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 중심을 바라보기: 월터 미뇰로의 '르네상스의 어두운 부분' - 트랜스라틴 29호

Similar documents
* pb61۲õðÀÚÀ̳ʸ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20~151역사지도서3

82-대한신경학0201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Á¤Ã¥¹é¼Ł_Ç¥Áö

152*220

178È£pdf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4) 5) 6) 7)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5 291

allinpdf.com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 4 -

ìœ€íŁ´IP( _0219).xlsx

10월추천dvd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쏘니표지


985-2.pdf


월터 미뇰로의 연구그룹과 해체식민주의(decolonization)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CC hwp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2016남서울_수시모집요강_단면.pdf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내지-교회에관한교리

요람 교육과정편람 사범대학.hwp

<3635B1E8C1F8C7D02E485750>

01정책백서목차(1~18)

2003report hwp

전체 / 읷본문학의이해 3 3 읶문과학부 1/ 한국현대문학의이해 3 3 국어국문학 1/ 영문학입문 3 3 영어영문학 1/ 프랑스언어와문화Ⅰ 3 3 불어불문학 1/ 서양의역사와문화 3 3 사학 1/1 368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한류 목차2_수정 1211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4-Ç×°ø¿ìÁÖÀ̾߱â¨è(51-74)

(연합뉴스) 마이더스


#7단원 1(252~269)교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Microsoft Word - PLC제어응용-2차시.doc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1220½É¹Ì¾Èâ27È£º»¹®

<B9ABC1A62D3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89 -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2011년 제21권 제3호

01 01NEAR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2002report hwp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CONTENTS 2011 SPRG Vol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단양군지

04 Çмú_±â¼ú±â»ç


2014도서목록본문

120330(00)(1~4).indd

SIR Á¦16È£.hwp


유니티 변수-함수.key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CT083001C

Jkafm093.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디지털 인문학 입문


<3231C3A4C8F1C5C22E687770>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나하나로 5호

한글요약

- 2 -

Untitled-1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성장견인국 / 3 II. 위기진행국 / 54 III. 중도성장국 / 112

04 특집

brilliant 30 #8: 그룹 텐던스 플루에 - Projects | 현대자동차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Y Z X Y Z X () () 1. 3

08학술프로그램

Transcription:

66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정동희 I. 상식의전복을위한낯선공간으로의초대 낯설다. 처음월터미뇰로 (Walter Mignolo) 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The Darker Side of the Renaissance) 라는두툼한책을접하고펼치기전에는 보다어두운 이란형용사에눈길이많이갔다. 일반적으로 르네상스 라는용어는중세의암흑을뒤로하고인간능력의무한성을신뢰하며, 인간이지닌천부적자질인이성에바탕을둔과학기술의진보를통해인간의삶을질을근본적으로전환시킨긍정의개념으로해석되고있기에부정적분위기가물씬풍기는 보다어두운 이란표현을저자가왜사용하였을까라는의문이먼저들었다. 책제목은프란시스에이츠 (Frances Yates) 의 조르다노브루노와신비주의전통 (Giordano Bruno and Hermetic Tradition) 에대한브로노프스키 (Jacob Bronowski) 의서평제목인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The Dark Side of the Renaissance) 을연상시켰다. 그런데 보다어두운 이다. 첫장을펼치고서낯설음은더해갔다. 이책은유럽의르네상스에관한책이지만동시에스페인이유럽최강국으로부상했던당시에대한책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67 이며스페인에의한아메리카대륙의식민화에대한책이기도했다. 800년간스페인영토의절반을차지하고있던이슬람세력을내몬후스페인은최초의중앙집권적근대국가로변모하였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밀접한관계를맺고있던이탈리아의르네상스정신이유입되면서국민문학이형성되었고, 이를통해스페인르네상스문화가만개하면서소위말하는스페인의 황금세기 가시작되었다. 이세기가르네상스기와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표지 일치한다. 그리고스페인 16세기문학을공부하는나에게익숙한시공간의장이다. 그런데미뇰로는이역사적장에서머물지않고 1492년스페인왕실의지원을받은콜럼버스가아메리카대륙에첫발을디딘후급속히스페인의식민지로편입되기시작한라틴아메리카로시각을확대한다. 이제껏르네상스를논하면서우리가언제르네상스를라틴아메리카와연결시켜고민해본적이있었던가? 현대라틴아메리카에대한연구가이제야본격적으로시작되는작금의우리현실에서유럽이르네상스의찬란한황금기를만끽하던 16세기라틴아메리카에대해우리가일반적으로알고있는지식은거의전무하다해도과언이아니다. 이렇게우리의지적영토에서처녀지에가까운유럽르네상스기라틴아메리카에대해미뇰로는해부학적관찰을시도하고있다. 16세기라틴아메리카역사에대해어느정도지식이있어도미뇰로의관찰을따라가기가버거울판인데무지에가까운상태에서그의섬세하고날카로운시각을추적한다는것은낯설음의극을느끼는것에다름아닐것이다. 그런데낯설음은하나의커다란장점을가지고있다. 굳이쉬클로프스키 (Viktor Shklovskij) 를비롯한러시아형식주의자들이제시한 낯설게하기 개념을들추지않아도우리의삶은일상속에갇히면서우리의

68 지각을관습화된틀속에고정시켜버린다. 점차로이지각능력은자동화되면서화석화의과정으로향하고현상에대한기대지평은자동화가가져오는관습화된영역내에서만존재할뿐이다. 그러나일상속에의도적으로, 혹은우연히던져진낯선현상은자동화된일상적인식의틀을혁파하고지각의시간을연장하여기대지평의확대를가져오는결과를가져온다. 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은바로이런효과를우리에게던져줄수있는긍정적낯설음이다. 그렇다면우리의일상속에각인되어있는르네상스는어떤모습이며미뇰로가던져주는낯설음은어떤낯설음인가를알기위해우리는르네상스라는용어의정립및연구의역사를잠시나마살펴볼필요가있다. II. 르네상스개념의정립과정 르네상스란무엇인가라는질문에어느정도교육을받은사람들은대부분고대문화의부활이라고단적으로말할것이다. 일반적으로르네상스시기는화가인조토 (Giotto di Bondone, 1266-1337) 가활동하던때부터역시화가인틴토레토 (Tintoretto, 1518-1594) 의사망까지를일컫는다. 즉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를우리는르네상스시대로간주할수있다. 그런데한시대의기준을화가들의탄생과죽음으로설정한다는자체가르네상스라는용어는기본적으로예술활동을기준으로설정되었음을의미한다. 실제르네상스기대표적인문주의자인로렌초발라 (Lorenzo Valla, 1407-1457) 는자유학예 (liberal arts), 회화, 조각, 모델링, 건축과밀접히관련된예술이오랫동안너무도타락하여문학자체와더불어거의사멸했으나작금에이르러다시소생하여새로이등장한수많은출중한미술가와문인이왕성하게활동하고있다고르네상스기를묘사하였고역시인문주의자인마르실리오피치노 (Marsilio Ficino, 1433-1499) 는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69 르네상스기를황금시대로규정하면서고대인의경배를받았으나거의잊혀진것들이실현되고어둠속에묻혀있던플라톤의가르침이광명을되찾았다고평가한다. 최초의예술사저서로평가받는 예술사평전 (Le Vite dé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 da Cimabue insino á tempi nostri, 1550) 의저자인조르지오바사리 (Giorgio Vasari, 1511-1574) 는이책의서문에서 결국미술도본질적으로생물의유기적성장과정과마찬가지로, 마치인간의몸처럼태어나성장하고늙고죽음에이른다. 이제미술이다시한번태어나는과정을거쳐우리가살고있는시대에완성의경지에이르는경위를쉽게이해할수있을것이다 1) 라고표현하면서자신이살던시대를고대예술의재탄생 (Rinascita) 으로규정하면서 재탄생 이란용어를처음도입하였다. 바사리가사용한 재탄생 이라는용어는 19세기들어프랑스의역사학자인쥘미슐레에의해확대, 강화되어사용되기시작하였다. 그는총 17권으로구성된 프랑스사 (Histoire de France) 중 1855년에출간된제7권의제목을 르네상스 로붙이고바사리가제시한 Rinascita를프랑스어인 Renaissance 로옮기면서그시기를콜럼버스의신대륙발견부터갈릴레오의활동시기까지, 즉 15세기말부터 17세기중반까지로규정하고이시기는예술적측면보다는과학적측면에서이전시기와구별된다고주장하였다. 환언하면미슐레는르네상스란용어를라틴문학의부흥이나고전에서영향받은미술양식에국한하지않고역사의한시기를일컫는의미로사용하였던것이다. 미슐레의르네상스용어에대한 19세기적인개념확립이이루어지고 5년후세계는이개념을정확하고엄밀하게발전시킨르네상스연구의한획을긋는대작과만나게된다. 르네상스문화와는그리깊은관련을맺고있지않는스위스출신의역사학자야콥부르크하르트 (Jacob 1) Giorgio Vasari, Proemio, Le Vite dé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 da Cimabue insino á tempi nostri, 1550. [http://bepi1949.altervista.org/vasari/vasari02.htm]

70 Burckhardt, 1818-1897) 의 이탈리아르네상스의문화 (1860) 는르네상스연구에결정적인영향을미친저서로유럽역사학계에서는르네상스연구는 이탈리아르네상스의문화 의이전과이후로구분된다고평가할정도이다. 부르크하르트에따르면고대는문화의토대와근원이며존재의목표와이상이고 전시대를대신할의식적인대안 이다. 그런데고대를부활시킨이탈리아인들은이시대를단순하게재현한것이아니라이재현의과정을자신들의특유한민족정신을바탕으로진행하면서고대이면서동시에고대가아닌새로운시공간을창조하였다는것이부르크하르트의논리이다. 즉르네상스는고대문화에대한기계적모방이아니라중세의끝에서발견한새로운감수성을통해고대를재해석하여근대로의길을만든하나의경이적인사건이었던것이다. 이탈리아르네상스의문화 이후르네상스란용어는역사학의전문용어에서벗어나중세를끝내고근대를이끈, 환언하면중세와근대의교량역할을하는하나의시대개념으로정착되었다. 그런데부르크하르트는르네상스를중세와완전히구분되는새로운시간의장이자근대의초입으로규정한다. 그런데이런정의는많은문제점을내포한다. 우선머리에떠오르는것이시간에있어서단절이란존재하는가라는점이다. 여기에대해요한하위징아 (Johan Huizinga) 는 중세의가을 을통해르네상스는중세와완전히결별한새로운시대가아니라중세와근대의요소가혼재된중세의연장으로파악한다. 이렇듯이작품의출현을통해부르크하르트의견해를따르는, 혹은비판하는르네상스역사, 철학에관한저서들이출간되면서르네상스연구의영역은지속적으로확장되었다.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71 III. 탈식민주의를위한사유 부르크하르트의중세와의절연과이를통한르네상스개념의최대긍정화작업은시간의단절이라는약점을기본적으로안고있지만이것보다더욱심각한문제는그의주장은유럽문화의우월성을근본적으로포함하고있다는사실이다. 미뇰로의문제의식은바로이지점에서부터시작한다. 미뇰로는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을통해인류사의커다란전환점이되었다고 간주 되는르네상스를기존연구들과는전혀다른방향에서바라본다. 그는부르크하르트가정립한르네상스의개념이쳐놓은차양의그늘아래숨어있던음산한실체의흔적을찾아나서면서이스위스역사학자가그랬던것처럼경탄스러울만큼의문헌고증과독자들에게커다란지적열등감을안겨주는박학다식함을통해인간을재발견하고그리하여세계의중심으로신대신인간을위치시킨유럽의르네상스 근대초시기에유럽백인들의지배를받았던아메리카대륙의의식구조가어떻게구축되어가는지를비연대기적방식을통해그리고있다. 미뇰로는아직우리나라에서많이낯설다. 비록몇년전한국을방문하여몇몇신문지상에그와그의탈식민주의학문세계가소개되었고 라틴아메리카: 만들어진대륙, 로컬히스토리글로벌디자인 등의저서가우리말로번역되었는데도인문학이나사회과학전반에걸쳐아직큰방향은없는듯하다. 푸코, 라캉, 들뢰즈, 데리다가가지고왔던우리지식사회내에서의열풍과비교해보면뛰어난기호학자이자탈식민주의이론가인미뇰로에대한우리지식사회의낮은관심은어떻게설명해야할까? 우리도여전히 1세계가만들어놓은식민유산의틀속에서빠져나오지못한것은아닐까? 이들프랑스학자들과미뇰로의전공분야가다르니그럴수있다고치자. 하지만참으로희한하게도미뇰로와같은고민을하고있는호미바바 (Homi Bhabha), 가야트리스피박 (Gayatri Spivak), 에드워드사이드 (Edward Said) 등탈식민주의이론의선구자들

72 은인문학에관심을가지고있는독자들에게는이제낯선인물들이아니며스타대접을받고있다. 왜그럴까? 우리는미뇰로의세계에좀더가깝게다가서기위해서는이질문에서부터출발할필요가있다. 바바와스피박은영국식민지였던인도출신이며사이드또한영국치하의팔레스타인출신이다. 이탈식민주의이론스타 3인방은과거영국식민지출신이고, 따라서영어를모국어처럼구사하며, 미국으로이주하여미국에서도최고명문으로꼽히는아이비리그대학에서공부를했고, 아이비리그대학에서교편을잡고있다는공통점을가지고있다. 따라서이들은기본적으로 영어 라는제국의언어가창조한학술출판시장에서매우유리한위치를점하고있다. 반면미뇰로는역시이들과마찬가지로현재미국인명문대학인듀크대학교에서교편을잡고있지만스페인의식민지였으며스페인어를모국어로사용하는아르헨티나출신이란점에서근본적으로이들과출발점이다르다. 어찌보면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은저자가태어났을때부터자신을둘러싸고있었던공간과문화에대한비판적사유로부터탄생하였다라고말해도과언이아닐것이다. 월터미뇰로 실제미뇰로는서문에서탈식민주의이론화작업에있어개인적경험의중요성을강조하면서그가근대 / 식민기로간주하고있는시기는스페인어와포르투갈어가과학적, 철학적담론에적합하지않는언어로써지위가격하되고영어, 프랑스어, 독일어가근대성의언어, 헤겔에따르면 유럽의심장 의언어로격상된순간이라고밝힌다 2). 또한그가 르네 2) Walter D. Mignolo, The Darker Side of the Renaissance: Literacy, Territoriality, and Colonization,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5, p. viii. 이하지나친각주를피하기위해본문속에직접페이지표시를함.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73 상스의어두운부분 을자신의모국어인스페인어가아닌영어로집필하는이유에대해서는현재스페인어로글을쓴다는것은현대이론들의논의에있어서주변부에머문다는것을의미하기때문이라고고백한다. 학술서적들이출판물시장에서나름의의미를지니는세계 월터미뇰로 에서는스페인어독자들보다영어나프랑스어독자들이많은것이현실이다. 따라서저자는탈식민주의이론정립을위한정초작업으로써스페인 / 라틴아메리카의식민유산들을르네상스 / 근대초에대한논의속에포함시키기위해, 그리고식민적유산과탈식민주의이론에대한논의에포함시키기위해스페인어로책을저술하는것은근대이후독일어, 프랑스어, 그리고이후에는영어에의해지배되어온지적논의에참가할수있을가능성을부여하기전에미리그책을주변화시킨다는것을의미한다고말한다. 즉저자는언어와문자체계를통한식민화의과정을밝히는탈식민주의학자로서제국주의언어로써영어가지닌역사적속성을충분히인식하고있으면서도이언어가자신의탈식민주의이론을전달하기위한수단이라는아이러니한현상황을담담하게묘사하며자신의입장을변호하고있다. 그런데비록자신의견해를밝히기위한수단으로 1세계의언어인영어를택하였지만저자는이견해를뒷받침하는토대로써유럽이나미국등제 1세계의철학자나이론가들이아니라엔리케두셀 (Enrique Dussel) 의 근대성의신화 개념, 글로리아안살두아 (Gloria Anzaldúa) 의 경계지역 개념, 페르난도오르티스 (Fernando Ortíz) 의 통문화

74 화 (transculturation) 개념, 로돌포쿠쉬 (Rodolfo Kusch) 의 문화적식균작용 (Cultural Phagocytosis) 개념, 실비아누산티아구 (Silviano Santiago) 의 간공간 (the inter-space) 개념등라틴아메리카출신지식인들의학문적성과들및모로코출신의작가인압델케비르카티비 (Abdelkebbir Khatibi) 의 또다른사유 (Une pensée autre) 개념을이용하고있다. 그리고탈식민주의연구의대표작으로평가받는호미바바의 문화의위치 (The Location of Culture) 는독창적이라기보다는쿠쉬의옥시덴탈리즘비판, 두셀의근대성비판, 안살두아의식민화과정에있어서의언어문제연구등라틴아메리카출신학자들이이미수행했던작업의영어권버전이라고평가한다. 또한미뇰로는바바의 사이공간 (spaces in between) 개념에는공감하지만이개념역시오르티스, 쿠쉬, 실비아누산티아구등이제시했던개념들을영어로재구성했을따름이라고주장하면서영미학계에서는잘알려지지않았지만자신이의지하고있는라틴아메리카출신학자들의학문적성과를높게평가한다 (xiv-xvii). 하지만라틴아메리카와제3세계지성의활동에대해거의알려지지않은우리실정에서독자들은처음접하는이지역지식인들의이름에생경함을느낄것이고이들이주창하는내용에대한이해가전혀전제되어있지않기에미뇰로가짧게기술하고있는이들의논의전개에대한내용뿐만아니라이들의논의에바탕을둔미뇰로의주장은낯설음이더욱배가되는느낌을받게될것이다. IV. 체제분석을위한언어와공간의재해석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은문학, 기호학, 역사학, 문화이론등을 초학제적연구방식을통해아메리카대륙의식민화과정을단순한연대기 적나열이아닌유럽적세계관과인식론의투사와확장의결과라는사실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75 을언어, 기억그리고지도제작술문제를중심으로검토하고있다. 미뇰로는근대서구철학은아메리카대륙에대한스페인과유럽의초기식민화경험에서탄생하였다고본다. 특히서구의인식론, 현상학, 해석학, 지도제작술등은식민적타자인아메리카대륙원주민과극명하게대비되는식민화의주체로서유럽적자아즉백인의이미지를구축하였다. 이러한유럽적자아는점차유럽을세계의중심에위치시키는유럽중심주의세계관의형성에토대가되었다. 근대서구철학의기원은유럽중심적인발전론적역사관을제시한칸트와헤겔에있으며유럽중심적, 백인위주의사유는근대철학의근원적배경으로써자리매김을하였다. 이현상에대한근원적검토를위해미뇰로는다음과같은질문을던진다. 계몽주의가중상주의의성장과노예무역을통해전개되었다면르네상스는스페인의아메리카대륙식민화와함께어떻게전개되었는가? 또한르네상스의어두운이부분이오늘날까지우리의인식체계에영향을미치고있는인종적이며영토적인계급체계에대한사상의형성과정과사회적상호작용의토대로써어떻게구축되었는가? 이질문에대한답을얻기위해미뇰로는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을관통하는논리로기존논리에대한전복의논리를채택한다. 공간보다는시간, 그리고언어에특권을부여한것은기존서구의위계질서이기에저자는이것을전복시켜공간을중심으로아메리카대륙의식민화를분석한다. 이를통해아메리카원주민들의문화와유산속에존재하는공간의중요성이재조명을받게되며따라서근대서구가과도한특권을부여했던시간의의미가중화된다. 또한그는언어, 지역, 공간의식민화가어떻게발생하였는가에대한설명보다는식민화에의해만들어진사이공간 (space in between) 을사유의위치및새로운형태의에너지로파악한다. 왜냐하면이곳으로부터의사유야말로서구의아메리카대륙식민화가남긴유산의확실성에대한의심이자비판이기때문이다. 이와같은방식의작업을통해저자는전통적인사유의틀속에서새로운지식을축적하

76 기보다는지금껏의식적으로혹은무의식적으로무시되어왔던, 하지만우리가알아야할것에대한새로운사유의방법을탐색하고있다. 미뇰로는 16세기예술, 문학작품, 지도등에대한엄밀한분석을통해유럽르네상스의존재이유이자가치그자체인 고전의부활 이실은유럽열강들의식민팽창정책에대한정당화이자도구였다고주장한다. 그는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을언어의식민화, 기억의식민화, 공간의식민화등의 3부로구성하고각부를 2개의장으로구성하고있다. 그런데특히나의관심을끈부분은언어의식민화를다룬 1부의 1장이다. 여기에서미뇰로는 15세기후반부터 16세기전반기에활동한스페인의언어학자엘리오안토니오데네브리하 (Elio Antonio de Nebrija) 의대표작이자스페인어최초의문법서인 스페인어문법 (Gramática de la lengua castellana, 1492) 을중심으로그의글쓰기에대한철학과아메리카원주민언어들의문법에대한글쓰기에미친그의영향을살펴보고 17세기전반기에출간된또다른대표적인스페인어연구서인베르나르도데알드레테 (Bernardo de Aldrete) 의 스페인어의기원 (Orígenes de la lengua castellana, 1606) 에대한분석에초점을맞춘다. 미뇰로에따르면네브리하와알드레테의저서들은 800여년에걸친이슬람의이베리아반도지배를종식시키면서출범한통일스페인제국의통일된언어에대한규정이라기보다는막시작한아메리카대륙의식민사업에필요한하나의프로젝트이다. 즉당대유럽최강국가의국어였던스페인어는철학이나신학등학술언어가아닌의사소통의언어로이작품들에서취급되고있으며알파벳문자이론에기반을둔스페인어문법의유포는효과적으로구어 (spoken language) 의지역성을소멸시키면서아메리카대륙의목소리를식민화하였다. 이렇게스페인어는광대한아메리카대륙에산재했던무수한음성들을억압, 억제하면서식민지의유일한의사소통어가된것이다. 미뇰로는네브리하가주창한알파벳문자체계의다른의사소통수단에대한 우월성 이야말로스페인지성인들에게, 나아가유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77 럽백인들에게자신들이성취한문화와아메리카대륙원주민들간의단절성에대한지각을가지게하는근원적이유가되었다고주장한다. 상형문자체제에바탕을둔정보시스템을통해아메리카대륙원주민관료들은아스테카제국을통치하였고또한스페인식민자들은이체제의힘을인식했음에도불구하고말이다. 이어 2부에서는유럽르네상스에있어서담론적실천으로써의역사, 보편성으로간주되는유럽적이미지의구축으로써의역사를중점적으로다루고지식의장르화와조직화를살펴본다. 이를통해미뇰로는유럽에의한아메리카대륙의식민화의완성은총과대포를앞세운무력이아니라스페인, 유럽인들이자신들의로마알파벳을통해창조하고형성한유럽적개념의, 유럽적형식의문해력 (Literacy) 에의해서란사실을밝히면서언어를통한정복과식민화의과정과의미를도출해내고있다. 유럽인들은아메리카원주민들과마주쳤을때이들이지닌문화가유럽인들이가치를부여하는텍스트와는동일한텍스트가아니었기에 차이 를곧 차별 로전환하여문명화된유럽인들의무지한아메리카원주민들에대한식민통치를정당화한다고저자는보고있다. 이책의제3부는지도제작술에투영된유럽인들의의식을탐구하면서공간의식민화를논의한다. 지도제작술을다루는데있어미뇰로는예수회소속의마테오리치 (Mateo Ricci), 군인이었던에르난코르테스 (Hernán Córtes), 도미니크회소속의디에고두란 (Diego Durán), 프란체스코회소속의베르나르디노데사아군 (Bernardino de Sahagún), 인디아스평의회 (Consejo de Indias) 소속지도제작자였던로페스데벨라스코 (López de Velasco) 등이제작한다양한형식의지도를예로든다. 그리고이지도들이궁극적으로는인간의우주관이연장된것이라는판단하에시공간의의미및지도제작과영토의의미를이사유의틀속에서의자아의배치문제와함께논의하고있다. 서구에서제작된지도가일반화가된것은유럽의정치, 경제적파워의성장과동시에, 특히지도제작

78 및제국주의의밀접한관계, 라틴아메리카의식민적경험의결과로저자는파악한다. 그리고저자는구아만포마데아얄라 (Guaman Poma de Ayala) 가제작한페루를지도의정상에배치시키고스페인을아래에위치시킨지도를소개하는데이지도는케추아어족의공간개념을이용한것이며동시에스페인지도제작술의영향을받기도하였다. 저자는일방적인사유의투사가아닌상호적사유의투사가형상화된이와같은지도야말로두셀과안살두아의철학이구체화시킨공존의시각을보여주는지도의예라고주장한다. 그런데공존을제시한텍스트혹은지도는식민주체의우월성을손상하기에지금까지억압되고무시되고있다고저자는말한다. 르네상스시기에만들어진지도는아메리카대륙에이름을부여하였고영토를사유와결부시켰다. 또한라틴아메리카각지에지명을부여하거나특정지역에대한약도를그리는등아메리카원주민들을통치하기위한형식으로써기능을하였다. 미뇰로에따르면결국지도란세계와자아에대한지각을이해하기위한개입의공간인것이다. V. 주변과중심의인식론적전도와재배치 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은라틴아메리카대륙의식민화과정과결과에대한기존의유럽중심적역사관을탈피하여유럽인들이 만들어놓은 아메리카의이미지가어떻게왜곡되어가는지그과정과함께유럽의라틴아메리카대륙에대한역사서술이얼마나큰오류를포함하고있는지를구체적인예를들어밝히고있다. 그렇다고미뇰로는극단적인반유럽역사관을제시하지는않는다. 대신라틴아메리카지식인들의고민이녹아있는새로운이론적대안들을비판적으로수용하는동시에라틴아메리카역사의전개과정에서있었던실제현상들에대한분석을통해제1세계의시각이지배했던라틴아메리카대륙의역사를새롭게해

[ 명저산책 ] 주변에서중심을바라보기 : 월터미뇰로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79 석하고자하는노력을경주한다. 따라서미뇰로는시대의선형적인연속성보다는르네상스 /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근대초 / 식민기 (early modern/colonial period), 계몽주의 / 계몽주의의어두운부분처럼상반되는것의공존에관심을둔다. 결국미뇰로의식민적기호는현재라틴아메리카사회에내재되어있는식민적유산을드러내고우리눈앞에펼쳐져있는근대성의그림자를탈식민화하기위한운동인것이다. 르네상스역사와라틴아메리카사회학, 그리고탈식민주의이론연구에서이책은분명현대의고전이될자격을충분히갖추었다. 그런데이자격은단순히미뇰로자신의박학다식함때문이라기보다는다양한사료를통한실증적분석과현대의이론적논의들간의적합한조화를통해부여된다. 하지만아쉬움도없지않다. 우선지적하고싶은것은저자가서문에밝힌대로이책을자신의모국어인스페인어가아닌영어로집필해야만했던이유이다. 과거제국주의의식민지에결코지울수없을정도로깊이새겨진대표적인식민유산인영어가현재학술세계의언어이고스페인어로집필한다는것은곧학술활동의중심지에서자동적으로멀어진다는현실의논리를그이유로들고있지만이것만으로는정당성을충분히확보하지못하고있다는인상을지울수없다. 저자의논리대로라면우리는영원히영어의제국주의적권력과앵글로색슨적세계질서를벗어날수가없게되면서오히려현재에있어영어의권력은더욱강화될것이다. 이와함께지적하고싶은점은 16세기르네상스 / 근대초의음침한부분을다루면서지나치게현대이론들과의접목을추구하고있다는점이다. 물론이러한시도는과거라틴아메리카의식민화과정에대한연구를통해현대라틴아메리카의현실을보다정확히이해하기위한것이겠지만르네상스기를다루고있는대표적인저서들에대한검토작업이없다는점은상당히아쉽다. 만일저자가부르크하르트의 이탈리아르네상스의문화 에대한검토를통해르네상스기는이전과달리개인주의의출현과함께대의를위해서는그어떤악행도정당화될수있었고현

80 실적으로냉정하게타산을맞추는것이하나의특징으로나타났다는스위스역사학자의설명을관심있게보았다면스페인의아메리카대륙식민화작업에대한설명은보다풍성했을것이다. 그러나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은방금위에서밝힌아쉬움에도불구하고우리의지적세계를풍성히해줄지식의보고이다. 전혀생소한사건들과낯선이론가들의사유가종횡무진하는이책을읽는것은실로고된독서의경험이될것이다. 하지만이낯설음을극복하기위해약간의노력을경주한다면우리의시야는더욱넓어질것이고우리의사유는더욱깊어지면서고됨은곧만족감으로바뀌게될것이다. 미뇰로는역사적관점을전복한다는것은이론적운동이자동시에이념적인운동이라고말한다 (p. 312). 그래서그는학문적중심의관점으로부터주변부사회들을바라보는대신역으로학문의주변부로부터문화적이며정치적인중심들을바라보길우리에게제시한다. 이것이 르네상스의어두운부분 이가지고있는최고의덕목이다. 정동희 서울대학교강사