지금까지 6차례에 걸쳐 조사된 결과와 G-7 Project(자연형하천공법 의 개발)시 기 조사된 결과를 종합하여 테헤란로 주변일대 10개 지역 에서 확인된 포유류는 표 과 같다. 표 테헤란로 주변 조사대상지의 포유류상 및 특이사항 조사대상지역 종 명 A B C D E F G H I J 너구리 ᄀ 5 특 이 사 항 족제비 - - ᄉ 1 ᄉ 1 ᄉ 1 ᄉ ᄉ 1 ᄃ 2 두더지 ᄉ ᄆ 6 생 쥐 - - ᄉ ᄉ ᄉ 1 ᄉ 1 ᄉ 1 ᄀ 2 곰 쥐 - - ᄉ ᄉ ᄉ 1 ᄀ 3 총 계 0종 3종 1종 2종 3종 0종 1종 1종 3종 5종 1:확인방법(ᄀ:목견, ᄂ:식흔, ᄃ:배설물, ᄅ:족적, ᄆ:터널, ᄇ:둥지, ᄉ: 청문) 2:개체수 확인된 개소수는 매회 조사시 마다 기록되는 최대치를 사용함 A:역삼공원, B:진성여중, C:도곡초등학교, D:선정릉, E:봉은사, F:무역센타앞, G:대명중학교, H:휘문중고교, I:아시아공원, J:탄천일대 표 과 같이 포유류는 전체 5종이 확인되었으며 발견된 5종중 에서 대형포유류는 너구리 1종이었고, 나머지는 소형포유류였다. 너구 리는 주로 하천변을 따라 가족군으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족제비는 도 심내 소공원과 학교 등지에서 설치류를 포식하거나 쓰레기통을 뒤지며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111 (나) 조사대상지 위협요인 분석 및 생물생태공학적 방안 (생물다양성 증가를 위한 제언) 각 조사대상지별로 생물의 서식에 위협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생물생태공학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표 ). 표 조사대상지 위협요인 분석 및 방안 조사 대상지 역삼 공원 선정릉 위협요인 대 안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원이 전 혀 없다. 한편 주변에 연계될 수 있 는 녹지축이 없어서 매우 열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편 바닥은 콘크리트로 도포된 상태 이다. 도심내 존재하는 소규모 야산의 구릉지로 소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도로주변에 밀식되어 있는 덤불숲 이 야생조류의 은신과 휴식처의 역 할을 하고 있으나, 雨 期 를 제외하고 는 외부유입 水 源 지가 없어서 야생 동물에게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Biotope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조성과 북사면 하부지에 조성된 덤불 숲을 점차 연결하여 종의 복 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덤불 또는 관목림을 조성하면 붉 은머리오목눈의 서식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부유입 水 源 지가 없어서 야생 동물에게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공급수원지 조성 및 일정 등산로 개방으로 답압 방 지로 토양공극율 증가로 초지식물 활착에 유념 현재 도심에서 아주 중요한 조류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 며, 산림지역의 하층식생(관목, 덤 불 등)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 무역 센타 앞 무역센타 앞의 작은 자투리 휴식 Biotop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공간으로 조경목과 다양한 관목을 조성과 초지공간의 확충(고유식물 식재한 상태이며, 봉은사와는 무역 종 식재)으로 곤충, 조류와 양서 센타빌딩에 의하여 단절된 상태이 류 복원 도모 다. 그러나 인접하여 탄천과 아시아 공원이 위치하고 있어 중간통로로 서의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 된다. (표 계속)

112 조사 대상지 진성 여중 도곡 초교 휘문 중고 대명 중학교 아시아 공원 위협요인 대 안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 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도곡초등 학교와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고 선정릉과는 빌딩에 의하여 철저히 단절된 상태이 다. Biotope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조성과 초지공간의 확충(고유식물 종 식재)으로 곤충, 조류와 양서 류 복원 도모 인근의 아파트 단지의 녹지공간 과 횡적으로 연결하는 수목의 식 재가 필요하다.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Biotop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 조성과 초지공간의 확충(고유식물 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종 식재)으로 곤충, 조류와 양서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진성여중 류 복원 도모 이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태 계를 보유하고 있고, 선정릉과는 빌딩 에 의하여 철저히 단절된 상태이다.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Biotope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 조성과 초지공간의 확충(고유식물 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종 식재)으로 곤충, 조류와 양서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대명중학 류 복원 도모 교와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 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학교 부지내 담을 중심으로 거대한 Biotope개념에 근거한 생태연못 소나무와 교목이 존치하고 있으며, 초 조성과 초지공간의 확충(고유식물 지공간 이나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종 식재)으로 곤충, 조류와 양서 급원지가 전혀 없다. 주변에 휘문중고 류 복원 도모 교와 인접하여 있으나, 서로 단순한 생 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도심내 존재하는 소규모 공원으로 소 외부유입 水 源 지가 없어서 야생 나무 등 거대한 교목이 존재하며, 덤불 동물에게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숲이 있어 특정 야생조류의 은신과 휴 있는 실정이므로 공급수원지 조성 식처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雨 期 를 제 및 친환경적 산책로(콘크리트로 외하고는 외부유입 水 源 지가 없어서 바닥이 마감되어 있음) 전환으로 야생동물에게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토양미생물 증가 도모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바로 주변에 탄 하층식생 보완 후 새집가설 천이 위치하고 있어 생물부양능력은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113 (다) 도입 가능한 육상척추동물 종에 대한 분석 1 조류 가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 특징: 머리와 등은 푸른색을 띤 회식이며, 날개는 회갈색이다. 눈 뒤로 밤색의 반점이 있다. 배에서 꼬리쪽으로 갈수록 흰색반점이 많 아진다. 전형적인 파도모양으로 난다. 겨울철을 포함한 비번식기에 는 도심의 공원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주요서식지는 산림, 도 심의 공원과 정원 등이다. - 도입가능지역: 봉은사, 선정릉, 아시아공원 등 도입보다는 선호하는 수종을 식재하여 이동을 유도하여야 한다. 열매가 있는 과실수를 선호한다. 특히 화살나무, 봄작살나무, 아까시 나무 등 나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 특징 :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이며, 날개를 접고 있을 때 적 갈색으로 보인다. 배는 황갈색이다. 부리는 짧고 굵으며, 전체적으로 흑갈색이나 부리는 끝이 밝게 보인다. 꼬리는 몸에 비해 긴 편이다. 둥지는 농가의 나무울타리, 관목림 등에 만든다. 주요서식지는 관목, 풀숲, 덤불, 갈대밭 등이다. 도심 공원의 덤불 또는 관목림에서 관찰 이 가능하다. - 도입가능지역: 관목림이나 덤불 숲을 조성해 준다면 전 지역에 도입이 가능하다. 특히 역삼공원 또는 휘문중학교가 알맞을 것으로 판단된다

114 1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2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표 유치 가능한 조류(김현태) 2 양서류 표 에 도입 가능한 종류와 선결조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표 도입 가능한 지역 및 유입가능 종 유치가능지역 유치가능종 선 결 조 건 역삼공원 아무르산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진선여중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도곡초교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생물생태 선정릉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공학적인 봉은사 아무르산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무역센타 아무르산개구리, 맹꽁이 조성기법 대명중교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참조 휘문중고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아시아공원 아무르산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가 양서류 서식처의 생물생태공학적인 조성기법 양서류 서식과 산란을 위한 생물 생태공학적인 저습지(Biotop)조성 기법은 그림 과 같으며, 규모는 최소: 가로 세로(30m 30m), 최 대: 가로 세로(50m 50m)로 조성하여야 한다

115 평 면 수심 앞 면 그림 생물 생태공학적인 저습지조성 기법(출처: BIOTOP-PFLEGE IM WALD, p.87) 저습지는 2개의 생태연못으로 구성되며, 굴곡이 형성되는 만곡부에 조성하여 상류에서는 물이 흘러 들어오고, 하류부에서는 물이 자연 스럽게 빠져나가게 한다. 저습지의 중간에는 양서류가 낮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구릉을 초지 와 함께 만든다. 두 개의 생태연못 중에서 하나의 작은 연못의 가장 깊은 수심은 100~150cm정도로 하고, 가장 수심이 낮은 가장자리의 수심은 0~ 30cm정도로 조성한다. 저습지 주변의 초지일대는 경사각을 10 의 낮은 경사로하고, 가장 자리 둘레의 면적은 최소한 2m를 유지한다(항상 물이 차 있어서 양서류나, 어린 치어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수심이 최고 1m에서 수변부위는 35cm내외로 만들어 주어야 하며, 중앙부분에는 턱을 만들어 가끔 개구리가 휴식(일광욕: 포식 후 먹

116 이의 소화를 돕기 위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수변부에 다양한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 한다. 반면, 개구리 산란의 제한요인은 수질 상태인데 ph 4.0 이하 로 산성화되면 산란에 장애가 된다. 소생물권의 요소들을 다양하게 조성함으로써 기능적으로 다양한 식 물종과 식생군집의 형성이 가능해지며 연쇄적인 생태계의 먹이사슬 구조가 형성된다. 환경에 적응력이 뛰어난 목본식물 및 초본식물을 도입하여 생물의 수직적 서식공간과 먹이를 제공하도록 한다. 자생식물인 갈대, 부들, 매자기 등 습지성 식물을 활용한다. 식생도입은 생물의 서식처인 동시에 먹이자원인 장소와 관련 있다. 습지성 식물과 수생식물의 유형을 구분하여 배치한다. 습지성 초본식물 : 관상ㆍ경관적으로 아름다우며, 다양한 곤충을 유 인할 수 있는 종을 도입한다. 검정말, 나사말 등과 같이 물에 잠겨서 생활하는 종을 유치하면 물 속 용존산소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고, 수서곤충의 다양성을 회복 하게 되어 먹이원이 풍부하게 되므로 개구리의 생존율과 개체수의 증가를 가져온다. 양서류의 활동범위를 고려한 서식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식재 계획 기본방침 - 습지에서 산지사면으로 이어지는 식생의 구조를 고려하여 분포 역에 의한 식생유형을 구분한다. - 버드나무군락을 조성하여 완충녹지로 기능하게 한다. - 생물종 서식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이룬다. - 습지에 나타나는 주요 식생 분포역별로 식재지침을 마련한다

117 습지 식생 구조 - 정수식물(emerged plant) : 최근 수변식생에서도 특히 주목을 받 고 있는 것이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수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정수식물이다. 정수식물은 비교적 수리적으로 유속이 낮고 안정한 얕은 수심에서 많이 자란다. 수변 및 습지에 나타나는 대 표적인 정수식물로는 일반적으로 부들(cattail), 갈대(reed), 애기부 들, 고마리, 미나리, 달뿌리풀, 골풀(rush), 사초(sedge)등 (Reed, 1988)을 들 수 있다. - 부엽 부유식물(floating plant) : 부유식물은 뿌리를 토양에 부착 하지 않고 수중에서 부유하며 잎과 줄기는 수표면 위에 있어서 햇 빛을 직접 받는다. 잠수되어 있는 뿌리 및 줄기는 수중 미생물의 적절한 서식처로 제공된다. - 침수식물(submerged plant) : 침수식물은 수표면하의 빛이 충분 히 투과되는 곳에서 자란다. 대표적인 침수식물로는 가래, 물수세 미, 마름 등을 들 수 있다. - 식생완충지대(vegetation filter strips) : 수변의 습지대에 이르기 전 단계에 육상생태계에서 소실된 영양소와 각종오염물질들이 거 치게 되는 초원 등의 식생완충지대는 하천과 함께 포괄적으로 조 망되어져야 할 하천경관의 한 부분이다. 때로는 관목림과 각종 교 목 등이 자연스러운 천이단계를 따라 나타난다. 나 도입가능한 양서류 종의 생태적 특징 개구리류의 1년 살이를 분석하여 보면, 1년을 기준으로 춘기에는 번 식을 하기 위하여 산란장소인 수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기에는 먹이 를 찾거나 은신하기 위하여 그늘진 곳이나 먹이가 풍부한 장소로 옮기 게 된다. 또한 추기에는 동면을 하기 위하여 적당한 동면장소로 이동하 게 되므로, 핵심지역(core zone)과 완충지역(buffer zone)의 서식공간 이 필요하게 된다. 계절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을 필요로 하는데, 양서

118 류의 1년 생활사에 따른 서식처의 개념은 표 과 같다. 그러므로 도심내에 Biotop을 조성하였을시 복원이 가능한 종류는 참개구리, 아무 르산개구리, 청개구리 3종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표 한국산 양서류의 서식공간과 산란장소 종 명 서 식 장 소 산 란 장 소 동 면 장 소 산개구리 계곡, 하천 논, 저습지 계곡주변 아무르산개구리 습원, 습지, 논주변 논, 저습지 논둑, 습지 옴개구리 풀숲, 물가, 도랑 하천 하천, 개울 금개구리 물가, 논, 밭도랑 웅덩이 논, 저습지 논둑, 습원 참개구리 물가, 논, 밭고랑 논, 웅덩이 논둑, 수변 두꺼비 숲 속의 평지, 산림 논, 저습지, 야산임연부, 호수 계곡돌틈 물두꺼비 계곡, 산정상부위 개천, 하천변 하천돌밑 청개구리 관목림, 논, 습원 논, 저습지 나무밑둥 수원청개구리 관목림, 논, 습원 논, 저습지 나무밑둥 맹꽁이 초지, 습원의 평지 웅덩이 웅덩이, 흙밑 무당개구리 계곡, 웅덩이, 계곡 계곡 웅덩이 돌밑 표 도입 서식 가능한 종과 서식조건 종 명 서 식 조 건 참개구리 저습지와 웅덩이 그리고 초지로 형성된 습원의 공간(100m2) 금개구리 저습지와 웅덩이 그리고 초지로 형성된 습원의 공간(50m2) 맹꽁이 저습지와 웅덩이 그리고 초지로 형성된 습원의 공간(50m2) 청개구리 저습지와 주변의 식생은 활엽관목림과 초지로 형성된 습원의 공간(50m2) 한국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군도 우점종을 차지하 고 있고, 주로 수변과 논주변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개구리 와 참 개구리 를 선정하는 것은 이 두 종의 개구리는 울음소리가 크고 쉽게 들을 수가 있고,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고 방

119 사종의 유전적 다양성과 기존에 서식하고 있는 개체군들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유역과 근접한 지역에서 종을 채집하여 도입하여야 한다(유 전적 단절화 방지와 유전적다양성 고려). 한편 환경부 법적보호종인 금개구리 와 맹꽁이 를 대상종으로 선정한 이유는 도시화, 산업 화에 따른 서식공간의 부족과 개체수 감소에 따른 종의 멸종을 막고, 멸종위기종의 현지내 복원방법을 구축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복원 전략 참조). 개구리 類 의 산란에 제한 요인으로는 수질의 상태이며, 수소이온농도 (ph)가 4.0 이하의 강한 산성화가 되면 산란과 발생에 장애가 생기므 로, 수환경의 정화 및 회복이 선례조건이 되어야 한다. 저습지 수변 주 변에는 좀개구리밥, 개구리밥, 생이가래, 자라, 부레옥잠 등 물위에 떠 서 사는 수생식물들을 다양하게 이식하여, 개구리의 은신처 공간 및 수 질정화 작용식물로 만들어 주어야 하며, 물가에 자라는 풀들인 갈대, 부들, 줄, 연꼿, 마름 등을 이식하여 산란장소로 이용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검정말, 나사말 등 물에 잠겨서 생활하는 종을 유치하면 물속의 용존산소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고, 수서곤충의 다양성을 회복하게 되 어, 먹이원이 풍부하게 되므로 개구리의 생존율과 개체수의 증가를 가 져오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수질의 정기적인 점검 및 순환 그리고 수 변의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작용이 수행되어야 한다. 다 금개구리 맹꽁이 현지내 복원전략 생물은 지구생태계의 존속에 무한한 가치를 부여한다. 생물을 중심으 로 한 지구생태계는 생물자신의 다양성에 의해 그 특성을 나타내며 생 태계마다의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인류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군들은 서로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 어 전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며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게 된 다. 이러한 생물군의 종다양성, 유전적다양성, 생태학적다양성 등이 지

120 구생태계와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하겠으 며, 이들 중의 한 변화, 즉 종의 사멸을 통한 다양성의 감소는 생태계 의 균형을 파괴하고, 이는 곧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위협으로 귀결된다. 지구생태계의 구성원인 인류는 유사 이래 끊임없이 자연자원을 개발 이용해 왔으며,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자원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고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이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인류와 더불어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고 생존해 왔던 많은 생물들이 인류 문 명의 성장 발전과정에서 멸종되었거나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음이 밝 혀지고 있는 바, 이들 종에 대한 현황파악 및 보호 관리가 시급히 요구 되고 있다. 생물다양성 보전의 근간을 이루는 생물종은 장구한 세월의 진화과정 을 거쳐 형성된 생태계의 기본단위이자 생물학 연구의 실체로서 자연 의 생태학적 과정과 생물부양체제의 지속을 유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인류의 발전을 위해 희생되는 생물학적 자원을 말한다. 오늘날 에 와서는 모든 문제가 공멸이냐 공존이냐 하는 측면으로 전개되며, 우 리는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해야 만 하는 운명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생물종의 효율적 보전은 지속적 이용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항시 재생가능하게 해주지만 보전에 실패할 경우 영원히 사라지거나 파괴되기 때문에 우리가 어느 방향을 선택해야되는가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문제이다. 최근 생물종 보전에 대한 공감대는 하나의 국가단위차 원이건 지구차원이건 형성되어지고 있으나 아직도 개발위주의 경제논 리와 보전목표와 전략적 개념의 부재 등으로 그 실효성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가 해야할 일은 보전의 대상이 무엇이고 그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며 보전의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무 슨 이유로 어떻게 보전해야만 하는가? 등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또는 지역적으로 생물종의

121 보호 보전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바, 국내에서는 최근 환경부에서 그 업 무의 일부로 법정 보호대상 야생 동 식물 지정 보호 관리를 수행해 왔 다. 생물종의 보전에는 현지내 보전과 현지외 보전이 있으며, 이미 선 진국에서는 서식처 자체를 보전하는 현지내 보전방식에서 진일보하여 멸종의 위기에 처해지거나 보호대상 생물종을 실험실에서 증식 복원하 여 방사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황새와 반달가슴곰을 대상으로 현지내 보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수환경과 습지지표종인 양서류를 대상으로는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A. 연구방법 현장 생태분석과 실험실에서 번식실험을 병행하여 대조구와 실험구 를 설정하여 실시한다. 우선 현장에서 생태분석은 금개구리와 맹꽁이의 개체군 밀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여 실시한다. a) 현장 생태분석 우선 현장에서 번식시기에 가로(5m) 세로(5m)의 방형구를 설치하 여 방형구내의 수환경요인(수온, D.O: 용존산소량, ph: 수소이온농도) 을 측정하고, 번식시기와 산란개체수 그리고 부화율을 계산한다. (a) 번식시기 (b) 번식기 생태적 환경 (c) 번식지의 수환경 및 행동반경(면적) (d) 번식시기 산란개체수 및 부화율(부화기간) b) 실험실 번식실험(조건 분석) 실험실에서는 가로(30cm) 세로(20cm) 높이(30cm)의 수조를 제작 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번식지의 수환경을 표준으로 하여 다양한 조건 (수환경 요인)을 조성하여 발생부화율 밀도를 분석한다

122 (a) 먹이원: 올챙이 시기에 실험실내에서 다양한 먹이를 공급하여 가 장 선호하는 먹이원을 찾아낸다. (b) 수환경: 다양한 조건의 수환경을 조성하여 가장 많은 개체수가 부화되는 조건을 찾아낸다. (c) 부화기간: 여러 조건에 따라 부화기간이 다를 수가 있으므로 가 장 단 시간 내에 건강한 개체가 부화되는 기간을 분석한다. (d) 부화율: 상기 (a), (b), (c)의 다양한 환경조건을 달리 하였을 시 각 실험조건에 따라 부화율을 측정한다. c) 적합한 방사조건 분석 현장에서 번식시기에 가로(5m) 세로(5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방 형구내의 수환경요인(수온, D.O: 용존산소량, ph: 수소이온농도)을 측 정한 자료, 번식지의 생태적 환경 그리고 행동반경(Home range)을 분 석한 결과를 근거로 방사 복원에 적합한 장소를 Model화 하여야 한다. 그림 자연적인 Prototype 저습지 B. 연구수행 후 얻을 효과 및 이용방향 상기와 같은 연구가 원활히 수행되었을 시 생물종의 보전에는 현지내

123 보전과 현지외 보전이 있는데, 현지내 보전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Stakeholder)의 의견 충돌로 어려움을 많이 격고 있으나, 현지외 보전 은 생물종을 실험실에서 복원하여 유사한 장소에 방사하게 되므로 경 제적 학술적으로 진일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황새와 반달가슴곰을 대상으로 현지내 보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경제적으로 엄청난 예산이 소요되지만 양서류를 대상으 로 실험을 실시하면 대비 ⅓의 예산으로 수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있을 것이다. 두 종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점진적으로 다른 종들로 확산하면 지구온난화, 산성비, 농약 등등으로 국내에서도 점차 줄어드 는 양서류의 복원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양서류 복원의 모텔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24 (2) 주간 육상 곤충류 (가) 종목록의 작성 및 조사 대상지 분석 시범조성지역을 포함하는 테헤란로 지역 및 인근 거점녹지의 겨울, 봄, 여름에 걸쳐 조사한 육상곤충상에 대한 내용은 표 와 같다. 표 조사대상지별 시기별 출현 곤충류 목록 및 분석 조사 대상지 조사 시기 겨울 출현 분류군(개체수)/조사대상지 분석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봄 파리 sp. (1) Site 1 목화예 식장앞 여름 가을 개미 spp.(19), 노린재 sp.(13), 나방 spp.(4), 파리 spp.(4), 벌 spp.(2) 조사예정 일부 가로수와 중앙분리대의 초본을 제외한 식생이 전혀 형성되어있지 않다. 매우 열악한 곤충서식환경이다. 겨울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봄 깔따구 sp. (1) Site 2 천지빌 딩앞 여름 가을 꽃등에 sp.(1), 나방 spp.(8), 노린재 spp.(30), 파리 spp.(10), 잎벌레 sp.(1), 딱정벌레목 sp. (5), 개미 sp.(1) 조사예정 일부 가로수와 중앙분리대의 초본을 제외한 식생이 전혀 형성되어있지 않다. 매우 열악한 곤충서식환경이다

125 (표 계속) 조사 대상지 조사 시기 겨울 출현 분류군(개체수)/조사대상지 분석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봄 깔따구 sp. (2) Site 3 장안리정 형외과앞 여름 가을 노린재 spp.(8), 방패벌레 sp.(5), 나방 spp.(3), 맵시벌 sp.(1), 매미충 sp.(3), 개미 spp.(12), 파리 sp.(1) 조사예정 일부 가로수와 중앙분리대의 초본을 제외한 식생이 전혀 형성되어있지 않다. 매우 열악한 곤충서식환경이다. Site 4 현대백화 점앞 겨울 봄 여름 가을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개미 spp.(21), 깔따구 sp.(2), 초파리 sp.(1) 나방 spp. (4), 파리 spp.(17), 꽃등에 sp.(1), 깔따구 sp.(1), 개미 spp.(6), 벌 sp.(1), 딱정벌레목 spp.(16), 무당 벌레 sp.(1), 노린재 sp. (16), 방패벌레 sp.(25), 매미충 sp.(8) 조사예정 현대백화점 주변의 조경지, 가로수와 중앙분리대의 초본 및 일부 조경수를 제외한 식생이 전혀 형성되어있지 않다. 주변의 거점녹지로 학교 교정, 무역센터, 봉은사 등이 연계되어 있어 비교적 다양한 곤충이 출현하였다

126 조사 대상지 조사 시기 겨울 봄 (표 계속) 출현 분류군(개체수)/조사대상지 분석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개미 sp.(1) Site 5 한빛은행 앞 Site 6 개나리아 파트단지 및 진선여중 고교정 여름 가을 개미 spp.(3), 하루살이 spp.(2), 방패벌레 sp.(35), 깔따구 spp.(2) 조사예정 시범조성구역으로 가로수와 중앙분리대의 초본 및 일부 조경수 를 제외한 식생이 전혀 형성되어있지 않다. 열악한 곤충 서식환경이 지만 인접하여 탄천이 위치하고 있어 탄천 수변에 서식하는 곤충류 의 출현이 일부 예상되며, 수서곤충의 성충들이 활동할 수 있는 거 리 공간이다. 겨울 봄 여름 가을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양봉꿀벌(1), 광붙이꽃등에(1), 깔따구 spp.(6), 파리 spp.(4), 진딧물 sp.(1), 벌목 sp.3(1), 남방부전나비(5), 배추 흰나비(1) 고추잠자리(1), 개미 spp.(45), 나방 spp.(15), 부전나비 sp.(1), 파리 spp.(38), 꽃등에 spp.(2), 노린재 spp.(26), 매미 충 spp.(16), 귀뚜라미 sp.(4), 바구미 sp. (2), 딱정벌레목 spp.(4), 벌 sp.(1), 메뚜기 sp.(1), 매미 sp.(1) - 표본 동정 및 정리 중 조사예정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선릉역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이다. 오랫동안 조성 유지되어온 단지내 녹지가 초본류를 비롯하여 관목, 아관목, 교목까지 분포한다. 토양은 습도가 유지되고 있어 토양은 근거로 하 여 유충시기를 보내는 곤충류부터 다양한 곤충류가 출현하였다

127 조사 대상지 Site 7 선정릉 조사 시기 겨울 봄 여름 가을 (표 계속) 출현 분류군(개체수)/조사대상지 분석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노랑벌꿀넓적꽃등에(1), 고치벌 sp.(1), 노린재 sp.(1), 깔 따구 spp.(8), 초파리 sp.(1), 맵시벌 sp.(1), 잎벌 spp.(3), 꿀벌 sp.(1), 파리 spp.(4), 홍반디 sp.(1) 큰실베짱이(3), 개미 spp.(137), 벌 spp.(15), 맵시벌 sp.(1), 파리 spp.(87), 꽃등에 spp.(6), 나방 spp.(17), 바구 미 spp.(19), 잎벌레 spp.(8), 딱정벌레목 spp.(5), 여치 sp.(1), 메뚜기 spp.(6), 매미충 spp.(13), 방패벌레 sp.(1), 상투벌레 sp.(3), 풀잠자리 sp.(1), 노린재 spp.(16), 알노린 재 sp.(1) - 표본 동정 및 정리 중 조사예정 곤충다양성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 선릉역 인접 테헤란로의 곤충 상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는 지역. 식식성 곤충부터 방화성 곤 충, 잡식성, 포식성 곤충까지 다양한영양단계의 곤충류가 출현한다. 시범조성지역으로의 도입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곤충류가 서식한다. Site 8 휘문중고 교정 겨울 봄 여름 가을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벌목 sp.1(1), 벌목 sp.2(1), 벌목 sp.3(1), 벌목 sp.4(2), 파리 spp.(10), 깔따구 spp.(30), 꽃등에 spp.(4), 개미 spp.(3), 맵시벌 sp.(1), 매미충 sp.(1) 파리 spp.(104), 꽃등에 spp.(6), 나방 spp.(13), 나비 sp.(1), 개미 spp.(16), 맵시벌 sp.(1), 벌 spp.(11), 노린재 spp.(42), 매미충 spp.(13), 방패벌레 sp.(18), 바구미 sp.(1), 딱정벌레목 spp.(12), 메뚜기 sp.(2) - 표본 동정 및 정리 중 조사예정 조성된 화단 및 초지에 주로 방화성 곤충류가 출현. 곤충다양성 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

128 조사 대상지 Site 9 봉은사 및 경기고 교정 조사 시기 겨울 봄 여름 가을 (표 계속) 출현 분류군(개체수)/조사대상지 분석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수중다리꽃등에(4), 꽃등에 sp.(3), 개미 spp.(9), 맵시벌 sp.(1), 벌 spp.(4), 무당벌레 sp.(1), 노린재 sp.(1), 진딧물 sp.(1), 파리 sp.(1) 좀사마귀(1), 두꺼비메뚜기(1), 왕사마귀(1), 된장잠자리 (2), 밀잠자리(1), 네발나비(2), 무당벌레, 말매미충, 노린재 류, 파리류, 개미류, 잎벌류, 맵시벌류, 고치벌류, 나비류, 매 미충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꽃벼룩류 - 표본 동정 및 정리 중 조사예정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 선 릉지역과 유사하게 다양한 곤충류가 출현. 시범조성지역에 직접적인 곤충류 도입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 겨울 주간 육상 곤충은 출현하고 있지 않았음. Site 10 탄천변 봄 여름 가을 깔따구 spp.(414), 꽃등에 spp.(28), 잎벌레 spp.(18), 바 구미 sp.(3), 벌 spp(4) 배추흰나비(2), 깔따구류, 파리류, 실잠자리류, 풀잠자리, 맵시벌류, 매미충류, 노린재류 - 표본 동정 및 정리 중 조사예정 곤충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 유 충시기를 수서생활하는 곤충류와 수변초지에 서식하는 곤충류의 출 현. 시범조성지역에 직접적인 곤충류 도입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 역. 다른 거점녹지보다 상대적으로 종의 다양성이 크지 않다

129 (나) 도입 가능한 육상곤충류 종에 대한 분석 1 조사대상지 주변의 비교지역 분석 남동쪽으로 2.95km에 위치한 일원지역의 생물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서식지로부터 개포동, 대치동에 서식하는 곤충류가 시범조성 지역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서쪽으로 약 1.4km에 위치한 역삼동 과, 서쪽 및 북서쪽으로 약 900m에 위치한 삼성동 지역의 거주지(아 파트단지가 주가됨) 및 선정릉(삼릉공원)에 서식하는 곤충류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동쪽으로 연접해 있는 탄천 수변에 서식하는 곤충류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간단한 식물분포종 현황과 아울러 곤충류의 목록 을 제시한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비교지역 1. 강남구 개포2동 개포주공3단지(35,690.89m2) : 아파트 단지내에 가로수와 잔디밭이 주요 서식지역할. 목련, 주목, 소나무, 단 풍나무 등. 다른 단지보다 비교적 녹지가 적은 편. 녹지가 작고 단편화. 출현 곤충 : 봄 - 배추흰나비, 노랑나비, 아시아실잠자리, 북쪽비단노린재, 알락수 염노린재, 삿보로잡초노린재, 장수허리노린재, 끝검은말매미충, 무당벌 레, 칠성무당벌레, 꼬마남생이잎벌레. 여름 - 대만흰나비, 푸른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고추좀잠자리, 검은 다리실베짱이, 방아깨비, 실베짱이, 등검은메뚜기, 왕사마귀, 사마귀, 설 상무늬장님노린재, 삿포로잡초노린재, 투명잡초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 린재, 메추리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끝검은말 매미충, 말매미, 참매미, 넉점박이풀잠자리, 참콩풍뎅이, 호랑꽃무지, 칠

130 성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달무리무당벌레, 쑥잎벌레, 청등 에잎벌, 양봉꿀벌, 호박벌, 어리호박벌, 곰개미, 집파리, 호리꽃등에, 꼬 마꽃등에, 광꽃등에 비교지역 2. 강남구 개포3동 개포주공7단지(53,492.00m2) : 아파트 단지 내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공원 내 느티나무 및 은행나무를 식 재하였다. 녹지는 대부분 잔디밭으로 조성되어 있다. 화단에는 주로 장 미와 진달래 등의 원예종이 식재되어 있으며, 아파트내 화단 관리가 지 속적으로 이루어져 잡초 등이 자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접하여 아파트 단지들이 있으므로 단지내 녹지들을 연결하여 생태네트워크로 조성할 수 있다. 봄 - 노랑나비, 푸른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배추흰나비, 모메뚜기, 칠성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가시큰다리잎벌레, 오리나무잎벌레, 애긴노린재, 삿포로잡초노린재, 북쪽비단노린재, 장미가위벌, 일본왕개 미, 배짧은꽃등에, 꽃등에 여름 - 네발나비,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암먹부전나비, 된장잠자리, 알락수염노린재, 메추리노린재, 삿포로잡초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 재, 말매미, 늦털매미, 끝검은말매미충, 꽃하늘소, 호랑꽃무지, 무당벌 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곰개미, 양봉꿀벌, 잎벌 sp., 과실파리 sp., 파리매, 집파리, 구리금파리, 금파리 비교지역 3. 강남구 대치동 현대아파트(20,396.50m2) : 아프트 주변 과 주차장 주변에 화단이 있고, 화단에 다양한 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이 화단은 최근 아파트가 건축과 함께 조성되어 안정적이지 못하나 향 후 시간이 지나면 곤충이 서식할 수 있는 터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봄 - 배추흰나비, 푸른부전나비, 칠성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131 오리나무잎벌레, 삿포로잡초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배짧은꽃등에, 꽃 등에 여름 - 노랑나비, 푸른부전나비, 네발나비, 고추좀잠자리, 검은다리실 베짱이, 방아깨비, 섬서구메뚜기, 모메뚜기, 설상무늬장님노린재, 삿포로 잡초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메추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말매 미충, 참매미, 칠성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 벌레, 쑥잎벌레, 밤나무잎벌레, 호박벌, 집파리, 검정큰날개파리, 구리금 파리, 꽃등에, 꼬마꽃등에, 배짦은꽃등에 비교지역 4. 강남구 대치4동 포스코센터(24,769m2) : 생물환경으로 건물 앞 화단에 식재한 소나무, 단풍나무, 회양목이 있다. 화단 앞은 도 로이고 주변의 녹지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주변과의 연관성이 없이 생 태적으로 고립된 지역이며, 화단은 대부분 관상용 식물로서 곤충이 서 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조성된 화단 일부에 곤충의 식초를 심어 곤 충을 유인할 수 있다. 봄 - 푸른부전나비, 꼬마꽃등에 여름 - 푸른부전나비, 모메뚜기, 양봉꿀벌, 꼬마꽃등에, 호리꽃등에, 꽃등에 비교지역 5. 강남구 역삼1동 천우빌딩 포함 블럭(12,704.02m2) : 가 로수로 양버즘나무가 있으며, 기업은행 건물 앞에 화분과 은행나무가 있다. 건물 옆에 작은 화단이 있으며, 회양목과 철쭉이 있다. 가로수와 건물주변의 작은 화단에 일부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나 주변지역이 고 밀개발된 상업지대로 곤충유입은 기대하기 힘들다. 출현종 - 푸른부전나비, 양봉꿀벌, 꼬마꽃등에, 배짧은꽃등에 * 밑줄친 종들은 도입 추천 및 예상 종들이다. 정서적, 문화적으로 비

132 혐오성 곤충으로 주로 방화성( 訪 花 性, 꽃을 찾는) 곤충류 및 지역 특성 상 익충으로 기능 수행이 예상되는 종들을 선정하였다. (3) 생물유인 및 서식처 조성 기법 방안 생물유인 및 서식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는 우선, 동물의 서식환경 을 조성하기 위한 원리를 살펴본 후, 생물분류군별로 일반적인 생태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제시하였다. (가) 동물의 서식환경 조성 원리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동물의 서식처는 자연적인 곳과는 달리 서식환 경과 생물종, 그리고 생물종들 사이에서 직접적인 상호관계가 이루어지 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이러한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먹이, 은신처, 물, 육상 그리고 각각의 종별로 특별한 요구조건 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도입하고자 하는 동 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데, 동물의 서식환경 구성원리는 다양성, 연속성, 패취(patch), 크기, 섬, 주연부, 이동로, 은신처, 먹이, 완충지, 물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다양성은 동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을 이루 는 이론으로 생태계 개념의 근간이 된다. 서식처의 연속성은 다양성 이론처럼 야생동물의 밀도와 분포를 결 정짓는 기본원리에 속하는데,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야생조수의 서식환경이 될 수 있는 소생물권과 패취가 연속성 없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는 바람직하지 못한다

133 각 스페이스간에 연결되는 고리와 축이 필요하며, 물리적 연속성을 유 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야생동물 자원을 보호하고, 유치 유인하는데 중요하다. 야생동물 서식지회랑, 코리더의 개념에 패취, 매트릭스 개념이 연속성 의 개념을 응용한 것이다. 패취는 동물의 적정수용력을 파악하여 먹이를 먹거나 은신처로 이 용되는 식생군집의 적절한 규모와 형태를 결정해서 하나의 기본단위로 한 것으로, 패취를 고려할 때는 개별개체가 아닌 개체군 수준에서 다루 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면적을 하나의 패취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지나치게 작은 규모의 패취로 나누게 되면 은 신처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크기는 지형, 기후, 토양, 배수 등이 야생동물의 수를 결정하는 생태 적 수용능력의 지표이므로 서식지를 획일적인 크기로 조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서식지의 크기를 정할 때는 가능한 한 규모를 크게 하며, 연중 한 계절 또는 그 이상을 다른 곳에서 서식하는 종의 서식지는 정 착해 사는 종의 서식지와 크기에 차이를 둔다. 섬은 도서생물지리이론의 6가지 원칙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에게 가 장 잘 알려진 것이다. 주연부는 2개 이상의 서식처 유형이 만나는 지형이나 다른 식물군 집이나 천이단계상의 이질적 이행기에 있는 식물군집이 서로 만나는 경우, 또는 한 식물군집 내부에서 토양 등의 식생조건의 차이로 인해 이질성을 나타내게 되는 선형의 이행부를 말하며, 이렇게 형성된 주연 부의 영향권 내에 있는 지역을 전이대라고 한다. 주연부의 특성은 아래

134 와 같다. 다양한 식생으로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풍부하다.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여건과 다양한 서식환경을 마련해 준다. 주연부는 식생의 다양성이 높고, 풍부한 먹이자원, 다양한 유형의 은 신처가 존재한다. 동물들에게 다양한 서식환경을 제공해 주므로, 다른 인근지역에 비해 생물다양성과 개체군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총연장 길이가 길수록 동물들에게 좋은 서식환경이 된다. 단위면적당 총연장 길이가 긴 주연부가 조성되도록 한다. 주연부의 총 량은 주연부의 길이와 폭, 형태에 의해 결정되므로 길이가 길고 폭이 클수록 넓은 면적의 전이대를 가지며 다양한 서식처가 조성된다. 주거단지 내부나 주변의 선형의 공간에서 조수의 유인 유치를 목적으 로 주연부의 총연장 길이를 늘려주기 위해서는 비정형적 또는 불규칙 적 형태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산림에 있어서는 초본, 관목, 교목의 순으로 주연부를 처리해서 산림으로의 연결성을 높인다. 이동로는 평면적 연결성 유지, 안전이동, 자원제공의 기능을 수행하는 선형적 통로로 그 폭의 변화에 따라 선, 대상과 수자원을 따라 형성된 하천 등으로 구분한다. 은신처는 열악한 기후조건과 적 또는 기타 위험으로부터 동물을 보 호해 주고, 동물의 서식활동을 보조해 주는 안식처를 말한다. 야생동물 이 생존기간 동안 번식과 생육을 할 수 있는 장소로서 대부분 식생으로 구성되고, 그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겨울 은신처 : 겨울의 혹심한 기후와 노출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잎과 가지가 밀생되어 있는 식생이 다층구조를 이루어 눈과 바람을 막

135 을 수 있어야 한다. 피난 은신처 : 인간의 수렵행위나 포식자로부터 도피할 때 숨는 장소 로 먹이지역과 인접해 있어야 효과적이다. 휴식 은신처 : 야생동물은 먹이 섭취 후 대부분의 시간을 바람과 천 적을 피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시간을 보낸다. 따라서 쉴 수 있는 장소로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찬바람을 막아줄 수 있도록 적절 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수면 은신처 : 수면과 휴식을 위한 장소로, 야생동물에 따라서는 약간 씩 이동하면서 잠을 자는 경우도 있고 어느 장소를 지정하여 잠을 자는 종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은신처는 특수한 환경여건이 갖추어져야 하며 기존의 잠을 자는 장소의 환경이 변하여 휴식이나 잠을 자는 조건 에 부적합하게 되면 수렵동물은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번식 은신처 : 포유동물이 새끼를 낳아 기를 수 있는 장소로 출산직 후의 어미가 이동하기 쉽게 완경사지이고, 물을 구할 수 있는 장소로 관목과 교목의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곳이 적합하다. 체온유지 은신처 : 항온동물은 일정한 체온을 유지해야 하며, 동물은 체온과 온도차이가 최소가 되는 장소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신진대사 율을 줄일 수 있고, 최소한의 활동만으로 체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 에 지형과 식생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동물의 체온과 온도차가 최소 인 장소를 선정한다. 동물에게 다양한 먹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연생태계의 원리에 부합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각종의 섭식상태 및 먹이 선호도를 고려하 여 풍부하고 다양한 먹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식생천이를 조절하 여 다양한 식생이 성립되게 하여 먹이연쇄를 복잡하게 유도할 수 있다. 완충지는 활동 및 시설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

136 역의 훼손 및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시설이 개발되는 지역과 인접한 하천주변, 야생동물서식지 주변, 자연 식생군락의 주변 등에 조성하도록 한다. 물은 포유류나 조류 모두 직 간접적으로 필수적인 요소로, 음수용의 제공 및 먹이, 번식지의 제공, 도피, 피난처 휴식처 등을 제공한다. 주 변의 물 즉, 하천, 소하천, 연못, 저수지, 습지의 요소를 지닌 곳에 야생 조수를 유치 유인하기 위한 환경조성에 비중을 두도록 한다. 저습지와 같은 환경은 빈영양상태가 부영양화 되면서 생산력이 증대되어 야생동 물의 종 및 개체수가 증가하게 되어 수많은 조류 및 야생동물에게 가장 적합한 서식환경이 된다. (4) 테헤란로 일대 이동통로 조성에 대한 제언 (가) 횡적이동통로로서의 덤불숲의 조성 貧 생물다양성 지역(Poor biodiversity pool area) 및 잠재 생물다양 성 보유지역(Potential biodiversity pool area)에 인공적으로 덤불숲 을 조성한다. 빈생물다양성 지역은 역삼역에서 선릉역까지 그리고 잠재 생물다양 성 보유지역은 무역센타 앞에서 강남소방서 까지 도로변에 좌 우에 30m간격으로 그림 와 같이 덤불숲(Bush file)을 조성하면 조류 의 유치에 유리하게 기여할 것이며, 종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진성여중, 도곡초등학교 그리고 대명중학교, 휘문중학교 등지로 이동할 수 있는 종적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137 그림 횡적이동 통로 조성기법 사례 (나) 화단 및 풀밭 조성 현재 획일화된 조경을 한 중앙분리대를 다양한 초본과 일부 관목이 어우러지는 풀밭으로 꾸미기. 중앙분리대의 화단을 연계하여 조성하고 인접지역에 약간의 수계(작은 수로나 연못)를 조성하면 보다 다양한 동물상의 도입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 거점녹지 중에 학교 교정 및 아 파트단지내의 화단 및 녹지를 자연형으로 가꾸기. 나비류, 꿀벌류, 꽃등에류, 일부 풍뎅이류, 하늘소류 등의 방화성 곤충 류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넥타를 공급할 수 있는 현화식물을 식재한다. 잔디의 조성보다는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풀밭을 방치하며 그 곳의 일 부에 방화성 곤충류가 찾아올 수 있는 꽃식물을 심는다. 아울러, 획 일적으로 잔디를 조성한 거점녹지보다 다양한 하부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초본을 인공 식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식물을 먹이원으로 이용하거나 휴식처로 이용하는 메뚜기류, 꽃벌류, 매미충류, 하늘소류, 무당벌레류, 멋쟁이나비류, 흰나비류 등등의 여러 가지 곤충류를 그 풀밭에 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먹이망의 형성이 되면 잠자리류, 사마귀류, 거미류, 양서류, 조류 등의 상위 포식자 도입 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조성된 biotop의 생물다양성은 높아질 것이다

138 4. 토양 가. 연구내용 도심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삼성교~강남역의 4km 구간의 중앙 분리대 토양 조사를 실시하였다. 나. 연구 방법 강남역(화단 No.1)~삼성교(화단 No.37)의 4km 구간에는 총 37개 의 분리대 화단이 조성되어 있었으며, 이 37개의 화단의 토양에 대해 토양 물리 화학적 성질을 기준으로 사전 조사를 한 결과 토양 특성이 상이한 10개 지점(Site 1~10)으로 선별할 수 있었다. 이 선별된 10 개의 토양 군에 대한 토양 물리성 및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공시 토양의 이화학성 및 물리성은 농촌 진흥청 농업 기술 연구소의 토양분석법(1988)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ph와 EC는 1(soil weiht) : 5(H2O volume)로 침출하여 유리 전극으로 측정하였으며, 유기물 함 량은 Tyurin법으로, TKN은 황산 및 촉매 하에서 block digest로 분 해하여 kjeldahl 증류한 후, 적정하였고, 유효인산은 Bray No.1 비색법 으로 측정하였다. 양이온 치환 용량은 1N ammonium acetate(ph 7) 로 치환 후 세척, 증류 및 적정하여 측정하였다. 토양 물릴성 중 입도 분석은 피펫법으로 측정 후 토성은 미국 농무성 법에 준하여 분류하였고, 가밀도는 soil core로 토양을 채취한 후, 수분 함량과 무게를 산출하여 계산하였으며, 토양 경도는 야마자키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효토양 깊이의 측정은 1.5m soil aug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39 다. 연구 결과 (1) 공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도심 중앙 분리대 화단 토양이 식물 생육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 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 3.4.1은 조사 항목 및 측 정 값을 나타내고 있다. ph는 대체로 식물 생육에 적합한 중성 토양 (6.52~7.8)을 띄고 있었으며, 8~10 site의 경우 ph가 다소 높은 경 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토양 염분 농도의 지표를 나타내는 EC(전기전 도도) 값은 1, 2번 지점을 제외하고는 0.98~2.17 ds m-1로 대체로 양호한 값을 보였다. CEC는 토양의 양분 보유능 혹은 비옥도를 나타내 는 수치로, 5.89~8.13의 값을 보이고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비옥한 경 작지 토양의 용량(10~12cmol(+) kg-1)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이 는 객토 및 복토의 과정에서 사토가 타소 많이 혼입되었기 때문이다. 토양 중 질소(TKN) 및 탄소(O.M)는 대체로 식물 생육에 적합한 함량 을 나타내었으며, 잦은 퇴비의 시용으로 유기물의 함량은 평균치를 웃 도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유효인산은 2번 지점을 제외하고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화단 토양에서도 인산 고정 현상이 많이 진행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ite ph EC 1 CEC 2 TKN 3 O.M. 4 5 Avail-P 2O 5 (화단 No.) (1:5 H 2 O) ds m -1 cmol (+) kg -1 % mg kg -1 1 (1) (3) (4) (5) (8) (12) (19) (25) (31) (37) EC: 전기전도도, 2 CEC: 염기치환용량, 3 TKN: 전질소, 4 O.M: 유기물 5 Avail-P 2O 5: 유효인산

140 (2) 공시 토양의 물리적 특성 토양 이화학성과 더불어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항목 및 측정값은 표 3.4.2와 같다. 입경분포에 따른 토성은 7번 지점(양질 사토)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대체로 식 물 생육에 적합한 SL(사질 양토)를 띄고 있었다. 토양 수분 및 공기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bulk density(가밀도)는 대체로 1.1 g cm3-1정 도를 보여 식물 생육에 양호한 토양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물 뿌 리의 침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hardness(토양경도)는 0.76~ 3.4cm를 보여 분리대 화단 간 상이한 값을 보였다. 대체로 2cm이하의 값을 보이는 토양이 식물 생육에 적합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7, 9번 지점(각각 3.14cm)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양호한 값을 보이고 있었 다. 유효 토심의 측정은 자갈 및 바위 위 층인 식물 생육이 가능한 작 토층의 깊이를 유효 토심으로 하였고, soil aug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 으며, 대체로 45~60cm 정도의 깊이를 보이고 있었다. 표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Particle size Soil Bulk Hardness 1 Available Site distribution textural density (min~max) soil depth (화단No.) Sand Silt Clay class % g cm 3-1 cm cm 1 (1) SL (0.3~1.4) 45 2 (3) SL (0.5~1.5) 60 3 (4) SL (0.3~2.5) 50 4 (5) SL (1.4~3.2) - 5 (8) SL (12) SL (0.8~3.0) - 7 (19) LS (1.6~4.4) - 8 (25) SL ~2.25) - 9 (31) SL (2.0~4.5) (37) SL Hardness: 토양 경도, 2 SL: 사질 양토, 3 LS: 양질 사토

141 5. 미기후 가. 연구목적 도심에서는 식생과 토양대신 콘크리트 건물 및 아스팔트 포장의 불투 수면이 우점하며, 이는 도심의 대기온도를 높이는데 일조한다. 도시녹 지는 증발산의 역할을 통해, 또한 도시수목은 부가적으로 인공구조물에 도달하는 태양복사를 차단하거나 흡수하는 기능을 통해 대기온도를 낮 춘다. Ackerman(1985)에 의하면, 미국 Chicago시의 온도는 주변 농촌지 역보다 여름철 맑은 날 오후에 3 더 높았고, 흐리고 바람부는 시간대 에는 1 더 높았다. Akbari et al.(1992)은 미국 St. Louis 도심의 온도는 교외지역보다 1~4 더 높았으며, 온도 1 상승은 미국 전체 의 최대시냉방전력 요구를 약 4% 증가시킴을 보고하였다. 윤용한 등 (1998)은 일본 동경내 특정공원의 녹지가 바람 하류측 인근 시가지의 기온저하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미기후는 특정한 공간 내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 친다. 도시의 고층건물은 광선을 차단하여 북측에 음지를 형성하고 온 도와 습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식물의 식재는 정상적 생장을 유도하 기 위해 이러한 미기후 조건을 반영한 식물종 선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 Corridor 조성 시범 구간인 서울시 강남구 테 헤란로를 대상으로 식물생장의 영향요소인 미기후를 측정하고, 인근 지 역의 일반적인 기후조건과 비교하여 적합한 식물종 선정 및 식재를 위 한 기반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목적은 도시녹지가 온도, 습도 등 미기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도시 녹지 공간의 생태 Corridor 설계에 적용시켜 생태 Corridor 조성의 효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142 나. 연구방법 (1) 생태코리도 조성구간 미기후 현지측정 계절을 대표할 2월 초순, 4월 중순, 8월 초순, 10월 중순의 4회에 걸쳐, 특정일에 하루 24시간 동안 온도, 습도, 광도, 풍향 및 풍속을 측 정하였다. 겨울의 경우 1월 중순에 측정함이 바람직하나 생태코리도 조 성 시범구간 확정이 늦어져 2월초에 측정하였다. 테헤란로 보도와 차도 사이 약 3m 높이에 기상측정기(Tripod Weather Station, Campbell Scientific Inc.) 본체를 가로수 수간에 부착하고, 상기한 기상 조건을 30분마다 자동측정 및 저장하도록 설정하였다. 한편, 강남구 삼릉초등학교 약 10m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기상청의 자동기상측정망에서 측정한 최근 3년간(2000~2002) 기상자료를 분 석하였다. 그리고, 현지측정일 동일 시간별 온도, 풍속 및 풍향자료를 구입하여 대상지의 미기후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2) 음영분석 생태코리도 시범조성 구간(탄천~삼성역, 400m)의 최대 및 최소 그 림자 길이를 파악하기 위해,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계절별 오전 8시 부터 오후 4시까지 한시간 간격으로 음영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축척 1:500 수치지형도와 AutoCAD를 이용하였다. (3) 녹지의 미기후 개선효과 예측 (가) 수목피도별 미기후 측정 생태코리도 시범조성 구간에서 식재를 통한 녹지면적 증진이 미기후 개선에 영향하는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일종의 시뮬레이션 과정으로 춘천시를 대상으로 녹지면적 차이에 따른 미기후 변화를 실측하였다. 우선 예비조사를 통해 녹지면적 차이에 따른 총 6개 측정지점을 선정 하였다

143 지점 선정 시 녹지의 미기후 개선효과 예측과 관련된 신뢰성 및 타당 성을 감안하여, 하천에 의한 온도완화거리 315m(박인환 등, 2000)를 근거로 반경 300m 이내에 하천, 호수 등이 분포하는 지점은 제외하였 고, 활엽수와 침엽수의 온도 저감차이를 고려하여 모두 활엽수가 우점 하는 지점을 선정하였다. 측정지점은 미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표 면재료와 풍향을 반영하여, 대체로 도로의 폭과 방향, 인접 건물의 높 이가 유사한 도로변을 선정하였다. 6개의 지점 중 녹지면적이 상대적으 로 적은 3개소는 도심에서, 나머지 3개소는 녹지가 비교적 풍부한 강 원대학교 구내에서 각각 선정하였다. 선정지점을 실사하여 직경 30m의 원내에 분포하는 녹지면적, 수목피 도, 수관체적, 표면재료 유형별 면적 등을 실측하였다. 도심의 3개 지점 에는 지상 3m 높이에 기상측정기(Tripod Weather Station, Campbell Scientific Inc.)를 부착하고, 강원대학교 내에는 동일 높이 에 소형 백엽상을 부착한 후 자기온습도계 (Sato의 R-704)를 설치하 였다. 그리고, 7월 하순, 8월 중순, 9월 중순의 맑은 날 3회에 걸쳐 하 루 24시간 동안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및 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측정 은 여름철의 녹지효과를 파악할 의도이었으나, 8월 하순의 빈번한 강우 로 인해 부득이 9월 중순으로 연기되었다. 온도 및 습도는 동일 기기의 확보수가 부족하여 두 종류의 기기로 측정되었는데, 양 기기간의 측정 편차를 파악하여 보정하였다. (나) 알베도 및 표면온도 측정 상기한 미기후 측정지점 주변에 분포하는 주요 표면재료를 대상으로 알베도와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즉, 낡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럭, 나지, 밝은 회색 벽면의 알베도를 Pyranometer(LI-COR의 LI-200SA)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8월 중순 미기후 측정시 오전 9 시, 정오 및 오후 3시경의 3회(매회 5반복)에 걸쳐 실시하였고, 이때 표면의 온도도 함께 측정하였다

144 다. 연구결과 (1) 계절별 미기후 변화 측정지점의 피도 및 녹지면적비는 각각 7% 이었다(표 ). 표 면재료 구성비는 아스팔트 포장 66%, 콘크리트 블럭 포장 19%, 화강 석 블럭 포장이 15%를 점유하였다. 표 녹지 및 표면재료 구성비(%) 피도 녹지면적비 표면재료 구성비 콘크리트 블럭 화강석 블럭 아스팔트 포장 생태코리도 조성 구간의 계절별 미기후 실측 결과는 표 3와 같다. 2월 초순 하루 중 온도는 최고 5.0, 최저 -1.1, 평균 1.1 이었고, 습도 는 최고 58.0%, 최저 23.7%, 평균 41.6%이었다. 주간광도는 최고 20,417 lm(lumen), 최저 71 lm, 평균 4,910 lm이었고, 풍속은 최대 4.2m/s, 평균 1.1m/s로 나타났다. 4월 중순 실측치 중, 온도는 최고 21.0, 최저 9.4, 평균 13.3 이 었고, 습도는 최고 91.3%, 최저 25.1%, 평균 60.7%이었다. 주간광도 는 최고 8,128 lm, 최소 120 lm, 평균 2,629 lm이었으며, 풍속은 최 대 4.3m/s, 평균 0.8m/s로 나타났다. 8월 초순의 온도는 최고 34.4, 최저 24.0, 평균 27.3 이었고, 습 도는 최고 93.8%, 최소 50.1%, 평균 76.9%이었다. 주간광도는 최고 30,199 lm, 최소 40 lm, 평균 3,368 lm이었고, 풍속은 최대 22.1m/s, 평균 3.0m/s로 나타났다. 10월 중순의 온도는 최고 19.5, 최저 11.1, 평균 14.3 이었고, 습도는 최고 90.3%, 최저 46.8%, 평균 71.1%이었다. 주간광도는 최

145 고 17,783 lm, 최소 1.4 lm, 평균 2,914 lm으로 나타났다. 풍속은 최 대 10.7m/s, 평균 1.9m/s이었다. 2월 및 4월 최대 풍속은 4.2~4.3m/s로서, 일반적으로 수목에 유의한 해를 줄 수 있는 풍속인 10m/s(오휘영 등, 2001)보다 낮았다. 그러나, 8월 및 10월의 경우 최대 풍속이 10.7~22.1m/s로서 순간적으로 매 우 강한 바람이 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종 선정시 심근성 수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재 시에는 수목지지대를 설치하는 등 풍해에 대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 월별 미기후 변화 변 수 온도 ( C) 습도 (%) 광도 (lm) 주간 광도 풍속 (m/s) 2월 초순 4월 중순 8월 초순 10월 중순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 ,263 8, ,359 30, ,762 17, ,459 20, ,910 8, ,629 30, ,368 17, ,

146 6 5 4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온도변화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온도변화

147 온도( ) :00 22:00 2:00 6:00 10:00 14: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온도변화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온도변화

148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습도변화 습도(%) :00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18: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습도변화

149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습도변화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습도변화

150 광도(lm)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광도변화 광도(lm) :00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18: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광도변화

151 광도(lm) :00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초순 시간별 광도변화 광도(lm) :00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중순 시간별 광도변화

152 5 4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평균 최대 최소 그림 월 초순 시간별 풍속변화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18:00 시간 평균 최대 최소 그림 월 중순 시간별 풍속변화

153 25 20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평균 최대 최소 그림 월 초순 시간별 풍속변화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평균 최대 최소 그림 월 중순 시간별 풍속변화

154 2월 초순 풍향(표 )은 남동풍이 36%, 남서풍이 33%를 점유하 였고, 이어서 북동풍이 19%를 차지하였다. 4월 중순 풍향은 남동풍이 56%를 우점하였고, 북동풍이 29%를 점유하였다. 8월 초순 풍향은 북 동풍이 63%, 남동풍이 23%를 각각 차지하였다. 10월 중순 풍향은 남 서풍이 52%, 북동풍이 27%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월~10월 의 전체 풍향은 동풍(NEE~SEE) 50%, 서풍(SW-W~NWW)이 23%로서, 이는 테헤란로가 동서방향으로 분포하고 좌우변에 고층건물 이 위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월별 풍향의 빈도(%) 방위 2월 초순 4월 중순 8월 초순 10월 중순 전체 N NNE NEE E SEE SSE S SSW SW W W NW W NNW 주풍향

155 (2) 자동기상측정망 자료 비교분석 최근 3년간 강남구 자동기상측정망 자료의 월별 평균 온도는 표 과 같다. 미기후 측정일이 포함된 2월의 평균온도는 자동기상측 정망 0.3, 실측지점 0.6 로서, 실측지점이 0.3 높았다. 4월의 경 우는 자동기상측정망 13.4, 실측지점 13.3 로서 서로 유사하였다. 8월의 평균온도는 자동기상측정망 26.2, 실측지점 27.3 로서 실측 지점이 1.1 높았다. 10월의 경우 자동기상측정망 15.2, 실측지점 14.3 로서, 실측지점이 0.9 낮았다. 표 최근 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분석( ) 월 최고 최저 평균 전년 13.1 최근 3년간 강남구 자동기상측정망 평균 풍속은 표 와 같다. 미기후 측정일이 포함된 2월의 평균 풍속은 자동기상측정망 1.9m/s, 실측지점 1.0m/s로서, 실측지점이 0.9m/s 낮았다. 4월의 경우 자동기 상측정망 2.3m/s, 실측지점은 1.0m/s로서, 실측지점이 1.3m/s 낮았다. 8월 평균 풍속은 자동기상측정망 1.9m/s, 실측지점 3.0m/s로서, 실측

156 지점이 1.1m/s 높았다. 10월의 경우 자동기상측정망 1.7m/s, 실측지 점 1.9m/s로서 서로 유사하였다. 표 최근 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분석(m/s) 월 2000년 2001년 2002년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전년 최근 3년간 강남구 자동기상측정망 자료의 2월 풍향은(표 ) 북서풍이 우세한 반면, 실측지점의 경우 남동풍이 우세하였다. 4월의 풍향은 자동기상측정망에서 남서풍이, 실측지점에서는 남동풍이 각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자동기상측정망의 주풍향은 북서풍이었 고, 실측지점의 경우 북동풍이었다. 10월의 주풍향은 자동기상측정망에 서 북서풍이었고, 실측지점에선 남서풍이었다

157 표 최근 3년간(2000~2002년) 자동기상측정망 풍향분석(%) 연도 계절 N N E N E N E E E S E E S E S S E S S S W S W S W W W N W W N W N N W N 봄 여름 가을 겨울 평균 봄 여름 가을 겨울 평균 봄 여름 가을 겨울 평균 현지측정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의 온도 및 풍속은 표 과 같다. 실측지점의 2월 평균 온도는 1.1 로서 자동기상측정 망 자료의 평균 온도인 1.0 와 유사하였다. 4월이 경우도 실측지점 13.3, 자동기상측정망 13 로서 서로 유사하였다. 8월의 평균 온도 27.3 로서, 자동기상측정망의 26.4 보다 0.9 높았다. 10월의 경우 도 실측지점 14.3, 자동기상측정망 14.4 로서 서로 유사하였다. 2월 실측지점의 평균 풍속은 1.1m/s, 자동기상측정망 1.9m/s로서, 실측지점이 0.8m/s 낮았다. 4월의 경우도 실측지점 0.8m/s, 자동기상 측정망 1.5m/s로서 실측지점이 0.7m/s 낮았다. 8월의 경우 실측지점

158 에선 3.0m/s, 자동기상측정망은 1.8m/s로서 실측지점이 1.2m/s 높았 다. 10월의 경우도 실측지점 1.9m/s, 자동기상측정망 1.6m/s로서, 실 측지점이 0.3m/s 높았다. 표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기상자료 분석 변 수 2월 초순 4월 초순 8월 중순 10월 중순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온도( ) 풍속(m/s)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159 25 20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160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온도 5 4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61 4 3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6 5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162 풍속(m/s)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그림 월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속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향빈도는 표 와 같다. 2 월에는 북서풍이 58%를 점유하였으며, 4월의 경우 남동풍이 58%를 차지하였다. 8월에는 남동풍이 50%를 점유하였고, 10월의 경우 남동 풍이 3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3 표 실측일 동일 시간별 자동기상측정망 풍향빈도(%) 방 위 2월 4월 8월 10월 N NNE NEE E SEE SSE S SSW SWW W NWW NNW 주 풍 향 (3) 계절별 음영분포 그림자 길이가 가장 긴 동지의 경우, 가장 높은 미래에셋빌딩의 그림 자 길이는 건물고의 최대 8배인 500m에서 최소 1.7배인 104m로 나 타났다(표 ). 그림자 길이가 가장 짧은 하지의 경우, 미래에셋빌 딩의 그림자 길이는 건물고의 최대 1.3배인 79m에서 최소 0.3배인 18m로 나타났다

164 하지의 경우(그림 ), 테헤란로 남측보도는 건물 그림자에 의한 영향을 받았으나 북측 보도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분 및 추분에는(그림 ) 북측 보도의 일부분만이 건물 그림자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동지에는(그림 ) 테헤란로 전체가 그림자에 의 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계절별 및 시간별 그림자 길이(m) 계절 동지 하지 춘분 및 추분 건물명/건물고(m) 시간 동아빌딩/ 애드빌딩/ 미래에셋/ 진성빌딩/ 슈페리어/ 유화빌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하지 음영분포

166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춘분 및 추분 음영분포

167 그림 코리도 조성 시범구간의 동지 음영분포

168 (4) 수목피도별 온습도 차이 7월 하순, 8월 중순 및 9월 중순 3회 측정한 주간(오전 7시~오후 7시) 평균 온습도의 차이는 표 과 같다. 온도는 수목부재 지점 (0%)에 비해, 수목피도 8%인 지점에서 0.6, 피도 24% 1.3, 피도 44% 2.4, 피도 79% 3.5, 피도100% 4.8 로 각각 낮아지는 현상 을 보였다(그림 ). 반면, 습도는 수목부재지점(0%)에 비해, 수 목피도 8%인 지점에서 1%, 피도 24%인 지점에서 5.1%, 피도 44%인 지점에서 9.3%, 피도 79%인 지점에서 15.1%, 피도 100%인 지점에 서 21%로 각각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주간 최고 온도는 수목피도 100%인 지점에서 평균 32.7, 수목부 재 지점에서 26.5 로서, 수목피도 100%인 지점이 수목부재 지점보다 6.2 높았다. 이 최대 온도차는 오후 14시~15시에 나타났다(그림 ~3.1.56). 주간 최고 습도는 수목피도 100%인 지점이 평균 93.7%이었고, 수목부재 지점은 79.5%로서 14%의 차이를 보였다(그 림 ~3.1.59). 표 수목피도에 따른 주간 평균 온습도 차이 수목 피도 (%) 7월 하순 8월 중순 9월 중순 평균 온도 ( ) 습도 (%) 온도 ( ) 습도 (%) 온도 ( ) 습도 (%) 온도 ( ) 습도 (%)

169 온도( ) 수목피도(%) 온도 습도 습도(%) 그림 수목피도별 온습도 변화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하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170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온도( )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온도변화

171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하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172 습도(%) :00 21:00 0:00 3:00 6:00 9:00 12:00 15:00 시간 0% 8% 24% 44% 79% 100% 그림 월 중순 수목피도에 따른 시간별 습도변화 수목피도별 온습도 측정 시 함께 측정한 주간 광도는 4,274 lm이었 다. 풍속은 최대 2.4m/s이고 평균 0.5m/s이었다. 풍향은 북서풍과 남 서풍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알베도 및 표면온도 수목피도 측정지점별 표면재료의 구성비는 표 과 같다. 녹지면 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심 3개 지점(수목피도 0~24%)의 표면재료 구성비는 건물 24~53%, 아스팔트 포장 29~50%, 콘크리트블럭 포장 18~21%의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가 비교적 풍부한 강원대학교 구내 3개 지점(수목피도 44~100%)의 경우는 잔디를 포함한 나지가 54~ 100%로 우점하였다. 수목피도 측정지점별 수관체적은, 수목부재 지점 에서 1.6m3, 피도 8%에선 113.1m3, 24% 259.0m3, 44% m3, 79% m3, 100% m3로 각각 나타났다

173 표 수목피도 측점지점별 표면재료 구성비(%) 표면재료 수목피도 0% 8% 24% 44% 79% 100% 콘크리트블럭 포장 아스팔트포장 나 지 건 물 잔 디 표면재료의 알베도는 낡은 아스팔트가 평균 0.15, 회색 콘크리트블럭 0.18, 나지 0.29, 밝은 회색의 화강석벽면 0.35 등이었다. 즉, 밝은 색 계통의 표면이 더 높은 알베도를 나타냈다. 지표온도는 하루 평균 아스 팔트 포장 37, 콘크리트 블럭 포장 36, 나지 29 로서, 나지의 경 우 콘크리트블럭 또는 아스팔트 포장보다 7~8 낮았다. (6) 옥상녹화의 미기후개선 및 에너지절약 효과 옥상녹화는 도시녹지가 제공하는 효과처럼, 생물서식 공간을 마련하 고 우수를 저류할 뿐만 아니라, 미기후를 개선하고 대기를 정화하는 환 경생태적 효과를 발휘한다. 콘크리트가 우점하는 도시에 자연성을 부여 하여 경관미를 증진하고, 시민의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제공하여 스트레 스를 완화하는 심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옥상의 외기변 화에 따른 영향을 완화하여 노면 및 방수층의 노화를 방지하는 등 건물 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상업건물의 경우 이미지성을 개선하여 고객유 치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이들 효과는 결국 부족한 자원을 절약하여 경 제적으로 유익한 도시환경을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상기한 다양한 효과 들 중, 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에너지절약의 연구사례를 제시하면 아래 와 같다. (가) Wong 등(2003a)에 의하면, Singapore에서 가을철 오후 불

174 투수 옥상표면의 최대 온도는 57 이고, 옥상녹화의 경우는 식 물 피복밀도에 따라 27~36 로서 식물녹화에 의한 온도감소 는 최대 30 이었다. 옥상의 열유입량(heatgain)은 불투수면에 서 366kJ/m2이고 녹화부분은 식물종에 따라 0~29kJ/m2로 서, 녹화는 차양을 통해 건물에의 열유입을 저감하고 도시열섬 현상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옥상녹화는 식 재식물 상부 30cm 높이의 경우 대기온도를 비녹화 옥상에 비 해 최대 4.2 감소시켰다. 또한, 식재부분은 불투수면에 비해 더 적은 태양열을 반사하였고 그 최대차는 109W/m2이었다. (나) Wong 등(2003b)은 Singapore의 5층 상업건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에 의한 에너지절약 효과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30cm 깊이 토양의 관목식재는 비녹화 옥상에 비해 연간 약 15%의 에너지를 절약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다) 일본의 연구사례에 따르면(강병희 등, 2003), 옥상녹화는 아 래층 방의 실온을 2.0~2.4 감소시켰고, 여름철 맑은 날의 하루 열에너지 차폐효과는 약 0.56kWh/m2로서 5.4엔/m2에 상당하는 냉방비용을 절약하였다. 이를 도쿄도에 적용하면, 전 체 평지붕 면적의 50%를 녹화할 경우 하루 1억 1,100만엔 정 도의 전력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수목피도 10% 증가는 주택 냉방에너지를 미국 Phoenix시에 서 연간 12%, Sacramento시에서 24% 절약하였다(Huang 등, 1992). 그 냉방에너지 절약의 대부분은 증발산 효과에 의 한 것이며, 나머지 10~30%가 차양에 기인하는 것으로나타났 다. (마) 조현길과 안태원(1999a)은 도시수목의 증산량이 생장기간 중 7, 8월의 여름에 가장 많았고, 단풍나무의 경우 단위엽면적 당 증산량은 130~140g/m2/h임을 측정한 바 있다. 단풍나무 한

175 그루의 8월 하루 증산량은 5,100kcal/h(15평형) 냉방능력을 가진 냉방기 2대를 약 13시간 가동하는 효과와 같았다. (바) 콘크리트면의 알베도는 잔디 및 수목보다 높았으나 증발산의 역할이 부재하여 하루 중 표면온도가 지속적으로 높았다(조현 길과 안태원, 1999a). 콘크리트면의 온도는 잔디면보다 주간의 오후에 최대 8 더 높았다. 수목피도 12% 및 22%인 장소의 여름철 온도는 식생부재의 장소보다 각각 0.6, 1.4 더 낮 았다. (사) 도시수목은 피도가 약 10%인 주거지구에서 냉방에너지를 연 간 호당 약 10%인 130kWh, 난방에너지를 1%인 1,210MJ 각각 절약하여, 약 31,000원의 냉난방에너지 비용을 절감하였 다(조현길과 안태원, 1999b). 수목피도가 약 20%인 주거지구 에서는 냉방에너지를 연간 호당 약 19%인 180kWh, 난방에너 지를 2%인 2,130MJ 각각 절약하여, 피도 10%인 주거지구보 다 약 2배 많은 49,000원의 냉난방에너지 비용을 절감하였다. 위의 연구사례와 같이, 옥상의 수목, 초본 및 토양으로 구성되는 녹 지는 증발산과 차양의 역할을 통해, 미기후를 개선하고 건물 에너지를 절약하여 도시생활환경의 쾌적성 및 경제적 유익성에 기여한다. 즉, 식 물의 증산은 顯 熱 (sensible heat)을 潛 熱 (latent heat)로 바꾸어 주변 온도를 감소시키며, 그리고 식물은 인공구조물에 도달하는 태양복사를 차단하거나 흡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국내의 대부분 옥상은 식생과 토양 대신 콘크리트 위주의 불 투수면이 우점하여 도시열섬 현상을 초래하고 에너지 소비를 가중시킨 다. 옥상녹화 면적도 미흡하지만 옥상녹화의 효과를 연구한 국내 사례 도 드문 것으로 안다. 본 연구는 추후 옥상녹화 시범사업이 진행되면 알베도, 온도, 습도 등의 측정을 통해 미기후개선의 효과를 파악할 예 정이다

176 6. 경관 가. 연구내용 본 과업은 인간생존환경 중심의 삭막하고 건조한 도시공간에 소생물 을 포함한 다양한 개체의 생명들이 도입하여 좀더 다양한 생물생존환 경 중심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인간의 생존환경을 개선시키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도심에 생태 corridor를 조성하고자 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그림 정주환경 향상을 위한 디자인 이미지

177 나. 연구방법 및 분류 인간이 정주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시의 기본이 되는 물과 녹 의 경관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향상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도시 전체로 의 공간형성이 중요시된다. 이러한 도시공간을 연출하고자 하는 방법과 유형으로는 물의 도입이나 여러 형태의 녹을 도입하거나 가로 스케일 의 조정 등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며, 가로를 구성하는 여러 시설물들의 정비를 통하여 도시경관을 연출하는데 그 바탕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될 과제 가 대상지의 성격 규명이라고 판단하였다. 과업의 대상지는 일직선상의 축선을 구성하고 있는 왕복 8차선의 대 로임을 감안할 때,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경관부분에서는 본 과업대상지를 크게 생태코리더 조성 이라는 과제와 함께 가로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가로경관 에 대한 검토를 병행하여 그 가로경관에 대한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 경관요소로서는 아래 표 과 같이 생태코리더 조성 과 가 로경관조성 이라는 2개의 큰 축을 중심으로 각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별 개선방향을 검토하였다

178 그림 경관요소들의 분류 다. 대상지 현황 및 해결방안 (1) 생태 corridor조성 (가) 건축물 1 옥상 가 대상지 현황 테헤란로의 주변에 옥상 녹화가 된 곳은 서울르네상스호텔과 주변의 상록회관을 제외하고는 거의 미흡했다. <서울르네상스호텔> <상록회관> 그림 대상지내 건물의 옥상녹화 나 해결방안 도심지내의 녹화기법으로 옥상정원을 들 수 있는데, 한정된 현재 도

179 심의 녹의 공간을 증대하기 위해서 옥상 녹화가 중요한 해결방안의 하 나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옥상의 녹화는 건물의 하중이나 커 다란 수목의 뿌리 등으로 구조물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가 있으므로 중 목 이상의 수목보다는 소교목이나 관목 또는 지피류를 식재함으로서 그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옥상 녹화는 도시내 녹지의 체계로 볼 때 점적인 요소로써 가로의 선적인 요소와의 결합으로 하나의 커다란 도시 숲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생태학적으로도 부 족한 도심지내의 생물서식지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소로서 작용 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자연환경의 회복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인간 과 다른 생물과의 공존을 통하여 인간 거주 환경의 개선 효과를 가져 올 수가 있을 것이다. <서울시청별관 옥상> <acros 후쿠오카> 그림 옥상녹화 사례 2 벽면 가 대상지 현황 고층빌딩군으로 이루어진 테헤란로는 건물의 벽면이 무미건조한 콘 크리트나 유리로 되어 있어 난반사가 심하고 답답한 도시경관을 형성 하고 있다. 이러한 곳에 벽면녹화는 도심내 부족한 녹지의 확보라는 측 면과 시각적 안정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180 <동부금융> <인터콘티넨털 호텔> 그림 대상지내 빌딩 나 해결방안 벽면녹화는 생울타리나 건물의 콘크리트면 자체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곳에 흡착성이 있는 덩굴로 녹화하거나 벽면에 넝쿨책을 설치 하여 벽면피복이 가능한 식물로 식재한다면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쾌적한 도시미관 조성과 더불어 도시민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향상시켜주는 등 도시공간에 긍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특히, 생태학적인 효과로서 곤충 및 조류 등의 서식처 및 피난처로서의 기능 을 가지며, 인근의 정원이나 생태공원, 하천 등과 연계됨으로써 지역전 체의 생태계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독일 프랑크프루트> <일본 동경> <일본 동경> 그림 해외 벽면녹화 사례

181 그림 벽면 녹화 공법 3 옥외공간 가 대상지 현황 건물의 옥외공간은 건물내로의 진입을 위한 집합광장적인 성격을 위 주로 하여 건물내 상주인구와 통행인들에게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곳이다. 이러한 공간에 일부 불법주 정차, 노점상 등의 무 단점거로 인한 통행의 불편 및 경관적 이질감이 가장 큰 문제로 작용하 고 있다. 이러한 테헤란로 주변 건물의 외부공간은 판석으로 포장을 하고 인공 지반을 조성하여 수목을 식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관점이 아 닌 건물의 이미지를 고려한 공간으로 조성하다보니 보행자나 건물 이 용자들에게 작은 휴식공간을 줄 수는 있지만 도심공간내 녹을 도입하 여 생태적 공간으로의 전환을 꽤한다는 측면에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182 <포스코빌딩옥외공간> <일본 요꼬하마> <일본 전정녹지> 그림 옥외공간 사례 나 해결방안 옥외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조성되어있는 점적인 소규모 녹지의 녹피율과 녹시율 및 녹적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용자들 에게 쾌적성을 확보하여줌과 동시에 곤충류나 새들의 서식처로의 이용 이 가능한 녹지대의 형성이 요구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도심내 물의 도입은 녹의 도입과 함께 생태공간 조성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물은 도심의 건조한 공기에 습기를 제공함으로써 도시민들의 건강에 기여하면서, 물이 주는 청량감, 역동 성 등 시각적인 측면, 도심의 기계적인 소리에서 물의 흐름에서 자연의 소리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심리적인 안정감의 유발 등 다양한 역할이 기대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물은 녹지와 더불어 생물의 생존과 밀 접한 연관성을 가지면서 녹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곤충 및 소생물들에 게 서식과 번식 및 생육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 <일본의 보행로> <일몬 고베> <싱가폴 광장분수> 그림 옥외공간 해외사례

183 4 실내공간 가 대상지 현황 대상지내의 건축물들의 내부는 공공성보다는 건물내 상주하는 사람 들의 이동로로서만 활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 해결방안 실내에 녹을 도입한다는 것은 자연을 인공구조물 안으로 끌어들이려 는 노력에서 시작된다. 건물의 밖에 조성된 녹지를 건물의 안에까지 도 입함으로써 단지 도심내의 외적인 경관만을 고려한 계획이 아닌 빌딩 의 안까지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줄 수가 있다. 이러한 실내정원은 이용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 및 실내습도 조절 기 능 등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실내에서의 환경압, 즉, 햇빛의 부족으로 인한 생장 저해, 실내의 건조로 인한 고사문제 등이 최우선 해결과제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수목에게만이 적용되는 문제라기 보다는 그곳에 상주하는 우리 인간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또한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관엽식물 위주의 식재패턴에서 적응력이 높은 온대 및 한대식물의 도입의 증가 및 실내공간내에서 작용되는 환 경압의 저감방법과 적합 수종의 개발이 요구된다. <실내수벽> <일본 요꼬하마시내> 그림 실내공간 해외사례 (나) 도 로 1 가 로

184 가 대상지 현황 테헤란로의 가로수는 간선도로변에 길게 식재되어 도심내에 길다란 녹지의 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높다란 건물들 사이로 형성되 는 건축선들의 시각적인 차폐 및 완화효과를 가질 뿐만이 아니라 작은 곤충류나 새들이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조성된 건 물의 외부공간인 소공간들을 하나의 독립된 요소로서 존재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로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대규모 선적 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 을 것이다. <도로중앙의 환풍기> <테헤란로> 그림 연구대상지 도로 현황 나 해결방안 단일수종으로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어 단순한 형태만을 가지는 가로 로 되어 있고, 도로의 중앙에 중앙분리대 형태의 소규모 녹지가 존재하 고 있을 뿐이다. 도로 분리대 사이사이에 지하철의 환풍기가 돌출되어 있어 관목류의 식재를 통한 차폐식재가 되어 있으나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보행로와 도로와의 경계가 펜스로 되어 있으나 도심의 부족한 녹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공간에 생울타리를 도입하여 녹피지를 넓히면서 곤 충류나 작은 새들이 은신처 등으로서 이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85 그림 일본 동경 사례 그림 예제

186 (2) 가로경관 조성 (가) 건축물 1 건물 가 대상지 현황 테헤란로의 건축물은 일부분의 건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직사각형 의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건물의 재료와 색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타일류나 콘크리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면서 각 건 축물마다 특색을 보이려고 경관을 고려하지 않는 색채를 사용하고 있 다. 그림 테헤란로의 건축물 나 해결방안 도심은 규격화된 다양한 요소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만큼 이질적인 요소들이 조합되어 이용자들에게 많은 시각정보량을 제공하고 각 요소 들의 독특한 패턴 및 강렬한 색들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 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 안정되고 쾌적한 도로경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건물주의 깨어있는 의식과 더불어 설계자들의 주변 경관과 조화시키려고 하는 의식이 우 선되어야 될 것으로 본다. 이와 더불어 행정에서의 미관 지구 설정이라

187 든지 가로경관계획의 수립 등을 통해 건물의 층수나 형태, 재질, 색채 등의 outline을 설정하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조금씩 개선시켜나갈 필요 성이 있다. 그림 테헤란로의 건축물 2 간판 광고물 가 대상지 현황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듯이 대상지 또한 간판 광고물의 홍 수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간판 광고물의 종류는 대부분이 높은 건물 이기 때문에 가로형간판보다는 돌출형간판, 옥상간판, 지주이용간판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간판 광고물로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자극적인 원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재질은 대부분이 아크릴로 되어 있다. 이런 다양한 형태의 옥외광고물들은 너무 크고 너무 많이 사용되다보 니 주변의 옥외광고물에 가리거나 시각적 저해요소로서 오히려 식별성 이 낮아져 광고효과가 떨어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간판 광고물의 형태가 일정한 모양으로 주변경관이나 건물과의 관계성을 고려하고 있 지 않으며, 높은 빌딩에 옥상간판이 설치함으로써 난잡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188 그림 테헤란로의 간판 나 해결방안 간판 광고는 건물과 조화를 이루면서 도로경관을 고려하여야 되고 간 판이나 광고물도 하나의 예술적인 작품으로써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 다는 의식이 필요하며, 행정쪽에서는 조례의 제정을 통한 미관지구설정 이라든지 간판 광고물에 대한 디자인 outline의 설정 및 심의위원회 구 성 등을 통한 관리, 그리고 설계자 및 제작자들의 주기적 교육을 통한 의식변화 등을 추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림 일본사례

189 (나) 도로 1 가판대 가 대상지 현황 정보지 가판대는 대부분이 비고정식으로 되 어 있다. 가판대 색은 각양각색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로경관과 어울리지 않고, 정보지가 들 어 있는 것보다는 대부분이 쓰레기로 가득 차 있어서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 나 해결방안 가판대는 설치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함 그림 가판대 으로써의 관리의 주체자에게 책임을 지울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판대를 고정식화하여 이용자들에게 편리성을 높 여주고 주변경관을 고려한 디자인 요소로서 계획하여야 될 것이다. 2 휴지통 가 대상지 현황 휴지통은 너무나 단조로운 디자인으로 시각적으로 보기에는 불편함 은 없지만 명시적인 효과가 없어서 이용자에게 이용율이 떨어지고 있 다. 또한, 재활용 쓰레기에 대한 분류가 되지 않고 있거나 노출된 형태 로서 관리하고 있어 시각적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나 해결방안 쾌적한 거리 조성을 위해서는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형태 및 색, 그리 고 디자인요소가 가미된 분리수거용 휴지통을 설치하여 효과를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다

190 <테헤란로의 휴지통> <사례이미지> 그림 휴지통 3 볼라드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형식적인 볼라드가 보도마다 설치되어 있 다. 그러나 볼라드를 하나의 환경조형물이나 정원 등과 같은 시설과의 복합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등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테헤란로의 볼라드> <일본 요코하마의 볼라드> 그림 볼라드

191 4 보행자 공간 가 대상지 현황 보행자공간에는 볼라드로 차도와 보도를 분리에 놓지 않은 곳이라면 어느 곳이나 불법주 정차되어 있어 통행인들의 이동을 어렵게 만들고, 미관을 해치고 있다. 또한, 상업 업무지구가 밀집되어 있어 노점상이 요 소마다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노점상들은 통행의 불편함과 도시경관의 유해요소로서 작용하여 도심의 쾌적성을 해치고 있다. 그림 테헤란로 보행로 나 해결방안 시설들은 철거하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이러한 행태를 받아들여 주 변경관과 조화되는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Kiosk 형태로서 발전시킬 필 요도 있다. 바닥패턴에 있어서도 각 거리마다 각양각색의 패턴, 색,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건물들마다 특색이 있어 옆 건물과의 묵시적 경 계를 지음과 더불어 각각의 건물의 배경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가로 전체를 고려할 때 혼란을 야기 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노선 전체에 따른 CI계획에 통한 통합적인 흐름을 가지면서 구간별 특징을 주어, 전구간에 통일성을 가지면서 변화있는 계획이 요 구된다

192 그림 해외사례(일본 동경) 그림 보행자공간 예제

193 5 기타 시설물 도로변에 설치된 변압기는 통행인들에게 불편함을 줄뿐만 아니라 변 압기 주변에 광고물을 부착하는 등 또 하나의 시각 장애요소로서 작용 하고 있다. 변압기를 지하에 매설하거나 이것이 힘들 경우에는 차폐식 재를 통하여 미관을 개선시키든지 새로운 환경 조형물과 같은 디자인 적인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하철의 환풍기도 하나의 환경조형물화의 시도 및 차폐식재 등을 통한 주변과의 조화를 유도한다. 도로에는 일정한 거리마다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등은 본 과 업 대상지 이외에도 여러 곳의 도심지에 똑같은 형태로서 존재하고 있 어 지역적 특성을 주지 못하며 단순한 가로등 본래 기능이외에는 미적 인 기능이 떨어진다. 가로등의 형태 및 조명방법 등에 대한 검토가 요 구된다. <테헤란로의 변압기> <지하철 환풍기> 그림 연구대상지 기타 시설물

194 그림 예제 이상의 여러 가로 시설물들과 건축물들은 단시간내에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은 아니다. 건축물은 한번 지어지면 반영구적인 요소로서 이곳에 계속적인 경관 요소로 자리잡으며 여러 가로 시설물들 또한 장 시간 이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용자들을 고려한 도로경관을 생각할 때 통합적인 이미지 관리가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테헤란로의 이미지를 고려한 CI계획을 수립하여 통일성과 각각의 개성이 살아있는 경관을 도모하여 도로경관을 보러 오는 하나의 관광자원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과업은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30년, 50년 100년을 내다보면서 장래의 우리의 자손들에게 조금도 부끄러움이 없는 공간이 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CI계획의 수립, 조례제정을 통한 미관지구의 설정 등 행정적인 일률성과 편의성 을 배제한 노력들이 필요하고 건물주, 이용자, 행정, 학자, 시민 등이 모여서 합의형성을 통한 가로경관조성을 목표로 하는 노력의 시작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95 7. 옥상 가. 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산업혁명이후 급속한 인구의 증가로 과밀화된 도시는 대기오염과 수 질의 오염, 소음 및 진동, 교통의 혼란, 녹지의 상실 등 여러 가지 문제 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제 이런 문제는 비단 한 도시만의 그것이 아니 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생태학 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사회 전반에 이미 커다란 변화 를 요구하고 있다. 인간의 편의 향상과 경제성, 합리성을 앞세운 기존 의 개발 개념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 ;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라는 개념 으로 수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수질, 대기오염문제의 개선과 같이 기초적이고 단편적인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차원을 넘어 환경친화 적 주거단지 건설이나 기존 도시의 생태적 재구성 또는 환경보존을 고 려한 국토의 개발과 같이 종합적, 포괄적 환경문제 대응방안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런 세계적인 조류를 타고 일어난 것이 도시내부의 녹지 도입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녹지확보의 필요성은 널리 인식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용토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도심에서는 녹지조 성 가능공간이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 녹화공간으로 활용이 적었던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상부 등의 인공지반을 이용한 녹지조성이 도심녹지 확보에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196 한편 도시내의 옥상녹화는 건축으로 인해 파괴된 토양생태계를 옥상 에 복원하는 의미를 가진다. 녹화된 옥상은 자연토양과 녹( 綠 )이 생태 계에서 가지는 기능을 회복해 준다. 즉, 녹화된 옥상은 자연상태의 녹 지와 마찬가지로 주변의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건 물상부에 쏟아지는 우수를 저장하고 유출시간을 지연시켜 줌으로써 도 시홍수와 지하수 고갈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준다. 더 불어 건축물의 냉 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옥상부분의 축열 현상을 감소시켜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 시키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외에도 대기정화, 산소 발생, 휴양이 제공 등도 옥상녹화 가 주는 빼놓을 수 없는 혜택이다. 이처럼 도시에서 옥상녹화의 생태적 가치는 매우 높으며 이미 독일, 일본 등에서는 고밀도 도시개발에 따르는 환경문제를 총체적으로 검토 하고 도심녹지 확보 방법으로 인공지반 녹화에 대한 시범적인 사례와 연구가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일본은 도심건물 주변 녹화에 관한 제 도를 적극 운영함으로써 도시미관 창출은 물론 토지가격상승으로 인한 녹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특히 옥상 식재지 면적에 비례하 는 직접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법적 건축면적 이상의 건축을 허용하는 보너스 제도 등 건축추의 경제적 이익 확보를 통한 옥상녹화에 주력하 고 있으며 이는 도시 경관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왔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옥상녹화는 도시녹지축의 연결, 도시자연성 확보,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일이므로 이를 위한 기반 연구 구축이 정책적, 기술적으로 요구된다

197 (2) 계획의 범위 내용범위 - 적합한 생태 Corridor의 계획 및 설계시 필요한 건축 물을 녹화 공간범위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일원(약 4km)으로 도로에 인 접한 좌우 50M 권역안의 건축물의 측면 및 전후 벽면 과 옥상공간 시범사업구간 - 삼성역 ~ 삼성교(탄천연계) 그림 대상지 위치도 (3) 계획의 접근방법 (가) 문헌고찰 국내외 생태관련 연구논문, 조사보고서 등 수집 및 분석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의 기본개념의 정립 사례연구를 통한 모형수립

198 (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대상지 분야별 환경 실태조사 및 분석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책제시 잠재력을 이용한 목표 및 달성방안 제시 (다)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 기본계획 수립 문제점의 종합 및 기본구상의 도출 대상지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 계획 구상 (4) 녹화시스템 설계 진행 과정 적용 녹화 시스템 유형결정 구조설계에 반영 식재플랜과 토양, 토심 결정 녹화 시스템 설계(방수/배수/육성토양) 식생플랜 및 식재공법 옥상 벽면 녹화 실시 그림 녹화시스템 설계 진행 과정

199 나. 옥상녹화 이론연구 (1) 옥상녹화의 유래 및 의의 옥상녹화의 유래는 B.C. 2000년경 지금의 이라크 지역에서 살고 있 던 수메리안족이 세운 우르 라는 도시에서 발견되는 일종의 옥상정 원으로서 인공적으로 언덕을 만든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진정한 의 미의 옥상정원은 B.C 600년경에 만들어진 바빌론의 공중정원 (Hanging Garden)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페니키아(Phoenicia)인들 은 그들의 신( 神 )인 아도니스(Adonis)를 기리기 위해 옥상이나 발코니 에 화훼 화분을 진열하여 자연계의 윤회를 담당했던 아도니스를 추모 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유럽에서는 일찍부터 옥상, 발코니, 테라스 등을 식물재배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로마시대 폼페이 유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르네상스시대에는 지배층들간에 옥상에 실용성이 높은 식물을 사용하여 정원으로 꾸미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으며, 17~18세기에 이 르러서는 옥상정원이 일반시민에까지 확대 되었다. 더욱이 19C후반 석 조보다 가벼운 Cement의 개발은 옥상정원의 발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이에 힘입어 1983년 영국 런던의 데리 엔 톰스(Derry and Toms)백화점에서는 경영전략의 일종으로 최초의 근대적인 옥상정원이 탄생하게 되었으며, 최근의 옥상녹화는 각종 건축물의 옥상이나 베란다 또는 테라스 등으로 확대되어, 휴식 및 기타 여러용도로 활용되고 있 다. 이러한 배경으로 행해지고 있는 옥상녹화는 사용되지 않고 버려진 인

200 공구조물의 상부를 녹화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놀이, 휴식, 운동, 모임 의 장 등의 공공적인 이용을 제공하며, 식재를 통해 생물서식공간의 친 환경적인 역할과 식물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순기능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무분별한 도시화로 인해 형성되어진 삭막한 도시경관을 식물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통해 개선시킬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2) 옥상녹화와 벽면녹화 (가) 옥상 녹화 옥상이라는 장소는 햇빛이 많이 들고 빗물이 차단되는 일 없이 균등 하게 내린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있다. 첫째, 옥상정원의 설치로 하중이 증가하고 이는 건물의 구조체에 영 향을 주게 된다. 둘째, 성토 가능한 두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 보습력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고층일수록 평균 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수목의 이탈을 방지하 기 위한 대책이 충분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옥상정원의 설치로 인한 하중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토와 펄 라이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을 사용하거나 식물이 성장하기에 알맞도록 제작되어진 매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옥상에 일반적인 전토를 성토하는 경우에는 적재하중이 1~1.5t/m2으로 매우 무겁기 때문이다. 또한 옥 상에서는 지면과 같이 지중으로부터의 수분공급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

201 인 살수가 불가피하다. 자연의 빗물에 의한 급수 외에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공급하거나 필요에 따라 사람이 직접 물을 뿌릴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한 장치로 지상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나 지중에 설치하는 살수 파이프가 있다. 이밖에 토양의 표면에 잔디를 심어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방법도 병용한다. 강풍에 의한 수목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주를 이용하여 한 나무 또는 여러나무를 지지하는 버팀목을 설치하거나 강재 등을 이용 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형태의 수목지지시스템을 활용하기도 하며 바람 의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수목을 모아서 군식하기도 한다. (나) 벽면 녹화 벽면은 그 면적이 넓기 때문에 장래의 녹화수법에서 중요한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벽면 녹화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여름철의 강한 일사를 차단하고 식물과 벽사이의 공기가 바람에 의하여 차가워지는 냉각효과가 있으며 둘째, 비, 바람, 일사로부터 건물 을 보호하며, 셋째, 겨울철 녹화의 전면부는 열기를 서서히 방열함으로 써 단열효과가 있으며, 넷째, 벽면과의 사이에 들새가 둥지를 짓거나 덩굴식물의 꽃을 찾아 곤충이나 작은 동물들이 모이는 작은 생태적원 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넝쿨식물로 벽면을 덮는 경우가 있는데 일조등 자연조건 과 벽면의 환경이나 구조에 따라 적절한 식재와 수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이루어진 녹화방식을 살펴보면 표 과 같다

202 표 벽면녹화의 방법과 문제점 녹화형식 명칭 그림 벽면 올림 격자 올림 벽 면 피 벽면 복 내림 화분 설치 벽면 식재 녹화방법 적용식물 문제점 비고 평활한 벽면에는 부 식물을 벽에 직접 부 부착성 넝쿨 착이 곤란하며 구조 착시켜 타고 올라가게 식물 체에 균일이 발생할 한다. 우려가 있다. 벽면에 설치한 격자를 이용하여 식물을 묶거 나 혹은 유도하여 올 라가게 한다. 줄기가 길게 뻗어 자라는 식물 부착성 넝쿨 식물 옥상에 식재한 넝쿨식 넝쿨식물 물이 벽면을 타고 내 넝쿨성 식물 려가게 한다. 발코니나 창대에 놓은 넝쿨(성)식물 화분에 식물을 심는다. 화초, 低 木 벽면에 설치한 培 地 에 직접 식물을 심는다. 솔잎채송화 등 草 林 類 동절기에 격자 구조 체가 미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늘어뜨리면 성장불 량인 식물도 있다. 부착성 넝 쿨 식 물 을 유인한다. 저목은 벽 수분보습이 곤란한 면 벽전식재 관리상의 어려움이 와 유사하 있다. 다. 설치한 培 地 의 내구 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벽 전 벽전 식 식재 재 건물에 인접하여 키가 큰 나무를 식재한다. 高 林 건물 전체의 녹화가 불가능하다. 가장용이한 식재방법이 다. 그 외 방법으로 드니 타그고블라(Denis Targowla)는 파리 남서쪽에 위치한 프랑스군 식품공장의 입면에 수직정원(건축과환경,1999) 을 구성하였다. 그가 사용한 벙법은 기존 벽체와 조금 떨어져서 철골 구조 물을 만들고 여기에 주머니를 단 천을 덮는 방식이다. 식물은 벽에 부 착된 솜털로 된 주머니 모양의 수직공간에서 벽의 위쪽에서 제공되는 수분에 의해 자란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동절기에 구조물을 덮은 천이 외부로 들어나기 때문에 겨울이 긴 우리나라의 경우 적당치 않다

203 벽면녹화의 경우 동절기가 긴 우리나라의 기후를 감안할 때 격자를 이 용한 방식이나 천을 이용한 방식은 적당하지 않다. 또한 화분이나 벽면 에 설치한 培 地 를 이용하는 방안은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다. 그밖에 벽 전식재나 벽면올림, 벽면내림의 경우 고층건물의 벽면 전체를 녹화하기 가 어렵다. 그림 벽면녹화 해외사례 (3) 사례연구 (가) 국내외 현황 1 국내의 경우 지금까지 상업지구내 건축물의 옥상을 조경 등의 방법으로 녹화하는 경우 건축법 제 32조에 의거하여 대지안의 조경(전경배,1999) 으 로 인정하였으나, 일반 건축물의 경우 옥상이나 벽면을 이용하여 조경 할 수 있는 법적 조항은 전무하다. 주거 건축의 경우는 단독주택이나 저층 연립주택의옥상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차원에서텃밭 등의 방식으로 옥상을 녹화하는 경우가 있으며,

204 아파트의 경우는 상가형 아파트나 테라스형 아파트에서 녹화가 이루어 진 사례가 있다. 그러나 중 고층 아파트의 옥상을 본격적으로녹화하는 사례는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되고 있지 않다. 2 외국의 경우 1996년 6월 개최된 인간정주(Human Settlement)에 관한 제 2차 UN회의에서 Habitat Ⅱ회의의 의제가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 이었다. 이는 도시에서 지면의 자투리땅을 최대한 농작물로써 녹화하는 것 뿐만아니라 옥상공간(옥상면)까지 농작물 경작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인 바 있다. 이에 따라 스위스나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건물의 옥상에 농작물을 경작하는 시도 또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위스의 경우 기 존 건물(역사적인 건물 포함)의 옥상에까지 꽃을 재배하는 방식등을 통해 농작물을 가꾸는 녹화부분은 99년 당시 전체지붕면적의 20%에 이르고 있으며, 캐나다 토론토시의 경우 옥상녹화와 관련한 조례를 시 의회에서 1999년에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나) 이론적 배경 근대에 이르러 옥상녹화와 관련되는 연구는 르꼬르뷔제의 옥상정원 (Roof-Top Garden)(장성수,1997)의 개념에서 시작된다. 즉 옥상을 정원으로 처리함으로써 건물 최상층의 미관적인 효과는 더 높은 곳(공 중, 하늘, 산)에서 내려다 본 경우에 그 효과를 시각적인 면에서 차적 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광의의 도시조경(Urban Landscape) 또는

205 도시생태학(Urban Ecology),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 등의 관 련 학문분야와 연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도시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발(UN, Sustainable Development, 1987) 또는 환경공생건축(일본, Symbiotic Housing, 1991), 생태도 시(독일, Okologisches Bauen, 1979)(이인규,1996)같은 개념들이 함 께 수반될 필요가 있다. 이때 옥상정원의 도입은 물론 1차적으로 관련 법적 제도적 장치가 전 제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기술적인 검토가 동시에 수반될 필요가 있다. (다) 국내의 기존 연구 그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건축물의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개 발을 위한 방안(이규인,1997;한영애,1995)과 건축물의 외피에 직접적 으로 녹화하는 방안(공민정,1995;설미경,1998,김현수 등,1998)에 관 한 것이었다. 후자의 경우 벽면이나 발코니공간과 옥상바닥면을 이용하 여 녹화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량형의 조방적 인공 지반녹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들이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후환경, 건축적고려, 유지관리적 특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경량성 을 중심으로 한 소재개발 및 인공지반에 적절한 식물소재 개발등에 관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반 녹지 면 적의 확보가 미흡한 것은 인공지반 녹지 확보에 대한 경제적 기반의 부 족, 녹지공간 조성으로 인한 건축적 영향에 대한 불안감 등 몇가지 원 인을 들어볼 수 있다. 지금까지 인공지반에 미치는 건축적 영향을 최소 화하기 위하여 경량성 소재개발, 건축물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는 이루 어지고 있는 반면 넓은 녹화면적의 확보를 위한 경제성을 고려한 연구

206 및 소재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다. 건축물의 녹화 방안 (1) 법적 제도적 측면 200m2이상의 건축공간을 조성할 때, 의무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 조경 을 하도록 건축법(제 32조 대지안의 조경)과 동 시행령(제 27조 대지 안의 조경)에서 규정하여 도시에서의 녹지공간 확보와 환경 및 경관의 질을 높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옥상에 법 제 32조 제 2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조경 기 타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옥상부분의 조경면적의 3분의 2에 해 당하는 면적을 법 제 32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대지안의 조경면적으 로 산정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경면적으로 산정하는 면적은 법 제 32 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조경면적의 100분의 50을 초과할 수 없다. 표 대상면적에 대한 법적 인정면적 지역 건축연면적 1,000m2미만 1,000m2이상 2,000m2미만 2,000m2이상 일반 지역 대지면적의 5%이상 대지면적의 10%이상 대지면적의 20%이상 자연녹지 및 보전녹지 지역 대지면적의 40%이상 비고 - 읍 면의 자연녹지 지역 안의 대지, 면적 5,000m2 미만인 대지 안의 공장 신축, 식수곤란지역 제외. - 학교, 자동차 운전 교습소, 공항시설, 교정시설 및 군사시설 제외. (건축조례작성요령 제 11조, 1993)

207 표 건물옥상의 적재 하중 구분 세부구분 적재하중(kg/m2) 사무실, 학교, 주거용 건축물 200 옥상플라자, 테라스, 옥상정원 500 옥상 적재물이 거의 없는 옥상 이상 경사지붕 곡면지붕 80 헬리콥터 정착장(대형일 경우 제외) 500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1조와 관련) 참고로 2000년 6월 20일 건설교통부장관은 건설교통부고시 제 호로 건축법 제 32조 제 2항의 규정에 의하여 조경기준을 제정 고시하였으며 조경기준 중 제 4장 옥상조경 및 인공지반 조경의 기준은 부록으로 제시한다. (2) 경제적 측면 옥상녹화의 이익 모두를 수치적인 계산으로 따질수 있는 것은 아니지 만 옥상정원이 개인의 소유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이익은 파급되어 제 3자에게도 전달되는 공공재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그 이익은 실질적인 것 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잇점 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모두 사회면에서나 경제면에서나 정의 효과 를 분출하고 있다

208 표 옥상녹화의 효과 성질 정 량 적 정 성 적 도시의 이상 기온 완화 공기 정화의 효과 우수유출의 기능 법적 조경면적으로 이용 도시경관의 향상 소음의 방지 도시내 생태계 유지 긴장 스트레스 완화 효과 내용 건물의 내구성 향상 에너지 자원의 절약 오락 교양의 기회 제공 채소원의 기능 도시녹피율 30%증가 - 한여름 기온 3 인하, 열대야 8일 감소 독일- 혼합림 조성에 75%까지 상환, 소유주에 게 20년간 보너스 지급 일본- 3조 9천엔 산림계획, 300억엔 산림 보호 잔디 두께 12cm - 20kg/m2 우리나라 연간 홍수 피해 100억원 적용면적만큼 건평의 증가 도시내 시각적 미 증가 정신건강에 기여 생물종의 다양성 정신적 여유 (3) 기술적 측면 건축물을 녹화하는 이유는 에너지의 절약, 환경개선, 자연생태계의 회 복, 방재, 빗물에 대한 대책, 프라이버시의 확보, 취미생활(원예, 텃밭가 꾸기)등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녹화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 도록 식재를 선택하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시스템의 유형을 결정해야 하며 이때 대상지역의 기후 및 적용대 상 공간의 국지 기후, 대상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과 허용하중, 옥상 공간의 이용 방향, 유지관리의 가능성 및 요구도, 전면 또는 부분 녹화

209 의 선택 및 녹화하중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구조체, 단열층, 방수 층, 배수층, 육성토양층 그리고 식재층을 포함하는 하부시스템을 구성 한 후 구조설계를 고려하여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결정한다(김현수 등,1998). 건축물의 녹화 방법은 크게 지붕녹화, 옥상녹화, 발코니(베란다)녹화, 벽면녹화로 나눈다.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은 평지붕 외에 박공지붕등의 형태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화재시 피난의 어려움이 있으므 로 본 고시에서는 옥상녹화에 대한 그 구체적인 방안을 서술하고자 한 다

210 라. 기본구상 (1) 기본구상의 원칙과 목표 표 기본구상의 원칙과 목표 원 칙 목 표 도시지역에 있어서 자연과 의 조화 및 균형유지 도시내 생물종의 다양성과 안정성 유지 도시내 녹지를 최대한 확보하고 도시전체에 걸친 녹지의 네트워크와 주변 산림에 분포한 생태계나 자연자원의 보호 및 확충 도시내 생물서식공간의 보전, 복원, 창조 도시내 비오톱의 네트워크 형성 (2) 기본구상의 방향 (가) 생태네트워크 생태계나 녹지의 단절을 분석하고 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 녹지와 하천 그리고 생태계의 복합적인 네트워크화 추진 (나) 다기능공간 창출 이용자를 위한 여가공간 창출 및 접근성을 높이는 다기능적인 공간을 창출하고 생태적 수용능력 향상 (다) 자연생태계의 복원 대상지 내부와 주변 생태계를 조사 분석하고 훼손된 부분의 복원 방안 을 강구하며 환경오염 및 저해시설을 정화, 옥상녹화를 통한 부족한 녹 지 충족 (3) 대안제시 (가) 대안 Ⅰ - 인공지반의 적극적 이용을 위한 계획

211 1 녹화방향 녹화비용은 비싸지만 이용객들의 여가공간에 대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공간 창출 이용객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공간창출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간을 조성하여 시각 미각적 정서 창출 사계절의 경관변화를 보여주는 식재계획 2 녹화유형 집약형으로 지상정원처럼 조성하여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형 3 기본계획도 그림 기본계획도(대안Ⅰ)

212 그림 단면도(대안Ⅰ) (나) 대안 Ⅱ - 도시환경개선에 보다 효과적 이용을 위한 계획 1 녹화방향 저렴하고 손쉽게 녹화방법을 추구함으로써 도심의 부족한 녹지 요구도를 충족시키는 공간 창출 생물과 도시 환경을 고려한 공간 창출 생물의 식이, 서식, 산란 등 습성을 배려한 공간을 창출하고 식

213 물 선정, 식재 생물을 고려한 수공간, 횟대 등 시설물 도입 사계절의 경관 변화를 보여주는 식물 선정 식물 선정시 다양한 생물의 습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를 이루 는 식재 다공성 공간 창출로 소생물권 확보 2 녹화유형 초지형으로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최소의 식재기반을 확보하 여 환경개선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형 3 기본계획도 그림 기본계획도(대안Ⅱ)

214 4 단면도 그림 단면도(대안Ⅱ) 마. 경량성 초지형 제품의 개발 옥상녹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중에 관련된 문제다. 하중이 증가하 게 되면 건물의 구조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한 제품을 선 보이기로 한다. 인공지반의 유형에 따라 집약형 1), 초지형 2), 절충형 3) 으 로 나눌수 있다. 이 세가지 기술중에 초지형 녹화방법을 이용하며 하중 문제와 유지관리, 그리고 무엇보다도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잇점 까지 있어 차후에 인공지반 녹화기술의 보급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수 1) 인공지반을 지상의 정원과 같이 아름답게 조성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형으로 이용 자 측면에서 가장 선호되는 형태이다. 이 유형은 건물의 가치향상이라는 경제적 잇점과 여가 문화 공간 제공이라는 사회적 잇점, 도심 미환경개선 등의 환경적 잇점은 있지만 하중문제와 유지관리, 무엇보다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2) 15cm 내외의 식재기반을 확보하여 이용보다는 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유형으로 최근 이 유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집약형에 비하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시공도 용이하지만 아직은 경제적, 건축적 측면에서 보다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집약형과 초지형을 혼합한 형태로 이용자와 건물주 모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형이다. 따라서 현행 인공지반 녹화기술 보다 경제적 부담이 적고 시공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쉬우며 환경친화적인 인공지반 녹화 기술의 보급을 목적으로 초지형 녹화기술을 사용하도록 한다

215 있으리라 판단된다. 경량성 초지형 제품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경량성 초지형 제품의 개발 개요 경량성 초지형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간편한 시공을 위해 종자가 포 함된 타일형 unit으로 하나씩 나란히 설치할수 있도록하고 관수하는 것 만으로 시공이 완료될수 있도록 제품화하였다. 이는 시공이 간편하고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와 인력을 절감할 수가 있다. 경량성 초 지형 제품은 얇지만 보비, 보수력이 높고, 수분흡수시 건조시 중량의 약 5-6배 증량시공을 할 수가 있으므로 기존에 나와 있는 경량토를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고 쉽게 시공을 끝낼수 있는 것이다. 경량 성 초지형 제품에 흡수된 수분은 급격한 수분 방류와 건조를 방지하여 토양의 수분 보습을 도와주며, 건기나 여름철과 같은 경우 장기간 수분 을 보급한다. 그림 경량성 초지형 제품

216 (2) 옥상녹화에서의 경량성 초지형 제품의 시공과정 기존의 일반적인 초지형 녹화 기술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의 그 림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지지만 경량성 초지형 제품을 이용한 녹화기 술의 시공과정은 식재기반 포설, 식재의 과정이 생략되어 이루어진다. 녹화계획, 설계 자재반입 레이아웃 할당 후 방근시트 시공 배수판, 단열재 시공 식재기반 포설 식재 마무리 작업/완성 그림 일반적인 인공지반 녹화의 시공과정 녹화계획, 설계 자재반입 레이아웃 할당후 방근 시트 시공 배수판, 단열재 시공 경량성 초지형제품 설치후 관수 자연생장 또는 식재 마무리 작업/완성 그림 경량성 초지형 제품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의 시공과정

217 위 그림과 같이 일반적 인공지반 녹화의 시공과정에 비해 경량성 초지 형 제품을 이용할 경우 식재기반 포설과 식재의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 에 시공 용이, 공기 단축, 인력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건축물의 냉난방 효과가 크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우수유출을 완화시켜 연간 피해액이 100억원이 넘는 재해비용도 절약 할 수 있고 또한 소음 공해를 저감시켜 도시의 환경을 쾌적하게 가꿀 수도 있다. 옥상녹화가 지상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일조 통풍이 우수하므로 지상 보다 생물의 서식환경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생태계의 다양화를 도모하 고, 식재식물을 다양화함으로써 도시내 생태계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옥상녹화는 다양한 이익 창출효과가 있으나 그 시공비가 너무 많이 들어 대중화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옥 상녹화에 새로운 경량성 제품을 이용하여 옥상녹화의 대중화를 위해서, 또 본 제품을 이용하여 환경문제를 거시적으로 해결 할 수 있으리라 생 각된다

218 8. 법령 및 조례사항 1)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 건 설교통부령 제00345호]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도로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하여 도로를 신설 하거나 개량 하는 경우 그 도로의 구조 및 시설에 적용되는 최소한 의 기준을 규정함 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호와 같다. 33. "교통섬"이라 함은 자동차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처리나 보행자도 로횡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차로 또는 차도의 분기점등에 설 치하는 섬모양의 시설을 말한다. 35. "환경시설대"라 함은 도로 주변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하여 길어깨의 바깥쪽으로 설치하는 녹지대 등의 시설이 설치된 지역을 말한다 제15조 (자전거도로) 1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의 확보를 위하여 위하 여 자전거 와 자동차 및 보행자의 통행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자전거도로를 설 치하여야 한다. 다만, 지형상황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자전거도로의 구조와 시설기준에 관하여는 자전거이용시설의구조 시 설기준에관한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16조 (보도) 1보행자의 안전과 자동차 등의 원활한 통행을 위하 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도로에 보도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219 경우 보도는 연석 이나 방호울타리 등의 시설물을 이용하여 차도와 분 리하여야 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편 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에 의한 편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의한다. 1. 차도에 접하여 연석을 설치하는 경우 그 높이는 25센티미터 이하 로 할 것 2. 연석의 앞면은 적절한 기울기를 유지하여야 하며, 윗면과 곡선으 로 접속처리가 될 것 3. 횡단보도에 접한 구간으로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는 장애 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편의시설을 설치 하여야 하며, 자전거도로에 접한 구간은 자전거의 통행에 불편이 없도 록 할 것 3보도의 폭은 보행자의 통행량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다음 표의 폭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보도에 노상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보도의 폭은 제3항의 규정에 의 하여 결정한 보도의 폭에 다음 각호의 폭을 더한 값으로 한다. 다만, 도시관리계획이나 주변지장물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 1. 노상시설이 가로수인 경우 : 1미터 2. 노상시설이 가로수외의 시설인 경우 : 0.5미터 제42조 (환경시설대 등) 교통량이 많은 도로 주변의 주거지역, 정숙을 요하는 시설이나 공공시설 등이 위치한 지역과 환경보존을 위하여 필 요한 지역에는 도로의 바깥쪽에 환경시설대 또는 방음시설을 설치하여

220 야 한다. 2) 도로와 다른도로등과의 연결에 관한 규칙[일부 개정 건설교통부령 제00345호] 제2조 (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4. "도류화시설"이라 함은 차량과 보행자를 안전하고 질서있게 이 동시켜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교통섬, 변 속차로, 노면표시등의 시설을 말한다. 제3조 (적용범위) 1이 규칙은 도로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3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일반국도(법 제22조제2항의 규정이 적용되는 일 반국도를 제외한다. 이하 "도로"라 한다)의 우측으로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도록 다른 도로 통로 기타의 시설(이하 "다른 도로등"이라 한다)을 도로의 우측에 연결(교차에 의한 연결을 제외한다)하는 경우에 이를 적용한다. 2제1항의 규정에 의한 연결외의 연결의 경우에는 도로의구조 시설기 준에관한 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결 허가의 신청은 제4조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다. 제4조 (연결허가의 신청등) 1법 제54조의6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로에 다른 도로등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자는 별지 서식의 도로등의 연결허가신청서를 도로관리청(이하 "관리청"이라 한다)에 제출하여야 한다

221 2제1항의 규정에 의한 도로등의 연결허가신청서에는 다음 각호의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개정 > 1. 연결계획서 2. 변속차로 부가차로 회전차로 및 부대시설등(이하 "연결로등"이라 한 다)의 설계도면 3. 도로점용허가서 또는 도로점용허가신청서 3제2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연결계획서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이 포 함되어야 한다. 1. 사업개요(목적, 규모, 기간 및 투자계획과 필요한 경우에는 교통수 요분석등이 포함될 것) 2. 연결로등의 설치계획 3. 부대시설의 설치계획 4. 연결공사중의 안전관리대책 및 교통관리대책 5. 도로연결의 목적이 되는 시설물의 법정주차대수(시설물이 있는 경 우에 한한다) 4제2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연결로등의 설계도면의 작성은 별표 1 및 별표 2에서 정하는 요령과 설치방법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제5조 (도시지역안에서의 연결허가 기준<개정 >) 관리청 은 도시지역안에서 도로에 다른 도로등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로서 도로가 도시관리계획에 따라 정비되어 있거나 다른 도로등의 연결허가 신청일부터 3년이내에 도시관리계획에 의하여 도로정비에 관한 구체적 인 사업시행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도시관리계획에 적합하게 허가하여야 한다. <개정 >

222 3) 도시계획시설의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관한 규칙 [일부개정 부령 제00363호] 제14조 (도로모퉁이의 길이 등) 1도로의 교차지점에서의 교통을 원 활히 하고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도로모퉁이의 길이를 별표의 기준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도로의 교차방식을 교통섬 변속차로 등을 설치하는 방식에 의하거 나 로터리를 설치하는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 고 도로모퉁이의 길이를 당해 교차방식에 적합한 비율로 조정할 수 있 다. 3도로모퉁이부분의 보도와 차도의 경계선은 원호( 圓 弧 ) 또는 복합 곡선이 되도록 하고, 곡선반경은 제9조제3호의 기능별 분류에 따라 다 음 각호의 구분에 의한다. 이 경우 교차하는 도로의 기능별 분류가 서 로 다른 때에는 교차지점의 곡선반경은 곡선반경이 큰 도로의 기준을 적용한다. 1. 주간선도로 : 15미터 이상 2. 보조간선도로 : 12미터 이상 3. 집산도로 : 10미터 이상 4. 국지도로 : 6미터 이상 제15조 (횡단보도) 1횡단보도는 평면횡단보도로 하여야 한다. 다만, 도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거나 주변여건상 평면횡단보도 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자동차전용도로 주간선도로 철도건널목 등에 입체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있다. 2평면횡단보도의 구조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호와 같다

223 1. 횡단보도의 경계를 명확히 표시하고, 횡단보도표지를 설치할 것 2. 도로의 폭에 따라 교통섬 안전지대 등을 설치할 것 3. 점자표시 야광표시 등으로 보행자의 안전을 기할 것 제50조 (광장의 결정기준) 광장의 결정기준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교통광장 가. 교차점광장 (1) 혼잡한 주요도로의 교차지점에서 각종 차량과 보행자를 원 활히 소통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곳에 설치할 것 (2) 자동차전용도로의 교차지점인 경우에는 입체교차방식으로 할 것 (3) 주간선도로의 교차지점인 경우에는 접속도로의 기능에 따라 입체교차방식으로 하거나 교통섬 변속차로 등에 의한 평면교차방식으로 할 것. 다만, 도심부나 지형여건상 광장의 설치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 [일부개정 대 통령령 제18044호] 제46조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안에서의 건폐율 등의 완화적용) 1제 1종지구단위계획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법 제52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건축물에 대하여 제1종지구단위계획으로 다음 각호의 비 율까지 건폐율 용적률 및 높이제한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224 1. 완화할 수 있는 건폐율 =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당초의 대지면적) 이내 2. 완화할 수 있는 용적률 =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공공시설부지 제공후의 대 지면적) 이내 3. 완화할 수 있는 높이 = 건축법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한된 높이 (1+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당초의 대지면적) 이내 2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건 축법 제67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동항의 규 정에 의한 의무면적을 초과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법 제52조제3항의 규 정에 의하여 당해 건축물에 대하여 제1종지구단위계획으로 다음 각호 의 비율까지 용적률 및 높이제한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완화할 수 있는 용적률 = 건축법 제6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완화된 용적률+(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 의무면적을 초과하 는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의 면적의 절반 대지면적) 이내 2. 완화할 수 있는 높이 = 건축법 제6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완 화된 높이+(건축법 제51조의 규정에 의한 높이 의무면적을 초과하는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의 면적의 절반 대지면적) 이내 5) 건축법 [일부개정 법률 제06916호] 제47조 (건축물의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2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이하 " 건폐율"이라 한다)의 최대한도는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제77조

225 의 규정에 의한 건폐율의 기준에 의한다. 다만, 이 법에서 그 기준을 완화 또는 강화하여 적용하도록 규정한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 [전문개정 ] 제48조 (건축물의 용적률)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대지에 2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이하 "용 적률"이라 한다)의 최대한도는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제78조의 규정에 의한 용적률의 기준에 의한다. 다만, 이 법에서 그 기준을 완화 또는 강화하여 적용하도록 규정한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 [전문개정 ] 第 67 條 ( 公 開 空 地 등의 확보) 1다음 各 號 의 1에 해당하는 地 域 의 環 境 을 快 適 하게 造 成 하기 위하여 大 統 領 令 이 정하는 用 途 및 規 模 의 建 築 物 은 一 般 이 사용할 수 있도록 大 統 領 令 이 정하는 基 準 에 의하여 小 規 模 休 息 施 設 등의 公 開 空 地 또는 公 開 空 間 을 設 置 하여야 한다.<개정 > 1. 一 般 住 居 地 域, 準 住 居 地 域 2. 商 業 地 域 3. 準 工 業 地 域 4. 市 長 郡 守 區 廳 長 이 都 市 化 의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여 지정 公 告 하 는 地 域 2 第 1 項 의 規 定 에 의하여 公 開 空 地 또는 公 開 空 間 을 設 置 하는 경우 에는 第 47 條 第 48 條 및 第 51 條 의 規 定 을 大 統 領 令 이 정하는 바에 의하 여 緩 和 하여 適 用 할 수 있다.<개정 >

226 6) 건축법시행령 [일부개정 대통령령 제18044호] 제113조 (공개공지등의 확보) 1법 제67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다 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대지에는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개정 > 1. 연면적의 합계가 5천제곱미터이상인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농 수산물유통시설을 제외한다), 업무시설, 숙박시설 2. 기타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로서 건축조례가 정하는 건축물 2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의 면적은 대지면적 의 10퍼센트 이하의 범위안에서 건축조례로 정한다. 이 경우 법 제32 조의 규정에 의한 조경면적을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의 면적으로 할 수 있다. <개정 > 3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에는 긴의자 파고라등 공중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서 건축조례가 정하는 시설을 설치하여 야 한다. 이 경우 공개공지는 피로티의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4법 제6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설치 하는 경우로서 법 제48조 및 법 제51조의 규정을 완화하여 적용하고 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범위안에서 건축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 한다. <개정 , > 1. 법 제48조의 규정에 의한 용적률은 당해 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 의 1.2배이하 2. 삭제 < > 3. 법 제51조의 규정에 의한 높이제한은 당해 건축물에 적용되는 높 이기준의 1.2배이하

227 5바닥면적의 합계가 5천제곱미터이상인 건축물로서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의 설치대상이 아닌 건축물(주택건설촉진 법 제3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공동주택을 제외 한다)의 대지에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적합한 공개공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4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개정 > 7) 서울특별시녹지보전및녹화추진에관한 조례 조례 제3954호 (제정) 제23조(표지판 등의 설치) 1 관리청은 제2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녹지에 대하여 소 유자의 동의를 얻어 시민녹지임을 표시한 표지판을 당해 녹지 내에 설 치 할 수 있다. 2 관리청은 계약체결후 보호휀스, 산책로 또는 로프책, 벤치, 안내판 등 필요한 최소한의 조경시설물을 설치하고, 관목위주로 나무를 심도록 하며 그 설치내용을 대장에 기재하여 비치한다. 제25조(지정의 변경 및 해제) 1 관리청은 소유자로부터 소유권 변동 등의 시민녹지 지정에 중요한 변동사유가 발생하였을 때는 시민녹지의 지정과 계약을 변경 또는 해 제한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시민녹지의 지정을 해제한 때는 관리청은 녹지내에 설치한 표지판을 철거하여야 한다

228 8) 서울특별시자연환경보전조례시행규칙 규칙 제 3045호 (제정) 제5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고시 등) 1 조례 제9조의 규정에 의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고시에는 다음 각호 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당해지역의 위치 및 면적 2. 지정의 필요성 3. 지정년월일 4. 출입 또는 행위를 제한하는 사항 및 그 사유와 이를 위반하는 경우 에 대한 과태료 부과 징수에 관한 사항 5. 관리기관의 지정에 관한 사항 6. 기타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정하는 사항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생태계보전지역을 지정고시하는 경우에는 주변여건을 감안하여 안내판 표주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9) 서울특별시옥외광고물등관리조례 조례 제3976호 (개정) 제6조(광고물등의 표시제한 등) 1 시장은 영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광고물등의 표시를 금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특정구역을 지정하고자 할 때에는 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구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표시금지 또는 제한사항을 고시

229 하여야 한다. (개정 ) 2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특정구역 안에서 광고물등의 표시를 금지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건물 또는 업소 등에 표시할 수 있는 광고물등의 총수량 (개정 ) 2. 광고물등의 종류 색깔 규격 표시내용 및 모양 등 3. 광고물등의 표시위치 장소 또는 표시기간 시간 4. 전기를 이용하는 광고물등의 표시방법 3구청장은 관할구역중에서 광고물등의 표시를 금지하거나 제한할 필 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구역에 대하여 시장에게 특정구역의 지정을 요 청할 수 있다. (신설 ) 10) 서울특별시가로수조성및관리조례 조례 제4131 호 (도시계획조례 부칙 개정) 제8조(가로수가 식재된 도로에서 도로표지판 등 설치) 1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는 도로에서 운전자, 보행인 등의 시야방해로 인하여 가로수와 상충이 될 수 있는 도로표지 등 안전시설의 시설물을 새로이 설치할 때는 관리청과 협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관리청은 도로표지 등 안전시설의 시설물 설치 협의가 있는 경우 가 능한 한 식재되어 있는 가로수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야 한다. 다만 도로 여건에 따라 그러 하지 않을 수 있다. 3 관리청은 도로표지 등 안전시설을 가리는 가로수의 가지치기 등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지체없이 가지치기 등을

230 실시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가로수의 기본 수형을 해치지 않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11) 서울특별시 건축조례 제46조(간선도로변의 건축물의 지번표시) 너비 12미터이상인 도로에 접한 대지에 건축하는 건축물 또는 너비 6 미터이상인 2이상의 도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접한 대지에 건축하는 건 축물은 지표면으로부터 2미터 높이의 벽면이나 문설주 등 통행인이 쉽 게 볼 수 있는 위치에 대지가 속한 동명과 대표 지번을 표시한 가로 30센티미터, 세로 20센티미터 크기의 지번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12) 서울특별시도로기전설비설치및관리에관한규정 훈령 제923호 (제정) 제9조 (도로시설물의 통합) 1관리청은 도로교통의 효율적 기능보완 및 도시미관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의 시설물에 대하여는 시설물관리기관으로 부터 통합설치 협의가 있을 경우 가능한 한 시설물을 통합 설치하여야 한다. 1. 가로등 주 2. 신호등 주 3. 도로안내표지판 지주

231 4. 기타 통합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도로상의 시설물 2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경우는 구조 안전 등을 검토한 후 통합설치 하여야 한다. 13) 건축법 제27조 (대지안의 조경) 3항 3건축물의 옥상에 법 제3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교통부장 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조경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옥 상부분의 조경면적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면적을 법 제3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대지안의 조경면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경면적 으로 산정하는 면적은 법 제3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경면적의 100 분의 50을 초과할 수 없다. 14) 서울특별시가로수조성및관리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도시녹화와 경관향상을 위하여 가로수의 조성 및 유지관리 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가로수의 공익적 기능을 향상시켜 쾌 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함을 목적 으로 한다. 제3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가로수"라 함은 아름다운 경관의 조성, 환경오염저감과 녹음제공 등 생활 교통환경 개선, 자연생태계의 연결성 유지 등을 위하여 다음에

232 해당하는 도로의 도로구역내 또는 그 주변에 심는 수목으로서 도로의 구조보전과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의 확보에 지장이 없도록 식재된 것을 말한다. 제5조(수종의 선정 및 구비조건) 1 가로수의 수종은 가로수 기본계획에 따라 다음의 기준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 서울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하며 주변경관과 어울리는 수종 2. 서울의 역사와 문화에 적합하고 향토성을 지닌 수종 3. 시민의 보건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수종 4. 환경오염 저감, 기후 조절 등에 적합한 수종 5. 기타 특정 목적에 적합한 수종 제6조(식재 위치) 제7조(가로수의 식재 기준) 제14조(지형과 토양 보호) 제17조(가로수관리의 주민참여 등) 15) 서울특별시녹지보전및녹화추진에관한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체계적인 녹지보전과 지속적인 녹화를 통해 서울의 환경을 개선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울특별시의 녹지보전 및 녹화추진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도시와 자연이 조 화를 이루고 녹지가 풍부한 도시환경의 형성에 기여 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233 제2조(용어정의) 3. "녹화추진지구"라 함은 특히 녹피율이 부족하여 집중녹화가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제34조(녹화지원) 1. 도로, 벽면녹화 2. 학교, 공공기관 제35조(옥상녹화 등에 대한 지원) 1 시장은 민간 또는 공공건축물의 소유자(관리책임자 등을 포함한다) 가 옥상녹화 및 생울타리 조성, 창문화단 녹화와 벽면녹화 등을 하고자 할 경우 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예산의 범위내에서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주택건설촉진법 제31조와 건축법 제32조 등 건축 인 허가 와 관련한 법적 의무조경의 경우에는 그러 하지 아니하다. 2 제1항에 의한 녹화를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경우 그 소유자는 규칙 에서 정하는 서식으로 시장에게 녹화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옥상녹화 등에 대한 지원대상과 범위 등 그 구체적인 기준은 규칙에 서 정한다. 제36조(녹화장려) 1 시장은 조경수준의 향상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년 "푸른마을상", "푸른학교상", "조경상" 등의 우수 한 조경사례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등 녹화장려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 다. 2 시장은 녹지의 보호와 육성운동 등을 추진하는 녹지협정구역내의 토지소유자, 시민단체 등에 대하여 정보제공, 기술지도, 기타 활동에 필 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234 16) 서울특별시도시환경디자인위원회설치및운영조례 제1조 (목적) 이 조례는 도시환경디자인 정책 및 사업의 자문, 도시시설물 디자인개 선안 발굴 등에 대한 시장의 자문에 응하게 하기 위한 서울특별시도시 환경디자인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설치 운영하는데 필요한 사 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조 (용어의 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도시환경디자인"이라 함은 가로시설물 및 공공시설물 등을 포함한 도시환경을 체계적이고 품격 높은 수준으로 제고하기 위하여 가로환경 조성사업 등의 조정을 위주로 한 도시경관의 종합관리 및 개선행위를 말한다. 17) 서울특별시자연환경보전조례 제1조 (목적) 이 조례는 자연환경보전법(이하 "법"이라 한다)에서 위임된 사항과 서 울특별시(이하 "시"라 한다) 자연환경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 여 시민이 쾌적하고 살아숨쉬는 자연환경에서 여유 있고 건강한 생활 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조 (자연환경보전의 기본원칙) 1 자연환경은 다음의 기본원칙에 따라 보전되어야 한다. 1. 자연환경은 공익에 적합하게 보전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235 이용이 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2. 도시의 개발은 자연환경의 보전과 조화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3. 자연경과, 야생동 식물의 서식지 및 그 종 등은 보호되어야 한다. 4. 자연환경은 각종 오염이나 훼손으로 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5. 모든 시민이 자연환경의 보전에 참여하고 자연을 건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증진되어야 한다. 제5조 (관리야생동 식물의 지정 등) 제6조 (관리야생동 식물 등의 보호) 제9조 (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 제10조 (생태계보전지역의 관리계획) 제11조 (생태계보전지역내의 행위제한 및 출입제한) 제14조 (자연환경조사) 제16조 (생태 자연도의 작성) 제18조 (자연휴식지의지정 관리) 제20조 (생태도시의 조성 등) 제21조 (녹지의 총량관리) 제22조 (공공시설의 녹화) 제24조 (자연생태계의 복원) 18) 서울특별시자연환경보전조례시행규칙 제2조(관리야생동 식물의 관리대책) 제5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고시 등) 제9조(생태계의 정밀 또는 보완조사)

236 제10조(생태계의 변화관찰) 19) 서울특별시조경시설관리조례시행규칙 제7조(가로수 수종) 1 가로수의 수종 선정기준 2 가로수로 심는 나무의 종류 제8조(나무 모양 등) 제9조(가로수 식재방법 등) 제20조(녹화 지원 대상) 20) 서울특별시환경 교통 재해영향평가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환경 교통 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4 조제4항 및 제5항의 규정에 따라 서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경 교통 재해영향평가대상사업의 범위를 확대하고, 이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에 이바지함을 목 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가. "환경영향평가"라 함은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 및 사회 경제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예측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 책을 강구하는 것을 말한다

237 나. "교통영향평가"라 함은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할 교통장해 등 교통상의 각종 문제점 또는 그 효과를 예측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 책을 강구하는 것을 말한다. 다. "재해영향평가"라 함은 사업이 홍수 등 재해의 가능성과 재해의 정 도 및 규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 하는 것을 말한다. 제4조(영향평가대상사업 등) 21) 서울특별시환경기본조례 제1조(목적) 서울특별시의 환경보전에 관한 기본이념과 시 자치구 사업자 및 시민의 책무와 시 환경보전시책의 기본이 되는 사항 등을 규정하여, 쾌적한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을 조성 보전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5조(시의 책무) 1 3. 야생 동 식물의 보호 및 생물 다양성의 확보 등 지역 여건에 적 합한 자연생태계 보전에 관한 사항 제12조(자연환경의 보전) 1 자연환경과 생태계보전, 자연의 질서와 균형이 유지 보전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2 자연환경은 다음의 기본원칙에 따라 보전되어야 한다. 1. 자연환경의 보전은 개발보다 우선하며, 자연의 이용과 개발은 조화 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2. 자연환경은 오염과 훼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훼손된 자연환경

238 은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어야 한다. 3. 야생 동 식물 및 그 서식처는 보호되고, 그 종은 보존되어야 한다. 3 시는 공원, 녹지, 하천, 등 자연환경의 적정한 보전과 관리, 건전한 이용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2) 서울특별시보행권확보와보행환경개선에관한기본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서울특별시민(이하 "시민"이라 한다)의 보행권 확보와 보행 환경 개선에 관한 기본사항을 규정하여, 서울특별시(이하 "시"라 한다) 가 보행환경 시책을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추진토록 함으로써, 안전하 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보행권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23) 서울특별시민원조정위원회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민원사무처리에관한법률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29조 의 규정에 의하여 서울특별시의 시정에 관련된 민원사항을 심의 조정하 여 처리방안을 제시하거나 대화를 통하여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서울 특별시민원조정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구성 기능 및 운영 등 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

239 24)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정의) 9. " 生 態 通 路 "라 함은 道 路 댐 水 中 洑 河 口 堰 등으로 인하여 野 生 動 植 物 의 棲 息 地 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野 生 動 植 物 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人 工 構 造 物 植 生 등의 生 態 的 空 間 을 말한 다. 第 6 條 ( 自 然 環 境 保 全 基 本 方 針 ) 2 第 1 項 의 規 定 에 의한 自 然 環 境 保 全 基 本 方 針 에는 다음 各 號 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自 然 環 境 의 體 系 的 보전 관리, 自 然 의 지속가능한 이용 2. 중요하게 보전하여야 할 生 態 系 의 선정, 滅 種 危 機 野 生 動 植 物 및 保 護 野 生 動 植 物 의 보호 3. 生 態 系 保 全 地 域 의 관리 및 해당 地 域 住 民 의 삶의 質 향상 4. 山 河 川 濕 地 農 地 島 嶼 海 洋 등에 있어 生 態 的 건전성의 향상 및 生 態 通 路 小 生 態 系 代 替 自 然 의 조성등을 통한 生 物 多 樣 性 의 보전 25) 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5조 (관계기관의 협조) 1. 중요 생물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단편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또는 이미 단절되거나 단절될 우려가 있는 생태계의 복원을 위한 생태 통로 및 소생태계의 조성 3. 자연공원 및 도시공원에서의 생물다양성을 보전 증진하거나 자연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조치

240 7. 하천 도로 도시관리에 있어 생물다양성의 증진을 위한 조치와 생태계 기술의 활용 제18조 (생물다양성관리계약에 따른 실비보상) 5. 습지 등 야생동물의 쉼터를 조성하는 경우 : 습지 등의 조성 및 관 리에 필요한 금액 26)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 4. 보존지구 다. 생태계보존지구 : 야생동식물서식처 등 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 27) 국토기본법 제5조 (환경친화적 국토관리) 1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토에 관한 계획이나 사업을 수립 집행함에 있어서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야 하며,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 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산 하천 호소 연안 해양으로 이어지는 자연생 태계를 통합적으로 관리 보전하고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책을 추진함으로써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쾌적 한 국토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241 28) 도로법 第 39 條 ( 道 路 의 構 造 施 設 등) 2 建 設 交 通 部 長 官 은 第 1 項 의 規 定 에 의한 기준을 정하고자 하는 때에 는 道 路 工 事 에 따르는 自 然 生 態 界 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道 路 의 構 造 나 交 通 의 安 全 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9) 산지관리법 제3조 (산지관리의 기본원칙) 산지는 임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재해방 지 수원( 水 源 )보호 자연생태계보전 자연경관보전 국민보건휴양증진 등 산 림의 공익기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산지전용은 자연친 화적인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242 제2절 기본계획 연구대상지의 전체배치도는 그림 3.2.1과 같다. 송파구 올림픽로 구 간은 기본계획 1안(그림 3.2.2), 강남구 테헤란로 구간은 기본계획2안 (그림 3.2.3), 서초구 서초로 구간은 기본계획3안(그림 3.2.4)을 적용 한다. 도로변 및 중앙분리대의 녹화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 및 이동통로 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이식물과 자생수종 등을 이용한 다층식재를 하 도록 한다. 주변의 거점 녹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차폐, 경계 식재만을 하지 않고, 녹지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종을 다층식재하며 일조량 및 기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거점 녹지와 도로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건물들의 벽면녹화와 옥상 녹화가 필요하다. 연구대상지의 건물 옥상 면적은 264,632m2로 녹화할 경우 도심지에서 갖기 어려울 정도의 많은 녹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건물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공법을 이용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기본계획 1안은 올림픽로에 적용하는 안으로써 아파트재개발 지역이 차후 setback되므로 도로를 넓히지 않고 보도 쪽에 녹지공간을 확보하 고 가로수로는 피나무를 식재하며 수경요소를 도입하여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계획 2안은 테헤란로의 경우 교통량이 많고 혼잡하므로 기존도로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고 중앙분리대와 보 도 주변의 식재에 중점을 두어 생태 corridor를 만들도록 하는 안이다. 가로수는 느티나무로 선정하였다. 기본계획 3안은 비교적 교통 혼잡이 적은 지역으로 도로확장계획이 있는 서초로에 적합한 방안으로 중앙분 리대 지역에 중점을 두었으며, 가로수는 회화나무를 식재하였다. 또한 강남구 삼성역에서 탄천까지의 400m 구간에 대하여 강남구와 협의하여 시범사업구간으로 정하였으며, 식재설계평면도는 그림 에서 그림 과 같다

243 그림 Image Concept

244 그림 Image Concept

245 그림 Image Concept

246

247 제Ⅳ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248 본 연구의 대외기여도는 주로 환경적인 효과에 중점을 두며, 산재된 서울 도심지의 녹지공간을 하나로 연결함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는 야생생물의 이동로 제공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미기후 조절로 에너지 절약효과 교육적, 위락적 및 심미적 가치 제고 등으로 대별되며 이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각종 시설물들에 한국적 정 체성을 살리도록 전통적 요소 및 디자인을 도입하였으며, 식재 수종의 경우에도 적합한 자생식물을 식재하여 한국적 분위기를 갖출 수 있도 록 하여 한국 전통문화를 표현하여 이 곳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효과도 있다. 녹지와 녹지를 연결하고 자연과 한국문화를 연결시키는 다목적 생태통로의 조성은 이 번 연구를 바탕으로 타 도시에 적용되어 과거의 잘못들을 되풀이하지 않을 좋은 사례와 기술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49 제Ⅴ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50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모델들을 시범사업을 통해 사업화 시킬 수 있으며, 시범사업 후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완하여 기본계획에 반영시킬 것이며, 이렇게 개선된 기본계획은 도심 지 생태 corridor의 모범안으로 제시함으로써 전 도시로 확산할 수 있 으며 파급효과 또한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심지 내에서의 벽면녹화, 가로수녹지조성, 화단조성, 옥상녹 화, 중앙분리대녹화 등을 이용한 생태 corridor기법 및 생태경관조경의 도입으로 인해 조경업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251 제Ⅵ장. 참고문헌

252 강병희, 김승환, 윤평섭, 한규희 신 녹지공간디자인. 서울: 기문 당(역서). 공민정, 공동주택 발코니 및 주변공간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용정, 서상재, 김정애 노린재목, 한국경제곤충 pp. 농 업과학기술원, 수원. 권용정, 허은엽 매미아목, 매미목, 한국경제곤충 pp. 농 업과학기술원, 수원. 김귀곤, 최준영. 분절된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생태이동통로에 관한 이 론적 연구(Ⅰ) -유형구분 및 조성절차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지 Vol.26. No.2. 김미량ᐧ한경덕ᐧ김정규 년간 보호된 북한산 우이령의 곤충상 과 그 보전.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15집: 김용수, L.Finke, 나정화 독일의 생태학적 조경계획 정책분석- 독일 자연환경보존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Vol.22. No.2. 김진일 풍뎅이상과(상), 딱정벌레목, 한국경제곤충 pp.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김진일 풍뎅이상과(하), 딱정벌레목, 한국경제곤충 pp.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김현수, 강재식, 변해선, 옥상녹화시스템의 설계와 시공, 대한건 축학회논문집 14(1), pp.63~68. 나정화 한독간의 자연환경보전법 비교분석. 환경정책 제5 권1호. 박규택ᐧ김성수, 곤충자원편람Ⅰ. 한국의 나비. 381pp. 生 命 工 學

253 硏 究 所 ᐧ 韓 國 昆 蟲 分 類 硏 究 會. 박인환, 장갑수, 김종용 대도시에 있어 냉섬의 유형별 온도완화 효과: 대구광역시의 사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78: 변병설 세계의 환경도시 11 : 그린웨이(Green Way)의 도시, 미국 데이비스.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배시애, 문태영 경기도 양수리-청평호 구간 강변초지의 하계곤 충상과 보존.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 12집: 백남극ᐧ심재한, 뱀(지성자연사박물관 시리즈1). 지성사 출판사, 197pp.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태복원 및 생물다 양성 증진방안 연구 중간보고서. 설미경, 아파트 옥상공간의 인지 및 이용태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시민환경연구소 생태도시로 가는 길, 도요새. 신유항, 한국나비도감. 364pp. 아카데미서적, 서울. 심재한, 2001a. 생명을 노래하는 개구리, 다른세상. 270pp. 심재한, 2001b. 꿈꾸는 푸른생명 거북과 뱀, 다른세상. 280pp. 오휘영, 최병권 해안간척지 친환경적 복원 시공. 서울: 도서출판 조경. 윤용한, 김은일, 송태갑 공원녹지가 기온저하에 미치는 영향. 한 국조경학회지 26(2): 월간 건축과 환경, 수직정원, 월간 건축과 환경, 1999, pp.149~151 이규인, 우리나라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방향에 과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5), pp.167~

254 이규인, 이재준, 황경희, 김기수,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에 관 한 연구. 대한 주택공사 부설 주택연구소, 이승모, 한반도산 잠자리목 곤충지. 229pp. 정행사, 서울. 이승은. 홍선기 역 도시네트워크 계획, 시그마프레스. 이영희 독일연방공화국의 환경정책과 환경정책도구. 녹원출 판사. 이종은, 안승락 잎벌레과, 딱정벌레목, 한국경제곤충 pp.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장성수, 장성주 공역, Le Corbusier,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태림 문화사, 전경배, 최찬환. 건축법규해설, 세진사, 1999, pp.180~182. 조진상 독일의 지방자치와 환경행정 -지방환경영향평가를 중 심으로. 지방자치시대의 환경행정.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조현길, 안태원. 1999a.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한국조경 학회지 27(4): 조현길, 안태원. 1999b. 춘천시 주거지구내 수목피도의 차이가 난냉방 에너지 이용 및 비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27(2): 주흥재ᐧ김성수ᐧ손정달, 한국의 나비. 437pp. 교학사, 서울. 최일기 도시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증진기법에 관한 연구 -비 오토프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위논문. 한국도로공사, 생태통로설계기준과 주변 부대시설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봉호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위논문

255 한영애,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기본계획. 서울대학교 환경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한호연, 최득수 꽃등에과, 파리목, 딱정벌레목, 한국경제곤충 pp.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Ackerman, B Temporal march of the Chicago heat island.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4(6): Akbari, H., P. Martine, A. Rosenfeld Using lightcolored surfaces to cool our communities. in H. Akbari, S. Davis, S. Dorsano, J. Huang, and S. Winnett, eds., Cooling Our Communities. Washington, D. 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Cho, B. S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10, Insecta(Ⅱ). Ministry of Education, Seoul. (in Korean). Campbell, C.S. and M.H. Ogden Constructed Wetlands in the Sustainable Landscape, Wiley. Department of City Planning San Francisco Master Plan.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European Center for Nature Conservation. 1998a. Pan-Euopean Biological and Landscape Diversity Strategy. ECNC. Flinks, C.A. and R.M. Searns Greenways, A Guide Planning, Design, Development, Island Press. Furness, R.W. and J.J.D.Greenwood Birds and Monitors of Environmental Change, Campman & Hall

256 Kim, C. 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11, Insecta, (Ⅲ), 891pp. Kim, C. W Distribution atlas of insects of Korea Series 2. Coleoptera.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Kim, C. W Distribution atlas of insects of Korea. Series 3. Hymenoptera and Diptera.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in Korean). Kim, Jin Ill and Ok Jin Lee, Changes in insect fauna due to urbanization of Suwon city. Bulletin of the KACN ser. 11: Kirkwood Niall G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pp Yoichi Kumagai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pp Gilbert, O.L. and P. Anderson Habitat Creation and Repair, Oxford University Press. Goode, David "Biotope System Planning & Technique in London" In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in Seoul on Aug.21-Aug.23, on the Devleopment of Conservation, Rehabilitation and Creation Technique of Natural Environment for the Co-existence of Man with Nature. Hammer, D.A Creating Freshwater Wetland, Lewis. Huang, J., R. Ritschard, N. Sampson, and H. Taha The benefits of urban trees. In H. Akbari, S. Davis, S. Dorsano,

257 J. Huang, and S. Winnett, eds., Cooling Our Communities. Washington, D.C.: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Lee, Chang Eon, Sang Ok Park and Hee Ryong Kim, Modifying insect fauna under the developing urbanization. Bulletin of the KACN ser. 11: Lee Yeong-Heui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pp Mitchell-Jones, A. J. and A. H. Gent, Priority Natural Areas for mammals, reptiles and amphibians. English Natural Research Report. No pp. Park, Jeong-Mi and Jin-Ill Kim, Changes of fauna in modern times from Korea - Coleoptera in middle area - Bulletin of the KACN ser. 12: Primack. R.B.,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2nd edition. Sinauer Associates, Inc.:280pp. Primack. R.B., Essentials of Conservation Biology 3rd edition. Sinauer Associates, Inc.:698pp. Riley, A.L Restoring Streams in Cities, Island Press. Saunders, D.A. and R.J. Hobbs, The Role of the Corridor, Surrey Beatty & Sons. Saunders, D.A., R.J. Hobbs, P.R. Ehrlich, The Reconstruction of Fragmented Ecosystems, Surrey Beaty & Sons. Shreeve, T.G Habitat Fragmentation Pilot Study : Insect Mobility, English Nature Research Reports

258 Sim woo kyung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pp Smith, D.S. and P.C. Hellmund Ecology of Greenway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Checklist of Insects from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Thompson, J.W. and K. Sorvig Sustainable Landscape Construction, Island Press. Wong, N.H., Y. Chen, C.L. Ong, and A. Sia. 2003a. Investigation of thermal benefits of rooftop garden in the tropical environment. Building and Environment 38: Wong, N.H., D.K.W. Cheong, H. Yan, J. Soh, C.L. Ong, and A. Sia. 2003b. The effects of rooftop garden on energy consumption of a commercial building in Singapore. Energy and Buildings 35: Yuen, Belinda "Creating the Garden City: The Singapore Experience". Urban Studies. Vol.33,No

259

260 부 록 1. 국제심포지움 2. Asia GSD 3. Harvard Design School 4. 신문기사

261 1. 국제 심포지움

262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by Niall G. Kirkwood Professor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echnology Chai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irector, Center for Technology and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USA Overview The premise underlying this paper, is based on my belief that our main contribution as planners, designers or other creative agencies and individuals in charge of the built environment, is not the scale at which we build, or the scope of the work with which we are engaged, but rather the quality of thought and precision of that we bring to individual project activities, whether that of the planning and design of parks, streets, or city districts. In addition the thoroughness with which we plan and construct is part of the meaning of these delineated and configured living green spaces. It can besaid that landscape design can propose any idea, but it is in the making and remaking of landscapes, through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that we dispose and transpose ideas into a

263 precise material form known as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public realm. Introducing Green-ways In this paper I want to concentrate on that part of the current environment which recent trends in urbanism, architectural infrastructure and landscape open space initiatives have tended to overshadow. My focus will be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and artistic potential of Greenway Corridor sites in the current urban landscape, particularly those that are perceived as aesthetically challenging, spatially complex, professionally interdisciplinary and that therefore will require interconnected holistic, creative, functional and technically proficient solutions. Green-ways are also part of a larger professional purpose dedicated to the stewardship of the earth's natural resources. It is my belief that greenway corridors are morethan a network of linear movement and open space recreational systems. As a "green infrastructure" component of multiple communities, neighborhoods and contemporary environments, Green-way Corridors conserve open space close to where people live and work,mitigate the denser patterns of urban growth, arrest water and air pollution, protect wildlife habitat, promote economic grow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for every living thing. The planning, and in some cases, the recycling of older Green-way landscapes combine research work across the disciplines of landscape architecture, site planning and design, as well as those of engineering, architecture, urban design,

264 wildlife and habitat design,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al design and public health. Green-ways introduce visually compelling but sometimes stark and forgotten landscapes places of neglect, but ultimately redeemable and vital in any nations vision for the 21stcentury. Green-ways are universal- that is, they are not only found across every state in the country, but in every nation and across each continent. They are also currently the most contentious- politically, culturally and aesthetically because they are often found in areas of high economic value in downtown areas and the different levels of importance to the multiple groups of stakeholders and agencies involved.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This addresses the truly contemporary and professional nature of this landscape type, in that it is concerned as an integral part of Green-way reuse, design and redevelopment, with the very specialized technological conditions that allow vegetation to flourish in sometimes harsh conditions as well as systems of surface water and drainage to operate.in fact many of these extreme circumstances have now become the Green-ways identifying and prevailing character. In addition, it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design practice and innovative technology research into Green-way Corridors and the problems and opportunities that the synthesis of these activities brings. Structure of Paper I will start by briefly discussing some of the wider issues

265 surrounding Green-ways and the contemporary city, then show slides that illustrate examples of Green-way proposals in the United States that span over one hundred years. They are bracketed in tim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1st Century) by two large-scale engineering endeavors in my home town of Boston that combine formal and informal patterns of pedestrian and vehicular circulation, environmental design and urban construction and whose impact on the surrounding city and its people have been significant in the past and will be continue to be in the future. Topics will range from the dredging of marshes and low lying water bodies to create green corridors through formally inhabitable and unsanitary land (the Emerald Necklace by Frederick Law Olmsted) to the use of street trees, other vegetation, paving and new water elements on a concrete structure suspended over a reconstructed highway system in the most expensive infrastructure project currently being undertaken in the United States. (The Central Artery Project and Surface Restoration).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briefly comment on one of my book projects, 'The Art of Landscape Detail'that addresses a number of detail issues related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een-way sites. Finally I would like to offer some closing remarks on two subjects related to landscape design and the subject of Green-ways thathave broader concerns for the future of the design professions. These are concerned with the sources of design ideas for Green-way Corridor si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the designer and the culture of collaboration

266 In this talk however, the main issue to be addressed is not whether greenway landscapes of this type should be planned or redeveloped, or the review of their legal, economic and regulatory frameworks, however necessary that is. Rather, it is to the precise nature of how this work is to be physically carried out, and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of landscape planning, design and technology in this endeavor. Definition of Green-ways Green-ways can be defined in one of four ways. First as a linear open space established along either a natural corridor, such as a riverfront, stream valley, or ridgeline, or overland along a railroad right-of-way converted to recreational use, a canal, a scenic road, or other route. Second as any natural or landscape passage for pedestrian, bicycle or wildlife. Third as an open-space connector linking parks, nature reserves, cultural features, or historic sites with each other and within populated areas. Finally locally, certain strip or linear parks can be a Green-way if designated as a parkway or greenbelt. The Green-way network can be distilled into three basic parts- links, hubs, and sites. The links are the heart of the greenway system.they are the linear connections for people and wildlife. Hubs are the anchors of the system, they providea base of destination for people and wildlife. Sites are smaller features than hubs and serve as points of interest, origins, or destinations. In Green-way design there are three activities that are basic to the

267 activities of urban regeneration and city design. The first is the rescue or restoration of a green-way corridor or strip of land that already exists. Decrepit urban elements often have potential to be regenerated for example old infrastructure such as canals, riverfronts or railway corridors as well as more traditional streets, pedestrian malls or transportation corridors such as in the downtown Denver. Many of these projects are similar in execution and expression to The Ramblas in Barcelona. The second is the creation of a structure within an existing fabric, enhancing the city you've inherited. This is not always a harmonious process. The boulevards, promenades and public spaces of Paris for example were a radical, 19thcentury invention that was built in fifteen years. The project hacked through the city, it was brutal, it was opposed, people hated it, and it created the city everyone wanted to move to. Infill is also common technique here of enhancing an existing city. For example the new open spaces that were carved in downtown Seattle's retail core at Westlake Park, are culturally and structurally integral to its surroundings and elements relate to both their surroundings and the areas natural flora. Thirdly, is the creation of a new structure from scratch. For example, the early design work at Battery Park City in New York showed the decision to do the most ordinary things and build a new Manhattan Green-way on the river. A new community in West Los Angeles planned in the 1990's on 240 acres called Playa Vista rebuilt a wetland destroyed in the 1920's and 1930's by oil wells and creates pathways, and trail, links and sites along stream corridors that will treat effluent from homes and offices

268 while providing animal habitats. In summary, to get the parts right one has to start with rational plans, regional enough in scope, that you know why you are doing, what you are doing, where you are doing it. The parts must be coherent unto themselves and take into account climate, region and locale to provide a sense of where you are. Furthermore, there must be a vision of how everything adds up and people should not be afraid to dare to build for future generations, to allow people and all living things to stay in touch with the world around us, through the cycles of the seasons and the changes in our lives that they reflect. Key Questions Over the next several decades, national, regional and local agencies and initiatives will commit spending annually to construct new Green-way Corridors or restore existing Green-ways. A number of key questions arise from these actions: How do Green-ways shape the national landscape and future nation's communities, cities and regions? How do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ways structure the changing needs of scientific and aesthetic knowledge required by cities and municipalities? How does the provision of Green-ways affect how the public will perceive and interact with the natural and manmade world in the 21 st. century?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evolving nature of Green-ways I want to briefly look at the origins of this landscape type in the

269 United States. Historical Background to Green-ways The subject of reclaiming and recycling Green-way Corridors exerts a special fascination today that is not fully explained by the influence it has on the planningand rebuilding of cities, communities, buildings and public open landscape space. Even those unconcerned with site design work are now required to take account of this phenomena. For the designer involved with the creation or regeneration of the larger national landscape in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two parallel strands of Green-way development that had their roots in the progressive era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One was the conservation movement dedicated to preserving and enhancing America's open spaces and wildlife, the other was public health or sanitary reform, dedicated to cleaning up squalid living 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inner-city. The two strands however, were born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in reaction to unbridled industrialization. Today designers, particularly landscape architects and urban designers are facing up to the latter, public health or sanitary reform as the missing link in an approach to the contemporary Greenway Corridor environment that has often favored the former- the conservation of wilderness spaces and wildlife. New Greenway Corridors are broad in scope and type and encompass many facets, but they have a central focus- New Greenway Corridors look at cities and communities holistically. They assume thatcities are composed of interdependent systems whose

270 capacities must be designed to assure the safety and happiness of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Greenway Corridors therefore also assume that projects will be linked t The oldest greenway in the U.S. is Ocean Parkway in Brooklyn, designed by the landscape architect Frederick Law Olmsted and architect Calvert Vaux and opened in The Ocean Parkway Green-way is a wide, paved, tree-lined path with a simple low rail separating bicycle and pedestrian traffic. In some cases recently, new Green-ways are being re-created out of old ones from that period that were paved over or allowed to fall to ruin as motor traffic gained a stranglehold on land-use planning. At this time I want to introduce the first precedent that represents many of the origins of Green-ways in a form that was developed from the Ocean Parkway Project but encapsulates a more holistic approach to Emerald Necklace (1895) Completed by Frederick Law Olmsted also in 1895, the 6 mile long Emerald Necklace was the first linear park to be constructed in the United States in Boston, Massachusetts. The Emerald Necklace is comprised of a series of parklands (hubs) and vehicular parkways, which are linked by the wetland resources of the Muddy River(links). The five major parts of the system include the Back Bay Fens, Muddy River Improvement, Jamaica Park, Arnold Arboretum and Franklin Park, (sites) and their connecting parkways (Fenway, Riverway, Jamaicaway and Arborway)

271 While working on the Fensin , Olmsted began to envision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continuous Green-way park though the city. He could do this by continuing a strip of parkland up the valley of the Muddy River, one of the two streams emptying into Back Bay. The strip would connect the Fens with Jamaica Pond, one of the park sites that he had previously recommended. The park commissioners realized the value of Olmsted's plan, but it wasn't until ten years later that construction began on this vital piece of the seven mile "emerald necklace." The grading of the banks for the Muddy River improvement began in The "green fingers" project, an attempt a to interlace an essentially urban complex with park-like corridors of the surrounding countryside, became widely admire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design of the parks included flood control and improved sanitation, as well as recreational and aesthetic enjoyment. Since the fall of 1996, the Muddy River has flooded three times, causing damage to residents, businesses and institutions. These events have brought together a diverse group of stakeholders including universities, museums, businesses, and residents working together with the City of Boston, Town of Brookline and the State of Massachusetts to restore the Muddy River. This river restoration is intended as a means of controlling area flooding, and as a step in implementing the Emerald Necklace Maser Plan of landscape and historic resource treatments that seek to undo the effects of erosion, storm damage, and neglect over the years. In this way the integrity of this Green-way model will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rength

27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Green-way Design I want to talk briefly about the design of Green-ways from both a practical and art-full pointof view. Landscape design technology here can be described as the entire body of methods, materials and poetics by which landscape design objectives are met or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or materials. Techn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e is quite distinct from other landscape subject areas, and in addition cannot be considered a subset of technological thinking in other disciplines; for example in architecture or civil engineeringeven though they may share common areas of interest and overlapping subject matter. In my first book, the Art of Landscape Detail I noted the use in the 19th century, of the term 'mechanic arts' as distinct from 'fine arts' to define the so-called practical arts before the advent of the term 'technology'. The 'practical arts' into which I placed landscape architecture also included engineering, mechanical design and site construction. Leo Marx in his 1994 essay 'The Idea of Technology and Post-Modern Pessimism' has argued that this distinction between 'mechanic' and 'fine' arts "ratified a set of overlapping and invidious distinctions- between things and ideas, the mundane and the ideal, making and thinking". Landscape architecture had its roots and practices in both the 'mechanic' and 'fine arts' and this is of interest in addressing the term-'technological thinking'. By separating aesthetic concerns and issues of design from the areas of work concerned with technology- the term used to describe the practical and the useful, the landscape discipline was split in two. I

273 defined and brought back together the mechanic and fine arts as a way of describing and thinking about landscape technology, but I did not attempt to remedy the split. Instead I used it articulate both the mechanic and fine arts and present a case for technological thinking and its breadth as one of the chief modes of landscape architectural thought. In terms of the design of Green-ways, technology is the means to produce landscape design work, but as a source of creative expression in the fields of landscape architecture, urban design and site architecture. Of particular interest here is the idea of durability that is concerned with the soundness, constancy and permanence of landscape design elements and built form over set periods of time. These periods may last anywhere from a single day in the case of temporary site installations or artwork, to as yet unknown endpoints assumed to be far in the distance, for example with permanent landscape Green-way structures in robust and durable materials. Landscape forms and elements because of their scale, physical prominance, quantity and sensitivity act as prime indicators in this regard, the litmus test of physical denegration, markers in the changes brought upon, and to, the built environment. Today,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passes between the completion of many public Green-way spaces and their rapid deterioration. Design failures are most clearly visible in the built landscape details. In Barcelona, Spain, the extensive redevelopment of its green-ways asurban public open spaces, parks, streets, and plazas in the 1980's won international recognition from the design

274 community when the city was the recipient of the 1991 Prince of Wales Prize in Urban Design. After the failure of detail surfaces, transitions, and elements the first wave of re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these spaces is underway just ten years after their completion. This is a serious issue for clients such as educational institutions, corporations, public agencies, government and town officials who are engaged in the commissioning,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upkeep of Green-ways for which they are responsible. These include the following: Is the expected life of current built landscape Green-way projects to be no more than ten to fifteen years? Over and beyond the regular maintenance will large expenditures of money, materials, and labor still be required to counter the failure in Green-way construction practices and detailing? Who is responsible for this failure: the designers, educators and the design programs they oversee, the manufacturers, the builders, the construction industry, or the clients themselves? With a need to take a responsible attitude to future global resources and expenditure on materials, it is more reasonable now that designers in landscape architecture comprehend and act on how their Green-way projects will perform over time, understand the role that climate plays in the modification of design work, and be informed about what are the appropriate design responses to the

275 actions of weathering using where appropriate robust and adaptable landscape details forms. To finish on a more contemporary note let us now look at the second precedent located also in Boston a mere hundred years after the Emerald Necklace. Thus we can see the evolution of Green-way types over the centuries from 19th to the 21st. Central Artery Surface Restoration (1990- present) By rebuilding Interstate 93 as a tunnel through downtown Boston, the $14 billion Central Artery/Tunnel project is creating 23 acres of new open space and will rejoin its downtown to its waterfront. In 2004, the elevated Central Artery that has separated Boston's Downtown from its waterfront for nearly 50 years will be demolished. The Rose Kennedy Greenway- nearly30 acres of land guided by a new civic landscape vision will take its place. Ten acres of the Green-way are parkland, joining the larger surrounding system of existing parks and public space along the corridor from Causeway Street to Kneeland Street. The intent of the current design is to promote the individual character of the neighborhoods, while still providing an overarching, cohesive Green-way Corridor. The envisioned tree-lined boulevard running the length of the corridor will serve as the infrastructure inside of which the new interior open spaces will be designed. The trees--pear, maples, plane trees, ginkgo, linden, honey-locust, elms, oaks, horse-chestnut and scholar, along with flowering shrubs and ivy are only one part of the Green-way landscape. Connecting these

276 interior open parcels of land to the waterfront is achieved through trees, paving, lighting and art installations that will create a recognizable identity for each district through which the Corridor runs. For more than 15 years, an active process of planning and public dialogue has helped to shape the vision for this new and quite controversial Green-way. Now preliminary designs are underway for the Green-way Corridor Parks. For these parks- in the North End, Wharf District and Chinatown/Leather district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they must fulfill a set of fundamental principles that emerged from the planning and dialogue process. These principles are set out as follows: Building a common ground for all. Being Uniquely of the Place (Boston) Designing for the Future Connecting with other Green-way Parks Constructing a Sustainable Framework (They must be designed, built and managed to function successfully over time.) Specifications for what is expected to be a $10.6-million contract for trees, shrubs, perennial flowers and ground cover went out in April. While the trees will begin to be grown in 2001, they won't be planted on the Central Artery surface until 2005, when the elevated highway is down. Conclusions In closing I would like to return to two topics related to design that

277 are of significance to this work in the future. First- the sources of design ideas in Green-way design, an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the designer and the culture of design collaboration. Sources of Landscape Design Ideas. There is a persistent moral strain, which has continued to inform the practice of design in urban areas to the present time. The landscape medium is, within this mythic stance, considered 'extremely natural', and therefore lays claim to a moral status of 'truth' that places it in an oppositional relationship to the 'cultural artifice' of urban design and the true civic condition. Even the most cursory analysis of these Green-way Corridors reveals remade, constructedand artificial surfaces. In fact the site with which the landscape architect works becomes a rhetorical product - a fiction. Here the moral superiority assigned to landscape design - by appeal to the 'natural' needs to be questioned. Two issues regarding the sources of design ideas in presenting and representing 'nature' on these urban sites are raised. How can landscape architects re-interpret the chronology of a site, be it natural or cultural in its disposition, in a specific geographic location? and secondly how can design shape this site into a landscape consonant with the cultural artifice of the city or urban fabric. By looking observantly, without trite moralizing at the natural world as well as the disposable world, we may build at the great overlap between the two. This suggests a challenging new model for how we ought to work within our contemporary

278 environment, a new quality of attention to the intricate organic and artificial systems of reality. Looking beyond nostalgia for the impossibly pristine, and clear-sighted beyond disgust for the actual present site condi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the Landscape Architect and the Culture of Design Collaboration. Collaboration, as you all know, is that difficult exchange between different minds with (we hope) common objectives. The design of the urban landscape does not fall, by its very definition, into any one discipline. Few agencies, groups, or individuals have the interest, understanding or control over all the interrelated elements of the urban fabric, such as streets, parks, squares, buildings, the infrastructure of roads, pedestrian routes and bikeways, and the textures, materials, and embellishments of the public realm. Rather, the best examples of the art of urban landscape design have been the product of the collective effort of many design disciplines working together through acts of collaboration. The word itself- 'collaboration' announces the possibility of mutual acts of design activity between design professionals, producing a richer and more stimulating form of practice. At the same time. it also suggests a more sinister and subversive definition which involves incursions, encroachment, and the occupation of professional territory. These two definitions reflect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contradictory nature of collaboration, which can both work for, and against, any common aims of design, raising questions regarding the centers,

279 edges and overlap of professional activity. The processes of true collaboration, work in favor of the landscape architect who can embrace projects such as I have described to today and who can use it as an opportunity to question both the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the design disciplines, as well as the physical boundaries that the landscape profession has imposed upon its own domain Arising from this are seven strategic needs and recommendations can address those needs and which I offer to you as a conclusion. Keeping Local Focus and Control Future greenway development should maximize local focus and control. Leadership Establish an on-going structure that identifies greenway development as a priority. Assessment of Resources Establish an on-going system of data collection concerning local greenway projects. Protection Mechanisms Establish a system of rescuing linear corridors which are in jeopardy. Capac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larify position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Value of environmental benefits should be included. Develop best management practices Technical Assistance

280 Expand the capacity for delivering technical assistance. Looking at Green-ways in a holistic manner represents a promising area for a long future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fic research, applied engineering and creative design by landscape architects. For these reasons alone quite apart from the importance of the innovative projects themselves under review today. It is also of importance because it begins to chart a significant new direction for the landscape profession in Korea. One that can be expanded to other nations and other continents, and as I said at the beginning of my presentation, Green-ways are part of a larger professional purpose dedicated to the stewardship of the earth's natural resources. That alone must make it a valuable undertaking for designers and planners. 4,345 words October 22, 2003 Copyright of Niall G Kirkwood, Cambridge, MA. USA

281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by Niall G. Kirkwood Professor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echnology Chai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irector, Center for Technology and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USA 개요(Overview) 이 글에 깔려 있는 전제는 구축 환경에 기여하는 플래너로서, 디자이너 또 는 창조적인 기관이나 개인으로서의 나의 신념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어떤 작업의 크기나 범위에 상관없이, 이러한 각각의 작업 행동에-공원이나 거리 나 도시 한 구획에 관한 것 등을 계획과 디자인하는 것이거나 간에- 끌어 들이는 질적인 사고와 정확정밀함이다. 더불어 우리가 계획하고 만드는 것에 대한 완벽함은 서술되고 만들어진, 살아있는 녹지공간의 의미의 한 부분이다. 조경디자인이 어떤 아이디어든 내놓을 수 있다고 말해질 수도 있지만 조 경은 우리가 공공공간에서의 조경건축이라는 정확한 실체로 아이디어를 배 치와 재배치하는 여러가지 전례들과 실무들 그리고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만 들고 다시 만드는 것이다

282 그린웨이 소개(Introducing Green-Way) 이 글에서 나는 도시주의, 건축의 기반, 그리고 열려있는 조경공간의 자발 성의 최근 경향이 현재 상황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5. 나의 초점은 현재 도시 조경에서의 그린웨이 콜리도 부지의 발전과 예 술적인 가능성에 관련되어 있다. 이는 특히 미적으로 도전적이고, 공간적으 로 복합적이고 전문적으로 상호교류로 여겨지는 곳, 그래서 상호연결된 전 일적, 창조적, 기능적, 그리고 기술적으로 풍부한 대안점을 요구하는 그런 장소를 말한다. 그린웨이는 또한 지구 천연자원의 임무에 봉헌하는 더 큰 취지이다. 그린웨이콜리도는 직선적인 움직임이나 열린 공간의 레크리에이션 시스템 의 network보다 더 가치가 있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다. 여러 지역, 이웃 그리고 현대 환경에서 녹지체계의 요소로서,그린웨이콜리 도는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곳 가까이 열린 공간을 보전할 뿐 아니라 밀집 된 도시성장의 패턴을 완화시키고 물과 공기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야생생 물의 거주지를 보호할 뿐 아니라 경제적 성장을 도모하며 살아있는 모든 것 들의 일상생활의 질을 향상 시킨다. 계획,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오래된 그린웨이조경을 재활용하는 것은 조 경건축, 부지 설계와 디자인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건축, 도시 디자인, 그 리고 야생동식물과 그들의 번식지 디자인, 경제적 발전, 환경디자인 그리고 공중위생에 대한 연구를 합친 것이다. 그린웨이는 시각적으로 끌어주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황량하거나 잊 혀진 조경-무시된 곳이지만 어느 나라에 관계없이 21세기의 미래상에서 반 드시 회생시킬수 있고 살아있는 곳-으로 안내하기도 한다 그린웨이는 전세계적이다. 그것은 미국에 있는 모든 주에서만 찾을 수 있 는 것이 아니라 모든나라와 모든 대륙에 걸쳐서 나타난다

283 그린웨이는 정치적으로, 문화적으로 그리고 미적으로 가장 분쟁점이 되고 있다. 왜냐하면 이 그린웨이는 보통 가장 경제적 가치가 높은 도시 한 복판 에 있고 서로 다르게 가치를 두고 있는 투자자나 여러 기관들이 그 지역에 연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부제는 '전례(precedents), 실무(practices) 와 프로젝트'이다. 이 부제는 실제로 이 그린웨이라는 조경의 한 전형의 현대적이고 전문적 인 본질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부제는 어려운 환경에서 수목이 자 라게 할 뿐 아니라 표면수와 배수를 작동하게 하는 특별한 기술조건들과 함 께 그린웨이의 재사용, 디자인과 재개발과 연관되어져 있다. 사실상 이러한 극단적인 여건들은 그린웨이를 인식하고 우세하게 만드는 특징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이 부제는그린웨이 콜리도에 대한 디자인 실무의 통합과 혁신적인 기술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들이 가져오는 종합적인 문 제와 기회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글의 구성 (Structure of Paper) 나는 일단 그린웨이를 둘러싼 좀더 넓은 문제에 대해서 간단하게 토론을 시작하고 그 후에 미국에서 약 100년을 걸쳐서 제시되어졌던 그린웨이 제 안들에 대한 슬라이들을 보여주려고 한다. 이 제안들은 Boston에서 두가지의 기술적인 시도에 의해서 19세기 후반 에서 21세기 현대로 제한 되어진다. 이 제안들은 정식과 비정식적인 보행자 로와 차량동선, 환경디자인과 주변 도시들과 사람들에게 과거뿐 아니라 앞 으로 미래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도시 건설공사를 합쳐놓은 것이다. 여기의 논제들은 살수 없고 비위생적인 땅을 Green Corridor로 창조하기 위해 늪과 낮은 수면의 진흙을 퍼내는 작업을 한 것부터 시작해서 (The Emerald Necklace by Fredrick Law Olmsted) 가로수와 다른 수목들, 도

284 로 포장과 새로운 물의 요소를 새로 다시 지어진 고속도로 위의 컨크리트에 짓고 있는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장 비싼 기반공사(The Central Artery Project and Surface Restoration)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와 동시 에 나는 나의 저술 프로젝트중 하나인 "The Art of Landscape Details"에 대한 언급을 하고 싶다. 이 책은 그린웨이 부지의 디자인과 그 실행과 관련 된 여러 디테일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직종의 미래를 위해서 조경 디자인에 관계된 두가지 주제와 좀 더 광범위한 주제를 갖고 있는 그린웨이에 대해서 맺음말을 하려 고 한다. 이 맺음말들은 그린웨이 콜리도 부지에 대한 디자인 아이디어의 근원과 디자이너의 아이디어와 협력과 관련되어져 있다. 이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이러한 그린웨이의 조경이 계획되어져야 하고 재개발되어져야 한다라는 것도 아니고 또한 그 작업들의 법적, 경제적, 규제적인 체제를 다시 돌아보려는 것-이런 것들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이 아니다. 그런 것 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작업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어졌고 그리고 특히 조경설계와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면이 어떻게 연관이 되어 져 있는 지를 정확하게 보는 것이다. 그린웨이의 정의 (Definition of Green-ways) 그린웨이는 다음 네 가지 중 한가지로 정의 되어질 수 있다. 첫번째로 이는 선형적인 열려진 공간으로 자연적인 회랑 같은 공간 예를 들어 강변 이라든가 계곡이라든가 또는 산맥, 또는 철도 옆에 레크레이션 공간으로 전환된 육로, 수로, 경관이 있는 길 또는 다른 도로들을 따라 만들 어진 곳들이다. 두번째로는 자연적으로나 경치가 있는 곳의 보행도로나 자 전거 또는 야생동물이 다니는 길이다. 세번째로는 열린 공간의 연결로로서

285 인구가 많은 지역안에서 공원, 자연 보존 구역, 문화적인 요소들 또는 역사 적인 유적지를 연결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지역적으로 가늘고 길거나 선형의 공원은 공원로나 그린벨트로 규정되어지면 그린웨이가 될 수 있다. 그린웨이의 network는 기본적으로 Links(연결), Hubs(중심)와 Sites(부 지)의 세가지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Links는 그린웨이시스템의 심장이다. 이는 사람과 야생생물을 연결해 준 다. Hubs는 시스템의 고정점(anchor)으로서 사람과 야생동식물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Sites는 Hubs보다 작은 경우이지만 흥미나 원점 그리고 방향을 가르쳐 준다. 그린웨이 디자인에서는 도시 활성화와 도시 디자인의 활동에 기초가 되는 세가지의 행동이 있다. 그 첫번째로는 그린웨이 콜리도나 이미 존재하는 땅을 구제하거나 복원하 는 것이다. 낡아빠진 도시적 요소들은 다시 재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오 래된 운하나 강변 또는 철로들 같은 하부구조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거리 라든지 보행자 몰이라든지 또는 교통 통로였던 Denver의 시내는 이러한 예 가 될수 있다. 이 프로젝트들의 많은 것들은 Barcelona에 있는 Ramblas 와 실행이나 표현 면에서 비슷하다. 두번째로는 현존하고 있는 조직안에서 본인이 이어받은 도시를 강화할 수 있는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이다. 이것은 항상 조화로운 과정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리의 큰길(boulevards), 산책길(promenade) 그리고 공공공 간은 합리적인 19세기의 창안물로 15년 안에 지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도

286 시를 완전히 뒤집었고, 무지막지 하였고, 반대도 심하고 사람들이 싫어했으 나 모든 사람이 이사하고 싶은 도시로 만들었다. 장소를 메꾸는 방법도 기존의 도시를 강화시키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Seattle의 시내의 Westlake Park의 상업공간 중심에는 문화적 으로 구조적으로 주변환경과 요소들 그리고 자연 식물들과 잘 통합되어있 다. 세번째로는 그냥 새로운 구조를 창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New York의 Battery Park City에서의 초기 디자인 작업들은 가장 일상적인 것을 하는 결정을 보여주었고 새로운 Manhattan 그린웨이를 강가에 만들었다. West Los Angeles에있는 240acre의 Playa Vista 라고 하는 지역은 1920년대와 30년대에 걸쳐 기름 우물에 의해 오염되었던 습지대(wetland) 를 1990년대에 복원하였고 보도와 산길, 연계와 장소들을 물줄기를 따라서 만들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방출되는 오물들을 처리하면서 동물들의 서식 지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요약해서 말하면 모든 것이 바르게 이루어지게 하 기 위해서는 왜 이 일을 하고 있는지(why you are doing), 무엇을 하고 있는지(what you are doing), 그리고 어디에 하고 있는지(where you are doing it)를 알고 있는 합리적인 계획들과 충분한 지역범위에서 시작하여야 한다. 모든 부분들은 서로 밀착되어져 있어야 하고 너가 어디있는 지의 감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후, 지역, 장소를 고려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이 모 든 것들이 어떻게 합쳐지는지에 대한 시각이 있어야 하며 사람들은 미래의 세대를 위해서 건설을 두려워해서는 안되고 사람들과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게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세계와 계절의 순환과 그에 따른 변화들을 통해 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287 핵심 논제 (Key Questions) 앞으로 몇 십년동안에 걸쳐서 국가적, 지역적 그리고 지역기관과 주도자들 은 연별로 새로운 그린웨이 콜리도나 기존의그린웨이의 복원에 지출을 할 것이다. 이 행동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질문들이 떠오른다. - 그린웨이가 국가의 조경과 미래 국가의 지역공동체, 도시, 지역을 어떻 게 만들어 갈 것인가? - 그린웨이디자인과 건설이 도시나 자치구역에서 요구되어지는 과학적, 미적인 지식의 변화하는 필요성을 어떻게 체계화 할 것인가? - 그린웨이의 공급이 21세기에서 시민들이 자연과 인공환경을 어떻게 감 지하고 상호 작용하는가에 영향을 줄 것인가? 전개되고 있는 그린웨이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 나는 간단히 미국에서 의 이런 조경의 근원들을 볼려고 한다. 그린웨이의 역사적 배경(Historical Background to Green-ways) 그린웨이 콜리도를 재활용, 개척하려는 주제는 도시, 지역공동체, 건물들 그리고 공공의 외부공간에 끼친 영향력으로 완전히 설명되어지지 않는 오늘 날 특별한 매력을 발휘한다. 심지어는 site design에 관심이 없는 이들도 이런 현상을 받아들이고 있다. 미국의 좀더 큰 국가 차원의 조경의 창조나 부활과 연관된 디자이너를 위 해 20세기 초의 발전시기에 기초를 둔 두가지의 평행한 경향이 그린웨이의 발전에 있다. 그 하나는 미국의 열려진 공간과 야생생물을 보호하고 강화 시키는 보존의 움직임이었고 다른 하나는 열악한 도시안에서의 생활환경을 깨끗이 하려는 공공의 건강이나 공중위생을 재구성하려는 것이었다. 이 두 가지 경향은 19세기 후반 걷잡을 수 없는 산업화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것 이다

288 오늘날 디자이너들, 특히 조경건축가와 도시 설계가 들은 공공의 건강이 나 공중위생을 현대의그린웨이 콜리도 환경-이 환경은 야생의 공간과 야생 물들의 보전에 자주 관심을 보였다- 에 접근하는 분실된 연결고리로 생각 하는 후자의 경우를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그린웨이 콜리도는 그 범위와 전형에 있어서 넓을뿐 아니라 많은 면 들을 포괄하나 초점이 있다면 새로운 Green-way Corridors는 도시들 과 지역사회들을 전일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들은 도시들이 사람들과 다 른 살아 있는 생물의 안전과 행복을 확신할수 있는 상호 의존적인 시스템으 로 구성되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그린웨이 콜리도도 여러 프로젝 트들이 서로 연결될 것으로 믿는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그린웨이는 조경가 Fredrick Law Olmsted와 건축 가 Calvert Vaux 에 의해서 디자인된 Brooklyn 에 있는 1895년에 개통된 Ocean Parkway 이다. Ocean Park Greenway는 단순한 낮은 레일링 (railing) 으로 자전거도로와 보행자를 분리시킨 넓고, 포장되어있고, 나무가 죽 늘어선 도로이다. 최근의 몇가지 경우에서는 자동차 교통이 토지 이용 계획에 가장 큰 문제가 되면서 그 시대의그린웨이들을 새롭게 포장해서 재 창조하기도 하였다. 이번에는 Ocean Parkway 프로젝트에서 발전되어졌으나 좀더 전일적인 접근을 갖고 있는 여러가지그린웨이의 본질을 보여주는 첫번째 전례를 보여 주려고 한다. Emerald Necklace (1895) 1895년 Fredrick Law Olmsted에 의해서 완성된 6마일의 Emerald Necklace는 미국의 Boston, Massachusetts에 세워진 첫번째 선형의 (linear) 공원이다. Emerald Necklace는 공원부지(hubs) 와 차량 도로들 로 구성되어져 있고 이들은 늪지의 근원이 되는 Muddy River(links)로 연

289 결되어져 있다. 이 시스템의 주요 다섯가지 부분은Back Bay Fens, Muddy River Improvement, Jamaica Park, Arnold Arboretum 과 Franklin Park, (sites) 그리고 이들을잇는 공원도로들(Fenway, Riverway, Jamaicanway and Arborway)이다. 1879년에서 1880년까지 Fens에서 일하면서, Olmsted 는 도시안에서 연 속적인 그린웨이 공원을 만들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Olmsted는 한 긴 공원부지를 Back Bay로 흘러가는 두 줄기중 하나인 Muddy River의 언덕까지 연장할 수 있었다. 이 공원부지는 Fens와 Olmsted 가 그전에 제 시했었던 한 공원부지인 Jamaica Pond를 연결했을 것이다. 이 일과 관련된 실천 위원들은 Olmsted 계획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지 만 이 7마일의 Emerald Necklace의 생명과 같은 이부분의 공사는 10년이 지난 후에나 시작되었다. Muddy River 의 향상을 위한 뚝 경사변경은 1890년에 시작되었다. 도시 공간과 도시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공원 같은 Corridor를 서로 섞으 려고 하는 "green finger"프로젝트는 많은 존경을 받았다. 이 공원의 디자 인 뒤에 있는 힘은 홍수의 조절과 공중위생의 향상 그리고 레크레이션과 미 적인 즐김에 있다. 1996년 가을 이후, Muddy River는 세번의 홍수로 그 주변 주민과, 경기 그리고 교육기관에 피해를 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 로 대학이나 박물관 점포의 주인들 그리고 주민들을 포함한 다양한 단체의 사람들이 City of Boston, Town of Brookline 그리고 State of Massachusetts와 함께 Muddy River 복구를 위해서 함께 일했다. 이 강 의 복구는 지역의 홍수를 조절하도록 의도 되어졌고 수년동안 잊혀질 것이 다. 그리고 이 복구 작업은 Emerald Necklace Master Plan을 보완하는 단계로서 또한 침식이나 태풍의 피해를 원상태로 돌리려는 역사적 자료를 취급하는 단계였다

290 이러한 일로 인해서 이그린웨이의 통합성이 원래의 의도와 같은 강력함으 로 복구될 것이다. 그린웨이 디자인속의 기회와 도전 그린웨이 디자인의 실용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싶다. 여기서 조경 디자인 기술은 그 방법들과 재료들 그리고, 조경 디자인 의 대상들이 만나짐으로 이루어지는 창조들 또는 이러한 방법들과 재료들의 적용 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조경에 있어서 기술(Technology)이란 조경 의 다른 분야와는 다른 독특한 성격으로 가지며, 비록 전반적인 관심의 분 야나 주제에 있어서 서로 공유하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건축이나 도시설계 에 있어서의 공학적 사고와도 또 다른 면모를 가지고 있다. 나의 첫 저서인 'The Art of Landscape Detail'에서 나는 '기술 (technology)'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전인 19세기의 소위 실용적 창작활 동(Practical Arts)을 순수예술(Fine Arts)과는 별개라는 의미로 기술 (Mechanic Arts)라고 정의했다. 실용적 창작활동 (Practical Arts)에는 공학, 기계설계, 건설등이 포함되며, 나는 조경 또한 이러한 반열에 놓인다 고 생각한다. 1994년 리오 막스(Leo Marx)는 그의 저술 'The Idea of Technology and Post-Modern Pessimism'에서 주장하기를 기술과 예술을 구분하려 는 노력은 '사물(things)'과 '사고(ideas)', '일상적인 것(the mundane)과 ' 이상적인 것(the ideal)', '실천하는 것(making)'과 '구상하는 것(thinking)' 등의 중복적이고 쓸모없는 구분을 증명하는 것일 뿐이라고 증명했다. 조경기술(Landscape Technology)을 정의함에 있어 '기술적 사고 (technological thinking)'를 거론하는 이유 역시 조경이 실용적 측면과 예 술적 측면 모두에 그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조경 기술 (Landscape Technology)을 정의함에 있어서 실용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

291 을 함께 사용한 이유는 둘의 차이점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둘의 유기적 인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함으로써 조경적 사고의 핵심 요소로써의 기술적 사고와 그 사고의 폭넓을 영역을 소개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린웨이 디자인에 있어 기술(Technology) 역시, 디자인을 현실화 시키 는 도구인 동시에 조경, 건축, 도시설계 전반에 걸친 예술적 표현의 방법이 기도 하다. 기술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것은 정의가 아니라 시공의 후에 형태, 마감 그리고 연결 부위등이 얼마동안이나 유지될 수 있나하는 '내구성 (Durability)'일 것이다. 즉, 내구성이라 함은 시공된 후의 수명을 의미며, 여기서 수명은 목적과 재료에 따라 하루에서 수 백년까지 될 수 있다. 예 컨데, 일시적인 설치예술에 경우 그 수명이 짧을 것이고, 내구성이 강한 재 료를 사용한 조경 설치물이라면 반영구적일 것이다. 마감의 형태와 재료의 크기, 물리적 특성, 양 그리고 민감도등이 이 수명을 좌우하는 척도이다. 오늘날 많은 그린웨이 조성의 수명이 줄어들고 있다. 오가 시공의 마감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설계착 스페인의 바르셀 로나를 예를 들어 보자면, 80년대 광대한 규모의 도심 공공 오픈스페이스, 공원, 가로 및 광장을 연계하는 그린웨이 조성 제개발이 1991년 Prince of Wales Prize를 수상하면서 세계각국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었다. 그러나, 불과 10년이 지난 지금 포장표면 및 마감의 연결부분 등에 여실히 문제점을 드러내며 보강 및 재시공이 진행중 이다. 그렇다면 이런 디자인 실패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현재 시공되었는 그리웨이 프로젝트들의 수명이 10~15년이 채 안되는 가? - 정기적인 유지,보수를 제외한 재정 및 자재와 인력의 소요를 그린웨이 디자인의 실패로 간주해야 하는가? - 누가 이러한 디자인 실패가 누구의 책임인가? 디자이너, 교육자, 디자

292 인 요소, 자재공급자, 시공업자 아니면 고용주? 위의 문제점들을 포함해 디자인 실패는 실질적인 재정지원과 시공 및 유 지를 담당하는 기업, 공기업, 정부 및 크고 작은 정부단체 뿐만아니라 교육 기관에 까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다가올 미래의 국제적인 자료 공유 및 자원의 소요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다. 그 첫째는 그린웨이의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수행능력이며, 둘째는 다양한 기후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방안이고, 세째는 디자이너의 계절 변화에 따 른 알맞은 세부 설계 대안과 재료선택에 대한 예측능력이다. 보스톤에 있는 100년 역사의 에메랄드 넥클레스(Emerald Necklace)를 통해 다시 한 번 선례를 통해 미래를 배우고자 하며 이로서 19세기부터 21 세기까지 그린웨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중앙 간선 도로 표면 보강 공사 (1990 ~ 현재) 공사의 핵심은 보스톤 시내를 고가로 관통하는 93번 고속도로를 지하터널 로 연결하고, 기존의 고가가 있던 자리를 1억 4천만불 (한화 약 1,600억 원) 예산의 새로운 23에이커 (약 28,000평)의 새로운 공원녹지로 재구성함 으로서, 고가로 인해 단절되었던 보스톤 시내와 수변을 재연결하는 것이다. 2004년까지 지난 50년간 보스톤 시내와 수변을 단절하고 있던 기존의 중 앙 간선 도로가 지하로 옮겨질 것며 로즈 케네디 그린웨이 (Rose Kennedy Greenway)로 명명된 근 30에이커에 달하는 새로운 도시 조경 미래안 (New Civic Landscape Vision)에 부흥하는 녹지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될 것이다. 이 그린웨이의 10 에이커에 해당하는 코즈웨이 스트리트(Couseway Street)~ 니랜드 스트리트 (Kneeland Street) 구간은 각기 다른 성격의 이웃들의 특징을 유지하며 기존의 공원과 공공 장소를 연결함에 그 주안을

293 두고 있다. 배나무, 단풍나무, 플라타너스, 은행나무, 보리수, 허니로커스트, 느릅나무, 참나무, 마로니에 나무, 회화 나무 등의 다양한 교목들과 각종 초화류를 비 롯한 지피식물들이 이 그린웨이를 구성하고 구획하는 주체이며, 이 수목들 과 함께 포장표면의 연속과 조화, 조명, 설치예술등의 질적인 변화를 통해 그린웨이가 지나는 각 지역들의 특징을 배가 시키는 동시에 도시 내부를 수 변으로 연결시킨다. 15년이라는 기간을 통한 역동적인 실시계획과 대중의 여론 수렴을 통해 심도 깊은 그린웨이 형성을 일조했으며, 현재 이를 바탕 으로한 '그린웨이 콜리도 공원'의 예비 설계가 한창 진행 중에 있다. 놀스 엔드( North End; 이태리인 지역으로 뉴욕의 Little Italy의 전신), 워프 지 역(Wharf District) 그리고 차이나 타운/레더 지역(Leather District)의 잠 재력을 최대한 촉진시키는대 주력했으며, 앞서 언급한 계획과 대중참여에서 유출된 다음과 같은 필수적인 사항들의 점검을 필요로 했다. - 대중을 위한 공공장소 - 보스톤의 장소성을 살리는 디자인 - 미래를 예견하는 디자인 - 다른 그린웨이와의 연결성 - 환경 친화적 시공 (이러한 공원은 성공적으로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까지 지속적으 로 디자인되고 시공되고 유지 및 관리되어야 한다.) 1060만 불 분량의 교목, 관목 및 다년생 초화류등의 식재계획이 이미 4 월에 시공업체에 전달되었고, 중앙 간선 도로 포장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2001년부터 식재되기 시작했다

294 결론 결론을 내리는데 있어 미래에 유용한 두가지 점을 짚고 넘어가고 싶다. 첫째는 그린웨이 디자인 아이디어의 근원이고, 둘째는 조경가의 아이디어 와 다른 분야와의 협조이다. 조경 디자인 아이디어의 근원 과거로 부터 현재까지 도시 지역의 설계를 실행하는데 있어 지속적인 영 향을 미쳐온 끊이지 않는 윤리적 믿음이 있어 왔다. 신화적 입장에서의 조 경의 소재는 지극히 자연적인 것을 뜯하며, 따라서 도시설계의 인공적 개발 에 상반되는 '진실'이라는 윤리적 입장들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린웨이 콜리도를 가장 피상적인 입장에서 살펴본다고 해도 여전 히 인공적인 면을 부정할 수 없다. 자연적이라는 점으로 인해 조경에 부여 된 윤리적 우월성에 의문을 가져 본다. 여기서 도시환경에 '자연'을 도입하 려는 설계 아이디어의 근원에 관련된 두 가지 문제점들이 부각된다. 먼저 조경가들이 부지의 특정한 지리적 위치 안에서 어떻게 시대적 변화 를 재해석 할 것이냐이며 둘째는 디자인이 어떤 식으로 도시의 구조와 형태 의 인공적 개발과 조화를 이루며 형성될 것이냐 이다. 자연과 인공에 대한 진부한 도덕적 설명 없이도 주의 깊은 통찰력을 통한 자연과 인공의 합성으 로 성공적인 디자인을 이룰 수 있다. 이것은 현대의 환경속에서 우리가 어 떠한 자세로 일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며, 복잡한 유기물과 현 실의 인공적인 체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의 질을 시사한다. 불가능한 원시 적인 환경만을 고집한다든가, 인공적인 환경에 대해 이유없는 혐오를 갖는 다듣가 하는것은 어리섞은 일이다

295 조경가의 아이이어와 디자인 협력과의 관계 협력이란, 여러분도 이미 알다시피, 공통 관심사에 대해 재각기 다른 생각 들을 교환하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도시 조경 디자인 이라는 것은 바로 그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한개 의 분야에 귀속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뿐만아니라, 극히 소수의 정부기관 이나 시민단체 또는 개인들만이 도시의 형태와 구조 즉, 도로체계, 녹지체 계, 건물 등의 유기적인 관계에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있다. 보다 성공적인 도시 조경의 예는 디자인 전반에 걸친 '협력'의 선별적인 노력의 산물로 나 타나고 있다. '협력'이라는 단어 자체가 디자인 전반에 걸친 심도높은 의견 수렴을 통한 무한한 잠재력을 도출해내는 생산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으 나, 또 한편으로는 디자인 각 분야에 대한 서로의 고유영역을 침해하고 저 해한다는 부정적인 의미도 가질 수 있다. 두 의미가 지극히 극단적인 모순 을 보이고 있지만, 조경가에 있어 진정한 협력의 과정이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능동적인 자세로 과제들을 수용하고, 협력자체를 디자인 각 분야 의 영역을 확인하는 기회로 삶는 동시에 조경의 고유영역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협력에 있어서 다음의 전략적인 충고 일곱가지를 제시한다. - 국지적 관심과 관리의 유지: 미래 그린웨이 개발의 핵심은 국지적인 관 심과 유지의 극대화에 있다. - 통솔력 그린웨이 개발의 최우선으로 간주되는 구조의 설립 - 자원평가 국지적인 그린웨이 개발 계획에 관련된 정보체제 설립 - 체제 보존 위험에 있는 선형 연결로의 복구 확립 - 환경 보존 능력 - 기술적 지원 그린웨이를 전체론적인 입장에서 그린웨이는 과학적 연구, 응용공학, 조경

296 설계 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는 촉망되는 분야이다. 이런 이유만으로도, 현재 재고되고 있는 개별적인 작업들의 중요성에서 조차 확연히 구분이 되 며, 더 나아가 '그린웨이'가 지니는 중요성은 한국 조경계의 앞날에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는 주변의 다른 국가들로 또 다른 대륙으로 까지 전파되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그린웨이는 지 구의 자연자원의 분별있는 활용이라는 우리 조경의 보다 포괄적인 목적의 일부분인 것이다. 이 점만으로도 그린웨이는 조경 설계가와 계획가들의 가 치있는 책무임에 틀림없다

297 Niall G. Kirkwood Professor and Chai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cademic Appointment Chai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rvard GSD Professor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echnology, Harvard GSD Associate Professor, Harvard GSD,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sistant Professor, Harvard GSD,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2 Visiting Design Critic, Harvard GSD,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1 Design Crit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Education 1985 Master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78 Bachelor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Manchester, England 1976 Bachelor of Arts (Hons. Architecture), University of Manchester, England Professional Experience Technical Consultant, US EPA/National Park Service Task Force Senior Associate, Hanna/Olin Ltd. Landscape Architects, Philadelphia, PA Associate, Hanna/Olin Ltd. Landscape Architects, Philadelphia, PA Project Architect, Trevor Dannatt & Partners, Architects, London, England Project Architect, Derek Lovejoy & Partners, Landscape Architects, Scotland Architectural Assistant, Russell & Wheatcroft Partnership,

298 Derbyshire, England Honors and Awards Dean's Annual Research Grant Program Award, Harvard University 1996 Graham Foundation Award, The Art of Landscape Detail Book Project 1993,94,95 Tozier Teaching Grant, Harvard University 1993 Urban Land Design Award, Broadgate Project, London (Hanna/Olin Ltd.) 1991 UK Association of Landscape Industries, Gold Medal, Canary Wharf (with Hanna/Olin Ltd.) 1990 Progressive Architecture Magazine, Architectural Design Award, Parc de la Draga, Spain(with Hanna/Olin Ltd.) Publications "The Detail of Work," Places, Fall 1996 "Holding our Ground,"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February 1996 "Safety and Amenity in Detail: Landscape in Detail," (Japanese) Interscape Magazine,September 1995 "Reconfigured Ground: practice and research between landscape and architecture." "Design for the Environment: The Interdisciplinary Challenge," ACSA Conferenc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ampaign-Urbana, October "Terra Firma Reconsidered," Landscape Design Magazine, September 1992 "Atlantic Crossing," Landscape Forum,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August 1991 Publications in Progress "Manufactured Sites: Integrating Planning and Design in the Remediation, Reclamation and Reuse of the Post Industrial Landscape." Manuscript to be published by Island Press, Washington, DC., 1998 "The Art of Landscape Detail." Textbook to be published by John Wiley & Sons, New York, Symposia and Lectures, Manufactured Sites, A Landscape Conference and Exhibition on Site

299 Technologies for Contemporary Practice. Conference organizer and exhibition curator.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Spring "Work under Construction: The Art of Landscape Detail," Public Lecture, Faculty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Y, 1997 "Olympic Visions/Urban Realities" Lecture, New Jersey ASLA Annual Convention, 1996 Public Service 1998 Faculty Member, Provost's Fund for Interfaculty Collaboration 1998 Faculty Member, Harvard University Committee on Environment 1996 Faculty Advisory Board Member, Harvard Native American Program 1995 Member, Review Board of University Committee o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Harvard 1995 Adviser, Harvard Real Estate Planning Group 1994 Member, Harvard Manor House Advisory Committee 1994 Adviser, Harvard Law School Tenant Advocacy Project Professional Affialiations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Architectural Registration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 Associate Member of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s, United Kingdom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Professional Registrations Landscape Architecture: Commonwealth of Pennsylvania, No. 916; Massachusetts No. 1078; United Kingdom, No Architecture: United Kingdom, No Professional Projects 1998 IMMSA Industrial Site, Monterrey, Mexico 1997 Calhoun Park, Charleston, South Carolina 1995 Urban Growing Center and Community Park, Somerville, MA 1995 Shoreline Stabilization and Restoration, South Dartmouth, MA Selected Professional Projects

300 with Hanna/Olin Ltd., Landscape Architects, Philadelphia, PA 1992 Electric Trolley Bus Project, Los Angeles. Southern California Rapid Transit Authority, Architects and Urban Designers: DMJM, Los Angeles Sagrera Station, Barcelona. Architects: Sir Norman Foster and Partners, London 1989 Chiswick Park, London. Architects: Terry Farrell and Partners, London Sir Norman Foster and Partners, London Sir Richard Rogers and Partners, London Eric Parry Associates, London 1988 Parc de le Draga, Banyoles, Spain. Architects: Eisenman Associates, New York Kansai Airport, Japan. Invited Competition, Architects: Pei, Cobb, Freed, & Partners, New York Kings Cross Railway Yards, London. Architects: Sir Norman Foster and Partners, London 1987 Reuters, Docklands, London. Architects: Sir Richard Rogers and Partners, London Royal Albert Docks, Docklands, London. Architects: Sir Richard Rogers and Partners, London 1986 Canary Wharf, Docklands, London. Architects and Urban Designers: Skidmore Owings Merrill, Chicago and London Kohn Peterson Fox, New York Pelli Associates, New Haven Aldo Rossi, Milan

301 환경부 '03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과제 도시녹지공간의 생태corridor 설계기법 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기고 일본의 환경과 도로 새로운 패러다임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新 領 域 創 成 科 學 硏 究 科 환경학전공 교수 구마가이 요우이치 1. 일본의 자연환경 일본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섬나라이다.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 기 때문에 섬 주위를 흐르는 난류의 영향으로 사계의 변화가 매우 뚜렷하 다. 또한 연간 강우량도 2,000mm 정도로 많아 식물의 종류도 다양하다. 그리 고 일본은 화산이 많아 지진도 빈번히 일어나지만 많은 온천지를 보유하는 혜택을 받고 있다. 志 賀 重 昂 은 일본풍경론(1894)이란 책 속에서 일본의 풍경 즉 일본의 자연 환경을 성립시키는 조건으로 1기후와 해류의 다양다변, 2수증기의 발생이 풍부함, 3화산암이 많음, 4침식이 격렬하다는 네 가지 요건을 들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과 더불어 일본의 국토는 65%가 삼림이며, 도시는 해안부 에 접한 평야 및 분지에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인구집중도 극 심한 실정이다. 2. 자연환경의 개발과 보전 제 2차 세계대전 후 부흥기에서부터 고도성장기에 이르는 시기에 이루어진 개발의 형태는 에너지의 확보와 산업이 우선순위였다. 그래서 자연에 대해 서도 개발인가 보호인가 하는 양자택일의 원칙아래 대다수의 자연환경이 개발에 의해 희생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사람들은 과도하고 급속하게 진행된 개발이 초래한 공해를 경험하게

302 되었다. 특히 저성장시대인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은, 국립공원법 자연공원법 자연환경보전법 환경기본법 환경영향 평가법 등에 의해 계획되고 이루어져 왔다. 그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디자인에 대한 사고방식은 개발 / 보호 의 관점에서 자연과의 조화, 자연과의 공생 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다. 우리들은 과거의 역사를 인식하고 충분한 이해를 한 후에, 21세기의 환경과 국토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최근의 특징 1) 경관 과거에는 국가를 대표할만한 걸출한 자연경관이나 문화경관의 보전이 중요 한 것으로 간주되어졌으나, 최근에는 농어산간 지역의 평화롭고 한가로운 경관이나 도시근교에서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자연, 나아가 도시 안에서의 일상적인 생활공간의 경관보전이나 창조가 주요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결과 경사지에 계단식으로 조성된 농경지나 두메산골 등의 경관이 재 평가되고 있으며, 조망경관보다 위요경관의 중요성이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 나고 있다. 2) 생물다양성 국가전략 1992년 유엔환경회의에서 생물다양성 조약이 채택되었다. 이에 일본도 국 제조약을 체결하고, 그것을 원칙으로 생물다양성 국가전략을 책정하고 생물 다양성의 보전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커다란 위기로서 인간활동에 의한 희소종의 감소 및 소멸, 인간들의 관리포기에 의한 다양성의 감소, 이입종의 증가 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보전하기 위해 관련된 현행법의 개정을 실시하고 있다. 3) 지구온난화

303 지구온난화에 의해 생겨나는 도시의 열섬현상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 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세우려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수도 도쿄와 같이 인구가 집중된 대도시에서는 보다 종합적 인 대책이 요구된다. 4. 구체적인 방법 및 대책 1) 녹지의 회랑( 回 廊 )계획 국토차원에서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원생적인 천연림 이나 귀중한 야생동식물의 서식 생육지 등에 해당하는 보호림을 연결시킨다. 도시차원에서는 공원, 하천, 도로 등의 네트워크에 의한 효과적인 녹지의 확 보를 목표로 들고 있다. 2) 자연재생, 도시재생 개발이나 지나치게 과도한 이용에 의해 변해버린 자연을 원래의 형태로 되 돌리는 작업을 새로운 공공사업으로 추진하려는 것, 그리고 아울러 재개발 사업에 있어서는 민간의 힘을 효율적으로 살려나가면서 바람직한 재생을 도 모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각각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법률 및 관련된 법개정도 시행하고 있다. 3) 기술의 축적과 개발 삼림의 창성( 創 成 ), 절개지의 자연복원, 도로 가로디자인 등. 5. 새로운 패러다임과 인재육성 생물다양성의 보전, 지속적 개발, 시민참여 (합의형성 협동) 문화의 창성 (Design for Culture) 경관원예학교 (Awaji Landscape Planning and Horticulture Academy)

304 구마가이 요우이치( 熊 谷 洋 一 ) 이 력 1968년 3월 東 京 大 學 (동경대학) 임학과 졸업 1972년 12월 동경대학 농학부 임학전공과정 박사학위 취득 1972년 동경대학 농학부 조수를 거쳐 1990년 동경대학 교수 대학강의 동경( 東 京 )대학 외 동경( 東 京 )농업대학 농학부, 메이지( 明 治 )대학에 출강중 수상경력 1988년 국립공원협회 다무라( 田 村 )상 1989년 일본조원학회상 1991년과 1993년에 NUCOGRAPH 논문상을 수상 사회활동 아와지 경관원예교장, 일본조원학회(전회장) IFLA(국제 조원학회), FUFLO(국제 임학회)위원, 중앙환경심의회위원 겸 자연환경부회장 국립공원협회 이사, 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평가위원 등

305 환경부 '03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과제 도시녹지공간의 생태corridor 설계기법 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 ) 기고 과제평가 및 유럽연합의 자연보호정책과 생태 Net-work 이 영 희, 베를린공대교수 1. 서언 1992년 브라질 리오 데 쟈네이로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의 제 21 (Agenda 21)의 채택이후 지속가능한 발전의 이행은 전 지구적 목표 가 되었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전략의 중점은 기존 도심지의 집약적 이용 과 과거 산업, 군사 또는 공공시설용지 및 공터의 재이용 촉진을 통한 자연 녹지의 전용억제와 외곽지역으로의 팽창억제 및 도시재개발, 재건축, 도시공 간구조개편, 토지절약적 건축 및 도시정비를 통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정 주공간의 생태적 현대화 추구 및 도시 환경질 개선이며, 또한 오염토지의 리사이클링촉진과 토양포장제한 등을 통한 토양의 생태기능제고와 환경수용 능력을 감안한 개발이다. 공간계획의 생태화 필요성은 수십년전부터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유 럽연합 회원국들을 비롯한 여타 국가에서도 지방의제 21 (Local Agenda 21)의 활동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및 도시의 생태화계획을 수립, 시행 하고 있다. 도시의 새로운 발전, 특히 고밀공간에서의 효과적, 효율적인 자 연보호의 실현과 환경질의 향상이 미래의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서울시는 1997년 선포된 서울의제 21에서 21세기 수도 서울의 미래상을 녹색서울 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의 실현을 위한 부문별 목표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쾌적하고 친숙한 서울, 야생동물이 돌아오는 서울, 걷고싶 은 거리 등을 제시하고 있다

306 생태환경복원 및 관리기술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 연구과제 도시녹지공간의 생태corridor 설계기법 은 도시의 생태화 및 도시의 생태 적 근대화를 위한 기반연구이다. 동 과제 연구팀은 생태시스템이론을 바탕 으로 도시의 생태화기법을 제시하는 한편, 이 기법을 기 개발된 한 특정 고 밀지역에 적용시켜 이와 유사한 기개발 도심지역의 생태적 현대화에 대한 한 모델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동 연구는 서울시의 장기 도시계획에서 ( ) 제시한 기본목표 인간중심의 살고 싶은 도시 및 서울의제 21에서 제시한 서울의 미래상 녹 색서울 의 실현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제 4차 국토종합개발계획 ( )의 기본목표 중의 하나인 자연과 어우러지는 녹색국토 의 실 현에 공헌하게 될 것이다. 2. 생활공간연계시스템 조성의 필요성 생태계, 특히 고유 동식물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지 법적으 로 지정된 보호지역이나 또는 보호종만을 보호하는 것만으로 불충분하다. 특정한 생물 또는 생활공동체에 작용하는 입지요소의 총체인 비오톺 (Biotope)의 보호가 요청되며, 나아가 자유공간에 서식하는 동식물종의 장기 적 존속과 이들의 생태적 상호결합 및 유전교환을 통한 생존력의 유지를 위 하여 개별비오톺간의 공간적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토양, 물가계, 미기후 등 고유종의 서식에 적합한 생활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비오톺연계시스템의 구조는 녹지, 자유공지, 지정보호지역, 농경지, 초 지, 산림, 소로, 수변, 호소, 늪, 소하천 및 기타 생물다양성 보존과 진흥 및 회복에 기여하는 각종 지역의 연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생물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기존의 비오톺은 장기적으로 확보-보증되어야 하며, 자연에 가까운 비오톺은 관리대책을 통하여 보전되어야 하고, 여타 생 활공간은 생태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손상된 비오톺은 복구, 회복시켜야 하고, 개별비오톺은 상호연계시켜 주어야 한다. 오늘날 경관은 다양한 이용압력을 통하여 손상, 파괴되고 있으며 또한

307 생활공간의 고립현상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유기체의 상호결합이 저해되고 있다. 생물생활공동체의 생존에는 최소 단위면적규모가 필요하며, 오늘날 각 종 지정보호지역도 역시 대부분 이 최소규모에 미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는 종의 빈곤화, 위해 내지는 멸종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활공간연계의 목적은 위해된 생활공간유형 또는 위해된 종에 가치있는 생활공간을 보호하는 것이며 또한 생활공간의 면적확대를 통하여 위해된 동 식물모집단의 장기적 생존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비오톺연계망은 크게 네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1. 연계망의 핵심지역. 이는 대면적 생활공간으 로 여기서는 동식물이 장기적으로 생존할 수 있으며, 최소규모는 100 ha가 되어야 한다; 2. 대면적 생활공간간을 연결시켜주는 디딤돌공간. 이는 소규 모이며, 종의 임시 정착을 가능하게 한다; 3. 대면적 생활공간과 디딤돌공간 을 상호연결시켜주는 협소한 망의 이주통로; 4. 생활공간의 고립을 감소시키 기 위하여 토지이용이 조방화된 각종 지역. 경관은 자연과 인간생활의 색인이다. 인간은 특히 근대산업화이후 기술 이 미치는 한 자연을 약탈, 이용해 왔으며, 경관은 인간과 인간의 생활방식 을 통해서 관리되어 왔다. 우리의 생활공간은 그 전체가 하나의 문화경관으 로 변천되고 있다. 이 문화경관은 끊임없이 변화해 왔으며, 그 속도와 집중 도는 인간의 의지로 결정되어 왔다. 오늘날 산업도시에서 인간에 의해 방해 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전한 공간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역시 자 연에 가까운 생활공간마저도 얼마남아 있지 않으며, 이 공간마저도 단편화 되고 고립되어 문화경관에 분할입지되어 있다. 중부유럽에서는 자연경관의 파편화가 종 및 생활공간 다양성의 감소에 대한 주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Jaeger 2001). 이 문제는 30여년전부터 학 계를 비롯한 정치-행정계의 환경테마로서 인식되어 왔으나, 오늘날까지 이 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픈스페이스와 경관구조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지표가 되며, 종의 다양성은 경관생태질의 핵 심지표가 된다. 비오톺연계시스템계획은 문화경관보호 및 경관의 다양성과 생동감 재조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별비오톺의 보호, 복원 및 비오톺 시스템간의 관계를 복원하는 것이다

308 자연보호는 비오톺연계쳬계 수립과 함께 새로운 발전을 기하고 있다. 국 토 전면적에 걸친 비오톺연계시스템은 종 및 비호톺보호의 개관을 제공해 주며, 지역 및 지구계획에서 공간이용의 결정을 지원해 준다. 비오톺연계계 획은 생태학, 동식물학, 토양학, 물경제학, 조경학 등 다양한 이론을 필요로 하는 학제적 작업이며, 또한 담당행정기관 뿐만 아니라 자연보호단체, 계획 가, 지역단체 및 관심있는 개인의 협조 및 참여를 필요로 한다. 3. 유럽연합의 생활공간보호정책 3.1 유럽 생태 Net-work Natura 2000 유럽공동체는 1992년 5월 21일 자연적 생활공간 및 야생동식물 보존을 위 한 시행령 (동식물계-서식지-시행령: FFH-시행령)을 가결하였다. 동 시행 령제정의 배경은 생물다양성보존, 유럽공동체지역의 자연적 생활공간 악화 방지 및 다양한 동식물종의 심각한 위해에 대처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유럽공동체지역에서의 국경을 초월한 대책이 요청되었기 때문이다. FFH-시행령의 제정과 함께 유럽수준에서의 자연적인 생활공간보호 및 야생동식물보호에 대한 종합적인 법적 정책기반이 구축되었다. 동시행령의 주목적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역적 요구를 고려한 생물다양성보존 및 복원의 촉진, 동식물의 생활공간과 생활공동체의 지속가능한 확보, 의제 21 의 지속가능 발전목표의 실천 및 유럽 생태연계망 Natura 2000 의 구축이 다. 동 시행령의 핵심은 시행령 별첨 I에 기술된 생활공간유형 및 별첨 II에 기술된 종을 위한 특별보호지역의 지정이다. 이 특별보호지역은 1979년 제 정된 유럽공동체의 야생조류보존에 관한 시행령 에 의하여 지정된 조류보 호지역과 함께 유럽 생태연계시스템 Natura 2000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동 시행령은 별첨 IV와 V에 열거된 종에 대한 특별보호 규정을 두고 있으며, 그 대책은 보호지역의 조성, 특정한 고유 동식물종의 재복귀를 위한 기반조 성, 특정한 포획 및 살생방법의 금지와 특정한 종의 거래 또는 소유의 금지

309 등이다. FFH-시행령에 따라 각 회원국은 생활공간보호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하며, 그 성과의 관찰및 일반적인 모니토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실시된 대책 및 관찰결과와 종 및 생활공간유형의 보전상태의 변화에 관하여 매 6년마다 유럽연합에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 일차보고서는 2001년말까지 Natura-2000의 구축에 대한 일반 보고서를 제출토록 하고 있으며, 년간의 성과는 2007년 6월까지 유럽연합에 상세보고서를 제출 하여야 한다. 유럽연합 시행령은 각 회원국의 국내법에 수용되어져야 하며, 시행은 각 회원국수준에서 이루어진다. 독일의 경우는 연방국가인 관계로 보호지역지 정 및 보전상태평가 수행을 각 연방주( 州 )가 담당하게 된다. 유럽연합에 제 출하는 보고서는 국가수준 내지는 생물지리적 지역수준에서 작성되어야 하 며, 데이타는 상호비교가 가능해야 하고, 구조도 유사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개별 회원국가는 FFH-지역 리스트를 제시하고, 그 제시된 지역은 유럽 연합수준에서 보호지역선정기준에 따라 Natura-2000에의 수용에 대한 타당 성평가후 Natura-2000 생태망리스트에 선별된다. 지정된 지역은 그 이후 최소한 질적상태가 악화되어서는 안된다. 유럽연합은 정규적으로 동 시행령 의 실행에 대한 종합적인 감시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동 시행령은 Natura-2000-지역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획 또는 프로젝트에 대해 별도의 영향평가실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유럽연합 총면적의 약 10 %가 현재 FFH-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독일 의 경우는 2003년 3월현재 3,535개소 2,414,278 ha (799,529 ha 해수면) 가 FFH-지역으로 신고되어 있으며, 이는 전국토면적의 약 6,8 %를 차지한 다. 덴마크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국토면적의 약 24 %가 FFH-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FFH-시행령의 수행을 위해서 유럽공동체로부터 재정이 지원된다. 유럽 연합의 환경보전을 위한 재정지원도구 LIFE-시행령 (1973/92/EWG)을 통 한 재정지원은 주로 FFH-시행령과 조류보호-시행령의 이행사업에 할당되 고 있다 (상세는 다음 참조: Lee, 2000: )

310 3.2 전략환경평가 2001년 조기 환경예방을 위한 새로운 유럽연합 법규 전략환경평가-시행 령이 제정되었으며, 각 회원국가는 2004년 7월 21일까지 이를 국내법에 수 용하여야 한다. 이 전략환경평가의 목적은 환경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관련 계획 및 프로그람에 대해 조기에 종합적인 환경평가 실시를 의무화하는 것 이다. 이는 각종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동 시행령과 함께 유 럽연합은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시행령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환경영향평 가 실시를 초월하여 계획 및 프로그람단계에서의 조기 환경평가를 법제화하 였다. 전략환경평가는 유럽연합의 환경 및 자연보호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독일의 경우는 유럽연합 전략환경평가의 실시와 관련하여 경관계획이 중 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Herbert, Wilke 2003: 68). 독일의 경관계획은 각 연방주가 그 관할전역을 대상으로 수립해야 하는 법정계획으로 계획대상 지역은 자연지역 뿐만 아니라 정주공간이 포괄되며 특히 다음 사항이 포함 되어야 한다: 자연 및 경관침해의 회피, 감소 또는 제거대책; 자연과 경관, 야생동식물 생활공간 및 생활동체의 특정부분의 보호, 관리 및 개발대책; 자 연보호, 경관관리 및 비오톺연계망구축에 적절한 토지에 대한 대책; 유럽생 태연계망 Natura-2000지역의 보호 및 확장대책; 토양, 강, 호수, 대기 및 기후보호, 환경질의 개선 및 회복대책; 자연 및 경관의 다양성, 고유성 및 아름다움의 보전, 복원, 개발대책. 3.3 유럽 생태연계망설치 이행실태 - 특히 독일사례를 중심으로 전국 비오톺연계망 구축 독일은 유럽공동체의 FFH-시행령의 국내법 수용과 의제 21의 지속가능발 전목표의 이행 및 생물다양성보존협약의 이행을 목적으로 2002년 연방자연 보호법을 전면 개정하였다 (상세는 다음 참조: Lee 2002). 또한 독일의 경 우는 국가의 자연적 생활기반보호 의무를 헌법에 규정하고 있다: 국가는

311 역시 차세대에 대한 책임에서 자연의 생활기반을 보호하여야 한다.... (헌 법 제 20a조). 이에 상응하여 연방 자연보호법은 자연의 기능력의 확보, 자 연재의 갱신력과 지속가능한 이용력의 확보, 동식물계 및 그들의 생활공간 확보, 자연과 경관의 다양성, 특성, 아름다움과 휴양가치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현행 연방 자연보호법은 목적조항에서 자연과 경 관 은 단지 인간의 생활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중심적 접근), 그 자체 가치를 바탕으로 (생태중심적 접근) 보호, 관리, 개발되어져야 하며, 필요에 따라 복원되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독일 신규 연방자연보호법의 핵심규정의 하나는 법 제 3조에 의한 야생 동식물서식처 및 생활공간 연계망 ( 비오톺연계망 )의 조성이다. 동 규정에 따라 주정부는 의무적으로 주전역에 걸친 비오톺연계망을 구축하여야 하며, 이 연계망은 각 주( 州 ) 총면적의 최소한 10 %가 되어야 한다. 이 비오톺연 계망은 고유동식물종의 지속가능한 안정과 그 생활공간 및 생활공동체를 포 함한 모집단의 안정도모와 생태기능의 복원 및 생태적 상호관계의 수호, 복 원,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유럽공동체 생태연계망 Natura 2000을 지 원하게 된다. 독일 비오톺연계망은 핵심지역, 연결지역 및 연결요소로 구분된다. 이 연 계망은 지정국립공원, 법정보호 비오톺, 자연보호지역, 생물권유보지역 또는 이들 지역의 일부분과 경관보호지역 및 자연공원의 일부가 그 구성요소가 된다. 비오톺연계망지역은 자연보호법 및 공간계획법에 의거한 보호지역으 로의 지정과 장기협약 (계약자연보호) 또는 여타 적절한 대책을 통하여 지속 적으로 보장된다. 독일 환경문제자문위원회는 이 신규제도와 관련하여 주 ( 州 )면적의 10 %의 하한규정이 단지 핵심지역에 해당되어져야 한다고 권고 하고 있다 (SRU 2002). 연방 자연보호법 제 30조에 법정보호 비오톺을 열거하고 있으며, 각 연 방주는 연방자연보호법 제 40조에 의거하여 종 및 비오톺보호의 수행을 위 하여 구체적인 주의 법을 제정하여야 하며, 또한 비오톺리스트를 확대할 수 있다

312 3.3.2 도심지 비오톺면적요소의 정량화사례 도심의 녹은 도시의 심장역할을 한다. 때문에 건축계획, 경관계획 등에서 의 무 녹지면적의 정량화 대책이 수립되고 있다. 독일 베를린주의 경우는 도심 에서의 환경오염 감축을 도시개발의 주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자연가계의 기능력개선 및 현 토지이용의 고려하에서 비오톺발전의 진흥을 도모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경관계획의 구체적 도구로서 도심지 비오톺 면적요소를 정량화하고 있다. 베를린의 비오톺면적요소 산정기준은 도시적 이용형태인 주거, 상업 및 기반시설 등에 적용되며, 건축물 신축 또는 변경시 조성해야 될 생태 최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도시건축밀도와 그 변경에 융통성있게 대응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심지 비오톺면적요소는 식물의 입지에 기여 하는 토지 내지는 자연가계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녹지가 되며, 종류와 대책에 따라 상이하게 계산되는 도시생태의 질기준이다. 비오톺면적요소 산정에서는 지면 식재면적의 확대에 우선을 두고 있으 며, 차후대책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토지의 포장제거 또는 생태친화 적 포장재료의 대채와 같은 가능성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옥상이나 벽면, 울타리녹화 등과 같은 지면녹화에 대한 보정녹화대책은 건물이 극히 밀집되었거나 또는 자유공지의 상업적 이용 등의 경우에 비오톺면적요소로 산정이 허용된다. 적용의 예외는 상공업적 이용토지의 경우에 지하수 수질 보호를 위하여 지표의 포장이 불가피할 경우이며, 이 경우는 지면식재보다 옥상 및 벽면녹화대책이 우선적으로 인정된다. 비오톺면적요소는 도심의 생활질 및 경관질 개선을 위한 요소로 작용하 고 있으며, 또한 동식물계의 자연적인 발전에 기여 하고 있다 자연보호정책도구 유럽에서는 자연보호 정책도구로서 종보호지도, 위해동식물종 리스트, 비오 톺지도 및 생태환경관찰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비오톺의 지도화는 독일의 경우 1974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서울시의 경우 2000년 비오톺유형 도 작성). 비오톺 지도화 목적은 특별한 보호가치가 있는 생활공간의 현황,

313 상태 및 입지를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비오톺지도화는 공간계획에서 필요한 생물생태적 기본데이타를 작업하고 입법시 생태적 측면의 검토에 활 용할 목적으로 지방자치단체측에서 실시하기 시작하였었다. 비오톺지도는 자연보호프로그람 내지 종 및 비오톺보호대책수립에 활용되고 있으며, 녹지 정비계획과 경관계획 또는 도시생태계획에서 이 지역을 통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4 지속가능한 공간이용을 통한 생물다양성 및 비오톺보호 자연친화적 생태농업의 진흥 과거에는 동식물종 감소의 주원인이 산업화였으나, 오늘날은 농업이 멸종의 주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관을 색인하는 동식물이 사라질 때 우리환경 은 빈곤해진다. 개별 동식물은 생태계에서 각기 특정한 과업을 수행하기 때 문에 개별종의 멸종은 결국 종합생태시스템을 변화시키게 되며, 이어 동식 물의 손실을 불러오고, 나아가 생태계의 교란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독일의 경우, 현재 들새종의 75 %가 위해종 리스트에 속해 있다 (Weins 2001: 248). 동식물 생활공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경관을 손상시키고 비오톺을 파괴하는 형태의 경지정리사업의 저지, 획일농업의 혼합농업으로 의 전환 및 화학비료나 농약사용의 최대한 억제 등이 요청된다. 자연보호 및 경관관리대책에 있어서 문화 및 휴양경관의 보전과 동식물 의 생활공간보호 및 생태계의 물질오염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농 림수산업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유럽공동체는 1992년 농업정책개혁을 결정하였으며, 이와함께 유럽공동체 농업정책은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특히 환경 및 자연생활공간 보호를 위한 생산절차의 장려 (EWG 2078/92)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법은 유럽연합 회원국으로 하여금 생태에 방향을 둔 자연생활공간을 보호하는 농업생산절차를 의무화하고 있 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는 연방자연보호법 제 5조에서 농림수산업의 지 속가능한 경영유도를 위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 규정은 자연, 환경 및 경관 영향평가의 주요한 원칙이 되고 있다

314 1992년 유럽연합의 농업혁신의 일환으로 확정된 환경농업프로그람이 환 경 및 농업정책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공동체의 환경친화적, 자연적 생 활공간에 관한 시행령 (EWG Nr. 2078/92)은 유럽연합의 자연보호를 위한 중요한 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농림업정책을 통한 유럽연합의 자연보호규정 은 1999년 보완, 재구성되었으며 (EG-시행령 Nr. 1257/1999) 이를 기반으 로 농림업구조 진흥대책이 강화 지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의 경우, 각 연방주는 환경농업프로그람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생태농업장려에 대한 재정은 대부분 유럽연합에서 지원되고 있다. 영농 및 장기 영농조방화, 녹지조방화, 생태영농 등의 사업은 유럽연합에서 50 % 를 지원하며, 연방정부 20 % 그리고 주정부가 30 %를 지원한다. 기타 장기 휴농, 수변보호대책, 멸종위기에 있는 지방 가축종의 사육진흥, 토양침식방 지, 기타 환경 및 자연보전에 기여하는 모델프로젝트의 경우는 유럽연합 50 %, 주정부가 50 %를 부담하고 있다. 농경지 및 녹지의 자연보호에 방향을 둔 이용, 특별한 비오톺면적의 관리 또는 경영과 비오톺시설 및 관리 등에 대한 계약자연보호의 경우는 해당 읍, 군이 15 %를 자체 부담하고 있다 정주 및 교통공간개발을 통한 토지소모의 감축 오늘날 유럽인구의 약 80 %가 인구조밀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화현 상의 계속적인 증가는 사회적인 문제로 발전되었다. 주거 및 교통지역의 성 장은 농경지면적의 감소 뿐만 아니라, 자연 내지는 자연에 가까운 토지를 무참히 전용하였으며, 특히 인구밀집지역주변의 자연토지가 현저히 감소되 었다. 각종 건설, 여가 및 휴양활동을 통한 경관의 과잉이용, 토지소모를 통 한 토양프로필의 변화, 원료채취를 통한 경관파괴, 비생태적 경지정리 등을 통한 자연침해 등을 통하여 자연 및 경관의 질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다. 토지소모는 환경변화 및 지속가능발전의 평가에 대한 핵심지표이다. 때 문에 경관이 우수하고 인구가 밀집된 스위스에서 토지소모 문제를 집중적으 로 연구하고 있다. 스위스의 경우, 1초에 약 3,5평방미터의 경관이 변화되고 있으며 0.86평방미터의 토지가 전용되고 있다 (Bundesamt für Raumentwicklung Schweiz 2001). 독일은 일일 약 130 ha가 정주 및 교통

315 공간으로 추가전용되고 있다. 즉 매초 15평방미터가 소모되고 있는 것이다. 이중 약 80퍼센트는 주거용지로 약 20퍼센트는 교통용지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은 계속 변두리로 몰려나고 있으며, 야생동식물서식공간은 축소 되고, 자연휴식경관은 일상생활공간과 멀리 떨어지고 있다. 이는 다시 교통 수요를 불러일으키게 되고, 이에 대한 희생은 자연 내지는 자연에 가까운 토지가 되고 있다. 독일의 비오톺은 현재 그 구성의 2/3이상이 위해를 받고 있으며, 15 % 가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 위해된 비오톺의 약 35 %는 이미 복원될 수 없 는 상태에 놓여있다. 장기간의 발전기간 소요때문에 거의 재생이 불가능한 늪지 및 히드군락-비오톺형이 매일 6 ha씩 사라지고 있다. 때문에 독일은 국가 지속가능발전전략에서 토지소모문제를 핵심과제의 하나로 다루고 있으 며, 지속가능발전전략의 일환으로 1999년의 1일 130 ha의 현 토지소모량을 2020년까지 하루 최대 30 ha로 줄일 것을 목표지표로 설정하고 있다 (Deutsche Bundesregierung 2002). 자연지역의 희생을 통한 토지소모문제는 비단 독일이나 스위스문제만 아 니라 전유럽에서 발견할 수 있다 (EEA 1999). 유럽연합은 자연보호측면에 서 토지소모문제를 정책과제로 다루고 있다 토지포장제거 토지포장율이 높으면, 투수부진으로 갑자기 심한 비가 올 때는 기본적으로 홍수지역이 아니더라도 범람을 일으킬 수 있다. 도시에서 강수의 생태적, 경 제적이용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강수의 토양침투는 지하수조성에 기여 하며, 하천의 범람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추가 강수조절시설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킨다. 독일의 경우는 정주 및 도로공간의 약 절반가량이 포장되어 있는데 이 포장면적의 약 10 %가 포장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토지 포장제거대책은 대규모는 아니나, 토지소모 감축과 토지생태 개선에 유용한 작용을 한다. 토지포장의 제거는 도시재개발, 재건축, 도시생퇴화 등의 대책 에서 긴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독일 바이어른주에서는 생활공간-학

316 교운동장-모델 을 통하여 비포장 및 자연에 가까운 경험공간의 학교운동장 으로 재구축하고 있다. 학생, 학부모 및 선생, 전문가가 모두 함께 구상하고 계획하며 작업하고 있다. 베를린의 경우는 이미 1983년부터 교내 생태녹지 공간조성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는 학교뜰의 토양포장제거대책과 자연에 가까운 생태교육실습장으로의 개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역시 계획에서 시 공까지 전문가, 학생, 학부모 및 선생이 모두 함께 참여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는 연방주의 물관리법을 통하여 신축대책에서 토지포장시 강 수가 투수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생태적 근대화의 범주에서 토양포장제거를 통한 강수의 경제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연방건설 법전과 연방토양보호법에서 토양포장제거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도로 및 철도의 야생동물통로 도로, 철도, 수로 등 교통로의 건설로 인한 생태계와 동물공동체에 대한 피 해는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실제로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 었다. 최근 수십년에 걸쳐 야생생물과 생태의 연관성에 대한 지식확대와 함 께 이에 대한 개선책이 수립되고 있으며, 또한 교통로조성시 생태를 고려하 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교통로는 일반적으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생물집단 의 지역생활공간을 축소하며, 부분생활공간을 분할 또는 격리시키고, 종의 이주를 저지하며 종의 번식과 증식을 방해하고 유해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야생동물 서식지 절단의 영향은 신규조성한 교통로일수록 높히 나타나고 있 으며, 교통밀도와 차량속도에 상응하여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사슴의 경우 일일 교통량 4000대가 이동의 문턱이 되고 있으며, 일일 만대의 교통량의 경우 도로횡단 성공율은 거의 제로에 이른다 (Müller, Berthoud 1995). 이 로 인하여 생태계의 안정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생태계의 불안정화는 특히 생물생활공간 규모의 축소로 인하여 초래되고 있다. 도로소음은 도로변에서 의 새의 부화에 현저한 제약요소가 되고 있다 (Rejnen, Foppen 1995). 차 량불빛을 통한 시각적인 방해 및 진동의 영향도 역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교통로를 통한 직접적인 동물손실도 두더러지고 있다

317 도로신축시는 반드시 동물종 및 그 집단의 요구를 감안하여야 한다. 원 칙적으로 경관군을 단절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절이 불가피할 경우 에는 인공적으로 연결로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야생동물통로조성이 새로운 도로건설을 위한 일종의 알리바이기능이나 교통정책의 한 변명수단이 되어 서는 안되며, 원칙적으로 야생생물보호에 그 목표를 두어야 한다. 도로폭이 넓을수록 교통량은 많아지고 또 속도도 빨라지게 되며 이로 인 한 영향은 커지고 동물의 손실율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 Kuhn 1987, Reck, Kaule 1993 등). 야생동물통로는 특히 도로를 횡단할 수 없거나 또 는 어렵게 건너갈 수 있는 종, 횡단시 손실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종, 이 주하는 종, 대규모면적을 필요로 하는 종 등에 의미가 있다 (Schweizerische Gesellschaft für Wildtierbiologie 1995). 유럽에서는 수십년전부터 야생동물통로가 조성되어 왔다. 네델란드에서 는 1969년 처음으로 오소리를 위한 통로 턴넬을 조성하였으며, 1995년현재 200개소이상의 야생동물통로가 조성되어 있다 (OORD 1995). 프랑스에서는 1978년에 처음으로 야생동물통로의 수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독일에서는 1980년대에 들어 야생동물통로를 조성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현재 도로 의 경우 336개소의 야생동물통로가 기조성 내지는 조성중에 있다 (Bundesanstalt für Strassenwesen). 야생동물통로의 유형은 도로상부에 조성되는 경우는 경관다리나 별도의 녹색가교가 설치되고 있으며, 도로하부 에 조성되는 경우는 야생동물용 턴넬, 야생동물용 육교 및 소동물의 이동을 위한 작은 관 등을 이용한 통로가 설치되고 있다. 도로상부의 경관다리, 녹 색가교 및 도로하부의 야생동물 육교조성은 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나 조성방법은 생태보호 관점에서 입지여건을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교통로나 울타리를 통한 경관 파편화로 인한 영향은 건설절차에서 시작 되어 수년 내지 수십년에 걸쳐 일어나며 점차 지역의 특정종이 사라지고 비 오톺에 침해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유럽의 경우는 장차 유럽 생태연계망 Natura 2000지역에서 특정 동물종 보전상태의 개선대책으로서 야생동물통 로의 조성이 활성화 될 수 있다. 기존공간의 단절과 파편화는 원상태로 되 돌릴 수는 없으나, 전국에 걸친 비오톺연계망조성은 생태계 및 종보호에 효

318 과적인 작용을 한다. 3.5 유럽연합 자연보호정책 경향 유럽연합의 자연보호정책은 1980년 국제 자연 및 자연자원보존연맹 (IUCN) 이 채택한 세계보전전략 (World Conservation Strategy)에서 설정한 자연 보호 기본목표인 생태과정과 생명계의 지속적 보전, 생물다양성 및 야생종 보존과 차세대 요구를 고려한 자연자원의 신중한 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 다. 자연보호정책의 기본원칙은 예방정책에 우선을 두고 있으며, 이를 바탕 으로 차세대에 온전한 자연을 넘겨줄 수 있도록 기존 생태환경의 지속가능 한 관리와 파괴된 생태환경의 복원 및 자연의 수용능력을 고려한 공간이용 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1992년 리오의 의제 21의 지속가능발전개념의 핵 심요소인 세대간 균형, 세대간 정의 및 국제정의를 광의의 자연보호의도에 서 실현하는 것이다. 자연보호정책의 경향은 지정 보호지역 또는 지정 보호 종의 보호정책을 초월하여 개별보호 대상지역의 연계를 통한 종합적, 통합 적 생태스시템보호로 전향하고 있다. 유럽생태연계망 Natura 2000의 구축 은 이러한 자연보호정책의 일환이다. 4. 도시생태환경개선을 위한 제언 우리의 환경의식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보호의 필요성은 오늘날 사 회적으로 수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국가에서는 자연의 자체가치를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식이나 인정도의 발전과 실제 행 위간에는 여전히 엄청난 격차를 볼 수 있다. 과거 도시생활을 풍요롭게 만들었던 녹이나, 연못, 하천은 오늘날 아스팔 트, 콘크리트, 철, 유리 및 알루미늄으로 대채되고 있으며, 자연은 날이갈수 록 도시 및 정주공간에서 멀리 추방되고 있고, 반드시 필요한 곳이 아닌 곳 에도 토양은 포장되고 있으며, 도심지에서 식물은 빈약한 화분에 담겨져 초 라한 존재가 되고 있다. 또한 공공녹지나 정원에는 단조로운 외래종이 주류 를 이루고 있으며, 고유종은 밀려나고 있고, 날이 갈수록 멸종위기에 처한

319 종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도시를 산림이나 초지로 되돌릴 수는 없다. 그러나 부분적이나마 도시내에 자연을 다시 불러올 수는 있다. 도심지에도 역시 자연을 불러올 수 있는 상당한 잠재요소가 있다. 도심의 녹과 물은 종의 비축지가 되며, 지 정 공원이나 가로수이외에도 담장, 옥상, 정원, 건물벽면, 베란다, 학교운동 장, 각종 공터, 주차장, 도로변, 수변, 철도연변 등에 녹을 조성한다면 도시 경관과 생활의 질이 개선될 것이며 또한 종 및 비오톺보호에도 기여하게 된 다. 중요한 것은 녹화시 가능한 한 입지에 적절한 고유수종의 선택을 통하 여 자연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다양성을 창출하는 것이다. 도심에서의 야생공간의 중요성은 독일, 영국 등 유럽의 자연보호정책에 서 흔히 볼 수 있다 (DETR 2000; DoE 1994; Herbst, Mohr 2003). 독일 의 경우 자연경험공간에 대한 구상이 연방주의 자연보호법에 규정되어 있다 (예: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자연경험공간은 도심 정주공간에서도 자주 발 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뤼벡시의 도시지역에 이미 5개소의 자연경험공간 이 지정되어 있다 (Ministerium für Umwelt, Natur und Forsten des Landes Schleswig-Holstein 2000). 베를린주의 경우, 구 철도조차장의 일 부인 18 ha가 자연공원으로 (Natur-Park Schöneberger Südgelände) 조성 되어 독특한 선형 비오톺으로 발전되어 다양한 희귀 및 멸종위기의 동식물 의 생활기반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대도시 비오톺연계시스템의 중요한 일익 을 수행하고 있다. 자연적인 비오톺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최소한의 인위 적 관리를 하고 있으며, 가능한 한 자연적 발전을 유도하고 있다. 유치원, 학교 등의 뜰에 생태공간을 조성하여 도시적 생태교육장 및 자연경험장으로 활용사례는 흔히 볼 수 있다. 도시민의 자연과의 드문 접촉은 자연에 대한 소외를 불러일어키게 되고, 이를 통하여 사람들은 어떻게 자연을 보호해야 되는지 그리고 무슨 근거로 자연을 보호해야 되는지가 불확실해진다 (Heiland 1992). 나아가 자연에 대한 잘못된 가치평가를 하게 되고, 결국 자연보호대책의 수용에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도심지의 녹은 시민에게 휴식-휴양의 오아시스가 되고, 도시생활의 스트 레스를 유화시켜 주며, 동식물의 생활공간이 된다. 토양은 양토 cm

320 이면 다양한 생물의 의존이 가능하다. 고유수종은 외래종에 비하여 입지조 건이 까다롭지 않으며, 병충해피해도 적어서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그만 큼 비용도 절약된다. 고유식물은 지저귀는 새등의 유용동물을 불러오고 그 들에게 먹이와 은신처를 제공하고 이는 나아가 녹지나 정원에 생태적 균형 을 유지시키게 된다. 하천 등의 자연과 문화로 색인된 경관요소는 보호, 관리 및 복원되어져야 하며, 개축, 증축시 가치있는 비오톺은 반드시 보호되어져야 하며, 특히 주변지역 에 입지한 비오톺과 연계수단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하천이나 연못은 도시생태계의 포기할 수 없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수 변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은 자연생태계의 구성요소이다. 이 생활공동체는 물의 영양함유와 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안정된 비오톺을 유지 하고 근본적 침해없이 생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8제곱메터의 면적은 가져야 하며, 수면이 크면 클수록 비오톺의 안정과 생물적 균형유지 에 유리하고 종이 자연적으로 유리하게 발전할 수 있다. 물론 보다 소규모 의 수면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으며, 이들 역시 새들의 식수처와 목욕용으 로 이용되며 또한 양서류의 서식처도 된다. 중요한 것은 수변설계시 가능한 한 자연형설계가 유리하며,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하여 여러 동물의 은신처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고사목 토막도 동식물 서식에 일익을 담당한다. 자연에 가까운 설계와 다양한 식물의 혼합녹화를 통해서 잠자리 등의 곤충을 불러 올 수 있다. 자연 토양과 물과의 연계지를 조성해 주어야 하며, 수목과 갈대 식재 또는 생물공학적 대책을 통하여 수변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 강변프로 필의 자연에 가까운 형태로의 변경, 하천의 자연 유입지역의 확보, 경관에 유해한 스포츠형의 가능한 한 제한, 경관을 저해하는 이용시설의 자연형으 로의 복원 등이 요청된다. 새둥우리는 특히 새나 곤충의 부화를 위해서 중요하다. 둥우리상자는 2-4미터정도의 높이에 바람이나, 태양, 강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곳에 걸어야 한다. 정원이나 아파트베란다의 식물도 역시 도시기후 및 대기질개 선에 기여하며, 오염물질여과와 에너지절약 뿐만 아니라, 단조로운 전면에 생동감을 주고 또한 동물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게 된다

321 건물벽면녹화도 생활질 개선, 경관개선 및 종보호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 한다. 특히 생동감없는 차거운 건물이 널려있는 도심지에서 이의 효과는 크 다. 생태적 설계기법과 건축기술의 도움으로 다양한 형태의 건물벽면녹화가 가능하다. 벽면녹화는 새, 나비 등 동물의 생활공간의 확대와 도시기후와 대 기정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도시에 생동감 부여 및 미기후조성에도 역 시 한 몫을 한다. 열전도의 완충지대로서 여름에는 온도변화로부터 벽면을 보호하고, 겨울에는 벽면의 냉화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큰 수고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벽면녹화는 조성이 가능하다. 녹화된 벽면 이 정원이나 공원의 자연 식재공간을 대채할 수는 없으나, 생태적으로 유효 한 보충역할을 하게 된다. 옥상정원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미 약 2600년전에 앗시리아의 왕 Nebukadnezar II가 왕비 Semiramis를 위해서 바빌론의 궁전 일부분에 세 계사 7대 기적의 하나로 꼽히는 현수원 을 조성하였었다. 독일의 경우 옥 상정원의 역사적 사례는 17세기 뉘른베르크의 전원적 옥상정원, 1705년경 의 파싸우의 주교 관저의 옥상정원들, 1868년 세계전시회에서 주목을 끌은 화산 시멘트를 활용한 Carl Rabitz의 베를린 주택옥상정원, 1929년 유럽 최 대규모 4000제곱미터의 베를린의 백화점 카알슈타트의 옥상정원 등을 들 수 있다. 옥상정원은 오늘날에도 세계각지에서 볼 수 있다. 콘크리트 등 자 연과 낯선 단조롭게 뒤덮혀가는 오늘의 지붕을 녹화한다면, 도시의 생활여 건과 경관이 다소 개선될 것이다. 녹화된 지붕은 대기오염의 20 %까지 여 과하며, 산소를 공급하고 강수를 정화시키고, 수분증발을 통하여 건조한 도 시공기에 습기를 제공하며, 기후를 개선시킨다. 또한 온도를 조절하여 에너 지를 절약케 하고, 식생층은 적외선방출, 기상으로 인한 지붕의 손상초래를 줄이며, 또한 먼지를 여과하고 먼지비산 및 소음을 줄여준다. 녹화된 지붕의 경우는 일반지붕보다 20-60프로센트의 빗물을 적게 흘러내리게 한다. 따라 서 하수구로 흘러내리는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정수시설에 도 움을 주게 되고, 이어 하수비용을 경감시키게 된다. 그밖에도 도시에서 거의 사라져버린 나비와 새들의 생활공간을 제공해 주며 또한 정주공간의 비오톺 연계에 가치있는 기여를 한다. 공공건물, 상업건물, 주택, 아파트, 창고, 주차

322 장, 학교 등 옥상녹화의 잠재력은 도심지내에 풍부하다. 지붕경사 30도까지 녹화를 할 수 있으며, 현대 건축기술상 큰 비용부담없이 녹화가 가능하다. 도시에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토지는 생명력없는, 황량하고 단조로운 죽은 토지이다. 이는 도시에 열을 확산하고, 기후를 악화시키며, 먼지나 유해가스를 흡입도 여과도 하지 않으며, 지하수축척을 저해하고 토 양을 질식시킨다. 보행자도로, 녹지공간내 보행로, 정원보도, 운동장, 주차장 등은 필수적인 공간이외에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 불투성 토양포장을 제 거하도록 해야 하며, 포장이 필요한 경우는 부분포장, 잔디혼합포장 또는 토 양친화적 포장소재를 이용토록 하고, 대소 공간 어디든 가능한 곳에는 자연 이 정착할 수 있고 자연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가로수 또한 종을 불러들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시에 생동감을 준다. 도심지 가로수의 생육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수많은 가로수는 투수성, 통기성이 악화된 토양여건에서 각종 공사에 시달리고 있으며, 기계를 통한 손상도 잦을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수목의 생명력은 제약되고 있으며, 병충해에도 허약해져 있다. 겨울에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의 피해 도 역시 크다. 투수가 되도록 가로수식재 토양면적을 가능한데로 넓혀주어 야 하며 하목이나 초화류를 심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생태를 고려한 토지이용, 생태에 바탕을 둔 설계, 생태를 고려한 행위, 생동감있는 다양성 부여 등이 고유종의 생존과 복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편 종의 보호를 위하여 중요한 것은 공간단절을 보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생활공간들이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녹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5. 과제평가 본 연구과제 도시녹지공간의 생태corridor 설계기법 은 생태환경 복원, 관 리기술사업의 범주에서 통합환경 관리기반 구축기술분야의 일환으로 추진되 고 있다. 동 과제 연구팀은 이론을 바탕으로 통합환경 관리방안으로서 연구 한 생태corridor조성기법을 도심의 특정 사례지역에 구체화하고저 한다. 동 연구팀은 현재 두개의 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 1안은 지하철 강남역

323 에서 삼성역간의 4km구간의 차도폭 50m와 도로변 각각 50m씩을 포함한 150m를 계획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제 2안은 계획공간범위를 확대 하여 서울 강남 지하철 올림픽공원에서 서초역 사이의 약 9km을 계획대상 으로 설정하고 있다. 1안의 경우는 중앙분리대 녹지의 개조 및 차도양측 각 50m의 녹화 보완을 통하여 보다 쾌적한 보행자친근의 도심공간으로 발전시 키고자 하며, 제 2안의 경우는 기존의 차도폭을 축소시켜 녹지면적을 적극 확장하고 계획구간을 생태에 방향을 둔 보행자위주의 선형 종합이용공간으 로의 발전을 구상하고 있다. 또한 주변의 기존의 녹지 및 경관요소와 연계 시켜 도심의 일종의 생태연계시스템을 조성하고, 나아가 이를 도심의 생태 적 현대화모델로 제시코자 한다. 제 2안의 경우는 계획대상공간에 녹지, 연못, 수로 등 생태경관요소를 대 폭 확충함으로서 도시환경질 및 경관개선, 주민을 비롯한 이용자의 휴식-휴 양공간 확충, 동식물의 생활공간 제공뿐만 아니라 여과, 완충, 저장 등의 토 양기능개선, 도시미기후 개선 등 일련의 생태적, 미관적, 효율적인 효과를 수반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주변의 기존 사적지, 생태보전지역, 공원녹 지 등과 연계체체를 조성해 줌으로서 비오톺연계시스템의 조성에도 기여하 게 될 것이다. 이러한 종합적인 측면에서 제 2안이 미래지향적인 바람직한 안이라 볼 수 있겠다. 제 2안의 경우, 문제는 차도폭을 축소할 경우 (현계 획: 4차선규모축소) 특히 다른 이해관계와의 목표상충, 즉 차도폭 축소와 연 관된 가능한 경제-사회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 한 차선의 축소시 이 도로의 기존 이용차량순환에 대한 문제도 분석되어져 야 할 것이며, 아울러 이에 대한 타도로이용에 대한 구체적 대안 제시가 요 청된다. 차선감축을 통한 장단점이 충분히 검토되어져야 하며, 또한 일반이 용자 및 지역주민의 의견도 반영되어야 한다. 야기될 문제분석이나 합리적 인 대안제시없이 설계에 들어간다면 연구결과는 결국 사장될 가망성이 높아 질 것이다. 사전의 문제분석과 그에 대한 대안없이 시민과의 토론도 큰 의 미가 없게 된다. 차선을 축소할 경우, 차도양측에 녹지를 확충하는 방안 또는 도로중앙에 넓은 녹지대를 조성하고 이를 보행자이용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 또는 중앙

324 에 넓은 녹지대를 조성하여 완충, 여과기능 등의 자연기능지역으로 두는 방 안 등 어느 방안이 바람직한지와 같은 개별적인 대안에 대한 장단점이 비교 검토 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경시설의 사후관리 편의성 및 경제효율성 도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비교검토 없이는 사회나 집행처인 행정부를 설득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제 1, 2안 모두 계획지역 내 및 그 주변지역의 공원, 사적지, 공공시설 등의 녹지보강을 계획하고 있으며, 주변건물의 옥상 및 벽면녹화를 강화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정 공원이나, 녹지이외에도 가 로수는 물론 담장, 옥상, 정원, 건물벽면, 베란다, 학교운동장, 공터, 주차장, 차고, 도로변, 수변 등 각종 녹화잠재력을 활용토록 해야 할 것이다. 녹지조 성에서는 이용자의 자연경험요소도 역시 감안되어져야 한다. 각종의 녹은 제각기 나름대로 도시생태환경 및 경관조성에 기여하게 되며 또한 동식물서 식처 또는 은신처를 제공하게 된다. 문제는 현실적으로 특히 기존의 건물 또는 시설지역에 어떻게 녹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정지원, 제도보완, 설계 및 자문 무료 상담 센터 설치 등. 자동차교통공간의 일부를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용 자에게 자동차에 대한 대안으로서 매력을 줄 수 있도록 교통수단도 대폭 지 원되어져야 하고 공간설계도 이용자편익중심으로 개선되어져야 한다. 물론 서울의 경우는 자전거문화가 정착되지 않은데다 도로사정이 복잡하여 어려 움이 있겠으나, 제 1안이건 제 2안이건 자전거전용노선을 계획하는 것이 바 람직하리라 본다. 중심도로뿐만 아니라 여건에 따라 연결간선보행로에도 이 를 이어주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한국도시, 특히 서울에서의 보행자 도로실태에 현저한 개선이 요청됨은 이용자 누구나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보행자 공간의 확충, 주거지역도로의 녹화, 과도한 차도면적의 축소는 물론, 보행자도로 포장도 가능한 한 생태적 기능력 재생을 위한 투수가능 포장방 법으로 대채시켜야 할 것이다. 도심에서의 물공간은 매혹적인 경관요소이며 생태적인 측면 및 동물의 생활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제 1, 2안 모두 계획지역에 물의 도입

325 을 계획하고 있다. 수경시설의 설치입지, 규모 및 형태 등의 결정에서 특히 생태효율적 측면의 신중한 검토가 요청된다. 유럽의 생태모델도시조성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도시의 생태적 개조는 주민, 경제 및 관련단체와의 긴밀한 협조가 요청됨을 볼 수 있다. 자연보호 계획의 수행은 다양한 이해그룹의 의견통합이 필수적이다 (Borrini-Feyerabend et. al. 1999; Ramirez 2001; Wells & Brandon 1992). 독일의 경험에서도 자연보호 발전을 위해서는 참여가 특히 중요함이 밝혀지고 있다 (Erdmann et al. 2000: 222). 동 프로젝트구상, 특히 제 2안 에는 다양한 이해그룹이 관계된다. 주민과의 대화와 이해관계그룹의 참여가 계획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팀이 제시한 세부적인 구상을 볼 수 없어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짐작컨데 상기 (4.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제언)에서 제시된 방 향으로 프로젝트설계가 이루어질 것으로 짐작한다. 생태효율적, 생태기능적, 이용자친근적, 토지절약적, 경제효율적, 참여적 측면이 설계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서울의제 21을 선포한지도 어언 6년이 지났다. 생명의 나무 천만그루 심기 사업, 청계천복원사업 등 서울의제 21의 실천을 위한 일련의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문제는 원래데로 다시 회복해야 될 소위 복원 사업이 제데 로 수행되고 있는가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독일의 경우도 역시 주거, 교통공간개발을 통한 자연지역감소는 심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외곽이 아닌 도심지역 에 입지한 일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원, 녹지, 소광장, 하천, 수로, 병원 등 공공시설 녹지나, 주택이나 아파트녹지공간에서 드물지않게 다람쥐, 산토끼, 나비, 잠자리, 다양한 조류 등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왜 서울의 도심에서는 도시 환경질의 기본지표가 될 이러한 동물들을 볼 수 없는지 생 각해 보아야 한다. 이는 독일의 대도시가 거창한 천만그루 나무심기운동을 전개해서도 아니고 1인당 토지면적이 넓기 때문이 아니라, 생태 및 이용자 친화에 방향을 두고 크고 작은 공간이용계획에서 특히 동식물의 생태적 측 면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며, 경관에 가치를 두고 도심부의 각종 잠재적인 녹

326 화가능성을 적극 활성화하여 동물이 함께 살 수 있는 기본생활여건을 조성 해 주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대상지역에 복원해야 할 경관요소가 있다면, 문 헌 조사 등을 통하여 복원 의 의미데로 가능한 한 원상에 가까운 형태의 설계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의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여정은 새로운 형태의 사고, 행동 및 새로 운 문제해결 전략을 필요로 한다. 동 프로젝트팀의 구상이 행정부에 수용되어 21세기 서울의 기본목표인 녹색서울 조성에 기여하고, 나아가 야생동물이 다시 돌아오는 서울, 시 민이 함께 만드는 쾌적하고 친숙한 서울, 걷고 싶은 거리, 생태지향적 도시 로의 전환에 기여하게 되길 바라마지 않는다. 참고문헌 BMU - Bundesministerium für Umwelt, Naturschutz und Reaktorsicherhei t: Umweltpolitik, Berlin Borrini-Feyerabend, G., Farvar, M. T., Nguinguire, J. C., Ndangang, V. A.: Co-management of Natural Ressources: Organizing, Negotiating a nd Learning-by-Doing, GTZ und IUCN, Heidelberg Bundesamt für Raumentwicklung Schweiz: Bodennutzung, Bern DETR - Department of Transport, Environment and the Regions: Urban White Paper: Our towns and cities, HMSO, London Deutsche Bundesregierung: Perspektiven für Deutschland - Unsere Strat egie für eine nachhaltige Entwicklung, Berlin DoE -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Planning policy guidance: Nature conservation: 9. EEA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nvironment in the European Uni on at the turn of the century, Chapter 2.3 Land use footprint, Chapt er 3.6 soil degradation, Copenhagen Erdmann, K.-H., Schmelzeisen, C., Schweppe-Kraft, B. (Red.): Innovative Instrumente zur Integration von Naturschutz in eine nachhaltige umw

327 eltgerechte Entwicklung: Forderung an Forschung, Politik und Praxi s, in: Schweppe-Kraft, B. (Bearb.): Innovativer Naturschutz - Partizi pative und marktwirtschaftliche Instrumente, Angewandte Landschaft sökologie 34, Heiland, S.: Naturverständnis: Dimensionen des menschlichen Naturbezug 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Herbert, M., Wilke, T.: Stand und Perspektiven der Landschaftsplanung i n Deutschland, in: Natur und Landschaft, 78. Jahrgang (2003), Heft 2, Herbst, H., Mohr, B.: Mehr Naturerlebnis in der Stadt! Eine Basis für e rfolgreichen städtischen Naturschutz, in: Natur und Landschaft, 78 Ja hrgang (2003), Heft 1, Jaeger, J.: Beschränkung der Landschaftszerschneidung durch die Einführ ung von Grenz oder Richtwerten, in: Natur und Landschaft 76, H. 1, Kehrein, A.: Aktueller Stand und Perspektiven der Umsetzung von Natur a 2000 in Deutschland, in: Natur und Landschaft 77 (1), 2-9. Kuhn, J.: Straßentod der Erdkröte (Bufo bufo L.): Verlustquoten und Ver kehrsaufkommen, Verhalten auf der Straße, - Beih. Veröff. Natur u nd Landschaftspflege Baden-Württemberg 41, 1987, Lee, Y. H.: Nachhaltige Entwicklung. Nachhaltigkeit, räumliche Entwicklu ng, Umwelt- und Bodenschutz, Berlin Lee, Y. H.: Rechtliche Instrumente des Naturschutzes in Deutschland unt 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Landschaftsplanung, in: Environ 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July 2002, No. 171, 20th Anniversary, (국문 및 독문) Ministerium für Umwelt, Natur und Forsten des Landes Schleswig-Holste in: Naturerlebnis-räume in Schleswig-Holstein, Kiel Müller, S., Berthoud, G.: Sicherheit Fauna/Verkehr. Praktisches Handbuch

328 für Bauingenieure. -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Lausanne, Depart ment de genie civil, Lausanne OORD, J. G.: Handreiking maatregeln voor de fauna langs weg en water, Rijkswaterstaat, Dienst Weg en Waterbouwkunde & Dienst Landinric hting en Beheer Landbowgronden (Hrsg.), Delft & Utrecht, Ramirez, R.: Understanding the approaches for accommodating multiple s take-holder's interests, in: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al Reso urces, Governance and Ecology 1 (3)/4), 2001, Reck, H., Kaule, G.: Straßen und Lebensräume. Ermittlung und Beurteilun g straßenbedingter Auswirkungen auf Pflanzen, Tiere und ihre Leben sräume. Abschlußbericht zu FE G88L und FE R89L, Stu ttgart Rejnen, R., Foppen,R.: The effect of car traffic on breeding bird populati on in woodland 4. Influence of population size on the reduction of d ensity close to a Highway, J. Appl. Ecol. 32, 1995, SRU - Der Rat von Sachverständigen für Umweltfragen: Umweltgutachte n Für eine neue Vorreiterrolle, Berlin Schweizerische Gesellschaft für Wildtierebiologie (Hrsg.): Wildtiere, Straß enbau und Verkehr, Ssymank, A., Hauke, U., Rückriem, C., Schröder, E.: Das europäische Sc hutzgebietssystem Natura 2000, BfN-Handbuch zur Umsetzung der F auna-flora-habitat-richtlinie (92/43/EWG) und der Vogelschutz-Ric htlinie (79/409/EWG), Schriftenreihe für Landschaftspflege und Natur schutz 53. Weins, Ch.: Schritte zur Agrarwende: Die "gute fachliche Praxis" konkret isieren, in: Zeitschrift für Umweltrecht, 4/2001. Wells, M., Brandon, K.: People and Parks - Linking Protected Area Man agement with Local Communities, World Bank, World Wildlife Fund, USAID, Washington

329 이 영 희( 李 英 姬, Prof., Dr.-Ing., Dr. habil, Lee, Yeong Heui) 학력 및 경력 - 고려대학교 학사 및 석사(조경학 전공) - 국토개발기술사 - 독일 베를린 공대 경관개발대학(공학박사 Dr.-Ing) - 베를린 공대 환경과 사회대학(공간계획, 환경보전 및 토지정책 정교수 자 격 Dr. habil) - 베를린 공대 교수 - 베를린 공대 사회-환경-정주공간 학제연구단 원장대리 - 한국기술사회 회원 - 국제행정학연구소 독일지부 회원 - 지속가능발전, 신환경경제 및 환경법회 부회장(독일) 전문분야 -환경정책 및 공간정책, 공간계획 및 환경계획, 경관계획, 비교환경정책 및 공간정책, 비교 환경법 및 계획법, 토양보전 및 자연보전, 지속가능개발정책 저 서 - Der Umgang mit der Natur. Das Gesellschaft-Umwelt-Verhaltnis aus der Sicht der ostasiatischen Kulturen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Republik Korea, Berlin Nachhatige Entwicklung. Nachh미샤하댯, raumliche Entwicklung, Umbelt- und Bodenschutz, Berlin 2000 외 저서, 논문, 논설 등 국내 외 170여편 출판

330 2. Asia GSD 2004년 Harvard Design School에서 개최된 ASIA GSD에서 발표한 연구 내용이다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 Harvard Design School The purpose of the advanced level graduate studio is to allow innovative and progressive landscape design and planning approaches to be explored through a structured academic course of studio study. In addition, the studio will foster an intellectual professional and social exchang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from Korea and North America. The site for this design studio is a central urban corridor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ity of Seoul in Korea that stretches from the Woo myun Mountain to the Olympic Park a distance of approximately ten(10) km. (1) Advanced Design Studios at Harvard Design School

352 Harvard Design School 525 Graduate and PhD Students 60 Faculty 120 Administration Staff Landscape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Design Architecture Advanced Design Studios Advanced Design Studios Option Design Studios per Academic Year Interdisciplinary, International and Interdepartmental students per studio class Length = 14 weeks Academic Year : (examples) Kiev Ukraine, Cesena Italy, Beurit Lebanon, Manhattan New York, Seoul Korea, London England (2) Studio Chronology Syllabus of Design Studio Site Visit- February Professor Sim's visit to Harvard- April Final Design Reviews- May SYLLABUS "The studio is broadly focused around the temporal nature of the urban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global city/" The class will concern themselves with the following: 1. Issues of authenticity in design 2. How to engage a site and ecological site processes 3. The use of history 4. The rationale for program

353 5. Questions of durability 6. Develop attitudes to making within the constraints of a dense urban fabric PRINCIPAL INSTRUCTORS Professor Niall Kirkwood, Harvard Design School Professor Wo-kyung Sim, Korea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Harvard Design School Visiting Fellow, CTE, Harvard Design School Professor Alistair McIntosh, Harvard Design School and Sasaki Associates Technical Critics Dr Robert France, Ecologist, Landscape Dept Laura Solano, Technologist, Landscape Dept. Dr Peter Del Tredici, Horticulturalist, Arnold Arboretum/ Landscape Dept Dr Daniel Schodek, Architecture Professor, Harvard Design School TIMETABLE Part One (2 weeks) Coming to Terms with a Site Precedents and Site Analysis Part Two (1 week) Field Work Site Visit to Seoul Part Three (4 weeks) Making a Landscape Design Formulation Part Four (7 weeks) Reworking the Corridor

354 Design Development (3) Professor Sim's Visit to Havard-April 1. Studio meetings with Students 2. Lecture at Design School on Traditional Korean Landscapes 3. Visit to Arnold Arboretum, Harvard University, Brookline 4. Meetings with Dean Peter Rowe and Faculty 5. Research at Yenshing Library, Harvard Asia Center 6. Presenter at Asia GSD Conference

355 FINAL DESIGN JURORS Juan Bisquets City Planner, Barcelona, Spain Elizabeth Meyer Landscape Theorist, Professor, University of Viriginia Ken Smith Landscape Architect, New York Dorothee Imbert Landscape Architect, Professor, Harvard University Lee Cott City Planner, Professor, Harvard University

356 STUDENT: TIFFANY BEAMER FLOODSCAPE INTRODUCTION THE CITY OF SEOUL HOME TO 10.2 MILLION PEOPLE, EACH OF WHOM HAVE ONLY 4.5 SQUARE METERS OF OPEN SPACE - IN NEW YORK CITY, OPEN SPACE PER CITIZEN IS CLOSER TO 14 SQUARE METERS. IN THE LAST 30 YEARS, THE TEHERAN CORRIDOR HAS GROWN UP FROM AGRICULTURE TO A BUSTLING CITY. BECAUSE OF THIS RAPID DEVELOPMENT, THE CITY'S MUNICIPAL ADMINISTRATION HAS PLACED THE PUBLIC ENVIRONMENT AS A TOP PRIORITY FOR FUTURE DEVELOPMENT. CURRENTLY THE MAJORITY OF URBAN SPACES IN THE CORRIDOR ARE IDEAL FOR "MOVEMENT THROUGH" - WITH LITTLE OPPORTUNITY FOR SLOWING DOWN AND DWELLING. WHAT SPACE IS AVAILABLE FOR OCCUPATION BECOMES A SERIES OF CHOPPY VIGNETTES ALONG THE LENGTH OF THE CORRIDOR. THE DESIGN I PROPOSE IS CREATED FOR BOTH USES - MOVEMENT AND OCCUPATION. ONE OF THE STATED INTENTIONS OF THE STUDIO WAS THAT STUDENTS REWORK PARTS OF THE SITE IN A MANNER WHICH INTEGRATES PEOPLE AND NATURE,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E PAST AND THE FUTURE. DESCRIPTION THE LANDSCAPE THAT EXISTS AROUND THE TANCHEON STREAM IS DESOLATE AT BEST. CURRENTLY USED FOR PARKING, THE STREAM'S BANKS ARE SOME OF THE LARGEST AREA OF AVAILABLE OPEN SPACE IN THE CORRIDOR, BUT ARE HOSTILE, INACCESSIBLE, AND UNUSED. YOU CAN SEE THE CONDITION HERE (SITE CONTEXT PANEL) (CONTEXT MODEL) I PROPOSE RELOCATING THE PARKING WHICH EXISTS ON THE EAST SIDE, AND CONVERTING THE OPEN SPACE ALONG THE STREAM TO AREA AVAILABLE FOR PUBLIC USE. I HAVE ESSENTIALLY TAKEN THE EXISTING PARKING PLANE, AND

357 REFOLDED IT INTO A SERIES OF LONG, SLOPING PLANES WHICH MOVE THE PEDESTRIAN FROM THE GROUND LEVEL DOWN TO THE WATER. THE UPPERMOST TERRACE BECOMES A GRAND PROMENADE WITH GROVES OF TREES, AND FLEXIBLE OPEN SPACE. BECAUSE OF THE LENGTH OF THE SLOPES, THERE WOULD BE AN ALMOST IMPERCIEVABLE MOVEMENT FROM TOP TO BOTTOM - THE VISITOR SUDDENLY FINDING HIMSELF AT THE RIVER'S EDGE. OF COURSE, BECAUSE OF THE FLUXUATING LEVELS OF THE STREAM, THE LENGTH OF THE PROMENADE SHORTENS AND LENGHTHENS SEASONALLY. ON THE WEST SIDE OF THE STREAM, I HAVE ALLOCATED A LARGE AREA TO THE DEVELOPMENT OF A STORMWATER TREATMENT WETLAND, WHICH I WILL SPEAK ABOUT LATER. ALONG THE WESTERN BANK, I PROPOSE REVEGET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SOIL CONDITION, THE ADDITION OF SEDIMENT WALLS, AND LIMITED PEDESTRIAN ACCESS. AS SENSIVITY TO SITE DOES NOT EQUATE WITH A "HANDS-OFF" APROACH, THE SHEER SIZE OF THE SITE DEMANDED INTERVENTION ON LARGE SCALE WITH BROAD STROKES. THE TWO SIDES OF THE STREAM EACH HAVE THEIR OWN DISTINT VOCABULARY AND IDENTITY, BUT EACH CREATES A SERIES OF UNIQUE SPACES TO ENGAGE THE VISITOR WITH TANCHEON STREAM, AS WELL AS ITS ANNUAL FLOOD LEVELS. MOVING TO THE ILLUSTRATIVE PLAN, I HAVE SEPERATED THREE MAJOR SYSTEMS OF THE DESIGN INTO THESE DIAGRAMS: CIRCULATION, VEGETATION, AND WATER SYSTEMS. CIRCULATION: THE OPPORTUNITY TO MOVE THROUGH THE SITE IS INTEGRAL TO THE DESIGN. ON THE WEST SIDE, THE VISITOR CAN ENGAGE THE WETLAND AREA THROUGH A SERIES OF BOARDWALKS, AS WELL AS PAUSE ON ONE OF THE OBSERVATION DECKS. ONE CAN THEN MOVE UNDER THE ELEVATED HIGHWAY ON ANOTHER SERIES OF BOARDWALKS AND DECK OVERLOOKS TO MAKE THEIR WAY DOWN TO THE SLOPE OF THE BANK. ONCE HERE, THERE IS LIMITED ACCESS TO THE WATER, BUT ARE LARGE AREAS WHERE REVEGETATION AND SEDIMENTATION CAN OCCUR. ON THE EAST SIDE, THE ENTIRE STRUCTURE IS ESSENTIALLY WALKWAY, GENTLY RAMPING DOWN TO THE RIVER. VEGETATION: VEGETATION WAS CAREFULLY CHOSEN WITH CONSIDERATIONS TO LOCATION AND SEASONALITY. ON THE WEST SIDE, IN THE WETLAND AREA, MANY DIFFERENT PLANT COMMUNITIES

358 WOULD EXIST EACH 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TER THEY ARE IN CONTACT WITH. ON THE SLOPE, THE REESTABLISHMENT OF A HEALTHY SOIL CONDITION COULD ALLOW FOR SOME SORT OF SELF-MAINTAINING PLANT COVER, AND VOLUNTEER SPECIES WOULD INHABIT THE EDGES AS THE AMOUNT OF SEDIMENT CHANGES ALONG THE WALLS. THE EAST SIDE IS COMPOSED OF A SERIES OF LARGE GROVES OF SHADE TREES. A SORT OF URBAN ARBORETUM, THE LARGE SWATHS OF PLANTING WOULD HIGHLIGHT THE TREES UNIQUE FEATURES AND SEASONAL INTEREST. THE BACKBONE OF THE PLANTING WOULD BE GINKGO WHO'S COMMANDING HABIT AND BRIGHT YELLOW FALL COLOR WOULD PROVIDE A STRIKING BACKDROP TO THE EXPERIENCE. WATER SYSTEM: IN THIS DIAGRAM YOU CAN SEE THE FORMAL QUALITY OF THE WETLAND BASINS AS WELL AS THE WAY THAT WATER MOVES DOWN TO THE RIVER. TWO CONTROL WEIRS WOULD EXIS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ETLAND SYSTEM, CONTROLLING WATER INFLOW AND OUTFLOW AS NECESSARY. AN EMERGENCY SPILLWAY AND PUMP WOULD BE HOUSED IN A BURIED PIPE SYSTEM, ALLOWING EXCESS WATER IN A MAJOR STORM EVENT TO BYPASS THE WETLAND COMPLETELY AND EMPTY INTO THE RIVER - ALSO, DURING TIMES OF DROUGHT, WATER CAN BE PUMPED UP TO THE WETLAND TO MAINTAIN NECESSARY LEVELS OF MOISTURE FOR PLANT SURVIVAL. AS STORMWATER ENTERS THE SYSTEM, THERE IS A ROCK OUTFALL AREA WHICH ALLOWS THE WATER TO DEPOSIT MOST OF ITS SEDIMENT BEFORE MOVING THROUGH THE REST OF THE SYSTEM. AS WATER MOVES FROM ONE TERRACE OF CELLS TO THE NEXT, AN AERATION WEIR IS PROVIDED. (REFER TO ILLUSTRATIVE PLAN) THE TREATMENT CELLS IN EACH WETLAND BAND WOULD ALL BE DIFFERENT - ALTERNATING BETWEEN WET MEADOW, SHALLOW MARSH, DEEP MARSH AND OPEN WATER. THE MIX OF DIFFERENT PLANT COMMUNITIES THAT THIS WOULD ALLOW FOR, PROVIDES THE MAXIMUM AMOUNT OF BIOREMEDIATION OF THE WATER BEFORE IT REACHES THE RIVER. BECAUSE OF THE SIZE OF THE SITE, I CHOSE TO APPROACH THE DESIGN OF THESE SPACES IN "TYPICAL SECTION" STUDIES. (MODEL) YOU CAN SEE IN THE MODEL AS WELL AS IN THE SECTION AND PLAN, THERE WAS A HUGE EFFORT TO CREATE NEW VEGETATIVE AREAS, WHICH WOULD POSSIBLY ACT AS A STIMULUS FOR NEW HABITATS FOR WILDLIFE. HERE YOU CAN SEE THE THREE WETLAND TERRACES AND THE WAY THEY SLOPE, THE AERATION WEIR, THE PEDESTRIAN STRUCTURES, AS WELL AS THE WAY ONE MOVES FROM THE WETLAND, UNDER THE HIGHWAY, AND OVER THE EDGE

359 OF THE RIVER. IT IS POSSIBLE THAT THE DECK OVERLOOKS CAN CONTAIN TABLES AND CHAIRS AS WELL AS EDUCATIONAL SIGNAGE FOR THE VISITOR. THE DESIGN HERE ACTS AS AN INSERTION INTO THE CITY - PROVIDING A GREEN RELIEF FROM THE URBAN CONDITION

360

361

362

363

364

365 STUDENT: ANANDA KANTNER TANCHEON STREAM PARK Site Understanding The Teheran Corridor is a lively, noisy, chaotic urban thoroughfare dominated by fast-paced consumer culture. Throughout most of the area, nature and natural processes are degraded, invisible, or absent. The Tancheon Stream represents the only point where a major natural feature intersects the corridor. The stream, however, is largely out of sight, inaccessible, and underutilized. Forming an important physical, ecological, and symbolic link between the Han River, the Teheran Corridor, the restored Yangjae Stream, and ultimately the mountains to the south, the Tancheon stream presents an ideal site for a meaningful design intervention that addresses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land and water, culture and nature, technology and tradition. Intentions This project intends to make visible the inherent connections between nature and the city. To this end, the stream and its associated natural systems will be re-integrated into the corridor, and the streambank landscape will be reclaimed as a sit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functional, phenomenological, and symbolic qualiti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cept The.9-kilometer (.5-mile) section of the stream corridor between the Teheranno Street Bridge and the Han River is redesigned as a water management and treatment park. Along the northern bank of the stream, a series of linear basins, channels, and wetland plantings treats city stormwater as it flows from the street level into the

366 stream. On the southern bank, a large, linear detention basin helps manage fluctuating water levels during the stream's annual flood cycle. Besides infrastructure for water treatment and management, the park provides habitat for wildlife and extensive areas for a range of human activities. Strategy The Tancheon Stream Park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Water Infrastructure-The passage and treatment of water is inscribed over the park in a series of lateral and transversal basins, channels, cascades, and rills. Plantings-Gradients of light, moisture, and topography organize a diverse variety of plantings, including groves of trees, dense thickets, marshes, and wild pioneer habitat. Plazas/Promenades-Long allées, wide boardwalk promenades, and secluded outdoor "rooms" with various ground surfaces offer ample space for diverse activities and gatherings. Paths-Narrower paths and ramps offer acces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city and the park and within the park itself, traversing marshes, thickets, and open water

367

368

369

370

371

372

373 STUDENT: NATALIE DENORMANDIE INTERDYNAMIC ECOLOGIES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STUDENT : JARRET GARCIA RESTRUCTURING OLYMPIC PARK

383

13-ºÎ·Ï¸ðÀ½-0312

13-ºÎ·Ï¸ðÀ½-0312 Pinus thunbergii Parlatore Abies holophylla Maximowicz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Juniperus chinesis Linnaeu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Ginkgo biloba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Annual 2013 vol.15 th HOW ENGINEERING ANNIVERSARY Annual 하우인 2013 vol.15 하우엔지니어링과 자매사 우인엔지니어링은 경남, 부산지역 종합엔지니어링 업계의 선두주자로서 건설기술의 미래지평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행복한 삶의 공간 창출, 안전하고 튼튼한 도시기반시설의 건설을 위해 우수한 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 고성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Public Design Master Pla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 Focusing on Goseong-Gun - 주저자 김정범 Kim, Jungbum 경동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Professor

More information

PJTROHMPCJPS.hwp

PJTROHMPCJPS.hwp 제 출 문 농림수산식품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트위스트 휠 방식 폐비닐 수거기 개발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 합니다. 2008년 4월 24일 주관연구기관명: 경 북 대 학 교 총괄연구책임자: 김 태 욱 연 구 원: 조 창 래 연 구 원: 배 석 경 연 구 원: 김 승 현 연 구 원: 신 동 호 연 구 원: 유 기 형 위탁연구기관명: 삼 생 공 업 위탁연구책임자:

More information

<BCF6BDC3323030392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BCF6BDC3323030392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수시연구 2009-18.. 고속도로 휴게타운 도입구상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Service Town at the Expressway Service Area... 권영인 임재경 이창운... 서 문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지방 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다각 적인

More information

02Á¶ÇýÁø

02Á¶ÇýÁø Analysis of Hazardous Fog and Index Development in Korea* Hye-Jin Cho** Abstract :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fog have focused on mainly the fog itself and its spatial variation. This study

More information

歯1.PDF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More information

11¹Ú´ö±Ô

11¹Ú´ö±Ô A Review on Promotion of Storytelling Local Cultures - 265 - 2-266 - 3-267 - 4-268 - 5-269 - 6 7-270 - 7-271 - 8-272 - 9-273 - 10-274 - 11-275 - 12-276 - 13-277 - 14-278 - 15-279 - 16 7-280 - 17-281 -

More information

04-다시_고속철도61~80p

04-다시_고속철도61~80p Approach for Value Improvement to Increase High-speed Railway Speed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 highly competitive system is to create a new market place that can create new values. Creating tools and

More information

02이용배(239~253)ok

02이용배(239~253)ok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 in subcenter of Seoul. - Cases of Yeongdeungpo and Kangnam Ok Kyung Yuh* Yong-Bae Lee**,. 2010,,..,.,,,,.,,.,,.,,,, Abstract : This study analyzed the land use

More information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Information Services Technology Vol.4, No.1, June (2015), pp. 1-8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 Media Fasade Contents Development of KT Olleh Square 김동조

More inform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발굴조사보고서 BANGUDAE PETROGLYPH IN DAEGOK-RI, ULJOO EXCAV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More information

03신경숙내지작업

03신경숙내지작업 57~82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A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Dolmen Construction Technology Kyung-sug Shin (Research Centre of Dolmens in Northeast Asia)

More information

UM00003782.PDF

UM00003782.PDF 1 북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강 호 상 (서울대 객원연구원) 목 차 요약문 3 1. 서 론 5 2. 북한의 자연자원 8 3. 북한의 산림자원 16 4. 북한의 산림황폐화 원인 및 현황 18 5. 훼손된 북한 산림생태계의 복원 25 6. 장기생태연구지 설정 및 연구 31 7. 동북아시아 국가간 산림 network 조성 및 교류 협력

More information

¹ýÁ¶ 12¿ù ¼öÁ¤.PDF

¹ýÁ¶ 12¿ù ¼öÁ¤.PDF 논문요약 146 [ 주제어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abstract Recent Development in the Law of DPRK on the

More information

04±èºÎ¼º

04±èºÎ¼º Introduc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rogra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in Cheonsu Bay Region* Boosung Kim** Abstract : Sustainable Development(SD) is an important concept

More information

02_연구보고서_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연구(2014.1.10)최종.hwp

02_연구보고서_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연구(2014.1.10)최종.hwp 발 간 등 록 번 호 11-1312184-000067-01 보행자 안전확보 기술개발 기획연구 A Preliminary Research on Technology Development to Ensure the Safety of Pedestrian 2013. 12 국 립 재 난 안 전 연 구 원 연구 과제명 : 보행자 안전확보 기술개발 기획연구 연 구 기 간 :

More information

002-022~41-기술2-충적지반

002-022~41-기술2-충적지반 Improvement cases of waterproofing and auxiliary construction methods in alluvium soil tunnel In the past, subway tunnel is mostly applied to rock tunnel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But, in recent years,

More information

04서종철fig.6(121~131)ok

04서종철fig.6(121~131)ok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s Applying Digital Storytelling About Ecotourism Resources Seo, Jongcheol* Lee, Seungju**,,,. (mobile AIR)., 3D.,,.,.,,, Abstract : In line with fast settling trend of

More information

00내지1번2번

00내지1번2번 www.keit.re.kr 2011. 11 Technology Level Evaluation ABSTRACT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assesses the current level of industrial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 and identifies areas that are underdeveloped

More information

12Á¶±ÔÈŁ

12Á¶±ÔÈŁ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5, No. 4. pp.158~175(2001) A Study on the Apparel Industry and the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 Kyu Hwa Cho Prof.,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More information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설계 2 - 조경식물 ( 목본 )- 1. 자작나무 음양성 : 양수 건습성 : 건조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번식 : 실생, 삽목 성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원추형 백색의수피, 황색단풍 강조, 유도, 차폐, 녹음식재 2. 서어나무 음양성 : 음수 생장속도 : 중간 건습성 : 건조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More information

<BAF8B9B0B0FCB8AEB0E8C8B95FB0A1C0CCB5E5B6F3C0CE696E67462E687770>

<BAF8B9B0B0FCB8AEB0E8C8B95FB0A1C0CCB5E5B6F3C0CE696E67462E687770> 별첨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 종로구 청운효자동 일대 - Stormwater Management Guidelines 제1장 빗물관리계획의 개요 Chapter Ⅰ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이란? 가. 공공부문 도시관리계획 결정 지구단위계획 구역 및 계획결정 도시계획시설 결정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은 지구단위계획구역

More information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2012. 12 : pp.231~251 생활지향형 요소의 근린주거공간 분포특성 연구: 경기도 시 군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Life-Oriented Features in the Neighborhood: Focused on Municipalities of Gyeonggi Province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국문요약....,,... 2,,. 3.,. 4. 5. Abstract Demographic change is greatly accelerating owing to the increasingly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More information

................-......

................-...... International Workshop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Gangwon Province 2014. 6. 18-20 International Workshop on Biodiveristy Conservation

More information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

민속지_이건욱T 최종

민속지_이건욱T 최종 441 450 458 466 474 477 480 This book examines the research conducted on urban ethnography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most people in Korea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71029-000097-01 한국문학분야 주제 가이드 개발 및 구축 :근대문학분야를 중심으로 2014.12. 제 출 문 국립중앙도서관장 귀하 본 보고서를 한국문학분야 주제 가이드 개발 및 구축 : 근대문학분야를 중심으 로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연 구 기 관 : 책임연구자 : 공동연구원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ore information

..................

.................. ptical &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ning Papers Oby the Artificial Heat Ageing Treatment 1 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ificial accelerated ageing treatment on the

More information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

웹진용

웹진용 대한민국 사랑실명제 당신의 이름으로 세상이 아름다워집니다 서명할 때마다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카드가 있습니다. 신한 아름다운 카드는 사용에 따라 적립된 포인트로 아름다운 세상을 응원하는 新 개념 기부카드입니다. I Believe... Warm World 따뜻한 관심, 풍요로운 나눔으로 더불어 함께 하는 아름다운 세상을 믿습니다. I Hope... Clean

More information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 : 97년부터 26년까지의 텔레비전 광고 내용분석* 2) 정기현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가족주의적 가치관을 사회통합의 핵심 중의 핵심으로 올려놓았던 전통이 현대사회에서 아직 영향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에서의 가족변동은 사회전반의 변동으로 직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97년부터 26년까지 텔레비전에서

More information

........pdf 16..

........pdf 16.. Abstract Prospects of and Tasks Involving the Policy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Yong-Shik, Le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21st century, the

More information

07_Àü¼ºÅÂ_0922

07_Àü¼ºÅÂ_0922 176 177 1) 178 2) 3) 179 4) 180 5) 6) 7) 8) 9) 10) 181 11) 12) 182 13) 14) 15) 183 16) 184 185 186 17) 18) 19) 20) 21) 187 22) 23) 24) 25) 188 26) 27) 189 28) 29) 30)31) 32) 190 33) 34) 35) 36) 191 37)

More information

¹Ìµå¹Ì3Â÷Àμâ

¹Ìµå¹Ì3Â÷Àμâ MIDME LOGISTICS Trusted Solutions for 02 CEO MESSAGE MIDME LOGISTICS CO., LTD. 01 Ceo Message We, MIDME LOGISTICS CO., LTD. has established to create aduance logistics service. Try to give confidence to

More information

27송현진,최보아,이재익.hwp

27송현진,최보아,이재익.hwp OSMU전략에 따른 산업 동향 및 발전방안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A current research & development study on the OSMU strategy in field of game industry -A special study on the popular visual contents- 주저자: 송현진 (Song Hyun Jin) 서울산업대학교

More information

05_±è½Ã¿Ł¿Ü_1130

05_±è½Ã¿Ł¿Ü_1130 132 133 1) 2) 3) 4) 5) 134 135 6) 7) 8) 136 9) 10) 11) 12) 137 13) 14) 15) 16) 17) 18) 138 19) 20) 21) 139 22) 23) 140 24) 141 25) 142 26) 27) 28) 29) 30) 31) 32) 143 33) 34) 35) 36) 37) 38) 39) 40) 144

More information

원고스타일 정의

원고스타일 정의 논문접수일 : 2015.01.05 심사일 : 2015.01.13 게재확정일 : 2015.01.26 유니컨셉 디자인을 활용한 보행환경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on to Uniconcept Design 주저자 : 김동호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인테리어실용미술학과 교수 Kim dong-ho

More information

<3135C8A3B3EDB9AE303333312DBCF6C1A42E687770>

<3135C8A3B3EDB9AE303333312DBCF6C1A42E687770> 기업파티 공간연출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기업파티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Display for Company Party -Focusing on the parties of domestic companies- 백승범 / 100-스타일 대표 Paik Seung beom / 100-style President 김주연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1-1400119-000205-01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93520 9 788997 450602 ISBN 978-89-97450-60-2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20149 031-540-2000 415 aplan Tomorrow FOUR SEASONS

More information

09김정식.PDF

09김정식.PDF 00-09 2000. 12 ,,,,.,.,.,,,,,,.,,..... . 1 1 7 2 9 1. 9 2. 13 3. 14 3 16 1. 16 2. 21 3. 39 4 43 1. 43 2. 52 3. 56 4. 66 5. 74 5 78 1. 78 2. 80 3. 86 6 88 90 Ex e cu t iv e Su m m a r y 92 < 3-1> 22 < 3-2>

More information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c for practical cultivation under structure in Gastrodia elate Blume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c for practical cultivation under structure in Gastrodia elate Blume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c for practical cultivation under structure in Gastrodia elate Blume 1996. : 1. 8 2. 1 1998. 12. : : ( ) : . 1998. 12 : : : : : : : : : : - 1 - .. 1.... 2.. 3.... 1..,,.,,

More information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맛있는 한국으로의 초대 - 중화권 음식에서 한국 음식의 관광 상품화 모색하기 - 소속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도교수 : 오승렬 교수님 ( 중국어과) 팀 이 름 : 飮 食 男 女 ( 음식남녀) 팀 원 : 이승덕 ( 중국어과 4) 정진우 ( 중국어과 4) 조정훈 ( 중국어과 4) 이민정 ( 중국어과 3) 탐방목적 1. 한국 음식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경제적 가치에도

More information

산촌마을내지_합.pdf

산촌마을내지_합.pdf 11-1400377-000560-01 57 2012 90 46% 59% 1995 2011 270 2010 240 30 2012 12 Part 01 01 8 02 14 03 20 04 26 Part 02 05 36 06 42 07 48 08 54 09 60 10 66 Part 03 11 74 12 80 13 86 14 92 Part 04 15 100 16 108

More information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27 2, 17-31, 2009.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dminkim@cau.ac.kr) 18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2009. Ⅰ. (,,, 2004). (,, 2006).,,, (Myrick,

More information

http://g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GWRK060089/OTGWRK060089.xml

http://g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GWRK060089/OTGWRK060089.xml 페이지 1 / 41 제목 : 도시관광 개발사례 연구 작성자 : 강원발전연구원, 이영주(Lee Young Joo) 날짜 : 2005. 12. 도시관광 개발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Urban Tourism Development 2005. 12. 주관 수 행 기 관 : 강원발전연구원 연구책임자 : 이영주(Lee Young Joo) 참여연구원 :

More information

50-5대지05장후은.indd

50-5대지05장후은.indd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5호 2015(515~526)?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장후은* 이종호** 허선영***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Japan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小兒藥證直訣 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 病證과 處方을 중심으로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ㆍ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2*1)2)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The Theory of Five Organs in Soayakjeungjikgyeol(小兒藥證直訣) 1 Dept. of Oriental

More information

Output file

Output file connect educational content with entertainment content and that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inducing educa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Key words: edutainment, virtual world, fostering simulation

More information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하동 화력 7 8호기 건설부지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2005. 01. ( 재) 우리문화재연구원 하동 화력 7 8호기 건설부지 문화재지표조사 결과보고서 Ⅰ. 조사개요 1. 조 사 명 : 하동 화력 78 호기 건설부지 문화재지표조사 2. 조사지역 :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1336답 일원 3. 조사 면적 : 134,204m2 4. 조사 목적 한국남부발전(

More information

동부CTL1119

동부CTL1119 세상의 중심에 서다 세상의 중심에 당당하게 선 대한민국 글로벌 리더! 귀하의 품격에 어울리는 작품이 서울의 중심에 등장합니다 용산과 서울역의 비전을 담은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이제 서울의 중심에서 미래서울을 만나보십시오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최고의 이름에만 허락합니다 아름다운 주거문화를 선도해 온 동부건설이 미래형 복합단지브랜드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으로 또

More information

03-ÀÌÁ¦Çö

03-ÀÌÁ¦Çö 25 3 (2004 9 ) J Korean Oriental Med 2004;25(3):20-31 1), 2), 3) 1) 2) 3) Grope for a Summary Program about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TK)etc. Discussed in WIPO Hwan-Soo

More information

UPMLOPEKAUWE.hwp

UPMLOPEKAUWE.hwp 시청공간을 넘어 새롭게 소통하기 - 인터넷 기반의 를 중심으로 - New Communication beyond Viewing Space - Focused on Social Television based on Internet - 주저자 오종서 Oh, Jongsir 동서대학교 방송영상전공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of Dongseo University

More information

표현의 자유

표현의 자유 49 정보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입법 과제 장여경* 오병일* 정민경* 1) 목 차 I. 문제 제기 1. 정보화 정책의 주요 문제점과 과제 2. 대안으로서 정보인권 II. 표현의 자유 1. 개념 2. 입법 과제 III. 프라이버시권 1. 개념 2. 입법 과제 IV. 정보문화향유권 1. 개념 2. 입법 과제 V. 정보접근권과 인터넷 망중립성 1. 개념 2. 입법

More information

Contents 01 서울 과학교육 정책 [박문수] 1 02 외국의 과학교육 사례 비교 [정호근] 19 03 영재교육 10년, 현황과 과제 [홍덕표] 39 04 학교기획과 문서작성의 실제 [홍덕표] 51 05 교육법규의 이해 [김응길] 71 06 특수교육의 이해 [권택환] 139 07 영화를 이용한 과학수업 [한문정] 149 08 학교현장에서의 진로교육 [양운택]

More information

000표지

000표지 04 Contents 1. Background 2. Outline 3. Schedule 4. Opening Ceremony (Sep.27(Tue)) 5. Sisterhood ceremony & Cultural performance (Sep.27(Tue)) 6. Movie- Jun-Ai / Banquet (Sep.27(Tue)) 7. Korea cultural

More information

04 형사판례연구 19-3-1.hwp

04 형사판례연구 19-3-1.hwp 362 刑 事 判 例 硏 究 성풍속범죄에 대한 비판적 고찰 1)이 경 재* [대상판례 1] 헌법재판소 2008. 10. 30. 2007헌가17 21, 2008헌가7 26, 2008헌바21 47(병합) 전원 재판부 [판시사항] 1. 배우자있는 자의 간통행위 및 그와의 상간행위를 처벌하는 형 법 제241조(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 이라 한다)의 위헌 여부(소극)

More information

장양수

장양수 한국문학논총 제70집(2015. 8) 333~360쪽 공선옥 소설 속 장소 의 의미 - 명랑한 밤길, 영란, 꽃같은 시절 을 중심으로 * 1)이 희 원 ** 1. 들어가며 - 장소의 인간 차 2. 주거지와 소유지 사이의 집/사람 3. 취약함의 나눔으로서의 장소 증여 례 4. 장소 소속감과 미의식의 가능성 5.

More information

01이정훈(113~127)ok

01이정훈(113~127)ok The Role of Historical Relativity in International Exchange of Culture and Tourism at the Regional Level: A Case of Gyeonggi and Shandong Province Jung-hoon Lee** Kyung-Eun Choi*** Eun-Ja Lee****,.,,.,,.,,.,.,.,,,

More information

서론 34 2

서론 34 2 34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ume 34, Number 2, 2009, pp. 121 138 121 HL7 곽정수 1), 채영문 2), 용왕식 1), 김석일 3), 이병화 2) 1), 2), 3) Development of the HL7-based

More information

<34372DB5B5BCADC1F6BFAA2E687770>

<34372DB5B5BCADC1F6BFAA2E687770> 논문접수일 : 2012.12.20 심사일 : 2013.01.06 게재확정일 : 2013.01.25 서지역 슬로시티 경관색채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Landscape Colors of slow city Islands in Korea 문 선 욱 청운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Moon, Sun-Wook Department of Space

More informatio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golf semi- market: Focus on Physical Education Facility Act Ji-Myung Jung 1, Ju-Ho Park 2 *, & Youngdae Lee 3 1 Korea Institute of Sport

More information

½ÅÇÑsr_±¹¹®Æîħ

½ÅÇÑsr_±¹¹®Æîħ Contents 02 04 06 07 08 10 12 13 16 18 22 24 26 27 30 31 32 38 39 40 41 41 46 47 50 53 57 61 64 67 69 71 74 75 76 78 CARBON DISCLOSURE PROJECT CSR Highlights p.23 about this report p.47 p.50 http://snic.kr/49yb

More information

½ÅÇÑsr_±¹¹®Æîħ

½ÅÇÑsr_±¹¹®Æîħ Contents 02 04 06 07 08 10 12 13 16 18 22 24 26 27 30 31 32 38 39 40 41 41 46 47 50 53 57 61 64 67 69 71 74 75 76 78 CARBON DISCLOSURE PROJECT CSR Highlights p.23 about this report p.47 p.50 http://snic.kr/49yb

More information

4 RIVERSIDE TRAIL IMPROVEMENT 1 8 Wide Asphalt Trail Design follows AASHTO and ADA design guidance. Stable and maintainable surface: new asphalt or re

4 RIVERSIDE TRAIL IMPROVEMENT 1 8 Wide Asphalt Trail Design follows AASHTO and ADA design guidance. Stable and maintainable surface: new asphalt or re 4 RIVERSIDE TRAIL IMPROVEMENT 1 8 Wide Asphalt Trail Design follows AASHTO and ADA design guidance. Stable and maintainable surface: new asphalt or recycled asphalt product (RAP). Open curve and radii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149-171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4.201712.149 * A Study 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Introduction of Innovational

More information

30이지은.hwp

30이지은.hwp VR의 가상광고에 나타난 그래픽영상 연구 -TV 스포츠 방송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graphic image that is presented in Virtual Advertising of VR(Virtual Reality) - Focused on TV Sports broadcasts - 이지은(Lee, ji eun) 조일산업(주) 디자인 실장

More information

歯3이화진

歯3이화진 http://www.kbc.go.kr/ Abstract Terrestrial Broadcasters Strategies in the Age of Digital Broadcasting Wha-Jin Le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investigate the

More information

Method Country Vegetation type Reference AA Japan Quercus-mixed Kirita(1971) Japan Quercus-mixed Nakane(1975) CC China glassland Jia et al.(2006) Japan deciduous forest Hirano e tal.(2003) USA hardwood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251-273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2.201706.251 : 1997 2005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More information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논문접수일 : 2014.12.20 심사일 : 2015.01.06 게재확정일 : 2015.01.27 청각 장애자들을 위한 보급형 휴대폰 액세서리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Prototype of Low-end Mobile Phone Accessory Design for Hearing-impaired Person 주저자 : 윤수인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More information

Vol.258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Vol.258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017.12 Vol.258 C O N T E N T S 02 06 35 57 89 94 100 103 105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7.12 3 4 2017.12 * 6 2017.12 7 1,989,020 2,110,953 2,087,458 2,210,542 2,370,003 10,767,976

More information

,,,,,,, ,, 2 3,,,,,,,,,,,,,,,, (2001) 2

,,,,,,, ,, 2 3,,,,,,,,,,,,,,,, (2001) 2 2004- - : 2004 5 11 :?,,,,,? Sen (human capability) 1?,, I 1 2 1 Sen A Why health equity? Health Econ 2002:11;659-666 2 1991 p 17 1 ,,,,,,, 20 1 2,, 2 3,,,,,,,,,,,,,,,, 3 3 1 (2001) 2 1),, 2), 2),, 3),,,

More information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2005-08) ISNB 89-8473-245-1 93300:기타 334.3-KDC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2005-08) ISNB 89-8473-245-1 93300:기타 334.3-KDC 발간등록번호 11-1150200-000007-01 청소년 2005-08 www.youth.go.kr 청소년위원회 정책토론회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주최: 주관: 세종대학교 만화에니메이션산업연구소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More information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일본지방자치체( 都 道 府 縣 )의 웹사이트상에서 심벌마크와 캐릭터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Japanese Local Self-Government's Symbol Mark and Character on Web. 나가오카조형대학( 長 岡 造 形 大 學 ) 대학원 조형연구과 김 봉 수 (Kim Bong Su) 193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Ȳ¿ë¼®

#Ȳ¿ë¼® http://www.kbc.go.kr/ A B yk u δ = 2u k 1 = yk u = 0. 659 2nu k = 1 k k 1 n yk k Abstract Web Repertoire and Concentration Rate : Analysing Web Traffic Data Yong - Suk Hwang (Research

More information

03-서연옥.hwp

03-서연옥.hwp 농업생명과학연구 49(4) pp.31-37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4) pp.31-37 Print ISSN 1598-5504 Online ISSN 2383-8272 http://dx.doi.org/10.14397/jals.2015.49.4.31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적용한 충남지역 사유림경영율 추정 서연옥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방송통신연구 2011년 봄호 연구논문 64 98 PD수첩 관련 판례에서 보이는 사법부의 사실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연구* 1)2) 이승선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Contents 1. 문제제기와 연구문제 2. 공적인물에 대한 명예훼손 보도의 면책 법리 3. 분석결과의 논의 4. 마무리 본 이른바 PD수첩 광우병 편 에 대해 다양한 법적 대응이 이뤄졌다.

More information

IKC43_06.hwp

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ꡔ周禮ꡕ* 52)부 남 철** 차 례 Ⅰ. Ⅱ. Ⅲ. Ⅳ. Ⅴ. 서론 유교국가의 정신 仁과 정치의 公共性 총재정치 육전체제 결론 국문초록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 鄭道傳이 ꡔ周禮ꡕ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ꡔ주례ꡕ는 유학자들이 이상적인

More information

38이성식,안상락.hwp

38이성식,안상락.hwp 동영상UCC의 활성화에 따른 영상디자인의 대중화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Relationship of UCC Animation in Social Network 주저자: 이성식 (Lee, Sung Sik) (주)펄슨앤커뮤니케이션 공동저자: 안상락(An, Sang Lak) 한국재활복지대학 광고홍보과 논문요약 Abstract

More information

공학박사학위 논문 운영 중 터널확대 굴착시 지반거동 특성분석 및 프로텍터 설계 Ground Behavior Analysis and Protector Design during the Enlargement of a Tunnel in Operation 2011년 2월 인하대

공학박사학위 논문 운영 중 터널확대 굴착시 지반거동 특성분석 및 프로텍터 설계 Ground Behavior Analysis and Protector Design during the Enlargement of a Tunnel in Operation 2011년 2월 인하대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More information

기본연구 국제자매결연도시간 교류활성화를위한연구 강창민

기본연구 국제자매결연도시간 교류활성화를위한연구 강창민 기본연구 2011-26 국제자매결연도시간 교류활성화를위한연구 강창민 2011 11 연구요약 Ⅰ. 서론 2. 지방자치단체자매결연의의의 1) ㆍ 2) 3) 4) 5). 3. 국내지방자치단체의자매결연현황 4. 제주특별자치도자매결연실태 1) ㆍ 2) 5. 제주특별자치도자매결연방향과전략과제 1) (1), 2) 3) Ⅰ. 1. 2. 3. Ⅱ. 1.. .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BFACB1B85F323030352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BFACB1B85F323030352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연구보고서 2005-03 경제자유구역에서의 보건의료시장 개방의 파급효과와 정책방향 2005 韓 國 保 健 社 會 硏 究 院 머 리 말 우리나라는 2003년 경제자유구역의지정및운영에관한법률 을 제정하여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 등 3개 지역에 경제자유구역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에 는 경제자유구역에 외국 의료기관이 진출할 수 있다는 내용이 규정되어 있으

More information

44-6대지.07전종한-5

44-6대지.07전종한-5 Place Memories of the Urban Backlane: In case of the Pimat-gol of Jongno, Seoul Jong-Han Jeon* 600 vs. vs. vs. Abstract Pimat-gil is a bystreet over 600-years old of Jong-no in Seoul that originated in

More information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로컬리티 인문학 2, 2009. 10, 257~285쪽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양 인 실* 50) 국문초록 세계화 로컬리티는 특정장소나 경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시대에 따 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영화는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특이할 만한 사실은 미국과 일본의 영화계에서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335-363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3.201612.335 Awareness, Supports in Need, and Actual Situation o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More information

<30353132BFCFB7E15FC7D1B1B9C1A4BAB8B9FDC7D0C8B85F31352D31BCF6C1A4C8AEC0CE2E687770>

<30353132BFCFB7E15FC7D1B1B9C1A4BAB8B9FDC7D0C8B85F31352D31BCF6C1A4C8AEC0CE2E687770> 지상파 방송의 원격송신과 공중송신권 침해여부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Copyright Infringement of Remote Transmission of Television Program 최정열(Choe, Jeong-Yeol) * 목 차 Ⅰ. 서론 Ⅱ. 사실 관계 및 재판의 경과 1. 원격시청기기 및 그 사용방법 등 2. 피고의 서비스 3.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65-89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9.1.201903.65 * Suggestions of Ways to Improve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 Experiences

More information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2 pp. 866-871, 2012 http://dx.doi.org/10.5762/kais.2012.13.2.866 증강현실을 이용한 아동교육프로그램 모델제안 권미란 1*, 김정일 2 1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2 한세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했을경우에는,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오용록의 작품세계 윤 혜 진 1) * 이 논문은 생전( 生 前 )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 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 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More information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제1장 정책의 혁신과 확산, 그리고 변형 중국 대학생촌관( 村 官 )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Policy Innovation, Diffusion and Transformation The case of the College-graduate as Village Official Plan in China 유은하 한신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1990년대

More information

Track2

Track2 Track II: Ambient Communica/on Mar 2015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KAIST People Social Compu/ng Lab Dongman Lee, Meeyoung Cha, Wonjae Lee, and Sungjoo Woo Complex Systems of Culture Juyong

More information

<30362E20C6EDC1FD2DB0EDBFB5B4EBB4D420BCF6C1A42E687770>

<30362E20C6EDC1FD2DB0EDBFB5B4EBB4D420BCF6C1A42E687770> 327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ISSN 1598-3986(Print) VOL.24, NO.2, Apr. 2014 ISSN 2288-2715(Online) http://dx.doi.org/10.13089/jkiisc.2014.24.2.327 개인정보 DB 암호화

More information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More information

10송동수.hwp

10송동수.hwp 종량제봉투의 불법유통 방지를 위한 폐기물관리법과 조례의 개선방안* 1) 송 동 수** 차 례 Ⅰ. 머리말 Ⅱ. 종량제봉투의 개요 Ⅲ. 종량제봉투의 불법유통사례 및 방지대책 Ⅳ. 폐기물관리법의 개선방안 Ⅴ.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개선방안 Ⅵ. 결론 국문초록 1995년부터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제작, 판매되기 시작하였는데,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